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072966A - 최대 전력 대 평균 전력의 비를 감소시키는 방법 및 장치 - Google Patents

최대 전력 대 평균 전력의 비를 감소시키는 방법 및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072966A
KR20120072966A KR1020100134921A KR20100134921A KR20120072966A KR 20120072966 A KR20120072966 A KR 20120072966A KR 1020100134921 A KR1020100134921 A KR 1020100134921A KR 20100134921 A KR20100134921 A KR 20100134921A KR 20120072966 A KR20120072966 A KR 2012007296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clipping
switching
signal
switching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13492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병무
이종식
이성춘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케이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케이티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케이티
Priority to KR1020100134921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20072966A/ko
Publication of KR2012007296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72966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27/00Modulated-carrier systems
    • H04L27/26Systems using multi-frequency codes
    • H04L27/2601Multicarrier modulation systems
    • H04L27/2614Peak power aspects
    • H04L27/2623Reduction thereof by clipp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27/00Modulated-carrier systems
    • H04L27/26Systems using multi-frequency codes
    • H04L27/2601Multicarrier modulation systems
    • H04L27/2614Peak power aspects
    • H04L27/2621Reduction thereof using phase offsets between subcarri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27/00Modulated-carrier systems
    • H04L27/26Systems using multi-frequency codes
    • H04L27/2601Multicarrier modulation systems
    • H04L27/2626Arrangements specific to the transmitter onl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ransmitt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왜곡 기법과 비왜곡 기법을 혼합하여 전력 효율을 향상시키고 비선형 왜곡을 방지하여 효율적으로 최대 전력 대 평균 전력의 비(PAPR)를 감소시키는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에 따른 OFDM(Orthogonal Frequency Division Multiplexing) 시스템에서 최대 전력 대 평균 전력 비를 감소시키는 무선 송신 장치는, 입력 신호를 서로 다른 위상을 갖는 복수의 신호로 변환하고 그 복수의 신호 중 최소의 최대 전력 대 평균 전력 비를 갖는 신호를 선택하는 선택 사상부; 상기 선택 사상부에서 선택된 신호에 위상 정보를 삽입하는 위상 정보 삽입부; 상기 입력 신호를 일정한 전력 레벨로 클리핑하는 클리핑부; 및 일단은 상기 입력 신호를 수신하고 타단은 상기 선택 사상부 또는 상기 클리핑부 중 어느 하나에 연결되어 상기 입력 신호를 전달하는 제 1 스위칭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최대 전력 대 평균 전력의 비를 감소시키는 방법 및 장치{METHOD AND APPARATUS FOR REDUCING PEAK TO AVERAGE POWER RATIO}
본 발명은 OFDM(Orthogonal Frequency Division Multiplexing) 기술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 ODFM 시스템에서 최대 전력 대 평균 전력의 비(PAPR:Peak to Average Power Ratio)를 감소시키는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OFDM(Orthogonal Frequency Division Multiplexing) 방식은 다중 경로 페이딩에 대한 강인함, 그리고 효율적인 스펙트럼 이용 등 뛰어난 특성으로 인해 많은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표준으로 채택되었다. 하지만 OFDM 방식의 가장 큰 단점 중 하나는 높은 최대 전력 대 평균 전력의 비(PAPR : Peak-to-Average Power Ratio)로 인한 전력 효율 감소, 비선형 왜곡 현상 발생 등이다. 그동안 많은 OFDM 방식의 최대 전력 대 평균 전력의 비(PAPR)를 줄이기 위한 기법들이 제안되었으나, 아직 특별히 선호되는 기법은 존재하지 않는다.
OFDM 방식의 최대 전력 대 평균 전력의 비(PAPR) 감소 기법은 여러 가지 관점에서 나눌 수 있는데, 크게 왜곡(distortion) 기법과 비왜곡(distortionless) 기법으로 나눌 수 있다.
왜곡 기법은 신호에 왜곡(distortion)을 가해서 최대 전력 대 평균 전력의 비(PAPR)을 낮추는 방법으로 일반적으로 저복잡도 방식인 반면에 신호의 왜곡을 감수해야 한다. 대표적인 왜곡 기법으로는 신호가 일정 레벨 이상이 되면 클리핑(clipping)하고 스펙트럼 누설(spectral leakage)을 필터링하는 CAF(Clipping And Filtering) 기법이 있고, 간단하기 때문에 가장 많이 주목받고 있는 방법이다.
반면, 비왜곡 기법은 신호의 왜곡없이 최대 전력 대 평균 전력의 비(PAPR)를 낮출 수는 있으나 복잡도나 데이터 레이트(data rate) 감소 등의 단점이 있을 수 있다. 비왜곡 기법에는 OFDM의 부 반송파(subcarrier)를 예약해서 최대 전력 대 평균 전력의 비를 낮추는 톤 예약(Tone reservation), 유사한 부류로 톤 주입(Tone injection), 능동 성상도 확장(Active Constellation Extension) 등이 있으나 최적화를 위한 복잡도 때문에 실제 사용되기는 쉽지 않다. 이에 반해 위상(phase)을 조정해서 최대 전력 대 평균 전력의 비를 낮추는 선택 사상 기법(SLM : Selected Mapping), 부분 전송열 기법(PTS : Partial Transmit Sequence) 등이 비교적 간단하기 때문에 주목받고 있다.
그러나, 상술한 왜곡 기법과 비왜곡 기법은 상당히 다른 기법이며 상황에 따라 어느 기법이 더 우수한지 우열을 가리기 어렵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점을 해결하기 위해 창안된 것으로서, 왜곡 기법과 비왜곡 기법을 혼합하여 전력 효율을 향상시키고 비선형 왜곡을 방지하여 효율적으로 최대 전력 대 평균 전력의 비(PAPR)를 감소시키는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 및 장점들은 하기의 설명에 의해서 이해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해 보다 분명하게 알게 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 및 장점들은 특허 청구 범위에 나타낸 수단 및 그 조합에 의해 실현될 수 있음을 쉽게 알 수 있을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제 1 측면에 따른 OFDM(Orthogonal Frequency Division Multiplexing) 시스템에서 최대 전력 대 평균 전력 비를 감소시키는 무선 송신 장치는, 입력 신호를 서로 다른 위상을 갖는 복수의 신호로 변환하고 그 복수의 신호 중 최소의 최대 전력 대 평균 전력 비를 갖는 신호를 선택하는 선택 사상부; 상기 선택 사상부에서 선택된 신호에 위상 정보를 삽입하는 위상 정보 삽입부; 상기 입력 신호를 일정한 전력 레벨로 클리핑하는 클리핑부; 및 일단은 상기 입력 신호를 수신하고 타단은 상기 선택 사상부 또는 상기 클리핑부 중 어느 하나에 연결되어 상기 입력 신호를 전달하는 제 1 스위칭부;를 포함한다.
상기 무선 송신 장치는 가드 인터벌 삽입부; 일단은 상기 선택 사상부에 연결되고 타단은 제 3 스위칭부 또는 상기 클리핑부 중 어느 하나에 연결되어 상기 선택 사상부로부터의 신호를 전달하는 제 2 스위칭부; 및 상기 제 3 스위칭부로서, 일단은 상기 제 2 스위칭부 및 상기 클리핑부에 연결되고 타단은 상기 위상 정보 삽입부 또는 상기 가드 인터벌 삽입부 중 어느 하나에 연결되어 상기 제 2 스위칭부 및 상기 클리핑부로부터의 신호를 전달하는 제 3 스위칭부;를 더 포함한다.
상기 무선 송신 장치에서 상기 제 1 스위칭부의 타단이 상기 클리핑부로 연결될 경우 상기 제 3 스위칭부의 타단은 상기 가드 인터벌 삽입부로 연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무선 송신 장치에서 상기 제 1 스위칭부의 타단이 상기 선택 사상부로 연결될 경우 상기 제 3 스위칭부의 타단은 상기 위상 정보 삽입부로 연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무선 송신 장치에서 상기 제 1 스위칭부, 상기 제 2 스위칭부 및 상기 제 3 스위칭부는, 신호 세기, 내부 잔류 전력 또는 스펙트럼 누설 중 어느 하나의 기준에 기초하여 연결이 제어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무선 송신 장치는 상기 선택 사상부에서 선택되어 출력된 신호 또는 상기 클리핑부에서 클리핑 처리되어 출력된 신호의 최대 전력 대 평균 전력 비가 기준치보다 큰 경우 그 출력된 신호를 상기 클리핑부로 전달하는 제 4 스위칭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른 OFDM(Orthogonal Frequency Division Multiplexing) 시스템에서 무선 송신 장치의 최대 전력 대 평균 전력 비를 감소시키는 방법은, 입력 신호의 출력 경로를 절환하는 제 1 스위칭 수단을 선택 사상 경로와 클리핑 경로 중 어느 하나로 설정하는 설정 단계; 상기 제 1 스위칭 수단을 선택 사상 경로로 설정한 경우, 상기 입력 신호를 서로 다른 위상을 갖는 복수의 신호로 변환하고 그 복수의 신호 중 최소의 최대 전력 대 평균 전력 비를 갖는 신호를 선택하는 선택 사상 단계; 및 상기 제 1 스위칭 수단을 클리핑 경로로 설정한 경우, 상기 입력 신호를 일정한 전력 레벨로 클리핑하는 클리핑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방법은 상기 제 1 스위칭 수단을 선택 사상 경로로 설정한 경우, 상기 선택 사상 단계에서 선택된 신호의 출력 경로를 절환하는 제 2 스위칭 수단을 클리핑 수행 경로와 클리핑 미수행 경로 중 어느 하나로 설정하는 제 2 설정 단계; 상기 제 2 스위칭 수단을 클리핑 수행 경로로 설정한 경우, 상기 선택 사상 단계에서 선택된 신호에 대해 클리핑 처리를 하고 위상 정보를 삽입하는 제 1 삽입 단계; 및 상기 제 2 스위칭 수단을 클리핑 미수행 경로로 설정한 경우, 상기 선택 사상 단계에서 선택된 신호에 대해 클리핑 처리를 하지 않고 위상 정보를 삽입하는 제 2 삽입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방법은 신호 세기, 내부 잔류 전력 또는 스펙트럼 누설 중 어느 하나의 기준에 기초하여 상기 제 1 스위칭 수단 및 상기 제 2 스위칭 수단의 경로 설정을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방법은 최종 출력 신호의 최대 전력 대 평균 전력 비가 기준치보다 큰 경우 해당 최종 출력 신호에 대해 클리핑이 반복 수행되도록 상기 최종 출력 신호의 경로를 절환하는 제 3 스위칭 수단을 클리핑 수행 경로로 설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두 개의 전혀 다른 최대 전력 대 평균 전력의 비 감소 기법을 적응형으로 사용함으로써 한 개의 최대 전력 대 평균 전력의 비 감소 기법을 사용하는 것에 대비하여 전력 효율을 증대시키고, 비선형 왜곡을 감소시키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최대 전력 대 평균 전력의 비(PAPR)를 감소시키는 무선 송신 장치의 블럭도이다.
도 2는 도 1의 SLM부의 구체적인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최대 전력 대 평균 전력의 비(PAPR)를 감소시키는 방법을 설명하는 흐름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최대 전력 대 평균 전력의 비(PAPR)를 감소시키는 무선 송신 장치의 블럭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최대 전력 대 평균 전력의 비(PAPR)를 감소시키는 방법을 설명하는 흐름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최대 전력 대 평균 전력의 비(PAPR)를 감소시키는 무선 송신 장치의 블럭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최대 전력 대 평균 전력의 비(PAPR)를 감소시키는 무선 송신 장치의 블럭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PAPR 성능 비교 그래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비트 오류율(BER) 성능 비교 그래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대역외 방사 특성을 나타낸 그래프이다.
상술한 목적, 특징 및 장점은 첨부된 도면과 관련한 다음의 상세한 설명을 통하여 보다 분명해 질 것이며, 그에 따라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본 발명과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일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최대 전력 대 평균 전력의 비(PAPR)를 감소시키는 무선 송신 장치의 블럭도이다.
도 1에 있어서, 스위칭부1(SW1)(110)에는 수신측에 송신될 변조 심볼이 입력된다. 바람직하게, 도 1에는 도시하지 않았지만, 수신측에 송신될 데이터는 부호화 수단에 의해 소정 부호율로 부호화되고, 그 부호화 수단에 의해 출력되는 부호화 비트들은 인터리빙 수단에 의해 인터리빙된 후 매핑 수단에 의해 소정의 변조 방식에 따라 대응하는 변조 심볼로 매핑되어 상기 스위칭부1(SW1)(110)에 출력된다. 상기 부호율의 예는 1/2 또는 3/4 등이 있으며, 부호화 방식으로 에러 정정 부호화인 터보 부호화 방식이 대표적으로 사용된다.
스위칭부1(SW1)(110)은 선택적으로 SLM(Selected Mapping)부(120) 또는 역 이산 푸리에 변환부(IDFT:Inverse Discrete Fourier Transform))(140)에 연결되어 상기 입력되는 변조 심볼을 상기 SLM부(120) 또는 IDFT부(140)로 전달한다. 바람직하게 스위칭부1(SW1)(110)는 제어부(180)의 제어에 따라 선택적으로 SLM부(120) 또는 IDFT부(140)로 연결된다.
제어부(180)는 통신 환경에 따라 또는 미리 결정된 우선 순위에 기초하여 우순 순위가 큰 방식에 따라 스위칭부1(SW1)(110)을 제어한다. 즉, 제어부(180)는 SLM 방식과 CAF 방식(이하에서는, CAF 방식을 클리핑 처리 방식이라 함) 중 우선 순위가 큰 방식에 따라 스위칭부1(SW1)(110)를 제어한다.
복잡도에 상관없이 고성능의 효율에 초점을 두는 경우 SLM 방식에 우선 순위가 설정되고, 제어부(180)는 스위칭부1(SW1)(110)을 SLM부(120)에 연결되도록 제어한다. 즉, SLM 처리가 수행되도록 한다. 반대로 성능보다는 복잡도가 낮도록 하는 경우 클리핑 처리 방식에 우선 순위가 설정되고, 제어부(180)는 스위칭부1(SW1)(110)를 IDFT부(140)에 연결되도록 제어한다. 즉, 클리핑 처리가 수행되도록 한다.
또는, 제어부(180)는, 신호 세기(SNR:Signal to Noise Ratio)를 측정하여 SNR이 기준 SNR 이상일 경우, 스위칭부1(SW1)(110)을 SLM부(120)에 연결되도록 제어한다. 반대로 SNR이 기준 SNR보다 작은 경우 제어부(180)는 스위칭부1(SW1)(110)을 IDFT부(140)에 연결되도록 제어한다.
또는, 내부 잔류 전력(Power)을 기준으로 잔류 전력이 기준치 이상일 경우, 제어부(180)는 스위칭부1(SW1)(110)을 SLM부(120)에 연결되도록 제어한다. 반대로 내부 잔류 전력이 기준치 미만일 경우 제어부(180)는 스위칭부1(SW1)(110)을 IDFT부(140)에 연결되도록 제어한다. 즉, 성능 저하를 어느 정도 감수하면서 전력을 오래 유지시키기 위해 클리핑 처리를 수행하는 것이다.
또한, 제어부(180)는, 스펙트럼 누설(Spectral leakage)을 측정하여 스펙트럼 누설(Spectral leakage)이 기준치보다 작을 때, 스위칭부1(SW1)(110)을 SLM부(120)에 연결되도록 제어한다. 반대로, 스펙트럼 누설이 기준치보다 클 경우, 제어부(180)는 스위칭부1(SW1)(110)을 IDFT부(140)에 연결되도록 제어한다.
SLM부(120)는, 선택 사상 수단으로서, 입력된 변조 심볼에 대해 각각 서로 다른 위상을 갖도록 상기 변조 심볼을 위상 변환하고 그 위상 변환된 각 변조 심볼들을 역 이산 푸리에 변환한 후 그 역 이산 푸리에 변환된 변조 심볼들 중에서 PAPR이 가장 작은 변조 심볼을 선택한다.
도 2는 도 1의 SLM부의 구체적인 구성을 나타낸 도면으로,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SLM부(120)는 다수의 위상 변환기(210), 다수의 IDFT부(230) 및 선택부(250)를 포함한다.
다수의 위상 변환기(210) 각각은 입력되는 변조 심볼들에 대해 크기는 서로 같고 위상은 서로 다른 위상 시퀀스(b1, b2,..., bv)를 곱하여 상기 변조 심볼들의 위상을 변환하여 출력한다.
다수의 IDFT(Inverse Discrete Fourier Transform)부(230)는 상기 다수의 위상 변환기(210)와 동일한 수가 구비되어 상기 다수의 위상 변환기(210) 각각으로부터 출력되는 위상 변환된 변조 심볼들을 역 이산 푸리에 변환하여 출력한다.
선택부(250)는 상기 다수의 IDFT부(230) 각각으로부터 출력되는 역 이산 푸리에 변환된 변조 심볼들에 대해 PAPR을 연산하고 최소 PAPR을 갖는 변조 심볼을 선택한다.
즉, 도 2에서 X는 QPSK/QAM 변조 신호이고, V 개의 서로 다른 위상 세트(Phase set)로 V 개의 다른 PAPR 특성을 갖는 OFDM 신호를 만들어 내고, 그 V 개의 서로 다른 OFDM 신호 중 가장 낮은 PAPR 특성을 보이는 신호를 선택하는 것이다. 이때 V가 클수록 PAPR 특성은 좋아진다.
다시 도 1을 참조하면, SI 삽입부(130)는, SLM부(120)에서 선택되어 출력되는 변조 심볼에 대해 부가 정보(SI:Supplement Information), 즉 상기 SLM부(120)에서 변환된 위상 정보를 삽입한다.
한편, 도 1의 IDFT부(140)는 스위치부1(SW1)(110)에서 전달된 변조 심볼에 대해 역 이산 푸리에 변환하여 출력한다.
클리핑부(150)는 상기 IDFT부(140)에서 출력되는 역 이산 푸리에 변환된 변조 심볼들에 대해 선형 영역을 벗어나는 부분을 잘라내는 클리핑 처리를 하여 출력한다.
GI 삽입부(160)는 상기 SI 삽입부(130) 또는 클리핑부(150)에서 출력되는 변조 심볼들에 대해 가드 인터벌(Guard Interval)을 삽입하여 출력한다.
필터링부(170)는 상기 GI 삽입부(160)에서 출력되는 변조 심볼들에 대해 필터링을 수행하여 대역외 스펙트럼 성분을 제거한다. 필터링된 변조 심볼은 증폭되어 무선망을 통해 수신 장치로 전송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최대 전력 대 평균 전력의 비(PAPR)를 감소시키는 방법을 설명하는 흐름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데이터를 송신하는 무선 송신 장치의 제어부(180)는 먼저 PAPR 감소 방법을 확인한다(S301).
PAPR 감소 방법으로서, 미리 SLM 방식 또는 클리핑 방식 중 어느 하나로 설정되어 있을 수 있고, 또는 통신 환경에 따른 기준이 설정되어 있을 수 있다. 통신 환경에 따른 기준은 SNR, 잔류 전력, 스펙트럼 누설 등으로서 각각에 대한 기준치와 이에 따른 적용 방법이다. 예컨대, SNR이 기준치 이상인 경우 SLM 방식을 적용하는 것으로, 또는 잔류 전력이 기준치 이상 남아있을 때 SLM 방식을 적용하는 것으로 설정되어 있을 수 있다. 무선 송신 장치는 SNR 또는 현재 잔류 전력을 측정하여 PAPR 감소 방법을 선택한다.
이와 같이 PAPR 감소 방법을 확인한 후, 무선 송신 장치의 제어부(180)는 그 확인된 방법에 따라 스위칭 수단을 제어한다(S303). 구체적으로 무선 송신 장치의 제어부(180)는 클리핑 방식을 적용할 경우 스위칭부1(SW1)(110)을 IDFT부(140)에 연결하고 SLM 방식을 적용할 경우 스위칭부1(SW1)(110)을 SLM부(120)에 연결한다.
만약 PAPR 감소 방법으로 SLM 방식이 선택되는 경우, 무선 송신 장치의 SLM부(120)는 입력되는 변조 심볼에 대해 선택 사상 처리를 수행한다(S305, S307). 구체적으로, SLM부(120)는 입력된 변조 심볼에 대해 각각 서로 다른 위상을 갖도록 상기 변조 심볼을 위상 변환하고, 그 위상 변환된 각 변조 심볼들을 역 이산 푸리에 변환한 후 그 역 이산 푸리에 변환된 변조 심볼들 중에서 PAPR이 가장 작은 변조 심볼을 선택한다.
SLM 처리가 수행되면, 무선 송신 장치의 SI 삽입부(130)는 선택 사상 처리되어 출력되는 변조 심볼에 대해 부가 정보(SI:Supplement Information), 즉 상기 ㅅ선택 사상 처리 과정에서 변환된 위상 정보를 삽입한다(S309).
만약 PAPR 감소 방법으로 클리핑 방식이 선택되는 경우, 무선 송신 장치의 IDFT부(140)는 입력되는 변조 심볼에 대해 역 이산 푸리에 변환하고(S305, S311), 클리핑부(150)는 상기 IDFT부(140)에서 출력되는 역 이산 푸리에 변환된 변조 심볼에 대해 선형 영역을 벗어나는 부분을 잘라내는 클리핑 처리를 한다(S313).
이와 같이 SLM 처리되거나 클리핑 처리된 변조 심볼에 대해 무선 송신 장치의 GI 삽입부(160)는 변조 심볼에 대해 가드 인터벌(Guard Interval)을 삽입하고(S315), 필터링부(170)는 상기 GI 삽입부(160)에서 출력되는 변조 심볼에 대해 필터링을 수행하여 대역외 스펙트럼 성분을 제거한다(S317). 필터링된 변조 심볼은 무선망을 통해 수신 장치로 전송된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최대 전력 대 평균 전력의 비(PAPR)를 감소시키는 무선 송신 장치의 블럭도로서, 도 4에 있어서 도 1과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한 구성요소로서 동일한 동작을 수행하므로 여기서는 설명을 생략한다.
도 1을 참조한 실시예와 달리 도 4를 참조한 실시예에서 무선 송신 장치는 스위칭부1(SW1)(110) 이외 스위칭부2(SW2)(410)와 스위칭부3(SW3)(420)을 더 포함한다.
스위칭부2(SW2)(410)는 제어부(430)의 제어에 따라 선택적으로 클리핑부(150) 또는 스위칭부3(SW3)(420)에 연결되어 SLM부(120)에서 출력되는 신호를 클리핑부(150) 또는 스위칭부3(SW3)(420)로 전달한다.
스위칭부3(SW3)(420)은 제어부(430)의 제어에 따라 선택적으로 SI 삽입부(130) 또는 GI 삽입부(160)에 연결되어 SLM부(120) 또는 클리핑부(150)에서 출력되는 신호를 SI 삽입부(130)를 경유하도록 하거나 SI 삽입부(130)를 경유하지 않고 바로 GI 삽입부(160)로 전달한다.
도 4를 참조하면 제어부(430)는 스위칭부1(SW1)(110)과 스위칭부3(SW3)(420)을 동일한 방향으로 동작하도록 제어한다. 제어부(430)가 스위칭부1(SW1)(110)을 제어하는 예는 도 1을 참조하여 상술하였으므로 여기서는 설명을 생략한다.
제어부(430)는 스위칭부1(SW1)(110)을 아래쪽으로 연결되도록 제어할 때(IDFT부(140)로 연결) 동시에 스위칭부3(SW3)(420)도 아래쪽으로 연결되도록 제어하고(SI 삽입부(130)를 연결하지 않고 GI 삽입부(160)로 연결), 반대로 스위칭부1(SW1)(110)을 위쪽으로 연결되도록 제어할 때(SLM부(120)로 연결) 동시에 스위칭부3(SW3)(420)도 위쪽으로 연결되도록 제어한다(SI 삽입부(130)로 연결).
도 4를 참조한 무선 송신 장치는 도 1을 참조하여 설명한 PAPR 감소 적용 기준을 더욱 세분화하여 적용할 수 있다. 다시 말하면, 도 4를 참조한 무선 송신 장치는 SLM 처리를 수행하면서 동시에 클리핑 처리를 수행할 수 있다.
제어부(430)는 통신 환경에 따라 또는 미리 결정된 우선 순위에 기초하여 SLM 방식, 클리핑 방식, SLM + 클리핑 방식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고 이에 기초하여 스위칭 수단(110, 410, 420)을 제어한다.
제어부(430)가 SLM 방식 또는 클리핑 방식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할 때 스위칭부1(SW1)(110)과 스위칭부2(SW2)(410) 그리고 스위칭부3(SW3)(420)을 제어하는 방법은 다음과 같다.
구체적으로 제어부(430)는 클리핑 방식만을 적용할 경우 스위칭부1(SW1)(110)을 아래쪽으로 연결되도록 제어하고(IDFT부(140)로 연결) 동시에 스위칭부3(SW3)(420)도 아래쪽으로 연결되도록 제어하며(SI 삽입부(130)를 연결하지 않고 GI 삽입부(160)로 연결), SLM 방식만을 적용할 경우 스위칭부1(SW1)(110)을 위쪽으로 연결되도록 제어하고(SLM부(120)로 연결) 동시에 스위칭부3(SW3)(420)도 위쪽으로 연결되도록 제어하며(SI 삽입부(130)로 연결) 스위칭부2(SW2(410)는 스위칭부3(SW3)(420)으로 연결되도록 제어한다.
제어부(430)는 SLM + 클리핑 방식을 선택할 경우, 스위칭부1(SW1)(110)을 SLM부(120)로 연결하고 스위칭부2(SW2)(410)는 클리핑부(150)로 연결하며 스위칭부3(SW3)(420)은 SI 삽입부(130)로 연결한다.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스위칭부1(SW1)(110)과 스위칭부3(SW3)(420)은 동일한 방향으로 제어된다. 따라서, SLM부(120)는 선택 사상(SLM)에 의해 선택한 변조 심볼을 클리핑부(150)로 출력하고, 클리핑부(150)는 SLM부(120)로부터 출력된 변조 심볼에 대해 선형 영역을 벗어나는 부분을 잘라내는 클리핑 처리를 하여 출력한다. 클리핑부(150)에서 출력된 변조 심볼은 스위칭부3(SW3)(420)을 경유하여 SI 삽입부(130)로 전달된다.
제어부(430)가 SLM + 클리핑 방식을 선택하는 기준은 도 1을 참조하여 설명한 SLM 처리 기준을 세분화함으로써 달성될 수 있다. 예컨대, 신호 세기(SNR)의 기준치를 복수 개로 구분(제 1 기준치 > 제 2 기준치)하여 신호 세기(SNR)가 제 1 기준치보다 큰 경우 제어부(430)는 SLM + 클리핑 방식으로 선택하고, 또는 신호 세기가 제 1 기준치보다 작고 제 2 기준치보다 큰 경우 제어부(430)는 SLM 방식으로 선택할 수 있다. 이외 잔류 전력 기준이나 스펙트럼 누설의 경우에도 마찬가지로 적용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최대 전력 대 평균 전력의 비(PAPR)를 감소시키는 방법을 설명하는 흐름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데이터를 송신하는 무선 송신 장치의 제어부(180)는 먼저 PAPR 감소 방법을 확인한다(S501). PAPR 감소 방법으로서 미리 SLM 방식 또는 클리핑 방식 또는 SLM + 클리핑 방식 중 어느 하나로 설정되어 있을 수 있고, 또는 통신 환경에 따른 기준이 설정되어 있을 수 있다. 통신 환경에 따른 기준은 SNR, 잔류 전력, 스펙트럼 누설 등으로서 각각에 대한 기준치와 이에 따른 적용 방법이다. 예컨대, SNR이 제 1 기준치 이상인 경우 SLM 방식 + 클리핑 방식을 적용하고 SNR이 제 1 기준치보다 작고 제 2 기준치보다 큰 경우 SLM 방식을 적용하며 SNR이 제 2 기준치보다 작은 경우 클리핑 방식만을 적용하는 것으로 설정되어 있을 수 있다.
이와 같이 PAPR 감소 방법을 확인한 후, 무선 송신 장치의 제어부(180)는 그 확인된 방법에 따라 스위칭 수단을 제어한다(S503). 구체적으로, 무선 송신 장치의 제어부(180)는 클리핑 방식을 적용할 경우, 스위칭부1(SW1)(110)을 IDFT부(140)에 연결하고 스위칭부3(SW3)(420)은 GI 삽입부(160)로 연결한다. 스위칭부2(SW2)(410)는 특별히 제어를 하지 않아도 된다.
또는, 무선 송신 장치의 제어부(180)는 SLM 방식을 적용할 경우 스위칭부1(SW1)(110)을 SLM부(120)에 연결하고 스위칭부2(SW2)(410)는 스위칭부3(SW3)(420)으로 연결하며 스위칭부3(SW3)(420)은 SI 삽입부(130)로 연결한다.
또는, 무선 송신 장치의 제어부(180)는 SLM + 클리핑 방식을 적용할 경우 스위칭부1(SW1)(110)을 SLM부(120)에 연결하고 스위칭부2(SW2)(410)는 클리핑부(150)에 연결하며 스위칭부3(SW3)(420)은 SI 삽입부(130)로 연결한다.
만약, PAPR 감소 방법으로 SLM 방식이 적용되는 경우, 무선 송신 장치의 SLM부(120)는 입력되는 변조 심볼에 대해 선택 사상 처리를 수행한다(S505, S507). 구체적으로, SLM부(120)는 입력된 변조 심볼에 대해 각각 서로 다른 위상을 갖도록 상기 변조 심볼을 위상 변환하고, 그 위상 변환된 각 변조 심볼들을 역 이산 푸리에 변환한 후 그 역 이산 푸리에 변환된 변조 심볼들 중에서 PAPR이 가장 작은 변조 심볼을 선택한다. 선택 사상 처리가 수행되면, 무선 송신 장치의 SI 삽입부(130)는 선택 사상 처리되어 출력되는 변조 심볼에 대해 부가 정보(SI:Supplement Information), 즉 상기 선택 사상 처리 과정에서 변환된 위상 정보를 삽입한다(S509).
만약 PAPR 감소 방법으로 클리핑 방식이 적용되는 경우, 무선 송신 장치의 IDFT부(140)는 입력되는 변조 심볼에 대해 역 이산 푸리에 변환하고(S505, S511), 클리핑부(150)는 상기 IDFT부(140)에서 출력되는 역 이산 푸리에 변환된 변조 심볼에 대해 선형 영역을 벗어나는 부분을 잘라내는 클리핑 처리를 한다(S513).
한편, PAPR 감소 방법으로 SLM + 클리핑 방식이 적용되는 경우, 무선 송신 장치의 SLM부(120)는 입력되는 변조 심볼에 대해 선택 사상 처리를 수행한다(S505, S515). 구체적으로, SLM부(120)는 입력된 변조 심볼에 대해 각각 서로 다른 위상을 갖도록 상기 변조 심볼을 위상 변환하고, 그 위상 변환된 각 변조 심볼들을 역 이산 푸리에 변환한 후 그 역 이산 푸리에 변환된 변조 심볼들 중에서 PAPR이 가장 작은 변조 심볼을 선택한다. 이어서 클리핑부(150)는 상기 선택된 변조 심볼에 대해 선형 영역을 벗어나는 부분을 잘라내는 클리핑 처리를 한다(S517). 그리고 무선 송신 장치의 SI 삽입부(130)는 클리핑 처리된 변조 심볼에 대해 부가 정보(SI:Supplement Information), 즉 선택 사상 처리 과정에서 변환된 위상 정보를 삽입한다(S519).
이와 같이 SLM 처리되거나 클리핑 처리된 변조 심볼에 대해 무선 송신 장치의 GI 삽입부(160)는 변조 심볼에 대해 가드 인터벌(Guard Interval)을 삽입하고(S521), 필터링부(170)는 상기 GI 삽입부(160)에서 출력되는 변조 심볼에 대해 필터링을 수행하여 대역외 스펙트럼 성분을 제거한다(S523). 필터링된 변조 심볼은 무선망을 통해 수신 장치로 전송된다.
도 6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최대 전력 대 평균 전력의 비(PAPR)를 감소시키는 무선 송신 장치의 블럭도로서, 도 6에 있어서 도 1과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한 구성요소로서 동일한 동작을 수행하므로 여기서는 설명을 생략한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무선 송신 장치는 도 1을 참조하여 설명한 무선 송신 장치와 달리 스위칭부4(SW4)(610) 및 스위칭부5(SW5)(620)를 더 포함한다.
제어부(180)는 SLM 처리는 수행하지 않고 클리핑 처리만을 수행할 때, 즉 스위칭부1(SW1)(110)을 IDFT(140)로 연결할 경우, 필터링부(170)에서 출력되는 신호의 PAPR 성능을 확인하여, PAPR이 지정된 기준 값보다 큰 경우 반복적인 클리핑 처리가 이루어지도록 스위칭부4(SW4)(610) 및 스위칭부5(SW5)(620)를 클리핑부(150)에 연결하고, PAPR이 지정된 기준 값보다 작아지면 스위칭부4(SW4)(610) 및 스위칭부5(SW5)(620)의 클리핑부(150) 연결을 해제한다.
도 6을 참조한 실시예에 따르면 클리핑 처리를 수행함에 있어서 PAPR 성능이 만족한 수준에 도달하지 않았을 경우 반복적으로 클리핑 처리를 수행하도록 하여 PAPR 성능을 원하는 수준까지 개선할 수 있게 된다.
도 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최대 전력 대 평균 전력의 비(PAPR)를 감소시키는 무선 송신 장치의 블럭도로서, 도 7에 있어서 도 4과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한 구성요소로서 동일한 동작을 수행하므로 여기서는 설명을 생략한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무선 송신 장치는 도 4를 참조하여 설명한 무선 송신 장치와 달리 스위칭부4(SW4)(710) 및 스위칭부5(SW5)(720)를 더 포함한다.
제어부(430)는 클리핑 방식 또는 SLM + 클리핑 방식을 수행할 때, 즉 스위칭부1(SW1)(110)을 IDFT(140)로 연결하거나, 스위칭부1(SW1)(110)을 SLM부(120)로 연결하면서 스위칭부2(SW2)(410)를 클리핑부(150)로 연결할 경우, 필터링부(170)에서 출력되는 신호의 PAPR 성능을 확인하여, PAPR이 지정된 기준 값보다 큰 경우 반복적인 클리핑 처리가 이루어지도록 스위칭부4(SW4)(610) 및 스위칭부5(SW5)(620)를 클리핑부(150)에 연결하고, PAPR이 지정된 기준 값보다 작아지면 스위칭부4(SW4)(610) 및 스위칭부5(SW5)(620)의 클리핑부(150) 연결을 해제한다.
또한, 제어부(430)는 SLM 방식만을 수행할 때에도, 필터링부(170)에서 출력되는 신호의 PAPR 성능을 확인하여 PAPR이 지정된 기준 값보다 큰 경우 클리핑 처리가 이루어지도록 스위칭부4(SW4)(610) 및 스위칭부5(SW5)(620)를 클리핑부(150)에 연결하고, PAPR이 지정된 기준 값보다 작아지면 스위칭부4(SW4)(610) 및 스위칭부5(SW5)(620)의 클리핑부(150) 연결을 해제할 수도 있다.
도 7을 참조한 실시예에 따르면 클리핑 처리를 수행함에 있어서 또는 SLM 처리를 수행함에 있어서 PAPR 성능이 만족한 수준에 도달하지 않았을 경우 반복적으로 클리핑 처리를 수행하도록 하여 PAPR 성능을 원하는 수준까지 개선할 수 있게 된다.
이하에서는 무선 송신 장치가 클리핑 처리만 수행하였을 때와 SLM + 클리핑 처리를 수행하였을 때의 PAPR 성능을 비교한 실험예를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PAPR 성능 비교 그래프로서, 도 8에서 가로축(PAPR0 dB)은 PAPR을 의미하고, 세로축(Pr(PAPR > PAPR0)은 상기 가로축의 PAPR보다 큰 PAPR이 나올 확률을 의미한다.
또한, 도 8에 있어서 V는 SLM 처리시의 위상 변환 세트의 수로서, V=1은 SLM 처리를 수행하지 않은 것을 의미하며, CR(Clipping Ratio)은 클리핑 비율로서 다음 수학식 1과 같다. CR이 낮을수록 클리핑을 더 많이 하는 것을 의미한다.
Figure pat00001
Figure pat00002
는 최대 허용 크기(Maximum allowable amplitude)이고
Figure pat00003
는 클리핑 전 평균 입력 크기이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SLM 처리를 하지 않으면서 클리핑 비율을 높일 경우(V=1, CR=7 -> V=1, CR=2) PAPR 성능이 좋아진다. 또한 SML 처리를 수행하면서 클리핑 비율을 높일 경우(V=8, CR=7 -> V=8, CR=2) PAPR 성능이 좋아진다. 또한 클리핑 비율을 일정한 수준을 유지하고 SLM 처리를 수행할 경우(V=1, CR=7 -> V=8, CR=7) 역시 PAPR 성능이 좋아진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비트 오류율(BER) 성능 비교 그래프로서, 64 개의 부 반송파(Subcarrier)와 16 QAM 신호를 이용하여 시뮬레이션한 결과이다. 도 9에서 가로축은 신호 대 잡음비(Eb/No(dB))이고 세로축은 비트 오류율(BER)을 나타낸다.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클리핑 처리만 수행할 때(V=1, CR=2dB)보다 SLM 처리와 클리핑 처리를 모두 수행할 때(V=8, CR=2dB) 비트 오류율 특성이 개선된다. 특히 신호 대 잡음비가 클 경우 비트 오류율 특성은 차이가 많이 난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대역외 방사 특성을 나타낸 그래프로서, 대역외 방사 특성(Out-of-band radiation) 그래프는 허용 주파수 대역 밖의 다른 대역인 불요 대역이 생성되어 여기서 발생하는 전력 밀도를 수치화하여 표현한 것이다. 본 실시예에서 입력 백오프(back off)는 6dB이고, CR=2dB, SLM의 V=1, 4를 사용하였다. 도 10에서 가로축은 정규화한 주파수(Normalized Frequency)이고 세로축은 정규화한 전력 스펙트럼 밀도(PSD:Power Spectral Density)로서,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SLM 처리를 하지 않고 클리핑 처리만 할 경우(V=1) 허용 주파수 대역 밖으로 불요 대역이 생성되나, SLM 처리와 클리핑 처리를 동시에 수행할 경우(V=4) 허용 주파수 대역 밖으로 불요 대역이 생성되기는 하나 그 전력은 매우 작다. 따라서 스펙트럼 누설도 줄어들고 결국은 필터링 이후의 피크 재생성(peak regrowth) 효과를 줄여주어 인접 채널에 영향을 감소시킨다.
이상에서 설명한 무선 송신 장치는 기지국 또는 통신 단말 중 어느 하나에 설치되어 동작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방법은 프로그램으로 구현되어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형태로 기록매체(씨디롬, 램, 롬, 플로피 디스크, 하드 디스크, 광자기 디스크 등)에 저장될 수 있다.
본 명세서는 많은 특징을 포함하는 반면, 그러한 특징은 본 발명의 범위 또는 특허청구범위를 제한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된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개별적인 실시예에서 설명된 특징들은 단일 실시예에서 결합되어 구현될 수 있다. 반대로, 본 명세서에서 단일 실시예에서 설명된 다양한 특징들은 개별적으로 다양한 실시예에서 구현되거나, 적절한 부결합(subcombination)에서 구현될 수 있다.
도면에서 동작들이 특정한 순서로 설명되었으나, 그러한 동작들이 도시된 바와 같은 특정한 순서로 수행되는 것으로, 또는 일련의 연속된 순서, 또는 원하는 결과를 얻기 위해 모든 설명된 동작이 수행되는 것으로 이해되어서는 아니된다. 어떤 환경에서, 멀티태스킹 및 병렬 프로세싱이 유리할 수 있다. 아울러, 상술한 실시예에서 다양한 시스템 구성요소의 구분은 모든 실시예에서 그러한 구분을 요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상술한 프로그램 구성요소 및 시스템은 일반적으로 단일 소프트웨어 제품 또는 멀티플 소프트웨어 제품에 패키지로 구현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므로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110, 410, 420, 610, 620 : 스위칭부
120 : SLM부 140 : IDFT부
150 : 클리핑부 160 : GI 삽입부
170 : 필터링부

Claims (10)

  1. OFDM(Orthogonal Frequency Division Multiplexing) 시스템에서 최대 전력 대 평균 전력 비를 감소시키는 무선 송신 장치에 있어서,
    입력 신호를 서로 다른 위상을 갖는 복수의 신호로 변환하고 그 복수의 신호 중 최소의 최대 전력 대 평균 전력 비를 갖는 신호를 선택하는 선택 사상부;
    상기 선택 사상부에서 선택된 신호에 위상 정보를 삽입하는 위상 정보 삽입부;
    상기 입력 신호를 일정한 전력 레벨로 클리핑하는 클리핑부; 및
    일단은 상기 입력 신호를 수신하고 타단은 상기 선택 사상부 또는 상기 클리핑부 중 어느 하나에 연결되어 상기 입력 신호를 전달하는 제 1 스위칭부;를 포함하는 무선 송신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가드 인터벌 삽입부;
    일단은 상기 선택 사상부에 연결되고 타단은 제 3 스위칭부 또는 상기 클리핑부 중 어느 하나에 연결되어 상기 선택 사상부로부터의 신호를 전달하는 제 2 스위칭부; 및
    상기 제 3 스위칭부로서, 일단은 상기 제 2 스위칭부 및 상기 클리핑부에 연결되고 타단은 상기 위상 정보 삽입부 또는 상기 가드 인터벌 삽입부 중 어느 하나에 연결되어 상기 제 2 스위칭부 및 상기 클리핑부로부터의 신호를 전달하는 제 3 스위칭부;를 더 포함하는 무선 송신 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스위칭부의 타단이 상기 클리핑부로 연결될 경우 상기 제 3 스위칭부의 타단은 상기 가드 인터벌 삽입부로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송신 장치.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스위칭부의 타단이 상기 선택 사상부로 연결될 경우 상기 제 3 스위칭부의 타단은 상기 위상 정보 삽입부로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송신 장치.
  5. 제 2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스위칭부, 상기 제 2 스위칭부 및 상기 제 3 스위칭부는,
    신호 세기, 내부 잔류 전력 또는 스펙트럼 누설 중 어느 하나의 기준에 기초하여 연결이 제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송신 장치.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선택 사상부에서 선택되어 출력된 신호 또는 상기 클리핑부에서 클리핑 처리되어 출력된 신호의 최대 전력 대 평균 전력 비가 기준치보다 큰 경우 그 출력된 신호를 상기 클리핑부로 전달하는 제 4 스위칭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송신 장치.
  7. OFDM(Orthogonal Frequency Division Multiplexing) 시스템에서 무선 송신 장치의 최대 전력 대 평균 전력 비를 감소시키는 방법에 있어서,
    입력 신호의 출력 경로를 절환하는 제 1 스위칭 수단을 선택 사상 경로와 클리핑 경로 중 어느 하나로 설정하는 설정 단계;
    상기 제 1 스위칭 수단을 선택 사상 경로로 설정한 경우, 상기 입력 신호를 서로 다른 위상을 갖는 복수의 신호로 변환하고 그 복수의 신호 중 최소의 최대 전력 대 평균 전력 비를 갖는 신호를 선택하는 선택 사상 단계; 및
    상기 제 1 스위칭 수단을 클리핑 경로로 설정한 경우, 상기 입력 신호를 일정한 전력 레벨로 클리핑하는 클리핑 단계;를 포함하는 최대 전력 대 평균 전력 비 감소 방법.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스위칭 수단을 선택 사상 경로로 설정한 경우, 상기 선택 사상 단계에서 선택된 신호의 출력 경로를 절환하는 제 2 스위칭 수단을 클리핑 수행 경로와 클리핑 미수행 경로 중 어느 하나로 설정하는 제 2 설정 단계;
    상기 제 2 스위칭 수단을 클리핑 수행 경로로 설정한 경우, 상기 선택 사상 단계에서 선택된 신호에 대해 클리핑 처리를 하고 위상 정보를 삽입하는 제 1 삽입 단계; 및
    상기 제 2 스위칭 수단을 클리핑 미수행 경로로 설정한 경우, 상기 선택 사상 단계에서 선택된 신호에 대해 클리핑 처리를 하지 않고 위상 정보를 삽입하는 제 2 삽입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최대 전력 대 평균 전력 비 감소 방법.
  9. 제 8 항에 있어서,
    신호 세기, 내부 잔류 전력 또는 스펙트럼 누설 중 어느 하나의 기준에 기초하여 상기 제 1 스위칭 수단 및 상기 제 2 스위칭 수단의 경로 설정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최대 전력 대 평균 전력 비 감소 방법.
  10. 제 7 항 내지 제 9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최종 출력 신호의 최대 전력 대 평균 전력 비가 기준치보다 큰 경우 해당 최종 출력 신호에 대해 클리핑이 반복 수행되도록 상기 최종 출력 신호의 경로를 절환하는 제 3 스위칭 수단을 클리핑 수행 경로로 설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최대 전력 대 평균 전력 비 감소 방법.
KR1020100134921A 2010-12-24 2010-12-24 최대 전력 대 평균 전력의 비를 감소시키는 방법 및 장치 KR20120072966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34921A KR20120072966A (ko) 2010-12-24 2010-12-24 최대 전력 대 평균 전력의 비를 감소시키는 방법 및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34921A KR20120072966A (ko) 2010-12-24 2010-12-24 최대 전력 대 평균 전력의 비를 감소시키는 방법 및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72966A true KR20120072966A (ko) 2012-07-04

Family

ID=4670754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134921A KR20120072966A (ko) 2010-12-24 2010-12-24 최대 전력 대 평균 전력의 비를 감소시키는 방법 및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20072966A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30881B1 (ko) * 2013-11-21 2015-06-24 주식회사 쏠리드 최대 전력 대 평균 전력비를 감소시키기 위한 시스템 및 그 방법
US9381033B2 (en) 2012-04-30 2016-07-05 Joseph Guo Method and apparatus for thread transection of a ligament
US10022141B2 (en) 2012-04-30 2018-07-17 Joseph Guo Method and apparatus for thread transection of a ligament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381033B2 (en) 2012-04-30 2016-07-05 Joseph Guo Method and apparatus for thread transection of a ligament
US10022141B2 (en) 2012-04-30 2018-07-17 Joseph Guo Method and apparatus for thread transection of a ligament
KR101530881B1 (ko) * 2013-11-21 2015-06-24 주식회사 쏠리드 최대 전력 대 평균 전력비를 감소시키기 위한 시스템 및 그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33115B1 (ko) 직교 주파수 분할 다중 통신 시스템에서 피크 전력 대 평균 전력비의 감소를 위한 장치 및 방법
KR100552680B1 (ko) 다중 안테나 ofdm 통신 시스템에서의 papr 저감방법 및 이를 사용하는 다중 안테나 ofdm 통신 시스템
CN107302512B (zh) 用于控制组合无线信号的系统和方法
JP5160456B2 (ja) 電力及び帯域幅の要件を満たすために変調及びフィルタロール−オフを選択するための装置及び方法
US20150304153A1 (en) Wireless communications device providing peak-to-average power ratio (papr) reduction based upon walsh transformation matrix permutations and related methods
JP2010508791A (ja) 無線通信におけるマルチキャリア及びシングルキャリア多重化方式の併用
KR20070077622A (ko) 톤 예약 방식을 적용한 직교 주파수 분할 다중화 송신 장치및 방법
US20080285673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reducing peak to average power ratio based on tile structure in broadband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KR20050040055A (ko) 직교 주파수 분할 다중 통신 시스템에서 톤 위치를결정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
EP2247010A1 (en) Transmission device and method in mobile communication system
CN107508779B (zh) 下行多用户可见光通信系统发端信号产生方法及接收方法
US7916694B2 (en) Method and system reducing peak to average power ratio (PAPR) in a communication network
KR20120072966A (ko) 최대 전력 대 평균 전력의 비를 감소시키는 방법 및 장치
US9008223B1 (en) Transmitter and method for reducing the peak-to-average power ratio of a digitally modulated communication signal
KR101519660B1 (ko) 최고 대 평균 전력 비율 감소 송신 장치 및 그 동작 방법
KR20090051254A (ko) 원격통신 시스템들에서 피크-대-평균 파워비 감소를 위한 방법
KR100666689B1 (ko) 위상 회전과 선택적 매핑 방식을 이용한 실시간 피크대평균전력 감소 방법 및 이를 이용하는 데이터 송신 시스템
Lei et al. A minimum clipping power loss scheme for mitigating the clipping noise in OFDM
Tabassum et al. A novel adaptive mode PAPR reduction scheme for NC-OFDM based cognitive radios
Mohammad et al. A combined PTS-SLM scheme for PAPR reduction in multicarrier systems
Bouquet et al. An innovative and low complexity PAPR reduction technique for multicarrier systems
JP2005027177A (ja) 無線送信機
JP5320026B2 (ja) 送信装置および信号送信方法
EP3089416A1 (en) Wireless communications device providing peak-to-average power ratio (papr) reduction based upon walsh transformation matrix permutations and related methods
WO2004109953A1 (en) A method and apparatus for a multicarrier 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syste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