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074927A - 마그네슘 제조 장치 - Google Patents

마그네슘 제조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074927A
KR20120074927A KR1020100136918A KR20100136918A KR20120074927A KR 20120074927 A KR20120074927 A KR 20120074927A KR 1020100136918 A KR1020100136918 A KR 1020100136918A KR 20100136918 A KR20100136918 A KR 20100136918A KR 20120074927 A KR20120074927 A KR 2012007492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duction reaction
reaction tube
magnesium
heat
heat reduc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13691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영덕
정우철
Original Assignee
재단법인 포항산업과학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재단법인 포항산업과학연구원 filed Critical 재단법인 포항산업과학연구원
Priority to KR102010013691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20074927A/ko
Publication of KR2012007492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74927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22METALLURGY; FERROUS OR NON-FERROUS ALLOYS; TREATMENT OF ALLOYS OR NON-FERROUS METALS
    • C22BPRODUCTION AND REFINING OF METALS; PRETREATMENT OF RAW MATERIALS
    • C22B26/00Obtaining alkali, alkaline earth metals or magnesium
    • C22B26/20Obtaining alkaline earth metals or magnesium
    • C22B26/22Obtaining magnesium
    • CCHEMISTRY; METALLURGY
    • C22METALLURGY; FERROUS OR NON-FERROUS ALLOYS; TREATMENT OF ALLOYS OR NON-FERROUS METALS
    • C22BPRODUCTION AND REFINING OF METALS; PRETREATMENT OF RAW MATERIALS
    • C22B5/00General methods of reducing to metals
    • C22B5/02Dry methods smelting of sulfides or formation of matt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7FURNACES; KILNS; OVENS; RETORTS
    • F27DDETAILS OR ACCESSORIES OF FURNACES, KILNS, OVENS, OR RETORTS, IN SO FAR AS THEY ARE OF KINDS OCCURRING IN MORE THAN ONE KIND OF FURNACE
    • F27D3/00Charging; Discharging; Manipulation of charge
    • F27D3/06Charging or discharging machines on travelling carriag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7FURNACES; KILNS; OVENS; RETORTS
    • F27DDETAILS OR ACCESSORIES OF FURNACES, KILNS, OVENS, OR RETORTS, IN SO FAR AS THEY ARE OF KINDS OCCURRING IN MORE THAN ONE KIND OF FURNACE
    • F27D3/00Charging; Discharging; Manipulation of charge
    • F27D3/12Travelling or movable supports or containers for the charge
    • F27D2003/121Band, belt or mesh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etallurgy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Geology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e And Refinement Of Metal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마그네슘 제조 장치는 마그네슘 원료 성형체가 담겨지는 내화물 용기; 및 상기 내화물 용기가 하부로부터 장입되거나 배출되도록 개방된 하부를 개폐하는 개폐부를 구비하는 열환원반응관;을 포함하며, 적어도 상기 열환원반응관 내부에서 상기 성형체의 환원반응이 일어나 마그네슘이 제조될 수 있다.

Description

마그네슘 제조 장치{Apparatus for manufacturing magnesium}
본 발명은 마그네슘 제조 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마그네슘 회수 반응이 일어나는 열환원반응관에 공급되는 성형체를 효과적으로 장입 및 배출하도록 하는 마그네슘 제조 장치에 관한 것이다.
마그네슘 제조 공정은 원광석의 처리와 소결 이후 효과적으로 환원로 공정을 수행하기 위하여 일정한 크기 및 모양으로 성형된 성형원료를 사용한다.
이렇게 성형된 원료 성형체는 압력을 인가하고, 약간의 바인더 성분을 포함하며 쉽게 파손되는 특징을 가지고 있다.
또한, 이러한 원료 성형체에서 마그네슘 금속 성분만을 얻기 위하여 환원로에서 고온으로 가열하는 경우 이산화탄소(CO2) 가스와 마그네슘(Mg) 증기가 발생되게 되며, 이때 발생되는 이산화탄소(CO2) 가스와 마그네슘(Mg) 증기의 환원조건을 맞추기 위해 저진공의 환경을 인가해준다.
이때 인가된 진공의 흐름에 따라 응축장치를 설치하고 서서히 온도가 낮아지는 환경을 부여하면 마그네슘(Mg) 증기가 금속으로 응축하고 원하는 마그네슘(Mg) 금속을 얻게 된다.
종래의 마그네슘 제련용 환원로는 대략 3m~5m 정도의 높이의 수직형 환원로이며, 이때 상부에서 원료 성형체를 공급하기 위해 상부 장입구를 열고 원료 성형체를 낙하시키게 되는데 이때 원료 성형체가 파손되는 문제가 발생한다.
또한, 반응이 끝난 이후 하부의 배출구를 열어 반응이 완료된 재(Ash)를 제거하는데 이는 일반적인 자중 제거방식을 이용하게 되므로 상당한 분진이 발생하게 되어 환경오염과 작업장의 환경요인을 저해한다는 문제가 있다.
또한 이러한 방식의 장입 배출과정은 상하부 양측에 배출구 및 장입구가 만들어지며 특히 상부 구조가 복잡해지고 상부 장입구의 밀폐가 원활하지 않는 경우 열손실 및 진공도의 손실을 가져오게 되는 문제점을 안고 있다.
따라서, 마그네슘을 제조하는데 있어서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여 생산능력을 향상시키고 오염도를 최소화하도록 하는 연구가 시급한 실정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원료 성형체를 열환원반응관으로의 장입 및 배출함에 있어서 원료성형체가 파손되는 것을 방지하고, 환경의 오염도를 최소화하여 마그네슘 제조 효율을 극대화하는 마그네슘 제조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마그네슘 제조 장치는 마그네슘 원료 성형체가 담겨지는 내화물 용기; 및 상기 내화물 용기가 하부로부터 장입되거나 배출되도록 개방된 하부를 개폐하는 개폐부를 구비하는 열환원반응관;을 포함하며, 적어도 상기 열환원반응관 내부에서 상기 성형체의 환원반응이 일어나 마그네슘이 제조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마그네슘 제조 장치의 상기 열환원반응관은 상부가 밀폐되며, 상기 개폐부는 상기 열환원반응관 내부에서 상기 성형체의 환원반응이 일어나도록 상기 내화물 용기가 상기 열환원반응관으로 장입된 후 개방된 하부를 밀폐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마그네슘 제조 장치는 상기 열환원반응관의 주변에 배치되어 환원반응에 필요한 열을 공급해주는 가열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마그네슘 제조 장치는 상기 내화물 용기를 상기 열환원반응관 내부로 장입시키거나 상기 열환원반응관 내부에서 외부로 배출되도록 하는 이송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마그네슘 제조 장치의 상기 이송부는 상기 내화물 용기를 상기 열환원반응관의 하부로 이동가능가능하도록 무인대차에 결합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마그네슘 제조 장치에 의하면, 원료 성형체의 장입 및 배출을 효과적으로 처리할 수 있으므로 생산능력을 극대화할 수 있다.
또한, 원료 성형체의 장입 및 배출 시간을 최소화하여 열효율을 증대시킬 수 있으며, 진공도의 유지 및 단열에 효과적일 수 있다.
또한, 환경의 오염도를 최소화하여 작업장의 환경을 개선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마그네슘 제조 장치를 도시한 개략 단면도.
도 2 내지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마그네슘 제조 장치의 작업순서를 도시한 개략 단면도.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다만, 본 발명의 사상은 제시되는 실시예에 제한되지 아니하고, 본 발명의 사상을 이해하는 당업자는 동일한 사상의 범위 내에서 다른 구성요소를 추가, 변경, 삭제 등을 통하여, 퇴보적인 다른 발명이나 본 발명 사상의 범위 내에 포함되는 다른 실시예를 용이하게 제안할 수 있을 것이나, 이 또한 본원 발명 사상 범위 내에 포함된다고 할 것이다.
또한, 각 실시예의 도면에 나타나는 동일한 사상의 범위 내의 기능이 동일한 구성요소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사용하여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마그네슘 제조 장치를 도시한 개략 단면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마그네슘 제조 장치(100)는 내화물 용기(120) 및 열환원반응관(110)을 포함할 수 있으며, 부가적으로 가열로(130) 및 이송부(140)를 포함할 수 있다.
내화물 용기(120)는 마그네슘 원료 성형체(125)가 담겨지는 용기일 수 있으며, 후술할 가열로(130)에 의해 제공되는 고온의 열에 의해 연화되지 않는 재질일 수 있다.
또한, 상기 내화물 용기(120)는 고온에도 강도를 유지하며 화학적 작용 등에도 견딜 수 있는 재질일 수 있다.
상기 내화물 용기(120)는 이송부(140)에 안착되어 열환원반응관(110) 내부로 장입될 수 있으며, 상기 열환원반응관(110)의 하부로부터 장입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내화물 용기(120)에 담겨지는 원료 성형체(125)는 우선 광산에서 채굴되는 돌로마이트, 마그네사이트, 백운석 또는 석회석을 분쇄한 후 소성로에서 소성하여 소성 돌로마이트를 형성한다.
이어서 고온의 전기로에서 실리콘(Si)이 함유된 페로실리콘(FeSi)을 제조한 후 일정크기로 파쇄하고, 상기 페로실리콘(FeSi), 상기 소성 돌로마이트 및 형석(CaF2)을 성형기에 장입하여 원료 성형체(125)를 형성하게 된다.
상기와 같은 과정을 거친 일정 크기의 마그네슘 원료 성형체(125)는 약간의 바인더 성분을 포함할 수 있으며, 압력을 인가하여 제조된 것으로 외부충격에 쉽게 파손되는 특성을 가지게 된다.
그러나,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마그네슘 제조 장치(100)에 있어서는 낙하 등의 방식이 아닌 원료 성형체(125)를 내화물 용기(120)에 안정적으로 담은 후 상기 내화물 용기(120)를 후술할 열환원반응관(110) 내부로 장입하므로 상기 원료 성형체(125)가 파손되는 것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열환원반응관(110)은 상기 열환원반응관(110) 주변에 설치되어 환원반응에 필요한 열을 공급하는 가열로(130) 내부에 구비될 수 있으며, 상기 열환원반응관(110) 내부에서 원료 성형체(125)의 환원반응이 일어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열환원반응관(110)은 상기 내화물 용기(120)가 하부로부터 장입되거나 배출되도록 하기 위해 하측은 개방형일 수 있으며, 상측은 밀폐형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열환원반응관(110)은 외부가열식 수직형의 내열강재질일 수 있으며, 내화물 용기(120)가 상기 열환원반응관(110) 내부로 장입되면 하측에 설치되는 개폐부(115)에 의해 내부공간은 밀폐될 수 있다.
이때 상기 개폐부(115)는 플랜지, 슬라이드 게이트 밸브 또는 힌지에 의한 회전 밸브 등의 밀폐수단일 수 있으며, 상기 열환원반응관(110) 내부를 밀폐시킬 수 있는 수단이면 설계자의 의도에 따라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다.
원료 성형체(125)가 상기 열환원반응관(110) 내부로 장입되면, 상기 개폐부(115)에 의해 상기 열환원반응관(110)은 밀폐되고, 진공펌프(170)에 의해 진공을 인가하면 상기 열환원반응관(110)의 내부공간은 진공상태가 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진공펌프(170)는 응축기(160)와 연결되어 외부로 가스배출을 위한 구성요소일 수 있으며, 상기 진공펌프(170)에 의해 상기 열환원반응관(110)의 진공조건을 유지할 수 있다.
상기 열환원반응관(110)의 내부공간이 진공상태가 되고 소정시간 동안 상기 내부공간이 가열로(130)에서 제공되는 열에 의해 고온을 유지하면, 원료 성형체(125)에 함유된 실리콘(Si) 성분이 환원제로 작용하여 규소열환원반응(Silicothermic reduction)에 의해 환원이 진행되게 된다.
상기와 같은 과정에서 상기 열환원반응관(110)에서 환원된 마그네슘(Mg) 증기는 상기 열환원반응관(110)과 별도로 설치된 응축기(160)를 통해 진공펌프(170)의 작용에 의해 이동하게 되고, 상기 응축기(160)에서 마그네슘(Mg) 증기는 응축 크라운이 형성되거나 액상으로 상기 응축기(160)에 회수되게 된다.
이후에 상기 열환원반응관(110) 내부의 진공 상태를 제거하고 상압상태에서 개폐부(115)를 열고 이송부(140)에 의해 상기 열환원반응관(110) 내부에 배치되는 내화물 용기(120)는 외부로 배출되게 된다.
외부로 배출된 내화물 용기(120)는 이송부(140)와 결합된 무인대차(150)의 이동에 의해 환원반응이 이루어진 원료 성형체(125)의 분진(Ash)를 수거하는 단계로 진행될 수 있으며, 환원반응 위한 원료 성형체(125)는 다시 열환원반응관(110)의 하부로 다시 이동되게 된다.
이후에 이송부(140)의 상하 이동에 의해 원료 성형체(125)가 담겨진 내화물 용기(120)는 다시 열환원반응관(110) 내부로 장입되게 되며, 장입이 완료되면 개폐부(115)에 의해 상기 열환원반응관(110) 내부는 밀폐되고, 앞서 설명한 과정을 반복적으로 진행하여 마그네슘(Mg)을 연속적으로 회수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일련의 과정에서 반복적인 개폐부(115)의 개폐, 이송부(140)에 의한 내화물 용기(120)의 상하 이동 및 무인대차(150)에 의한 이송부(140)의 이동에 따라 마그네슘(Mg) 제조를 자동화할 수 있으며, 환원반응이 완료된 원료 성형체(125)의 분진(127)의 배출과정에서 문제가 되는 환경적인 오염도를 최소화할 수 있다.
또한, 이송부(140)에 의해 내화물 용기(120)의 장입 및 배출이 자동적으로 이루어져 작업시간을 단축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열환원반응관(110)의 열이 식는 것을 억제하여 열효율을 증대시킬 수 있으며, 상부가 밀폐된 열환원반응관(110)으로 인해 진공도의 유지 및 단열에 보다 효과적일 수 있다.
다시 말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마그네슘 제조 장치(100)는 열환원반응관(110)의 개방된 하부를 이용하여 1회 반응 분량의 원료 성형체(125)를 담은 내화물 용기(120)를 하부에서 상부로 올려 적재하는 방식을 취함으로써 원료 성형체(125)의 파손을 방지할 수 있으며, 자동화가 가능한 회분 형식의 운전이 가능하게 되므로 효과적인 자동화가 가능할 수 있다.
도 2 내지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마그네슘 제조 장치의 작업순서를 도시한 개략 단면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우선 내화물 용기(120)에 1회 반응 분량의 원료 성형체(125)를 담은 후, 상기 내화물 용기(120)는 이송부(140)에 배치되고 무인대차(150)의 이동에 의해 상기 이송부(140)는 열환원반응관(110)의 개방된 하부의 하측에 위치하게 될 수 있다.
이때, 열환원반응관(110)의 하부는 개폐부(115)가 열려 개방된 상태일 수 있으며, 개방된 하부로 상기 이송부(140)는 삽입될 수 있다.
상기 이송부(140)의 삽입에 의해 원료 성형체(125)는 상기 열환원반응관(110)의 내부에 배치될 수 있다.
도 3을 참조하면, 원료 성형체(125)를 담은 내화물 용기(120)가 열환원반응관(110) 내부로 삽입되게 되면, 상기 이송부(140)로부터 상기 내화물 용기(120)는 분리될 수 있다.
이때, 열환원반응관(110)의 개방된 하부는 개폐부(115)에 의해 닫치게 될 수 있으며, 이로 인해 상기 열환원반응관(110)의 내부는 완전히 밀폐될 수 있다.
상기 열환원반응관(110)이 밀폐되면, 진공펌프(170)에 의해 상기 열환원반응관(110)의 내부를 진공 상태로 만들고 가열로(130)에서 제공되는 열에 의해 고온을 유지하면 원료 성형체(125)가 환원반응을 일으켜 마그네슘(Mg) 증기가 발생된다.
상기 마그네슘(Mg) 증기는 응축 크라운 또는 액상의 상태로 응축기(160)에 의해 회수될 수 있으며, 마그네슘(Mg) 제조를 위한 일련의 과정이 종료하게 된다.
도 4를 참조하면, 열환원반응관(110) 내부의 진공 상태를 제거하고 상압상태에서 개폐부(115)를 열면 이송부(140)가 열환원반응관(110)의 하부로 이동되어 내화물 용기(120)를 안착시킨다.
이후에 내화물 용기(120)는 이송부(140)의 이동에 의해 외부로 배출될 수 있으며, 상기 이송부(140)와 결합된 무인대차(150)의 이동에 의해 환원반응이 이루어진 원료 성형체(125)의 분진(127)을 수거하는 단계로 진행될 수 있다.
또한, 환원반응을 위한 원료 성형체(125)는 다시 열환원반응관(110)의 하부로 다시 이동하게 되고, 상기 과정을 반복적으로 진행하여 마그네슘(Mg)을 연속적으로 회수할 수 있다.
이상의 실시예를 통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마그네슘 제조 장치(100)는 열환원반응관(110)의 개방된 하부를 반복적으로 개폐하는 개폐부(115), 내화물 용기(120)의 상하 이동을 가능하게 하는 이송부(140) 및 상기 이송부(140)를 이동시키는 무인대차(150)에 의해 마그네슘(Mg) 제조를 자동화할 수 있으며, 환원반응이 완료된 원료 성형체(125)의 분진(127)의 배출과정에서 문제가 되는 환경적인 오염도를 최소화할 수 있다.
또한, 열환원반응관(110)의 열이 식는 것을 억제하여 열효율을 증대시킬 수 있으며 진동도 및 단열에 효과적일 수 있다.
100: 마그네슘 제조 장치 110: 열환원반응관
115: 개폐부 120: 내화물 용기
125: 원료 성형체 130: 가열로
140: 이송부 150: 무인대차
160: 응축기 170: 진공펌프

Claims (5)

  1. 마그네슘 원료 성형체가 담겨지는 내화물 용기; 및
    상기 내화물 용기가 하부로부터 장입되거나 배출되도록 개방된 하부를 개폐하는 개폐부를 구비하는 열환원반응관;을 포함하며, 적어도 상기 열환원반응관 내부에서 상기 성형체의 환원반응이 일어나 마그네슘이 제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그네슘 제조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열환원반응관은 상부가 밀폐되며,
    상기 개폐부는 상기 열환원반응관 내부에서 상기 성형체의 환원반응이 일어나도록 상기 내화물 용기가 상기 열환원반응관으로 장입된 후 개방된 하부를 밀폐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그네슘 제조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열환원반응관의 주변에 배치되어 환원반응에 필요한 열을 공급해주는 가열로;를 더 포함하는 마그네슘 제조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내화물 용기를 상기 열환원반응관 내부로 장입시키거나 상기 열환원반응관 내부에서 외부로 배출되도록 하는 이송부;를 더 포함하는 마그네슘 제조 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이송부는 상기 내화물 용기를 상기 열환원반응관의 하부로 이동가능가능하도록 무인대차에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그네슘 제조 장치.
KR1020100136918A 2010-12-28 2010-12-28 마그네슘 제조 장치 KR20120074927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36918A KR20120074927A (ko) 2010-12-28 2010-12-28 마그네슘 제조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36918A KR20120074927A (ko) 2010-12-28 2010-12-28 마그네슘 제조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74927A true KR20120074927A (ko) 2012-07-06

Family

ID=4670898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136918A KR20120074927A (ko) 2010-12-28 2010-12-28 마그네슘 제조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20074927A (ko)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64065B1 (ko) * 2011-12-28 2014-02-20 재단법인 포항산업과학연구원 마그네슘 제조장치
KR101441521B1 (ko) * 2012-11-15 2014-09-17 에스아이에스 주식회사 마그네슘 제련 시스템의 마그네슘 크라운 취출장치
KR101451404B1 (ko) * 2012-12-28 2014-10-16 재단법인 포항산업과학연구원 마그네슘 제련용 열환원 반응관의 슬래그 하부배출 장치
KR101471869B1 (ko) * 2013-05-27 2014-12-15 재단법인 포항산업과학연구원 환원 가열로
KR101528073B1 (ko) * 2013-12-24 2015-06-10 주식회사 포스코 마그네슘 제련 공정의 조업 데이터 모니터링 장치 및 방법
KR101536739B1 (ko) * 2013-12-24 2015-07-14 주식회사 포스코 반응관 고착 방지 장치
WO2016099092A1 (ko) * 2014-12-15 2016-06-23 최도영 마이크로파를 이용한 금속 마그네슘 제조장치 및 제조방법
US10287651B2 (en) 2014-09-04 2019-05-14 Research Institute Of Industrial Science & Technology Thermal reduction apparatus for metal production, gate device, condensing system, and control method thereof

Cited B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64065B1 (ko) * 2011-12-28 2014-02-20 재단법인 포항산업과학연구원 마그네슘 제조장치
KR101441521B1 (ko) * 2012-11-15 2014-09-17 에스아이에스 주식회사 마그네슘 제련 시스템의 마그네슘 크라운 취출장치
KR101451404B1 (ko) * 2012-12-28 2014-10-16 재단법인 포항산업과학연구원 마그네슘 제련용 열환원 반응관의 슬래그 하부배출 장치
KR101471869B1 (ko) * 2013-05-27 2014-12-15 재단법인 포항산업과학연구원 환원 가열로
KR101528073B1 (ko) * 2013-12-24 2015-06-10 주식회사 포스코 마그네슘 제련 공정의 조업 데이터 모니터링 장치 및 방법
KR101536739B1 (ko) * 2013-12-24 2015-07-14 주식회사 포스코 반응관 고착 방지 장치
US10287651B2 (en) 2014-09-04 2019-05-14 Research Institute Of Industrial Science & Technology Thermal reduction apparatus for metal production, gate device, condensing system, and control method thereof
US11136646B2 (en) 2014-09-04 2021-10-05 Research Institute Of Industrial Science & Technology Thermal reduction apparatus for metal production, gate device, condensing system, and control method thereof
WO2016099092A1 (ko) * 2014-12-15 2016-06-23 최도영 마이크로파를 이용한 금속 마그네슘 제조장치 및 제조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20074927A (ko) 마그네슘 제조 장치
CN102140685A (zh) 一种用于多晶硅熔炼炉的真空连续加料系统
KR101364066B1 (ko) 마그네슘 제조용 응축장치
CN103925791A (zh) 一种真空加热炉
US11136646B2 (en) Thermal reduction apparatus for metal production, gate device, condensing system, and control method thereof
KR101364479B1 (ko) 마그네슘 제조용 열환원장치 및 이를 이용한 마그네슘의 제조방법
JP5250238B2 (ja) アルミニウム・スクラップの精製方法及びその精製装置
CN104651636B (zh) 带有保护装置的真空电热炼镁设备
WO2011153683A1 (zh) 一种真空环流硅热法制金属镁的方法及其设备
KR101364065B1 (ko) 마그네슘 제조장치
KR20120074972A (ko) 수직형 열환원 마그네슘 제조장치
JP5504653B2 (ja) 成型コークスの製造設備
CN107677124B (zh) 一种带除尘装置的金属熔炼电炉
KR20120074971A (ko) 수직형 열환원 마그네슘 제조장치
KR101451404B1 (ko) 마그네슘 제련용 열환원 반응관의 슬래그 하부배출 장치
JP3170422U (ja) 冶金炉の自動連続原料投入装置
KR101633608B1 (ko) 마그네슘 제조용 열환원 장치 및 마그네슘 제조 방법
CN107699712B (zh) 一种镁冶金炉和镁冶炼方法
KR102265281B1 (ko) 금속의 열환원 장치
KR101165019B1 (ko) 슬래그 처리 장치
CN111420779A (zh) 一种晶体材料破碎洁净预处理装置及洁净预处理方法
CN210773459U (zh) 一种高温工业窑炉块料加料斗
RU146430U1 (ru) Вакуумная дуговая гарнисажная печь
KR102595314B1 (ko) 분리형 수직 흑연화로 시스템
RU2572667C1 (ru) Установка для металлотермического восстановления щелочно-земельных металлов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