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085610A - 중장비용 에코 트레이닝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 Google Patents

중장비용 에코 트레이닝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085610A
KR20120085610A KR1020110007051A KR20110007051A KR20120085610A KR 20120085610 A KR20120085610 A KR 20120085610A KR 1020110007051 A KR1020110007051 A KR 1020110007051A KR 20110007051 A KR20110007051 A KR 20110007051A KR 20120085610 A KR20120085610 A KR 2012008561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co
controller
detection unit
fuel
information data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0705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737639B1 (ko
Inventor
손원선
Original Assignee
두산인프라코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두산인프라코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두산인프라코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1000705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37639B1/ko
Publication of KR2012008561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8561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3763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3763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FDREDGING; SOIL-SHIFTING
    • E02F9/00Component parts of dredgers or soil-shifting machines, not restricted to one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E02F3/00 - E02F7/00
    • E02F9/26Indicating devi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40/00Estimation or calculation of non-directly measurable driving parameters for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 unit, e.g. by using mathematical models
    • B60W40/12Estimation or calculation of non-directly measurable driving parameters for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 unit, e.g. by using mathematical models related to parameters of the vehicle itself, e.g. tyre mode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FHOISTING, LIFTING, HAULING OR PUSH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DEVICES WHICH APPLY A LIFTING OR PUSHING FORCE DIRECTLY TO THE SURFACE OF A LOAD
    • B66F9/00Devices for lifting or lowering bulky or heavy goods for loading or unloading purposes
    • B66F9/06Devices for lifting or lowering bulky or heavy goods for loading or unloading purposes movable, with their loads, on wheels or the like, e.g. fork-lift trucks
    • B66F9/075Constructional features or details
    • B66F9/20Means for actuating or controlling masts, platforms, or fork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FDREDGING; SOIL-SHIFTING
    • E02F9/00Component parts of dredgers or soil-shifting machines, not restricted to one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E02F3/00 - E02F7/00
    • E02F9/20Drives; Control de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olog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Control Of Vehicle Engines Or Engines For Specific U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중장비용 에코 트레이닝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을 개시한다. 상기 에코 트레이닝 시스템은 조작레버나 조작페달의 조작 및/또는 압력, 유량, 전류 및 연료량의 변화에 따라 각각의 신호를 발생시키는 신호발생장치(1); 상기 신호발생장치(1)와 연결되며, 상기 신호발생장치(1)를 통해 상기 조작 또는 상기 변화를 시간별로 검출하는 조작패턴검출부(2a)를 포함하는 컨트롤러(2); 및 상기 컨트롤러(2)와 연결되며, 상기 컨트롤러(2)의 제어를 통해 상기 조작패턴검출부(2a)로부터 검출되는 정보데이터로부터 작업패턴을 실시간으로 보여주는 에코워크 로드 게이지(10)를 출력할 수 있는 디스플레이부(3);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작업패턴을 실시간으로 보여주는 에코워크 로드 게이지, 기 설정 시간당 투입 연료량 레벨을 보여주는 에코 게이지, 작업 및 연비 효율을 보여주는 에코 심벌, 또는 운전자의 운전습관을 에코 운전 습관으로 학습시키는 에코 트레이닝 인디케이터를 디스플레이부에 선택적으로 출력시킬 수 있게 한다. 그리하여 본 발명은 운전자가 실제의 작업현장에서 작업을 하면서 자신의 작업 조작패턴을 모니터링할 수 있게 하여 이후 보다 정형화된 숙련된 작업 조작패턴을 습득할 수 있게 한다.

Description

중장비용 에코 트레이닝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Eco training system for a heavy equipment and Control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중장비용 에코 트레이닝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에코(eco) 모니터링을 통해 현재 운전자 자신의 운전습관에 따른 연비효율, 작업부하 등을 검출하여 연료 소모량을 시각화하고, 능동적으로 운전자에게 에코 운전 습관을 학습시키고 작업패턴의 분석을 통해 최적의 작업모드를 선택하도록 유도시켜 작업 및 연비의 효율을 향상시키고 이산화탄소(CO2)의 배출량을 줄일 수 있는 중장비용 에코 트레이닝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중장비에는 굴삭기, 지게차, 로더 등이 있다. 상기 굴삭기는 굴삭, 지면고르기, 지면다지기, 무거운 물체의 승강 등의 다양한 작업을 수행한다. 상기 지게차는 비교적 고중량의 화물을 들어올려 하역하거나 고중량의 화물을 들어 작업자가 소망하는 위치로 운반하는데 사용되는 것으로 산업 전반에 걸쳐 널리 사용되고 있다. 상기 로더는 건설 현장에서 흙, 모래 등을 굴착하는 굴착작업, 굴착된 토사를 운반하는 운반작업, 운반된 토사를 화물차량에 싣거나 내리는 하역작업, 도로 정지작업, 제설작업, 견인작업 등을 수행하는 데 널리 사용되고 있다.
위의 굴삭기, 지게차, 로더 등과 같은 중장비는 캐빈 또는 운전실 내의 조작레버, 조작페달, 조이스틱 등을 이용하여 작업기를 작동시키게 되어 있다. 중장비를 시동시킨 상태에서 상기 조작레버, 상기 조작페달, 조이스틱 등을 조작하면 각각의 유압실린더 또는 유압액추에이터의 제어를 통해 상기 작업기가 작동된다.
중장비의 운전 조작에 있어서, 위에 언급된 바와 같이 굴삭기에는 굴삭, 지면고르기 등의 대표적인 작업이 있고, 지게차에는 고중량의 화물을 들어올려 하역하는 작업, 운반하는 작업 등의 대표적인 작업이 있으며, 로더에는 굴착작업, 굴착된 토사를 운반하는 운반작업 등의 대표적인 작업이 있다. 위와 같은 반복적인 작업들에 있어서, 숙련된 운전자의 작업 조작패턴은 작업공수의 효율성을 높이고 연비의 효율을 크게 향상시키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그러나, 미숙련자나 초보자들은 동일한 장비를 사용하여 동일한 작업환경에서 작업을 할지라도 작업 조작패턴, 예컨대 조작페달의 답입량이나 조작레버의 조작방향 또는 조작량이 다르고, 조작페달 및/또는 조작레버의 조작시간의 제어가 서투르기 때문에, 작업기의 조작이 비효율적으로 수행되고 경우에 따라서는 작업기를 과도하게 상승시키거나 불필요한 작동을 가하여 연료의 낭비, 작업공수의 증대 및 배기가스의 배출량을 증대시키는 문제가 있다.
또한 종래의 중장비에는 미숙련자나 초보자들을 위한 효율적인 작업 안내 시스템이 제공되어 있지 않기 때문에, 미숙련자나 초보자들은 장기간에 걸쳐 실제의 작업 현장에서 많은 시간과 노력을 투자해 가면서 반복적인 경험을 통해 효율적인 작업 조작패턴을 습득할 수밖에 없는 문제가 있다.
이에, 본 발명은 전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들을 해소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운전자가 실제의 작업현장에서 작업을 하면서 자신의 작업 조작패턴을 모니터링할 수 있게 하여 이후 보다 정형화된 숙련된 작업 조작패턴을 습득할 수 있는 중장비용 에코 트레이닝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운전자의 작업습관을 미리 설정된 숙련자의 작업 조작패턴을 통해 학습시켜 작업 및 연비의 효율을 향상시키고 CO2의 배출량을 줄일 수 있는 중장비용 에코 트레이닝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조작레버나 조작페달의 조작 및/또는 압력, 유량, 전류 및 연료량의 변화에 따라 각각의 신호를 발생시키는 신호발생장치;
상기 신호발생장치와 연결되며, 상기 신호발생장치를 통해 상기 조작 또는 상기 변화를 시간별로 검출하는 조작패턴검출부를 포함하는 컨트롤러; 및
상기 컨트롤러와 연결되며, 상기 컨트롤러의 제어를 통해 상기 조작패턴검출부로부터 검출되는 정보데이터로부터 작업패턴을 실시간으로 보여주는 에코워크 로드 게이지(Eco work load gauge)를 출력할 수 있는 디스플레이부;를 포함하는 중장비용 에코 트레이닝 시스템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위의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대하여 다음의 구체적인 실시예들을 더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에코워크 로드 게이지는 압력 게이지와, 유량 게이지와, 파워 게이지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컨트롤러는 상기 신호발생장치로부터 발생되는 신호에 대응하는 정보데이터 또는 상기 데이터베이스부에 기 저장된 정보데이터로부터 엔진에 투입되는 연료량을 검출하는 연료량검출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디스플레이부는 상기 컨트롤러의 제어를 통해 기 설정 시간당 투입 연료량 레벨을 보여주는 에코 게이지를 출력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컨트롤러는 미리 기억된 연산프로그램을 통해 상기 조작패턴검출부와 상기 연료량검출부로부터 각각 제공되는 정보데이터를 연산하여 작업 및 연비 효율을 구하고, 상기 디스플레이부는 상기 컨트롤러의 제어를 통해 상기 작업 및 연비 효율을 보여주는 에코 심벌을 출력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디스플레이부는 상기 컨트롤러의 제어를 통해 운전자의 운전습관을 에코 운전 습관으로 학습시키는 에코 트레이닝 인디케이터를 출력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다른 실시예로, 본 발명은 신호발생장치로부터 조작레버나 조작페달의 조작 및/또는 압력, 유량, 전류 및 연료량의 변화에 따라 각각 발생되는 신호를 모니터링하는 단계(S300);
컨트롤러 내의 조작패턴검출부가 상기 신호발생장치를 통해 수신되는 상기 조작 또는 상기 변화를 시간별로 검출하는 작업을 수행하는 단계(S302); 및
상기 조작패턴검출부의 정보데이터로부터 얻어지는 작업패턴을 실시간으로 보여주는 에코워크 로드 게이지를 디스플레이부로 출력시키는 단계(S304);를 포함하는 중장비용 에코 트레이닝 시스템의 제어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위의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대하여 다음의 구체적인 실시예들을 더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에코 트레이닝 시스템의 제어방법은 상기 S300 단계 이후, 상기 컨트롤러 내의 연료량검출부가 상기 신호발생장치로부터 발생되는 신호에 대응하는 정보데이터로부터 엔진에 투입되는 연료량을 검출하는 작업을 수행하는 단계(S310)와, 상기 컨트롤러는 상기 연료량검출부의 정보데이터에 대응하는 기 설정 시간당 투입 연료량 레벨을 보여주는 에코 게이지를 디스플레이부로 출력시키는 단계(S312)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에코 트레이닝 시스템의 제어방법은 상기 S302 단계에서 상기 조작패턴검출부로부터 얻어진 정보데이터와 상기 S310 단계에서 상기 연료량검출부로부터 얻어진 정보데이터를 미리 기억된 연산프로그램을 통해 연산하여 작업 및 연비 효율을 구하는 단계(S320)와, 상기 컨트롤러는 상기 연산을 통해 얻어진 작업 및 연비 효율을 보여주는 에코 심벌을 디스플레이부로 출력시키는 단계(S322)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에코 트레이닝 시스템의 제어방법은 상기 S320 단계에서 상기 연산을 통해 얻어진 작업 및 연비 효율에 대응하는 운전자의 운전습관을 에코 운전 습관으로 학습시키는 에코 트레이닝 인디케이터를 디스플레이부로 출력시키는 단계(S330)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작업패턴을 실시간으로 보여주는 에코워크 로드 게이지, 기 설정 시간당 투입 연료량 레벨을 보여주는 에코 게이지, 작업 및 연비 효율을 보여주는 에코 심벌, 또는 운전자의 운전습관을 에코 운전 습관으로 학습시키는 에코 트레이닝 인디케이터를 디스플레이부에 선택적으로 출력시킬 수 있게 한다. 그리하여 본 발명은 운전자가 실제의 작업현장에서 작업을 하면서 자신의 작업 조작패턴을 모니터링할 수 있게 하여 이후 보다 정형화된 숙련된 작업 조작패턴을 습득할 수 있게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운전자의 작업습관을 미리 설정된 숙련자의 작업 조작패턴을 통해 학습시켜 작업 및 연비의 효율을 향상시키고 CO2의 배출량을 줄일 수 있게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중장비용 에코 트레이닝 시스템의 전체 구성을 보여주는 개략 블록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중장비용 에코 트레이닝 시스템의 디스플레이부를 보여주는 개략 도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중장비용 에코 트레이닝 시스템의 제어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제어 흐름도.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중장비용 에코 트레이닝 시스템의 실시예를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에 따른 중장비용 에코 트레이닝 시스템은 도 1과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조작레버나 조작페달의 조작 및/또는 압력, 유량, 전류 및 연료량의 변화에 따라 각각의 신호를 발생시키는 신호발생장치(1)와, 상기 신호발생장치(1)와 연결되며, 상기 신호발생장치(1)를 통해 상기 조작 또는 상기 변화를 시간별로 검출하는 조작패턴검출부(2a)를 포함하는 컨트롤러(2)와, 상기 컨트롤러(2)와 연결되며, 상기 컨트롤러(2)의 제어를 통해 상기 조작패턴검출부(2a)로부터 검출되는 정보데이터로부터 작업패턴을 실시간으로 보여주는 에코워크 로드 게이지(10)를 출력할 수 있는 디스플레이부(3)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신호발생장치(1)는 굴삭기, 지게차, 로더 등과 같은 중장비에 제공되는 각종 형태의 센서, 스위치, ECU(Engine Control Unit) 등을 포함한다.
위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중장비용 에코 트레이닝 시스템은 상기 컨트롤러(2)의 조작패턴검출부(2a)가 상기 신호발생장치(1)로부터 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디스플레이부(3) 상에 작업패턴을 실시간으로 보여주는 에코워크 로드 게이지(10)를 보여줌으로써, 운전자가 실제의 작업현장에서 작업을 하면서 자신의 작업 조작패턴을 모니터링할 수 있게 하여 이후 보다 정형화된 숙련된 작업 조작패턴을 습득할 수 있게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중장비용 에코 트레이닝 시스템은 전술한 바와 같은 기본구성에 다음의 구체적인 실시예들로 더 한정되는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일실시예로,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에코워크 로드 게이지(10)는 압력 게이지(10a)와, 유량 게이지(10b)와, 파워 게이지(10c)로 구성될 수 있다.
굴삭기, 지게차, 또는 로더 등과 같은 중장비에 있어서, 예컨대 상기 압력 게이지(10a)는 메인 펌프와 메인컨트롤장치(MCV) 사이를 연결하는 유압라인에 걸리는 압력을 나타내고, 상기 유량 게이지(10b)는 메인펌프의 토출 유량을 나타내며, 상기 파워 게이지(10c)는 상기 압력값과 상기 유량값을 가지고 이론적인 작업부하를 계산하여 얻어지는 파워를 나타낸다.
상기 유량값은 펌프레귤레이터에서 발생되는 유량제어신호에 의해 계산된 유량값이지만, 마력 제어 또는 파워 시프트 제어에 의해 최대 유량값이 제한을 받는 경우 그 최대 유량값이 유량 게이지(10b)로 표시된다. 상기 압력 게이지(10a)의 압력은 시스템의 최대 압력을 100%로 하여 부하 압력값을 %로 나타낼 수 있고, 상기 유량 게이지(10b)의 압력은 토출 가능한 최대유량을 100%로 하여 유량값을 %로 나타낼 수 있다.
일실시예로, 상기 에코 트레이닝 시스템은 상기 컨트롤러(2)와 연결되며, 상기 컨트롤러(2)의 제어를 통해 상기 조작패턴검출부(2a)로부터 검출된 정보데이터를 저장하는 데이터베이스부(4)를 더 포함하는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상기 컨트롤러(2)는 상기 데이터베이스부(4)에 기 저장된 정보데이터를 디스플레이부(3)로 출력시킬 수 있게 구성된다.
일실시예로, 상기 컨트롤러(2)는 상기 신호발생장치(1)로부터 발생되는 신호에 대응하는 정보데이터 또는 상기 데이터베이스부(4)에 기 저장된 정보데이터로부터 작업자의 조작에 의해 엔진에 투입되는 연료량을 검출하는 연료량검출부(2b)를 더 포함하는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상기 디스플레이부(3)는 상기 컨트롤러(2)의 제어를 통해 기 설정 시간당 투입 연료량 레벨을 보여주는 에코 게이지(11)를 출력할 수 있게 구성된다.
일실시예로, 도 2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에코 게이지(11)는 상기 연료량검출부(2b)로부터 받은 연료정보를 상기 컨트롤러(2)에서 평균을 취해 나타내는 10 단계의 %레벨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일실시예로,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컨트롤러(2)는 미리 기억된 연산프로그램을 통해 상기 조작패턴검출부(2a)와 상기 연료량검출부(2b)로부터 각각 제공되는 정보데이터를 사용하여 작업 및 연비 효율을 계산하고, 상기 디스플레이부(3)는 상기 컨트롤러(2)의 제어를 통해 상기 작업 및 연비 효율을 보여주는 에코 심벌(12)을 출력할 수 있게 구성된다.
상기 에코 심벌(12)은 정상작동 상태인 평상 시 녹색으로 표시될 수 있고, 엔진 급부하 시, 장비 부하작업 시 및 경사지 작업 시 각각 적색으로 표시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에코 심벌(12)은 아이들링 상태 시 황색으로 표시될 수 있다. 이러한 에코 심벌(12)의 컬러는 하나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보인 것으로 필요 또는 요구에 따라 그와 다르게 구성될 수 있다.
일실시예로,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디스플레이부(3)는 상기 컨트롤러(2)의 제어를 통해 운전자의 운전습관을 에코 운전 습관으로 학습시키는 에코 트레이닝 인디케이터(13)를 출력할 수 있게 구성된다.
상기 에코 트레이닝 인디케이터(13)는 다음과 같은 다양한 적용예들로 구성될 수 있다.
제1 예
Auto idle Button Off 조건: Auto idle 기능을 작동하세요. Idle 시 연비가 30% 수준 감소합니다.
제2 예
Idling 시: 대기 시 중에도 연료가 줄어들고 있습니다. 대기시간이 5분 이상 길어질 경우 시동을 끄세요.
제3 예
경사지 작업 시: 장비를 수평으로 놓고 작업하세요. 연비 및 작업 효율이 향상됩니다.
제4 예
급부하 시(에코 심벌 적색 점등 시): 급부하 작업 시 연비효율 및 장비 내구성에 좋지 않습니다. 급부하 작업을 줄여 주세요.
제5 예
작업 압력이 고부하 작업인 경우: 작업 패턴을 부하가 감소하는 방향으로 작업을 하세요. 현재의 작업 속도는 연비 효율에 좋지 않습니다.
제6 예
선택된 최대 유량 조건 대비 사용 유량이 낮은 경우: 엔진 회전수를 낮추어도 현재 작업 성능이 유지됩니다. 작업 회전수를 1,600rpm으로 낮춰 보세요. 연비 효율 및 소음이 감소됩니다.
일실시예로, 상기 에코 트레이닝 시스템은 상기 컨트롤러(2)와 연결되며, 상기 조작패턴검출부(2a)의 기 설정값의 변경을 가능하게 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5)를 더 포함하는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 이는 작업자로 하여금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5)를 이용해 상기 조작패턴검출부(2a)의 검출시간 등을 조정할 수 있게 한다.
다른 실시예로, 상기 에코 트레이닝 시스템은 상기 컨트롤러(2)와 연결되며, 상기 데이터베이스부(4)에 기 저장된 정보데이터의 편집 및/또는 상기 연료량검출부(2b)의 기 설정값의 변경을 가능하게 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5)를 더 포함하는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중장비용 에코 트레이닝 시스템의 제어방법을 도 3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먼저 본 발명에 따른 에코 트레이닝 시스템이 설치된 중장비를 시동시킨 상태에서 해당작업을 수행한다.
그러면, 컨트롤러(2)는 신호발생장치(1)로부터 조작레버나 조작페달의 조작 및/또는 압력, 유량, 전류 및 연료량의 변화에 따라 각각 발생되는 신호를 모니터링한다(S300).
이때, 상기 컨트롤러(2) 내의 조작패턴검출부(2a)는 상기 신호발생장치(1)를 통해 수신되는 상기 조작 또는 상기 변화를 시간별로 검출하는 작업을 수행한다(S302).
이어서, 상기 컨트롤러(2)는 상기 조작패턴검출부(2a)의 정보데이터로부터 얻어지는 작업패턴을 실시간으로 보여주는 에코워크 로드 게이지(10)를 디스플레이부(3)로 출력시킨다(S304). 이어서, 상기 디스플레이부(3)로 출력되는 상기 에코워크 로드 게이지(10)에 대한 정보데이터를 데이터베이스부(4)에 저장한다(S306).
한편, 상기 S300의 단계 이후의 또 다른 병렬작업으로서, 상기 컨트롤러(2) 내의 연료량검출부(2b)는 상기 신호발생장치(1)로부터 발생되는 신호에 대응하는 정보데이터로부터 작업자의 조작에 의해 엔진에 투입되는 연료량을 검출하는 작업을 수행한다(S310).
이어서, 상기 컨트롤러(2)는 상기 연료량검출부(2b)의 정보데이터에 대응하는 기 설정 시간당 투입 연료량 레벨을 보여주는 에코 게이지(11)를 디스플레이부(3)로 출력시킨다(S312). 이어서, 상기 디스플레이부(3)로 출력되는 상기 에코 게이지(11)에 대한 정보데이터를 데이터베이스부(4)에 저장한다(S314).
한편, 상기 S302 단계에서 상기 조작패턴검출부(2a)로부터 얻어진 정보데이터와 상기 S310 단계에서 상기 연료량검출부(2b)로부터 얻어진 정보데이터를 미리 기억된 연산프로그램을 통해 연산하여 작업 및 연비 효율을 구한다(S320).
이어서, 상기 컨트롤러(2)는 상기 연산을 통해 얻어진 작업 및 연비 효율을 보여주는 에코 심벌(12)을 디스플레이부(3)로 출력시킨다(S322). 이어서, 상기 디스플레이부(3)로 출력되는 상기 작업 및 연비 효율을 보여주는 에코 심벌(12)에 대한 정보데이터를 데이터베이스부(3)에 저장한다(S324).
또한 상기 컨트롤러(2)는 상기 S320 단계에서 연산을 통해 얻어진 작업 및 연비 효율에 대응하는 운전자의 운전습관을 에코 운전 습관으로 학습시키는 에코 트레이닝 인디케이터(13)를 디스플레이부(3)로 출력한다(S330).
한편, 상기 데이터베이스부(4)에 저장된 각종 정보데이터는 필요 시 디스플레이부(3)로 출력된 상태에서 사용자 인터페이스(5)를 통해 편집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내에서의 단순 치환, 변형 및 변경은 당 분야에서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백한 것이다.
1: 신호발생장치 2a: 조작패턴검출부
2: 컨트롤러 2b: 연료량검출부
3: 디스플레이부 4: 데이터베이스부
5: 사용자 인터페이스 10: 에코워크 로드 게이지
10a: 압력 게이지 10b: 유량 게이지
10c: 파워 게이지 11: 에코 게이지
12: 에코 심벌 13: 에코 트레이닝 인디케이터

Claims (9)

  1. 조작레버나 조작페달의 조작 및/또는 압력, 유량, 전류 및 연료량의 변화에 따라 각각의 신호를 발생시키는 신호발생장치(1);
    상기 신호발생장치(1)와 연결되며, 상기 신호발생장치(1)를 통해 상기 조작 또는 상기 변화를 시간별로 검출하는 조작패턴검출부(2a)를 포함하는 컨트롤러(2); 및
    상기 컨트롤러(2)와 연결되며, 상기 컨트롤러(2)의 제어를 통해 상기 조작패턴검출부(2a)로부터 검출되는 정보데이터로부터 작업패턴을 실시간으로 보여주는 에코워크 로드 게이지(10)를 출력할 수 있는 디스플레이부(3);
    를 포함하는 중장비용 에코 트레이닝 시스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에코워크 로드 게이지(10)는 압력 게이지(10a)와, 유량 게이지(10b)와, 파워 게이지(10c)로 구성된 것인 중장비용 에코 트레이닝 시스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컨트롤러(2)는 상기 신호발생장치(1)로부터 발생되는 신호에 대응하는 정보데이터 또는 상기 데이터베이스부(4)에 기 저장된 정보데이터로부터 엔진에 투입되는 연료량을 검출하는 연료량검출부(2b)를 더 포함하고, 상기 디스플레이부(3)는 상기 컨트롤러(2)의 제어를 통해 기 설정 시간당 투입 연료량 레벨을 보여주는 에코 게이지(11)를 출력할 수 있는 것인 중장비용 에코 트레이닝 시스템.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컨트롤러(2)는 미리 기억된 연산프로그램을 통해 상기 조작패턴검출부(2a)와 상기 연료량검출부(2b)로부터 각각 제공되는 정보데이터를 연산하여 작업 및 연비 효율을 구하고, 상기 디스플레이부(3)는 상기 컨트롤러(2)의 제어를 통해 상기 작업 및 연비 효율을 보여주는 에코 심벌(12)을 출력할 수 있는 것인 중장비용 에코 트레이닝 시스템.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부(3)는 상기 컨트롤러(2)의 제어를 통해 운전자의 운전습관을 에코 운전 습관으로 학습시키는 에코 트레이닝 인디케이터(13)를 출력할 수 있는 것인 중장비용 에코 트레이닝 시스템.
  6. 신호발생장치로부터 조작레버나 조작페달의 조작 및/또는 압력, 유량, 전류 및 연료량의 변화에 따라 각각 발생되는 신호를 모니터링하는 단계(S300);
    컨트롤러 내의 조작패턴검출부가 상기 신호발생장치를 통해 수신되는 상기 조작 또는 상기 변화를 시간별로 검출하는 작업을 수행하는 단계(S302); 및
    상기 조작패턴검출부의 정보데이터로부터 얻어지는 작업패턴을 실시간으로 보여주는 에코워크 로드 게이지를 디스플레이부로 출력시키는 단계(S304);
    를 포함하는 중장비용 에코 트레이닝 시스템의 제어방법.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S300 단계 이후, 상기 컨트롤러 내의 연료량검출부가 상기 신호발생장치로부터 발생되는 신호에 대응하는 정보데이터로부터 엔진에 투입되는 연료량을 검출하는 작업을 수행하는 단계(S310)와, 상기 컨트롤러는 상기 연료량검출부의 정보데이터에 대응하는 기 설정 시간당 투입 연료량 레벨을 보여주는 에코 게이지를 디스플레이부로 출력시키는 단계(S312)를 더 포함하는 것인 중장비용 에코 트레이닝 시스템의 제어방법.
  8. 제 6 항에 따른 상기 S302 단계에서 상기 조작패턴검출부로부터 얻어진 정보데이터와 제 7 항에 따른 상기 S310 단계에서 상기 연료량검출부로부터 얻어진 정보데이터를 미리 기억된 연산프로그램을 통해 연산하여 작업 및 연비 효율을 구하는 단계(S320)와, 상기 컨트롤러는 상기 연산을 통해 얻어진 작업 및 연비 효율을 보여주는 에코 심벌을 디스플레이부로 출력시키는 단계(S322)를 더 포함하는 것인 중장비용 에코 트레이닝 시스템의 제어방법.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S320 단계에서 상기 연산을 통해 얻어진 작업 및 연비 효율에 대응하는 운전자의 운전습관을 에코 운전 습관으로 학습시키는 에코 트레이닝 인디케이터를 디스플레이부로 출력시키는 단계(S330)를 더 포함하는 것인 중장비용 에코 트레이닝 시스템의 제어방법.
KR1020110007051A 2011-01-24 2011-01-24 중장비용 에코 트레이닝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KR10173763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07051A KR101737639B1 (ko) 2011-01-24 2011-01-24 중장비용 에코 트레이닝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07051A KR101737639B1 (ko) 2011-01-24 2011-01-24 중장비용 에코 트레이닝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85610A true KR20120085610A (ko) 2012-08-01
KR101737639B1 KR101737639B1 (ko) 2017-05-19

Family

ID=4687181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07051A KR101737639B1 (ko) 2011-01-24 2011-01-24 중장비용 에코 트레이닝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37639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4069888A1 (ko) * 2012-10-30 2014-05-08 두산인프라코어 주식회사 굴삭기의 운전정보 디스플레이 장치 및 방법
KR20140083162A (ko) * 2012-12-24 2014-07-04 두산인프라코어 주식회사 연비 및 작업 부하량 표시 방법 및 장치
WO2018026187A1 (ko) * 2016-08-02 2018-02-08 주식회사 두산 산업차량 작업 가이드 시스템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629377B2 (ja) * 2003-09-02 2011-02-09 株式会社小松製作所 建設機械
JP5236872B2 (ja) * 2006-09-07 2013-07-17 株式会社小松製作所 作業車両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4069888A1 (ko) * 2012-10-30 2014-05-08 두산인프라코어 주식회사 굴삭기의 운전정보 디스플레이 장치 및 방법
KR20140083162A (ko) * 2012-12-24 2014-07-04 두산인프라코어 주식회사 연비 및 작업 부하량 표시 방법 및 장치
WO2018026187A1 (ko) * 2016-08-02 2018-02-08 주식회사 두산 산업차량 작업 가이드 시스템
US11434845B2 (en) 2016-08-02 2022-09-06 Doosan Industrial Vehicle Co., Ltd. Industrial vehicle work guide system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37639B1 (ko) 2017-05-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891182B2 (en) Work machine, control system and method for controlling an engine in a work machine
US9529347B2 (en) Operator assistance system for machine
US20150240939A1 (en) System And Method For Controlling Transmission Of A Machine
US10711436B2 (en) Work machine operation assistance device
WO2014185117A1 (ja) 作業車両
JP2008062791A (ja) 燃費表示装置および作業車両
KR20160133323A (ko) 휠 로더의 제어 방법, 제어 장치 및 제어 시스템
KR20200105024A (ko) 휠 로더의 제어 방법 및 시스템
US20130006495A1 (en) Guidance Output Device, Guidance Output Method, and Construction Machine Equipped with Guidance Output Device
GB2518236A (en) Training apparatus
KR20120085610A (ko) 중장비용 에코 트레이닝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JP2013534485A (ja) 油圧システムに動力を供給するためのシステムおよび方法
KR101685206B1 (ko) 건설장비의 로우아이들 제어 시스템 및 그 자동 제어방법
JP5009827B2 (ja) 作業機械
US20150240451A1 (en) Method For Controlling A Machine
JP7266371B2 (ja) 作業機械、および作業機械を含むシステム
CN111655940B (zh) 作业机械及包括作业机械的系统
US10612481B2 (en) Acceleration based high idle
US9759147B2 (en) Idle return system and method for an off highway vehicle
WO2023188764A1 (ja) 作業機械および作業機械の制御方法
US11620603B2 (en) System and method for managing operator settings for a work machine
KR102246045B1 (ko) 작업기계의 엔진 제어 시스템 및 방법
US20210362737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providing drive guide information of construction equipment
KR20210142975A (ko) 건설장비의 운행가이드 정보 제공 장치 및 방법
KR102007553B1 (ko) 산업차량 작업 가이드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