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071912A - 광학용 폴리에스테르 필름 - Google Patents

광학용 폴리에스테르 필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071912A
KR20120071912A KR1020100133642A KR20100133642A KR20120071912A KR 20120071912 A KR20120071912 A KR 20120071912A KR 1020100133642 A KR1020100133642 A KR 1020100133642A KR 20100133642 A KR20100133642 A KR 20100133642A KR 20120071912 A KR20120071912 A KR 2012007191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lyester film
water
weight
primer layer
resin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13364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243051B1 (ko
Inventor
김상필
황창익
서상원
김황용
김지혁
Original Assignee
도레이첨단소재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도레이첨단소재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도레이첨단소재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0013364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43051B1/ko
Publication of KR2012007191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7191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4305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43051B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5/00Manufacture of articles or shaped materials containing macromolecular substances
    • C08J5/18Manufacture of films or sheets
    • C08J7/047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00Use of in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34Silicon-containing compounds
    • C08K3/36Silica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5/00Use of organic ingredients
    • C08K5/16Nitrogen-containing compounds
    • C08K5/34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nitrogen in the ring
    • C08K5/35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nitrogen in the ring having also oxygen in the ring
    • C08K5/353Five-membered ring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67/00Compositions of polyester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a carboxylic ester link in the main chain;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75/00Compositions of polyureas or polyurethanes;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75/04Polyurethane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175/00Coating compositions based on polyureas or polyurethanes; Coating compositions based on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9D175/04Polyurethane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5/00Optical elements other than lenses
    • G02B5/02Diffusing elements; Afocal elements
    • G02B5/0268Diffusing elements; Afocal elements characterized by the fabrication or manufacturing method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2367/00Characterised by the use of polyester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a carboxylic ester link in the main chain;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203/00Applications
    • C08L2203/16Applications used for film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Laminated Bodie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광학용 폴리에스테르 필름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폴리에스테르 기재층의 일면 또는 양면에 프라이머층이 적층된 광학용 폴리에스테르 필름에 있어서, 상기 프라이머층이 가교제로서 수분산된 옥사졸린을 포함하여 폴리에스테르 기재층과 프라이머층 간의 접착성 뿐만 아니라, 프라이머층 내에 강한 네트워크를 형성함에 따라 내구성을 향상시키는데 유용하다.
나아가, 본 발명은 프라이머층 상에 프리즘 렌즈가공, 하드코팅 및 AR 가공 등의 후가공이 이루어지더라도 폴리에스테르 기재층 및 프라이머층 간의 접착성이 우수하고, 고온고습의 조건하에서도 기재필름과의 우수한 접착성이 유지되어 내습성이 우수한 동시에 헤이즈 0.4 내지 1.5%의 광학특성을 보여 각종 광학용 부재의 전반에 걸쳐 사용될 수 있으며, 특히 디스플레이용 광학 시트, 하드코트 가공 또는 AR 필름용 베이스필름 및 CRT의 보호필름으로 유용하다.

Description

광학용 폴리에스테르 필름{POLYESTER FILM FOR OPTICAL USE}
본 발명은 광학용 폴리에스테르 필름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폴리에스테르 기재층의 일면 또는 양면에 프라이머층이 적층된 광학용 폴리에스테르 필름에 있어서, 상기 프라이머층이 가교제로서 수분산된 옥사졸린을 포함하여 내구성 및 내습성이 개선된 광학용 폴리에스테르 필름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인 기능성 고분자 기재의 일례로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PET), 폴리에틸렌나프탈레이트(PEN) 및 폴리카보네이트(PC)와 같은 폴리에스테르계 기재가 있으며, 이는 치수 안정성, 두께 균일성 및 광학적 투명성이 우수하여 디스플레이 기기뿐만 아니라 여러 산업용 재료로 그 이용 범위가 매우 넓다.
특히, 광학용 폴리에스테르 필름은 폴리에스테르 기재층상에 프라이머층이 형성된 것으로, 프라이머층의 구성 요소로서 폴리에스테르 기재층과의 접착성이 우수한 공중합 폴리에스테르계 수지가 주로 사용되어, 일반적인 경우 상기 폴리 에스테르 기재층과 프라이머층의 접착성이 우수하다. 그러나, 상기 광학용 폴리에스테르 필름상에 프리즘, 렌즈, 반사방지층 또는 하드코팅과 같은 후가공을 할 경우, 프라이머층과 후가공된 가공면의 접착력은 우수한 반면 폴리에스테르 기재층과 프라이머층의 접착력이 저하되는 문제가 발생한다.
이에, 프라이머층의 접착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프라이머층의 구성 요소로 아크릴이나 우레탄 수지 등이 주로 이용되고 있으나, 고온고습의 내습성 평가 시에 후가공 처리한 이면으로 수분이 침투하여 접착성이 저하되는 문제가 발생한다.
상기의 문제점을 극복하기 위해서 프라이머층에 가교제를 적용하여 고분자 네트워크를 형성시켜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으나,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멜라민계 또는 에폭시계와 같은 가교제는 프라이머층의 고분자를 가교시키기에는 부족하다.
또한, 일반적으로 폴리에스테르 기재층에 프라이머층을 형성할때 기재의 친수성 성질로 인해 바인더 수지를 물에 분산시켜 수계 코팅을 하기 때문에 가교제를 선택함에 있어서 많은 제약을 받는다.
따라서, 반응성이 뛰어나면서 동시에 접착성을 향상시키는 가교제를 개발하기 위하여 많은 연구들이 진행되고 있다.
이에, 본 발명자들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노력한 결과, 광학용 폴리에스테르 필름과의 접착성을 향상시키고자 아크릴계 또는 우레탄계 수지에 가교제로서 옥사졸린을 적용하여 형성된 프라이머층이 적층된 광학용 폴리에스테르 필름을 제조하고, 상기 프라이머층의 내구성 및 고온고습의 가혹조건하에서 내습성이 향상되어 후가공 시에도 광학용 폴리에스테르 기재필름과의 접착성이 우수함을 확인함으로써,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본 발명의 목적은 폴리에스테르 기재층의 일면 또는 양면에 프라이머층이 적층된 광학용 폴리에스테르 필름에 있어서, 상기 프라이머층이 가교제로서 수분산된 옥사졸린을 포함하여 내구성 및 내습성이 개선된 광학용 폴리에스테르 필름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광학용 폴리에스테르 필름의 후가공 시 또는 고온고습 조건하에서도 폴리에스테르 기재층과 프라이머층 간의 접착성이 우수한 광학용 폴리에스테르 필름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폴리에스테르 기재층의 일면 또는 양면에 프라이머층이 적층된 광학용 폴리에스테르 필름에 있어서, 상기 프라이머층이 우레탄수지, 아크릴수지, 폴리에스테르 공중합체 수지 및 열반응형 수용성 폴리이소시아네이트 수지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의 수지; 수분산된 옥사졸린; 및 실리카 입자 또는 알루미나-실리카 복합 산화물 입자;를 포함하는 수분산 코팅액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수분산 코팅액에서 수분산된 옥사졸린이 1 내지 30중량% 함유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학용 폴리에스테르 필름을 제공한다.
이때, 상기 수분산 코팅액에서 우레탄수지, 아크릴수지, 폴리에스테르 공중합체 수지 및 열반응형 수용성 폴리이소시아네이트 수지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의 수지 1 내지 50중량%가 함유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수분산 코팅액에서 실리카 입자 또는 알루미나-실리카 복합 산화물 입자 0.1 내지 10중량%가 함유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실리카 입자 또는 알루미나-실리카 복합 산화물 입자의 평균입경이 20 내지 500㎚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열반응형 수용성 폴리이소시아네이트 수지를 사용하는 경우 상기 수분산 코팅에서 주석계 촉매 수분산액이 0.1 내지 10중량% 더 함유될 수 있으며, 상기 수분산 코팅액에서 계면활성제 0.01 내지 1 중량%가 더 함유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나아가, 상기 광학용 폴리에스테르 기재층 및 프라이머층 사이의 접착성이 하기 수학식 1에 의하여 산출되며, 온도 40 내지 70℃, 상대습도 80%이상의 조건 하에서 12 내지 100시간 지속된 후에 상기 접착성이 95%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광학용 폴리에스테르 필름을 제공한다.
Figure pat00001
상기 평가 면적은 크로스 커터로 만든 가로, 세로 각각 2㎜크기의 면적이며, 떼어낸 면적은 접착성 평가 시 탈락된 면적이다.
본 발명에 따라 폴리에스테르 기재층의 일면 또는 양면에 프라이머층이 적층된 광학용 폴리에스테르 필름에 있어서, 상기 프라이머층이 가교제로서 수분산된 옥사졸린을 포함하여 상기 프라이머층에 사용된 아크릴계, 우레탄계, 폴리이소시아네이트 수지의 카르복실산 및 옥사졸린이 결합되어 강한 네트워크가 구축됨에 따라 내구성이 향상되어 스크레치 방지에 효과적인 광학용 폴리에스테르 필름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광학용 폴리에스테르 필름의 후가공 시 또는 고온고습 조건하에서도 폴리에스테르 기재층과 프라이머층 간의 접착성이 우수하고, 탁도가 0.4 내지 1.5%의 광학특성을 나타내는 광학용 폴리에스테르 필름을 제공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을 보다 상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본 발명은 폴리에스테르 기재층의 일면 또는 양면에 프라이머층이 적층된 광학용 폴리에스테르 필름에 있어서, 상기 프라이머층이 우레탄수지, 아크릴수지, 폴리에스테르 공중합체 수지 및 열반응형 수용성 폴리이소시아네이트 수지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의 수지; 수분산된 옥사졸린; 및 실리카 입자 또는 알루미나-실리카 복합 산화물 입자;를 포함하는 수분산 코팅액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수분산 코팅액에서 수분산된 옥사졸린이 1 내지 30중량% 함유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학용 폴리에스테르 필름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폴리에스테르 기재층은 치수 안정성, 두께 균일성 및 광학적 투명성이 우수한 고기능성 고분자 기재로서, 그 사용이 특별히 제한되지 않으나,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PET), 폴리에틸렌타프탈레이트(PEN) 및 폴리카보네이트(PC) 등과 같은 폴리에스테르계 기재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프라이머층은 폴리에스테르 기재층의 일면 또는 양면에 적층되며, 접착성이 우수하여 다른 기재와의 접착을 용이하게 하는 이접착(易接着)성을 나타낸다.
상기 수분산 코팅액에서 가교제로 적용되는 옥사졸린은 자체적으로 폴리에스테르계 기재와의 반응성이 좋으며, 폴리에스테르 기재층과 프라이머층 간의 접착성에 도움을 준다. 또한 산업에서 프라이머층으로 많이 사용되는 우레탄 수지, 아크릴 수지 및 폴리이소시아네이트 수지의 카르복실산 및 옥사졸린이 쉽게 결합함에 따라 강한 네트워크(가교)를 형성하여 프라이머층의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환경 친화적인 수계 도포를 위해 분산성 및 반응성 향상을 위하여 고분자 관능기에 옥사졸린이 결합된 가교제 또는 경화제의 형태로 적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수분산 코팅액에서 수분산된 옥사졸린이 1 내지 30중량% 함유되며, 함유량이 1중량% 미만이면 그 함유량이 충분하지 않아 프라이머층의 수지 네트워크(가교) 및 폴리에스테르 기재층과의 접착력이 미흡함에 따라 내구성 및 내습성이 저하되어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할 수 없으며, 함유량이 30중량% 초과하면 상온반응이 가능한 옥사졸린의 반응성 때문에 양면에 도포되었을 경우 폴리에스테르계 기재를 보관하는데 어려움이 있으며, 옥사졸린 작용기가 미반응 상태에서 존재하여, 내습성이 떨어지게 되어 바람직하지 않다.
상기 수분산 코팅액은 우레탄수지, 아크릴수지, 폴리에스테르 공중합체 수지 및 열반응형 수용성 폴리이소시아네이트 수지 중 어느 하나 이상을 1 내지 50중량% 함유하며, 함유량이 1 중량% 미만이면 프라이머층의 두께가 얇아져서 바람직하지 않고, 함유량이 50 중량% 초과하면 폴리에스테르계 기재에 코팅하였을 때 코팅 결점이 발생하는 문제가 있어 바람직하지 않다.
또한, 상기 수분산 코팅액은 폴리에스테르 기재층의 코팅성 및 프라이머층 위에 내열성 가공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 첨가제가 포함될 수 있으며, 폴리에스테르계 기재의 공정상 유리한 효과를 위해 유기입자, 무기입자 또는 소포제가 첨가될 수 있다. 이때 상기 무기입자의 경우 실리카 입자 또는 알루미나-실리카 복합 산화물 입자가 사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무기입자의 사용을 통해 수분산 코팅액의 구성 수지와 굴절률 차가 비교적 적은 무기입자를 함유시 주행성을 빠르게 하여 생산량을 향상시킬 수 있다.
상기 수분산 코팅액에서 실리카 입자 또는 알루미나-실리카 복합 산화물 입자는 0.1 내지 10중량%가 함유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입자의 함유량이 0.1중량% 미만이면 주행성에 크게 도움이 되지 못하고, 함유량이 10중량% 초과하면 제품의 탁도가 증가하여 필름이 불투명하게 되기 때문에 바람직하지 않다.
상기 실리카 입자 또는 알루미나-실리카 복합 산화물 입자의 평균입경은 20 내지 500㎚, 보다 바람직하게는 50 내지 300㎚이다. 상기 실리카 입자 또는 알루미나-실리카 복합 산화물 입자의 평균입경이 20㎚미만이면 미세입자가 프라이머층의 두께보다 작아서 필름 주행성 및 내스크래치성에 도움을 주지 못할 뿐만 아니라 미세입자 투입의 효과를 기대할 수 없으며, 평균입경이 500㎚ 초과하면 헤이즈가 불량하여 바람직하지 않다.
나아가, 상기 수분산 코팅액에서 열반응형 수용성 폴리이소시아네이트 수지를 사용하는 경우 반응 속도 조절을 위해 0.1 내지 10중량%의 주석계 촉매를 더 함유할 수 있으며, 이때 촉매는 말단 작용기의 반응을 증대시켜 중합이 잘 일어나도록 작용한다.
또한, 상기 수분산 코팅액은 수계 도포를 위하여 분산된 계면활성제를 더욱 함유할 수 있으며, 폴리에스테르 기재층의 습윤성을 증가시키고 수분산 코팅액을 균일하게 도포하기 위하여 공지의 음이온 또는 비이온 계면활성제를 폴리에스테르 기재층에 도포할 수 있다. 상기 수분산 코팅액에 계면활성제가 0.01 내지 1중량% 함유될 수 있으며, 0.01중량% 미만이면 도포액의 표면 장력이 높아져 기재에의 도포성이 불량하며, 1중량%를 초과하면 접착성을 저해하는 문제가 있다.
상기 폴리에스테르 기재층상에 상기의 수분산 코팅액이 도포되어 형성된 프라이머층의 두께는 0.05 내지 3㎛가 바람직하며, 이때 프라이머층의 두께가 0.05㎛ 미만이면 투명성은 양호하나 후가공 시에 접착력이 떨어지며, 두께가 3㎛를 초과하면 접착특성은 우수하나 투명성 및 코팅성이 저하되어 바람직하지 않다.
상기 폴리에스테르 기재층과 프라이머층 간의 접착성은 하기 수학식 1에 의해 산출되며, 온도 40 내지 70℃ 및 상대습도 80%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온도 65℃ 및 상대습도 95%의 조건에서 12 내지 100시간 동안 고온고습 처리 후에도 폴리에스테르 기재층 및 프라이머층 간의 접착성이 95%이상을 나타내어 내습성이 우수하다.
수학식 1
Figure pat00002
상기 평가 면적은 크로스 커터로 만든 가로, 세로 각각 2㎜크기의 면적이며, 떼어낸 면적은 접착성 평가 시 탈락된 면적이다.
나아가, 상기 광학용 폴리에스테르 필름의 전광성 투과율이 90%이상이며, 탁도가 0.4 내지 1.5%에 해당하여 우수한 광학특성을 나타낸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가 기술되어 질 것이다.
하기 실시예는 본 발명을 예시하는 것일 뿐, 본 발명의 범위가 하기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이소시아네이트 분자 23중량%가 함유된 열반응형 수용성 폴리이소시아네이트 수지 수분산액 10중량%, 옥사졸린 분자 30중량%가 함유된 옥사졸린 수분산액 5중량%, 주석계 촉매 10중량%가 함유된 주석계 촉매 수분산액 0.5중량%, 음이온계 계면활성제 10중량%가 함유된 음이온계 계면활성제 수분산액 1중량%, 콜로이드성 실리카입자가 70중량%가 함유된 콜로이드성 실리카입자 수분산액 0.1중량% 및 용매로 증류수 83.4중량%를 혼합하여 수분산 코팅액을 제조하였다. 상기 수분산 코팅액을 두께 188㎛인 폴리에스테르 필름에 도포하여 프라이머층이 형성된 광학용 폴리에스테르 필름을 제조하였다. 이때 상기 광학용 폴리에스테르 필름의 표면장력은 30kg/m이다.
<실시예 2>
아크릴 수지 20중량%가 함유된 아크릴수지 수분산액 10중량%, 옥사졸린 분자 30중량%가 함유된 옥사졸린 수분산액 5중량%, 음이온계 계면활성제 10중량%가 함유된 음이온계 계면활성제 수분산액 1.0중량%, 콜로이드성 실리카입자가 70중량%가 함유된 콜로이드성 실리카입자 수분산액 0.1중량% 용매로 증류수 83.9중량%를 혼합하여 수분산 코팅액을 제조하였다. 상기 수분산 코팅액을 두께 188㎛인 폴리에스테르 필름에 도포하여 프라이머층이 형성된 광학용 폴리에스테르 필름을 제조하였다. 이때 상기 광학용 폴리에스테르 필름의 표면장력은 35kg/m이다.
<실시예 3>
우레탄 수지는 20중량%가 함유된 우레탄 수지 수분산액 10중량%, 옥사졸린 분자 30중량%가 함유된 옥사졸린 수분산액 5중량%, 음이온계 계면활성제 10중량%가 함유된 음이온계 계면활성제 수분산액 1.0중량%, 콜로이드성 실리카입자가 70중량%가 함유된 콜로이드성 실리카입자 수분산액 0.1중량%, 용매로 증류수 83.9중량%를 혼합하여 수분산 코팅액을 제조하였다. 상기 수분산 코팅액을 두께 188㎛인 폴리에스테르 필름에 도포하여 프라이머층이 형성된 광학용 폴리에스테르 필름을 제조하였다. 이때 상기 광학용 폴리에스테르 필름의 표면장력은 43kg/m이다.
<비교예 1>
이소시아네이트 분자 23중량%가 함유된 열반응형 수용성 폴리이소시아네이트 수지 수분산액 10중량%, 주석계 촉매 10중량%가 함유된 주석계 촉매 수분산액 0.5중량%, 음이온계 계면활성제 10중량%가 함유된 수분산액 1.0중량%, 콜로이드성 실리카입자가 70중량%가 함유된 수분산액 0.1중량% 및 용매로 증류수 88.4중량%를 혼합하여 수분산 코팅액을 제조한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실시하여 광학용 폴리에스테르 필름을 제조하였다. 이때 상기 광학용 폴리에스테르 필름의 표면장력은 23kg/m이다.
<비교예 2>
이소시아네이트 분자 23중량%가 함유된 열반응형 수용성 폴리이소시아네이트 수지 수분산액 10중량%, 옥사졸린 분자가 30% 중량이 함유된 수분산액 35중량%, 주석계 촉매 10중량%가 함유된 수분산액 0.5중량%, 음이온계 계면활성제 10중량%가 함유된 수분산액 1.0중량%, 콜로이드성 실리카입자가 70중량%가 함유된 수분산액 0.1중량% 및 용매로 증류수 53.4중량%를 혼합하여 수분산 코팅액을 제조한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실시예1과 동일하게 실시하여 광학용 폴리에스테르 필름을 제조하였다. 이때 상기 광학용 폴리에스테르 필름의 표면장력은 48kg/m이다.
<비교예 3>
우레탄 분자 20중량%가 함유된 수용성 우레탄 수지 수분산액 10중량%, 옥사졸린 분자가 30% 중량이 함유된 수분산액 35중량%, 음이온계 계면활성제 10중량%가 함유된 수분산액 1.0중량%, 콜로이드성 실리카입자가 70중량%가 함유된 수분산액 0.1중량% 및 용매로 증류수 53.9중량%를 혼합하여 수분산 코팅액을 제조한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실시예1과 동일하게 실시하여 광학용 폴리에스테르 필름을 제조하였다. 이때 상기 광학용 폴리에스테르 필름의 표면장력은 56kg/m이다.
<실험예>
상기 실시예 1 내지 3 및 비교예 1 내지 3에서 제조된 광학용 폴리에스테르 필름의 물성을 측정하여 하기 표 1에 기재하였다.
1. 초기 접착성 측정
와이어바를 사용하여 프라이머층이 형성되어있는 표면에 아크릴계 UV 경화수지를 도포시키고, 절단기로 프라이머층이 코팅된 기재에 절단선을 만들어서, 10×10의 매트릭스에 2㎜×2㎜ 정사각형들을 배치한다. 절단선이 있는 광학용 폴리에스테르 기재 필름에 셀로판 테이프(니치반사(NICHIBAN), No.405, 폭 : 24㎜)를 붙이고, 벨벳을 이용하여, 테이프를 문질러서 필름에 강력하게 부착시킨 후, 수직으로 테이프를 떼어내어 폴리에스테르 기재층 상에 접착층으로서 남아있는 프라이머층의 면적을 시각적으로 관찰하고, 하기 수학식 1에 의해 접착성을 계산하였다.
수학식 1
Figure pat00003
상기 평가 면적은 크로스 커터로 만든 가로, 세로 각각 2㎜크기의 면적이며, 떼어낸 면적은 접착성 평가 시 탈락된 면적이다.
2. 고온고습 후 접착성 측정
와이어바를 사용하여 프라이머층이 형성되어있는 표면에 아크릴계 UV 경화수지를 도포시키고, 온도 65℃ 및 상대습도 90% 하에서 12시간 및 100시간 방치한 후 절단기로 프라이머층이 코팅된 기재에 절단선을 만들어서, 10×10의 매트릭스에 2㎜×2㎜ 정사각형들을 배치한다. 절단선이 있는 필름에 셀로판 테이프(니치반사(NICHIBAN), No.405, 폭 : 24㎜)를 붙이고, 벨벳을 이용하여, 테이프를 문질러서 광학용 폴리에스테르 필름에 강력하게 부착시킨 후, 수직으로 테이프를 떼어내어 폴리에스테르 기재층상에 접착층으로서 남아있는 프라이머층의 면적을 시각적으로 관찰하고, 상기의 수학식 1에 의해 접착성을 계산하였다.
항목 기재층 두께(㎛) 도포액 옥사졸린 수분산액
(중량%)
초기
접착성(%)
고온고습후
접착성(%)
표면장력(kg/m)
12시간 방치 100시간 방치
실시예1 188 폴리이소시아네이트 5 100 100 100 30
실시예2 188 아크릴 5 100 100 98 35
실시예3 188 우레탄 5 100 100 98 43
비교예1 188 폴리이소시아네이트 0 70 40 20 23
비교예2 188 폴리이소시아네이트 35 90 70 30 48
비교예3 188 우레탄 35 85 80 60 56
고온고습후 접착성 평가조건
12시간방치 : 온도 65℃, 상대습도 95% 조건에서 12시간 방치
100시간방치 : 온도 65℃, 상대습도 95% 조건에서 100시간 방치
상기 표 1에서 보는 바와 같이, 가교제로서 옥사졸린 수분산액을 함유하여 프라이머층이 형성된 실시예 1 내지 3의 광학용 폴리에스테르 필름의 경우, 프라이머층 상에 후가공이 이루어지더라도 폴리에스테르 기재층과 프라이머층 간의 접착력이 100%로 우수함을 확인하였다. 또한, 고온고습의 조건하에서도 폴리에스테르 기재층과 프라이머층의 접착력이 100%를 나타냄에 따라 내습성이 우수함을 확인하였다. 반면, 옥사졸린 수분산액이 함유되지 않은 비교예 1의 경우 고온고습의 조건하의 경우 접착성이 40%로 내습성이 매우 불량하며, 과량의 옥사졸린 수분산액이 함유된 비교예 2 및 3의 경우 오히려 초기 접착성 및 고온고습 조건의 접착성 모두 미흡한 결과를 나타내었다.
상기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은 폴리에스테르 기재층에 가교제로서 옥사졸린을 함유한 수분산 코팅액을 도포하여 프라이머층을 형성함으로써, 프라이머층에 사용된 아크릴계, 우레탄계, 폴리이소시아네이트 수지의 카르복실산 및 옥사졸린이 쉽게 결합되어 강한 네트워크가 구축됨에 따라, 프라이머층 상에 프리즘 렌즈가공, 하드코팅 및 AR가공 등의 후가공이 이루어지더라도 다른 기재와의 접착성 뿐만 아니라, 폴리에스테르 기재층 및 프라이머층 간의 접착성이 우수하고, 고온고습의 조건하에서도 폴리에스테르 기재층과 프라이머층 간의 우수한 접착성이 유지되어 내습성이 우수한 광학용 폴리에스테르 필름에 광범위하게 적용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헤이즈 0.4 내지 1.5%의 광학특성을 보여 각종 광학용 부재 전반에 걸쳐 사용될 수 있으며, 특히 디스플레이용 광학 시트, 하드코트 가공 또는 AR 필름용 베이스필름 및 CRT에서 보호필름으로 유용하게 적용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은 기재된 실시예에 대해서만 상세히 기술되었지만, 본 발명의 기술사상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 및 수정이 가능함은 당업자에게 명백한 것이며, 이러한 변형 및 수정이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속함은 당연한 것이다.

Claims (7)

  1. 폴리에스테르 기재층의 일면 또는 양면에 프라이머층이 적층된 광학용 폴리에스테르 필름에 있어서, 상기 프라이머층이 우레탄수지, 아크릴수지, 폴리에스테르 공중합체 수지 및 열반응형 수용성 폴리이소시아네이트 수지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의 수지; 수분산된 옥사졸린; 및 실리카 입자 또는 알루미나-실리카 복합 산화물 입자;를 포함하는 수분산 코팅액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수분산 코팅액에서 수분산된 옥사졸린이 1 내지 30중량% 함유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학용 폴리에스테르 필름.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분산 코팅액에서 우레탄수지, 아크릴수지, 폴리에스테르 공중합체 수지 및 열반응형 수용성 폴리이소시아네이트 수지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의 수지가 1 내지 50중량% 함유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광학용 폴리에스테르 필름.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분산 코팅액에서 실리카 입자 또는 알루미나-실리카 복합 산화물 입자가 0.1 내지 10중량% 함유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광학용 폴리에스테르 필름.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실리카 입자 또는 알루미나-실리카 복합 산화물 입자의 평균입경이 20 내지 500㎚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광학용 폴리에스테르 필름.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열반응형 수용성 폴리이소시아네이트 수지를 사용하는 경우에는 상기 수분산 코팅에서 주석계 촉매 수분산액이 0.1 내지 10중량% 더 함유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광학용 폴리에스테르 필름.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분산 코팅액에서 계면활성제가 0.01 내지 1중량% 더 함유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광학용 폴리에스테르 필름.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광학용 폴리에스테르 기재층 및 프라이머층 사이의 접착성이 하기 수학식 1에 의하여 산출되며, 온도 40 내지 70℃, 상대습도 80%이상의 조건하에서 12 내지 100시간 지속된 후 상기 접착성이 95%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광학용 폴리에스테르 필름;
    수학식 1
    Figure pat00004

    상기 평가 면적은 크로스 커터로 만든 가로, 세로 각각 2㎜크기의 면적이며, 떼어낸 면적은 접착성 평가 시 탈락된 면적이다.
KR1020100133642A 2010-12-23 2010-12-23 광학용 폴리에스테르 필름 KR10124305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33642A KR101243051B1 (ko) 2010-12-23 2010-12-23 광학용 폴리에스테르 필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33642A KR101243051B1 (ko) 2010-12-23 2010-12-23 광학용 폴리에스테르 필름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71912A true KR20120071912A (ko) 2012-07-03
KR101243051B1 KR101243051B1 (ko) 2013-03-13

Family

ID=4670679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133642A KR101243051B1 (ko) 2010-12-23 2010-12-23 광학용 폴리에스테르 필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43051B1 (ko)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4035185A1 (en) * 2012-08-31 2014-03-06 Kolon Industries, Inc. Polyester film
KR20140089676A (ko) * 2013-01-04 2014-07-16 도레이첨단소재 주식회사 광학용 폴리에스테르 필름
KR20140091814A (ko) * 2013-01-11 2014-07-23 도레이첨단소재 주식회사 내블로킹성이 우수한 광학용 폴리에스테르 필름
WO2015047012A1 (ko) * 2013-09-30 2015-04-02 주식회사 엘지화학 폴리에스테르 수지를 함유하는 프라이머층을 포함하는 광학 필름 및 이를 이용한 편광판
KR20150037596A (ko) * 2013-09-30 2015-04-08 주식회사 엘지화학 폴리에스테르 수지를 함유하는 프라이머층을 포함하는 광학 필름 및 이를 이용한 편광판
US9726799B2 (en) 2013-03-28 2017-08-08 Lg Chem, Ltd. Method of manufacturing double-sided polarizing plate and double-sided polarizing plate manufactured using the same
KR20200091523A (ko) * 2019-01-22 2020-07-31 도레이첨단소재 주식회사 폴리에스테르 보호필름 및 그 제조방법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85249B1 (ko) * 2004-11-29 2007-12-13 도요 보세키 가부시키가이샤 적층 열가소성 수지 필름 및 적층 열가소성 수지 필름 롤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4035185A1 (en) * 2012-08-31 2014-03-06 Kolon Industries, Inc. Polyester film
KR20140089676A (ko) * 2013-01-04 2014-07-16 도레이첨단소재 주식회사 광학용 폴리에스테르 필름
KR20140091814A (ko) * 2013-01-11 2014-07-23 도레이첨단소재 주식회사 내블로킹성이 우수한 광학용 폴리에스테르 필름
US9726799B2 (en) 2013-03-28 2017-08-08 Lg Chem, Ltd. Method of manufacturing double-sided polarizing plate and double-sided polarizing plate manufactured using the same
WO2015047012A1 (ko) * 2013-09-30 2015-04-02 주식회사 엘지화학 폴리에스테르 수지를 함유하는 프라이머층을 포함하는 광학 필름 및 이를 이용한 편광판
KR20150037596A (ko) * 2013-09-30 2015-04-08 주식회사 엘지화학 폴리에스테르 수지를 함유하는 프라이머층을 포함하는 광학 필름 및 이를 이용한 편광판
US10144831B2 (en) 2013-09-30 2018-12-04 Lg Chem, Ltd. Optical film comprising primer layer containing polyester resin and polarizing plate using same
KR20200091523A (ko) * 2019-01-22 2020-07-31 도레이첨단소재 주식회사 폴리에스테르 보호필름 및 그 제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243051B1 (ko) 2013-03-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43051B1 (ko) 광학용 폴리에스테르 필름
KR101050216B1 (ko) 고분자 기재
KR101080263B1 (ko) 이접착성과 내구성이 향상된 프라이머층을 갖는 폴리에스터계 적층필름
KR101218147B1 (ko) 굴절율 조절이 용이한 광학용 폴리에스테르 필름
KR101317404B1 (ko) 굴절율 조절이 용이한 프라이머층을 갖는 고투명 광학용 폴리에스테르 필름
KR101149538B1 (ko) 굴절율 조절이 용이한 프라이머층을 갖는 광학용 폴리에스테르 필름
KR101493517B1 (ko) 광학용 폴리에스테르 필름
KR101218148B1 (ko) 굴절율 조절이 용이한 광학용 폴리에스테르 필름
KR101621316B1 (ko) 밀착력이 우수한 고기능성 프라이머층을 구비한 고분자 기재 및 그를 이용한 광학기재
KR101621317B1 (ko) 밀착력이 우수한 고기능성 프라이머층을 구비한 고분자 기재 및 그를 이용한 광학기재
KR101567223B1 (ko) 광학용 폴리에스테르 필름
KR20200003491A (ko) 광학용 폴리에스테르 필름
KR101577374B1 (ko) 광학용 폴리에스테르 필름
KR20140087796A (ko) 접착성이 개선된 광학용 폴리에스테르 필름
KR101623075B1 (ko) 광학용 폴리에스테르 필름
KR101234613B1 (ko) 내열성이 우수한 광학용 폴리에스테르 필름
KR20170090859A (ko) 폴리에스테르 필름
KR20170090919A (ko) 내수성이 향상된 폴리에스테르 필름의 제조방법
KR20090060467A (ko) 광학용 이축배향 폴리에스테르 적층필름
KR20120053670A (ko) 폴리에스테르계 광학용 필름
KR102030183B1 (ko) 내블로킹성이 우수한 광학용 폴리에스테르 필름
KR20170094870A (ko) 블로킹성이 개선된 폴리에스테르 필름
KR101954453B1 (ko) 고분자 블렌드를 이용한 굴절율 조절이 용이한 광학용 폴리에스테르 필름
KR20160118087A (ko) 내열성이 우수한 광학용 폴리에스테르 필름
KR101555690B1 (ko) 광학용 폴리에스테르 필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303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303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305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307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304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