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082305A - 휴대용단말기의 afc 무조정 방법 및 장치 - Google Patents

휴대용단말기의 afc 무조정 방법 및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082305A
KR20120082305A KR1020110003731A KR20110003731A KR20120082305A KR 20120082305 A KR20120082305 A KR 20120082305A KR 1020110003731 A KR1020110003731 A KR 1020110003731A KR 20110003731 A KR20110003731 A KR 20110003731A KR 20120082305 A KR20120082305 A KR 2012008230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rtable terminal
base station
afc
adjustment
frequenc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0373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781639B1 (ko
Inventor
전인태
조영남
김호남
노재영
윤재영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1000373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81639B1/ko
Priority to US13/350,152 priority patent/US8831533B2/en
Publication of KR2012008230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8230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8163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8163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JTUNING RESONANT CIRCUITS; SELECTING RESONANT CIRCUITS
    • H03J7/00Automatic frequency control; Automatic scanning over a band of frequencies
    • H03J7/02Automatic frequency control
    • H03J7/04Automatic frequency control where the frequency control is accomplished by varying the electrical characteristics of a non-mechanically adjustable element or where the nature of the frequency controlling element is not significan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56/00Synchronisation arrangements
    • H04W56/001Synchronization between nod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8/0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e.g. terminals, base stations or access point devices
    • H04W88/02Terminal de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ircuits Of Receivers In General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휴대용단말기의 AFC(Auto Frequency Correction) 무조정 방법에 있어서, 현재 위치하는 셀에서 인접 기지국들로부터의 수신신호 세기를 확인하는 과정과, 기지국과의 동기화를 위한 동기 획득 정보를 제공하는 주파수 버스트(Frequency burst)를 모니터링하는 과정과, 상기 모니터링을 통해 주파수 버스트 탐색 수행 결과에 따라, 자동 주파수 조정(Auto Frequency Correction) 여부를 판단하는 과정과, 상기 조정에 의해 추출된 자동 주파수 조정 데이터를 저장하는 과정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휴대용단말기의 AFC 무조정 방법 및 장치{METHOD AND APPARATUS FOR NON-CALIBRATING AUTO FREQUENCY CORRECTION IN PORTABLE TERMINAL}
본 발명은 휴대용단말기의 AFC 무조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주파수 버스트(Frequency Burst)를 모니터링하여 주파수 버스트 탐색 결과에 따라 자동 주파수 조정을 수행하기 위한 휴대용단말기의 AFC 무조정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휴대용단말기는 제조 시 그 출력전력을 최적화하기 위하여 RF 조정을 수행하는데, 이러한 RF 조정은 휴대용단말기RF 회로의 아날로그 소자들의 편차로 인하여 단말기 출하 전 반드시 수행되어야 한다.
그런데, 상기 단말기 출하 전 수행되는 RF 조정으로 인해 단말기 출하 후에는 필요하지 않은 RF 스위치 커넥터를 상기 RF 회로 종단에 반드시 삽입해야 하며 이로 인해, 별도의 RF 조정 시간이 소요되고 추가 비용이 발생하게 된다.
또한, 단말기 출하 후 사용자 실수로 인해 메모리가 리셋(reset)될 경우, 이와 동시에 RF 조정값 또한 리셋되거나 혹은 삭제되므로 상기 RF 조정이 재수행 될 때까지 서비스를 제공받을 수 없는 문제가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휴대용단말기가 캠프 온(Camp on)하기 전 주파수 버스트를 모니터링하여 상기 주파수 버스트 탐색 결과에 따라 상기 휴대용단말기 스스로가 자동 주파수 조정을 수행함으로써 RF 조정을 수행하기 위한 별도의 시간 및 비용이 필요 없도록 하는 휴대용단말기의 AFC 무조정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 견지에 따르면, 휴대용단말기의 AFC(Auto Frequency Correction) 무조정 방법에 있어서, 현재 위치하는 셀에서 인접 기지국들로부터의 수신신호 세기를 확인하는 과정과, 기지국과의 동기화를 위한 동기 획득 정보를 제공하는 주파수 버스트(Frequency burst)를 모니터링하는 과정과, 상기 모니터링을 통해 주파수 버스트 탐색 수행 결과에 따라, 자동 주파수 조정(Auto Frequency Correction) 여부를 판단하는 과정과, 상기 조정에 의해 추출된 자동 주파수 조정 데이터를 저장하는 과정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견지에 따르면, 휴대용단말기의 AFC(Auto Frequency Correction) 무조정 장치에 있어서, 무선 상/하향 신호를 이용하여 기지국과의 통신을 수행하는 무선통신부와, 상기 무선통신부로부터 출력된 신호를 이용하여 현재 위치하는 셀에서 인접 기지국들로부터의 수신신호 세기를 확인하고, 동기 획득 정보를 제공하는 주파수 버스트(Frequency Burst)를 모니터링하여 주파수 버스트 탐색을 수행 결과에 따라, 자동 주파수 조정 수행하고, 상기 자동 주파수 조정에 의해 추출된 자동 주파수 조정 데이터를 저장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와, 상기 제어부의 제어 하에 자동 주파수 조정을 수행하기 위한 제어 신호를 발생하는 RF 조정부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한 본 발명에 따르면, 휴대용단말기의 캠프 온(camp on) 하기 전, 주파수 버스트(Frequency Burst)를 모니터링하여 주파수 버스트 탐색 결과에 따라 자동 주파수 조정(Auto Frequency Correction)을 수행함으로써 추출된 자동 주파수 조정 데이터를 저장하고, 이를 서빙 기지국과의 주파수 동기화 수행 시 이용하여 단말기 스스로가 AFC 를 가능케 함으로써 제조 공정 시 RF 조정을 수행하기 위한 별도의 시간 및 비용이 필요 없을 뿐만 아니라 H/W적으로 RF 조정 수행을 위한 RF 스위치가 삭제되기 때문에 휴대용단말기의 경량화 및 생산 비용이 감소하는 효과가 발생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휴대용단말기의 AFC 무조정 방법에 관한 흐름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휴대용단말기의 AFC 무조정 장치에 관한 블록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자동 주파수 조정 DAC 값에 관련된 그래프.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하기 설명에서는 특정 사항들이 나타나고 있는데 이는 본 발명의 보다 전반적인 이해를 돕기 위해서 제공된 것일 뿐 이러한 특정 사항들이 본 발명의 범위 내에서 소정의 변형이나 혹은 변경이 이루어질 수 있음은 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는 자명하다 할 것이다.
본 발명은 휴대용단말기의 AFC(Auto Frequency Correction) 무조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상기 휴대용단말기가 캠프 온(camp on)하기 전, 서빙 기지국(Serving BS) 탐색을 위한 인접 기지국들로부터의 수신신호 세기를 확인하는 과정에서 기지국과의 동기화를 위한 동기 획득 정보를 제공하는 주파수 버스트(Frequency Burst)를 모니터링 하여 주파수 버스트 탐색 결과에 따라 자동 주파수 조정(Auto Frequency Correction)을 수행함으로써 추출된 자동 주파수 조정 데이터를 저장하여 서빙 기지국과의 주파수 동기화 수행 시 이용함으로써 제조 공정 시 RF 조정을 수행하기 위한 별도의 시간 및 비용이 필요 없도록 하는 기술을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상기 휴대용 단말기는 디지털 방송 단말기, 개인 정보 단말기(PDA, Personal Digital Assistant), 스마트 폰(Smart Phone), 3G 단말기 예를 들면 IMT-2000(International Mobile Telecommunication 2000) 단말기, WCDMA(Wideband Code Division Multiple Access)단말기, GSM/GPRS(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 PACKET RADIO SERVICE) 및 UMTS(Universal Mobile Telecommunication Service) 단말기 등과 같은 모든 정보통신기기 및 멀티미디어 기기와, 그에 대한 응용에도 적용될 수 있음은 자명할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휴대용단말기의 AFC(Auto Frequency Correction) 무조정 방법에 관해 도 1을 참조하여 자세히 살펴보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휴대용단말기의 AFC 무조정 방법에 관한 흐름도이다.
112 과정에서 상기 휴대용단말기가 현재 위치하는 셀에서 인접 기지국들로부터의 수신신호 세기를 확인한다.
이는, 상기 휴대용단말기가 전계 즉, 수신신호 세기가 가장 큰 기지국으로부터 서비스를 제공받기 위해 수행되는 것으로, 휴대용단말기가 위치하는 셀에서 가장 물리적으로 인접한 기지국이 상기 휴대용단말기에 서비스를 제공하는 서빙 기지국(Serving BS)으로 선택된다.
계속해서, 114 과정에서는 상기 112 과정의 동작을 수행 중에 기지국과의 동기화를 위한 동기 획득 정보를 제공하는 주파수 버스트(Frequency Burst)를 모니터링 한다.
상기 모니터링은 휴대용단말기와 전송되는 데이터 간의 인터페이스인 물리층(Physical layer)에서 수행되는 것이고, 상기 주파수 버스트는 이동통신시스템에서 기지국과 휴대용단말기와의 동기를 맞추기 위해 사용되는 신호를 의미한다.
또한, 상기 모니터링은 휴대용단말기가 캠프 온 하기 전 수행되는 것이다.
116 과정에서는 상기 114 과정의 모니터링을 통해 주파수 버스트를 탐색한다. 이는, 상기 주파수 버스트를 찾는 것으로, 휴대용단말기가 현재 위치한 셀에서 소정의 주파수로 소정 레벨의 Rx 신호가 입력되고 있는 지를 모니터링해서 이중 가장 센 레벨의 신호를 잡기 위해 수행되는 것으로, 수신신호의 미리 정해진 블록의 시간단위로 수행되며 상기 주파수 버스트 탐색을 수행한 후에 동기 버스트(Synch Burst)를 디코딩하는 과정을 수행함으로써, 동기를 획득하게 된다.
이때, 118 과정에서 상기 인접기지국들로부터 수신신호 세기가 중전계 이상인지의 여부를 체크한다.
상기 체크결과, 상기 수신신호 세기가 중전계 이상일 경우, 120 과정으로 이동하여 자동 주파수 조정을 수행한다. 이는, 기지국으로부터의 수신신호 세기가 중전계 이상일 경우에도 불구하고, 상기 주파수 버스트 탐색이 수행되지 않을 경우에 실행되는 동작으로 자동 주파수 조정 DAC(digital to analog converter)값을 +/- 크로싱(crossing)하여 상기 주파수 버스트 탐색을 수행한다.
이러한 자동 주파수 조정 DAC 값을 +/- 크로싱하는 것을 도 3의 그래프에 도시하였다. 여기서, 도 3에 도시된 fMS는 동일 채널 휴대용단말기에서 생성하는 주파수이고, fBS는 동일 채널 기지국에서 생성하는 주파수이며, a 즉, 2Δf는 휴대용단말기가 기지국 fBS를 찾을 수 있는 범위를 의미하는 것으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자동 주파수 조정 DAC 값의 +/- 크로싱은 예컨대, 서빙 기지국에서 51mfs(multi frames) 주기로 내려오는 방송 채널(Broadcast Channel) 내의 fBS를 주파수 호핑하는 것이다.
이후 122 과정으로 이동하여 상기 자동 주파수 조정에 의해 추출된 자동 주파수 조정 데이터는 NVRAM에 저장된다.
상기 NVRAM에 저장된 자동 주파수 조정 데이터는, 추후 사용자의 휴대용단말기를 통한 무선통신에 있어서의 주파수 동기(Frequency Synchronization)를 최적화하기 위한 중요한 팩터로 참조되는 것으로, 상기 휴대용단말기의 이동에 의한 서빙 기지국 변경 시, 상기 서빙 기지국과의 주파수 동기화 수행을 위해 최적화된 주파수 조정값으로 사용되며, 이로써 상기 휴대용단말기는 별도의 RF 조정이 수행되지 않는다.
122 과정 이후, 상기 휴대용단말기는 상기 인접기지국들 중 수신신호 세기를 오름차순으로 소팅(sorting)하고, 수신신호 세기가 최우선하는 기지국을 서빙 기지국으로 선택하고, 상기 선택된 서빙 기지국으로부터 주파수 동기화를 위한 FCH 및 시간 동기화를 위한 SCH 를 요청하여 기지국 식별 코드(BSIC)를 수신한다.
이상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휴대용단말기의 AFC 무조정 방법에 관한 구성을 살펴보았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휴대용단말기의 AFC 무조정 장치에 관해 도 2를 참조하여 자세히 살펴보기로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의 AFC 무조정 장치에 관한 상세 블록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상기 휴대용 단말기는 무선통신부(210), 제어부(212), RF 조정부(214) 및 메모리(216)를 포함한다.
상기 무선 통신부(210)는 Rx 및 Tx를 포함하며 무선 상/하향 신호를 이용하여 기지국과의 통신을 수행한다.
즉, 안테나를 이용하여 공중으로부터 무선 하향 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무선 하향 신호를 복조하여 얻어진 하향 데이터를 상기 제어부(212)로 출력한다. 또한, 상기 무선 통신부(210)는 상기 제어부(212)로부터 입력된 상향 데이터를 변조하여 무선 하향 신호를 생성하고, 상기 생성된 무선 상향 신호를 안테나를 이용하여 공중으로 무선 전송한다. 이러한 변조 및 복조는 바람직하게는 부호분할다중접속(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CDMA)방식에 따라 수행될 수 있고, 이외에 주파수분할다중(frequency division multiplexing: FDM)방식, 시분할다중(time division multiplexing: TDM)방식 등에 따라 수행될 수도 있다.
상기 RF 조정부(214)는 상기 제어부(212)의 제어 하에 자동 주파수 조정을 수행하기 위한 제어 신호를 발생한다.
상기 메모리(216)는 제어부(212)의 처리 및 제어를 위한 프로그램이 저장되며, 본 발명의 실시 예서와 같이 자동 주파수 조정 데이터를 저장한다.
상기 제어부(212)는 휴대용 단말기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특히,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 제어부(212)는 무선통신부(210)로부터 출력된 신호를 이용하여 현재 위치하는 셀에서 인접 기지국들로부터의 수신신호 세기를 확인하고, 동기 획득 정보를 제공하는 주파수 버스트(Frequency Burst)를 모니터링하여 주파수 버스트 탐색을 수행 결과에 따라, 자동 주파수 조정 수행하고, 상기 자동 주파수 조정에 의해 추출된 자동 주파수 조정 데이터를 상기 메모리(216)에 저장하도록 제어하고, 추후 휴대용단말기의 서빙 기지국 변경 시, 상기 메모리(216)로부터 상기 자동 주파수 조정 데이터를 읽어와 상기 변경된 서빙 기지국과의 주파수 동기화 수행을 위해 사용한다.
상기 제어부(212)는 서빙 기지국의 수신신호 세기가 망을 잡을만한 전계임에도 불구하고 망을 잡지 못했을 시 자동 주파수 조정을 수행한다. 이는 상기 자동 주파수 조정 DAC(digital to analog converter) 값을 +/- 크로싱(crossing)하여 자동 주파수 조정을 통해 수행된다.
또한, 상기 제어부(212)는 휴대용단말기의 캠프 온 시 주파수 버스트를 모니터링하도록 제어하고, 상기 저장된 자동 주파수 조정 데이터를 서빙 기지국 변경 시, 상기 변경된 서빙 기지국과의 주파수 동기화 수행을 위해 이용하도록 제어한다.
그리고, 상기 제어부(212)는 상기 인접기지국들 중 수신신호 세기를 오름차순으로 소팅(sorting)하고, 수신신호 세기가 최우선하는 기지국을 서빙 기지국으로 선택하고, 상기 선택된 서빙 기지국으로부터 주파수 동기화를 위한 FCH및 시간 동기화를 위한 SCH를 요청하여 기지국 식별 코드(BSIC)를 수신하도록 제어한다.
상기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의 AFC 무조정 방법 및 장치에 관한 동작이 이루어질 수 있으며, 한편 상기한 본 발명의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 예에 관해 설명하였으나 여러 가지 변형이 본 발명의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실시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 예에 의하여 정할 것이 아니고 청구범위와 청구범위의 균등한 것에 의하여 정하여져야 할 것이다.
210. 무선통신부 212. 제어부
214. RF 조정부 216. 메모리

Claims (13)

  1. 휴대용단말기의 AFC(Auto Frequency Correction) 무조정 방법에 있어서,
    현재 위치하는 셀에서 인접 기지국들로부터의 수신신호 세기를 확인하는 과정과,
    기지국과의 동기화를 위한 동기 획득 정보를 제공하는 주파수 버스트(Frequency burst)를 모니터링하는 과정과,
    상기 모니터링을 통해 주파수 버스트 탐색 수행 결과에 따라, 자동 주파수 조정(Auto Frequency Correction) 여부를 판단하는 과정과,
    상기 조정에 의해 추출된 자동 주파수 조정 데이터를 저장하는 과정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단말기의 AFC 무조정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자동 주파수 조정은,
    서빙 기지국(Serving BS)의 수신신호 세기를 확인하고, 상기 확인된 수신신호 세기가 망 선택 조건에 부합하는 전계일 때 상기 망 선택이 수행되지 않을 경우 수행됨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단말기의 AFC 무조정 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자동 주파수 조정은,
    자동 주파수 조정 DAC(digital to analog converter)값을 +/- 크로싱(crossing)하여 수행됨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단말기의 AFC 무조정 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모니터링과정은,
    상기 휴대용단말기와 전송되는 데이터 간의 인터페이스인 물리층(Physical layer)에서 수행됨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단말기의 AFC 무조정 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모니터링과정은
    상기 휴대용단말기의 캠프 온(camp on)전 수행됨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단말기의 AFC 무조정 방법.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인접기지국들 중 수신신호 세기를 오름차순으로 소팅(sorting)하고, 수신신호 세기가 최우선하는 기지국을 서빙 기지국(Serving BS)으로 선택하고, 상기 선택된 서빙 기지국으로부터 주파수 동기화를 위한 FCH및 시간 동기화를 위한 SCH를 요청하여 기지국 식별 코드(BSIC)를 수신하는 과정을 더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단말기의 AFC 무조정 방법.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저장된 자동 주파수 조정 데이터는 서빙 기지국 변경 시, 상기 서빙 기지국과의 주파수 동기화 수행을 위해 이용됨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단말기의 AFC 무조정 방법.
  8. 휴대용단말기의 AFC(Auto Frequency Correction) 무조정 장치에 있어서,
    무선 상/하향 신호를 이용하여 기지국과의 통신을 수행하는 무선통신부와,
    상기 무선통신부로부터 출력된 신호를 이용하여 현재 위치하는 셀에서 인접 기지국들로부터의 수신신호 세기를 확인하고, 동기 획득 정보를 제공하는 주파수 버스트(Frequency Burst)를 모니터링하여 주파수 버스트 탐색을 수행 결과에 따라, 자동 주파수 조정 수행하고, 상기 자동 주파수 조정에 의해 추출된 자동 주파수 조정 데이터를 저장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와,
    상기 제어부의 제어 하에 자동 주파수 조정을 수행하기 위한 제어 신호를 발생하는 RF 조정부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단말기의 AFC 무조정 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서빙 기지국(Serving BS)의 수신신호 세기를 확인하고, 상기 확인된 수신신호 세기가 망 선택 조건에 부합하는 전계일 때 상기 망 선택이 수행되지 않을 경우 수행됨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단말기의 AFC 무조정 장치.
  10.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자동 주파수 조정 DAC(digital to analog converter) 값을 +/- 크로싱(crossing)하여 자동 주파수 조정을 수행함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단말기의 AFC 무조정 장치.
  11.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휴대용단말기의 캠프 온(camp on) 시 주파수 버스트를 모니터링함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단말기의 AFC 무조정 장치.
  12.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인접기지국들 중 수신신호 세기를 오름차순으로 소팅(sorting)하고, 수신신호 세기가 최우선하는 기지국을 서빙 기지국으로 선택하고, 상기 선택된 서빙 기지국으로부터 주파수 동기화를 위한 FCH및 시간 동기화를 위한 SCH를 요청하여 기지국 식별 코드(BSIC)를 수신하도록 제어함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단말기의 AFC 무조정 장치.
  13.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저장된 자동 주파수 조정 데이터를 서빙 기지국 변경 시, 상기 변경된 서빙 기지국과의 주파수 동기화 수행을 위해 이용하도록 제어함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단말기의 AFC 무조정 장치.
KR1020110003731A 2011-01-13 2011-01-13 휴대용단말기의 afc 무조정 방법 및 장치 KR101781639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03731A KR101781639B1 (ko) 2011-01-13 2011-01-13 휴대용단말기의 afc 무조정 방법 및 장치
US13/350,152 US8831533B2 (en) 2011-01-13 2012-01-13 Method and apparatus for non-calibrated automatic frequency correction of a portable terminal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03731A KR101781639B1 (ko) 2011-01-13 2011-01-13 휴대용단말기의 afc 무조정 방법 및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82305A true KR20120082305A (ko) 2012-07-23
KR101781639B1 KR101781639B1 (ko) 2017-09-25

Family

ID=4649113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03731A KR101781639B1 (ko) 2011-01-13 2011-01-13 휴대용단말기의 afc 무조정 방법 및 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8831533B2 (ko)
KR (1) KR101781639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959942B (zh) * 2016-10-17 2020-04-21 大唐移动通信设备有限公司 一种小基站的信号频率校准方法及装置
DE102020100056A1 (de) 2019-03-06 2020-09-10 Samsung Electronics Co., Ltd. Drahtlose Kommunikationsvorrichtung zur Korrektur eines Offsets zwischen einer Basisstation und der drahtlosen Kommunikationsvorrichtung und ein Verfahren zum Betreiben derselben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587184B2 (en) * 2005-06-30 2009-09-08 Silicon Laboratories Inc. Controlling fine frequency changes in an oscillator
US20070153944A1 (en) * 2005-12-29 2007-07-05 Kerstenbeck Erik O Frequency adjustment of wireless telecommunication device
WO2007113026A1 (fr) * 2006-04-06 2007-10-11 Wavecom Procédé d'initialisation d'un module électronique de radiocommunication, procédé de compression et de décompression de paramètres de calibrage, produit programme d'ordinateur et moyen de stockage correspondants
EP2118810B1 (en) * 2007-02-05 2012-08-15 Andrew Corporation System and method for optimizing location estimate of mobile unit
US8249616B2 (en) * 2007-08-23 2012-08-21 Texas Instruments Incorporated Satellite (GPS) assisted clock apparatus, circuits, systems and processes for cellular terminals on asynchronous networks
US20090291686A1 (en) * 2008-05-21 2009-11-26 Comsys Communication & Signal Processing Ltd. Autonomous connectivity between a mobile station and multiple network elements for minimizing service discontinuities during handovers in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CN101958744B (zh) * 2009-07-13 2013-11-20 电信科学技术研究院 频偏预校准方法和设备
US8111189B2 (en) * 2009-12-31 2012-02-07 Broadcom Corporation Method and system for sharing an oscillator for processing cellular radio signals and GNSS radio data signals by deferring AFC correction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8831533B2 (en) 2014-09-09
US20120184224A1 (en) 2012-07-19
KR101781639B1 (ko) 2017-09-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501757B1 (ko) 이동국 장치, 이동 통신 시스템 및 캐리어 검출 방법
US7339909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operating a communication device on two networks
US8942118B2 (en) Mobile communication in which monitoring beacon signal arrival is changed based on probability of terminal-to-access point connection
RU2313196C2 (ru) Способ и устройство эффективного выбора и захвата системы беспроводной связи
JP4012212B2 (ja) 移動無線端末装置
US7907947B2 (en) Cell search control method and mobile device using the method
WO2020088662A1 (en) Power saving method for radio resource management in a wireless network
US8170558B2 (en) Method and system for performing a handoff in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such as a hard handoff
US7599693B2 (en) Cell search method and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US9014140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erforming inter radio access technology measurements
US20110076964A1 (en) Re-Activation of a Base Station in Standby Mode
US11272433B2 (en) Frequency scanning in wireless networks
US20120083268A1 (en) Method of Enhancing Public Land Mobile Network Search and Related Communication Device
US10880827B2 (en) Power saving mechanism for mobile terminal
CN102026340B (zh) 无线终端、无线基站以及无线通信系统中的通信方法
CN101048006B (zh) 在移动通信终端中获得时间信息的方法和设备
JP2009514454A (ja) 無線通信ネットワークにおけるシームレスな周波数間ハンドオフ
KR101061283B1 (ko) 무선 통신 시스템들에서 프레임 동기화 및 스크램블링 코드식별 및 그 방법들
KR101781639B1 (ko) 휴대용단말기의 afc 무조정 방법 및 장치
EP1848239B1 (en) Method and system for performing a handoff in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such as a hard handoff
KR20120003032A (ko)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셀 선택 방법 및 장치
KR20110055029A (ko)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캠프온을 위한 장치 및 방법
JP2010219755A (ja) 無線通信端末
KR20050039442A (ko) 유휴 모드에 있는 wcdma 단말기의 주파수간 분산배치 및 이를 이용한 계층적 페이징 방법 및 시스템
JP2007124133A (ja) 移動無線端末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