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076515A - 기출순위에 의한 학습 콘텐츠의 편집서비스 제공시스템 - Google Patents

기출순위에 의한 학습 콘텐츠의 편집서비스 제공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076515A
KR20120076515A KR1020100119524A KR20100119524A KR20120076515A KR 20120076515 A KR20120076515 A KR 20120076515A KR 1020100119524 A KR1020100119524 A KR 1020100119524A KR 20100119524 A KR20100119524 A KR 20100119524A KR 20120076515 A KR20120076515 A KR 2012007651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earning content
learning
ranking
test
cont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11952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214759B1 (ko
Inventor
이인석
Original Assignee
이인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인석 filed Critical 이인석
Priority to KR102010011952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14759B1/ko
Publication of KR2012007651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7651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1475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1475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20Education
    • G06Q50/205Education administration or guidance
    • G06Q50/2057Career enhancement or continuing education service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BEDUCATIONAL OR DEMONSTRATION APPLIANCES; APPLIANCES FOR 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THE BLIND, DEAF OR MUTE; MODELS; PLANETARIA; GLOBES; MAPS; DIAGRAMS
    • G09B7/00Electrically-operated teaching apparatus or devices working with questions and answers
    • G09B7/02Electrically-operated teaching apparatus or devices working with questions and answers of the type wherein the student is expected to construct an answer to the question which is presented or wherein the machine gives an answer to the question presented by a student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ducational Technology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conom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arketing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lectrically Operated Instructional Devices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학습 콘텐츠의 편집서비스 제공시스템 및 그 제공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기본적인 학습내용으로 이루어진 다양한 기본학습 콘텐츠를 영역별로 분리하여 저장하고, 영역별로 분리된 각 기본학습 콘텐츠를 시험 종류에 따라 기출문제에서 출제되었던 빈도, 즉 시험 종류별 기출순위나 통합순위에 따라 정렬하여 학습자에게 제공함과 아울러, 정렬된 각 기본학습 콘텐츠 중에서도 기출된 부분에 별도의 하이라이트 표시 등을 하여 강조함으로써, 기본적인 학습내용을 공부함에 있어 기출빈도에 따른 입체적인 학습이 이루어질 수 있게 한 기출순위에 의한 학습 콘텐츠의 편집서비스 제공시스템 및 그 제공방법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기출순위에 의한 학습 콘텐츠의 편집서비스 제공시스템 및 그 제공방법{PROVIDING SYSTEM AND THEREOF METHOD OF EDITING SERVICE FOR LEARNING CONTENTS USING RANKING OF EXAM QUESTION}
본 발명은 학습 콘텐츠의 편집서비스 제공시스템 및 그 제공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기본적인 학습내용으로 이루어진 다양한 기본학습 콘텐츠를 영역별로 분리하여 저장하고, 영역별로 분리된 각 기본학습 콘텐츠를 시험 종류에 따라 기출문제에서 출제되었던 빈도, 즉 시험 종류별 기출순위에 따라 정렬하거나, 동일 유형의 모든 시험에서 출제되었던 빈도인 통합순위에 따라 정렬하여 학습자에게 제공함과 아울러, 정렬된 각 기본학습 콘텐츠 중에서도 기출된 부분에 별도의 하이라이트 표시 등을 하여 강조함으로써, 기본적인 학습내용을 공부함에 있어 기출빈도에 따른 입체적인 학습이 이루어질 수 있게 한 기출순위에 의한 학습 콘텐츠의 편집서비스 제공시스템 및 그 제공방법에 관한 것이다.
근래에 초고속 인터넷 등 통신망이나 모바일 통신망을 통한 데이터 처리기술이 발달하면서, 인터넷 등의 통신망을 이용한 강의나 학습 콘텐츠의 제공이 증가하고 있다.
특히, 사교육 시장이 확대되고 다양한 자격증 취득에 노력하는 사회 흐름에 따라 시간과 공간의 제약을 극복할 수 있는 인터넷 등 통신망을 이용한 강의가 증가하고 있으며, 인터넷 등을 통한 강의나 학습 콘텐츠를 얻고자 하는 수요의 증가와 더불어 학습 콘텐츠를 제공하는 웹사이트 등을 운영하는 공급도 함께 증가하면서 다른 웹사이트에서 제공하는 학습 콘텐츠와는 차별화된 새로운 학습법을 제안하며 그 우수성을 강조하는 경우도 증가하고 있다.
이와 같이 종래에 인터넷 등의 통신망을 이용하여 학습 콘텐츠를 제공하기 위해서는, 기존에 오프라인상에서 책 등의 인쇄물 형태로 제공되던 학습 콘텐츠를 데이터베이스화하여 온라인상에서 활용할 수 있게 하거나, 오프라인 상에서 촬영된 강의 영상을 시간과 공간의 제약 없이 편리하게 시청할 수 있게 하거나, 회원의 수준을 파악한 후 그 수준에 적합한 맞춤식 학습 콘텐츠나 강의를 제공하곤 하였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인터넷을 이용한 학습 콘텐츠의 제공은 오프라인상에서도 볼 수 있는 내용을 간략하게 정리한 서브노트의 제공이나, 그러한 서브노트의 내용을 중심으로 강사들이 직접 설명하는 강의에 국한되었는 바, 오프라인 상에서 이루어지던 학습의 장이 온라인으로 변경되었을 뿐, 학습하고자 하는 교과서의 내용을 서브노트 또는 강의 순서에 따라 반복하는 평면적인 학습의 틀을 벗어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근래에는 인터넷을 통한 정보의 교류가 활발해지고, 기출문제들의 데이터베이스 구축이 진행되면서 기출문제를 직접적인 학습 자료로 이용할 수 있게 됨에 따라, 동일한 문제가 반복해서 출제되기보다는 동일한 학습 내용을 다양한 형태로 물어보는 경우가 빈번하게 발생하고 있다.
그에 따라, 단순히 기출문제를 반복하는 것보다는, 동일한 내용을 다른 형태의 문제로 물어볼 경우에도 용이하게 대처할 수 있도록 해당 기출문제에서 묻고자 하는 학습 내용이 수록된 교재나 교과서의 내용을 보다 충실히 이해하는 것이 더욱 요청되고 있다.
그러나, 인터넷을 이용한 학습 콘텐츠의 경우에도 기본적인 교과서의 전형적인 목차에 따라 학습 내용을 단순 나열하고, 그 순서에 따라 강의를 진행하게 되므로, 학습 콘텐츠나 강의가 기출문제와는 별도로 진행되어 입체적인 학습이 이루어지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즉, 기출빈도가 높은 영역은 그렇지 못한 영역보다 반복 학습의 횟수를 증가시키면서 보다 세심하고 분석적인 접근이 필요한 반면에, 기출빈도가 극히 낮은 영역은 시간이 부족할 경우 생략도 할 수 있는 등 교과서의 내용을 반복할 경우에도 동일한 수준이 아닌 차등화된 입체적인 접근이 요구되지만 이러한 입체적인 학습을 가능하게 하는 학습 콘텐츠가 없었다.
그에 따라, 기본학습 내용인 교과서의 숙지와, 교과서 내용 이해를 위한 기출문제의 검토가 별도의 과정으로 이루어짐으로써, 학습내용과 기출문제의 연계성이 감소되었고, 그로 인해 문제유형이 변경되면 쉽게 대처하지 못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예를 들어, 초중고생의 대표적 필독서인 ‘현대단편소설’을 예로 들면, 시중에 나와 있는 거의 모든 책들이 작가별 편재, 즉 김동인의 ‘배따라기’, ‘감자’, ‘광염소나타’, 현진건의 ‘술 권하는 사회’, ‘운수 좋은 날’, ‘B사감과 러브레터’, ‘고향’, 나도향의 ‘물레방아’, ‘벙어리 삼룡이’와 같은 천편일률적인 편집구조를 따르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작가별 편집을 취할 경우, 어느 작가의 작품인가를 쉽게 알 수 있고 다수의 소설을 접하게 되어 문학적인 소양을 증가시킴에 있어 큰 도움이 되기는 하지만, 시험을 준비하기 위한 빈출 지문, 즉 빈출 문학 작품에 대한 집중적인 이해와 작가의 의도 등 반복 출제가 예상되는 특정부분에의 접근이 쉽지 않은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교재의 처음부터 끝까지 동일한 집중력으로 읽기는 어려워서 교재의 앞부분의 내용은 수회 반복을 통해 익숙해지지만, 교재 후반부의 내용은 집중력 저하 등으로 인하여 한 번을 채 읽기도 어려운 것이 일반적인 바, 교재와 기출문제와의 연계성이 감소되어 즉각적인 학습 효과를 보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이 해결하려는 과제는, 기본적인 학습내용으로 이루어진 다양한 기본학습 콘텐츠를 영역별로 분리하여 저장하고, 영역별로 분리된 각 기본학습 콘텐츠를 시험 종류에 따라 기출문제에서 출제되었던 빈도 즉 시험 종류별 기출순위나, 모든 시험에서 출제되었던 통합순위에 따라 정렬하여 학습자에게 제공함으로써, 기출빈도에 따른 입체적인 학습이 이루어질 수 있게 하며, 기출빈도가 높은 학습 콘텐츠를 앞쪽에 배치하여 짧은 시간의 학습만으로도 시험의 출제 경향에 적합한 학습이 이루어질 수 있게 하여 교재와 기출문제와의 연계성을 향상시킬 수 있게 한 기출순위에 의한 학습 콘텐츠의 편집서비스 제공시스템 및 그 제공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상기 과제를 이루기 위한 기출순위에 의한 학습 콘텐츠 편집서비스 제공시스템은, 통신망상에서 시험 종류와 과목을 입력하고 기출순위에 따라 편집된 학습 콘텐츠를 수신하여 표출시키는 학습자 클라이언트 단말기; 학습 콘텐츠와 기출문제를 저장하고 각 학습 콘텐츠의 기출빈도를 분석하여 기출순위별로 학습 콘텐츠를 정렬시키는 입체학습 콘텐츠 편집서버; 및 상기 기출순위별로 정렬된 학습 콘텐츠의 내용 중 기출영역에 강조표시를 하거나 기출문제를 링크시키는 등 학습 내용과 기출문제의 연계성을 강화시켜 학습자 클라이언트 단말기로 전송하는 입체학습 콘텐츠 제공서버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입체학습 콘텐츠 편집서버는, 학습해야 하는 과목의 교과서나 교재의 내용을 세부 영역별로 구분하여 저장하는 기본학습 콘텐츠 저장부; 해당 과목에서 출제되었던 기출문제를 시험 종류와 함께 저장하는 기출문제 저장부; 해당 시험에서 출제되었던 기출문제가 다수의 세부 영역에 저장된 학습 콘텐츠 중 어느 기본학습 콘텐츠와 관련 있는 문제인가를 판단하여 기본학습 콘텐츠별 기출빈도를 등록하고, 기출빈도가 높은 순서에 따라 기본학습 콘텐츠의 랭킹을 정하여 기출순위를 결정하는 기출순위 분석부; 및 상기 기출순위 분석부에서 등록된 기출빈도에 의해 기출순위별로 기본학습 콘텐츠를 재정렬하여 입체학습 콘텐츠를 생성하는 기출순위별 콘텐츠 정렬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입체학습 콘텐츠 편집서버는 시험이 완료될 때마다 기출문제를 추가하여 기본학습 콘텐츠에 대한 기출빈도를 수정하는 기출순위 갱신부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고, 각 시험의 기출순위에 따라 재정렬된 편집구조로 생성된 입체학습 콘텐츠를 pdf 파일과 같이 오프라인 상의 인쇄물 제작파일로 변환하는 인쇄파일 변환부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입체학습 콘텐츠 제공서버는, 통신망을 통하여 접속하고 인증 받은 학습자 클라이언트 단말기에서의 입력정보에 의해 시험 종류와 학습하고자 하는 과목의 선택신호를 수신하는 시험종류 선택부; 및 상기 시험종류 선택부에서 선택된 과목의 입체학습 콘텐츠 중 해당 시험에서 문제화되었던 학습 콘텐츠의 특정 영역에 다른 영역과 구별되는 괄호, 색 변경, 밑줄, 또는 하이라이트 표시와 같은 강조표시를 부가하는 기출영역 강조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입체학습 콘텐츠 제공서버는, 상기 강조표시가 이루어진 영역에 실제 기출문제의 어드레스를 링크시켜 상기 학습자 클라이언트 단말기의 선택신호에 의해 기출문제가 표출되게 한 기출표현 링크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과제를 이루기 위한 기출순위에 의한 학습 콘텐츠 편집서비스 제공방법은, 학습해야 하는 과목의 교재 내용인 기본학습 콘텐츠를 각 교재의 세부 영역별로 구분하여 저장하고 해당 과목에서 출제되었던 기출문제를 시험 종류와 함께 저장하는 기본학습 콘텐츠 저장단계; 기출문제를 토대로 문제가 출제되었던 기본학습 콘텐츠별 기출빈도를 등록하여 기출빈도별 랭킹을 결정하는 기출순위 분석단계; 과목 및 세부 영역 내에서 상기 기출빈도에 의해 기출순위별로 기본학습 콘텐츠를 정렬하여 입체학습 콘텐츠를 생성하는 기출순위별 학습 콘텐츠 정렬단계; 학습자 클라이언트 단말기를 통하여 통신망으로 전송되는 학습하고자 하는 시험의 종류와 과목의 선택신호를 수신하는 시험종류 선택단계; 및 상기 입체학습 콘텐츠를 통신망을 통하여 학습자 클라이언트 단말기로 전송하여 표출시키는 입체학습 콘텐츠 활성화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입체학습 콘텐츠의 내용 중 시험에서 문제화되었던 특정 영역에 괄호, 색 변경, 밑줄 또는 하이라이트 표시와 같은 강조표시를 부가하여, 동일한 학습 콘텐츠 내에서도 다른 영역과 구별되게 표시하는 기출영역 강조표시단계와, 상기 기출영역 강조표시단계에서 강조표시가 부가된 학습 콘텐츠의 특정 영역에 기출문제의 어드레스를 링크시켜, 학습자 클라이언트 단말기에서 해당 특정 영역을 선택하는 신호가 수신되면 해당 영역에 링크되어 있는 기출문제를 독출하여 학습자 클라이언트 단말기로 전송하는 기출표현 링크전송 단계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은 동일한 내용으로 구성된 학습 콘텐츠라도 기출빈도가 높은 세부 영역을 기출 순위에 따라 보다 많이 반복 학습할 수 있게 하여 교재 내용의 반복 학습이 기출빈도에 따라 차등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게 함으로써, 교재 내용과 기출문제와의 연계성을 강화시켜 동일한 시간 동안 학습할 경우에도 학습 효율을 현저히 향상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기출순위에 의한 학습 콘텐츠의 편집서비스 제공시스템의 블록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기출순위에 의한 학습 콘텐츠의 편집서비스 제공방법의 구성도.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를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기출순위에 의한 학습 콘텐츠의 편집서비스 제공시스템의 블록 구성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기출순위에 의한 학습 콘텐츠의 편집서비스 제공시스템은, 통신망상에서 시험 종류와 과목을 입력하고 기출순위에 따라 편집된 학습 콘텐츠를 수신하여 표출시키는 학습자 클라이언트 단말기(100)와, 학습 콘텐츠와 기출문제를 저장하고 각 학습 콘텐츠의 기출빈도를 분석하여 기출순위별로 학습 콘텐츠를 정렬시키는 입체학습 콘텐츠 편집서버(200)와, 상기 기출순위별로 정렬된 학습 콘텐츠의 내용 중 기출영역에 강조표시를 하거나 기출문제를 링크시키는 등 학습 내용과 기출문제의 연계성을 강화시켜 학습자 클라이언트 단말기로 전송하는 입체학습 콘텐츠 제공서버(3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학습자 클라이언트 단말기(100)는 인터넷이나 모바일 등의 유무선 통신망을 통하여 학습 콘텐츠 편집서비스 제공시스템에의 접속이 가능한 통신수단과, 상기 입체학습 콘텐츠 편집서버에서 편집된 기출순위별 학습 콘텐츠를 수신하여 표출시키는 디스플레이 수단과, 시험 종류와 과목의 선택신호를 입력하는 입력수단이 구비된 퍼스널 컴퓨터, 넷북, 노트북, 태블릿 컴퓨터는 물론, PDA나 스마트폰과 같은 풀브라우징 모바일 단말기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도시되어 있지는 않지만, 상기 학습자 클라이언트 단말기(100)는 상기와 같은 장치들을 포함하여 유비쿼터스를 구현할 수 있는 다른 장치들도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입체학습 콘텐츠 편집서버(200)는 학습해야 하는 과목의 교과서나 교재의 내용을 세부 영역별로 구분하여 저장하는 기본학습 콘텐츠 저장부(210)와, 해당 과목에서 출제되었던 기출문제를 시험 종류와 함께 저장하는 기출문제 저장부(220)와, 해당 시험에서 출제되었던 기출문제를 토대로 문제가 출제된 기본학습 콘텐츠별 기출빈도를 등록하는 기출순위 분석부(230)와, 세부 영역 내에서 상기 기출빈도에 의해 기출순위별로 기본학습 콘텐츠를 정렬하여 편집하는 기출순위별 콘텐츠 정렬부(24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기본학습 콘텐츠 저장부(210)는 학습자가 준비하는 시험의 종류에 따라 학습해야 하는 다양한 과목의 교재에 포함되어 있는 내용을 각 교재를 이루는 세부 영역별로 구분하고, 시험 종류, 및 과목 명칭과 함께 데이터베이스(250)에 저장하도록 구성된다.
그에 따라, 시험 종류가 고입선발고사, 특목고 입학시험, 중간고사, 기말고사, 평가시험, 모의고사, 대학수학능력시험, 논술고사 등 초중고 학생들의 시험이고, 과목이 국어이며, 세부 영역이 현대단편소설인 경우에는, 각 작가들의 작품을 개별적인 기본학습 콘텐츠로 저장하도록 구성된다.
또한, 상기 과목이 국사인 경우에는 세부 영역을 연대기 또는 시대별로 구분하여 고조선, 삼국시대, 통일신라, 고려, 조선, 근대, 및 현대와 같이 구분하고 각 세부 영역을 이루는 교과서 내용 등을 기본학습 콘텐츠로 저장할 수 있음은 물론, 각 시대를 보다 세분화하여 세부 영역을 설정하고, 그와 같이 세분화된 세부 영역을 이루는 교과서 내용 등을 기본학습 콘텐츠로 저장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즉, 기출빈도가 높은 세부 영역을 기출순위에 따라 보다 많이 반복 학습할 수 있게 함으로써, 교과서 내용의 반복 학습이 기출빈도에 따라 차등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게 하여 평면적인 교과서를 입체적으로 학습할 수 있도록 세부 영역을 보다 세분화시켜 기본학습 콘텐츠를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기출문제 저장부(220)는 학습자가 준비하는 시험의 종류에 따라 각종 시험에서 실제 출제되었던 기출문제를 시험 종류 및 과목 명칭과 함께 데이터베이스(250)에 저장하도록 구성된다.
상기 기출순위 분석부(230)는 학습 콘텐츠 편집서비스를 제공하는 사업자가 해당 시험에서 출제되었던 기출문제가 다수의 세부 영역 중 어느 기본학습 콘텐츠와 관련 있는 문제인가를 판단하여 기출빈도를 등록하고, 기출빈도가 높은 순서에 따라 기본학습 콘텐츠의 랭킹을 정하여 기출순위를 결정하도록 구성된다.
이때, 상기 기출순위 분석부(230)는 기출문제에 해당 기본학습 콘텐츠의 어드레스를 할당하여 기출문제별 기본학습 콘텐츠를 결정하도록 구성될 수 있음은 물론, 기본학습 콘텐츠에 기출문제의 어드레스를 할당하여 기본학습 콘텐츠별 기출문제의 다소를 결정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기출순위 분석부(230)는 세부 영역 중 기출문제화 되어 출제되었던 기본학습 콘텐츠의 특정 영역에 별도의 표시를 부가하고, 해당 특정 영역에 상기 기출문제의 어드레스를 할당하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에 따라, 해당 세부 영역에서 문제가 출제되었음을 시각적으로 용이하게 인식할 수 있게 된다.
상기 기출순위별 콘텐츠 정렬부(240)는 상기 기출순위 분석부에서 등록된 기출빈도에 의해 해당 과목의 세부 영역을 이루는 기본학습 콘텐츠를 기출순위별로 재정렬하여 기출순위를 기준으로 편집이 이루어진 새로운 입체학습 콘텐츠를 생성하도록 구성된다.
이때, 상기 입체학습 콘텐츠는 기출빈도가 높은 기본학습 콘텐츠를 전단에 배치하여 학습을 시작하는 학습자가 가장 먼저 접할 수 있고, 그에 따라 복습도 가장 빈번히 이루어져 그 내용을 가장 잘 숙지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에 따라, 국어(문학 포함)의 중간고사 및 기말고사 중 현대단편소설 영역에 대한 입체학습 콘텐츠는 기출빈도에 따라 1위인 김유정의 ‘봄봄’, 2위인 박원서의 ‘그 여자네 집’, 3위인 이청준의 ‘눈길’, 4위인 현진건의 ‘운수 좋은 날’, 5위인 손창섭의 ‘비 오는 날’ 등의 기출순위에 따라 배열되도록 구성된다.
이와 같이, 동일한 종류의 시험에서 출제되었던 기출빈도를 기준으로 결정되는 통합된 기출순위인 통합순위를 결정하고, 이를 토대로 입체학습 콘텐츠가 편집되는 구성을 결정하도록 구성된다.
또한, 동일한 과목의 경우에도 시험 종류, 즉 고입선발고사, 특목고 입학시험, 중간고사, 기말고사, 평가시험, 경시대회, 수능모의고사, 수능 및 논술 등 각 시험마다 빈번히 출제되는 순서가 바뀔 수 있으며, 그에 따라 각 학습자는 통합된 기출순위뿐만 아니라, 대비하는 시험의 종류에 가장 적합한 형태로 편집된 입체학습 콘텐츠를 생성하고 이를 토대로 각 시험의 출제경향에 보다 근접한 학습을 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기출순위별 콘텐츠 정렬부(240)는 해당 기본학습 콘텐츠에 기출빈도를 함께 표시하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그에 따라 입체학습 콘텐츠를 학습하는 학습자가 해당 기본학습 콘텐츠의 중요성을 시각적으로 인식하여 학습의 집중도를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이때, 상기 입체학습 콘텐츠는 똑같은 중요도를 갖고 학습 내용을 나열하던 종래의 학습 교재와는 달리, 학습해야 할 내용이 기출순위별로 자동 정렬되어 기출빈도가 높은 학습 콘텐츠가 앞쪽에 표출되고 기출빈도가 낮은 학습 콘텐츠는 뒤쪽에 표출되므로, 문제화되는 빈도가 빈번한 콘텐츠와 그렇지 않은 콘텐츠를 학습자가 쉽게 인지하여 학습의 강약을 조절할 수 있어 학습의 효율을 현저히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그에 따라, 본 명세서에서는 똑같은 중요도를 갖고 서술되어 있어 학습자 스스로 교재 내용의 중요성 차이를 인식하여야 하였던 종래의 일반적인 교재 편집 방식을 배제하고, 학습 콘텐츠 자체의 중요성을 기출순위에 따라 시각적으로 용이하게 인식할 수 있도록 새로이 편집된 학습 콘텐츠임을 강조하기 위해 입체학습 콘텐츠로 지칭하였다.
또한, 상기 입체학습 콘텐츠 편집서버(200)는 시험이 완료된 후 기출문제를 추가하여 기본학습 콘텐츠에 대한 기출빈도를 수정하는 기출순위 갱신부(260)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입체학습 콘텐츠 편집서버(200)는 기출순위에 따라 새로운 편집 구성을 갖도록 생성된 입체학습 콘텐츠를 pdf 파일과 같이 오프라인 상에서 접할 수 있는 책자인 인쇄물의 제작파일로 변환할 수 있게 한 인쇄파일 변환부(270)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에 따라, 온라인상에서 학습자 클라이언트 단말기뿐만 아니라 오프라인 상에서 책으로 소장하여 기출순위에 따른 반복학습을 수행할 수 있게 된다.
상기 실시예에서는 각 학습자의 선택에 의해 시험 및 과목별로 입체학습 콘텐츠를 생성하는 것을 설명하였지만, 동일한 시험을 준비하는 학습자가 학습해야 하는 과목과 그 내용인 학습 콘텐츠가 정해져 있는 바, 상기 입체학습 콘텐츠는 기출순위에 의한 학습 콘텐츠 편집서비스를 제공하는 사업자가 상기 기출순위 분석부에서 결정된 기출순위에 의해 상기 기출순위별 콘텐츠 정렬부에서 생성된 후 상기 인쇄파일 변환부에서 변환된 인쇄물의 제작파일을 인쇄하여 생성한 오프라인 상의 책으로 구성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그에 따라, 온라인상에서 학습자 클라이언트 단말기로 입체학습 콘텐츠를 제공하는 것뿐만 아니라, 본 발명에서 제안하는 바와 같은 입체학습 콘텐츠를 생성하기 위한 기출순위 분석부와 기출순위별 콘텐츠 정렬부를 구비한 후 기출순위에 의해 학습 콘텐츠를 배열하는 편집 구조를 채택하여 학습용 책자를 제작하는 것도 본 발명의 보호범위에 속하게 된다고 할 것이다.
상기 입체학습 콘텐츠 제공서버(300)는 통신망을 통하여 접속하고 인증 받은 학습자 클라이언트 단말기에서의 입력정보에 의해 시험 종류와 학습하고자 하는 과목의 선택신호를 수신하는 시험종류 선택부(310)와, 상기 시험종류 선택부에서 선택된 과목의 입체학습 콘텐츠 중 해당 시험에서 문제화되었던 학습 콘텐츠의 특정 영역에 다른 영역과 구별되는 강조표시를 부가하는 기출영역 강조부(320)와, 상기 입체학습 콘텐츠에서 출제되었던 기출문제를 시각적으로 확인할 수 있도록 상기 강조표시가 이루어진 영역에 실제 기출문제를 링크시켜 상기 학습자 클라이언트 단말기의 선택신호에 의해 기출문제가 표출되게 한 기출표현 링크부(33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시험종류 선택부(310)는 학습자 클라이언트 단말기(100)로부터 전송되는 시험 종류의 선택신호에 따라 고입선발고사, 특목고 입학시험, 대학수학능력시험과 같은 초중고생의 시험뿐만 아니라, 공인중개사, 법무사, 노무사, 변리사 등과 같은 각종 자격시험, 또는 공무원 시험이나 경찰 시험 등이 선택되고, 선택된 시험 종류에 속하는 과목의 선택신호에 의해 학습하고자 하는 과목이 선택되도록 구성된다. 이때, 상기 학습자 클라이언트 단말기(100)의 인증이 이루어지는 동안 기저장되어 있던 학습자의 인적 정보를 토대로 과거에 학습하던 입체학습 콘텐츠의 목록이 표출되도록 구성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상기 기출영역 강조부(320)는 선택된 시험 종류와 과목의 입체학습 콘텐츠 중 문제화되었던 영역에 괄호, 색 변경, 밑줄, 또는 하이라이트 표시 등을 부가하여 다른 영역과 구별시킴으로써 학습시의 집중력을 강화시킬 수 있는 강조표시를 부가하도록 구성된다.
이때, 상기 입체학습 콘텐츠를 이루는 기본학습 콘텐츠 중 문제화되었던 특정 영역은 상기 기출순위 분석부에서 인식되어 있으므로, 상기 기출영역 강조부는 그 특정 영역에의 강조표시 유무를 선택하는 것만으로 해당 특정 영역에의 강조표시가 이루어진 입체학습 콘텐츠를 수신할 수 있게 된다.
그에 따라, 중요성의 차별화 없이 기존의 편집 구성에 따라 학습 내용을 평면적으로 전달하던 기존의 학습 콘텐츠와는 달리, 강조표시를 선택하는 간편한 조작으로 문제화되었던 특정 영역에 밑줄이나 하이라이트 표시 등의 강조표시를 할 수 있어, 출제되었던 기본학습 콘텐츠 내에서도 보다 집중적인 학습을 할 수 있게 된다.
상기 기출표현 링크부(330)는 단순히 문제화되었던 특정 영역을 집중적으로 학습하는 것을 넘어서, 해당 특정 영역이 문제화되었던 실제 기출문제를 확인할 수 있게 상기 강조표시가 이루어진 영역에 기출문제의 어드레스를 링크시키도록 구성된다.
따라서, 상기 입체학습 콘텐츠에 있는 학습 내용을 보면서 그 부분이 문제화된 출제예를 즉시 확인할 수 있게 되어 학습 내용이 문제화되는 형태를 쉽게 익힐 수 있게 되므로, 동일한 내용을 묻기 위해 변형되는 문제의 변형 경향을 유추할 수 있는 능력도 함께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입체학습 콘텐츠 제공서버(300)는 상기 학습 콘텐츠 편집서비스를 제공하는 사업자가 기출문제에서 묻고자 하는 내용, 즉, 출제 코멘트를 더 추가할 수 있게 한 출제코멘트부(340)를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상기 출제코멘트부(340)에는 기출문제를 출제하는 출제자의 입장에서 해당 특정 영역에서 묻고자 하는 내용을 추가하도록 구성됨으로써, 학습자는 해당 특정 영역에서 출제자가 묻는 내용이 반복되며 그 문제의 형태만이 변형되는 것을 인식할 수 있게 되어 변형된 형태를 갖는 새로운 문제에의 적응력을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다음에는 본 발명에 따른 기출순위에 의한 학습 콘텐츠의 편집서비스 제공방법을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기출순위에 의한 학습 콘텐츠의 편집서비스 제공방법의 블록 구성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기출순위에 의한 학습 콘텐츠의 편집서비스 제공방법은, 학습해야 하는 과목의 교재 내용인 기본학습 콘텐츠를 각 교재의 세부 영역별로 구분하여 저장하고 해당 과목에서 출제되었던 기출문제를 시험 종류와 함께 저장하는 기본학습 콘텐츠 저장단계(S100)와, 기출문제를 토대로 문제가 출제되었던 기본학습 콘텐츠별 기출빈도를 등록하여 기출빈도별 랭킹을 결정하는 기출순위 분석단계(S200)와, 과목 및 세부 영역 내에서 상기 기출빈도에 의해 기출순위별로 기본학습 콘텐츠를 정렬하여 입체학습 콘텐츠를 생성하는 기출순위별 학습 콘텐츠 정렬단계(S300)와, 학습자 클라이언트 단말기를 통하여 통신망으로 전송되는 학습하고자 하는 시험의 종류와 과목의 선택신호를 수신하는 시험종류 선택단계(S400)와, 선택된 시험에 적합한 과목의 입체학습 콘텐츠에 기출영역의 강조표시를 부가하는 기출영역 강조표시단계(S500)와, 상기 입체학습 콘텐츠를 통신망을 통하여 학습자 클라이언트 단말기로 전송하여 표출시키는 입체학습 콘텐츠 활성화단계(S6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기본학습 콘텐츠 저장단계(S100)는 입체학습 콘텐츠 편집서버(200)에서 시험의 종류에 따라 학습해야 하는 다양한 과목의 교재 내용인 기본학습 콘텐츠를 세부 영역별로 구분하고, 각 기본학습 콘텐츠에 시험 종류 및 과목 명칭을 부가하여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도록 구성된다.
또한, 상기 기본학습 콘텐츠 저장단계(S100)는 시험의 종류에 따른 기출문제를 시험 종류 및 과목 명칭과 함께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여 추후 기본학습 콘텐츠와의 링크에 의해 독출되어 학습자가 출제 형태를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상기 기출순위 분석단계(S200)는 시험에서 출제되었던 기출문제가 다수의 세부 영역 중 어느 기본학습 콘텐츠에서 출제되었는가를 판단하여 기본학습 콘텐츠별 기출빈도를 등록하고 기출빈도에 따른 기본학습 콘텐츠의 랭킹을 결정하도록 구성된다.
이때, 상기 기출순위 분석단계(S200)는 학습 콘텐츠 편집서비스를 제공하는 사업자가 상기 입체학습 콘텐츠 편집서버(200)에서 기출문제와 가장 많은 관련성을 갖는 세부 영역과 기본학습 콘텐츠를 선택하고, 선택된 기본학습 콘텐츠의 특정 영역, 즉 문제화되어 출제된 영역에 기출문제의 어드레스를 할당하여 기본학습 콘텐츠의 기출순위별 랭킹을 결정하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기출순위별 학습 콘텐츠 정렬단계(S300)는 상기 기출순위별 랭킹에 따라 세부 영역 내의 기본학습 콘텐츠들의 배치순서를 정렬하여, 즉 기출빈도가 높은 기본학습 콘텐츠를 동일 세부 영역내의 전단에 배치하고, 기출빈도가 낮은 기본학습 콘텐츠를 동일 세부 영역내의 후단에 배치하도록 편집하여 기출순위를 기준으로 편집이 이루어진 입체학습 콘텐츠를 생성하도록 구성된다.
상기 시험종류 선택단계(S400)는 입체학습 콘텐츠 제공서버에서 통신망을 통하여 접속한 학습자 클라이언트 단말기로부터 전송되는 시험의 종류와 과목의 선택신호를 수신하여, 학습자가 준비하는 시험의 출제경향에 적합한 입체학습 콘텐츠를 제공하도록 구성된다.
이때, 상기 학습자가 선택한 시험의 종류와 학습하고자 하는 과목의 선택 정보를 데이터베이스(250)에 저장하여 추후 학습자 클라이언트 단말기(100)의 인증만으로도 학습자가 선택하였던 과목에 대한 입체학습 콘텐츠를 독출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기출영역 강조표시단계(S500)는 상기 입체학습 콘텐츠의 내용 중 학습자가 준비하는 시험에서 문제화되었던 영역, 예를 들어, 현대단편소설의 경우 지문화되었던 영역 등에 괄호, 색 변경, 밑줄 또는 하이라이트 표시 등의 강조표시를 부가하여 동일한 학습 콘텐츠 내에서도 다른 영역과 구별되게 표시함으로써 학습시의 집중력을 강화시킬 수 있도록 구성된다.
상기 입체학습 콘텐츠 활성화단계(S600)는 상기 입체학습 콘텐츠 제공서버(300)에서 통신망상에 접속되어 있는 인증된 학습자 클라이언트 단말기(100)로 선택된 과목의 입체학습 콘텐츠, 또는 강조표시가 부가된 입체학습 콘텐츠를 전송하여 표출시킴으로써 학습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구성된다.
또한, 상기 기출순위에 의한 학습 콘텐츠의 편집서비스 제공방법은 상기 기출영역 강조표시단계에서 강조표시가 부가된 학습 콘텐츠의 특정 영역에 기출문제를 확인할 수 있는 링크를 설정하고, 학습자 클라이언트 단말기에서 해당 특정 영역을 선택하는 신호가 수신되면 해당 영역에 링크되어 있는 기출문제를 데이터베이스에서 독출하여 학습자 클라이언트 단말기로 전송하는 기출표현 링크전송 단계(S700)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에 따라, 학습자는 학습 콘텐츠를 이루는 내용을 학습하면서 해당 학습 콘텐츠에서 출제되었던 문제를 즉시 확인할 수 있고, 동일한 영역에서 반복적으로 출제되었던 다양한 기출문제의 유형을 즉시 확인할 수 있어 동일한 내용을 묻기 위해 그동안 변형되었던 다양한 출제경향을 익힐 수 있어 추후 다른 유형으로 문제화될 경우에의 대처능력을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이, 동일한 내용으로 구성된 학습 콘텐츠라도 기출빈도가 높은 세부 영역을 기출 순위에 따라 보다 많이 반복 학습할 수 있게 함으로써, 교재 내용의 반복 학습이 기출빈도에 따라 차등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게 하여 동일한 시간 동안 학습할 경우에도 학습 효율을 현저히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에 대한 기술사상을 첨부 도면과 함께 서술하였지만 이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이지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이라면 누구나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범주를 이탈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 및 모방이 가능함은 명백한 사실이다.
100: 학습자 클라이언트 단말기 200: 입체학습 콘텐츠 편집서버
210: 기본학습 콘텐츠 저장부 220: 기출문제 저장부
230: 기출순위 분석부 240: 기출순위별 콘텐츠 정렬부
250: 데이터베이스 260: 기출순위 갱신부
270: 인쇄파일 변환부 300: 입체학습 콘텐츠 제공서버
310: 시험종류 선택부 320: 기출영역 강조부
330: 기출표현 링크부 340: 출제코멘트부

Claims (12)

  1. 학습 콘텐츠와 기출문제를 저장하고 각 학습 콘텐츠의 기출빈도를 분석하여 기출순위별로 학습 콘텐츠를 정렬시켜 입체학습 콘텐츠를 편집하는 입체학습 콘텐츠 편집서버; 및
    상기 기출순위별로 정렬된 학습 콘텐츠의 내용 중 기출영역에 강조표시를 하거나 기출문제를 추가하여 학습 내용과 기출문제의 연계성을 강화시킨 입체학습 콘텐츠 제공서버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출순위에 의한 학습 콘텐츠의 편집서비스 제공시스템.
  2. 통신망상에서 시험 종류와 과목을 입력하고 기출순위에 따라 편집된 학습 콘텐츠를 수신하여 표출시키는 학습자 클라이언트 단말기;
    학습 콘텐츠와 기출문제를 저장하고 각 학습 콘텐츠의 기출빈도를 분석하여 기출순위별로 학습 콘텐츠를 정렬시키는 입체학습 콘텐츠 편집서버; 및
    상기 기출순위별로 정렬된 학습 콘텐츠의 내용 중 기출영역에 강조표시를 하거나 기출문제를 링크시키는 등 학습 내용과 기출문제의 연계성을 강화시켜 학습자 클라이언트 단말기로 전송하는 입체학습 콘텐츠 제공서버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출순위에 의한 학습 콘텐츠의 편집서비스 제공시스템.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입체학습 콘텐츠 편집서버는,
    학습해야 하는 과목의 교과서나 교재의 내용을 세부 영역별로 구분하여 저장하는 기본학습 콘텐츠 저장부;
    해당 과목에서 출제되었던 기출문제를 시험 종류와 함께 저장하는 기출문제 저장부;
    해당 시험에서 출제되었던 기출문제가 다수의 세부 영역에 저장된 학습 콘텐츠 중 어느 기본학습 콘텐츠와 관련 있는 문제인가를 판단하여 기본학습 콘텐츠별 기출빈도를 등록하고, 기출빈도가 높은 순서에 따라 기본학습 콘텐츠의 랭킹을 정하여 기출순위를 결정하는 기출순위 분석부; 및
    상기 기출순위 분석부에서 등록된 기출빈도에 의해 기출순위별로 기본학습 콘텐츠를 재정렬하여 입체학습 콘텐츠를 생성하는 기출순위별 콘텐츠 정렬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출순위에 의한 학습 콘텐츠의 편집서비스 제공시스템.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기본학습 콘텐츠 저장부는 시험 종류가 고입선발고사, 특목고 입학시험, 중간고사, 기말고사, 평가시험, 모의고사, 대학수학능력시험, 논술고사 등 초중고 학생들의 시험이고, 과목이 국어이며, 세부 영역이 현대단편소설인 경우, 각 작가들의 작품을 개별적인 기본학습 콘텐츠로 저장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출순위에 의한 학습 콘텐츠의 편집서비스 제공시스템.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기출순위 분석부는 기본학습 콘텐츠에 기출문제의 어드레스를 할당한 후, 상기 기본학습 콘텐츠마다 할당되어 있는 기출문제의 어드레스의 다소를 판단하여 기출순위별 랭킹을 결정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출순위에 의한 학습 콘텐츠의 편집서비스 제공시스템.
  6.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입체학습 콘텐츠 편집서버는 시험이 완료될 때 마다 기출문제를 추가하여 기본학습 콘텐츠에 대한 기출빈도를 수정하는 기출순위 갱신부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출순위에 의한 학습 콘텐츠의 편집서비스 제공시스템.
  7.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입체학습 콘텐츠 편집서버는 각 시험의 기출순위에 따라 재정렬된 편집구조로 생성된 입체학습 콘텐츠를 pdf 파일과 같이 오프라인 상의 인쇄물 제작파일로 변환하는 인쇄파일 변환부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출순위에 의한 학습 콘텐츠의 편집서비스 제공시스템.
  8.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입체학습 콘텐츠 제공서버는,
    통신망을 통하여 접속하고 인증 받은 학습자 클라이언트 단말기에서의 입력정보에 의해 시험 종류와 학습하고자 하는 과목의 선택신호를 수신하는 시험종류 선택부; 및
    상기 시험종류 선택부에서 선택된 과목의 입체학습 콘텐츠 중 해당 시험에서 문제화되었던 학습 콘텐츠의 특정 영역에 다른 영역과 구별되는 괄호, 색 변경, 밑줄, 또는 하이라이트 표시와 같은 강조표시를 부가하는 기출영역 강조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출순위에 의한 학습 콘텐츠의 편집서비스 제공시스템.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입체학습 콘텐츠 제공서버는,
    상기 강조표시가 이루어진 영역에 실제 기출문제의 어드레스를 링크시켜 상기 학습자 클라이언트 단말기의 선택신호에 의해 기출문제가 표출되게 한 기출표현 링크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출순위에 의한 학습 콘텐츠의 편집서비스 제공시스템.
  10. 학습해야 하는 과목의 교재 내용인 기본학습 콘텐츠를 각 교재의 세부 영역별로 구분하여 저장하고 해당 과목에서 출제되었던 기출문제를 시험 종류와 함께 저장하는 기본학습 콘텐츠 저장단계;
    기출문제를 토대로 문제가 출제되었던 기본학습 콘텐츠별 기출빈도를 등록하여 기출빈도별 랭킹을 결정하는 기출순위 분석단계;
    과목 및 세부 영역 내에서 상기 기출빈도에 의해 기출순위별로 기본학습 콘텐츠를 정렬하여 입체학습 콘텐츠를 생성하는 기출순위별 학습 콘텐츠 정렬단계;
    학습자 클라이언트 단말기를 통하여 통신망으로 전송되는 학습하고자 하는 시험의 종류와 과목의 선택신호를 수신하는 시험종류 선택단계; 및
    상기 입체학습 콘텐츠를 통신망을 통하여 학습자 클라이언트 단말기로 전송하여 표출시키는 입체학습 콘텐츠 활성화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출순위에 의한 학습 콘텐츠의 편집서비스 제공방법.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입체학습 콘텐츠의 내용 중 시험에서 문제화되었던 특정 영역에 괄호, 색 변경, 밑줄 또는 하이라이트 표시와 같은 강조표시를 부가하여, 동일한 학습 콘텐츠 내에서도 다른 영역과 구별되게 표시하는 기출영역 강조표시단계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출순위에 의한 학습 콘텐츠의 편집서비스 제공방법.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기출영역 강조표시단계에서 강조표시가 부가된 학습 콘텐츠의 특정 영역에 기출문제의 어드레스를 링크시켜, 학습자 클라이언트 단말기에서 해당 특정 영역을 선택하는 신호가 수신되면 해당 영역에 링크되어 있는 기출문제를 독출하여 학습자 클라이언트 단말기로 전송하는 기출표현 링크전송 단계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출순위에 의한 학습 콘텐츠의 편집서비스 제공방법.
KR1020100119524A 2010-11-29 2010-11-29 기출순위에 의한 학습 콘텐츠의 편집서비스 제공시스템 KR10121475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19524A KR101214759B1 (ko) 2010-11-29 2010-11-29 기출순위에 의한 학습 콘텐츠의 편집서비스 제공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19524A KR101214759B1 (ko) 2010-11-29 2010-11-29 기출순위에 의한 학습 콘텐츠의 편집서비스 제공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76515A true KR20120076515A (ko) 2012-07-09
KR101214759B1 KR101214759B1 (ko) 2012-12-21

Family

ID=4671012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119524A KR101214759B1 (ko) 2010-11-29 2010-11-29 기출순위에 의한 학습 콘텐츠의 편집서비스 제공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14759B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89004B1 (ko) * 2012-10-15 2013-07-23 이주환 외국어 학습 정보 제공방법, 외국어 학습 방법 제공 시스템 및 외국어 학습용 장치
KR20190100538A (ko) * 2018-02-09 2019-08-29 비트루브 주식회사 학습을 지원하는 방법, 시스템 및 비일시성의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
KR20190123105A (ko) * 2018-04-23 2019-10-31 주식회사 에스티유니타스 사용자 맞춤형 학습 컨텐츠 제공 시스템 및 방법
KR102040400B1 (ko) * 2018-04-27 2019-11-27 김인철 머신러닝을 이용한 사용자 맞춤형 문제 제공 시스템 및 방법
KR20200019657A (ko) * 2018-03-23 2020-02-24 노경섭 기출문제분석 수험교재 및 제공 시스템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32225B1 (ko) * 2004-09-09 2005-12-01 주식회사 아이비티코리아 네트워크를 이용한 학습장치 및 방법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89004B1 (ko) * 2012-10-15 2013-07-23 이주환 외국어 학습 정보 제공방법, 외국어 학습 방법 제공 시스템 및 외국어 학습용 장치
WO2014061909A1 (ko) * 2012-10-15 2014-04-24 Lee Ju Hwan 학습 정보 제공방법, 학습 방법 제공 시스템 및 학습용 장치
CN104471607A (zh) * 2012-10-15 2015-03-25 天才工厂 提供学习信息的方法,提供学习方法的系统和学习用装置
GB2521800A (en) * 2012-10-15 2015-07-01 Genius Factory Inc Method for providing learning information, system for providing learning method and learning apparatus
KR20190100538A (ko) * 2018-02-09 2019-08-29 비트루브 주식회사 학습을 지원하는 방법, 시스템 및 비일시성의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
KR20200019657A (ko) * 2018-03-23 2020-02-24 노경섭 기출문제분석 수험교재 및 제공 시스템
KR20190123105A (ko) * 2018-04-23 2019-10-31 주식회사 에스티유니타스 사용자 맞춤형 학습 컨텐츠 제공 시스템 및 방법
KR102040400B1 (ko) * 2018-04-27 2019-11-27 김인철 머신러닝을 이용한 사용자 맞춤형 문제 제공 시스템 및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214759B1 (ko) 2012-12-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Lewthwaite et al. Teaching research methods in the social sciences: Expert perspectives on pedagogy and practice
Hallinger et al. Reassessing the principal's role in school effectiveness: A review of empirical research, 1980-1995
Archer et al. ‘It didn’t really change my opinion’: exploring what works, what doesn’t and why in a school science, technology, engineering and mathematics careers intervention
Reinisch et al. Methodical challenges concerning the Draw-A-Scientist Test: a critical view about the assessment and evaluation of learners’ conceptions of scientists
Roschelle et al. Integration of technology, curriculum, and professional development for advancing middle school mathematics: Three large-scale studies
Ocak et al. Observing the indicators of technological pedagogical content knowledge in science classrooms: Video-based research
Dunne et al. Investigating the potential of Irish primary school textbooks in supporting inquiry-based science education (IBSE)
Renganathan English language education in rural schools in Malaysia: A systematic review of research
Konečný et al. The usability of selected base maps for crises management—users' perspectives
KR101214759B1 (ko) 기출순위에 의한 학습 콘텐츠의 편집서비스 제공시스템
Kuru Gönen et al. Using QR code enhanced authentic texts in EFL extensive reading: A qualitative study on student perceptions
Kunioshi et al. An online support site for preparation of oral presentations in science and engineering
Gan et al. A review on language assessment literacy: Trends, foci and contributions
Dogan et al. OPCOMITS: Developing an adaptive and intelligent web based educational system based on concept map model
Moqaddam et al. Measuring EFL teachers’ assessment identity: Development and validation of a questionnaire
Olebara Mobile devices as tools for implementing digital classroom in Nigeria
Sulistyani The Importance of Needs Analysis in a Language Curriculum Development: An Evaluation to 2013 Curriculum
Reich et al. Using technology integration frameworks in vocational education and training
KR101050173B1 (ko) 온라인 독서 학습 훈련 시스템 및 방법
Hosseini et al. Web-based learning for cultural adaptation: constructing a digital portal for Persian speaking immigrants in Finland
JP4441161B2 (ja) 学習支援装置、学習支援方法およびその方法をコンピュータに実行させるプログラム
Ogunleye A review and analysis of assessment objectives of academic and vocational qualifications in English further education, with particular reference to creativity
Tao et al. A scientific writing pedagogy and mixed methods assessment for engineering education using open-coding and multi-dimensional scaling
Aydin The relationship between pre-service science teachers’ cognitive styles and their cognitive structures about technology
Maier Towards state‐mandated testing in Germany: how do teachers assess the pedagogical relevance of performance feedback informatio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412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123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