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073972A - 석탄폐석을 이용한 발포 유리 패널의 제조 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발포 유리 패널 - Google Patents

석탄폐석을 이용한 발포 유리 패널의 제조 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발포 유리 패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073972A
KR20120073972A KR20100135908A KR20100135908A KR20120073972A KR 20120073972 A KR20120073972 A KR 20120073972A KR 20100135908 A KR20100135908 A KR 20100135908A KR 20100135908 A KR20100135908 A KR 20100135908A KR 20120073972 A KR20120073972 A KR 2012007397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al
rock
coal waste
glass panel
weigh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0013590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332183B1 (ko
Inventor
임태영
정상수
황종희
김진호
김정국
Original Assignee
한국세라믹기술원
강원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세라믹기술원, 강원대학교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한국세라믹기술원
Priority to KR2010013590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32183B1/ko
Publication of KR2012007397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7397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3218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3218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3GLASS; MINERAL OR SLAG WOOL
    • C03BMANUFACTURE, SHAPING, OR SUPPLEMENTARY PROCESSES
    • C03B19/00Other methods of shaping glass
    • C03B19/08Other methods of shaping glass by foaming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18/00Use of agglomerated or waste materials or refuse as fillers for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Treatment of agglomerated or waste materials or refuse, specially adapted to enhance their filling properties in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 C04B18/04Waste materials; Refuse
    • C04B18/16Waste materials; Refuse from building or ceramic industry
    • CCHEMISTRY; METALLURGY
    • C03GLASS; MINERAL OR SLAG WOOL
    • C03CCHEMICAL COMPOSITION OF GLASSES, GLAZES OR VITREOUS ENAMELS; SURFACE TREATMENT OF GLASS; SURFACE TREATMENT OF FIBRES OR FILAMENTS MADE FROM GLASS, MINERALS OR SLAGS; JOINING GLASS TO GLASS OR OTHER MATERIALS
    • C03C11/00Multi-cellular glass ; Porous or hollow glass or glass particles
    • C03C11/007Foam glass, e.g. obtained by incorporating a blowing agent and heating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P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OR PROCESSING OF GOODS
    • Y02P40/00Technologies relating to the processing of minerals
    • Y02P40/50Glass production, e.g. reusing waste heat during processing or shaping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P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OR PROCESSING OF GOODS
    • Y02P40/00Technologies relating to the processing of minerals
    • Y02P40/50Glass production, e.g. reusing waste heat during processing or shaping
    • Y02P40/57Improving the yield, e-g- reduction of reject rat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W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WASTEWATER TREATMENT OR WASTE MANAGEMENT
    • Y02W30/00Technologies for solid waste management
    • Y02W30/50Reuse, recycling or recovery technologies
    • Y02W30/91Use of waste materials as fillers for mortars or concret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Ceramic Engineering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Processing Of Solid Wastes (AREA)
  • Glass Compositio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발포 유리 패널의 제조 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발포 유리 패널에 관한 것으로, 발포 유리 패널을 제조하기 위한 발포 과정에 있어 석탄폐석이 발포제로써 기능하도록 구성된 석탄폐석을 이용한 발포 유리 패널의 제조 방법과 이에 의해 제조된 발포 유리 패널을 제공하는 것에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석탄폐석을 이용한 발포 유리 패널의 제조 방법은, 유리 원료, 규조토 및 적어도 일부의 석탄폐석이 포함된 발포제 혼합물을 형성하는 단계 및 상기 혼합물을 열처리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Description

석탄폐석을 이용한 발포 유리 패널의 제조 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발포 유리 패널{Method for manufacturing foamed glass panel using refused coal ore & foamed glass panel manufactured by the same}
본 발명은 발포 유리 패널의 제조 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발포 유리 패널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발포 유리 패널을 제조하기 위한 발포 과정에 있어 석탄폐석이 발포제로써 기능하도록 구성된 석탄폐석을 이용한 발포 유리 패널의 제조 방법과 상기의 방법에 의해 제조된 발포 유리 패널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지식경제부의 지역연고산업육성사업의 일환으로 수행한 연구로부터 도출된 것이다[과제관리번호 : B0011536, 과제명 : 삼척 유리질 석탄폐석을 활용한 유리제품산업화 사업, 연구기간 2009. 6. 1 ~ 2012. 6. 30].
석탄광의 개발에 따른 부수적 산물로써 석탄폐석이 다량으로 발생하게 된다. 그동안 석탄폐석은 마땅한 재활용방법이 개발되지 않았고, 단순 매립처리도 어려운 실정이어서 탄광지역 주변에 야적된 상태로 방치되어 왔다. 이와 같이 장기간 동안 근본적인 처리가 이루어지지 않은 상태로 방치된 석탄폐석은 주변경관을 훼손하고 자연환경을 오염시키는 위해 요인이 되고 있다.
석탄합리화사업단이 조사 집계한 국내 석탄폐석 관련 자료에 의하면, 1989년부터 1993년까지 폐광된 석탄광의 경우 약 2억톤의 폐석이 발생되어 적치되어 있고, 현재까지 가용되고 있는 9개소의 탄광에서도 3,600만톤이 발생되어 적치되어 있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
그동안 폐자원에 대한 재활용 연구로써 화력발전소에서 발생하는 석탄회나 하수 슬러지 등을 이용하여 인공경량골재를 제조하는 방법 등에 관한 연구는 이루어져 왔으나 광산에 적치된 석탄폐석을 활용하는 방법에 대한 연구는 매우 미진하였다.
따라서, 이러한 석탄폐석을 자원으로 재활용함으로써 환경을 개선하고 부가가치가 높은 제품을 생산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새로운 방안의 개발이 요구되고 있다.
본 발명은 전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탄광에서 석탄 채취시 발생되어 버려지는 석탄폐석과 같은 폐자원을 활용하여 발포 유리 패널을 제조하도록 함으로써, 경제적인 발포 유리 패널의 제조는 물론 나아가 환경 보호의 효과까지 얻을 수 있도록 하는 석탄폐석을 이용한 발포 유리 패널의 제조 방법을 제공하는 것에 목적이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석탄폐석을 이용한 발포 유리 패널의 제조 방법은, 유리 원료, 규조토 및 적어도 일부의 석탄폐석이 포함된 발포제 혼합물을 형성하는 단계와 상기 혼합물을 열처리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발포제에 포함되는 석탄폐석은 전체 발포제의 50~100중량퍼센트의 비율인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유리 원료는 석탄폐석을 주성분으로 하여 제조된 석탄폐석유리일 수 있으며, 이와 같은 석탄폐석유리는 석탄폐석, 소다회, 탄산칼슘, 황산마그네슘, 규사, 파유리가 각각 5~70중량퍼센트, 5~30중량퍼센트, 5~20중량퍼센트, 0~10중량퍼센트, 5~15중량퍼센트, 10~80중량퍼센트의 비율로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석탄폐석은 선탄폐석이고, 상기 선탄폐석은 일반 선탄경석 또는 쉘 선탄경석인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석탄폐석유리는, 석탄폐석, 소다회, 탄산칼슘, 황산마그네슘, 규사, 컬러 파유리를 포함하는 혼합물을 배합하는 단계, 배합된 혼합물을 용융하는 단계, 용융된 혼합물을 성형하는 단계 및 성형된 혼합물을 서냉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석탄폐석과 파유리를 이용한 소다라임계 컬러 유리 제조방법에 의해 제조된 컬러 유리일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탄산칼슘은 황산칼슘, 산화칼슘, 수산화칼슘, 석회석 중 어느 하나로 이루어질 수 있고, 상기 황산마그네슘은 탄산마그네슘, 산화마그네슘, 수산화마그네슘, 백운석 중 어느 하나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혼합물 중 석탄폐석, 소다회, 탄산칼슘, 황산마그네슘, 규사, 파유리는 각각 5~70중량퍼센트, 5~30중량퍼센트, 5~20중량퍼센트, 0~10중량퍼센트, 5~15중량퍼센트, 10~80중량퍼센트의 비율로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컬러 파유리는 백색, 갈색, 녹색의 파유리 중 어느 하나 또는 둘 이상이 혼합된 것이 사용될 수 있다. 이러한 컬러 파유리는 제품 포장용 병유리 또는 건물이나 자동차용 창유리 등으로부터 얻어질 수 있다.
상기 용융은 1300~1700℃에서 0.5~5시간 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은 또한 상기 석탄폐석을 이용한 발포 유리 패널의 제조 방법에 의해 제조된 발포 유리 패널을 제공한다.
상기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하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1) 발포 유리 패널을 제조함에 있어 석탄폐석을 발포제로써 이용 가능하도록 함으로써, 보다 경제적인 발포유리패널의 제조가 가능함은 물론 석탄폐석으로 인한 환경오염 등의 문제를 해소할 수 있게 되었다는 효과가 있다.
(2) 아울러, 발포 유리 패널의 제조 공정에 사용되는 유리 원료로 석탄폐석을 이용한 석탄폐석유리의 사용이 가능하도록 함으로써, 상기의 효과들을 보다 더욱 증대시킬 수 있다는 등의 부가적인 장점도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석탄폐석을 이용한 발포 유리 패널의 제조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2는 도 1에 적용되는 유리 원료의 제조 공정을 설명하기 위한 일 예시도이다.
도 3은 도 1에 따라 제조된 발포 유리 패널의 일 예를 나타낸 사진이다.
상술한 본 발명의 목적, 특징 및 장점은 첨부된 도면과 관련한 다음의 실시예를 통하여 보다 분명해질 것이다.
이하의 특정한 구조 내지 기능적 설명들은 단지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목적으로 예시된 것으로,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예들은 다양한 형태로 실시될 수 있으며 본 명세서 또는 출원에 설명된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된다.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예는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으므로 특정 실시예들은 도면에 예시하고 본 명세서 또는 출원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예들을 특정한 개시 형태에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제1 및/또는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 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 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들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예컨대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권리 범위로부터 이탈되지 않은 채, 제1 구성 요소는 제2 구성 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 요소는 제1 구성 요소로도 명명될 수 있다.
어떠한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 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 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 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떠한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 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또는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 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구성 요소들 간의 관계를 설명하기 위한 다른 표현들, 즉 "?사이에"와 "바로 ?사이에" 또는 "?에 인접하는"과 "?에 직접 인접하는" 등의 표현도 마찬가지로 해석되어야 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하는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설시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 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 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갖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명세서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함으로써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각 도면에 제시된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한 부재를 나타낸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석탄폐석을 이용한 발포 유리 패널의 제조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발포(發泡)유리(foam glass, multicelluar glass)란 균질한 독립기공조직으로 이루어진 유리로써, 기공율이 매우 높아 흔히 단열재로 사용되는 재료이다.
발포유리는 미분의 유리가루와 적당량의 발포제를 혼합한 다음 이것을 가열하여 소결 및 발포시킨 후 서냉함으로써 제조된다. 이때, 발포제로는 일반적으로 탄산칼슘(CaCO3), 돌로마이트(CaCO3?MgCO3), 카본(C), 실리콘카바이드(SiC) 및 수산화인산칼슘화합물(hydroxy apatite, calcium orthophosphate, dicalcium phosphate hydrate 등) 등이 사용되는데, 본 발명은 이와 같은 발포제로써 석탄폐석이 적어도 일부 포함되도록 구성된다.
다시 말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석탄폐석을 이용한 발포 유리 패널의 제조 방법은, 도 1을 참조하면, 유리 원료, 규조토 및 발포제를 혼합하는 단계(S110), 성형 단계(S120), 열처리 단계(S130), 절단 및 가공 단계(S140) 등을 포함하여 구성됨을 알 수 있는데, 여기서 유리 원료에 혼합되는 발포제의 적어도 일부가 석탄폐석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석탄폐석은 발생 형태에 따라 굴진과정에서 배출된 굴진폐석(digging refuse)과 선탄과정에서 발생된 선탄폐석(coal-preparation refuse)으로 구분할 수 있으며, 또한 선탄폐석은 폐석 내 카본의 함량에 따라 일반 선탄경석과 카본 함량이 많은 쉘(shell) 선탄경석으로 구분할 수 있다. 본 발명에는 그 가운데 카본 함량이 상대적으로 많이 포함된 쉘 선탄경석이 적용되는 것이, 카본의 연소로 인한 다량의 가스 발생이 가능해져 결국 발포 특성이 양호해 질 수 있다는 등의 이유로 인해 보다 바람직할 수 있겠으나, 본 발명이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때, 전체 발포제 가운데 석탄폐석이 차지하는 비율은 50 내지 100 중량퍼센트인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석탄폐석을 이용한 발포 유리 패널의 제조 방법에 있어 석탄폐석이 적어도 일부 포함된 발포제와 혼합되는 유리 원료 역시, 적어도 일부 이상이 석탄폐석을 주원료로 하여 제조된 석탄폐석유리일 수 있다. 즉, 본 발명은 발포 유리 패널을 제조하기 위한 발포제로써 석탄폐석을 이용함과 더불어, 이에 이용되는 유리 원료 역시 석탄폐석을 주원료로 하는 석탄폐석유리를 사용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경제성 및 환경오염 개선 등에 있어 보다 향상된 효과를 제공할 수 있도록 한다.
이러한 석탄폐석유리의 제조와 관련해서는 다음의 도 2를 통해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발포제로써 석탄폐석의 사용 여부 및 유리 원료로써 석탄폐석유리의 사용 여부와 각각의 다양한 배합비에 따른 발포 유리 패널의 제품 특성을 하기의 표에 정리하였다.
Figure pat00001
표 1을 참조하면, 유리 원료, 규조토 및 발포제가 각각 60, 30 및 10 중량% 배합되어 구성되는 발포 유리 패널에 있어서, 유리 원료로써 일반 파유리가 적용되는 경우(실시예 1) 및 석탄폐석 파유리가 적용되는 경우(실시예 2 내지 5)와 탄산칼슘, 인산칼슘 및 석탄폐석의 군(群)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의 물질로 이루어지는 발포제에 있어서 석탄폐석이 포함되지 아니한 경우(실시예 1 및 2)와 석탄폐석이 포함된 경우(실시예 3 내지 5) 등에 대한 각각의 제품 특성을 확인할 수 있다.
이에 따르면, 유리 원료로 일반 파유리가 사용되고 발포제로 탄산칼슘 등의 일반 발포제가 사용된 경우(실시예 1)와, 유리 원료로 석탄폐석 파유리가 사용되고 발포제로 석탄폐석만이 사용된 경우(실시예 5)에 해당하는 각각의 발포 유리 패널의 제품 특성(비중 및 강도)이 거의 동일함을 알 수 있다. 발포제로써 석탄폐석만이 사용된 실시예 5에 따라 제조된 발포 유리 패널의 실제 제품 사진을 도 3에 도시하였다.
참고로, 발포 유리 패널과 같은 다공성 건축자재는 많은 기공을 함유함으로써 단열과 흡음 성능을 높이는 것이 중요한데, 이를 위해 비중은 낮으면서 강도는 높은 제품을 만드는 것이 관건이다. 가령, 용도상 발포 유리 패널과 경쟁 제품이라 할 수 있는 ALC(Autoclaved Lightweight Concrete) 패널의 경우는 비중 0.5에 강도 30㎏f/㎠ 또는 비중 0.6에 50㎏f/㎠ 수준의 제품 특성을 나타내며,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발포 유리 패널이 ALC 패널에 비해 훨씬 우수한 제품 특성을 가짐을 확인할 수 있다.
도 1에 도시된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 혼합 단계(S110)가 용융, 분쇄 또는 배합 등의 세부 공정에 의해 이루어지고, 성형 단계(S120)가 프레스 또는 압출 공정으로 구성되며, 열처리 단계(S130)가 800 내지 1000℃의 온도 조건에서 이루어지는 소결 및 발포 등의 공정을 포함할 수 있음은 당업자에 있어 자명할 것이다.
또한, 제조하고자 하는 제품의 특성 등에 따라 혼합 단계(S110) 이후 발포를 위한 열처리 단계(S130)의 수행이 이루어지는 등과 같이 공정 순서의 변경이나 일부 공정의 생략 등이 가능할 수 있음 역시 당연할 것이다.
아울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석탄폐석을 이용한 발포 유리 패널의 제조 방법은 다중 구조 패널에도 적용 가능할 수 있다.
다중 구조 패널이란, 가령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732625호(발명의 명칭 : 다층구조 세라믹패널 및 그 제조방법)를 참조하면, 고비중 발포층과 저비중 발포층을 각각 제조한 후 몰드(mold) 등에 차례로 적층하여 소정의 압력과 온도 조건 하에서 일정 시간 동안 프레스 가공한 다음, 건조, 서냉, 냉각, 절단 및 가공 등의 공정을 통해 구성되는 2층 이상의 다층 구조를 갖는 발포 유리 패널을 의미한다.
이러한 다중 구조 패널은 표면에 못 시공이 가능하고, 불연성, 단열성, 흡음성 및 차음성 등이 우수하다는 제품 특성상 점차 그 사용이 확대되어질 것으로 기대되고 있는데, 이와 같은 다중 구조 패널에 적용되는 각각의 발포층(고비중 발포층 및/또는 저비중 발포층)의 제조 과정에, 발포제의 적어도 일부가 석탄폐석에 의해 구성되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발포 유리 패널의 제조 방법이 적용될 수 있다. 각각의 발포층의 제조 공정에 대한 설명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은 발포 유리 패널의 제조 방법에 대한 설명을 참조하기로 한다.
이때, 다중 구조 패널의 각각의 발포층의 제조에 있어, 발포제와 혼합되는 유리 원료 역시, 적어도 일부 이상이 석탄폐석을 주원료로 하여 제조된 석탄폐석유리일 수 있음은 당연하다.
도 2는 도 1에 적용되는 유리 원료의 제조 공정을 설명하기 위한 일 예시도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석탄폐석을 이용한 발포 유리 패널의 제조 방법에 적용되는 유리 원료는, 석탄폐석, 소다회, 탄산칼슘, 황산마그네슘, 규사, 파유리를 포함하는 혼합물을 일정비로 배합하는 단계, 배합된 혼합물을 용융하는 단계, 용융된 혼합물을 성형하는 단계 및 성형된 혼합물을 서냉하는 단계 등을 통해 제조된 석탄폐석유리일 수 있다.
이와 같은 석탄폐석유리는, 상기 혼합물 중 석탄폐석, 소다회, 탄산칼슘, 황산마그네슘, 규사, 파유리가 각각 5~70중량퍼센트, 5~30중량퍼센트, 5~20중량퍼센트, 0~10중량퍼센트, 5~15중량퍼센트, 10~80중량퍼센트의 비율로 이뤄질 수 있으며, 이와 같이 배합된 혼합물을 알루미나 도가니에 넣어 1300~1700℃에서 0.5~5시간, 보다 바람직하게는, 1550℃에서 1시간 용융함으로써 제조 가능할 것이다. 하지만 본 발명이 반드시 이에 한정되지 아니함은 당연하다.
이때, 상기 석탄폐석유리는, 석탄폐석, 소다회, 탄산칼슘, 황산마그네슘, 규사, 컬러 파유리를 포함하는 혼합물을 배합하는 단계, 배합된 혼합물을 용융하는 단계, 용융된 혼합물을 성형하는 단계 및 성형된 혼합물을 서냉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석탄폐석과 파유리를 이용한 소다라임계 컬러 유리 제조방법에 의해 제조된 컬러 유리일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탄산칼슘은 황산칼슘, 산화칼슘, 수산화칼슘, 석회석 중 어느 하나로 이루어질 수 있고, 상기 황산마그네슘은 탄산마그네슘, 산화마그네슘, 수산화마그네슘, 백운석 중 어느 하나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컬러 파유리는 백색, 갈색, 녹색의 파유리 중 어느 하나 또는 둘 이상이 혼합된 것이 사용될 수 있다. 이러한 컬러 파유리는 제품 포장용 병유리 또는 건물이나 자동차용 창유리 등으로부터 얻어질 수 있다. 상기 용융은 1300~1700℃에서 0.5~5시간 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발포제로써 적용되는 석탄폐석으로 카본 함량이 상대적으로 많은 쉘 선탄경석이 적용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음에 대해서는 전술한 바 있지만, 상기와 같은 석탄폐석유리의 제조를 위해 사용되는 석탄 폐석으로는 상대적으로 카본 함량이 적은 일반 선탄경석의 사용이 보다 바람직할 수 있을 것이다. 하지만 이는 본 발명의 일 예시일 뿐이며, 본 발명에 따른 발포 유리 패널의 제조에 적용되는 발포제 및/또는 석탄폐석유리의 재료로 일반 선탄경석이나 쉘 선탄경석이 선택적으로 적용될 수 있음은 당연하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석탄폐석을 이용한 발포 유리 패널의 제조 방법에 의해 제조된 발포 유리 패널의 일 예를 나타낸 사진으로써, 발포제로 석탄폐석만을 이용한 제품을 나타내고 있다.
유리 원료로 석탄폐석유리를 사용하고 발포제로써 석탄폐석만을 사용한, 도 3과 같은 발포 유리 패널(실시예 5)이, 유리 원료로 일반 유리를 사용하고 탄산칼슘 등의 일반 발포제만을 사용한 발포 유리 패널(실시예 1)과 비교하여 구체적인 제품 특성 등에 있어 크게 다르지 아니함에 대해서는 앞서 표 1을 통해 확인한 바 있다.
또한, 이와 같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석탄폐석을 이용한 발포 유리 패널이 다수의 발포층 가운데 적어도 하나 이상의 발포층으로 적용된 다층 구조 패널의 구성에 대해서는 전술한 바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함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백할 것이다.

Claims (6)

  1. 유리 원료, 규조토 및 적어도 일부의 석탄폐석이 포함된 발포제의 혼합물을 형성하는 단계; 및
    상기 혼합물을 열처리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석탄폐석을 이용한 발포 유리 패널의 제조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발포제에 포함되는 석탄폐석은 전체 발포제의 50~100중량퍼센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석탄폐석을 이용한 발포 유리 패널의 제조 방법.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유리 원료는 석탄폐석을 주성분으로 하여 제조된 석탄폐석유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석탄폐석을 이용한 발포 유리 패널의 제조 방법.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석탄폐석유리는, 석탄폐석, 소다회, 탄산칼슘, 황산마그네슘, 규사, 파유리가 각각 5~70중량퍼센트, 5~30중량퍼센트, 5~20중량퍼센트, 0~10중량퍼센트, 5~15중량퍼센트, 10~80중량퍼센트의 비율로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석탄폐석을 이용한 발포 유리 패널의 제조 방법.
  5.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석탄폐석은 선탄폐석이고, 상기 선탄폐석은 일반 선탄경석 또는 쉘 선탄경석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석탄폐석을 이용한 발포 유리 패널의 제조 방법.
  6. 제 1 항 또는 제 2 항의 석탄폐석을 이용한 발포 유리 패널의 제조 방법에 의해 제조된 발포 유리 패널.
KR20100135908A 2010-12-27 2010-12-27 석탄폐석을 이용한 발포 유리 패널의 제조 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발포 유리 패널 KR10133218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00135908A KR101332183B1 (ko) 2010-12-27 2010-12-27 석탄폐석을 이용한 발포 유리 패널의 제조 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발포 유리 패널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00135908A KR101332183B1 (ko) 2010-12-27 2010-12-27 석탄폐석을 이용한 발포 유리 패널의 제조 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발포 유리 패널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73972A true KR20120073972A (ko) 2012-07-05
KR101332183B1 KR101332183B1 (ko) 2013-11-22

Family

ID=4670824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00135908A KR101332183B1 (ko) 2010-12-27 2010-12-27 석탄폐석을 이용한 발포 유리 패널의 제조 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발포 유리 패널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32183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3951261A (zh) * 2014-04-22 2014-07-30 武汉理工大学 一种以金铜尾矿为主原料的泡沫玻璃材料及其制备方法
CN109748566A (zh) * 2019-03-14 2019-05-14 攀钢冶金材料有限责任公司 一种隔墙板及其制备方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29824B1 (ko) * 2017-08-24 2018-02-19 (주)동양환경 석탄 경석을 원료로 하는 내화단열재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내화단열재 제조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262623B1 (ko) * 1998-03-18 2001-01-15 이한용 단열재용 발포유리 유리조성 및 그 제조방법
KR100459067B1 (ko) 2002-06-12 2004-12-03 한국지질자원연구원 석탄폐석의 산업원료화로의 재활용을 위한 처리방법
KR20100003920A (ko) * 2008-07-02 2010-01-12 주식회사 테크팩홈솔루션 고강도 발포유리 및 그 제조방법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3951261A (zh) * 2014-04-22 2014-07-30 武汉理工大学 一种以金铜尾矿为主原料的泡沫玻璃材料及其制备方法
CN103951261B (zh) * 2014-04-22 2016-02-03 武汉理工大学 一种以金铜尾矿为主原料的泡沫玻璃材料及其制备方法
CN109748566A (zh) * 2019-03-14 2019-05-14 攀钢冶金材料有限责任公司 一种隔墙板及其制备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332183B1 (ko) 2013-11-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3342578B (zh) 利用铁尾矿制备的多孔保温装饰材料及其制备方法
CN100551857C (zh) 利用铁矿石尾矿制备多孔玻璃复合材料的方法
CN104944862B (zh) 一种利用建筑固废物生产的节能墙材及其制作方法
CN101955370B (zh) 一种轻质保温陶瓷材料及制备方法
CN108585519A (zh) 一种利用赤泥制备泡沫微晶玻璃的方法
CN112552072A (zh) 一种建筑废弃物再生发泡陶瓷及其制备方法
CN101481250B (zh) 一种轻质镁橄榄石原料的制备方法
CN101659543B (zh) 含锆复合烧结超轻质无机材料及其制备方法
WO2019134332A1 (zh) 一种铁尾矿一步烧结制备保温装饰一体板的方法
CN104529518B (zh) 一种铅锌矿尾矿-赤泥-粉煤灰基泡沫陶瓷及其制备方法
CN111423245A (zh) 一种煤矸石-造纸污泥陶粒及其制备方法和应用、免烧透水砖及其制备方法
KR101081405B1 (ko) 세라믹 조성물과 이를 이용한 다공성 세라믹 단열재 및 그 제조방법
KR101332183B1 (ko) 석탄폐석을 이용한 발포 유리 패널의 제조 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발포 유리 패널
Monich et al. Case studies of up-cycling of partially crystallized ceramic waste in highly porous glass-ceramics
CN204418481U (zh) 一种利用尾砂生产的微晶发泡墙体砌块
CN106193346A (zh) 铁矿尾矿泡沫混凝土复合保温板及制造方法
KR101372517B1 (ko) 내화성 커튼월용 경량 무기발포 내화보드
CN107512922B (zh) 一种防破损的大面积建筑陶瓷薄板及制备方法
KR20060126292A (ko) 다층구조 세라믹패널 및 그 제조방법
KR100481043B1 (ko) 폐유리를 이용한 미립 경량골재 및 그 제조방법
CN116874235A (zh) 纤维型粘土增强固废基地聚物保温隔热材料的制备方法
CN113816724B (zh) 一种煤矸石砂岩海绵砖及其制备方法
CN108191231A (zh) 一种利用锂尾渣制备泡沫保温玻璃陶瓷材料的方法
CN100494106C (zh) 超轻低导保温材料及其生产方法
CN114262209A (zh) 一种轻质防静电陶瓷砖及其制备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927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026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219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306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