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071201A - 컵 세척기 - Google Patents

컵 세척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071201A
KR20120071201A KR1020100132833A KR20100132833A KR20120071201A KR 20120071201 A KR20120071201 A KR 20120071201A KR 1020100132833 A KR1020100132833 A KR 1020100132833A KR 20100132833 A KR20100132833 A KR 20100132833A KR 20120071201 A KR20120071201 A KR 2012007120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in
washing
cup
rod
rotating shaf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13283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민수
Original Assignee
이민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민수 filed Critical 이민수
Priority to KR1020100132833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20071201A/ko
Publication of KR2012007120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71201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15/00Washing or rinsing machines for crockery or tableware
    • A47L15/0065Washing or rinsing machines for crockery or tableware specially adapted for drinking glasses
    • A47L15/0068Washing or rinsing machines for crockery or tableware specially adapted for drinking glasses with brushes or similar scraping members

Abstract

컵 세척기를 개시한다. 본 발명은 프레임;과, 프레임 내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며, 내부에는 제 1 분사공이 형성되며, 일단부에는 제 1 분사공과 연통되어서 컵의 내면으로 세척수를 분사하는 통로를 제공하는 개구가 형성된 주 세척봉;과, 주 세척봉의 주위를 따라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며, 컵의 외면을 세척하도록 주 세척봉과 연동하는 복수의 부 세척봉;과, 주 세척봉에 결합되며, 상기 제 1 분사공과 연통되어서 세척수의 경로를 제공하는 제 2 분사공이 형성된 주 회전축;과, 각각의 부 세척봉에 결합된 복수의 부 회전축;과, 부 세척봉 주위에 적어도 하나 설치되며, 컵의 외면으로 세척수를 분사하는 노즐부;와, 주 회전축과, 노즐부에 연결되어서, 세척수를 다같이 공급하는 세척수 공급부;와, 주 세척봉과, 부 세척봉을 동기화시켜서 회전시키는 구동부;를 포함하되, 복수의 세척봉을 동시에 회전시키면서 컵의 내외면에 세척수를 분사하는 것에 의하여 컵의 세척이 용이하게 이루어진다.

Description

컵 세척기{Cup washing machine}
본 발명은 컵 세척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컵의 내외면을 다같이 용이하게 세척할 수 있는 식기 세척기에 관한 것이다.
통상적으로, 일반 가정이나, 대중 음식점 등에서 컵과 같은 용기를 세척하기 위해서는 수동적 방식과 기계적 방식이 있다. 수동적 방식으로는 사람의 손에 의존하는 것이다. 예컨대, 세제를 컵에 도포한 다음에 수세미와 같은 것을 이용하여 용기의 내외면을 닦고, 수돗물을 이용하여 세척하게 되는 것이다. 기계적 방식으로는 행거에 다수의 용기를 걸고, 일측부에 설치된 노즐부로부터 세제를 분사한 다음, 다음 단계에서 수돗물을 고압으로 분사하여 용기를 세척하게 된다.
그런데, 사람의 손에 의존하는 수동적 방식은 용기를 깨끗하게 세척한다는 점에서는 유리하다고 할 수 있으나, 빠른 시간 내에 대량의 용기를 세척시에는 세척이 형식에 그쳐서 청결하지 못하게 된다. 또한, 개별적인 용기마다 세척하여야 하므로, 세척 시간이 길어지게 되어서 제때에 음식들의 공급이 원활하게 이루어지지 않거나, 과다한 인력이 필요하게 된다.
고압의 세척수를 이용하는 기계적 방식은 수동식 방식에 비하여 상당히 빠른 시간 내에 용기의 세척이 가능하지만, 단순히 고압의 분사력에 의하여 용기의 세척이 이루어지게 되므로, 오물 등의 만족한 세척이 안되어서 위생상 좋지 않은 경우가 허다하다.
본 발명은 컵과 같은 용기의 내외면을 신속하고, 청결하게 세척할 수 있는 컵 세척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컵 세척기는,
프레임;
상기 프레임 내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며, 내부에는 제 1 분사공이 형성되며, 일단부에는 상기 제 1 분사공과 연통되어서 컵의 내면으로 세척수를 분사하는 통로를 제공하는 개구가 형성된 주 세척봉;
상기 주 세척봉의 주위를 따라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컵의 외면을 세척하도록 상기 주 세척봉과 연동하는 복수의 부 세척봉;
상기 주 세척봉에 결합되며, 상기 제 1 분사공과 연통되어서 세척수의 경로를 제공하는 제 2 분사공이 형성된 주 회전축;
상기 각각의 부 세척봉에 결합된 복수의 부 회전축;
상기 부 세척봉 주위에 적어도 하나 설치되며, 상기 컵의 외면으로 세척수를 분사하는 노즐부;
상기 주 회전축과, 노즐부에 연결되어서, 세척수를 다같이 공급하는 세척수 공급부; 및
상기 주 세척봉과, 부 세척봉을 동기화시켜서 회전시키는 구동부;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주 세척봉에는 상기 제 1 분사공이 길이 방향을 따라 형성되며, 타단부에는 상기 주 회전축의 일단부가 삽입되어서 결합되며, 상기 제 1 분사공과 연통되는 제 1 결합 홈이 형성되며,
상기 주 회전축은 상기 제 2 분사공이 길이 방향을 따라 내부에 형성되며, 상기 제 2 분사공은 상기 제 1 분사공에 대하여 연통되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주 세척봉의 타단부에는 상기 제 1 결합 홈의 입구를 폭 방향으로 가로지르는 제 1 체결 홈이 형성되며, 상기 주 회전축에는 상기 제 1 결합 홈을 통하여 삽입시 상기 제 1 체결 홈에 대응되는 부분에 제 1 체결 공이 형성되며,
상기 제 1 체결 홈 및 상기 체1 체결 공에는 이를 관통하여 삽입되어서 상기 주 세척봉에 대하여 주 회전축을 고정시키는 체결 핀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주 회전축의 제 2 분사공 내로 세척수 파이프가 인입되며,
상기 주 회전축의 타단부 측에는 상기 세척수 파이프를 통하여 세척수를 공급하는 상기 세척수 공급부가 연결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부 세척봉의 단부에는 길이 방향으로 상기 부 회전축의 일단부가 삽입되어서 결합되는 제 2 결합 홈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구동부는,
상기 주 회전축에 연결된 제 1 기어;
상기 복수의 부 회전축에 각각 연결되며, 상기 주 기어와 연동하여 다같이 회전가능한 복수의 제 2 기어; 및
상기 제 1 기어 또는 제 2 기어중 어느 하나에 연결된 구동 모우터;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프레임 내에는 상기 구동부가 설치된 부분을 구획하는 적어도 하나의 플레이트가 더 설치되고,
상기 주 회전축과, 부 회전축은 상기 플레이트를 관통하여 설치되고,
상기 플레이트를 관통하는 주 회전축 및 부 회전축의 외면에는 베어링이 더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프레임의 상부에는 이를 커버하는 커버 플레이트가 더 설치되고,
상기 커버 플레이트에는 상기 주 세척봉을 향하여 상기 컵을 삽입하는 컵 삽입공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커버 플레이트에는 상기 용기에 세제수를 공급하는 세제수 공급대가 더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컵 세척기는 다음과 같은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첫째, 복수의 세척봉을 동시에 회전시키면서 컵의 내외면에 세척수를 분사하는 것에 의하여 컵의 세척이 용이하게 이루어진다.
둘째, 세척봉의 사용중 어느 하나의 세척봉이 고장이 날 경우에는 해당 세척봉만 교체사용하면 되는 잇점이 있다.
셋째, 컵의 세척과 행굼이 동시에 이루어진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일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등록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컵 세척기를 일부 절제하여 도시한 분리 사시도,
도 2는 도 1의 컵 세척기가 결합된 상태의 일부를 도시한 단면도,
도 3은 도 1의 주 세척봉과 주 회전축을 도시한 분리 사시도,
도 4는 도 1의 구동부를 도시한 평면도.
본 발명은 다양한 변환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환,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제 1, 제 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 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구성 요소들은 용어들에 의하여 한정되어서는 안된다.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한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 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 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의 일 실시예를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하며,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함에 있어, 동일하거나 대응하는 구성 요소는 동일한 도면 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컵 세척기(100)를 일부 절제하여 도시한 분리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컵 세척기(100)가 결합된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 3은 도 1의 주 세척봉과, 주 회전축을 도시한 분리 사시도이고, 도 4는 도 1의 구동부(107)를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상기 컵 세척기(100)는 프레임(101)과, 상기 프레임(101) 내에 수용되는 주 세척봉(102)과, 상기 주 세척봉(102) 주위에 설치되는 부 세척봉(103)과, 상기 주 세척봉(102)과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는 주 회전축(104)과, 상기 부 세척봉(103)과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는 부 회전축(105)과, 상기 주 회전축(104)에 연결된 세척수 공급부(106)와, 상기 주 세척봉(102) 및 부 세척봉(103)을 동기화시켜서 회전시키는 구동부(107)를 포함한다.
상기 프레임(101)은 상기 주 세척봉(102), 부 세척봉(103), 주 회전축(104), 부 회전축(105), 세척수 공급부(106), 및 구동부(107)를 수용할 수 있는 공간을 제공한다. 상기 프레임(101)은 스테인레스와 같은 금속재나, 고분자 수지와 같은 사출재를 이용하여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주 세척봉(102)은 상기 프레임(101) 내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상기 주 세척봉(102)은 상기 프레임(101)을 수평으로 구획하는 제 1 플레이트(108) 상에 위치한다. 상기 주 세척봉(102)은 원통형이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팔각형과 같은 다른 형상으로도 형성가능하다.
상기 주 세척봉(102)의 내부에는 제 1 분사공(109)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제 1 분사공(109)은 상기 주 세척봉(102)의 길이 방향을 따라 형성된다. 상기 주 세척봉(102)의 일단부(110)에는 개구공(111)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개구공(111)은 상기 제 1 분사공(109)과 연통된다.
상기 주 세척봉(102)의 타단부(112)에는 제 1 결합 홈(113)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제 1 결합 홈(113)은 상기 타단부(112)의 중앙으로부터 상기 주 세척봉(102)의 길이 방향을 따라 소정 길이 인입된 공간이다. 상기 제 1 결합 홈(113)에는 상기 주 회전축(104)이 결합되어 있다.
상기 주 세척봉(102)의 외면에는 세척 솔(114)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세척 솔(114)은 상기 주 세척봉(102)의 외주면(115)과, 일단부(110)에 다같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세척 솔(114)은 천연 수지나, 합성 수지나, 스펀지나, 천등 어느 하나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에 따라, 상기 주 세척봉(102)의 일단부(110)를 통하여 컵(200)이 삽입되어 상기 컵(200)이 상기 주 세척봉(102)의 둘레를 감싼 상태에서, 상기 주 세척봉(102)이 회전하게 되면, 상기 컵(200)의 내면은 상기 제 1 분사공(109)을 통하여 분사되는 세척수와, 회전하는 세척 솔(114)에 의하여 세척이 가능하다.
상기 주 세척봉(102)의 주위에는 복수의 부 세척봉(103)이 설치되어 있다. 상기 부 세척봉(103)은 상기 주 세척봉(102)과 연동하여 회전가능하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부 세척봉(103)은 상기 주 세척봉(102)의 둘레를 따라 상기 제 1 플레이트(108) 상에 4개 설치되어 있으나, 상기 부 세척봉(103)의 개수는 적어도 하나 이상만 설치되면 그 개수는 한정되지 않는다. 상기 부 세척봉(103)의 형상은 원통형을 이루고 있다.
상기 부 세척봉(103)의 일단부(115)에는 제 2 결합 홈(116)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제 2 결합 홈(116)은 상기 일단부(115)의 중앙으로부터 상기 부 세척봉(103)의 길이 방향을 따라 소정 길이 인입된 공간이다. 상기 제 2 결합 홈(116)에는 상기 부 회전축(105)이 결합되어 있다. 상기 부 세척봉(103)의 외면에는 세척 솔(143)이 형성되어 있다. 이때, 상기 주 세척봉(102)과 부세척봉(103) 사이에는 상기 컵(200)이 위치할 수 있는 최소한의 간격을 유지하고 있다.
이에 따라, 상기 부 세척봉(103)이 회전하게 되면, 상기 컵(200)의 외면은 회전하는 세척 솔(143)에 의하여 세척이 가능하다.
상기 주 회전축(104)은 상기 주 세척봉(102)과 함께 회전가능하게 결합되어 있다. 상기 주 회전축(104)의 일단부(117)는 상기 주 세척봉(102)의 타단부(112)로부터 형성된 제 1 결합 홈(113)에 삽입 결합가능하다. 이때, 상기 주 회전축(104)의 외경(Ø2)은 상기 주 세척봉(102)의 제 1 분사공(109)의 직경(Ø1)보다 크게 형성되는 것이 분사시에 누수 현상을 방지할 수 있어서 바람직하다.
상기 주 회전축(104)의 내부에는 제 2 분사공(119)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제 2 분사공(119)은 상기 주 회전축(104)의 길이 방향을 따라 형성되어 있다. 상기 제 2 분사공(119)은 상기 제 1 분사공(109)과 연통되어서, 세척수가 분사되는 경로를 제공한다.
상기 제 2 분사공(119) 내에는 세척수 파이프(133)가 삽입될 수 있다. 상기 세척수 파이프(133)는 세척수를 공급하는 세척수 공급부(106)와 연결되어 있다. 상기 세척수 파이프(133)는 상기 세척수 공급부(106)로부터 공급되는 세척수를 상기 제 2 분사공(119)을 경유하여 상기 제 1 분사공(109)로 공급하는 통로 역할을 한다. 대안으로는, 상기 세척수 파이프(133)없이, 상기 주 회전축(104)의 타단부(118)가 상기 세척수 공급부(106)에 직접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주 세척봉(102)에 대하여 주 회전축(104)의 결합을 견고하게 하기 위하여, 고정 부재가 더 설치될 수 있다.
즉, 상기 주 세척봉(102)의 타단부(112)에는 제 1 체결 홈(120)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체결 홈(120)은 상기 제 1 결합 홈(113)의 입구를 폭 방향으로 가로질러 일자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상기 주 회전축(104)에는 제 1 체결 공(121)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제 1 체결 공(121)은 상기 주 회전축(104)이 상기 제 1 결합 홈(113)으로 삽입시 상기 제 1 체결 홈(120)과 대응되는 위치에서의 상기 주 회전축(104)을 두께 방향으로 관통하여 형성되어 있다. 연통되는 상기 제 1 체결 홈(120)과, 제 1 체결 공(121)에는 체결 핀(122)이 삽입된다.
따라서, 상기 제 1 결합 홈(113)으로 상기 주 회전축(104)이 삽입되면, 상기 제 1 체결 홈(120) 및 제 1 체결 공(121)을 통하여 체결 핀(122)이 결합되어서, 상기 주 세척봉(102)에 대하여 주 회전축(104)이 고정될 수 있다. 상기 주 세척봉(102)에 대하여 주 회전축(104)이 고정되는 방식은 상기한 체결 방식 이외에도 후크 결합등 다양한 방식이 있다 할 것이다.
상기 부 회전축(105)은 상기 부 세척봉(103)과 함께 회전가능하게 결합되어 있다. 상기 부 세척봉(103)에 대하여 부 회전축(105)의 결합을 견고하게 하기 위하여 고정 부재가 설치될 수 있다.
상기 부 세척봉(103)의 단부(115)에는 상기 주 세척봉(102)의 경우처럼 제 2 체결 홈(123)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제 2 체결 홈(123)은 상기 제 2 결합 홈(116)의 입구를 폭 방향으로 가로질러 일자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상기 부 회전축(105)에는 제 2 체결 공(124)이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 제 2 결합 홈(116)으로 상기 부 회전축(105)이 삽입되면, 상기 제 2 체결 홈(123) 및 제 2 체결 공(124)을 통하여 체결 핀(125)이 결합되어서, 상기 부 세척봉(103)에 대하여 부 회전축(105)이 고정될 수 있다.
상기 구동부(107)는 상기 주 세척봉(102)과, 부 세척봉(103)을 동기화시켜서 회전시켜 준다.
상기 구동부(107)는 상기 주 회전축(104)에 연결된 주 기어(126)와, 상기 부 회전축(105)에 연결된 부 기어(127)와, 상기 주 기어(126)나 부 기어(127)중 어느 하나에 연결되어서 구동원을 제공하는 구동 모우터(128)를 포함한다.
상기 주 기어(126)는 상기 주 회전축(104)의 외면에 결합되어 있다. 상기 부 기어(127)는 각각의 부 회전축(105)마다 설치되어 있다. 상기 부 기어(127)는 상기 부 회전축(105)의 외면에 결합되어 있다. 상기 주 기어(126)에 대하여 복수의 부 기어(127)는 회전가능하게 맞물려 있다. 상기 복수의 부 회전축(105)중 어느 하나의 부 회전축에는 상기 구동 모우터(128)가 연결되어 있다. 상기 구동 모우터(128)는 속도 조절, 예컨대 초당 3 내지 5 의 저속 회전이 가능한 감속기 모우터가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처럼, 상기 1개의 주 회전축(104)과, 4개의 부 회전축(105)은 1개의 주 기어(126)와 4개의 부 기어(127)에 의하여 서로 연동가능하게 설치되어 있고, 상기 구동 모우터(128)의 구동력으로 동시에 회전가능하다.
상기 주 기어(126)에 대하여 4개의 부 기어(127)는 상기 프레임(101)을 수평으로 구획하는 제 1 플레이트(108)와, 상기 제 1 플레이트(108)의 아래쪽에 설치된 제 2 플레이트(129) 사이의 공간에서 서로 연결되어 있다.
대안으로는, 상기 주 기어(126) 및 부 기어(127) 대신에 벨트와 풀리 등 상기 주 기어(126)와 부 기어(127)를 연동시킬 수 있는 구동 수단이라면 어느 하나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상기 주 회전축(104)과, 부 회전축(105)은 상기 제 1 플레이트(108)와, 제 2 플레이트(129)를 관통하여 위치하고 있다. 상기 주 회전축(104)과, 부 회전축(105)은 상기 프레임(101)의 수직 방향으로 설치되며, 상기 제 1 플레이트(108) 상에서 상기 주 회전축(104)에 대하여 주 세척봉(102)이 결합되며, 상기 부 회전축(105)에 대하여 부 세척봉(103)이 결합되어 있다.
상기 제 1 플레이트(108)을 관통하여 주 회전축(104)의 둘레와, 부 회전축(105)의 둘레에는 각각 제 1 링 베어링(130)이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제 2 플레이트(129)를 관통하여 주 회전축(104)의 둘레와, 부 회전축(105)의 둘레에는 각각 제 2 링 베어링(131)이 설치되어 있다.
상기 프레임(101) 내에는 적어도 하나의 노즐부(132)가 설치되어 있다. 상기 노즐부(132)는 복수의 부 세척봉(103)과 인접한 위치에 설치되어 있다. 상기 노즐부(132)의 단부는 주 세척봉(102)의 상부에 위치하며, 상기 컵(200)을 향하여 아랫 방향으로 세척수의 분사가 가능하다. 상기 노즐부(132)는 상기 세척수 공급부(106)로부터 세척수의 공급이 가능하다.
상기 세척수 공급부(106)는 상기 주 회전축(104)과, 노즐부(132)에 다같이 세척수를 공급하기 위하여 결합되어 있다. 상기 제 2 플레이트(129)에는 나사부(144)가 형성되고, 상기 나사부(144)에는 보울트와 같은 체결부(134)가 나사 결합되어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주 회전축(104)의 타단부(118) 측에는 제 1 세척수 공급관(135)을 통하여 제 2 분사공(119)과 연통되도록 삽입된 세척수 파이프(133)을 통하여 세척수의 공급이 가능하다. 적어도 하나의 노즐부(132)에도 제 2 세척수 공급관(136)이 연결되어서, 세척수의 공급이 가능하다. 상기 제 1 세척수 공급관(135)과, 제 2 세척수 공급관(136)은 솔레노이드 밸브와 같은 분배관(137)에 결합되어서 세척수의 공급 경로를 선택적으로 개폐가능하다.
게다가, 일정한 수압을 유지하기 위하여 수압 조절기나, 오작동을 방지하기 위한 자동 감지 센서가 더 설치될 수 있다.
한편, 상기 프레임(101)의 상부에는 커버 플레이트(138)가 더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커버 플레이트(138)에는 중앙에 컵 삽입공(139)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컵 삽입공(139)은 이를 통하여 컵(200)이 삽입가능한 크기이다. 상기 커버 플레이트(138)는 상기 컵(200)의 세척시 세척수가 외부로 튀어나오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설치된다. 또한, 상기 커버 플레이트(138)에는 세제수 공급대(140)가 더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세제수 공급대(140)에는 세제수(141)를 저장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컵 세척기(100)의 작용을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어부(142)를 통하여 전원을 온 시키면, 상기 솔레노이드 밸브(137)가 작동하여서 상기 제 1 세척수 공급관(135)과, 제 2 세척수 공급관(136)을 통하여 세척수를 공급하게 된다.
이와 동시에, 구동 모우터(107)가 작동하게 된다. 상기 구동 모우터(107)가 작동하게 되면, 상기 구동 모우터(107)에 연결된 1개의 부 회전축(105)이 회전하게 된다. 이에 따라, 상기 부 회전축(105)의 외면에 결합된 1개의 제 2 기어(127)가 회전하게 되고, 상기 제 2 기어(127)에 맞물린 제 1 기어(126)가 회전하게 된다. 상기 제 1 기어(126)가 회전하게 되면, 상기 제 1 기어(126)에 맞물린 다른 3개의 제 2 기어(127)가 회전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제 1 기어(126)에 결합된 주 회전축(104)이 회전하고, 이와 동시에 복수의 부 회전축(105)이 회전하게 되고, 상기 주 회전축(104)에 결합된 주 세척봉(102)이 회전하게 되고, 상기 부 회전축(105)에 결합된 복수의 부 세척봉(103)이 회전하게 된다.
한편, 상기 컵(200)의 내외면에는 커버 플레이트(138)에 설치된 세제수 공급대(140)에 저장된 세제수(141)를 도포하고, 상기 커버 플레이트(138)에 형성된 컵 삽입공(139)을 통하여 삽입하여서, 상기 주 세척봉(102)의 일단부(110)를 통하여 거꾸로 끼워 넣는다.
이어서, 상기 제 1 세척수 공급관(135)을 통하여 공급된 세척수는 주 회전축(104)의 타단부(118)를 통하여 삽입된 세척수 파이프(133)로 공급된다. 상기 세척수 파이프(133)로 공급된 세척수는 이와 연통되는 상기 주 회전축(104)의 제 2 분사공(119)으로 공급된다.
다음으로, 세척수는 상기 제 2 분사공(119)과 연통되는 주 세척봉(102)의 제 1 분사공(109)으로 공급된다. 상기 제 1 분사공(109)으로 공급된 세척수는 상기 주 세척봉(102)의 일단부(110)에 형성되며, 상기 제 1 분사공(109)과 연통된 개구공(111)을 통하여 상기 컵(200)의 내면으로 분사된다.
이에 따라, 상기 컵(200)의 내면은 상기 주 세척봉(102)의 외면에 설치된 세척 솔(114)의 회전에 의하여 이물질을 제거하는 세척 공정과, 상기 개구공(111)을 통하여 분사된 세척수에 의하여 헹굼 공정이 동시에 이루어진다.
한편, 제 2 세척수 공급관(136)을 통하여 공급된 세척수는 노즐부(132)로 공급된다. 상기 노즐부(132)로 공급된 세척수는 상기 컵(200)의 위쪽에서 상기 컵(200)의 외면으로 분사된다.
이에 따라, 상기 컵(200)의 외면은 상기 복수의 부 세척봉(103)의 외면에 설치된 세척 솔(143)의 회전에 의하여 이물질을 제거하는 세척 공정과, 상기 노즐부(132)를 통하여 분사된 세척수에 의하여 헹굼 공정이 동시에 이루어진다.
상기와 같은 공정을 통하여 컵(200)의 내면과 외면에 대하여 세척 공정과 헹굼 공정이 완료되면, 전원을 오프하는 것에 의하여 컵(200)의 세척이 용이하게 이루어진다.
100...컵 세척기 101...프레임
102...주 세척봉 103...부 세척봉
104...주 회전축 105...부 회전축
106...세척수 공급부 107...구동부
109...제 1 분사공 114...세척 솔
119...제 2 분사공 120..제 1 체결 홈
121...제 1 체결 공 122...체결 핀
126...주 기어 127...부 기어
128...구동 모우터 130...제 1 베어링
131...제 2 베어링 132...노즐부
133...세척수 파이프 138...커버 플레이트
140...세제수 공급대 200...컵

Claims (9)

  1. 프레임;
    상기 프레임 내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며, 내부에는 제 1 분사공이 형성되며, 일단부에는 상기 제 1 분사공과 연통되어서 컵의 내면으로 세척수를 분사하는 통로를 제공하는 개구가 형성된 주 세척봉;
    상기 주 세척봉의 주위를 따라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컵의 외면을 세척하도록 상기 주 세척봉과 연동하는 복수의 부 세척봉;
    상기 주 세척봉에 결합되며, 상기 제 1 분사공과 연통되어서 세척수의 경로를 제공하는 제 2 분사공이 형성된 주 회전축;
    상기 각각의 부 세척봉에 결합된 복수의 부 회전축;
    상기 부 세척봉 주위에 적어도 하나 설치되며, 상기 컵의 외면으로 세척수를 분사하는 노즐부;
    상기 주 회전축과, 노즐부에 연결되어서, 세척수를 다같이 공급하는 세척수 공급부; 및
    상기 주 세척봉과, 부 세척봉을 동기화시켜서 회전시키는 구동부;를 포함하는 컵 세척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주 세척봉에는 상기 제 1 분사공이 길이 방향을 따라 형성되며, 타단부에는 상기 주 회전축의 일단부가 삽입되어서 결합되며, 상기 제 1 분사공과 연통되는 제 1 결합 홈이 형성되며,
    상기 주 회전축은 상기 제 2 분사공이 길이 방향을 따라 내부에 형성되며, 상기 제 2 분사공은 상기 제 1 분사공에 대하여 연통되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컵 세척기.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주 세척봉의 타단부에는 상기 제 1 결합 홈의 입구를 폭 방향으로 가로지르는 제 1 체결 홈이 형성되며, 상기 주 회전축에는 상기 제 1 결합 홈을 통하여 삽입시 상기 제 1 체결 홈에 대응되는 부분에 제 1 체결 공이 형성되며,
    상기 제 1 체결 홈 및 상기 체1 체결 공에는 이를 관통하여 삽입되어서 상기 주 세척봉에 대하여 주 회전축을 고정시키는 체결 핀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컵 세척기.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주 회전축의 제 2 분사공 내로 세척수 파이프가 인입되며,
    상기 주 회전축의 타단부 측에는 상기 세척수 파이프를 통하여 세척수를 공급하는 상기 세척수 공급부가 연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컵 세척기.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부 세척봉의 단부에는 길이 방향으로 상기 부 회전축의 일단부가 삽입되어서 결합되는 제 2 결합 홈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컵 세척기.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부는,
    상기 주 회전축에 연결된 제 1 기어;
    상기 복수의 부 회전축에 각각 연결되며, 상기 제 1 기어와 연동하여 다같이 회전가능한 복수의 제 2 기어; 및
    상기 제 1 기어 또는 제 2 기어중 어느 하나에 연결된 구동 모우터;를 포함하는 컵 세척기.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 내에는 상기 구동부가 설치된 부분을 구획하는 적어도 하나의 플레이트가 더 설치되고,
    상기 주 회전축과, 부 회전축은 상기 플레이트를 관통하여 설치되고,
    상기 플레이트를 관통하는 주 회전축 및 부 회전축의 외면에는 베어링이 더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컵 세척기.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의 상부에는 이를 커버하는 커버 플레이트가 더 설치되고,
    상기 커버 플레이트에는 상기 주 세척봉을 향하여 상기 컵을 삽입하는 컵 삽입공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컵 세척기.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 플레이트에는 상기 용기에 세제수를 공급하는 세제수 공급대가 더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기 세척기.
KR1020100132833A 2010-12-22 2010-12-22 컵 세척기 KR20120071201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32833A KR20120071201A (ko) 2010-12-22 2010-12-22 컵 세척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32833A KR20120071201A (ko) 2010-12-22 2010-12-22 컵 세척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71201A true KR20120071201A (ko) 2012-07-02

Family

ID=4670630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132833A KR20120071201A (ko) 2010-12-22 2010-12-22 컵 세척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20071201A (ko)

Cited B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4720721A (zh) * 2015-04-09 2015-06-24 厦门理工学院 一种电动洗杯机
CN104840168A (zh) * 2015-05-24 2015-08-19 慈溪市南盾电器有限公司 水杯清洗器
CN105032867A (zh) * 2014-04-30 2015-11-11 郑铉澔 容器清洗机
CN109013500A (zh) * 2018-08-23 2018-12-18 李振兴 一种全自动豆浆机清洗装置
CN109316148A (zh) * 2018-10-22 2019-02-12 李绍豪 一种杯子清洗器
KR101922641B1 (ko) 2017-09-14 2019-02-20 전주대학교 산학협력단 무동력 용기 내부 세척 장치
KR20200001891U (ko) * 2019-02-19 2020-08-27 김복운 조리용 솥 세척장치
KR102165462B1 (ko) * 2020-02-03 2020-10-14 한몽규 컵 자동 세척 시스템
WO2023148483A1 (en) * 2022-02-04 2023-08-10 Lava Wash Ltd Device for cleaning a receptacle

Cited B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5032867A (zh) * 2014-04-30 2015-11-11 郑铉澔 容器清洗机
CN105032867B (zh) * 2014-04-30 2019-04-19 郑铉澔 容器清洗机
CN104720721A (zh) * 2015-04-09 2015-06-24 厦门理工学院 一种电动洗杯机
CN104840168A (zh) * 2015-05-24 2015-08-19 慈溪市南盾电器有限公司 水杯清洗器
KR101922641B1 (ko) 2017-09-14 2019-02-20 전주대학교 산학협력단 무동력 용기 내부 세척 장치
CN109013500A (zh) * 2018-08-23 2018-12-18 李振兴 一种全自动豆浆机清洗装置
CN109316148A (zh) * 2018-10-22 2019-02-12 李绍豪 一种杯子清洗器
KR20200001891U (ko) * 2019-02-19 2020-08-27 김복운 조리용 솥 세척장치
KR102165462B1 (ko) * 2020-02-03 2020-10-14 한몽규 컵 자동 세척 시스템
WO2023148483A1 (en) * 2022-02-04 2023-08-10 Lava Wash Ltd Device for cleaning a receptacle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20071201A (ko) 컵 세척기
KR101423165B1 (ko) 용기 세척기
KR101909028B1 (ko) 식기세척기
JP2019048291A (ja) 容器クリーニング装置
KR20120043214A (ko) 세탁기
CN103882655A (zh) 一种用于清洗衣领、袖口的清洗装置
KR102158951B1 (ko) 물 방사형 브러쉬
KR20110062783A (ko) 싱크대 일체형 식기세척장치
KR101128809B1 (ko) 세탁장치
JP6942299B2 (ja) 洗浄装置
KR20190102405A (ko) 세척구조를 구비한 드럼 제빙기
KR102132213B1 (ko) 젤라틴-키틴 분해 미생물 배양기
CN203807795U (zh) 一种用于清洗衣领、袖口的清洗装置及含有该清洗装置的洗衣机
JP7112645B2 (ja) 洗浄装置
EP3222193B1 (en) A distribution valve
KR101292552B1 (ko) 야채 세척 드럼모듈 및 이를 이용한 야채 겸용 식기 세척기
KR101771853B1 (ko) 공업용 드럼 세탁기
KR100242493B1 (ko) 당구공 세척장치
JP2005000919A (ja) 自動洗濯機の回転槽を洗浄する方法、装置及び洗浄作業自動車
JP5046417B1 (ja) 食品洗浄用脱水カゴの水洗方法及び水洗装置
KR20030084308A (ko) 신발 자동 세척기
JP2000325287A (ja) 食器洗い機
KR200167026Y1 (ko) 세척기의 세척수 균일 분사장치
JP2005245754A (ja) 洗浄機
CN210810877U (zh) 一种喷水座自转及公转的喷臂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