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085385A - 디지털 방송 수신기의 자동 화면 설정 시스템 및 그 방법 - Google Patents

디지털 방송 수신기의 자동 화면 설정 시스템 및 그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085385A
KR20120085385A KR1020110006670A KR20110006670A KR20120085385A KR 20120085385 A KR20120085385 A KR 20120085385A KR 1020110006670 A KR1020110006670 A KR 1020110006670A KR 20110006670 A KR20110006670 A KR 20110006670A KR 20120085385 A KR20120085385 A KR 2012008538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creen
information
additional information
output
ima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0667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245158B1 (ko
Inventor
김용석
김충수
Original Assignee
사단법인한국디지털케이블연구원
주식회사 디지털스트림테크놀로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사단법인한국디지털케이블연구원, 주식회사 디지털스트림테크놀로지 filed Critical 사단법인한국디지털케이블연구원
Priority to KR102011000667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45158B1/ko
Publication of KR2012008538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8538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4515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4515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7End-user appl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31Generation of visual interfaces for content selection or interaction; Content or additional data rendering
    • H04N21/4312Generation of visual interfaces for content selection or interaction; Content or additional data rendering involving specific graphical features, e.g. screen layout, special fonts or colors, blinking icons, highlights or animations
    • H04N21/4316Generation of visual interfaces for content selection or interaction; Content or additional data rendering involving specific graphical features, e.g. screen layout, special fonts or colors, blinking icons, highlights or animations for displaying supplemental content in a region of the screen, e.g. an advertisement in a separate window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7End-user applications
    • H04N21/478Supplemental services, e.g. displaying phone caller identification, shopping applic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7End-user applications
    • H04N21/485End-user interface for client configur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7End-user applications
    • H04N21/488Data services, e.g. news ticker
    • H04N21/4884Data services, e.g. news ticker for displaying subtit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Marketing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Two-Way Televisions, Distribution Of Moving Picture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디지털 방송 수신기의 자동 화면 설정 시스템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방송 영상의 화면 비율에 따라 발생하는 출력 화면의 공간을 부가정보 영역으로 활용함으로써 자막, 광고, 전자 상거래 정보 등 다양한 용도로 활용하도록 하여 화면의 활용도를 높이며, 방송 영상의 화면 비율이 변경됨에 따라 출력 화면의 영상출력 영역과 부가정보 영역을 자동으로 설정하여 배치함으로써 출력 영상의 화면 비가 변경될 때 시청자의 추가 조작 없이 자연스러운 화면 출력이 가능하도록 하여 시청자의 편의성을 높일 수 있고, 방송 영상의 정보 또는 부가정보의 종류에 따라 부가정보를 부가정보 영역 내 소정의 위치로 자동 이동하여 배치함으로써 부가정보의 위치가 방송 영상 정보에 방해되지 않도록 하여 시청자의 시청 편의성을 배가시킨다.

Description

디지털 방송 수신기의 자동 화면 설정 시스템 및 그 방법{AUTOMATIC DISPLAY SETTING SYSTEM FOR DIGITAL BROADCAST RECEIVER AND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디지털 방송 수신기의 자동 화면 설정 시스템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디지털 방송으로 수신되는 방송 및 부가 정보를 검사하여 화면 비율 또는 부가 정보의 종류에 따라 화면에 자동 배치하도록 한 디지털 방송 수신기의 자동 화면 설정 시스템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이다.
디지털 방송은 디지털 텔레비전 수신기(DTV)와 같은 디지털 방송 수신기에서 비디오나 오디오 정보 외에도 컴퓨터 데이터나 컴퓨터 소프트웨어 등의 정보를 전송할 수 있는 것으로서 예를 들면, 디지털 텔레비전을 통해 텔레비전 프로그램을 시청하면서 동시에 주요 일간지의 내용을 전송받을 수도 있으며, 새로운 정보, 오락, 광고에의 다양한 응용 서비스가 가능하고, 또한 정보원으로부터 원하는 정보를 선택적으로 얻을 수도 있는데 이러한 정보들을 통칭하여 '부가 정보'라고 한다. 이러한 부가 정보들은 일반적으로 디지털 방송 수신기의 화면에서 해당 채널의 영상과 중첩되게 표시된다.
상기 디지털 방송은 유럽의 DVB(Digital Video Broadcasting) 규격과 미국 FCC의 ATV(Advanced TV)규격을 중심으로 진행되고 있다. 미국이 차세대 TV 방식으로 결정한 ATSC규격을 준수한 것으로 기존의 아날로그 TV를 상징하는 NTSC 규격을 대체하는 것이다.
한편, 이러한 디지털 방송을 수신하는 디지털 방송 수신기와 기존의 아날로그 방송 수신기와의 차이점을 화질, 음질, 화면 비 및 기타로 분리하여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먼저, 화질 면에 있어서, 가로 주사선 525개를 사용하는 아날로그 방송 수신기는 시청화질을 결정하는 수평해상도가 330선 정도인 반면, 고선명(HD)급 디지털 방송 수신기는 수평해상도가 700선 정도에 달하기 때문에 아날로그 방송 수신기의 화질보다 2배 이상 선명하다.
음질 면에 있어서, 기존의 아날로그 방송 수신기는 2채널의 스테레오 음향 정도를 제공하는데 불과하지만, AC3 기술을 사용하는 디지털 방송 수신기는 극장에서 즐길 수 있는 5.1채널의 입체음향을 제공한다.
화면 비율에 있어서도 기존의 아날로그 방송 수신기의 화면 비가 4 대 3인 반면, 디지털 방송 수신기는 극장화면과 동일하게 화면 비가 16 대 9인 광폭화면을 기본으로 하고 있다.
디지털 방송 수신기를 아날로그 방송 수신기와 구분하는 것은 화질과 음질 면에서의 획기적인 변화뿐만이 아니다. 디지털 방송 수신기는 PC는 물론 디지털방식으로 신호를 처리하는 디지털 다기능 디스크(DVD)플레이어, 디지털 캠코더, 디지털 VCR 등과 IEEE 1394 인터페이스 기술을 통해 구현되는 직렬 인터페이스로 데이터 호환이 가능하다.
그러므로, 방송신호의 디지털화는 압축기법을 활용한 미디어의 확산으로 통신, 컴퓨터, 방송의 융합화가 가속화될 것이며, 복합기능을 갖는 단일 미디어로서 국제화 및 다채널화될 것이다. 무엇보다도 방송신호에 디지털 시스템을 도입하는 것은 아날로그에서 구현할 수 없었던 다양한 데이터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방송신호의 디지털화는 TV 영상신호의 수직 귀선 기간에 정보를 다중화해 전송하거나 별도의 채널을 이용하여 텔레비전이나, 컴퓨터 보유자를 위한 문자정보, 영상정보, 상품정보, 방송프로그램에 관한 정보(일명 전자프로그램 가이드(EPG; Electronic Program Guide)) 등의 멀티미디어 정보를 제공하는 새로운 미디어 서비스인 데이터 방송을 구현할 수 있다.
이처럼, 방송신호의 디지털화로 탄생한 디지털 방송 수신기는 아날로그 방송 수신기의 세대 교체뿐만 아니라 가전, 컴퓨터, 방송 통신 등 유관산업 분야에 걸쳐 방대한 파급효과를 가져오게 되었지만, 완전한 디지털 방식으로 전환하기까지는 아날로그 방식과의 공존이 예상되며 이로 인한 몇 가지의 문제점이 발생한다.
예를 들어, 현재 전 세계적으로 방송은 아날로그에서 디지털로 바뀌어 가는 과정에 있으며, 방송 수신기의 화면 출력 장치인 CRT, LCD, PDP 등이 4:3 또는 16:9의 화면 비율로 만들어지고 있으며, 이에 따라 방송 프로그램도 4:3과 16:9가 선택적으로 제작되고 있다.
따라서, 화면 출력 장치와 같은 화면 비율로 제작된 프로그램을 출력하는 것은 아무 문제가 없으나, 서로 다른 화면 비율을 가진 프로그램과 출력 장치 사이에는 변환 과정이 필요하다. 이러한 경우, 화면의 특정 부분이 배경색으로 채워져서 화면 출력을 위해 사용될 수 없거나 전체 화면을 화면 출력에 사용하는 경우, 화면의 왜곡이 발생한다.
도 1은 일반적인 방송 수신기에서의 화면 설정의 예시도로서, 4:3이나 16:9 프로그램을 화면 비율이 다른 방송 수신기에 출력하는 일반적인 방법을 보여준다. 이 경우 도시한 바와 같이 화면상의 특정 영역(2, 3, 5, 6)이 버려지거나 화면의 왜곡(1, 4)이 발생하게 된다. 또한 다른 방법으로 화면의 특정 영역을 키워서 화면의 전체를 활용하는 경우, 화면의 일부가 보이지 않게 된다.
따라서, 현재 기존의 아날로그 방송 수신기의 비율인 4:3으로 제작된 프로그램(4)을 16:9의 비율을 가진 디지털 방송 수신기(도 1b)에서 시청하는 경우, 방송 수신기에서는 좌우 공간(5, 6)을 비우고 중간 부분(4)만을 이용해서 출력하거나 비정상적으로 4:3 화면을 16:9로 변환하여 출력하는 방법을 사용한다. 또한, 16:9로 제작된 화면(1)을 기존의 4:3 방송 수신기(도 1a)에서 볼 경우에는 반대로 아래 위의 공간(2, 3)을 비우고 출력(1)하거나 화면을 길죽하게 늘이는 방법을 사용하고 있다.
이와 같이, 아날로그 방송 방식에서는 화면 비가 4 대 3이나 디지털 방송 방식에서는 화면 비가 16 대 9이므로, 방송신호의 화면 비와 디지털 방송 수신기의 화면 또는 디지털 방송 수신기와 연결된 영상 표시 장치의 화면 비가 상이할 경우, 디지털 방송에서 전송되는 방송 영상 및 부가 정보에 대한 화면 처리 및 활용에 대한 여러 가지 방안이 요구되는 시점이다.
전술한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한 본 발명 실시 예의 목적은 방송 영상의 화면 비율에 따라 발생하는 출력 화면의 공간을 부가정보 영역으로 활용함으로써 자막, 광고, 전자 상거래 정보 등 다양한 용도로 활용하도록 한 디지털 방송 수신기의 자동 화면 설정 시스템 및 그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전술한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한 본 발명 실시 예의 다른 목적은 방송 영상의 화면 비율이 변경됨에 따라 출력 화면의 영상출력 영역과 부가정보 영역을 자동으로 설정하여 배치함으로써 출력 영상의 화면 비가 변경될 때 시청자의 추가 조작 없이 자연스러운 화면 출력이 가능하도록 한 디지털 방송 수신기의 자동 화면 설정 시스템 및 그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전술한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한 본 발명 실시 예의 또 다른 목적은 방송 영상의 정보 또는 부가정보의 종류에 따라 부가정보를 부가정보 영역 내 소정의 위치로 자동 이동하여 배치함으로써 부가정보의 위치가 방송 영상 정보에 방해되지 않도록 한 디지털 방송 수신기의 자동 화면 설정 시스템 및 그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디지털 방송 수신기의 자동 화면 설정 시스템은 영상정보와 부가정보를 포함한 디지털 방송을 수신하는 디지털 방송 수신기에서의 화면 설정 시스템으로서, 영상정보를 입력받는 영상정보 입력부, 부가정보를 입력받는 부가정보 입력부, 상기 영상정보의 가로와 세로의 화면 비율을 산출하는 종횡비 산출부, 상기 종횡비 산출부에서 산출한 화면 비율과 출력 화면의 비율을 비교하여 상기 출력 화면의 공간을 산출하는 공간 산출부, 상기 출력 화면을 상기 영상정보가 출력될 부분인 영상출력 영역과 상기 부가정보가 출력될 부분인 부가정보 영역으로 분할하여 화면 배치를 설정하는 화면 배치 설정부를 포함하되, 상기 화면 배치 설정부는 상기 종횡비 산출부에서 산출된 화면 비율이 변경되면 상기 부가정보를 자동으로 상기 부가정보 영역의 소정 지점에 배치한다.
상기 화면 배치 설정부는 상기 산출된 화면 비율에 따라 상기 영상출력 영역을 상기 화면의 소정 위치로 설정한다.
상기 부가정보 영역에 배치되는 상기 부가정보는 자막, 광고 정보, 전자 상거래 용 카탈로그 정보, 주식, 날씨, 공연정보, 문화소식, 지역정보, 뉴스, 속보 중 하나일 수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디지털 방송 수신기의 자동 화면 설정 시스템은 영상정보와 부가정보를 포함한 디지털 방송을 수신하는 디지털 방송 수신기에서의 화면 설정 시스템으로서, 영상정보의 가로와 세로의 화면 비율을 산출하는 종횡비 산출부, 상기 종횡비 산출부에서 산출한 화면 비율과 출력 화면의 비율을 비교하여 상기 출력 화면의 공간을 산출하는 공간 산출부, 상기 영상정보의 소정 정보를 검사하는 영상정보 검사부, 상기 출력 화면을 상기 영상정보가 출력될 영역과 상기 부가정보가 출력될 영역으로 분할하여 화면 배치를 설정하는 화면 배치 설정부를 포함하되, 상기 화면 배치 설정부는 상기 영상정보 검사부에서 검사한 결과에 따라 상기 부가정보를 자동으로 상기 부가정보가 출력될 영역의 소정 지점에 배치한다.
상기 영상정보 검사부는 상기 영상정보 내 중요 객체의 위치, 명암, 색채와 같은 영상 특성에 따른 소정 정보를 검사하고, 이때 상기 화면 배치 설정부는 상기 영상정보 검사부의 결과에 따라 상기 부가정보를 상기 부가정보가 출력될 영역 중 기 설정된 위치로 이동시킨다.
상기 자동 화면 설정 시스템은 상기 영상정보의 장르, 재생 시각, 주제와 같은 영상의 부가적 특성에 따른 소정 정보를 검사하는 설정정보 추출부를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이때 상기 화면 배치 설정부는 설정정보 추출부의 결과에 따라 상기 부가정보를 상기 부가정보가 출력될 영역 중 기 설정된 위치로 이동시킨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디지털 방송 수신기의 자동 화면 설정 방법은 영상정보와 부가정보를 포함한 디지털 방송을 수신하는 디지털 방송 수신기의 화면 설정 방법으로서, 디지털 방송 수신기가 상기 영상정보의 가로와 세로의 화면 비율을 산출하는 단계, 상기 디지털 방송 수신기가 상기 산출한 화면 비율과 출력 화면의 비율을 비교하여 상기 출력 화면의 공간을 산출하는 단계, 상기 디지털 방송 수신기가 상기 출력 화면을 상기 영상정보가 출력될 부분인 영상출력 영역과 상기 부가정보가 출력될 부분인 부가정보 영역으로 분할하여 화면 배치를 설정하는 단계 및 상기 디지털 방송 수신기가 상기 산출된 화면 비율이 변경되면 상기 부가 정보를 자동으로 상기 부가정보 영역의 소정 지점에 배치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자동 화면 설정 방법은 상기 디지털 방송 수신기가 상기 부가정보의 데이터 종류를 검사하는 단계, 상기 디지털 방송 수신기가 상기 검사의 결과에 따라 상기 부가정보를 상기 부가정보 영역 중 기 설정된 위치로 이동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디지털 방송 수신기의 자동 화면 설정 시스템 및 그 방법은 방송 영상의 화면 비율에 따라 발생하는 출력 화면의 공간을 부가정보 영역으로 활용함으로써 자막, 광고, 전자 상거래 정보 등 다양한 용도로 활용하도록 하여 화면의 활용도를 높이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디지털 방송 수신기의 자동 화면 설정 시스템 및 그 방법은 방송 영상의 화면 비율이 변경됨에 따라 출력 화면의 영상출력 영역과 부가정보 영역을 자동으로 설정하여 배치함으로써 출력 영상의 화면 비가 변경될 때 시청자의 추가 조작 없이 자연스러운 화면 출력이 가능하도록 하여 시청자의 편의성을 높이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디지털 방송 수신기의 자동 화면 설정 시스템 및 그 방법은 방송 영상의 정보 또는 부가정보의 종류에 따라 부가정보를 부가정보 영역 내 소정의 위치로 자동 이동하여 배치함으로써 부가정보의 위치가 방송 영상 정보에 방해되지 않도록 하여 시청자의 시청 편의성을 배가시키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일반적인 방송 수신기에서의 화면 설정의 예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디지털 방송 수신기에서의 자동 화면 설정의 제 1 예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디지털 방송 수신기에서의 자동 화면 설정의 제 2 예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디지털 방송 수신기에서의 자동 화면 설정 시스템의 전체 구성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디지털 방송 수신기에서의 화면 구성부의 구성도.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디지털 방송 수신기에서의 자동 화면 설정 방법의 순서도.
상기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을 첨부된 도면들과 실시 예들을 통해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디지털 방송 수신기에서의 자동 화면 설정의 제 1 예시도로서, 상기 예시도는 디지털 방송 수신기에서 영상이 표시되지 않는 영역(22, 24, 26, 28)을 활용하여 부가정보의 출력 영역으로 활용하는 예를 도시한 것이다.
이러한 부가정보의 출력 영역은 자막이나 실시간 광고, 뉴스 속보 등의 정보 출력 공간으로 이용할 수 있다.
또한, 방송을 통해 전달되는 부가정보는 자막, 주식, 날씨, 공연 소식, 지역 뉴스, 속보 등의 정보뿐만 아니라 배너 광고, 스폿 광고 등과 같은 광고가 될 수도 있다. 혹은, 부가정보로 상품 카탈로그 정보를 전달하고 이를 화면상의 공간에 출력하고 사용자는 간단한 리모컨 조작에 의해 상품을 구매하는 것도 가능하다.
즉, 도시한 바와 같이 방송 영상의 화면 비율을 변경하지 않고 그대로 이용하면서 영상출력 영역(21, 23, 25, 27)을 출력 화면의 소정 위치로 이동시킨 후, 방송 영상의 화면 비율에 따라 발생하는 출력 화면의 일부 공간을 부가정보 영역(22, 24, 26, 28)으로 활용하여 자막, 광고, 전자 상거래 정보 등 다양한 용도로 활용할 수 있어 화면의 활용도를 높이게 된다.
이때, 상기 방송 영상의 화면 비율을 판별하는 방법은 상기 디지털 방송의 패킷에 포함되는 해상도 정보를 이용하여 식별하는 등의 다양한 실시 예가 있을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디지털 방송 수신기에서의 자동 화면 설정의 제 2 예시도로서, 화면 비율에 따라 부가정보의 영역을 자동으로 설정하여 부가정보를 배치하며 상기 부가정보가 영상의 특성 정보 또는 부가정보의 종류에 따라 상기 부가정보 영역 내 소정 위치로 이동하는 것을 도시한 것이다.
도 3a와 같이 4:3 출력 화면에 16:9 영상정보가 입력되면 상기 출력화면의 영역이 영상정보 영역과 부가정보 영역으로 자동으로 분할된다.
이후, 부가정보(30)가 도 3b와 같이 표시될 수 있으며, 상기 부가정보의 상세한 예(31, 32, 33)로는 자막(Closed caption), 배너 광고와 같은 광고 정보 또는 주식, 날씨, 공연정보, 문화소식, 지역정보, 뉴스, 속보와 같은 생활 정보를 들 수 있다.
혹은, 전자 상거래 용 카탈로그 정보거나 또는 TV 및 셋탑박스 사용 도움말, 사용자 설정 정보 등의 단말 기기 내부에서 생성된 내부 생성 데이터일 수 있다.
도시한 바와 같이, 방송 영상의 화면 비율이 변경됨에 따라 전체 출력 화면에서 영상의 출력 화면 비율을 수정하지 않고 상단 혹은 하단, 좌우의 특정 위치를 사용하여 부가정보 영역으로 자동으로 설정하여 배치함으로 인해 출력 영상의 화면 비가 변경될 때 시청자의 추가 조작 없이도 자연스러운 화면 출력이 가능하므로 시청자의 편의성을 높일 수 있다.
한편, 도 3d와 같이 16:9 출력 화면에 4:3 영상정보가 입력되어도 출력화면의 영역이 영상정보 영역과 부가정보 영역으로 자동으로 분할되고 부가정보가 표시된다.
이후, 도3b 또는 도3d에 표시되었던 부가정보(31, 32, 33)는 각각 도 3c 또는 도 3e처럼 출력 영상의 특성 또는 부가정보의 데이터 종류에 따라 부가정보 영역 내에서 위치를 변경하게 된다.
더욱 상세히 설명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자동 화면 설정 시스템은 상기 출력되는 영상정보의 소정 정보를 검사하게 되는데, 상기 소정 정보로는 상기 영상정보 내 중요 객체의 위치, 명암, 색채와 같은 영상 특성에 따른 정보를 들 수 있다.
또는, 상기 소정 정보로서 상기 영상정보의 장르, 재생 시각과 같은 영상의 부가적 특성에 따른 정보일 수도 있다. 즉, 상기 영상정보 자체의 특성 외의 영상정보의 주제와 같은 정보를 파악하고 이를 이용하여 상기 부가정보(31, 32, 33)를 자동으로 상기 부가정보가 출력될 영역의 소정 지점에 배치하게 된다.
예를 들어, 상기 영상정보의 상단이 밝은 색이거나 상기 영상정보의 분석을 통해 상단에 중요 객체가 위치한다고 인식될 경우, 시청자의 주의력을 분산하지 않도록 부가정보(31, 32, 33)를 도 3c와 같이 하단에 자동 배치하게 된다.
또는, 영상정보의 부가적 특성을 수신받아 해당 영상정보가 쇼 프로그램이나 예능 프로그램과 같이 시청자의 주의력이 크게 요구되지 않는 경우, 도 3c와 같이 부가정보(31, 32, 33)를 분산하여 배치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영상정보를 분석하고 부가정보(31, 32, 33)를 자동 배치하여 시청자의 주의력을 분산하지 않을 수 있으며 상기 분석을 통한 영상의 중요도 등에 따라 부가정보(31, 32, 33)의 위치를 자유롭게 자동으로 이동할 수 있어 영상의 장르 또는 주제에 따른 시야 확보가 용이하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 상기의 영상 특성에 따른 정보를 파악하는 것은 기 공지된 다양한 실시 예가 있으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또한 상기의 영상정보의 예와 이와 마찬가지로, 상기 자동 화면 설정 시스템은 상기 부가정보(31, 32, 33)의 데이터 종류를 검사하고, 상기 검사의 결과에 따라 상기 부가정보(31, 32, 33)를 상기 부가정보 영역 중 기 설정된 위치로 이동시킨다.
이처럼,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디지털 방송 수신기의 자동 화면 설정 시스템은 방송 영상의 정보 또는 부가정보의 종류에 따라 부가정보(31, 32, 33)를 부가정보 영역 내 소정의 위치로 자동 이동하여 배치하여 부가정보의 위치가 방송 영상 정보에 방해되지 않도록 하므로 시청자의 시청 편의성을 배가시킬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디지털 방송 수신기에서의 자동 화면 설정 시스템의 전체 구성도로서, 상기 자동 화면 설정 시스템은 디지털 방송을 수신하고 이를 디지털 방송 스트림 및 데이터 방송 신호로 변환하는 방송 수신부(100), 상기 디지털 방송 스트림 및 데이터 방송 신호를 영상정보 및 부가정보로 복호화하는 방송 스트림 복호화부(200) 및 데이터 방송 복호화부(300), 복호화된 화면을 특정 영역에 배치하여 전체 화면을 구성하는 화면 구성부(400), 이를 출력 장치로 출력하기 위한 화면 출력부(500)로 구성된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디지털 방송 수신기에서의 화면 구성부(400)의 구성도로서, 상기 화면 구성부(400)는 영상정보와 부가정보를 포함한 디지털 방송을 수신하는 디지털 방송 수신기에 구성되며, 영상정보를 입력받는 영상정보 입력부(410), 부가정보를 입력받는 부가정보 입력부(420), 상기 영상정보의 가로와 세로의 화면 비율을 산출하는 종횡비 산출부(430), 상기 종횡비 산출부(430)에서 산출한 화면 비율과 출력 화면의 비율을 비교하여 상기 출력 화면의 공간을 산출하는 공간 산출부(440), 상기 출력 화면을 상기 영상정보가 출력될 부분인 영상출력 영역과 상기 부가정보가 출력될 부분인 부가정보 영역으로 분할하여 화면 배치를 설정하는 화면 배치 설정부(480)를 포함한다.
이때, 상기 화면 배치 설정부(480)는 상기 종횡비 산출부(430)에서 산출된 화면 비율이 변경되면 상기 부가정보를 자동으로 상기 부가정보 영역의 소정 지점에 배치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화면 배치 설정부(480)는 상기 산출된 화면 비율에 따라 상기 영상출력 영역을 상기 화면의 소정 위치로 설정할 수 있다.
더불어, 상기 종횡비 산출부(430)는 상기 화면 비율이 16 대 9 또는 4 대 3인 것을 검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부가정보 영역에 배치되는 상기 부가정보는 자막(Closed caption), 광고 정보, 전자 상거래 용 카탈로그 정보, 주식, 날씨, 공연정보, 문화소식, 지역 정보, 뉴스, 속보 중 하나일 수 있다.
더불어, 상기 부가정보 영역에 배치되는 상기 부가정보는 TV 및 셋톱박스 사용 도움말 또는 사용자 설정 정보와 같은 내부 생성 데이터일 수도 있다.
영상정보 검사부(450)는 상기 영상정보의 소정 정보를 검사한다.
이때, 상기 소정 정보는 상기 영상정보 내 중요 객체의 위치, 명암, 색채와 같은 영상 특성에 따른 정보이다.
설정정보 추출부(470)는 상기 영상정보의 장르, 재생 시각과 같은 영상의 부가적 특성에 따른 소정 정보를 검사한다. 즉, 상기 설정정보 추출부(480)는 상기 영상정보 자체의 특성 외의 영상정보의 주제와 같은 부가정보를 상기 부가정보 입력부(420)로부터 수신하여 이를 통해 영상정보의 부가 특성을 파악한다.
이때, 상기 화면 배치 설정부(480)는 상기 영상정보 검사부(450) 또는 상기 설정정보 추출부(470)에서 검사한 결과에 따라 상기 부가정보를 자동으로 상기 부가정보가 출력될 영역의 소정 지점에 배치하게 된다.
또한, 데이터 종류 검사부(460)는 상기 부가정보의 데이터 종류를 검사하며, 이때 상기 화면 배치 설정부(480)는 상기 검사의 결과에 따라 상기 부가정보를 상기 부가정보 영역 중 기 설정된 위치로 이동시킨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디지털 방송 수신기에서의 자동 화면 설정 방법의 순서도다.
상기 자동 화면 설정 방법은 영상정보와 부가정보를 포함한 디지털 방송을 수신하는 디지털 방송 수신기의 화면 설정 방법으로서, 영상정보 입력 단계(S610), 부가정보 입력 단계(S620), 디지털 방송 수신기가 상기 영상정보의 가로와 세로의 화면 비율을 산출하는 단계(S630), 상기 디지털 방송 수신기가 상기 산출한 화면 비율과 출력 화면의 비율을 비교하여 상기 출력 화면의 공간을 산출하는 단계(S640), 상기 디지털 방송 수신기가 상기 출력 화면을 상기 영상정보가 출력될 부분인 영상출력 영역과 상기 부가정보가 출력될 부분인 부가정보 영역으로 분할하여 화면 배치를 설정하는 단계(S680) 및 상기 디지털 방송 수신기가 상기 산출된 화면 비율이 변경되면 상기 부가 정보를 자동으로 상기 부가정보 영역의 소정 지점에 배치하는 단계(S690)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자동 화면 설정 방법은 상기 영상정보의 소정 정보를 검사하는 단계(S650), 상기 영상정보의 장르, 재생 시각과 같은 영상의 부가적 특성에 따른 소정 정보를 검사하는 단계(S670) 혹은 상기 디지털 방송 수신기가 상기 부가정보의 데이터 종류를 검사하는 단계(S66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디지털 방송 수신기가 상기 검사의 결과에 따라 상기 부가정보를 상기 부가정보 영역 중 기 설정된 위치로 이동시키는 단계(S69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 예들에 대하여 도시하고 또한 설명하였다. 그러나 본 발명은 상술한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특허 청구의 범위에서 첨부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할 것이다.
100: 방송 수신부 200: 방송 스트림 복호화부
300: 데이터 방송 복호화부 400: 화면 구성부
410: 영상정보 입력부 420: 부가정보 입력부
430: 종횡비 산출부 440: 공간 산출부
450: 영상정보 검사부 460: 부가정보 종류 검사부
470: 설정정보 추출부 480: 화면 배치 설정부
500: 화면 출력부

Claims (8)

  1. 영상정보와 부가정보를 포함한 디지털 방송을 수신하는 디지털 방송 수신기에서,
    영상정보를 입력받는 영상정보 입력부;
    부가정보를 입력받는 부가정보 입력부;
    상기 영상정보의 가로와 세로의 화면 비율을 산출하는 종횡비 산출부;
    상기 종횡비 산출부에서 산출한 화면 비율과 출력 화면의 비율을 비교하여 상기 출력 화면의 공간을 산출하는 공간 산출부;
    상기 출력 화면을 상기 영상정보가 출력될 부분인 영상출력 영역과 상기 부가정보가 출력될 부분인 부가정보 영역으로 분할하여 화면 배치를 설정하는 화면 배치 설정부를 포함하되,
    상기 화면 배치 설정부는 상기 종횡비 산출부에서 산출된 화면 비율이 변경되면 상기 부가정보를 자동으로 상기 부가정보 영역의 소정 지점에 배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방송 수신기의 자동 화면 설정 시스템.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화면 배치 설정부는 상기 산출된 화면 비율에 따라 상기 영상출력 영역을 상기 화면의 소정 위치로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방송 수신기의 자동 화면 설정 시스템.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부가정보 영역에 배치되는 상기 부가정보는 자막(Closed caption), 광고 정보, 전자 상거래 용 카탈로그 정보, 주식, 날씨, 공연정보, 문화소식, 지역정보, 뉴스, 속보 중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방송 수신기의 자동 화면 설정 시스템.
  4. 영상정보와 부가정보를 포함한 디지털 방송을 수신하는 디지털 방송 수신기에서,
    영상정보의 가로와 세로의 화면 비율을 산출하는 종횡비 산출부;
    상기 종횡비 산출부에서 산출한 화면 비율과 출력 화면의 비율을 비교하여 상기 출력 화면의 공간을 산출하는 공간 산출부;
    상기 영상정보의 소정 정보를 검사하는 영상정보 검사부;
    상기 출력 화면을 상기 영상정보가 출력될 영역과 상기 부가정보가 출력될 영역으로 분할하여 화면 배치를 설정하는 화면 배치 설정부를 포함하되,
    상기 화면 배치 설정부는 상기 영상정보 검사부에서 검사한 결과에 따라 상기 부가정보를 자동으로 상기 부가정보가 출력될 영역의 소정 지점에 배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방송 수신기의 자동 화면 설정 시스템.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영상정보 검사부는 상기 영상정보 내 중요 객체의 위치, 명암, 색채와 같은 영상 특성에 따른 소정 정보를 검사하고,
    상기 화면 배치 설정부는 상기 영상정보 검사부의 결과에 따라 상기 부가정보를 상기 부가정보가 출력될 영역 중 기 설정된 위치로 이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방송 수신기의 자동 화면 설정 시스템.
  6.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영상정보의 장르, 재생 시각, 주제와 같은 영상의 부가적 특성에 따른 소정 정보를 검사하는 설정정보 추출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화면 배치 설정부는 설정정보 추출부의 결과에 따라 상기 부가정보를 상기 부가정보가 출력될 영역 중 기 설정된 위치로 이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방송 수신기의 자동 화면 설정 시스템.
  7. 영상정보와 부가정보를 포함한 디지털 방송을 수신하는 디지털 방송 수신기의 화면 설정 방법에 있어서,
    a) 디지털 방송 수신기가 상기 영상정보의 가로와 세로의 화면 비율을 산출하는 단계;
    b) 상기 디지털 방송 수신기가 상기 산출한 화면 비율과 출력 화면의 비율을 비교하여 상기 출력 화면의 공간을 산출하는 단계;
    c) 상기 디지털 방송 수신기가 상기 출력 화면을 상기 영상정보가 출력될 부분인 영상출력 영역과 상기 부가정보가 출력될 부분인 부가정보 영역으로 분할하여 화면 배치를 설정하는 단계; 및
    d) 상기 디지털 방송 수신기가 상기 산출된 화면 비율이 변경되면 상기 부가 정보를 자동으로 상기 부가정보 영역의 소정 지점에 배치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디지털 방송 수신기의 자동 화면 설정 방법.
  8. 제 7항에 있어서,
    e) 상기 디지털 방송 수신기가 상기 부가정보의 데이터 종류를 검사하는 단계;
    f) 상기 디지털 방송 수신기가 상기 검사의 결과에 따라 상기 부가정보를 상기 부가정보 영역 중 기 설정된 위치로 이동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디지털 방송 수신기의 자동 화면 설정 방법.
KR1020110006670A 2011-01-24 2011-01-24 디지털 방송 수신기의 자동 화면 설정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124515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06670A KR101245158B1 (ko) 2011-01-24 2011-01-24 디지털 방송 수신기의 자동 화면 설정 시스템 및 그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06670A KR101245158B1 (ko) 2011-01-24 2011-01-24 디지털 방송 수신기의 자동 화면 설정 시스템 및 그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85385A true KR20120085385A (ko) 2012-08-01
KR101245158B1 KR101245158B1 (ko) 2013-03-19

Family

ID=4687162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06670A KR101245158B1 (ko) 2011-01-24 2011-01-24 디지털 방송 수신기의 자동 화면 설정 시스템 및 그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45158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6099186A1 (en) * 2014-12-18 2016-06-23 Samsung Electronics Co., Ltd. Display apparatus and controlling method
KR102353339B1 (ko) * 2021-08-10 2022-02-08 (주)앰플인터랙티브 동영상 플랫폼을 이용한 온라인 광고 시스템 및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87203B1 (ko) * 1997-10-17 2005-08-17 삼성전자주식회사 영상디스플레이장치의디스플레이방법
KR20030037131A (ko) * 2001-11-02 2003-05-12 주식회사 디지털스트림테크놀로지 영상신호의 화면비에 따른 티브이의 디스플레이 제어 방법
KR100430876B1 (ko) * 2002-01-11 2004-05-10 엘지전자 주식회사 디지털 텔레비전 수신기의 여백 조정 장치 및 그 방법
KR20060008672A (ko) * 2004-07-23 2006-01-27 엘지전자 주식회사 디지털 방송 수신기의 화면비에 따른 캡션위치 설정제어방법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6099186A1 (en) * 2014-12-18 2016-06-23 Samsung Electronics Co., Ltd. Display apparatus and controlling method
KR102353339B1 (ko) * 2021-08-10 2022-02-08 (주)앰플인터랙티브 동영상 플랫폼을 이용한 온라인 광고 시스템 및 방법
KR20230025312A (ko) * 2021-08-10 2023-02-21 (주)앰플인터랙티브 재생되는 영상과 연동된 2개의 광고 영역을 제공하는 온라인 광고 시스템 및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245158B1 (ko) 2013-03-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133051B2 (en) Full scale video with overlaid graphical user interface and scaled image
US6510557B1 (en) Apparatus for the integration of television signals and information from an information service provider
US20060059514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utilizing blank space on a high definition television screen
US9332301B2 (en) Multimedia device and method for displaying advertisement broadcasting thereof
KR20100055061A (ko) 디지털 방송 수신기에서 수신한 방송 컨텐츠의 화면 구성 제어 방법 및 장치
EP2611165A1 (en) Image processing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of
US20110187925A1 (en) Video output apparatus and video output method
KR100769245B1 (ko) 다수의 헤더들을 사용하여 다수의 비디오 래스터 크기들사이에서 단일의 osd 픽스맵을 사용하기 위한 방법 및시스템
KR20080013710A (ko) 방송 수신기 및 그의 동작 방법
KR101245158B1 (ko) 디지털 방송 수신기의 자동 화면 설정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0487396B1 (ko) 영화 모드를 지원하는 디지털 티브이 시스템 및 영화 모드지원 방법
KR20060022294A (ko) 데이터방송 등을 수신하는 보조화면이 추가된 두화면 디지털 디스플레이어
Richer et al. The ATSC digital television system
US20080180572A1 (en) Enabling access to closed captioning data present in a broadcast stream
KR20080099206A (ko) 화상 처리 시스템, 화상 처리 방법, 및 프로그램
KR20140029082A (ko) 광고 내장 시스템, 광고 내장 방법, 및 그 기록매체
KR100752838B1 (ko) 부화면의 부분영역을 주화면으로 제공하는 디지털방송녹화재생장치 및 그 방법
JP2015019173A (ja) 映像表示装置およびテレビシステム
KR20100130048A (ko) 방송 수신 방법 및 장치
CN108391178B (zh) 一种分辨dvb条件接收系统水印的方法
KR100651293B1 (ko) 영상표시기기의 신호처리장치 및 방법
KR100307595B1 (ko) 방송신호와 수신기의 화면비가 상이할 때의 화면 처리방법 및그 장치
IT202000021184A1 (it) Videoriproduttore web di video panoramici a 360 gradi con sovrapposizione oggetti interattivi durante la riproduzione.
KR20090074631A (ko) 자막 번역 서비스 제공 방법
KR100701308B1 (ko) 슬라이드식 이미지를 이용한 전자 프로그램 가이드 정보제공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412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411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