KR20120086274A - 입체 영상 표시 장치 - Google Patents

입체 영상 표시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086274A
KR20120086274A KR1020120007310A KR20120007310A KR20120086274A KR 20120086274 A KR20120086274 A KR 20120086274A KR 1020120007310 A KR1020120007310 A KR 1020120007310A KR 20120007310 A KR20120007310 A KR 20120007310A KR 20120086274 A KR20120086274 A KR 2012008627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gion
right eye
phase difference
eye
polarizing p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0731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233895B1 (ko
Inventor
전병건
박문수
김신영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엘지화학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엘지화학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엘지화학
Priority to US13/358,321 priority Critical patent/US20120218634A1/en
Priority to JP2013550415A priority patent/JP2014509402A/ja
Priority to CN201280006505.8A priority patent/CN103348280B/zh
Priority to EP12739523.4A priority patent/EP2669730A4/en
Priority to PCT/KR2012/000605 priority patent/WO2012102550A2/ko
Publication of KR2012008627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8627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3389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3389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30/00Optical systems or apparatus for producing three-dimensional [3D] effects, e.g. stereoscopic images
    • G02B30/20Optical systems or apparatus for producing three-dimensional [3D] effects, e.g. stereoscopic images by providing first and second parallax images to an observer's left and right eyes
    • G02B30/22Optical systems or apparatus for producing three-dimensional [3D] effects, e.g. stereoscopic images by providing first and second parallax images to an observer's left and right eyes of the stereoscopic type
    • G02B30/25Optical systems or apparatus for producing three-dimensional [3D] effects, e.g. stereoscopic images by providing first and second parallax images to an observer's left and right eyes of the stereoscopic type using polarisation techniqu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3/00Stereoscopic video systems; Multi-view video systems; Details thereof
    • H04N13/30Image reproducers
    • H04N13/332Displays for viewing with the aid of special glasses or head-mounted displays [HMD]
    • H04N13/337Displays for viewing with the aid of special glasses or head-mounted displays [HMD] using polarisation multiplexing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esting, Inspecting, Measuring Of Stereoscopic Televisions And Televisions (AREA)
  • Liquid Crystal (AREA)
  • Stereoscopic And Panoramic Photography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입체 영상 표시 장치 및 입체 영상 관찰용 안경에 대한 것이다. 상기 입체 영상 표시 장치 또는 안경에 의하면, 입체 영상의 관찰 시에 좌안용 신호와 우안용 신호의 광특성의 차이를 최소화하고, 소위 크로스토크 현상 등의 악영향 없이 고품질의 입체 영상의 관찰이 가능할 수 있다.

Description

입체 영상 표시 장치{STEREOSCOPIC IMAGE DISLCAY DEVICE}
본 발명은, 입체 영상 표시 장치 및 입체 영상 관찰용 안경에 관한 것이다.
입체 영상 표시 장치(A stereoscopic image disLCay device)는 3차원 정보를 관찰자에게 전달할 수 있는 표시 장치이다.
입체 영상을 표시하는 방식은, 크게 안경 방식과 무안경 방식으로 구분할 수 있다. 상기에서 안경 방식은 다시 편광 안경 방식과 LC 셔터 안경(LC shutter glass) 방식으로 분류될 수 있으며, 무안경 방식은 다시 2안식/다시점 양안 시차 방식, 체적형 방식 또는 홀로그래픽 방식 등을 분류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입체 영상 표시 장치 및 입체 영상 관찰용 안경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예시적인 입체 영상 표시 장치는, 입체 영상 관찰용 안경을 착용하고 입체 영상을 관찰하는 장치일 수 있다. 상기 장치는, 표시 소자, 제 1 편광판 및 필터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표시 소자, 제 1 편광판 및 필터는 표시 소자에서 생성된 신호가 제 1 편광판을 거쳐서 필터에 입사된 후에 다시 필터를 거쳐서 안경을 착용하고 있는 관찰자에게 전달될 수 있도록 순차로 배치되어 있을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각도를 정의하면서 사용하는 수치나 「수직」, 「수평」, 「직교」 또는 「평행」과 같은 용어는, 각각 목적 효과를 손상시키지 않는 범위 내에서 실질적인 상기 수치, 또는 실질적인 수직, 수평, 직교 또는 평행을 의미할 수 있다. 상기 각 용어는, 예를 들면, 제조 오차(error) 또는 편차(variation) 등을 감안한 것이다. 따라서, 예를 들면, 상기 각각은, 약 ±15도 이내의 오차, 약 ±10도 이내의 오차 또는 약 ±5도 이내의 오차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길이, 폭, 두께 또는 피치 등을 정의하거나, 그들의 관계를 설명하면서 사용하는 용어 「동일」은 목적하는 효과를 손상시키지 않는 범위에서의 실질적 동일을 의미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용어는, 제조 오차 또는 편차 등을 감안한 것이다. 예를 들면, 상기 용어 동일은 약 ±60 ㎛ 이내의 오차, 약 ±40 ㎛ 이내의 오차 또는 약 ±20 ㎛ 이내의 오차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용어 「관찰자 방향」 또는 「신호가 전달되는 방향」은, 구동 상태에서 표시 소자에서 생성된 신호가 관찰자에게 진행하는 방향을 의미한다. 예를 들면, 상기 방향은 도 1에서 화살표로 표시된 방향을 의미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용어 「구동 상태」 또는 「입체 영상의 표시 상태」는, 상기 입체 영상 표시 장치가 구동 중인 상태로서, 입체 영상을 관찰자에게 표시하고 있는 상태를 의미한다.
도 1은, 상기 장치를 예시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1에 표시된 화살표는 장치로부터 신호가 전달되는 방향이고, 관찰자(106)는 상기 안경을 착용하고 입체 영상을 관찰할 수 있다.
도 1의 장치(10)는, 표시 소자(103)와 제 1 편광판(104)을 포함하고, 표시 소자(103)에서 전달되어 제 1 편광판(104)을 투과한 신호가 다시 입사되는 필터(105)를 포함하고 있다.
도 1에 나타난 바와 같이, 상기 장치(10)는, 표시 소자(103)의 제 1 편광판(104)과는 반대측에 순차로 배치된 제 2 편광판(102) 및 광원(101)을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장치(10)에 포함되는 제 1 및 제 2 편광판(102, 104)은, 투과축 및 상기 투과축에 직교하는 흡수축이 형성되어 있는 광학 소자이고, 빛이 입사되면 그 가운데 투과축 방향과 평행한 편광축을 가지는 신호만을 투과시킬 수 있다.
하나의 예시에서 장치(10)에 포함되는 제 1 및 제 2 편광판(102, 104)은 각각 흡수축과 투과축을 가지는 광학 소자이고, 제 1 편광판(104)의 흡수축과 제 2 편광판(102)의 흡수축은 서로 수직을 이루도록 배치되어 장치에 포함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제 1 및 제 2 편광판(102, 104)의 투과축도 역시 서로 수직을 이루고 있을 수 있다.
광원(101)으로는, 예를 들면, LCD(Liquid Crystal DisLCay)에서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직하형(direct type) 또는 에지형(edge type)의 백라이트 유닛(BLU; Back Light Unit)이 사용될 수 있다. 광원(101)으로는 상기 외에도 다양한 종류가 제한 없이 사용될 수 있다.
표시 소자(예를 들면, 도 1의 103)는, 구동 상태에서 좌안용 신호(이하, 「L 신호」)를 생성할 수 있는 좌안용 신호 생성 영역(이하, 「LS 영역」)과 우안용 신호(이하, 「R 신호」)를 생성할 수 있는 우안용 신호 생성 영역(이하, 「RS 영역」)을 포함한다.
이러한 표시 소자로는, 예를 들면, 2장의 기판의 사이에 액정층을 개재시킨 투과형 액정 표시 패널이 사용될 수 있다. 이러한 유형의 패널은, 예를 들면, 광원(101)측으로부터 순차적으로 배치된 제 1 기판, 화소 전극, 제 1 배향막, 액정층, 제 2 배향막, 공통 전극 및 제 2 기판을 포함할 수 있다. 광원(101)측의 기판에는, 예를 들면, 투명 화소 전극에 전기적으로 접속된 구동 소자로서 TFT(Thin Film Transistor)와 배선 등을 포함하는 액티브형 구동 회로가 형성되어 있을 수 있다. 상기에서 화소 전극은, 예를 들면 ITO(Indium Tin Oxide)를 포함하고, 화소별 전극으로 기능할 수 있다. 또한, 제 1 또는 제 2 배향막은, 예를 들면, 폴리이미드 등의 재료를 포함할 수 있다. 액정층은, 예를 들면, VA(Vertical Alignment), TN(Twisted Nematic), STN(Super Twisted Nematic) 또는 IPS(In LCane Switching) 모드의 액정을 포함할 수 있다. 액정층은, 구동 회로로부터 인가되는 전압에 의해서, 광원(101)으로부터의 광을 화소별로 투과 또는 차단하는 기능을 가질 수 있다. 공통 전극은, 예를 들면 ITO를 포함하고, 공통의 대향 전극으로 기능할 수 있다.
표시 소자(103)에는 구동 상태에서 L 신호 또는 R 신호를 생성할 수 있는 영역으로서 하나 이상의 화소(pixel)를 포함하는 LS 및 RS 영역이 형성되어 있을 수 있다. 화소는, 예를 들면, 각각 배향막의 사이에 밀봉된 액정을 포함하는 단위 화소 또는 2개 이상의 단위 화소가 조합되어 상기 각 영역을 형성하고 있을 수 있다. 상기 LS 및 RS 영역은 행 및/또는 열 방향으로 배치되어 있을 수 있다.
도 2는, 예시적인 RS 및 LS 영역의 배치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와 같이, RS 및 LS 영역은 공통 방향으로 연장하는 스트라이프 형상을 가지며, 인접하여 교대로 배치되어 있을 수 있다. 도 3은, 다른 예시적인 배치를 나타내고, RS 및 LS 영역이 격자 패턴으로 서로 인접하여 교대로 배치되어 있다. RS 및 LS 영역의 배치는 도 2 및 3의 배치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이 분야에서 알려져 있는 다양한 디자인이 모두 적용될 수 있다.
표시 소자는, 구동 상태에서 신호에 따라 각각의 영역에서의 화소를 구동하는 것에 의해서 R 및 L 신호를 포함하는 신호를 생성하고, 생성된 신호를 관찰자측으로 전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1을 참조하면, 광원(101)에서 출사한 광이 제 2 편광판(102)에 입사하면, 상기 편광판(102)은 그 편광판(102)의 투과축과 평행하게 편광된 광만을 투과시키고, 이렇게 투과된 광은 표시 소자(103)에 입사한다. 표시 소자(103)에 입사하여 RS 영역을 투과한 광은 R 신호가 되며, LS 영역을 투과한 광은 L 신호가 될 수 있다.
제 1 편광판(104)은 R 및 L 신호를 포함하는 신호가 입사하면, 그 편광판(104)의 투과축과 평행하게 편광된 광만을 투과시킬 수 있다.
필터(105)는, 도 1과 같이 제 1 편광판(104)의 표시 소자(103)측과는 반대측 방향에 배치될 수 있다. 이와 같이 표시 소자(103)에서 생성되어 제 1 편광판(104)을 투과한 신호는, 필터(105)를 투과하여 관찰자(106)에게 전달될 수 있다.
필터(105)에는, 예를 들면, 표시 소자(103)에서 전달되는 신호 중에서 R 신호가 입사될 수 있도록 배치되어 있는 우안용 신호 편광 조절 영역(이하, 「RC 영역」)과 L 신호가 입사될 수 있도록 배치되어 있는 좌안용 신호 편광 조절 영역(이하, 「LC 영역」)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LC 및 RC 영역은 각각 위상차층을 포함할 수 있다. 하나의 예시에서 LC 영역은, 제 1 방향으로 광축이 형성되어 있는 위상차층을 포함하며, RC 영역은 제 1 방향과는 상이한 제 2 방향으로 광축이 형성되어 있는 위상차층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용어 「광축」은 빛이 해당 영역을 투과하는 과정에서의 지상축(slow axis) 또는 진상축(fast axis)을 의미할 수 있고, 특별히 달리 규정하지 않는 한, 지상축을 의미할 수 있다.
하나의 예시에서 필터(105)의 RC 영역은, 구동 상태에서 RS 영역에서 생성 및 전달되는 R 신호가 입사될 수 있도록 RS 영역의 대응 위치에 RS 영역과 대응되는 크기로 배치되어 있을 수 있고, LS 영역은, LS 영역에서 생성 및 전달되는 L 신호가 입사될 수 있도록 LS 영역의 대응 위치에 LS 영역과 대응되는 크기로 배치되어 있을 수 있다.
상기에서 RS 또는 LS 영역에 대응되는 위치에 대응되는 크기로 RC 또는 LC 영역이 형성된다는 것은, RS 영역에서 생성된 R 신호가 RC 영역에 입사될 수 있고, LS 영역에서 생성된 L 신호가 LC 영역으로 입사될 수 있는 위치 및 크기를 의미하는 것이고, 반드시 양자가 동일한 위치에 동일한 크기로 형성되어야 하는 것을 의미하는 것은 아니다.
RC 및 LC 영역은, 예를 들면, 표시 소자의 RS 및 LS 영역의 배치에 대응하여 공통 방향으로 연장하는 스트라이프 형상으로 형성되고, 또한 서로 인접하여 교대로 배치되어 있거나, 혹은 격자 패턴으로 서로 인접하여 교대로 배치되어 있을 수 있다. 예를 들어, RS 및 LS 영역이 도 2와 같이 배치되어 있는 경우, RC 및 LC 영역은 도 4와 같은 형태로 배치되어 있을 수 있으며, RS 및 LS 영역이 도 3과 같이 배치되어 있는 경우, RC 및 LC 영역은 도 5와 같은 형태로 배치되어 있을 수 있다.
구동 상태에서 RC 영역을 투과한 신호와 LC 영역을 투과한 신호는 서로 상이한 편광 상태를 가질 수 있다.
예를 들면, RC 영역을 투과한 신호와 LC 영역을 투과한 신호 중에서 어느 하나는 좌원 편광된 신호고, 다른 하나는 우원 편광된 신호일 수 있다. 예를 들면, 표시 소자에서 생성된 R 신호는 제 1 편광판을 거쳐 RC 영역으로 입사한 후에, 좌원 편광 또는 우원 편광된 상태로 출사되고, 또한 L 신호는 제 1 편광판을 거쳐 LC 영역으로 입사한 후에, 상기 R 신호와는 편광축의 회전 방향이 역방향이 되도록 우원 편광 또는 좌원 편광된 상태로 출사될 수 있다.
좌원 및 우원 편광된 신호를 배출할 수 있는 필터로는, 상기 RC 및 LC 영역에 포함되는 위상차층이 λ/4 파장층인 경우가 예시될 수 있다. 서로 역방향으로 회전하는 원편광된 광을 생성하기 위하여, 상기 RC 영역에 배치된 λ/4 파장층의 광축과 상기 LC 영역에 배치된 λ/4 파장층의 광축은 서로 상이하게 형성되어 있을 수 있다. 하나의 예시에서 상기 RC 영역은 상기 위상차층으로서 제 1 방향으로 광축을 가지는 λ/4 파장층을 포함하고, 상기 LC 영역은 상기 위상차층으로서 상기 제 1 방향과는 상이한 제 2 방향으로 광축을 가지는 λ/4 파장층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용어 「λ/4 파장층」은 입사되는 광을 각각의 파장의 1/4 파장만큼 위상 지연을 시킬 수 있는 위상 지연 소자를 의미할 수 있다.
그러나, 필터의 태양이 상기 예시된 것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면, 필터의 RC 및 LC 영역 중의 어느 하나는 3λ/4 파장층을 포함하고, 다른 영역은 λ/4 파장층을 포함하는 경우에도 좌원 및 우원 편광된 광을 생성할 수 있다. 용어 「3λ/4 파장층」은 입사되는 광을 각각의 파장의 3/4 파장만큼 위상 지연을 시킬 수 있는 위상 지연 소자를 의미할 수 있다. 이러한 소자는, 예를 들면, 입사되는 광을 각각의 파장의 1/2 파장만큼 위상 지연시킬 수 있는 위상 지연 소자인 λ/2 파장층 및 λ/4 파장층을 적층하여 제조할 수 있다.
도 6은, 도 4 또는 5의 예시의 RC 및 LC 영역의 광축 방향을 설명하기 위한 모식도이다. 도 6의 예시에서 LC 영역에 제 1 방향으로 형성된 광축은 A1으로 표시되고, RC 영역에 제 2 방향으로 형성된 광축은 A2로 표시되어 있다.
RC 및 LC 영역의 광축(A1, A2)은, 상기 광축(A1, A2)이 이루는 각도를 이등분하는 선이 상기 제 1 편광판의 흡수축과 평행 또는 수직을 이루도록 형성되어 있을 수 있다. 이러한 광축 배치를 통하여, 표시 소자에서 생성되어 편광판을 투과한 신호가 정확하게 좌원 편광 및 우원 편광으로 변환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우수한 입체 영상 품질을 구현하며, 또한 입체 영상 관찰 시에 문제가 되는 소위 크로스토크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용어 「광축이 이루는 각도를 이등분하는 선」은, 도 6을 참조하면, 「Θ1+Θ2」 또는 「360-(Θ1+Θ2)」의 각도를 이등분하는 선을 의미할 수 있다. 예를 들어, Θ1 및 Θ2가 동일한 각도일 경우, 이등분선은 RC 및 LC 영역의 경계선(L)과 평행한 방향으로 형성될 수 있다.
RC 및 LC 영역의 광축(A1, A2)은 또한 서로 수직을 이루고 있을 수 있다. 이러한 상태는, 예를 들면, 도 6에서 「Θ1+Θ2」 또는 「360-(Θ1+Θ2)」의 각도가 실질적으로 90도인 경우를 의미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광축 배치를 통하여, 시야각 및 콘트라스트비 등의 입체 영상 품질을 우수하게 구현하고, 또한 크로스토크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예시적인 필터는, 기재를 추가로 포함하고, 상기 λ/4 파장층과 같은 위상차층이 상기 기재상에 형성되어 있을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λ/4 파장층이 표시 소자측에 배치되고, 기재는 관찰자측에 배치되어 있을 수 있다. 기재로는, 예를 들면, 예를 들면, 이 분야의 통상적인 유리 기재 또는 플라스틱 기재를 사용할 수 있다.
상기에서 플라스틱 기재로는, TAC(triacetyl cellulose) 또는 DAC(diacetyl cellulose)와 같은 셀룰로오스 기재; 노르보르넨 유도체 등과 같은 고리형 올레핀 폴리머(COP; cyclo olefin polymer) 기재; PMMA(poly(methyl methacrylate) 등과 같은 아크릴 기재; 폴리카보네이트(PC, polycarbonate) 기재; PE(polyethylene) 또는 PP(polypropylene) 등과 같은 폴리올레핀 기재; 폴리비닐알코올(PVA, polyvinyl alcohol) 기재; 폴리에테르술폰(PES, poly ether sulfone) 기재; 폴리에테르에테르케톤(PEEK, polyetheretherketon) 기재; 폴리에테르이미드(PEI, polyetherimide) 기재; 폴리에틸렌나프탈레이트(PEN, polyethylenenaphthatlate) 기재; PET(polyethyleneterephtalate) 등과 같은 폴리에스테르 기재; 폴리이미드(PI, polyimide) 기재; 폴리술폰(PSF, polysulfone) 기재; 또는 비정질 불소 수지 등과 같은 불소 폴리머 기재 등이 예시될 수 있다. 하나의 예시에서는 TAC 기재 등과 같은 셀룰로오스 기재가 사용될 수 있다.
기재는, 단일층 구조 또는 다층 구조일 수 있으나, 보다 얇은 두께의 소자를 제공하는 측면에서 단일층 구조인 것이 바람직하다.
기재의 두께는 특별히 제한되지 않으며, 목적하는 용도에 따라서 적절하게 조절될 수 있다.
하나의 예시에서, 기재상에 형성되어 있을 수 있는 λ/파장층과 같은 위상차층은, 기재 상에 형성된 배향층 및 상기 배향층상에 형성되어 있는 액정층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액정층은, 예를 들면, 영역별로 상이한 방향으로 광축이 형성되어 있는 λ/4 파장층일 수 있고, 액정층 하부의 배향층은 상기 파장층의 광축을 제어하는 역할을 하는 층일 수 있다. 배향층으로는, 이 분야에서 공지되어 있는 통상적인 배향층을 사용할 수 있다. 배향층으로는, 직선 편광된 광의 조사에 의하여 유도되는 이성화(cis-trans isomerization), 프리즈 재배열(fries rearrangement) 또는 이량화(dimerization) 반응에 의하여 배향이 결정되고, 결정된 배향에 의하여 인접하는 액정층에 배향을 유도할 수 있는 광배향층, 러빙 처리된 폴리이미드층과 같은 고분자층 또는 복수의 홈 영역이 패터닝되어 형성되어 있는 아크릴 경화형 수지층 등이 예시될 수 있다.
액정층으로는, 이 분야에 공지되어 있는 것으로서, 광가교성 또는 광중합성 액정 화합물의 광가교층 또는 광중합층일 수 있다. 이 분야에서는 상기 특성을 나타내는 다양한 액정 화합물이 공지되어 있으며, 그 예로는 머크(Merk)사의 RM(Reactive Mesogen) 또는 BASF사의 LC242 등을 들 수 있다.
필터를 제조하는 방식은 특별히 제한되지 않는다. 이 분야에서는 필터의 제조 방법이 다양하게 공지되어 있고, 상기의 편광판의 흡수축과 필터의 광축의 관계 등을 고려하여, 상기와 같은 공지의 방식이 모두 적용될 수 있다.
필터를 거쳐서 배출되는 서로 상이한 편광 상태를 가지는 R 및 L 신호를 안경을 착용하고 관찰하면 입체 영상을 관찰할 수 있다.
상기 안경은, 좌안용 영역(이하, 「GL 영역」) 및 우안용 영역(이하, 「GR 영역」)을 가지고, 상기 GL 및 GR 영역이 각각 위상차층과 편광자를 포함할 수 있다.
도 7은 상기 안경(70)을 예시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7과 같이 안경(70)은, 위상차층(701L)과 편광자(702L)를 포함하는 GL 영역과 역시 위상차층(701R)과 편광자(702R)를 포함하는 GR 영역을 포함할 수 있다. 도 7에서 화살표는 입체 영상 표시 장치에서 출사되는 R 또는 L 신호의 진행 방향을 의미한다.
안경에 포함되는 편광자는, 입체 영상 표시 장치에 포함되는 편광판과 같이 소정 방향으로 형성된 흡수축과 상기 흡수축의 방향과는 수직하는 방향으로 투과축을 가지는 광학 소자일 수 있다.
하나의 예시적인 상기 안경에서는, GR 영역에 포함되는 편광자의 흡수축과 GL 영역에 포함되는 편광자의 흡수축이 서로 평행하도록 상기 편광자가 각 영역에 배치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상기 서로 평행하게 형성되어 있는 각 편광자의 흡수축은, 상기 GL 영역의 중심과 GR 영역의 중심을 연결하는 가상의 선을 상기 입체 영상 표시 장치의 RC 영역과 LC 영역의 경계선과 수직 또는 수평을 이루도록 상기 안경을 위치시킨 상태에서 상기 제 1 편광판의 흡수축과 수직을 이루도록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상태에서 고품질의 입체 영상의 관찰이 가능하다.
본 명세서에서 안경의 GL 및 GR 영역의 중심을 연결하는 가상의 선은, 예를 들면, 도 8에 나타난 바와 같이, GR 및 GL 영역(GR, GL)의 중심(C)을 연결하는 가상의 선(CL)을 의미하고, 상기에서 영역의 중심은 무게 중심(center of gravity)을 의미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안경을 착용하고 입체 영상을 관찰할 수 있는 상기 입체 영상 표시 장치는, 하기 일반식 1 또는 2의 조건을 만족할 수 있다.
[일반식 1]
DL = |Θ2 - ΘL| ≤ 15.0
[일반식 2]
DR = |Θ1 - ΘR| ≤ 15.0
상기 일반식 1 및 2에서 DL은, LC 영역의 위상차층의 광축이 GL 영역의 위상차층의 광축으로부터 이탈되는 정도이고, Θ2는, LC 영역의 위상차층의 광축이 제 1 편광판의 흡수축과 이루는 각도이며, ΘL은, 안경의 GL 영역의 편광자의 흡수축을 제 1 편광판의 흡수축과 수직이 되도록 배치한 상태에서 GL 영역의 위상차층의 광축과 제 1 편광판의 흡수축이 이루는 각도이고, DR은, RC 영역의 위상차층의 광축이 GR 영역의 위상차층의 광축으로부터 이탈되는 정도이며, Θ1은, RC 영역의 위상차층의 광축이 제 1 편광판의 흡수축과 이루는 각도이고, ΘR은, 안경의 GR 영역의 편광자의 흡수축을 제 1 편광판의 흡수축과 수직이 되도록 배치한 상태에서 GR 영역의 위상차층의 광축과 제 1 편광판의 흡수축이 이루는 각도이다.
상기 일반식 1 및 2에서 Θ1, Θ2, ΘR 및 ΘL의 각 각도는 제 1 편광판의 흡수축으로부터 시계 방향 또는 반시계 방향으로 측정된 각도일 수 있으나, 동일한 식에 대입되는 각 각도는 동일한 방향으로 측정된 각도이다.
도 9는, 일반식 1의 DL의 각도 관계를 모식적으로 나타낸 도면이고, 제 1 편광판의 흡수축(AD)과 GL 영역의 편광자의 흡수축(AG)을 수직으로 배치한 상태에서 제 1 편광판의 흡수축(AD)으로부터 시계 방향으로 측정한 LC 영역의 위상차층의 광축(SF)의 각도가 Θ2로 표시되고, 상기 흡수축(AD)으로부터 시계 방향으로 측정한 GL 영역의 위상차층의 광축(SG)의 각도가 ΘL로 표시되어 있다. 또한, 도 10은, 일반식 2의 DR의 각도 관계를 모식적으로 나타낸 도면이고, 제 1 편광판의 흡수축(AD)과 GR 영역의 편광자의 흡수축(AG)을 수직으로 배치한 상태에서 제 1 편광판의 흡수축(AD)으로부터 반시계 방향으로 측정한 RC 영역의 위상차층의 광축(SF)의 각도가 Θ1으로 표시되고, 상기 흡수축(AD)으로부터 반시계 방향으로 측정한 GR 영역의 위상차층의 광축(SG)의 각도가 ΘR로 표시되어 있다.
상기 일반식 1에서 DL은, 예를 들면, 14 이하, 13 이하, 12 이하, 11 이하, 10 이하, 9 이하, 8 이하, 7 이하, 6 이하 또는 5 이하일 수 있다. 또한, 하나의 예시에서 DL은 0이 아닐 수 있다. 또한, 상기 일반식 2에서 DR은, 예를 들면, 14 이하, 13 이하, 12 이하, 11 이하, 10 이하, 9 이하, 8 이하, 7 이하, 6 이하 또는 5 이하일 수 있다. 또한, 하나의 예시에서 DR은 0이 아닐 수 있다.
상기 입체 영상 표시 장치 또는 안경은, 상기 일반식 1 또는 2를 만족하고, 다른 예시에서는 일반식 1 및 2를 동시에 만족할 수 있다.
다른 예시에서 상기 입체 영상 표시 장치 또는 안경은 하기 일반식 3 또는 4의 조건을 만족할 수 있다.
[일반식 3]
DL -10 ≤ -0.0199x2 +4.9777x - 306.56 ≤ DL + 10
[일반식 4]
DR - 10 ≤ -0.0199y2 + 4.9777y - 306.56 ≤ DR + 10
상기 일반식 3 및 4에서 DL 및 DR은, 각각 일반식 1 및 2에서 정의한 바와 같고, x는 LC 영역 또는 GL 영역의 위상차층의 위상차값이며, y는 RC 영역 또는 GR 영역의 위상차층의 위상차값이다.
상기와 같은 일반식 3 및 4를 만족하는 입체 영상 표시 장치 또는 안경은, 예를 들면, 상기 기술한 광축 이탈각과 위상차값을 만족하도록 장치와 안경을 구성함으로써 얻을 수 있다.
상기 일반식 3 및 4에서 위상차값은, 예를 들면, 하기 수식 1로 계산되는 위상차층의 면 방향 위상차이거나, 하기 수식 2로 계산되는 위상차층의 두께 방향 위상차일 수 있고, 다른 예시에서는 하기 수식 1로 계산되는 면 방향 위상차일 수 있다.
[수식 3]
Rin = (X-Y)×D
[수식 4]
Rth = (Z-Y)×D
상기 수식 1 및 2에서 Rin은 위상차층의 면 방향 위상차이고, Rth는 위상차층의 두께 방향 위상차이며, X는, 상기 위상차층의 면 내 지상축 방향의 굴절률이고, Y는 상기 위상차층의 면 내 진상축 방향의 굴절률이며, Z는 상기 위상차층의 두께 방향의 굴절률이고, D는 상기 위상차층의 두께이다.
상기에서 각 굴절률은, 예를 들면, 약 550 nm 또는 약 589 nm의 파장의 빛에 대하여 측정된 굴절률일 수 있다.
상기 일반식 3에서 x는 LC 또는 GL 영역의 위상차층의 위상차값이며, 예를 들면, LC 영역의 위상차층의 위상차값일 수 있다.
또한, 일반식 4에서 y는 RC 영역 또는 GR 영역의 위상차층의 위상차값이며, 예를 들면, RC 영역의 위상차층의 위상차값일 수 있다.
상기 일반식 3에서 수식 「ax2 + bx + c」의 하한은, 예를 들면, DL - 9, DL -8, DL - 7, DL -6, DL -5. DL-4, DL-3, DL-2 또는 DL-1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수식 「ax2 + bx + c」의 상한은, 예를 들면, DL + 9, DL + 8, DL + 7, DL + 6, DL + 5, DL + 4, DL + 3, DL + 2 또는 DL + 1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일반식 4에서 수식 「ay2 + by + c」의 하한은, 예를 들면, DR-9, DR-8, DR-7, DR-6, DR-5. DR-4, DR-3, DR-2 또는 DR-1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수식 「ay2 + by + c」의 상한은, 예를 들면, DR + 9, DR + 8, DR + 7, DR + 6, DR + 5, DR + 4, DR + 3, DR + 2 또는 DR + 1일 수 있다.
또한, 일반식 1 및 2의 경우에서와 같이, 하나의 예시에서 상기 일반식 3에서 DL은 0이 아니고, 상기 일반식 4에서 DR은, 0이 아닐 수 있다.
상기 입체 영상 표시 장치 또는 안경은, 상기 일반식 3 또는 4를 만족하고, 다른 예시에서는 일반식 3 및 4를 동시에 만족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일반식 1 및/또는 2, 및/또는 일반식 3 및/또는 4를 만족하는 입체 영상 표시 장치에서 RC 및 LC 영역에 존재하는 위상차층은, 예를 들면, 위상차값이 각각 100 nm 내지 200 nm의 범위에 있을 수 있다. 상기 위상차값은, 상기 수식 1로 측정되는 면 방향 위상차값이거나, 상기 수식 2로 계산되는 두께 방향 위상차값일 수 있고, 예를 들면 상기 면 방향 위상차값일 수 있다.
또한, 하나의 예시에서 상기 GL 영역에 존재하는 위상차층의 위상차값은 상기 LC 영역에 존재하는 위상차층의 위상차값과의 편차가 ±15 nm 이내, ±12 nm 이내, ±9 nm 이내, ±7 nm 이내, ±6 nm 이내, ±5 nm 이내, ±4 nm 이내 또는 ±3 nm 이내일 수 있다. 또한, 상기 GR 영역에 존재하는 위상차층의 위상차값은 상기 RC 영역에 존재하는 위상차층의 위상차값과의 편차가 ±15 nm 이내, ±12 nm 이내, ±9 nm 이내, ±7 nm 이내, ±6 nm 이내, ±5 nm 이내, ±4 nm 이내 또는 ±3 nm 이내일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안경과 필터에 포함되는 위상차층의 특성을 조절하여 입체 영상의 관찰 시에 R 신호와 L 신호의 광특성의 차이를 최소화하고, 소위 크로스토크 현상 등의 악영향 없이 고품질의 입체 영상의 관찰이 가능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또한 안경, 예를 들면, 입체 영상을 관찰하기 위한 안경에 대한 것이다.
예시적인 상기 안경은, 구동 상태에서 L 및 R 신호를 각각 생성할 수 있는 LS 및 RS 영역을 포함하는 표시 소자; 상기 표시 소자에서 생성된 L 및 R 신호가 입사될 수 있도록 배치된 제 1 편광판; 및 상기 LS 및 RS 영역에서 생성된 L 및 R 신호가 상기 제 1 편광판을 거쳐서 각각 입사될 수 있도록 배치되어 있으며, 위상차층을 각각 포함하는 LC 및 RC 영역을 포함하는 필터를 포함하는 입체 영상 표시 장치에서 출사되는 입체 영상을 관찰하기 위한 것일 수 있다.
상기 안경은, GL 및 GR 영역을 가지며, 상기 GL 및 GR 영역이 각각 위상차층 및 편광자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안경에서 GL 영역은 상기 입체 영상 표시 장치에서 출사되는 L 신호가 입사되는 영역이고, GR 영역은 상기 장치에서 출사되는 R 신호가 입사되는 영역일 수 있다.
상기 안경은, 전술한 일반식 1 및/또는 2를 만족하는 것이거나, 및/또는 일반식 3 및/또는 4를 만족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안경에 대한 구체적인 사항과 상기 입체 영상을 출사하는 입체 영상 표시 장치에 대한 구체적인 사항은 상기 입체 영상 표시 장치에서 기술한 항목이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다.
상기 입체 영상 표시 장치 또는 안경에 의하면, 입체 영상의 관찰 시에 R 신호와 L 신호의 광특성의 차이를 최소화하고, 소위 크로스토크 현상 등의 악영향 없이 고품질의 입체 영상의 관찰이 가능할 수 있다.
도 1은 예시적인 입체 영상 표시 장치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 및 3은, LS 영역과 RS 영역의 예시적인 배치를 보여주는 모식도이다.
도 4 및 5는, LC 영역과 RC 영역의 예시적인 배치를 보여주는 모식도이다.
도 6은, LC 및 RC 영역의 위상차층의 광축의 관계를 설명하기 위한 모식도이다.
도 7 및 8은, 입체 영상 관찰용 안경의 개략적인 형태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9 및 10은, DR 및 DL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1은, 실시예에서 확인된 입체 영상의 관찰 시에 크로스토크 비율 1% 이하의 특성을 확보하기 위한 광축 이탈각과 위상차값의 관계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이하, 실시예 및 비교예를 통하여 상기 입체 영상 표시 장치 및 안경을 보다 상세히 설명하지만, 상기 액정 필름의 범위가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이하 본 실시예에서 각 물성은 하기와 같은 방식으로 평가할 수 있다.
1. 위상차층의 위상차값
위상차층의 위상차값은 550 nm 또는 589 nm의 파장의 광을 사용하여 측정할 수 있다. 16개의 뮬러 매트릭스(Muller Matrix)를 측정할 수 있는 장비인 Axoscan(Axomatrics사제)을 사용하여, 제조사의 매뉴얼에 따라서 위상차 필름의 16개의 뮬러 매트릭스를 측정하고, 이를 통하여 위상차를 추출할 수 있다.
2. 크로스토크율의 평가 방법
입체 영상 장치의 크로스토크율은, 암 상태(Dark state)와 명 상태(Bright stat)에서의 휘도의 비율로 정의될 수 있고, 실시예에서 사용한 입체 영상 표시 장치의 크로스토크율은, 예를 들면, 하기와 같은 방식으로 측정할 수 있다. 우선 입체 영상 표시 장치의 통상의 관측 지점에 입체 영상 관찰용 안경을 위치시킨다. 상기에서 통상의 관측 지점은, 입체 영상 표시 장치의 중심으로부터 상기 입체 영상 표시 장치의 수평 방향의 길이의 3/2배에 해당하는 거리만큼 떨어진 지점이고, 이러한 위치에서 안경은 관찰자가 표시 장치의 중심을 향하여 관찰하는 것을 가정하여, 위치시킨다. 상기 입체 영상 표시 장치의 수평 방향 길이는, 관찰자가 입체 영상을 관찰하는 상태를 가정할 때, 상기 관찰자를 기준으로 한 수평 방향의 길이, 예를 들면, 영상 표시 장치의 가로의 길이일 수 있다. 상기 배치에서 입체 영상 표시 장치가 L 신호를 출력하도록 한 상태에서 안경의 GL 및 GR 영역의 배면에 휘도계(장비명: SR-UL2 Spectrometer)를 배치하고, 각각의 경우의 휘도를 측정한다. 상기에서 GL 영역의 배면에서 측정되는 휘도는 명 상태의 휘도이며, GR 영역의 배면에서 측정되는 휘도는 암 상태의 휘도이다. 각 휘도를 측정한 후에, 명 상태의 휘도에 대한 암 상태의 휘도의 비율([암 상태의 휘도]/[명 상태의 휘도])을 구하여, 그 백분율을 크로스토크율로 규정할 수 있다. 또한, 크로스토크율은 상기와 동일한 방식으로 측정하되, 장치가 R 신호를 출력하고 있는 상태에서 명 및 암 상태에서의 휘도를 구하여 측정할 수 있다. 이 경우, GL 영역의 배면에서 측정되는 휘도는 암 상태의 휘도이며, GR 영역의 배면에서 측정되는 휘도는 명 상태의 휘도이다. 동일하게 그 비율([암 상태의 휘도/명 상태의 휘도])의 백분율을 크로스토크율로 규정할 수 있다.
실시예 1.
도 1에 나타난 바와 같은 구조를 가지되, 표시 소자(103)의 RS 및 LS 영역은 도 2와 같이 배치되고, 필터(105)에는 RC 영역과 LC 영역은 도 4와 같은 형태로 배치된 장치(10)를 구성하였다. 상기 장치(10)에서 필터의 RC 영역에는 제 1 편광판(104)의 흡수축과 반시계 방향으로 45도를 이루는 방향으로 지상축이 형성된 위상차층이 위치하고, LC 영역에는 제 1 편광판(104)의 흡수축과 시계 방향으로 45도를 이루는 방향으로 지상축이 형성된 위상차층이 형성된 장치(10)를 구성하였다. 상기 장치(10)에서 제 1 편광판(104)의 흡수축은 장치(10)의 세로 방향과 수평을 이루도록 하고, 제 2 편광판(102)의 흡수축은 제 1 편광판(104)의 흡수축과 수직을 이루도록 하였다. 도 7과 같이 GL 및 GR 영역을 포함하되, 각 위상차층(701L, 701R)으로 면 방향 위상차값(Rin)이 125 nm인 위상차층을 포함하는 안경을 사용하여 상기 장치(10)로부터 출사되는 영상을 관찰하는 경우의 크로스토크율을 구하였다. 상기 안경(70)에서 편광자(702L, 702R)에 형성되어 있는 각 흡수축은 서로 동일한 방향으로 형성되어 있고, 도 8에 나타난 가상의 선(CL)을 상기 장치(10)의 LC 및 RC 영역의 경계와 수직을 이루도록 하였을 때, 상기 편광자(702L, 702R)의 흡수축의 방향은 상기 제 1 편광판(104)의 흡수축과 수직을 이루었다. 상기 상태에서 안경의 GR 또는 GL 영역의 위상차층(701L, 701R)의 광축 및 RC 또는 LC 영역의 위상차값(Rin)을 다양하게 변경시키면서 크로스토크율을 평가하였다. 측정 결과 GR 영역의 위상차층(701R)의 광축 및 RC 영역의 위상차값(Rin)을 변경시키면서 측정한 크로스토크율과 GL 영역의 위상차층(701L)의 광축 및 LC 영역의 위상차값(Rin)을 변경시키면서 측정한 크로스토크율은 서로 동일한 경향을 나타내었는데, 하기 표 1에는 크로스토크율이 1%로 측정되는 DL의 수치 및 LC 영역의 위상차값의 세트를 정리하여 기재하였고, 이를 도 11에 그래프로 도시하였다.
도 11에서 Y축은 광축의 상대적 이탈 정도의 수치(단위: 도)를 나타내고, X축은 위상차값(단위: nm)을 나타낸다.
LC 영역의 위상차층의 위상차값( Rin )(단위: nm ) DL
113 1.7
114 2
115 2.5
116 3
117 3.4
118 3.7
119 3.9
120 4.1
121 4.2
122 4.3
123 4.4
124 4.5
125 4.5
126 4.5
127 4.4
128 4.3
129 4.2
130 4.1
131 3.9
132 3.7
133 3.4
134 3
135 2.5
136 2
137 1.7
실시예 2.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장치(10) 및 안경(70)을 구성하되, 제 1 편광판(104)의 흡수축이 장치(10)의 가로 방향과 수평을 이루도록 하고, RC 영역에는 제 1 편광판(104)의 흡수축과 시계 방향으로 45도를 이루는 방향으로 지상축이 형성된 위상차층이 위치하고, LC 영역에는 제 1 편광판(104)의 흡수축과 반시계 방향으로 45도를 이루는 방향으로 지상축이 형성된 위상차층이 형성된 장치(10)를 사용하여 동일한 방식으로 크로스토크율을 측정하였다. 측정 결과, 실시예 1과 유사하게 LC 또는 RC 영역의 위상차층의 위상차값(Rin)이 DL 또는 DR이 약 5(도) 이하의 범위에서 1% 또는 그 미만의 크로스토크율이 측정되었다.
실시예 3.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장치(10) 및 안경(70)을 구성하되, 제 1 편광판(104)의 흡수축이 장치(10)의 세로 방향을 기준으로 반시계 방향으로 45도로 형성되도록 하고, RC 영역에는 제 1 편광판(104)의 흡수축과 반시계 방향으로 45도를 이루는 방향으로 지상축이 형성된 위상차층이 위치하고, LC 영역에는 제 1 편광판(104)의 흡수축과 시계 방향으로 45도를 이루는 방향으로 지상축이 형성된 위상차층이 형성된 장치(10)를 사용하여 동일한 방식으로 크로스토크율을 측정하였다. 측정 결과, 실시예 1과 유사하게 LC 또는 RC 영역의 위상차층의 위상차값(Rin)이 DL 또는 DR이 약 5(도) 이하의 범위에서 1% 또는 그 미만의 크로스토크율이 측정되었다.
실시예 4.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장치(10) 및 안경(70)을 구성하되, 제 1 편광판(104)의 흡수축이 장치(10)의 세로 방향을 기준으로 시계 방향으로 45도로 형성되도록 하고, RC 영역에는 제 1 편광판(104)의 흡수축과 반시계 방향으로 45도를 이루는 방향으로 지상축이 형성된 위상차층이 위치하고, LC 영역에는 제 1 편광판(104)의 흡수축과 시계 방향으로 45도를 이루는 방향으로 지상축이 형성된 위상차층이 형성된 장치(10)를 사용하여 동일한 방식으로 크로스토크율을 측정하였다. 측정 결과, 실시예 1과 유사하게 LC 또는 RC 영역의 위상차층의 위상차값(Rin)이 DL 또는 DR이 약 5(도) 이하의 범위에서 1% 또는 그 미만의 크로스토크율이 측정되었다.
10: 입체 영상 표시 장치
101: 광원 102: 제 2 편광판
103: 표시 소자 104: 제 1 편광판
105: 필터 106: 관찰자
70: 안경
701L, 701R: 위상차층
702L, 702R: 편광자

Claims (15)

  1. 좌안용 및 우안용 영역을 가지며, 상기 좌안용 및 우안용 영역이 각각 위상차층 및 편광자를 포함하는 안경을 착용하고 입체 영상을 관찰하는 장치이고,
    구동 상태에서 좌안용 및 우안용 신호를 각각 생성할 수 있는 좌안용 및 우안용 신호 생성 영역을 포함하는 표시 소자; 상기 표시 소자에서 생성된 좌안용 및 우안용 신호가 입사될 수 있도록 배치된 제 1 편광판; 및 상기 좌안용 및 우안용 신호 생성 영역에서 생성된 좌안용 및 우안용 신호가 상기 제 1 편광판을 거쳐서 각각 입사될 수 있도록 배치되어 있으며, 위상차층을 각각 포함하는 좌안용 및 우안용 신호 편광 조절 영역을 포함하는 필터를 포함하고, 하기 일반식 1 또는 2의 조건을 만족하는 입체 영상 표시 장치:
    [일반식 1]
    DL = |Θ2 - ΘL| ≤ 15.0
    [일반식 2]
    DR = |Θ1 - ΘR| ≤ 15.0
    상기 일반식 1 및 2에서 DL은, 좌안용 신호 편광 조절 영역의 위상차층의 광축과 좌안용 영역의 위상차층의 광축의 상대적 이탈 정도이고, DR은 우안용 신호 편광 조절 영역의 위상차층의 광축과 우안용 영역의 위상차층의 광축의 상대적 이탈 정도이며, Θ2는, 좌안용 신호 편광 조절 영역의 위상차층의 광축이 제 1 편광판의 흡수축과 이루는 각도이고, ΘL은, 상기 안경의 좌안용 영역의 편광자의 흡수축을 제 1 편광판의 흡수축과 수직이 되도록 배치한 상태에서 상기 좌안용 영역의 위상차층의 광축과 제 1 편광판의 흡수축이 이루는 각도이며, Θ1은, 우안용 신호 편광 조절 영역의 위상차층의 광축이 제 1 편광판의 흡수축과 이루는 각도이고, ΘR은, 상기 안경의 우안용 영역의 편광자의 흡수축을 제 1 편광판의 흡수축과 수직이 되도록 배치한 상태에서 상기 우안용 영역의 위상차층의 광축과 제 1 편광판의 흡수축이 이루는 각도이다.
  2. 제 1 항에 있어서, 좌안용 신호 편광 조절 영역의 위상차층과 우안용 신호 편광 조절 영역의 위상차층은 서로 상이한 방향으로 형성된 광축을 가지고, 상기 상이한 방향으로 형성된 광축을 이등분하는 선은 제 1 편광판의 흡수축과 수직 또는 수평을 이루는 입체 영상 표시 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좌안용 영역의 편광자와 우안용 영역의 편광자는 서로 동일한 방향으로 형성된 흡수축을 가지는 입체 영상 표시 장치.
  4. 제 3 항에 있어서, 좌안용 및 우안용 영역의 중심을 연결하는 가상의 선을 좌안용 및 우안용 신호 편광 조절 영역의 경계와 수직을 이루도록 배치한 상태에서 좌안용 및 우안용 영역의 편광자의 흡수축은 제 1 편광판의 흡수축과 수직을 이루는 입체 영상 표시 장치.
  5. 제 1 항에 있어서, DL 및 DR은 0이 아닌 입체 영상 표시 장치.
  6. 제 1 항에 있어서, 일반식 1 및 2의 조건을 모두 만족하는 입체 영상 표시 장치.
  7. 제 1 항에 있어서, 좌안용 및 우안용 신호 광특성 조절 영역의 위상차층은 각각 100 nm 내지 200 nm의 위상차를 가지는 입체 영상 표시 장치.
  8. 제 7 항에 있어서, 좌안용 신호 광특성 조절 영역의 위상차층의 위상차와 좌안용 영역의 위상차층의 위상차의 차이가 -15 nm 내지 15 nm인 입체 영상 표시 장치.
  9. 제 3 항에 있어서, 우안용 신호 광특성 조절 영역의 위상차층의 위상차와 우안용 영역의 위상차층의 위상차의 차이가 -15 nm 내지 15 nm인 입체 영상 표시 장치.
  10. 좌안용 및 우안용 영역을 가지며, 상기 좌안용 및 우안용 영역이 각각 위상차층 및 편광자를 포함하는 안경을 착용하고 입체 영상을 관찰하는 장치이고,
    구동 상태에서 좌안용 및 우안용 신호를 각각 생성할 수 있는 좌안용 및 우안용 신호 생성 영역을 포함하는 표시 소자; 상기 표시 소자에서 생성된 좌안용 및 우안용 신호가 입사될 수 있도록 배치된 제 1 편광판; 및 상기 좌안용 및 우안용 신호 생성 영역에서 생성된 좌안용 및 우안용 신호가 상기 제 1 편광판을 거쳐서 각각 입사될 수 있도록 배치되어 있으며, 위상차층을 각각 포함하는 좌안용 및 우안용 신호 편광 조절 영역을 포함하는 필터를 포함하고, 하기 일반식 3 또는 4의 조건을 만족하는 입체 영상 표시 장치:
    [일반식 3]
    DL -10 ≤ -0.0199x2 +4.9777x - 306.56 ≤ DL + 10
    [일반식 4]
    DR -10 ≤ -0.0199y2 +4.9777y - 306.56 ≤ DR + 10
    상기 일반식 3 및 4에서 DL 및 DR은, 각각 제 1 항에서 정의한 바와 같고, x는 좌안용 신호 편광 조절 영역 또는 좌안용 영역의 위상차층의 위상차값이며, y는 우안용 신호 편광 영역 또는 우안용 영역의 위상차층의 위상차값이다.
  11. 구동 상태에서 좌안용 및 우안용 신호를 각각 생성할 수 있는 좌안용 및 우안용 신호 생성 영역을 포함하는 표시 소자; 상기 표시 소자에서 생성된 좌안용 및 우안용 신호가 입사될 수 있도록 배치된 제 1 편광판; 및 상기 좌안용 및 우안용 신호 생성 영역에서 생성된 좌안용 및 우안용 신호가 상기 제 1 편광판을 거쳐서 각각 입사될 수 있도록 배치되어 있으며, 위상차층을 각각 포함하는 좌안용 및 우안용 신호 편광 조절 영역을 포함하는 필터를 포함하는 입체 영상 표시 장치로부터 출사되는 입체 영상을 관찰하기 위한 안경이고,
    좌안용 및 우안용 영역을 가지며, 상기 좌안용 및 우안용 영역이 각각 위상차층 및 편광자를 포함하며, 하기 일반식 1 또는 2의 조건을 만족하는 안경:
    [일반식 1]
    DL = |Θ2 - ΘL| ≤ 15.0
    [일반식 2]
    DR = |Θ1 - ΘR| ≤ 15.0
    상기 일반식 1 및 2에서 DL은, 좌안용 신호 편광 조절 영역의 위상차층의 광축과 좌안용 영역의 위상차층의 광축의 상대적 이탈 정도이고, DR은 우안용 신호 편광 조절 영역의 위상차층의 광축과 우안용 영역의 위상차층의 광축의 상대적 이탈 정도이며, Θ2는, 좌안용 신호 편광 조절 영역의 위상차층의 광축이 제 1 편광판의 흡수축과 이루는 각도이고, ΘL은, 상기 안경의 좌안용 영역의 편광자의 흡수축을 제 1 편광판의 흡수축과 수직이 되도록 배치한 상태에서 상기 좌안용 영역의 위상차층의 광축과 제 1 편광판의 흡수축이 이루는 각도이며, Θ1은, 우안용 신호 편광 조절 영역의 위상차층의 광축이 제 1 편광판의 흡수축과 이루는 각도이고, ΘR은, 상기 안경의 우안용 영역의 편광자의 흡수축을 제 1 편광판의 흡수축과 수직이 되도록 배치한 상태에서 상기 우안용 영역의 위상차층의 광축과 제 1 편광판의 흡수축이 이루는 각도이다.
  12. 제 11 항에 있어서, 좌안용 및 우안용 영역의 편광자는 서로 동일한 방향으로 형성된 흡수축을 가지는 안경.
  13. 제 12 항에 있어서, 좌안용 및 우안용 영역의 중심을 연결하는 가상의 선을 좌안용 및 우안용 신호 편광 조절 영역의 경계와 수직을 이루도록 배치한 상태에서 좌안용 및 우안용 영역의 편광자의 흡수축은 제 1 편광판의 흡수축과 수직을 이루는 안경.
  14. 제 1 항에 있어서, DL 및 DR은 0이 아닌 안경.
  15. 구동 상태에서 좌안용 및 우안용 신호를 각각 생성할 수 있는 좌안용 및 우안용 신호 생성 영역을 포함하는 표시 소자; 상기 표시 소자에서 생성된 좌안용 및 우안용 신호가 입사될 수 있도록 배치된 제 1 편광판; 및 상기 좌안용 및 우안용 신호 생성 영역에서 생성된 좌안용 및 우안용 신호가 상기 제 1 편광판을 거쳐서 각각 입사될 수 있도록 배치되어 있으며, 위상차층을 각각 포함하는 좌안용 및 우안용 신호 편광 조절 영역을 포함하는 필터를 포함하는 입체 영상 표시 장치로부터 출사되는 입체 영상을 관찰하기 위한 안경이고,
    좌안용 및 우안용 영역을 가지며, 상기 좌안용 및 우안용 영역이 각각 위상차층 및 편광자를 포함하며, 하기 일반식 3 또는 4의 조건을 만족하는 안경:
    [일반식 3]
    DL -10 ≤ -0.0199x2 +4.9777x - 306.56 ≤ DL + 10
    [일반식 4]
    DR -10 ≤ -0.0199y2 +4.9777y - 306.56 ≤ DR + 10
    상기 일반식 3 및 4에서 DL 및 DR은, 각각 제 11 항에서 정의한 바와 같고, x는 좌안용 신호 편광 조절 영역 또는 좌안용 영역의 위상차층의 위상차값이며, y는 우안용 신호 편광 영역 또는 우안용 영역의 위상차층의 위상차값이다
KR1020120007310A 2011-01-25 2012-01-25 입체 영상 표시 장치 KR101233895B1 (ko)

Priority Applications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13/358,321 US20120218634A1 (en) 2011-01-25 2012-01-25 Stereoscopic image display device
JP2013550415A JP2014509402A (ja) 2011-01-25 2012-01-25 立体映像表示装置
CN201280006505.8A CN103348280B (zh) 2011-01-25 2012-01-25 立体影像显示装置
EP12739523.4A EP2669730A4 (en) 2011-01-25 2012-01-25 Stereoscopic image display device
PCT/KR2012/000605 WO2012102550A2 (ko) 2011-01-25 2012-01-25 입체 영상 표시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07440 2011-01-25
KR20110007440 2011-01-25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86274A true KR20120086274A (ko) 2012-08-02
KR101233895B1 KR101233895B1 (ko) 2013-02-15

Family

ID=4687217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07310A KR101233895B1 (ko) 2011-01-25 2012-01-25 입체 영상 표시 장치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20120218634A1 (ko)
EP (1) EP2669730A4 (ko)
JP (1) JP2014509402A (ko)
KR (1) KR101233895B1 (ko)
CN (1) CN103348280B (ko)
TW (1) TWI524094B (ko)
WO (1) WO2012102550A2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4084689A1 (ko) * 2012-11-29 2014-06-05 주식회사 엘지화학 표시 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TWI417584B (zh) * 2011-03-03 2013-12-01 Futis Internat Ltd 微相位差膜之製造方法
KR101556817B1 (ko) * 2011-03-23 2015-10-01 주식회사 엘지화학 입체 영상 표시 장치
TWI490552B (zh) * 2013-08-20 2015-07-01 Sumika Technology Co Ltd 立體顯示裝置
CN104297933A (zh) * 2014-10-14 2015-01-21 联想(北京)有限公司 一种电子设备及眼镜
US10151932B1 (en) * 2017-09-01 2018-12-11 Volfoni R&D Stereoscopic three dimensional projection system using elliptical polarization
US10520772B1 (en) * 2017-12-15 2019-12-31 Facebook Technologies, Llc Self-compensated liquid crystal polymer coatings on curved optical surface
CN110927855A (zh) * 2019-11-15 2020-03-27 浙江怡诚光电科技有限公司 3d显示装置、图样化圆偏光板及制备方法

Family Cites Families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767962B2 (ja) * 1997-02-19 2006-04-19 シャープ株式会社 映像表示システム
JPH11234704A (ja) * 1998-02-10 1999-08-27 Idemitsu Kosan Co Ltd 立体表示装置
GB2331883A (en) * 1997-11-26 1999-06-02 Sharp Kk Dual image viewing system
KR100449879B1 (ko) 2003-08-18 2004-09-22 주식회사 참비전 입체 영상 표시 장치
TW201005311A (en) * 2008-07-23 2010-02-01 Ind Tech Res Inst Test device and method for an SoC test architecture
TWI425257B (zh) * 2008-12-15 2014-02-01 Sony Corp Phase difference element and display device
KR101324440B1 (ko) * 2009-02-11 2013-10-31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입체 영상의 뷰 제어방법과 이를 이용한 입체 영상표시장치
KR101293552B1 (ko) * 2009-03-20 2013-08-06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액정표시장치를 포함하는 다중 전면 화상 구현 시스템
KR101279120B1 (ko) * 2009-05-15 2013-06-26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영상표시장치
KR101318443B1 (ko) * 2009-05-29 2013-10-16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입체영상 표시장치
JP2011039532A (ja) 2010-09-13 2011-02-24 Sony Corp 画像分離装置
US8687050B2 (en) * 2010-12-02 2014-04-01 Tektronix, Inc. Stereoscopic extinction ratio test pattern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4084689A1 (ko) * 2012-11-29 2014-06-05 주식회사 엘지화학 표시 장치
US9667953B2 (en) 2012-11-29 2017-05-30 Lg Chem, Ltd. Display devic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2669730A4 (en) 2017-10-18
WO2012102550A2 (ko) 2012-08-02
CN103348280B (zh) 2016-06-29
JP2014509402A (ja) 2014-04-17
TWI524094B (zh) 2016-03-01
CN103348280A (zh) 2013-10-09
US20120218634A1 (en) 2012-08-30
EP2669730A2 (en) 2013-12-04
KR101233895B1 (ko) 2013-02-15
TW201245769A (en) 2012-11-16
WO2012102550A3 (ko) 2012-11-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33895B1 (ko) 입체 영상 표시 장치
KR102143373B1 (ko) 스위처블 렌즈 장치와 그를 이용한 2d/3d 영상 표시장치
KR101298874B1 (ko) 편광 안경
US9279994B2 (en) Stereoscopic image display device
KR101314402B1 (ko) 표시 장치
JP5928755B2 (ja) 光学フィルタ
KR20160039101A (ko) 스위처블 편광렌즈 및 그 제조방법과, 그를 이용한 2d/3d 영상 표시장치
US20130120675A1 (en) Polarization assembly and three-dimensional image display apparatus having the same
KR101940763B1 (ko) 하이브리드 입체 영상 표시장치
KR101266218B1 (ko) 입체 영상 표시 장치
KR20150145732A (ko) 표시 장치
TWI490551B (zh) 顯示裝置
KR101082056B1 (ko) 입체 영상 표시 장치
KR101875022B1 (ko) 입체영상 표시장치 및 그 제조방법
KR101702078B1 (ko) 3디 영상 구현 시스템
US20130286305A1 (en) 3d display device and phase retarder film thereof
JP2014025957A (ja) 光学素子および眼鏡、画像表示装置、ならびに立体画像表示システム
US20120212815A1 (en) Stereoscopic image display device
KR20130017887A (ko) 위상 지연 값을 서로 상쇄하도록 배치된 기판을 구비한 액티브 리타더를 사용한 입체 영상 표시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128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202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16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16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16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