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080398A - 통화 이력 및 연락처 데이터의 연동을 위한 클라우드 서버 및 통신 단말기와 그들의 제어방법 - Google Patents

통화 이력 및 연락처 데이터의 연동을 위한 클라우드 서버 및 통신 단말기와 그들의 제어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080398A
KR20120080398A KR1020110001833A KR20110001833A KR20120080398A KR 20120080398 A KR20120080398 A KR 20120080398A KR 1020110001833 A KR1020110001833 A KR 1020110001833A KR 20110001833 A KR20110001833 A KR 20110001833A KR 20120080398 A KR20120080398 A KR 2012008039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mmunication
communication history
information
unit
communication termi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0183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민성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엘지유플러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엘지유플러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엘지유플러스
Priority to KR1020110001833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20080398A/ko
Publication of KR2012008039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80398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41/00Arrangements for maintenance, administration or management of data switching networks, e.g. of packet switching networks
    • H04L41/08Configuration management of networks or network elements
    • H04L41/085Retrieval of network configuration; Tracking network configuration history
    • H04L41/0859Retrieval of network configuration; Tracking network configuration history by keeping history of different configuration generations or by rolling back to previous configuration versio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통화 이력 및 연락처 데이터의 연동을 위한 클라우드 서버 및 통신 단말기와 그들의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클라우드 서버는, 통신 단말기로부터 통신 이력 등록 요청 신호 또는 통신 이력 전송 요청 신호를 수신하는 요청 수신부와; 상기 수신부에 수신되는 통신 이력 등록 요청 신호에 따라, 상기 통신 이력 등록 요청 신호에서 통신 이력 정보를 추출하여 통신 이력 데이터베이스부에 추가 등록하는 등록부와; 상기 수신부에 수신되는 통신 이력 전송 요청 신호에 따라, 상기 통신 이력 전송 요청 신호에 포함된 상기 통신 단말기의 장치 정보에 부합하는 개수의 통신 이력 정보를 상기 통신 이력 데이터베이스부로부터 추출하는 데이터 추출부와; 상기 데이터 추출부에서 추출된 통신 이력 정보를 상기 통신 단말기로 전송하는 전송부를 포함하는 것을 한다.

Description

통화 이력 및 연락처 데이터의 연동을 위한 클라우드 서버 및 통신 단말기와 그들의 제어방법{CLOUD SERVER AND COMMUNICATION APPARATUS FOR INTERLOCKING CALL HISTORY AND ADDRESS BOOK DATA, AND CONTROL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클라우드 서버 및 통신 단말기 및 그 들의 제어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통화 이력 및 주소록 데이터의 연동을 위한 클라우드 서버 및 통신 단말기와 그들의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에는 스마트폰의 확산과 함께 세컨드 폰으로써 복수 개의 핸드폰을 구비하는 경우가 종종 있고, 애플사의 아이팟터치와 같은 멀티미디어 기기에서도 WI-FI(Wireless Fidelity) 통신을 통해 VoIP(Voice Over IP) 즉, 인터넷 전화를 사용하는 경우가 증가하고 있다.
최근 등장하는 복합기/팩스 같은 경우에도 웹 브라우징 및 IP망으로 네트워크상 데이터 연동이 가능한 웹 기반의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고, IPTV 또는 인터넷 TV에 VoIP 어플리케이션을 탑재하여 TV자체에서 통화가 가능한 환경도 확산될 것으로 예상되고 있다.
PC 에서는 스카이프(skype)와 같은 어플리케이션을 설치하여 무료 VoIP를 통해 통화하는 방식이 널리 이용되고 있고, 최근 애플 앱스토에는 skype를 능가하는 VoIP어플리케이션들이 속속 등장하고 있는 추세이기도 하다.
또한 IP망 기반으로 변화하는 추세도 급격하게 일어나고 있는데, IP망으로의 통합은 곧 서로가 동일한 프로토콜 하에 연동이 가능하다는 뜻이 된다. PSTN(공중전화망)이 아닌 IP 기반의 인터넷 전화가 급속히 확산되고 있고, 최근 지하철역사에 설치되기 시작한 핑거터치 디바이스에서는 공중전화조차도 VoIP로 제공하고 있기도 하다.
이렇게 사용자들 주변에는 통화할 수 있는 디바이스 종류가 다양화되고 있는데, 사용자 입장에서는 디바이스에 상관없이 끊김없는(seamless : 어떤 디바이스를 사용하더라도 동일한 look & feel을 유지하는) 서비스를 유지하기를 원하지만, 종래에는 각 디바이스가 단독으로 발전되어 왔기 때문에 디바이스간 seamless하게 데이터를 연동을 할 수 있는 환경이 마련되어 있지 않다는 문제점이 있다.
특히, 통화 기능에서는 중요한 데이터는 주소록과 통화 이력인데, 휴대폰에 한해서는 각 통신사나 제조사에서 백업 기능을 제공해오긴 했으나, 이는 단지 휴대폰에 저장된 주소록과 통화 이력 전체를 다른 서버에 일시 저장해 두는 것에 불과할 뿐 다른 디바이스와의 실시간 연동을 고려한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의 단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그 목적은 다양한 장치들에서 발생하는 통화와 관련한 통화 이력 또는 주소록이 서로 공유되고 동일한 포맷으로 사용자에게 제공될 수 있도록 하는 클라우드 서버 및 그 제어방법과, 클라우드 서버와 통신하는 통신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클라우드 서버는, 통신 단말기로부터 통신 이력 등록 요청 신호 또는 통신 이력 전송 요청 신호를 수신하는 요청 수신부와; 상기 수신부에 수신되는 통신 이력 등록 요청 신호에 따라, 상기 통신 이력 등록 요청 신호에서 통신 이력 정보를 추출하여 통신 이력 데이터베이스부에 추가 등록하는 등록부와; 상기 수신부에 수신되는 통신 이력 전송 요청 신호에 따라, 상기 통신 이력 전송 요청 신호에 포함된 상기 통신 단말기의 장치 정보에 부합하는 개수의 통신 이력 정보를 상기 통신 이력 데이터베이스부로부터 추출하는 데이터 추출부와; 상기 데이터 추출부에서 추출된 통신 이력 정보를 상기 통신 단말기로 전송하는 전송부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또,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통신 단말기는, 통신 이벤트를 감지하는 이벤트 감지부와; 상기 이벤트 감지부에서 통신 이벤트가 감지된 시점에 통신 상대 단말기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통신 이력 정보를 생성하는 정보 생성부와; 상기 정보 생성부에서 생성된 통신 이력 정보를 포함하는 통신 이력 등록 요청 신호를 클라우드 서버에 전송하는 등록 요청부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또,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클라우드 서버의 제어방법은, 상기 통신 단말기로부터 통신 이력 전송 요청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와; 상기 수신되는 통신 이력 전송 요청 신호에 포함된 상기 통신 단말기의 장치 정에 부합하는 개수의 통신 이력 정보를 기 저장된 데이터로부터 추출하는 단계와; 상기 추출된 통신 이력 정보를 상기 통신 단말기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또,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통신 단말기의 제어방법은, 통신 이벤트를 감지하는 단계와; 상기 통신 이벤트가 감지된 시점에 통신 상대 단말기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통신 이력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와; 상기 생성된 통신 이력 정보를 포함하는 통신 이력 등록 요청 신호를 클라우드 서버에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다양한 통신 단말기(휴대폰 등의 이동통신 단말기는 물론이고 IPTV, 팩스 등 외부와 통신이 가능한 단말기) 간에 통신 상대방 정보를 포함하는 통신 이력 또는 주소록이 서로 공유될 수 있다. 특히 그 공유되는 통신 이력 또는 주소록이 별도의 서버(즉, 클라우드 서버)에 저장됨으로써 각 단말기에는 통신 이력 또는 주소록을 저장하기 위한 별도의 메모리가 필요치 않다.
또한, 클라우드 서버는 통신 단말기에 대응되는 개수의 통신 이력 또는 주소록을 추출하여 해당 통신 단말기에 제공함으로써, 각 단말기에서 통신 이력 또는 주소록이 최적의 화면 상태로 표시되도록 할 수 있음은 물론 데이터 전송시 발생하는 네트워크 부하를 최소화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클라우드 서버와 통신 단말기를 포함하는 전체 통신망의 개략 구성도이고,
도 2는 도 1의 클라우드 서버의 기능 블록도이고,
도 3은 도 1의 통신 단말기의 기능 블록도이고,
도 4는 클라우드 서버에서 통신 단말기의 인증이 이루어지는 과정을 나타낸 흐름도이고,
도 5 및 도 7은 통신 단말기의 사용자 요청 처리 과정을 나타낸 흐름도이고,
도 6은 도 1의 클라우드 서버에 저장되는 데이터베이스의 일 예이고,
도 8은 도 1의 클라우드 서버의 제어흐름도이다.
이하에서는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클라우드 서버(100)와 통신 단말기(200)를 포함하는 전체 시스템의 개략 구성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다.
통신 단말기(200)는 클라우드 서버(100)에 통신 이력이나 주소록(상대방 연락처) 등을 등록하는 것으로서, 이동통신 단말기(200), FAX, 유선 전화기 등 상대 단말기와 통신이 가능한 모든 종류의 단말기를 포함한다. 통신 단말기(200)의 구체적인 기능은 후술토록 한다.
클라우드 서버(100)는 통신 단말기(200)들의 통신 이력과 주소록 데이터를 저장 및 관리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것으로서, 각 통신 단말기(200)들의 요청에 따라 통신 이력과 주소록 데이터를 저장 또는 갱신할 수 있고, 또한 각 통신 단말기(200)의 요청에 따라 기 저장된 통신 이력과 주소록 데이터를 제공할 수 있다.
이러한 클라우드 서버(100)의 구체적인 기능은 도 2의 기능 블록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클라우드 서버(10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요청 수신부(110), 인증 처리부(130), 등록부(140), 데이터 추출부(150), 포맷 변경부(160), 데이터베이스부(170), 전송부(12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요청 수신부(110)는 통신 단말기(200)로부터 통신 이력 등록 요청 신호 또는 통신 이력 전송 요청 신호는 물론, 특정 문자와 숫자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검색 요청 신호를 수신할 수 있고, 더 나아가 단말기 등록 요청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이러한 요청 수신부(110)에 수신되는 각 요청 신호에 따른 처리에 관해서는 후술토록 한다.
데이터베이스부(170)에는 크게 통신 이력 데이터베이스부(171), 연락처 데이터베이스부(172), 사용자/단말기 데이터베이스부(173)가 포함될 수 있는데, 각각의 데이터베이스부(170)에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테이블이 저장되어 있을 수 있다.
이러한 각 데이터베이스부(170)에 저장되는 정보들에 관해 간략히 설명하면, 통신 이력 데이터베이스부(171)에는 각 통신 단말기(200)의 통신 이력 정보가 저장되고, 연락처 데이터베이스부(172)에는 각 통신 단말기(200)에게 통신 편의성을 제공하기 위한 상대 단말기 정보를 포함하는 연락처 데이터가 저장되며, 사용자/단말기 데이터베이스부(173)에는 본 실시예에 따른 서비스를 제공받기 위한 사용자 정보와 단말기 정보 또는 인증 정보 등이 저장된다.
등록부(140)는 요청 수신부(110)에 수신되는 통신 이력 등록 요청 신호에 따라 그 통신 이력 등록 요청 신호에서 통신 이력 정보를 추출하여 통신 이력 데이터베이스부(171)에 추가 등록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또한 등록부(140)는 통신 단말기(200)로부터 연락처 등록 요청 신호가 요청 수신부(110)에 수신되면 그 연락처 등록 요청 신호에 포함된 상대 단말의 연락처 데이터를 연락처 데이터베이스부(172)에 추가 등록할 수도 있다.
이때, 등록부(140)는 통신 이력 등록 요청 신호 또는 연락처 등록 요청 신호를 전송한 통신 단말기(200)의 장치 정보를 해당 통신 이력 정보 또는 연락처 데이터에 매칭시켜 통신 이력 데이터베이스부(171) 또는 연락처 데이터베이스부(172)에 등록할 수 있다.
또한 등록부(140)는 통신 단말기(200)로부터 단말기 등록 요청 신호가 요청 수신부(110)에 수신되면 그 단말기 등록 요청 신호에 포함된 통신 단말기(200)의 장치 정보 및 자동 인증 여부 선택 정보를 매칭시켜 사용자/단말기 데이터베이스부(173)에 저장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인증 처리부(130)는 통신 단말기(200)에 대한 인증 처리를 수행하되, 사용자/단말기 데이터베이스부(173)에 저장된 정보를 기초로 판단한 소정의 요청 신호(통신 이력 등록 요청 신호, 통신 이력 전송 요청 신호, 연락처 등록 요청 신호, 연락처 전송 요청 신호 등)를 전송한 통신 단말기(200)에 대해 자동 인증이 기 설정되어 있는 경우 자동 인증 처리를 수행한다.
예를 들어 인증 처리부(130)는 현재 통신 단말기(200)를 사용하고 있는 사용자가 정당한 권한을 갖고 있는지를 판단하기 위해 사용자에게 주민등록 번호 등 개인 정보를 입력하도록 요청할 수 있고 사용자가 통신 단말기(200)를 통해 입력한 개인 정보를 사용자/단말기 데이터베이스부(173)에 저장된 정보와 비교할 수 있는데, 이때, 통신 단말기(200)가 자동 인증으로 설정되어 있는 경우에는 이러한 사용자 개인 정보를 요구하지 않고 자동으로 인증처리를 수행할 수 있는 것이다.
여기서 인증처리를 수행한다는 것은 예를 들어 통신 단말기(200)에 인증키를 발급하는 것을 의미하고, 이 경우 통신 단말기(200)는 소정의 요청 신호(통신 이력 등록 요청 신호, 통신 이력 전송 요청 신호, 연락처 등록 요청 신호, 연락처 전송 요청 신호 등)를 클라우드 서버(100)에 전송할 때 발급받은 인증키를 포함시켜 전송하게 된다.
데이터 추출부(150)는 요청 수신부(110)에 수신되는 통신 이력 전송 요청 신호에 따라 상기 통신 이력 전송 요청 신호에 포함된 통신 단말기(200)의 장치 정보에 부합하는 개수의 통신 이력 정보를 통신 이력 데이터베이스부(171)로부터 추출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뿐만 아니라, 데이터 추출부(150)는 요청 수신부(110)에 특정 문자와 숫자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검색 요청 신호가 수신된 경우, 검색 요청 신호에 포함된 그 특정 문자와 숫자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부합하는 통신 이력 정보를 통신 이력 데이터베이스부(171)로부터 추출할 수도 있다.
이때, 데이터 추출부(150)는 통신 이력 데이터베이스부(171)로부터 통신 이력 정보를 추출할 때 각 통신 이력 정보에 매칭된 장치 정보를 함께 추출할 수도 있다.
상술한 예에서는 데이터 추출부(150)가 통신 이력 정보를 추출하는 것을 일 예로 하였으나, 요청 수신부(110)에 통신 단말기(200)의 연락처 전송 요청 신호가 수신된 경우 데이터 추출부(150)는 그 연락처 전송 요청 신호에 포함된 통신 단말기(200)의 장치 정보에 부합하는 개수의 연락처 리스트를 연락처 데이터베이스부(172)로부터 추출할 수도 있고, 이때 기 매칭된 장치 정보를 함께 추출할 수도 있으며, 특정 문자와 숫자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부합하는 연락처 리스트를 추출할 수도 있다.
포맷 변경부(160)는 데이터 추출부(150)에서 추출한 통신 이력 정보 또는 연락처 리스트를 기 설정된 포맷으로 변경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예를 들어 포맷 변경부(160)는 추출된 통신 이력 정보 또는 연락처 리스트를 기 설정된 마크업데이터(즉, 마크업 언어로 작성된 것으로서 예를 들어 특정 포맷에 맞게 생성된 웹 페이지)로 변환할 수 있다.
이렇게 동일한 통신 이력 정보나 연락처 리스트가 마크업데이터와 같이 동일한 포맷으로 변경되어 제공되면, 예를 들어 마크업데이터를 처리할 수 있는 브라우징 어플리케이션을 구비한 모든 통신 단말기에서 통신 이력 정보나 연락처 리스트를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이때, 포맷 변경부(160)는 통신 단말기(200)의 자동 인증 등록 여부에 따라 구별되는 마크업데이터를 생성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자동 인증 등록된 통신 단말기(200)에 대해서는 통신 이력 정보 또는 연락처 리스트 등의 저장을 허용하는 마크업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고, 자동 인증으로 등록되지 않은 통신 단말기(200)에 대해서는 통신 이력 정보 또는 연락처 리스트 등의 저장을 허용하지 않는 마크업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다.
여기서 인증처리를 수행한다는 것은 예를 들어 통신 단말기(200)에 세션 연결 유지를 위한 인증키를 발급하는 것을 의미하고, 이 경우 통신 단말기(200)는 소정의 요청 신호(통신 이력 등록 요청 신호, 통신 이력 전송 요청 신호, 연락처 등록 요청 신호, 연락처 전송 요청 신호 등)를 클라우드 서버(100)에 전송할 때마다 기 발급받은 인증키를 포함시켜 전송하게 된다.
전송부(120)는 데이터 추출부(150)에서 추출된 통신 이력 정보 또는 연락처 리스트를 통신 단말기(200)로 전송하는데, 앞서 포맷 변경부(160)에서 통신 이력 정보와 연락처 리스트가 마크업데이터로 변환된 경우에는 그 변환된 마크업데이터를 전송한다.
전송부(120)는 데이터 추출부(150)에서 추출된 통신 이력 정보나 연락처 리스트 각각에 대해서 매칭된 장치 정보가 있는 경우에는 그 매칭되는 장치 정보도 함께 통신 단말기(200)로 전송할 수 있다.
이에 따라 통신 단말기(200) 사용자는 각기 다른 통신 단말기(200)를 이용한 통신 이력을 일괄적으로 확인할 수 있게 된다. 예를 들어 통신 단말기(200) 사용자는 현재 이동통신 단말기(200)를 사용하고 있는 경우라도 자신이 팩스나 공용 전화기를 그 이전에 사용한 적이 있다면, 그 팩스나 공용 전화기에 대한 통신 이력(이동통신 단말기의 통신 이력은 물론이고)도 일괄적으로 확인할 수 있는 것이다.
즉, 사용자는 자신이 상대방과 어떠한 단말기를 이용하여 통신하였는지도 확인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상술한 클라우드 서버(100)와 통신하는 통신 단말기(200)의 기능 블록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다.
동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통신 단말기(200)는 사용자 입력부(210), 등록 요청부(220), 이벤트 감지부(250), 정보 생성부(260), 정보 요청부(230), 수신 데이터 처리부(240), 디스플레이부(27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우선, 사용자 입력부(210)는 사용자가 조작하여 명령을 내릴 수 있도록 하는 것으로서 예를 들어 적어도 하나의 키 버튼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고, 디스플레이부(270)는 통신 단말기(200) 사용자에게 소정 정보를 알리는 것으로서 예를 들어 전력소모가 적은 LCD(Liquid Crystal Display)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이벤트 감지부(250)는 통신 이벤트를 감지하는 기능을 수행하는데, 여기서 통신 이벤트에는 발신 통신과 착신 통신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대응되는 이벤트일 수 있다.
예를 들어 통신 단말기(200)가 통화가 가능한 이동통신 단말기(200)인 경우, 이벤트 감지부(250)는 상대방으로부터 전화가 걸려오는 경우 착신 통화에 따른 이벤트를 감지할 수 있고, 반대로 상대방에 전화를 거는 경우 발신 통화에 따른 이벤트를 감지할 수 있다.
여기서 이벤트 감지 시점은 반드시 발신 시점 또는 착신 시점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므로, 예를 들어 이벤트 감지부(250)는 발신 통화에 따른 통화가 종료되는 시점에 발신 통화에 따른 이벤트를 감지할 수도 있다.
정보 생성부(260)는 이벤트 감지부(250)에서 통신 이벤트가 감지된 시점에 통신 상대 단말기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통신 이력 정보를 생성한다.
예를 들어 발신 통화에 따른 통화가 종료되는 시점에 정보 생성부(260)는 발신 통화가 이루어진 상대 단말기 정보와 시간 등에 관한 정보를 포함하는 통신 이력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즉, 정보 생성부(260)는 다른 단말기와의 통신에 따라 실시간 생성되는 통신 이력 정보 등이 클라우드 서버(100)에 등록될 수 있도록 통신 이벤트가 감지될 때마다 해당하는 통신 이력 정보 등을 생성하는 것이다.
등록 요청부(220)는 정보 생성부(260)에서 생성된 통신 이력 정보를 포함하는 통신 이력 등록 요청 신호를 클라우드 서버(100)에 전송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또한, 등록 요청부(220)는 사용자 입력부(210)를 통해 사용자에 의해 연락처 등록 명령이 입력되면 연락처 데이터를 포함하는 연락처 등록 요청 신호를 클라우드 서버(100)에 전송할 수도 있다.
즉, 등록 요청부(220)는 특정 이벤트에 따라 생성되는 정보는 물론이고 사용자에 의해 수동 입력되는 정보의 등록을 클라우드 서버(100)에 요청할 수 있는 것이다.
정보 요청부(230)는 사용자 입력부(210)를 통해 통신 이력 정보 확인 명령이 수신되면 클라우드 서버(100)에 통신 이력 정보를 요청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물론, 정보 요청부(230)는 사용자 입력부(210)를 통해 연락처 확인 명령이 수신되면 클라우드 서버(100)에 연락처 전송을 요청할 수도 있다.
수신 데이터 처리부(240)는 클라우드 서버(100)로부터 통신 이력 정보 또는 연락처 리스트를 포함하는 응답 신호가 수신되면 그 통신 이력 정보 또는 연락처 리스트가 디스플레이부(270)에 표시되도록 제어하는데, 이때 응답 신호에 포함된 저장 옵션에 따라 그 수신된 통신 이력 정보 또는 연락처 리스트의 로컬 저장 여부를 판단하여 처리할 수 있다.
즉,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클라우드 서버(100)는 통신 단말기(200)의 자동 인증 등록 여부에 따라 구별되는 즉, 서로 다른 종류의 마크업데이터를 생성하여 응답신호로써 전송할 수 있는데, 통신 단말기(200)는 그 응답 신호로써 통신 이력 정보 또는 연락처 리스트 등의 저장을 허용하는 마크업데이터를 수신한 경우에는 통신 이력 정보 또는 연락처 리스트의 로컬 저장을 수행하고, 통신 이력 정보 또는 연락처 리스트 등의 저장을 허용하지 않는 마크업데이터를 수신한 경우에는 통신 이력 정보 또는 연락처 리스트의 로컬 저장을 수행하지 않는다.
여기서 로컬 저장 여부에 대한 정보는 마크업데이터의 전송 헤더 영역에 포함될 수도 있고, 또는 바디 영역에 소정의 마크업 태그를 이용하여 포함될 수도 있다. HTTP(HyperText Transfer Protocol)를 이용하는 경우와 같이 마크업데이터의 전송 헤더 영역에 소정 정보를 포함시키는 것과, 마크업 태그를 이용하여 마크업데이터 바디 영역에 소정 정보를 포함시키는 것은 기 공지된 기술에 불과하므로 보다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즉, 본 실시예에서 언급하는 마크업태그는 특정 데이터에 대한 통신 단말기(200)의 로컬 저장 허용 여부를 지정하는 기능도 수행할 수 있는데, 예를 들어 본 실시예의 마크업태그는 HTML5(Hyper Text Markup Language 5)의 규격을 따르는 것일 수 있다. HTML5는 웹 문서를 만들기 위한 기본 프로그래밍 언어인 ‘HTML(Hyper Text Markup Language)’의 최신규격으로서 단말기의 능동적 기능에 해당하는 엑티브X(Active X), 플래시(flash), 실버라이트(Silverlight), 자바FX(JAVA FX) 등의 기능을 대체하는 다양한 기능이 추가된 마크업언어이다.
상술한 구성은 기능적인 구분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실제 구현은 어플리케이션 간의 통신에 의해 이루어질 수 있다.
예를 들어 발신용 어플리케이션과, 착신용 어플리케이션과, 마크업데이터의 요청 및 처리를 수행하는 브라우징 어플리케이션이 통신 단말기(200)에 구비된 경우, 브라우징 어플리케이션이 발신용 어플리케이션 및 착신용 어플리케이션과 통신함으로써 상술한 통신 단말기(200)의 기능이 수행될 수 있는 것이다.
발신용 어플리케이션의 동작에 따라 호 발신이 이루어지는 경우 브라우징 어플리케이션은 발신용 어플리케이션과의 통신에 의해 발신 상대 단말기의 정보를 수신하고, 그 수신된 정보가 클라우드 서버(100)에 실시간 등록될 수 있도록 요청하며, 그렇게 등록/갱신된 통신 이력 정보(예를 들어 마크업데이터 형식의 정보)를 클라우드 서버(100)로부터 수신하여 파싱 및 렌더링 처리 후 표시할 수도 있다.
이러한 과정은 착신의 경우에도 마찬가지이다.
또한 브라우징 어플리케이션에 의해 디스플레이부(270)에 표시된 목록 중 사용자에 의해 상대 단말이 선택되는 경우에도 브라우징 어플리케이션과 발신용 어플리케이션의 상호 연동에 의해 그 선택된 발신 단말로 호 연결이 요청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이하에서는 도 4를 참조하여 클라우드 서버(100)에서 통신 단말기(200)에 대한 인증 처리가 이루어지는 과정에 대해서 설명한다.
클라우드 서버(100)는 통신 단말기(200)의 요청 신호에 인증키가 있는지 여부를 확인한다(단계 S1). 여기서 인증키는 클라우드 서버(100)가 발급하는 것으로서 통신 단말기(200)는 인증키를 기 발급받은 경우에는 특정 조건이 만족하는 한 그 발급받은 인증키를 저장하고, 각종 요청시 그 저장된 인증키를 해당 요청 신호에 포함시켜 전송한다.
이때 특정 조건이 만족한다는 것은 예를 들어 통신 단말기(200)가 폴더형 이동통신 단말기(200)인 경우에는 폴더가 열린 후부터 닫히기 전까지를 의미할 수도 있다.
즉, 폴더형 이동통신 단말기(200)는 클라우드 서버(100)로부터 인증키를 발급받은 상태에서는 폴더가 닫히기 전까지는 그 발급받은 인증키 값을 유지하고, 폴더가 닫히는 경우에는 그 발급받은 인증키를 삭제할 수 있다. 따라서 폴더가 닫히기 전까지 폴더형 이동통신 단말기(200)는 인증키를 포함하는 요청 신호를 클라우드 서버(100)에 전송할 수 있지만 폴더가 닫혔다가 다시 열린 경우에는 인증키가 삭제된 상태이므로 폴더형 이동통신 단말기(200)는 인증키를 포함하지 않는 요청 신호를 클라우드 서버(100)에 전송하는 것이다.
다른 예로써 통신 단말기(200)는 배터리를 제거하거나 파워가 종료되기 전까지는 발급받은 인증키 값을 유지할 수도 있다.
통신 단말기(200)의 요청 신호에 인증키가 포함되어 있는 경우(단계 S1) 클라우드 서버(100)는 해당 요청에 따른 처리를 수행하고(단계 S21), 통신 단말기(200)의 요청 신호에 인증키가 포함되어 있지 않은 경우(단계 S1) 클라우드 서버(100)는 통신 단말기(200)가 기 등록된 디바이스인지 여부를 판단한다(단계 S3).
판단결과 통신 단말기(200)가 등록된 디바이스가 아닌 경우(단계 S3), 클라우드 서버(100)는 통신 단말기(200)에 사용자 인증 및 자동 로그인 여부 설정을 요청한다(단계 S13).
여기서 사용자 인증의 요청은 통신 단말기(200) 사용자에게 인증을 위한 소정 정보의 입력을 요청하는 것으로서, 인증을 위한 소정 정보에는 예를 들어 사용자의 주민등록 번호나 패스워드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즉, 통신 단말기(200) 사용자는 클라우드 서버(100)로부터 사용자 인증 요청이 수신되면 자신의 주민등록 번호나 패스워드 등 개인 정보를 입력하여 전송해야 하는 것이다.
또한, 클라우드 서버(100)는 통신 단말기(200) 사용자에게 현재 연결된 통신 단말기(200)에 대해 자동 로그인을 설정할 것인지를 선택하도록 요청할 수 있는데, 이때 통신 단말기(200) 사용자는 자신의 개인 정보를 입력함과 아울러 자동 로그인 여부를 선택할 수 있다.
클라우드 서버(100)의 사용자 인증 요청과 자동 로그인 여부 선택 요청이 동시에 이루어지지 않고 순차적으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클라우드 서버(100)는 사용자가 입력한 인증 정보와 기 저장된 고객 정보 등을 비교하여 일치하는 경우 즉, 사용자가 정상 인증된 경우(단계 S15)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자동 로그인 여부 정보와 함께 통신 단말기(200)를 등록하고(단계 S17), 인증키를 통신 단말기(200)에 발급한다(단계 S19).
만일 기 저장된 고객 정보와 사용자가 입력한 인증 정보가 일치하지 않는 경우, 즉, 사용자 인증이 정상적으로 이루어지지 않은 경우(단계 S15) 클라우드 서버(100)는 에러처리를 수행 하는데(단계 S11), 이러한 에러처리에는 에러메시지의 전송이 포함될 수 있다.
한편, S3 단계에서 클라우드 서버(100)는 통신 단말기(200)가 등록된 단말기에 해당하는 경우에는 그 통신 단말기(200)에 대해 자동 로그인이 설정되어 있는지 여부를 판단한다(단계 S5).
판단결과 자동 로그인이 설정되지 않은 경우에는(단계 S5) 앞서 통신 단말기(200)를 새로 등록하는 경우와 마찬가지로 사용자 인증을 요청하고(단계 S7), 사용자가 입력하는 인증 정보에 따라 사용자에 대한 정상 인증처리가 이루어진 경우에는(단계 S9) 통신 단말기(200)에 인증키를 발급하며(단계 S19), 정상 인증처리가 이루어지지 않은 경우에는(단계 S9) 에러처리를 수행한다(단계 S11).
한편, S5 단계의 판단결과 통신 단말기(200)에 대해 자동 로그인이 설정된 경우 클라우드 서버(100)는 별도의 사용자 인증을 요청하지 않고 자동으로 통신 단말기(200)에 인증키를 발급한다(단계 S19).
인증키가 발급된 후 통신 단말기(200)는 인증키를 포함하는 요청 신호를 클라우드 서버(100)에 전송할 수 있고, 클라우드 서버(100)는 인증키를 포함한 요청에 대한 처리를 수행할 수 있다(단계 S21).
여기서 통신 단말기(200)의 요청에는 통신 이력 등록, 통신 이력 전송, 연락처 등록, 연락처 전송, 검색 요청, 단말기 등록 정보 갱신 요청 등이 포함될 수 있다. 단말기 등록 정보 갱신 요청은 기 저장된 단말기를 삭제하거나 또는 자동 로그인 설정을 변경하기 위한 요청일 수 있다.
이처럼 클라우드 서버(100)에 통신 단말기(200) 별로 자동 로그인 등을 설정하는 것은 여러 개의 통신 단말기(200)를 이용하는 고객으로 하여금 각각의 통신 단말기(200) 별로 설정을 달리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과정이다.
예를 들어 클라우드 서버(100)에는 각 고객의 통신 이력과 연락처 등의 데이터가 저장될 수 있고, 고객은 어떠한 통신 단말기(200)를 이용하든 통신 이력 및 연락처를 등록하거나 확인할 수 있어야 하는데, 이 경우 공용으로 사용되는 통신 단말기(가정내에 구비된 전화기 등)기에 대해서는 자동 로그인을 설정하지 않음으로써 타인이 자신의 통신 이력이나 연락처를 별도의 인증과정 없이 확인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또한 개인적으로 사용하는 통신 단말기(개인 보유 이동통신 단말기 등)에 대해서는 자동 로그인을 설정함으로써 매 통화시 발생하는 통신 이력을 클라우드 서버(100)에 등록하기 위해 매번 인증 정보를 입력해야 하는 번거로움을 피할 수 있다.
도 5 및 도 7은 상술한 통신 단말기(200)의 여러 요청이 이루어지는 과정에 대한 설명을 위한 도면이다.
먼저 도 5는 발신 통화의 경우 통신 단말기(200)가 발신 이력 정보가 클라우드 서버(100)에 전송되는 과정을 나타내고 있다.
즉, 발신 통화가 이루어지는 경우(단계 S31), 통신 단말기(200)는 상대방 번호를 임시 저장하고(단계 S33), 해당 통화가 종료되는 시점(즉, 통신 종료 이벤트가 감지되는 시점)에(단계 S35) 기 저장된 상대방 전화번호를 포함하는 발신 이력 정보를 생성한다(단계 S37). 이러한 발신 이력 정보에는 통신 단말기(200)의 전화번호 또는 장치 번호 등이 더 포함될 수 있다.
통신 단말기(200)는 생성된 발신 이력 정보를 포함하는 통신 이력 등록 요청 신호를 클라우드 서버(100)에 전송한다(단계 S39).
클라우드 서버(100)가 웹 서버인 경우 통신 단말기(200)는 통신 이력 등록 요청 신호를 HTTP의 GET 형식으로 전송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통신 이력 등록 요청 신호는 "http://cloudeserver.com/write.do?my_no=01080801111&other_no=01080802222&send_or_receive=s&device_model=LG-ABC"의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여기서 my_no는 통신 단말기(200)의 전화번호이고, other_no는 상대방 전화번호이며, send_or_receive는 착신 또는 발신 여부를 나타내는 것이고, device_model은 통신 단말기(200)의 모델 번호를 의미한다.
이에 따라 클라우드 서버(100)에 저장되는 테이블의 일 예는 도 6에 도시되었다.
도 6에서 '계정' 필드는 통신 단말기(200) 사용자를 특정하기 위한 정보이고, '내 정보'필드는 사용자가 이용한 통신 단말기(200)의 전화번호를 나타내고, '상대방 번호'필드는 통신 이루어진 상대방 전화번호를 나타내며, '발신/착신 여부' 필드는 상대방과 이루어진 통화가 발신 통화인지 착신 통화인지를 나타내며, '통화 일시' 필드는 상대방과 이루어진 통화(발신이든 착신이든)에 대한 날짜와 시간을 나타내며 '단말 모델'필드는 통신 단말기(200)의 단말 모델로서 일종의 통신 단말기(200) 장치 번호에 해당할 수 있다.
도 6을 참조하면 동일한 상대방에 대해서도 각기 다른 통신 단말기(200)를 이용하여 발신 또는 착신이 이루어졌음을 알 수 있다.
통신 단말기(200)는 통신 이력 등록 요청 신호의 전송시 앞서 설명한 인증키를 발급받은 상태라면 통신 이력 등록 요청 신호에 인증키를 포함하여 전송할 수 있다.
인증키를 발급받지 않은 상태라면 통신 단말기(200)는 인증키를 요청하는 요청신호를 클라우드 서버(100)에 전송한 후 인증키를 발급받은 후에 인증키를 포함하는 통신 이력 등록 요청 신호를 전송할 수도 있고, 또는 인증키를 포함하지 않는 통신 이력 등록 요청 신호를 클라우드 서버(100)에 전송한 후 인증 과정(예를 들어 인증 정보 입력 과정)을 거칠 수도 있다.
도 7은 통신 단말기(200) 사용자가 클라우드 서버(100)로부터 수신된 연락처 데이터에서 어느 하나를 선택하는 경우 통신 단말기(200)에서 발신처리가 수행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서, 통신 단말기(200)의 기능이 호 처리 어플리케이션과 브라우징 어플리케이션에 의해 구분되는 것을 전제로하여 설명하고 있다.
우선 브라우징 어플리케이션은 클라우드 서버(100)에 연락처 데이터를 요청 및 수신하고(단계 S41), 마크업데이터로 이루어진 연락처 데이터를 파싱 및 렌더링 처리하여 표시한다(단계 S43).
통신 단말기(200) 사용자는 표시된 연락처 데이터에서 특정 상대방(또는 그 상대방의 전화번호)을 선택할 수 있는데, 이를 감지한(단계 S45) 통신 단말기(200)는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전화번호를 호 처리 어플리케이션에 전송한다(단계 S47).
이에 따라 호 처리 어플리케이션은 브라우징 어플리케이션으로부터 전달된 전화번호를 이용하여 발신 처리를 수행한다(단계 S49).
한편, 브라우징 어플리케이션은 연락처 데이터에 포함된 옵션에 따라 연락처 데이터를 로컬 저장하거나 삭제할 수 있다(단계 S51). 예를 들어 클라우드 서버(100)는 자동 로그인으로 설정된 통신 단말기(200)로부터 연락처 데이터 전송 요청이 있는 경우, 로컬 저장을 허용한다는 정보를 포함하는 연락처 데이터를 통신 단말기(200)에 전송할 수 있고, 이 경우 통신 단말기(200)는 연락처 데이터의 사용 후 삭제하지 않고 로컬(즉, 통신 단말기(200) 내)에 저장해 놓을 수 있는 것이다.
다음으로, 통신 단말기(200)의 요청에 따라 클라우드 서버(100)에서 이루어지는 제어과정을 도 8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통신 단말기(200)로부터 통신 이력 등록 요청을 수신한(단계 S71) 클라우드 서버(100)는 해당 통신 단말기(200) 정보와 매칭시켜 통신 이력을 등록한다(단계 S73). 이렇게 통신 이력과 통신 단말기(200) 정보를 매칭시키는 이유는 동일한 사용자라 하더라도 다른 통신 단말기(200)를 이용하여 클라우드 서버(100)에 통신 이력 등록을 요청할 수 있기 때문이다.
이후, 클라우드 서버(100)는 통신 단말기(200)로부터 통신 이력 전송 요청 신호가 수신되면(단계 S75), 해당 통신 단말기(200)의 장치 정보를 확인하고(이러한 통신 단말기(200)의 장치 정보는 통신 이력 전송 요청 신호에 포함될 수 있음.)(단계 S77), 확인된 통신 단말기(200)의 장치 정보에 부합하는 개수의 통신 이력 정보를 추출한다(단계 S79). 이때 클라우드 서버(100)는 각 통신 이력에 매칭되어 저장된 통신 단말기(200) 장치 정보를 함께 추출할 수 있고, 이렇게 추출된 각 통신 단말기(200) 장치 정보에 매칭된 통신 이력 정보를 통신 단말기(200)에 전송한다(단계 S81).
상술한 바와 같이 클라우드 서버(100)가 각 통신 단말기(200)의 장치 정보에 부합하는 개수의 통신 이력 정보를 추출하기 위해서는 각 통신 단말기(200)의 장치 정보와 데이터(예를 들어 통신 이력 등) 추출 개수가 서로 매칭되어 클라우드 서버(100)에 기 저장되어 있어야 한다.
즉, 각 통신 단말기(200) 별로 한 번에 표시될 수 있는 데이터 양이 정해질 수 있는데, 그 한 번에 표시될 수 있는 양보다 더 많은 데이터가 한꺼번에 클라우드 서버(100)로부터 통신 단말기(200)로 전송되는 것은 불필요한 네트워크 자원 낭비를 초래하는 것이 되고, 이처럼 각 통신 단말기(200)에 부합되는 데이터만을 추출하여 전송하게 되면 상술한 네트워크 자원 낭비를 최소화할 수 있음은 물론이고 클라우드 서버(100)의 부하도 경감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특정 통신 단말기(200)에 대해 저장된 통신 이력이 100개이지만 그 통신 단말기(200)가 한 번에 표시될 수 있는 통신 이력이 10개인 경우, 클라우드 서버(100)는 한 번에 10 개의 통신 이력만을 추출하여 통신 단말기(200)에 전송할 수 있는 것이다. 필요시 통신 단말기(200)의 10회의 순차 요청에 따라 클라우드 서버(100)는 각 요청마다 10개씩 총 100 개의 통신 이력을 통신 단말기(200)에 순차적으로 전송할 수도 있다.
한편, 본 발명은 상기한 특정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로 변형 및 수정하여 실시할 수 있는 것이다. 이러한 변형 및 수정이 첨부되는 특허청구범위에 속한다면 본 발명에 포함된다는 것은 자명할 것이다.
100 : 클라우드 서버 200 : 통신 단말기
110 : 요청 수신부 120 : 전송부
130 : 인증 처리부 140 : 등록부
150 : 데이터 추출부 160 : 포맷 변경부
170 : 데이터베이스부 171 : 통신 이력 데이터베이스부
172 : 연락처 데이터베이스부 173 : 사용자/단말기 데이터베이스부
210 : 사용자 입력부 220 : 등록 요청부
230 : 정보 요청부 240 : 수신 데이터 처리부
250 : 이벤트 감지부 260 : 정보 생성부
270 : 디스플레이부

Claims (18)

  1. 통신 단말기로부터 통신 이력 등록 요청 신호 및 통신 이력 전송 요청 신호를 수신하는 요청 수신부와;
    상기 요청 수신부에 수신되는 통신 이력 등록 요청 신호에 따라, 상기 통신 이력 등록 요청 신호에서 통신 이력 정보를 추출하여 통신 이력 데이터베이스부에 추가 등록하는 등록부와;
    상기 요청 수신부에 수신되는 통신 이력 전송 요청 신호에 따라, 상기 통신 이력 전송 요청 신호에 포함된 상기 통신 단말기의 장치 정보에 부합하는 개수의 통신 이력 정보를 상기 통신 이력 데이터베이스부로부터 추출하는 데이터 추출부와;
    상기 데이터 추출부에서 추출된 통신 이력 정보를 상기 통신 단말기로 전송하는 전송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클라우드 서버.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등록부는 통신 이력 등록을 요청한 통신 단말기의 장치 정보를 상기 통신 이력 정보에 매칭시켜 상기 통신 이력 데이터베이스부에 등록하고,
    상기 데이터 추출부는 상기 통신 이력 데이터베이스부로부터 통신 이력 정보를 추출할 때 각 통신 이력 정보에 매칭된 장치 정보를 함께 추출하며,
    상기 전송부는 상기 데이터 추출부에서 추출된 통신 이력 정보를 각 통신 이력 정보에 매칭된 장치 정보와 함께 상기 통신 단말기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클라우드 서버.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등록부는 상기 통신 단말기의 연락처 등록 요청 신호에 포함된 상대 단말의 연락처 데이터를 연락처 데이터베이스부에 추가 등록하고,
    상기 데이터 추출부는 상기 요청 수신부에 상기 통신 단말기의 연락처 전송 요청 신호가 수신된 경우, 상기 연락처 전송 요청 신호에 포함된 상기 통신 단말기의 장치 정보에 부합하는 개수의 연락처 리스트를 상기 연락처 데이터베이스부로부터 추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클라우드 서버.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요청 수신부는 상기 통신 단말기로부터 특정 문자와 숫자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검색 요청 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데이터 추출부는 상기 검색 요청 신호에 포함된 상기 특정 문자와 숫자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부합하는 통신 이력 정보를 상기 통신 이력 데이터베이스부로부터 추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클라우드 서버.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 추출부에서 추출한 통신 이력 정보를 기 설정된 포맷으로 변경하는 포맷 변경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전송부는 상기 포맷 변경부에서 변경된 통신 이력 정보를 상기 통신 단말기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클라우드 서버.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등록부는 상기 통신 단말기로부터 상기 요청 수신부에 수신되는 단말기 등록 요청 신호에 따라, 상기 통신 단말기의 장치 정보 및 자동 인증 여부 선택 정보를 매칭시켜 사용자/단말기 데이터베이스부에 저장하고,
    상기 통신 이력 전송 요청 신호를 전송하는 통신 단말기에 대한 인증 처리를 수행하되, 상기 사용자/단말기 데이터베이스부에 저장된 정보를 기초로 판단한 결과 상기 통신 이력 전송 요청 신호를 전송한 통신 단말기에 대해 자동 인증이 설정되어 있는 경우 자동 인증 처리를 수행하는 인증 처리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클라우드 서버.
  7. 통신 이벤트를 감지하는 이벤트 감지부와;
    상기 이벤트 감지부에서 통신 이벤트가 감지된 시점에 통신 상대 단말기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통신 이력 정보를 생성하는 정보 생성부와;
    상기 정보 생성부에서 생성된 통신 이력 정보를 포함하는 통신 이력 등록 요청 신호를 클라우드 서버에 전송하는 등록 요청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단말기.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 이벤트는 발신 통신과 착신 통신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대응되는 이벤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단말기.
  9. 제7항에 있어서,
    사용자 입력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등록 요청부는 상기 사용자 입력부를 통해 연락처 등록 명령이 입력되면 연락처 데이터를 포함하는 연락처 등록 요청 신호를 상기 클라우드 서버에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단말기.
  10. 제7항에 있어서,
    사용자 입력부와;
    디스플레이부와;
    상기 사용자 입력부를 통해 통신 이력 정보 확인 명령이 수신되면, 상기 클라우드 서버에 통신 이력 정보를 요청하는 정보 요청부와;
    상기 클라우드 서버로부터 통신 이력 정보를 포함하는 응답신호가 수신되면 상기 통신 이력 정보가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표시되도록 제어하고, 상기 응답 신호에 포함된 저장 옵션에 따라 상기 수신된 통신 이력 정보의 로컬 저장 여부를 판단하여 처리하는 수신 데이터 처리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단말기.
  11. (a) 상기 통신 단말기로부터 통신 이력 전송 요청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와;
    (b) 상기 수신되는 통신 이력 전송 요청 신호에 포함된 상기 통신 단말기의 장치 정보에 부합하는 개수의 통신 이력 정보를 기 저장된 데이터로부터 추출하는 단계와;
    (c) 상기 추출된 통신 이력 정보를 상기 통신 단말기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클라우드 서버의 제어방법.
  12. 제11항에 있어서,
    (d) 통신 단말기로부터 통신 이력 등록 요청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와;
    (e) 상기 수신되는 통신 이력 등록 요청 신호에서 통신 이력 정보를 추출하여 추가 등록 및 저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e) 단계에서는, 통신 이력 등록을 요청한 통신 단말기의 장치 정보를 상기 통신 이력 정보에 매칭시켜 저장하고,
    상기 (b) 단계에서는, 기 저장된 데이터로부터 통신 이력 정보를 추출할 때 각 통신 이력 정보에 매칭된 장치 정보를 함께 추출하며,
    상기 (c) 단계에서는 상기 추출된 통신 이력 정보를 각 통신 이력 정보에 매칭된 장치 정보와 함께 상기 통신 단말기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클라우드 서버의 제어방법.
  13.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 단말기로부터 특정 문자와 숫자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검색 요청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와;
    상기 검색 요청 신호에 포함된 상기 특정 문자와 숫자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부합하는 통신 이력 정보를 기 저장된 데이터로부터 추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클라우드 서버의 제어방법.
  14.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b) 단계에서 추출한 통신 이력 정보를 기 설정된 포맷으로 변경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c) 단계에서는 상기 포맷 변경된 통신 이력 정보를 상기 통신 단말기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클라우드 서버의 제어방법.
  15.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 단말기로부터 수신되는 단말기 등록 요청 신호에 따라, 상기 통신 단말기의 장치 정보 및 자동 인증 여부 선택 정보를 매칭시켜 저장하는 단계와;
    상기 통신 이력 전송 요청 신호를 전송하는 통신 단말기에 대한 인증 처리를 수행하되, 기 저장된 정보를 기초로 판단한 결과 상기 통신 이력 전송 요청 신호를 전송한 통신 단말기에 대해 자동 인증이 설정되어 있는 경우 자동 인증 처리를 수행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클라우드 서버의 제어방법.
  16. 통신 이벤트를 감지하는 단계와;
    상기 통신 이벤트가 감지된 시점에 통신 상대 단말기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통신 이력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와;
    상기 생성된 통신 이력 정보를 포함하는 통신 이력 등록 요청 신호를 클라우드 서버에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단말기의 제어방법.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 이벤트는 발신 통신과 착신 통신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대응되는 이벤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단말기의 제어방법.
  18. 제16항에 있어서,
    사용자로부터 통신 이력 정보 확인 명령이 입력되면, 상기 클라우드 서버에 통신 이력 정보를 요청하는 단계와;
    상기 클라우드 서버로부터 통신 이력 정보를 포함하는 응답신호가 수신되면 상기 통신 이력 정보를 표시하고, 상기 응답 신호에 포함된 저장 옵션에 따라 상기 수신된 통신 이력 정보의 로컬 저장 여부를 판단하여 처리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단말기의 제어방법.
KR1020110001833A 2011-01-07 2011-01-07 통화 이력 및 연락처 데이터의 연동을 위한 클라우드 서버 및 통신 단말기와 그들의 제어방법 KR20120080398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01833A KR20120080398A (ko) 2011-01-07 2011-01-07 통화 이력 및 연락처 데이터의 연동을 위한 클라우드 서버 및 통신 단말기와 그들의 제어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01833A KR20120080398A (ko) 2011-01-07 2011-01-07 통화 이력 및 연락처 데이터의 연동을 위한 클라우드 서버 및 통신 단말기와 그들의 제어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80398A true KR20120080398A (ko) 2012-07-17

Family

ID=4671301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01833A KR20120080398A (ko) 2011-01-07 2011-01-07 통화 이력 및 연락처 데이터의 연동을 위한 클라우드 서버 및 통신 단말기와 그들의 제어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20080398A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40031715A (ko) * 2012-09-05 2014-03-13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 및 그것을 이용한 클라우드 시스템
KR101440419B1 (ko) * 2012-12-28 2014-09-17 세종대학교산학협력단 전자금융서비스 상호 모니터링 시스템 및 방법
KR20150022441A (ko) * 2013-08-23 2015-03-04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Nfc를 이용한 운전자 연락 장치 및 그 방법
WO2015186873A1 (ko) * 2014-06-02 2015-12-10 현대엠엔소프트 주식회사 스마트폰의 사용 로그를 수집하여 연락처 그룹 정보를 생성하기 위한 그룹 정보 서버의 운영방법
US10911611B2 (en) 2017-09-29 2021-02-02 Hewlett-Packard Development Company, L.P. Transmitting fax document by using cloud server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40031715A (ko) * 2012-09-05 2014-03-13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 및 그것을 이용한 클라우드 시스템
KR101440419B1 (ko) * 2012-12-28 2014-09-17 세종대학교산학협력단 전자금융서비스 상호 모니터링 시스템 및 방법
KR20150022441A (ko) * 2013-08-23 2015-03-04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Nfc를 이용한 운전자 연락 장치 및 그 방법
WO2015186873A1 (ko) * 2014-06-02 2015-12-10 현대엠엔소프트 주식회사 스마트폰의 사용 로그를 수집하여 연락처 그룹 정보를 생성하기 위한 그룹 정보 서버의 운영방법
KR20150139121A (ko) * 2014-06-02 2015-12-11 현대엠엔소프트 주식회사 스마트폰의 사용 로그를 수집하여 연락처 그룹 정보를 생성하기 위한 그룹 정보 서버의 운영방법
US10911611B2 (en) 2017-09-29 2021-02-02 Hewlett-Packard Development Company, L.P. Transmitting fax document by using cloud server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436943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managing telephone number, and computer product
CN101730999B (zh) 用于在通信设备之间共享公共位置相关信息的系统、方法及设备
CN102272721A (zh) 移动通信设备
CN106576128A (zh) 用于增强交互式视听通信期间的用户体验的系统和方法
KR100822161B1 (ko) 단말기 전화번호를 포함하는 통합 아이디를 이용한 로그인처리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KR20120080398A (ko) 통화 이력 및 연락처 데이터의 연동을 위한 클라우드 서버 및 통신 단말기와 그들의 제어방법
CN101669354A (zh) 用于通信设备之间基于事件的信息同步的方法和装置
JP6113139B2 (ja) 携帯通信端末搭載プログラムを用いた携帯通信端末間の遠隔制御方法
KR101973531B1 (ko) 복수의 클라이언트 간의 어플리케이션 자동 공유 방법 및 장치
JP2013247427A (ja) 発呼支援装置、プログラム、および方法
KR101462121B1 (ko) 이종망 연동 데이터 전송시스템 및 그 방법
KR20140140319A (ko) 스마트폰을 이용한 전자카드 전송방법
JP5170224B2 (ja) 電話転送システム及び方法
CN111447236B (zh) 基于区块链的通信鉴权方法、装置、终端设备和存储介质
JP5009241B2 (ja) 通信接続制御装置、通信接続方法、通信サービスシステム、及びプログラム
CN103718168A (zh) 用于激活移动设备以便发起通信的系统和方法
JP5947156B2 (ja) 音声ガイダンスサーバ、音声ガイダンス方法、音声ガイダンスプログラム、音声ガイダンスシステム
KR101514294B1 (ko) 발신자정보 안내 방법
WO2014174518A1 (en) A url transmission system and means thereof
KR100830705B1 (ko) 개방형서비스 기술을 이용한 자동전화걸기 포털시스템 및이를 이용한 자동전화걸기서비스방법
KR20130022169A (ko) 개인 홈페이지를 이용한 전화 연결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장치
KR100978560B1 (ko) 개방형 지도정보를 이용한 개방형 통화시스템 및 운영방법
US20160119785A1 (en) System and method for managing posts
TW201840174A (zh) 同時提供客服電話及多元內容存取的系統及方法
JP2005332198A (ja) サーバ装置、コメント処理プログラム、コメント処理システムおよびコメント処理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DECISION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REQUESTED 20130111

Effective date: 2014022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