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078359A - 자동차의 방향 지시등 제어 시스템 - Google Patents

자동차의 방향 지시등 제어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078359A
KR20120078359A KR1020100140638A KR20100140638A KR20120078359A KR 20120078359 A KR20120078359 A KR 20120078359A KR 1020100140638 A KR1020100140638 A KR 1020100140638A KR 20100140638 A KR20100140638 A KR 20100140638A KR 20120078359 A KR20120078359 A KR 2012007835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cceleration
information
vehicle
car
specific situ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14063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199866B1 (ko
Inventor
양우진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맥스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맥스포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맥스포
Priority to KR102010014063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99866B1/ko
Publication of KR2012007835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7835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9986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9986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QARRANGEMENT OF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FOR VEHICLES IN GENERAL
    • B60Q1/00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 B60Q1/26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ndicate the vehicle, or parts thereof, or to give signals, to other traffic
    • B60Q1/34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ndicate the vehicle, or parts thereof, or to give signals, to other traffic for indicating change of drive direction
    • B60Q1/346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ndicate the vehicle, or parts thereof, or to give signals, to other traffic for indicating change of drive direction with automatic actu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QARRANGEMENT OF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FOR VEHICLES IN GENERAL
    • B60Q1/00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 B60Q1/0017Devices integrating an element dedicated to another function
    • B60Q1/0023Devices integrating an element dedicated to another function the element being a sensor, e.g. distance sensor, camera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400/00Special features of vehicle units
    • B60Y2400/30Sensors
    • B60Y2400/304Acceleration sens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41/00Fittings for identifying vehicles in case of collision; Fittings for marking or recording collision area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Lighting Device Outwards From Vehicle And Optical Signal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자동차의 방향 지시등 제어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자동차의 가속도를 감지할 수 있는 USN 센서를 이용하여 자동으로 자동차의 방향 지시등(비상등을 포함함)을 제어함으로써 운전 미숙이나 갑작스런 돌발 상황에서도 방향 지시등이 자동차의 운행 정보에 따라 제어될 수 있도록 하는 기술이 개시된다.

Description

자동차의 방향 지시등 제어 시스템{TURN SIGNAL LAMP CONTROL SYSTEM OF CAR}
본 발명은 자동차의 방향 지시등 제어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특히, 방향 지시등을 자동으로 제어하기 위한 기술에 관한 것이다.
자동차는 필요한 이동수단이지만 초보 운전자가 운행하는 차량은 운행 미숙 및 자동차의 조작 미숙으로 인하여 다른 운전자들에게 위험 요소로 작용할 가능성이 크다.
또한, 자동차는 일정 나이 이상이 되면 누구나 소지하는 생활필수품이 되어 가고 있으며, 그 만큼 도로 상에는 차량이 많아지고 그에 비례하여 운전자가 예기치 못하는 돌발 상황이 빈번이 발생하기도 한다.
한편, 자동차에는 좌측 방향 지시등과 우측 방향 지시등이 구비되며, 좌측 방향 지시등과 우측 방향 지시등이 함께 점멸하는 경우에는 비상등으로 기능한다.
일반적으로 방향 지시등(좌측 방향 지시등, 우측 방향 지시등 및 비상들을 모두 포괄하는 개념으로 사용 함, 이하 동일한 개념으로 사용 함)은 자동차의 진로 방향이나 위급 상황을 다른 차량의 운전자에게 알리기 위해 조작 레버나 비상 버튼을 운전자가 조작함으로써 작동하게 되지만, 전술한 바와 같이 운전자가 예기치 못하는 돌발 상황이나 운전 미숙으로 인하여 방향 지시등의 조작을 놓치는 경우가 종종 발생한다. 그리고 이러한 점은 주변의 다른 차량에게 위험 요소로 작용한다.
따라서 자동차의 방향 지시등을 자동으로 제어하기 위한 기술이 대한민국 공개특허 1997-0037548호(발명의 명칭 : 자동차의 방향지시등 자동 점멸 장치)에서 참조되는 바와 같이 꾸준히 연구되고 있다.
그러나 방향 지시등이 조작되기 위한 상황과 조작되면 안 되는 상황들에 대한 가지의 수가 많아서 실제 적용상의 곤란함이 있고, 그로 인해 기존에 단편적으로 제안된 기술들이 아직까지 자동차에 적용되어진 예는 없는 것으로 안다.
본 발명은 USN(유비쿼터스 센서 네트워크) 센서를 이용하여 자동차의 방향 지시등을 자동적으로 제어할 수 있는 기술을 제공하는 것이다.
위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의 방향 지시등 제어 시스템은 자동차의 가속도를 감지한 후 감지된 정보를 무선 송신 시키는 감지장치; 및 상기 감지장치로부터 무선 송신되어 오는 정보를 수신한 후 수신된 정보를 기 설정된 기준치와 비교 분석하여 특정한 상황에 해당하는지를 판단하고, 특정한 상황에 해당한다고 판단된 경우 해당 특정한 상황에 맞는 방향 지시등(비상등을 포함함) 제어 명령을 생성하여 자동차의 제어부로 입력시키는 싱크노드; 를 포함하고, 상기 감지장치는, 자동차의 전후 방향으로의 가속도를 감지하는 제1 가속도 감지부; 핸들의 좌우 방향으로의 회전에 대한 가속도를 감지하는 제2 가속도 감지부; 자동차의 상하 방향으로의 진동에 대한 가속도를 감지하는 제3 가속도 감지부; 및 상기 제1 가속도 감지부, 제2 가속도 감지부 및 제3 가속도 감지부에 의해 감지된 정보를 상기 싱크노드로 무선 송신하는 무선 송신부; 를 포함한다.
상기 제1 가속도 감지부, 제2 가속도 감지부, 제3 가속도 감지부 및 무선 송신부는 하나의 부품으로 모듈화되어 구체적으로 핸들 상단의 중앙 부분에 장착된다.
상기 싱크노드는, 상기 감지장치로부터 무선 송신되어 오는 정보를 수신하기 위한 무선 수신부; 상기 무선 수신부를 통해 수신된 정보를 기 설정된 기준치와 비교 분석한 후 비교 분석한 결과가 특정한 상황에 해당하는지를 판단하는 비교 판단부; 상기 비교 판단부에서 특정한 상황에 해당한다고 판단된 경우에 해당 특정한 상황에 따른 방향 지시등 제어 명령을 생성하는 명령 생성부; 및 상기 명령 생성부에서 생성된 방향 지시등 제어 명령을 자동차의 제어부로 입력시키기 위한 명령 입력부; 를 포함한다.
상기 비교 판단부는 상기 제1 가속도 감지부로부터 오는 제1 가속도 정보를 기 설정된 제1 기준치와 비교하여 제1 가속도 정보가 제1 기준치를 초과하면 자동차가 급제동 상황 중에 있다고 판단한다.
상기 비교 판단부는 상기 제2 가속도 감지부 및 제3 가속도 감지부로부터 오는 제2 가속도 정보 및 제3 가속도 정보를 기 설정된 제2 기준치 및 제3 기준치와 비교 분석하여 자동차가 좌회전 상황 중에 있는지 우회전 상황 중에 있는지를 판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비교 판단부는 상기 무선 수신부를 통해 지속적으로 수신되는 정보를 기 설정된 기준치와 실시간으로 비교 분석함으로써 특정한 상황을 벗어났는지를 판단하고, 상기 명령 생성부는 상기 비교 판단부에서 특정한 상황을 벗어났다고 판단된 경우에 해당 특정한 상황에 따른 방향 지시등 제어 명령을 취소하기 위한 취소 명령을 생성한다.
상기 싱크노드는 상기 무선 수신부를 통해 수신된 정보 및 방향 지시등 제어 명령 정보를 자동차용 블랙박스로 제공하는 정보 제공부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정보 제공부는, 상기 비교 판단부에서 방향 지시등 제어가 이루어져야 하는 특정한 상황에 해당한다고 판단된 경우에만 동작하며, 동작 횟수를 카운팅함으로써 해당 운행에서 방향 지시등의 자동 제어횟수를 파악한 후 자동차의 운행이 정지되면 파악된 정보를 자동차용 블랙박스로 제공하는 것이 더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첫째, 방향 지시등의 자동 제어를 위해 USN 센서를 이용하기 때문에 설치가 간편하면서도 타 전자기기(예를 들어 블랙박스)와의 연동성이 좋다.
둘째, 자동차의 가속도를 감지하여 자동 제어의 판단 기준으로 하기 때문에 운행 상황에 적절한 자동 제어가 이루어질 수 있다.
셋째, 방향 지시등에 대한 자동 제어 정보나 자동 제어 횟수를 블랙박스에 제공하기 때문에 운전자가 차후에 사고 상황을 확인할 수 있거나 운전의 숙달 정도를 확인할 수 있게 된다.
도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자동차의 방향 지시등 제어 시스템에 대한 구성도이다.
도2는 도1의 방향 자동차의 방향 지시등 제어 시스템에 구성된 감지장치에 대한 블록도이다.
도3은 도1의 자동차의 방향 지시등 제어 시스템에 구성된 감지장치가 설치되는 위치를 설명하는데 참조하기 위한 참조도이다.
도4는 도1의 자동차의 방향 지시등 제어 시스템에 구성된 싱크노드에 대한 블록도이다.
이하 상기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되, 설명의 간결함을 위해 중복되는 설명은 가급적 생략하거나 압축한다.
도1에서 참조되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자동차의 방향 지시등 제어 시스템(100, 이하 '방향 지시등 제어 시스템'이라 약칭 함)은, 감지장치(110) 및 싱크노드(120) 등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감지장치(110)는, 자동차의 가속도를 감지한 후 감지된 정보를 싱크노드(120)로 무선 송신시키기 위해 마련되며, 도2에서 참조되는 바와 같이 제1 가속도 감지부(111), 제2 가속도 감지부(112), 제3 가속도 감지부(113) 및 무선 송신부(114) 등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제1 가속도 감지부(111)는 자동차의 전후 방향으로의 가속도를 감지하기 위해 마련된다.
제2 가속도 감지부(112)는 자동차 핸들의 좌우 방향으로의 회전에 대한 가속도를 감지하기 위해 마련된다.
제3 가속도 감지부(113)는 자동차의 상하 방향으로의 진동에 대한 가속도를 감지하기 위해 마련된다.
무선 송신부(114)는 상기한 제1 내지 제3 가속도 감지부(111 내지 113)에 의해 감지된 정보를 싱크노드(120)로 무선 송신하기 위해 마련된다.
일반적으로 USN 센서는 하나의 감지부에 하나의 무선 통신부를 가지지만, 본 발명에서의 감지장치(110)는 3개의 가속도 감지부(111 내지 113)에 하나의 무선 통신부(114)가 결합됨으로써 부품 단가를 절감할 수 있으며, 또한 제1 내지 제3 가속도 감지부(111 내지 113)와 무선 송신부(114)는 하나의 부품으로 모듈화되어 도3에서 참조되는 바와 같이 핸들(H) 상단의 중앙 부분에 장착되기 때문에 설치가 간편하다.
싱크노드(120)는, 감지장치(110)로부터 무선 송신되어 오는 정보를 수신한 후 수신된 정보를 기 설정된 기준치와 비교 분석하여 특정한 상황(급정지 상황, 좌회전 상황, 우회전 상황 중 어느 하나의 상황)에 해당하는지를 판단한 후 특정한 상황에 해당한다고 판단된 경우 해당 특정한 상황에 맞는 방향 지시등 제어 명령을 생성하여 자동차의 제어부(미도시)로 입력시키기 위해 마련되며, 도4에서 참조되는 바와 같이 무선 수신부(121), 비교 판단부(122), 명령 생성부(123), 명령 입력부(124) 및 정보제공부(125) 등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무선 수신부(121)는 감지장치(110)로부터 무선 송신되어 오는 정보를 수신하기 위해 마련된다.
비교 판단부(122)는 무선 수신부(121)를 통해 수신된 정보를 기 설정된 기준치와 비교 분석한 후 비교 분석한 결과가 특정한 상황에 해당하는지를 판단하기 위해 마련된다. 예를 들어 제1 가속도 감지부(111)로부터 오는 제1 가속도 정보를 기 설정된 제1 기준치(차동차의 전후 방향에 대한 가속도의 기준치)와 비교하여 제1 가속도 정보가 제1 기준치를 초과하면, 즉, 감속량 기준치보다 제1 가속도 정보에 따른 감속량이 더 크면 자동차가 급제동 상황 중에 있다고 판단하게 되는 것이다. 또, 제2 가속도 감지부(112) 및 제3 가속도 감지부(113)로부터 오는 제2 가속도 정보 및 제3 가속도 정보를 기 설정된 제2 기준치(핸들의 회전에 대한 가속도의 기준치) 및 제3 기준치(자동차의 상항 방향으로의 진동에 대한 가속도의 기준치)와 비교 분석하여 자동차가 좌회전 상황 중에 있는지 우회전 상황 중에 있는지 판단한다. 여기서 좌회전 상황인지 우회전 상황인지를 판단하는 경우에 제3 가속도 감지부(113)로부터 오는 제3 가속도 정보도 이용하는 이유는 대개의 자동차의 핸들(H)이 기울어져 있기 때문에 핸들(H)을 회전할 시에 제3 가속도 감지부(113)로부터도 상하 방향으로의 진동에 대한 가속도가 감지되기 때문에, 제2 가속도 감지부(112)로부터 얻어지는 정보에 제3 가속도 감지부(113)로부터 얻어지는 정보를 더 추가하여 비교 분석함으로써 더 정확한 분석이 가능하게 되고, 그 만큼 더 정교한 방향 지시등의 자동 제어가 이루어질 수 있기 때문이다.
한편, 비교 판단부(122)는 방향 지시등(미도시)이 자동 제어에 의해 조작되었을 때에는 무선 수신부(121)를 통해 지속적으로 수신되는 정보를 기 설정된 기준치와 실시간으로 비교 분석함으로써 자동차가 특정한 상황을 벗어났는지에 대해서도 판단한다.
명령 생성부(123)는 비교 판단부(122)에서 특정한 상황에 해당한다고 판단된 경우에 해당 특정한 상황에 따른 방향 지시등 제어 명령(좌회전 표시 명령, 우회전 표시 명령, 비상들 점멸 명령)을 생성한다. 또한, 명령 생성부(123)는 비교 판단부(122)에서 특정한 상황을 벗어났다고 판단된 경우에 해당 특정한 상황에 따른 방향 지시등 제어 명령을 취소하기 위한 취소 명령을 생성한다.
명령 입력부(124)는 명령 생성부(123)에서 생성된 방향 지시등 제어 명령을 자동차의 제어부로 입력시키기 위해 마련된다.
정보 제공부(125)는 무선 수신부(121)를 통해 수신된 정보 및 명령 생성부(123)에서 생성된 방향 지시등 제어 명령 정보를 자동차용 블랙박스(미도시)로 제공한다. 여기서 정보 제공부(125)는 비교 판단부(122)에서 방향 지시등 제어가 이루어져야 하는 특정한 상황에 해당한다고 판단된 경우에만 동작하는 것이 블랙박스의 메모리 용량에 대한 불필요한 손실을 방지할 수 있게 한다. 그리고 정보 제공부(125)가 자신의 동작 횟수를 카운팅하여 해당 운행에서 방향 지시등의 자동 제어횟수를 파악한 후 자동차의 운행이 정지되면 파악된 정보를 자동차용 블랙박스로 제공함으로써 차후 미숙한 운전자가 블랙박스를 통해 자신의 운전 숙달 정도를 확인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첨부된 도면을 참조한 실시예에 의해서 이루어졌지만, 상술한 실시예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예를 들어 설명하였을 뿐이기 때문에, 본 발명이 상기의 실시예에만 국한되는 것으로 이해되어져서는 아니 되며,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후술하는 청구범위 및 그 등가개념으로 이해되어져야 할 것이다.
100 : 자동차의 방향 지시등 제어 시스템
110 : 감지장치
111 : 제1 가속도 감지부 112 : 제2 가속도 감지부
113 : 제3 가속도 감지부 114 : 무선 송신부
120 : 싱크노드
121 : 무선 수신부 122 : 비교 판단부
123 : 명령 생성부 124 : 명령 입력부
125 : 정보 제공부

Claims (8)

  1. 자동차의 가속도를 감지한 후 감지된 정보를 무선 송신시키는 감지장치; 및
    상기 감지장치로부터 무선 송신되어 오는 정보를 수신한 후 수신된 정보를 기 설정된 기준치와 비교 분석하여 특정한 상황에 해당하는지를 판단하고, 특정한 상황에 해당한다고 판단된 경우 해당 특정한 상황에 맞는 방향 지시등(비상등을 포함함) 제어 명령을 생성하여 자동차의 제어부로 입력시키는 싱크노드; 를 포함하고,
    상기 감지장치는,
    자동차의 전후 방향으로의 가속도를 감지하는 제1 가속도 감지부;
    핸들의 좌우 방향으로의 회전에 대한 가속도를 감지하는 제2 가속도 감지부;
    자동차의 상하 방향으로의 진동에 대한 가속도를 감지하는 제3 가속도 감지부; 및
    상기 제1 가속도 감지부, 제2 가속도 감지부 및 제3 가속도 감지부에 의해 감지된 정보를 상기 싱크노드로 무선 송신하는 무선 송신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방향 지시등 제어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가속도 감지부, 제2 가속도 감지부, 제3 가속도 감지부 및 무선 송신부는 하나의 부품으로 모듈화되어 핸들 상단의 중앙 부분에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방향 지시등 제어 시스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싱크노드는,
    상기 감지장치로부터 무선 송신되어 오는 정보를 수신하기 위한 무선 수신부;
    상기 무선 수신부를 통해 수신된 정보를 기 설정된 기준치와 비교 분석한 후 비교 분석한 결과가 특정한 상황에 해당하는지를 판단하는 비교 판단부;
    상기 비교 판단부에서 특정한 상황에 해당한다고 판단된 경우에 해당 특정한 상황에 따른 방향 지시등 제어 명령을 생성하는 명령 생성부; 및
    상기 명령 생성부에서 생성된 방향 지시등 제어 명령을 자동차의 제어부로 입력시키기 위한 명령 입력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방향 지시등 제어 시스템.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비교 판단부는 상기 제1 가속도 감지부로부터 오는 제1 가속도 정보를 기 설정된 제1 기준치와 비교하여 제1 가속도 정보가 제1 기준치를 초과하면 자동차가 급제동 상황 중에 있다고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방향 지시등 제어 시스템.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비교 판단부는 상기 제2 가속도 감지부 및 제3 가속도 감지부로부터 오는 제2 가속도 정보 및 제3 가속도 정보를 기 설정된 제2 기준치 및 제3 기준치와 비교 분석하여 자동차가 좌회전 상황 중에 있는지 우회전 상황 중에 있는지를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방향 지시등 제어 시스템.
  6.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비교 판단부는 상기 무선 수신부를 통해 지속적으로 수신되는 정보를 기 설정된 기준치와 실시간으로 비교 분석함으로써 특정한 상황을 벗어났는지를 판단하고,
    상기 명령 생성부는 상기 비교 판단부에서 특정한 상황을 벗어났다고 판단된 경우에 해당 특정한 상황에 따른 방향 지시등 제어 명령을 취소하기 위한 취소 명령을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방향 지시등 제어 시스템.
  7.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싱크노드는 상기 무선 수신부를 통해 수신된 정보 및 방향 지시등 제어 명령 정보를 자동차용 블랙박스로 제공하는 정보 제공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방향 지시등 제어 시스템.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정보 제공부는, 상기 비교 판단부에서 방향 지시등 제어가 이루어져야 하는 특정한 상황에 해당한다고 판단된 경우에만 동작하며, 동작 횟수를 카운팅함으로써 해당 운행에서 방향 지시등의 자동 제어횟수를 파악한 후 자동차의 운행이 정지되면 파악된 정보를 자동차용 블랙박스로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방향 지시등 제어 시스템.
KR1020100140638A 2010-12-31 2010-12-31 자동차의 방향 지시등 제어 시스템 KR10119986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40638A KR101199866B1 (ko) 2010-12-31 2010-12-31 자동차의 방향 지시등 제어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40638A KR101199866B1 (ko) 2010-12-31 2010-12-31 자동차의 방향 지시등 제어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78359A true KR20120078359A (ko) 2012-07-10
KR101199866B1 KR101199866B1 (ko) 2012-11-09

Family

ID=4671172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140638A KR101199866B1 (ko) 2010-12-31 2010-12-31 자동차의 방향 지시등 제어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99866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4166684A1 (de) * 2013-04-11 2014-10-16 Zf Friedrichshafen Ag Sensorvorrichtung und verfahren zum bestimmen eines lenkwinkels eines fahrzeugs und fahrerassistenzsystem für ein fahrzeug
WO2014166685A1 (de) * 2013-04-11 2014-10-16 Zf Friedrichshafen Ag Anzeigevorrichtung und verfahren zum anzeigen von daten und fahrerassistenzsystem für ein fahrzeug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42872B1 (ko) * 2008-11-28 2012-05-11 김성완 자동차 방향지시등 제어 시스템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4166684A1 (de) * 2013-04-11 2014-10-16 Zf Friedrichshafen Ag Sensorvorrichtung und verfahren zum bestimmen eines lenkwinkels eines fahrzeugs und fahrerassistenzsystem für ein fahrzeug
WO2014166685A1 (de) * 2013-04-11 2014-10-16 Zf Friedrichshafen Ag Anzeigevorrichtung und verfahren zum anzeigen von daten und fahrerassistenzsystem für ein fahrzeug
CN105121258A (zh) * 2013-04-11 2015-12-02 Zf腓特烈斯哈芬股份公司 用于确定车辆的转向角度的传感器装置和方法以及用于车辆的驾驶员辅助系统
CN105121209A (zh) * 2013-04-11 2015-12-02 Zf腓特烈斯哈芬股份公司 用于显示数据的显示装置和方法以及用于车辆的驾驶员辅助系统
US9637169B2 (en) 2013-04-11 2017-05-02 Zf Friedrichshafen Ag Display device and method for displaying data and driver assistance system for a vehicle
US9656689B2 (en) 2013-04-11 2017-05-23 Zf Friedrichshafen Ag Sensor device and method for determining a steering angle of a vehicle and driver assistance system for a vehicl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199866B1 (ko) 2012-11-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3178728B1 (en) Steering input apparatus for vehicle and vehicle
KR102011664B1 (ko) 자동 긴급 제동 시스템의 시험평가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JP6266491B2 (ja) 自動運転制御装置
US9815467B2 (en) Vehicle assistance apparatus and vehicle
JP6326985B2 (ja) 自律運転制御装置、車両、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及び自律運転制御方法
KR20190004567A (ko) 차량의 자율주행 시스템 및 방법
JP7035447B2 (ja) 車両制御装置
JP2007263737A (ja) ナビゲーション装置、方法及びプログラム
KR20140016017A (ko) 차량의 크루즈 컨트롤 장치 및 그 방법
KR20130114782A (ko) 차량 충돌 방지 시스템
KR20220144003A (ko) 운전자 보조 시스템 및 그를 가지는 차량
JP4306749B2 (ja) 光ビーコン
CN113557174A (zh) 信息处理装置、信息处理方法、移动控制装置和移动控制方法
JP2019046100A (ja) 駐車支援装置
KR101199866B1 (ko) 자동차의 방향 지시등 제어 시스템
JP6400821B2 (ja) 自動運転制御装置
JP2009181472A (ja) 車両用危険情報処理装置
KR20140014718A (ko) 차량의 주행 환경에 따른 멀티미디어 기기 제어 장치
CN110235080A (zh) 车辆的运动的控制
KR101991734B1 (ko) 차량의 주행모드 전환 방법 및 장치
KR20190115539A (ko) 차량의 자율주행 강화학습 장치 및 방법
JP2006072725A (ja) 車載装置
KR20190133522A (ko) 센서 감지 정보와 v2x 정보의 융합된 정보를 이용하여 획득한 자동차 상황인지 정보를 이용한 차량 제어장치
KR20190093758A (ko) 차량 및 그 제어 방법
JP5050397B2 (ja) 光ビーコン、路車間通信システム、路車間通信システムに使用される車載機、及び、路車間通信システムを利用して行う距離認識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105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104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