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084889A - Method for fitting puzzle using wireless communication - Google Patents

Method for fitting puzzle using wireless communication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084889A
KR20120084889A KR1020110006193A KR20110006193A KR20120084889A KR 20120084889 A KR20120084889 A KR 20120084889A KR 1020110006193 A KR1020110006193 A KR 1020110006193A KR 20110006193 A KR20110006193 A KR 20110006193A KR 20120084889 A KR20120084889 A KR 2012008488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uzzle
mobile terminal
picture
wireless communication
serv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06193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1170741B1 (en
Inventor
이태양
정구민
여종윤
강동병
신성훈
Original Assignee
정구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구민 filed Critical 정구민
Priority to KR102011000619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70741B1/en
Publication of KR2012008488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84889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7074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70741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FCARD, BOARD, OR ROULETTE GAMES; INDOOR GAMES USING SMALL MOVING PLAYING BODIES; VIDEO GAMES; GAM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3F13/00Video games, i.e. games using an electronically generated display having two or more dimensions
    • A63F13/30Interconnection arrangements between game servers and game devices; Interconnection arrangements between game devices; Interconnection arrangements between game servers
    • A63F13/32Interconnection arrangements between game servers and game devices; Interconnection arrangements between game devices; Interconnection arrangements between game servers using local area network [LAN] connections
    • A63F13/327Interconnection arrangements between game servers and game devices; Interconnection arrangements between game devices; Interconnection arrangements between game servers using local area network [LAN] connections using wireless networks, e.g. Wi-Fi® or piconet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FCARD, BOARD, OR ROULETTE GAMES; INDOOR GAMES USING SMALL MOVING PLAYING BODIES; VIDEO GAMES; GAM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3F13/00Video games, i.e. games using an electronically generated display having two or more dimensions
    • A63F13/30Interconnection arrangements between game servers and game devices; Interconnection arrangements between game devices; Interconnection arrangements between game servers
    • A63F13/33Interconnection arrangements between game servers and game devices; Interconnection arrangements between game devices; Interconnection arrangements between game servers using wide area network [WAN] connections
    • A63F13/332Interconnection arrangements between game servers and game devices; Interconnection arrangements between game devices; Interconnection arrangements between game servers using wide area network [WAN] connections using wireless networks, e.g. cellular phone network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FCARD, BOARD, OR ROULETTE GAMES; INDOOR GAMES USING SMALL MOVING PLAYING BODIES; VIDEO GAMES; GAM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3F9/00Gam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3F9/06Patience; Other games for self-amusement
    • A63F9/0612Electronic puzzl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Econom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arketing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Abstract

PURPOSE: A puzzle completing method using wireless communication is provided to offer a puzzle game, which is that person who first completes a puzzle picture by collecting the pieces, by allocating unique picture pieces to plural portable terminals. CONSTITUTION: The puzzle server collects user information and stores the collected information into database if first portable terminal requests an user registration to a puzzle server(S406,S408). The first unique picture pieces are assigned to the first portable terminal, which requests the user registration, and are transmitted(S410). The first portable terminal stores the transmitted first unique picture pieces. The first portable terminal transmits the first unique picture pieces into second portable terminal(S416).

Description

무선 통신을 이용한 퍼즐 완성 방법{Method for fitting puzzle using wireless communication}Method for fitting puzzle using wireless communication

본 발명은 무선 통신을 이용한 퍼즐 완성 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휴대 단말기 간에 무선 통신을 이용하여 퍼즐 게임을 즐길 수 있는 무선 통신을 이용한 퍼즐 완성 방법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uzzle completion method using wireless communication, and more particularly, to a puzzle completion method using wireless communication that can enjoy a puzzle game using wireless communication between portable terminals.

휴대 단말기는 휴대가 가능하면서 음성 및 영상 통화를 수행할 수 있는 기능, 정보를 입/출력할 수 있는 기능 및 데이터를 지정할 수 있는 기능 등을 하나 이상 갖춘 휴대용 기기이다.A portable terminal is a portable device that is portable and has one or more functions of making voice and video calls, inputting / outputting information, and specifying data.

이러한 휴대 단말기는 그 기능이 다양화됨에 따라 사진이나 동영상의 촬영, 음악 파일이나 동영상 파일의 재생, 게임, 방송의 수신, 무선 인터넷 등과 같은 복잡한 기능을 갖추게 되었으며, 종합적인 멀티미디어 기기 형태로 구현되고 있다. 또한, 최근에는 이러한 멀티미디어 기기의 형태로 구현된 휴대 단말기에 의해 다양한 부가 기능이 제공되고 있다.As the functions of the portable terminals are diversified, they are equipped with complex functions such as photographing or video recording, playing music files or video files, receiving games, broadcasting, and wireless Internet, and are being implemented as a comprehensive multimedia device. . In addition, various additional functions have recently been provided by portable terminals implemented in the form of such multimedia devices.

한편, 퍼즐 게임은 하나의 그림을 여러 조각으로 나누어서, 다시 하나의 완성된 그림으로 맞추는 놀이의 일종으로 남녀노소를 가리지 않고 다양한 재미와 즐거움을 준다.
On the other hand, the puzzle game is a kind of play that divides one picture into several pieces and puts it back into one completed picture.

본 발명의 목적은 제1 휴대 단말기에서 퍼즐 서버로부터 제1 고유 그림 조각을 할당받아, 무선 통신을 통해 제2 휴대 단말기로 전송하면, 제2 휴대 단말기는,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무선 통신을 통해 전송된 제1 고유 그림 조각과, 제2 휴대 단말기가 미리 상기 퍼즐 서버와 연동하여 할당받은 제2 고유 그림 조각을 이용하여 퍼즐 그림을 완성함으로써, 복수의 휴대 단말기에 고유 그림 조각을 할당한 후 무선 통신을 이용하여 먼저 복수의 고유 그림 조각들을 빨리 모아 퍼즐 그림을 완성하는 사람이 승리하는 퍼즐 게임을 제공하는 무선 통신을 이용한 퍼즐 완성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According to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when a first unique picture piece is allocated from a puzzle server in a first mobile terminal and transmitted to a second mobile terminal through wireless communication, the second mobile terminal is controlled through wireless communication according to a user's operation. After completing the puzzle picture by using the first unique picture pieces transmitted and the second unique picture pieces previously allocated by the second mobile terminal in association with the puzzle server, the mobile device allocates the unique picture pieces to the plurality of mobile terminals, It is to provide a puzzle completion method using wireless communication that provides a puzzle game in which a person who completes a puzzle picture by quickly collecting a plurality of unique picture pieces using communication first.

본 발명에 따른 무선 통신을 이용한 퍼즐 완성 방법은, 제1 휴대 단말기에서 퍼즐 서버로 사용자 등록을 요청하면, 퍼즐 서버는 사용자 정보를 수집하여 데이터 베이스에 저장하고, 사용자 등록을 요청한 제1 휴대 단말기로 제1 고유 그림 조각을 할당하여 전송하는 고유 그림 조각 할당 단계, 제1 휴대 단말기는 전송된 제1 고유 그림 조각을 저장하고, 제1 고유 그림 조각을 무선 통신을 통해 제2 휴대 단말기로 전송하는 그림 조각 공유 단계 및 제2 휴대 단말기는,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무선 통신을 통해 전송된 제1 고유 그림 조각과, 제2 휴대 단말기가 미리 퍼즐 서버와 연동하여 할당받은 제2 고유 그림 조각을 이용하여 퍼즐 그림을 완성하고, 퍼즐 그림을 퍼즐 서버로 전송하는 퍼즐 완성 단계를 포함한다.In the puzzle completion method using wireless communica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hen a user registration request is requested from the first mobile terminal to the puzzle server, the puzzle server collects user information and stores the user information in a database, and requests the user registration to the first mobile terminal. A unique picture fragment allocation step of allocating and transmitting a first unique picture fragment, wherein the first mobile terminal stores the transmitted first unique picture fragment and transmits the first unique picture fragment to the second mobile terminal through wireless communication. The piece sharing step and the second mobile terminal, according to a user's operation, use the first unique picture piece transmitted through wireless communication and the second unique picture piece previously allocated by the second mobile terminal in association with the puzzle server. Complete the puzzle picture, and the puzzle completion step of sending the puzzle picture to the puzzle server.

또한, 퍼즐 완성 단계 이후에, 퍼즐 서버는 전송된 퍼즐 그림에 대해 퍼즐 완성 여부를 확인하고, 확인 결과 퍼즐이 완성된 경우, 기 설정된 부가 혜택을 제2 휴대 단말기로 제공하는 부가 혜택 부여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after the puzzle completion step, the puzzle server checks whether the puzzle is completed with respect to the transmitted puzzle picture, and if the puzzle is completed as a result of the verification, the puzzle server further provides an additional benefit granting step of providing the preset additional benefit to the second mobile terminal. It is preferable to include.

또한, 그림 조각 공유 단계는, 제1 휴대 단말기가 하나 이상의 타 휴대 단말기 중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어느 한 휴대 단말기와 무선 통신 모듈을 통해 접속하여 제1 고유 그림 조각을 전송하는 것이 바람직하다.Further, in the picture fragment sharing step, it is preferable that the first mobile terminal transmits the first unique picture fragment by connecting to one of the one or more other portable terminals by the user through the wireless communication module.

또한, 그림 조각 공유 단계는, 제1 휴대 단말기가 블루투스 또는 지그비에 의해 형성된 무선 채널을 통해 제2 휴대 단말기로 제1 고유 그림 조각을 전송하는 것이 바람직하다.Also, in the picture fragment sharing step, it is preferable that the first mobile terminal transmits the first unique picture fragment to the second mobile terminal through a wireless channel formed by Bluetooth or Zigbee.

또한, 고유 그림 조각 할당 단계 이전에, 제1 휴대 단말기가 퍼즐 서버에 접속하여 퍼즐 애플리케이션을 요청하면, 퍼즐 서버는 제1 휴대 단말기로 퍼즐 애플리케이션을 전송하는 애플리케이션 배포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In addition, before the unique picture piece assignment step, when the first mobile terminal accesses the puzzle server to request a puzzle application, the puzzle server further includes an application distribution step of transmitting the puzzle application to the first mobile terminal.

본 발명에 따르면 복수의 휴대 단말기에 고유 그림 조각을 할당한 후 무선 통신을 이용하여, 먼저 복수의 고유 그림 조각들을 빨리 모아 퍼즐 그림을 완성하는 사람이 승리하는 퍼즐 게임을 제공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fter assigning unique picture pieces to a plurality of mobile terminals, using wireless communication, a person who completes a puzzle picture by quickly collecting a plurality of unique picture pieces first can provide a puzzle game.

또한, 퍼즐 그림 조각을 완성하면 무료 및 할인 쿠폰, 점수 랭킹 등을 부여하는 부가 혜택을 제공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completion of the puzzle picture pieces can provide additional benefits that give free and discount coupons, score ranking, and the like.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무선 통신을 이용한 퍼즐 완성 시스템을 나타낸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퍼즐 서버의 내부 구성을 나타낸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의 내부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무선 통신을 이용한 퍼즐 완성 과정을 나타낸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선 통신을 이용한 퍼즐 완성을 위한 화면 흐름도.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무선 통신을 이용한 퍼즐 완성을 위한 화면 흐름도.
1 is a view showing a puzzle completion system using a wireless communica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diagram showing the internal configuration of a puzzle serv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block diagram showing an internal configuration of a portable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view showing a puzzle completion process using a wireless communica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screen flow diagram for completing the puzzle using wireless communica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6 is a screen flow diagram for completing a puzzle using wireless communication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Hereinafter,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무선 통신을 이용한 퍼즐 완성 시스템을 나타낸 도면이다.1 is a view showing a puzzle completion system using a wireless communica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무선 통신을 이용한 퍼즐 완성 시스템은 제1 휴대 단말기(100), 제2 휴대 단말기(150) 및 퍼즐 서버(200)를 포함한다.Referring to FIG. 1, a puzzle completion system using wireless communica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first portable terminal 100, a second portable terminal 150, and a puzzle server 200.

제1 휴대 단말기(100)가 퍼즐 서버(200)로 사용자 등록을 요청하면, 퍼즐 서버(200)는 사용자 정보를 수집하여 데이터 베이스에 저장하고, 사용자 등록을 요청한 제1 휴대 단말기(100)로 제1 고유 그림 조각을 할당하여 전송한다. 또한, 제1 휴대 단말기(100)는 전송된 제1 고유 그림 조각을 저장하고, 제1 고유 그림 조각을 무선 통신을 통해 제2 휴대 단말기로 전송한다. 이때, 제1 휴대 단말기가 사용자 등록 요청 전에 퍼즐 서버(200)에 접속하여 퍼즐 애플리케이션을 요청하면, 퍼즐 서버(200)는 제1 휴대 단말기(100)로 퍼즐 애플리케이션을 전송할 수 있다.When the first mobile terminal 100 requests user registration to the puzzle server 200, the puzzle server 200 collects user information, stores the information in a database, and transmits the user information to the first mobile terminal 100 that requests user registration. 1 Assign and send unique picture fragments. In addition, the first mobile terminal 100 stores the transmitted first unique picture fragment and transmits the first unique picture fragment to the second mobile terminal through wireless communication. In this case, when the first portable terminal accesses the puzzle server 200 and requests a puzzle application before the user registration request, the puzzle server 200 may transmit the puzzle application to the first portable terminal 100.

이때, 제1 휴대 단말기(100)는 하나 이상의 타 휴대 단말기 중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어느 한 휴대 단말기와 무선 통신 모듈을 통해 접속하여 제1 고유 그림 조각을 전송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휴대 단말기(100)는 블루투스 또는 지그비에 의해 형성된 무선 채널을 통해 제2 휴대 단말기(150)로제1 고유 그림 조각을 전송할 수 있다.In this case, the first mobile terminal 100 may transmit a first unique picture fragment by connecting to one of the one or more other mobile terminals by a user through a wireless communication module. For example, the first mobile terminal 100 may transmit the first unique picture fragment to the second mobile terminal 150 through a wireless channel formed by Bluetooth or Zigbee.

또한, 제2 휴대 단말기(150)는,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무선 통신을 통해 전송된 제1 고유 그림 조각과, 제2 휴대 단말기가 미리 퍼즐 서버(200)와 연동하여 할당받은 제2 고유 그림 조각을 이용하여 퍼즐 그림을 완성하고, 퍼즐 그림을 퍼즐 서버(200)로 전송한다.In addition, the second mobile terminal 150, according to the user's operation, the first unique picture pieces transmitted through wireless communication, and the second unique picture previously assigned by the second mobile terminal in association with the puzzle server 200. Complete the puzzle picture using the pieces, and transmits the puzzle picture to the puzzle server 200.

이때, 휴대 단말기는 복수 개 구비될 수 있고, 퍼즐 서버는 복수의 휴대 단말기 각각에 고유 그림 조각을 할당하여, 그 중 어느 한 휴대 단말기가 타 휴대 단말기의 고유 그림 조각들을 수집하여 퍼즐 그림을 완성할 수 있다.In this case, a plurality of mobile terminals may be provided, and the puzzle server allocates a unique picture piece to each of the plurality of mobile terminals, and one of the mobile terminals collects the unique picture pieces of the other mobile terminals to complete the puzzle picture. Can be.

이에 따라, 퍼즐 서버(200)는 전송된 퍼즐 그림에 대해 퍼즐 완성 여부를 확인하고, 확인 결과 퍼즐이 완성된 경우, 기 설정된 부가 혜택(예를 들어, 무료 및 할인 쿠폰, 점수에 따른 상위 랭킹 부여 등)을 제2 휴대 단말기로 제공할 수 있다.
Accordingly, the puzzle server 200 checks whether the puzzle is completed with respect to the transmitted puzzle picture, and if the puzzle is completed as a result of the check, the pre-set additional benefits (for example, free and discount coupons and high ranking given according to the score) Etc.) to the second portable terminal.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퍼즐 서버의 내부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2 is a diagram showing the internal configuration of a puzzle serv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퍼즐 서버(200)는 애플리케이션 배포부(202), 고유 그림 조각 배포부(204), 그림 완성 확인부(206), 부가 혜택 관리부(208) 및 사용자 정보와 고유 그림 조각 정보를 저장하는 데이터베이스(210)를 포함한다.Referring to FIG. 2, the puzzle server 2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n application distributor 202, a unique picture fragment distributor 204, a picture completion checker 206, an added benefit manager 208, and a user. Database 210 that stores information and unique picture snippet information.

애플리케이션 배포부(202)는 휴대 단말기로부터 퍼즐 애플리케이션 요청을 수신하면 해당 휴대 단말기로 퍼즐 애플리케이션을 전송한다. 또한, 고유 그림 조각 배포부(204)는 휴대 단말기로부터 사용자 등록 요청을 수신하면 사용자 정보를 수집하여 데이터 베이스(210)에 저장하고, 사용자 등록을 요청한 휴대 단말기로 데이터 베이스(210)에 저장된 고유 그림 조각을 할당하여 전송한다.When the application distribution unit 202 receives the puzzle application request from the mobile terminal, the application distribution unit 202 transmits the puzzle application to the mobile terminal. In addition, when the unique picture fragment distribution unit 204 receives a user registration request from the mobile terminal, the unique picture fragment distribution unit 204 collects and stores user information in the database 210, and stores the unique picture stored in the database 210 as the mobile terminal that requested user registration. Allocate a fragment and send it.

그림 완성 확인부(206)는 휴대 단말기로부터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무선 통신을 통해 전송된 타 고유 그림 조각들과, 자신의 고유 그림 조각을 이용하여 완성된 퍼즐 그림 정보를 수신하면, 수신된 퍼즐 그림 정보에 기초하여 퍼즐 그림의 완성을 확인할 수 있다.The picture completion checker 206 receives the received puzzle picture information from other mobile picture pieces transmitted through wireless communication and the completed puzzle picture information using its own picture pieces from the mobile terminal. Based on the information, you can confirm the completion of the puzzle picture.

또한, 부가 혜택 관리부(208)는 그림 완성 확인부의 확인 결과 퍼즐이 완성된 경우, 기 설정된 부가 혜택(예를 들어, 무료 및 할인 쿠폰, 점수에 따른 상위 랭킹 부여 등)을 해당 휴대 단말기로 제공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additional benefit management unit 208 may provide a predetermined additional benefits (for example, free and discount coupons, granting the upper ranking according to the score) to the corresponding mobile terminal when the puzzle of the picture completion check unit is completed. Can be.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의 내부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이다.3 is a block diagram showing an internal configuration of a portable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100)는, 무선 통신부(110), A/V(Audio/Video) 입력부(120), 조작부(130), 센싱부(140), 출력부(150), 저장부(160), 인터페이스부(170), 제어부(180), 및 전원 공급부(190)를 포함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성요소들은 실제 응용에서 구현될 때 필요에 따라 2 이상의 구성요소가 하나의 구성요소로 합쳐지거나, 혹은 하나의 구성요소가 2 이상의 구성요소로 세분되어 구성될 수 있다.Referring to FIG. 3, the mobile terminal 100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a wireless communication unit 110, an A / V input unit 120, an operation unit 130, and a sensing unit 140. ), An output unit 150, a storage unit 160, an interface unit 170, a controller 180, and a power supply unit 190. Such components may be configured by combining two or more components into one component, or by dividing one or more components into two or more components as necessary when implemented in an actual application.

무선 통신부(110)는 방송수신 모듈(111), GPS 모듈(113), 무선 인터넷 모듈(115), 근거리 통신 모듈(117), 및 이동통신 모듈(119) 등을 포함할 수 있다.The wireless communication unit 110 may include a broadcast receiving module 111, a GPS module 113, a wireless internet module 115, a short range communication module 117, and a mobile communication module 119.

방송수신 모듈(111)은 방송 채널을 통하여 외부의 방송 서버로부터 방송 신호 및 방송관련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수신한다. 이때, 방송 채널은 위성 채널, 지상파 채널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방송 서버는, 방송 신호 및 방송 관련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생성하여 송신하는 서버나, 기 생성된 방송 신호 및 방송관련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제공받아 단말기에 송신하는 서버를 의미할 수 있다.The broadcast receiving module 111 receives at least one of a broadcast signal and broadcast related information from an external broadcast server through a broadcast channel. In this case, the broadcast channel may include a satellite channel, a terrestrial channel, and the like. The broadcast server may mean a server that generates and transmits at least one of a broadcast signal and broadcast related information or a server that receives at least one of the pre-generated broadcast signal and broadcast related information and transmits the same to a terminal.

GPS(Global Position System) 모듈(113)은 복수 개의 GPS 인공위성을 통해 위치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무선 인터넷 모듈(115)은 무선 인터넷망에 접속을 위한 모듈을 말하는 것으로, 무선 인터넷망은 WiFi망일 수 있다.The GPS (Global Position System) module 113 may acquire position information through a plurality of GPS satellites. The wireless internet module 115 refers to a module for accessing a wireless internet network, and the wireless internet network may be a WiFi network.

근거리 통신 모듈(117)은 근거리 통신을 위한 모듈을 말한다. 근거리 통신 기술로 블루투스(Bluetooth),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적외선 통신(IrDA, infrared Data Association), UWB(Ultra Wideband), 지그비(ZigBee) 등이 이용될 수 있다.The short-range communication module 117 refers to a module for short-range communication. Bluetooth, 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RFID), infrared data association (IrDA), ultra wideband (UWB), ZigBee, and the like can be used as the short distance communication technology.

이동통신 모듈(119)은 이동 통신망 상에서 기지국, 외부의 단말, 서버 중 적어도 하나와 무선 신호를 송수신한다. 여기서, 무선 신호는, 음성 호 신호, 화상 통화 호 신호, 또는 문자/멀티미디어 메시지 송수신에 따른 다양한 형태의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The mobile communication module 119 transmits and receives a radio signal with at least one of a base station, an external terminal, and a server on a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Here, the wireless signal may include various types of data according to a voice call signal, a video call signal, or a text / multimedia message transmission / reception.

A/V(Audio/Video) 입력부(120)는 오디오 신호 또는 비디오 신호 입력을 위한 것으로, 이에는 카메라 모듈(121)과 마이크 모듈(123)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카메라 모듈(121)은 화상 통화모드 또는 촬영 모드에서 이미지 센서에 의해 얻어지는 정지영상 또는 동영상 등의 화상 프레임을 처리한다. 그리고, 처리된 화상 프레임은 디스플레이부(151)에 표시될 수 있다.The A / V input unit 120 is for inputting an audio signal or a video signal, and may include a camera module 121 and a microphone module 123. The camera module 121 processes image frames such as still images or moving images obtained by an image sensor in a video call mode or a photographing mode. The processed image frame may be displayed on the display unit 151.

카메라 모듈(121)에서 처리된 화상 프레임은 저장부(160)에 저장되거나 무선 통신부(110)를 통하여 외부로 전송될 수 있다. 카메라 모듈(121)은 단말기의 구성 태양에 따라 2개 이상이 구비될 수도 있다.The image frame processed by the camera module 121 may be stored in the storage 160 or transmitted to the outside through the wireless communication unit 110. Two or more camera modules 121 may be provided according to the configuration of the terminal.

마이크 모듈(123)은 통화모드 또는 녹음모드, 음성인식 모드 등에서 마이크로폰(Microphone)에 의해 외부의 음향 신호를 입력받아 전기적인 음성 데이터로 처리한다. 그리고, 처리된 음성 데이터는 통화 모드인 경우 이동통신 모듈(113)를 통하여 이동통신 기지국으로 송신 가능한 형태로 변환되어 출력될 수 있다. 마이크 모듈(123)는 외부의 음향 신호를 입력받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잡음(noise)를 제거하기 위한 다양한 잡음 제거 알고리즘이 사용될 수 있다.The microphone module 123 receives an external sound signal by a microphone in a call mode, a recording mode, a voice recognition mode, etc., and processes the external sound signal into electrical voice data. The processed voice data can be converted into a form that can be transmitted to the mobile communication base station through the mobile communication module 113 and output when the voice data is in the call mode. The microphone module 123 may use various noise removing algorithms for removing noise generated in the process of receiving an external sound signal.

조작부(130)는 사용자가 단말기의 동작 제어를 위하여 입력하는 키 입력 데이터를 발생시킨다. 조작부(130)는 키 패드(key pad), 돔 스위치(dome switch), 터치 패드(정압/정전), 조그 휠, 조그 스위치, 핑거 마우스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특히, 터치 패드가 후술하는 디스플레이부(151)와 상호 레이어 구조를 이룰 경우, 이를 터치 스크린(touch screen)이라 부를 수 있다.The operation unit 130 generates key input data input by the user for controlling the operation of the terminal. The operation unit 130 may include a key pad, a dome switch, a touch pad (static pressure / capacitance), a jog wheel, a jog switch, a finger mouse, and the like. In particular, when the touch pad has a mutual layer structure with the display unit 151 described later, this may be referred to as a touch screen.

센싱부(140)는 휴대 단말기(100)의 개폐 상태, 휴대 단말기(100)의 위치, 사용자 접촉 유무 등과 같이 휴대 단말기(100)의 현 상태를 감지하여 휴대 단말기(100)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센싱 신호를 발생시킨다. 예를 들어 휴대 단말기(100)가 슬라이드 폰 형태인 경우 슬라이드 폰의 개폐 여부를 센싱할 수 있다. 또한, 전원 공급부(190)의 전원 공급 여부, 인터페이스부(170)의 외부 기기 결합 여부 등과 관련된 센싱 기능을 담당할 수 있다.The sensing unit 140 senses the current state of the portable terminal 100 such as the open / close state of the portable terminal 100, the position of the portable terminal 100, Thereby generating a sensing signal. For example, when the mobile terminal 100 is in the form of a slide phone, it may sense whether the slide phone is opened or closed. In addition, it may be responsible for sensing functions related to whether the power supply unit 190 is supplied with power, whether the interface unit 170 is coupled to an external device, and the like.

출력부(150)는 오디오 신호 또는 비디오 신호 또는 알람(alarm) 신호의 출력을 위한 것으로, 이에는 디스플레이부(151)와 음향출력 모듈(153) 등이 포함될 수 있다.The output unit 150 is for outputting an audio signal, a video signal, or an alarm signal. The output unit 150 may include a display unit 151 and an audio output module 153.

디스플레이부(151)는 휴대 단말기(100)에서 처리되는 정보를 표시 출력한다. 예를 들어 휴대 단말기(100)가 통화 모드인 경우 통화와 관련된 UI(User Interface) 또는 GUI(Graphic User Interface)를 표시한다. 그리고 휴대 단말기(100)가 화상 통화 모드 또는 촬영 모드인 경우, 촬영되거나 수신된 영상 을 각각 혹은 동시에 표시할 수 있으며, UI, GUI를 표시한다. The display unit 151 displays and outputs information processed by the mobile terminal 100. For example, when the portable terminal 100 is in the call mode, a UI (User Interface) or a GUI (Graphic User Interface) associated with a call is displayed. When the mobile terminal 100 is in a video call mode or a photographing mode, the mobile terminal 100 may display captured or received images, respectively, or simultaneously, and display a UI and a GUI.

한편, 전술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부(151)와 터치패드가 상호 레이어 구조를 이루어 터치 스크린으로 구성되는 경우, 디스플레이부(151)는 출력 장치 이외에 입력 장치로도 사용될 수 있다. 만일, 디스플레이부(151)가 터치스크린으로 구성되는 경우, 터치 스크린 패널, 터치 스크린 패널 제어기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터치 스크린 패널은 외부에 부착되는 투명한 패널로서, 휴대 단말기 내부의 버스에 연결될 수 있다. 터치 스크린 패널은 접촉 결과를 주시하고 있다가, 터치입력이 있는 경우 대응하는 신호들을 터치 스크린 패널 제어기로 보낸다. 터치 스크린 패널 제어기는 그 신호들을 처리한 다음 대응하는 데이터를 제어부(180)로 전송하여, 제어부(180)가 터치입력이 있었는지 여부와 터치스크린의 어느 영역이 터치 되었는지 여부를 알 수 있도록 한다. Meanwhile, as described above, when the display unit 151 and the touch pad form a mutual layer structure to form a touch screen, the display unit 151 may be used as an input device in addition to the output device. If the display unit 151 is configured as a touch screen, the display unit 151 may include a touch screen panel, a touch screen panel controller, and the like. In this case, the touch screen panel is a transparent panel attached to the outside and may be connected to a bus inside the portable terminal. The touch screen panel keeps an eye on the contact result and sends corresponding signals to the touch screen panel controller when there is a touch input. The touch screen panel controller processes the signals and then transmits the corresponding data to the controller 180 so that the controller 180 can know whether there is a touch input and which area of the touch screen has been touched.

또한, 디스플레이부(151)는 액정 디스플레이(liquid crystal display), 박막 트랜지스터 액정 디스플레이(thin film transistor-liquid crystal display), 유기 발광 다이오드(organic light-emitting diode), 플렉시블 디스플레이(flexible display), 3차원 디스플레이(3D display) 중에서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도 있다. 그리고, 휴대 단말기(100)의 구현 형태에 따라 디스플레이부(151)가 2개 이상 존재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휴대 단말기(100)에 외부 디스플레이부(미도시)와 내부 디스플레이부(미도시)가 동시에 구비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display unit 151 may include a liquid crystal display, a thin film transistor-liquid crystal display, an organic light-emitting diode, a flexible display, and a three-dimensional display. It may include at least one of the display (3D display). In addition, two or more display units 151 may exist according to the implementation form of the mobile terminal 100. For example, the external display unit (not shown) and the internal display unit (not shown) may be simultaneously provided in the portable terminal 100.

음향출력 모듈(153)은 호신호 수신, 통화모드 또는 녹음 모드, 음성인식 모드, 방송수신 모드 등에서 무선 통신부(110)로부터 수신되거나 저장부(160)에 저장된 오디오 데이터를 출력한다. 또한, 음향출력 모듈(153)은 휴대 단말기(100)에서 수행되는 기능, 예를 들어, 호신호 수신음, 메시지 수신음 등과 관련된 음향 신호를 출력한다. 이러한 음향출력 모듈(153)에는 스피커(speaker), 버저(Buzzer) 등이 포함될 수 있다.The sound output module 153 outputs audio data received from the wireless communication unit 110 or stored in the storage unit 160 in a call signal reception, a call mode or a recording mode, a voice recognition mode, a broadcast reception mode, and the like. The sound output module 153 outputs sound signals related to functions performed in the portable terminal 100, for example, a call signal reception tone, a message reception tone, and the like. The sound output module 153 may include a speaker, a buzzer, and the like.

저장부(160)는 제어부(180)의 처리 및 제어를 위한 프로그램이 저장될 수도 있고, 입력되거나 출력되는 데이터들의 임시 저장을 위한 기능을 수행할 수도 있다.The storage unit 160 may store a program for processing and controlling the controller 180 or may perform a function for temporarily storing input or output data.

저장부(160)는 플래시 메모리 타입(flash memory type), 하드디스크 타입(hard disk type), 멀티미디어 카드 마이크로 타입(multimedia card micro type), 카드 타입의 메모리(예를 들어 SD 또는 XD 메모리 등), 램, 롬 중 적어도 하나의 타입의 저장매체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휴대 단말기(100)는 인터넷(internet) 상에서 저장부(160)의 저장 기능을 수행하는 웹 스토리지(web storage)를 운영할 수도 있다.The storage unit 160 may include a flash memory type, a hard disk type, a multimedia card micro type, a card type memory (eg, SD or XD memory), It may include a storage medium of at least one type of RAM and ROM. In addition, the mobile terminal 100 may operate a web storage that performs a storage function of the storage unit 160 on the Internet.

인터페이스부(170)는 휴대 단말기(100)에 연결되는 모든 외부기기와의 인터페이스 역할을 수행한다. 휴대 단말기(100)에 연결되는 외부기기의 예로는, 유/무선 헤드셋, 외부 충전기, 유/무선 데이터 포트, 메모리 카드(Memory card), SIM/UIM card 등과 같은 카드 소켓, 오디오 I/O(Input/Output) 단자, 비디오 I/O(Input/Output) 단자, 이어폰 등이 있다. 인터페이스부(170)는 이러한 외부 기기로부터 데이터를 전송받거나 전원을 공급받아 휴대 단말기(100) 내부의 각 구성 요소에 전달할 수 있고, 휴대 단말기(100) 내부의 데이터가 외부 기기로 전송되도록 할 수 있다.The interface unit 170 serves as an interface with all external devices connected to the portable terminal 100. Examples of external devices connected to the mobile terminal 100 include a wired / wireless headset, an external charger, a wired / wireless data port, a memory card, a memory card, a SIM / UIM card, and the like, and an audio I / O (Input). / Output) terminal, video I / O (Input / Output) terminal, earphone, and the like. The interface unit 170 receives data from the external device or receives power from the external device and transmits the data to each component in the portable terminal 100 so that data in the portable terminal 100 can be transmitted to the external device .

전원 공급부(190)는 제어부(180)의 제어에 의해 외부의 전원, 내부의 전원을 인가받아 각 구성요소들의 동작에 필요한 전원을 공급한다.The power supply unit 190 receives an external power source and an internal power source under the control of the controller 180 to supply power for operation of each component.

제어부(180)는 통상적으로 각부의 동작을 제어하여 휴대 단말기(10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예를 들어 음성 통화, 데이터 통신, 화상 통화 등을 위한 관련된 제어 및 처리를 수행한다.The controller 180 typically controls the operations of each unit to control the overall operation of the mobile terminal 100. For example, voice communication, data communication, video communication, and the like.

특히, 제어부(180)는 퍼즐 서버로 퍼즐 애플리케이션을 요청하여, 퍼즐 애플리케이션을 수신하면 해당 애플리케이션을 설치하도록 한다. 또한, 제어부(180)는 퍼즐 서버로 사용자 등록을 요청하여, 퍼즐 서버로부터 고유 그림 조각을 할당받을 수 있다.In particular, the controller 180 requests the puzzle application to the puzzle server and installs the corresponding application upon receiving the puzzle application. In addition, the controller 180 may request a user registration from the puzzle server and receive a unique picture piece from the puzzle server.

또한, 제어부(180)는 할당받은 고유 그림 조각을 저장하고, 무선 통신을 통해 고유 그림 조각을 타 휴대 단말기로 전송하도록 한다.In addition, the controller 180 stores the assigned unique picture fragment and transmits the unique picture fragment to another portable terminal through wireless communication.

한편, 제어부(180)는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무선 통신을 통해 전송된 타 휴대 단말기의 고유 그림 조각들과, 미리 퍼즐 서버와 연동하여 할당받은 고유 그림 조각을 이용하여 퍼즐 그림이 완성되면, 해당 퍼즐 그림 정보를 퍼즐 서버로 전송하도록 한다.
On the other hand, the controller 180 when the puzzle picture is completed by using the unique picture pieces of the other mobile terminal transmitted through the wireless communication and the unique picture pieces previously allocated in conjunction with the puzzle server according to the user's operation, Send the puzzle picture information to the puzzle server.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무선 통신을 이용한 퍼즐 완성 과정을 나타낸 도면이다.4 is a diagram illustrating a puzzle completion process using wireless communica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4]를 참조하면, 퍼즐 서버에서 퍼즐 애플리케이션을 배포하면(S402), 제1 휴대 단말기는 퍼즐 애플리케이션을 수신하여 단말기에 설치한다(S404).Referring to FIG. 4, when the puzzle application is distributed from the puzzle server (S402), the first mobile terminal receives the puzzle application and installs the puzzle application on the terminal (S404).

또한, 제1 휴대 단말기는 퍼즐 서버로 사용자 등록을 요청하고(S406), 이에 따라 퍼즐 서버는 사용자 정보를 수집하여(S408) 데이터 베이스에 저장하며, 제1 휴대 단말기에 고유 그림 조각을 할당하여 제1 휴대 단말기로 배포(S410)함에 따라 제1 휴대 단말기는 고유 그림 조각을 획득할 수 있다(S412).In addition, the first mobile terminal requests user registration with the puzzle server (S406), and accordingly, the puzzle server collects user information (S408) and stores the information in a database, and allocates a unique picture piece to the first mobile terminal. According to the distribution to the first mobile terminal (S410), the first mobile terminal may acquire a unique picture fragment (S412).

한편, 제1 휴대 단말기는 고유 그림 조각을 무선 통신을 이용하여 제2 휴대 단말기로 전송함에 따라 고유 그림 조각을 공유(S414)할 수 있고, 이에 따라 제2 휴대 단말기는 제1 휴대 단말기의 고유 그림 조각을 획득할 수 있다(S416).Meanwhile, as the first mobile terminal transmits the unique picture fragment to the second mobile terminal through wireless communication, the first mobile terminal may share the unique picture fragment (S414), and accordingly, the second mobile terminal may share the unique picture fragment of the first mobile terminal. A piece may be obtained (S416).

한편, 제2 휴대 단말기는 퍼즐 서버와 연동하여 미리 자신의 고유 그림 조각을 획득할 수 있으며, 제1 휴대 단말기의 고유 그림 조각과 자신의 고유 그림 조각을 이용하여 퍼즐 그림을 완성하여(S418), 퍼즐 서버로 해당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이에 따라, 퍼즐 서버는 퍼즐 그림의 완성을 확인하여(S420), 제2 휴대 단말기 사용자에 대해 부가 혜택을 부여할 수 있다.
Meanwhile, the second mobile terminal may acquire its own unique picture piece by interworking with the puzzle server, and complete the puzzle picture using the unique picture piece and the unique picture piece of the first mobile device (S418). The information can be sent to the puzzle server. Accordingly, the puzzle server may confirm the completion of the puzzle picture (S420) and may provide an additional benefit to the second portable terminal user.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선 통신을 이용한 퍼즐 완성을 위한 화면 흐름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무선 통신을 이용한 퍼즐 완성을 위한 화면 흐름도이다.5 is a screen flowchart for completing a puzzle using wireless communica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6 is a screen flowchart for completing a puzzle using wireless communication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휴대 단말기는 퍼즐 애플리케이션의 메인 화면(502)을 디스플레이하고,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사용자 등록 화면(504) 또는 퍼즐 화면(506)을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5, the mobile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display a main screen 502 of a puzzle application and display a user registration screen 504 or a puzzle screen 506 according to a user's manipulation.

또한, 휴대 단말기는 퍼즐 화면(506)에서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조각 주기 화면(508) 또는 조각 받기 화면(510)을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한편, 휴대 단말기는 퍼즐 화면에서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퍼즐이 완성되면 퍼즐 완성 화면(512)을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이에 따라, 휴대 단말기는 퍼즐 서버에서 제공하는 부가 혜택을 표시하는 제2 서비스 화면(514)을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portable terminal may display the piece period screen 508 or the piece receiving screen 510 on the puzzle screen 506 according to a user's manipulation. On the other hand, when the puzzle is completed by the user's operation on the puzzle screen, the portable terminal may display the puzzle completion screen 512. Accordingly, the mobile terminal can display the second service screen 514 displaying the additional benefit provided by the puzzle server.

한편, 본 발명에 따른 휴대 단말기는 퍼즐 애플리케이션의 시작 화면(602)을 디스플레이하고,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사용자 등록 화면(604) 또는 퍼즐 메인 화면(606)을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Meanwhile, the portable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display the start screen 602 of the puzzle application and display the user registration screen 604 or the puzzle main screen 606 according to the user's manipulation.

또한, 휴대 단말기는 퍼즐 메인 화면(606)에서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교환메뉴가 선택되면 블루투스 초기 화면(608)을 디스플레이하고, 블루투스 특성상 어느 한 휴대 단말기는 대기, 타 휴대 단말기는 접속을 해야하므로,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블루투스 초기 화면에서 접속하기가 선택되면 접속 화면(610)을 디스플레이하고, 접속대기가 선택되면 대기 화면(612)을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또한, 블루투스 연결이 완료되고 휴대 단말기 간에 고유 그림 조각이 전송되면 휴대 단말기는 퍼즐 교환 화면(614)을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In addition, when the exchange menu is selected according to the user's operation on the puzzle main screen 606, the mobile terminal displays the initial Bluetooth screen 608, and due to the nature of Bluetooth, one of the mobile terminals must wait and the other mobile terminal must be connected. According to the user's selection, if the connection is selected from the initial Bluetooth screen, the connection screen 610 may be displayed, and if the connection standby is selected, the standby screen 612 may be displayed. In addition, when the Bluetooth connection is completed and the unique picture pieces are transmitted between the mobile terminals, the mobile terminal may display the puzzle exchange screen 614.

이상에서 실시예를 들어 본 발명을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반드시 이러한 실시예로 국한되는 것은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변형실시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Although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in more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examples,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necessarily limited to these embodiments, and various modifications can be made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fore, the embodiments disclosed in the present invention are intended to illustrate rather than limit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scope of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by these embodiments. The protection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interpreted by the following claims, and all technical ideas within the equivalent scope should be interpreted as being included 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Claims (5)

제1 휴대 단말기에서 퍼즐 서버로 사용자 등록을 요청하면, 퍼즐 서버는 사용자 정보를 수집하여 데이터 베이스에 저장하고, 상기 사용자 등록을 요청한 제1 휴대 단말기로 제1 고유 그림 조각을 할당하여 전송하는 고유 그림 조각 할당 단계;
상기 제1 휴대 단말기는 상기 전송된 제1 고유 그림 조각을 저장하고, 상기 제1 고유 그림 조각을 무선 통신을 통해 제2 휴대 단말기로 전송하는 그림 조각 공유 단계; 및
상기 제2 휴대 단말기는,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상기 무선 통신을 통해 전송된 제1 고유 그림 조각과, 제2 휴대 단말기가 미리 상기 퍼즐 서버와 연동하여 할당받은 제2 고유 그림 조각을 이용하여 퍼즐 그림을 완성하고, 상기 퍼즐 그림을 상기 퍼즐 서버로 전송하는 퍼즐 완성 단계;
를 포함하는 무선 통신을 이용한 퍼즐 완성 방법.
When the user requests a user registration from the first mobile terminal to the puzzle server, the puzzle server collects and stores user information in a database and allocates and transmits a first unique picture piece to the first mobile terminal that requested the user registration. Fragment allocation step;
The first mobile terminal storing the transmitted first unique picture fragment and sharing the first unique picture fragment to the second mobile terminal through wireless communication; And
The second mobile terminal is puzzled using a first unique picture piece transmitted through the wireless communication according to a user's operation and a second unique picture piece previously allocated by the second mobile terminal in association with the puzzle server. A puzzle completion step of completing a picture and transmitting the puzzle picture to the puzzle server;
Puzzle completion method using a wireless communication comprising a.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퍼즐 완성 단계 이후에,
상기 퍼즐 서버는 상기 전송된 퍼즐 그림에 대해 퍼즐 완성 여부를 확인하고, 상기 확인 결과 퍼즐이 완성된 경우, 기 설정된 부가 혜택을 상기 제2 휴대 단말기로 제공하는 부가 혜택 부여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통신을 이용한 퍼즐 완성 방법.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After the puzzle completion step,
The puzzle server may further include an additional benefit granting step of checking whether the puzzle is completed with respect to the transmitted puzzle picture, and providing a preset additional benefit to the second mobile terminal when the puzzle is completed as a result of the checking. Puzzle completion method using wireless communication.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그림 조각 공유 단계는,
상기 제1 휴대 단말기가 하나 이상의 타 휴대 단말기 중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어느 한 휴대 단말기와 무선 통신 모듈을 통해 접속하여 상기 제1 고유 그림 조각을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통신을 이용한 퍼즐 완성 방법.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2,
The picture piece sharing step,
The first portable terminal is connected to any one of the one or more other portable terminals selected by the user through a wireless communication module and transmits the first unique picture pieces, characterized in that the puzzle completion using wireless communication.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그림 조각 공유 단계는,
상기 제1 휴대 단말기가 블루투스 또는 지그비에 의해 형성된 무선 채널을 통해 상기 제2 휴대 단말기로 상기 제1 고유 그림 조각을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통신을 이용한 퍼즐 완성 방법.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3,
The picture piece sharing step,
And the first mobile terminal transmits the first unique picture piece to the second mobile terminal through a wireless channel formed by Bluetooth or ZigBee.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고유 그림 조각 할당 단계 이전에,
상기 제1 휴대 단말기가 상기 퍼즐 서버에 접속하여 퍼즐 애플리케이션을 요청하면, 상기 퍼즐 서버는 상기 제1 휴대 단말기로 상기 퍼즐 애플리케이션을 전송하는 애플리케이션 배포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통신을 이용한 퍼즐 완성 방법.
The method of claim 4,
Before the unique picture fragment allocation step,
When the first mobile terminal accesses the puzzle server to request a puzzle application, the puzzle server further includes an application distribution step of transmitting the puzzle application to the first mobile terminal. How to complete.
KR1020110006193A 2011-01-21 2011-01-21 Method for fitting puzzle using wireless communication KR101170741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06193A KR101170741B1 (en) 2011-01-21 2011-01-21 Method for fitting puzzle using wireless communicatio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06193A KR101170741B1 (en) 2011-01-21 2011-01-21 Method for fitting puzzle using wireless communication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84889A true KR20120084889A (en) 2012-07-31
KR101170741B1 KR101170741B1 (en) 2012-08-02

Family

ID=4671561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06193A KR101170741B1 (en) 2011-01-21 2011-01-21 Method for fitting puzzle using wireless communication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70741B1 (en)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5163575A1 (en) * 2014-04-24 2015-10-29 엠텍씨앤케이 주식회사 Puzzle system capable of cooperating with external device
KR20200010910A (en) * 2018-07-23 2020-01-31 문지용 Online advertising method using mobile platform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344510A (en) 2003-05-23 2004-12-09 Taito Corp Game system providing personal digital assistance with puzzle game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5163575A1 (en) * 2014-04-24 2015-10-29 엠텍씨앤케이 주식회사 Puzzle system capable of cooperating with external device
KR20200010910A (en) * 2018-07-23 2020-01-31 문지용 Online advertising method using mobile platform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170741B1 (en) 2012-08-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9920065B (en) Information display method, device, equipment and storage medium
US8539531B2 (en) Mobile terminal, method of participating in interactive service therein, internet protocol television terminal and communication system including the same
CN106209800B (en) Equipment Authority sharing method and apparatus
CN106162230A (en) The processing method of live information, device, Zhu Boduan, server and system
CN113038434B (en) Device registration method and device, mobile terminal and storage medium
CN107180349A (en) Call method, device and the terminal device of virtual mass transit card
CN112533015B (en) Live interaction method, device, equipment and storage medium
CN111294607B (en) Live broadcast interaction method and device, server and terminal
CN108601048B (en) Flow control method and mobile terminal
CN111402844B (en) Song chorus method, device and system
CN108848492A (en) Enabling method, apparatus, terminal and the storage medium of subscriber identification card
KR20150118405A (en) Method for operating message and electronic device thereof
CN104063423B (en) A kind of method and device for determining position
KR101170741B1 (en) Method for fitting puzzle using wireless communication
US20160330251A1 (en) Method and device for sharing connection information in electronic device
CN109167872A (en) A kind of application program open method and mobile terminal
CN105335864A (en) Display method, apparatus and system for secondary address information
KR102263977B1 (en) Methods, devices, and systems for performing information provision
CN106576293A (en)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for controlling information exchange in electronic device
CN110570123B (en) Resource information management method, system and device based on block chain
CN104020971A (en) Background display method and device and electronic device
CN114329292A (en) Resource information configuration method and device, electronic equipment and storage medium
KR20130072959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of information
CN112596831A (en) Content display method and device, server and terminal
CN107211356A (en) Electronic installation and the method that audio frequency apparatus network is se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604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