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075756A - 2차 전지의 잔존수명 연산 방법 및 장치 - Google Patents

2차 전지의 잔존수명 연산 방법 및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075756A
KR20120075756A KR1020100137576A KR20100137576A KR20120075756A KR 20120075756 A KR20120075756 A KR 20120075756A KR 1020100137576 A KR1020100137576 A KR 1020100137576A KR 20100137576 A KR20100137576 A KR 20100137576A KR 20120075756 A KR20120075756 A KR 2012007575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condary battery
battery
remaining life
charge
dischar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13757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841044B1 (ko
Inventor
조동호
김종우
서동관
김종돈
Original Assignee
한국과학기술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과학기술원 filed Critical 한국과학기술원
Priority to KR102010013757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41044B1/ko
Priority to PCT/KR2011/010192 priority patent/WO2012091432A2/ko
Publication of KR2012007575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7575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4104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4104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31/00Arrangements for testing electric properties; Arrangements for locating electric faults; Arrangements for electrical testing characterised by what is being tested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1R31/36Arrangements for testing, measuring or monitoring the electrical condition of accumulators or electric batteries, e.g. capacity or state of charge [SoC]
    • G01R31/392Determining battery ageing or deterioration, e.g. state of health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42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rvicing or maintenance of secondary cells or secondary half-cells
    • H01M10/48Accumulators combined with arrangements for measuring, testing or indicating the condition of cells, e.g. the level or density of the electrolyte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19/00Arrangements for measuring currents or voltages or for indicating presence or sign thereof
    • G01R19/165Indicating that current or voltage is either above or below a predetermined value or within or outside a predetermined range of values
    • G01R19/16533Indicating that current or voltage is either above or below a predetermined value or within or outside a predetermined range of values characterised by the application
    • G01R19/16538Indicating that current or voltage is either above or below a predetermined value or within or outside a predetermined range of values characterised by the application in AC or DC supplies
    • G01R19/16542Indicating that current or voltage is either above or below a predetermined value or within or outside a predetermined range of values characterised by the application in AC or DC supplies for batteri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31/00Arrangements for testing electric properties; Arrangements for locating electric faults; Arrangements for electrical testing characterised by what is being tested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1R31/36Arrangements for testing, measuring or monitoring the electrical condition of accumulators or electric batteries, e.g. capacity or state of charge [SoC]
    • G01R31/3644Constructional arrangements
    • G01R31/3648Constructional arrangements comprising digital calculation means, e.g. for performing an algorithm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31/00Arrangements for testing electric properties; Arrangements for locating electric faults; Arrangements for electrical testing characterised by what is being tested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1R31/36Arrangements for testing, measuring or monitoring the electrical condition of accumulators or electric batteries, e.g. capacity or state of charge [SoC]
    • G01R31/382Arrangements for monitoring battery or accumulator variables, e.g. SoC
    • G01R31/3828Arrangements for monitoring battery or accumulator variables, e.g. SoC using current integration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31/00Arrangements for testing electric properties; Arrangements for locating electric faults; Arrangements for electrical testing characterised by what is being tested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1R31/36Arrangements for testing, measuring or monitoring the electrical condition of accumulators or electric batteries, e.g. capacity or state of charge [SoC]
    • G01R31/396Acquisition or processing of data for testing or for monitoring individual cells or groups of cells within a battery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42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rvicing or maintenance of secondary cells or secondary half-cells
    • H01M10/425Structural combination with electronic components, e.g. electronic circuits integrated to the outside of the casing
    • H01M2010/4271Battery management systems including electronic circuits, e.g. control of current or voltage to keep battery in healthy state, cell balancing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10Energy storage using batterie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Charge And Discharge Circuits For Batteries Or The Like (AREA)
  • Secondary Cell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2차 전지의 잔존수명 연산 방법은 (a) 2차 전지의 충방전 전류 적산에 의해 상기 2차 전지의 전류량을 연산하는 단계; (b) 상기 2차 전지의 충방전 또는 무부하 상태 검사를 수행하여 상기 2차 전지의 충방전 상태를 확인하는 단계; 및 (c) 상기 단계(b)에서 상기 2차 전지의 충방전이 종료되면 상기 단계(a)에서 연산된 상기 2차 전지의 전류량를 이용하여 상기 2차 전지의 잔존수명을 연산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2차 전지의 잔존수명을 정확히 연산/도출하는데 있어 기존 방법과 다르게 충/방전량 기반으로 2차 전지의 잔존수명을 정확히 연산/도출이 가능하다.

Description

2차 전지의 잔존수명 연산 방법 및 장치{COMPUTATIONS METHOD AND APPARTUS FOR SECONDARY BATTERY REMAINING LIFE}
본 발명은 2차 전지의 잔존수명 연산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전기에너지를 이용하여 차량을 구동하는 전기자동차 및 기타 전기에너지를 이용하여 구동하는 신재생 산업분야로써, 풍력발전기, 태양광 장치, 모바일 기기(휴대폰, 노트북, 무전기), 기타 2차 전지를 사용하여 동작하는 유/무선 기기와 산업기기 등의 장치에 적용할 수 있는 방전심도(DOD:Deep of Discharge) 기반 2차 전지의 잔존수명 연산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배터리는 흔히 볼 수 있는 휴대폰과 같은 모바일 기기, 기타 최소한의 전원을 필요로 하고 잔여 전력을 구비해야 하는 시스템에 필수적으로 적용되어 있다. 최근 신재생 에너지 분야에서는 풍력, 파력, 태양광 시스템에도 안정된 전원 공급과 충전이 가능한 2차 전지 채택 및 활용이 급격화되고 있으며, 나아가 차세대 자동차 산업에도 중대형 2차 전지를 이용한 자동차의 기술혁신과 기술개선을 꾀하고 있다. 이러한 모든 산업 전반에 2차 전지 배터리의 응용이 다각화됨으로 더욱 쓰임새와 활용범위가 커지고 있다. 따라서 배터리를 최적화하여 관리하고 운용할 수 있는 배터리 운용장치를 개발하는 분야도 2차 전지의 기술발전과 함께 많은 기술 도약을 하게 되었다.
도 1은 배터리 장치에 팩키지로 설치되어 있는 배터리 관리 시스템(BMS)을 도시하였으며, 주요 기능은 팩을 구성하는 다수의 전지 관리를 위한 것으로, 전지 상태 정보는 물론, 결함정보, 각 물리적 파라미터의 값을 공유하고 사용자에게 모니터링한다. 도 2는 전지의 잔존수명(State of Health: SOH)을 산출하는 로직의 일예를 나타낸 것으로, 전지의 내부저항, 잔존용량(SOC), 컨덕턴스 등의 파라미터를 이용하여 전지의 잔존수명(SOH)을 산출하였다. 이러한 전지의 잔존수명 산출 로직을 간략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초기값이 세팅(S10)되면 전지 잔존용량(SOC)을 측정(S30)하여 전지 잔존용량(SOC)이 0% 인지를 확인(S50)한다. 전지 잔존용량(SOC)이 0% 이면 충방전 횟수에 1을 더한다(S70). 이어서 전지 잔존수명(SOH)을 계산(S90)한다. 단계S10에서 초기값이 세팅되지 않은 경우에는 전지 잔존용량(SOC) 상태를 입력(S110)받아 전지 잔존용량(SOC)을 측정(S130)하여 전지 잔존용량(SOC)이 0% 인지를 확인(S150)한다. 전지 잔존용량(SOC)이 0% 이면 충방전 횟수에 1을 더한다(S170). 이어서 전지 잔존수명(SOH)을 계산(S190)한다. 전지 잔존용량(SOC)이 0% 인지를 확인하는 단계S150에서 전지 잔존용량(SOC)이 0% 가 아닌 경우에는 전지 잔존용량(SOC)의 상태를 입력(S210)받아 남은 전지 잔존용량(SOC)을 계산(S230)한다. 남은 전지 잔존용량(SOC)이 0% 인지를 확인(S250)하여 남은 전지 잔존용량(SOC)이 0% 이면 충전량을 계산(S270)하고, 이어서 충전량이 100% 인지를 확인(S290)한다. 단계S250에서 남은 전지 잔존용량(SOC)이 0% 가 아닌 경우 또는 단계S290에서 충전량이 100% 가 아닌 경우에는 전지 잔존용량(SOC)을 측정하는 단계S130을 수행한다. 단계S290에서 충전량이 100% 인 경우에는 충방전 횟수에 1을 더한 후 전지 잔존수명(SOH)을 계산하는 단계S170 및 단계S190을 수행한다.
충전이 가능한 2차 전지는 그 사용의 정도에 제한이 있으며, 이를 전지의 잔존수명(SOH)라 한다. 전지의 잔존수명은 전지의 물성, 사용 환경에 따라 정도가 다르고 특성이 제각기 달라진다. 이러한 전지의 잔존수명은 배터리 관리 시스템(BMS) 로직 완성도를 결정짓는 매우 중요한 사용자의 파라미터가 되었다. 그러나 전지의 수명 상태를 인지하는 척도가 되는 잔존수명을 정확히 그리고 명확히 예측하는 것은 쉽지 않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창안된 것으로서, 어떠한 전지의 파라미터를 이용하고 어떤 연산을 수행하며, 어떻게 해당 데이터를 갱신/유지하고 모니터링 할 수 있는지를 연구함으로써 부정확한 전지의 잔존수명을 정확히 예측할 수 있도록 한 2차 전지의 잔존수명 연산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함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2차 전지의 잔존수명 연산 방법의 일 측면에 따르면, (a) 2차 전지의 충방전 전류 적산에 의해 상기 2차 전지의 전류량을 연산하는 단계; (b) 상기 2차 전지의 충방전 또는 무부하 상태 검사를 수행하여 상기 2차 전지의 충방전 상태를 확인하는 단계; 및 (c) 상기 단계(b)에서 상기 2차 전지의 충방전이 종료되면 상기 단계(a)에서 연산된 상기 2차 전지의 전류량를 이용하여 상기 2차 전지의 잔존수명을 연산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2차 전지의 잔존수명을 정확히 연산/도출하는데 있어 기존 방법과 다르게 충/방전량 기반으로 2차 전지의 잔존수명을 정확히 연산/도출이 가능하다.
또한, 2차 전지의 잔존수명을 정확하게 산출함으로써 전지와 기구구조의 설계 및 완성도 부분의 평가가 가능하고 2차 전지 및 응용 시스템의 유지 및 보수 측면에서 매우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
또한, 전지의 잔존용량과 함께 잔존수명의 정확성은 해당 배터리 관리 시스템(BMS) 로직의 핵심으로 배터리 관리 시스템의 전체 로직 완성도 및 기술력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상용화 배터리 관리 시스템 로직 기술을 선점하고 세계 배터리 관리 시스템 시장에서 경쟁력 향상을 극대화 할 수 있으며, 전지의 잔존수명(SOH) 로직 표준화를 꾀하는데 많은 도움이 될 수 있다.
도 1은 배터리 장치에 팩키지로 설치되어 있는 배터리 관리 시스템(BMS)을 나타내는 도면.
도 2는 전지의 잔존수명(SOH)을 산출하는 로직의 일예를 나타내는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배터리 관리 시스템의 전지 잔존용량(SOH) 연산 방법을 나타내는 도면.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배터리 관리 시스템의 전지 잔존용량(SOH) 연산 방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본 발명에서는 전지의 잔존 수명 정확성 향상을 위해 획득되는 데이터의 파라미터 중 충/방전 전류량을 사용하였으며, 이는 풀 충전(full charging), 풀 방전(full discharging)을 잔존 수명 1 사이클(cycle)로 정의하는 방전심도(DOD: Deep of Discharge) 개념에 기인한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배터리 관리 시스템(BMS)에 구동 전원이 인가(S10)되어 활성화되면 전지의 충/방전 전류를 획득하는 센서(Shunt 또는 CT)가 켜져 충/방전 전류값이 획득(S30)된다. 획득된 데이터는 A/D 변환(S50)되어 BMS 제어기에서 디코딩(S70)된다.
해당 값은 하기의 수학식 1에서와 같이 전류량은 충/방전에 관계없이 절대값을 취하여 1차 연산인 전류 적산(S90)을 수행한다. 즉, 잔존 수명(SOH) 연산/도출을 위한 파라미터로 배터리 충/방전 전류 적산이 사용된다.
Figure pat00001
1차 연산 수행과 동시에 배터리 관리 시스템(BMS)은 전류값을 기반으로 충/방전 또는 무부하 2가지의 상태 검사를 수행하여 충/방전 중인지를 확인(S110)한다.
배터리 관리 시스템(BMS)은 충/방전 중이면 연속하여 단계S90의 1차 연산을 수행함으로 전류량을 산출한다. 그러나, 무부하 상태가 되어 충/방전이 종료되면 1차 연산을 중지하고 잔존 수명을 산출하기 위한 2차 연산을 수행(S130)한다. 즉, 충/방전 종료 여부를 검사하고 종료되면 절대값으로 적산된 전류량에 의해 잔존 수명을 산출하기 위한 2차 연산이 수행된다.
Figure pat00002
상기 수학식 2에서 적산된 충/방전 전류량을 배터리 충/방전 전류용량 합으로 나누고 배터리의 총 수명 사이클에서 빼주면 잔존수명이 연산된다. 즉, 적산된 충/방전 전류량을 배터리 풀충전/풀방전량으로 나누고 최근 업데이트된 잔존수명으로 빼주면 현재의 가용할 수 있는 전지의 잔존 수명을 알 수 있게 된다.
단계S130에서 연산이 완료되어 갱신된 배터리의 잔존수명 데이터는 ROM(Read Only Memory) 또는 플래쉬 롬(Flash RAM) 등의 BMS 메모리에 저장(S150)된다. 이와 같이 저장된 배터리의 잔존수명 데이터는 배터리 관리 시스템(BMS)의 온/오프(On/Off)에 관계없이 항상 참조해야 하는 파라미터로서 배터리 관리 시스템(BMS)이 오프(Off)되어도 데이터가 저장되며, 배터리 관리 시스템(BMS)이 활성화(On)되었을 때 갱신된 잔존수명 데이터는 로딩(loading)되어 연산시 가용할 수 있는 최종 잔존수명의 파라미터에 반영된다. 즉, 잔존수명 데이터는 배터리 관리 시스템(BMS)의 메모리에 액세스(access)하여 반영구적으로 확보된다.
최종적으로 해당 값을 모니터링(S170)함으로 사용자가 전지의 성능을 관리할 수 있게 됨으로써 전지 사용에 최적 성능을 유지/확보하며 운영할 수 있게 된다.
상기 로직은 배터리 관리 시스템(BMS)이 활성화(On) 상태일 때 잔존수명 산출 로직을 무한 루프(loop)로 반복한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이것에 의해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사상과 아래에 기재될 특허청구범위의 균등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S10 : 구동전원인가 단계 S30 : 전류값 획득 단계
S50 : A/D 변환 단계 S70 : 디코딩 단계
S90 : 충방전 전류적산 단계 S110 : 충방전 확인 단계
S130 : 잔존수명 연산 단계 S150 : 잔존수명 갱신/저장 단계
S170 : 잔존수명 모니터링 단계

Claims (7)

  1. 2차 전지 잔존수명 연산 방법으로서,
    (a) 2차 전지의 충방전 전류 적산에 의해 상기 2차 전지의 전류량을 연산하는 단계;
    (b) 상기 2차 전지의 충방전 또는 무부하 상태 검사를 수행하여 상기 2차 전지의 충방전 상태를 확인하는 단계; 및
    (c) 상기 단계(b)에서 상기 2차 전지의 충방전이 종료되면 상기 단계(a)에서 연산된 상기 2차 전지의 전류량를 이용하여 상기 2차 전지의 잔존수명을 연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2차 전지 잔존수명 연산 방법.
  2. 청구항 1에 있어서,
    (d) 상기 단계(c)에서 연산된 상기 2차 전지의 잔존수명 데이터를 메모리에 저장하는 단계; 및
    (e) 상기 단계(d)에서 상기 메모리에 저장된 잔존수명 데이터를 모니터링하여 상기 2차 전지의 성능을 관리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2차 전지 잔존수명 연산 방법.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단계(d)에서, 상기 2차 전지의 잔존수명 데이터가 저장되는 메모리는 롬 또는 플래쉬 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2차 전지 잔존수명 연산 방법.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단계(a)에서, 상기 2차 전지의 전류량은
    Figure pat00003

    에 의한 전류 적산에 의해 연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2차 전지 잔존수명 연산 방법.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단계(c)에서, 상기 2차 전지의 잔존수명은
    Figure pat00004

    에 의해 연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2차 전지 잔존수명 연산 방법.
  6.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2차 전지의 잔존수명은 절대값으로 적산된 상기 2차 전지의 전류량을 상기 2차 전지의 충방전 전류용량의 합으로 나누어 상기 2차 전지의 총 수명 사이클에서 뺀
    것을 특징으로 하는 2차 전지 잔존수명 연산 방법.
  7. 청구항 1의 방법에 의해 전지의 잔존수명을 연산하는 2차 전지 잔존수명 연산 장치.
KR1020100137576A 2010-12-29 2010-12-29 2차 전지의 잔존수명 연산 방법 및 장치 KR101841044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37576A KR101841044B1 (ko) 2010-12-29 2010-12-29 2차 전지의 잔존수명 연산 방법 및 장치
PCT/KR2011/010192 WO2012091432A2 (ko) 2010-12-29 2011-12-28 2차 전지의 잔존수명 연산 방법 및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37576A KR101841044B1 (ko) 2010-12-29 2010-12-29 2차 전지의 잔존수명 연산 방법 및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75756A true KR20120075756A (ko) 2012-07-09
KR101841044B1 KR101841044B1 (ko) 2018-03-22

Family

ID=4638370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137576A KR101841044B1 (ko) 2010-12-29 2010-12-29 2차 전지의 잔존수명 연산 방법 및 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1841044B1 (ko)
WO (1) WO2012091432A2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3293487B (zh) * 2013-06-28 2015-09-09 哈尔滨工业大学 基于集成模型的锂离子电池寿命预测方法
CN105891721A (zh) * 2016-04-01 2016-08-24 深圳市清友能源技术有限公司 一种电池管理系统的soc检测方法及检测装置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32273B1 (ko) * 2002-10-11 2005-11-29 삼성전자주식회사 복합 단말기에서 동작 모드에 따른 배터리 가용 시간 알림방법
JP2004222433A (ja) 2003-01-16 2004-08-05 Hitachi Unisia Automotive Ltd ハイブリッド車両の制御装置
KR100713631B1 (ko) * 2004-11-26 2007-05-02 주식회사 파워로직스 배터리의 잔존용량 산출방법
JP2005164604A (ja) * 2004-12-17 2005-06-23 Hitachi Battery Hanbai Service Kk 蓄電池の監視装置
KR100869801B1 (ko) * 2006-09-26 2008-11-21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배터리 관리 시스템 및 그 구동방법
KR20090077657A (ko) * 2008-01-11 2009-07-15 에스케이에너지 주식회사 배터리 관리 시스템에서 배터리의 soc 측정 방법 및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2091432A3 (ko) 2012-10-04
WO2012091432A2 (ko) 2012-07-05
KR101841044B1 (ko) 2018-03-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054482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determining battery state of charge
US9653759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optimized battery life cycle management
CN107819339B (zh) 充电模式制作装置、充电控制装置、充电模式制作方法及蓄电系统
JP5248764B2 (ja) 蓄電素子の異常検出装置、蓄電素子の異常検出方法及びその異常検出プログラム
US10459034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estimating state of health (SOH) of battery
KR101837453B1 (ko) 2차 전지의 잔존용량 연산 방법 및 장치
US10393819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estimating state of battery
JP5179047B2 (ja) 蓄電装置の異常検出装置、蓄電装置の異常検出方法及びその異常検出プログラム
US11105861B2 (en) Device and method for estimating battery resistance
Zhu et al. A simplified equivalent circuit model for simulation of Pb–acid batteries at load for energy storage application
KR101500547B1 (ko) 배터리 셀의 충전량 밸런싱 장치 및 방법
US11391780B2 (en) Battery diagnostic device and method
JPWO2011004550A1 (ja) サイクル数計数回路、電池パック、及び電池システム
JP2012508557A (ja) ハイブリッド電気化学物質からなる電池、モジュールおよびパックの制御
US20150377972A1 (en) Method for determining a state of charge and remaining operation life of a battery
US20140149058A1 (en) Measuring devices of remaining battery life and measuring methods thereof
KR20140053590A (ko) 배터리 잔존 용량 추정 장치 및 방법
CN111426960A (zh) 储能锂电池荷电状态监控方法与装置
JP2013064697A (ja) 二次電池システム
CN113484783B (zh) 电池soh检测方法、装置、系统、介质及程序产品
KR20120075756A (ko) 2차 전지의 잔존수명 연산 방법 및 장치
CN112108400A (zh) 一种预测软包电池循环性能的测试方法
KR101229940B1 (ko) 에너지 저장장치의 모듈 관리 시스템 및 방법
JP7194385B2 (ja) 組電池の評価方法および電池システム
KR20130079751A (ko) 전지 soc 추정 방법 및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