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079000A - 광 발산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흡입 장치용 흡입 대상물 카트리지 - Google Patents

광 발산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흡입 장치용 흡입 대상물 카트리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079000A
KR20120079000A KR1020110053586A KR20110053586A KR20120079000A KR 20120079000 A KR20120079000 A KR 20120079000A KR 1020110053586 A KR1020110053586 A KR 1020110053586A KR 20110053586 A KR20110053586 A KR 20110053586A KR 20120079000 A KR20120079000 A KR 2012007900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ght emitting
case
emitting device
suction
vaporiz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5358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250014B1 (ko
Inventor
조여찬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에바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에바코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에바코
Priority to KR102011005358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50014B1/ko
Publication of KR2012007900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7900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5001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5001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00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other than foodstuffs or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 A61L2/02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other than foodstuffs or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using physical phenomena
    • A61L2/08Radiation
    • A61L2/10Ultraviolet radia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00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other than foodstuffs or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 A61L2/02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other than foodstuffs or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using physical phenomena
    • A61L2/08Radiation
    • A61L2/085Infrared radia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9/00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 A61L9/16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using physical phenomena
    • A61L9/22Ionisa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202/00Aspects relating to 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 A61L2202/10Apparatus features
    • A61L2202/11Apparatus for generating biocidal substances, e.g. vaporisers, UV lamp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202/00Aspects relating to 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 A61L2202/10Apparatus features
    • A61L2202/14Means for controlling sterilisation processes, data processing, presentation and storage means, e.g. sensors, controllers, program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202/00Aspects relating to 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 A61L2202/10Apparatus features
    • A61L2202/16Mobile applications, e.g. portable devices, trailers, devices mounted on vehicle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pidemi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AREA)

Abstract

광 발산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흡입 장치용 흡입 대상물 카트리지가 개시된다.
개시되는 광 발산 장치는 광 발산 장치 케이스; 및 상기 광 발산 장치 케이스 표면 전체를 통해 자외선과 적외선 중 적어도 하나를 발산할 수 있는 광 발산 부재;를 포함한다.
개시되는 광 발산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흡입 장치용 흡입 대상물 카트리지에 의하면, 광 발산 장치 케이스 표면 전체를 통해 자외선과 적외선 중 적어도 하나가 발산될 수도 있고, 광 발산 장치 케이스 표면 일부를 통해 자외선과 적외선 중 적어도 하나가 발산될 수도 있어서, 휴대 및 이동이 간편하면서도, 살균 건조 등을 위하여 자외선, 적외선 등의 광 조사가 가능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Description

광 발산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흡입 장치용 흡입 대상물 카트리지{Light emitting apparatus and inhaling material cartridge for inhaling apparatus comprising thereof}
본 발명은 광 발산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흡입 장치용 흡입 대상물 카트리지에 관한 것이다.
살균이 요구되는 공간에 자외선 또는 적외선을 조사하기도 하는데, 이러한 자외선 또는 적외선을 조사하기 위해서는 상대적으로 규모가 큰 조사 장치가 요구된다. 따라서, 냉장고 등의 상대적으로 작은 공간에 간편하게 설치하거나, 가방, 개인 의복의 주머니 등에 넣어 간편하게 휴대하면서, 냉장고 내부, 가방 내부 등 자외선, 적외선 등의 광 발산이 요구되는 공간에 살균 건조 등을 위해 광을 발산할 수 있는 장치가 요구되고 있다.
또한, 종래의 전자 담배 등 흡입 장치에서 기화 부재 등 내부 부품에 대한 살균 건조가 요구되고 있다.
본 발명은 휴대 및 이동이 간편하면서 자외선, 적외선 등의 광 조사가 가능한 광 발산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일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흡입 장치 내부 부품에 대한 살균 건조가 가능한 흡입 장치용 흡입 대상물 카트리지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광 발산 장치는 광 발산 장치 케이스; 및 상기 광 발산 장치 케이스 표면 전체를 통해 자외선과 적외선 중 적어도 하나를 발산할 수 있는 광 발산 부재;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른 광 발산 장치는 광 발산 장치 케이스; 상기 광 발산 장치 케이스 표면 전체 또는 상기 광 발산 장치 케이스 표면 일부를 통해 자외선과 적외선 중 적어도 하나를 발산할 수 있는 광 발산 부재; 및 상기 광 발산 부재가 상기 광 발산 장치 케이스 표면 전체와 상기 광 발산 장치 케이스 표면 일부 중 어느 하나를 통해 자외선과 적외선 중 적어도 하나를 발산하도록 선택할 수 있도록 하는 선택 부재;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에 따른 흡입 장치용 흡입 대상물 카트리지는 내부에 수용된 흡입 대상물을 사용자가 흡입할 수 있게 하는 흡입 장치를 구성하는 것으로서,
상기 흡입 대상물이 수용될 수 있는 공간을 제공하는 흡입 대상물 수용 부재; 및 자외선과 적외선 중 적어도 하나를 발산하는 광 발산 부재;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광 발산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흡입 장치용 흡입 대상물 카트리지에 의하면, 광 발산 장치 케이스 표면 전체를 통해 자외선과 적외선 중 적어도 하나가 발산될 수도 있고, 광 발산 장치 케이스 표면 일부를 통해 자외선과 적외선 중 적어도 하나가 발산될 수도 있어서, 휴대 및 이동이 간편하면서도, 살균 건조 등을 위하여 자외선, 적외선 등의 광 조사가 가능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광 발산 장치를 보이는 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광 발산 장치 케이스 표면 전체를 통해 광이 발산되는 모습을 보이는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광 발산 장치 케이스 표면 일부를 통해 광이 발산되는 모습을 보이는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흡입 장치가 분리된 모습을 보이는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흡입 장치가 결합된 모습을 보이는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흡입 장치가 분리된 모습을 보이는 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흡입 장치가 결합된 모습을 보이는 단면도.
도 8은 본 발명의 제 4 실시예에 따른 광 발산 장치를 보이는 단면도.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광 발산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흡입 장치용 흡입 대상물 카트리지에 대하여 설명한다.
본 실시예들에서는 흡입 장치로 내부에 니코틴 액을 수용한 전자 담배(electronic cigarette) 방식의 장치가 제시되나, 이는 예시적인 것이다. 즉, 이하에서 설명되는 흡입 장치 내에 수용되는 수용 액체로는 니코틴 액 대신 주사액, 건강 보조 성분이 함유된 액체 등이 제시될 수 있다. 이러한 수용 액체가 흡입 장치 내에서 기화됨으로써 사용자에게 흡입될 수도 있다. 이러한 경우, 아래의 발광 다이오드 등의 구성 요소는 필요에 따라 생략될 수도 있을 것이다.
또한, 이하에서 설명되는 흡입 장치 내에 수용되는 흡입 대상물은 액체 형태로 제시되나, 이는 예시적인 것이고, 그러한 흡입 대상물은 액체 형태 이외에 고체 형태, 기체 형태 등 다양한 형태로 제시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광 발산 장치를 보이는 단면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광 발산 장치 케이스 표면 전체를 통해 광이 발산되는 모습을 보이는 단면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광 발산 장치 케이스 표면 일부를 통해 광이 발산되는 모습을 보이는 단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3을 함께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광 발산 장치(150)는 광 발산 장치 케이스(151)와, 광 발산 부재(152)를 포함하고, 휴대 및 이동이 간편하고, 그 설치되는 공간에 자외선과 적외선 중 적어도 하나를 조사하여, 살균 건조 등을 수행할 수 있는 것이다.
상기 광 발산 장치 케이스(151)는 사용자가 손으로 파지할 수 있을 정도의 컴팩트한 크기로 이루어지는 것이다. 상기 광 발산 부재 케이스(151)는 유연한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고, 그러한 경우 상기 광 발산 부재 케이스(151)가 놓이는 환경에 적합하게 변형될 수 있다.
상기 광 발산 부재 케이스(151)에는 야광 물질이 도포되거나, 야광 물질이 혼합되어 제조됨으로써, 야간 등 어두운 환경에서 수려한 외관을 이룰 수 있음은 물론, 상기 광 발산 장치(150)에 대한 인식을 수월하게 할 수 있다.
상기 광 발산 부재(152)는 상기 광 발산 장치 케이스(151) 표면 전체 또는 상기 광 발산 장치 케이스(151) 표면 일부를 통해 자외선과 적외선 중 적어도 하나를 발산할 수 있는 것으로,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광 발산 부재(152)가 상기 광 발산 장치 케이스(151) 표면 전체에 복수 개가 분포 설치된다. 상기 광 발산 부재(152)는 상기 광 발산 장치 케이스(151) 사방으로 광이 조사될 수 있도록, 상기 광 발산 장치 케이스(151) 사방을 향해 각각 배치될 수 있다.
상기 광 발산 부재(152)로는 자외선과 적외선 중 적어도 하나를 조사할 수 있는 LED 등 다양한 부재가 적용될 수 있다. 이러한 광 발산 부재(152)에 의해 자외선과 적외선 중 적어도 하나가 조사되면, 그러한 광의 조사 대상체에 대해 살균 건조 등이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광 발산 장치 케이스(151) 표면 전체에 분포된 복수 개의 상기 광 발산 부재(152)가 모두 발광하면, 상기 광 발산 장치 케이스(151) 표면 전체를 통해 자외선과 적외선 중 적어도 하나가 발산될 수 있고, 상기 광 발산 장치 케이스(151) 표면 전체에 분포된 복수 개의 상기 광 발산 부재(152) 중 발광이 요구되는 방향을 향한 일부의 광 발산 부재(152)가 발광하면, 상기 광 발산 장치 케이스(151) 표면 일부를 통해 자외선과 적외선 중 적어도 하나가 발산될 수 있게 된다.
도면 번호 158은 터치 스크린으로서, 각종 정보를 표시하거나, 상기 터치 스크린(158)을 통해 각종 명령 등의 정보를 입력할 수 있다. 상기 터치 스크린(158)을 통해 명령이 입력되면, 복수 개의 상기 광 발산 부재(152) 전체 또는 그 일부가 발광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터치 스크린(158)은 상기 광 발산 부재(152)가 상기 광 발산 장치 케이스(151) 표면 전체와 상기 광 발산 장치 케이스(151) 표면 일부 중 어느 하나를 통해 자외선과 적외선 중 적어도 하나를 발산하도록 사용자 등이 선택할 수 있도록 하는 것으로, 이러한 측면에서의 상기 터치 스크린(158)은 선택 부재로 정의될 수 있다.
물론, 선택 부재로서의 상기 터치 스크린(158)의 제시는 예시적인 것이고, 상기 터치 스크린(158)과 별도로 버튼 등 입력 수단이 구비되어, 그러한 별도의 입력 수단이 선택 부재로 기능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터치 스크린(158)은 상기 광 발산 장치 케이스(151)에 배치되어, 상기 광 발산 장치(150)에 관련된 정보를 표시할 수 있는 것으로, 이러한 측면에서의 상기 터치 스크린(158)은 디스플레이 부재로 정의될 수 있다.
물론, 디스플레이 부재로서의 상기 터치 스크린(158)의 제시는 예시적인 것이고, 터치 기능이 없는 일반적인 LCD 창 등 다양한 디스플레이 수단이 디스플레이 부재로 적용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터치 스크린(158)은 정보 출력과 입력 기능을 모두 구비하여, 선택 부재 및 디스플레이 부재로 정의되는 것이고, 상기와 같이 상기 터치 스크린(158) 대신 선택 부재와 디스플레이 부재가 각각 별도록 구비될 수도 있는 것이다.
도면 번호 153은 상기 광 발산 부재(152) 등에 전기 에너지를 공급할 수 있는 전원 공급 부재이고, 도면 번호 154는 상기 전원 공급 부재(153) 등 상기 광 발산 장치(200) 내부 구성 요소와 외부 전원 등 외부 장치를 연결하기 위한 외부 연결 부재이다.
상기 전원 공급 부재(153)는 충전 가능하여, 상기 외부 연결 부재(154)가 외부 전원과 연결 해제된 상태에서도 상기 광 발산 부재(152)에 전기 에너지를 공급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고, 충전이 불가능하여, 상기 외부 연결 부재(154)가 외부 전원과 연결된 상태에서만 상기 광 발산 부재(152)에 전기 에너지를 공급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상기 외부 연결 부재(154)는 유에스비(USB)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고, 그에 따라 외부 장치의 유에스비(USB) 포트에 연결되어, 컴퓨터 등의 외부 장치와 연결되어 데이터 교환이 가능하도록 하거나, 외부 전원 등의 외부 장치와 연결되어 충전이 가능하도록 할 수 있다.
도면 번호 155는 광 발산 장치 제어 부재로서, 상기 광 발산 부재(152), 상기 터치 스크린(158) 등을 제어하고, 상기 터치 스크린(158)으로부터 입력되는 정보를 처리할 수 있다.
도면 번호 156은 실내등과 같은 인공 조명, 태양광 등의 외부 광에 의해 충전될 수 있는 충전 부재이다. 상기 충전 부재(156)에 의해 충전되는 전기 에너지는 상기 전원 공급 부재(153)를 통해 상기 광 발산 부재(152) 등으로 공급될 수 있게 된다.
상기 충전 부재(156)는 상기 광 발산 부재 케이스(151) 표면을 따라 넓게 분포될 수 있다.
도면 번호 157은 부가 기능 구현 부재로서, 이러한 부가 기능 구현 부재(157)는 다양한 부가 기능을 구현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부가 기능 구현 부재(157)가 상기 외부 연결 부재(154) 등의 유선 통신을 통하거나 블루투스 등 무선 통신을 통해, 즉 외부와 유무선 통신을 통해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는 통신 부재로 기능할 수도 있고,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는 메모리 부재로 기능할 수도 있으며, 음악 등 음향을 발생 또는 재생시킬 수 있어서 음향 발생 부재로 기능할 수도 있고, 외부 소리를 녹취할 수 있어서 녹음 부재로 기능할 수도 있으며, 외부 이미지를 녹화할 수 있어서 녹화 부재로 기능할 수도 있고(이 경우 외부를 향한 카메라 등이 더 부가되어야 할 것인데, 이러한 카메라 등의 구성은 일반적인 것이어서 그에 대한 자세한 도시 및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 광 발산 부재(152)의 온오프 시간을 예약할 수 있어서 타이머 부재로 기능할 수도 있으며, 상기 광 발산 장치 케이스(151) 내부의 온도, 상기 광 발산 장치 케이스(151) 외부의 온도(상기 광 발산 부재(152) 주변 등의 온도, 상기 광 발산 장치(150)가 결합되거나 놓이는 냉장고, 가방 등의 온도) 중 적어도 하나를 감지하여 상기 감지된 온도에 따라 상기 광 발산 부재(152)의 발광량을 조절하거나 상기 광 발산 부재(152)를 온오프시킬 수 있는 온도 감지 부재로 기능할 수도 있다.
물론, 상기 부가 기능 구현 부재(157)는 상기에서 기술된 각각의 부재로서의 기능은 물론, 상기에서 기술된 각각의 부재들의 복수 개의 기능을 함께 구현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부가 기능 구현 부재(157)는 상기 녹화 부재, 상기 온도 감지 부재로 함께 기능할 수도 있다.
상기 광 발산 장치 케이스(151), 상기 광 발산 부재(152) 등의 내부 구성 요소 중 적어도 하나는 항균 또는 살균 처리된다. 이러한 항균 또는 살균 처리로는 다양한 방식이 제시될 수 있는데, 그 중 하나로 상기 광 발산 장치 케이스(151)와 상기 광 발산 부재(152) 등의 내부 구성 요소 중 적어도 하나가 금, 은, 옥 등의 물질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여 제조되거나, 그러한 물질로 도포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광 발산 장치 케이스(151)와 상기 광 발산 부재(152) 등의 내부 구성 요소 중 적어도 하나는 발향(發香) 성분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광 발산 장치(150)에 의하면,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광 발산 장치 케이스(151) 표면 전체를 통해 자외선과 적외선 중 적어도 하나가 발산될 수도 있고,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광 발산 장치 케이스(151) 표면 일부를 통해 자외선과 적외선 중 적어도 하나가 발산될 수도 있어서, 휴대 및 이동이 간편하면서도, 살균 건조 등을 위하여 자외선, 적외선 등의 광 조사가 가능할 수 있다.
한편, 도 1 내지 도 3에서, 상기 광 발산 부재 케이스(151) 내부는 상기 전원 공급 부재(153), 상기 광 발산 장치 제어 부재(155), 상기 부가 기능 구현 부재(157) 등으로 채워진 것으로 도시되나, 이는 예시적인 것이고, 상기 광 발산 부재 케이스(151) 내부의 일부에 빈 공간이 형성되고, 그러한 빈 공간에 외부에서 접근 가능하도록 도어(미도시) 등이 적용됨으로써, 그러한 빈 공간에 사용자가 다양한 휴대용 물건 등을 수납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들에 따른 광 발산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흡입 장치용 흡입 대상물 카트리지에 대하여 설명한다. 이러한 설명을 수행함에 있어서, 상기된 제 1 실시예에 따른 광 발산 장치에서 이미 기재된 내용과 중복되는 설명은 그에 갈음하고, 여기서는 생략하기로 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흡입 장치가 분리된 모습을 보이는 단면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흡입 장치가 결합된 모습을 보이는 단면도이다.
도 4 및 도 5를 함께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흡입 장치(200)는 제 1 분할 부재(210)와, 제 2 분할 부재(220)와, 제 3 분할 부재(230)를 포함하고, 사용자가 흡입할 수 있도록 내부에 수용된 액체를 흡입 대상 기체로 기화할 수 있는 것이다. 이러한 부재(210, 220, 230) 구성은 예시적인 것이고, 상기 분할 부재의 구성 갯수는 변경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상기 제 1 분할 부재(210), 상기 제 2 분할 부재(220) 및 상기 제 3 분할 부재(230)는 순차적으로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제 1 분할 부재(210)의 케이스(211)에는 발광 다이오드(213), 배터리(215), 제어부(214) 및 흡입 감지 스위치(218)가 순차적으로 배치된다.
상기 제 2 분할 부재(220)의 케이스(221) 내에는 기화 부재(222)가 배치된다. 상기 기화 부재(222)가 내부에 배치된다는 측면에서, 상기 제 2 분할 부재(220)의 케이스(221)는 기화 부재 케이스로 정의될 수 있다.
상기 제 3 분할 부재(230)의 케이스(231) 내에는 유도체(233), 액체 수용 부재(232) 및 뚜껑(235)이 순차적으로 배치된다. 상기 기화 부재 케이스인 상기 제 2 분할 부재(220)의 케이스(221)에 착탈될 수 있고, 흡입 대상물 수용 부재인 액체 수용 부재(232)가 내부에 배치된다는 측면에서, 상기 제 3 분할 부재(230)의 케이스(231)는 흡입 대상물 카트리지 케이스로 정의될 수 있다.
상기 제 3 분할 부재(230)는 상기 흡입 대상물 수용 부재가 내부에 배치된 상태로 상기 제 1 분할 부재(210), 상기 제 2 분할 부재(220)와 함께 또는 독립적으로 이동, 판매 등 취급될 수 있는 것으로, 흡입 장치용 흡입 대상물 카트리지로 정의될 수 있다.
상기 발광 다이오드(213)는 상기 배터리(215)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상기 흡입 장치(200)의 작동 시, 예를 들어 상기 흡입 장치(200)를 사용자가 물고 흡입 시에, 상기 제어부(214)의 제어에 따라 붉은 색으로 발광할 수 있는 부분이다. 이러한 발광 다이오드(213)는 케이스(211) 전면의 전면 부재(212)에 형성된다.
상기 배터리(215)는 상기 발광 다이오드(213), 상기 제어부(214), 상기 기화 부재(225) 등에 전기 에너지를 공급할 수 있는 것으로, 폴리머 리튬 전지 등이 제시될 수 있다.
상기 제어부(214)는 상기 흡입 장치(200)의 작동을 위해 요구되는 각종 회로가 형성된 부분이다. 이러한 제어부(214)는 상기 흡입 감지 스위치(218)에서 전달된 감지값에 따라 상기 발광 다이오드(213), 상기 기화 부재(225) 등의 작동을 제어할 수 있다.
상기 흡입 감지 스위치(218)는 사용자가 상기 제 3 분할 부재(230)의 말단부를 입으로 물고 흡입을 할 때, 그러한 사용자에 의한 흡입 여부를 감지하는 부분이다.
상기 흡입 감지 스위치(218)가 사용자의 흡입을 감지하면, 상기 제어부(214)는 상기 액체 수용 부재(232) 내의 액체가 기화되도록, 상기 기화 부재(222)를 작동시킨다.
도면 번호 216a는 선택 버튼으로서, 상기 기화 부재(222)가 작동되도록 사용자가 선택할 수 있는 것이다.
상기 선택 버튼(216a)과 상기 흡입 감지 스위치(218)는 함께 적용될 수도 있고, 상기 흡입 감지 스위치(218) 없이 상기 선택 버튼(216a)만 적용될 수도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흡입 대상물 카트리지 케이스인 상기 제 3 분할 부재(230)의 케이스(231)에 광 발산 부재(250)가 배치되어, 자외선과 적외선 중 적어도 하나를 발산할 수 있다.
상기 광 발산 부재(250)는 상기 제 3 분할 부재(230)의 케이스(231) 전면에 설치되어, 상기 제 2 분할 부재(220)의 케이스(221) 내부에 설치되는 상기 기화 부재(222)를 향해 자외선과 적외선 중 적어도 하나를 발산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면, 상기 제 3 분할 부재(230)와 상기 제 2 분할 부재(220)가 결합되면, 상기 액체 수용 부재(232)에 수용된 흡입 대상물인 니코틴 액이 상기 유도체(233)를 통해 상기 기화 부재(222)로 전달되어 기화될 수 있고, 상기 광 발산 부재(250)가 상기 기화 부재(222) 쪽으로 자외선과 적외선 중 적어도 하나를 발산할 수 있게 된다.
상기 광 발산 부재(250)에 의해 자외선과 적외선 중 적어도 하나가 상기 기화 부재(222)되어, 상기 기화 부재(222) 쪽으로 발산되면, 상기 기화 부재(222)가 살균 건조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제 1 분할 부재(210), 상기 제 2 분할 부재(220) 및 상기 제 3 분할 부재(230)가 그 순서대로 순차적으로 결합되면, 상기 광 발산 부재(250)가 상기 배터리(215)와 통전 가능한 상태가 될 수 있다. 이러한 통전을 위하여, 상기 제 1 분할 부재(210), 상기 제 2 분할 부재(220) 및 상기 제 3 분할 부재(230)의 서로 맞물리는 부분에는 서로 통전될 수 있는 전극이 두 개 형성되어, 각각 양극과 음극 기능을 함으로써 가능한데, 이러한 각 분할 부재(210, 220, 230)의 기구적인 연결과 함께 통전 가능하도록 하는 구조는 이미 당업계에서 많이 적용되고 있어서 당업자라면 큰 어려움 없이 세부 구성을 구현할 수 있는 것이므로, 이에 대한 구체적인 도시 및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사용자가 흡입을 하면, 부압 형성부(216) 내의 공기가 상기 제 3 분할 부재(230)를 통해 사용자의 입 속으로 유입되고, 그에 따라 상기 부압 형성부(216)에 부압(負壓)이 형성되고, 그에 따라 외기 도입 홀(216b)을 통해 외기가 상기 부압 형성부(216)로 유입된다.
사용자가 흡입 시에 상기 외기 도입 홀(216b)을 통해 상기 부압 형성부(216)로 도입되는 외기는 상기 기화 부재(222)에 의해 기화된 흡입 대상 기체인 니코틴과 함께 사용자에게 흡입된다.
상기 기화 부재(222)는 상기 제어부(214)의 명령에 따라 상기 배터리(215)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아 상기 액체 수용 부재(232)로부터 공급되는 니코틴 액 등 기화 대상체를 기화시킬 수 있는 것이다.
상기 기화 부재(225)로는 니크롬선 등 발열하는 방식으로 상기 기화 대상체를 기화시키는 방식이 적용될 수도 있고, 초음파, 고주파 등을 이용하여 상기 기화 대상체를 기화시키는 방식이 적용될 수도 있다. 상기 기화 부재(225)로는 가변 저항이 적용될 수 있다.
상기 기화 부재(225)가 작동하면, 상기 액체 수용 부재(232)에서 전달된 니코틴 액이 기화될 수 있다. 상기 기화 부재(225)에 의해 기화된 니코틴은 상기 외기 유동 홀(216b)을 통해 유입된 공기와 혼합되어, 기체 유동 홀(234)을 통과한 후 상기 뚜껑(235)을 통해 사용자의 입으로 유출된다.
상기 액체 수용 부재(232)는 내부에 니코틴 액이 액상으로 수용되는 것으로, 그 내부에 수용된 니코틴 액을 상기 기화 부재(222)로 전달한다. 상기 액체 수용 부재(232)는 흡입 대상물을 수용한다는 측면에서 흡입 대상물 수용 부재로 정의될 수 있다.
상기 액체 수용 부재(232)와 같은 흡입 대상물 수용 부재는 흡입 대상물이 수용될 수 있는 공간을 제공하는 것으로, 상기 흡입 대상물이 해당 공간에 채워진 상태일 수도 있고, 그러한 흡입 대상물이 해당 공간에 채워질 준비가 된, 즉 빈 상태일 수도 있다.
한편, 도 4 및 도 5에는, 상기 제 3 분할 부재(230)의 전측 부분이 상기 제 2 분할 부재(220)의 후측 부분에 삽입되는 것으로 제시되나, 이는 예시적인 것이고, 상기 제 3 분할 부재(230)의 전측 부분에 상기 제 2 분할 부재(220)의 후측 부분이 삽입되는 등 다른 다양한 결합 방식이 적용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상기와 같이 구성된 흡입 장치(200)의 작동에 대하여 간단히 설명한다.
먼저, 사용자가 상기 흡입 장치(200)를 입에 물고 흡입을 하면, 상기 흡입 감지 스위치(218)가 이를 감지하고, 상기 제어부(214)에 해당 감지값을 전달한다.
상세히, 사용자가 흡입을 시작하면, 상기 제 3 분할 부재(230) 케이스(231) 내부의 공기가 사용자의 입 속으로 유출되고, 순차적으로 상기 부압 형성부(216) 내의 공기도 유출되어, 상기 부압 형성부(216) 내에 부압이 형성된다. 상기 외기 도입 홀(216b)을 통해 소량의 공기가 지속적으로 유입됨으로써, 사용자의 흡입 과정 동안, 상기 부압 형성부(216) 내에 지속적으로 부압이 형성되도록 한다.
상기 부압 형성부(216) 내에 부압이 형성되면, 상기 흡입 감지 스위치(218)가 사용자의 흡입 여부를 감지하게 된다.
한편, 상기 감지값을 전달받은 상기 제어부(214)는 상기 발광 다이오드(213) 및 상기 기화 부재(222)에 작동 명령을 전달하고, 그에 따라 상기 발광 다이오드(213) 및 상기 기화 부재(222)는 상기 배터리(215)의 전원을 공급받아 각각 발광 및 발열을 하게 된다.
상기 기화 부재(222)가 발열하면, 그 열에 의해 전달된 니코틴 액이 기화되어 연기가 형성된다. 상기와 같이 형성된 연기는 상기 뚜껑(235)을 통해 사용자의 입 내부로 유출된다.
상기와 같은 흡입 장치(200)의 작동에 의해, 사용자는 실제 담배를 피우는 것과 유사한 느낌을 얻게 된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흡입 장치가 분리된 모습을 보이는 단면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흡입 장치가 결합된 모습을 보이는 단면도이다.
도 6 및 도 7을 함께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흡입 장치(300)는 전체적으로 상기된 제 2 실시예의 흡입 장치(200)와 유사하고, 아래의 기술 사항에 대하여 차이점이 있는 것으로, 그 중복되는 설명은 제 2 실시예에서 이미 기재된 내용으로 갈음하고 여기서는 생략한다.
제 1 분할 부재(310)의 케이스(311)는 내부에 배터리(315)가 배치되는 것이고, 기화 부재(322)와 상기 배터리(315)가 통전되도록 기화 부재 케이스인 제 2 분할 부재(320)의 케이스(321)와 연결될 수 있는 것으로, 이러한 측면에서 배터리 케이스로 정의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 2 분할 부재(320)의 케이스(321)와 분리된 상기 제 1 분할 부재(310)의 케이스(311)가 흡입 대상물 카트리지 케이스인 제 3 분할 부재(330)의 케이스(331)와 결합되어, 광 발산 부재(350)와 상기 배터리(315)가 통전 가능한 상태가 된다.
이러한 결합을 위하여, 예시적으로 상기 제 1 분할 부재(310)의 케이스(311) 전단에는 결합 돌기(319)가 형성되고, 상기 제 3 분할 부재(330)의 케이스(331) 후단에는 상기 결합 돌기(319)가 삽입될 수 있는 결합 홈(337)이 형성될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 4 실시예에 따른 광 발산 장치를 보이는 단면도이다.
도 8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광 발산 장치(450)는 공기를 정화시키는 공기 정화 부재(460)와, 공기 중에 음이온을 발산하는 음이온 발생 부재(470)를 포함한다.
상기 공기 정화 부재(460)는 상기 광 발산 장치(450)가 놓인 곳의 주변 공기를 정화시킬 수 있는 것으로, 예시적으로 공기 정화 필터(461)와, 공기 정화 팬(462)으로 구성될 수 있다.
도면 번호 459는 상기 광 발산 장치 케이스(451)를 관통하여 외부 공기가 유동되는 공기 유동 홀이다.
상기 공기 유동 홀(459) 상에 상기 공기 정화 필터(461)와 상기 공기 정화 팬(462)이 설치되어, 상기 공기 정화 팬(462)에 의해 기류가 형성되고, 그러한 기류가 상기 공기 정화 필터(461)를 지나면서 공기 중의 먼지, 미생물 등이 제거되면서 공기 정화가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음이온 발생 부재(470)는 상기 광 발산 장치(450)가 놓인 곳의 주변 공기 중에 음이온을 발산시킬 수 있는 것으로, 예시적으로 상기 공기 유동 홀(459) 상에 설치되고, 활성탄 등으로 형성되어, 상기 공기 유동 홀(459)을 따라 유동되는 공기 중에 음이온을 발산할 수 있다.
물론, 상기와 같은 방법 외에 다양한 방법, 이를테면, 상기 광 발산 장치 케이스(451) 전체 또는 일부에 활성탄 등이 도포 또는 성형 시 함유되어 상기 광 발산 장치 케이스(451) 전방 또는 일방으로 음이온이 발산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활성탄을 이용한 방식 이외에 다양한 방식으로 음이온이 형성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여기서, 상기 공기 정화 부재(460)와 상기 음이온 발생 부재(470)가 모두 적용되는 것으로 제시되나, 이는 예시적인 것이고, 상기 공기 정화 부재(460)와 상기 음이온 발생 부재(470) 중 어느 하나가 선택적으로 적용될 수도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면, 상기 광 발산 장치(450)가 배치되는 곳의 주변 공기가 정화되거나 그러한 주변 공기 중에 음이온이 발산될 수 있다.
상기에서 본 발명은 특정한 실시예에 관하여 도시되고 설명되었지만, 당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알 수 있을 것이다. 그렇지만 이러한 수정 및 변형 구조들은 모두 본 발명의 권리범위 내에 포함되는 것임을 분명하게 밝혀두고자 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광 발산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흡입 장치용 흡입 대상물 카트리지에 의하면, 휴대 및 이동이 간편하면서 자외선, 적외선 등의 광 조사가 가능하고, 흡입 장치 내부 부품에 대한 살균 건조가 가능하므로, 그 산업상 이용 가능성이 높다고 하겠다.

Claims (18)

  1. 광 발산 장치 케이스; 및
    상기 광 발산 장치 케이스 표면 전체를 통해 자외선과 적외선 중 적어도 하나를 발산할 수 있는 광 발산 부재;를 포함하는 광 발산 장치.
  2. 광 발산 장치 케이스;
    상기 광 발산 장치 케이스 표면 전체 또는 상기 광 발산 장치 케이스 표면 일부를 통해 자외선과 적외선 중 적어도 하나를 발산할 수 있는 광 발산 부재; 및
    상기 광 발산 부재가 상기 광 발산 장치 케이스 표면 전체와 상기 광 발산 장치 케이스 표면 일부 중 어느 하나를 통해 자외선과 적외선 중 적어도 하나를 발산하도록 선택할 수 있도록 하는 선택 부재;를 포함하는 광 발산 장치.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외부 광에 의해 충전될 수 있는 충전 부재;를 포함하는 광 발산 장치.
  4.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광 발산 부재 케이스는 유연한 재질로 이루어져서, 상기 광 발산 부재 케이스가 놓이는 환경에 적합하게 변형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 발산 장치.
  5.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광 발산 부재 케이스에는 야광 물질이 도포되거나 야광 물질이 혼합되어 제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 발산 장치.
  6.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외부와 유무선 통신을 통해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는 통신 부재,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는 메모리 부재, 음향을 발생 또는 재생시킬 수 있는 음향 발생 부재, 외부 소리를 녹취할 수 있는 녹음 부재, 외부 이미지를 녹화할 수 있는 녹화 부재 및 상기 광 발산 부재의 온오프 시간을 예약할 수 있는 타이머 부재, 상기 광 발산 장치 케이스 내부의 온도와 상기 광 발산 장치 케이스 외부의 온도 중 적어도 하나를 감지하여 상기 감지된 온도에 따라 상기 광 발산 부재의 발광량을 조절하거나 상기 광 발산 부재를 온오프시킬 수 있는 온도 감지 부재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광 발산 장치.
  7.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외부 장치의 유에스비(USB) 포트에 연결되어, 상기 외부 장치와 데이터 교환을 하거나, 충전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 발산 장치.
  8.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광 발산 장치 케이스와 상기 광 발산 부재 중 적어도 하나는 항균 또는 살균 처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 발산 장치.
  9.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광 발산 장치 케이스와 상기 광 발산 부재 중 적어도 하나는 금, 은, 옥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 발산 장치.
  10.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광 발산 장치 케이스와 상기 광 발산 부재 중 적어도 하나는 발향(發香) 성분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 발산 장치.
  11.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광 발산 장치 케이스에는 상기 광 발산 장치에 관련된 정보를 표시할 수 있는 디스플레이 부재가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 발산 장치.
  12. 내부에 수용된 흡입 대상물을 사용자가 흡입할 수 있게 하는 흡입 장치를 구성하는 흡입 장치용 흡입 대상물 카트리지에 있어서,
    상기 흡입 대상물이 수용될 수 있는 공간을 제공하는 흡입 대상물 수용 부재; 및
    자외선과 적외선 중 적어도 하나를 발산하는 광 발산 부재;를 포함하는 흡입 장치용 흡입 대상물 카트리지.
  13.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흡입 장치는
    상기 흡입 대상물을 기화시킬 수 있는 기화 부재;
    상기 기화 부재가 내부에 배치되는 기화 부재 케이스; 및
    상기 기화 부재 케이스와 착탈될 수 있고, 상기 흡입 대상물 수용 부재가 내부에 배치되는 흡입 대상물 카트리지 케이스;를 포함하고,
    상기 광 발산 부재는 상기 흡입 대상물 카트리지 케이스에 배치되며,
    상기 흡입 대상물 카트리지 케이스와 상기 기화 부재 케이스가 결합되면, 상기 흡입 대상물 수용 부재에 수용된 상기 흡입 대상물이 상기 기화 부재로 전달되어 기화될 수 있고, 상기 흡입 대상물 카트리지 케이스 내의 상기 광 발산 부재가 상기 기화 부재 쪽으로 자외선과 적외선 중 적어도 하나를 발산할 수 있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입 장치용 흡입 대상물 카트리지.
  14.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광 발산 부재는 상기 기화 부재를 살균 건조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입 장치용 흡입 대상물 카트리지.
  15.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흡입 장치는 상기 기화 부재에 전기 에너지를 공급할 수 있는 배터리;를 포함하고,
    상기 흡입 대상물 카트리지 케이스와 상기 기화 부재 케이스가 결합되면, 상기 광 발산 부재는 상기 배터리와 통전 가능한 상태가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입 장치용 흡입 대상물 카트리지.
  16.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흡입 장치는
    상기 기화 부재에 전기 에너지를 공급할 수 있는 배터리; 및
    상기 배터리가 내부에 배치되고, 상기 기화 부재와 상기 배터리가 통전되도록 상기 기화 부재 케이스와 연결될 수 있는 배터리 케이스;를 포함하고,
    상기 기화 부재 케이스와 분리된 상기 배터리 케이스와 상기 흡입 대상물 카트리지 케이스가 결합되어, 상기 광 발산 부재와 상기 배터리가 통전 가능한 상태가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입 장치용 흡입 대상물 카트리지.
  17.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공기를 정화시키는 공기 정화 부재;를 포함하는 광 발산 장치.
  18.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공기 중에 음이온을 발산하는 음이온 발생 부재;를 포함하는 광 발산 장치.
KR1020110053586A 2011-06-02 2011-06-02 광 발산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흡입 장치용 흡입 대상물 카트리지 KR10125001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53586A KR101250014B1 (ko) 2011-06-02 2011-06-02 광 발산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흡입 장치용 흡입 대상물 카트리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53586A KR101250014B1 (ko) 2011-06-02 2011-06-02 광 발산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흡입 장치용 흡입 대상물 카트리지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10000025 Division 2011-01-03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79000A true KR20120079000A (ko) 2012-07-11
KR101250014B1 KR101250014B1 (ko) 2013-04-03

Family

ID=4671216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53586A KR101250014B1 (ko) 2011-06-02 2011-06-02 광 발산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흡입 장치용 흡입 대상물 카트리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50014B1 (ko)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4936Y1 (ko) * 2002-09-13 2003-02-19 윤제호 휴대폰 케이스
KR101067388B1 (ko) * 2009-03-13 2011-09-23 (주)대승 휴대용 신발 살균장치
KR20110032329A (ko) * 2009-09-22 2011-03-30 전은령 싱크대 하수구용 미니 살균장치
KR101023247B1 (ko) * 2010-12-03 2011-03-21 문주아 도서 소독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250014B1 (ko) 2013-04-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878214B1 (en) Portable charging device for electronic cigarette
JP7157848B2 (ja) エアロゾル生成装置及びその制御方法
CN206314582U (zh) 吸入器装置
US20220040423A1 (en) Mobile inhaler and a container for using therewith
JP6545226B2 (ja) 電子式吸入装置
ES2901051T3 (es) Fuente de alimentación desmontable para un dispositivo de suministro de aerosol
JP6605590B2 (ja) 手持ち式蒸気化装置
RU2739545C2 (ru) Система подачи питания для переносного генерирующего аэрозоль устройства
KR20190049389A (ko) 에어로졸 생성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US20150351456A1 (en) Electronic cigarette
KR101326661B1 (ko) 액체 기화 흡입형 전자담배
CN107183785A (zh) 蒸气输送装置
JP6826798B2 (ja) 吸引具
JP2012005412A (ja) 霧化装置に用いる薬液、及び霧化装置
KR102099929B1 (ko) 에어로졸 생성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KR20120089544A (ko) 흡입 장치, 상기 흡입 장치에 적용되는 발열 냉각 부재 및 상기 흡입 장치가 결합될 수 있는 발열 냉각 장치
CN114929040A (zh) 用于使组合物蒸发的模块化蒸发器系统和方法
JP7324741B2 (ja) エアロゾル送達装置のためのビデオ分析カメラシステム
KR20120092771A (ko) 기화 흡입 장치 및 상기 기화 흡입 장치에 적용되는 기화 부재
KR101250014B1 (ko) 광 발산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흡입 장치용 흡입 대상물 카트리지
KR101269244B1 (ko) 기화 흡입 장치
US20220322750A1 (en) Electronic cigarette assembly
KR101250017B1 (ko) 흡입 장치 및 상기 흡입 장치에 적용되는 음이온 발생 부재
KR200472607Y1 (ko) 흡입 장치, 상기 흡입 장치용 전기 공급 부재 케이스, 상기 흡입 장치용 기화 부재 케이스 및 상기 흡입 장치용 흡입 대상물 수용 부재 케이스
KR20200022406A (ko) 휴대용 담배 연기 저감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