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075719A - 손가락 겸용 손목단련용 운동구 - Google Patents

손가락 겸용 손목단련용 운동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075719A
KR20120075719A KR1020100137510A KR20100137510A KR20120075719A KR 20120075719 A KR20120075719 A KR 20120075719A KR 1020100137510 A KR1020100137510 A KR 1020100137510A KR 20100137510 A KR20100137510 A KR 20100137510A KR 20120075719 A KR20120075719 A KR 2012007571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otating body
wrist
case
finger
rotational for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13751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237579B1 (ko
Inventor
김성일
Original Assignee
김성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성일 filed Critical 김성일
Priority to KR102010013751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37579B1/ko
Publication of KR2012007571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7571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3757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3757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3/00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arts of the body
    • A63B23/035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arts of the body for limbs, i.e. upper or lower limbs, e.g. simultaneously
    • A63B23/12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arts of the body for limbs, i.e. upper or lower limbs, e.g. simultaneously for upper limbs or related muscles, e.g. chest, upper back or shoulder muscles
    • A63B23/16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arts of the body for limbs, i.e. upper or lower limbs, e.g. simultaneously for upper limbs or related muscles, e.g. chest, upper back or shoulder muscles for hands or finger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3/00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arts of the body
    • A63B23/035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arts of the body for limbs, i.e. upper or lower limbs, e.g. simultaneously
    • A63B23/12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arts of the body for limbs, i.e. upper or lower limbs, e.g. simultaneously for upper limbs or related muscles, e.g. chest, upper back or shoulder muscles
    • A63B23/14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arts of the body for limbs, i.e. upper or lower limbs, e.g. simultaneously for upper limbs or related muscles, e.g. chest, upper back or shoulder muscles for wrist joint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213/00Exercising combined with therapy
    • A63B2213/007Exercising combined with therapy combined with magnetotherapy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Rehabilitation Too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손가락 겸용 손목단련용 운동구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운동에너지를 증폭시키고, 케이스의 어느 일측에 손가락링을 구성하여 손가락에 걸고 운동할 수 있다는 사용의 한계성을 향상시켰으며, 회전체에 다수의 영구자석을 분포시켜 상기 영구자석을 통해 발산되는 미세한 전류에 통한 이로운 자기장 발생으로 혈액순환과 같은 건강에 유익한 효과를 가지도록 하는 제품경쟁력을 강화하는 손가락 겸용 손목단련용 운동구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은, 회전체와 상기 회전체를 외주를 커버하는 케이스로 이루어져 상기 회전체에 회전력을 부가한 후 손목의 스냅으로 상기 회전체의 회전력을 지속 또는 증폭시켜 손목의 피로 및 팔 근력을 강화하도록 구성된 손목단련용 운동구에 있어서, 상기 회전체에는 미세한 전류에 의해 혈액순환과 같은 건강에 도움을 줄 수 있도록 하는 다수의 영구자석;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손가락 겸용 손목단련용 운동구{A WRIST TEMPER SPORTING GOODS}
본 발명은 손가락 겸용 손목단련용 운동구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운동에너지를 증폭시키고, 케이스의 어느 일측에 손가락링을 구성하여 손가락에 걸고 운동할 수 있다는 사용의 한계성을 향상시켰으며, 회전체에 다수의 영구자석을 분포시켜 상기 영구자석을 통해 발산되는 미세한 전류에 통한 이로운 자기장 발생으로 혈액순환과 같은 건강에 유익한 효과를 가지도록 하는 제품경쟁력을 강화하는 손가락 겸용 손목단련용 운동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손목을 주로 사용하는 운동선수나 일반사무원, 특히 IT산업의 발전으로 컴퓨터 및 휴대용 전자기기의 사용량이 급증함에 따라 자판을 두드리기 위한 손가락의 활공으로 최근에는 손목뿐만 아니라 손가락의 피로누적에 따른 손목증후군으로 고생하는 사람들이 증가하고 있는 추세이다.
그러나, 손가락에 누적된 피로를 풀 수 있는 별도의 운동장비가 보급되거나 개발되어 있지 않고, 다만, 본원출원인의 대한민국 특허 제694757호 및 등록실용신안 제352282호로 손목단련을 위한 운동구가 제공되었다.
상기의 손목단련용 운동구는 자이로스코프(gyroscope)의 원리를 이용하여, 케이스내에 마련된 회전체를 외부에서 작동끈을 이용하여 최초 회전력을 부가하면 상기 부가된 회전력에 의해 미약한 회전을 이루게 되고, 이러한 회전을 지속 또는 증폭시키기 위해서는 손목을 계속해서 스냅을 주면 상기 회전체는 회전력이 증폭 또는 지속됨에 따라 계속적인 회전을 이루게 된다.
그리고, 상기 손목의 스냅동작에 의해 회전체에 회전력이 증폭되면 상기 손목의 스냅 동작을 멈추어도 고속의 회전체 회전력으로 계속해서 회전을 이루게 되고, 이러한 회전체의 회전력에 의해 운동구를 파지한 손목은 자연스럽게 움직여짐에 따라 손목의 피로 및 운동구를 파지하기 위해 사용되는 팔 근력을 강화하는 운동이 이루어지는 것이었다.
그러나, 종래의 손목단련용 운동구는 케이스 내에 회전체가 고속으로 회전되는 단순함과 고속의 회전에 따른 소음으로 흥미유발을 지속시키지 못해 결국, 손목의 피로 및 팔 근력을 강화하는 효과의 한계성을 가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제안하는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운동에너지를 증폭시키고, 케이스의 어느 일측에 손가락링을 구성하여 손가락에 걸고 운동할 수 있다는 사용의 한계성을 향상시켰으며, 회전체에 다수의 영구자석을 분포시켜 상기 영구자석을 통해 발산되는 미세한 전류에 통한 이로운 자기장 발생으로 혈액순환과 같은 건강에 유익한 효과를 가지도록 하는 제품경쟁력을 강화하는 손가락 겸용 손목단련용 운동구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손가락 겸용 손목단련 운동구는 회전체와 상기 회전체를 외주를 커버하는 케이스로 이루어져 상기 회전체에 회전력을 부가한 후 손목의 스냅으로 상기 회전체의 회전력을 지속 또는 증폭시켜 손목의 피로 및 팔 근력을 강화하도록 구성된 손목단련용 운동구에 있어서, 상기 회전체에는 미세한 전류에 의해 혈액순환과 같은 건강에 도움을 줄 수 있도록 하는 다수의 영구자석;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케이스의 내측에는 상기 회전체에 최초 회전력을 부가하기 위해 사용되는 작동끈을 수납할 수 있는 수납공간;을 포함함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은 회전체와 케이스 사이에 구성되는 스냅링의 외주연에는 상기 회전체의 회전으로 발생하는 진동 및 소음을 최소화하도록 하는 방음커버;를 포함함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은 회전체와 케이스 사이에 마련되어 상기 회전체의 회전수를 감지하는 회전감지센서; 및 상기 케이스의 외측에 마련되고 상기 회전감지센서를 통해 계수되는 회전수를 사용자가 외부에서 식별할 수 있도록 표시해주는 표시부;를 포함함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은 케이스의 어느 일측에는 어느 하나의 손가락을 끼울 수 있어 손가락을 단련시킬 수 있도록 하는 손가락링;을 포함함이 바람직하다.
이상과 같이, 운동에너지를 증폭시키고, 케이스의 어느 일측에 손가락링을 구성하여 손가락에 걸고 운동할 수 있다는 사용의 한계성을 향상시켰으며, 회전체에 다수의 영구자석을 분포시켜 상기 영구자석을 통해 발산되는 미세한 전류에 통한 이로운 자기장 발생으로 혈액순환과 같은 건강에 유익한 효과를 가지도록 하는 제품경쟁력을 강화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손목단련 운동구의 분해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손목단련 운동구의 결합 단면도.
이하, 본 발명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손목단련 운동구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손목단련 운동구의 결합 단면도로서, 이를 참조한다.
손가락 겸용 손목단련 운동구(1)는 회전체(10)와, 상기 회전체(10)의 회전을 지지하기 위해 상기 회전체(10)의 외주연에 마련되는 스냅링(20), 및 상기 회전체(10)와 스냅링(20)을 보호하도록 감싸면서 사용자의 파지가 가능하도록 하는 케이스(30)로 구성된다.
아울러, 상기 회전체(10)의 양단 각각에는 상기 스냅링(20)에 걸쳐지면서 상기 회전체(10)의 회전이 원활하도록 지지하는 지지축(12)이 구성된다.
또한, 상기 회전체(10)의 중앙 즉, 상기 지지축(12)의 수직되는 방향에는 작동끈(40)의 일단이 걸림되는 걸림홈(14)이 마련된다.
이 경우, 상기 걸림홈(14)이 마련되는 회전체(10)에는 일정깊이를 가지는 테두리홈(16)이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테두리홈(16)의 깊이는 상기 걸림홈(14)에 일단이 걸림된 작동끈(40)을 상기 회전체(10)에 권취할 때 권취된 작동끈(40)에 의해 상기 회전체(10)와 케이스(30) 사이를 간섭하지 않도록 상기 작동끈(40)의 권취되는 두께만큼 함몰되는 정도의 깊이를 가짐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회전체(10)의 외주연에는 다양한 색채가 도색 또는 인쇄되어 상기 회전체(10)가 회전할 때 다양한 무늬모양이 표현됨에 따라 유희감을 증폭할 수 있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특히, 상기 회전체(10)에는 다수의 영구자석(18)이 마련됨이 바람직한 것으로, 이는 운동구(1)를 파지할 경우, 상기 영구자석(18)에서 이로운 자기장 발생으로 혈액순환과 같은 건강에 유익한 효과를 가지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 영구자석(18)은 상기 회전체(10)에 일정깊이 홈을 형성하여, 상기 홈에 삽입 고정시키는 것으로, 접착제를 이용하여 접착 고정한다.
상기 스냅링(20)은 상기 회전체(10)의 회전이 원활하게 이루어지도록 지지하는 수단으로, 상기 스냅링(20)에는 상기 회전체(10)의 지지축(12)이 위치되는 부분만큼 관통될 수 있는 관통홈(22)이 형성되나,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삽입되는 삽입홈 또는 안착되는 단턱 중 어느 하나로 형성할 수 있는 것으로, 상기 회전체(10)의 원활한 회전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형상이면 어느 것이든 채택가능하다.
아울러, 상기 스냅링(20)은 합성수지재로 이루어져도 무관하나, 강도가 우수한 금속제로 형성함이 바람직한 것으로, 이는 강도가 우수한 금속재인 경우 상기 스냅링(20)의 형성 크기를 최소화할 수 있고, 이로 인해 전체적인 운동구(1)의 크기를 축소시키거나 또는 동일한 크기의 운동구(1)라 하더라도 회전체(10)의 크기를 최대화할 수 있으므로 회전력을 증폭시켜 운동의 효과를 배가할 수 있다는 효과를 가진다.
한편, 상기 스냅링(20)의 외주연에는 회전체(10)의 회전으로 발생하는 진동 및 소음이 최소화되도록 하는 방음커버(210)가 구성된다.
상기 방음커버(210)는 진동 또는 소음을 흡수할 수 있는 재질이면 어느 것이든 사용 가능한 것으로, 가령 고무나 합성수지, 실리콘 또는 직물지 등이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케이스(30)는 회전체(10)의 외주에 마련되어, 상기 회전체(10)의 회전이 원활하도록 지지하는 수단으로, 제1 내지 제4케이스(310)(320)(330)(340)로 구성된다.
상기 제1 및 제2케이스(310)(320)는 대칭되는 형상을 가지고 수직방향으로 양분되게 구성되며, 상기 제1 및 제2케이스(310)(320)의 상단부에는 절개된 제1 및 제2절개면(312)(322)이 형성되어 상기 제1 및 제2절개면(312)(322)을 통해 상기 회전체(10)의 일부가 노출된 상태이므로, 작동끈(40)을 통해 상기 회전체(10)의 시동이 가능한 것이다.
아울러, 상기 제1 및 제2케이스(310)(320)의 수평방향 중간 부분에는 상기 스냅링(20)이 안착되도록 일정깊이를 가지는 제1 및 제2안착홈(314)(324)이 형성된다.
상기 제1 및 제2케이스(310)(320)의 상단부에는 제3케이스(330)가 체결고정되도록 하여, 양분된 상기 제1 및 제2케이스(310)(320)를 고정하는 수나사산(316)(326)이 형성된다.
또한, 상기 제1 및제2케이스(310)(320)의 하단 각각에는 제4케이스(340)가 고정되도록 하나 또는 하나 이상의 고정공(318)(328)이 형성되고, 상기의 고정공(318)(328)은 나사가 체결고정되도록 암나사산이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물론,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상기 제4케이스(340)가 고정될 수 있는 형상 또는 구성이면 어느 것이든 채택 가능하다.
상기 제3 및 제4케이스(330)(340)는 상기 제1 및 제2케이스(310)(320)의 보호 및 회전체(10)의 회전으로 인해 발생하는 진동이 사용자에게 전달되는 것을 최소화하여 그립감이 향상되도록 하는 수단이다.
상기 제3케이스(330)의 상단부에는 상기 제1 및 제2케이스(310)(320)의 제1 및 제2절개면(312)(322)과 동일한 수평면을 가지도록 제3절개면(332)이 형성되고, 내측에는 상기 제1 및 제2케이스(310)(320)의 수나사산(316)(326)과 체결되는 암나사산(334)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제4케이스(340)는 상기 제1 및 제2케이스(310)(320)의 하단에 마련되어 상기 제1 및 제2케이스(310)(320)의 하단을 지지 고정하는 수단으로, 상기 제4케이스(340)의 하단에는 상기 제1 및 제2케이스(310)(320) 하단 각각에 구성된 고정공(318)(328)과 대응하는 위치에 삽입공(342)이 형성된다.
아울러, 상기 제4케이스(340)의 하단에는 삽입공(342)을 통해 상기 제1 및 제2케이스(310)(320)의 고정공(318)(328)에 체결되는 나사에 의해 체결고정되는 손가락링(350)이 더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제4케이스(340)에는 작동끈(40)을 수납할 수 있는 수납공간(344), 및 상기 제4케이스(340)의 어느 일측에는 상기 수납공간(344)과 외부와 연통되어 상기 작동끈(40)이 출입할 수 있는 출입공(346)이 형성된다.
또한, 상기 수납공간(344)은 제1 및 제2케이스(310)(320)와 상기 제4케이스(340) 사이에 형성되고,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4케이스(340)의 상단에 일정공간을 형성함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상기 작동끈(40)을 사용하지 않을 경우에는 상기 출입공(346)을 작동끈(40)을 상기 수납공간(344)에 수납 보관할 수 있으므로 분실의 위험을 방지하였다.
상기 손가락링(350)은 고정판(352)과, 상기 고정판(352)에 형성되고 상기 제4케이스(340)에 착탈되게 고정될 수 있도록 나사가 삽입되는 복수의 결합공(354)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고정판(352)에 양단이 고정되고 손가락이 삽입 걸림되는 걸고리(356)가 형성된다.
아울러, 상기 손가락링(350)을 케이스(30)에 고정하는 방식은 나사의 체결방식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상기 케이스(30)에 손가락링(350)을 착탈 가능하게 고정할 수 있는 수단이면 어느 것이든 사용가능한 것으로, 가령 벨크로 파스너 방식를 이용할 수 있는 것이다.
상기 걸고리(356)는 누구에게나 사용 가능하도록 탄성체임이 바람직하고, 이 경우, 고무 또는 실리콘임이 더욱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제1 및 제2케이스(310)(320)의 내측에는 상기 회전체(10)의 회전수 또는 회전속도를 측정할 수 있는 회전감지센서(360)가 더 구성되어 있다.
상기 회전감지센서(360)는 근접센서나 적외선센서 또는 엔코더와 같이 상기 회전체(10)의 회전을 감지할 수 있는 센서이면 어느 것이든 사용 가능하다.
또한, 상기 회전체(10)에는 상기 회전감지센서(360)가 상기 회전체(10)의 회전수를 측정할 수 있는 기준점인 감지부(19)가 구성됨이 바람직하다.
즉, 상기 제1 및 제2케이스(310)(320)의 하단 내측 중앙에 상기 회전감지센서(360)가 구성되고, 상기 회전체(10)의 테두리홈(16)이 형성된 중앙의 어느 일측에 감지부(19)가 구성되어, 상기 회전체(10)의 감지부(19)를 상기 회전감지센서(360)가 센싱함에 따라 상기 회전체(10)의 회전수 또는 회전속도 등을 산출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상기 제1케이스(310)의 어느 일측에는 상기 회전감지센서(360)를 통해 센싱된 상기 회전체(10)의 회전수 또는 회전속도를 사용자가 육안으로 식별 가능하도록 표시하는 표시부(319)가 구성되어 있다.
아울러, 상기 표시부(319)는 상기 회전체(10)의 회전수 및 회전속도를 동시에 표시하도록 구성할 수 있으며, 경우에 따라서는 상기 제2케이스(320)에 마련하여도 무방하다.
따라서, 사용자는 상기 회전체(10)의 회전수 또는 회전속도를 육안으로 식별하면서 운동구(1)를 동작시킴에 따라 흥미 유발에 따른 계속적인 운동이 가능하고, 또한 타사용자와의 경쟁심으로 유발로 지속적인 운동이 가능하다는 효과를 가진다.
또한, 상기 제3케이스(330)에는 상기 제1케이스(310)에 마련된 표시부(319)를 투시할 수 있도록 하는 투명부(336)가 더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상기 작동끈(40)은 줄 형상을 이루며 일끝단에 파지가 용이하도록 파지부(42)가 형성되어 있다.
아울러, 상기 작동끈(40)은 탄성이 없거나 거의 없는 정도의 합성수지 또는 직물로 이루어짐이 바람직한 것으로, 이는 작동끈(40)을 회전체(10)에 권취한 후 당김력이 원활하게 제공되도록 하기 위함이다.
또한, 상기 파지부(42)는 쿠션을 가지는 합성수지 또는 우레탄 계열의 소재로 이루어짐이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파지가 용이한 크기로 형성되면 어느 것이든 사용 가능하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손가락 겸용 손목단련 운동구의 사용상태를 보면 다음과 같다.
먼저, 작동끈(40)의 일단을 제1 내지 제3케이스(310)(320)(330)의 제1 내지 제3절개면(312)(322)(332)을 통해 일부가 노출된 회전체(10)에 형성된 어느 하나의 걸림홈(14)에 삽입한 후 상기 회전체(10)를 어느 한방향으로 회전시키면 상기 작동끈(40)은 상기 회전하는 회전체(10)의 외주연을 따라 권취되고, 이때 권취되는 작동끈(40)은 상기 회전체(10)에 형성된 테두리홈(16)에 마련됨으로, 회전체(10)와 케이스(30) 사이를 간섭하지 않게 된다.
그리고, 상기와 같이 회전체(10)에 작동끈(40)의 권취가 완료되면, 상기 작동끈(40)의 파지부(42)를 파지한 상태에서, 물론, 한 손에는 운동구(1)를 파지한 상태이고 다른 한 손에 작동끈(40)의 파지부(42)을 파지한 상태에서 권취방향의 역방향으로 잡아당기면 상기 당김력에 의해 상기 작동끈(40)이 풀리면서 상기 회전체(10)에 최초 회전력을 부가하는 시동작업이 완료된다.
이렇게, 최초 회전력이 부가된 회전체(10)의 회전력을 증폭 또는 지속시키기 위해서는 상기 운동구(1)를 파지한 한 손에 스냅을 계속해서 주어야 한다.
그리고, 이러한 손목의 스냅에 의해 상기 회전체(10)는 회전력이 증폭 또는 지속되는 것이고, 또한 계속적인 손목의 스냅으로 자연스럽게 상기 손목의 피로를 해소하는 것이다.
또한, 상기 회전체(10)의 회전력 증폭에 의해 원심력이 증폭됨에 따라 운동구(1)는 손에서 빠져나가려는 힘이 가지게 됨에 따라 상기 운동구(1)를 파지한 손은 더욱 힘을 증가시켜야함에 따라 자연스럽게 손 및 팔의 근육을 사용하는 운동의 효과를 가진다.
더불어, 고속으로 회전하는 회전체(10)에서 발생하는 진동 또는 소음은 상기 스냅링(20)에 구성된 방음커버(210)에 의해 최소화함에 따라 상기 진동에 의해 손에서 운동구(1)가 빠져나가는 것을 방지하고, 소음을 방지하는 효과를 가진다.
아울러, 상기 회전체(10)에서 증폭된 원심력에 의해 손목에 스냅을 주지않아도 자연스럽게 손목이 스냅됨에 따라 피로를 해소하는 효과를 가진다.
한편, 상기의 케이스(30)에는 상기 회전체(10)의 회전수 또는 회전속도를 표시하는 표시부(319)를 통해 상기 회전체(10)의 회전수 또는 회전속도를 확인할 수 있으므로, 이를 통해 타 사용자와의 경쟁심 유발로 더욱 지속적인 운동 및 피로해소가 가능하다.
또한, 상기 회전체(10)에 마련된 영구자석(18)에 의해 운동구(1)를 파지한 손에는 이로운 미세전류의 영향으로 혈액순환과 같은 건강에 유익한 효과를 가진다.
한편, 손가락을 운동시키고자 할 경우에는 제4케이스(340)에 손가락링(350)을 위치시키고, 나사로 상기 손가락링(350)을 상기 제4케이스(340)에 체결 고정하고, 이렇게 고정된 상기 손가락링(350)에 마련된 걸고리(356)에 어느 하나의 손가락을 삽입시킨 상태에서 상기 운동구(1)를 파지하고 상술된 바와 같이 상기 회전체(10)를 회전시켜 운동하게 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작용을 하는 운동구(1)의 사용이 완료되면 상기 제4케이스(340)에 형성된 출입공(346)을 통해 작동끈(40)의 파지부(42)가 상기 출입공(346)에 걸림될 때까지 삽입시키면, 상기 운동구(1)와 작동끈(40)이 일체화됨에 따라 상기 작동끈(40)의 분실의 위험성을 예방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것은 본 발명에 따른 손가락 겸용 손목단련용 운동구를 실시하기 위한 하나의 실시 예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은 상기한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않고, 이하 특허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경 실시가 가능한 범위까지 본 발명의 기술적 정신이 있다고 할 것이다.
1: 운동구 10: 회전체
12: 지지축 14: 걸림홈
16: 테두리홈 18: 영구자석
19: 감지부 20: 스냅링
22: 관통홈 210: 방음커버
30: 케이스 310: 제1케이스
312: 제1절개면 314: 제1안착홈
316: 수나사산 318: 고정공
320: 제2케이스 322: 제2절개면
324: 제2안착홈 326: 수나사산
328: 고정공 330: 제3케이스
332: 제3절개면 334: 암나사산
336: 투명부 340: 제4케이스
342: 삽입공 344: 수납공간
346: 출입공 350: 손가락링
352: 고정판 354: 결합공
356: 걸고리 360: 회전감지센서
40: 작동끈 42: 파지부

Claims (10)

  1. 회전체와 상기 회전체를 외주를 커버하는 케이스로 이루어져 상기 회전체에 회전력을 부가한 후 손목의 스냅으로 상기 회전체의 회전력을 지속 또는 증폭시켜 손목의 피로 및 팔 근력을 강화하도록 구성된 손목단련용 운동구에 있어서,
    상기 회전체(10)에는 미세한 전류에 의해 혈액순환과 같은 건강에 도움을 줄 수 있도록 하는 다수의 영구자석(18);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손가락 겸용 손목단련 운동구.
  2. 회전체와 상기 회전체를 외주를 커버하는 케이스로 이루어져 상기 회전체에 회전력을 부가한 후 손목의 스냅으로 상기 회전체의 회전력을 지속 또는 증폭시켜 손목의 피로 및 팔 근력을 강화하도록 구성된 손목단련용 운동구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30)의 내측에는 상기 회전체(10)에 최초 회전력을 부가하기 위해 사용되는 작동끈(40)을 수납할 수 있는 수납공간(344);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손가락 겸용 손목단련 운동구.
  3. 회전체와 상기 회전체를 외주를 커버하는 케이스로 이루어져 상기 회전체에 회전력을 부가한 후 손목의 스냅으로 상기 회전체의 회전력을 지속 또는 증폭시켜 손목의 피로 및 팔 근력을 강화하도록 구성된 손목단련용 운동구에 있어서,
    상기 회전체(10)와 케이스(30) 사이에 구성되는 스냅링(20)의 외주연에는 상기 회전체(10)의 회전으로 발생하는 진동 및 소음을 최소화하도록 하는 방음커버(210);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손가락 겸용 손목단련 운동구.
  4. 회전체와 상기 회전체를 외주를 커버하는 케이스로 이루어져 상기 회전체에 회전력을 부가한 후 손목의 스냅으로 상기 회전체의 회전력을 지속 또는 증폭시켜 손목의 피로 및 팔 근력을 강화하도록 구성된 손목단련용 운동구에 있어서,
    상기 회전체(10)와 케이스(30) 사이에 마련되어 상기 회전체(10)의 회전수를 감지하는 회전감지센서(360); 및
    상기 케이스(30)의 외측에 마련되고 상기 회전감지센서(360)를 통해 카운트되는 회전수를 사용자가 외부에서 식별할 수 있도록 표시해주는 표시부(319);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손가락 겸용 손목단련 운동구.
  5. 회전체와 상기 회전체를 외주를 커버하는 케이스로 이루어져 상기 회전체에 회전력을 부가한 후 손목의 스냅으로 상기 회전체의 회전력을 지속 또는 증폭시켜 손목의 피로 및 팔 근력을 강화하도록 구성된 손목단련용 운동구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30)의 어느 일측에는 어느 하나의 손가락을 끼울 수 있어 손가락을 단련시킬 수 있도록 하는 손가락링(350);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손가락 겸용 손목단련 운동구.
  6. 회전체와 상기 회전체를 외주를 커버하는 케이스로 이루어져 상기 회전체에 회전력을 부가한 후 손목의 스냅으로 상기 회전체의 회전력을 지속 또는 증폭시켜 손목의 피로 및 팔 근력을 강화하도록 구성된 손목단련용 운동구에 있어서,
    상기 회전체(10)에는 미세한 전류에 의해 혈액순환과 같은 건강에 도움을 줄 수 있도록 하는 다수의 영구자석(18); 및
    상기 케이스(30)의 내측에는 상기 회전체(10)에 최초 회전력을 부가하기 위해 사용되는 작동끈(40)을 수납할 수 있는 수납공간(344);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손가락 겸용 손목단련 운동구.
  7.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회전체(10)와 케이스(30) 사이에 구성되는 스냅링(20)의 외주연에는 상기 회전체(10)의 회전으로 발생하는 진동 및 소음을 최소화하도록 하는 방음커버(210);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손가락 겸용 손목단련 운동구.
  8.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회전체(10)와 케이스(30) 사이에 마련되어 상기 회전체(10)의 회전수를 감지하는 회전감지센서(360); 및
    상기 케이스(30)의 외측에 마련되고 상기 회전감지센서(360)를 통해 카운트되는 회전수를 사용자가 외부에서 식별할 수 있도록 표시해주는 표시부(319);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손가락 겸용 손목단련 운동구.
  9.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30)의 어느 일측에는 어느 하나의 손가락을 끼울 수 있어 손가락을 단련시킬 수 있도록 하는 손가락링(350);
    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손가락 겸용 손목단련 운동구.
  10. 회전체와 상기 회전체를 외주를 커버하는 케이스로 이루어져 상기 회전체에 회전력을 부가한 후 손목의 스냅으로 상기 회전체의 회전력을 지속 또는 증폭시켜 손목의 피로 및 팔 근력을 강화하도록 구성된 손목단련용 운동구에 있어서,
    상기 회전체에는 미세한 전류에 의해 혈액순환과 같은 건강에 도움을 줄 수 있도록 하는 다수의 영구자석(18)과;
    상기 케이스(30)의 내측에는 상기 회전체(10)에 최초 회전력을 부가하기 위해 사용되는 작동끈(40)을 수납할 수 있는 수납공간(344);
    상기 회전체(10)와 케이스(30) 사이에 구성되는 스냅링(20)의 외주연에는 상기 회전체(10)의 회전으로 발생하는 진동 및 소음을 최소화하도록 하는 방음커버(210);
    상기 회전체(10)와 케이스(30) 사이에 마련되어 상기 회전체(10)의 회전수를 감지하는 회전감지센서(360);
    상기 케이스(30)의 외측에 마련되고 상기 회전감지센서(360)를 통해 카운트되는 회전수를 사용자가 외부에서 식별할 수 있도록 표시해주는 표시부(319); 및
    상기 케이스(30)의 어느 일측에는 어느 하나의 손가락을 끼울 수 있어 손가락을 단련시킬 수 있도록 하는 손가락링(350);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손가락 겸용 손목단련 운동구.
KR1020100137510A 2010-12-29 2010-12-29 손가락 겸용 손목단련용 운동구 KR10123757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37510A KR101237579B1 (ko) 2010-12-29 2010-12-29 손가락 겸용 손목단련용 운동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37510A KR101237579B1 (ko) 2010-12-29 2010-12-29 손가락 겸용 손목단련용 운동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75719A true KR20120075719A (ko) 2012-07-09
KR101237579B1 KR101237579B1 (ko) 2013-02-26

Family

ID=4670956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137510A KR101237579B1 (ko) 2010-12-29 2010-12-29 손가락 겸용 손목단련용 운동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37579B1 (ko)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2515653A (en) * 2013-06-25 2014-12-31 Nano Second Technology Co Ltd Wrist exerciser having a protective structure
KR101655113B1 (ko) * 2015-11-25 2016-09-07 (주) 리바인코리아 복합 손목 운동기구
US9463354B2 (en) 2013-06-25 2016-10-11 Nano-Second Technology Co., Ltd. Wrist exerciser having a protective structure
KR102068013B1 (ko) * 2018-11-21 2020-01-20 월드잉 (주) 자석을 구비한 손목단련 운동구
CN110732122A (zh) * 2019-11-26 2020-01-31 温州医科大学 一种智能家用手腕康复训练装置
CN114247104A (zh) * 2021-11-30 2022-03-29 上海铼锶信息技术有限公司 一种使用安全的腕力球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35781B1 (ko) 2014-12-05 2016-07-22 월드잉 주식회사 손목단련 운동구
KR101701222B1 (ko) 2015-10-07 2017-02-06 월드잉 주식회사 자이로스코프원리를 이용한 손목단련 운동구
KR101940813B1 (ko) 2017-09-22 2019-01-22 월드잉 (주) 자이로스코프원리를 이용한 손목운동구
KR102050167B1 (ko) 2018-09-07 2019-11-28 김성일 초기시동이 용이한 손목단련 운동구
KR102340561B1 (ko) 2020-03-16 2021-12-16 김성일 회전자 3원색 손목운동구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TW330417U (en) * 1997-07-25 1998-04-21 pei-song Zhuang Improved wrist exerciser
KR200352282Y1 (ko) * 2004-02-28 2004-06-04 김성일 손목단련 운동구
KR200373474Y1 (ko) * 2004-07-15 2005-01-15 밍 훙 린 메시지 표시 장치를 구비한 손목 운동기
KR100694757B1 (ko) 2006-02-07 2007-03-14 김성일 손목단련용 운동구

Cited B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2515653A (en) * 2013-06-25 2014-12-31 Nano Second Technology Co Ltd Wrist exerciser having a protective structure
GB2515653B (en) * 2013-06-25 2016-02-24 Nano Second Technology Co Ltd Wrist exerciser having a protective structure
US9463354B2 (en) 2013-06-25 2016-10-11 Nano-Second Technology Co., Ltd. Wrist exerciser having a protective structure
US9782623B2 (en) 2013-06-25 2017-10-10 Nano-Second Technology Co., Ltd. Wrist exerciser having a protective structure
KR101655113B1 (ko) * 2015-11-25 2016-09-07 (주) 리바인코리아 복합 손목 운동기구
KR102068013B1 (ko) * 2018-11-21 2020-01-20 월드잉 (주) 자석을 구비한 손목단련 운동구
CN110732122A (zh) * 2019-11-26 2020-01-31 温州医科大学 一种智能家用手腕康复训练装置
CN110732122B (zh) * 2019-11-26 2024-05-17 温州医科大学 一种智能家用手腕康复训练装置
CN114247104A (zh) * 2021-11-30 2022-03-29 上海铼锶信息技术有限公司 一种使用安全的腕力球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237579B1 (ko) 2013-02-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37579B1 (ko) 손가락 겸용 손목단련용 운동구
US10071274B2 (en) Jump rope device
EP1979057B1 (en) An exercise device
KR200445958Y1 (ko) 다목적 운동기구
US6540649B1 (en) Exercise apparatus and kits
US20080125290A1 (en) Magnetized Exercise Mat
WO2008039013A1 (en) Health machine
US20170014662A1 (en) Portable gymnic machine and bag-container for its transport and utilization
EP4082637A1 (en) Dynamic training device
KR101847216B1 (ko) 운동적 스윙 트레이닝 장치 및 이를 사용하기 위한 방법
KR100694757B1 (ko) 손목단련용 운동구
WO2016019613A1 (zh) 一种舞吧跳跳球
JP3215130U (ja) ハンドル運動器具及び運動器具セット
KR101487243B1 (ko) 줄넘기 겸용 운동기구
KR101501845B1 (ko) 자이로스코프원리를 이용한 손목운동구
WO2017151709A1 (en) Jump rope device
KR100624340B1 (ko) 링이 없는 훌라후프
KR20210157789A (ko) 밸런스 게임 기구 시스템
KR20080019424A (ko) 자석을 이용한 반지모양의 운동기구
KR200379865Y1 (ko) 전신운동이 가능한 트위스트 운동기구
CN214049655U (zh) 一种多功能健身套件
KR200354445Y1 (ko) 링형 운동기구
KR200461622Y1 (ko) 배드민턴용 손잡이
KR101817963B1 (ko) 스피닝 운동용 장갑
KR200317505Y1 (ko) 운동기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628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217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