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074824A - 유용미생물과 페로니켈 슬래그를 이용한 친환경 건축자재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유용미생물과 페로니켈 슬래그를 이용한 친환경 건축자재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074824A
KR20120074824A KR20100136775A KR20100136775A KR20120074824A KR 20120074824 A KR20120074824 A KR 20120074824A KR 20100136775 A KR20100136775 A KR 20100136775A KR 20100136775 A KR20100136775 A KR 20100136775A KR 20120074824 A KR20120074824 A KR 2012007482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erronickel slag
slag
building materials
effective
ferronicke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0013677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백창길
백창남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비엠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비엠씨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비엠씨
Priority to KR2010013677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20074824A/ko
Publication of KR2012007482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74824A/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18/00Use of agglomerated or waste materials or refuse as fillers for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Treatment of agglomerated or waste materials or refuse, specially adapted to enhance their filling properties in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 C04B18/04Waste materials; Refuse
    • C04B18/14Waste materials; Refuse from metallurgical processes
    • C04B18/141Slags
    • C04B18/144Slags from the production of specific metals other than iron or of specific alloys, e.g. ferrochrome slags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20/00Use of materials as fillers for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according to more than one of groups C04B14/00 - C04B18/00 and characterised by shape or grain distribution; Treatment of materials according to more than one of the groups C04B14/00 - C04B18/00 specially adapted to enhance their filling properties in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Expanding or defibrillating materials
    • C04B20/02Treatment
    • C04B20/026Comminuting, e.g. by grinding or breaking; Defibrillating fibres other than asbestos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2103/00Function or property of ingredients for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 C04B2103/0001Living organisms, e.g. microorganisms, or enzym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W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WASTEWATER TREATMENT OR WASTE MANAGEMENT
    • Y02W30/00Technologies for solid waste management
    • Y02W30/50Reuse, recycling or recovery technologies
    • Y02W30/91Use of waste materials as fillers for mortars or concret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eramic Engineering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Processing Of Solid Wast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페로니켈 슬래그를 수거하는 공정과; 상기 수거된 페로니켈 슬래그를 100℃ 이상 온도의 열풍을 발생하는 원통형의 회전체인 건조기 내부를 통과시켜 함수율 5.0%이하가 되도록 일정시간 동안 건조하는 공정과; 상기 건조된 페로니켈 슬래그를 미분쇄기에 넣고 입도 70 내지 270mesh가 되도록 분쇄하는 공정과; 상기 분쇄된 분말 페로니켈 슬래그에 물과 유용미생물 원액을 중량대비 1:400 내지 1:1000으로 희석한 액을 혼합하는 공정을 포함하는 유용미생물과 페로니켈 슬래그를 이용한 친환경 건축자재 제조방법을 제공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은 사용효율 및 활용범위가 극히 제한되던 페로니켈 슬래그와 유용미생물을 일련적인 공정을 통해서 친환경 건축자재로 재활용하여 경제적인 이익을 창출할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또한, 본 발명은 유용미생물을 이용하여 페로니켈 슬래그에서 배출되는 유해물질을 최소화시켜 환경오염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Description

유용미생물과 페로니켈 슬래그를 이용한 친환경 건축자재 제조방법{Method to manufacture building materials using from ferro-nickel slag by effective microorganisms treatment}
본 발명은 유용미생물과 페로니켈 슬래그를 이용한 친환경 건축자재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제철소에서 발생하는 페로니켈 슬래그와 유용미생물을 일련적인 공정을 통해서 가공하여 친환경 건축자재로 재활용할 수 있도록 하는 유용미생물과 페로니켈 슬래그를 이용한 친환경 건축자재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철강산업의 부산물인 페로니켈 슬래그는 1톤당 산화슬래그가 80kg 환원슬래가 70kg정도 발생된다.
아울러 유용미생물(Effective Microorganisms:EM)은 수질이나 토양개량과 오수처리 목적 등으로 널리 활용되고 있다.
이에 최근에는 페로니켈 슬래그와 유용미생물을 이용하여 친환경 건축자재로 재활용하기 위한 방안이 그 어느 때보다 절실하게 요구되고 있는 실정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은 페로니켈 슬래그와 유용미생물을 일련적인 공정을 통해서 가공 및 생산하여 친환경 건축자재로 활용할 수 있도록 하는 유용미생물과 페로니켈 슬래그를 이용한 친환경 건축자재 제조방법을 제공함에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페로니켈 슬래그를 수거하는 공정과;
상기 수거된 페로니켈 슬래그를 100℃ 이상 온도의 열풍을 발생하는 원통형의 회전체인 건조기 내부를 통과시켜 함수율 5.0%이하가 되도록 일정시간 동안 건조하는 공정과;
상기 건조된 페로니켈 슬래그를 미분쇄기에 넣고 입도 70 내지 270mesh가 되도록 분쇄하는 공정과;
상기 분쇄된 분말 페로니켈 슬래그에 물과 유용미생물 원액을 중량대비 1:400 내지 1:1000으로 희석한 액을 혼합하는 공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사용효율 및 활용범위가 극히 제한되던 페로니켈 슬래그와 유용미생물을 일련적인 공정을 통해서 친환경 건축자재로 재활용하여 경제적인 이익을 창출할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또한, 본 발명은 유용미생물을 이용하여 페로니켈 슬래그에서 배출되는 유해물질을 최소화시켜 환경오염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 유용미생물과 페로니켈 슬래그를 이용한 친환경 건축자재 제조방법을 각 공정별로 나누어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수거공정>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페로니켈 슬래그는 제철소의 제강공정에서 배출되는 폐기물의 일종으로, 환경오염을 방지하기 위해서 페로니켈 슬래그가 발생과 동시에 이를 별도의 저장탱크에 저장되도록 하고 이를 다시 운반차량을 이용하여 후속공정으로 운반하게 된다.
이때 운반차량은 페로니켈 슬래그의 외부유출을 방지하기 위한 밀폐된 적재함(벌크)이 구비된 트럭을 사용함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페로니켈 슬래그를 보관하기 위한 별도의 야적장 및 항만의 부두가 필요 없게 되므로 야적장 및 부두의 활용효율이 향상됨은 물론 페로니켈 슬래그의 외부유출로 발생하는 환경오염을 최소화할 수 있게 된다.
<건조공정>
본 발명에서 건조공정은 수거된 페로니켈 슬래그에 함유된 수분을 제거하기 위한 공정으로, 특히 페로니켈 슬래그의 특성상 수분이 9.5 내지 19.0%가 함유되어 있으므로 유용미생물과 혼합 또는 활성화를 증대시키기 위해서 일정 함수율이 되도록 건조해야 한다.
즉, 분쇄공정을 위한 페로니켈 슬래그에 수분이 함유되어 있으면 일정한 입도를 갖도록 분쇄작업이 불가능하고 또 그에 따른 장치의 과부하 및 불필요한 에너지의 소모가 커질 수밖에 없으므로, 결국 생산성의 저하는 물론 제조가격의 상승이 불가피하기 때문이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은 상기 수거된 페로니켈 슬래그를 열풍을 발생하는 원통형의 회전체인 건조기의 내부를 통과시켜 열풍으로 인해 페로니켈 슬래그에 함유된 수분이 증발시켜 건조공정을 완료하게 된다.
특히 상기 건조로의 내부 열풍온도는 100℃ 이상을 유지함이 바람직한데, 이는 100℃ 이하에서는 통상 수분이 증발하기 어려운 조건이므로 페로니켈 슬래그의 품질 및 가공효율이 저하되기 때문이다.
이때 페로니켈 슬래그의 건조시간은 대략 40 내지 60분이 소요됨이 바람직한데, 이는 40분 이하의 시간이 소요될 경우 페로니켈 슬래그의 건조효율이 저하되어 함수율이 5.0%이하 되지 않으므로 유용미생물과 입자가 뭉쳐서 활성화가 진행되지 않고, 반대로 60분 이상의 시간이 소요되면 함수율이 너무 낮아져서 주변으로 쉽게 비산되어 환경문제가 대두되기 때문이다.
<분쇄공정>
본 발명에서 분쇄공정은 건조된 페로니켈 슬래그의 일정한 입도로 분쇄시켜 유용미생물과 혼합 및 활성화를 증대시키기 위한 매우 중요한 공정이다.
이를 위해 건조된 페로니켈 슬래그를 미분쇄기에 넣고 입도 70 내지 270mesh가 되도록 분쇄하는데,
이때 건조된 페로니켈 슬래그의 입도가 70mesh 이하가 되면 유용미생물과 서로 달라붙게 되어 활성화가 저하되고, 반대로 건조된 페로니켈 슬래그의 입도가 270mesh 이상이 되면 비중이 너무 가벼워져 유용미생물과 활성화가 불필요하게 증대되어 사용효율이 저하되는 문제를 갖게 된다.
<혼합공정>
본 발명에서 혼합공정은 분쇄된 분말 페로니켈 슬래그에 물과 유용미생물 원액을 중량대비 1:400 내지 1:1000으로 희석한 액을 혼합하여 페로니켈 슬래그에 포함된 유해물질을 줄이기 위한 것이다.
이때 물과 유용미생물 원액은 중량대비 1:400 내지 1:1000으로 희석하여 분말 페로니켈 슬래그와 혼합하게 되는데, 이는 페로니켈 슬래그를 콘크리트에 첨가하는 비율에 따라서 선택적으로 달라질 수 있다.
전술한 본 발명 유용미생물과 페로니켈 슬래그를 이용한 친환경 건축자재 제조방법을 통해서 제조된 조성물을 첨가한 모르타르 및 콘크리트와 미첨가한 모르타르 및 콘크리트를 VOCs 발생 용기에 넣고 밀폐하고, 60℃에서 12시간 VOC를 발생시켜 흡착튜브에 발생된 VOC 흡착한 후, 가스크로마토그라피(GC-MS)를 사용하여 VOC를 분석하였으며,
이에 대한 유용미생물 처리한 항산화 모르타르와 일반 모르타르를 실험한 결과는 표 1과 같았다.
Figure pat00001
일반 모르타르에서 발생되는 VOC그래프는 표 2와 같았다.
Figure pat00002
항산화 모르타르에서 발생되는 VOC그래프는 표 3과 같았다.
Figure pat00003
또한, 유용미생물 처리한 콘크리트와 일반 콘크리트를 실험한 결과는 표 4와 같았다.
Figure pat00004
일반 콘크리트에서 발생되는 VOC그래프는 표 5와 같았다.
Figure pat00005
항산화 콘크리트에서 발생되는 VOC그래프는 표 6과 같았다.
Figure pat00006
따라서 본 발명은 유용미생물을 이용하여 지금까지 별다른 용도가 없던 페로니켈 슬래그를 친환경 건축자재로 사용하여 자원의 재활용은 물론 천연자원이 부족한 국내의 실정을 감안할 때 외화 절약에도 큰 도움이 될 수 있는 것이다.
이처럼 상기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실시예와 실질적으로 균등의 범위에 있는 것까지 본 발명의 권리범위가 포함되는 것은 당연할 것이다.

Claims (1)

  1. 페로니켈 슬래그를 수거하는 공정과;
    상기 수거된 페로니켈 슬래그를 100℃ 이상 온도의 열풍을 발생하는 원통형의 회전체인 건조기 내부를 통과시켜 함수율 5.0%이하가 되도록 일정시간 동안 건조하는 공정과;
    상기 건조된 페로니켈 슬래그를 미분쇄기에 넣고 입도 70 내지 270mesh가 되도록 분쇄하는 공정과;
    상기 분쇄된 분말 페로니켈 슬래그에 물과 유용미생물 원액을 중량대비 1:400 내지 1:1000으로 희석한 액을 혼합하는 공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용미생물과 페로니켈 슬래그를 이용한 친환경 건축자재 제조방법.
KR20100136775A 2010-12-28 2010-12-28 유용미생물과 페로니켈 슬래그를 이용한 친환경 건축자재 제조방법 KR20120074824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00136775A KR20120074824A (ko) 2010-12-28 2010-12-28 유용미생물과 페로니켈 슬래그를 이용한 친환경 건축자재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00136775A KR20120074824A (ko) 2010-12-28 2010-12-28 유용미생물과 페로니켈 슬래그를 이용한 친환경 건축자재 제조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74824A true KR20120074824A (ko) 2012-07-06

Family

ID=4670889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00136775A KR20120074824A (ko) 2010-12-28 2010-12-28 유용미생물과 페로니켈 슬래그를 이용한 친환경 건축자재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20074824A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40515A (ko) 2015-10-05 2017-04-13 (주)남광포리마 유용미생물과 페로니켈 슬래그를 이용한 친환경 건축자재 제조방법
KR20170040823A (ko) 2015-10-05 2017-04-14 (주)남광포리마 페로니켈 슬래그를 이용한 배가스 중 수은 제거 방법
KR20170040821A (ko) 2015-10-05 2017-04-14 (주)남광포리마 페로니켈 슬래그를 이용한 혼화제 및 그의 제조방법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40515A (ko) 2015-10-05 2017-04-13 (주)남광포리마 유용미생물과 페로니켈 슬래그를 이용한 친환경 건축자재 제조방법
KR20170040823A (ko) 2015-10-05 2017-04-14 (주)남광포리마 페로니켈 슬래그를 이용한 배가스 중 수은 제거 방법
KR20170040821A (ko) 2015-10-05 2017-04-14 (주)남광포리마 페로니켈 슬래그를 이용한 혼화제 및 그의 제조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2688880B (zh) 一种钢渣高效回收再选处理的方法
Li et al. Compositional and functional features of humic acid-like fractions from vermicomposting of sewage sludge and cow dung
CN102886247B (zh) 利用氧化铝工业赤泥和污水处理污泥制备吸附剂的方法
JP5561326B2 (ja) 焼却灰の洗浄方法
CN105331799A (zh) 一种拜耳法赤泥脱碱磁化一体化焙烧方法
CN105107614A (zh) 一种弱磁性铁和磁性铁混合钢渣中金属铁的回收方法
KR20120074824A (ko) 유용미생물과 페로니켈 슬래그를 이용한 친환경 건축자재 제조방법
JP2022132258A (ja) 肥料原料およびその保管方法
CN102206030A (zh) 一种污泥脱水和污泥半干化集成方法
CN105817640A (zh) 一种钢球磨削铁泥制造还原铁粉的生产工艺
KR20120045705A (ko) 유용미생물과 석탄회를 이용한 친환경 건축자재 제조방법
CN105217987A (zh) 利用电炉还原渣和粉煤灰生产的复合矿粉及其制备工艺
KR101228281B1 (ko) 유용미생물과 고로 슬래그를 이용한 친환경 건축자재 제조방법
KR101228223B1 (ko) 유용미생물과 전기로 슬래그를 이용한 친환경 건축자재 제조방법
KR20120045708A (ko) 유용미생물과 전로 슬래그를 이용한 친환경 건축자재 제조방법
BR102017017535A2 (pt) Processo de pelotização a frio de finos de minério de ferro com flexibilidade de misturas
WO2020098703A1 (zh) 空气干砂选煤系统上用干砂介质制备工艺
CN104069806B (zh) 一种利用稀土尾矿制备的稀土负载型功能材料及其制备工艺
CN101066830A (zh) 污泥喷浆干化工艺
JP2008081568A (ja) バイオマス燃料及びその製造方法
CN104690070A (zh) 一种城市生活垃圾的处理方法
CN102659391B (zh) 一种环保节能型干式防渗料及其制造方法
KR20170040515A (ko) 유용미생물과 페로니켈 슬래그를 이용한 친환경 건축자재 제조방법
CN103342490A (zh) 一种混凝土用复合生活垃圾焚烧炉底渣粉煤灰
KR20120074755A (ko) 제강 슬래그로부터 β-2CaO?SiO2를 농축 및 분리하는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