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070414A - Cradle for terminal having the function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rf signal - Google Patents

Cradle for terminal having the function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rf signal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070414A
KR20120070414A KR1020100131957A KR20100131957A KR20120070414A KR 20120070414 A KR20120070414 A KR 20120070414A KR 1020100131957 A KR1020100131957 A KR 1020100131957A KR 20100131957 A KR20100131957 A KR 20100131957A KR 20120070414 A KR20120070414 A KR 2012007041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ntenna
antenna unit
terminal
signal
transmit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131957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이수길
한승희
정진호
Original Assignee
(주)파트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파트론 filed Critical (주)파트론
Priority to KR102010013195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20070414A/en
Publication of KR2012007041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70414A/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0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2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radio sets, television sets, telephones, or the like; Arrangement of controls thereof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QANTENNAS, i.e. RADIO AERIALS
    • H01Q1/00Details of, or arrangements associated with, antennas
    • H01Q1/27Adaptation for use in or on movable bodies
    • H01Q1/32Adaptation for use in or on road or rail vehicl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38Transceivers, i.e. devices in which transmitter and receiver form a structural unit and in which at least one part is used for functions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 H04B1/3822Transceivers, i.e. devices in which transmitter and receiver form a structural unit and in which at least one part is used for functions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vehicl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38Transceivers, i.e. devices in which transmitter and receiver form a structural unit and in which at least one part is used for functions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 H04B1/3827Portable transceivers
    • H04B1/3877Arrangements for enabling portable transceivers to be used in a fixed position, e.g. cradles or boost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upport Of Aerials (AREA)

Abstract

PURPOSE: A terminal holder having an RF signal trans-receiving function is provided to enable users to use various functions of a portable terminal with no limitations by improving the performance of an antenna. CONSTITUTION: A terminal holder having an RF signal trans-receiving function includes a transmitting and receiving antenna unit(100) and an intermediate antenna unit(200). The transmitting and receiving antenna unit includes an antenna(110)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external signals. The intermediate antenna unit includes an intermediate antenna(210) transmits the signals obtained from the transmitting and receiving antenna unit to a portable terminal mounted on the holder, and receives the RF signal transmitted from the portable terminal to the transmitting and receiving antenna unit.

Description

RF 신호 송수신 기능을 갖는 단말기 거치대{Cradle for terminal having the function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RF signal}Cradle for terminal having the function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RF signal

본 발명은 RF 신호 송수신 기능을 갖는 단말기 거치대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거치대에 구비된 송수신 안테나가 외부의 신호를 수신하고 이를 중계 안테나가 휴대용 단말기의 내장 안테나로 RF 방사하여 휴대용 단말기의 안테나 성능을 향상시키는 RF 신호 송수신 기능을 갖는 단말기 거치대에 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terminal holder having an RF signal transmission / reception function, and more particularly, a transmission / reception antenna provided in the holder receives an external signal, and the relay antenna radiates RF to the internal antenna of the portable terminal, thereby performing antenna performance of the portable terminal. The terminal cradle having an RF signal transmission and reception function to improve the.

휴대 단말기의 기술 발달에 따라 휴대 단말기에 다양한 기능이 내장되고 이에 대한 다양한 서비스가 제공되고 있다.According to the development of the portable terminal, various functions are built in the portable terminal and various services are provided.

가령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휴대폰, GPS(Global Positioning System) 네비게이션(Navigation) 등의 소형 포터블 단말기 또는 차량용 단말기 등에는 DMB(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 DAB(Digital Audio Broadcasting), 무선 인터넷, 네비게이션 기능 등 다양한 기능이 내장되고 있다.For example, DMB (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 DAB (Digital Audio Broadcasting) for small portable terminals such as PMP (Portable Multimedia Player), PDA (Personal Digital Assistant), mobile phones, GPS (Global Positioning System) navigation, or vehicle terminals Various functions such as wireless internet and navigation function are built in.

이러한 소형 포터블 단말기는 크기가 작아 휴대하기 간편하고, 통화, 인터넷 통신, 데이터 다운로드/업로드 등의 서비스를 언제 어디에서나 제공 받을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사용자는 MP3, 동영상, 게임, 화상 통화, LBS(Location Based Service) 등의 서비스를 실시간으로 이용할 수 있다.These small portable terminals are small in size, easy to carry, and can provide services such as call, internet communication, and data download / upload anytime, anywhere. Accordingly, users can play MP3, video, game, video call, and LBS (Location). Based Services) can be used in real time.

그러나 소형 휴대용 단말기는 밖으로 돌출되는 안테나 구조물을 제거한 내장형 안테나를 탑재하는 경향으로 발전되고 있으며, 휴대성 및 소형화 추세에 따라 단말기 내부의 공간적 제약으로 충분한 성능을 갖는 안테나를 내장시키기 어려운 문제점을 가지고 있으며, 내장형 안테나의 소형화에 따른 이득의 저하와 세트에서 발생되는 노이즈에 의하여 안테나의 성능은 더욱 저하될 수 있다.However, the small portable terminal has been developed with the tendency to mount the built-in antenna to remove the antenna structure protruding out, and according to the portability and miniaturization trend, there is a problem that it is difficult to embed the antenna with sufficient performance due to the space constraints inside the terminal, The performance of the antenna may be further degraded due to a decrease in gain due to the miniaturization of the internal antenna and noise generated in the set.

즉, 안테나의 이득은 안테나의 크기에 의해 결정되는데, 소형 사이즈의 내장형 안테나만 단독으로 단말기 세트 내부에 탑재되는 경우에, 안테나 이득이 저하될 수 있고, 또한 세트 노이즈에 의하여 안테나 성능이 저하될 수 있다. 특히 GPS, 위성 DMB, XM 위성 라디오 등과 같이 신호가 미약한 위성 신호 수신용 안테나의 경우에 더욱 안테나 특성이 저하될 수 있다.That is, the gain of the antenna is determined by the size of the antenna. When only a small internal antenna is mounted inside the terminal set alone, the antenna gain may be lowered and the antenna performance may be lowered by the set noise. have. In particular, in the case of an antenna for receiving a weak signal such as GPS, satellite DMB, XM satellite radio, antenna characteristics may be further deteriorated.

이와 같은 문제점을 극복하고자, 휴대용 단말기에 외부 안테나를 연결시켜 안테나의 성능을 개선시키는데, 도 1은 이와 같은 휴대용 단말기에 연결되는 다양한 외장형 안테나를 도시한다.In order to overcome this problem, an external antenna is connected to the portable terminal to improve the performance of the antenna. FIG. 1 illustrates various external antennas connected to the portable terminal.

가령 차량용으로 사용되는 내비게이션용 단말기는 내장형 안테나의 송수신 성능이 떨어지는 경우에 외장형 안테나용 GPS 연결 커넥터나 지상파 DMB 커넥터 등이 구비되어 있어서, 상기 도 1에 도시된 외장형 안테나를 단말기의 커넥터에 직접 연결하여 송수신 성능을 향상시키고 있다.For example, a navigation terminal used for a vehicle is provided with a GPS connection connector or a terrestrial DMB connector for an external antenna when the transmission / reception performance of the internal antenna is poor, so that the external antenna shown in FIG. 1 is directly connected to the connector of the terminal. It is improving the transmission and reception performance.

또한 차량용 단말기 거치대에 휴대용 단말기의 안테나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는 기능을 포함시키기도 하는데, 도 2는 종래기술에 따른 안테나 성능 향상을 위한 차량용 거치대를 도시한다.In addition, the vehicle terminal holder may include a function to improve the antenna performance of the portable terminal, Figure 2 shows a vehicle holder for improving the antenna performance according to the prior art.

상기 도 2에 도시된 종래기술에 따른 차량용 거치대(20)는 휴대용 단말기(10)가 탈착될 수 있는 구조를 가지며, 휴대용 단말기(10)가 안착되는 부위에 휴대용 단말기(10)의 연결단자(15)와 결합되는 접속단자(21)가 형성되어 있다.The cradle 20 for a vehicle according to the related art shown in FIG. 2 has a structure in which the portable terminal 10 is detachable, and the connection terminal 15 of the portable terminal 10 is mounted on a portion where the portable terminal 10 is mounted. Is connected to the terminal 21 is formed.

차량용 거치대(20)의 측면에는 입출력 단자(25)가 형성되어 있으며, 입출력 단자(25)를 통해 지상파 DMB 안테나, GPS 안테나 등의 외장형 안테나가 연결된다.An input / output terminal 25 is formed at a side of the vehicle cradle 20, and external antennas such as a terrestrial DMB antenna and a GPS antenna are connected through the input / output terminal 25.

이와 같이 상기 도 2에 도시된 종래기술에 따른 차량용 거치대(20)는 외장형 안테나를 통해 장착되는 휴대용 단말기(10)의 안테나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As such, the vehicle holder 20 according to the related art shown in FIG. 2 may improve antenna performance of the portable terminal 10 mounted through an external antenna.

나아가서 상기 도 2에 도시된 종래기술과 다르게 차량용 거치대의 내부에 내장형 안테나가 구비되고, 장착되는 휴대용 단말기에 형성된 커넥터를 통해 차량용 거치대에 구비된 내장형 안테나를 연결시키기도 한다.Furthermore, unlike the prior art illustrated in FIG. 2, the built-in antenna is provided inside the vehicle holder and the built-in antenna provided in the vehicle holder may be connected through a connector formed in the portable terminal to be mounted.

그러나 스마트폰이나 테블릿 PC 등과 같은 개인 휴대용 단말기는 단말기의 작은 사이즈로 인한 내부 공간적 제약으로 인하여 내장 안테나를 보조하여 성능을 향상시키기 위한 외장형 안테나를 연결할 수 있는 외장형 안테나용 커넥터나 내장형 안테나와 외장형 안테나를 스위칭해주는 RF 스위치 커넥터가 구비되어 있지 않으며, 스마트폰의 경우에는 지상파 DMB도 단말기에서 직접 뽑아서 사용하는 내장형 로드 안테나로 설계되어 있거나 착탈식의 로드 안테나만 체결할 수 있는 커넥터만 구비되어 있으므로 외부에 장착되는 외장형 지상파 DMB 안테나를 연결할 수 없는 구조로 설계되어 있다.However, personal portable devices such as smartphones and tablet PCs have external antenna connectors or internal antennas and external antennas that can connect external antennas to improve performance by assisting the internal antennas due to internal space constraints due to the small size of the terminal. It is not equipped with an RF switch connector for switching the smartphone, and in the case of a smart phone, the terrestrial DMB is also designed as a built-in rod antenna that is directly pulled out from the terminal or mounted only on the outside because it is equipped with a connector for fastening only a removable rod antenna. It is designed as a structure that can not connect external terrestrial DMB antenna.

또한 스마트폰이나 테블릿 PC 등은 내부 공간적인 제약으로 인하여 GPS 안테나나 지상파 DMB 안테나 등의 사이즈가 절반이하로 작아서 안테나의 수신 성능이 많이 떨어진다.In addition, smartphones and tablet PCs are less than half the size of the GPS antenna or terrestrial DMB antenna due to internal space constraints, so the reception performance of the antenna is much lower.

이로 인하여 차량 등의 내부에서 단말기를 사용시에 각 기능의 사용에 대한 제한이 따르고 있지만, 상기와 같은 종래기술에 따른 외장형 안테나나 차량용 거치대를 적용하기 위한 외장 안테나용 커넥터가 휴대용 단말기에 구비되지 않아 상기와 같은 종래기술로는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할 수가 없다.Due to this, there are restrictions on the use of each function when using the terminal inside a vehicle, but the external antenna connector for applying the external antenna or the vehicle holder according to the prior art as described above is not provided in the portable terminal. Such a conventional technology cannot solve such a problem.

특히 스마트폰이나 테블릿 PC 등의 휴대용 단말기는 GPS, 지상파 DMB, WIFI, WIMAX, CDMA 등과 같은 다기능이 추가된 만큼 많은 내장형 안테나가 단말기 내부에 실장되어 있으나 소형 경량화의 요구에 따라 협소한 공간에서 상호 신호 간섭이 심해서 개인 휴대용으로 사용 가능하지만 그라운드가 차폐되어 있으면서 전장 노이즈가 심한 차량용으로 사용하기에는 효율성이 크게 떨어지거나 아예 해당 기능의 사용이 불가능해진다.In particular, portable terminals such as smartphones and tablet PCs have many built-in antennas installed inside the terminals as they are equipped with multi-functions such as GPS, terrestrial DMB, WIFI, WIMAX, CDMA, etc. The signal interference is so great that it can be used as a personal handheld, but the shielding of the ground makes it very inefficient for use in vehicles with high electric noise, or the function is not available at all.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해당 수신 신호가 약한 지역이나 건물 또는 차량 내부에서 단말기를 사용하는 경우에 안테나 성능의 저하로 인하여 단말기의 다양한 기능을 실행하는데 있어서 제약이 따르는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한다.The technical problem to be solved by the present invention is to solve the problem that the limitations in executing various functions of the terminal due to the degradation of the antenna performance when the terminal is used in a region, building or vehicle where the corresponding received signal is weak. .

특히, 외부 안테나를 연결할 수 없는 스마트폰이나 테블릿 PC 등의 휴대용 단말기의 안테나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RF 신호의 송수신이 가능한 단말기 거치대를 제공하는 것을 주된 목적으로 한다.
In particular, the mai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terminal holder capable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RF signals so as to improve antenna performance of a portable terminal such as a smartphone or a tablet PC that cannot connect an external antenna.

상기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고자 본 발명은, 단말기가 탈착되는 거치대에 있어서, 외부 신호를 송수신하기 위한 안테나가 구비된 송수신 안테나부 및 상기 송수신 안테나부로부터의 신호를 거치대에 장착된 휴대용 단말기에게 RF 신호로 방사하고, 상기 휴대용 단말기로부터 방사된 RF 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송수신 안테나부로 전송하기 위한 안테나가 구비된 중계 안테나부를 포함하며, 상기 중계 안테나부는, 상기 거치대의 휴대용 단말기가 장착되는 부위의 외면 또는 인접한 내부에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RF 신호 송수신 기능을 갖는 단말기 거치대이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technical problem,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RF signal to a portable terminal equipped with a transmission and reception antenna unit having an antenna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an external signal and a signal from the transmission and reception antenna unit in the cradle to which the terminal is detached. And a relay antenna unit having an antenna for receiving an RF signal radiated from the portable terminal and transmitting the received RF signal to the transmission / reception antenna unit, wherein the relay antenna unit includes an outer surface or an adjacent interior of a portion where the portable terminal of the holder is mounted. Terminal holder having an RF signal transmission and reception function, characterized in that formed in.

여기서 상기 중계 안테나부에 구비된 안테나는, 무지향성의 모노폴 안테나, PIFA 타입의 F-PCB 안테나, 방사체 안테나 또는 세라믹 칩 안테나 중 어느 하나로 형성될 수 있지만, 보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중계 안테나부에 구비된 안테나는, 상기 휴대용 단말기에 내장된 안테나를 지향하는 지향성 패치 안테나로 형성될 수 있다.Here, the antenna provided in the relay antenna unit may be formed of any one of a non-directional monopole antenna, a PIFA type F-PCB antenna, a radiator antenna, or a ceramic chip antenna. The antenna may be formed as a directional patch antenna for directing the antenna embedded in the portable terminal.

나아가서 상기 송수신 안테나부와 상기 중계 안테나부의 사이에 위치되어 RF 신호와 DC 신호를 합성하거나 분리하는 바이어스 티(bias T) 및 상기 바이어스 티로 DC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부를 포함할 수 있다.Furthermore, a bias tee disposed between the transmission / reception antenna unit and the relay antenna unit may include a bias tee for synthesizing or separating an RF signal and a DC signal, and a power supply unit supplying DC power to the bias tee.

여기서 상기 송수신 안테나부는 상기 거치대의 외부에 위치되며, 상기 송수신 안테나부와 상기 바이어스 티를 연결하는 RF 케이블을 더 포함할 수 있다.The transmitting and receiving antenna unit may be located outside the cradle, and may further include an RF cable connecting the transmitting and receiving antenna unit and the bias tee.

또는 상기 송수신 안테나부는 상기 거치대의 내부에 위치되되, 상기 송수신 안테나부에 구비된 안테나가 상기 중계 안테나부에 구비된 안테나와 λ/2이상 이격되어 위치될 수 있다.Alternatively, the transmission / reception antenna unit may be located inside the holder, and the antenna provided in the transmission / reception antenna unit may be positioned to be spaced apart by λ / 2 or more from the antenna provided in the relay antenna unit.

바람직하게는 상기 중계 안테나부 또는 상기 송수신 안테나부 중 하나 이상은, 구비된 안테나가 송수신하는 신호를 증폭하기 위한 증폭기(LNA)를 포함할 수도 있다.Preferably, at least one of the relay antenna unit and the transmit / receive antenna unit may include an amplifier (LNA) for amplifying a signal transmitted and received by the provided antenna.

보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중계 안테나부에 구비된 안테나는, 지향성 마이크로스트립 패치 안테나로 형성될 수 있다.More preferably, the antenna provided in the relay antenna unit may be formed of a directional microstrip patch antenna.

나아가서 상기 전원부는, 차량의 시가라이터 소켓을 통해 전원을 공급받거나 상기 장착된 휴대용 단말기의 USB 포트에 USB 케이블을 연결하여 전원을 공급받을 수 있다.Further, the power supply unit may receive power through a cigarette lighter socket of a vehicle or by connecting a USB cable to a USB port of the mounted portable terminal.

또는 상기 전원부는, 내장된 건전지 또는 태양광 전지판를 통해 전원을 공급받을 수 있다.
Alternatively, the power supply unit may receive power through a built-in battery or a solar panel.

이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르면, 해당 수신 신호가 약한 지역이나 건물 또는 차량 내부에서 휴대용 단말기의 사용시에 휴대용 단말기의 안테나 성능을 향상시켜 휴대용 단말기의 다양한 기능을 제약없이 사용할 수 있게 된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use various functions of the portable terminal without restriction by improving the antenna performance of the portable terminal when the portable terminal is used in a region, a building, or a vehicle having a weak reception signal.

특히, 본 발명은 중계 안테나부가 휴대용 단말기의 내장 안테나로 RF 신호를 전자기적으로 공기중에 방사(Radiation)하는 방식으로 휴대용 단말기의 안테나 성능을 향상시키므로 외장용 안테나를 연결시키는 단자가 구비되지 않은 스마트폰이나 테블릿 PC 등의 휴대용 단말기도 안테나의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또한 휴대용 단말기를 케이블로 연결시키지 않으므로 차량용 거치대에 휴대용 단말기의 장착이 훨씬 용이하고 외관적으로도 간소해진다.In particular, the present invention improves the antenna performance of the portable terminal by radiating the RF signal into the air electromagnetically with the relay antenna unit of the built-in antenna of the portable terminal. A portable terminal such as a tablet PC can also improve the performance of the antenna, and since the portable terminal is not connected with a cable, the portable terminal is much easier to install in a vehicle cradle and is simpler in appearance.

나아가서 본 발명에서는 중계 안테나부의 패치 안테나 후면에 충분한 면적을 갖는 그라운드면을 형성시켜 안테나의 지향 방향으로 안테나의 신호가 최대 이득을 얻을 수 있으며, 중계 안테나부의 후방 방사가 작아지므로 다른 안테나와의 간섭을 최소화시킬 수 있게 된다.
Furthermore, in the present invention, a ground plane having a sufficient area is formed on the rear surface of the patch antenna in the relay antenna unit to obtain the maximum gain of the antenna signal in the direction of the antenna. It can be minimized.

도 1은 다양한 외장형 안테나를 도시하며,
도 2는 종래기술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의 안테나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는 차량용 거치대를 도시하며,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RF 신호 송수신 기능을 갖는 단말기 거치대에 내장되는 구성에 대한 실시예를 개략적으로 도시하며,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RF 신호 송수신 기능을 갖는 단말기 거치대에 내장되는 구성에 대한 다른 실시예를 개략적으로 도시하며,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RF 신호 송수신 기능을 갖는 단말기 거치대의 실시예로서 차량용 거치대의 제1, 제2 및 제3 실시예에 대한 단면도를 도시하며,
도 6은 지향성 안테나의 방사 특성을 도시하며,
도 7은 본 발명에 있어서 중계 안테나부에 구비되는 패치 안테나에 대한 실시예를 도시하며,
도 8은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지향성 패치 안테나의 방사 특성에 대한 그래프를 도시하며,
도 9는 건물 내부의 실험실에서 테블릿 PC에 대하여 자체 내장 안테나와 본 발명에 따른 RF 신호 송수신 기능을 갖는 단말기 거치대를 적용하여 GPS 안테나 성능을 테스트한 결과 그래프를 나타내며,
도 10은 차량 내부에서 테블릿 PC에 대하여 자체 내장 안테나와 본 발명에 따른 RF 신호 송수신 기능을 갖는 단말기 거치대를 적용하여 GPS 안테나 성능을 테스트한 결과 그래프를 나타내며,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RF 신호 송수신 기능을 갖는 단말기 거치대의 실시예로서 차량용 거치대의 제4 실시예에 대한 단면도를 도시하며,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RF 신호 송수신 기능을 갖는 단말기 거치대의 실시예로서 차량용 거치대의 제5 실시예에 대한 단면도를 도시한다.
1 shows various external antennas,
Figure 2 illustrates a vehicle holder that can improve the antenna performance of the portable terminal according to the prior art,
Figure 3 schematically shows an embodiment of the configuration embedded in the terminal holder having the RF signal transmission and reception func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4 schematically shows another embodiment of the configuration embedded in the terminal holder having the RF signal transmission and reception func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first, second and third embodiment of a vehicle holder as an embodiment of a terminal holder having an RF signal transmission and reception func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6 shows the radiation characteristics of a directional antenna,
7 shows an embodiment of a patch antenna provided in the relay antenna unit in the present invention,
8 shows a graph of the radiation characteristics of the directional patch antenna used in the present invention,
FIG. 9 is a graph illustrating a result of testing GPS antenna performance by applying a built-in antenna and a terminal holder having an RF signal transmitting / receiving func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o a tablet PC in a laboratory inside a building.
FIG. 10 is a graph illustrating a result of testing GPS antenna performance by applying a built-in antenna and a terminal holder having an RF signal transmission / reception func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o a tablet PC in a vehicle.
11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fourth embodiment of a vehicle holder as an embodiment of a terminal holder having an RF signal transmission and reception func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12 is a sectional view of a fifth embodiment of a vehicle holder as an embodiment of a terminal holder having an RF signal transmission / reception func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과 본 발명의 동작상의 이점 및 본 발명의 실시에 의하여 달성되는 목적을 설명하기 위하여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예시하고 이를 참조하여 살펴본다.
In order to explain the present invention, the operational advantage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objects achieved by the practice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following describes exemplary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looks at it with reference.

본 발명은, 해당 수신 신호가 약한 지역이나 건물 또는 차량 내부에서 휴대용 단말기의 사용시에 휴대용 단말기의 안테나 성능을 향상시키기 위한 RF 신호 송수신 기능을 갖는 단말기 거치대에 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terminal holder having an RF signal transmission / reception function for improving antenna performance of a portable terminal when the portable terminal is used in an area, a building, or a vehicle having a weak reception signal.

본 발명은 개략적으로 단말기가 탈착되는 단말기 거치대에 내장된 중계 안테나부와 상기 휴대용 단말기 거치대의 내부 또는 외부에 위치되는 송수신 안테나부로 구성된다.The present invention is roughly composed of a relay antenna unit embedded in the terminal holder to which the terminal is detachable and a transceiver antenna unit located inside or outside the portable terminal holder.

상기 중계 안테나부는, 상기 송수신 안테나부로부터의 신호를 거치대에 장착된 휴대용 단말기에게 RF 신호로 송신하고, 상기 휴대용 단말기로부터의 RF 신호를 수신하기 위한 안테나가 구비된다.The relay antenna unit is an antenna for transmitting a signal from the transmitting and receiving antenna unit to the portable terminal mounted on the cradle as an RF signal, and receives the RF signal from the portable terminal.

그리고 상기 송수신 안테나는, 상기 중계 안테나부와 연계하여 상기 휴대용 단말기에 대한 외부 신호를 수신하여 전송하고, 상기 휴대용 단말기로부터의 신호를 외부로 송신한다.The transceiver antenna receives and transmits an external signal to the portable terminal in association with the relay antenna unit, and transmits a signal from the portable terminal to the outside.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RF 신호 송수신 기능을 갖는 단말기 거치대에 내장되는 구성에 대한 실시예를 개략적으로 도시한다.Figure 3 schematically shows an embodiment of the configuration embedded in the terminal holder having the RF signal transmission and reception func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의 기본적인 구성은 안테나(110)가 구비된 송수신 안테나부(100) 및 안테나(210)가 구비된 중계 안테나부(200)이며, 여기에 추가적으로 바이어스 티(bias tee)(300)가 구비되는데 바이어스 티(300)는 DC 전원을 인가받고 DC 전원과 RF 신호를 분배 및 합성하는 기능을 수행한다.The basic configur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transmitting and receiving antenna unit 100 is provided with an antenna 110 and a relay antenna unit 200 is provided with an antenna 210, which is further provided with a bias tee (300) The bias tee 300 receives a DC power and distributes and synthesizes a DC power and an RF signal.

상기 도 3에서 바이어스 티(300)는, 외부 신호를 수신하여 휴대용 단말기에 전송함에 있어서 송수신 안테나부(100)에 DC 전원을 공급하며 바이어스 티(300)를 통해 중계 안테나부(200)로 DC 전원은 차단하고 송수신 안테나(100)로부터의 신호만 전송한다. 또한 역방향으로 회로 설계도 가능한데 휴대용 안테나의 신호를 수신하여 외부로 전송함에 있어서, 중계 안테나부(200)로 DC 전원을 공급하며 바이어스 티(300)를 통해 송수신 안테나부(100)로 DC 전원은 차단하고 중계 안테나부(200)로부터의 신호만 전송할 수도 있다. In FIG. 3, the bias tee 300 supplies DC power to the transmitting / receiving antenna unit 100 while receiving an external signal and transmitting the external signal to the portable terminal, and supplies the DC power to the relay antenna unit 200 through the bias tee 300. Blocks and transmits only the signal from the transmit / receive antenna 100. In addition, the circuit design is also possible in the reverse direction. In receiving the signal of the portable antenna and transmitting the signal to the outside, the DC power is supplied to the relay antenna unit 200 and the DC power is cut off to the transmitting / receiving antenna unit 100 through the bias tee 300. Only the signal from the relay antenna unit 200 may be transmitted.

나아가서 신호의 증폭을 위한 증폭기가 구비될 수 있는데, 상기 도 3의 실시예에서는 송수신 안테나부(100)에 신호의 증폭을 위한 증폭기(LNA)(120)가 구비되고 또한 노이즈를 제거하기 위한 밴드패스 필터(bandpass fillter)(130)가 구비되어 있다.Furthermore, an amplifier for amplifying a signal may be provided. In the embodiment of FIG. 3, an amplifier (LNA) 120 for amplifying a signal is provided in the transmission / reception antenna unit 100 and a band pass for removing noise. A filter (bandpass fillter) 130 is provided.

여기서 상기 증폭기(LNA)와 상기 밴드패스 필터는 선택적으로 구비될 수 있으며, 설치되는 공간적 상황에 따라 송수신 안테나부(100)와 중계 안테나부(200) 간의 적절한 위치에 설치될 수 있다. The amplifier (LNA) and the bandpass filter may be selectively provided, and may be installed at an appropriate position between the transmit / receive antenna unit 100 and the relay antenna unit 200 according to a spatial situation to be installed.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RF 신호 송수신 기능을 갖는 단말기 거치대에 내장되는 구성에 대한 다른 실시예를 개략적으로 도시한다.Figure 4 schematically shows another embodiment of the configuration embedded in the terminal holder having the RF signal transmission and reception func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상기 도 4의 실시예에서는 상기 도 3의 실시예에서와 같이 송수신 안테나부(100)에 안테나(110), 증폭기(120) 및 밴드패스 필터(130)가 구비되고 바이어스 티(300)가 장착되어 있다.In the embodiment of FIG. 4, as in the embodiment of FIG. 3, an antenna 110, an amplifier 120, and a bandpass filter 130 are provided in the transmission / reception antenna unit 100 and a bias tee 300 is mounted. have.

나아가서 상기 도 4의 실시예에서는 중계 안테나부(200)에도 안테나(210)뿐만 아니라 추가적으로 증폭기(220)와 밴드패스 필터(230)가 구비되고, 바이어스 티(300)로 DC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전원부(400)가 구비되어 있다.Furthermore, in the embodiment of FIG. 4, the relay antenna unit 200 includes an amplifier 220 and a band pass filter 230 as well as the antenna 210, and a power supply unit for supplying DC power to the bias tee 300. 400 is provided.

앞서 설명하였지만 상기 증폭기와 밴드패스 필터는 선택적인 구성으로서 공간적인 상황에 따라 다양한 위치에 구비될 수 있으며, 또한 구비되는 개수도 상황에 따라 적절하게 조절될 수 있다. 특히 상기 송수신 안테나부가 RF 케이블로 먼 거리에서 연결되는 경우에 선로 손실을 보상하기 위하여 적절한 위치에 다수개가 설치될 수 있으며, 또한 상기 중계 안테나부에 구비된 안테나와 거치대에 장착되는 휴대용 단말기의 내장 안테나간의 거리가 먼 경우에 상기 중계 안테나부에 구비된 안테나의 방사 신호가 급격히 감소될 수 있으므로 이 경우에도 적절한 위치에 다수개가 설치될 수 있을 것이다.
As described above, the amplifier and the bandpass filter may be provided at various positions according to a spatial situation as an optional configuration, and the number provided may also be appropriately adjusted according to the situation. In particular, when the transmitting and receiving antenna unit is connected at a long distance by an RF cable, a plurality of antennas may be installed at an appropriate position to compensate for line loss, and also an antenna provided in the relay antenna unit and a built-in antenna of a portable terminal mounted on a cradle. If the distance is far from each other, since the radiation signal of the antenna provided in the relay antenna unit can be rapidly reduced, even in this case it may be installed in a plurality of appropriate positions.

그럼 이하에서 본 발명에 따른 각 구성들이 장착된, 단말기 거치대의 실시예를 통해 상기에서 살펴본 구성들에 대하여 좀 더 자세히 살펴보기로 한다.Then, through the embodiment of the terminal holder equipped with each compon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with respect to the above-described configuration.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RF 신호 송수신 기능을 갖는 단말기 거치대의 실시예로서 차량용 거치대의 제1, 제2 및 제3 실시예에 대한 단면도를 도시한다5 illustrates a cross-sectional view of a first, second and third embodiment of a vehicle holder as an embodiment of a terminal holder having an RF signal transmission / reception func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상기 도 5의 (a), (b) 및 (c)에 도시된 본 발명에 따른 제1, 제2 및 제3 실시예에서 차량용 거치대에 휴대용 단말기를 장착시키기 위한 구성 부분을 살펴보면, 휴대용 단말기가 탈착 가능하도록 휴대용 단말기가 안착되는 안착부(510)가 형성되며, 장착된 휴대용 단말기를 안정적으로 고정시키기 위하여 크립 홀더(520)가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차량 내부의 유리 등에 거치대를 고정시키기 위한 진공 흡착부(550)가 구비되어 있다.In the first, second and thir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shown in (a), (b) and (c) of FIG. A mounting unit 510 on which the portable terminal is mounted is formed to be detachable, and a creep holder 520 is formed to stably fix the mounted portable terminal. In addition, a vacuum suction unit 550 is provided to fix the holder on the glass inside the vehicle.

상기의 휴대용 단말기를 장착시키기 위한 구성과 거치대를 고정시키기 위한 구성은 본 발명의 주된 특징부가 아니며 본 발명에 따른 주된 기술적 특징의 보다 자세한 설명을 위하여 이상으로 마무리하지만, 상기에 도시된 차량용 거치대의 구조에 한정되지 않고 다양한 형태의 네비게이션 거치대, 휴대용 거치대 및 차량용 거치대의 형상 및 구조가 본 발명에 적용될 수 있을 것이다.The configuration for mounting the portable terminal and the configuration for fixing the cradle are not the main feature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are finished as above for a more detailed description of the main technical features of the present invention, but the structure of the vehicle cradle shown above The shape and structure of various types of navigation cradles, portable cradles, and vehicle cradles may be applied to the present invention.

상기 도 5의 (a)에 도시된 본 발명에 따른 제1 실시예에는 본 발명의 기본적인 구성에 대한 실시예로서, 외부 신호를 송수신하기 위한 안테나가 구비된 송수신 안테나부(100a)가 진공 흡착부(550)에 인접하여 차량용 거치대의 내부에 구비되어 있으며, 중계 안테나부(200a)가 안착부(510)면상에서 장착되는 휴대용 단말기의 내장 안테나에 인접하도록 설치되어 있다. 여기서 상기 도 5의 (a)에서는 중계 안테나부(200a)가 상기 거치대의 휴대용 단말기가 장착되는 부위의 내면에 형성된 것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상황에 따라서는 상기 거치대의 휴대용 단말기가 장착되는 부위의 외면 또는 인접한 내부에 형성될 수도 있다.In the first embodim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shown in FIG. 5 (a), an embodiment of the basic configur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transmission and reception antenna unit 100a having an antenna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an external signal is a vacuum suction unit Adjacent to 550 is provided inside the vehicle holder, the relay antenna portion 200a is provided to be adjacent to the built-in antenna of the portable terminal mounted on the seating portion 510 surface. In FIG. 5A, the relay antenna unit 200a is illustrated as being formed on an inner surface of a portion on which the portable terminal of the holder is mounted, but according to circumstances, an outer surface of the portion on which the portable terminal of the holder is mounted or It may be formed in an adjacent interior.

상기 도 5의 (a)에 도시된 본 발명에 따른 제1 실시예에서와 같이 송수신 안테나(100b)가 거치대의 내부에 구비되는 경우에는, 송수신 안테나부(100a) 및 중계 안테나부(200a) 각각에 구비된 안테나가 서로 간섭을 일으킬 수 있으므로 송수신 안테나부(100a)에 구비된 안테나와 중계 안테나부(200a)에 구비된 안테나는 서로 λ/2이상 거리만큼 이격되어 위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When the transmitting and receiving antenna 100b is provided inside the holder as in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llustrated in FIG. 5A, each of the transmitting and receiving antenna unit 100a and the relay antenna unit 200a are respectively provided. Since the antennas may cause interference with each other, the antennas provided in the transmission / reception antenna unit 100a and the antennas provided in the relay antenna unit 200a are preferably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by a distance of λ / 2 or more.

상기 도 5의 (b)에 도시된 본 발명에 따른 제2 실시예에는, 상기 제1 실시예을 변형시킨 것으로서 추가적인 구성을 더 포함하고 있다.The second embodim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shown in (b) of FIG. 5 further includes an additional configuration as a modification of the first embodiment.

상기 도 5의 (b)에 도시된 본 발명에 따른 제2 실시예는, 바이어스 티(300b)와 전원부(400b)를 포함하며, 송수신 안테나부(100b)와 바이어스 티(300b) 및 중계 안테나부(200b)와 바이어스 티(300b)는 RF 케이블(350b)로 연결되고, 바이어스 티(300b)는 차량용 시가잭(400b)을 통해 차량의 시가라이터 소켓으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을 수 있다.The second embodim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shown in FIG. 5 (b) includes a bias tee 300b and a power supply 400b, and includes a transmit / receive antenna unit 100b, a bias tee 300b, and a relay antenna unit. The 200b and the bias tee 300b are connected to the RF cable 350b, and the bias tee 300b may receive power from the cigarette lighter socket of the vehicle through the vehicle cigarette jack 400b.

나아가서 장착된 휴대용 단말기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을 수도 있는데,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 거치대에 전원 연결 단자 또는 USB 포트가 구비되어 있는 경우에 상기 장착된 휴대용 단말기에 차량용 시가잭이 연결되고 상기 연결 단자 또는 USB 포트를 통하여 상기 장착된 휴대용 단말기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을 수도 있다. Furthermore, the portable terminal may be supplied with power. When the portable terminal hold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provided with a power connection terminal or a USB port, a cigar jack for a vehicle is connected to the mounted portable terminal and the connection terminal or the USB port. Power may be supplied from the mounted portable terminal through.

상기 도 5의 (c)에 도시된 본 발명에 따른 제3 실시예에서는 중계 안테나부(200c)와 바이어스 티(300c)의 구성 및 차량용 시가잭(400c)을 통해 차량의 시가라이터 소켓으로부터 전원을 공급받는 부분이 상기 제1 실시예와 유사하지만, 송수신 안테나부(100c)가 외장형으로서 RF 케이블(370c)과 커넥터(360)를 구비한 RF 커넥터 타입으로서 커넥터(360)를 통해 상기 거치대에 연결된다. 여기서 상기 RF 커넥터는 외장형 안테나용으로 사용되는 MCX, SMA, SMB, MMCX 등 다양한 타입이 적용될 수 있으며, 또한 별도의 커넥터를 구비하지 않고 RF 케이블로 외장형 안테나를 바로 바이어스 티에 연결시킬 수도 있다.
In the third embodim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shown in FIG. 5C, power is supplied from the cigarette lighter socket of the vehicle through the configuration of the relay antenna unit 200c and the bias tee 300c and the vehicle cigarette jack 400c. Although the receiving portion is similar to the first embodiment, the transmitting and receiving antenna portion 100c is connected to the cradle through the connector 360 as an RF connector type having an RF cable 370c and a connector 360 as an external type. Here, the RF connector may be applied to various types such as MCX, SMA, SMB, MMCX used for an external antenna, and may also directly connect an external antenna to a bias tee using an RF cable without a separate connector.

이와 같은 본 발명에서 상기 중계 안테나부에 구비된 안테나는 RF 신호를 방사하여 상기 거치대에 장착된 휴대용 단말기의 안테나의 성능을 향상시키는데, 이를 위하여 상기 중계 안테나부에 구비된 안테나는 무지향성의 모노폴 안테나, PIFA 타입의 F-PCB 안테나, 방사체 안테나, 세라믹 칩 안테나 등으로 형성될 수도 있으나 상기 휴대용 단말기에 내장된 안테나를 지향하는 지향성 패치 안테나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the present invention, the antenna provided in the relay antenna unit improves the performance of the antenna of the portable terminal mounted on the cradle by radiating an RF signal. For this purpose, the antenna provided in the relay antenna unit is a non-directional monopole antenna. It may be formed of a PIFA-type F-PCB antenna, a radiator antenna, a ceramic chip antenna, etc., but is preferably formed of a directional patch antenna for directing the antenna embedded in the portable terminal.

가령 상기 중계 안테나부에 구비된 안테나를 무지향성의 모노폴 안테나, PIFA 타입의 F-PCB 안테나, 방사체 안테나, 세라믹 칩 안테나 등으로 형성시키면 패치 안테나로 형성시키는 경우보다 안테나 사이즈를 2배에서 최대 4배까지 그 사이즈를 작게 형성시킬 수 있으므로 휴대용 단말기 거치대에서 상기 중계 안테나부를 형성시키는데 공간적 제약을 덜 받을 수 있게 된다.For example, when the antenna provided in the relay antenna unit is formed of an omnidirectional monopole antenna, a PIFA type F-PCB antenna, a radiator antenna, a ceramic chip antenna, or the like, the antenna size is 2 to 4 times larger than that of the patch antenna. Since the size can be made small, the portable terminal holder can be less spatially restricted in forming the relay antenna unit.

즉, 공간적인 측면에서는 상기 중계 안테나부에 구비된 안테나를 무지향성 안테나로 형성시키는 것이 좋으나, 안테나의 성능 특성 측면에서는 상기 중계 안테나부에 구비된 안테나를 지향성 안테나로 형성시키는 것이 효과적이다.That is, in terms of space, it is preferable to form the antenna provided in the relay antenna unit as an omnidirectional antenna, but in terms of performance characteristics of the antenna, it is effective to form the antenna provided in the relay antenna unit as a directional antenna.

본 발명에서 중계 안테나부의 지향성 패치 안테나의 구성과 이점을 살펴보자면, 도 6은 지향성 안테나의 방사 특성을 나타내는데, 지향성 안테나의 경우에 상기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향 방향으로 높은 이득을 얻을 수 있고 빔폭이 넓어지게 되며, 또한 불필요한 후면 방사(back lobe)도 줄일 수 있게 된다.Looking at the configuration and advantages of the directional patch antenna of the relay antenna in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6 shows the radiation characteristics of the directional antenna, in the case of the directional antenna as shown in FIG. The beam width becomes wider and also reduces unnecessary back lobes.

도 7은 본 발명에 있어서 중계 안테나부에 구비되는 패치 안테나에 대한 실시예를 도시한다.7 illustrates an embodiment of a patch antenna provided in the relay antenna unit in the present invention.

상기 도 7의 (a)는 본 발명에 따른 중계 안테나부에 구비되는 패치 안테나의 전면을 도시하며, (b)는 본 발명에 따른 중계 안테나부에 구비되는 패치 안테나의 후면을 도시하며, (c)는 본 발명에 따른 중계 안테나부에 구비되는 패치 안테나의 측면을 도시한다.7 (a) shows a front surface of a patch antenna provided in the relay antenna uni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b) shows a rear surface of a patch antenna provided in the relay antenna uni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 ) Shows the side of the patch antenna provided in the relay antenna uni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에 따른 중계 안테나부에 구비되는 패치 안테나는, 세라믹 유전체(260) 전면부에 RF 신호를 방사하는 전도성 방사체(250)가 형성되고, 세라믹(260) 후면부에는 그라운드면(270)이 형성되며, 전도성 방사체(250), 세라믹 유전체(260) 및 그라운드면(270)을 관통하는 안테나핀(280)이 핀납땜부(290)로 고정되어 급전라인과 연결된다.In the patch antenna provided in the relay antenna uni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 conductive radiator 250 for radiating an RF signal is formed on the front surface of the ceramic dielectric 260, and a ground surface 270 is formed on the rear surface of the ceramic 260. The antenna pin 280 penetrating the conductive radiator 250, the ceramic dielectric 260, and the ground surface 270 is fixed to the soldering portion 290 to be connected to the feed line.

이와 같은 패치 안테나가 구비된 중계 안테나부를 거치대에 설치함에 있어서, 전도성 방사체(250)가 거치대에 장착된 휴대용 단말기의 내장 안테나를 지향하도록, 상기 패치 안테나의 전도성 방사체(250)를 휴대용 단말기의 내장 안테나 방향으로 향하게 상기 패치 안테나를 설치한다.In installing the relay antenna unit provided with the patch antenna in the holder, the conductive radiator 250 of the patch antenna is directed to the built-in antenna of the portable terminal mounted on the holder. Install the patch antenna facing in the direction.

본 발명에서 적용되는 상기의 패치 안테나는 지향성을 가지는 마이크로스트립 패치 안테나가 바람직한데, 무지향성의 모노폴 안테나, PIFA 타입의 F-PCB 안테나, 방사체 안테나(Metal Plate Antenna), 세라믹 칩 안테나 등도 본 발명의 중계 안테나부에 구비되는 안테나로서 사용될 수는 있으나 이와 같은 무지향성 안테나는 휴대용 단말기의 특정 내장형 안테나에 신호를 방사할뿐만 아니라 휴대용 단말기 내부에 위치된 다른 기능의 내장형 안테나에까지 전방향으로 불필요한 신호를 방사하므로 본 발명에서는 상기 도 7에 도시된 실시예와 같은 지향성 패치 안테나가 효과적이다.The patch antenna to be applied in the present invention is preferably a microstrip patch antenna having directivity. An omnidirectional monopole antenna, a PIFA-type F-PCB antenna, a metal plate antenna, a ceramic chip antenna, etc. Although it can be used as an antenna provided in the relay antenna unit, such an omnidirectional antenna not only radiates a signal to a specific internal antenna of the portable terminal, but also radiates unnecessary signals in all directions to the internal antenna of another function located inside the portable terminal. Therefore,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directional patch antenna as in the embodiment shown in FIG. 7 is effective.

도 8은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지향성 패치 안테나의 방사 특성에 대한 그래프를 도시한다.8 shows a graph of the radiation characteristics of a directional patch antenna used in the present invention.

상기 도 8의 (a)는 35mm스퀘어의 그라운드면을 갖는 패치 안테나의 방사 특성에 대한 그래프로서, 형성되는 그라운드면이 충분하지 않는 경우에는 상기 도 8의 (a)의 방사 특성 그래프에 나타난 바와 같이 패치 안테나의 지향 방향으로 이득이 저하되고 후방부로 불필요한 후방 방사(back lobe)가 발생되게 된다.FIG. 8A is a graph of the radiation characteristics of a patch antenna having a 35 mm square ground plane. When the ground plane is not sufficient, as shown in the radiation characteristic graph of FIG. The gain is lowered in the direction of the patch antenna and unnecessary back lobes are generated to the rear.

상기 도 8의 (b)는 70mm스퀘어의 그라운드면을 갖는 패치 안테나의 방사 특성에 대한 그래프로서, 형성되는 그라운드면이 충분한 경우에는 상기 도 8의 (b)의 방사 특성 그래프에 나타난 바와 같이 패치 안테나의 지향 방향으로 이득이 최대가 되고 빔폭도 넓어지며 불필요한 후방 방사가 작아지게 된다.FIG. 8B is a graph showing the radiation characteristics of a patch antenna having a 70 mm square ground plane. If the ground plane is sufficient, the patch antenna as shown in the radiation characteristic graph of FIG. 8B is sufficient. The gain is maximized in the direction of the direction, the beam width is wider, and unnecessary back radiation is reduced.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지향성 패치 안테나를 적용하되, 형성되는 전도성 방사체의 단면적보다 상기 패치 안테나 후면의 그라운드면의 단면적을 더 크게 형성시켜 후방 방사를 줄이고 지향 방향의 이득을 최대로 올리게 된다.Therefore, in the present invention, while applying a directional patch antenna, the cross-sectional area of the ground plane of the rear surface of the patch antenna is larger than the cross-sectional area of the conductive radiator to be formed to reduce the rear radiation and to increase the gain in the direction of direction.

이와 같은 본 발명은, 해당 수신 신호가 약한 지역이나 건물 또는 차량 내부에서 휴대용 단말기의 사용시에 휴대용 단말기의 다양한 기능을 제약없이 사용할 수 있도록 휴대용 단말기의 안테나 성능을 향상시켜주는데, 도 9 및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RF 신호 송수신 기능을 갖는 차량용 거치대에 테블릿 PC를 장착하고 GPS 안테나 성능을 테스트한 결과 그래프를 도시한다.As such, the present invention improves the antenna performance of the portable terminal so that various functions of the portable terminal can be used without restriction when the portable terminal is used in a region, a building, or a vehicle having a weak reception signal. A graph showing a result of a tablet PC mounted on a vehicle cradle having an RF signal transmission / reception function and testing GPS antenna performan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9는 건물 내부의 실험실에서 테블릿 PC에 대하여 자체 내장 안테나와 본 발명에 따른 RF 신호 송수신 기능을 갖는 차량용 거치대를 적용하여 GPS 안테나 성능을 테스트한 결과이다.FIG. 9 is a test result of GPS antenna performance by applying a built-in antenna and a vehicle holder having an RF signal transmitting / receiving func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o a tablet PC in a laboratory inside a building.

상기 도 9의 (a)는 테블릿 PC에 내장된 자체 내장 안테나만으로 GPS 수신 성능을 테스트한 SNR(signal to ratio) 결과 그래프이며, 도 9의 (b)는 상기 도 5의 (c)에 도시된 본 발명에 따른 RF 신호 송수신 기능을 갖는 차량용 거치대에 상기 테블릿 PC를 장착하고 GPS 안테나 성능을 테스트한 SNR 결과 그래프를 나타낸다.9 (a) is a graph of signal to ratio (SNR) results of testing GPS reception performance using only a built-in antenna built into a tablet PC, and FIG. 9 (b) is shown in (c) of FIG. The SNR result graph of mounting the tablet PC on a vehicle cradle having an RF signal transmission / reception func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testing GPS antenna performance is shown.

일반적으로 차량용 GPS 시스템의 경우에 위성에서 직접 신호를 받아서 단말기의 위치를 측정하는 스탠드어론(standalone) 방식을 사용하며, 이를 위하여 북반구에 떠 있는 12개의 GPS 위성의 신호 중에서 적어도 4개 이상의 위성 신호를 받아야하며 또한 4개이상의 위성 신호 모두의 SNR이 40dB이상 수신되어야만 단말기의 정확한 위치를 빠르게 파악할 수 있다.In general, a GPS system for a vehicle uses a standalone method of receiving a signal directly from a satellite and measuring the position of the terminal. For this purpose, at least four or more satellite signals from among 12 GPS satellites floating in the northern hemisphere are used. In addition, the SNR of all four or more satellite signals must be received at least 40dB to quickly determine the exact location of the terminal.

휴대폰이나 스마트폰의 경우에는 기본적으로는 스탠드어론 방식을 사용하지만, 상기 GPS 신호 수신이 원활하지 않을 경우에는 주변 기지국의 GPS 데이터를 지원받아서 단말기의 위치를 파악하는 어시스티드 GPS(assisted GPS) 방식을 이용하게 된다.In the case of a mobile phone or a smart phone, the stand-alone method is basically used, but if the GPS signal reception is not smooth, an assisted GPS method is used to determine the location of the terminal by supporting GPS data of neighboring base stations. Will be used.

상기 어시스티드 GPS 방식의 경우에 GPS 안테나의 SNR이 35dB이상으로 나오는 2~3개의 위성신호가 수신되면 수신되는 2~3개의 GPS 위성 신호와 함께 부족한 GPS 위성 정보는 근접한 일부 기지국의 위치 정보를 활용하여 단말기의 위치를 파악하게 된다.In the case of the assisted GPS method, when two or three satellite signals having an SNR of 35 dB or more of the GPS antenna are received, the GPS satellite information that is insufficient together with the two or three GPS satellite signals received uses location information of some adjacent base stations. To determine the location of the terminal.

상기 도 9의 (a)에 나타난 SNR 결과 그래프를 보면, 02, 04, 05 및 10번 위성의 신호에 대한 SNR이 각각 35, 34,32 및 31dB로 측정되었으나 모두 40dB이하로 측정되어 상기의 스탠드어론 방식을 적용하기에는 무리가 있다.Referring to the SNR result graph shown in (a) of FIG. 9, the SNRs of the signals of satellites 02, 04, 05, and 10 were measured at 35, 34, 32, and 31 dB, respectively, but all were measured at 40 dB or less. It is hard to apply the Aaronic method.

하지만 상기 도 9의 (b)에 나타난 SNR 결과 그래프를 보면, 02, 04, 05, 10 및 12번 위성의 신호에 대한 SNR이 각각 43, 50, 47, 47 및 41dB로 측정되어 모두 40dB이상의 높은 SNR 값을 가지고 있어 상기의 스탠드어론 방식을 적용하여 빠르고 정확하게 단말기의 위치를 파악할 수 있게 된다.However, in the SNR result graph shown in (b) of FIG. 9, the SNRs of the signals of satellites 02, 04, 05, 10 and 12 are measured at 43, 50, 47, 47, and 41 dB, respectively, all higher than 40 dB. With the SNR value, the above standalone method can be used to quickly and accurately determine the location of the terminal.

도 10은 차량 내부에서 테블릿 PC에 대하여 자체 내장 안테나와 본 발명에 따른 RF 신호 송수신 기능을 갖는 차량용 거치대를 적용하여 GPS 안테나 성능을 테스트한 결과이다.FIG. 10 is a test result of GPS antenna performance by applying a built-in antenna for a tablet PC having a built-in antenna and an RF signal transmitting / receiving func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o a tablet PC.

상기 도 10의 (a)는 테블릿 PC에 내장된 자체 내장 안테나만으로 GPS 수신 성능을 테스트한 SNR(signal to ratio) 결과 그래프이며, 도 9의 (b)는 상기 도 5의 (c)에 도시된 본 발명에 따른 RF 신호 송수신 기능을 갖는 차량용 거치대에 상기 테블릿 PC를 장착하고 GPS 안테나 성능을 테스트한 SNR 결과 그래프를 나타낸다.10 (a) is a graph of a signal to ratio (SNR) result of testing GPS reception performance using only a built-in antenna built in a tablet PC, and FIG. 9 (b) is shown in (c) of FIG. The SNR result graph of mounting the tablet PC on a vehicle cradle having an RF signal transmission / reception func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testing GPS antenna performance is shown.

상기 도 10의 (a)에 나타난 SNR 결과 그래프를 보면, 각각의 위성 신호에 대한 SNR 값이 최대치부터 순차적으로 39, 35, 32, 31 및 20dB로 측정되어 모두 40dB이하로서 상기의 스탠드어론 방식을 적용하기에는 무리가 있다.Referring to the SNR result graph shown in (a) of FIG. 10, the SNR values for each satellite signal are sequentially measured from 39, 35, 32, 31, and 20 dB, starting from the maximum value. There is no way to apply it.

하지만 상기 도 10의 (b)에 나타난 SNR 결과 그래프를 보면, 각각의 위성 신호에 대한 SNR 값이 최대치부터 순차적으로 46, 45, 44, 43 및 40dB로 측정되어 모두 40dB이상의 높은 값을 가지고 있어 상기의 스탠드어론 방식을 적용하여 빠르고 정확하게 단말기의 위치를 파악할 수 있게 된다.
However, in the SNR result graph shown in FIG. 10 (b), the SNR values for each satellite signal are sequentially measured at 46, 45, 44, 43, and 40 dB from the maximum, and all have a high value of 40 dB or more. By applying the standalone method of the terminal location can be quickly and accurately determined.

이와 같이 본 발명에서는 중계 안테나부가 휴대용 단말기의 내장 안테나로 RF 신호를 방사하는 방식으로 휴대용 단말기의 안테나 성능을 향상시키므로 외장용 안테나를 연결시키는 단자가 구비되지 않은 스마트폰이나 테블릿 PC 등의 휴대용 단말기도 안테나의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또한 휴대용 단말기를 케이블로 연결시키지 않으므로 차량용 거치대에 휴대용 단말기의 장착이 훨씬 용이하고 외관적으로도 간소해진다.
As described above, in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 relay antenna unit radiates RF signals to the internal antenna of the portable terminal, the antenna performance of the portable terminal is improved, and thus a portable terminal such as a smartphone or a tablet PC is not provided with a terminal connecting an external antenna. The performance of the antenna can be improved, and since the portable terminal is not connected with a cable, the portable terminal is much easier to mount on the vehicle holder, and the appearance is simplified.

나아가서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증폭단(LNA)에 사용되는 소자로는 저소비 전력의 MMIC나 BJT가 사용될 수 있으며, 이를 사용하는 경우에 1.5~3V의 전원을 인가하면 동작가능하고 10~20dB 증폭 이득을 얻을 수 있다.Furthermore, in the present invention, a low power consumption MMIC or BJT may be used as the device used in the amplifier stage (LNA), and in this case, when a power of 1.5 to 3 V is applied, it is possible to obtain a 10 to 20 dB amplification gain. Can be.

특히, MMIC를 사용하는 경우에 소비전류가 2~3mA 정도이므로 차량의 시가라이터 소켓을 통해 전원을 공급받지 않고, 교체가 가능하도록 내장된 건전지, 충전용 건전지 또는 태양광 전지판을 이용하더라도 상기 증폭단을 구동시키기 위한 전원 공급이 충분하다. In particular, when the MMIC is used, the current consumption is about 2 to 3 mA, so the amplifier stage can be used even if a battery, a rechargeable battery, or a solar panel, which are built to be replaced without being supplied with power through the cigarette lighter socket of the vehicle, can be replaced. There is sufficient power supply to drive.

본 발명에 있어서 이와 같은 저전력 소자로 구성시켜 전원부 개량한 본 발명에 대한 실시예를 이하에서 살펴본다.In the present invention,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mproved by configuring the power unit by configuring such a low power device will be described below.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RF 신호 송수신 기능을 갖는 단말기 거치대의 실시예로서 차량용 거치대의 제4 실시예에 대한 단면도를 도시한다.11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fourth embodiment of a vehicle holder as an embodiment of a terminal holder having an RF signal transmission / reception func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상기 도 11에 도시된 본 발명에 따른 제4 실시예에서, 외장형 송수신 안테나부(100d), 중계 안테나부(200d) 및 바이어스 티(300d)의 위치와 기능은 상기 도 5의 (c)에 도시된 본 발명에 따른 제3 실시예와 유사하므로 반복적인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In the fourth embodim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shown in FIG. 11, the positions and functions of the external transmit / receive antenna unit 100d, the relay antenna unit 200d, and the bias tee 300d are shown in FIG. 5C. Since it is similar to the third embodim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repeat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그러나 상기 도 11에 도시된 본 발명에 따른 제4 실시예에서는, 송수신 안테나부(100d) 및 중계 안테나부(200d)에 선택적으로 구비되는 증폭기와 밴드패스 필터를 앞서 살펴본 저전력 소자로 구성하여 전원부(400d)가 차량의 시가라이터 소켓을 통해 전원을 얻지 않고 내장된 소형 건전지를 통해 전원을 공급하게 된다.However, in the fourth exemplary embodim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llustrated in FIG. 11, the power supply unit may include an amplifier and a bandpass filter selectively provided in the transmission / reception antenna unit 100d and the relay antenna unit 200d as described above. 400d) does not get power through the car's cigarette lighter socket, but from the built-in small battery.

또한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RF 신호 송수신 기능을 갖는 단말기 거치대의 실시예로서 차량용 거치대의 제5 실시예에 대한 단면도를 도시하며, 상기 도 12에 도시된 본 발명에 따른 제5 실시예에서도 외장형 송수신 안테나부(100e), 중계 안테나부(200e) 및 바이어스 티(300e)의 위치와 기능은 상기 도 5의 (c)에 도시된 본 발명에 따른 제3 실시예와 유사하지만 상기 도 11에 도시된 본 발명에 따른 제4 실시예에와 같이 송수신 안테나부(100e) 및 중계 안테나부(200e)에 선택적으로 구비되는 증폭기와 밴드패스 필터를 앞서 살펴본 저전력 소자로 구성하여 전원부(400e)가 태양광 전지판을 포함하여 이를 통해 전원을 공급하게 된다.12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fifth embodiment of a vehicle holder as an embodiment of a terminal holder having an RF signal transmission / reception func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also in the fifth embodim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shown in FIG. The positions and functions of the transmit / receive antenna unit 100e, the relay antenna unit 200e, and the bias tee 300e are similar to those of the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shown in FIG. As in the fourth embodim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 amplifier and a band pass filter, which are selectively provided in the transmission / reception antenna unit 100e and the relay antenna unit 200e, are configured as the low-power device described above, and thus the power supply unit 400e is solar light. Including a panel to supply power.

이와 같은 상기 도 11 및 도 12에 도시된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의 단말기 거치대 경우에, 상기 도 11 및 도 12에서는 차량용 거치대로 도시하였지만 이에 국한되지 않고 사용자가 간편이 휴대할 수 있는 휴대용 거치대에 적용될 수 있으며, 특히 소형 건전지나 태양광 전지판을 적용하는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거치대는 외부로부터 전원을 공급받기 힘든 야외에서도 장착되는 휴대용 단말기의 안테나 성능을 효과적으로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11 and 12, the terminal holder of the embodim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shown in Figure 11 and 12, but is not limited thereto, but is applied to a portable cradle that the user can easily carry. In particular, the portable crad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hich applies a small battery or a solar panel, can effectively improve the antenna performance of a portable terminal mounted outdoors even when it is difficult to receive power from the outside.

나아가서 상기 도면상에는 도시되지 않았지만, 충전용 건전지와 태양광 전지판을 동시에 장착하여 태양광이 존재하는 경우에 이를 이용하여 기기를 동작시키면서 충전용 건전지를 충전시키고 태양광이 존재하지 않는 경우에 충전용 건전지에 충전된 전원을 이용할 수도 있다.Furthermore, although not shown in the drawing, the rechargeable battery and the solar panel are installed at the same time to operate the device in the presence of sunlight to charge the rechargeable battery while operating the device using the rechargeable battery in the absence of sunlight It is also possible to use a power source charged in.

또한 전원부에 전원공급 ON/OFF 스위치를 장착하여, 거치대를 사용하지 않을 시에는 전원공급을 중단시켜 건전지의 불필요한 방전을 제거함으로써 보다 장시간동안 본 발명에 따른 단말기 거치대를 이용할 수 있으며, 나아가서 전원부에 태양광 전지판과 충전용 건전지를 선택적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전원공급 변환 스위치를 장착하여, 태양광이 존재하는 시간대에는 태양광 전지판을 이용하여 전원을 공급받고 태양광이 존재하지 않는 시간대에는 건전지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음으로써 보다 효과적인 전원공급이 가능하다. In addition, by mounting the power supply ON / OFF switch in the power supply unit, when the holder is not in use, the terminal hold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used for a longer time by stopping the power supply to remove unnecessary discharge of the battery, Equipped with a power supply conversion switch to selectively use the photovoltaic panel and the rechargeable battery, power is supplied by the solar panel in the presence of sunlight and from the battery in the absence of sunlight. Receiving, more efficient power supply is possible.

특히, 외장형 송수신 안테나부를 내장하고 거치대 내부에 건전지 혹은 충전용 건전지를 사용할 경우 차량 내부뿐만 아니라 휴대가 가능한 거치대로 활용이 가능하다. In particular, when an external transceiver antenna unit is used and a battery or a rechargeable battery is used in the cradle, it can be used as a portable cradle as well as inside a vehicle.

이와 같은 본 발명으로, 해당 수신 신호가 약한 지역이나 건물 또는 차량 내부에서 휴대용 단말기의 사용시에 휴대용 단말기의 안테나 성능을 향상시켜 휴대용 단말기의 다양한 기능을 제약없이 사용할 수 있게 되며, 특히 외장형 안테나를 연결시키기 위한 단자가 구비되지 않은 스마트폰이나 테블릿 PC 등을 이용하는 경우에 본 발명에 따른 구성 및 특징은 더욱 효과가 나타날 수 있을 것이다. As such, the present invention improves the antenna performance of the portable terminal when the portable terminal is used in a region, a building, or a vehicle in which the corresponding reception signal is weak, so that various functions of the portable terminal can be used without restriction, and in particular, to connect an external antenna. In the case of using a smartphone or tablet PC that is not provided with a terminal for the configuration and feature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more effective.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휴대용 단말기는 휴대하는 단말기만을 지칭하는 것이 아니라 항시 차량에 비치되는 네비게이션 등과 같은 일반적인 단말기를 모두 포함하는 의미로서, 사용장소나 목적에 따른 다양한 단말기의 안테나 성능을 향상시키기 위한 단말기 거치대에 본 발명이 적용되는 것이다.
In addition,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portable terminal does not refer only to a portable terminal, but includes all general terminals such as navigation provided in a vehicle at all times, and for improving antenna performance of various terminals according to a use place or purpose.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to the terminal holder.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기재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해서 해석되어야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The foregoing description is merely illustrative of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various changes and modifications may be made by those skilled in the art without departing from the essential characteristics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fore, the embodiments described in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intended to limit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but to explain, and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by these embodiments. The scope of protec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construed according to the following claims, and all technical ideas within the scope of equivalents thereof should be construed as being included 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100 : 송수신 안테나부, 110 : 송수신 안테나부에 구비된 안테나,
200 : 중계 안테나부, 120 : 중계 안테나부에 구비된 안테나,
250 : 전도성 방사체, 260 : 세라믹 유전체,
270 : 그라운드면,
300 : 바이어스 티, 400 : 전원부,
510 : 안착부, 520 : 크립 홀더,
550 : 진공 흡착부.
100: transmitting and receiving antenna unit, 110: antenna provided in the transmitting and receiving antenna unit,
200: the relay antenna unit, 120: the antenna provided in the relay antenna unit,
250: conductive radiator, 260: ceramic dielectric,
270: ground plane,
300: bias tee, 400: power supply,
510: seating portion, 520: creep holder,
550: vacuum suction unit.

Claims (10)

단말기가 탈착되는 거치대에 있어서,
외부 신호를 송수신하기 위한 안테나가 구비된 송수신 안테나부 및
상기 송수신 안테나부로부터의 신호를 거치대에 장착된 휴대용 단말기에게 RF 신호로 방사하고, 상기 휴대용 단말기로부터 방사된 RF 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송수신 안테나부로 전송하기 위한 안테나가 구비된 중계 안테나부를 포함하며,
상기 중계 안테나부는, 상기 거치대의 휴대용 단말기가 장착되는 부위의 외면 또는 인접한 내부에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RF 신호 송수신 기능을 갖는 단말기 거치대.
In the cradle where the terminal is removable,
Transmitting and receiving antenna unit having an antenna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an external signal and
Radiating signal from the transmitting and receiving antenna unit to the portable terminal mounted on the cradle as an RF signal, and a relay antenna unit having an antenna for receiving and transmitting the RF signal emitted from the portable terminal to the transmitting and receiving antenna unit,
The relay antenna unit, the terminal cradle having an RF signal transmission and reception function, characterized in that formed on the outer surface or adjacent to the inside of the mounting portion of the portable terminal.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중계 안테나부에 구비된 안테나는, 상기 휴대용 단말기에 내장된 안테나를 지향하는 지향성 패치 안테나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RF 신호 송수신 기능을 갖는 단말기 거치대.
The method of claim 1,
The antenna provided in the relay antenna unit, the terminal holder having an RF signal transmission and reception function, characterized in that formed as a directional patch antenna for directing the antenna embedded in the portable terminal.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중계 안테나부에 구비된 안테나는, 무지향성의 모노폴 안테나, PIFA 타입의 F-PCB 안테나, 방사체 안테나 또는 세라믹 칩 안테나 중 어느 하나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RF 신호 송수신 기능을 갖는 단말기 거치대.
The method of claim 1,
The antenna provided in the relay antenna unit, a terminal holder having an RF signal transmission and reception function, characterized in that formed of any one of a non-directional monopole antenna, PIFA type F-PCB antenna, radiator antenna or ceramic chip antenna.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송수신 안테나부와 상기 중계 안테나부의 사이에 위치되어 RF 신호와 DC 신호를 합성하거나 분리하는 바이어스 티(bias tee) 및
상기 바이어스 티로 DC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RF 신호 송수신 기능을 갖는 단말기 거치대.
The method of claim 1,
A bias tee positioned between the transmitting and receiving antenna unit and the relay antenna unit to synthesize or separate an RF signal and a DC signal;
And a power supply unit supplying DC power to the bias tee.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송수신 안테나부는 상기 거치대의 외부에 위치되며,
상기 송수신 안테나부와 상기 바이어스 티를 연결하는 RF 케이블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RF 신호 송수신 기능을 갖는 단말기 거치대.
The method of claim 4, wherein
The transmission and reception antenna unit is located outside the cradle,
And a RF cable for connecting the transceiver antenna unit and the bias tee.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송수신 안테나부는 상기 거치대의 내부에 위치되되, 상기 송수신 안테나부에 구비된 안테나가 상기 중계 안테나부에 구비된 안테나와 λ/2이상 이격되어 위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RF 신호 송수신 기능을 갖는 단말기 거치대.
The method of claim 4, wherein
The transmitting and receiving antenna unit is located inside the holder, the terminal holder having an RF signal transmission and reception function, characterized in that the antenna provided in the transmitting and receiving antenna unit is spaced apart by λ / 2 or more from the antenna provided in the relay antenna unit .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중계 안테나부 또는 상기 송수신 안테나부 중 하나 이상은,
구비된 안테나가 송수신하는 신호를 증폭하기 위한 증폭기(LNA)를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RF 신호 송수신 기능을 갖는 단말기 거치대.
The method of claim 4, wherein
At least one of the relay antenna unit or the transceiver antenna unit,
Terminal holder having an RF signal transmission and reception function,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n amplifier (LNA) for amplifying the signal transmitted and received by the provided antenna.
제 1 항, 제 2 항 또는 제 4 항 내지 제 7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중계 안테나부에 구비된 안테나는, 지향성 마이크로스트립 패치 안테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RF 신호 송수신 기능을 갖는 단말기 거치대.
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2 or 4 to 7,
The antenna provided in the relay antenna unit, a terminal holder having an RF signal transmission and reception function, characterized in that the directional microstrip patch antenna.
제 4 항 내지 제 7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전원부는, 차량의 시가라이터 소켓을 통해 전원을 공급받거나, 상기 장착된 휴대용 단말기의 USB 포트에 USB 케이블을 연결하여 전원을 공급받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RF 신호 송수신 기능을 갖는 단말기 거치대.
8. 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4 to 7,
The power supply unit, the terminal cradle having an RF signal transmission and reception function, characterized in that the power is supplied through the cigarette lighter socket of the vehicle, or by connecting a USB cable to the USB port of the mounted portable terminal.
제 4 항 내지 제 7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전원부는, 내장된 건전지 또는 태양광 전지판를 통해 전원을 공급받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RF 신호 송수신 기능을 갖는 단말기 거치대.
8. 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4 to 7,
The power supply unit, the terminal cradle having an RF signal transmission and reception function, characterized in that the power supply is supplied via a built-in battery or solar panel.
KR1020100131957A 2010-12-21 2010-12-21 Cradle for terminal having the function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rf signal KR20120070414A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31957A KR20120070414A (en) 2010-12-21 2010-12-21 Cradle for terminal having the function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rf signal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31957A KR20120070414A (en) 2010-12-21 2010-12-21 Cradle for terminal having the function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rf signal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70414A true KR20120070414A (en) 2012-06-29

Family

ID=4668828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131957A KR20120070414A (en) 2010-12-21 2010-12-21 Cradle for terminal having the function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rf signal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20070414A (en)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29070A (en) * 2017-09-11 2019-03-20 엘지전자 주식회사 Supporting device for portable air caring apparatus
WO2021149897A1 (en) * 2020-01-20 2021-07-29 주식회사 원더풀플랫폼 Assisting system using drive pattern of cradle
KR20220166171A (en) * 2021-06-09 2022-12-16 (주)에스피에스 Cradle for mounting smart device and battery coupled theret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29070A (en) * 2017-09-11 2019-03-20 엘지전자 주식회사 Supporting device for portable air caring apparatus
WO2021149897A1 (en) * 2020-01-20 2021-07-29 주식회사 원더풀플랫폼 Assisting system using drive pattern of cradle
KR20210094181A (en) * 2020-01-20 2021-07-29 주식회사 원더풀플랫폼 System for helper using rotation pattern of cradle
KR20220166171A (en) * 2021-06-09 2022-12-16 (주)에스피에스 Cradle for mounting smart device and battery coupled theret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954122B2 (en) Electronic device case with antenna
KR102279153B1 (en) Shark pin antenna
CN1893177B (en) Hybrid antenna unit
RU2204185C2 (en) Communication device with portable radiophone antenna
CN111162381B (en) Dual-frequency eight-unit MIMO terminal antenna
EP1148584A2 (en) Radio communication apparatus and radio communication method
CN101673873B (en) Planar dual-antenna system for mobile terminal
CN104795623A (en) Mobile device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TW200603485A (en) Switched multi-beam antenna
CN102468529A (en) Multifunctional integrated antenna
KR20050027961A (en) A personal repeater using rf coupling
KR20070064196A (en) Mobile terminal be mounted piural antenna
CN203883123U (en) Anti-multipath GPS measurement type antenna
CA2660552A1 (en) Methods and systems for retransmission of a broadcast signal using a proximity transmitting radiator
Yang et al. A compact wideband printed antenna for 4G/5G/WLAN wireless applications
KR20120070414A (en) Cradle for terminal having the function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rf signal
US6693596B2 (en) Dual-frequency antenna
CN101702466B (en) High-gain wide-frequency band omni antenna
KR20080095597A (en) Internal antenna for broad band
KR20120068102A (en) Glass adhesion type integration exterior antenna
CN101853977A (en) Mobile device
CN102625488A (en) Mobile terminal
JP6283970B1 (en) Antenna, radio transmission device, and position measurement system
CN210723350U (en) Three-dimensional bluetooth headset antenna
CN102403568A (en) Frequency band-switchable antenna devi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