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081319A - 신발용 완충 장치 - Google Patents

신발용 완충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081319A
KR20120081319A KR1020110002600A KR20110002600A KR20120081319A KR 20120081319 A KR20120081319 A KR 20120081319A KR 1020110002600 A KR1020110002600 A KR 1020110002600A KR 20110002600 A KR20110002600 A KR 20110002600A KR 20120081319 A KR20120081319 A KR 2012008131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ir chamber
air
flow path
chamber
shoe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0260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강용수
최동식
Original Assignee
강용수
최동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강용수, 최동식 filed Critical 강용수
Priority to KR102011000260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20081319A/ko
Publication of KR2012008131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81319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5/00Feeding devices for stock or game ; Feeding wagons; Feeding stacks
    • A01K5/02Automatic devices
    • A01K5/0291Automatic devices with timing mechanisms, e.g. pet feeder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Birds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Footwear And Its Accessory, Manufacturing Method And Apparatu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신발용 완충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일정 체적의 공기가 충전되어 있는 전방 공기실 및 후방 공기실, 그리고 상기 전방 공기실 및 후방 공기실을 연결하는 공기 유로로 구성되며, 교대로 작용하는 착용자의 전족부 및 후족부 압력에 의해 전방 공기실 및 후방 공기실이 교대로 수축 및 팽창을 반복하는 신발용 완충 장치에 있어서, 상기 전방 공기실 및 후방 공기실 각각은 나선 형상의 유로로 구성되어 공기의 흐름을 우회하도록 유도하거나, 또는 상기 공기 유로의 양 단부는 착용자의 하중을 직접 받을 수 있는 상기 전방 공기실 및 후방 공기실 내부에 위치하며, 상기 전방 공기실 및 후방 공기실 내부에 위치하는 공기 유로 중에 선택되는 적어도 어느 하나의 공기 유로 일 측에는 공기의 흐름을 제어하는 압박판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발용 완충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하면, 착용자의 하중이 전달되는 공기실을 나선 형상으로 구성하여 공기가 상대적으로 긴 거리를 이동하도록 유도하여 공기의 흐름을 제어함으로써 전달되는 하중을 적절하게 분산할 수 있으며, 공기실의 유로 내부 면에 일 방향 돌기를 형성시키거나 또는 압박판을 부가함으로써 보다 증진된 완충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Description

신발용 완충 장치{Air bag for shoes}
본 발명은 신발용 완충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일정 체적의 공기가 충전되어 있는 전방 공기실 및 후방 공기실, 그리고 상기 전방 공기실 및 후방 공기실을 연결하는 공기 유로로 구성되며, 교대로 작용하는 착용자의 전족부 및 후족부 압력에 의해 전방 공기실 및 후방 공기실이 교대로 수축 및 팽창을 반복하는 신발용 완충 장치에 있어서, 상기 전방 공기실 및 후방 공기실 각각은 나선 형상의 유로로 구성되어 공기의 흐름을 우회하도록 유도하거나, 또는 상기 공기 유로의 양 단부는 착용자의 하중을 직접 받을 수 있는 상기 전방 공기실 및 후방 공기실 내부에 위치하며, 상기 전방 공기실 및 후방 공기실 내부에 위치하는 공기 유로 중에 선택되는 적어도 어느 하나의 공기 유로 일 측에는 공기의 흐름을 제어하는 압박판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발용 완충장치에 관한 것이다.
신발은 외부 환경으로부터 발을 보호하기 위하여 착용하는 물건으로서, 신발의 주요한 기능 중의 하나는 발로 전달되는 외부 충격을 흡수하고 완화하는 것이다. 신발에 있어 보다 증진된 완충 기능을 확보하기 위해서는, 신발 창의 재질이나 그 구조를 복합적으로 구성하거나 또는 별도 부품으로서 완충 장치를 이용하는 것이다. 이중 신발 창의 재질을 변경 구성하거나 또는 복합 구조로서 증진된 완충 기능을 확보하는 방식은 일정한 한계가 있어 근자 완충 장치를 신발에 내장시켜 완충 기능을 증진시키는 방식에 대한 연구가 활발하다.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완충 장치는 착용자의 체중 전달 과정에 따라 수축 및 팽창을 반복할 수 있도록 단일 폐쇄 공간 내부에 공기가 충전된 구성을 취하고 있으며, 이러한 구성의 완충 장치는 착용자의 하중이 가장 크게 작용하는 신발 창의 후족부에 내장하는 방식이 주로 사용된다. 그런데, 이러한 전통적인 완충 장치의 구성을 벗어나 착용자의 하중이 순차적으로 전달되는 과정을 분석하여 별개로 분리된 완충 장치 구성이 다수 제안되고 있는데, 이러한 기술의 예가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2006-0133285호 및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0941588호이다.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2006-0133285호는 공기 펌핑부로 착용자의 체중이 작용하면 공기 유로를 통해 다수 개로 분리된 각 내부 공간으로 공기가 순환되는 작동 구성을 개시하고 있으며,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0941588호는 연결 통로에 의해 연결되어 있는 두 개의 에어실 중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의 에어실에 공기를 충전시킨 다음 착용자의 체중 전달 순서에 따라 에어실이 교대로 수축 및 팽창을 반복하는 작동 구성을 재시하고 있다.
상기 기술들은 신발에 있어 착용자의 체중이 주로 전달되는 복수의 위치에 완충 공간을 부여하고 이들을 상호 연결하는 구성을 취함으로써 전달되는 체중에 의해 완충 기능이 자연스럽게 발휘될 수 있음을 기대할 수 있다. 그러나, 이 기술들은 완충 공간을 별개로 분리하여 운용한다는 구성 이외에 이들 공간들을 상호 연결하는 공기 유로에 어떠한 부가적인 수단을 병기하지 않음으로써, 일 완충 공간에 착용자의 체중이 전달되면 그 압력으로 인해 일 완충 공간에 충전된 공기는 매우 짧은 시간에 타 완충 공간으로 쉽게 빠져 나가버려 당초 의도하는 완충 기능을 기대할 수 없는 문제가 있다.
대한민국 공개실용신안 제1998-0058063호,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제0402570호,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2006-0133285호,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0886834호,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0941588호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서, 본 발명은 전방 공기실 및 후방 공기실의 형상을 기하학적으로 구성하여 공기의 흐름을 일정하게 제어함으로써 특정 완충 공간에 충전된 공기가 급속하게 빠져나가 완충 기능이 저하되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는 신발용 완충 장치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신발에 가해지는 착용자의 체중을 공기의 흐름으로 자연스럽게 변환함으로써 보행시 발에 가해지는 충격을 최소화할 수 있는 신발용 완충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압박판 또는 돌기 등을 이용하여 공기 유로 내부의 공기 흐름을 부가적으로 제어할 수 있도록 구성함으로써 완충 기능의 감소 현상을 보다 적극적으로 방지할 수 있는 신발용 완충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일정 체적의 공기가 충전되어 있는 전방 공기실 및 후방 공기실, 그리고 상기 전방 공기실 및 후방 공기실을 연결하는 공기 유로로 구성되며, 교대로 작용하는 착용자의 전족부 및 후족부 압력에 의해 전방 공기실 및 후방 공기실이 교대로 수축 및 팽창을 반복하는 신발용 완충 장치에 있어서, 상기 전방 공기실 및 후방 공기실 각각은 나선 형상의 유로로 구성되어 공기의 흐름을 우회하도록 유도하는 것을 그 기술적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기술적 특징은, 일정 체적의 공기가 충전되어 있는 전방 공기실 및 후방 공기실, 그리고 상기 전방 공기실 및 후방 공기실을 연결하는 공기 유로로 구성되며, 교대로 작용하는 착용자의 전족부 및 후족부 압력에 의해 전방 공기실 및 후방 공기실이 교대로 수축 및 팽창을 반복하는 신발용 완충 장치에 있어서, 상기 공기 유로의 양 단부는 착용자의 하중을 직접 받을 수 있는 상기 전방 공기실 및 후방 공기실 내부에 위치하며, 상기 전방 공기실 및 후방 공기실 내부에 위치하는 공기 유로 중에 선택되는 적어도 어느 하나의 공기 유로 일 측에는 공기의 흐름을 제어하는 압박판이 구비되는 것에 있다.
상기 전방 공기실은 좌우 한 쌍으로 이루어지며, 각 공기실은 나선 형상의 유로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전방 공기실 및 후방 공기실의 유로 중에 선택되는 적어도 어느 하나의 유로 일 측에는 공기의 흐름을 제어하는 압박판이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전방 공기실 및 후방 공기실의 유로 중에 선택되는 적어도 어느 하나의 유로 내부에는 공기의 흐름을 제어하기 위한 복수 개의 일 방향 돌기들이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전방 공기실은 좌우 한 쌍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공기 유로는 각 공기실로 분지될 수 있다.
상기 압박판은 상판 및 하판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은 착용자의 하중이 전달되는 공기실을 나선 형상으로 구성하여 공기가 상대적으로 긴 거리를 이동하도록 유도하여 공기의 흐름을 제어함으로써 전달되는 하중을 적절하게 분산할 수 있으며, 공기실의 유로 내부 면에 일 방향 돌기를 형성시키거나 또는 압박판을 부가함으로써 보다 증진된 완충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공기 유로의 단부를 착용자의 하중이 직접 전달되는 공기실 내부에 위치하도록 구성하고, 그 단부에 공기의 흐름을 제어할 수 있는 압박판을 구비함으로써 완충장치가 보다 능률적인 완충 기능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해준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일 실시예로서 신발용 완충장치의 개략적인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다른 실시예로서 신발용 완충장치의 개략적인 구성도.
도 3a 및 도 3b 각각은 도 2의 A-A′라인 단면 구성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또 다른 실시예로서 신발용 완충장치의 개략적인 구성도.
도 5a 및 도 5b 각각은 도 4의 B-B′라인 단면 구성도.
도 6a는 본 발명에 따른 또 다른 실시예로서 신발용 완충장치의 개략적인 구성도.
도 6b는 도 6a의 C-C′라인 단면 구성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또 다른 실시예로서 신발용 완충장치의 개략적인 구성도.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살펴본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설명함에 있어 본 발명의 기술적 특징과 직접적인 관련성이 없거나, 또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자명한 사항, 그리고 각 실시예에서 중복 적용될 수 있는 부분에 대해서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일 실시예로서 신발용 완충장치의 구성도를 보여준다. 신발용 완충 장치는 기본적으로 내부에 일정 양의 공기가 채워져 있는 전방 공기실과 후방 공기실(20), 그리고 상기 전방 공기실과 후방 공기실(20) 상호 간을 연결하는 공기 유로(3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전방 공기실 및 후방 공기실(20) 각각은 착용자의 전족부 및 후족부를 통해 전달되는 체중이 직접 작용하는 부분으로서, 이 중에서 상기 전방 공기실은 단일 구성으로 이루어지거나 또는 좌우 한 쌍의 이중 구성으로 이루어질 수 있는데, 도면에는 좌우 한 쌍의 이중 구성의 전방 공기실(10) 예가 개시되어 있다. 또한 특히, 본 발명은 전방 공기실(10) 및 후방 공기실(20) 각각이 나선 형상의 유로로 구성되는 것을 제안한다. 각 공기실이 나선 형상의 유로로 이루어지는 경우, 공기가 채워지는 각 공기실은 중앙부(12, 16, 22)와 주변부(13, 17, 24, 26)로 분리되며, 이로 인해 공기는 유로를 따라 중앙부로부터 주변부로 우회하여 이동하거나 또는, 유로를 따라 주변부로부터 중앙부로 우회하게 된다.
즉, 착용자의 하중이 후족부에 전달되면 후방 공기실(20)의 중앙부(22) 공기가 유로를 따라 주변부(24, 26)로 우회하여 이동한 다음에 공기 유로(30)를 통해 전방 공기실(10) 쪽으로 이동하게 되며, 착용자의 하중이 전족부에 전달되면 전방 공기실(10)의 좌우 한 쌍의 공기실 중앙부(12, 16) 중에 선택되는 어느 하나의 공기실 중앙부 또는 좌우 한 쌍 공기실 모두의 중앙부(12, 16) 공기가 유로를 따라 주변부(13, 17)로 우회하여 이동한 다음에 공기 유로(30)를 통해 후방 공기실(20) 쪽으로 이동하게 되는 것이다. 이처럼 공기가 착용자의 하중 전달에 즉각 반응하지 않고 공기실의 내부 유로를 따라 우회하여 이동하게 됨에 따라 완충 장치의 특정 부위로 전달되는 하중은 공기의 완만한 이동에 따라 서서히 분산되는 특유의 완충 효과가 나타나는 것이다.
본 발명은 각 공기실의 유로 내부 면이 도 1의 c1 에 개시된 것과 같이 매끈하게 이루어지는 경우를 상정하고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c2 에 개시된 것과 같이 복수 개의 돌기(28)가 형성되는 경우를 배제하지 않는다. 이 구성은 공기가 특정 방향으로(도 1의 화살표 방향으로서 공기가 중앙부로부터 배출되는 방향) 흐르는 것을 방해하기 위한 것으로서, 상기 돌기(28)들은 일 방향으로 편향되도록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돌기들은 도 1의 a, b, c, d 위치와 같이 각 공기실의 주변부에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한데, 이들 위치는 착용자가 보행시 하중이 통상적으로 전달되는 곳이기 때문이다. 다만, 어떤 위치에 돌기를 얼마만큼 형성시킬지 여부는 순전히 임의 사항으로서 도 1과 달리 각 공기실 주변부 모두(a, b, c, d)에 형성시킬 수 있음은 물론이다.
또한, 본 발명은 각 공기실 주변부 중에 선택되는 적어도 어느 하나 또는, 각 공기실의 주변부 모두에 압박판이 구비되는 경우를 배제하지 않으며 이 실시예의 일례가 도 2에 개시되어 있다. 구비되는 압박판(42)은 주변부를 통해 이동하는 공기의 흐름을 더욱 제한하기 위한 것으로서, 유로를 통해 중앙부에서 주변부로 우회하여 이동함으로써 제어된 공기의 흐름을 부가적으로 제어할 수 있다. 도 3a 및 도 3b 각각은 도 2의 A-A′라인 단면 구성도로서 구체적으로, 도 3a는 단일 구성의 압박판(42)이 후방 공기실(20)의 주변부 c, d 각각에 구비되는 경우이며, 도 3b는 도 2a와 달리 압박판이 상판(46) 및 하판(48) 구성으로 이루어지는 경우를 보여준다.
착용자의 하중이 후방 공기실에 전달되면 중앙부(22)에 채워져 있던 공기는 주변부 24 및 26을 순차적으로 통과하여 공기 유로(30)로 이동하게 되는데, 그 과정에 하중의 일부가 압박판(42) 각각에 전달되고 이에 따라 공기의 흐름은 제한됨으로써 공기가 급속하게 빠져나가 완충 기능이 저하되는 것을 보다 적극적으로 방지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도면에 개시된 것과 달리 압박판은 각 공기실의 주변부 중에 선택되는 어느 하나에 구비될 수도 있으며, 나아가 각 공기실의 주변부 모두에 구비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또한, 본 발명은 공기실 유로 내부 면에 돌기가 형성되고 공기실 주변부 중에 선택되는 적어도 어느 하나에 압박판이 동시에 형성되는 경우도 배제하지 않음은 물론이다.
공기실의 주변부와 압박판 상호 간은 접착, 고정핀 등과 같은 다양한 수단 중 어느 하나에 의해 결합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은 특정 수단에 한정하지 않는다. 한편, 본 발명은 전방 공기실과 후방 공기실 사이에 측면 공기실이 더욱 구비되는 경우를 배제하지 않는다. 이 경우, 상기 측면 공기실은 착용자 발의 아치부에 대응하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공기 유로 또는 후방 공기실 중에 선택되는 어느 하나와 연통되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미설명 도면 부호 1은 본 발명에 따른 완충 장치가 장착되는 창으로 안창, 중창, 바닥창 중의 어느 하나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도 1의 a, b, c, d 각각에 압박판이 구비되며 전방 공기실이 좌우 한 쌍으로 이루어지는 신발용 완충장치의 작동 구성을 개략적으로 살펴본다. 먼저, 착용자가 보행을 시작함에 따라 하중이 신발의 후족부로 전달되면, 후족부의 후방 공기실(20)의 중앙부(22)에 채워져 있던 공기는 공기 유로(30)를 통해 전방 공기실(10)로 이동하면서 하중을 신속히 분산시키려 한다. 그런데 이 과정에서 공기는 후방 공기실(20)의 주변부(24, 26)를 순차적으로 우회함에 따라 하중 분산은 다소 완만하게 진행되며, 더욱이 압박판의 존재로 인해 그 과정은 더욱 더디게 진행된다. 즉, 후방 공기실에 채워져 있던 공기가 신속하게 빠져나가지 못하게 됨에 따라 완충 기능이 보다 충실하게 담보되는 것이다.
다음으로 착용자가 지면을 박차면서 하중이 전족부로 전달되면, 전방 공기실(10)의 중앙부(12, 16)에 채워져 있던 공기는 공기 유로(30)를 통해 후방 공기실(20)로 이동하게 되는데, 후방 공기실의 공기 이동과 유사하게 공기는 전방 공기실(10)의 주변부(13, 17)를 순차적으로 우회하며 그 과정에서 압박판에 의해 이동을 방해받게 된다. 따라서, 즉각적인 공기의 이동이 제한됨에 따라 전족부로 전달된 하중은 서서히 분산되는 특유의 완충 효과가 나타나게 되는 것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또 다른 실시예로서 신발용 완충장치의 구성도를 보여준다. 전술한 실시예의 경우와 동일하게 이 실시예도 기본적으로 전방 공기실(60)과 후방 공기실(70), 그리고 상기 전방 공기실(60) 및 후방 공기실(70) 상호 간을 연결하는 공기 유로(80)를 포함하여 이루어지게 되나, 이 실시예는 특히 상기 공기 유로(80)의 각 단부(82, 86)가 전방 공기실 및 후방 공기실 내부에 위치하며 상기 공기 유로의 일 단부에 압박판(52)이 구비되는 특징이 있다. 상기 공기 유로의 단부(82, 86)는 착용자가 보행시 하중이 직접 전달되는 지점에 위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5a 및 도 5b 각각은 도 4의 B-B′라인 단면 구성도로서 구체적으로, 도 5a는 단일 구성의 압박판(52)이 공기 유로(80)의 일 단부에 구비되는 경우이며, 도 5b는 도 5a와 달리 압박판이 상판(54) 및 하판(56) 구성으로 이루어지는 경우를 보여준다. 착용자의 하중이 후방 공기실(70)에 전달되면 후방 공기실에 채워져 있던 공기가 공기 유로(30)를 통해 전방 공기실(60)로 이동하게 되는데, 압박판(52, 54, 56)의 존재로 인해 공기의 흐름은 일정 범위 내에서 제한되게 된다. 도면에는 압박판이 후방 공기실 내부에 위치하는 공기 유로의 단부에만 형성되는 것으로 개시되어 있으나 이와 달리 공기 유로의 양 단부 모두에 압박판이 구비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도 6a는 본 발명에 따른 또 다른 실시예로서 신발용 완충장치의 구성도이며, 도 6b는 도 6a의 C-C′라인 단면 구성도이다. 이 실시예의 특징은 공기 유로의 단부에 안치부(88)를 구성하고 상기 안치부(88)에 압박판(58)을 위치시킨 구성에 있다. 압박판이 안치부 내부에 위치함에 따라 반복 운동에 대하여 압박판이 보다 안정적으로 기능할 수 있다는 이점이 기대된다. 상기 안치부는 공기 유로의 양 단부 모두에 형성될 수 있음은 자명하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또 다른 실시예로서 신발용 완충장치의 구성도를 보여준다. 이 실시예는 도 6a 실시예와 달리 전방 공기실이 좌우 한 쌍(62, 66)으로 이루어지며, 공기 유로 역시 각 공기실로 분지되며 양 단부(84, 85)는 각 공기실의 내부에 위치한다는 점에 그 특징이 있다. 공기 유로의 단부 중에 선택되는 어느 하나의 단부, 또는 단부 모두에 단일 구성 또는 상판 및 하판 구성의 압박판 중에 선택되는 어느 하나가 구비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또한, 공기 유로의 단부에 안치부가 형성되고 압박판은 그 안치부 내부에 위치할 수 있음도 자명하다.
미설명 도면부호 72, 74 각각은 후방 공기실의 내부 공간이며, 미설명 도면부호 83, 87, 89 각각은 공기 토출구이다.
구체적으로 도 4에 개시된 실시예에 있어 압박판이 공기 유로의 양 단부 모두에 구비되는 신발용 완충장치의 작동 구성을 개략적으로 살펴본다. 먼저, 착용자가 보행을 시작함에 따라 하중이 신발의 후족부로 전달되면, 후족부의 후방 공기실(70)에 채워져 있던 공기는 공기 유로(80)를 통해 전방 공기실(60)로 이동하면서 하중을 신속히 분산시키려 한다. 그런데 공기가 후방 공기실(70)로부터 공기 유로(80)로 이동하는 과정에서 압박판이 공기의 흐름을 방해함에 따라, 후방 공기실에 채워져 있던 공기는 보다 완만하게 빠져나가면서 하중이 분산된다. 착용자의 하중이 전족부로 전달되면, 전방 공기실(60)에 채워져 있던 공기는 공기 유로(80)를 통해 후방 공기실(70)로 급속하게 이동하려 하는데, 전술한 과정과 유사하게 공기의 이동은 압박판에 의해 제한되고 이에 따라 전족부로 전달된 하중은 서서히 분산되는 특유의 완충 효과가 나타나게 되는 것이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에 한정하여 설명하였으나 이는 단지 예시일 뿐이며,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고 여러 다양한 방법으로 변경되어 실시될 수 있으며, 나아가 개시된 기술적 사상에 기초하여 별도의 기술적 특징이 부가되어 실시될 수 있음은 자명하다 할 것이다.
10 : 전방 공기실 20 : 후방 공기실
28 : 돌기 30 : 공기 유로 42 : 압박판

Claims (7)

  1. 일정 체적의 공기가 충전되어 있는 전방 공기실 및 후방 공기실, 그리고 상기 전방 공기실 및 후방 공기실을 연결하는 공기 유로로 구성되며, 교대로 작용하는 착용자의 전족부 및 후족부 압력에 의해 전방 공기실 및 후방 공기실이 교대로 수축 및 팽창을 반복하는 신발용 완충 장치에 있어서,
    상기 전방 공기실 및 후방 공기실 각각은 나선 형상의 유로로 구성되어 공기의 흐름을 우회하도록 유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발용 완충장치.
  2. 일정 체적의 공기가 충전되어 있는 전방 공기실 및 후방 공기실, 그리고 상기 전방 공기실 및 후방 공기실을 연결하는 공기 유로로 구성되며, 교대로 작용하는 착용자의 전족부 및 후족부 압력에 의해 전방 공기실 및 후방 공기실이 교대로 수축 및 팽창을 반복하는 신발용 완충 장치에 있어서,
    상기 공기 유로의 양 단부는 착용자의 하중을 직접 받을 수 있는 상기 전방 공기실 및 후방 공기실 내부에 위치하며, 상기 전방 공기실 및 후방 공기실 내부에 위치하는 공기 유로 중에 선택되는 적어도 어느 하나의 공기 유로 일 측에는 공기의 흐름을 제어하는 압박판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발용 완충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방 공기실은 좌우 한 쌍으로 이루어지며, 각 공기실은 나선 형상의 유로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발용 완충장치.
  4. 제1항 또는 제3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상기 전방 공기실 및 후방 공기실의 유로 중에 선택되는 적어도 어느 하나의 유로 일 측에는 공기의 흐름을 제어하는 압박판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발용 완충장치.
  5. 제1항 또는 제3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상기 전방 공기실 및 후방 공기실의 유로 중에 선택되는 적어도 어느 하나의 유로 내부에는 공기의 흐름을 제어하기 위한 복수 개의 일 방향 돌기들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발용 완충장치.
  6.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전방 공기실은 좌우 한 쌍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공기 유로는 각 공기실로 분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발용 완충장치.
  7. 제2항 또는 제6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상기 압박판은 상판 및 하판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발용 완충장치.
KR1020110002600A 2011-01-11 2011-01-11 신발용 완충 장치 KR20120081319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02600A KR20120081319A (ko) 2011-01-11 2011-01-11 신발용 완충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02600A KR20120081319A (ko) 2011-01-11 2011-01-11 신발용 완충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81319A true KR20120081319A (ko) 2012-07-19

Family

ID=4671349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02600A KR20120081319A (ko) 2011-01-11 2011-01-11 신발용 완충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20081319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7213773B2 (ja) 靴用のソール
US9386821B2 (en) Sole
KR100614503B1 (ko) 완충 장치가 내장된 신발
KR102217483B1 (ko) 유체-충진 블래더 챔버들을 포함하는 조절 가능한 발 지지 시스템
US20140202031A1 (en) Lightweight shoe sole having structure displaying shock absorption and rebound elasticity
JP2010246891A (ja) 衝撃吸収部材が入れ替え可能な靴底
US20210195995A1 (en) Shock absorber, shoe sole and shoe
US9668540B2 (en) Footwear having a flex-spring sole
CN103720129A (zh) 鞋底
KR100907740B1 (ko) 충격흡수와 반발탄성 및 공기순환이 동시에 이루어지는기능성 신발
US20080028638A1 (en) Inner sole
ITMI962479A1 (it) Calzatura con sottopiede o intersuola adattabile alla conformazione del piede dell'utente
KR20090003909U (ko) 기능성 건강신발
KR20120081319A (ko) 신발용 완충 장치
KR101253208B1 (ko) 경량성을 갖는 고탄성 구조의 신발물품
WO2014061862A1 (ko) 트라이앵글 충격흡수부를 구비한 충격흡수 신발
KR100825008B1 (ko) 신발창
KR200442659Y1 (ko) 신발의 완충장치 구조
ITPD20070003A1 (it) Soletta ammortizzata per calzature
KR100988034B1 (ko) 에어 유동 신발
KR101063735B1 (ko) 헬스 워킹 샌들
KR20090008579A (ko) 에어 쿠션이 구비된 신발 밑창.
KR200431288Y1 (ko) 신발용 쿠션 및 통풍장치
KR101184145B1 (ko) 신발용 완충 장치
KR20150122207A (ko) 전족 플레이트를 갖는 신발류 물품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ORF Unpaid initial registration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