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078838A - 휴대단말의 영상통화 제공 방법 및 장치 - Google Patents

휴대단말의 영상통화 제공 방법 및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078838A
KR20120078838A KR1020110000110A KR20110000110A KR20120078838A KR 20120078838 A KR20120078838 A KR 20120078838A KR 1020110000110 A KR1020110000110 A KR 1020110000110A KR 20110000110 A KR20110000110 A KR 20110000110A KR 20120078838 A KR20120078838 A KR 2012007883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mage
mobile terminal
video
value
comman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0011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준재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1000011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20078838A/ko
Priority to US13/337,537 priority patent/US20120169828A1/en
Publication of KR2012007883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78838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7/00Television systems
    • H04N7/14Systems for two-way working
    • H04N7/141Systems for two-way working between two video terminals, e.g. videophone
    • H04N7/147Communication arrangements, e.g. identifying the communication as a video-communication, intermediate storage of the signa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4Digital output to display device ; Cooperation and interconnection of the display device with other functional uni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38Transceivers, i.e. devices in which transmitter and receiver form a structural unit and in which at least one part is used for functions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 H04B1/40Circui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5/00Network arrangements, protocols or services for supporting real-time applications in data packet communication
    • H04L65/1066Session management
    • H04L65/1069Session establishment or de-establishmen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5/00Network arrangements, protocols or services for supporting real-time applications in data packet communication
    • H04L65/60Network streaming of media packets
    • H04L65/75Media network packet handling
    • H04L65/756Media network packet handling adapting media to device capabiliti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5/00Network arrangements, protocols or services for supporting real-time applications in data packet communication
    • H04L65/80Responding to Qo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7/00Television systems
    • H04N7/14Systems for two-way working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20/00Control of display operating conditions
    • G09G2320/10Special adaptations of display systems for operation with variable images
    • G09G2320/106Determination of movement vectors or equivalent parameters within the image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40/00Aspects of display data processing
    • G09G2340/04Changes in size, position or resolution of an image
    • G09G2340/0407Resolution change, inclusive of the use of different resolutions for different screen areas
    • G09G2340/0435Change or adaptation of the frame rate of the video stream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ultimedia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 Two-Way Televisions, Distribution Of Moving Picture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휴대단말들 간의 영상통화 시 상대 휴대단말로부터 수신되는 영상의 화질을 적응적으로 개선할 수 있는 방법 및 이를 지원하는 휴대단말에 관한 것으로, 이러한 본 발명은 휴대단말의 영상통화 제공 방법에 있어서, 상대 휴대단말과 영상통화를 연결하는 과정과, 상기 영상통화 연결에 따라 상기 상대 휴대단말이 전송하는 영상을 수신하는 과정과, 수신된 수신 영상의 특성을 판단하는 과정과, 상기 수신 영상의 특성에 따라 영상품질변경 커맨드를 생성하는 과정과, 상기 생성된 영상품질변경 커맨드를 상기 상대 휴대단말로 전송하는 과정을 포함한다.

Description

휴대단말의 영상통화 제공 방법 및 장치{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VIDEO TELEPHONY OF A MOBILE TERMINAL}
본 발명은 휴대단말의 영상통화 제공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본 발명은 휴대단말들 간의 영상통화 시 수신되는 영상의 화질을 적응적으로 개선할 수 있는 방법 및 이를 지원하는 휴대단말에 관한 것이다.
최근 디지털 기술의 발달과 함께 이동통신 단말기,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전자수첩, 스마트 폰, 태블릿 PC(Personal Computer) 등과 같이 이동하면서 통신 및 개인정보 처리가 가능한 휴대단말들이 다양하게 출시되고 있다. 이러한 휴대단말은 급속한 기술 발전을 통해 초기의 단순한 음성 통화 및 단문메시지 전송 기능에서 영상통화, 전자수첩기능, 인터넷 기능 등과 같이 다양한 기능을 구비하게 되었다. 그리고 상기 휴대단말은 최근 디지털 카메라 기능이 추가로 구비되어가고 있는 추세이다. 이에 따라, 상기 휴대단말은 원하는 동영상 또는 정지 영상을 손쉽게 촬영하여 저장하고, 이를 기반으로 하는 영상 전송 기능이 사용자들에게 제공되고 있다. 특히, 최근에는 상기와 같은 디지털 카메라 기능과 접목하여 상기 영상통화 기능이 주목받고 있다.
현재 3G 네트워크에서의 영상통화는 국제 표준 규격인 3G-324M 프로토콜에 의해 서비스 되며 표준에서 권고하는 비디오, 오디오 그리고 데이터의 최대 용량은 데이터 전송 장치의 용량에 따라 다르지만, 일반적으로 3G 네트워크에서의 영상통화를 위한 용량은 64kbps이다. 즉, 종래 영상 통화는 3G 네트워크의 최대 통신 대역폭인 64kbps 안에서 비디오와 오디오의 비트 레이트(Bit rate)를 조정하여 사용하게 되며, 일반적으로 비디오는 최대 48 ~ 50kbps, 오디오는 4 ~ 12kbps, 데이터는 2kbps 정도의 비율로 운용되고 있다.
한편, 종래의 휴대단말에서는 영상통화 제공 시 사용자 선택에 따라 상대 휴대단말로부터 수신 받는 영상의 화질 개선을 상대 휴대단말로 요청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휴대단말 사용자는 영상통화 중 상대 휴대단말로부터 수신되어 나타나는 영상의 품질이 낮은 경우 휴대단말의 메뉴 호출, 호출된 메뉴에서 관련 기능 탐색, 탐색된 상위 항목(예컨대, 화질 개선 메뉴) 선택, 선택된 상위 항목 내의 하위 항목(예컨대, 전송받고자 하는 프레임 레이트) 선택 등의 복잡한 절차를 걸쳐 상대 휴대단말로 화질 개선을 요청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휴대단말을 이용한 영상통화 중에 상대 휴대단말로부터 수신 받는 영상의 화질 개선을 요청하기 위해서는 앞서와 같은 복잡한 과정을 거쳐야 하는 불편한 문제점이 있다. 더욱이, 현재 휴대단말 사용자의 경우 영상통화 중에 화질 개선을 위한 영상 품질 개선 기능조차도 인지하고 못한 실정이다. 따라서 사용자는 영상통화 중 화질이 떨어지는 경우 휴대단말의 불량 또는 네트워크 불량으로 치부하는 경향이 다분하다. 또한 종래에서는 사용자가 직접 상대 휴대단말의 프레임 레이트 전송을 결정하기 때문에, 사용자 선택이 잘못 지정되거나 또는 사용자가 영상 품질 개선 기능을 정확히 숙지하지 못하는 경우에는 잘못된 정보를 상대 휴대단말로 전송함에 따라 더욱 악화된 화질의 영상으로 영상통화를 수행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휴대단말들 간의 영상통화 중 송수신되는 영상의 화질을 적응적으로 개선하여 영상통화의 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는 방법 및 이를 지원하는 휴대단말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휴대단말들 간의 영상통화 중 수신되는 영상의 특성에 따라 상대 휴대단말의 영상 품질을 변경하여 전송할 것을 요청하여 보다 개선된 화질에 의한 영상통화를 제공할 수 있는 방법 및 이를 지원하는 휴대단말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휴대단말들 간의 영상통화 중 상대 휴대단말로부터 수신 받는 영상의 프레임 레이트를 변경하여 전송할 것을 상대 휴대단말로 요청하는 영상품질변경 커맨드를 수신 영상의 특성에 따라 적응적으로 결정하여 상대 휴대단말로 전송할 수 있는 방법 및 이를 지원하는 휴대단말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휴대단말들 간의 영상통화 중 쌍방에서 수신 받는 영상의 화질 개선을 위한 최적의 환경을 구현하여 보다 개선된 화질에 의한 영상통화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방법 및 이를 지원하는 휴대단말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방법은, 휴대단말의 영상통화 제공 방법에 있어서, 상대 휴대단말과 영상통화를 연결하는 과정과, 상기 영상통화 연결에 따라 상기 상대 휴대단말이 전송하는 영상을 수신하는 과정과, 수신된 수신 영상의 특성을 판단하는 과정과, 상기 수신 영상의 특성에 따라 영상품질변경 커맨드를 생성하는 과정과, 상기 생성된 영상품질변경 커맨드를 상기 상대 휴대단말로 전송하는 과정을 포함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는, 상기 방법을 프로세서에서 실행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를 포함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장치는, 휴대단말에 있어서, 상기 휴대단말의 영상통화 시 피사체의 영상을 수집하는 카메라 모듈과, 상기 휴대단말의 영상통화 시 상기 카메라 모듈에서 전달되는 영상과 상대 휴대단말로부터 수신 받는 수신 영상을 표시하는 표시부와, 상기 휴대단말의 영상통화 시 상기 수신 영상의 특성 분석을 위한 임계값을 저장하는 저장부와, 상기 휴대단말의 영상통화 중 상기 수신 영상의 특성을 판단하고, 전송 영상의 데이터량을 조정하여 전송할 것을 요청하는 영상품질변경 커맨드를 상기 수신 영상의 특성에 따라 생성하여 상기 상대 휴대단말로 전송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전술한 바와 같은 내용들은 당해 분야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후술되는 본 발명의 구체적인 설명으로부터 보다 잘 이해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특징들 및 기술적인 장점들을 다소 넓게 약술한 것이다. 이러한 특징들 및 장점들 이외에도 본 발명의 청구범위의 주제를 형성하는 본 발명의 추가적인 특징들 및 장점들이 후술되는 본 발명의 구체적인 설명으로부터 잘 이해될 것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서 제안하는 휴대단말의 영상통화 제공 방법 및 장치에 따르면, 휴대단말들 간 영상통화 중 수신 받는 영상의 특성을 분석하고, 분석된 영상의 특성에 따라 영상품질변경 커맨드를 적응적으로 결정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르면 결정된 영상품질변경 커맨드를 상대 휴대단말로 자동 전송하고, 상대 휴대단말은 수신된 영상품질변경 커맨드에 따라 송신하는 영상의 프레임 레이트를 변경하여 전송할 수 있다. 이러한 본 발명에 따르면 휴대단말들 간의 영상통화 시 상대 휴대단말로부터 수신 받는 영상의 화질을 적응적, 실시간적으로 개선하여 영상통화 서비스의 질을 높일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상대 휴대단말로부터 수신 받는 수신 영상의 특성에 따라 상대 휴대단말이 전송하는 영상의 데이터량 조정을 요청하는 영상품질변경 커맨드를 자동 생성하여 전송할 수 있다. 이에 의해, 사용자는 영상통화 중에도 별다른 조작 없이도 보다 개선된 화질의 영상에 의해 영상통화 서비스를 지원받을 수 있다.
이러한 본 발명의 영상통화 기능은 모든 형태의 휴대단말에서 구현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르면 영상통화 중 휴대단말에서 자동으로 수신 영상의 특성을 분석하고 수신 영상의 특성에 따라 영상품질변경 커맨드를 자동 생성하여 전송하도록 함으로써, 영상통화 서비스 운용에 따른 사용자의 편의성을 향상시키고, 휴대단말의 사용성 및 경쟁력을 향상시키는 데 기여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휴대단말들 간의 영상통화 수행 동작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휴대단말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휴대단말의 영상통화 제공 방법을 도시한 흐름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휴대단말에서 수신 영상의 특성별로 영상품질변경 커맨드를 결정하는 방법을 도시한 흐름도.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들을 상세히 설명한다. 이때, 첨부된 도면들에서 동일한 구성 요소는 가능한 동일한 부호로 나타내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리게 할 수 있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할 것이다. 즉, 하기의 설명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동작을 이해하는데 필요한 부분만이 설명되며, 그 이외 부분의 설명은 본 발명의 요지를 흩트리지 않도록 생략될 것이라는 것을 유의하여야 한다.
제안하는 본 발명은 보다 개선된 화질 개선을 통해 영상통화를 제공할 수 있는 방법 및 이를 지원하는 휴대단말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휴대단말들 간 영상통화 중 수신 받는 영상의 특성을 분석하고, 분석된 영상의 특성에 따라 영상품질변경 커맨드를 적응적으로 결정할 수 있다. 그리고 결정된 영상품질변경 커맨드를 상대 휴대단말로 전송하고, 상대 휴대단말은 수신된 영상품질변경 커맨드에 따라 송신하는 영상의 프레임 레이트를 변경하여 전송할 수 있다. 이에 의해 휴대단말들 간 영상통화 시 보다 개선된 화질에 의한 영상통화를 지원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 상기 영상품질변경 커맨드는 수신 받는 영상의 프레임 레이트 변경을 상대 휴대단말로 요청하는 커맨드를 나타내며, "video Temporal-Spatial Tradeoff command"가 대표적으로 이용될 수 있다.
그러면 이하에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휴대단말의 구성 및 그의 동작 제어 방법에 대하여 하기 도면들을 참조하여 살펴보기로 한다. 하지만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휴대단말의 구성 및 그의 제어 방법이 하기에서 기술하는 내용에 제한되거나 한정되는 것은 아니므로 하기의 실시 예에 의거하여 다양한 실시 예들에 적용할 수 있음에 유의하여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휴대단말들 간의 영상통화 수행 동작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상기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영상통화 시스템은 제1 휴대단말(10)과 제2 휴대단말(2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 밖에도 상기 도 1에서는 생략하였으나 상기 시스템은 상기 제1 휴대단말(10)과 상기 제2 휴대단말(20) 간의 영상통화 서비스를 지원하기 위한 3G 통신 네트워크와 같은 네트워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휴대단말(10)과 제2 휴대단말(20)은 특정 사업자가 지원하는 네트워크에 속하여 캠핑(camping) 과정을 수행하고, 필요에 따라 네트워크를 기반으로 통신 서비스를 제공받을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1 휴대단말(10)을 상기 제2 휴대단말(20)로 영상통화 연결을 요청하는 발신 휴대단말인 것으로 하고, 제2 휴대단말(20)을 발신 휴대단말로부터 영상통화 연결 요청을 수신하는 수신 휴대단말인 것을 가정한다.
따라서 상기 제1 휴대단말(10)은 네트워크를 기반으로 동일 네트워크에 속하거나 또는 다른 사업자의 네트워크에 속한 제2 휴대단말(20)에게 영상통화 연결 요청 메시지를 전송할 수 있다. 그러면 상기 네트워크는 상기 제2 휴대단말(20)에게 상기 제1 휴대단말(10)이 전송하는 영상통화 연결 요청 메시지를 전달할 수 있다. 상기 제2 휴대단말(20)은 상기 네트워크를 통해 상기 제1 휴대단말(10)이 전송하는 영상통화 연결 요청 메시지를 수신하고, 사용자 제어에 따라 해당 영상통화 연결을 수락하는 영상통화 연결 수락 메시지를 상기 네트워크를 통해 상기 제1 휴대단말(10)에 전달할 수 있다.
이러한 절차에 의해, 상기 제1 휴대단말(10) 및 상기 제2 휴대단말(20)은 상기 네트워크의 데이터 전송 규약에 따라 시그널링 메시지를 송수신하여 영상통화에 필요한 규격을 협상하고, 협상된 규격에 따라 영상통화를 연결하여 영상통화를 수행할 수 있다(101단계).
다음으로, 제1 휴대단말(10)은 상기 제2 휴대단말(20)과 영상통화 중에 상기 제2 휴대단말(20)로부터 수신된 영상의 특성을 분석할 수 있다(103단계). 본 발명에서 수신 영상의 특성 분석은 수신된 영상이 영상의 움직임이 없는 정적인 영상에 해당하는지 또는 영상의 움직임이 많은 동적인 영상인지를 분석하는 것에 해당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수신된 영상이 정적인 영상인지 또는 동적인 영상인지에 대한 판단은 수신된 영상의 모션 벡터(motion vector)에 의해 결정될 수 있다. 이러한 수신 영상의 특성을 정적인 영상과 동적인 영상으로 구분하는 동작에 대해 후술하는 휴대단말의 동작 예시 및 그의 제어 방법에서 설명될 것이다.
다음으로, 제1 휴대단말(10)은 분석된 수신 영상의 특성에 따라 영상품질변경 커맨드(command)를 결정할 수 있다(105단계). 본 발명에서 영상품질변경 커맨드는 상대 휴대단말(예컨대, 상기 제2 휴대단말(20))이 전송하는 영상의 프레임 레이트(frame rate)를 변경하여 전송할 것을 상대 휴대단말(예컨대, 상기 제2 휴대단말(20))로 요청하는 커맨드를 나타내며, "video Temporal-Spatial Tradeoff command"가 대표적으로 이용될 수 있다. 이러한 수신 영상의 특성에 따라 영상품질변경 커맨드를 결정하여 전송하는 동작에 대해 후술하는 휴대단말의 동작 예시 및 그의 제어 방법에서 설명될 것이다.
다음으로, 제1 휴대단말(10)은 상기 결정된 영상품질변경 커맨드를 상기 제2 휴대단말(20)로 전송할 수 있다(107단계). 그러면, 상기 제2 휴대단말(20)은 상기 영상품질변경 커맨드에 따라 전송 영상의 프레임 레이트를 변경하여 상기 제1 휴대단말(10)로 전송함으로써 보다 개선된 화질에 의한 영상통화를 제공할 수 있다.
한편, 상기 도 1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수신 영상의 특성을 분석하고 그에 따라 영상품질변경 커맨드를 결정하여 전송하는 주체를 상기 제1 휴대단말(10)인 것으로 하여 설명하였다. 하지만,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수신 영상의 특성 분석 및 그에 따라 영상품질변경 커맨드를 결정하여 전송하는 것은 영상통화 중인 제1 휴대단말(10)과 제2 휴대단말(20) 모두에서 각각 수행될 수 있다. 즉, 상기 제1 휴대단말(10)과 제2 휴대단말(20)은 서로 영상통화 중에 상대 휴대단말로부터 수신되는 영상의 특성을 각각 분석하고, 그에 따라 영상품질변경 커맨드를 결정하여 상대 휴대단말로 각각 전송할 수 있다. 이에 의해, 제1 휴대단말(10)과 제2 휴대단말(20) 쌍방 간에 보다 개선된 화질에 의한 영상통화가 가능하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휴대단말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상기 도 2를 참조하면, 상기 휴대단말은 통신모듈(100), 카메라 모듈(200), 표시부(300), 저장부(400), 그리고 제어부(7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 밖에도 상기 휴대단말은 마이크(microphone)와 스피커(speaker)를 구비하는 오디오처리부, 디지털 방송(예컨대, DMB(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나 DVB(Digital Video Broadcasting)와 같은 이동 방송)의 수신과 재생을 수행하기 위한 디지털 방송모듈, 블루투스(BLUETOOTH) 통신 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블루투스 통신모듈, 인터넷 통신 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인터넷 통신모듈, 터치 기반의 입력을 위한 터치패드, 물리적인 키 입력을 지원하는 입력부, 그리고 상기와 같은 구성들에 전원 공급을 위한 배터리(battery) 등의 구성을 더 포함할 수 있으나, 그들에 대한 설명과 도시는 생략한다.
이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상기 휴대단말은 입력부 또는 터치스크린(touchscreen) 기능을 기반으로 영상통화를 위한 입력 신호가 발생하면 상기 카메라 모듈(200)을 활성화하여 영상을 수집하는 한편, 상기 통신모듈(100)을 기반으로 영상통화 연결 요청 메시지를 상대 휴대단말에 전송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휴대단말은 상대 휴대단말과 영상통화 중에 상대 휴대단말로부터 수신 받는 영상의 특성에 따라 전송 영상의 프레임 레이트 변경을 요청하는 영상품질변경 커맨드를 결정하고, 결정된 영상품질변경 커맨드를 영상통화 연결된 상대 휴대단말로 전송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휴대단말은 상대 휴대단말과 영상통화 중에 상대 휴대단말로부터 영상품질변경 커맨드를 수신하면, 카메라 모듈(200)을 통해 수집하여 전송하는 영상의 프레임 레이트를 상기 영상품질변경 커맨드에 따라 변경하여 상대 휴대단말로 전송할 수 있다. 이러한 본 발명에 의한 휴대단말들 간 영상통화 중에 보다 고품질의 영상을 기반으로 영상통화 서비스를 운용할 수 있다.
상기 통신모듈(100)은 이동통신 기반의 이동통신 서비스, 무선 랜(WLAN, Wireless Local Area Network) 기반의 인터넷 서비스(예컨대, Wi-Fi 서비스) 등과 같은 서비스를 지원하기 위한 모듈을 나타낸다. 상기 통신모듈(100)은 상기 휴대단말이 속하는 네트워크와 설정된 통신채널을 형성하고, 형성된 통신채널을 통한 데이터 송수신을 처리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 상기 통신모듈(100)은 영상통화 서비스 운용에 따른 다양한 데이터의 송수신을 처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휴대단말의 카메라 모듈(200)을 통해 수집된 영상의 송신, 상대 휴대단말에서 전송되는 영상의 수신, 영상통화 연결 요청 메시지의 송수신, 영상통화 연결 수락 메시지의 송수신, 영상품질변경 커맨드의 송신 등을 처리할 수 있다.
상기 카메라 모듈(200)은 사진 또는 동영상 촬영 기능을 담당한다. 특히, 상기 카메라 모듈(200)은 영상통화 서비스 운용에 따라 특정 피사체(예컨대, 사용자)의 영상을 수집할 수 있다. 이러한 카메라 모듈(200)은 렌즈를 통해 촬상되는 피사체의 영상을 촬영하며, 촬영된 영상의 광 신호를 전기적 신호(아날로그 신호)로 변환하는 카메라 센서(미도시)와, 상기 카메라 센서로부터 전달된 아날로그 신호를 디지털 신호로 변환하는 신호처리부(미도시)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카메라 센서는 CCD(Charge Coupled Device) 센서가 적용될 수 있고, 신호처리부는 DSP(Digital Signal Processor)로 구현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카메라 모듈(200)은 수집된 영상을 제어부(700)에 전달한다. 그리고 상기 카메라 모듈(200)은 수집된 영상을 프리뷰 형태 등으로 상기 표시부(300)에 전달할 수 있다.
상기 표시부(300)는 휴대단말의 동작 상태 및 동작과 관련된 데이터를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표시부(300)는 휴대단말의 홈스크린(home screen), 메시지 기능, 전자메일 기능, 인터넷 기능, 검색 기능, 통신 기능, 전자책(예컨대, e-book) 기능, 사진/동영상 촬영 기능, 사진/동영상 재생 기능, 이동 방송 재생 기능, 음악 재생 기능, 게임 기능 등 휴대단말에서 지원하는 어플리케이션들의 실행화면을 나타낼 수 있다. 특히, 상기 표시부(300)는 상기 휴대단말이 영상통화 서비스 운용 시 카메라 모듈(200)이 수집한 영상과 상대 휴대단말이 전송한 영상을 함께 나타낼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표시부(300)는 액정표시장치(LCD, Liquid Crystal Display)가 사용되는 것이 일반적이나, 발광다이오드(LED, Light Emitting Diode), 유기발광다이오드(OLED, Organic LED), 능동형 OLED(AMOLED, Active Matrix OLED) 등과 같은 다른 표시장치가 사용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표시부(300)는 앞서와 같은 실행화면(예컨대, 영상통화에 따른 쌍방의 영상들이 나타난 화면 등)을 표시할 때 상기 휴대단말의 회전 방향(또는 놓인 방향)에 따라 가로모드를 제공하거나 또는 세로모드를 제공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 상기 표시부(300)는 터치 기반의 입력을 지원하는 인터페이스를 구비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표시부(300)는 터치스크린 구성에 의해 터치 기반의 사용자 인터랙션 입력을 지원하고 상기 사용자 인터랙션 입력에 따른 입력신호를 생성하여 상기 제어부(700)로 전달할 수 있다.
상기 저장부(400)는 상기 휴대단말에서 실행되고 처리되는 각종 프로그램과 데이터를 저장하며, 하나 이상의 비휘발성 메모리와 휘발성 메모리로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비휘발성 메모리는 ROM(Read Only Memory), 플래시 메모리(flash memory) 등에 대응할 수 있으며, 상기 휘발성 메모리는 RAM(Random Access Memory) 등에 대응할 수 있다. 그리고 저장부(400)는 상기 휴대단말의 운영체제, 상기 표시부(300)의 표시 제어 동작과 관련된 프로그램과 데이터, 상기 표시부(300)를 이용한 입력 제어 동작과 관련된 프로그램과 데이터, 휴대단말의 영상통화 기능 제어 동작과 관련된 프로그램과 데이터 등을 지속적으로 또는 일시적으로 저장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 상기 저장부(400)는 보다 개선된 화질을 통한 영상통화 서비스를 운용하기 위한 임계값(threshold)(500)을 저장할 수 있다. 상기 임계값(500)은 상기 휴대단말의 영상통화 중 상대 휴대단말이 전송하여 수신되는 영상의 특성 분석을 위한 최소 기준 값 및 최대 기준 값을 나타낸다. 즉,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 상기 임계값(500)은 로우 임계값(LT, Low_Threshold)과 하이 임계값(HT, High_Threshold)으로 구분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저장부(400)는 상대 휴대단말로부터 수신 받는 영상의 특성에 따른 커맨드 정보(600)를 저장할 수 있다. 상기 커맨드 정보(600)는 화질 우선, 보통, 속도 우선으로 구분될 수 있다. 이에 대해, 후술하는 제어부(700)의 동작 예시 및 그의 제어 방법에서 설명될 것이다.
상기 제어부(700)는 상기 휴대단말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특히, 상기 제어부(700)는 본 발명의 영상통화 기능 운용과 관련된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어부(700)는 상기 휴대단말의 영상통화 서비스 운용 중 상기 통신모듈(100)을 통해 상대 휴대단말로부터 수신 받는 수신 영상의 특성을 분석할 수 있다. 그리고 제어부(700)는 분석된 수신 영상의 특성에 따라 상대 휴대단말의 전송 영상의 데이터량을 조정하여 전송할 것을 요청하는 영상품질변경 커맨드를 자동으로 생성하고, 생성된 영상품질변경 커맨드를 상기 통신모듈(100)을 통해 상기 상대 휴대단말로의 전송을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700)는 수신 영상의 특성이 정적인 영상에 해당하는 경우 데이터량을 높여(즉, 프레임 레이트를 낮춰) 영상을 전송할 것을 요청 즉, 전송 영상을 화질우선으로 전송할 것을 요청하는 영상품질변경 커맨드를 생성하여 상대 휴대단말로 전송할 수 있다. 또는 제어부(700)는 수신 영상의 특성이 동적인 영상에 해당하는 경우 데이터량을 줄여(즉, 프레임 레이트를 높여) 영상을 전송할 것을 요청 즉, 전송 영상을 속도우선으로 전송할 것을 요청하는 영상품질변경 커맨드를 생성하여 상대 휴대단말로 전송할 수 있다.
여기서, 제어부(700)는 수신된 영상의 모션벡터(MV, Motion Vector)를 기반으로 수신 영상의 특성이 정적인지 또는 동적인지를 판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700)는 수신된 영상을 매크로 블록(MB, Macro Block) 단위(예컨대, 8x8, 16x16, 32x32)로 복원하게 되는데, 특히 바로 이전에 처리한 이전 프레임의 원본 이미지와 현재 프레임의 결과(residual) 데이터와 상기 결과 데이터가 이전 프레임의 어디에 위치하였는지에 대한 정보(즉, 모션벡터)를 이용하여 둘을 합하여 현재 블록을 복원하며, 이러한 방법을 반복하여 프레임 전체를 복원하여 나타낸다.
이를 위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 상기 제어부(700)는 수신된 영상의 특성을 분석하는 모션벡터 분석부(80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모션벡터 분석부(800)는 상기 수신 영상에 대해 일정시간 수집된 모션벡터들의 절대값을 합산한 산출값을 산출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모션벡터는 이전 프레임에서 현재 블록과 가장 일치하는 지점(즉, 좌표)을 나타낸다. 다시 말해, 모션벡터의 경우 현재 프레임과 상기 현재 프레임의 앞뒤 프레임들 간의 상관관계가 높을수록 작아지고 상관관계가 낮을수록 커지는 특성을 가지고 있다. 예를 들어, 연속되는 두 프레임들의 영상 중 일부분만 변화하고 나머지 배경화면은 잘 변하지 않는다는 특성(상관도가 매우 높음)을 가지고 있다. 따라서 상기 모션벡터 분석부(800)는 이러한 특성을 이용하여 일정한 시간동안 각 프레임의 매크로 블록(MB, Macro Block)에 해당하는 총 모션벡터의 절대값을 합산한 산출값을 산출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모션벡터 분석부(800)는 일정 크기(예컨대, 8x8, 16x16, 32x32)의 매크로 블록 단위로 그 블록이 다음 프레임에 어떻게 이동하였는지를 예측(예컨대, 값의 비교를 통해 측정)하여 수신 영상의 모션벡터를 추정할 수 있다. 여기서, 일반적인 영상 기술에서는 현재 프레임의 매크로 블록 단위인 16x16 블록, 또는 8x8 블록 단위를 기준으로 이전 프레임의 해당 블록 주위의 일정 영역을 탐색하여 유사한 블록을 찾아낼 수 있다. 이때, 각 블록들 간의 유사성을 찾아내는 방법은 여러 방법이 사용될 수 있으며, 일반적으로 모든 계수 값의 절대차 평균값인 SAD(Sum of Absolute Differences)를 구하여 일정 범위 내에 들어오게 되면 유사한 것으로 판단하게 된다. 그리고 만약 계산된 SAD가 임계값보다 크면 유사 블록이 없는 것으로 인식한다.
한편, 상기 제어부(700)는 상기 모션벡터 분석부(800)에서 산출된 산출값과 미리 정의된 임계값(500)을 이용하여 영상품질변경 커맨드를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어부(700)는 상기 산출값이 상기 임계값(500)의 로우 임계값(LT)보다 미만일 시 그에 해당하는 커맨드 정보(600)(예컨대, 화질우선)를 추출하고, 추출된 커맨드 정보 기반으로 영상품질변경 커맨드의 커맨드 값을 화질우선에 대응하는 값(예컨대, command = 0)으로 할당하여 상기 영상품질변경 커맨드를 생성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700)는 상기 산출값이 상기 임계값(500)의 로우 임계값(LT)과 하이 임계값(HT)의 사이에 존재할 시 그에 해당하는 커맨드 정보(600)(예컨대, 보통)를 추출하고, 추출된 커맨드 정보 기반으로 영상품질변경 커맨드의 커맨드 값을 보통에 대응하는 값(예컨대, command = 1)으로 할당하여 상기 영상품질변경 커맨드를 생성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700)는 상기 산출값이 상기 임계값(500)의 하이 임계값(HT)을 초과할 시 그에 해당하는 커맨드 정보(예컨대, 속도우선)를 추출하고, 추출된 커맨드 정보 기반으로 상기 영상품질변경 커맨드의 커맨드 값을 속도우선에 대응하는 값(예컨대, command = 2)으로 할당하여 상기 영상품질변경 커맨드를 생성할 수 있다.
이러한 제어부(700)의 제어 동작에 대해 후술하는 휴대단말의 동작 예시 및 그의 제어 방법에서 설명될 것이다.
그 밖에도 상기 제어부(700)는 상기 휴대단말의 통상적인 기능과 관련된 각종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어부(700)는 특정 어플리케이션 실행 시 그의 운용 및 데이터 표시를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700)는 터치 기반의 입력 인터페이스에서 지원하는 다양한 입력 방식에 대응하는 입력신호를 수신하고 그에 따른 기능 운용을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700)는 유선통신 기반 또는 무선통신 기반으로 각종 데이터의 송수신을 제어할 수 있다.
한편, 상기 도 2에 나타낸 본 발명의 휴대단말은 바 타입, 폴더 타입, 슬라이드 타입, 스윙 타입, 플립 타입 등 모든 타입의 디바이스에 적용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휴대단말은 본 발명의 영상통화 기능을 지원하는 모든 정보통신기기, 멀티미디어기기 및 그에 대한 응용기기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휴대단말은 다양한 통신 시스템에 대응되는 각 통신 프로토콜들(communication protocols)에 의거하여 동작하는 이동통신 단말기를 비롯하여, 태블릿 PC(Personal Computer), 및 스마트 폰(Smart Phone) 등의 디바이스를 포함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휴대단말의 영상통화 제공 방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상기 도 3을 참조하면, 제어부(700)는 소정의 상대 휴대단말과 영상통화가 연결되면(301단계), 상기 상대 휴대단말에서 전송되는 영상을 수신할 수 있다(303단계). 이때, 상기 도 3에서는 생략하였으나, 상기 제어부(700)는 영상통화 연결 시 카메라 모듈(200)을 통해 수집된 영상과 상기 상대 휴대단말로부터 수신된 영상을 표시부(300)에 나타낼 수 있다.
다음으로, 제어부(700)는 상기 상대 휴대단말에서 전송되어 수신된 영상의 특성을 분석할 수 있다(305단계). 즉, 상기 제어부(700)는 수신된 영상이 정적인 영상인지 또는 동적인 영상인지를 분석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어부(700)는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은 모션벡터 분석부(800)에 의해 수신된 영상의 모션벡터(motion vector)를 분석하고 그에 따라 수신 영상이 정적인지 또는 동적인지 판단할 수 있다.
다음으로, 제어부(700)는 분석된 수신 영상의 특성에 따라 상기 상대 휴대단말로 요청할 프레임 레이트를 결정할 수 있다(307단계). 즉, 제어부(700)는 영상품질변경 커맨드를 위한 커맨드 값을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700)는 상기 수신 영상의 특성이 정적인 영상일 경우 "화질우선"에 따른 커맨드 값(예컨대, command = 0)을 결정하고, 상기 수신 영상의 특성이 동적인 영상일 경우 "속도우선"에 따른 커맨드 값(예컨대, command = 2)을 결정할 수 있다. 또는 제어부(700)는 상기 수신 영상의 특성이 정적이고 동적인 영상의 중간의 영상일 경우 "보통"에 따른 커맨드 값(예컨대, command = 1)을 결정할 수 있다.
다음으로, 제어부(700)는 결정된 프레임 레이트(즉, 커맨드 값)로 영상품질변경 커맨드를 생성하고(309단계), 생성된 영상품질 커맨드를 상기 상대 휴대단말로 전송할 수 있다(311단계). 여기서, 상기 결정된 커맨드 값을 포함하는 상기 영상품질 커맨드를 수신한 상기 상대 휴대단말은 상기 수신된 영상품질 커맨드의 커맨드 값에 따라 전송 영상의 프레임 레이트를 "화질우선", "보통", "속도우선" 중 어느 하나의 프레임 레이트로 변경하여 전송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상대 휴대단말은 상기 휴대단말과 영상통화 중에 상기 휴대단말로부터 영상품질변경 커맨드를 수신하면, 카메라 모듈(200)을 통해 수집하여 전송하는 영상의 프레임 레이트를 상기 영상품질변경 커맨드에 따라 조정하여 상기 휴대단말로 전송할 수 있다. 그러면 상기 휴대단말은 상기 영상품질변경 커맨드 전송 후 그에 따라 화질이 변경된 영상을 수신하여 상기 표시부(300)를 통해 나타낼 수 있다. 이에 의해, 본 발명에서는 휴대단말들 간의 영상통화 중에도 자동으로 영상의 화질 개선을 위한 시그널링을 수행하고, 이에 따라 쌍방 간에 보다 개선된 화질에 의한 영상통화 서비스를 지원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영상통화 중 상대 휴대단말로부터 수신 받는 영상의 특성을 분석해 정적으로 영상품질변경 커맨드를 결정하여 상대 휴대단말로 전송할 수 있다.
여기서, 휴대단말들 간의 영상통화 시 정해지 대역에서 전송 영상의 프레임 레이트와 전송 영상의 한 프레임당 화질은 트레이드오프(tradeoff) 관계에 있다. 따라서 영상통화 시 전송 영상의 프레임 레이트를 적절히 정함으로써 보다 개선된 화질의 영상을 제공할 수 있다. 즉, 영상통화 서비스에서 영상 전송에 할당된 전체 대역이 48Kbps라 가정할 시 프레임 레이트를 높일 경우 한 프레임에 할당되는 데이터량은 작아져 화면 한 장당 화질은 낮아지며, 반대로 프레임 레이트를 낮출 경우 한 프레임에 할당되는 데이터량은 커져 화면 한 장당 화질은 좋아진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수신 영상의 특성을 분석하여 수신 영상이 정적인 영상에 해당하는 경우 프레임 레이트를 낮춰 "화질우선"으로 영상을 전송하도록 하고, 수신 영상이 동적인 영상에 해당하는 경우 프레임 레이트를 높여 "속도우선"으로 영상을 전송하도록 영상품질변경 커맨드를 결정할 수 있다.
이때,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 수신 영상의 특성이 정적인지 또는 동적인지에 대한 판단은 수신된 영상의 모션벡터(MV, Motion Vector)에 따라 결정될 수 있다. 즉, 모션벡터의 경우 현재 프레임과 상기 현재 프레임의 앞뒤 프레임들 간의 상관관계가 높을수록 작아지고 상관관계가 낮을수록 커지는 특성을 가지고 있다.
이에,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는 이러한 특성을 이용하여 일정한 시간동안 수신된 영상의 각각의 매크로 블록(MB, Macro Block)에 해당하는 총 모션벡터의 절대값을 산출할 수 있다.
그리고 산출된 값(이하, 산출값)이 미리 정의된 임계값(500)보다 작을 경우 영상품질변경 커맨드의 커맨드 값을 "화질우선"에 대응하는 커맨드 값(예컨대, command = 0)으로 결정하고 결정된 커맨드 값을 포함하는 영상품질변경 커맨드를 상대 휴대단말로 전송함으로써 전송 영상의 프레임 레이트 변경을 요청(화질우선에 따라 프레임 레이트를 낮춰서 영상을 전송할 것을 요청)할 수 있다. 또한 산출값이 미리 정의된 임계값(500)을 초과할 경우 영상품질변경 커맨드의 커맨드 값을 "속도우선"에 대응하는 커맨드 값(예컨대, command = 2)으로 결정하고 결정된 커맨드 값을 포함하는 영상품질변경 커맨드를 상대 휴대단말로 전송함으로써 전송 영상의 프레임 레이트 변경을 요청(속도우선에 따라 프레임 레이트를 높여서 영상을 전송할 것을 요청)할 수 있다. 또한 산출값이 미리 정의된 임계값(500)의 사이에 존재하는 경우 영상품질변경 커맨드의 커맨드 값을 "보통"에 대응하는 커맨드 값(예컨대, command = 1)으로 결정하고 결정된 커맨드 값을 포함하는 영상품질변경 커맨드를 상대 휴대단말로 전송함으로써 전송 영상의 프레임 레이트 변경을 요청(보통에 따라 프레임 레이트를 변경하여 영상을 전송할 것을 요청)할 수 있다. 이를 정리하면 아래 <표 1>의 예시와 같이 나타낼 수 있다.
Figure pat00001
상기 <표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먼저 제어부(700)의 모션벡터 분석부(800)는 수신 영상의 특성 분석에 의해 일정한 시간동안 수신된 영상의 각각의 매크로 블록(MB, Macro Block)에 해당하는 총 모션벡터(MV)의 절대값을 합친 값(Sum of MV)을 산출할 수 있다. 즉, 모션벡터 분석부(800)는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산출값(Sum of MV)을 산출할 수 있다. 그리고 제어부(700)는 상기 모션벡터 분석부(800)에서 분석된 결과 즉, 상기 산출값(Sum of MV)과 미리 정의된 임계값(500)을 비교할 수 있다. 여기서, 제어부(700)는 산출값(Sum of MV)과 임계값(500)의 비교에 의해 상기 산출값(Sum of MV)이 상기 임계값(500)의 로우 임계값(LT, Low_Threshold)보다 미만인지, 상기 임계값(500)의 하이 임계값(HT, High_Threshold)보다 초과인지, 상기 임계값(500)의 로우 임계값(LT)과 하이 임계값(HT) 사이에 존재하는지 판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어부(700)는 산출값(Sum of MV)과 임계값(500)의 비교에 의해 상기 산출값(Sum of MV)이 임계값(500)의 로우 임계값(LT)보다 미만(즉, Sum of MV < Low_Threshold)이면 그에 따른 커맨드 정보(600)(예컨대, "화질우선")에 따라 커맨드 값을 "command = 0"으로 결정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700)는 산출값(Sum of MV)과 임계값(500)의 비교에 의해 상기 산출값(Sum of MV)이 임계값(500)의 로우 임계값(LT)과 하이 임계값(HT)의 사이(즉, Low_Threshold ≤ Sum of MV ≤ High_Threshold)이면 그에 따른 커맨드 정보(600)(예컨대, "보통")에 따라 커맨드 값을 "command = 1"로 결정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700)는 산출값(Sum of MV)과 임계값(500)의 비교에 의해 상기 산출값(Sum of MV)이 임계값(500)의 하이 임계값(HT)을 초과(즉, Sum of MV > High_Threshold)이면 그에 따른 커맨드 정보(600)(예컨대, "속도우선")에 따라 커맨드 값을 "command = 2"로 결정할 수 있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영상통화 또는 영상회의에 따라 상대 휴대단말로부터 수신되는 영상의 특성을 분석하고, 수신 영상의 특성에 따라 적응적으로 영상품질변경 커맨드의 커맨드 값을 자동으로 결정하여 상대 휴대단말로 전송할 수 있다. 이에 의해, 상대 휴대단말은 수신하는 영상품질변경 커맨드에 따라 전송 영상을 "화질우선", "보통", "속도우선" 중 어느 하나에 대응하는 프레임 레이트로 변경하여 전송할 수 있다. 이러한 본 발명에 따르면, 휴대단말에서 영상통화(또는 영상회의) 중 수신 영상의 특성에 따라 적응적으로 영상통화품질 변경 커맨드를 자동으로 전송함으로써 보다 개선된 화질의 영상에 의한 영상통화(또는 영상회의)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 수신 영상의 특성 분석 및 그에 따른 영상통화품질 커맨드 전송은 미리 정의된 일정 시간마다 주기적으로 수행되거나, 또는 수신 영상의 특성 분석에 의해 수신 영상의 큰 변화(예컨대, 모션벡터의 큰 변화)가 발생하는 경우에 수행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휴대단말에서 수신 영상의 특성별로 영상품질변경 커맨드를 결정하는 방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상기 도 4를 참조하면, 제어부(700)는 영상통화에 따라 상대 휴대단말로부터 수신된 영상의 모션벡터를 분석하고(401단계), 그에 따라 일정시간 수집된 모션벡터들의 결과를 산출할 수 있다(403단계). 예를 들어,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일정한 시간동안 각각의 매크로 블록(MB)에 해당하는 총 모션벡터의 절대값을 합친 산출값을 산출할 수 있다.
다음으로, 제어부(700)는 수신된 영상의 모션벡터를 기반으로 산출된 산출값과 미리 정의된 임계값(500)을 비교할 수 있다(405단계). 예를 들어, 제어부(700)는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산출값과 임계값(500)의 비교에 의해 상기 산출값이 상기 임계값(500)의 로우 임계값(LT)보다 미만인지, 상기 임계값(500)의 하이 임계값(HT)보다 초과인지, 상기 임계값(500)의 로우 임계값(LT)과 하이 임계값(HT) 사이에 존재하는지 판단할 수 있다.
다음으로, 제어부(700)는 상기 산출값이 상기 임계값(500)의 로우 임계값보다 미만인 것으로 판단하면(411단계), 상대 휴대단말로 요청할 프레임 레이트를 화질우선에 따른 프레임 레이트로 결정할 수 있다(413단계). 그리고 제어부(700)는 결정된 프레임 레이트에 따라 프레임 레이트를 변경하여 영상을 전송할 것을 요청하는 영상품질변경 커맨드(예컨대, 커맨드 값이 "0"으로 설정된 영상품질변경 커맨드)를 생성하고(441단계), 생성된 영상품질변경 커맨드를 상기 상대 휴대단말로 전송을 제어할 수 있다(443단계).
다음으로, 제어부(700)는 상기 산출값이 상기 임계값(500)의 로우 임계값 이상이고 하이 임계값 이하인 것으로 판단하면(421단계), 상대 휴대단말로 요청할 프레임 레이트를 보통에 따른 프레임 레이트로 결정할 수 있다(423단계). 그리고 제어부(700)는 결정된 프레임 레이트에 따라 프레임 레이트를 변경하여 영상을 전송할 것을 요청하는 영상품질변경 커맨드(예컨대, 커맨드 값이 "1"로 설정된 영상품질변경 커맨드)를 생성하고(441단계), 생성된 영상품질변경 커맨드를 상기 상대 휴대단말로 전송을 제어할 수 있다(443단계).
다음으로, 제어부(700)는 상기 산출값이 상기 임계값(500)의 하이 임계값보다 큰 것으로 판단하면(431단계), 상대 휴대단말로 요청할 프레임 레이트를 속도우선에 따른 프레임 레이트로 결정할 수 있다(433단계). 그리고 제어부(700)는 결정된 프레임 레이트에 따라 프레임 레이트를 변경하여 영상을 전송할 것을 요청하는 영상품질변경 커맨드(예컨대, 커맨드 값이 "2"로 설정된 영상품질변경 커맨드)를 생성하고(441단계), 생성된 영상품질변경 커맨드를 상기 상대 휴대단말로 전송을 제어할 수 있다(443단계).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영상통화 제공 방법은 다양한 컴퓨터 수단을 통하여 수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 명령 형태로 구현되어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는 프로그램 명령, 데이터 파일, 데이터 구조 등을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포함할 수 있다. 한편, 기록 매체에 기록되는 프로그램 명령은 본 발명을 위하여 특별히 설계되고 구성된 것들이거나 컴퓨터 소프트웨어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사용 가능한 것일 수도 있다.
상기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에는 하드디스크, 플로피디스크 및 자기 테이프와 같은 자기매체(Magnetic Media), CD-ROM(Compact Disc Read Only Memory), DVD(Digital Versatile Disc)와 같은 광기록 매체(Optical Media), 플로티컬 디스크(Floptical Disk)와 같은 자기-광 매체(Magneto-Optical Media), 및 ROM(Read Only Memory), RAM(Random Access Memory), 플래시 메모리 등과 같은 프로그램 명령을 저장하고 수행하도록 특별히 구성된 하드웨어 장치가 포함된다. 또한, 프로그램 명령에는 컴파일러에 의해 만들어지는 것과 같은 기계어 코드뿐만 아니라 인터프리터 등을 사용해서 컴퓨터에 의해서 실행될 수 있는 고급 언어 코드를 포함한다. 상술한 하드웨어 장치는 본 발명의 동작을 수행하기 위해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모듈로서 작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그 역도 마찬가지이다.
그리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는 상술한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 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그리고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한편, 본 명세서와 도면에 개시된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내용을 쉽게 설명하고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해 특정 예를 제시한 것일 뿐이며,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여기에 개시된 실시 예들 이외에도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바탕을 둔 다른 변형 예들이 실시 가능하다는 것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것이다.
10: 제1 휴대단말 20: 제2 휴대단말
100: 통신모듈 200: 카메라 모듈
300: 표시부 400: 저장부
500: 임계값 600: 커맨드 정보
700: 제어부 800: 모션벡터 분석부

Claims (15)

  1. 휴대단말의 영상통화 제공 방법에 있어서,
    상대 휴대단말과 영상통화를 연결하는 과정과,
    상기 영상통화 연결에 따라 상기 상대 휴대단말이 전송하는 영상을 수신하는 과정과,
    수신된 수신 영상의 특성을 판단하는 과정과,
    상기 수신 영상의 특성에 따라 영상품질변경 커맨드를 생성하는 과정과,
    상기 생성된 영상품질변경 커맨드를 상기 상대 휴대단말로 전송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의 영상통화 제공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판단하는 과정은
    상기 수신 영상의 모션벡터를 기반으로 상기 수신 영상이 정적인 영상에 해당하는지 또는 동적인 영상에 해당하는지 판단하는 과정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의 영상통화 제공 방법.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생성하는 과정은
    상기 수신 영상이 정적인 영상에 해당하는 경우 화질우선의 프레임 레이트로 영상을 전송할 것을 요청하는 커맨드 값을 할당하여 상기 영상품질변경 커맨드를 생성하는 과정과,
    상기 수신 영상이 동적인 영상에 해당하는 경우 속도우선의 프레임 레이트로 영상을 전송할 것을 요청하는 커맨드 값을 할당하여 상기 영상품질변경 커맨드를 생성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의 영상통화 제공 방법.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판단하는 과정은
    상기 수신 영상에 대해 일정시간 수집된 모션벡터들의 절대값을 합산한 산출값을 산출하는 과정과,
    상기 산출값과 미리 정의된 임계값을 비교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의 영상통화 제공 방법.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임계값은
    상기 수신 영상의 특성 분석을 위한 최소 기준 값인 로우 임계값과 상기 수신 영상의 특성 분석을 위한 최대 기준 값인 하이 임계값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의 영상통화 제공 방법.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생성하는 과정은
    상기 산출값이 상기 로우 임계값보다 미만일 시 화질우선에 대응하는 커맨드 값을 할당하여 상기 영상품질변경 커맨드를 생성하는 과정과,
    상기 산출값이 상기 로우 임계값 이상이고 상기 하이 임계값 이하일 시 보통에 대응하는 커맨드 값을 할당하여 상기 영상품질변경 커맨드를 생성하는 과정과,
    상기 산출값이 상기 하이 임계값을 초과할 시 속도우선에 대응하는 커맨드 값을 할당하여 상기 영상품질변경 커맨드를 생성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의 영상통화 제공 방법.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영상품질변경 커맨드는
    상기 상대 휴대단말의 전송 영상의 데이터량을 전송된 커맨드 값에 따라 조정하여 전송할 것을 요청하는 커맨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의 영상통화 제공 방법.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영상품질변경 커맨드 전송 후 그에 따라 화질이 변경된 영상을 수신하여 표시하는 과정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의 영상통화 제공 방법.
  9. 휴대단말에 있어서,
    상기 휴대단말의 영상통화 시 피사체의 영상을 수집하는 카메라 모듈과,
    상기 휴대단말의 영상통화 시 상기 카메라 모듈에서 전달되는 영상과 상대 휴대단말로부터 수신 받는 수신 영상을 표시하는 표시부와,
    상기 휴대단말의 영상통화 시 상기 수신 영상의 특성 분석을 위한 임계값을 저장하는 저장부와,
    상기 휴대단말의 영상통화 중 상기 수신 영상의 특성을 판단하고, 전송 영상의 데이터량을 조정하여 전송할 것을 요청하는 영상품질변경 커맨드를 상기 수신 영상의 특성에 따라 생성하여 상기 상대 휴대단말로 전송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임계값은
    상기 수신 영상의 특성 분석을 위한 최소 기준 값인 로우 임계값과 상기 수신 영상의 특성 분석을 위한 최대 기준 값이 하이 임계값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수신 영상이 정적인 영상에 해당하는지 또는 동적인 영상에 해당하는지 판단하고, 그 결과에 따라 화질우선의 영상 전송 또는 속도우선의 영상을 전송을 요청하는 커맨드 값을 할당하여 상기 영상품질변경 커맨드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수신 영상에 대해 일정시간 수집된 모션벡터들의 절대값을 합산한 산출값을 산출하는 모션벡터 분석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모션벡터 분석부의 산출값에 따라 상기 수신 영상이 정적인 영상에 해당하는지 또는 동적인 영상에 해당하는지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산출값과 미리 정의된 임계값의 상기 로우 임계값 및 상기 하이 임계값을 비교하고 그 결과에 따라 상기 영상품질변경 커맨드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산출값이 상기 로우 임계값보다 미만일 시 화질우선에 대응하는 커맨드 값을 할당하고, 상기 산출값이 상기 로우 임계값 이상이고 상기 하이 임계값 이하일 시 보통에 대응하는 커맨드 값을 할당하며, 상기 산출값이 상기 하이 임계값을 초과할 시 속도우선에 대응하는 커맨드 값을 할당하는 것에 의해 상기 영상품질변경 커맨드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
KR1020110000110A 2011-01-03 2011-01-03 휴대단말의 영상통화 제공 방법 및 장치 KR20120078838A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00110A KR20120078838A (ko) 2011-01-03 2011-01-03 휴대단말의 영상통화 제공 방법 및 장치
US13/337,537 US20120169828A1 (en) 2011-01-03 2011-12-27 Video telephony method and apparatus of mobile terminal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00110A KR20120078838A (ko) 2011-01-03 2011-01-03 휴대단말의 영상통화 제공 방법 및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78838A true KR20120078838A (ko) 2012-07-11

Family

ID=4638040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00110A KR20120078838A (ko) 2011-01-03 2011-01-03 휴대단말의 영상통화 제공 방법 및 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20120169828A1 (ko)
KR (1) KR20120078838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5108300A1 (ko) * 2014-01-17 2015-07-23 삼성전자주식회사 프레임률 제어 방법 및 그 전자 장치
CN109699052A (zh) * 2017-10-24 2019-04-30 中国移动通信有限公司研究院 一种VoLTE视频通话质量调整方法、装置、系统和介质

Families Citing this famil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34712B1 (ko) * 2012-02-03 2019-01-03 삼성전자주식회사 영상통화 시스템 및 그 제어 방법
US9355585B2 (en) 2012-04-03 2016-05-31 Apple Inc. Electronic devices with adaptive frame rate displays
FR3004570B1 (fr) * 2013-04-11 2016-09-02 Aldebaran Robotics Procede d'estimation de la deviation angulaire d'un element mobile relativement a une direction de reference
US9438652B2 (en) * 2013-04-15 2016-09-06 Opentv, Inc. Tiered content streaming
US20150146012A1 (en) * 2013-11-27 2015-05-28 Sprint Communications Company L.P. Video presentation quality display in a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KR20160074334A (ko) * 2014-12-18 2016-06-28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CN104980337B (zh) 2015-05-12 2019-11-22 腾讯科技(深圳)有限公司 一种音频处理的性能提升方法及装置
US10148964B2 (en) * 2016-11-03 2018-12-04 Ujet, Inc. Image quality management
US20230206884A1 (en) * 2021-12-27 2023-06-29 Synaptics Incorporated Activity-focused display synchronization

Family Cites Familie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I112584B (fi) * 2001-05-08 2003-12-15 Nokia Corp Menetelmä tiedonsiirtoverkon ominaisuuksien informoimiseksi, järjestelmä ja langaton päätelaite
KR100556861B1 (ko) * 2003-06-24 2006-03-10 엘지전자 주식회사 휴대 단말기 영상 통화 중 선택적 영상 전송 방법
FR2871015A1 (fr) * 2004-06-01 2005-12-02 France Telecom Procede de commutation entre deux services de telephonie
EP1603339A1 (en) * 2004-06-01 2005-12-07 STMicroelectronics S.r.l. Method and system for communicating video data in a packet-switched network, related network and computer program product therefor
JP4399809B2 (ja) * 2005-03-11 2010-01-20 日本ビクター株式会社 映像記録制御システム
US7535484B2 (en) * 2005-03-14 2009-05-19 Sony Ericsson Mobile Communications Ab Communication terminals that vary a video stream based on how it is displayed
KR100725186B1 (ko) * 2006-07-27 2007-06-04 삼성전자주식회사 이동통신 단말기의 화상 촬영 방법 및 그 장치
US8594180B2 (en) * 2007-02-21 2013-11-26 Qualcomm Incorporated 3D video encoding
KR101066830B1 (ko) * 2008-08-20 2011-09-26 삼성전자주식회사 통화 송수신 방법 및 이를 이용하는 통화 장치
GB2476077A (en) * 2009-12-10 2011-06-15 Skype Ltd Estimating VoIP call Quality before a call is set up
US8412842B2 (en) * 2010-08-25 2013-04-02 Telefonaktiebolaget L M Ericsson (Publ) Controlling streaming media responsive to proximity to user selected display elements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5108300A1 (ko) * 2014-01-17 2015-07-23 삼성전자주식회사 프레임률 제어 방법 및 그 전자 장치
US10373545B2 (en) 2014-01-17 2019-08-06 Samsung Electronics Co., Ltd. Frame rate control method and electronic device thereof
CN109699052A (zh) * 2017-10-24 2019-04-30 中国移动通信有限公司研究院 一种VoLTE视频通话质量调整方法、装置、系统和介质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20169828A1 (en) 2012-07-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20078838A (ko) 휴대단말의 영상통화 제공 방법 및 장치
US9654728B2 (en)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image
EP2813109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interoperably performing services and system supporting the same
KR101912602B1 (ko) 모바일단말기, 디스플레이장치 및 그 제어방법
EP2326136A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remote controlling bluetooth device
RU2624641C2 (ru) Способ и устройство для регулировки качества видео на основе сетевой среды
CN112423076B (zh) 一种音频投屏同步控制方法、设备及计算机可读存储介质
US9313368B2 (en) Method for compressing image data collected by camera and electronic device for supporting the method
CN108234876B (zh) 一种追踪对焦方法、终端和计算机可读存储介质
CN112672201B (zh) 一种录屏帧率控制方法、设备及计算机可读存储介质
KR101989016B1 (ko) 전자장치에서 영상통화중 파일 전송 방법 및 장치
US8941713B2 (en) Video phone call method having function of adjusting resolution quality and video phone call apparatus supporting the same
WO2019000414A1 (zh) 蜂窝网络中实现边缘计算的方法、装置、设备及基站
CN112398855A (zh) 应用内容跨设备流转方法与装置、电子设备
US9781380B2 (en) Method, apparatus and terminal for playing multimedia content
JP2013516901A (ja) 通信の途切れることのない転送
CN112433690B (zh) 数据处理方法、终端及计算机可读存储介质
CN113596231B (zh) 一种投屏显示控制方法、设备及计算机可读存储介质
CN104618674A (zh) 一种移动终端的视频录制方法及装置
JP6089458B2 (ja) 情報処理装置、会議システムおよびプログラム
US20180376362A1 (en) Video Optimization Method, User Equipment, And Network Device
CN106506326B (zh) 一种视频通话方法、终端及系统
CN113141541B (zh) 码率切换方法、装置、设备及存储介质
CN110177379B (zh) 基站接入方法及系统
JP5274750B2 (ja) 通信端末およびその表示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