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074733A - 디스펜서 펌프버튼의 노즐구조 - Google Patents

디스펜서 펌프버튼의 노즐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074733A
KR20120074733A KR1020100136665A KR20100136665A KR20120074733A KR 20120074733 A KR20120074733 A KR 20120074733A KR 1020100136665 A KR1020100136665 A KR 1020100136665A KR 20100136665 A KR20100136665 A KR 20100136665A KR 20120074733 A KR20120074733 A KR 2012007473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nozzle
contents
discharge
dispenser pump
pump butt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13666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민우
Original Assignee
(주)연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연우 filed Critical (주)연우
Priority to KR102010013666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20074733A/ko
Publication of KR2012007473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74733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00Nozzles, spray heads or other outlets, with or without auxiliary devices such as valves, heating means
    • B05B1/02Nozzles, spray heads or other outlets, with or without auxiliary devices such as valves, heating means designed to produce a jet, spray, or other discharge of particular shape or nature, e.g. in single drops, or having an outlet of particular shape
    • B05B1/06Nozzles, spray heads or other outlets, with or without auxiliary devices such as valves, heating means designed to produce a jet, spray, or other discharge of particular shape or nature, e.g. in single drops, or having an outlet of particular shape in annular, tubular or hollow conical form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34/00Container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liquid toiletry or cosmetic substances, e.g. perfum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1/00Single-unit hand-held apparatus in which flow of contents is produced by the muscular force of the operator at the moment of use
    • B05B11/01Single-unit hand-held apparatus in which flow of contents is produced by the muscular force of the operator at the moment of use characterised by the means producing the flow
    • B05B11/10Pump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the contents from the container to a pump chamber by a sucking effect and forcing the contents out through the dispensing nozzle
    • B05B11/1001Piston pump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2200/00Detai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A45D
    • A45D2200/05Details of containers
    • A45D2200/054Means for supplying liquid to the outlet of the container

Landscapes

  • Containers And Packaging Bodies Having A Special Means To Remove Cont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디스펜서 펌프버튼의 노즐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본 발명에 따른 디스펜서 펌프버튼의 노즐구조는, 디스펜서 펌프버튼의 배출부에 결합되어 내용물을 외부로 배출하는 노즐구조에 있어서, 상기 배출부에 결합되되, 중공이 형성되며, 내측에 단턱이 형성되는 외노즐; 상기 외노즐의 중공에 삽입되되, 상기 단턱에 안착되어 내용물의 압력에 따라 수축, 이완되는 탄성체와, 상기 배출부로 유입되는 내용물이 이동하도록 공간을 형성하며 끝단부가 폐쇄되는 내용물 이동통로와, 상기 내용물 이동통로와 연통되어 외부로 내용물을 배출하는 배출홀을 포함하는 내노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디스펜서 펌프버튼의 노즐구조에 의하면, 내용물의 압력을 통해 내노즐이 전방으로 이동시에 내노즐의 측면에 형성된 배출홀이 외부로 노출되며 내용물이 배출되도록 구조를 설계함으로써, 노즐의 변형을 방지하는 것이 가능하며, 이로 인하여, 화장품용기의 내부로 공기가 유입되는 것을 차단하여 내용물이 변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Description

디스펜서 펌프버튼의 노즐구조{Nozzle structure of Dispenser Pump Button}
본 발명은 디스펜서 펌프버튼의 노즐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더 상세하게는 내용물의 압력을 통해 내노즐이 전방으로 이동시에 내노즐의 측면에 형성된 배출홀이 외부로 노출되며 내용물이 배출되도록 구조를 설계함으로써, 노즐의 변형을 방지하는 것이 가능하며, 이로 인하여, 화장품용기의 내부로 공기가 유입되는 것을 차단하여 내용물이 변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디스펜서 펌프버튼의 노즐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디스펜서(Dispenser)라 함은 기체나 액체 또는 기타 내용물을 충진한 밀폐용기의 상측에 결합되어 가압에 의해 그 내부의 내용물을 일정량씩 분출시켜 사용하도록 하는 장치로서, 화장품이나 향수 또는 의약품이나 식품 등을 저장하는 각종 밀폐용기에 적용되고 있다. 상기와 같은 디스펜서의 상부에는 사용자가 손으로 눌러 상기 디스펜서를 가압하기 위한 버튼이 형성된다.
상기와 같은 디스펜서용 버튼에는 내용물을 외부로 배출시키기 위한 노즐이 구비되는데, 이하에서는 등록실용 제20-0418954호를 참조하여 종래의 디스펜서용 버튼의 노즐구조를 설명하기로 한다.
상기 등록실용 제20-0384899호는 배출펌프의 누름버튼을 누르면 압출되어지는 내용물의 배출압력에 의해 절개형성 된 노즐의 토출구가 벌어지면서 내용물이 배출되어지도록 된 화장품배출펌프에 있어서, 상기 노즐(22) 내부에 밀폐축(30)을 더 설치하여 토출구(41)의 차단을 안정적으로 할 수 있도록 함을 특징으로 한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의 디스펜서용 버튼의 노즐구조는 밀폐축(30)과 고무관(40)이 고정된 상태에서 내용물의 압력에 따라 토출구(41)가 벌어지면서 내용물이 배출되도록 구성되므로, 지속적인 사용시에 토출구(41)의 변형이 발생하여 토출구(41)를 통해 화장품용기의 내부로 공기가 유입되어 내용물이 변질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내용물의 압력을 통해 내노즐이 전방으로 이동시에 내노즐의 측면에 형성된 배출홀이 외부로 노출되며 내용물이 배출되도록 구조를 설계함으로써, 노즐의 변형을 방지하는 것이 가능하며, 이로 인하여, 화장품용기의 내부로 공기가 유입되는 것을 차단하여 내용물이 변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디스펜서 펌프버튼의 노즐구조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디스펜서 펌프버튼의 노즐구조는, 디스펜서 펌프버튼의 배출부에 결합되어 내용물을 외부로 배출하는 노즐구조에 있어서, 상기 배출부에 결합되되, 중공이 형성되며, 내측에 단턱이 형성되는 외노즐; 상기 외노즐의 중공에 삽입되되, 상기 단턱에 안착되어 내용물의 압력에 따라 수축, 이완되는 탄성체와, 상기 배출부로 유입되는 내용물이 이동하도록 공간을 형성하며 끝단부가 폐쇄되는 내용물 이동통로와, 상기 내용물 이동통로와 연통되어 외부로 내용물을 배출하는 배출홀을 포함하는 내노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배출홀은 상기 내노즐의 측면으로 상기 내용물 이동통로와 연통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배출홀은 내측에서 외측으로 갈수록 전방으로 기울어지는 경사면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외노즐의 외주면에는 상기 배출부에 고정되는 결합돌기가 형성되며, 상기 배출부에는 상기 결합돌기가 결합되는 결합홈이 형성되되, 상기 외노즐 및 내노즐은 일체로 모듈화되어 외노즐의 결합돌기를 통해 배출부의 결합홈에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내용물의 압력을 통해 내노즐이 전방으로 이동시에 내노즐의 측면에 형성된 배출홀이 외부로 노출되며 내용물이 배출되도록 구조를 설계함으로써, 노즐의 변형을 방지하는 것이 가능하며, 이로 인하여, 화장품용기의 내부로 공기가 유입되는 것을 차단하여 내용물이 변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디스펜서 펌프버튼에 간단하게 탈부착 가능하도록 외노즐 및 내노즐을 모듈화하여 일체로 설계함으로써, 다양한 버튼의 디자인에 적용이 가능하며, 생산과정에서 노즐부분만을 조립 및 검사하여 불량률을 낮출 수 있어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디스펜서 펌프버튼의 노즐의 구성을 보인 설명도,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디스펜서 펌프버튼에 노즐이 결합된 상태를 보인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디스펜서 펌프버튼의 노즐이 버튼에 결합되는 상태를 보인 분해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디스펜서 펌프버튼의 노즐의 작동과정을 보인 상태도이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각 도면에 제시된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한 부재를 나타낸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디스펜서 펌프버튼의 노즐의 구성을 보인 설명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디스펜서 펌프버튼에 노즐이 결합된 상태를 보인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디스펜서 펌프버튼의 노즐이 버튼에 결합되는 상태를 보인 분해단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디스펜서 펌프버튼의 노즐의 작동과정을 보인 상태도이다.
도 1 내지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디스펜서 펌프버튼의 노즐구조는 외노즐(100), 내노즐(200)이 포함된다.
상기 외노즐(100)은 디스펜서 펌프버튼(10)의 배출부(11)에 결합되어 내노즐(200)을 지지하는 것으로서, 내노즐(200)이 삽입되는 중공(110)이 형성되며, 내측 후면부에는 내노즐(200)의 탄성체(210)를 지지하는 단턱(120)이 형성된다.
상기 외노즐(100)의 외주면에는 상기 배출부(11)에 고정되는 결합돌기(130)가 형성되며, 상기 배출부(11)에는 상기 결합돌기(130)가 결합되는 결합홈(12)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로 인하여, 외노즐(100)과 후술한 내노즐(200)을 일체로 모듈화하여 외노즐(100)의 결합돌기(130)를 통해 디스펜서 펌프버튼(10)의 배출부(11)에 형성된 결합홈(12)에 간단하게 결합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본 발명의 노즐은 외노즐(100)의 외주면에 형성된 결합돌기(130)를 통해 디스펜서 펌프버튼(10)의 배출부(11)에 형성된 결합홈(12)에 간단하게 결합 가능하도록 모듈화하여 설계함으로써, 다양한 버튼의 디자인에 적용이 가능하며, 생산과정에서 노즐부분만을 조립 및 검사하여 불량률을 낮출 수 있어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것이 특징이다.
상기 내노즐(200)은 상기 외노즐(100)의 중공(110)에 삽입되어 내용물의 압력에 의해 전,후진 이동하며 내용물을 배출하는 것으로서, 상기 외노즐(100)의 단턱(120)에 안착되어 내용물의 압력에 따라 수축, 이완되는 탄성체(210)와, 상기 배출부(11)로 유입되는 내용물이 이동하도록 공간을 형성하며 끝단부가 폐쇄되는 내용물 이동통로(220)와, 상기 내용물 이동통로(220)와 연통되어 외부로 내용물을 배출하는 배출홀(230)로 구성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내용물 이동통로(220)는 끝단부가 폐쇄되도록 구성되어 내용물 이동통로(220)로 유입된 내용물이 이동시에 내용물이 폐쇄된 끝단부를 가압하여 내노즐(200)의 전진 이동을 가능하게 하는 것이 특징으로서, 내용물이 내용물 이동통로(220)의 폐쇄된 끝단부를 가압시에 탄성체(210)에 압력이 가해져 탄성체(210)가 수축되며 내노즐(200)의 전진 이동을 가능하게 한다.
한편,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배출홀(230)은 상기 내노즐(200)의 측면으로 상기 내용물 이동통로(220)와 연통되도록 구성되는 것이 특징으로서, 간단하게는 하나의 구멍으로 이루어진 배출홀(230)이 형성되는 것이 가능하나, 내용물의 원활한 배출이 이루어지도록 일정간격 이격된 다수의 배출홀(230)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배출홀(230)은 내노즐(200)의 측면에 형성됨으로써, 사용자가 버튼(10)을 가압하지 않을 경우에는 외노즐(100)의 내부에 위치하여 외노즐(100)의 벽면에 의해 폐쇄가 이루어지게 되며, 사용자가 버튼(10)을 가압하여 내용물의 배출시에는 내노즐(200)의 전진에 의해 외부로 노출되며 개방이 이루어지게 된다.
한편, 상기 배출홀(230)은 내측에서 외측으로 갈수록 전방으로 기울어지는 경사면이 형성되는 것이 특징으로서, 배출홀(230)의 개방을 통한 내용물의 배출시에 배출되는 내용물의 전방으로의 이동을 가이드하게 된다.
이하에서는 도 4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디스펜서 펌프버튼의 노즐의 작동과정을 설명하기로 한다.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디스펜서 펌프버튼의 노즐의 작동과정은 먼저, 사용자가 버튼(10)을 가압하게 되면 배출부(11)를 통해 내용물의 이동이 이루어지게 되는데, 이때, 내용물 이동통로(220)를 통해 내노즐(200)의 내부로 내용물이 유입된다.
상기와 같이, 내용물 이동통로(220)의 내부로 내용물이 유입되는 과정에서 이동하는 내용물이 내용물 이동통로(220)의 폐쇄된 끝단부를 가압하게 되며, 이로 인하여, 탄성체(210)에 압력이 가해져 탄성체(210)가 수축되며 내노즐(200)의 전진 이동이 이루어지게 된다.
상기와 같이, 내노즐(200)이 전방으로 이동하게 되면, 외노즐(100)의 내벽에 의해 폐쇄되어 있던 배출홀(230)이 외부로 노출되며 개방이 이루어지며, 이로 인하여, 배출홀(230)을 통해 내용물의 배출이 이루어지게 된다.
한편, 사용자가 버튼(10)의 가압을 해제하게 되면, 내용물의 이동이 정지되는데, 이때, 수축되었던 탄성체(210)가 원래의 위치로 복원되며 내노즐(200)로 탄성력을 제공하게 되어 내노즐(200)을 후진시키게 된다. 내노즐(200)이 후진하게 되면, 상기 외노즐(100)의 내부에 배출홀(230)이 위치하게 되며, 외노즐(100)의 내벽에 의해 배출홀(230)이 폐쇄되어 내용물이 배출되는 것을 차단하게 된다.
도면과 명세서에서 최적 실시 예들이 개시되었다. 여기서 특정한 용어들이 사용되었으나, 이는 단지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한 목적에서 사용된 것이지 의미한정이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범위를 제한하기 위하여 사용된 것은 아니다. 그러므로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 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100: 외노즐 110: 중공
120: 단턱 130: 결합돌기
200: 내노즐 210: 탄성체
220: 내용물 이동통로 230: 배출홀

Claims (4)

  1. 디스펜서 펌프버튼의 배출부에 결합되어 내용물을 외부로 배출하는 노즐구조에 있어서,
    상기 배출부에 결합되되, 중공이 형성되며, 내측에 단턱이 형성되는 외노즐;
    상기 외노즐의 중공에 삽입되되, 상기 단턱에 안착되어 내용물의 압력에 따라 수축, 이완되는 탄성체와, 상기 배출부로 유입되는 내용물이 이동하도록 공간을 형성하며 끝단부가 폐쇄되는 내용물 이동통로와, 상기 내용물 이동통로와 연통되어 외부로 내용물을 배출하는 배출홀을 포함하는 내노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펜서 펌프버튼의 노즐구조.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배출홀은 상기 내노즐의 측면으로 상기 내용물 이동통로와 연통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펜서 펌프버튼의 노즐구조.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배출홀은 내측에서 외측으로 갈수록 전방으로 기울어지는 경사면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펜서 펌프버튼의 노즐구조.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외노즐의 외주면에는 상기 배출부에 고정되는 결합돌기가 형성되며, 상기 배출부에는 상기 결합돌기가 결합되는 결합홈이 형성되되,
    상기 외노즐 및 내노즐은 일체로 모듈화되어 외노즐의 결합돌기를 통해 배출부의 결합홈에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펜서 펌프버튼의 노즐구조.
KR1020100136665A 2010-12-28 2010-12-28 디스펜서 펌프버튼의 노즐구조 KR20120074733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36665A KR20120074733A (ko) 2010-12-28 2010-12-28 디스펜서 펌프버튼의 노즐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36665A KR20120074733A (ko) 2010-12-28 2010-12-28 디스펜서 펌프버튼의 노즐구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74733A true KR20120074733A (ko) 2012-07-06

Family

ID=4670881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136665A KR20120074733A (ko) 2010-12-28 2010-12-28 디스펜서 펌프버튼의 노즐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20074733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3153665A1 (ko) * 2022-02-09 2023-08-17 펌텍코리아(주) 노즐 차단 구조를 갖는 액상 내용물 토출 용기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3153665A1 (ko) * 2022-02-09 2023-08-17 펌텍코리아(주) 노즐 차단 구조를 갖는 액상 내용물 토출 용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19011B1 (ko) 디스펜서 펌프버튼
US10493475B1 (en) Pump type liquid airtight container
JP6596780B2 (ja) 押圧作動式化粧品容器
KR100898619B1 (ko) 유체 펌핑장치
ITVI990245A1 (it) Metodo di erogazione di liquidi sotto forma di schiuma tramite contenitori deformabili e dispositivo utilizzante tale metodo
JP2010535138A (ja) 手動ポンプ式流体ディスペンサー、及びそのディスペンサーの製造方法
JP2006263464A (ja) 液状化粧品容器
JP2015127215A (ja) 二重容器
ITMI20091397A1 (it) "contenitore associabile a pompe airless e metodo per la sua realizzazione"
EP2929802B1 (en) Cosmetic container comprising push button having resilient upright nozzle
KR20120073669A (ko) 디스펜서 펌프버튼의 노즐구조
KR101056353B1 (ko) 디스펜서 펌프버튼의 노즐구조
KR20090003810U (ko) 액상화장품용기
KR200473940Y1 (ko) 펌핑수단을 갖는 염모제 용기
KR20120074733A (ko) 디스펜서 펌프버튼의 노즐구조
KR101729277B1 (ko) 공기 펌프식 화장품 용기
KR101310246B1 (ko) 노즐 출몰형 화장품 용기
KR20120060043A (ko) 디스펜서용 펌프버튼
KR20120017628A (ko) 디스펜서 펌프버튼의 노즐구조
KR20090003811U (ko) 액상화장품용기
KR101271151B1 (ko) 노즐개폐형 화장품 용기
KR101707120B1 (ko) 사이드버튼이 구비된 펌핑식 화장품 용기
JP3169361U (ja) 押圧式ノズルヘッド装置
KR101199766B1 (ko) 디스펜서 용기
CN216070980U (zh) 一种粘性液体盛装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