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081248A - 페이퍼 등을 생산하는 방법 - Google Patents

페이퍼 등을 생산하는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081248A
KR20120081248A KR1020127015257A KR20127015257A KR20120081248A KR 20120081248 A KR20120081248 A KR 20120081248A KR 1020127015257 A KR1020127015257 A KR 1020127015257A KR 20127015257 A KR20127015257 A KR 20127015257A KR 20120081248 A KR20120081248 A KR 2012008124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lymer
linear
bentonite
added
polymer mixtu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701525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541385B1 (ko
Inventor
알렉산더 프랭크
Original Assignee
어플라이드 케미컬스 한델스-게엠베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어플라이드 케미컬스 한델스-게엠베하 filed Critical 어플라이드 케미컬스 한델스-게엠베하
Publication of KR2012008124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8124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4138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41385B1/ko

Link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21PAPER-MAKING; PRODUCTION OF CELLULOSE
    • D21HPULP COMPOSITIONS; PREPARATION THEREOF NOT COVERED BY SUBCLASSES D21C OR D21D; IMPREGNATING OR COATING OF PAPER; TREATMENT OF FINISHED PAPER NOT COVERED BY CLASS B31 OR SUBCLASS D21G; PAPER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21H17/00Non-fibrous material added to the pulp, characterised by its constitution; Paper-impregnating material characterised by its constitution
    • D21H17/20Macromolecular organic compounds
    • D21H17/33Synthetic macromolecular compounds
    • D21H17/34Synthetic 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D21H17/41Synthetic 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containing ionic groups
    • DTEXTILES; PAPER
    • D21PAPER-MAKING; PRODUCTION OF CELLULOSE
    • D21HPULP COMPOSITIONS; PREPARATION THEREOF NOT COVERED BY SUBCLASSES D21C OR D21D; IMPREGNATING OR COATING OF PAPER; TREATMENT OF FINISHED PAPER NOT COVERED BY CLASS B31 OR SUBCLASS D21G; PAPER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21H17/00Non-fibrous material added to the pulp, characterised by its constitution; Paper-impregnating material characterised by its constitution
    • D21H17/63Inorganic compounds
    • DTEXTILES; PAPER
    • D21PAPER-MAKING; PRODUCTION OF CELLULOSE
    • D21HPULP COMPOSITIONS; PREPARATION THEREOF NOT COVERED BY SUBCLASSES D21C OR D21D; IMPREGNATING OR COATING OF PAPER; TREATMENT OF FINISHED PAPER NOT COVERED BY CLASS B31 OR SUBCLASS D21G; PAPER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21H21/00Non-fibrous material added to the pulp, characterised by its function, form or properties; Paper-impregnating or coating material, characterised by its function, form or properties
    • D21H21/06Paper forming aids
    • D21H21/10Retention agents or drainage improver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Pape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폴리아크릴아미드 및 미세-입자 무기 성분으로 구성된 양이온성 폴리머 미세입자가 최종 전단 단계 후에 및 헤드박스(headbox) 전에 페이퍼 재료에 첨가되며, 그에 따라서, 페이퍼 재료가 시트(sheet)를 형성시키기 위해서 탈수에 주어진 다음, 시트가 건조에 주어지는, 페이퍼 등을 제조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또한, 선형의 양이온성 폴리머, 및 선형의 음이온성 코폴리머로 구성되며, 전체 이온성이 음이온성인 폴리머 혼합물이 헤드박스 직전에 첨가된다.

Description

페이퍼 등을 생산하는 방법{METHOD FOR PRODUCING PAPER OR THE LIKE}
본 발명은, 폴리아크릴아미드 및 미세-입자 무기 성분으로 구성된 양이온성 폴리머가 최종 전단 단계 후에 및 헤드박스 전에 페이퍼 펄프에 첨가되며, 그 결과, 페이퍼 펄프가 시트를 형성시키는 동안 탈수에 주어진 다음, 시트 건조에 주어지는, 페이퍼 등을 제조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제지 분야에서, 하루에 200 톤까지의 페이퍼를 생산할 수 있는 기계가 현재 이용 가능하며, 그러한 기계의 중점은 가능한 한 오염되지 않은 백워터(backwater)를 반송시키기 위해서 가능한 한 많은 현탁된 섬유, 미세물질, 및 충전재를 스크린상에 다시 저지시키는 것이다. 섬유, 미세물질 및 충전재의 저지(holding back)는 보유로 일컬어지며, 최대 보유는 자연적으로는 단지 보유제의 최적의 활성에 의해서 달성 가능하다.
현재 사용되는 보유제 시스템 중에, 무기 성분 및 양이온성으로 개질된 합성 폴리머를 포함하는 시스템이 특히 중요하며, 여기서, 예를 들어, DE 102 36 252 A1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보유력을 최대화하기 위해서, 양이온성 폴리머 및 미세-입자 무기 성분을 포함하는 미세입자 시스템이, 특히, 최종 전단 단계 후에 및 헤드박스(headbox) 전에 페이퍼 펄프에 첨가된다. 그러한 경우에, 폴리아크릴아미드, 폴리아미도아민, 및 폴리에틸렌 아민 등과 같은 폴리머가 양이온성 폴리머로서 사용된다.
추가로, 가능한 한 신속하게 페이퍼 펄프를 탈수시켜서 시트 형성을 개선시키기 위해서, 최종 전단 단계, 예를 들어, 원심분리 스트레이너에서의 전단 스트레스와 함께, 예를 들어, 무기 물질 및 음이온성 분지된 폴리머의 첨가에 의해서 부분적으로 다시 재응집되어야 하는 큰 플록(flock)이 페이퍼 펄프로부터 침전되게 하는 양이온성 폴리머사, 최종 전단 단계 전에, 첨가괴는 점에서, 소위 응집제의 첨가에 의한 페이퍼의 보유력을 개선시키고자 하는 노력이 종이 산업에서 있었다.
이러한 유형의 시스템은, 예를 들어, EP-B 1 242 685호로부터 알 수 있으며, 그러한 시스템에서, 셀룰로오즈 현탁액이 양이온성 폴리머의 첨가에 의해서 및 전단 스트레스에 의해서 응집되고, 그 결과, 규질 재료 및 에틸렌성 불포화 음이온성 모노머 또는 모노머 혼합물 및 분지제(branching agent)로 구성된 음이온성 분지된 폴리머가 보유, 탈수 및 형성을 개선시키기 위해서 전단 응력 후에 첨가된다.
본 발명은, 한편으로는 통상의 시스템에 비해서 훨씬 더 개선된 보유력을 나타내며, 다른 한편으로는, 첨가되는 보유 보조제의 양을 현저하게 절감하는 것에 추가로, 시트 표면이 가능한 한 균일한 페이퍼를 제조하기 위해서 통상의 방법에 비해서 시트 형성 동안 탈수를 또한 현저하게 가속시키는, 공지된 보유 시스템 및 응집 시스템을 기초로 한 보유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이러한 목적을 해결하고자,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은, 선형의 양이온성 폴리머 및 전체 이온성이 음이온성인 선형의 음이온성 코폴리머를 포함하는 폴리머 혼합물이 헤드박스 직전에 추가로 첨가됨을 특징으로 한다. 선형의 양이온성 폴리머 및 전체 이온성이 음이온성인 선형의 음이온성 코폴리머를 포함하는 폴리머 혼합물을 헤드박스 직전에 추가로 첨가함으로써, 공지된 음이온성 시스템의 첨가와는 달리, 페이퍼 펄프는 재응집되지 않을 것이지만, 주로, 없어진 전단 스트레스 및 이용 가능한 짧은 시간으로 인해서 극히 작은 플록을 단지 형성시켜고, 그에 의해서, 놀라운 방식으로, 보유력뿐만 아니라 페이퍼의 형성이 공지된 방법에 비해서 현저하게 개선되는 것을 보장하는 것이 가능하다. 헤드박스 직전에, 즉, 가장 가깝게 가능한 순간에 폴리머 혼합물을 첨가함으로써, 그리고, 가교된 부분이 폴리머 혼합물에 함유되지 않는 것을 확실히 함으로써, 전체 시스템의 내용물중의 충전제의 보유의 추가의 최적화 및 추가로, 특히, 보유 시스템을 구성하는 물질의 첨가된 양의 30% 감소로 인한 폐수에 대한 현저하게 감소된 로드(load)가 가능하게 될 것이다.
본 발명의 추가의 개발에 따르면, 본 발명의 방법은 건조 생성물 kg 당 약 6mol의 양전하를 지니는 폴리디알릴 디메틸 암모늄 클로라이드가 폴리머 혼합물중의 상기 선형의 양이온성 폴리머로서 사용되는 방식으로 수행된다. 자체가 건조 생성물 kg 당 약 6mol의 양전하를 지니는 폴리디알릴 디메틸 암모늄 클로라이드가 제지과정에서 양이온성 보유제로서 사용되며, 그러나, 여기서, 폴리디알릴 디메틸 암모늄 클로라이드가 선형 음이온성 코폴리머와 함께 최종 전단 단계 후에 및 헤드박스 직전에 첨가되는 경우에, 보유력의 추가의 개선을 달성하는 것이 가능할 뿐만 아니라, 특히, 주목할 만한 응집이 발생되지 않음과, 특히, 시트-제조 동안 형성에 영향을 주는 치수를 지닌 플록이 더 형성되지 않음을 확실히 하여, 전체 보유력이 추가로 개선되고, 특히, 제지과정으로부터의 폐수의 품질이 현탁된 물질을 변경할 여지 면에서 추가로 향상되게 할 것임이 밝혀졌다.
특히 양호한 결과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추가의 개발에 따라서, 선형의 양이온성 폴리머가 비-팽윤된 상태에서 2㎛ 미만의 입자 크기로 사용된다면 달성될 것이다. 2㎛ 미만의 입자 크기를 지니는 양이온성의 선형 폴리머가 사용되는 경우에, 선형의 양이온성 폴리머의 입자는, 특히 팽윤된 상태에서 페이퍼 펄프 중의 충전재의 입자 크기와 동일한 크기일 것이어서, 페이퍼 시트의 특히 균일한 표면이 탈수 및 형성 후에 개선된 보유력과 동시에 달성되게 할 것이다.
보유 시스템의 효과의 추가의 개선은 건조 생성물 kg 당 약 4mol의 음전하 및 50:50 내지 70:30의 아크릴아미드 대 소듐 아크릴레이트의 몰비의 아크릴아미드와 소듐 아크릴레이트의 코폴리머가 상기 선형의 음이온성 코폴리머로서 사용되는 점에서 달성될 수 있다. 그러한 선형 코폴리머를 사용함으로써, 특히, 양이온성 폴리머와 함께, 재응집을 크게 방지하면서 폴리머 혼합물에서의 보유력을 추가로 개선시킬 음이온성 성형 코폴리머를 사용하는 것이 실현 가능하다. 비-팽윤된 상태에서 30 내지 250㎛의 입자 크기를 지니는 선형의 음이온성 코폴리머를 사용함으로써, 페이퍼 펄프에서 충전재 입자와 동일한 크기의 선형의 음이온성 코폴리머를 제공하는 것이 또한 실현 가능하고, 그에 의해서, 더 적은 양의 보유제를 사용함으로써 개선된 보유력을 동시에 달성하는 것 외에, 또한, 시트의 건조 후에 완전히 평탄하고 결함이 없는 페이퍼 표면이 제공될 것이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추가의 개발에 따라서, 폴리머 혼합물 중의 선형의 양이온성 폴리머 대 선형의 음이온성 코폴리머의 비율이 2:8 내지 0.5:9.5 범위인 방식으로 방법을 수행함으로써, 특히, 페이퍼 펄프의 재응집이 발생하지 않을 것임과 그에 따라서 형성이 영향을 받지 않을 것임을 확실히 할 것이다.
폴리머 혼합물 중의 양이온성 폴리머 대 선형의 음이온성 코폴리머의 비율을 선택함으로써, 특히, 종래 기술 방법에 비해서, 전체적으로, 첨가되는 보유 보조제의 약 20% 생성물 절감이 달성될 것이며, 또한 불투명성 및 양면성(two-sideness)과 같은 최종 생성물의 형성을 개선시킬 뿐만 아니라, 제조 공정 전체에 걸친 방대한 절감, 특히 재료 절감을 보장하기 위해서 순수한 충전재 응집이 방지될 것임이 보호될 것이다.,
폴리머 혼합물이 오일 중의 현탁액으로서, 특히, 이소파라핀 오일, 기술적 화이트 오일(technical white oil), 소르비탄 모노올레이트 뿐만 아니라, 임의로, 안정화제와 같은 첨가제, 예컨대, 소수성으로 개질된 아크릴릭 코폴리머, 폴리머-활성화, 표면-활성 재료, 예컨대, 일차 알콜과 에틸렌 옥사이드의 합성 축합물 뿐만 아니라, 2,2'-아조비스(2-메틸부티로니트릴), 우레아, 또는 디에틸렌트리아민 펜타아세트산의 소듐 염으로부터 선택된 추가의 첨가제의 혼합물 중의 현탁액으로서 사용되는 방식으로 본 발명에 따라서 방법을 수행함으로써, 한편으로는, 표면 장력이 오일중 현탁액 또는 분산액을 사용함으로써 감소될 것이며, 그에 의해서, 제지 사이클에서의 소포제의 사용이 회피될 수 있다. 추가의 첨가제, 예컨대, 안정화제, 소수성 개질 아크릴릭 코폴리머, 폴리머-활설화, 표면 활성 재료가 임의적으로 사용되는 점에서, 특히, 폴리머 혼합물의 반응 속도가 증가할 것이며, 이어서, 이는 개선된 전체 섬유 보유력을 유도할 것이고, 다른 한편으로는, 사용된 폴리머 혼합물이 분해되지 않고, 활성 표면을 지니며, 특히, 어떠한 추가의 원치 않는 중합을 방지하여, 향상된 보유력과 동시에 사용되는 재료의 양의 추가의 감소를 달성시키는 것을 보장할 것이다.
본 발명의 추가의 개발에 따라서, 폴리머 혼합물에 함유된 모든 폴리머는 수용성이라는 점에서, 예를 들어, 응집제로서 사용된 시중 구입 가능한 음이온성 폴리머의 사용과는 대조적으로, 한편으로는 사용된 폴리머 혼합물의 양을 현저하게 감소시키고, 다른 한편으로는 페이퍼 펄프에서의 폴리머 혼합물의 반응 시간을 감소시켜서 보유력을 추가로 개선시키면서 순수한 충전재 응집을 안전하게 방지하는 것이 실현 가능하다.
바람직한 추가의 개발에 따르면, 방법은 최종 전단 단계 후에 첨가되는 폴리아크릴아미드가 오일중 분산액 또는 에멀젼으로서 사용되는 방식으로 수행된다. 오일중 분산액 또는 에멀젼으로서 최종 전단 단계 후에 첨가되는 폴리아크릴아미드를 사용함으로써, 페이퍼 펄프의 표면 장력이 더욱더 감소되고, 그 결과, 페이퍼 기계 사이클에서의 소포제의 사용이 완전히 회피되거나 아주 크게, 즉, 70%까지 감소될 수 있다. 최종 전단 단계 후에 가능한 가장 가까운 순간에 폴리아크릴아미드를 첨가함으로써, 최종 전단 단계 전에 양이온성 폴리머의 사용에 비해서 플록을 형성시키기 위한 시간이 없음으로 인해서 제품 절약이 약 20%까지 증가하고 있는데, 상기 첨가제는 시스템의 응집을 유발시키는 것을 의도하고 목적으로 하며, 이는 본 발명에 따라서 회피되어야 한다. 양이온성 폴리머가 최종 전단 단계 후에 첨가되는 점에서, 추가로, 저분자량을 지니는 폴리머가 선택될 수 있으며, 그에 따라서 또한, 플록 크기를 감소시키거나, 플록의 형성을 완전히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방법의 바람직한 추가의 개발에 따르면, 후자의 방법은 2중량% 미만의 이산화규소 함량을 지니는 알칼리-활성화된 벤토나이트, 특히, 몬모릴로나이트로 근본적으로 완전히 이루어진 알칼리-활성화된 벤토나이트가 상기 미세-입자 무기 성분으로서 사용되는 방식으로 수행된다. 2중량% 미만의 이산화규소 함량을 지니는 알칼리-활성화된 벤토나이트, 특히, 몬모릴로나이트로 근본적으로 완전히 이루어진 알칼리-활성화된 벤토나이트를 사용함으로써, 경질 이산화규소 결정에 의한 시트 표면의 결함이 확실히 방지될 것이다. 게다가, 더 높은 이산화규소 함량은 기계 부품의 마멸 또는 마모를 유발시켜서, 특히, 고속 고용량 페이퍼 기계에서, 본 발명에 따른 벤토나이트 제품을 사용하는 것이 그러한 고용량 기계의 수명을 현저하게 개선시킬 것이다.
본 발명의 추가의 개발에 따라서, 400 m2/g 이상, 특히, 600 내지 850 m2/g의 내부 표면적 및 2㎛ 미만의 평균 입자 크기를 지니는 벤토나이트가 상기 알칼리-활성화된 벤토나이트로서 사용된다는 점에서, 외래 물질의 흡수가 벤토나이트, 특히, 몬모릴로나이트의 큰 내부 표면적에 의해서 촉진될 것이고, 그에 따라서, 물 사이클의 순도, 특히, 폐수의 품질이 추가로 상승될 것이며 현저하게 개선될 것이다.
페이퍼 펄프의 섬유와의 가능한 한 신속한 수소 브릿지의 형성을 확실히 하기 위해서,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은 음전하 표면 및 양전하 에지를 지니는 벤토나이트가 상기 알칼리-활성화된 벤토나이트로서 사용되는 효과로 추가로 발전된다. 페이퍼 펄프의 섬유와의 수소 브릿지의 특히 신속한 형성은 물과 고형물의 특히 신속한 분리를 확실히 하여, 통상의 방법에 비해서 시트 형성의 탈수를 현저하게 가속시킨다.
알칼리-활성화된 벤토나이트의 효과에 대한 추가의 개선은 벤토나이트가 7.8 이상, 특히, 8 이상의 현탁액 중의 pH로 사용되어서, 형성을 특별히 개선시키고 가속된 탈수에 기여하는 점에서 달성될 것이다.
플록의 형성, 특히, 플록의 크기를 추가로 감소시키고, 또한, 공정을 추가로 가속시키기 위해서,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은 양이온성 폴리아크릴아미드가 최종 전단 단계 후에 페이퍼 펄프에 먼저 첨가되고, 벤토나이트 및 그와 동시에 폴리머 혼합물이 헤드박스 직전에 첨가되는 방식으로 수행된다. 벤토나이트와 폴리머 혼합물을 헤드박스 직전에 페이퍼 펄프에 동시에 첨가함으로써, 재료 입력을 30%까지 동시에 감소시키면서 전체적으로 개선된 보유력이 가능하도록 플록 형성의 추가의 감소가 달성될 것이다. 보유력을 개선시키는 것 외에, 감소된 플록 크기 및 재응집의 회피로 인해서, 탈수가 가속될 것이고, 형성이 개선될 것이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이 비교를 위한 실시예에 의해서 더욱 상세히 설명될 것이다.
비교를 위한 실시예
보유 보조제 및/또는 재응집제의 첨가에 대한 4가지 변수를 첨가 시간 및 사용된 재료와 관련하여 서로 비교하였다. 모든 시험은 1,100kWh의 에너지 입력을 각각 포함하는 두 개의 평행한 수직 분류기(vertical sorter)를 포함하는 시험 기계상에서 수행되었다. 헤드박스까지의 시험 기계의 가능한 한 먼 파이프 연결(piping)의 길이는 각각 12m 내지 15m였고, 주된 흐름의 유속은 1,850 l/s이어서, 수직 분류기로부터 헤드박스에 이르는 시간은 각각 5초가 되게 하였다.
모든 시험에서, 원료 흐름의 온도는 40℃ 내지 55℃였다.
시험 설정 1
수직 분류기 전의 원료 흐름에 대한 150g/t의 양으로의 양이온성 폴리머의 첨가 및 헤드박스 직전의 2.5kg 벤토나이트/t의 첨가는 전체 58%의 보유력, 20%의 애쉬 보유력(ash retention), 15%의 최종 페이퍼 중의 애쉬 함량을 유도하였다. 그러한 시험 어레이는 불량한 형성에 의해서 제한되었으며 불량한 탈수 효율성을 보였다.
시험 설정 2
수직 분류기 전의 280g/t의 투입량으로의 양이온성 폴리머의 첨가, 원료 흐름의 응집, 수직 분류기 후의 80g/t 양으로의 부분적으로 가교된 음이온성 폴리머의 첨가 및 헤드박스 직전의 2kg/t 양으로의 벤토나이트의 첨가는 전체 65%의 보유력, 37%의 애쉬 보유력, 18%의 최종 페이퍼 중의 애쉬 함량, 및 시험 설정 1에 비해서 개선된 탈수 효율을 유도했다.
시험 설정 3
수직 분류기 후의 350g/t 양으로의 양이온성 폴리머의 첨가, 및 헤드박스 직전의 2.5kg의 벤토나이트의 첨가는 전체 60%의 보유력, 31%의 애쉬 보유력, 18%의 최종 페이퍼 중의 애쉬 함량, 및 시험 설정 1에 비해서 약간 개선된 형성 및 약간 개선된 탈수 효율을 유도했다.
본 발명에 따른 시험 설정
수직 분류기 후의 150g/t 양으로의 양이온성 폴리머, 즉, 아크릴아미드의 첨가, 100g/t 양으로의 선형의 음이온성 폴리머 및 양이온성 폴리디알릴 디메틸 암모늄 클로라이드를 포함하는 폴리머 혼합물의 첨가, 및 헤드박스 직전의 1.8kg/t의 벤토나이트의 첨가가 전체 65%의 보유력, 41%의 애쉬 보유력, 18%의 최종 페이퍼 중의 애쉬 함량, 및 선행 시험에 비해서 현저하게 개선된 페이퍼의 형성 및 탈수를 유도했다. 시험 설정 2과 비교해 보면, 본 발명에 따른 시험 설정 후에 최상의 결과가 나타났으며, 개선된 결과의 달성에 추가로, 양이온성 폴리머 및 음이온성 폴리머 둘 모두에, 약 20%의 재료 절감이 얻어질 수 있다.
시험 설정 3에 비해서는 현저하게 개선된 결과와 동시에 약 20%의 사용된 폴리머의 재료 절감이 또한 가능하다.

Claims (14)

  1. 폴리아크릴아미드 및 미세-입자 무기 성분으로 구성된 양이온성 폴리머가 최종 전단 단계 후에 및 헤드박스(headbox) 전에 페이퍼 펄프에 첨가되며, 그에 따라서, 페이퍼 펄프가 시트(sheet)를 형성시키면서 탈수에 주어진 다음, 시트 건조에 주어지는, 페이퍼 등을 제조하는 방법으로서, 선형의 양이온성 폴리머 및 전체 이온성이 음이온성인 선형의 음이온성 코폴리머를 포함하는 폴리머 혼합물이 헤드박스 직전에 추가로 첨가됨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2. 제 1항에 있어서, 건조 생성물 kg 당 약 6mol의 양전하를 지니는 폴리디알릴 디메틸 암모늄 클로라이드가 폴리머 혼합물 중의 상기 선형의 양이온성 폴리머로서 사용됨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3.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선형의 양이온성 폴리머가 비-팽윤된 상태에서 2㎛ 미만의 입자 크기로 사용됨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4. 제 1항 내지 제 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건조 생성물 kg 당 약 4mol의 음전하 및 50:50 내지 70:30의 아크릴아미드 대 소듐 아크릴레이트의 몰비의 아크릴아미드와 소듐 아크릴레이트의 코폴리머가 상기 선형의 음이온성 코폴리머로서 사용됨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5. 제 4항에 있어서, 비-팽윤된 상태에서 30 내지 250㎛의 입자 크기를 지니는 선형의 음이온성 코폴리머가 사용됨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6. 제 1항 내지 제 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폴리머 혼합물중의 선형의 양이온성 폴리머 대 선형의 음이온성 코폴리머의 비율이 2:8 내지 0.5:9.5의 범위임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7. 제 1항 내지 제 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폴리머 혼합물이 오일 중의 현탁액으로서, 특히, 이소파라핀 오일, 기술적 화이트 오일(technical white oil), 소르비탄 모노올레이트 뿐만 아니라, 임의로, 안정화제와 같은 첨가제, 예컨대, 소수성으로 개질된 아크릴릭 코폴리머, 폴리머-활성화, 표면-활성 재료, 예컨대, 일차 알콜과 에틸렌 옥사이드의 합성 축합물 뿐만 아니라, 2,2'-아조비스(2-메틸부티로니트릴), 우레아, 또는 디에틸렌트리아민 펜타아세트산의 소듐 염으로부터 선택된 추가의 첨가제의 혼합물 중의 현탁액으로서 사용됨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8. 제 1항 내지 제 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폴리머 혼합물에 함유된 폴리머가 수용성임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9. 제 1항 내지 제 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최종 전단 단계 후에 첨가되는 폴리아크릴아미드가 오일 중의 분산액 또는 에멀젼으로서 사용됨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0. 제 1항 내지 제 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2중량% 미만의 이산화규소 함량을 지니는 알칼리-활성화된 벤토나이트, 특히, 몬모릴로나이트로 근본적으로 완전히 이루어진 알칼리-활성화된 벤토나이트가 상기 미세-입자 무기 성분으로서 사용됨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1. 제 10항에 있어서, 400 m2/g 이상, 특히, 600 내지 850 m2/g의 내부 표면적 및 2㎛ 미만의 평균 입자 크기를 지니는 벤토나이트가 상기 알칼리-활성화된 벤토나이트로서 사용됨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2. 제 10항 또는 제 11항에 있어서, 음전하 표면 및 양전하 에지(positive edge charge)를 지니는 벤토나이트가 상기 알칼리-활성화된 벤토나이트로서 사용됨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3. 제 10항 내지 제 1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알칼리-활성화된 벤토나이트가 7.8 이상, 특히 8 이상의 현탁액 중의 pH로 사용됨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4. 제 1항 내지 제 1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양이온성 폴리아크릴아미드가 페이퍼 펄프에 먼저 첨가되고, 벤토나이트 및 그와 동시에 폴리머 혼합물이 헤드박스 직전에 첨가됨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KR1020127015257A 2009-11-13 2010-11-03 페이퍼 등을 생산하는 방법 KR10154138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AT0180009A AT508256B1 (de) 2009-11-13 2009-11-13 Verfahren zur herstellung von papier oder dgl.
ATA1800/2009 2009-11-13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81248A true KR20120081248A (ko) 2012-07-18
KR101541385B1 KR101541385B1 (ko) 2015-08-03

Family

ID=4330222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7015257A KR101541385B1 (ko) 2009-11-13 2010-11-03 페이퍼 등을 생산하는 방법

Country Status (21)

Country Link
US (1) US8562787B2 (ko)
EP (1) EP2499297B1 (ko)
JP (1) JP2013510956A (ko)
KR (1) KR101541385B1 (ko)
CN (1) CN102597369B (ko)
AR (1) AR078983A1 (ko)
AT (1) AT508256B1 (ko)
AU (1) AU2010317637A1 (ko)
BR (1) BR112012011114A2 (ko)
CA (1) CA2780687A1 (ko)
CL (1) CL2012001255A1 (ko)
CO (1) CO6551743A2 (ko)
ES (1) ES2440561T3 (ko)
NZ (1) NZ599636A (ko)
PE (1) PE20110515A1 (ko)
PL (1) PL2499297T3 (ko)
PT (1) PT2499297E (ko)
TW (1) TW201120279A (ko)
UY (1) UY33024A (ko)
WO (1) WO2011057309A2 (ko)
ZA (1) ZA201204245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3952940B (zh) * 2014-04-30 2016-08-24 金东纸业(江苏)股份有限公司 纸张的制造方法
CN104861103B (zh) * 2015-04-23 2017-04-19 浙江理工大学 有机复合钠化改性膨润土微粒助留助滤剂制备方法及应用

Family Cites Families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913775A (en) * 1986-01-29 1990-04-03 Allied Colloids Ltd. Production of paper and paper board
GB8602121D0 (en) 1986-01-29 1986-03-05 Allied Colloids Ltd Paper & paper board
US4684604A (en) 1986-04-24 1987-08-04 Eastman Kodak Company Oxidative release of photographically useful groups from hydrazide compounds
US5584966A (en) 1994-04-18 1996-12-17 E. I. Du Pont De Nemours And Company Paper formation
JPH09250095A (ja) * 1996-03-13 1997-09-22 Nippon Paper Ind Co Ltd 紙の抄造方法
EP1293603B1 (en) * 1997-09-30 2007-07-11 Nalco Chemical Company The production of paper using colloidal borosilicate
TW524910B (en) * 1999-11-08 2003-03-21 Ciba Spec Chem Water Treat Ltd Manufacture of paper and paperboard
JP3681655B2 (ja) * 2000-08-03 2005-08-10 ハイモ株式会社 中質紙の抄紙方法
MY140287A (en) * 2000-10-16 2009-12-31 Ciba Spec Chem Water Treat Ltd Manufacture of paper and paperboard
DE20220979U1 (de) * 2002-08-07 2004-10-14 Basf Ag Papierprodukt
DE10236252B4 (de) 2002-08-07 2005-06-30 Basf Ag Verfahren zur Herstellung von Papier, Pappe und Karton
DE102005043800A1 (de) * 2005-09-13 2007-03-22 Basf Ag Verfahren zur Herstellung von Papier, Pappe und Karton
GB0702249D0 (en) * 2007-02-05 2007-03-14 Ciba Sc Holding Ag Manufacture of paper or paperboard
GB0702248D0 (en) * 2007-02-05 2007-03-14 Ciba Sc Holding Ag Manufacture of Filled Pape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PL2499297T3 (pl) 2014-03-31
CN102597369A (zh) 2012-07-18
AT508256B1 (de) 2010-12-15
AU2010317637A1 (en) 2012-05-24
ZA201204245B (en) 2013-02-27
KR101541385B1 (ko) 2015-08-03
CN102597369B (zh) 2014-10-29
PT2499297E (pt) 2014-01-02
BR112012011114A2 (pt) 2016-07-05
WO2011057309A2 (de) 2011-05-19
AU2010317637A2 (en) 2012-05-31
CL2012001255A1 (es) 2012-09-28
AT508256A4 (de) 2010-12-15
TW201120279A (en) 2011-06-16
EP2499297B1 (de) 2013-09-25
UY33024A (es) 2011-05-31
PE20110515A1 (es) 2011-08-08
US20120222830A1 (en) 2012-09-06
ES2440561T3 (es) 2014-01-29
AR078983A1 (es) 2011-12-14
CA2780687A1 (en) 2011-05-19
CO6551743A2 (es) 2012-10-31
NZ599636A (en) 2013-09-27
EP2499297A2 (de) 2012-09-19
WO2011057309A3 (de) 2011-07-07
JP2013510956A (ja) 2013-03-28
US8562787B2 (en) 2013-10-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033524A (en) Selective retention of filling components and improved control of sheet properties by enhancing additive pretreatment
JP2831165B2 (ja) 保留と水排出の改善された製紙方法
KR100229973B1 (ko) 제지방법
CN103422395B (zh) 在造纸中增强脱水、纸片湿纸幅强度和湿强度的方法
AU783230B2 (en) Method of increasing retention and drainage in papermaking using high molecular weight water-soluble anionic or nonionic dispersion polymers
JPH06294095A (ja) 填料含有紙の製造方法
NZ507606A (en) A process for the production of paper
US5798023A (en) Combination of talc-bentonite for deposition control in papermaking processes
EP1834040B1 (en) A process for the production of paper
US5840158A (en) Colloidal silica/polyelectrolyte blends for pulp and paper applications
CA2864955C (en) Method for reducing negative effects of natural pitch contaminants in both pulping and papermaking operations
KR20120081248A (ko) 페이퍼 등을 생산하는 방법
KR100580306B1 (ko) 증강제로 전처리하여 충전제 성분을 선택적으로 보류시키고 종이의 특성 조절을 개선하는 방법
CN107190562B (zh) 纸的制造方法
JP2002526681A (ja) 製紙に使用される微細粒子系における酸性コロイド
CN103608516A (zh) 生产纸和纸板
JP2010077546A (ja) 紙の製造方法
NZ505246A (en) Method of increasing retention and drainage of filling components in paper making furnish by enhancing additive pretreatment
MXPA00000326A (en) Method for reducing the polymer and bentonite requirement in papermaking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628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