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082418A - 디지털 정보 콘텐츠의 카탈로그를 탐색하는 방법 - Google Patents

디지털 정보 콘텐츠의 카탈로그를 탐색하는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082418A
KR20120082418A KR1020127008820A KR20127008820A KR20120082418A KR 20120082418 A KR20120082418 A KR 20120082418A KR 1020127008820 A KR1020127008820 A KR 1020127008820A KR 20127008820 A KR20127008820 A KR 20127008820A KR 20120082418 A KR20120082418 A KR 2012008241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tegory
hierarchy
sub
nodes
categorie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700882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557277B1 (ko
Inventor
파브리찌오 안토넬리
다리오 마나
모니카 페레로
페데리카 프로띠
로산나 시메오니
Original Assignee
텔레콤 이탈리아 소시에떼 퍼 아찌오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텔레콤 이탈리아 소시에떼 퍼 아찌오니 filed Critical 텔레콤 이탈리아 소시에떼 퍼 아찌오니
Publication of KR2012008241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8241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5727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5727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6/0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 G06F16/90Details of database functions independent of the retrieved data types
    • G06F16/901Indexing; Data structures therefor; Storage structures
    • G06F16/9027Tre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6/0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6/0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 G06F16/90Details of database functions independent of the retrieved data types
    • G06F16/904Browsing; Visualisation therefor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4Digital output to display device ; Cooperation and interconnection of the display device with other functional uni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Information Retrieval, Db Structures And Fs Structures Therefor (AREA)

Abstract

디스플레이 스크린(400)이 구비된 사용자 장치(205, 210, 225)를 통해 디지털 정보 콘텐츠의 카탈로그를 탐색하는 방법으로서, 상기 디지털 정보 콘텐츠의 카탈로그는 적어도 2개의 계층적 트리 구조들(T1, T2)에 따라 구조화되며, 각각의 계층적 트리 구조는 개별적인 노드들의 계층을 포함하고, 각각의 노드는 개별적인 디지털 정보 콘텐츠의 카테고리에 상응하는, 디지털 정보 콘텐츠의 카탈로그 탐색 방법이 제공되며, 상기 방법은, 상기 적어도 2개의 계층적 트리 구조들 중 제1 계층적 트리 구조의 제1 노드들의 서브-계층구조를 선택하는 단계로서, 상기 제1 노드들의 서브-계층구조는 상기 제1 계층적 트리 구조의 선택된 카테고리에 비하여 바로 위에 있는 계층 레벨들에서의 제1 개수의 카테고리들 및 상기 제1 계층적 트리 구조의 선택된 카테고리에 비하여 바로 아래에 있는 계층 레벨들에서의 제2 개수의 카테고리들 중에서 적어도 하나를 선택함으로써 상기 제1 계층적 트리 구조의 선택된 카테고리로부터 개시하여 구성되는, 단계; 상기 적어도 2개의 계층적 트리 구조들 중 제2 계층적 트리 구조의 제2 노드들의 서브-계층 구조를 선택하는 단계로서, 상기 제2 노드들의 서브-계층구조는 상기 제2 계층적 트리 구조의 종점(destination) 카테고리로부터 개시하여 구성되며, 상기 종점 카테고리는, 상기 종점 카테고리에 비하여 바로 위에 있는 계층 레벨들에서의 제1 개수의 카테고리들 및 상기 종점 카테고리에 비하여 바로 아래에 있는 계층 레벨들에서의 제2 개수의 카테고리들 중에서 적어도 하나를 선택함으로써 상기 선택된 카테고리와의 관계를 이루는, 단계; 상기 제1 노드들의 서브-계층구조 및 상기 제2 노드들의 서브-계층구조의 카테고리들 및 상기 카테고리들 간의 개별 관계들을 표시하는 아이콘들을 상기 스크린상에 디스플레이하는 단계; 및 상기 사용자 장치를 통해 사용자에 의해 부여된 커맨드들에 반응하여 상기 제1 노드들의 서브-계층구조 및 상기 제2 노드들의 서브-계층구조의 카테고리들을 탐색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디지털 정보 콘텐츠의 카탈로그를 탐색하는 방법{Method for exploring a catalog of digital information contents}
본 발명은 일반적으로 기술하면, 예를 들어 텍스트들, 북(book)들, 뮤직, 사진들, 비디오들, 영화들, 여러 종류의 파일들(예컨대, 컴퓨터 프로그램들) 등과 같은 디지털 정보 콘텐츠의 관리 기법들에 관한 것이다. 구체적으로 기술하면, 본 발명은, 디지털 정보 콘텐츠의 카탈로그, 즉 정보 콘텐츠의 계층구조(hierarchy)들, 또는 "분류체계(taxonomy)들"에 따라 구조화된 카탈로그를 사용자에 의해 뷰잉(viewing)(이하에서는 "탐색(exploring)"으로 지칭됨)하기 위한 방법에 관한 것이다.
요즘에는 사용자들에 의한 결과에 대해 디지털 포맷으로 입수가능한 거대한 정보 콘텐츠를 계층적으로 구조화된 카탈로그들의 형태로 편성하고 이를 탐색하기 위한 방식들이 고안되고 있다.
디지털 정보 콘텐츠의 계층구조를 표시하기 위한 전형적인 방식에는 트리(tree) 구조가 있고, 상기 트리 구조의 생성을 위한 알고리즘은 리프(leaf) 노드들로부터 루트(root) 노드에 도달할 때까지 적용되며 재귀적으로 반복된다. 상기 계층구조의 모든 레벨에는, 형제(brother) 노드들이 이들 간에 교점(intersection)들을 생성하지 않도록 거리를 두고 배치되며, 부모(father) 노드들이 중앙 위치에서 자식 노드들 위에 배치된다.
문헌에는 복잡한 콘텐츠 계층구조들을 사용자 장치의 디스플레이 기기상에 표시하고 그리고 사용자가 사용자 자신의 장치를 통해 상기 계층구조들을 탐색할 수 있게 하는 다양한 기법들이 제안되어 왔다.
2002년 10월 30-31일, 미국, 매사추세츠, 보스톤에서 개최된 컴퓨터 학회의 발행본인 Proc. IEEE InfoVis 2002, pp 50-65에 로버트슨 지.(Robertson G.); 카메론 케이(Cameron K.); 체르윈스키 엠.(Czerwinski M.); 로빈스 디.(Robbins D.) 명의로 실린 "다중 교차 계층구조들의 애니메이션 시각화(Animated visualization of multiple intersectings hierarchies)"에는, 서로 교차하는 다중 계층구조들을 표시하는 방법이 제시되어 있다. 여기서 채택된 디스플레이 기법은 "비주얼 피벗(visual pivot)"이라 불리는 기법으로, "피벗 포인트(pivot point)"라고 불리는, 2개 이상의 계층구조들이 교차하는 노드 상의 "포커스(focus)"를 통해 2개 이상의 계층구조를 동시에 보여주는 것을 허용하는 기법이다. 상기 저자들은 2가지 시각화 타입을 제안하고 있는데, 그 중 제1 타입에서는, 한 계층구조가 한번에 보이게 되며 이전의 계층구조와 공유하는 노드를 지니는 다른 한 계층구조를 디스플레이할 때, 사용자가 콘텍스트의 뷰를 고정하는 방식으로 2개의 계층구조들 간의 링크를 보여주는 애니메이션이 제공되며, 제2 타입에서는, 공유 노드들 간의 결합 라인(conjunction line)들과 나란히 배치되는 더 많은 계층구조들이 보이게 해 준다. 이러한 계층구조들을 정의하기 위하여는, 모든 더미니언(dominion) 엔티티들의 사전 분류(preliminary classification) 및 모든 도미니언 엔티티들의 속성들의 정의가 필요하다. PQL이라 불리는 SQL(Structured Query Language; 구조화된 질의 언어)과 유사한 언어는 여러 계층구조에 따라 분류된 방대한 데이터베이스 상에서 질의들을 수행할 수 있게 해 준다.
또한 문헌에 복잡한 디지털 정보 콘텐츠 계층구조에서의 내비게이션의 메타포어(metaphor)로서 제안된 개념 모델(conceptual model)은 이른바 "서브웨이 맵(subway map)이다.
예를 들면, 영국, 런던에서 개최된 정보 시각화에 대한 18차 국제 회의의 발행본인 IEEE Computer Society, 2004, pp. 488-493에 네스비트, 케이.(Nesbitt, K.) 명의로 실린 "메트로 맵 메타포어를 사용한 더 많은 추상적 장소들에 대한 접근(Getting to more Abstract Places using the Metro Map Metaphor)"에는, 일련의 개념 스레드(conceptual thread)들에 속하는 일련의 추상적 개념들이 서브웨이 맵으로서 효과적으로 표시될 수 있는 방법이 시사되어 있다. 모든 개념은 가상 서브웨이의 역(station)에 대응하며 모든 개념 스레드가 가상 서브웨이의 노선으로 나타나게 되어 있다. 여러 스레드에 속하는 개념들은 가상 서브웨이의 상이한 노선들이 교차하는 역들이 된다.
US 6,462,762에는 트리 구조의 노드들 간의 내비게이션(navigation)을 용이하게 하는 방법이 기재되어 있다. 전체 구조의 섹션 범위를 정하기 위하여, 선택된 분류체계에서 한 노드가 사용자에 의해 선택됨에 기초한 트리의 상이한 노드들에 대하여 "루트(root)"의 역할이 할당된다.
US 2002/113816에는 특히 계층적으로 편성된 데이터의 카탈로그를 탐색하기 위해, 계층적 네트(net)들을 표시하고 계층적 네트들에서 내비게이팅하도록 하는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방법이 제안되어 있다. 상기 제안된 방법에는 계층적 관계들에 의해 서로에 연결되는 객체(object)들의 집합을 관리하고 수평면 상으로 그리고 수직면 상에서 깊이에 따라 그 관계를 이동하는 것이 제공되어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사용자를 위한 매우 복잡한 디지털 정보 콘텐츠 카탈로그의 탐색을 좀더 용이하게 하는 기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위에서 간략하게 논의된 기술수준을 고려하여, 본원 출원인은, 비록 예를 들면 텔레비전 세트 또는 예컨대 셀룰러폰과 같은 이동 통신 단말기와 같이 제한된 디스플레이 및 사용자와의 상호작용(interaction) 능력들을 갖는 장치가 사용자에게 구비되어 있다 하더라도 매우 복잡한 디지털 정보 콘텐츠 카탈로그의 탐색을 사용자에게 좀더 용이하게 하는 문제에 착수하였다.
특히, 본 발명은 다중-분류체계 형태로, 다시 말하면 여러 개념들의 계층구조들(여기서 "개념(concept)"이라 함은 정보 콘텐츠의 카테고리, 즉 객체들의 카테고리의 의미로 사용하고자 한 것임)로 편성된 디지털 정보 콘텐츠의 카탈로그(소위 "카탈로그의 객체들")를 사용자가 탐색하는 것을 목표로 삼은 표시 및 상호작용을 위한 방법을 제안하는데, 이 경우에 상기 카탈로그의 각각의 객체는 하나 이상의 카테고리들에 속하며, 각각의 카테고리는 "분류체계(taxonomy)"라 불리는 계층 구조의 일부를 형성하는 개념이다.
본 발명의 한 실시태양에 의하면, 디스플레이 스크린이 구비된 사용자 장치를 통해 디지털 정보 콘텐츠의 카탈로그를 탐색하는 방법으로서, 상기 디지털 정보 콘텐츠의 카탈로그는 적어도 2개의 계층적 트리 구조들에 따라 구조화되며, 각각의 계층적 트리 구조는 개별적인 노드들의 계층구조를 포함하고, 각각의 노드는 개별적인 디지털 정보 콘텐츠의 카테고리에 상응하는, 디지털 정보 콘텐츠의 카탈로그 탐색 방법이 제공되며, 상기 방법은,
상기 적어도 2개의 계층적 트리 구조들 중 제1 계층적 트리 구조의 제1 노드들의 서브-계층구조를 선택하는 단계로서, 상기 제1 노드들의 서브-계층구조는 상기 제1 계층적 트리 구조의 선택된 카테고리에 대하여 바로 위에 있는 계층 레벨들에서의 제1 개수의 카테고리들 및 상기 제1 계층적 트리 구조의 선택된 카테고리에 대하여 바로 아래에 있는 계층 레벨들에서의 제2 개수의 카테고리들 중에서 적어도 하나를 선택함으로써 상기 제1 계층적 트리 구조의 선택된 카테고리로부터 개시하여 구성되는, 단계;
상기 적어도 2개의 계층적 트리 구조들 중 제2 계층적 트리 구조의 제2 노드들의 서브-계층 구조를 선택하는 단계로서, 상기 제2 노드들의 서브-계층구조는 상기 제2 계층적 트리 구조의 종점(destination) 카테고리로부터 개시하여 구성되며, 상기 종점 카테고리는, 상기 종점 카테고리에 대하여 바로 위에 있는 계층 레벨들에서의 제1 개수의 카테고리들 및 상기 종점 카테고리에 대하여 바로 아래에 있는 계층 레벨들에서의 제2 개수의 카테고리들 중에서 적어도 하나를 선택함으로써 상기 선택된 카테고리와의 관계를 이루는, 단계;
상기 제1 노드들의 서브-계층구조 및 상기 제2 노드들의 서브-계층구조의 카테고리들 및 상기 카테고리들 간의 개별 관계들을 나타내는 아이콘들을 상기 스크린상에 디스플레이하는 단계; 및
상기 사용자 장치를 통해 사용자에 의해 부여된 커맨드들에 반응함으로써 상기 제1 노드들의 서브-계층구조 및 상기 제2 노드들의 서브-계층구조의 카테고리들을 탐색하는 단계;
를 포함한다.
상기 제1 노드들의 서브-계층구조의 선택된 카테고리 및 상기 제2 노드들의 서브-계층구조의 종점 카테고리 간의 관계는 상기 종점 카테고리에 포함되어 있는 디지털 정보 콘텐츠의 집합 및 기점(source) 카테고리를 직접 또는 간접적으로 참조하는 시맨틱 타입(semantic type)의 관계인 것이 바람직하다. 전형적으로는, 상기 관계가 관련 강도 값 및 버스(verse)를 갖는 것이 전형적이다. 상기 관계는 시간에 따른 동적 타입(dynamic type)의 관계인 것이 전형적이다.
상기 스크린상에 상기 카테고리들을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는 예를 들면,
상기 제1 노드들의 서브-계층구조 및 상기 제2 노드들의 서브-계층구조의 계층 레벨들의 개수에 상응하는 존(zone)들의 개수로 상기 스크린의 영역을 분할하는 단계;
싱기 존들 각각을 복수의 섹터들로 분할하는 단계;
상기 존들 각각에 대하여 개별 섹터들을 선택하는 단계; 및
상기 선택된 섹터들에 상기 아이콘들을 디스플레이하는 단계;
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 노드들의 서브-계층구조는 상기 제1 노드들의 서브-계층구조와 비교해 볼 때 개별 규정 각도로 회전되어 상기 스크린상에 디스플레이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1 노드들의 서브-계층구조의 선택된 카테고리 및 상기 제2 노드들의 서브-계층구조의 종점 카테고리의 아이콘들이 디스플레이되는 스크린의 위치는 실질적으로 동일한 위치일 수 있다. 상기 제1 노드들의 서브-계층구조의 선택된 카테고리 및 상기 제2 노드들의 서브-계층구조의 종점 카테고리의 아이콘들은 상이한 투명도(transparency)의 레벨들로 상기 스크린상에 보이게 될 수 있다. 상기 제1 노드들의 서브-계층구조의 선택된 카테고리 및 상기 제2 노드들의 서브-계층구조의 종점 카테고리의 아이콘들은 하나가 다른 것에 포함되어 상기 스크린상에 보이게 될 수 있다.
상기 커맨드들은 상기 사용자 장치의 키보드 인터페이스의 키들을 통해 사용자에 의해 부여될 수도 있고 상기 스크린이 터치 스크린일 경우에, 상기 카테고리들이 디스플레이되는 영역들에서 상기 스크린을 터치함으로써 부여될 수도 있다.
상기 방법은,
상기 사용자의 커맨드에 따라, 상기 선택된 카테고리에 비하여 다른 카테고리를 선택한 후에, 상기 제1 노드들의 서브-계층구조 및 상기 제2 노드들의 서브-계층구조를 재결정하며 결과적으로 재결정된 서브-계층구조들을 상기 스크린상에 디스플레이하는 단계;
를 부가적으로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방법은 상기 사용자에 의해 탐색된 카테고리들의 리스트를 상기 스크린의 미리 결정된 영역 상에 디스플레이하고 이전에 탐색된 카테고리들 중 어느 하나의 카테고리의 선택을 가능하게 하는 단계를 부가적으로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한 실시태양에 의하면, 데이터 네트워크를 통해 적어도 2개의 계층적 트리 구조들에 따라 구조화된 디지털 정보 콘텐츠의 카탈로그를 협의(consultation)를 위해 제공하도록 구성된 원격 서버 시스템에 접속가능한 디스플레이 기기를 포함하는 사용자 장치로서, 각각의 계층적 트리 구조는 개별 노드들의 계층구조를 포함하며, 각각의 노드는 개별 디지털 정보 콘텐츠의 카테고리에 상응하는, 사용자 장치가 제공되며, 상기 사용자 장치는 앞서 언급된 기술적 구성들 중 어느 하나에 따른 방법을 수행하도록 구성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태양에 의하면, 적어도 2개의 계층적 트리 구조들에 따라 구조화된 디지털 정보 콘텐츠의 카탈로그를 사용자들에게 제공하도록 구성된 적어도 하나의 원격 서버 시스템으로서, 각각의 계층적 트리 구조는 개별 노드들의 계층구조를 포함하며, 각각의 노드는 개별 디지털 정보 콘텐츠의 카테고리에 상응하는, 적어도 하나의 원격 서버 시스템;
앞서 언급된 본 발명의 실시태양에 따른 사용자 장치;
를 포함하는 시스템이 제공된다.
본 발명은 텔레비전 세트 또는 예컨대 셀룰러폰과 같은 이동 통신 단말기와 같이 제한된 디스플레이 및 사용자와의 상호작용(interaction) 능력들을 갖는 장치가 사용자에게 구비되어 있다 하더라도 매우 복잡한 디지털 정보 콘텐츠 카탈로그의 탐색을 사용자에게 좀더 용이하게 해 준다.
본 발명의 이들 및 다른 특징들 및 이점들은 이하 본 발명의 몇몇 실시예들의 상세한 설명, 즉 단지 비-제한적인 예로 제공되며 첨부 도면들을 참조하여 이루어지는 설명에 의해 자명해질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서 사용되는 데이터 모델의 구조를 개략적으로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에 의해 디지털 정보 콘텐츠의 카탈로그를 탐색하는 시스템의 일례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3a 및 도 3b는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복수의 정보 콘텐츠 분류체계들의 카테고리들의 부분집합을 사용자 장치의 스크린상에 디스플레이하기 위한 주요 동작들의 개략적인 플로차트들이다.
도 4는 디스플레이될 분류체계의 카테고리들의 서브-계층구조의 상이한 계층적 레벨들에 상응하는 밴드(band)들로 그리고 디스플레이될 카테고리들을 호스트하도록 예정된 섹터들로 사용자 장치의 스크린을 분할하는 것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5는 이용가능한 섹터들의 가능한 선택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서, 카테고리들을 디스플레이하기 위해 사용된 섹터들의 개수를 감소시키는 것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7은 서브-계층구조의 카테고리들에 상응하는 아이콘들을 스크린의 선택된 섹터들 내에 배치하는 것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8은 스크린상에 디스플레이된 카테고리들 간의 관계들을 삽입하는 것을 개략적으로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9는 복수의 상이한 분류체계들의 서브-계층구조들을 디스플레이하기 위한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기법을 개략적으로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0은 복수의 분류체계들을 디스플레이하기 위한 스크린의 영역의 최적화를 위한 기법의 결과를 개략적으로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1은 도 10의 결과를 획득하기 위한 상이한 분류체계들을 포함하는 이상적인 면(ideal plane)들의 회전 및 오버랩 기법을 예시하는 도면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서, 액튜에이터(actuator)들, 예를 들면 디지털 정보 콘텐츠의 카탈로그를 사용자가 탐색할 수 있게 하도록 구성된 사용자 장치의 원격 제어의 키들의 집합을 개략적으로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3은 사용자 장치의 스크린상에 디스플레이된 상이한 분류체계들의 카테고리들을 탐색하기 위한 도 12의 액튜에이터들의 기능들의 대응 테이블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스크린의 영역의 선택된 섹터들에서 호스트된 카테고리들의 "스왑(swap)" 기법을 개략적으로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5는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카테고리에 따라 상이한 디스플레이된 분류체계들을 호스트하는 이상적인 면들의 위치 변경 기법을 개략적으로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6은 터치 스크린을 갖는 사용자 장치의 경우에 디스플레이된 카테고리를 선택하는 동작을 간략하게 하기 위한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해결방안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7은 디지털 정보 콘텐츠의 카탈로그를 탐색하기 위해 사용자에 의해 사용되는 텔레비전 세트의 원격 제어기를 개략적으로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8 - 도 23은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탐색 방법의 실제 예를 보여주는 도면들이다.
본 발명은, 본 발명의 한 실시태양에 의하면, 예를 들면 텍스트들, 북(book)들, 뮤직, 사진들, 비디오, 영화들, 다양한 종류의 파일들(예컨대, 컴퓨터 프로그램들)과 같은 디지털 정보 콘텐츠에 의해 일반적으로 구성된 객체들의 카탈로그를 사용자에 의해 탐색하기 위한 표시 및 상호작용 방법을 제안하며, 상기 디지털 정보 콘텐츠의 타입들의 리스트는 전부 망라한 것이 아니며 본 발명에 대한 한정으로 선정된 것이 아니다.
여기서 상기 카탈로그에 속하는 각각의 객체는 이러한 객체를 찾아낼 수 있고 객체 자체, 즉 디지털 정보 콘텐츠에 액세스할 수 있는 개별 식별자(또는 개별 식별자의 대상물(surrogate))를 통해 유일하게 식별가능한 것으로 가정된다.
본 발명의 목적들을 위해, "분류체계(taxonomy)"가 개념들의 계층 구조로 정의된다. 분류체계는 비순환 상호연결 그래프로 특히 표시되며; 비순환 상호연결 그래프는 모든 노드들이 적어도 하나의 호(arc)를 통해 연결되는 그래프로서, 어떠한 순환들도 존재하지 않는, 다시 말하면 상기 그래프의 동일한 노드로부터 출발하여 상기 그래프의 동일한 노드로 끝나는, 호들로 구성된, 경로들이 존재하지 않는 그래프이다.
일반 분류체계 T는 심벌들에서 T = <V,E>로서 정의될 수 있는데, 여기서 V는 상기 분류체계 T를 나타내는 그래프의 노드들의 집합이며, 상기 노드들 각각은 개념을 나타내고, E는 상기 노드들 간의 호들의 집합이며, 상기 호들 각각은 호의 단부들에서 상기 노드들 간의 비대칭 관계를 나타낸다. 다시 말하면, 2개의 노드를 연결하는 호는 상기 노드들 간의 비-가역 관계(non-reversible relationship)을 나타낸다. 예를 들면, 2개의 일반 노드(n1, n2) 간의 비-가역 관계는 다음과 같은 관계일 수 있는데, n1은 n2의 "자식(child)이며", 여기서 "자식이다"는 관계는 2개의 노드(n1, n2)를 연결하는 호이다.
상기 분류체계를 나타내는 그래프의 노드들 간의 더 일반적인 관계들은 "IS-A(이다)" 및 "PART-OF(의 일부)"이다. 상기 분류체계를 나타내는 계층 구조에서 최고 레벨에 있는 개념(그래프의 노드)은 "루트(root)"라 불리며, 어떠한 외부 호(outgoing arc)도 존재하지 않는 개념들(그래프의 노드들)은 "리프(leaf)들"이라 불린다.
일반 분류체계에서의 모든 개념, 다시 말하면 상기 분류체계를 나타내는 그래프의 모든 노드는 상기 개념이 속하는 계층 구조 내부에서 상기 모든 노드와 관련하여 상기 모든 노드를 유일하게 식별하는 라벨(label)을 지닌다.
실제적 관점에서는, 분류체계가 예를 들면 표준 XML(standard eXtensible Markup Language), 또는 RDF(Resource Description Framework; 자원 기술 프레임워크) 또는 OWL(Web Ontology Language; 웹 온톨리지 언어)과 같은 그의 확장 언어들 중 하나로 표시되는 형식 언어(formal language)로 컴파일될 수 있다. 상기 분류체계를 컴파일하기 위해 사용된 언어 타입은 본 발명에 대한 한정으로 선정된 것이 아니다.
소정의 분류체계의 각각의 개념은 하나의 정보 콘텐츠의 "카테고리"를 나타내며, 그 내부에서 상기 카테고리의 객체들 중 일부, 다시 말하면 디지털 정보 콘텐츠의 일부가 카탈로그화된다. 상기 분류체계의 특정 카테고리에 따라 리스트되는 객체들의 집합은 "카테고리의 확장(extension of the category)"이라 지칭된다. 분류체계 T에 속하는 카테고리 c가 주어지면, 그의 확장 E(c)는 다음과 같은 식,
Figure pct00001
로 정의되는 데, 상기 식 중,
Figure pct00002
는 카탈로그의 모든 객체들의 집합이며,
Figure pct00003
는 카탈로그의 일반 객체이고, 그리고
Figure pct00004
는 상기 집합
Figure pct00005
의 적절한 부분집합이다.
분류체계의 각각의 카테고리는 그의 확장에 속하는 객체들의 집합에 대한 직접적이거나 또는 간접적인 참조를 포함한다.
선택된 실제 구현예에 따라, 카탈로그의 개별 객체들은 자신들이 속할 수도 있고(이는, 예를 들면 분류체계의 컴파일을 위해, 사용된 언어가 RDF 또는 OWL인 경우에 가능함), 자신들이, 카테고리들이 참조하는 데이터베이스에 상주할 수도 있는, 분류체계의 카테고리의 개별 인스턴스(individual instance)들로서 표시될 수 있다.
분류체계들에서 객체들을 카탈로그화하는 방법은 본 발명에 대한 한정으로 선정된 것이 아니며, 카탈로그화의 결과로서, 위에서 설명한 계층 구조들이 획득되는 것이면 충분하다. 특히, 카탈로그의 객체들의 카탈로그화는 적합한 알고리즘을 수동 또는 자동으로 탐색하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도 1에는 위에서 설명한 데이터 모델의 일례가 나타나 있다. T 1 T 2 는 상이한 분류체계들이다. c 1 c 3 는 분류체계 T 1 의 2개의 일반 카테고리를 나타내며, c 2 는 분류체계 T 2 의 카테고리들 중 하나를 나타낸다. 참조번호 105는 분류체계 T 1 의 카테고리 c 3 의 확장 E(c3), 즉 그러한 카테고리에 속하는 카탈로그의 객체들의 집합을 나타낸다.
상이한 분류체계들에 속하는 카테고리들 간에는 관계들이 존재할 수 있다. 관계는 관련 강도 값 및 버스(verse)를 갖는다. 상기 관계들은 동적인데, 다시 말하면, 상기 관계들은 태어날 수도 있고 죽을 수도 있으며 시간에 따라 동적으로 변화할 수도 있다. 도 1을 참조하면, 참조번호 110은 시간 t에서 분류체계 T 1 의 카테고리 c 1 과 분류체계 T 2 의 카테고리 c 2 간의 관계를 나타낸다. 분류체계 T 1 에 속하는 카테고리 c 1 과 분류체계 T 2 에 속하는 카테고리 c 2 가 주어지면, 시간 t에서의 카테고리 c 1 과 카테고리 c 2 간의 관계는 심벌을 사용하여 다음과 같은 식,
Figure pct00006
로 정의되는데, 상기 식 중,
Figure pct00007
이며,
Figure pct00008
이고
Figure pct00009
이다. 카테고리 c 1 은 "기점 카테고리(source category)"라 지칭되며, 카테고리 c 2 는 상기 관계의 "종점 카테고리(destination category)"라 지칭되고, w는 2개의 카테고리 간의 관계의 강도를 나타낸다.
상이한 분류체계들에 속하는 카테고리들 간의 동적 관계를 식별하는 방법은 본 발명의 한정으로 선정된 것도 아니고 그러한 관계들의 개수에 한정된 것도 아니다.
다중 분류체계 형태로, 다시 말하면 2개 이상으로, 일반적으로는 복수의 분류체계로 편성된 디지털 정보 콘텐츠의 카탈로그를 사용자에 의해 탐색하는 것을 목표로 삼은 표시 및 상호작용을 위한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방법은 위에서 설명한 데이터 구조에 기초하여 이루어진 것이며, 사용하기에 편리한 것 외에도, 디지털 정보 콘텐츠의 카탈로그의 표시 및 탐색을 위해 사용자들에 의해 사용하게 될 사용자 장치들의 특징들 및 제한들을 고려한 것이다.
디지털 정보 콘텐츠의 카탈로그들의 표시에 있어서, 사용자 장치의 디스플레이 기기(스크린, 디스플레이 및 유사한 것) 상의 이용가능한 공간의 적합한 탐색은 중요하다. 실제로, 정보 콘텐츠의 카탈로그의 탐색을 위해 사용되는 사용자 장치들의 디스플레이 기기들의 크기는 예를 들면 신세대 이동 전화들의 스크린들의 경우에, 콘텐츠의 카탈로그의 카테고리들 및 디스플레이되어야 하는 그들의 동적 관계들의 수가 매우 많을 수 있지만 사용자에 의해 탐색가능하고 인식가능한 공간을 제한하는 것과 같이, 제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방법은 콘텐츠의 카탈로그의 카테고리들을 표시(디스플레이)해야 하는 공간의 독특한 관리 방법을 제공한다. 사용자 장치의 디스플레이 기기(스크린) 상의 이용가능한 공간의 순서화된 편성에 의해, 콘텐츠의 카탈로그의 분류체계들에 속하는 카테고리들 및 그들 간의 관계들을 호스트하는 데 적합한 구조가 정의된다.
이하에서는, 단지 예로써, 도 2에 개략적으로 도시된 시스템을 참조하게 될 것인데, 도 2에서는 참조번호 205가, 인터액티브 셋-톱 박스(210) 및 인터넷과 같은 데이터 네트워크(215)를 통해, 예를 들면 영화들, 텍스처 및/또는 멀티미디어 페이지들 등과 같은 디지털 정보 콘텐츠를 사용자들에게 제공하기 위한 서버(220)에 접속된 사용자의 텔레비전 세트를 나타낸다. 상기 텔레비전 세트(205)와의 사용자의 상호작용은 원격 제어기(225)를 통해 이루어진다. 상기 디지털 정보 콘텐츠는 상기 서버(220) 상에 위에서 설명한 구조에 따라(다시 말하면, 복수의 분류체계의 형태로) 편성 및 리스트되어 저장될 수도 있고 상기 서버(220)는, 위에서 설명한 구조에 따라, 상기 네트워크(215)를 통해 상기 서버(220)에 접속된 (도시되지 않은) 하나 이상의 다른 서버에 의해 제공되는 디지털 정보 콘텐츠를 정확히 편성 및 카탈로그화할 수도 있다.
도 3a 및 도 3b에는,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정보 콘텐츠의 카탈로그의 개념들의 분류체계들의 부분들을 사용자 장치, 예를 들면 상기 텔레비전 세트(205)의 스크린상에 표시하기 위한 주요 동작들의 플로차트들이 개략적으로 도시되어 있다. 이하에서 설명하게 될 동작들은, 적합한 소프트웨어의 실행을 통해, 상기 사용자 장치, 예를 들면 상기 텔레비전 세트 및 셋-톱 박스에 의해 수행하게 될 것이다. 상기 사용자 장치는 상기 서버(220)와 상호작용하여, 상기 서버(220)에 저장된 디지털 정보 콘텐츠의 카탈로그에 액세스하게 된다.
본 발명의 전형적이고 비-제한적인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사용자 장치의 디스플레이 기기는 (예를 들면 개인용 컴퓨터, 셀룰러폰 또는 스마트폰, 이하에서 고려하게 될 도 2의 예에서와 같은 텔레비전 세트의 스크린과 같은) 직사각형 모양을 갖는 것으로 가정된다.
상기 디스플레이 기기의 스크린상에서 이용가능한 2-차원 공간은 적절한 존(zone)들로 분할되고, 이러한 존 내에는 디스플레이될 엘레먼트들이 위치하게 될 것이다. 상기 디스플레이 기기의 스크린상의 이용가능한 공간에 분포하는 엘레먼트들은 특히 카탈로그의 상이한 분류체계들에 속하는 카테고리들을 나타내는 아이콘들, 및 그 아이콘들의 상호관계들이다.
위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콘텐츠의 카탈로그의 각각의 분류체계는 디지털 정보 콘텐츠의 카테고리들의 집합(각각의 카테고리는 개념을 나타냄)이며, 상기 카테고리들은 계층구조로 편성되어 있다. 카테고리들의 계층구조는 잠재적으로 매우 깊을 수 있는데, 다시 말하면 그 자체의 레벨들의 수가 매우 많을 수 있다. 매우 넓은 구조의 완전한 표시는 텔레비전 세트와 같은 사용자 장치의 스크린과 같은 한정된 치수들의 공간 내에서 이루어지지 않을 수 있고, 비록 여러 계층구조 레벨이 또한 동시에 표시될 수는 있지만, 그에 액세스하는 사용자는 카테고리들의 부분집합으로 한정된 뷰(view)를 지니게 된다.
이러한 이유 때문에,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카탈로그의 각각의 분류체계가 사용자 장치의 스크린상에 디스플레이되기 위해서는 단지 그의 카테고리들의 선택된 부분집합만이 디스플레이되는 것으로 규정되며, 상기 카테고리들은 한정된 개수의 계층구조 레벨들(다시 말하면, 한 "서브-계층구조")에 속하게 된다. 디스플레이되는 서브-계층구조 레벨들의 개수는 예를 들면 미리 결정되어 있다.
우선(블록 305에서), 상기 사용자 장치의 디스플레이 기기상의 이용가능한 영역은 한정된 레벨들의 개수 L에 상응하는 서브-영역들로 분할되며, 상기 개수는 상기 서브-계층구조들의 미리 결정된 레벨들의 개수와 같다. 예를 들어, 도 4를 참조하면, 참조번호 400은 예를 들면 상기 텔레비전 세트(205)의 스크린, 또는 셀룰러폰, 또는 개인용 컴퓨터의 모니터의 스크린("디스플레이")과 같은 사용자 장치의 디스플레이 기기의 스크린을 나타낸다. 도시된 예에서는, 상기 스크린(400)의 영역은, 각각의 밴드가 상기 스크린(400)상에 표시되는 3개의 서브-계층구조들의 레벨들(레벨 1 - 부모, 레벨 2 - 자식들 및 레벨 3 - 손자(nephew)들) 중 하나에 상응하는 수평 밴드들(405a, 405b, 405c)로 구성된 예에서 미리 결정된 개수, 예를 들면 3개의 서브-공간들로 분할되는 것이 이상적이다. 상기 스크린(400)이 이상적으로 분할되는 각각의 밴드(405a, 405b, 405c)는 동일한 서브-계층구조의 동일한 레벨에 속하는 분류체계의 카테고리들을 호스트하도록 의도된 것이다. 인접 밴드들은 관계들 "IS-A" 또는 "PART-OF"를 갖는 카테고리들을 포함한다.
상기 디스플레이 기기의 스크린(400)상의 이용가능한 영역이 분할되어 개별 계층구조 레벨에 할당되는 서브-영역들의 각각의 서브-영역은 차후에 (예를 들면 4개의 컬럼(column)들 - 컬럼(415a), 컬럼(415b), 컬럼(415c), 컬럼(415d) 상에 수평으로) 섹터들(410ij)로 분할되며, 각각의 섹터들은 관련 계층 레벨에 속하는 카테고리를 호스트할 수 있다(블록 310).
위에서 설명한 구조는 분류체계에 속하는 카테고리들의 부분집합을 호스트하는데 적합하다. 계층 레벨들에 상응하는 밴드들로 상기 스크린의 영역을 분할하는 것은 상이한 카테고리들의 상이한 보편성(generality)의 정도를 직접적인 방식으로 표시할 수 있게 해준다. 도 4의 예에는, (특정 시간에 스크린상에 표시되는 서브-계층구조의 최고 계층 레벨에서의) 더 일반적인 카테고리들이 상기 밴드(405a)의 섹터들에 분포될 것이며, 더 특정한 카테고리들이 상기 서브-계층구조의 하위 계층 레벨들에 상응하는 밴드들(405b, 405c)의 섹터들에 분포될 것이다. 이러한 방식으로 상기 계층구조의 디스플레이는 한정된 깊이 레벨들의 개수에 한정된다.
그리고나서, 디스플레이하도록 서브-계층구조의 카테고리들을 호스트하도록 예정된 섹터들(410ij)의 선택이 이루어진다. 디스플레이될 서브-계층구조의 각각의 레벨은 채워질 수 있다(예를 들면, 중간 크기의 지역의 주요 도시에 고유한 정보 콘텐츠에 관련된 분류체계에서, 상기 도시에 상응하는 부모 카테고리의 자식 카테고리들의 개수는 상기 지역의 영토에 존재하는 다른 도시들 및 지자체들의 집합을 포함하여 몇백 개로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상기 스크린(400) 상에 동시에 디스플레이될 수 있는 카테고리들의 개수는 상기 스크린(400)의 영역이 분할된 섹터들의 개수로 상한선이 적용된다. 더 일반적인 계층 레벨(밴드(405a))로부터 시작하여, 더 특정한 계층 레벨들(밴드들(405b, 405c))로 내려가면, 서브-계층구조의 카테고리들을 호스트하도록 예정된 섹터들이 선택된다. 바람직하게는, 사용자의 가시성을 개선하기 위해, 바로 위에 있는 계층 레벨에 상응하는 임의 밴드의 제1의 선택된 섹터 아래의 섹터는 선택가능하지 않다. 도 5에는, 표시될 서브-계층구조의 카테고리들을 디스플레이하기 위해 사용될 섹터들을 선택하는 예가 개략적으로 도시되어 있다(음영 처리된 바와 같이 도시되어 있는 선택된 섹터들은 섹터들(410aa, 410ab, 410ac, 410ad, 410bb, 410bc, 410bd, 410cc, 410cd)이다.
복잡성의 정도를 감소시키기 위해 그리고 정보 콘텐츠의 카테고리들의 표시의 결과를 개선하기 위해, 잠재적으로 이용가능한 섹터들의 개수에 대하여, 모든 밴드(405a, 405b, 405c), 다시 말하면 서브-계층구조의 모든 계층 레벨에 대한 카테고리들을 디스플레이하기 위해 사용될 섹터들의 개수를 더 줄이는 것이 예측될 수 있다. 도 6에는 카테고리들을 호스트하도록 예정된 섹터들의 부분집합을 선택하는 예가 도시되어 있으며, 선택된 섹터들은 (여전히 음영 처리된 것으로 도시된) 섹터들(410aa, 410bb, 410bc, 410cc, 410cd)이다. 예를 들면, 이러한 예는 예를 들면 이하에서 정의되는 바와 같은 FOCUS 카테고리에 대하여, 미리 결정된 레벨보다 위에 있는 스크린상에 디스플레이될 서브-계층구조들의 모든 레벨들에 대해 이용가능한 스크린의 절반보다 적게 점유하도록 하는 것과 같은 섹터들의 개수를 이용하기 위해 제공될 수 있다. 좀더 바람직하게는, 사용될 섹터들의 개수가 고려된 레벨 및 상기 미리 결정된 레벨 간의 거리에 대한 미리 결정된 레벨에 대하여(예를 들면, 이하에서 정의된 바와 같은 FOCUS 카테고리에 대하여) 더 위에 있는 서브-계층구조의 모든 레벨들에 대해 증가하지 않는다. 이러한 방식으로, 이하에서 설명될 방식으로 대체가능한 분류체계들을 보여주기 위해 이용되는 스크린상의 자유 공간을 지니는 것이 가능하다.
그리고나서, 디스플레이될 카테고리들(의 아이콘들)은 그들을 호스트하도록 예정된 선택된 섹터들에 삽입된다(블록 320). 위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되고 선택될 서브-계층구조가 주어지면, 주어진 서브-계층구조에 속하는 카테고리들의 집합, 또는 부분집합은 선택된 섹터들(410aa, 410bb, 410cc, 410cd) 상에 매핑된다. 각각의 선택된 섹터(410aa, 410bb, 410bc, 410cc, 410cd)는 많아도 하나의 카테고리를 포함할 수 있다. 카테고리들은 상응하는 계층 레벨들에 관련되는 선택된 섹터들 내에 삽입된다. 상기 디스플레이된 카테고리들은 (이하에서 상세하게 설명되는 바와 같이) 선택된 분류체계로부터 추출된 디스플레이 가능한 서브-계층구조에 속하며, 추가로, 서브-계층구조의 계층 레벨이 주어지면, 그러한 레벨의 제1 호스팅 섹터에 포함된 카테고리는 다음 레벨의 카테고리들의 유일한 이전(predecessor) 카테고리인데, 다시 말하면 한 레벨에 삽입된 카테고리들은 단지 이전 레벨의 제1 호스팅 섹터에 삽입되어 있는 더 일반적 카테고리(부모)를 공통으로 지니는 카테고리들일 수 있다. 위에서 언급한 제한사항 외에도, 동일한 레벨에서의 카테고리들의 부분집합의 선택은 임의적일 수 있으며, 만일 특정 카테고리의 자식 카테고리들의 수가 이용가능한 호스팅 섹터들의 수보다 많다면, 스크린상에 표시된 자식 카테고리들의 부분집합은 예를 들면 임의적이다.
식별된 서브-계층구조에 속하는 카테고리들로서, 가시화를 위해 선택된 섹터들 중 한 섹터에 연관되어 있지 않은 카테고리들은 이하에서 상세하게 설명되는, 섹터들의 "스왑(swap)" 메커니즘을 통해 액세스 가능하게 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러한 카테고리들은 스크린(400)상에서 (적절한 선택된 섹터들에) 아이콘들을 통해 디스플레이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카테고리들이 상이한 계층 레벨들에 속한다는 점을 강조하기 위하여, 상이한 계층 레벨들에 속하는 카테고리들을 표시하기 위해 사용된 아이콘들은 상이한 크기를 지니며, 예를 들면, 더 일반적인 카테고리들은 가장 특이한 카테고리들에 비하여 크기가 큰 아이콘들로 표시된다. 도 7에는 각각의 카테고리에 대하여 삼각형 아이콘들을 채택한, 스크린(400)상에 상기 카테고리들을 디스플레이하는 일례가 도시되어 있다. 레벨 1(밴드(405a)) 상에는 부모 카테고리(705)가 있으며, 레벨 2(밴드(405b)) 상에는 2개의 자식 카테고리(710, 715)가 있고, 레벨 3(밴드(405c)) 상에는 2개의 손자 카테고리(720, 725)가 있다. 상기 아이콘들은 카테고리의 보편성(generality)의 정도에 의존하여 증가하는 크기를 지니는데, 본 도면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부모 카테고리(705)에 관련된 삼각형은 레벨 2 상의 카테고리들(710, 715)의 삼각형들보다 크며, 이러한 삼각형들은 다시 더 큰 특이성의 정도를 지니는, 레벨 3 상의 카테고리들(720, 725)을 표시하는 삼각형들보다 크기가 크다.
디스플레이될 카테고리들(705-725)의 아이콘들이 적합한 섹터들 내에 삽입되는 경우에, 상기 카테고리들 간의 관계들이 삽입된다(블록 325). 위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편성된 스크린(400)의 디스플레이 영역에 호스트되는 서브-계층구조가 주어지면, 상기 계층구조에 속하는 부모/자식 카테고리들을 연계시키는 (타입 "IS-A" 및 "PART-OF"의) 정적 관계(static relationship)들이 고려된다. 그러한 모델은 도 8에 예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된 서브-계층구조의 카테고리들 간의 연결들과 같은 관계들을 디스플레이하는 기능을 제공한다. 부모/자식 관계는 도 8에 도시된 연결들(805, 810)과 같이, 더 일반적인 레벨(부모)의 카테고리 및 가장 친밀한 자식 카테고리 간의 연결로서 표시된다. 부모 카테고리 및 다른 자식 카테고리들 간의 관계들은 도 8에 도시된 연결들(815, 820)과 같이, 인접한 자식들 간의 연결들로 표시된다(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방법은 각각의 레벨에 대한 단지 하나의 카테고리만이 디스플레이되는 다음 레벨의 자식 카테고리들을 지니는 것을 제시한다).
선택된 분류체계 내에서 디스플레이될 서브-계층구조의 선택, 다시 말하면 사용자 장치의 스크린(400)상에 디스플레이될 분류체계의 부분의 선택을 위한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방법이 지금부터 설명될 것이다. 주요 동작들은 도 3b의 플로차트의 블록들에 개략적으로 나타나 있다.
사용자 장치의 스크린상의 표시에 있어서, 상기 스크린(400)상에 디스플레이될 수 있는 서브-계층구조에 속하는 카테고리들이 선택되는 것으로부터 시작하는 주어진 분류체계의 카테고리가 "FOCUS"로 나타나 있으며, 도 8의 예를 참조하면, "FOCUS"로 나타나 있는 카테고리는 카테고리(710)이다.
이리하여, FOCUS 카테고리가 선택된다(블록 330). 초기 FOCUS 카테고리의 선택은 임의적일 수 있으며, 이는 예를 들면 사용 문맥에 의존할 수 있는데, 예를 들면, 텔레비전 프로그램들로 구성된 디지털 정보 콘텐츠의 경우에, 초기에 선택된 FOCUS 카테고리는 사용자에 의해 현재 뷰잉(viewing)되는 텔레비전 프로그램이 속하는 카테고리에 상응할 수 있다.
일단 현재 선택된 분류체계의 FOCUS 카테고리의 선택이 이루어진 경우에, 디스플레이될 수 있는 분류체계의 서브-계층구조가 생성된다(블록 335).
디스플레이 가능한 서브-계층구조는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디폴트(default)인 계층 레벨의 수에 한정된다. 분류체계 T, FOCUS 카테고리로서 선택된 분류체계 T의 하나의 카테고리 f 및 레벨들의 수 l이 주어지면, P을, 다음 식,
Figure pct00010
로서 정의된 FOCUS 카테고리 f의 이전 카테고리들의 집합이라 하고, S를, 다음 식,
Figure pct00011
로서 정의된 FOCUS 카테고리 f의 자손(descendant)들의 집합이라고 하며, 그리고 B를, 다음 식,
Figure pct00012
로서 정의된 FOCUS 카테고리 f의 형제 노드들의 집합이라고 하고, 사용자 장치의 스크린상에 디스플레이될 수 있는 서브-계층구조(또는 분류체계의 부분)가 다음 식,
Figure pct00013
로서 정의되는데, 상기 식 중, L은 서브-계층구조의 상이한 레벨들에 상응하는 스크린상의 이용가능한 서브-영역들의 수이다.
본질적으로,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의하면, 사용자 장치의 스크린상에 디스플레이될 수 있는 서브-계층구조는, 선택된 FOCUS 카테고리로부터 시작하여, 선택된 카테고리의 계층 레벨에 대해 바로 위에 있는 계층 레벨들에서 분류체계 T의 제1 개수의 카테고리들을 취함으로써, 그리고 선택된 카테고리에 대해 바로 아래에 있는 계층 레벨들에서 분류체계 T의 제2 개수의 카테고리들을 취함으로써, 이루어진다.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의하면, FOCUS로서 선택된 카테고리(의 아이콘)는 스크린상의 이용가능한 영역의 중앙에 가장 근접한 스크린(400)의 영역의 섹터(도 8의 예에서 중앙 밴드(405b)의 섹터(410bb))에 배치된다(블록 340). FOCUS로서 선택된 카테고리로부터 시작하여, 디스플레이될 서브-계층구조의 다른 카테고리들은 선택 및 배치된다(블록 345).
도 8의 예를 다시 참조하면, FOCUS로서 선택된 카테고리(본 예에서, 카테고리(710))로서 선택된 카테고리에 예정된 "중앙(central)" 위치를 점유해야 하는 분류체계에 속하는 카테고리를 선택한 후에, 서브-계층구조의 다른(고려된 예에서, 4개) 엘레먼트들이 위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선택된 스크린(400)의 영역의 섹터들에 배치되는데, (카테고리(710)의 계층 레벨보다 위에 있는 계층 레벨에 상응하는) 밴드(405a)의 선택된 섹터에는 카테고리(705)가 고려된 분류체계에서 바로 더 일반적이며, FOCUS로서 선택된 카테고리를 호스트하도록 예정된 섹터(410bb)에 인접한 밴드(405b)의 선택된 섹터에는 카테고리(715)가 FOCUS 카테고리(710)의 동일한 계층 레벨에 있으며(다시 말하면, 동일한 특이성의 정도를 가지게 되며) 후자에 가장 근접하게 되고, 바로 아래에 있는 밴드(405c)의 선택된 섹터들에는 카테고리들(720, 725)이 FOCUS 카테고리(710)의 계층 레벨보다 아래에 있는 계층 레벨에 있게 된다. 이러한 배치가 주어지면, FOCUS로서 선택된 카테고리가 참조 계층구조를 표시하는 그래프의 가장 일반적인 노드를 표시하는 경우에, 어떠한 "부모(father)" 노드들도 위에 있는 밴드(405a)의 선택된 섹터들에 디스플레이되지 않게 되며, FOCUS로서 선택된 카테고리가 자신이 속하는 계층구조의 가장 특이한 노드인 경우에, 어떠한 다른 카테고리들도 아래에 있는 밴드(405c)의 선택된 섹터들에 디스플레이되지 않게 된다.
본 발명에 의하면, 동적 관계들이 존재하는 카테고리들 간에 2개 이상, 일반적으로는 임의 개수의 상이한 분류체계들을 사용자 장치의 스크린상에 디스플레이하는 기능이 제공된다. 각각의 분류체계는 위에서 설명한 방법을 사용하여 표시된다(블록 350).
사용자 장치의 스크린(400)상의 이용가능한 공간의 이용을 극대화하기 위해,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의하면, 이하에서 설명되는 메커니즘이 이용된다.
디스플레이될 각각의 분류체계는 도 9에 개략적으로 나타낸 바와 같이, 축(axis)(910)을 따라 순서대로 배열된 복수의 평행 평면(parallel plane)의 개별 평면상에 표시되는데, 이 경우에 예로써 상이한 평면들(905a, 905b, 905c, 905d) 상에서 스크린상에 동시에 디스플레이될 수 있는 분류체계들이 4개라고 가정된 것이다. 복수의 평행 평면의 각각의 평면은 상기 평면들의 순서로 개별 위치를 점유하는데, 도 9에서는, 전면 위치가 a로 정의되어 있으며, 나머지 3개의 위치는 계속해서 b, c 및 d로 정의되어 있다. 분류체계가 디스플레이되는 각각의 평면은 위(도 5 내지 도 8)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섹터들로 분할되어 있다. 상이한 분류체계들은 이용가능한 위치들 a, b, c, d 중 하나로 배치되는 상이한 평면들에 속한다. 사용자 장치의 스크린(400)상의 최종 표시에서는, 상이한 평면들이 단일의 2차원 평면으로 융합되는 데, 그 이유는 사용자의 시야가 전면에 있기 때문이다.
스크린(400)상에 가끔 디스플레이 가능한 평면들은 현재 선택된 분류체계의 FOCUS 카테고리로서 선택된 카테고리와 관련이 있는 적어도 하나의 카테고리가 존재하는 분류체계들을 호스트하는 평면들이다. 그러므로, 스크린(400)상에 표시함에 있어서 특정 시간에 모든 평면들이 존재할 필요가 없다.
사용자 장치의 스크린(400) 상의 이용가능한 공간을 최적화시키기 위하여 그리고 상이한 디스플레이된 분류체계들의 카테고리들 간의 과도한 오버랩들을 회피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의하면, 동일한 평면의 중앙 지점에 대하여 미리 정해진 개별 각도
Figure pct00014
로 상기 평면들 905a, 905b, 905c, 905d의 각각의 평면이 회전되는데, 일반 평면이
Figure pct00015
로 정의되면, 상기 평면의 회전 각도는 다음 식,
Figure pct00016
으로 구해지는데, 여기서 'number_of_taxonomies'는 분류체계들의 수이다.
그러한 회전은 정의되며 순서가 정해진 평면들의 순서의 변경(차후에 설명되는 바와 같이, 카테고리들에 대한 탐색시 이루어지는 변경)에 대해, 또는 상이한 이용가능한 위치들 a, b, c, d의 상이한 평면들에 의해 점유되는 순서의 변경에 대해 변하지 않는다.
예를 들면, 도 9의 예에서와 같이, 사용자 장치의 스크린(400) 상에 4개에 이르는 상이한 분류체계들을 디스플레이하는 경우에, 각각의 평면(905a, 905b, 905c, 905d)이 다른 평면에 대하여 회전되는 각도는 90°인 것이 바람직하며, 이는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4개의 사분면으로 스크린(400) 상의 이용가능한 공간을 분할하는 것을 허용한다. 그러한 방식으로, 스크린(400) 상에 디스플레이되는 분류체계들 각각의 선택된 서브-계층구조의 제1의 더 일반적인 카테고리(1005a, 1005b, 1005c, 1005d)는 상기 사분면들 NW, NE, SE, SW 중 하나의 사분면의 위치를 점유한다.
디스플레이될 수 있는 분류체계들의 개수(결과적으로는 상기 분류체계들을 호스트하도록 예정된 평면들)가 4개보다 많을 경우에, 예를 들면 2개 이상의 평면들에 동일한 회전 각도를 할당하는 것이 가능하며, 예를 들면, 5개의 평면들인 경우에, 다섯 번째 평면이 첫 번째 평면과 같이 0°의 회전 각도를 지닐 수 있다. 이러한 경우에, 동일한 회전 각도를 갖는 평면들을 포함하지 않게 하기 위하여, 그러한 평면들 중 4개의 평면보다 작거나 동일한 카디낼리티(cardinality)의 부분집합을 디스플레이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현재 선택된 분류체계는 어느 한 시점에서, 전면 위치(도 9에서 위치 a)를 점유하는 평면에 호스트되는 분류체계이다.
상이한 카테고리들 간의 기존의 동적 관계들에 기초해서, 각각의 분류체계의 디스플레이 가능한 서브-계층구조들의 선택이 기점 카테고리로서 현재 선택된 분류체계의 FOCUS로서 선택되는 카테고리를 지니는 관계들을 사용하여 이루어진다.
상이한 분류체계들을 호스트하는 평면들의 순서 또는 상이한 평면들(905a, 905b, 905c, 905d)에 의해 상이한 위치들(a, b, c, d)이 점유되고 그 위치들에 분류체계들이 디스플레이되는 순서는 시간에 따라 변할 수 있는데, 디스플레이될 다른 분류체계들의 서브-계층구조들을 결정하기 위해 고려되는 동적 관계들을 지니는 FOCUS 카테고리는 현재 선택된 분류체계에 속하는 카테고리인 것이 바람직하다.
표시될 나머지 분류체계들에 있어서, 현재 선택된 분류체계의 FOCUS 카테고리(분류체계에 대해 많아야 하나의 카테고리)와 관련된 각각의 카테고리 종점이 다시 선택되어 그를 포함하는 분류체계에 대한 FOCUS 카테고리로 나타나게 된다.
나머지 평면들에 의해 전면 위치 다음에 오는 위치들 b, c, d가 점유되는 순서는 도 9의 예에서 평면(905a)에서 호스트되는, 현재 선택된 분류체계의 FOCUS 카테고리 및 개별 평면들(905b, 905c, 905d)에서 호스트되는, 다른 분류체계들의 FOCUS 카테고리 간의 관계의 강도
Figure pct00017
에 의존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평면들(905b, 905c, 905d)은 평면(905a)에 의해 점유되는 전면 위치 a로부터 더 멀리 있는 위치들을 점유하게 되며 현재 선택된 분류체계의 FOCUS 카테고리와 상기 평면들의 FOCUS 카테고리의 관계는 점점 떨어지는 강도로 표시된다. 그러한 방식으로, 스크린(400) 상에 표시함에 있어서, 현재 선택된 분류체계의 FOCUS 카테고리에 상호관련된 모든 카테고리들은 도 11에서 보인 바와 같이 스크린상에 실질적으로 일치하는 위치들을 점유하는 섹터들에 가시화되는 데, 이 경우에 (현재 디스플레이되는 분류체계를 호스트하는 것으로 가정될 경우) 2개의 평면(905a, 905b)에 한정해서 상기 평면들의 회전 메커니즘이 개략적으로 나타나 있고, 상기 평면(905a)에 호스트되는 분류체계의 FOCUS로서 선택된 카테고리(1105a) 및 위에서 설명한 바에 기초하여, 상기 평면(905b)에 호스트되는 분류체계의 FOCUS 카테고리를 구성하는 카테고리(1105b)는 스크린(400) 상의 최종 디스플레이에서 스크린의 동일한 존을 점유한다. 2개의 분류체계의 카테고리들을 표시하기 위해 사용된 아이콘들은 상이한 형상을 지닐 수 있다.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의하면, 정보 콘텐츠의 카탈로그를 탐색하기 위해, 사용자는 사용자 장치에 커맨드들을 부여한다. 그러한 커맨드들은 예를 들면 액튜에이터들의 집합 상에 매핑(mapping)될 수 있다. 상기 액튜에이터들은 예를 들면 특정 사용자 장치에 의존하여 사용자 장치의 원격 제어기의 키들(예컨대, 텔레비전 세트의 경우에)일 수도 있고 개인용 컴퓨터 또는 셀룰러폰의 키보드의 키들일 수도 있다.
액튜에이터들의 수가 적은 것이 유리할 수 있는데, 예를 들면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서는, 10개의 액튜에이터이면 충분하다(이는 예를 들면 4개에 이르는 상이한 분류체계가 디스플레이되는 것으로 가정된 경우이며, 일반적으로는, 정보 콘텐츠의 카탈로그를 탐색하는데 필요한 액튜에이터들의 수는 디스플레이할 수 있는데 필요한 분류체계들의 수에 의존하므로, 상기 분류체계들을 호스트하도록 예정된 평면들의 수에 의존한다). 이 때문에, 심지어 매우 복잡한 정보 콘텐츠의 카탈로그의 탐색은 또한 한정된 개수의 키들(예를 들면, 원격 제어기 또는 셀룰러폰의 키보드)과 사람/기계 인터페이스들을 지니는 사용자 장치들을 통해 이루어질 수 있다.
도 12에는, 디지털 정보 콘텐츠의 카탈로그의 탐색용으로 사용되는데 적합한 전형적인 액튜에이터들의 리스트가 개략적으로 도시되어 있다. 일반 액튜에이터의 라벨은 오직 대표적으로 나타낸 것이다. 상기 액튜에이터들은 예를 들면 위에서 언급한 바와 같이 텔레비전 세트 또는 텔레비전 세트에 접속된 셋-톱 박스용 원격 제어기의 키들일 수 있다. 특히, 4개의 액튜에이터(1205, 1210, 1215, 1220)는 각각 스크린(400) 상의 선택 지점 또는 존의 이동, 즉 상방 이동(UP), 하방 이동(DOWN), 좌방 이동(LEFT) 및 우방 이동(RIGHT)을 허용하며, 액튜에이터(1225)는 예를 들면 내부에 카탈로그화된 콘텐츠에 액세스하기 위한 카탈로그 선택을 위해 사용자가 선택 커맨드를 입력할 수 있게 하고, 예를 들면 원격 제어기의 상이한 컬러의 키들에 상응하는 4개의 액튜에이터(1230, 1235, 1240, 1245)는 디스플레이된 4개의 상이한 분류체계(결과적으로는 4개의 평면들(905a, 905b, 905c, 905d))의 선택을 허용하며, 액튜에이터(1250)는 일반적으로 이전 상태로의 복귀를 허용한다.
위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현재 선택된 분류체계는 전면 위치 a의 평면 내에 호스트된다. 현재 선택된 분류체계의 FOCUS 카테고리는 이 상부에 제어부가 존재하며 내부에 카탈로그화된 콘텐츠가 액세스되는 것이다. 선택 액튜에이터(1225)를 통해, 현재 선택된 분류체계의 FOCUS 카테고리에서 카탈로그화된 콘텐츠의 리스트(다시 말하면, FOCUS 카테고리의 확장)에 액세스하는 것이 가능하다. 그러한 리스트의 디스플레이 및 그러한 리스트의 엘레먼트들에 대한 액세스는 여러 방식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므로, 본 발명의 한정으로 선정된 것이 아니다.
현재 선택된 분류체계가 주어지면, 상기 액튜에이터들(1205, 1210, 1215, 1220)을 사용함으로써 상기 분류체계의 FOCUS 카테고리에 연결된 카테고리들을 직접 탐색하는 것이 가능하다. 한 카테고리는 다른 한 카테고리가 동일한 서브-계층구조에 속하는 경우에 다른 한 카테고리에 직접 연결되고, 스크린(400) 상의 디스플레이에는, 2개의 카테고리 간의 연결이 존재한다(도 8의 예를 참조하면, 상기 카테고리들(705, 715, 720)은 예를 들면 상기 카테고리(710)에 직접 연결된다). 현재 선택된 분류체계의 FOCUS 카테고리의 계층 레벨에 상응하는 계층 레벨에서, 현재 선택된 분류체계의 FOCUS 카테고리에 직접 연결된 카테고리들의 탐색을 위해 사용될 액튜에이터들(1205, 1210, 1215, 1220)은 현재 선택된 분류체계를 호스트하는 평면의 회전 각도에 의존하기 때문에, 사용될 액튜에이터들은 도 13의 표에 요약되어 있는 바와 같이, 현재 선택된 분류체계를 호스트하는 평면의 회전 각도에 따라 변하는데, 이 경우에 레벨
Figure pct00018
는 상기 FOCUS 카테고리의 계층 레벨을 나타내며, 레벨
Figure pct00019
은 계층적으로 높은 카테고리의 계층 레벨을 나타내고, 레벨
Figure pct00020
은 상기 FOCUS 카테고리의 자식 카테고리들의 계층 레벨을 나타낸다. 현재 선택된 분류체계의 FOCUS 카테고리에 직접 연결된 하나 이상의 카테고리들이 존재하지 않는 경우에, 관련 액튜에이터는 금지된다.
현재 선택된 분류체계의 FOCUS 카테고리에 직접 연결된 카테고리에 대한 액세스는 현재 선택된 분류체계의 변경을 결정하지 않고, 현재 선택된 분류체계의 FOCUS 카테고리를 수정하는데, 상기 액세스된 카테고리는 고려된 분류체계의 새로운 FOCUS 카테고리가 된다. 이는 수정되는 표시된 서브-계층구조에 영향을 주며, 또한 현재 선택된 분류체계의 이전 FOCUS 카테고리에 대한 관계(그러한 관계의 카테고리 종점인 관계)에 의해 연결된 개별 FOCUS 카테고리를 갖는 다른 디스플레이된 분류체계의 표시에 반영될 수 있다. 다시 말하면, 현재 선택된 분류체계의 FOCUS 카테고리의 변경은 잠재적으로 전체 다중-분류체계 표시를 변경하는데, 그 이유는 현재 선택된 분류체계의 FOCUS 카테고리의 변경이 모든 분류체계의 표시된 서브-계층구조들이 의존하는 피벗으로서의 기능을 수행하기 때문이다.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의하면, "스왑(swap)" 메커니즘은 상기 FOCUS 카테고리의 형제 카테고리들의 수가 상기 FOCUS 카테고리의 계층 레벨에 대해 이용가능한 호스팅 섹터들(다시 말하면, 중앙 밴드(405b)의 선택된 섹터들)의 수보다 많은 경우에 상기 FOCUS 카테고리의 형제 카테고리들(상기 FOCUS 카테고리의 동일한 계층 레벨에 있는 카테고리들)을 탐색할 때 예상되는 것이다. 도 14에 예시된 스왑 메커니즘은 상기 FOCUS 카테고리가 변경될 때 그러한 카테고리들이 상기 레벨의 이용가능한 호스팅 섹터들을 주기적으로 점유하는 기능(한번에 하나의 카테고리가 상기 FOCUS 카테고리에 대해 예약된 섹터를 점유하게 하는 기능)을 제공한다. 도 14의 예를 참조하면, 상기 도면의 좌측 상단에는 초기 상태가 도시되어 있으며, 상기 선택된 분류체계의 FOCUS 카테고리는 1로 표시되어 있으며 동일한 계층 레벨의 섹터들에는, 형제 카테고리들(2, 3)이 디스플레이되어 있고 나머지 형제 카테고리들(4, 5)은 디스플레이되어 있지 않으며, 상기 액튜에이터(1220)를 통해 (상기 도면의 우측 상단에 도시된 바와 같은) 형제 카테고리(2)에 액세스함으로써, 이는 FOCUS 카테고리가 되기 때문에, 상기 FOCUS 카테고리는 상기 카테고리(1)를 이전에 호스트한 섹터(410bb)에 디스플레이되고, 동일한 계층 레벨(밴드 405b)에서 이용가능한 섹터들(410bc, 410bd)에서는, 상기 형제 카테고리들(3, 4)이 현재 디스플레이되지만, 상기 카테고리들(5, 1)은 디스플레이되지 않는다. 그리고나서, 여전히 상기 액튜에이터(1220)를 통해 상기 카테고리(3)를 선택하면, 후자가 새로운 FOCUS 카테고리가 되고, 이는 상기 카테고리(2)를 이전에 호스트한 섹터(410bb)에 디스플레이되며, 동일한 계층 레벨에서 이용가능한 섹터들(410bc, 410bd)에서는, 상기 카테고리들(4, 5)은 현재 디스플레이되지만, 상기 카테고리들(1, 2)은 디스플레이되지 않는다.
본 발명에 의하면, (상기 액튜에이터들을 통해) 상부에 제어부가 존재하는, 현재 선택된 분류 체계로부터 시작하는 상이한 분류체계들에 속하는 카테고리들을 탐색하는 것이 가능하다. 위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된 분류체계들은 기점 카테고리로서 현재 선택된 분류체계의 현재의 FOCUS 카테고리를 지니는 관계의 종점 카테고리인 카테고리가 존재하는 분류체계들이며, 그러한 종점 카테고리는 그의 분류체계에 대해 FOCUS 카테고리의 역할을 한다.
다중-분류체계 탐색은, 단지 하나의 액튜에이터의 사용을 통해, 현재 선택된 분류체계의 현재 FOCUS 카테고리에 연결된 다른 분류체계들의 FOCUS 카테고리들 중 어느 하나에 액세스하는 것이 가능한 기능을 제공한다. 특히, 상기 액튜에이터들(1230, 1235, 1240, 1245)은 어느 한 연상(聯想; association) 처리방법에 따라 특정 시간에 가시화되는 분류체계들에 동적으로 관련된다.
이러한 액튜에이터들(1230, 1235, 1240, 1245)의 사용을 통해 현재 FOCUS 카테고리는 해당 액튜에이터에 매핑되는 평면에서 호스트되는 분류체계의 FOCUS 카테고리가 되며, 그러한 카테고리를 포함하는 분류체계는 디스플레이에서 고려된 분류체계가 존재하고 있다는 사실, 결과적으로는 상기 고려된 분류체계의 FOCUS 카테고리가 이전에 선택된 분류체계의 FOCUS 카테고리에 관련되어 있다는 사실로, 현재 선택된 분류체계가 된다. 선택된 분류체계의 변경으로 상기 선택된 분류체계를 포함하는 평면이 도 15에 개략적으로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전면 위치 a로 이동하게 된다. 왼편에는 초기 상태가 도시되어 있는데, 이 경우에 현재 선택된 분류체계는 전면 위치 a에 있는 평면(905a)에서 호스트된 것이다. 중앙에는 상기 평면(905a)에서 호스트되는 분류체계의 FOCUS 카테고리로부터 평면(905d)에서 호스트되는 분류체계의 FOCUS 카테고리로의 FOCUS 카테고리 변경이 도시되어 있으며, 오른편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평면(905d)에서 호스트되는 분류체계는 현재 선택된 분류체계가 되고, 이를 호스트하는 평면은 전면 위치 a에 도시되어 있고, 새로운 FOCUS 카테고리에 동적으로 관련되는 적어도 하나의 카테고리 종점을 가지는, 나머지 분류체계들(본 예에서는, 상기 평면들(905b, 905a)에서 호스트되는 분류체계들)을 호스트하는 평면들이 그러한 관계의 강도에 의존하는 순서로 재분배되며, 본 예에서는, 최종의 경우에 상기 평면(905c)에서 호스트되는 분류체계는 더 이상 디스플레이되지 않는데, 그 이유는 상기 평면(905c)에 현재 선택된 새로운 분류체계의 FOCUS 카테고리에 관련되는 어떠한 카테고리 종점도 존재하지 않기 때문이다. 다시 말하면, 예를 들어, 분류체계 Z가 액튜에이터 Y와 매핑되는 평면상에서 호스트되는 경우에, 상기 액튜에이터의 사용으로 분류체계 Z는 새로운 선택된 분류체계 및 상기 새로운 선택된 분류체계의 FOCUS 카테고리, 즉 새로운 FOCUS 카테고리가 된다.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의하면, 상이한 분류체계들에 속하는 카테고리들 간에 존재하는 동적 관계들은 또한 상기 관계의 방향과는 반대로 정보 콘텐츠의 카테고리를 탐색하기 위해 이용된다. 특히, 상기 카테고리들의 탐색 및 방문 경로에 대한 액세스 메커니즘은 사용자에 의해 이전에 액세스되는 임의의 FOCUS 카테고리에 대한 랜덤 액세스(random access)를 허용하도록 제공된다. 상기 방문 경로는 정보 콘텐츠의 카탈로그의 동일한 탐색 세션 내로, 다시 말하면 사용자 장치의 턴온 및 사용자에 의한 사용자 장치의 턴오프 간의 시간 간격 내로 예정된 것이다. 사용자에 의해 이전에 탐색된 FOCUS 카테고리들은 상기 액튜에이터(1250)를 통해 액세스 가능한 순서화된 리스트로 수집된다. 반복해서 상기 액튜에이터(1250)를 사용하는 경우에, 사용자는 그러한 리스트를 한번에 하나의 FOCUS 카테고리로 볼 수 있다. 이전에 탐색된 하나의 결정된 FOCUS 카테고리의 선택으로 스크린(400) 상의 다중-분류체계 디스플레이가 수정되어, 상기 다중-분류체계 디스플레이가 이전의 디스플레이로 복귀된다. 원하는 FOCUS 카테고리 상의 제어부를 재활성화시키기 위하여, 상기 원하는 FOCUS 카테고리가 상기 리스트로부터 선택되는 경우에, 상기 액튜에이터(1230)가 사용된다. 이 시점에서, 정상적인 상호작용 모델이 유효하도록 복귀된다.
터치 스크린이 사용자 장치에 구비되는 경우에 이용가능한 본 발명의 변형 실시예에서는, 사용자가 콘텐츠의 카탈로그를 탐색하는 것을 허용하도록 하는 커맨드들은 사용자가 스크린의 상이한 존들을 터치함으로써 그리고 상이한 방식으로 스크린을 터치함으로써 부여된다. 상기 스크린의 터치된 존의 좌표들은 상기 스크린에 의해 검출되며 상기 스크린이 접속된 장치, 예를 들면 개인용 컴퓨터 또는 스마트폰에 전송된다. 상기 장치에 의해 실행되는 프로그램은 현재 디스플레이되는 카테고리들 중에서 사용자가 어느 카테고리를 "활성화(activation)"하려고 하는지를 알 수 있도록 사용자에 의해 터치된 지점의 좌표들을 사용하게 된다. 카테고리를 활성화시키는 효과는 활성화된 카테고리가 차후에 설명되는 바와 같이 존재하는 콘텍스트(context)에 의존하다. 사용자는 또한 동일한 카테고리가 디스플레이되는 스크린의 부분을 시간적인 면에서 신속하게 연속 2번 터치하는, 카테고리 상에서의 더블 클릭("더블 활성화(double activation)")을 이룰 수 있다.
앞서 설명한 바에 비하여 변형적인 이러한 상호작용 모델은 기본 모델에 대하여 단지 그러한 차이들만을 열거해서 설명된 것이다.
현재 선택된 분류체계의 FOCUS 카테고리의 콘텐츠에 대한 액세스는 동일한 카테고리의 "더블 활성화"를 통해 이루어질 수 있다.
현재 디스플레이된 분류체계들(현재 선택된 분류체계 및 선택되지 않은 분류체계들 모두)의 카테고리들의 탐색은 상기 카테고리가 디스플레이되는 스크린의 지점을 한번 터치해서, 관심이 있는 카테고리를 직접 활성화함으로써 이루어진다.
상기 다중-분류체계 탐색은 도달하고자 하는 분류체계 T의 FOCUS 카테고리를 활성화함으로써 이루어진다. 적어도 부분적으로 중첩(디스플레이된 모든 분류체계들의 FOCUS 카테고리들을 표시하도록 선택된 아이콘들의 형상에 의존하는 오버랩의 정도)되는 디스플레이된 모든 분류체계들의 FOCUS 카테고리들인, 현재 선택된 분류체계와 일치하지 않는 분류체계의 FOCUS 카테고리를 활성화하기 위해 사용자가 스크린의 정확한 부분을 터치하는 것이 간단치 만은 않을 수 있기 때문에, 현재의 분류체계 하부에 놓이는 분류체계들의 FOCUS 카테고리들로부터 돌출되며 도 16에서 부가물들(1605, 1610)로 개략적으로 나타낸 바와 같이, 사용자에 의한 그러한 카테고리들의 활성화를 용이하게 하는 아이콘들에 추가적인 부가물들을 제공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분류체계 T의 FOCUS 카테고리의 활성화에 의해 다음과 같은 2가지 효과가 발휘된다.
- 현재의 FOCUS 카테고리가 분류체계 T의 FOCUS 카테고리가 됨;
- 선택된 분류체계가 분류체계 T가 됨.
이전에 액세스된 FOCUS 카테고리들의 순서화된 리스트에 포함되어 있는 방문 경로에 대한 액세스는, 사용자가 되돌리고자 하는 FOCUS 카테고리를 활성화함으로써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을 더 명확하게 하기 위해, 이하에서는 실제 적용례가 제공 및 설명될 것이다.
고려된 예는 다음과 같은 4가지 전형적인 분류체계, 즉 지리(GEOGRAPHY), 역사 이벤트들(HISTORICAL EVENTS), 스포츠(SPORT), 콘텐츠의 유형(TYPOLOGY OF CONTENT)으로 편성된 디지털 오디오/비디오 콘텐츠의 카탈로그에 관한 것이다. 이하에서 설명하게 될 예에서는, 사용자를 위한 내비게이션의 메타포어(metaphor)로서 "서브웨이 맵" 개념 모델이 또한 참조될 것이다.
정보 콘텐츠의 카탈로그의 탐색을 위해 사용되는 사용자 장치가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텔레비전 세트이며 이를 통해 사용자가 도 17에 개략적으로 도시된 바와 같은 표준 원격 제어기의 키들(액튜에이터들)을 통해 상호작용한다고 가정하기로 한다. 상기 원격 제어기(1700)는 화살표 키들(1705, 1710, 1715, 1720), 입력 또는 선택 키("OK")(1725), 4개의 컬러 키들(1730, 1735, 1740, 1745) 및 백(back) 키(1750)를 지닌다. 이러한 키들은 도 12에 도시되고 위에 설명된 액튜에이터들에 상응한다.
이하에서 설명하게 될 예는 어떠한 방식으로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을 사용하여, 상기 분류체계들의 카테고리들을 탐색하고 아마도 상기 카테고리들에 따라 분류되는 카테고리의 콘텐츠에 액세스하는 것이 가능한 지를 보여준다.
도 18에는 개시 상황이 도시되어 있다. 사용자의 텔레비전 세트의 스크린(400) 상에 4가지 모두의 분류체계들 GEOGRAPHY, HISTORICAL EVENTS, SPORT, TYPOLOGY OF CONTENT가 디스플레이된다. 여기에서는 현재 선택된 분류체계가 상기 원격 제어기(1700)의 액튜에이터(1735) 및 예를 들면 녹색(G) 컬러에 관련된 분류체계 GEOGRAPHY인 것으로 가정되어 있다. 현재 선택된 분류체계의 FOCUS 카테고리는 "로마(ROMA)"로 나타낸 것이다.
나머지 3가지 분류체계(HISTORICAL EVENTS, SPORT, TYPOLOGY OF CONTENT)는 컬러들(적색(R), 청색(B), 황색(Y))에 그리고 상기 원격 제어기(1700)의 액튜에이터들(1730, 1740, 1745)에 각각 관련되어 있다.
FOCUS 카테고리 "ROMA"로부터 개시하여 생성되는, 분류체계 GEOGRAPHY의 디스플레이 가능한 서브-계층구조는 다음과 같다.
- 서브-계층구조의 상위 레벨에는 카테고리 "라치오(LAZIO)"(FOCUS 카테고리 "ROME"의 부모 카테고리)가 존재한다. "LAZIO"는 카테고리 "ROMA"에 근접한 서브-계층구조의 일반적인 카테고리이며, 라치오는 로마라는 도시가 위치해 있는 지역이다.
- 카테고리 "ROMA"의 동일 레벨에는 "비테르보(VITERBO)"가 존재하는데, 그 이유는 비테르보라는 도시가 또한 부모 카테고리 "LAZIO"에 상응하는 지역 라치오라는 영역이기 때문이다.
- 하위 레벨에서는, 카테고리 "ROMA"에 관련된 더 특정한 카테고리들 중 2개의 카테고리가 로마 영역의 영토에 속하는 2개의 도시에 해당하는 카테고리들 "오스티아(OSTIA)" 및 "프레제네(FREGENE)"이다.
각각의 카테고리는 원(circle)의 형상으로 이루어진 아이콘을 통해 텔레비전 세트의 스크린(400) 상에 디스플레이되며, 카테고리의 명칭을 포함하는 라벨에 관련되어 있다. 카테고리들에 관련된 아이콘들은 소속된 계층 레벨에 의존하는 가변 크기를 지니는 것이 바람직한데, 본 예에서는 가장 큰 아이콘이 더 일반적인 카테고리 "LAZIO"에 상응하며, 2개의 중간 아이콘들은 형제 카테고리들 "ROMA" 및 "VITERBO"에 상응하고, 그리고 가장 작은 아이콘들은 카테고리들 "OSTIA" 및 "FREGENE"에 상응한다.
FOCUS 카테고리 및 그에 상응하는 설명은 카테고리 역할의 중요성을 강조하는, 밑줄(underlining) 및 굵은 포맷의 폰트로 인식가능하다.
현재 선택된 분류체계의 FOCUS 카테고리 "ROME"는, 상기 분류체계들(HISTORICAL EVENTS, SPORT, TYPOLOGY OF CONTENT)에 각각 속하는, 카테고리들 "STORIA DI ROMA", "S.S. ROMA"(로마라는 도시의 축구팀에 상응하는 카테고리) 및 "FILM STORICI"에 동적으로 관련되어 있다. 현재 선택된 분류체계의 FOCUS 카테고리와의 그러한 동적인 관계 때문에, 이러한 카테고리들 각각은 개별 분류체계의 FOCUS이다. 디스플레이된 서브-계층구조들의 선택 및 현재 선택된 분류체계와는 상이한 다른 분류체계들의 표시는 위에서 설명한 규칙들을 따른다.
따라서, 상기 분류체계(HISTORICAL EVENTS)의 카테고리 "STORIA DI ROMA"는 부모 카테고리 "STORIA ANTICA"에, 형제 카테고리 "STORIA GRECA"에 그리고 자식 카테고리 "TRIUMVIRATO"에 연결되며, "S.S. ROMA"에 상응하는 축구팀의 선수들 중 하나(축구 선수 토티(Totti))에 상응하는, 카테고리 "TOTTI"의 부모인 것에 부가하여, 상기 분류체계(SPORT)의 카테고리 "S.S. ROMA"는 (이탈리아 축구 챔피언쉽의 프레미어 리그 - "세리에 A(Serie A)"에 상응하는) 카테고리 "SERIE A"의 자식 및 상기 프레미어 리그에 속하는 다른 한 축구팀, 그 예로 (로마라는 도시의 다른 축구장에 상응하는) 카테고리 "S.S. LAZIO"의 형제이고, 상기 분류체계 "TYPOLOGY OF CONTENT"의 카테고리 "FILM STORICI"는 더 일반적인 카테고리 "FILMS"에 그리고 형제 카테고리 "THRILLER"에 연결된다.
고려된 예에서, 선택되지 않은 분류체계들은, 이들을 현재 선택된 분류체계와 직관적으로 구별하기 위해 보다 큰 정도의 투명도(transparency)를 가지고 스크린(400) 상에 디스플레이된다. 상이한 분류체계들의 FOCUS 카테고리들에 충당된 스크린(400)의 위치에서 중첩되는, 상이한 분류체계들의 FOCUS 카테고리들에 상응하는 아이콘들은 예를 들면 (동심원들을 통해) 포개 넣어진 것처럼 디스플레이된다.
정보 콘텐츠의 카탈로그의 동일한 탐색 세션에서 탐색되는 FOCUS 카테고리들의 리스트를 포함하는, 텔레비전 세트의 스크린(400)의 왼편에서 가시화되는 방문 경로는, 초기 상태에서 단지 개시 FOCUS 카테고리("ROMA")만을 포함한다.
선택된 분류체계 "GEOGRAPHY"의 초기 FOCUS 카테고리 "ROMA"로부터 개시하여, 이전에 선택되지 않은 분류체계 "TYPOLOGY OF CONTENT"의 카테고리 "FILM STORICI"에 대한 액세스의 예(도 19 참조)가 도시되어 있다. 이는 상기 분류체계들을 호스트하는 평면들(도 9 참조)의 위치의 변경에 해당하는데, 다시 말하면 상기 분류체계 "GEOGRAPHY"를 호스팅하는 평면에 의해 이전에 점유된 위치 a는 차후에 상기 분류체계 "TYPOLOGY OF CONTENT"를 호스트하는 평면에 의해 점유하게 된다. 이러한 동작은 상기 원격 제어기(1700)의 액튜에이터(1740)에 의해 활성화된다. 일단 상기 평면들의 위치의 변경이 이루어지면, 상기 카테고리들은 현재 선택된 분류체계의 새로운 FOCUS 카테고리 "FILM STORICI"에 대해 재분배된다. 도 19에는 새로운 FOCUS 카테고리 "FILM STORICI"와의 동적 관계를 지니는 다른 분류체계들에 속하는 카테고리들이 도시되어 있다.
상기 카테고리 "FILM STORICI"가 중첩되는, 더 이상 선택되지 않은 분류체계 "GEOGRAPHY"의 FOCUS 카테고리는 더 이상 이전에 존재하고 있던 바와 같은 카테고리 "ROMA"가 아니고, 상기 카테고리들 간의 관계들의 비대칭의 결과로 카테고리 "EGITTO"이다. 도 20에 예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상기 분류체계 "GEOGRAPHY"를 선택함으로써, 상기 분류체계 "GEOGRAPHY"의 FOCUS 카테고리는 더 이상 상기 카테고리 "ROMA"가 아니고, 오히려 상기 분류체계 "GEOGRAPHY"의 FOCUS 카테고리는 카테고리 "EGITTO", 다시 말하면 상기 카테고리 "TYPOLOGY OF CONTENT"의 FOCUS 카테고리인 카테고리 "FILM STORICI"가 관계를 맺고 있는 분류체계 "GEOGRAPHY"에 속하는 카테고리이다. 이는 다시 상기 분류체계들을 호스트하는 평면들의 위치의 변경을 포함하며, 이러한 변경은 상기 원격 제어기(1700)의 액튜에이터(1735)를 통해 이루어진다.
도 21에는, 도 20에 도시된 상태로부터 개시하여, 카테고리 "EGITTO"로부터 카테고리 "ALESSANDRIA D'EGITTO"로의 FOCUS 카테고리의 결과적인 변경과 함께, 선택된 분류체계의 다른 한 카테고리의 탐색이 도시되어 있다. 이러한 2개의 카테고리 중에는 부모-자식 관계가 존재한다. 이러한 경우에, 상기 서브-계층구조의 하위 레벨로의 시프트(shift)는 상기 원격 제어기(1700)의 액튜에이터(1715)(하방 화살표)에 의해 활성화된다. 도 21에는 또한 상기 분류체계들의 전체 디스플레이가 어떠한 방식으로 새로운 FOCUS 카테고리 "ALESSANDRIA D'EGITTO"로부터 개시하여 재구성하는 지가 도시되어 있다. 하나의 결정된 카테고리의 콘텐츠의 리스트에 대한 액세스는 상기 하나의 결정된 카테고리가 상기 선택된 분류체계의 FOCUS 카테고리일 때 가능하고 그러한 목적으로 상기 원격 제어기의 선택 키(1725)가 사용된다.
도 22에는 상기 방문 경로의 탐색이 예시되어 있으며, 4가지 연속 상태가 도시되어 있고, 상기 스크린(400)의 왼편 부분에는 상기 방문 경로가 상기 콘텐츠의 탐색의 동일 세션 동안 이전에 탐색된 선택된 분류체계들의 FOCUS 카테고리들과 일치하는, 카테고리들의 리스트로서 도시되어 있다. 고려된 예에서, 상기 방문 경로는 상기 원격 제어기의 백 키(1750)를 통해 액세스되며, 상기 리스트는 그 리스트를 반복해서 누름으로써 대충 훑여지게 된다. 상기 리스트의 카테고리 상에 배치하고 상기 원격 제어기의 선택 키(1725)를 사용함으로써, 동일한 카테고리가 선택된 FOCUS 카테고리이도록 복귀되고 그러한 카테고리를 포함하는 분류체계는 선택된 분류체계이도록 복귀된다. 또한, 다른 디스플레이 가능한 분류체계들의 카테고리들의 배치는 이전에 발견된 동일한 배치이도록 복귀된다. 개시 카테고리 "ROMA"에 대한 재배치의 예가 도시되어 있다.
마지막으로, 도 23에는 상기 FOCUS 카테고리의 동일한 레벨에 속하는 선택된 분류체계의 카테고리들의 탐색에서의 카테고리들의 "스왑" 메커니즘의 예가 도시되어 있다. 상기 카테고리들의 "스왑" 메커니즘은 상기 FOCUS 카테고리의 동일한 계층 레벨에서 그러한 계층 레벨에 대한 상기 스크린의 이용가능한 호스팅 섹터들의 수보다 많은 동일한 분류체계에 속하는 카테고리들의 수가 존재할 경우에, 그러한 카테고리들은 순환(주기) 방식으로 이용가능한 섹터들을 점유하여, 차례로 FOCUS 카테고리가 되게 하는 기능을 제공한다. 도시된 배열을 통해서, 어떠한 방식으로, 상기 FOCUS 카테고리 "ROMA"로부터 개시하여, 상기 원격 제어기의 키(1720)(우측 화살표)를 통해 (동일한 계층 레벨에 있는) 형제 카테고리들, 다시 말하면 지역 라치오의 다른 영역들을 통과하는 것이 가능한 지가 설명될 수 있다. 일단 동일한 계층 레벨에 속하는 모든 카테고리가 통과된 경우에는, FOCUS 카테고리가 카테고리 "ROMA", 다시 말하면 개시 카테고리이도록 복귀하게 된다. 여기서 알아야 할 점은 본 도면에서, 그리고 상기 도면을 복잡하게 하지 않게 하기 위하여, FOCUS 카테고리의 모든 변경에 대한 다른 분류체계들의 카테고리들의 재구성이 도시되어 있지 않다는 점이다.
*****
본 발명은 예를 들면 IPTV(Internet Protocol TeleVision) 서비스들의 제공에, 월드 와이드 웹(World Wide Web)의 내비게이션에, 스마트폰들과 같은 이동 통신 단말기들의 분야에, 특정 애플리케이션들을 위해 개발된 애드 혹(ad hoc) 기기들에(예컨대, 레스토랑들, 의류, 음식 산업 등의 분야에), 그리고 일반적으로 시맨틱 타입의 대량 정보 콘텐츠의 편성 및 탐색의 형태들을 제공하는 것이 필요한 모든 경우에 적용될 수 있다.

Claims (11)

  1. 디스플레이 스크린(400)이 구비된 사용자 장치(205, 210, 225)를 통해 디지털 정보 콘텐츠의 카탈로그를 탐색하는 방법으로서, 상기 디지털 정보 콘텐츠의 카탈로그는 적어도 2개의 계층적 트리 구조들(T1, T2)에 따라 구조화되며, 각각의 계층적 트리 구조는 개별적인 노드들의 계층구조를 포함하고, 각각의 노드는 개별적인 디지털 정보 콘텐츠의 카테고리에 상응하는, 디지털 정보 콘텐츠의 카탈로그 탐색 방법에 있어서, 상기 방법은,
    상기 적어도 2개의 계층적 트리 구조들 중 제1 계층적 트리 구조의 제1 노드들의 서브-계층구조를 선택하는 단계로서, 상기 제1 노드들의 서브-계층구조는 상기 제1 계층적 트리 구조의 선택된 카테고리에 대하여 바로 위에 있는 계층 레벨들에서의 제1 개수의 카테고리들 및 상기 제1 계층적 트리 구조의 선택된 카테고리에 대하여 바로 아래에 있는 계층 레벨들에서의 제2 개수의 카테고리들 중에서 적어도 하나를 선택함으로써 상기 제1 계층적 트리 구조의 선택된 카테고리로부터 개시하여 구성되는, 단계;
    상기 적어도 2개의 계층적 트리 구조들 중 제2 계층적 트리 구조의 제2 노드들의 서브-계층 구조를 선택하는 단계로서, 상기 제2 노드들의 서브-계층구조는 상기 제2 계층적 트리 구조의 종점(destination) 카테고리로부터 개시하여 구성되며, 상기 종점 카테고리는, 상기 종점 카테고리에 대하여 바로 위에 있는 계층 레벨들에서의 제1 개수의 카테고리들 및 상기 종점 카테고리에 대하여 바로 아래에 있는 계층 레벨들에서의 제2 개수의 카테고리들 중에서 적어도 하나를 선택함으로써 상기 선택된 카테고리와의 관계를 이루는, 단계;
    상기 제1 노드들의 서브-계층구조 및 상기 제2 노드들의 서브-계층구조의 카테고리들 및 상기 카테고리들 간의 개별 관계들을 표시하는 아이콘들을 상기 스크린상에 디스플레이하는 단계; 및
    상기 사용자 장치를 통해 사용자에 의해 부여된 커맨드들에 반응함으로써 상기 제1 노드들의 서브-계층구조 및 상기 제2 노드들의 서브-계층구조의 카테고리들을 탐색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디지털 정보 콘텐츠의 카탈로그 탐색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스크린상에 상기 카테고리들을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는,
    상기 제1 노드들의 서브-계층구조 및 상기 제2 노드들의 서브-계층구조의 계층 레벨들의 개수에 상응하는 존(zone)들의 개수로 상기 스크린의 영역을 분할하는 단계;
    싱기 존들 각각을 복수의 섹터들로 분할하는 단계;
    상기 존들 각각에 대하여 개별 섹터들을 선택하는 단계; 및
    상기 선택된 섹터들에 상기 아이콘들을 디스플레이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디지털 정보 콘텐츠의 카탈로그 탐색 방법.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노드들의 서브-계층구조는 상기 제1 노드들의 서브-계층구조와 비교해 볼 때 개별 규정 각도로 회전되어 상기 스크린상에 디스플레이되는, 디지털 정보 콘텐츠의 카탈로그 탐색 방법.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노드들의 서브-계층구조의 선택된 카테고리 및 상기 제2 노드들의 서브-계층구조의 종점 카테고리의 아이콘들이 디스플레이되는 스크린의 위치는 실질적으로 동일한 위치인, 디지털 정보 콘텐츠의 카탈로그 탐색 방법.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노드들의 서브-계층구조의 선택된 카테고리 및 상기 제2 노드들의 서브-계층구조의 종점 카테고리의 아이콘들은 상이한 투명도(transparency)의 레벨들로 상기 스크린상에 보이게 되는, 디지털 정보 콘텐츠의 카탈로그 탐색 방법.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노드들의 서브-계층구조의 선택된 카테고리 및 상기 제2 노드들의 서브-계층구조의 종점 카테고리의 아이콘들은 하나가 다른 것에 포함되어 상기 스크린상에 보이게 되는, 디지털 정보 콘텐츠의 카탈로그 탐색 방법.
  7.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커맨드들은 상기 사용자 장치의 키보드 인터페이스의 키들을 통해 사용자에 의해 부여되는 것 및 상기 스크린이 터치 스크린일 경우에, 상기 카테고리들이 디스플레이되는 영역들에 상기 스크린을 터치함으로써 부여되는 것 중 어느 하나인, 디지털 정보 콘텐츠의 카탈로그 탐색 방법.
  8. 제1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방법은,
    상기 사용자의 커맨드에 따라, 상기 선택된 카테고리와는 다른 카테고리를 선택한 후에, 상기 제1 노드들의 서브-계층구조 및 상기 제2 노드들의 서브-계층구조를 재결정하며 결과적으로 재결정된 서브-계층구조들을 상기 스크린상에 디스플레이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디지털 정보 콘텐츠의 카탈로그 탐색 방법.
  9. 제1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방법은,
    상기 사용자에 의해 탐색된 카테고리들의 리스트를 상기 스크린의 미리 결정된 영역에 디스플레이하고 이전에 탐색된 카테고리들 중 어느 하나의 카테고리의 선택을 가능하게 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디지털 정보 콘텐츠의 카탈로그 탐색 방법.
  10. 데이터 네트워크를 통해 적어도 2개의 계층적 트리 구조들(T1, T2)에 따라 구조화된 디지털 정보 콘텐츠의 카탈로그를 협의(consultation)를 위해 제공하도록 구성된 원격 서버 시스템에 접속가능한 디스플레이 기기(400)를 포함하는 사용자 장치로서, 각각의 계층적 트리 구조는 개별 노드들의 계층구조를 포함하며, 각각의 노드는 개별 디지털 정보 콘텐츠의 카테고리에 상응하는, 사용자 장치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장치는 제1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방법을 수행하도록 구성되는, 사용자 장치.
  11. 적어도 2개의 계층적 트리 구조들(T1, T2)에 따라 구조화된 디지털 정보 콘텐츠의 카탈로그를 사용자들에게 제공하도록 구성된 적어도 하나의 원격 서버 시스템으로서, 각각의 계층적 트리 구조는 개별 노드들의 계층구조를 포함하며, 각각의 노드는 개별 디지털 정보 콘텐츠의 카테고리에 상응하는, 적어도 하나의 원격 서버 시스템;
    제10항에 따른 사용자 장치;
    를 포함하는, 시스템.
KR1020127008820A 2009-09-08 2009-09-08 디지털 정보 콘텐츠의 카탈로그를 탐색하는 방법 KR10155727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IT2009/000402 WO2011030357A1 (en) 2009-09-08 2009-09-08 Method for exploring a catalog of digital information contents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82418A true KR20120082418A (ko) 2012-07-23
KR101557277B1 KR101557277B1 (ko) 2015-10-05

Family

ID=4139556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7008820A KR101557277B1 (ko) 2009-09-08 2009-09-08 디지털 정보 콘텐츠의 카탈로그를 탐색하는 방법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8903867B2 (ko)
EP (1) EP2476065A1 (ko)
KR (1) KR101557277B1 (ko)
CN (1) CN102687139B (ko)
WO (1) WO2011030357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23164A (ko) * 2014-08-21 2016-03-03 삼성전자주식회사 콘텐츠 분류 방법 및 전자 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20209715A1 (en) * 2011-02-11 2012-08-16 Microsoft Corporation Interaction with networked screen content via motion sensing device in retail setting
WO2012119246A1 (en) * 2011-03-07 2012-09-13 Azzimov Inc. Method and system for refining a semantic search on a mobile device
US8620113B2 (en) 2011-04-25 2013-12-31 Microsoft Corporation Laser diode modes
US8760395B2 (en) 2011-05-31 2014-06-24 Microsoft Corporation Gesture recognition techniques
US9449003B1 (en) * 2011-09-14 2016-09-20 Amdocs Software Systems Limited System, method, and computer program for presenting entity-related events using radially segmented concentric circles
US8635637B2 (en) 2011-12-02 2014-01-21 Microsoft Corporation User interface presenting an animated avatar performing a media reaction
US9100685B2 (en) 2011-12-09 2015-08-04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Determining audience state or interest using passive sensor data
US8898687B2 (en) 2012-04-04 2014-11-25 Microsoft Corporation Controlling a media program based on a media reaction
CA2775700C (en) 2012-05-04 2013-07-23 Microsoft Corporation Determining a future portion of a currently presented media program
KR101710771B1 (ko) * 2012-05-18 2017-02-27 애플 인크. 지문 센서 입력에 기초하여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조작하기 위한 디바이스, 방법 및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
KR20140036576A (ko) * 2012-09-17 2014-03-26 삼성전자주식회사 카테고리 디스플레이를 위한 방법 및 그 방법을 처리하는 전자 장치
US9600147B2 (en) * 2013-01-31 2017-03-21 Disney Enterprises, Inc. Multi-layer user interfaces
US9870582B2 (en) 2013-03-14 2018-01-16 Mcmaster-Carr Supply Company System and method for browsing a product catalog and for dynamically generated product paths
CN105468614B (zh) * 2014-09-01 2021-07-02 方正国际软件(北京)有限公司 一种编目的方法及装置
CN108021304A (zh) * 2017-12-05 2018-05-11 网易(杭州)网络有限公司 界面层级控制方法、装置、电子设备及存储介质
CN110737380B (zh) * 2019-09-05 2021-09-07 广州视源电子科技股份有限公司 思维导图展示方法、装置、存储介质及电子设备
CN111488109A (zh) * 2020-04-17 2020-08-04 上海闻泰信息技术有限公司 用户界面的控件信息的获取方法、装置、终端及存储介质
US11409410B2 (en) 2020-09-14 2022-08-09 Apple Inc. User input interfaces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918236A (en) * 1996-06-28 1999-06-29 Oracle Corporation Point of view gists and generic gists in a document browsing system
WO2000013104A1 (en) * 1998-08-26 2000-03-09 Symtec Limited Methods and devices for mapping data files
US6628304B2 (en) 1998-12-09 2003-09-30 Cisco Technology, Inc. Method and apparatus providing a graphical user interface for representing and navigating hierarchical networks
US6462762B1 (en) * 1999-08-05 2002-10-08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Apparatus, method, and program product for facilitating navigation among tree nodes in a tree structure
US6888554B1 (en) * 2000-05-24 2005-05-03 Groxis, Inc. User interface for bicontextual exploration of a graph
US20050091181A1 (en) * 2003-10-23 2005-04-28 Mckee Timothy P. System and method for the presentation of items stored on a computer
CN1545043A (zh) * 2003-11-10 2004-11-10 魏 茹 可视化电子图书馆
US7587409B2 (en) * 2004-09-24 2009-09-08 Sas Institute Inc. Computer-implemented system and method for handling node-link representations
JP2006120056A (ja) * 2004-10-25 2006-05-11 Hewlett-Packard Development Co Lp データベースシステムおよびその方法
US8332782B1 (en) * 2008-02-22 2012-12-11 Adobe Systems Incorporated Network visualization and navigatio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23164A (ko) * 2014-08-21 2016-03-03 삼성전자주식회사 콘텐츠 분류 방법 및 전자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8903867B2 (en) 2014-12-02
CN102687139B (zh) 2015-09-09
CN102687139A (zh) 2012-09-19
EP2476065A1 (en) 2012-07-18
WO2011030357A1 (en) 2011-03-17
US20130054652A1 (en) 2013-02-28
KR101557277B1 (ko) 2015-10-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57277B1 (ko) 디지털 정보 콘텐츠의 카탈로그를 탐색하는 방법
CN103168287B (zh) 用户界面
US20160004738A1 (en) Systems and methods of generating a navigable, editable media map
US6636246B1 (en) Three dimensional spatial user interface
US9552129B2 (en) Interactive visual representation of points of interest data
Katifori et al. Ontology visualization methods—a survey
Bosca et al. OntoSphere: more than a 3D ontology visualization tool.
US6583800B1 (en) Method and device for finding, collecting and acting upon units of information
CA2780330C (en) System, method and computer program for creating and manipulating data structures using an interactive graphical interface
US7013435B2 (en) Three dimensional spatial user interface
US20100162174A1 (en) Flat Navigation of Information and Content Presented on User Monitor
JP5323136B2 (ja) コンテンツの視覚的フィルタリングを可能にするシステム及び方法
US20120015342A1 (en) Web application for debate maps
US20100060666A1 (en) Zooming graphical user interface
US10768421B1 (en) Virtual monocle interface for information visualization
US20120120086A1 (en) Interactive and Scalable Treemap as a Visualization Service
WO2015031514A1 (en) Multi-faceted navigation of hierarchical data
JP2005196791A (ja) 階層構造のためのブラウザ
US20090007178A1 (en) Video-Based Networking System with a Video-Link Navigator
WO2015105804A1 (en) System and method for generating and using spatial and temporal metadata
Waterworth A pattern of islands: exploring public information space in a private vehicle
US9442637B1 (en) Hierarchical navigation and visualization system
Celentano et al. A design space for exploring rich and complex information environments
KR101695008B1 (ko) 타일 기반 지식 가시화 장치 및 방법
Mendoza et al. Implementation of a Touch Based Graphical User Interface for Semantic Information Syste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906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