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54445Y1 - 링형 운동기구 - Google Patents

링형 운동기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54445Y1
KR200354445Y1 KR20-2004-0006158U KR20040006158U KR200354445Y1 KR 200354445 Y1 KR200354445 Y1 KR 200354445Y1 KR 20040006158 U KR20040006158 U KR 20040006158U KR 200354445 Y1 KR200354445 Y1 KR 200354445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olling
ring
housing
hole
us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4-0006158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송옥화
Original Assignee
송옥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송옥화 filed Critical 송옥화
Priority to KR20-2004-0006158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54445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54445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54445Y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1/00Exercising apparatus for developing or strengthening the muscles or joints of the body by working against a counterforce, with or without measuring devices
    • A63B21/06User-manipulated weights
    • A63B21/0608Eccentric weights put into orbital motion by nutating movement of the user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1/00Exercising apparatus for developing or strengthening the muscles or joints of the body by working against a counterforce, with or without measuring devices
    • A63B21/40Interfaces with the user related to strength training; Details thereof
    • A63B21/4023Interfaces with the user related to strength training; Details thereof the user operating the resistance directly, without additional interface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71/00Games or sports accessories not covered in groups A63B1/00 - A63B69/00
    • A63B71/06Indicating or scoring devices for games or players, or for other sports activities
    • A63B71/0619Displays, user interfaces and indic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sport equipment, e.g. display mounted on treadmill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Biophysics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Rehabilitation Tool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내부에 연속적으로 이어지는 구름홀이 형성되고 구름홀 내측면 일부에 오목한 홈 형상으로 형성되는 안착홈이 형성되는 링 형상의 하우징과; 자성을 갖는 재질로서 구름홀을 따라 구름운동이 가능하도록 구 형상으로 형성되어 하우징 내부에 인입되는 하나 이상의 구름체와, 안착홈에 인입되도록 결합되는 자석과, 구름홀을 따라 이동하는 구름체의 회전수를 감지하여 외부로 디스플레이하는 카운터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운동량 및 운동방향이 수시로 변경되므로 사용자로 하여금 지루함을 느끼지 아니하도록 하며 사용자 자신이 운동량을 직접 용이하게 측정할 수 있으므로 성취감을 느낄 수 있는 링형 운동기구를 제공한다.

Description

링형 운동기구 {Sporting equipment of ring type}
본 고안은 링 형상의 운동기구에 관한 것으로서, 더 상세하게는 내부에 연속적으로 이어지는 구름홀이 형성되는 링 형상으로 형성되고 구름홀을 따라 구름운동이 가능한 구슬이 삽입되어 운동량을 증가시키는 링형 운동기구에 관한 것이다.
링 형상으로 형성되는 운동기구는, 통상적으로 허리에 둘러 회전시킴으로써 허리근육을 강화시키거나 손으로 잡고 흔들어 팔근육을 강화시키는데 주로 사용된다.
링 형상의 운동기구가 허리근육 강화를 위해 사용되는 것이 바로 훌라후프인데, 일반적으로 훌라후프는 허리운동을 겸한 놀이도구로 경질의 폴리에틸렌으로 만든 지름 약90cm 정도의 튜브로 된 테를 말하는 것으로, 허리부위에 위치시킨 후 하와이의 훌라댄서처럼 허리를 흔들어 땅에 떨어지지 않게 돌리며 노는 것이기 때문에 훌라후프라는 이름이 붙여졌다.
훌라후프는 1957년 오스트레일리아에서 처음 만들어졌으며 1958년 미국에서 플라스틱으로 만들어져 1960년 전후 세계 각국에서 유행하여 지금까지 지속되고 있다. 이러한 훌라후프는 허리를 이용하여 일정한 회전을 반복시키는 운동 유희구로 남녀노소를 불문하고 다양한 연령층에서 사용되고 있다.
특히 훌라후프는 착용한 상태에서 허리를 회전시켜 훌라후프에 탄력을 전달하므로 훌라후프가 계속하여 허리를 중심으로 회전하도록 하는 것으로, 링형상의 훌라후프에 허리에서 탄력을 전달하므로 사용자의 허리 근력과 유연성을 향상시키게 되고 지속적인 회전으로 사용자에게 즐거움을 느끼도록 해준다.
또한, 링 형상의 운동기구가 팔근육 강화를 위해 사용되는 경우, 훌라후프에 비해 크기가 축소되도록 제작되어 사용자가 용이하게 이용할 수 있도록 한다.
사용자가 링 형상의 운동기구를 손으로 잡고 회전시키거나 흔들게되면 자연스럽게 운동이 되므로, 사용자는 즐겁게 즐기면서 팔근육을 강화시킬 수 있게된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링형 운동기구는 허리에 착용하여 회전시키거나 손으로 잡고 흔드는 과정에서 사용자로 하여금 동일한 크기의 힘을 지속적으로 소모시키므로, 일정시간 이상 운동을 하게 되는 경우 사용자는 지루함을 느끼게 되어 운동효과가 반감된다는 단점이 있다. 또한, 사용자가 자신의 운동량을 직접 측정할 수 없으므로 성취감을 느낄 수 없다는 단점이 있다.
본 고안은 상기 안출된 문제점을 해소하고자 고안된 것으로서, 운동량 및 운동방향이 수시로 변경되어 사용자로 하여금 지루함을 느끼지 아니하도록 하며, 사용자 자신이 운동량을 직접 용이하게 측정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링형 운동기구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도 1은 본 고안에 의한 링형 운동기구의 내부 및 외부 구조를 도시한다.
도 2a는 도 1에 도시된 A-A선을 따라 절단한 단면도이다.
도 2b는 도 1에 도시된 B-B선을 따라 절단한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고안에 의한 링형 운동기구의 사용예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하우징 102 : 구름홀
104 : 안착홈 110 : 상부 하우징
120 : 하부 하우징 200 : 구름체
300 : 카운터 310 : 디스플레이
320 : 조작버튼 400 : 자석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에 의한 링형 운동기구는, 내부에 연속적으로 이어지는 구름홀이 형성되는 링 형상의 하우징과; 구름홀을 따라 구름운동이 가능한 형상으로 형성되어 하우징 내부에 인입되는 하나 이상의 구름체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때, 구름체는 자성을 갖는 재질로 제조되며, 구름홀 내측면에는 자력으로구름체의 위치를 고정시키는 자석이 추가로 구비된다. 따라서, 하우징에 일정 크기 이상의 외력이 인가되지 아니하는 한, 구름체는 자석에 붙어 위치가 고정된다.
또한, 구름홀을 따라 이동하는 구름체의 회전수를 감지하여 외부로 디스플레이하는 카운터를 추가로 구비한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자신의 운동 횟수를 직접 측정하지 아니하더라도 자신의 운동 횟수를 간편하게 측정할 수 있으므로, 사용이 매우 간편하다는 장점이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에 의한 링형 운동기구에 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고안에 의한 링형 운동기구의 내부 및 외부 구조를 도시한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의한 링형 운동기구는, 연속적으로 이어지도록 중심축을 따르는 구름홀(102)이 내부에 형성되는 링 형상의 하우징(100)과; 구름홀(102)을 따라 구름운동이 가능한 크기 및 형상으로 형성되어 하우징(100) 내부에 인입되는 구름체(200)와; 구름홀(102)을 따라 이동하는 구름체(200)의 회전수를 감지하여 외부로 디스플레이하는 카운터(3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하우징(100)이 기울어지거나 회전함에 따라 구름체(200)는 구름홀(102)을 따라 돌게되며, 구름체(200)의 회전 시 발생되는 구름체(200)의 원심력은 시시각각 방향이 변경되며 하우징(100)에 전달된다.
따라서, 본 고안에 의한 링형 운동기구를 흔들거나 회전시키는 경우, 사용자는 하우징(100) 자체의 자중(自重)과 구름체(200)의 원심력을 제어하도록 힘을 주어야 하므로 운동효과가 현저히 증가된다. 또한, 본 고안에 의한 링형 운동기구를허리 부위에 위치시킨 후 허리를 이용하여 회전시키는 훌라후프로 사용하는 경우, 중력에 의하여 하우징(100)이 하향으로 낙하하려는 힘보다 구름체(200)의 회전에 의하여 발생되는 원심력이 더 크므로, 훌라후프 사용이 서투른 초보자라도 보다 용이하게 훌라후프 운동을 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고안에 의한 링형 운동기구는 구름홀(102)을 따라 이동하는 구름체(200)의 회전수를 감지하여 외부로 디스플레이하는 카운터(300)를 추가로 구비한다.
카운터(300)의 외측면에는 구름체(200)의 회전수를 디스플레이하는 디스플레이부(310)와 전원 제어 및 각종 신호 입력을 위한 조작버튼(320)이 구비된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자신의 운동 횟수를 직접 세지 아니하더라도 자신의 운동 횟수를 간편하게 측정할 수 있으므로, 사용이 매우 편리하다는 장점이 있다.
본 고안에 적용되는 카운터(300)는 종래의 운동기구 및 기타 다양한 제품에 적용되는 카운터와 동일한 구조로 구성되므로,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2a는 도 1에 도시된 A-A선을 따라 절단한 단면도이다.
도 2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적용되는 구름체(200)는 자성을 가질 수 있도록 철제(鐵製) 구슬로 적용되고, 구름홀(102) 내측면 일부에는 오목한 형상의 안착홈(104)이 형성되며, 자력으로 구름체(200)의 위치를 고정시키는 자석(400)이 안착홈(104)에 삽입되도록 결합된다. 따라서, 하우징(100)에 일정 크기 이상의 외력이 인가되지 아니하는 한 구름체(200)는 자석(400)에 붙어 위치가 고정되고,사용자가 하우징(100)을 흔들거나 회전시키는 경우 구름체(200)는 자석으로부터 분리되어 구름홀(102)을 따라 이동을 하며 원심력을 발생시킨다.
이때, 구름체(200)의 재질은 철제에 한정되지 아니하고 자성을 갖는 재질이라면 다양한 종류로 변경될 수 있으며, 자석(400)은 구름홀(102)을 따라 이동하는 구름체(200)와 간섭되지 아니하도록 안착홈(104)의 내부로 완전히 인입되도록 결합됨이 바람직하다.
하우징(100)은 구름체(200)와의 충돌로 인한 파손 및 소음발생을 방지하기 위하여 합성수지 재질로 제작됨이 바람직하다.
도 2b는 도 1에 도시된 B-B선을 따라 절단한 단면도이다.
도 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적용되는 하우징(100)은, 하면에 반구 형상의 단면을 갖는 홈이 형성되는 상부 하우징(110)과, 상면에 반구형상의 단면을 갖는 홈이 형성되어 상부 하우징(110)의 하면에 결합되는 하부 하우징(120)으로 구성된다. 따라서, 상부 하우징(110)과 하부 하우징(120)이 결합되는 부위에는 자연스럽게 원형의 단면을 갖는 구름홀(102)이 형성된다.
본 고안에 적용되는 하우징(100)이 상부 하우징(110)과 하부 하우징(120)으로 구분되는 것은 제조상의 편의를 위한 것으로, 내부에 구름홀(102)이 용이하게 형성될 수 있다면 상부 하우징(110)과 하부 하우징(120)으로 구분하지 아니하고 하나의 몸체로 형성될 수 있다.
도 3은 본 고안에 의한 링형 운동기구의 사용예이다.
본 고안에 의한 링형 운동기구를 이용하여 팔운동을 하고자 하는 경우,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손으로 하우징(100)을 잡고 구름체(200)가 구름홀(102)을 따라 회전하도록 흔들거나 회전시킨다.
구름체(200)가 회전함에 따라 구름체(200)에 발생되는 원심력은 사용자의 움직임에 따라 크기 및 방향이 수시로 변경되므로, 사용자는 일정한 패턴으로 반복되는 종래의 운동기구를 사용할 때에 비하여 지루함을 덜 느끼게 된다. 또한, 사용자는 구름체(200)가 구름홀(102)을 따라 1회전하도록 하우징(100)을 움직이는 동작을 몇 번 반복하였는지를 항상 체크할 수 있으므로, 운동을 하는 동안 성취감을 느낄 수 있게된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고안에 의한 링형 운동기구는 사용 목적을 위하여 크기의 변경이 가능하므로, 팔운동을 위한 용도로 이외에 허리 운동을 위한 훌라후프로나 기타 여러 가지 용도로 사용될 수 있다.
본 고안에 의한 링형 운동기구를 훌라후프로 사용하게 되면, 구름체(200)의 원심력이 사용자의 허리 부위에 인가되므로, 허리 부위의 지방 분해 효과 및 허리 근육 강화 효과가 향상된다.
이상, 본 고안을 바람직한 실시 예를 사용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본 고안의 범위는 특정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첨부된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습득한 자라면, 본 고안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으면서도 많은 수정과 변형이 가능함을 이해하여야 할 것이다.
본 고안에 의한 링형 운동기구를 사용하면, 운동량 및 운동방향이 수시로 변경되므로 사용자로 하여금 지루함을 느끼지 아니하도록 하며, 사용자 자신이 운동량을 직접 용이하게 측정할 수 있으므로 성취감을 느낄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Claims (5)

  1. 내부에 연속적으로 이어지는 구름홀(102)이 형성되는 링 형상의 하우징(100);
    상기 구름홀(102)을 따라 구름운동이 가능한 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하우징(100) 내부에 인입되는 하나 이상의 구름체(200);
    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링형 운동기구.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구름체(200)는,
    자성을 갖는 재질의 구 형상으로 형성되며;
    상기 하우징(100)은,
    상기 구름홀(102) 내측면에 자력으로 상기 구름체(200)의 위치를 고정시키는 자석(400)이 추가로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링형 운동기구.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100)은,
    상기 구름홀(102) 내측면 일부에 오목한 형상의 안착홈(104)이 형성되고;
    상기 자석(400)은,
    상기 안착홈(104)에 삽입되도록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링형 운동기구.
  4.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구름홀(102)을 따라 이동하는 상기 구름체(200)의 회전수를 감지하여 외부로 디스플레이하는 카운터(300)를 추가로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링형 운동기구.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카운터(300)는,
    상기 구름체(200)의 회전수를 디스플레이하는 디스플레이부(310)와, 전원 제어 및 각종 신호 입력을 위한 조작버튼(320)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링형 운동기구.
KR20-2004-0006158U 2004-03-08 2004-03-08 링형 운동기구 KR200354445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06158U KR200354445Y1 (ko) 2004-03-08 2004-03-08 링형 운동기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06158U KR200354445Y1 (ko) 2004-03-08 2004-03-08 링형 운동기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54445Y1 true KR200354445Y1 (ko) 2004-06-25

Family

ID=4934748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4-0006158U KR200354445Y1 (ko) 2004-03-08 2004-03-08 링형 운동기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54445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3187642A1 (ko) * 2012-06-11 2013-12-19 Lee Jong Ah 공기배출기능을 가지는 훌라후프
US20220362611A1 (en) * 2021-05-13 2022-11-17 John Michael Thomas Handheld Exercise Device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3187642A1 (ko) * 2012-06-11 2013-12-19 Lee Jong Ah 공기배출기능을 가지는 훌라후프
US20220362611A1 (en) * 2021-05-13 2022-11-17 John Michael Thomas Handheld Exercise Device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30184123A1 (en) Exercise device
US20020103032A1 (en) Multi-functional balance rotary disk
WO2011139296A1 (en) Interactive exercise devices
US8142305B2 (en) Sports activity swing trainer
CN108601986A (zh) 一种运动训练及休闲活动的用具
US20170028241A1 (en) Jump Rope Device
WO2015130177A1 (en) Balance board for use as a control device
US11229814B1 (en) Dynamic training device
WO2018118926A1 (en) Swing training device, method, and system therefor
JP2007307284A (ja) センサー付きコントローラー保持具
CN206660536U (zh) 具多种运动模式与感测功能的划船模拟训练器
KR20130087764A (ko) 골프스윙연습기
US20060073952A1 (en) Swinging exerciser having movable weight
US10426988B1 (en) Resistance exercise device
KR200354445Y1 (ko) 링형 운동기구
US20120046907A1 (en) Training aid
US10722808B2 (en) Nested counterweight for a rotatable performance device
US20150217188A1 (en) Physical interaction device for personal electronics and method for use
TWM645006U (zh) 具順暢擺動之健身球結構
KR100624340B1 (ko) 링이 없는 훌라후프
JP2023526866A (ja) ゲーム装置
JP7079098B2 (ja) 速度報知器。
JP2005278840A (ja) 運動器具
KR101759228B1 (ko) 자이로스코프를 이용한 가상현실 게임장치
JP4609761B2 (ja) 回転運動具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