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080343A - 유조선의 기름유출방지구조 - Google Patents

유조선의 기름유출방지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080343A
KR20120080343A KR1020110001734A KR20110001734A KR20120080343A KR 20120080343 A KR20120080343 A KR 20120080343A KR 1020110001734 A KR1020110001734 A KR 1020110001734A KR 20110001734 A KR20110001734 A KR 20110001734A KR 20120080343 A KR20120080343 A KR 2012008034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anker
tank
oil
hull
inner tan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0173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조영근
Original Assignee
조영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조영근 filed Critical 조영근
Priority to KR1020110001734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20080343A/ko
Publication of KR2012008034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80343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25/00Load-accommodating arrangements, e.g. stowing, trimming; Vessels characterised thereby
    • B63B25/02Load-accommodating arrangements, e.g. stowing, trimming; Vessels characterised thereby for bulk goods
    • B63B25/08Load-accommodating arrangements, e.g. stowing, trimming; Vessels characterised thereby for bulk goods fluid
    • B63B25/082Arrangements for minimizing pollution by accid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11/00Interior subdivision of hulls
    • B63B11/04Constructional features of bunkers, e.g. structural fuel tanks, or ballast tanks, e.g. with elastic wal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17/00Vessels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3B17/0081Vibration isolation or damping elements or arrangements, e.g. elastic support of deck-hous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3/00Hulls characterised by their structure or component parts
    • B63B3/14Hull parts
    • B63B3/16Shells
    • B63B3/20Shells of double typ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FSPRINGS; SHOCK-ABSORBERS; MEANS FOR DAMPING VIBRATION
    • F16F9/00Springs, vibration-dampers, shock-absorbers, or similarly-constructed movement-dampers using a fluid or the equivalent as damping medium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17/00Vessels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3B2017/0045Caps, hoods, or the like devices for protective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Public Health (AREA)
  • Vibration Prevention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유조선의 기름유출방지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유조선의 선체 내부에 수용되는 외부탱크와; 상기 외부탱크의 내부에 수용됨과 아울러 내부에 기름이 저장되는 내부탱크와; 상기 유조선의 선체와 외부탱크 및 내부탱크가 외부충격에 의하여 관통되었을 때 상기 내부탱크를 이동시켜 내부탱크의 관통된 부분이 외부탱크의 내측면에 접하도록 함으로써 내부탱크에 저장된 기름이 유출되는 것을 차단하는 이송장치와; 상기 유조선의 선체와 외부탱크 사이에 설치되는 완충수단과; 상기 유조선의 선체 하면과 상기 외부탱크의 저면 사이에 배치되는 복수개의 회전볼로 구성되어, 내부탱크에 수용된 기름이 유출되는 것을 차단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유조선의 기름유출방지구조{A Structure for Preventing Oil Spill of Oil Tanker}
본 발명은 유조선의 기름유출방지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외부의 충격에 의하여 유조선이 파손되더라도 유조선 내부에 저장되어 있는 기름의 유출을 방지할 수 있는 유조선의 기름유출방지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하천 및 해양을 운항하던 선박(특히 원유수송용 유조선)들이 좌초되면 선박에 적재된 기름이 유출되면서 하천과 해양을 오염시키는 등의 심각한 환경공해를 유발시키게 된다.
이와 같이 유출된 기름들은 효율적인 수거작업이 어려운 관계로 기름들이 조류를 타고 확산됨으로써 연안에 양식중인 어패류를 몰살케 하여 어민들의 경제를 어렵게 할 뿐만 아니라 환경 파괴와 같은 대재앙을 불러온다.
상기와 같은 문제들을 사전에 예방하기 위하여 최근에는 유조선의 선체를 단일선체가 아닌 이중선체로 구성하여 외부충격이 유조선에 가해지더라도 기름이 유출되는 것을 최소화하고 있지만 이 역시 완전한 해결책은 아니다. 왜냐하면 이중선체로 유조선이 제작된다 하더라도 강한 충격에는 이중선체가 파손될 수 있고, 그 파손된 선체로부터 기름이 유출되는 경우에는 속수무책으로 기름이 유출되는 것을 보고만 있을 수밖에 없기 때문이다.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유조선의 선체 내부에 기름이 저장된 내부탱크를 수용하는 외부탱크를 설치하여, 외부충격에 의해 파손이 되었을 때 내부탱크를 이동시킴으로써 파손부위가 엇갈리게 하여 내부탱크에 저장된 기름의 유출을 방지할 수 있는 유조선의 기름유출방지구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에 의한 유조선의 기름유출방지구조는 유조선의 선체 내부에 수용되는 외부탱크와; 상기 외부탱크의 내부에 수용됨과 아울러 내부에 기름이 저장되는 내부탱크와; 상기 유조선의 선체와 외부탱크 및 내부탱크가 외부충격에 의하여 관통되었을 때 상기 내부탱크를 이동시켜 내부탱크의 관통된 부분이 외부탱크의 내측면에 접하도록 함으로써 내부탱크에 저장된 기름이 유출되는 것을 차단하는 이송장치와; 상기 유조선의 선체와 외부탱크 사이에 설치되는 완충수단과; 상기 유조선의 선체 하면과 상기 외부탱크의 저면 사이에 배치되는 복수개의 회전볼로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이송장치는 상기 내부탱크의 상면에 설치되는 랙과; 상기 내부탱크의 상면에 배치되어 상기 랙에 맞물려 회전하는 피니언과; 하단이 상기 피니언에 연결되고 상단이 유조선의 갑판을 관통하는 수직봉과; 상기 수직봉의 상단에 설치되는 손잡이부와; 상기 유조선의 갑판 상측으로 노출된 수직봉의 외측면에는 연결된 체인과; 상기 체인에 회전축이 연결되는 모터;로 구성되고,
상기 완충수단은 일단이 상기 외부탱크에 연결되는 제1상부 회동편과, 상기 제1상부 회동편에 일단이 회동가능하게 연결되고 타단이 상기 유조선의 선체에 연결되는 제2상부 회동편과, 상기 제1상부 회동편과 제2상부 회동편에 양단이 각각 연결되는 상부스프링으로 이루어진 상부완충기와; 일단이 상기 외부탱크에 연결되는 제1하부 회동편과, 상기 제1하부 회동편에 일단이 회동가능하게 연결되고 타단이 상기 유조선의 선체에 연결되는 제2하부 회동편과, 상기 제1하부 회동편과 상기 제2하부 회동편에 양단이 각각 연결되는 하부스프링으로 이루어진 하부완충기;로 구성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의 유조선의 기름유출방지구조는 유조선의 선체와 외부탱크 및 내부탱크가 외부의 충격에 의하여 관통되었을 때 이송장치에 의하여 내부탱크가 외부탱크 내부에서 이동되어 관통부위가 엇갈리게 되므로 내부탱크에 수용된 기름이 유출되는 것을 차단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유조선의 선체와 외부탱크 사이에 완충수단 및 회전볼이 설치되어 유조선의 운행 중에 바람이나 파도에 의하여 발생될 수 있는 충격이 외부탱크와 내부탱크로 전해지는 것을 최소화시킬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유조선의 기름유출방지구조를 보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유조선의 기름유출방지구조를 보인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유조선의 기름유출방지구조를 구성하는 완충수단을 보인 사시도.
도 4a 내지 도 4b는 본 발명에 의한 유조선의 기름유출방지구조의 작동과정을 보인 도.
이하, 본 발명에 의한 유조선의 기름유출방지구조의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유조선의 기름유출방지구조를 보인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유조선의 기름유출방지구조를 보인 단면도이다.
그리고,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유조선의 기름유출방지구조를 구성하는 완충수단을 보인 사시도이며, 도 4a 내지 도 4b는 본 발명에 의한 유조선의 기름유출방지구조의 작동과정을 보인 도이다.
본 발명에 의한 유조선의 기름유출방지구조는 유조선의 선체(10) 내부에 수용되는 외부탱크(100)와, 상기 외부탱크(100)에 수용되는 내부탱크(200)와, 상기 내부탱크(200)를 상기 외부탱크(100)의 내부에서 이동시키는 이송장치(300)와, 상기 유조선의 선체(10) 측면과 외부탱크(100) 사이에 설치되는 완충수단(400)과, 상기 유조선의 선체(10) 하면과 외부탱크(100) 사이에 설치되는 회전볼(500)로 구성된다.
상기 유조선의 선체(10)는 갑판(20)의 테두리 부분에서 하측으로 연장되어 유조선의 측면과 하면을 이루는 것이다.
상기 외부탱크(100)는 상기 유조선의 선체(10) 내부, 좀 더 자세하게는 상기 유조선의 갑판(20)과 선체(10)에 의하여 형성되는 내부공간에 수용되는 것으로서, 내부에 일정한 공간이 형성되어 상기 내부탱크(200)가 수용된다.
상기 내부탱크(200)는 상기 외부탱크(100)의 내부공간에 수용되고, 내부에 일정한 공간이 형성되어 그 내부공간에 기름이 저장된다.
상기 이송장치(300)는 상기 유조선의 선체(10)와 외부탱크(100) 및 내부탱크(200)가 외부충격에 의하여 관통되었을 때 상기 내부탱크(200)를 이동시켜 내부탱크(200)의 관통된 부분이 외부탱크(100)의 내측면에 접하도록 함으로서 내부탱크(200)에 저장된 기름이 유출되는 것을 차단한다.
좀 더 자세히 설명하면, 외부충격에 의하여 외부탱크(100)에 형성된 구멍을 외부홀(100a)이라고 하고 내부탱크(200)에 형성된 구멍을 내부홀(200a)이라고 하며 유조선의 선체(10)에 형성된 구멍을 선체홀(미도시)이라 하였을 때, 외부충격이 가해져 관통된 순간에는 유조선 선체(10)의 선체홀과 외부탱크(100)의 외부홀(100a)과 내부탱크(200)의 내부홀(200a)이 서로 겹쳐져서 내부탱크(200)에 저장된 기름이 상기 내부홀(200a)과 외부홀(100a) 및 선체홀을 통하여 외부로 유출된다. 이때, 상기 내부탱크(200)를 움직여서 내부홀(200a)이 외부탱크(100)의 외부홀(100a)과 겹쳐지지 않도록, 즉 내부홀(200a)과 외부홀(100a)이 엇갈리도록 하면 외부탱크(100)를 이루는 면이 내부홀(200a)을 막는 구조가 되어 내부탱크(200)에 저장된 기름의 유출을 최소화 할 수 있다. 바로 이러한 효과를 얻을 수 있도록 내부탱크(200)를 움직이는 것이 이송장치이다.
이러한 이송장치(300)는 랙(310)과, 상기 랙(310)에 맞물려 회전하는 피니언(320)과, 하단이 상기 피니언(320)에 연결되는 수직봉(330)과, 상기 수직봉(330)의 상단에 연결되는 손잡이부(340)와, 상기 수직봉(330)의 외주면에 연결되는 체인(350)과, 상기 체인(350)에 연결되는 모터(360)로 구성된다.
상기 랙(310)은 일측면에 기어치가 형성된 것으로서 상기 내부탱크(200)의 상면에 설치되어 고정된다.
상기 피니언(320)은 외주면에 기어치가 형성되어 상기 랙(310)에 맞물려 회전할 수 있도록 상기 내부탱크(200)의 상면에 배치된다.
상기 수직봉(330)은 하단이 상기 피니언(320)에 연결되고 상단이 상기 유조선의 갑판(20)을 관통하여 상측부가 유조선의 외부에 노출된다.
상기 손잡이부(340)는 상기 수직봉(330)의 상단에 설치되어, 상기 유조선의 갑판(20) 외부에 노출된다.
상기 체인(350)은 상기 유조선의 갑판(20) 상측으로 노출된 수직봉(330)의 외측면에 연결된다. 즉, 수직봉(330) 중 유조선의 갑판(20) 상측으로 노출된 부분에는 체인이 맞물릴 수 있도록 기어치가 형성되어 이 기어치에 체인이 결합되는 것이다.
상기 모터(360)는 회전축(361)을 구비하고, 그 회전축(361)이 상기 체인(350)에 연결됨으로써, 모터(360)에 전원이 공급되었을 때 회전축(361)이 일방향 또는 타방향으로 회전하게 되고 이 회전축(361)이 회전에 따라 수직봉(330)이 일방향 또는 타방향으로 회전된다.
따라서, 유조선의 선체(10)와 외부탱크(100) 및 내부탱크(200)가 외부충격에 의하여 관통되었을 때 컨트롤타워에 타고 있는 승선원이 모터(360)에 전원을 공급함으로써 내부탱크(200)를 이동시켜 외부탱크(100)의 외부홀(100a)과 내부탱크(200)의 내부홀(200a)을 엇갈리도록 하여 기름유출을 차단한다.
한편, 상기 내부탱크(200)의 외측면에는 일정간격으로 복수개의 가스켓(210)이 설치된다. 상기 가스켓(210)은 상기 외부탱크(100)의 내측면에 밀착되어 내부탱크(200)에 저장된 기름의 유출을 차단한다. 좀 더 자세히 설명하면, 내부탱크(200)를 외부탱크(100)에 넣으면 내부탱크(200)와 외부탱크(100) 사이에는 빈틈이 형성되고, 이렇게 형성된 빈틈을 통하여 기름이 유출될 수 있다. 즉, 내부탱크(200)를 이동시켜 내부홀(200a)과 외부홀(100a)이 엇갈리게 한다고 하더라도 내부탱크(200)와 외부탱크(100) 사이에 발생되는 작은 틈을 통하여 기름이 유출될 수밖에 없으므로 유출되는 기름의 양을 최소화시킬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가스켓(210)을 설치하는 것이다. 여기서, 가스켓(210)은 상기와 같은 효과를 구현하기 위하여 고무와 같이 일정한 탄성을 갖는 재질로 제작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완충수단(400)은 유조선의 운행 중에 바람이나 파도 등에 의하여 발생될 수 있는 충격파가 외부탱크(100)와 내부탱크(200)에 전이되는 것을 최소화하기 위하여 설치한 것으로서, 상기 유조선의 선체(10)에 외부탱크(100) 사이에 설치된다.
이러한 완충수단(400)은 상부완충기(410)와, 상기 상부완충기(410)와 연결되는 하부완충기(420)로 구성된다.
상기 상부완충기(410)는 제1상부 회동편(411)과, 상기 제1상부 회동편(411)에 연결되는 제2상부 회동편(412) 및 상기 제1상부 회동편(411)과 제2상부 회동편(412)에 양단이 각각 연결되는 상부스프링(413)으로 구성된다.
상기 제1상부 회동편(411)은 일단이 상기 외부탱크(100)에 연결된다.
상기 제2상부 회동편(412)은 일단이 상기 제1상부 회동편(411)의 타단에 회동가능하게 연결되고, 타단이 상기 유조선의 선체(10)에 연결된다. 즉, 상기 제1상부 회동편(411)과 제2상부 회동편(412)은 힌지와 같은 방식으로 서로 연결되어, 제1상부 회동편(411)과 제2상부 회동편(412)은 서로간에 원하는 각도로 조절된다.
상기 상부스프링(413)은 양단이 상기 제1상부 회동편(411)과 제2상부 회동편(412)에 각각 연결되어, 제1상부 회동편(411)과 제2상부 회동편(412)에 탄성력을 제공한다.
상기 하부완충기(420)는 제1하부 회동편(421)과, 상기 제1하부 회동편(421)에 연결되는 제2하부 회동편(422) 및 상기 제1하부 회동편(421)과 제2하부 회동편(422)에 양단이 각각 연결되는 하부스프링(423)으로 구성된다.
상기 제1하부 회동편(421)은 일단이 상기 외부탱크(100)에 연결된다.
상기 제2하부 회동편(422)은 일단이 상기 제1하부 회동편(421)의 타단에 회동가능하게 연결되고, 타단이 상기 유조선의 선체(10)에 연결된다. 즉, 상기 제1하부 회동편(421)과 제2하부 회동편(422)은 상기 제1상부 회동편(411) 및 제2상부 회동편(412)과 마찬가지로 힌지와 같은 방식으로 서로 연결되어, 제1하부 회동편(421)과 제2하부 회동편(422)은 서로간에 원하는 각도로 조절된다.
상기 하부스프링(423)은 양단이 상기 제1하부 회동편(421)과 제2하부 회동편(422)에 각각 연결되어, 제1하부 회동편(421)과 제2하부 회동편(422)에 탄성력을 제공한다.
한편, 상기 제1상부 회동편(411)과 제2상부 회동편(412)이 연결되는 부분과 상기 제1하부 회동편(421)과 제2하부 회동편(422)이 연결되는 부분은 용접과 같은 방법으로 서로 결합되어 고정된다. 따라서, 상기 상부완충기(410)와 하부완충기(420)가 결합된 부분을 중심으로 상기 제1상부 회동편(411)과 제2상부 회동편(412) 및 상기 제1하부 회동편(421)과 제2하부 회동편(422)이 상부스프링(413) 및 하부스프링(423)의 탄성에 의하여 벌어지거나 오므려지면서 충격을 흡수한다.
상기 회전볼(500)은 상기 유조선의 선체(10) 하면과 상기 외부탱크(100)의 저면 사이에 복수개가 설치되는 것으로서, 그 위에 외부탱크(100)가 안착된다. 이렇게 회전볼(500) 위에 외부탱크(100)가 안착되면 상기 완충수단(400)에 의하여 완전히 제거되지 않은 외부의 충격이 외부탱크(100)에 전해진다 하더라도 외부탱크(100)가 회전볼(500) 위에서 자연스럽게 움직이게 되므로, 외부탱크(100)와 유조선의 선체(10)가 마찰되어 파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10: 선체 20: 갑판
100: 외부탱크 100a: 외부홀
200: 내부탱크 200a: 내부홀
210: 가스켓 300: 이송장치
310: 랙 320: 피니언
330: 수직봉 340: 손잡이부
350: 체인 360: 모터
361: 회전축 400: 완충수단
410: 상부완충기 411: 제1상부 회동편
412: 제2상부 회동편 413: 상부스프링
420: 하부완충기 421: 제1하부 회동편
422: 제2하부 회동편 423: 하부스프링
500: 회전볼

Claims (6)

  1. 유조선의 선체(10) 내부에 수용되는 외부탱크(100)와;
    상기 외부탱크(100)의 내부에 수용됨과 아울러 내부에 기름이 저장되는 내부탱크(200)와;
    상기 유조선의 선체(10)와 외부탱크(100) 및 내부탱크(200)가 외부충격에 의하여 관통되었을 때 상기 내부탱크(200)를 이동시켜 내부탱크(200)의 관통된 부분이 외부탱크(100)의 내측면에 접하도록 함으로써 내부탱크(200)에 저장된 기름이 유출되는 것을 차단하는 이송장치(300);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조선의 기름유출방지구조.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이송장치(300)는 상기 내부탱크(200)의 상면에 설치되는 랙(310)과;
    상기 내부탱크(200)의 상면에 배치되어 상기 랙(310)에 맞물려 회전하는 피니언(320)과;
    하단이 상기 피니언(320)에 연결되고 상단이 유조선의 갑판(20)을 관통하는 수직봉(330)과;
    상기 수직봉(330)의 상단에 설치되는 손잡이부(340);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조선의 기름유출방지구조.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유조선의 갑판(20) 상측으로 노출된 수직봉(330)의 외측면에는 체인(350)이 연결되고, 상기 체인(350)에는 모터(360)의 회전축(361)이 연결되어, 상기 회전축(361)의 회전에 따라 수직봉(330)이 회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조선의 기름유출방지구조.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유조선의 선체(10)와 외부탱크(100) 사이에는 완충수단(400)이 설치되되,
    상기 완충수단(400)은 일단이 상기 외부탱크(100)에 연결되는 제1상부 회동편(411)과, 상기 제1상부 회동편(411)에 일단이 회동가능하게 연결되고 타단이 상기 유조선의 선체(10)에 연결되는 제2상부 회동편(412)과, 상기 제1상부 회동편(411)과 제2상부 회동편(412)에 양단이 각각 연결되는 상부스프링(413)으로 이루어진 상부완충기(410)와;
    일단이 상기 외부탱크(100)에 연결되는 제1하부 회동편(421)과, 상기 제1하부 회동편(421)에 일단이 회동가능하게 연결되고 타단이 상기 유조선의 선체(10)에 연결되는 제2하부 회동편(422)과, 상기 제1하부 회동편(421)과 상기 제2하부 회동편(422)에 양단이 각각 연결되는 하부스프링(423)으로 이루어진 하부완충기(420);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조선의 기름유출방지구조.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유조선의 선체(10) 하면과 상기 외부탱크(100)의 저면 사이에는 복수개의 회전볼(500)이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조선의 기름유출방지구조.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내부탱크(200)의 외측면에는 일정간격으로 복수개의 가스켓(210)이 설치되어, 상기 가스켓(210)이 상기 외부탱크(100)의 외측면에 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조선의 기름유출방지구조.
KR1020110001734A 2011-01-07 2011-01-07 유조선의 기름유출방지구조 KR20120080343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01734A KR20120080343A (ko) 2011-01-07 2011-01-07 유조선의 기름유출방지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01734A KR20120080343A (ko) 2011-01-07 2011-01-07 유조선의 기름유출방지구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80343A true KR20120080343A (ko) 2012-07-17

Family

ID=4671297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01734A KR20120080343A (ko) 2011-01-07 2011-01-07 유조선의 기름유출방지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20080343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3135264A (zh) * 2020-01-17 2021-07-20 住友重机械海洋工程株式会社 船舶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3135264A (zh) * 2020-01-17 2021-07-20 住友重机械海洋工程株式会社 船舶
JP2021112962A (ja) * 2020-01-17 2021-08-05 住友重機械マリンエンジニアリング株式会社 船舶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04489B1 (ko) 선박 파공부위 응급봉쇄장치
KR101050724B1 (ko) 선박의 기름유출 방지장치
CN102359599B (zh) 一种用于伸缩式全回转舵桨的动密封装置
US3818708A (en) Floating barrier
KR101184917B1 (ko) 가변 펜더를 구비하는 접안 장치와 접안장치가 장착된 부유체 및 이동항구
KR101856569B1 (ko) 선박 응급 보수장치
KR20120008331A (ko) 횡동요 억제장치
KR101336155B1 (ko) 상대운동이 저감되는 해상구조물
US9957024B2 (en) Floating boat lifting apparatus for raising or lowering the boat from or onto the water
KR20120080343A (ko) 유조선의 기름유출방지구조
CA2829839A1 (en) Method for removing a polluting substance from a water surface
KR101702776B1 (ko) 해양 누출 오일 수거 장치
KR101427565B1 (ko) 해양 구조물의 위치제어장치
KR20100098586A (ko) 선박이나 유체 저장 탱크류의 액체 누출 방지 장치
KR101184348B1 (ko) 부잔교
KR101567871B1 (ko) 선박용 앵커링 장치
KR102116417B1 (ko) 선박
KR20140133171A (ko) 쓰러스터 보호 장치
RU2470113C1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предотвращения вылива нефти и нефтепродуктов из аварийного подводного нефтепровода
FR2887847A1 (fr) Ligne de mouillage elastique protegeant les fonds marins
KR101267106B1 (ko) 선박용 기름유출 및 침수 차단장치
KR200447695Y1 (ko) 유조선용 원유 유출 방지장치
KR20100028940A (ko) 선박 추진장치
KR101756309B1 (ko) 선박의 유류 유출 방지 장치
KR200445284Y1 (ko) 셔틀 탱커용 원유 로딩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