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070626A - 췌장암 치료용 약제학적 조성물 및 췌장암 치료제 스크리닝 방법 - Google Patents

췌장암 치료용 약제학적 조성물 및 췌장암 치료제 스크리닝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070626A
KR20120070626A KR1020110101897A KR20110101897A KR20120070626A KR 20120070626 A KR20120070626 A KR 20120070626A KR 1020110101897 A KR1020110101897 A KR 1020110101897A KR 20110101897 A KR20110101897 A KR 20110101897A KR 20120070626 A KR20120070626 A KR 2012007062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ncreatic cancer
mir
hsa
stem cells
cell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10189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343616B1 (ko
Inventor
송시영
정다운
Original Assignee
연세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연세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연세대학교 산학협력단
Publication of KR2012007062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7062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4361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4361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48/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genetic material which is inserted into cells of the living body to treat genetic diseases; Gene therapy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QMEASURING OR TESTING PROCESSES INVOLVING ENZYMES, NUCLEIC ACIDS OR MICROORGANISMS; COMPOSITIONS OR TEST PAPERS THEREFOR; PROCESSES OF PREPARING SUCH COMPOSITIONS; CONDITION-RESPONSIVE CONTROL IN MICROBIOLOGICAL OR ENZYMOLOGICAL PROCESSES
    • C12Q1/00Measuring or testing processes involving enzymes, nucleic acids or microorganisms; Compositions therefor; Processes of preparing such compositions
    • C12Q1/68Measuring or testing processes involving enzymes, nucleic acids or microorganisms; Compositions therefor; Processes of preparing such compositions involving nucleic acids
    • C12Q1/6876Nucleic acid products used in the analysis of nucleic acids, e.g. primers or probes
    • C12Q1/6883Nucleic acid products used in the analysis of nucleic acids, e.g. primers or probes for diseases caused by alterations of genetic material
    • C12Q1/6886Nucleic acid products used in the analysis of nucleic acids, e.g. primers or probes for diseases caused by alterations of genetic material for cancer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QMEASURING OR TESTING PROCESSES INVOLVING ENZYMES, NUCLEIC ACIDS OR MICROORGANISMS; COMPOSITIONS OR TEST PAPERS THEREFOR; PROCESSES OF PREPARING SUCH COMPOSITIONS; CONDITION-RESPONSIVE CONTROL IN MICROBIOLOGICAL OR ENZYMOLOGICAL PROCESSES
    • C12Q2600/00Oligonucleotides characterized by their use
    • C12Q2600/136Screening for pharmacological compound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Genetics & Genomics (AREA)
  • Proteomics, Peptides & Aminoacid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technology (AREA)
  • Zoolog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Immun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Pathology (AREA)
  • Hospice & Palliative Care (AREA)
  • Oncolog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Biophysics (AREA)
  • Microbiology (AREA)
  • Epidemiology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Biochemistry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asuring Or Testing Involving Enzymes Or Micro-Organis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췌장암 치료용 약제학적 조성물, 이를 이용한 췌장암 진단 및 치료제 스크리닝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췌장암 치료용 약제학적 조성물은 췌장암 암줄기세포의 억제 또는 사멸을 효과적으로 유도하므로 췌장암에서 항암약물 또는 방사선 내성을 극복하고, 전이를 예방하고 췌장암을 근본적으로 치료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췌장암 치료용 약제학적 조성물은 mRNA를 직접적인 타겟으로 하는 것이 아니라, mRNA 레벨을 조절할 수 있는 miRNA 조절을 통해 질병을 치료하므로 안전하다.

Description

췌장암 치료용 약제학적 조성물 및 췌장암 치료제 스크리닝 방법{Pharmaceutical Compositions for Treating Pancreatic Cancer and Screening Method for Pancreatic Cancer Therapeutic Agent}
본 발명은 췌장암 치료용 약제학적 조성물 및 췌장암 치료제 스크리닝 방법에 관한 것이다.
오랫동안 통설로 여겨져 온 암발생 모델은 클론진화설(clonal evolution)로서, "종양은 정상세포가 돌연변이를 거쳐 비정상적인 딸세포를 낳고, 이 딸세포들 역시 돌연변이를 일으켜 유전적으로 다양한 암세포의 덩어리를 형성한다."는 것이다. 그러나 최근 이 모델을 반박하는 암줄기세포(cancer stem cell 또는 tumor initiating cell)설이 주목을 받고 있다. 암줄기세포설의 요체는 인체를 구성하는 장기에는 각기 고유한 성체 줄기세포가 있어서, 장기가 손상을 받을 때 장기를 재생하고 유지하는 역할을 하듯이, 암 조직에도 일반 장기처럼 암 조직을 유지하는 구실을 하는 암줄기세포가 존재하며, 이것이 암의 최초 시작에 관여할 것으로 추측되고 있을 뿐 아니라, 암 치료 후 줄어든 암세포를 재생하는 데 관여함으로써 암의 재발이나 전이 및 항암치료 내성 유발에 깊은 영향을 미친다는 것이다. 따라서 암을 근본적으로 치료하기 위해서는, 기존의 암 치료와 같이 암 조직의 대부분을 차지하는 일반 암세포만을 표적으로 삼는 것도 중요하지만, 암 조직의 극히 일부만 차지하면서도 암의 발병과 유지, 재발에 핵심 구실을 하는 암줄기세포에 초점을 맞춰야 한다. 최근에, 실제로 유방암, 뇌종양, 전립선암, 간암 및 췌장암 등의 몇몇 악성 종양 내에 암줄기세포의 존재가 보고 및 확인되었다. 췌장관 선암종은 실질적으로 치료-저항성이 있는 대단히 공격적인 악성종양으로 알려져 있다. 따라서, 암줄기세포에 대한 더 많은 이해는 조기 진단을 위한 진단용 마커 개발뿐만 아니라, 화학-방사선 저항성 췌장암을 치료하는 데에도 도움이 될 것이다.
마이크로 RNA(micro RNA 또는 miRNA)는 발생, 분화, 증식, 보존 및 아폽토시스 등 다양한 생물학적 과정을 조절한다. 마이크로 RNA는 일반적으로 타겟 mRNA를 불안정하게 하거나, 번역을 방해함으로써 타겟 mRNA를 코딩하는 유전자의 발현을 조절한다. 최근 들어, miRNA와 암줄기세포의 관련성에 관한 증거가 보고되었다. let-7, mir-200 및 mir-181을 포함하는 몇몇 miRNA는 다양한 기관의 암줄기세포 내에서 조절기능을 갖는다. 그러나, 췌장암을 포함하는 다른 암 내 miRNA는 아직 보고된 바 없다.
본 명세서 전체에 걸쳐 다수의 논문 및 특허문헌이 참조되고 그 인용이 표시되어 있다. 인용된 논문 및 특허문헌의 개시 내용은 그 전체로서 본 명세서에 참조로 삽입되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의 수준 및 본 발명의 내용이 보다 명확하게 설명된다.
본 발명자들은 췌장암의 재발을 방지하고 췌장암을 근본적으로 치료하기 위하여 췌장암줄기세포를 타겟으로 하는 신규 암치료제 개발을 위해 예의 연구 노력해 왔다. 그 결과 췌장암줄기세포에서 특이적으로 다르게 발현하는 36가지의 마이크로 RNA를 동정하고 이들의 레벨을 조절하여 췌장암줄기세포를 억제 및 사멸시킬 수 있음을 밝혀냄으로써, 본 발명을 완성하게 되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췌장암줄기세포에서 특이적으로 다르게 발현하는 췌장암 치료용 마이크로 RNA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상기 마이크로 RNA를 이용한 췌장암 치료용 약제학적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암줄기세포를 가지는 췌장암 진단 마커를 검출하는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췌장암 치료제의 스크리닝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췌장암 치료시 항암치료 내성 극복의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 및 이점은 하기의 발명의 상세한 설명, 청구범위 및 도면에 의해 보다 명확하게 된다.
본 발명의 일 양태에 따르면, 본 발명은 (a) 서열목록 제1서열 내지 제22서열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뉴클레오타이드 서열로 이루어진 마이크로 RNA 또는 그의 단편의 약제학적 유효량; 및 (b)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담체를 포함하는 췌장암 치료용 약제학적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자들은 췌장암의 재발을 방지하고 췌장암을 근본적으로 치료하기 위하여 췌장암 암줄기세포를 타겟으로 하는 신규 암치료제 개발을 위해 예의 연구 노력해 왔다. 그 결과 췌장암 암줄기세포에서 특이적으로 다르게 발현하는 36가지의 마이크로 RNA를 동정하고 이들의 레벨을 조절하여 췌장암줄기세포를 억제 및 사멸시킬 수 있음을 밝혀냄으로써, 본 발명을 완성하게 되었다.
본 발명의 서열목록 제1서열은 마이크로 RNA인 hsa-miR-448, 제2서열은 hsa-miR-154*, 제3서열은 hsa-miR-424, 제4서열은 hsa-miR-155, 제5서열은 hsa-miR-575, 제6서열은 hsa-miR-512-3p, 제7서열은 hsa-miR-29a, 제8서열은 hsa-miR-29b, 제9서열은 hsa-miR-19a, 제10서열은 hsa-miR-106a, 제11서열은 hsa-miR-517b , 제12서열은 hsa-miR-302d , 제13서열은 hsa-miR-645 , 제14서열은 hsa-miR-99a , 제15서열은 hsa-miR-518e, 제16서열은 hsa-miR-125b, 제17서열은 hsa-miR-100, 제18서열은 hsa-miR-599, 제19서열은 hsa-miR-625, 제20서열은 hsa-miR-497, 제21서열은 hsa-miR-15b, 그리고 제22서열은 hsa-miR-195의 뉴클레오타이드 서열이다.
상기 서열목록 제1서열 내지 제22서열에 해당하는 마이크로 RNA는 췌장암줄기세포 내에서 특이적으로 발현이 감소하는 특성을 나타내며, 이들 마이크로 RNA를 췌장암줄기세포에 주입하는 경우 췌장암줄기세포의 억제 및 사멸을 유도한다. 즉 본 발명의 췌장암 치료용 조성물은 췌장암줄기세포의 성장억제, 분화억제 또는 사멸을 유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췌장암 치료용 조성물은 췌장암 줄기세포를 그 타겟으로 하여 췌장암의 근본적 치료를 가능하게 하므로 화학항암요법 내성 극복 또는 방사선 치료 내성극복을 위해 효과적으로 사용될 수 있다.
일 구현예에서, 본 발명의 조성물은 상기 마이크로 RNA 자체를 포함할 수도 있으나 그의 단편을 포함할 수도 있으며, 상기 마이크로 RNA의 단편은 상기 마이크로 RNA의 종자서열(seed sequence)을 포함하는 폴리뉴클레오타이드인 것을 특징으로한다.
본 명세서에 사용되는 용어 “종자서열(seed sequence)”은 마이크로 RNA가 타겟을 인식할 때 완전한 상보성을 가지고 결합하는 miRNA 내 일부 영역의 뉴클레오타이드 서열을 의미하며, 이는 miRNA가 타겟에 결합하기 위해 필수적으로 요구되는 부분이다.
용어, “약제학적 유효량”은 췌장암줄기세포의 성장억제, 분화억제 또는 사멸을 적절히 유도하여 상기 췌장암 치료제의 약리학적 효과를 나타내는 데 필요한 양을 의미한다.
본 발명의 약제학적 조성물에 포함되는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담체는 제제시에 통상적으로 이용되는 것으로서, 락토스, 덱스트로스, 수크로스, 솔비톨, 만니톨, 전분, 아카시아 고무, 인산 칼슘, 알기네이트, 젤라틴, 규산 칼슘, 미세결정성 셀룰로스, 폴리비닐피롤리돈, 셀룰로스, 물, 시럽, 메틸 셀룰로스, 메틸히드록시벤조에이트, 프로필히드록시벤조에이트, 활석, 스테아르산 마그네슘 및 미네랄 오일 등을 포함하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약제학적 조성물은 상기 성분들 이외에 윤활제, 습윤제, 감미제, 향미제, 유화제, 현탁제, 보존제 등을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적합한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담체 및 제제는 Remington's Pharmaceutical Sciences (19th ed., 1995)에 상세히 기재되어 있다.
본 발명의 약제학적 조성물은 경구 또는 비경구로 투여할 수 있고, 비경구 투여인 경우에는 정맥내 주입, 피하 주입, 근육 주입, 복강 주입, 경피 투여 등으로 투여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약제학적 조성물의 적합한 투여량은 제제화 방법, 투여 방식, 환자의 연령, 체중, 성, 병적 상태, 음식, 투여 시간, 투여 경로, 배설 속도 및 반응 감응성과 같은 요인들에 의해 다양하게 처방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약제학적 조성물의 투여량은 바람직하게는 1일 당 0.001 ㎍/kg-100 mg/kg(체중)이다.
본 발명의 약제학적 조성물은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는 방법에 따라,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담체 및/또는 부형제를 이용하여 제제화함으로써 단위 용량 형태로 제조되거나 또는 다용량 용기내에 내입시켜 제조될 수 있다. 이때 제형은 오일 또는 수성 매질중의 용액, 현탁액 또는 유화액 형태이거나 엑스제, 분말제, 과립제, 정제 또는 캅셀제 형태일 수도 있으며, 분산제 또는 안정화제를 추가적으로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양태에 따르면, 본 발명은 (a) 서열목록 제23서열 내지 제36서열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뉴클레오타이드 서열로 이루어진 마이크로 RNA에 상보적인 올리고뉴클레오타이드 또는 그의 단편의 약제학적 유효량; 및 (b)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담체를 포함하는 췌장암 치료용 약제학적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서열목록 제23서열 내지 제36서열의 miRNA와 관련있는 췌장암 치료용 약제학적 조성물은 역시 서열목록 제1서열 내지 제22서열의 miRNA와 관련되는 췌장암 치료용 약제학적 조성물과 마찬가지로, 췌장암 암줄기세포에서 특이적으로 다르게 발현하는 miRNA를 조절하여 췌장암 암줄기세포를 억제 또는 사멸시키는 것을 목적으로 하는 것이므로, 이 둘 사이에 공통된 내용은 반복 기재에 따른 명세서의 과도한 복잡성을 피하기 위하여, 그 기재를 생략한다.
본 발명의 서열목록 제23서열은 hsa-miR-498, 제24서열은 hsa-miR-551a, 제25서열은 hsa-miR-485-3p, 제26서열은 hsa-miR-373*, 제27서열은 hsa-miR-429, 제28서열은 hsa-miR-630, 제29서열은 hsa-miR-192, 제30서열은 hsa-miR-142-3p, 제31서열은 hsa-miR-549, 제32서열은 hsa-miR-559, 제33서열은 hsa-miR-384, 제34서열은 hsa-miR-641, 제35서열은 hsa-miR-489 그리고 제36서열은 hsa-miR-526b*의 뉴클레오타이드 서열이다.
상기 서열목록 제23서열 내지 제36서열에 해당하는 마이크로 RNA는 췌장암 암줄기세포 내에서 특이적으로 발현이 증가하는 특성을 나타낸다. 이들 miRNA를 억제할 수 있는 물질 예컨대 상기 miRNA에 상보적인 올리고뉴클레오타이드로서 상기 miRNA에 특이적으로 혼성화되는 프라이머, 프로브 또는 안타고미어(antagomir)를 췌장암 암줄기세포에 주입하는 경우 췌장암 암줄기세포의 억제 및 사멸을 유도한다. 즉 본 발명의 췌장암 치료용 조성물은 췌장암 암줄기세포의 성장억제, 분화억제 또는 사멸을 유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miRNA에 상보적인 올리고뉴클레오타이드, 즉 안티센스 올리고뉴클레오타이드는 다양한 분자를 포함한다. 안티센스 올리고뉴클레오타이드는 DNA 또는 RNA 분자이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RNA 분자이다. 선택적으로 , 본 발명에서 이용되는 안티센스 올리고뉴클레오타이드는 리보뉴클레오타이드(RNA), 디옥시리보뉴클레오타이드(DNA), 2‘-O-변형 올리고뉴클레오타이드, 포스포로티오에이트-백본 디옥시리보뉴클레오타이드, PNA(peptide nucleic acid) 또는 LNA(locked nucleic acid)이다. 2‘-O-변형 올리고뉴클레오타이드는 바람직하게는 2’-O-알킬 올리고뉴클레오타이드이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2’-O-C1 -3 알킬 올리고뉴클레오타이드이며, 가장 바람직하게는 2’-O-C1 -3 메틸 올리고뉴클레오타이드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서 안티센스 올리고뉴클레오타이드는 서열목록 제23서열 내지 제36서열에 해당하는 마이크로 RNA에 상보적인 서열을 가지는 핵산-기반 억제제를 포함하는 포괄적인 의미를 갖는다. 본 발명의 안티센스 올리고뉴클레오타이드에 포함되는 것은, 예를 들어 좁은 의미의 안티센스 올리고뉴클레오타이드, 안타고미어 및 억제 RNA 분자를 포함한다.
용어 “안타고미어는 내성적 miRNA를 사일런싱하기 위해 디자인된 올리고뉴클레오타이드를 의미하며, 분해를 방지하기 위하여 변형된 형태로서 사용될 수 있다. 안타고미어는 단일-가닥 화학적-변형 리보뉴클레오타이드로서 서열목록 제23서열 내지 제36서열에 해당하는 마이크로 RNA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바람직하게는 완전하게 상보적인 서열을 갖는다. 안타고미어는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변형 뉴클레오타이드(예컨대, 2'-O-메틸-당 변형)를 포함한다. 어떤 구현예에 따르면, 안타고미어는 변형 뉴클레오타이드만을 포함한다. 안타고미어는 하나 또는 그 이상의 포스포로티오에이트 결합을 포함하며 이에 부분적으로 또는 완전히 포스포로티오에이트 백본을 갖게 된다. 인 비보 운반 및 안정성을 개선하기 위하여, 안타고미어는 그의 3‘-말단에 콜레스테롤 또는 다른 부위를 결합시킬 수 있다.
서열목록 제23서열 내지 제36서열에 해당하는 마이크로 RNA 기능의 억제는 전형적인 안티센스 올리고뉴클레오타이드를 투여하여 달성될 수 있다. 안티센스 올리고뉴클레오타이드는 리보뉴클레오타이드 또는 디옥시리보뉴클레오타이드이다. 바람직하게는, 안티센스 올리고뉴클레오타이드는 적어도 하나의 화학적 변형을 포함한다. 안티센스 올리고뉴클레오타이드는 하나 또는 그 이상의 LNAs(Locked nucleic acids)를 포함할 수 있다. LNA는 변형 리보뉴클레오타이드로서 리보오스 당 부위의 2‘ 내지 4’ 탄소 사이에 추가적인 브리지를 포함하여 잠금(locked) 형태를 가지게 되며 이에 LNA가 있는 올리고뉴클레오타이드는 개선된 열 안정성을 가지게 된다. 택일적으로, 안티센스 올리고뉴클레오타이드는 PNAs(peptide nucleic acids)를 포함할 수 있으며, 이는 당-포스페이트 백본 대신에 펩타이드-기반 백본을 포함한다. 안티센스 올리고뉴클레오타이드가 포함할 수 있는 다른 화학적 변형은, 2'-O-알킬(예컨대, 2'-O-메틸, 2'-O-메톡시에틸), 2'-플루오로 및 4'-티오 변형과 같은 당 변형; 포스포로티오에이트, 모포리노 또는 포스포노카복실레이트 결합과 같은 백본 변형(예컨대, 미국 특허 제6,693,187호 및 제7,067,641호)을 포함한다.
서열목록 제23서열 내지 제36서열에 해당하는 마이크로 RNA의 기능을 억제하는 다른 접근 방식은 억제 RNA 분자를 투여하는 것이며, 상기 억제 RNA 분자는 서열목록 제23서열 내지 제36서열에 해당하는 마이크로 RNA의 성숙 서열에 상보적인 서열을 포함한다. 이러한 억제 RNA 분자는 이중가닥 siRNA(small interfering RNA), shRNA(short hairpin RNA) 및 라이보자임을 포함한다.
일 구현예에서, 본 발명의 조성물은 상기 마이크로 RNA에 상보적인 폴리뉴클레오타이드 자체를 포함할 수도 있으나 그의 단편을 포함할 수도 있으며, 상기 단편은 특히 miRNA의 종자서열(seed sequence)을 포함하는 폴리뉴클레오타이드 영역에 결합할 수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서 규명한 상기 36가지의 miRNA는 췌장암 암줄기세포에서 특이적으로 발현이 감소하거나 또는 증가하는 것으로서, 췌장암 암줄기세포의 특성을 규정짓는 하나의 특징이라 할 것이다. 상기 36가지의 miRNA는 췌장암 암줄기세포 존재를 확인 하는 것뿐만 아니라, 췌장암의 암줄기세포의 진단 및 췌장암의 예후 판단을 위해서도 사용될 수 있다.
또한, 췌장암 암줄기세포에서 다르게 발현하는 상기 36가지의 miRNA의 조절은 위에서 상세히 설명한 바와 같이 췌장암 치료에 이용될 수 있다. 특히 어떤 특정 암줄기세포 유전자를 차단하여도 암을 실질적으로 성장 억제를 하기가 쉽지 않은 현실에서, 마이크로 RNA가 여러 분자들을 조절한다는 점을 고려한다면, 췌장암 암줄기세포에서 특이적으로 발현하는 상기 마이크로 RNA를 조절하는 것은 암줄기세포를 공략하기 위한 매우 현실적인 방법일 수 있다. 그 뿐만 아니라, 상기 방법은 항암제 내성 또는 방사선 치료 내성 극복을 위해 사용될 수 있다는 점에서도 그 가치가 크다고 할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양태에 따르면, 본 발명은 암줄기세포를 가지는 췌장암 진단에 필요한 정보를 제공하기 위하여 인간의 췌장 세포 시료에 있는 서열목록 제1서열 내지 제36서열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뉴클레오타이드의 발현 수준을 측정하는 방법을 통해 암줄기세포로를 가지는 췌장암 진단 마커를 검출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상기 서열목록 제1서열 내지 제36서열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뉴클레오타이드의 발현 수준을 측정하기 위한 분석 방법으로는 당업계에 공지된 방법을 사용할 수 있으며, 예컨대 RT-PCR, 경쟁적 RT-PCR, 실시간 RT-PCR, RNase 보호 분석법(RNase protection assay), 노던블롯팅(Nothern blotting), DNA 칩 등이 있으나 반드시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암줄기세포를 가지는 췌장암 진단 마커를 검출하는 본 발명의 방법은 인간의 췌장 세포 시료로부터 서열목록 제1서열 내지 제36서열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뉴클레오타이드의 발현 수준을 측정하고, 상기 측정된 발현 수준을 정상 대조군 시료의 뉴클레오타이드 발현 수준과 비교하는 방법으로 수행된다.
상기 인간의 췌장 세포 시료는 바람직하게는 췌장암 세포 시료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암줄기세포를 가지는 췌장암 진단 마커를 검출하는 방법을 췌장암 환자의 세포 시료를 가지고 수행하는 경우, 시료를 채취한 환자의 췌장암 예후를 판단할 수 있게 된다.
상기 정상 대조군 시료란, 암에 걸리지 않은 인간으로부터 채취한 췌장 세포, 암이 없는 정상 췌장 세포, 암줄기세포를 포함하지 않는 것으로 이미 확인된 시료로서, 예컨대 비 점착성 배양 조건 하에서 구를 형성하지 않는 등 암줄기세포를 포함하지 않는 것으로 확인된 췌장암 세포주 시료, 또는 악성이 아닌 것으로 확인된 췌장암 환자의 암 세포 시료 등을 포함하며, 반드시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바람직하게는 암줄기세포를 포함하지 않는 것으로 확인된 췌장암 세포주 시료 또는 악성이 아닌 것으로 확인된 췌장암 환자의 암 세포 시료일 수 있다. 상기 정상 대조군 시료 내 서열목록 제1서열 내지 제36서열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뉴클레오타이드의 발현 수준도 상술한 바와 동일한 방법을 사용하여 측정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서, 상기 발현수준 측정은 상기 뉴클레오타이드에 특이적인 프라이머를 이용하는 역전사효소 중합효소반응법을 이용하여 수행된다. 상기의 역전사효소 중합효소반응은 반응 후 전기영동하여 밴드 패턴과 밴드의 두께를 확인함으로써 상기 뉴클레오타이드의 발현 여부와 정도를 확인 가능하고 이를 대조군과 비교함으로써, 췌장암줄기세포를 간편하게 검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구현예에서, 상기 발현수준 측정은 DNA 칩을 이용하여 수행된다. 상기 DNA 칩은 상기 제1서열 내지 제36서열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뉴클레오타이드 또는 그 단편에 해당하는 핵산이 유리 같은 기판에 고밀도로 부착되어 있는 DNA 칩을 이용하는 것으로서, 시료에서 총RNA를 분리하고, 그 말단 또는 내부를 형광 물질로 표지된 cDNA 프로브를 조제하여, DNA 칩에 혼성화시킨 다음 췌장암줄기세포 포함여부를 간단하게 판독할 수 있다.
상기 검출 방법들을 통하여, 정상 대조군에서의 miRNA 발현량과 암줄기세포 검출 대상인 췌장암 환자에서의 miRNA 발현량을 비교할 수 있으며, 상기 발현량의 유의한 변화 여부를 판단하여 췌장암 환자 시료 내 암줄기세포 포함여부를 진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1서열 내지 제22서열의 경우, 환자 시료의 상기 뉴클레오타이드 발현 수준이 정상 대조군 시료의 뉴클레오타이드 발현 수준의 70% 미만인 경우 췌장암 암줄기세포를 포함하는 것으로 판단한다. 반면, 제23서열 내지 제36서열의 경우는, 환자 시료의 상기 뉴클레오타이드 발현 수준이 정상 대조군 시료의 뉴클레오타이드 발현 수준의 150% 이상인 경우 췌장암 암줄기세포를 포함하는 것으로 판단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양태에 따르면, 본 발명은 (a) 제1서열 내지 제22서열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뉴클레오타이드를 발현하는 세포에 시험물질을 접촉시키는 단계; 및 (b) 상기 시험물질이 상기 뉴클레오타이드의 발현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시험물질이 상기 뉴클레오타이드의 발현을 증가시키면 암 치료제로 판정하는 췌장암 치료제의 스크리닝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양태에 따르면, 본 발명은 (a) 제23서열 내지 제36서열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뉴클레오타이드를 발현하는 세포에 시험물질을 접촉시키는 단계; 및 (b) 상기 시험물질이 상기 뉴클레오타이드의 발현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시험물질이 상기 뉴클레오타이드의 발현을 감소시키면 암 치료제로 판정하는 췌장암 치료제의 스크리닝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자들은 상기 제1서열 내지 제22서열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뉴클레오타이드의 경우, 일반 췌장 암세포와 달리 췌장암 암줄기세포 내에서 그 발현이 현저히 감소한다는 사실을 발견하였다. 마이크로 RNA인 상기 뉴클레오타이드 발현의 현저한 감소는 타겟 RNA 발현의 현저한 증가로 이어지게 된다. 일반 췌장 암세포와는 달리 췌장암 암줄기세포 내에서만 타겟 RNA 발현이 특이적으로 현저하게 증가한다는 것은 그것이 코딩하고 있는 단백질이 암줄기세포의 생존에 있어 필수적인 요소임을 지시하며, 이의 발현을 차단하는 물질은 암줄기세포의 성장 억제 및 사멸을 유도함으로써 췌장암의 근본적 치료에 도움이 되는 물질, 즉 췌장암 치료제로 판정된다.
반면, 상기 제23서열 내지 제36서열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뉴클레오타이드는, 일반 췌장 암세포와 달리 췌장암 암줄기세포 내에서만 그 발현이 특이적으로 현저히 증가하는 뉴클레오타이드로서, 동일한 원리에 의하여 시험물질이 상기 뉴클레오타이드의 발현을 감소시키면 암 치료제로 판정된다.
상기 본 발명의 스크리닝 방법에 의해 동정되는 췌장암 치료제는 암 조직의 대부분을 차지하는 일반 암세포만를 타겟으로 하는 것이 아니라, 암 조직의 극히 일부만 차지하면서도 암의 발병과 유지, 재발에 핵심 구실을 하는 췌장암 암줄기세포를 그 타겟으로 하므로, 췌장암의 근본적인 치료를 가능하게 한다. 특히 어떤 특정 암줄기세포 유전자를 차단하여도 암을 실질적으로 성장 억제를 하기가 쉽지 않은 현실에서, 마이크로 RNA가 여러 분자들을 조절한다는 점을 고려한다면, 췌장암 암줄기세포에서 특이적으로 발현하는 상기 마이크로 RNA를 조절하는 것은 암줄기세포를 공략하기 위한 매우 현실적인 방법이라 할 것이다. 또한, 상기 방법은 항암제 내성 또는 방사선 치료 내성 극복을 위해 사용될 수 있다는 점에서도 그 가치가 크다고 할 것이다.
본 발명의 특징 및 이점을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ⅰ) 본 발명은 췌장암 치료용 약제학적 조성물, 이를 이용한 췌장암 진단 및 치료제 스크리닝 방법을 제공한다.
(ⅱ) 본 발명의 췌장암 치료용 약제학적 조성물은 췌장암 암줄기세포의 억제 또는 사멸을 효과적으로 유도하므로 췌장암의 전이를 예방하고 항암치료 내성을 극복하여 췌장암을 근본적으로 치료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ⅲ) 또한, 본 발명의 췌장암 치료용 약제학적 조성물은 mRNA를 직접적인 타겟으로 하는 것이 아니라, mRNA 레벨을 조절할 수 있는 miRNA 조절을 통해 질병을 치료하므로 안전하다.
도 1은 인간의 정상 세포주 및 췌장암 세포주를 대상으로 구형 형성 실험을 수행한 결과를 나타낸 것이다. 진한 테두리로 표시한 4개의 세포주(Capan-1, Capan-2, HPAC 및 hYGIC6)가 스피어를 형성한 것을 확인 할 수 있다.
도 2는 Capan-1, HPAC 및 hYGIC6의 구 및 부착배양세포 간에 miRNA 발현 패턴 관계를 계급모양 클러스터링을 사용하여 분석한 결과이다. YS는 hYGIC6 sphere, YA는 hYGIC6 adherent, CS는 Capan-1 sphere, CA는 Capan-1 adherent, HS는 HPAC sphere, HA는 HPAC adherent를 나타낸다.
도 3은 표 1의 다르게 발현하는 36개의 miRNA 중 6개의 miRNA를 선정하여, Capan-1, Capan-2, HPAC 및 hYGIC6 세포주에 대하여 qRT-PCR을 수행한 결과이다.
도 4는 다르게 발현된 mRNA와 다르게 발현된 miRNA의 상관관계를 나타내는 교차 상관관계 히트 맵이다. 높은 상관관계는 및 낮은 상관관계는 각각 적색 및 녹색으로 표시하였다.
도 5는 췌장암줄기세포에서 특이적으로 발현량이 감소되는 mir-99a, mir-106a 및 mir-125b의 과발현이 췌장암줄기세포 구 형성능력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 결과이다. scramble은 비교군이고, anti99a는 mir-99a의 antagomir이다.
도 6은 mir-99a, mir-106a 및 mir-125b의 과발현에 의한 췌장암줄기세포의 항암제 민감성 변화를 분석한 결과이다.
도 7은 mir-99a, mir-106a 및 mir-125b의 과발현에 의한 췌장암줄기세포의 방사선 민감성 변화를 분석(MTT 분석)한 결과이다.
도 8은 mir-99a, mir-106a 및 mir-125b의 과발현에 의한 췌장암줄기세포의 방사선 민감성 변화를 분석(콜로니 형성능 분석)한 결과이다.
이하,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을 더욱 상세히 설명 하고자 한다. 이들 실시예는 오로지 본 발명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요지 따라 본 발명의 범위가 이들 실시예에 의해 제한되지 않는다는 것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자명할 것이다.
실시예
실험재료 및 방법
1. 세포 배양
모든 인간 췌장암 세포주를 ATCC(American Type Culture Collection; Manassas, VA)로부터 구입하고, 성장 배지에서 유지 배양하였다. 즉, AsPC-1 및 BxPC-3 세포는 10% 우태아혈청(FBS; Hyclone, Logan, UT)을 포함하는 RPMI1640(Invitrogen Gibco, Grand Island, NY)에서 배양하였고, Capan-1 및 CFPAC-1 세포는 10% FBS를 포함하는 IMDM(Invitrogen Gibco)에서 배양하였다. Capan-2 세포는 10% FBS를 포함한 맥코이 5a(Invitrogen Gibco)에서, 그리고 MIA PaCa-2 세포는 10% FBS 및 2.5% 마혈청(Hyclone)을 포함하는 DMEM(Invitrogen Gibco)에서 배양하였다. HPAC 세포는 10% FBS를 포함하는 DMEM/햄 F12(D/F12; Invitrogen Gibco)에서, 그리고 PANC-1 세포는 10% FBS를 포함하는 DMEM에서 배양하였다. 인간 췌장관 상피(HPDE) 세포는 밍 사운드 차오 박사로부터 제공받아 0.2 ng/ml EGF 및 30 ㎍/ml BPE(bovine pituitary extract, Invitrogen Gibco)를 포함하는 케라티노사이트 혈청-프리(KSF) 배지에서 배양하였다.
SV40-T 항원으로 형질 전환한 인간 정상 췌장관 세포(hYGIC6; unpublished)는 10 % FBS를 포함한 Waymouth MB 752/1(Sigma, St. Louis, MO)에서 배양하였다.
2. 구(sphere) 형성
세포를 트립신 처리하고 단일 세포 현탁액을 현미경을 사용하여 확인하였다. 그 다음 PBS로 세척하고 EGF(10 ng/ml, R&D Systems Inc., Minneapolis, MN), bFGF(10 ng/ml, R&D Systems Inc.), LIF(10 ng/ml, Chemicon, Billerica, MA), 1ITS(insulin transferring selenium, Gibco) 및 0.5% FBS을 보충한 혈청 프리 D/F12 배지에 1000 세포/ml의 비율로 재현탁시켰다. 상기 세포 현탁액을 37℃, 5 % CO2 대기 환경 하에서 6-웰 울트라 로우 클러스터 플레이트(Corning Inc., Corning NY)에 7일 동안 접종하고 수집하였다. 대조군으로는 상기 구 형성 배지와 동일한 배지를 포함하는 배양 접시(Nalgene Nunc Int., Rochester, NY)에 부착시킨 부착성 배양 세포를 사용하였다.
3. cDNA 마이크로어레이
RNaesy 미니 키트(Qiagen, Valentia, CA)를 사용하여 제조사 지시에 따라 총 RNA를 추출하였다. 총 RNA를 ND-1000 나노드롭 분광기(NanoDrop Technologies, Inc., DE)를 사용하여 정량 분석하고, Agilent 2100 생분석기(Agilent Technologies, Santa Clare, CA)에 의해 RNA 6000 나노 칩(Agilent Technologies)을 사용하여 정성 분석하였다. 마이크로어레이 실험 절차는 제조사 프로토콜에 따라 수행하였다. 디지털 제노믹스(Seoul, Korea)로 cDNA 마이크로어레이 분석을 수행하였다. 간략히 정리하면, 각각의 총 RNA 6 ㎍ 분량을 사용하여 이중사 cDNA를 준비하고, 비오틴-표지(IVT 라벨링 키트; Affymetrix)를 하여 증폭하였다. 상기 표지된 cDNA를 조각내어 Affymetrix GeneChip 인간 지놈 U133 플러스 2.0 고농도 올리고뉴클레오타이드 어레이(Affymatrix, Santa Clara, CA)에 혼성화시켰다. 그 다음 마이크로어레이를 Genechip Fluidics 스테이션 450(Affymetrix)으로 세척하고 Genechip 어레이 스캐너 3000 7G (Affymetrix)를 사용하여 스캔하였다. Affymetrix 발현 Console 소프트웨어 버전 1.1을 사용하여 발현 데이터를 생성시키고, 이를 MAS5 알고리즘 표준화하였다. raw .cel 파일 내 발현 강도 데이터는 MAS5 알고리즘으로 표준화하여 잡음을 감소시켰다.
적어도 하나의 샘플 군 내 50%가 넘는 샘플에서, MAS5 탐지 콜에 의할 때 프레즌트 콜이 아닌 프로브 세트는 걸러내었다. 두 그룹 간에 다르게 발현하는 유전자를 결정하기 위하여 MASS 발현 값에 대하여 짝지은 t-테스트를 수행하였다. p-값이 0.05 미만인 유전자를 추출하고 1.5배가 넘는 차이를 보이는 유전자를 고려하였다. 0.01 미만의 p-값을 중요하게 고려하고 affy-패키지 2.8(Biodonductor)을 사용하여 모더레이트 t-통계를 계산하였다. 그 다음 affymatrix 프로브 ID를 Unigene ID로 변환하였다. 모든 개별적인 칩 분석은 독립적인 총 RNA 샘플에 대하여 2회 반복 수행하였다.
4. miRNA 칩 분석
제조사 지시에 따라 mirVana miRNA 분리 키트(Ambion, Austin, TX)를 사용하여 총 RNA를 추출하였다. 총 RNA를 ND-1000 나노드롭(NanoDrop Technologies, Inc., DE)을 사용하여 정량 분석하고, 아질런트 2100 생분석기(Agilent Technologies) 및 RNA 6000 나노 칩(Agilent Technologies)을 사용하여 정성 분석하였다. miRNA 마이크로어레이 실험은 제조사 프로토콜에 따라 수행하였고, 디지털 지노믹스(Seoul)를 사용하여 miRNA 마이크로어레이 결과를 분석하였다. 즉, 37℃에서 30분 동안 각각의 총 RNA 샘플 100 ng 분량을 송아지 장 포스파타제(GE Healthcare, Piscataway, NJ)로 처리하고, 100℃에서 5분간 열 블록 하에 100% DMSO(Sigma)로 변성시키고, 그 다음 RNA가 재 어닐링 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얼음 수조 내로 이전시켰다. 그 다음 T4 RNA 리가아제(GE Healthcare)를 사용하여 16℃에서 2시간 동안 반응시켜 RNA 샘플을 pCp-Cy3로 표지하였다. 상기 표지된 샘플을 Agilent 인간 8X15K miRNA 마이크로어레이(Agilent Technologies)에 혼성화시켰다. 혼성화는 SureHyb 챔버(Agilent Technologies) 내 55℃에서 24시간 동안 수행하였다. 그 다음 마이크로어레이를 세척하고 Agilent 마이크로어레이 스캐너(G2505B; Agilent Technologies)를 사용하여 스캔하였다. 상기 스캔한 이미지는 www. Agilent.com/chem/feprotocols 사이트에서 miRNA 발현 분석을 위해 제공되는 프로토콜에 따라 Feature 추출 소프트웨어 9.5.3(www.agilent.com/chem/fe)을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전체 유전자 군에 대한 프로브 중요도에 적용되는 T-테스트 p-값을 가지고 0.01 미만부터 0.01까지의 세트 측정의 데이터 변형을 사용하여 평준화를 수행하였다. 독립적인 총 RNA 샘플에 대하여 모든 개별적 칩 분석을 2회 반복 수행하였다.
5. 정량적 RT - PCR
TaqMan 역전사 키트(Applied Biosystems, Foster City, CA), TaqMan miRNA 분석기(Applied Biosystems) 및 TaqMan 유전자 발현 마스터 믹스를 사용하여 제조사 프로토콜에 따라 역전사 및 정량적 역전사 PCR(qRT-PCR)를 수행하였다. qRT-PCR는 ABI 프리즘 7300 시퀀스 탐지 시스템(Applied Biosystems)을 사용하여 수행하였고, 성숙한 miRNA 및 U6 snRNA는 Ambion로부터 구입하였다. PCR 증폭 프로그램은 95℃ 10분간의 개시단계와 95℃ 30초, 56℃ 30초 및 72℃ 15초로 이루어지는 PCR 40 사이클 단계로 구성되었다. 표준 곡선을 구하고 타겟 유전자 miRNA의 상대적인 양을 U6 snRNA에 대하여 평준화하였다. 샘플 내 상대적인 miRNA의 양은 비교 Ct 방법(△Ct-△Ct부착배양세포=△△Ct; 상대량=2-△△ Ct)을 사용하여 계산하였고, 배수변화값(fold change)으로 전환시켰다. 모든 qRT-PCR은 독립적인 총 RNA 샘플에 대하여 3회 반복 수행하였다.
6. miRNA mRNA 의 상관관계
문헌 [1]에 의해 기재된 분석 방법에 따라 miRNA 및 mRNA 어레이 데이터를 표준화하고 선형 모델을 사용하여 실험적 효과를 보정하였다.
각각의 miRNA 및 mRNA 로그-발현 동태는 선형 모델과 일치하였는데, 여기에서 각각의 실험 군에 대한 부가적 효과는 최소 좌승법을 사용하여 산정하였다. 본 발명자들은 복제된 실험 데이터로부터 miRNA 및 mRNA 발현의 상관관계를 바르게 산정하기 위하여 CORREP 도서관의 cor 기능을 사용하였고, 통계적 소프트웨어 R 내 gplots 도서관(http://www.r-project.org)의 heatmap.2 기능을 사용하여 히트 맵(heat map)을 작성하였다.
실험결과
1. 췌장암 세포주 내 구( sphere ) 형성
인간의 정상 췌장 세포주인 HPDE 및 hYGIC6와 함께, AsPC-1, BxPC-3, Capan-1, Capan-2, CFPAC-1, MIA PaCa-2, HPAC 및 PANC-1을 포함하는 다양한 인간 췌장암 세포주를 대상으로 구형 형성 실험을 수행하여, 상기 세포주들의 구 형성 능력을 평가하였다. 그 결과 Capan-1, Capan-2, HPAC 및 hYGIC6는 비트로에서 재생 가능한 구를 형성하였다(도 1). AsPC-1 및 HPDE는 단일 세포로서 남아있었고, 다른 세포주들은 뭉친 모양의 세포 다발을 형성하였다. 상기 형성된 구와 부착된 상태로 배양된 세포를 비교하기 위하여, 구를 형성한 상기 4개의 세포주 중 Capan-1, HPAC 및 hYGIC6를 대상으로 추가 분석을 수행하였다.
2. 전체적인 mRNA 발현 프로파일
Capan-1, HPAC 및 hYGIC6 세포의 구 및 부착배양세포 내 다르게 발현되는 유전자를 분석하기 위하여 칩 분석법을 수행하였다. 유전자 발현 프로파일을 분석하기 위하여, 본 발명자들은 Affymetrix GeneChip HG U133을 사용하였다. 상기 구를 부착배양세포와 비교한 결과 Capan-1 내 2066 유전자, HPAC 내 1684 유전자 및 hYGIC6 내 3832 유전자가 각각 다르게 발현됨을 확인하였고(p<0.05) 유전자 프로브는 단일 유전자 ID로 변환시켰다.
3. 전체적인 miRNA 발현 프로파일
miRNA 발현 프로파일을 분석하기 위하여, 본 발명자들은 Agilent 멀티플렉스 마이크로어레이-베이스 플랫폼을 사용하였다. 칩 상의 470개 인간 miRNA 중에서, 본 발명자들은 프레즌트 콜 유전자 프로브를 선별하여 총 210 프로브를 남기었고 이를 가지고 교차-상관관계 분석을 추가적으로 수행하였다. 수개의 miRNA들이 부착배양세포 내 발현 형태와 다른 발현 형태를 나타내었는데, Capan-1, HPAC 및 hYGIC6의 모든 세포주에서 mir-106a, mir-19a, mir-29a를 포함하는 14개의 miRNA가 다르게 발현됨을 확인 할 수 있었다. 또한, Capan1 및 HPAC 암세포주에서 mir-99a, mir-100, mir-125b을 포함하는 22개의 miRNA가 또 다른 발현 형태를 나타내었다(도 2a). 상기 구 형성 세포 내에서 다르게 발현된 총 36개의 miRNA를 하기 표 1에 정리하였다.
Gene Capan-1 HPAC 서열번호
Fold Change
hsa-miR-448 0.0485 0.193 1
hsa-miR-154* 0.0955 0.117 2
hsa-miR-424 0.134 0.525 3
hsa-miR-155 0.270 0.462 4
hsa-miR-575 0.303 0.544 5
hsa-miR-512-3p 0.561 0.619 6
hsa-miR-29a 0.573 0.477 7
hsa-miR-29b 0.581 0.409 8
hsa-miR-19a 0.612 0.593 9
hsa-miR-106a 0.631 0.596 10
hsa-miR-517b 0.0788 0.347 11
hsa-miR-302d 0.109 0.0669 12
hsa-miR-645 0.121 0.343 13
hsa-miR-99a 0.132 0.274 14
hsa-miR-518e 0.150 0.195 15
hsa-miR-125b 0.169 0.0354 16
hsa-miR-100 0.173 0.00811 17
hsa-miR-599 0.188 0.0973 18
hsa-miR-625 0.359 0.599 19
hsa-miR-497 0.438 0.15 20
hsa-miR-15b 0.582 0.615 21
hsa-miR-195 0.653 0.488 22
hsa-miR-498 1.62 51.6 23
hsa-miR-551a 4.04 4.99 24
hsa-miR-485-3p 5.83 1.84 25
hsa-miR-373* 27.0 110 26
hsa-miR-429 1.53 1.77 27
hsa-miR-630 1.75 1.58 28
hsa-miR-192 2.98 1.51 29
hsa-miR-142-3p 4.59 2.19 30
hsa-miR-549 8.87 8.01 31
hsa-miR-559 10.3 6.60 32
hsa-miR-384 11.5 6.83 33
hsa-miR-641 14.1 7.00 34
hsa-miR-489 17.1 1.63 35
hsa-miR-526b* 41.1 3.17 36
상기 표에서, 암줄기세포에서 발현이 더 적게 되는 것을 서열번호 1번-22번으로, 더 많이 되는 것을 23번-36번으로 배치하였다.
Capan-1, HPAC 및 hYGIC6의 구 및 부착배양세포 간에 miRNA 발현 패턴 관계를 계급모양 클러스터링을 사용하여 분석하였다(도 2b). 상기 클러스터링 결과에 기초할 때, 암 세포주들의 구 또는 부착배양세포 내 miRNA의 전체 발현 패턴은 정상 세포주의 발현 패턴보다 더 근접한 양상을 나타내었다. 또한, 다르게 발현하는 miRNA의 패턴은 클러스터링 결과, 다른 세포 주의 구 또는 부착배양세포보다는, 동일한 세포 주 내에서 더 근접한 양상을 나타내었다.
4. qRT - PCR
mir-106a, mir-19a, mir-29a, mir-99a, mir-100 및 mir-125b를 포함하는 선별된 miRNA에 대한 qRT-PCR 분석을 추가적으로 수행하여, 다르게 발현하는지 여부를 확인하였다. qRT-PCR에 사용한 각각의 miRNA 프로브를 하기 표 2에 정리하였다.
유전자 타겟 서열
U6 snRNA CGCAAGGAUGACACGCAAAUUCGUGAAGCGUUCCAUAUUUUU
hsa-miR-19a UGUGCAAAUCUAUGCAAAACUGA
hsa-miR-100 AACCCGUAGAUCCGAACUUGUG
hsa-miR-29a UAGCACCAUCUGAAAUCGGUU
hsa-miR-99a AACCCGUAGAUCCGAUCUUGUG
hsa-miR-106a AAAAGUGCUUACAGUGCAGGUAGC
hsa-miR-125b UCCCUGAGACCCUAACUUGUGA
Capan-1, Capan-2, HPAC 및 hYGIC6 세포주에 대하여 구형성세포 및 부착배양세포 내 상기 선별된 6개의 miRNA를 발현을 비교분석하였다. 칩 분석 결과 Capan-1, HPAC 및 hYGIC의 구형성 세포 내에서 하향 조절되는 것으로 확인되어 선별된 상기 6개의 miRNA는, qRT-PCR 결과 Capan-2 구형성세포를 포함한 모든 세포주에 대해서도 하향 조절되는 것이 확인되어 상기 칩 데이터와 일치하는 결과를 나타내었다(도 3).
5. 교차-상관관계
본 발명자들은 다르게 발현된 mRNA와 다르게 발현된 miRNA의 관계를 통찰하기 위하여, 선형 모델을 사용하여 교차-상관관계 분석을 수행하였다. 다르게 발현되는 mRNA 중에, 258개의 줄기세포 관련 mRNA 및 210개의 프레즌트 콜 miRNA를 대상으로 하여 추가적 분석을 수행하였다. 첫째, hYGIC6 부착배양세포의 2중 데이터의 평균값을 분석하고 각각에 대하여 Log2(샘플/점착성 hYGIC6 평균) 값을 분석하기 위하여, hYGIC6를 대조군으로 설정하였다. 그 다음 바이오컨덕터의 CORREP 모듈을 사용하여 상관관계를 계산하였다. 페어와이즈 상관관계를 계산한 miRNA 및 mRNA 각각의 로그 발현 동태와 선형 모델이 일치하는 결과, 본 발명자들은 Pearson 상관관계 계수로 색을 입힌 교차 상관관계 히트 맵을 작성하였다(도 4). mRNA와 관련있는 전체 줄기세포는 3개 군으로 분류되었고, miRNA는 각각 6개 군으로 분류되었다. 예를 들어, 분류 2 mRNA는 분류 3,5 miRNA와 높은 상관관계를 보이고 분류 1,2 miRNA와는 낮은 상관관계를 보였다. 높은 상관관계는 및 낮은 상관관계는 각각 적색 및 녹색으로 표시하였다.
6. 췌장암줄기세포의 억제 또는 사멸 유도
췌장암줄기세포에서 특이적으로 발현량이 낮은 22개의 miRNA, 즉 서열목록 제1서열 내지 제22서열의 miRNA 중 임의로 3 가지 miRNA를 선택하여 이를 각각 췌장암 암줄기세포에 인위적으로 과발현 하여 a) 구형성 실험을 통한 췌장암 암줄기세포의 구형성능력 저하, b) 항암제-방사선 처리 후 IC50 값 도출을 통해 항암제 저항성 감소 및 방사선 처리 후 MTT assay를 통한 방사선 정항성을 지닌 세포수의 감소, 그리고 세포 생장속도 측정을 통해 성장의 억제를 유도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a) 구형성 실험을 통한 췌장암 암줄기세포의 구형성능력 저하의 분석
췌장암줄기세포에서 특이적으로 발현량이 감소되는 miRNA, mir-99a, mir-106a 및 mir-125b의 과발현을 유도하도 구 형성능력을 살펴본 결과 구 형성등력의 저하를 관찰하였다. miRNA의 과발현을 유도하기 위해 염기서열에 해당하는 각각의 siRNA(제놀루션, 한국)를 합성 제작하여 60mm 세포 배양접시(Nalgene Nunc Int.)에 배양하는 HPAC 세포에 20nM의 농도로 16ul의 Lipofectamin RNAiMAX(Invitrogen)와 섞은 후 주입하였다. miRNA의 과발현이 유도된 HPAC 세포주는 37℃, 5 % CO2 대기 환경 하에서 8시간 배양한 후 세포를 트립신 처리하고 구형성 실험을 위해 EGF(10 ng/ml, R&D Systems Inc.), bFGF(10 ng/ml, R&D Systems Inc.), LIF(10 ng/ml, Chemicon), 1ITS(insulin transferring selenium, Gibco) 및 0.5% FBS을 보충한 혈청 프리 D/F12(Invitrogen Gibco) 배지에 2000 세포/웰의 비율로 재현탁시켰다. 상기 세포 현탁액을 37℃, 5 % CO2 대기 환경 하에서 6-웰 울트라 로우 클러스터 플레이트(Corning Inc.)에 7일 동안 접종하고 수집하여서 각각의 miRNA 발현에 따르는 구형성 개수를 현미경 아래에서 세었다. 구형성능력의 변화가 siRNA에 의한것임을 확인하기 위해 사용화된 스크램블 siRNA(또는 scramble, 제놀루션)과 mir-99a의 antagomir로 작용하는 2’-O-C1 -3 메틸 올리고뉴클레오타이드 mir-99a(또는 anti99a,제놀루션)를 합성제작하여 동일한 조건에서 병행 실험하였다.
도 5에 기재된 바와 같이, 2000개의 세포를 분주하여 7일 후 구 형성능력을 살펴본 결과, mir-99a, mir-106a 및 mir-125b 각각의 과발현을 통해 58.33± 2.08개의 구가 42± 4.24개, 48.67± 2.72개 및 27.67± 2.08개로 저하되었다.
따라서, 췌장암줄기세포-특이적으로 발현량이 감소되는 것으로 본 발명에서 발굴된 miRNA, 특히 mir-99a, mir-106a 및 mir-125b의 과발현을 통해 췌장암줄기세포에 대한 항종양 효과를 나타낼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b) 항암제 처리 후 MTT 분석을 통한 IC50 값 도출을 통해 항암제 저항성 세포수의 감소 관찰
mir-99a, mir-106a 및 mir-125b의 과발현을 통해 항암제(Gemcitabine) 저항성을 관찰하였다. miRNA의 과발현을 유도하기 위해 염기서열에 해당하는 각각의 siRNA(제놀루션)를 60mm 세포 배양접시(Nalgene Nunc Int.)에 D/F12(Invitrogen Gibco)로배양된 HPAC 세포에 20nM의 농도로 16ul의 Lipofectamin RNAiMAX(Invitrogen)와 섞은 후 주입하였다. miRNA의 과발현이 유도된 HPAC 세포주는 37℃, 5 % CO2 대기 환경 하에서 8시간 배양한 후 세포를 트립신 처리 후 D/F12(Invitrogen Gibco) 배양액에 2.5x105세포/ml 농도로 현탁하여 96-웰 배양접시에 100ul씩 분주하고 37℃, 5 % CO2 대기 환경 하에서 24시간 배양한 후 GEMZAR(Gemcitabine, Eli Lilly and Co., Indianapolis IN.)를 최종농도가 0부터 200nM사이가 되도록 2배의 농도를 100ul씩 각 웰에 처리를 하였다. 약물 처리 72시간 배양액을 제거하고 PBS로 세포를 세척한 후 PBS에 녹인 5mg/ml농도의 MTT(3-[4,5-dimethyl thiazo-2-yl]-2,5-diphenyltetrazolium bromide, Sigma)시약 1ml과 D/F12 배양액 9ml을 섞어서 100ul씩 96-웰에 각각 넣어주고 4시간 37℃, 5 % CO2 대기 환경 하에서 배양하였다. 그 후 배양액을 제거하고 dimethyl sulphoxide(또는 DMSO, Sigma)를 100ul/웰 첨가하여 VersaMax™ 마이크로 플레이트 리더(Associated of Cape Code Inc., East Falmouth, MA) 기기로 570nm 파장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살아있는 세포의 수는 (세포생존률(%)=약을 처리한 세포의 흡광도570파장/약을 처리하지 않은 세포의 흡광도570파장) 공식을 이용하여 산출하였고 절반의 세포가 생존하는 약의 농도(IC50)를 계산하였다. 변화가 siRNA에 의한것임을 확인하기 위해 사용화된 스크램블 siRNA(또는 scramble)와 mir-99a antagomir(또는 anti99)를 이용하여 동일한 조건에서 병행 실험하였다.
실험 결과, 항암제에의 IC50 값이 111.71 nM에서 mir-99a의 발현을 통해 98.91 nM, mir-106a의 발현을 통해 92.19 nM, mir-125b의 발현을 통해 85.71 nM로 각각 감소하였다(참조: 도 6 및 표 3).
따라서, 췌장암줄기세포-특이적으로 발현량이 감소되는 것으로 본 발명에서 발굴된 miRNA, 특히 mir-99a, mir-106a 및 mir-125b의 과발현을 통해 췌장암의 항암제 민감성(sensitivity)을 증가시킬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Figure pat00001
(c) 방사선 처리 후 MTT 분석을 통한 방사선 저항성을 지닌 세포수의 감소
miRNA의 과발현을 유도하기 위해 염기서열에 해당하는 각각의 siRNA(제놀루션)를 60mm 세포 배양접시(Nalgene Nunc Int.)에 D/F12(Invitrogen Gibco)로 배양된 HPAC 세포에 20nM의 농도로 16ul의 Lipofectamin RNAiMAX(Invitrogen)와 섞은 후 주입하였다. miRNA의 과발현이 유도된 HPAC 세포주는 37℃, 5 % CO2 대기 환경 하에서 8시간 배양한 후 세포를 트립신 처리 후 D/F12 배양액에 2.5x103세포/ml 농도로 현탁하여 감마이레이데이터 감마셀 3000엘란(MDS Nordio Inc., ON, Canada) 기계를 이용하여 감마선을 각각 0 Gy, 2 Gy, 4 Gy 및 6 Gy로 처리한 후 96-웰 배양접시에 100ul씩 분주하고 37℃, 5 % CO2 대기 환경 하에서 10일간 배양하였다. 배양액을 제거하고 PBS로 세포를 세척한 후 PBS에 녹인 5mg/ml농도의 MTT(3-[4,5-dimethyl thiazo-2-yl]-2,5-diphenyltetrazolium bromide, Sigma)시약 1ml과 D/F12 배양액 9ml을 섞어서 100ul씩 96-웰에 각각 넣어주고 4시간 37℃, 5 % CO2 대기 환경 하에서 배양하였다. 그 후 배양액을 제거하고 dimethyl sulphoxide(또는 DMSO, Sigma)를 100ul/웰 첨가하여 VersaMax™ 마이크로 플레이트 리더(Associated of Cape Code Inc.) 기기로 570nm 파장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살아있는 세포의 수는 (세포생존률(%)=약을 처리한 세포의 흡광도5 70파장/약을 처리하지 않은 세포의 흡광도570파장) 공식을 이용하여 산출한 값을 백분율로 계산하였다. 변화가 siRNA에 의한것임을 확인하기 위해 사용화된 스크램블 siRNA(또는 scramble)와 mir-99a antagomir(또는 anti99)를 이용하여 동일한 조건에서 병행 실험하였다.
표 4 및 도 7에서 확인할 수 있듯이, mir-99a, mir-106a, mir-125b를 과발현시킨 경우에 2Gy 처리 후 세포의 생존률이 각각 5.19%, 3.32% 및 14.5%가 감소하였고, 4Gy 처리 후 세포의 수가 각각 9.14%, 8,28%, 2.6% 가 감소하였다.
따라서, 췌장암줄기세포-특이적으로 발현량이 감소되는 것으로 본 발명에서 발굴된 miRNA, 특히 mir-99a, mir-106a 및 mir-125b의 과발현을 통해 췌장암의 방산선 민감성(sensitivity)을 증가시킬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Figure pat00002
(d) 방사선 처리 후 콜로니 형성능력으로 보는 방사선 저항성 세포수의 감소
감마선을 각각 0 Gy, 2 Gy, 4 Gy 및 6 Gy로 처리한 세포의 생존수를 확인하기 위해 1000개의 세포를 소프트-아가에 분주하여 살아있는 세포가 형성하는 콜로니의 수를 확인했다. 소프트-아가를 이용한 세포 배양은 6웰 배양 접시에 4%의 아가(Invitrogen Gibco)를 D/F12(Invitrogen Gibco)에 녹인 층과 3%의 아가와 1000개의 세포를 D/F12에 녹인 층을 차례로 분주 한 후 그 위에 3ml의 D/F12를 첨가하여 10일간 37℃, 5 % CO2 대기 환경 하에서 배양하였다. 10일 후 크리스탈 바이올렛(Invitrogen)시약을 100배 희석하여 각 웰에 1ml씩 넣어 형성된 콜로니를 염색한 후 형성된 콜로니의 개수를 현미경으로 확인하였다.
표 5 및 도 8에서 확인할 수 있듯이, 아무것도 처리하지 않은 세포에서 콜로니의 형성능력은 mir-99a, mir-106a, mir-125b를 과발현시킨 경우 각각 12.2%, -6.12% 및 22.4% 감소하였고 2 Gy 처리 후 세포의 수가 각각 40.92%, 49.93% 및 31.79% 감소하였다.
따라서, 췌장암줄기세포-특이적으로 발현량이 감소되는 것으로 본 발명에서 발굴된 miRNA, 특히 mir-99a, mir-106a 및 mir-125b의 과발현을 통해 췌장암의 방산선 민감성(sensitivity)을 증가시킬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Figure pat00003
추가논의
췌장관 선암종은 치료-저항성을 가진 대단히 공격적인 악성종양으로 알려져 있다. 화학치료 저항성 췌장암 극복을 위한 연구에 있어서, 암줄기세포에 내재된 관련 메카니즘이 필요하지만, 췌장암 암줄기세포에 접근하기 위해 사용가능한 정보는 거의 없는 실정이다. 본 발명자들은 췌장암 암줄기세포 내 다르게 발현되는 독특한 miRNA 세트를 동정하였고, 더 나아가 이들 miRNA 레벨을 조절함으로써 췌장암 암줄기세포의 억제 또는 사멸을 유도할 수 있음을 밝혀내었다. 또한 본 발명자들은 더 나아가 miRNA 및 mRNA 발현 동태 간 상관관계를 분석하였다.
기존 보고에 따르면, 정상 세포 및 암 세포 모두 비 부착 배양 조건 하에서 구를 형성할 수 있다는 것은 자가-증식(self renewal) 능력을 갖는 세포라는 것을 의미한다[3-4]. 본 발명자들은 Capan-1, Capan-2 및 HPAC을 포함하는 3개의 암세포주 및 정상세포주 hYGIC6가 구를 형성함을 관찰하였고, 이러한 기법을 사용하여, 암줄기세포를 밀집시켰다. 이러한 구는 비트로에서 구 형성 능력 또는 자가-증식 능력을 상실하지 않고 수회 분열하였다. 다르게 발현하는 miRNA를 분석하기 위하여, 본 발명자들은 3가지 세포주 Capan-1, HPAC 및 hYGIC6를 가지고 실험을 수행하였고, miRNA 칩을 이용하여 전체 miRNA 발현을 분석하였다. miRNA 세포주 클러스터링 결과(도 2)에 근거할 때, 구 또는 부착형태 보다는 동일한 세포 주 내에서 더 근접함이 관찰되었는데, 이는 암줄기세포 생물학과 관련된 적은 수의 miRNA와 관련이 있다. 칩 분석 결과 모든 구 형성 세포에서 14개의 다르게 발현되는 miRNA가 관찰되었다(표 1). 이러한 14개의 miRNA는 암세포 및 정상세포주 모두에서 구 형성에 관계하는 것으로 여겨진다. 추가적으로, 22개의 miRNA가 Capan1 및 HPAC 내에서 다른 발현을 보였으나, hYGIC6 내에서는 거의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다(표 1). 이러한 miRNA는 암세포주 및 정상세포주를 차별할 수 있다.
본 발명자들은 선형 모델을 채택하고, 상호작용할 것으로 예상되는 miRNA 및 관련 mRNA에 대한 교차-상관관계 클러스터링을 분석하였다. 문헌[1]에 따르면 이러한 상관관계 기법은 mRNA와 각각의 miRNA 발현 레벨과의 상관관계를 분석하고, mRNA 및 miRNA 사이의 관련성을 분석하는데 도움을 준다. 구 및 부착 배양된 세포 내 발현 패턴에 근거하여 다르게 발현하는 miRNA의 6개 군을 동정하였다. 줄기세포군과 교차-상관관계를 갖는 개별 군은 mRNA와 양성적으로 또는 음성적으로 관련될 수 있는데, 이는 독특한 규칙을 갖는 것으로 여겨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제 5군의 miRNA는 제2군 mRNA 각각에 매우 양성적으로 관련된다. 직접적인 타겟을 확인하기 위하여 PicTar(http://pictar.mdc-berlin.de/)와 TargetScan(http://www.targetscan.org/)[6]을 사용하여 타켓 예측을 컴퓨터 처리하고 제 5군 miRNA타켓으로 기대되는 제2군 mRNA를 확인하고 이를 하기 표 6 및 표 7에 정리하였다. 표 6은 각각의 miRNA의 타겟으로 예측되는 mRNA를 코딩하는 유전자를 GenBank 접근번호로 정리한 것이고, 표 7는 상기 GenBank 접근번호가 나타내는 유전자를 구체적으로 표시하여 정리 한 것이다.
유전자 예측되는 타켓유전자
hsa-let-7g NM_002608
hsa-miR-106b NM002193, NM_012242
hsa-miR-135b NM_002051, NM_002449, NM_004235, NM_016323
hsa-miR-141 NM_016952
hsa-miR-148a NM_002193, NM_002729, NM_003994, NM_004235, NM_016952
hsa-miR-148b NM_002193, NM_002729, NM_003994, NM_004235, NM_016952
hsa-miR-194 NM_003994, NM_022552
hsa-miR-200a NM_016952
hsa-miR-200b NM_004235, NM_005238, NM_016952, NM_022552
hsa-miR-200c NM_002051, NM_004235, NM_005238, NM_016952, NM_022552
hsa-miR-203 NM_006080
hsa-miR-205 NM_002051
hsa-miR-206 NM_003243, NM_004235, NM_005238, NM_016952
hsa-miR-375 NM_004235
hsa-miR-429 NM_004235, NM_005238, NM_016952, NM_022552
hsa-miR-484 NM_016323
hsa-miR-571 NM-004235
hsa-miR-584 NM-004235
hsa-miR-7 NM_002449, NM_004235
hsa-miR-96 NM_005524
hsa-miR-98 NM_002608
접근번호 유전자 풀네임
NM_016323 HERC5 Hect domain and RLD 5
NM_005983 SKP2 S-phase kinase-associated protein 2 (p45)
NM_022552 DNMT3A DNA (cytosine-5-)-methyltransferase 3 alpha
NM_006080 SEMA3A Sema domain, immunoglobulin domain (Ig),
short basic domain, secreted, (semaphorin) 3A
NM_003641 IFITM1 Interferon induced transmembrane protein 1 (9-27)
NM_001878 CRABP2 Cellular retinoic acid binding protein 2
NM_016952 CDON Cdon homolog (mouse)
NM_058238 WNT7B Wingless-type MMTV integration site family, member 7B
NM_032664 FUT10 Fucosyltransferase 10 (alpha (1,3) fucosyltransferase)
NM_003994 KITLG KIT ligand
NM_005238 ETS1 V-ets erythroblastosis virus E26 oncogene homolog 1
NM_002729 HHEX Hematopoietically expressed homeobox
NM_002449 MSX2 Msh homeobox 2
NM_016932 SIX2 SIX homeobox 2
NM_004120 GBP2 Guanylate binding protein 2, interferon-inducible
NM_005524 HES1 Hairy and enhancer of split 1, (Drosophila)
NM_004235 KLF4 Kruppel-like factor 4 (gut)
NM_002193 INHBB Inhibin, beta B
NM_002608 PDGFB Platelet-derived growth factor beta polypeptide
(simian sarcoma viral (v-sis) oncogene homolog)
NM_003243 TGFBR3 Transforming growth factor, beta receptor III
NM_021805 SIGIRR Single immunoglobulin and toll-interleukin 1 receptor
(TIR) domain
NM_002051 GATA3 GATA binding protein 3
NM_012242 DKK1 Dickkopf homolog 1 (Xenopus laevis)
상관관계가 높게 나타나는 제5군의 miRNA와 제2군의 mRNA의 경우, 암세포 전사인자 KLF4는 mir-7, mir-135b, mir-148a, mir-148b, mir-200b, mir-200c, 및 mir-375의 잠재적인 타겟이고 Notch 경로 전사인자 Hes-1은 mir-96및 mir-182의 잠재적인 타겟이다. TGF bet BMP 신호관련 유전자들로 INHBB(beta B)은 mir-106b, mir-148a, mir-148b의, PDGFB(platelet-derived growth factor beta polypeptide)는 let-7g, mir-98의, 그리고 TGFBR3( transforming growth factor, beta receptorIII)는 mir-206의 각각에 잠재적 타겟이다. 그러나, 제 5군의 몇몇 miRNA는 제2군의 몇몇 mRNA를 직접적으로 타겟하지 않으며, 제 5군의 miRNA는 제 2군 이외의 다른 mRNA에 타겟하여 전사를 조절 할 수 있을 것으로 예측된다. 제 2군의 mRNA 또한 다른 다른군의 miRNA에 의해서도 직접적으로 타겟받을 것으로 예측된다. 단 miRNA가 제한된 전사 관련성, 즉 전체 mRNA전사 중 3분의 1 만이 miRNA 발현에 의해 조절되기 때문에 일부 mRNA들의 전사 조절이 miRNA의 발현 변화에 의해 조절되는것으로 예측할 수 있다.[6]
결론적으로, 본 발명자들은 구(sphere) 형성 기법을 사용하여 췌장 암줄기세포 특이적 miRNA를 동정하였고, 다르게 발현되는 miRNA의 전체 유전자 발현을 획득하였다. 더 나아가, 본 발명자들은 이들 miRNA 레벨을 조절함으로써 췌장암 암줄기세포의 억제 또는 사멸을 유도할 수 있음을 세포 실험을 통해 밝혀내었다. 즉 췌장암 암줄기세포에서 특이적으로 발현량이 낮은 22개의 miRNA의 경우는 이를 췌장암 암줄기세포에 투여하여 췌장암 암줄기세포의 억제 또는 사멸을 유도할 수 있음을 밝혀내었으며, 췌장암 암줄기세포에서 특이적으로 발현량이 높은 14개의 miRNA의 경우는 그의 안타고미어 등을 투여하여 췌장암 암줄기세포의 억제 또는 사멸을 유도할 수 있음을 밝혀내었다. 또한 본 발명자들은 다르게 발현되는 miRNA와 암줄기세포 관련 mRNA과의 교차-상관관계를 분석하였다. 그 결과로서 얻어진 miRNA 및 mRNA의 군 또는 분류는 암줄기세포의 후성적 조절에 있어서 가능한 역할을 제안한다. 그 뿐만 아니라, 암 생물학과의 관계에 대한 이해는 암줄기세포 특이적 화학요법에도 응용될 수 있다.
이상으로 본 발명의 특정한 부분을 상세히 기술하였는 바, 당업계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이러한 구체적인 기술은 단지 바람직한 구현예일 뿐이며, 이에 본 발명의 범위가 제한되는 것이 아닌 점은 명백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질적인 범위는 첨부된 청구항과 그의 등가물에 의하여 정의된다고 할 것이다.
참고문헌
1. Lakshmipathy U, Love B, Goff LA, et al. MicroRNA expression pattern of undifferentiated and differentiated human embryonic stem cells. Stem Cells Dev. Dec 2007;16(6):1003-1016.
2. Cui X, Kerr MK, Churchill GA. Transformations for cDNA microarray data. Stat Appl Genet Mol Biol . 2003;2:Article4.
3. Singh SK, Hawkins C, Clarke ID, et al. Identification of human brain tumour initiating cells. Nature . Nov 18 2004;432(7015):396-401.
4. Ishibashi S, Sakaguchi M, Kuroiwa T, et al. Human neural stem/progenitor cells, expanded in long-term neurosphere culture, promote functional recovery after focal ischemia in Mongolian gerbils. J Neurosci Res . Oct 15 2004;78(2):215-223.
5. Krek A, Grun D, Poy MN, et al. Combinatorial microRNA target predictions. Nat Genet . May 2005;37(5):495-500.
6. Lewis BP, Burge CB, Bartel DP. Conserved seed pairing, often flanked by adenosines, indicates that thousands of human genes are microRNA targets. Cell . Jan 14 2005;120(1):15-20.
<110> Industry-Academic Cooperation Foundation Yonsei University <120> Pharmaceutical Composition for Treating Pancreatic Cancer and Screening Method for Pancreatic Cancer Therapeutic Agent <130> PN100091D <150> KR 10/2010/0098335 <151> 2010-10-08 <160> 36 <170> KopatentIn 2.0 <210> 1 <211> 22 <212> RNA <213> Homo sapiens, hsa-miR-448 <400> 1 uugcauaugu aggauguccc au 22 <210> 2 <211> 22 <212> RNA <213> Homo sapiens, hsa-miR-154* <400> 2 aaucauacac gguugaccua uu 22 <210> 3 <211> 22 <212> RNA <213> Homo sapiens, hsa-miR-424 <400> 3 cagcagcaau ucauguuuug aa 22 <210> 4 <211> 23 <212> RNA <213> Homo sapiens, hsa-miR-155 <400> 4 uuaaugcuaa ucgugauagg ggu 23 <210> 5 <211> 19 <212> RNA <213> Homo sapiens, hsa-miR-575 <400> 5 gagccaguug gacaggagc 19 <210> 6 <211> 22 <212> RNA <213> Homo sapiens, hsa-miR-512-3p <400> 6 aagugcuguc auagcugagg uc 22 <210> 7 <211> 22 <212> RNA <213> Homo sapiens, hsa-miR-29a <400> 7 uagcaccauc ugaaaucggu ua 22 <210> 8 <211> 23 <212> RNA <213> Homo sapiens, hsa-miR-29b <400> 8 uagcaccauu ugaaaucagu guu 23 <210> 9 <211> 23 <212> RNA <213> Homo sapiens, hsa-miR-19a <400> 9 ugugcaaauc uaugcaaaac uga 23 <210> 10 <211> 23 <212> RNA <213> Homo sapiens, hsa-miR-106a <400> 10 aaaagugcuu acagugcagg uag 23 <210> 11 <211> 22 <212> RNA <213> Homo sapiens, hsa-miR-517b <400> 11 ucgugcaucc cuuuagagug uu 22 <210> 12 <211> 23 <212> RNA <213> Homo sapiens, hsa-miR-302d <400> 12 uaagugcuuc cauguuugag ugu 23 <210> 13 <211> 19 <212> RNA <213> Homo sapiens, hsa-miR-645 <400> 13 ucuaggcugg uacugcuga 19 <210> 14 <211> 22 <212> RNA <213> Homo sapiens, hsa-miR-99a <400> 14 aacccguaga uccgaucuug ug 22 <210> 15 <211> 21 <212> RNA <213> Homo sapiens, hsa-miR-518e <400> 15 aaagcgcuuc ccuucagagu g 21 <210> 16 <211> 22 <212> RNA <213> Homo sapiens, hsa-miR-125b <400> 16 ucccugagac ccuaacuugu ga 22 <210> 17 <211> 22 <212> RNA <213> Homo sapiens, hsa-miR-100 <400> 17 aacccguaga uccgaacuug ug 22 <210> 18 <211> 20 <212> RNA <213> Homo sapiens, hsa-miR-599 <400> 18 guugugucag uuuaucaaac 20 <210> 19 <211> 21 <212> RNA <213> Homo sapiens, hsa-miR-625 <400> 19 agggggaaag uucuauaguc c 21 <210> 20 <211> 21 <212> RNA <213> Homo sapiens, hsa-miR-497 <400> 20 cagcagcaca cugugguuug u 21 <210> 21 <211> 22 <212> RNA <213> Homo sapiens, hsa-miR-15b <400> 21 uagcagcaca ucaugguuua ca 22 <210> 22 <211> 21 <212> RNA <213> Homo sapiens, hsa-miR-195 <400> 22 uagcagcaca gaaauauugg c 21 <210> 23 <211> 23 <212> RNA <213> Homo sapiens, hsa-miR-498 <400> 23 uuucaagcca gggggcguuu uuc 23 <210> 24 <211> 21 <212> RNA <213> Homo sapiens, hsa-miR-551a <400> 24 gcgacccacu cuugguuucc a 21 <210> 25 <211> 22 <212> RNA <213> Homo sapiens, hsa-miR-485-3p <400> 25 gucauacacg gcucuccucu cu 22 <210> 26 <211> 22 <212> RNA <213> Homo sapiens, hsa-miR-373* <400> 26 acucaaaaug ggggcgcuuu cc 22 <210> 27 <211> 22 <212> RNA <213> Homo sapiens, hsa-miR-429 <400> 27 uaauacuguc ugguaaaacc gu 22 <210> 28 <211> 22 <212> RNA <213> Homo sapiens, hsa-miR-630 <400> 28 aguauucugu accagggaag gu 22 <210> 29 <211> 21 <212> RNA <213> Homo sapiens, hsa-miR-192 <400> 29 cugaccuaug aauugacagc c 21 <210> 30 <211> 23 <212> RNA <213> Homo sapiens, hsa-miR-142-3p <400> 30 uguaguguuu ccuacuuuau gga 23 <210> 31 <211> 21 <212> RNA <213> Homo sapiens, hsa-miR-549 <400> 31 ugacaacuau ggaugagcuc u 21 <210> 32 <211> 21 <212> RNA <213> Homo sapiens, hsa-miR-559 <400> 32 uaaaguaaau augcaccaaa a 21 <210> 33 <211> 20 <212> RNA <213> Homo sapiens, hsa-miR-384 <400> 33 auuccuagaa auuguucaua 20 <210> 34 <211> 24 <212> RNA <213> Homo sapiens, hsa-miR-641 <400> 34 aaagacauag gauagaguca ccuc 24 <210> 35 <211> 22 <212> RNA <213> Homo sapiens, hsa-miR-489 <400> 35 gugacaucac auauacggca gc 22 <210> 36 <211> 22 <212> RNA <213> Homo sapiens, hsa-miR-526b* <400> 36 gaaagugcuu ccuuuuagag gc 22

Claims (11)

  1. (a) 서열목록 제1서열 내지 제22서열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뉴클레오타이드 서열로 이루어진 마이크로 RNA 또는 그의 단편의 약제학적 유효량; 및 (b)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담체를 포함하는 췌장암 치료용 약제학적 조성물.
  2. (a) 서열목록 제23서열 내지 제36서열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뉴클레오타이드 서열로 이루어진 마이크로 RNA에 상보적인 올리고뉴클레오타이드 또는 그의 단편의 약제학적 유효량; 및 (b)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담체를 포함하는 췌장암 치료용 약제학적 조성물.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췌장암 치료용 조성물은 췌장암 암줄기세포의 성장억제, 분화억제 또는 사멸을 유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제학적 조성물.
  4.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췌장암 치료용 조성물은 항암약물치료 내성환자 또는 방사선 치료 내성환자에게 투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제학적 조성물.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마이크로 RNA의 단편은 상기 마이크로 RNA의 종자서열(seed sequence)을 포함하는 폴리뉴클레오타이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제학적 조성물.
  6.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마이크로 RNA에 상보적인 올리고뉴클레오타이드는 상기 마이크로 RNA에 특이적으로 혼성화되는 프라이머, 프로브 또는 안타고미어(antagomir)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제학적 조성물.
  7. 암줄기세포를 가지는 췌장암 진단에 필요한 정보를 제공하기 위하여 인간의 췌장 세포 시료에 있는 서열목록 제1서열 내지 제36서열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뉴클레오타이드의 발현 수준을 측정하는 방법을 통해 암줄기세포를 가지는 췌장암 진단 마커를 검출하는 방법.
  8. 다음 단계를 포함하는 췌장암 치료제의 스크리닝 방법:
    (a) 제1서열 내지 제22서열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뉴클레오타이드를 발현하는 세포에 시험물질을 접촉시키는 단계; 및
    (b) 상기 시험물질이 상기 뉴클레오타이드의 발현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는 단계로서, 상기 시험물질이 상기 뉴클레오타이드의 발현을 증가시키면 췌장암 치료제로 판정된다.
  9. 다음 단계를 포함하는 췌장암 치료제의 스크리닝 방법:
    (a) 제23서열 내지 제36서열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뉴클레오타이드를 발현하는 세포에 시험물질을 접촉시키는 단계; 및
    (b) 상기 시험물질이 상기 뉴클레오타이드의 발현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는 단계로서, 상기 시험물질이 상기 뉴클레오타이드의 발현을 감소시키면 췌장암 치료제로 판정된다.
  10. 제 8 항 또는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췌장암 치료제는 췌장 암줄기세포의 성장억제, 분화억제 또는 사멸을 유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췌장암 치료제의 스크리닝 방법.
  11. 제 8 항 또는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췌장암 치료제는 항암약물치료 내성 극복 또는 방사선 치료 내성극복을 위해 사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췌장암 치료제의 스크리닝 방법.
KR1020110101897A 2010-10-08 2011-10-06 췌장암 치료용 약제학적 조성물 및 췌장암 치료제 스크리닝 방법 KR10134361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00098335 2010-10-08
KR1020100098335 2010-10-08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70626A true KR20120070626A (ko) 2012-06-29
KR101343616B1 KR101343616B1 (ko) 2013-12-20

Family

ID=4668834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101897A KR101343616B1 (ko) 2010-10-08 2011-10-06 췌장암 치료용 약제학적 조성물 및 췌장암 치료제 스크리닝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43616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4171730A1 (en) * 2013-04-17 2014-10-23 Lg Electronics Inc. Method for extracting biomarker for diagnosing pancreatic cancer, computing device therefor, biomarker for diagnosing pancreatic cancer and device for diagnosing pancreatic cancer including the same
KR20140124601A (ko) * 2013-04-17 2014-10-27 엘지전자 주식회사 췌장암 진단용 바이오마커, 이를 위한 컴퓨팅 장치 및 이의 제어 방법
KR101480366B1 (ko) * 2013-01-08 2015-01-09 서울대학교산학협력단 microRNA를 이용한 방사선 반응 조절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290794A (zh) 2016-11-01 2019-09-27 纽约州州立大学研究基金会 5-卤代尿嘧啶修饰的微rna及其在癌症治疗中的用途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A2635616A1 (en) 2006-01-05 2007-07-19 Carlo M. Croce Microrna expression abnormalities in pancreatic endocrine and acinar tumors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80366B1 (ko) * 2013-01-08 2015-01-09 서울대학교산학협력단 microRNA를 이용한 방사선 반응 조절
US8980863B2 (en) 2013-01-08 2015-03-17 Snu R&Db Foundation Modulation of radiation response using microrna
WO2014171730A1 (en) * 2013-04-17 2014-10-23 Lg Electronics Inc. Method for extracting biomarker for diagnosing pancreatic cancer, computing device therefor, biomarker for diagnosing pancreatic cancer and device for diagnosing pancreatic cancer including the same
KR20140124601A (ko) * 2013-04-17 2014-10-27 엘지전자 주식회사 췌장암 진단용 바이오마커, 이를 위한 컴퓨팅 장치 및 이의 제어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343616B1 (ko) 2013-12-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Mueller et al. miRNA expression profiling in melanocytes and melanoma cell lines reveals miRNAs associated with formation and progression of malignant melanoma
CN107454843B (zh) 包含微小核糖核酸作为活性成分的用于治疗癌症的药物组合物
Xu et al. MicroRNAs and target site screening reveals a pre-microRNA-30e variant associated with schizophrenia
CN101939446B (zh) 人类卵巢癌中的微小rna特征
Li et al. MicroRNA-451 inhibits growth of human colorectal carcinoma cells via downregulation of Pi3k/Akt pathway
EP2487240B1 (en) Micrornas differentially expressed in pancreatic diseases and uses thereof
US9315809B2 (en) Differentially expressed microRNA molecules for the treatment and diagnosis of cancer
Song et al. Polycyclic aromatic hydrocarbon (PAH)-mediated upregulation of hepatic microRNA-181 family promotes cancer cell migration by targeting MAPK phosphatase-5, regulating the activation of p38 MAPK
US8367318B2 (en) Screening of micro-RNA cluster inhibitor pools
Liu et al. miR-22 functions as a micro-oncogene in transformed human bronchial epithelial cells induced by anti-benzo [a] pyrene-7, 8-diol-9, 10-epoxide
Shen et al. MiR-101 functions as a tumor suppressor by directly targeting nemo-like kinase in liver cancer
US20100202973A1 (en) Microrna molecules associated with inflammatory skin disorders
Inoguchi et al. Tumour-suppressive microRNA-24-1 inhibits cancer cell proliferation through targeting FOXM1 in bladder cancer
US20110107440A1 (en) Skin cancer associated micrornas
US20120219958A1 (en) MicroRNA Signatures Differentiating Uterine and Ovarian Papillary Serous Tumors
US9056135B2 (en) MicroRNA biomarkers for human breast and lung cancer
US20130065778A1 (en) MicroRNA Signatures Predicting Responsiveness To Anti-HER2 Therapy
CN102892897A (zh) 用于肺癌的微rna表达谱分析的组合物和方法
US10612020B2 (en) Artificial mimic miRNA for controlling gene expression, and use of same
Missiaglia et al. MicroRNA and gene co-expression networks characterize biological and clinical behavior of rhabdomyosarcomas
He et al. MicroRNA-181b expression in prostate cancer tissues and its influence on the biological behavior of the prostate cancer cell line PC-3
KR101343616B1 (ko) 췌장암 치료용 약제학적 조성물 및 췌장암 치료제 스크리닝 방법
JP2011093892A (ja) がん抑制的マイクロrnaを含む腫瘍増殖抑制剤
US11591597B2 (en) MicroRNAs as therapeutic targets for ischemic stroke
Zhou et al. Role of the AKT pathway in microRNA expression of human U251 glioblastoma cells Retraction in/10.3892/ijo. 2023.5597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005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920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204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203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