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075087A - 힘 측정 장치 - Google Patents

힘 측정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075087A
KR20120075087A KR1020100137121A KR20100137121A KR20120075087A KR 20120075087 A KR20120075087 A KR 20120075087A KR 1020100137121 A KR1020100137121 A KR 1020100137121A KR 20100137121 A KR20100137121 A KR 20100137121A KR 20120075087 A KR20120075087 A KR 2012007508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vable
force
bodies
central body
measur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13712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222868B1 (ko
Inventor
박일우
홍운기
Original Assignee
박일우
홍운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일우, 홍운기 filed Critical 박일우
Priority to KR102010013712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22868B1/ko
Publication of KR2012007508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7508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2286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2286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LMEASURING FORCE, STRESS, TORQUE, WORK, MECHANICAL POWER, MECHANICAL EFFICIENCY, OR FLUID PRESSURE
    • G01L5/00Apparatus for, or methods of, measuring force, work, mechanical power, or torque,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purposes
    • G01L5/16Apparatus for, or methods of, measuring force, work, mechanical power, or torque,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purposes for measuring several components of force
    • G01L5/161Apparatus for, or methods of, measuring force, work, mechanical power, or torque,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purposes for measuring several components of force using variations in ohmic resistance
    • G01L5/1627Apparatus for, or methods of, measuring force, work, mechanical power, or torque,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purposes for measuring several components of force using variations in ohmic resistance of strain gaug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LMEASURING FORCE, STRESS, TORQUE, WORK, MECHANICAL POWER, MECHANICAL EFFICIENCY, OR FLUID PRESSURE
    • G01L1/00Measuring force or stress, in general
    • G01L1/20Measuring force or stress, in general by measuring variations in ohmic resistance of solid materials or of electrically-conductive fluids; by making use of electrokinetic cells, i.e. liquid-containing cells wherein an electrical potential is produced or varied upon the application of stress
    • G01L1/22Measuring force or stress, in general by measuring variations in ohmic resistance of solid materials or of electrically-conductive fluids; by making use of electrokinetic cells, i.e. liquid-containing cells wherein an electrical potential is produced or varied upon the application of stress using resistance strain gauge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Force Measurement Appropriate To Specific Purpo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서로 수직한 제1 및 제2축을 따라 이동 가능하게 형성되는 중심체와, 상기 제1축상에서 상기 중심체를 사이에 두고 각각 배치되고 상기 제2축 방향을 따라 상기 중심체와 함께 이동 가능하게 형성되는 제1 및 제2이동체, 및 상기 중심체와 상기 제1이동체 및 상기 중심체와 상기 제2이동체에 각각 결합되며 상기 중심체가 상기 제1축 방향으로 이동됨에 따라 각각 압축 및 인장되도록 형성되고 상기 중심체에 가해지는 힘을 측정하도록 이루어지는 제1 및 제2측정체를 포함하는 힘 측정 장치를 제공한다.

Description

힘 측정 장치{APPARATUS FOR MEASURING FORCE}
본 발명은 2축 방향(X축 및 Y축)의 힘을 측정하기 위한 장치에 관한 것이다.
기계 장치의 제어에 있어서 힘의 측정은 근본적이면서도 필수적이다. 힘은 각각의 축에 작용하는 힘으로 분리될 수 있다. 힘을 측정하기 위하여 각각의 축에 하중을 감지할 수 있는 센서를 부착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일반적인 힘 측정 장치는 힘 또는 하중 등의 물리량을 전기적 신호로 변환시켜 힘이나 하중을 측정하는 하중감지센서를 이용한다. 물체는 힘 또는 하중에 의하여 이에 비례하는 변형이 발생하며, 변형률을 이용한 센서가 스트레인 게이지이다. 스트레인 게이지는 "물체의 전기 저항값은 길이에 비례하고, 단면적에 반비례한다."라는 원리를 기초로 한다.
이전의 힘 측정 장치들은 측정대상인 중심체가 힘의 방향으로 움직이지 않는 구조로서 직관적으로 힘을 측정할 수 없다는 문제가 있다. 또한, 실제로 힘은 중심체가 아니라 이와 연결된 축에서 발생한다는 점에서 힘을 정확하게 측정할 수 없었다.
본 발명의 일 목적은 정밀도와 신뢰성을 보다 향상시킨 힘 측정 장치를 제안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일 목적은 2축 방향으로 자유롭게 움직이면서 힘을 측정할 수 있는 힘 측정 장치를 제시하기 위한 것이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해결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서로 수직한 제1 및 제2축을 따라 이동 가능하게 형성되는 중심체와, 상기 제1축상에서 상기 중심체를 사이에 두고 각각 배치되고 상기 제2축 방향을 따라 상기 중심체와 함께 이동 가능하게 형성되는 제1 및 제2이동체, 및 상기 중심체와 상기 제1이동체 및 상기 중심체와 상기 제2이동체에 각각 결합되며 상기 중심체가 상기 제1축 방향으로 이동됨에 따라 각각 압축 및 인장되도록 형성되고 상기 중심체에 가해지는 힘을 측정하도록 이루어지는 제1 및 제2측정체를 포함하는 힘 측정 장치를 개시한다.
본 발명과 관련한 일 예에 따르면, 상기 힘 측정 장치는 상기 제2축상에서 상기 중심체를 사이에 두고 각각 배치되며 상기 제1축 방향을 따라 상기 중심체와 함께 이동 가능하게 형성되는 제3 및 제4이동체, 및 상기 중심체와 상기 제3이동체 및 상기 중심체와 상기 제4이동체에 각각 결합되고 상기 중심체가 상기 제2축 방향으로 이동됨에 따라 각각 압축 및 인장되도록 형성되며 상기 중심체에 가해지는 힘을 측정하도록 이루어지는 제3 및 제4측정체를 더 포함한다.
본 발명과 관련한 다른 일 예에 따르면, 상기 힘 측정 장치는 상기 제1 내지 제4이동체 중 어느 하나의 이동체가 상기 중심체와 이루는 축방향과 수직한 방향을 따라 이동될 수 있도록 상기 어느 하나의 이동체의 이동을 가이드하는 가이드부를 더 포함한다.
본 발명과 관련한 다른 일 예에 따르면, 상기 가이드부는 상기 어느 하나의 이동체에 상기 축방향과 수직한 방향을 따라 관통되게 형성되는 가이드홀, 및 상기 축방향과 수직한 방향을 따라 배치되고 상기 어느 하나의 이동체의 이동을 가이드할 수 있도록 상기 가이드홀에 삽입되는 가이드부재를 포함한다.
본 발명과 관련한 다른 일 예에 따르면, 상기 중심체, 상기 제1 내지 제4이동체 및 상기 제1 내지 제4측정체는 동일 평면상에 배치된다.
상기와 같은 구성의 본 발명에 의하면, 중심체는 힘의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이루어지므로, 직관적으로 힘을 측정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실제 힘이 중심체에 작용한다는 점에서 정밀도와 신뢰성이 향상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힘 측정 장치는 이동체가 중심체와 이루는 축 방향과 수직한 방향을 따라 이동될 수 있도록 이동체의 이동을 가이드하는 가이드부를 구비함으로써, 2축 방향으로 자유롭게 움직이면서 힘을 측정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힘 측정 장치를 보인 개념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가이드부의 확대도.
도 3은 도 1의 힘 측정 장치가 조종기에 설치된 것을 보인 개념도.
도 4 및 5는 도 3에 도시된 중심체가 각각 제1 및 제2축 방향을 따라 이동된 것을 보인 작동 상태도.
도 6은 도 3의 중심체가 제1 및 제2축 방향을 따라 이동된 것을 보인 작동 상태도.
이하, 본 발명에 관련된 힘 측정 장치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명세서에서는 서로 다른 실시예라도 동일?유사한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유사한 참조번호를 부여하고, 그 설명은 처음 설명으로 갈음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힘 측정 장치(100)를 보인 개념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힘 측정 장치(100)는 중심체(110), 이동체(120 / 120a, 120b, 120c, 120d) 및 측정체(130 / 130a, 130b, 130c, 130d)를 포함한다.
중심체(110)는 측정하려는 힘이 작용하는 부분으로서, 힘의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이루어진다. 중심체(110)는 평면상의 2축(X축 및 Y축) 즉, 서로 수직한 제1 및 제2축을 따라 이동 가능하게 형성된다. 중심체(110)는 힘 측정 장치(100)의 중심부분에 배치될 수 있다.
이동체(120)는 제1 및 제2축상에서 중심체(110)를 사이에 두고 각각 배치되는 복수의 이동체(120a, 120b, 120c, 120d)들을 포함한다. 구체적으로, 제1 및 제2이동체(120a, 120b)는 제1축상에서 중심체(110)를 사이에 두고 각각 배치되고, 제3 및 제4이동체(120c, 120d)는 제2축상에서 중심체(110)를 사이에 두고 각각 배치된다.
제1 및 제2이동체(120a, 120b)는 제2축 방향을 따라 중심체(110)와 함께 이동 가능하게 형성된다. 제1 및 제2이동체(120a, 120b)는 중심체(110)와 일직선을 유지한 상태로 이동될 수 있다. 상기 구조에 의할 때, 제2축 방향의 힘은 제1축 방향의 힘에 영향을 미치지 않으며, 각 축 방향의 힘이 독립적으로 측정될 수 있다. 마찬가지로, 제3 및 제4이동체(120c, 120d)는 제1축 방향을 따라 중심체(110)와 함께 이동 가능하게 이루어진다.
측정체(130)는 중심체(110)와 이동체(120)에 각각 결합되고, 중심체(110)와 이동체(120) 사이에 가해지는 힘을 측정하도록 이루어진다. 측정체(130)는 스트레인 게이지를 포함하는 탄성 소재로 형성될 수 있다. 측정체(130)는 중심체(110)가 제1 및 제2축 방향으로 이동됨에 따라 각각 압축 및 인장되도록 형성된다.
구체적으로, 제1측정체(130a)는 중심체(110)와 제1이동체(120a)에 각각 결합되며, 제2측정체(130b)는 중심체(110)와 제2이동체(120b)에 각각 결합된다. 제1 및 제2측정체(130a, 130b)는 중심체(110)가 제1축 방향, 예를 들어, 제1이동체(120a)에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이동됨에 따라 각각 압축 및 인장되도록 이루어진다. 제1 및 제2측정체(130a, 130b)는 압축 및 인장에 따른 물리적 변형을 전기적 변화로 변환시켜 제1축상의 중심체(110)에 가해지는 힘을 측정하도록 형성된다.
마찬가지로, 제3측정체(130c)는 중심체(110)와 제3이동체(120c)에 각각 결합되며, 제4측정체(130d)는 중심체(110)와 제4이동체(120d)에 각각 결합된다. 제3 및 제4측정체(130c, 130d)는 중심체(110)가 제2축 방향으로 이동됨에 따라 각각 압축 및 인장되도록 이루어지며, 제2축상의 중심체(110)에 가해지는 힘을 측정하도록 형성된다.
구체적으로, 측정체(130)의 스트레인 게이지는 가해진 힘에 직접적으로 상응하는 전기 저항값의 변화를 일으킨다. 스트레인 게이지는 힘에 의해 압축 또는 인장됨으로써, 길이 및 단면적에 변화가 발생한다. 스트레인 게이지의 전기 저항값은 길이에 비례하고, 단면적에 반비례하게 변화된다.
힘 측정 장치(100)는 힘에 의한 물리적 변형을 전기 저항의 변화로 변환시키고, 전기 저항값 및 그에 따른 힘을 측정한다. 전기 저항값의 측정을 위하여 제1 내지 제4측정체(130a, 130b, 130c, 130d)가 휘트스톤 브리지(Wheatstone Bridge)를 구성할 수 있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가이드부(140)의 확대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힘 측정 장치(100)는 이동체(120)가 일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도록 그 이동을 가이드하는 가이드부(140)를 더 구비한다. 가이드부(140)는 제1 내지 제4이동체(120a, 120b, 120c, 120d) 중 어느 하나의 이동체(120)가 중심체(110)와 이루는 축 방향과 수직한 방향을 따라 이동될 수 있도록 상기 어느 하나의 이동체(120)의 이동을 가이드한다.
가이드부(140)는 가이드홀(141) 및 가이드부재(142)를 포함한다.
이동체(120)에는 이동체(120)가 중심체(110)와 이루는 축 방향과 수직한 방향을 따라 관통되는 가이드홀(141)이 형성된다. 도 2를 앞선 도 1과 함께 참조하면, 제1 및 제2이동체(120a, 120b)에 형성되는 가이드홀(141)은 제2축 방향을 따라 관통되게 형성되고, 제3 및 제4이동체(120c, 120d)에 형성되는 가이드홀(141)은 제1축 방향을 따라 관통되게 이루어진다.
가이드부재(142)는 일방향으로 연장되게 형성되며, 이동체(120)가 중심체(110)와 이루는 축 방향과 수직한 방향을 따라 배치된다. 가이드부재(142)는 가이드홀(141)에 삽입되어 이동체(120)의 이동을 가이드한다.
구체적으로, 중심체(110)를 사이에 두고 제2축 방향을 따라 각각 배치되는 가이드부재(142)는 제1 및 제2이동체(120a, 120b)에 구비되는 가이드홀(141)에 각각 삽입된다. 제1 및 제2이동체(120a, 120b)는 제1 및 제2측정체(130a, 130b), 이와 연결되는 중심체(110)와 함께 가이드부재(142) 즉, 제2축 방향을 따라 이동된다.
마찬가지로, 제3 및 제4이동체(120c, 120d)는 제3 및 제4측정체(130c, 130d), 이와 연결되는 중심체(110)와 함께 가이드부재(142) 즉, 제1축 방향을 따라 이동된다.
상기 구조에 의하면, 힘 측정 장치(100)는 이동체(120)가 중심체(110)와 이루는 축 방향과 수직한 방향을 따라 이동될 수 있도록 형성됨으로써, 2축 방향으로 자유롭게 움직이면서 힘을 측정할 수 있다. 또한, 일 축 방향의 힘은 타 축 방향의 힘에 영향을 미치지 않고, 각 축 방향의 힘이 독립적으로 측정될 수 있다.
가이드부(140)는 2축 방향으로만 이동 가능하게 이루어져, 중심체(110)가 2축(X축 및 Y축)과 수직한 Z축 방향으로의 이동을 제한하여 Z축 방향의 힘이 발생하지 않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다만, 가이드부(140)가 상기 구조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이동체(120)의 이동을 가이드하도록 형성된다면 어떠한 구조도 적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가이드부(140)는 이동체(120)에 형성되는 가이드홈 및 가이드홈에 삽입되어 이동체(120)의 이동을 가이드하는 가이드레일을 구비할 수 있다.
도 3은 도 1의 힘 측정 장치(100)가 조종기(200)에 설치된 것을 보인 개념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조종기(200)는 힘 측정 장치(100), 프레임(210) 및 핸들(220)을 포함한다.
프레임(210)은 상기 힘 측정 장치(100)가 설치될 수 있는 공간을 구비한다. 가이드부재(142)는 프레임(210)에 결합되고, 중심체(110), 제1 내지 제4이동체(120) 및 제1 내지 제4측정체(130)는 프레임(210) 상에서 이동 가능하게 배치된다.
핸들(220)은 중심체(110)와 결합되며, 중심체(110)의 위치를 조종할 수 있도록 이루어진다. 핸들(220)은 프레임(210)의 일면상에서 적층된 상태로 이동 가능하게 형성될 수 있다. 핸들(220)의 조종에 따라 중심체(110)도 함께 이동되고, 중심체(110)의 이동에 따라 측정체(130)가 압축 또는 인장되어 중심체(110)에 가해지는 힘을 측정한다.
중심체(110), 제1 내지 제4이동체(120) 및 제1 내지 제4측정체(130)는 동일 평면상에 배치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조는 Z축 방향의 힘이 발생하지 않도록 하여 힘 측정 장치(100)의 정밀도와 신뢰성을 향상시킨다.
도 4 및 5는 도 3에 도시된 중심체(110)가 각각 제1 및 제2축 방향을 따라 이동된 것을 보인 작동 상태도이다.
도 4 및 5를 앞선 도 1과 함께 참조하면, 핸들(220)은 프레임(210) 상에서 제1축 및 제2축 방향을 따라 각각 이동된다. 핸들(220)의 이동에 따라 중심체(110)도 함께 이동되고, 중심체(110)의 이동에 따라 측정체(130)가 압축 또는 인장된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중심체(110)가 제1축 방향, 예를 들어, 제1이동체(120a)에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이동되면, 제1측정체(130a)는 압축되고, 제2측정체(130b)는 인장된다. 상기 과정에서 제2축 방향으로는 힘이 작용하지 않아 중심체(110)가 움직이지 않는다. 제3 및 제4이동체(120c, 120d)는 가이드부(140)를 통해 제3 및 제4측정체(130c, 130d), 중심체(110)와 일직선을 유지한 상태로 이동될 수 있다.
제1 및 제2측정체(130a, 130b)는 압축 및 인장에 따른 전기 저항값의 변화를 통하여 제1축에 가해지는 힘을 측정한다. 제1 및 제2측정체(130a, 130b)는 각각의 측정체(130)에 가해지는 힘의 증가와 감소를 측정하여 두 힘을 비교함으로써, 보다 정밀하고 정확하게 힘을 측정할 수 있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중심체(110)가 제2축 방향으로 이동되고, 제3 및 제4측정체(130c, 130d)가 제2축에 가해지는 힘을 측정하는 것은 위의 설명으로 갈음한다.
도 6은 도 3의 중심체(110)가 제1 및 제2축 방향을 따라 이동된 것을 보인 작동 상태도이다.
도 6을 앞선 도 1과 함께 참조하면, 핸들(220)은 프레임(210) 상에서 제1 및 제2축 방향, 예를 들어, 도면상에서 좌측 상부로 이동될 수 있다. 핸들(220)의 이동에 따라 중심체(110)도 함께 이동되며, 중심체(110)의 이동에 따라 측정체(130)가 압축 또는 인장된다.
구체적으로, 중심체(110)의 이동은 제1 및 제2축 방향의 이동으로 나뉠 수 있다. 즉, 중심체(110)는 제1축 상에서 제1이동체(120a)에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이동되고, 제2축 상에서 제3이동체(120c)에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이동된다.
상기 과정에서 제1 및 제2이동체(120a, 120b)는 가이드부(140)를 통해 제2축 방향으로 이동되며, 제3 및 제4이동체(120c, 120d)는 가이드부(140)를 통해 제1축 방향으로 이동된다. 따라서 각각의 측정체(130)는 이와 결합되는 이동체(120)와 중심체(110)가 이루는 축 방향의 힘에 의해서만 압축 또는 인장되어 상기 축에 가해지는 힘을 측정한다.
제1 내지 제4측정체(130)는 압축 및 인장에 따른 전기 저항값의 변화를 통하여 제1 및 제2축에 가해지는 힘을 측정한다. 힘은 벡터로서 각 성분의 힘의 합으로 나타낼 수 있으므로, 제1 및 제2축에 가해지는 힘을 더함으로써, 중심체(110)에 가해지는 힘을 측정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힘 측정 장치는 위에서 설명된 실시예들의 구성과 방법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상기 실시예들은 다양한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각 실시예들의 전부 또는 일부가 선택적으로 조합되어 구성될 수도 있다.

Claims (5)

  1. 서로 수직한 제1 및 제2축을 따라 이동 가능하게 형성되는 중심체;
    상기 제1축상에서 상기 중심체를 사이에 두고 각각 배치되고, 상기 제2축 방향을 따라 상기 중심체와 함께 이동 가능하게 형성되는 제1 및 제2이동체; 및
    상기 중심체와 상기 제1이동체 및 상기 중심체와 상기 제2이동체에 각각 결합되며, 상기 중심체가 상기 제1축 방향으로 이동됨에 따라 각각 압축 및 인장되도록 형성되고, 상기 중심체에 가해지는 힘을 측정하도록 이루어지는 제1 및 제2측정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힘 측정 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2축상에서 상기 중심체를 사이에 두고 각각 배치되며, 상기 제1축 방향을 따라 상기 중심체와 함께 이동 가능하게 형성되는 제3 및 제4이동체; 및
    상기 중심체와 상기 제3이동체 및 상기 중심체와 상기 제4이동체에 각각 결합되고, 상기 중심체가 상기 제2축 방향으로 이동됨에 따라 각각 압축 및 인장되도록 형성되며, 상기 중심체에 가해지는 힘을 측정하도록 이루어지는 제3 및 제4측정체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힘 측정 장치.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내지 제4이동체 중 어느 하나의 이동체가 상기 중심체와 이루는 축방향과 수직한 방향을 따라 이동될 수 있도록 상기 어느 하나의 이동체의 이동을 가이드하는 가이드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힘 측정 장치.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부는,
    상기 어느 하나의 이동체에 상기 축방향과 수직한 방향을 따라 관통되게 형성되는 가이드홀; 및
    상기 축방향과 수직한 방향을 따라 배치되고, 상기 어느 하나의 이동체의 이동을 가이드할 수 있도록 상기 가이드홀에 삽입되는 가이드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힘 측정 장치.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중심체, 상기 제1 내지 제4이동체 및 상기 제1 내지 제4측정체는 동일 평면상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힘 측정 장치.
KR1020100137121A 2010-12-28 2010-12-28 힘 측정 장치 KR10122286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37121A KR101222868B1 (ko) 2010-12-28 2010-12-28 힘 측정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37121A KR101222868B1 (ko) 2010-12-28 2010-12-28 힘 측정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75087A true KR20120075087A (ko) 2012-07-06
KR101222868B1 KR101222868B1 (ko) 2013-01-16

Family

ID=4670912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137121A KR101222868B1 (ko) 2010-12-28 2010-12-28 힘 측정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22868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4098296A1 (ko) * 2012-12-21 2014-06-26 강원대학교 산학협력단 수평 배치형 인장 압축 시험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92895B1 (ko) * 2018-05-29 2020-03-24 인제대학교 산학협력단 정밀 소류력 측정장치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0129635A (ja) 1983-12-19 1985-07-10 Omron Tateisi Electronics Co 力検出装置
JPH02159530A (ja) * 1988-12-13 1990-06-19 Canon Inc 力センサ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4098296A1 (ko) * 2012-12-21 2014-06-26 강원대학교 산학협력단 수평 배치형 인장 압축 시험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222868B1 (ko) 2013-01-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199691B1 (ko) 6분력 로드셀
KR101335432B1 (ko) 힘토크 센서, 힘토크 센서 프레임 및 힘토크 측정 방법
US9372125B2 (en) Load detecting device
KR101115418B1 (ko) 힘센서를 이용한 6축 힘센서 구조 및 그 구조에 의한 힘 및 모멘트 측정방법
JP4909583B2 (ja) 多軸力ロードセル
KR101481784B1 (ko) 컴팩트형 6축 로드셀
KR101381653B1 (ko) 압력 및 전단력 측정이 가능한 변형 측정 센서 및 그 구조물
WO2010079660A1 (ja) 力覚センサ
US20130126249A1 (en) Load cell and applications thereof
JP6734372B2 (ja) 力測定装置
CN110987689B (zh) 硬度测试器
KR101222868B1 (ko) 힘 측정 장치
CN107314852B (zh) 一种手腕传感器
Tamura et al. High dynamic range uniaxial force/torque sensor using metal foil and semiconductor strain gauge
KR20210137545A (ko) 2차원 힘 센서
KR101627356B1 (ko) 힘 측정 기구
JP2012002554A (ja) 3次元ロードセル
Ha et al. Elastic structure for a multi-axis forcetorque sensor
US9541486B2 (en) Panel with strain gauges for measuring deformation information
KR20180096913A (ko) 3축 스트레인 센서 및 이의 제조방법
CN108151944A (zh) 柔性大变形恒定力传递三维力感知机构
RU2476838C2 (ru) Многокомпонентный датчик перемещений
KR101490886B1 (ko) 압전 섬유 복합재료 구조체 및 이를 이용한 다축 힘 측정 장치
CN105698905A (zh) 传感器组件
US11402805B2 (en) Device and method for measuring horological shake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103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02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