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430876B1 - 디지털 텔레비전 수신기의 여백 조정 장치 및 그 방법 - Google Patents

디지털 텔레비전 수신기의 여백 조정 장치 및 그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30876B1
KR100430876B1 KR10-2002-0001596A KR20020001596A KR100430876B1 KR 100430876 B1 KR100430876 B1 KR 100430876B1 KR 20020001596 A KR20020001596 A KR 20020001596A KR 100430876 B1 KR100430876 B1 KR 10043087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rgin
additional information
displayed
maximum size
digital televis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0159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30060676A (ko
Inventor
이규재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2-000159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430876B1/ko
Publication of KR2003006067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6067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3087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30876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35Processing of additional data, e.g. decrypting of additional data, reconstructing software from modules extracted from the transport stream
    • H04N21/4355Processing of additional data, e.g. decrypting of additional data, reconstructing software from modules extracted from the transport stream involving reformatting operations of additional data, e.g. HTML pages on a television screen
    • H04N21/4356Processing of additional data, e.g. decrypting of additional data, reconstructing software from modules extracted from the transport stream involving reformatting operations of additional data, e.g. HTML pages on a television screen by altering the spatial resolution, e.g. to reformat additional data on a handheld device, attached to the STB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wo-Way Televisions, Distribution Of Moving Picture Or The Like (AREA)
  • Televis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사용자가 해당 채널의 비디오/오디오 시청시 부가 정보를 확인하면서도 해당 채널의 TV 시청에 방해를 받지 않도록 하는 디지털 텔레비전 수신기의 여백 조정 장치 및 그 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전송된 영상의 해상도 정보를 판별하여 이를 디지털 텔레비전 수신기 자신의 화면 비 정보와 비교하여 여백의 최대 크기를 산출한 후, 사용자로부터 부가정보를 표시하라고 하는 요청이 있고, 요청된 부가정보를 산출된 최대 크기의 여백에 표시할 수 있을 경우 영상이 표시되고 있는 화면 영역을 이동하여 최대 크기의 여백을 생성한 후, 이 생성된 여백에 부가정보를 표시하도록 한다.

Description

디지털 텔레비전 수신기의 여백 조정 장치 및 그 방법{Apparatus and Method for Margin Adjustment in Digital Television Set}
본 발명은 디지털 텔레비전 수신기의 여백 조정 장치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디지털 방송 시청시 사용자가 부가 정보를 확인하면서도 해당 채널의 비디오 및 오디오 시청에 방해를 받지 않도록 하는 디지털 텔레비전 수신기의 여백 조정 장치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이다.
상기 디지털 방송은 디지털 텔레비전 수신기(DTV)에서 비디오나 오디오 정보외에도 컴퓨터 데이터나 컴퓨터 소프트웨어 등의 정보를 전송할 수 있는 것으로서 예를 들면, 디지털 텔레비전을 통해 텔레비전 프로그램을 시청하면서 동시에 주요 일간지의 내용을 전송 받을 수도 있으며, 새로운 정보, 오락, 광고에의 다양한 응용 서비스가 가능하고, 또한 정보원으로부터 원하는 정보를 선택적으로 얻을 수도 있는데 이러한 정보들을 통칭하여 "부가 정보"라고 한다. 이러한 부가 정보들은 일반적으로 디지털 텔레비전 수신기의 화면에서 해당 채널의 영상과 중첩되게 표시된다.
한편 일반적인 디지털 방송에서는 표시되는 영상의 해상도와 디지털 텔레비전 수신기의 화면 비율에 따라 여백이 생성되는데, 예를 들면,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지털 텔레비전 수신기의 화면에 표시되는 영상의 해상도가 고해상도(High Definition ; HD급)이고 수신측인 디지털 텔레비전 수신기의 화면 비(가로:세로)가 4:3인 경우에는 그 화면 상/하의 일부 영역에 여백이 생기고, 상기 해당 채널의 영상이 그 해상도가 SD(Stand Definition ; SD급)이고 디지털 텔레비전 수신기의 화면비가 16:9인 경우에는 화면 좌/우의 일부 영역에 여백이 생긴다.
이렇게 생긴 여백에는 해당 채널의 영상뿐만이 아니라, 방송 프로그램 가이드(Electronic Program Guide ; EPG)나 날씨 정보와 같은 부가 정보들도 표시되지않으며,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해당 채널의 영상이 표시되는 있는 화면 영역의 일부에 중첩되게 표시된다.
하지만, 이렇게 영상이 표시되는 영역에 부가 정보들을 중첩되게 표시하면,사용자는 그 중첩된 부가 정보를 통해 가려진 영상을 일시적으로 볼 수 없게 될 뿐만 아니라, 설령 그 부가 정보들을 반투명(translucent)처리 기법을 이용해 표시한 다 할지라도 그 가려진 영상을 제대로 볼 수 없으며, 화면 전체적으로도 여백, 영상, 부가 정보등이 하나의 화면에 동시에 표시됨으로써 시청자에게 산만한 시청환경을 제공해 줄 수 밖에 없다는 문제점이 있다.
이에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소시키기 위한 것으로, 사용자가 부가 정보를 확인하면서도 해당 채널의 비디오/오디오 시청에 방해를 받지 않도록 하는 디지털 텔레비전 수신기의 여백 조정 장치 및 그 방법을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여백 조정 장치 및 방법은, 전송된 영상의 해상도 정보를 판별하여 이를 디지털 텔레비전 수신기 자신의 화면 비 정보와 비교하여 여백의 최대 크기를 산출한 후, 사용자로부터 부가정보를 표시하라고 하는 요청이 있고, 요청된 부가 정보를 산출된 최대 크기의 여백에 표시할 수 있을 경우에, 영상이 표시되고 있는 화면 영역을 이동시켜 최대 크기의 여백을 생성한 후, 이렇게 생긴 최대 크기의 여백에 상기 부가정보를 표시하도록 한다.
도 1은 일반적인 디지털 텔레비전 수신기의 영상 표시 영역에 부가정보를 표시한 도면이고,
도 2는 본 발명인 디지털 텔레비전 수신기의 여백 조정 장치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적용되는 방송 신호의 전송 스트림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적용되는 전송 스트림에 포함된 해상도 정보와 디지털 텔레비전 수신기의 화면 비에 따라 여백 유무가 결정되는 것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5는 본 발명에 따라 디지털 텔레비전 수신기의 여백에 부가정보를 표시한 도면이고,
도 6과 도 7은 본 발명인 디지털 텔레비전 수신기의 여백 조정 방법을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먼저 본 발명의 여백 조정 장치를 도 2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상기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방송신호의 전송스트림에 대한 동조와 복조를 수행하고, 전송과정에서 발생된 에러를 정정하여 출력하는 채널부(20)와, 상기 채널부(20)에서 출력된 신호를 비디오/오디오 정보와 부가정보로 각기 분리하는 디멀티 플렉서(21)와, 상기 디멀티 플렉서(21)에서 분리된 비디오/오디오 정보를 디코딩 처리하는 AV 디코더(22)와, 상기 분리된 부가정보를 파싱하여 해당 비디오 정보의 해상도를 판별하는 해상도 판별부(23)와, 판별된 해상도 정보와 디스플레이 기기 자신의 화면 비 정보를 비교해 여백이 있을 경우 여백의 총 크기를 산출하는 여백 크기 산출부(24)와, 상기 산출된 최대 크기의 여백이 생기도록 영상이 표시되고 있는 화면 영역을 이동시키는 스케일러(25)와, 상기 영상이 표시되고 있는 화면 영역을 이동시켜 생긴 여백에 부가 정보를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26)와, 상기 각 부를 제어하는 마이크로 컴퓨터(27) 및 상기 부가 정보를 저장하는 메모리(28)로 이루어진다.
이렇게 이루어지는 여백 조정 장치는 먼저, 상기 채널부(20)가 마이크로 컴퓨터(27)의 제어하에 전송된 방송신호에 대한 동조와 복조를 수행하고, 전송과정에서 발생된 에러를 정정하여 출력하면, 상기 디멀티 플렉서(21)는 이 출력된 방송 신호를 비디오/오디오 정보와 부가 정보로 각기 분리하고, 분리된 비디오/오디오 정보는 AV디코더부(22)를 통해 디코딩 처리된다.
그리고 해상도 판별부(23)는 상기 마이크로 컴퓨터(27)의 제어하에 상기 디멀티플렉서(21)로부터 분리된 부가정보를 파싱하고 파싱한 결과를 이용해 방송국으로부터 전송된 비디오의 해상도를 판별한다.
이러한 "해상도 판별"은 방송 신호에 실려 오는 전송 스트림 헤더의 PID(Packet Identifier)를 이용해 판별할 수 있는데, 이러한 정보는 송신측인 방송국에서 미리 송출한 것으로서 이에 대한 설명을 도 3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현재 데이터 방송에서 기본이 되는 전송 스트림 포맷은 국제 규격인, ISO/IEC 13818-1 규격에 정의되어 있다.
이러한 전송 스트림 포맷 규격에서는, 비디오 및 오디오 정보가 MPEG2의 전송 스트림 구조를 갖는 188바이트의 패킷으로 전송되고, 하나의 패킷은 188바이트로 구성되며, 이중 4바이트는 패킷의 성격을 나타내는 헤더정보를 가지나 실제적인 데이터는 페이로드라고 하는 184바이트에 포함되도록 되어 있다.
이러한 전송 스트림 포맷의 헤더는 MPEG-2의 패킷을 지칭하는 패킷 식별자(Packet Identifier ; PID)를 포함하는데, 이러한 패킷 식별자에는 해상도(definition)정보 등이 포함되어 있다.
예를 들면,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송된 비디오의 해상도가 표준해상도(Standard Definition ; SD)임을 나타낼 경우에는 PID필드에 "0"비트를 인코딩하고, 이와 달리 송출된 비디오의 해상도가 고 해상도(High Definition ; HD)임을 나타낼 경우에는 상기 PID필드에 "1"비트를 인코딩하게 되는데, 방송국은 이러한 인코딩 작업을 통해 송출되고 있는 비디오의 해상도 정보를 수신측에서 식별할 수 있게 해 준다.
또한 상기와 같이 해상도를 식별할 수도 있을 뿐만 아니라, 2 비트 이상을사용하여 좀 더 세분화된 "해상도 정보"를 나타낼 수도 있는바, 이는 송신측인 방송국의 사정에 따라 얼마든지 그 변형이 가능하다.
한편 전술한 동작을 통해 상기 해상도 판별부(23)가 분리된 부가 정보를 파싱하여 전송된 비디오의 해상도 정보를 판별하게 되면, 여백 크기 산출부(24)는 이 판별된 해상도 정보와 디지털 텔레비전 수신기 자신의 화면 비(가로:세로)정보를 비교하여 화면에 여백이 형성되는 가를 판단하고, 판단 결과 여백이 형성될 경우에는 부가정보 등을 표시할 수 있는 여백의 최대 크기를 산출하고 산출된 정보를 메모리(28)에 저장해 둔다.
다음 이러한 상태에서 부가정보를 화면에 표시하라는 요청이 마이크로 컴퓨터(27)로 전송되면, 상기 마이크로 컴퓨터(27)는 메모리에 저장된 최대 크기를 갖는 여백에 부가정보를 표시할 수 있는 가를 판단한다.
상기 판단 결과, 여백의 최대 크기가 요청된 부가정보가 표시될 영역의 크기보다 큰 경우는 여백에 상기 요청된 부가정보를 표시할 수 있는 것으로 판단하고, 상기 마이크로 컴퓨터(27)의 제어하에 영상이 표시되고 있는 화면 영역을 어느 한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작업이 스케일러(25)에 의해 수행된다. 그 후 디스플레이부(26)는 이렇게 이동되어 생긴 여백에 메모리에 저장되어 있던 부가정보를 표시하게 된다.
예를 들면,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송된 비디오의 해상도가 "HD"급이고 디지털 텔레비전 수신기의 화면 비(가로:세로)가 4:3이(#1)어서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화면의 상/하 영역에 여백이 형성될 경우, 상기 스케일러(25)는 영상이 표시되고 있는 영역을 상 또는 하의 어느 한 방향으로 이동시켜 그 여백이 하나의 영역으로 집중되게 하고, 디스플레이부(26)는 이렇게 생긴 여백에 메모리에 저장된 부가정보 등을 표시하게 되는데, 도 5에서는 영상 표시 영역을 화면 상단으로 이동시켜 화면 하부에 최대 크기의 여백이 형성되도록 한 예와, 전송 스트림의 해상도가 "SD"급이고, 디지털 텔레비전의 화면 비(가로:세로)가 16:9인 경우, 영상 표시 영역을 화면 좌측으로 이동시켜 화면의 우측에 최대 크기의 여백이 생기도록 한 예를 도시하고 있다.
한편 전술한 바와 달리, 여백의 최대 크기가 요청된 부가정보가 표시될 영역의 크기보다 작은 경우 즉, 여백에 상기 요청된 부가정보를 표시할 수 없는 경우에는 영상이 표시되고 있는 영역에 부가정보 등을 표시하게 된다.
다음으로는 다른 본 발명인 여백 조정 방법을 도 6과 도 7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상기 도 6은 전송된 비디오의 해상도를 판별하여 여백의 최대 크기를 산출하는 과정을 도시한 도면이고, 상기 도 7은 최대 크기의 여백에 부가정보 등을 표시하는 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먼저 여백의 최대 크기 산출 과정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방송국으로부터 전송 스트림을 수신하는 단계(S60)와, 수신된 전송 스트림으로부터 해상도에 관한 정보를 파싱하는 단계(S61)와, 파싱된 해상도 정보와 디지털 텔레비전 자신의 화면 비를 비교하는 단계(S62)와 상기 비교 결과 여백이 있는 가를 판단하는 단계(S63)와, 여백이 있을 경우 부가정보 등을 표시할 수 있는 여백의 최대 크기를산출하는 단계(S64)와, 산출된 여백의 최대 크기에 관한 정보를 저장하는 단계(S64)로 구성된다.
그리고 최대 크기의 여백에 부가정보 등을 표시하는 과정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가 특정 부가 정보를 화면에 표시하라고 요청하는 단계(S70)와, 요청된 부가정보를 표시할 화면의 크기와 산출된 여백의 최대 크기를 비교하는 단계(S71)와, 상기 비교를 이용해 부가정보를 최대 크기의 여백에 표시할 수 있는 가를 판단하는 단계(S72)와, 상기 판단 결과 부가정보를 최대 크기의 여백에 표시할 수 없다고 판단된 경우에는 영상이 표시되고 있는 화면에 부가정보를 표시하고(S73), 이와 달리 부가정보를 그 여백에 표시할 수 있다고 판단된 경우에는 영상이 표시되고 있는 화면을 이동시키도록 하는 단계(S74)와, 영상이 표시되고 있는 화면을 이동시켜 생긴 여백에 부가정보 등을 표시하는 단계(S75)로 구성된다.
이렇게 구성되는 여백 조정 방법은, 먼저 디지털 텔레비전 수신기가 방송국으로부터 송출된 전송 스트림을 수신하면(S60), 수신된 전송 스트림을 파싱하여(S61)방송 신호에 포함된 비디오의 해상도 정보를 판별한다.
그런 다음 판별된 해상도 정보와 디지털 텔레비전 수신기 자신의 화면 비(가로:세로)정보를 비교하고(S62) 비교 결과를 이용해 부가정보를 표시할 여백이 있는 가를 판단한다(S63).
예를 들면, 전송된 비디오의 해상도가 "고해상도(High Definition ; HD급)"일 경우 수신측인 디지털 텔레비전 수신기의 화면 비(가로:세로)가 4:3이라면 표시할 여백이 있다고 판단하고 화면비(가로:세로)가 16:9라면 화면 전체에 영상이 표시되기 때문에 부가정보를 표시할 여백이 없다고 판단한다.
한편 상기 판단 결과 여백이 있다고 판단된 경우에는, 상기 부가 정보를 표시할 여백의 최대 크기 즉 상/하 영역에 생긴 여백을 어느 한 방향으로 이동시켜(S64) 생기는 여백의 최대 크기를 산출하고 산출된 정보를 저장해 둔다(S65).
이러한 상태에서 사용자로부터 부가정보를 표시하라는 요청이 입력되면(S70), 상기 부가정보를 표시하기 위해 필요한 영역의 크기와 상기 산출된 여백의 최대 크기를 비교하여(S71), 사용자가 요청한 부가정보를 최대 크기의 여백에 표시할 수 있는가를 판단한다(S72).
상기 판단 결과, 최대 크기의 여백에 부가정보를 표시할 수 있는 경우에는 현재 영상이 표시되고 있는 화면 영역을 어느 한 방향으로 이동시켜(S74) 최대 크기의 여백을 만든 다음 이 여백에 사용자로부터 요청된 부가정보를 표시하고(S75), 이와 달리 상기 여백의 최대 크기가 부가정보를 표시하기 위해 필요한 영역의 크기보다 작은 경우, 즉 상기 여백에 부가정보를 표시할 수 없는 경우에는 이 부가정보를 영상이 표시되고 있는 영역에 표시하여(S73) 여백에 부가정보를 표시하는 과정을 종료한다.
이상에서 상세히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디지털 텔레비전 수신기의 여백 조정 장치 및 방법은, 데이터 방송을 수신하는 디지털 텔레비전 수신기가 자신의 화면 비와 전송되는 비디오의 해상도가 상이할 경우에 발생되는 여백에 다양한 부가 정보 등이 표시되도록 함으로써 사용자는 부가 정보를 보면서도 TV 시청에 방해를 받지 않게 되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기재된 구체적인 예에 대해서만 상세히 설명되었지만 본 발명의 기술사상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 및 수정이 가능함은 당업자에게 있어서 명백한 것이며, 이러한 변형 및 수정이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속함은 당연한 것이다.

Claims (4)

  1. 수신된 영상의 해상도를 판별하는 해상도 판별부와 ;
    판별된 해상도와 디지털 텔레비전 수신기 자신의 화면 비를 비교하여 영상이 표시되고 있는 화면 영역을 이동시켜 형성될 수 있는 여백의 최대 크기를 산출하는 여백 크기 산출부와 ;
    상기 산출된 최대 크기의 여백이 생기도록 영상이 표시되고 있는 화면 영역을 이동시키는 스케일러와 ;
    상기 해상도 판별부, 여백 크기 산출부, 스케일러를 제어하는 마이크로 컴퓨터로 이루어지는 디지털 텔레비전 수신기의 여백 조정 장치.
  2. 수신된 영상이 표시되고 있는 화면 영역을 이동시켜 형성될 수 있는 여백의 최대 크기를 산출하는 제 1 단계와 ;
    상기 제 1 단계를 통해 산출한 최대 크기의 여백이 생기도록 영상이 표시되고 있는 화면 영역을 이동시키는 제 2 단계와 ;
    상기 제 2 단계를 통해 영상이 표시되고 있는 화면 영역을 이동하여 생긴 최대 크기의 여백에 부가정보를 표시하는 제 3 단계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텔레비전 수신기의 여백 조정 방법.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단계는 ;
    상기 수신된 영상의 해상도와 디지털 텔레비전 수신기 자신의 화면 비를 이용하여 여백의 최대 크기를 산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텔레비전 수신기의 여백 조정 방법.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 3 단계는 ;
    상기 부가정보가 표시될 화면 표시영역과 상기 최대 크기의 여백을 비교하여, 비교 결과 상기 최대 크기의 여백이 상기 부가정보의 화면 표시영역보다 클 경우에만 상기 최대 크기의 여백에 부가정보를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텔레비전 수신기의 여백 조정 방법.
KR10-2002-0001596A 2002-01-11 2002-01-11 디지털 텔레비전 수신기의 여백 조정 장치 및 그 방법 KR10043087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01596A KR100430876B1 (ko) 2002-01-11 2002-01-11 디지털 텔레비전 수신기의 여백 조정 장치 및 그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01596A KR100430876B1 (ko) 2002-01-11 2002-01-11 디지털 텔레비전 수신기의 여백 조정 장치 및 그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60676A KR20030060676A (ko) 2003-07-16
KR100430876B1 true KR100430876B1 (ko) 2004-05-10

Family

ID=2845002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01596A KR100430876B1 (ko) 2002-01-11 2002-01-11 디지털 텔레비전 수신기의 여백 조정 장치 및 그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430876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837194B2 (en) 2021-01-29 2023-12-05 Samsung Electronics Co., Ltd. Electronic apparatus and controlling method thereof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11171B1 (ko) * 2006-08-22 2008-03-07 엔에이치엔(주) 해상도에 따라 콘텐츠 영역의 범위를 조절하는 방법 및상기 방법을 수행하는 시스템
KR101245158B1 (ko) * 2011-01-24 2013-03-19 주식회사 디지털스트림테크놀로지 디지털 방송 수신기의 자동 화면 설정 시스템 및 그 방법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9172A (ja) * 1995-06-23 1997-01-10 Toshiba Corp 映像信号処理装置
KR19990025614A (ko) * 1997-09-13 1999-04-06 전주범 와이드화면의 자막표시제어장치
KR19990031447A (ko) * 1997-10-10 1999-05-06 전주범 와이드화면 상하 조절방법
KR19990015894U (ko) * 1997-10-21 1999-05-15 전주범 와이드 텔레비젼 디스플레이 포맷 변환장치
KR19990042918A (ko) * 1997-11-28 1999-06-15 구자홍 디스플레이의 화면 표시 제어 방법 및 장치
KR20000074244A (ko) * 1999-05-19 2000-12-15 구자홍 와이드 디지털 티브이의 자막 데이터 디스플레이 장치 및 방법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9172A (ja) * 1995-06-23 1997-01-10 Toshiba Corp 映像信号処理装置
KR19990025614A (ko) * 1997-09-13 1999-04-06 전주범 와이드화면의 자막표시제어장치
KR19990031447A (ko) * 1997-10-10 1999-05-06 전주범 와이드화면 상하 조절방법
KR19990015894U (ko) * 1997-10-21 1999-05-15 전주범 와이드 텔레비젼 디스플레이 포맷 변환장치
KR19990042918A (ko) * 1997-11-28 1999-06-15 구자홍 디스플레이의 화면 표시 제어 방법 및 장치
KR20000074244A (ko) * 1999-05-19 2000-12-15 구자홍 와이드 디지털 티브이의 자막 데이터 디스플레이 장치 및 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837194B2 (en) 2021-01-29 2023-12-05 Samsung Electronics Co., Ltd. Electronic apparatus and controlling method thereof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60676A (ko) 2003-07-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707504B2 (en) Caption display method of digital television
CN103026713B (zh) 3d视频广播中的辅助数据
JP4859219B2 (ja) 映像出力装置及びその制御方法
JP4871635B2 (ja) デジタル放送受信装置及びその制御方法
US8045004B2 (en) Display signal control apparatus, and display signal control method
JP5013832B2 (ja) 映像制御装置及びその方法
US7202912B2 (en) Method and system for using single OSD pixmap across multiple video raster sizes by chaining OSD headers
US20110157164A1 (en) Image processing apparatus and image processing method
US6750918B2 (en) Method and system for using single OSD pixmap across multiple video raster sizes by using multiple headers
US20070028257A1 (en) Broadcasting signal receiver and method for displaying channel information
KR100430876B1 (ko) 디지털 텔레비전 수신기의 여백 조정 장치 및 그 방법
EP1765010A2 (en) Signal processing method and apparatus
Richer et al. The ATSC digital television system
US20010037501A1 (en) TV having OSD function and control method of the same
KR101488068B1 (ko) 광고 내장 시스템, 광고 내장 방법, 및 그 기록매체
KR20010015271A (ko) 다중 온 스크린 디스플레이 포맷을 포함하는 비디오를처리하는 방법 및 시스템
KR100841143B1 (ko) 시청 제한 방법 및 그 장치
US11930195B2 (en) Decoding a video signal in a video decoder chipset
KR100467633B1 (ko) 한 개의 디지털 튜너를 이용한 프로그램 가이드 표시 제어방법 및 그 디지털 방송 수신 장치
KR100862115B1 (ko) 디지털 방송 수신기 및 그 운용방법
KR100917480B1 (ko) 디지털 방송 수신기 및 데이터 신호 처리 방법
KR20030043189A (ko) 부가정보 표시 방법 및 그 장치
JP2004207831A (ja) デジタル放送送受信方法と装置及び進行状況字幕送信装置と進行状況画面送信装置並びにコンピュータ・ソフトウエア
KR20080043126A (ko) 웹페이지 호출기능을 갖춘 디지털 텔레비젼과 이의 호출방법
KR20050029356A (ko) 디지털 방송 수신기 및 방송 신호 디스플레이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