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075143A - 음 구현장치 및 음 구현방법 - Google Patents

음 구현장치 및 음 구현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075143A
KR20120075143A KR1020100137185A KR20100137185A KR20120075143A KR 20120075143 A KR20120075143 A KR 20120075143A KR 1020100137185 A KR1020100137185 A KR 1020100137185A KR 20100137185 A KR20100137185 A KR 20100137185A KR 20120075143 A KR20120075143 A KR 2012007514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nergy
sound waves
sound
output
instrum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13718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상문
Original Assignee
이상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상문 filed Critical 이상문
Priority to KR102010013718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20075143A/ko
Publication of KR2012007514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75143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HELECTROPHONIC MUSICAL INSTRUMENTS; INSTRUMENTS IN WHICH THE TONES ARE GENERATED BY ELECTROMECHANICAL MEANS OR ELECTRONIC GENERATORS, OR IN WHICH THE TONES ARE SYNTHESISED FROM A DATA STORE
    • G10H5/00Instruments in which the tones are generated by means of electronic generators
    • G10H5/002Instruments using voltage controlled oscillators and amplifiers or voltage controlled oscillators and filters, e.g. Synthesisers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KSOUND-PRODUCING DEVICES; METHODS OR DEVICES FOR PROTECTING AGAINST, OR FOR DAMPING, NOISE OR OTHER ACOUSTIC WAVES IN GENERAL; ACOUSTIC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10K15/00Acoustic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10K15/04Sound-producing device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Multimedia (AREA)
  • Stringed Musical Instru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음 구현장치 및 음 구현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음 구현장치는 음파를 출력하는 출력부와; 악기의 음파를 저장하는 저장부와; 상기 저장부에 저장된 음파 중 음양오행의 기준에 따라 구분된 목(木) 기운과, 화(火) 기운과, 토(土) 기운과, 금(金) 기운과, 수(水) 기운에 대응하는 악기의 음파를 출력하도록 상기 출력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의하여, 음양오행에 맞추어 세분화된 음파를 구현할 수 있으며, 개인의 체질 및 건강상태에 적합한 음파를 구현할 수 있고, 다양한 악기의 음색을 구현할 수 있다.

Description

음 구현장치 및 음 구현방법 { SOUND IMPLEMENTATION APPARATUS AND SOUND IMPLEMENTATION }
본 발명은 음 구현장치 및 음 구현방법에 관한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음파의 파장 및 파동을 이용하여 음을 구현하는 음 구현장치 및 음 구현방법에 관한 것이다.
음파는 파장, 즉 물체의 진동이 공기에 부분적으로 압력변화를 일으켜 고막을 진동시키는 것을 말한다. 이러한 음파는 사람의 목소리, 동물이 내는 소리, 기계에서 나는 기계음 등과 같은 여러 가지로 구분될 수 있다. 음파가 발생되면서 사람의 고막이 진동함에 따라 사람은 소리의 형태로 음파를 인식하여 구분할 수 있다.
한편, 사람이 들을 수 있는 음파의 범위를 가칭주파수라고 한다. 가칭주파수는 약 20~20,000Hz이며, 주파수가 20Hz 이하인 음파를 초저주파라고 하며 20,000Hz 이상인 음파를 초음파라고 한다.
저주파 및 초음파를 이용한 기능성 용품은 개발이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지만 그 기능은 극히 한정되어 있는 실정이며, 음악치료방법도 연구가 이루어지고 있지만 치료대상이 일반인이 아닌 경우가 많아 보편적으로 이용되기에 한계가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음양오행에 맞추어 세분화된 음파를 구현할 수 있는 음 구현장치 및 음 구현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개인의 체질 및 건강상태에 적합한 음파를 구현할 수 있는 음 구현장치 및 음 구현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그리고, 본 발명은 다양한 악기의 음색을 구현할 수 있는 음 구현장치 및 음 구현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은, 음파를 출력하는 출력부와; 악기의 음파를 저장하는 저장부와; 상기 저장부에 저장된 음파 중 음양오행의 기준에 따라 구분된 목(木) 기운과, 화(火) 기운과, 토(土) 기운과, 금(金) 기운과, 수(水) 기운에 대응하는 악기의 음파를 출력하도록 상기 출력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 구현장치에 의해 달성된다.
상기 목(木) 기운과, 화(火) 기운과, 토(土) 기운과, 금(金) 기운과, 수(水) 기운에 대응하는 악기는 각각 소고와, 피리(대금) 또는 꽹과리와, 북과, 징과, 장구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어부는, 사용자로부터 생년월일과, 상기 생년월일이 속하는 별자리 중 어느 하나를 입력받고, 상기 입력된 생년월일 또는 별자리에 대응하는 악기의 음파를 출력하도록 상기 출력부를 제어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별자리에 대응하는 서양악기의 음파를 출력하거나 상기 별자리에 대응하는 음계를 출력하도록 상기 출력부를 제어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사용자로부터 신체의 부위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입력받고, 상기 입력된 신체의 부위에 대응하는 악기의 음파를 출력하도록 상기 출력부를 제어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악기에 대응하는 색상을 표시부에 표시할 수 있다.
한편, 악기의 음파를 저장하는 단계; 및 상기 저장된 악기의 음파 중 음양오행의 기준에 따라 구분된 목(木) 기운과, 화(火) 기운과, 토(土) 기운과, 금(金) 기운과, 수(水) 기운에 대응하는 악기의 음파를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 구현방법에 의해서도 상기 목적은 달성된다.
상기 목 기운과, 화 기운과, 토 기운과, 금 기운과, 수 기운에 대응하는 악기는 각각 소고와, 피리(대금) 또는 꽹과리와, 북과, 징과, 장구인 것이 바람직하다.
사용자로부터 생년월일과, 상기 생년월일이 속하는 별자리 중 어느 하나를 입력받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악기의 음파를 출력하는 단계는, 상기 입력된 생년월일 또는 별자리에 대응하는 악기의 음파를 출력할 수 있다.
상기 악기의 음파를 출력하는 단계는, 상기 별자리에 대응하는 서양악기의 음파를 출력하거나 상기 별자리에 대응하는 음계를 출력할 수 있다.
사용자로부터 신체의 부위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입력받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악기의 음파를 출력하는 단계는, 상기 입력된 신체의 부위에 대응하는 악기의 음파를 출력할 수 있다.
상기 악기에 대응하는 색상을 표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음 구현장치 및 음 구현방법에 의하면, 음양오행에 맞추어 세분화된 음파를 구현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음 구현장치 및 음 구현방법에 의하면, 개인의 체질 및 건강상태에 적합한 음파를 구현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음 구현장치 및 음 구현방법에 의하면, 다양한 악기의 음색을 구현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음 구현장치의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며,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음 구현방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음 구현장치 및 음 구현방법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음 구현장치의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음 구현장치(100)는 출력부(10)와, 저장부(20)와, 제어부(30)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음 구현장치(100)는 스마트폰이나 PDA, 휴대전화와 같은 휴대용 전자기기와 이를 구동하는 어플리케이션으로 구현되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악기의 음파를 저장하고 출력할 수 있는 장치라면 모두 가능하다.
출력부(10)는 음파를 출력한다. 본 발명에 따른 출력부(10)는 스피커 또는 이어폰 등과 같이 음 구현장치(100)에 내장되거나 연결되어 음파를 출력할 수 있는 수단이라면 모두 가능하다.
저장부(20)는 악기의 음파를 저장한다. 본 발명에 따른 저장부(20)는 우리나라의 전통악기 뿐만 아니라 서양악기의 음파도 저장이 가능하며, 본 발명에 따른 음 구현장치(100)에 내장되거나 외장되는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제어부(30)는 저장부(20)에 저장된 음파 중 음양오행의 기준에 따라 구분된 목(木) 기운과, 화(火) 기운과, 토(土) 기운과, 금(金) 기운과, 수(水) 기운에 대응하는 악기의 음파를 출력하도록 출력부(10)를 제어한다. 본 발명에 따른 제어부(30)는 마이컴 및 어플리케이션 등의 소프트웨어의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여기서, 음양오행의 기준은 음과 양을 바탕으로 한 오행 즉, 나무(木)와, 불(火)과, 흙(土)과, 쇠(金)와, 물(水)을 의미하는데, 이 다섯 가지의 기운을 악기에 대응시키면, 목 기운은 소고에 대응하고, 화 기운은 피리(대금) 또는 꽹과리에 대응하고, 토 기운은 북에 대응하고, 금 기운은 징에 대응하고, 수 기운은 장고에 대응한다.
그리고, 서양악기의 경우에는 낮은 음을 내는 악기, 예를 들어 콘트라베이스 또는 베이스기타가 수 기운에 대응하며, 높은 음을 내는 악기, 예를 들어 피아노가 화 기운에 대응한다.
한편, 이 다섯 가지의 기운을 인체의 오장육부로 구분하면 목 기운은 간에 대응하며, 화 기운은 심장에 대응하고, 토 기운은 위장에 대응하고, 금 기운은 폐에 대응하고, 수 기운은 신장에 대응한다. 이와 같이, 음양오행의 상생과 상극이론을 이용하여 사용자는 자신의 건강상태에 따라 필요한 악기를 선택하고 이에 따른 음파를 듣게 됨으로써 심신의 안정을 도모하고 집중력을 강화시킬 수 있다.
음양오행의 상생은 목생화, 화생토, 토생금, 금생수, 수생목으로 분류된다. 그리고 음양오행의 상극은 목극토, 화극금, 토극수, 금극수, 수극토로 분류된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음구현장치(100)는 사용자의 생년월일 또는 생년월일이 속하는 별자리를 입력받아 이에 해당하는 악기의 음파를 출력할 수 있다.
사용자가 생년월일을 입력하는 경우, 제어부(30)는 10간(갑을병정무기경신임계)과 12지(자축인묘진사오미신유술해) 중 입력된 생년에 대응하는 항목으로부터 음양오행에서의 다섯 가지 기운 중 어느 기운에 해당하는지 여부를 판단하고, 태어난 월과 일과 시를 이용하여 다섯 가지 기운 중 어느 기운에 해당하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예를 들어, 입력된 생년월일에서 10간과 12지에 해당하는 기운이 각각 목 기운과 수 기운이고, 태어난 월과 일과 시의 기운이 각각 목 기운과, 토 기운과, 화 기운이 나왔다면, 목 기운이 강한 가운데 금 기운이 부족하고 목 기운과 상생하는 화 기운이 있지만 목 기운과 상극인 토 기운이 대립되어 서로 부조화를 이루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음양오행의 분류에 따르면 목 기운은 감정의 분류상 분노의 기운을 뜻하기 때문에, 이렇게 목 기운이 강한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목 기운과 상생의 기운으로 보(補)하거나 상극의 기운으로 감(減)할 수 있다. 따라서, 제어부(30)는 이 때 상생의 기운인 화 기운에 대응하는 피리(대금)의 음파를 출력하거나 상극의 기운인 금 기운에 대응하는 징의 음파를 출력하도록 출력부(10)를 제어한다.
또한, 제어부(30)는 사용자로부터 생년월일을 입력받아 이에 대응하는 바이오리듬 지수를 연산하여 생체주기에 적합한 악기의 음파를 출력하도록 출력부(10)를 제어하는 것도 가능하다.
그리고, 마찬가지의 방법으로 본 발명에 따른 제어부(30)는 사용자로부터 자신이 태어난 생년월일이 속하는 별자리를 입력받아 동일한 프로세스를 수행할 수 있다.
한편, 생년월일이 속하는 12개의 별자리를 서양악기에 대응시키면, 궁수자리와 전갈자리는 오르간 또는 피아노에 대응하고, 천칭자리는 플롯과, 목관악기와, 현악기에 대응하며, 처녀자리는 목관악기 또는 현악기에 대응하며, 사자자리는 플룻과, 목관악기와, 현악기와, 피아노에 대응하며, 게자리는 멜로디 성향의 악기 또는 베이스와, 타악기와, 금관악기에 대응하며, 쌍둥이자리는 베이스, 타악기, 금관악기에 대응하며, 황소자리는 베이스와, 타악기와, 금관악기에 대응하며, 양자리는 베이스와, 타악기와, 금관악기에 대응하며, 물고기자리나 물병자리 또는 염소자리는 하프와, 높은 음역의 현악기와, 오르간에 대응한다.
한편, 별자리는 서양음악에서의 음계에도 대응시키는 것이 가능한데, 이에 의하면 궁수자리는 G#, 전갈자리는 G, 천칭자리는 F#, 처녀자리는 F, 사자자리는 E, 게자리는 D#, 쌍둥이자리는 D, 황소자리는 C#, 양자리는 C, 물고기자리는 B, 물병자리는 A#, 염소자리는 A의 음계에 대응한다. 이를 통해, 입력된 별자리에 대응하는 음계를 연주함으로써 개인의 체질에 따른 음파를 출력하는 효과를 배가할 수 있다.
여기서, 궁수자리와, 전갈자리와, 천칭자리는 신체의 부위 중 신장에 대응하며, 처녀자리는 간 또는 소화기에 대응하며, 사자자리는 심장에 대응하고, 게자리는 위에 대응하고, 쌍둥이자리는 폐에 대응하고, 황소자리는 목 또는 기관지에 대응하고, 양자리는 머리에 대응하고, 물고기자리는 발에 대응하고, 물병자리는 발목 또는 장딴지에 대응하고, 염소자리는 무릎 또는 관절에 대응한다.
제어부(30)는 이에 기초하여 사용자로부터 입력된 생년월일 또는 별자리 정보에 대응하는 악기의 음파를 출력부(10)를 통해 출력하거나, 사용자로부터 입력된 신체의 부위에 대응하는 악기의 음파를 출력할 수 있다.
그리고, 제어부(30)는 사용자로부터 입력된 생년월일 또는 별자리 정보를 저장부(20)에 사용자별로 저장하여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필요한 악기의 음파를 출력부(10)를 통해 출력하는 것도 가능하다.
본 발명에 따른 음 구현장치(100)는 표시부(40)를 포함할 수 있다. 표시부(40)는 음양오행의 기준에 따라 분류된 악기의 종류와, 음양오행의 기준에 따른 신체의 부위를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해 표시한다. 이를 통해, 사용자는 이에 대한 전문적인 지식이 부족하더라도 직관적으로 자신의 건강상태에 필요한 악기 또는 신체의 부위를 선택하여 음파를 출력하도록 할 수 있다. 물론, 본 발명에 따른 음 구현장치(100)는 표시부(40)를 대신하여 음성입력부(미도시)를 통해 악기 또는 신체의 부위를 선택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제어부(30)는 표시부(40)를 통해 음양오행의 기준에 의해 분류된 악기에 대응하는 색상을 표시할 수 있다. 토 기운은 황색에 대응하고, 금 기운은 백색에 대응하며, 수 기운은 흑색에 대응하고, 목 기운은 청색에 대응하며, 화 기운은 적색에 대응한다. 따라서, 제어부(30)는 각 기운의 악기의 음파가 출력되는 경우 이에 대응하는 색상을 표시부(40)에 표시할 수 있다.
물론, 제어부(30)는 악기의 종류와, 신체의 부위를 표시부(40)에 표시하는 경우 이에 대응하는 음양오행의 기준에 따른 색상을 함께 표시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하, 도 2를 참조하여 이용하여 본 발명에 따른 음 구현방법에 대해 설명한다.
먼저, 악기의 음파를 저장한다(S210). 여기서, 악기는 우리나라의 전통악기 뿐만 아니라 서양악기도 모두 포함한다.
다음으로, 음양오행의 기준에 따라 구분된 목 기운과, 화 기운과, 토 기운과, 금 기운과, 수 기운에 대응하는 악기의 음파를 출력한다(S220). 목 기운과, 화 기운과, 토 기운과, 금 기운과, 수 기운에 대응하는 악기는 각각 소고와, 피리(대금) 또는 꽹과리와, 북과, 징과, 장구인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본 발명에 따른 음 구현방법은 음양오행의 기준에 의해 분류된 악기에 대응하는 색상을 표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음 구현방법은 사용자로부터 생년월일과, 상기 생년월일이 속하는 별자리 중 어느 하나를 입력받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입력된 생년월일이나 별자리에 대응하는 악기의 음파를 출력할 수 있다.
그리고, 생년월일이 속하는 12개의 별자리를 서양악기에 대응하여 서양악기의 음파를 출력하거나, 별자리에 대응하는 음계를 출력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음 구현방법은 사용자로부터 신체의 부위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입력받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입력된 신체의 부위에 대응하는 악기의 음파를 출력할 수 있다.
이로써, 음양오행에 맞추어 세분화된 음파를 구현할 수 있으며, 개인의 체질 및 건강상태에 적합한 음파를 구현할 수 있고, 다양한 악기의 음색을 구현할 수 있다.
이상, 바람직한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에 관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특허청구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실시될 수 있다.
10 : 출력부 20 : 저장부
30 : 제어부 40 : 표시부
100 : 음 구현장치

Claims (12)

  1. 음파를 출력하는 출력부(10)와;
    악기의 음파를 저장하는 저장부(20)와;
    상기 저장부(20)에 저장된 음파 중 음양오행의 기준에 따라 구분된 목(木) 기운과, 화(火) 기운과, 토(土) 기운과, 금(金) 기운과, 수(水) 기운에 대응하는 악기의 음파를 출력하도록 상기 출력부(10)를 제어하는 제어부(3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 구현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목(木) 기운과, 화(火) 기운과, 토(土) 기운과, 금(金) 기운과, 수(水) 기운에 대응하는 악기는 각각 소고와, 피리(대금) 또는 꽹과리와, 북과, 징과, 장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 구현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30)는,
    사용자로부터 생년월일과, 상기 생년월일이 속하는 별자리 중 어느 하나를 입력받고,
    상기 입력된 생년월일 또는 별자리에 대응하는 악기의 음파를 출력하도록 상기 출력부(10)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 구현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30)는 상기 별자리에 대응하는 서양악기의 음파를 출력하거나 상기 별자리에 대응하는 음계를 출력하도록 상기 출력부(10)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 구현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30)는,
    사용자로부터 신체의 부위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입력받고,
    상기 입력된 신체의 부위에 대응하는 악기의 음파를 출력하도록 상기 출력부(10)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 구현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30)는 상기 악기에 대응하는 색상을 표시부(40)에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 구현장치.
  7. 악기의 음파를 저장하는 단계; 및
    상기 저장된 악기의 음파 중 음양오행의 기준에 따라 구분된 목(木) 기운과, 화(火) 기운과, 토(土) 기운과, 금(金) 기운과, 수(水) 기운에 대응하는 악기의 음파를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 구현방법.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목 기운과, 화 기운과, 토 기운과, 금 기운과, 수 기운에 대응하는 악기는 각각 소고와, 피리(대금) 또는 꽹과리와, 북과, 징과, 장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 구현방법.
  9. 제7항에 있어서,
    사용자로부터 생년월일과, 상기 생년월일이 속하는 별자리 중 어느 하나를 입력받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악기의 음파를 출력하는 단계는,
    상기 입력된 생년월일 또는 별자리에 대응하는 악기의 음파를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 구현방법.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악기의 음파를 출력하는 단계는,
    상기 별자리에 대응하는 서양악기의 음파를 출력하거나 상기 별자리에 대응하는 음계를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 구현방법.
  11. 제7항에 있어서,
    사용자로부터 신체의 부위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입력받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악기의 음파를 출력하는 단계는,
    상기 입력된 신체의 부위에 대응하는 악기의 음파를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 구현방법.
  12.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악기에 대응하는 색상을 표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 구현방법.
KR1020100137185A 2010-12-28 2010-12-28 음 구현장치 및 음 구현방법 KR20120075143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37185A KR20120075143A (ko) 2010-12-28 2010-12-28 음 구현장치 및 음 구현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37185A KR20120075143A (ko) 2010-12-28 2010-12-28 음 구현장치 및 음 구현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75143A true KR20120075143A (ko) 2012-07-06

Family

ID=4670918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137185A KR20120075143A (ko) 2010-12-28 2010-12-28 음 구현장치 및 음 구현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20075143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945682B2 (en) 2013-05-16 2015-02-03 Samsung Display Co., Ltd. Deposition apparatus, method for manufacturing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apparatus, and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apparatus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945682B2 (en) 2013-05-16 2015-02-03 Samsung Display Co., Ltd. Deposition apparatus, method for manufacturing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apparatus, and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apparatus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553188B2 (en) Musical attribution in a two-dimensional digital representation
CN107146598B (zh) 一种多音色混合的智能演奏系统和方法
TW201108202A (en) System, method, and apparatus for singing voice synthesis
Hughes Technologized and autonomized vocals in contemporary popular musics
Pedersen et al. The Recording, Mixing, and Mastering Reference Handbook
KR20120075143A (ko) 음 구현장치 및 음 구현방법
González et al. The speech surrogacy systems of the Yoruba dundún and batá drums. on the interface between organology and phonology
JP5960635B2 (ja) 楽器音出力装置
JP2011138130A (ja) 携帯用電子機器を利用したカラオケ協演方法
JP3705175B2 (ja) 演奏制御装置
Chappell Rock guitar for dummies
KR101267051B1 (ko) 음 구현장치
Menzies New performance instruments for electroacoustic music
Noh North Korea's" Minjok" Orchestra: Reform and Communication
KR101536929B1 (ko) 전자 연주 장치
CN103943098A (zh) 多米索交响乐器
JP3705174B2 (ja) 演奏制御装置
Arbel et al. Symbaline: An electromagnetically actuated wine glass instrument
KR101795355B1 (ko) 작곡용 키보드와 연동되는 작곡용 단말을 이용한 작곡 시스템
Darroch Cultural convergence: traditional Maori flutes and contemporary New Zealand classical music
Martin Mobile computer music for percussionists
Horner et al. Synthesis modeling of the Chinese dizi, bawu, and sheng
Winer Shabbat B'shir
Klein Live and interactive electronic vocal compositions: trends and techniques for the art of performance
Stoop Melting the Boundarie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