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072720A - 공기청정기 - Google Patents

공기청정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072720A
KR20120072720A KR1020100134599A KR20100134599A KR20120072720A KR 20120072720 A KR20120072720 A KR 20120072720A KR 1020100134599 A KR1020100134599 A KR 1020100134599A KR 20100134599 A KR20100134599 A KR 20100134599A KR 20120072720 A KR20120072720 A KR 2012007272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ir
louver
blowing
discharge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13459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남유영
박찬정
Original Assignee
웅진코웨이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웅진코웨이주식회사 filed Critical 웅진코웨이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0013459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20072720A/ko
Publication of KR2012007272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72720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46/00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 B01D46/0039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with flow guiding by feed or discharge devices
    • B01D46/0047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with flow guiding by feed or discharge devices for discharging the filtered ga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46/00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 B01D46/0002Casings; Housings; Frame construc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46/00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 B01D46/42Auxiliary equipment or operation thereof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8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 F24F13/10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movable, e.g. dampers
    • F24F13/14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movable, e.g. dampers built up of tilting members, e.g. louvr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8/00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 F24F8/10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by separation, e.g. by filtering
    • F24F8/108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by separation, e.g. by filtering using dry filter ele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273/00Operation of filters specially adapt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 B01D2273/30Means for generating a circulation of a fluid in a filtration system, e.g. using a pump or a fa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279/00Filters adapt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specially modified for specific uses
    • B01D2279/50Filters adapt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specially modified for specific uses for air conditioning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ir-Flow Control Members (AREA)
  • Structures Of Non-Positive Displacement Pump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공기청정기에 관한 것이며, 상세하게는 청정공기의 토출방향을 다양하게 가변시킬 수 있는 공기청정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청정기는 외부공기를 흡입하여 청정공기를 토출토록 제공된 송풍유닛을 구비하고, 외면에 복수 개의 토출구가 형성된 장치하우징본체; 및 외부로 토출되는 청정공기의 방향을 전환토록 토출구에 설치된 가변루버유닛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Description

공기청정기{AIR CONDITIONER}
본 발명은 공기청정기에 관한 것이며, 상세하게는 청정공기의 토출방향을 다양하게 가변시킬 수 있는 공기청정기에 관한 것이다.
우리가 많은 시간을 생활하는 실내는 밀폐된 공간이기 때문에, 실내공기는 세균, 냄새, 진드기 등이 서식하여 오염이 발생 되는 장소이기도 하다. 즉, 오염된 외부대기의 경우에는 자연적으로 정화되는 비율이 큰 반면에, 실내공기는 한정된 공간에서 계속해서 순환하므로 오염된 외부대기보다 더 심각한 폐해를 가져다줄 우려가 있다.
더욱이, 에너지보존을 위한 새로운 건축자재의 등장으로 오염물질의 방출이 <4> 증가하고 있으며, 주거양식의 변화로 인한 단열, 냉방, 방음 등의 효과를 높이기 위하여 실내의 밀폐도가 증가됨에 따라, 실내공기의 질은 더욱 악화되고 있다.
이러한 오염된 환경은 인체에 치명적인 해를 입히고 있다. 이에 따라, 최근에는 실내의 오염된 공기를 정화하여 신선한 공기를 배출하는 공기청정기의 사용이 증대되고 있는 실정이다.
일반적으로, 공기청정기는 실내 공기의 상태를 인간의 생활에 적당한 상태로 유지하기 위한 장치이다. 공기청정기는 하나의 모터에 연결된 하나의 송풍팬이 실내 공기를 흡인함으로써 공기청정기 내부로 흡인된 실내공기가 공기청정필터를 통과하면서 필터링된 후 토출되도록 한다.
종래의 일반적인 공기청정기에 있어서, 분진이나 각종 세균 등으로 인해 오염된 실내공기는, 송풍팬의 흡입력에 의해 유입구를 통해 하우징 내부로 유입된 후, 다층으로 적재된 필터를 통해 여과된 다음 송풍팬을 둘러싸도록 위치된 쉬라우드를 경유하여 토출구를 통해 실내로 토출된다. 이때, 대부분의 쉬라우드는 원심팬의 외형과 같이 원형을 이룬 상태로 형성되어 상기 원심팬에 의해 발생된 공기의 흐름을 안내하게 된다.
한편, 일반적으로 가정에서 사용되는 공기청정기들의 청정 방식은 전기집진식, 기계식, 기계식과 전기집진식이 동시에 사용되는 복합식 공기청정기가 주류를 이루고 있다. 최근에는 그 중에서도 집진효율이 가장 높은 기계식 필터를 사용하는 제품이 주류를 이루고 있다.
또한, 최근에 이르러 공기청정기의 디자인 차별화를 위하여 여러가지 형태를 갖는 제품들이 개발되고 있다. 다만, 기계식 필터를 사용할 경우 흡입정압이 높기 때문에 소음이 증가하고 있다.
종래의 공기청정기는 이러한 대수나선 형태의 쉬라우드가 사용됨에 따라, 공기의 토출 방향이 단일 방향 또는 대칭적으로 밖에 형성될 수 없으므로, 실내의 공기 흐름이 원활하지 못하며, 따라서 공기청정기의 공기정화기능이 저하된다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가변루버유닛을 통해 송풍유닛에서 토출되는 청정공기의 토출방향을 다양하게 가변시킬 수 있는 공기청정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청정공기의 토출방향을 다양하게 가변시킴으로써 실내공간에서의 청정공기의 순환율을 향상시킬 수 있는 공기청정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청정기는 외부공기를 흡입하여 청정공기를 토출토록 제공된 송풍유닛을 구비하고, 외면에 복수 개의 토출구가 형성된 장치하우징본체; 및 외부로 토출되는 청정공기의 방향을 전환토록 토출구에 설치된 가변루버유닛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가변루버유닛은 토출구에 설치된 루버; 및 루버에 연결되어 루버의 작동방향을 가변시키도록 제공된 루버모터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송풍유닛은 외부공기를 장치하우징본체 내부로 흡입토록 작동되는 송풍팬; 송풍팬의 회전축에 연결되어, 송풍팬을 회전시키도록 작동되는 송풍모터; 및 송풍팬을 둘러싸도록 형성되되, 청정공기가 복수 개의 토출구를 통해 토출되도록 청정공기의 흐름을 가이드하도록 형성된 송풍팬가이드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송풍팬가이드는 복수 개의 토출구와 연통되도록 송풍팬을 기준으로 바람개비형상을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은 가변루버유닛을 통해 송풍유닛에서 토출되는 청정공기의 토출방향을 다양하게 가변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청정공기의 토출방향을 다양하게 가변시킬 수 있어, 실내공간에서 청정공기의 순환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변루버유닛이 설치된 공기청정기의 분해사시도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세개의 토출유로를 가진 송풍팬가이드가 설치된 공기청정기에 대한 개략적인 내부 정면도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라 네개의 토출유로를 가진 송풍팬가이드에 대한 개략도이다.
이하에서는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공기청정기에 대해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청정기(100)는 흡입구(112)가 구비된 전면커버(111), 토출구(113)가 구비된 장치하우징본체(110)와, 장치하우징본체(110)에 내장된 송풍유닛(120)과, 송풍유닛(120)에 연계되어 청정공기의 흐름을 가변토록 제공된 가변루버유닛(130)을 포함한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장치하우징본체(110)는 외면에 송풍유닛(120)의 송풍팬가이드(123)의 형상에 따라 적어도 하나 이상의 토출구(113)가 형성된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어, 장치하우징본체(11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한개의 토출구(113)를 가질 수도 있고, 또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장치하우징본체(110)의 양측면과 상부면에 형성된 3개의 토출구(113)를 가질 수도 있다.
또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장치하우징본체(110)의 양측면, 상부면과 전면 하부에 형성된 4개의 토출구(113)를 가질 수도 있다. 한편, 장치하우징본체(110)의 토출구(113)의 개수는 장치하우징본체(110) 내부에 설치된 송풍팬가이드(123)의 형상에 따라 가변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해 도시된 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한편, 장치하우징본체(110)에는 장치하우징본체(110)에 결합되는 전면커버(111)에 인접하게 위치된 공기청정필터(미도시), 공기청정필터에 인접하게 위치되어, 외부공기를 흡입하고 흡입된 외부공기가 공기청정필터를 경유하여 토출되도록 제공된 송풍유닛(120)이 내장된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전면커버 및 공기청정필터는 공지된 구성을 사용하는 바, 본 실시예에서는 이들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송풍유닛(120)은 송풍팬(121), 송풍팬(121)에 연결된 송풍모터, 송풍팬(121)을 둘러싸도록 위치된 송풍팬가이드(123), 및 가변루버유닛(130)을 구비한다.
일반적으로 송풍팬(121)은 외부공기를 장치하우징본체(110) 내부로 흡입하는 부재이고, 송풍모터(미도시)는 송풍팬(121)에 연결되어 송풍팬(121)을 회전시키는 부재이다.
그리고,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변루버유닛(130)은 송풍팬가이드(123)에 연계된다. 여기서, 가변루버유닛(130)은 송풍팬가이드(123)의 토출유로(125)를 통해 토출되는 청정공기의 토출방향을 가변시키도록 제공된 부재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변루버유닛(130)은 루버(131, 133)와 루버를 작동시키는 루버모터(132, 134)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루버는 송풍팬가이드(123)의 토출유로(125) 상에 설치되어, 토출유로(125)를 통해 장치하우징본체(110)에 형성된 토출구(113)로 토출되는 청정공기의 방향을 전환시키도록 제공된 부재이다.
즉,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루버는 복수 개의 루버그릴이 상호 간에 연결되어 이루어진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청정공기의 토출방향이 화살표 방향(F1)을 따라 전후 방향으로 토출되도록 하는 전후방향 전환루버(131)와, 화살표 방향(F2)을 따라 좌우 방향으로 토출되도록 하는 좌우방향 전환루버(133)로 구분하여 지칭하기로 한다.
아울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전후방향 전환루버(131)에 연결된 루버모터를 전후루버모터(132)라 지칭하고, 좌우방향 전환루버(133)에 연결된 루버모터를 좌우루버모터(134)라 지칭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전후방향 전환루버(131)는 전후루버모터(132)의 회전방향에 따라 방향이 전후로 전환되고, 좌우방향 전환루버(133)는 좌우루버모터(134)의 회전방향에 따라 방향이 좌우로 전환되어, 청정공기의 토출방향을 가이드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후방향 전환루버(131)와 좌우방향 전환루버(133)는 상호 간에 소정의 간격으로 이격되어, 송풍팬가이드(123)의 토출유로(125)에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예 따른 전후방향 전환루버(131)와 좌우방향 전환루버(133)는 동시에 작동될 수도 있고, 둘 중 어느 하나만 작동될 수도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가변루버유닛(130)은 송풍팬가이드(123)의 형상에 따라, 토출유로(125)마다 설치될 수도 있고, 또는 일부의 토출유로(125)에만 설치될 수도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실내공간으로 토출되는 청정공기의 순환율을 향상시키기 위해, 송풍팬가이드(123)에 가변루버유닛(130)을 설치한 것 뿐 아니라, 송풍팬가이드(123)의 형상을 다음과 같이 변형하였다. 이에 따라, 이하에서는 송풍팬가이드(123)의 형상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일반적으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송풍팬가이드는 하나의 토출유로를 가진 대수나선 형상을 가진다. 송풍팬가이드(123)의 형상이 대수나선 형상을 가질 경우, 청정공기는 한방향으로만 토출된다.
이를 극복하기 위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송풍팬가이드(123)는 외부로 토출되는 청정공기가 회오리를 이루면서 토출되도록, 송풍팬(121)을 중심으로 복수 개의 토출유로(125)가 바람개비 형상을 이루도록 형성된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어,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송풍팬(121)을 중심으로 3개의 토출유로(125)를 가진 바람개비 형상일 수도 있고,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송풍팬(121)을 중심으로 4개의 토출유로(125)를 가진 바람개비 형상을 가질 수도 있다.
이때, 송풍팬가이드(123)의 토출유로(125)는 송풍팬(121)에서 토출된 청정공기가 용이하게 분산되도록, 송풍팬(121)이 설치된 중심에서 바깥방향으로 갈수록 폭이 넓어지는 형상을 가진 것이 바람직하다.
더불어, 송풍팬가이드(123)는 토출유로(125)가 소정의 경사각을 이루도록 형성되어, 토출유로(125)를 통과하는 청정공기가 외부로 토출된 후 회오리를 이루면서 실내 공간에 배출되도록 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송풍팬가이드(123)가 복수 개(예를 들어, 4개)의 토출유로(125)를 가진 경우에, 상하 좌우 방향으로 청정공기를 토출시킴으로써, 원활한 대기 흐름을 만들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청정기(100)는 복수 개의 토출구(113)와 바람개비 형상을 가진 송풍팬가이드(123)를 통해 청정공기가 회오리를 이루면서 실내공간으로 토출되도록 함으로써, 실내 공기의 청정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위에 설명된 예시적인 실시예는 제한적이기보다는 본 발명의 모든 관점들 내에서 설명적인 것이 되도록 의도되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본 기술 분야의 숙련된 자들에 의하여 본 명세서 내에 포함된 설명들로부터 얻어질 수 있는 많은 변형 및 상세한 실행이 가능하다. 다음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한정된 바와 같이 이러한 모든 변형 및 변경은 본 발명의 범위 및 사상 내에 있는 것으로 고려되어야 한다.
100: 공기청정기 110: 장치하우징본체
120: 송풍유닛 130: 가변루버유닛

Claims (4)

  1. 외부공기를 흡입하여 청정공기를 토출토록 제공된 송풍유닛을 구비하고, 외면에 복수 개의 토출구가 형성된 장치하우징본체; 및
    외부로 토출되는 청정공기의 방향을 전환토록 상기 토출구에 설치된 가변루버유닛;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청정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가변루버유닛은
    상기 토출구에 설치된 루버; 및
    상기 루버에 연결되어 상기 루버의 작동방향을 가변시키도록 제공된 루버모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청정기.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송풍유닛은
    외부공기를 상기 장치하우징본체 내부로 흡입토록 작동되는 송풍팬;
    상기 송풍팬의 회전축에 연결되어, 상기 송풍팬을 회전시키도록 작동되는 송풍모터; 및
    상기 송풍팬을 둘러싸도록 형성되되, 청정공기가 상기 복수 개의 토출구를 통해 토출되도록 청정공기의 흐름을 가이드하도록 형성된 송풍팬가이드;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청정기.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송풍팬가이드는 상기 송풍팬을 기준으로 바람개비형상을 가지며, 상기 복수 개의 토출구와 연통되도록 장치하우징본체에 장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청정기.
KR1020100134599A 2010-12-24 2010-12-24 공기청정기 KR20120072720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34599A KR20120072720A (ko) 2010-12-24 2010-12-24 공기청정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34599A KR20120072720A (ko) 2010-12-24 2010-12-24 공기청정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72720A true KR20120072720A (ko) 2012-07-04

Family

ID=4670735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134599A KR20120072720A (ko) 2010-12-24 2010-12-24 공기청정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20072720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85298B1 (ko) * 2019-05-29 2020-03-05 주식회사 코어볼트 옥외 설치형 공기청정시스템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146235A (ja) * 1998-11-04 2000-05-26 Toshiba Corp 空気清浄機
JP2002195637A (ja) * 2000-12-28 2002-07-10 Ricoh Elemex Corp 空気清浄機
JP2006057919A (ja) * 2004-08-20 2006-03-02 Mitsubishi Electric Corp 空気清浄機
JP2007021100A (ja) * 2005-07-21 2007-02-01 Sharp Corp 空気清浄機
JP2009095767A (ja) * 2007-10-17 2009-05-07 Panasonic Corp 空気清浄機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146235A (ja) * 1998-11-04 2000-05-26 Toshiba Corp 空気清浄機
JP2002195637A (ja) * 2000-12-28 2002-07-10 Ricoh Elemex Corp 空気清浄機
JP2006057919A (ja) * 2004-08-20 2006-03-02 Mitsubishi Electric Corp 空気清浄機
JP2007021100A (ja) * 2005-07-21 2007-02-01 Sharp Corp 空気清浄機
JP2009095767A (ja) * 2007-10-17 2009-05-07 Panasonic Corp 空気清浄機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85298B1 (ko) * 2019-05-29 2020-03-05 주식회사 코어볼트 옥외 설치형 공기청정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888811B2 (en) Air purifying unit and air cleaning/ventilation device comprising same
US10900671B2 (en) Slim-type air processing device
KR100628058B1 (ko) 전열교환기 및 이를 이용한 환기시스템
KR101777233B1 (ko) 벽걸이용 공기청정기
KR102502550B1 (ko) 송풍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공기청정기
KR101874419B1 (ko) 공기정화장치
JP6272489B2 (ja) 除湿機
JP2013217580A (ja) 空気清浄装置
KR102023563B1 (ko) 공기청정기용 송풍 유닛 및 이를 포함하는 공기청정기
KR101948005B1 (ko) 공기청정기
JP2011237063A (ja) 空調機
JP2009024595A (ja) 遠心ファン及びこれを用いた空気調和機
KR20110057562A (ko) 양흡입 원심형 송풍기 및 이를 적용한 공기 청정기
KR20150136692A (ko) 제습형 공기 청정기
JP2004101125A (ja) 空気調和機
KR20090026981A (ko) 문 일체형 공기청정기
KR102111216B1 (ko) 공기 청정기 및 이를 갖는 실내 공기 청정 시스템
KR20120072720A (ko) 공기청정기
KR101291842B1 (ko) 공기토출장치
KR100628059B1 (ko) 전열교환기 및 이를 이용한 환기시스템
KR20170039344A (ko) 공기처리장치
KR20170026830A (ko) 원심형 송풍기 및 이를 포함하는 공기 청정기
KR102552843B1 (ko) 공기조화장치
KR102059156B1 (ko) 대공간 공기청정 시스템
JP2004353966A (ja) 空気調和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