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50027961A - A personal repeater using rf coupling - Google Patents

A personal repeater using rf coupling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50027961A
KR20050027961A KR1020040073929A KR20040073929A KR20050027961A KR 20050027961 A KR20050027961 A KR 20050027961A KR 1020040073929 A KR1020040073929 A KR 1020040073929A KR 20040073929 A KR20040073929 A KR 20040073929A KR 20050027961 A KR20050027961 A KR 2005002796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ntenna
repeater
mobile communication
signal
communication termi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73929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송성준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블루맥스 커뮤니케이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블루맥스 커뮤니케이션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블루맥스 커뮤니케이션
Publication of KR2005002796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27961A/en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7/00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 H04B7/14Relay systems
    • H04B7/15Active relay systems
    • H04B7/155Ground-based stations
    • H04B7/15564Relay station antennae loop interference reduction
    • H04B7/15571Relay station antennae loop interference reduction by signal isolation, e.g. isolation by frequency or by antenna pattern, or by polariz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7/00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 H04B7/24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for communication between two or more posts
    • H04B7/26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for communication between two or more posts at least one of which is mobile
    • H04B7/2603Arrangements for wireless physical layer control
    • H04B7/2606Arrangements for base station coverage control, e.g. by using relays in tunne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Radio Relay Systems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A personal repeater using RF coupling is provided to facilitate installation by suppressing an oscillation phenomenon to minimize an electric field reach range of a service antenna. The first transmission/reception antenna transmits/receives a signal wirelessly to/from a base station. The second transmission/reception antenna wirelessly connected with a mobile terminal through RF coupling and transmits/receives a signal to/from the mobile terminal(1). A signal processing/amplifying unit(21) receives a signal from the base station through the first transmission/reception antenna, amplifies it, and then, transmits the amplified signal to the mobile terminal(1) through the second transmission/reception antenna. Also, the signal processing/amplifying unit(21) receives a signal from the mobile terminal(1) through the second transmission/reception antenna, amplifies it, and then, transmits the amplified signal to the base station through the first transmission/reception antenna.

Description

알에프 커플링을 이용한 개인형 중계기 {A PERSONAL REPEATER USING RF COUPLING} Personal repeater using RF coupling {A PERSONAL REPEATER USING RF COUPLING}

본 발명은 이동통신망에서 기지국과 단말기를 중계하여 음영지역을 해소하기 위한 중계기에 관한 것으로, 특히 중계기의 서비스 안테나를 루프 안테나로 사용하여 안테나 사이의 격리도를 확보하여 장소에 구애받지 않고 누구나 손쉽게 설치 및 사용할 수 있는 RF 커플링을 이용한 개인형 중계기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repeater for resolving a shadow area by relaying a base station and a terminal in a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In particular, by using a service antenna of a repeater as a loop antenna to secure isolation between antennas, anyone can easily install and A personal relay with RF coupling that can be used.

최근들어, 사용자가 급증하고 있는 이동통신망은 기지국을 중심으로 한 셀 단위로 서비스 영역이 정의된다. 이동통신에 사용되는 주파수의 특성상 전파의 도달이 어려운 도시의 건물 안이나 터널 내, 지하공간 혹은 산간지역이나 도서지역 등에는 통화가 어려운 음영지역이 존재할 가능성이 매우 높다.In recent years, in the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that is rapidly increasing, service areas are defined in units of cells around a base station. Due to the nature of the frequencies used in mobile communications, there is a high possibility that there are shadowed areas that are difficult to communicate in buildings, tunnels, underground spaces, mountainous areas or island areas.

이러한 음영지역을 해소하기 위해서는 기지국을 최대한 많이 설치하는 것이 필요하지만, 기지국을 설치하는데는 비용이 많이 들고 인접 기지국간의 간섭이 심해지는 문제점이 있으므로 통상 기지국 대신에 중계기(repeater)를 설치하여 음영지역을 해소하고 있다.It is necessary to install as many base stations as possible to solve such shaded areas, but there is a problem in that it is expensive to install a base station and the interference between neighboring base stations is severe. Therefore, a repeater is installed instead of a base station. It is resolved.

그런데 서비스 커버리지가 좁고 사용자의 수가 적은 곳 즉, 가정 등과 같은 개인 음영 지역의 경우, 서비스 사업자 입장에서는 중계기 가격 및 설치 비용이 과다하게 발생하므로 개인 음영 지역 각각에 모두 중계기를 설치해줄 수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However, in the case of a personal shadow area such as a small service coverage and a small number of users, such as a home, the repeater price and installation cost is excessive for the service provider, and thus there is a problem in that the repeater cannot be installed in each individual shadow area. .

또한, 종래의 중계기는 소출력 중계기의 경우에도 최소 50dB에서 55dB 이상의 이득을 필요로 하기 때문에 설치시 서비스 안테나와 도너 안테나 사이의 아이솔레이션(isolation) 문제가 발생하게 된다. 아이솔레이션이 확보되지 않을 경우 발진이 발생하게 되며, 이러한 발진 문제 때문에 중계기 설치시 설치조건에 따른 제약이 발생하게 된다.In addition, since the conventional repeater requires a gain of at least 50 dB to 55 dB or more even in the case of a small output repeater, there is an isolation problem between the service antenna and the donor antenna during installation. If the isolation is not secured, oscillation occurs. Due to this oscillation problem, restrictions on installation conditions occur when the repeater is installed.

도 1은 종래 중계기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이다.1 is a schematic diagram for explaining a conventional repeater.

도 1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의 중계기(20)는 신호처리/증폭부(21), 도너 안테나(30), 서비스 안테나(32)를 포함한다.As shown in FIG. 1, the conventional repeater 20 includes a signal processor / amplifier 21, a donor antenna 30, and a service antenna 32.

도 1을 참조하면, 도너 안테나(30)는 기지국(10)향 송수신 안테나이며, 기지국(10)으로부터 방사된 신호를 수신하여 신호처리/증폭부(21)로 전달하고, 신호처리/증폭부(21)로부터 출력된 신호를 수신하여 기지국(10)으로 송신한다. 서비스 안테나(32)는 가입자향 송수신 안테나이며, 이동통신 단말기(1)로부터 방사된 신호를 수신하여 신호처리/증폭부(21)로 전달하고, 신호처리/증폭부(21)로부터 출력된 신호를 수신하여 이동통신 단말기(1)로 송신한다. 신호처리/증폭부(21)는 제 1 듀플렉서(22), 순방향 증폭부(24), 역방향 증폭부(26), 제 2 듀플렉서(28)를 포함한다.Referring to FIG. 1, the donor antenna 30 is a transmission / reception antenna toward the base station 10, receives a signal radiated from the base station 10, transmits the signal to the signal processing / amplification unit 21, and the signal processing / amplification unit ( A signal output from 21 is received and transmitted to the base station 10. The service antenna 32 is a transmit / receive antenna directed to a subscriber, receives a signal radiated from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 transmits the signal to the signal processing / amplifying unit 21, and transmits the signal output from the signal processing / amplifying unit 21. Receive and transmit to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 The signal processor / amplifier 21 includes a first duplexer 22, a forward amplifier 24, a reverse amplifier 26, and a second duplexer 28.

중계기(20)는 기지국(10)으로부터 인가되는 신호를 이동통신 단말기(1)측으로 송신하고, 동시에 이동통신 단말기(1)로부터 수신된 신호를 기지국(10)측으로 송신하게 된다. 중계기(20)의 서비스 안테나(32)를 통해 이동통신 단말기(1)로 송신되는 신호는 다시 반향되어 도너 안테나(30)측으로 수신되는 반향신호가 존재하고, 반대의 신호도 존재하게 된다. The repeater 20 transmits a signal applied from the base station 10 to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 side, and simultaneously transmits a signal received from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 to the base station 10 side. The signal transmitted to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 through the service antenna 32 of the repeater 20 is echoed back and the echo signal received by the donor antenna 30 is present, and the opposite signal is also present.

제 1 듀플렉서(22)는 도너 안테나(30)를 통해 수신된 신호를 받아 순방향 증폭부(24)로 출력하고, 역방향 증폭부(26)로부터 출력된 신호를 받아 도너 안테나(30)를 통하여 기지국(10)으로 송신한다. 이때 도너 안테나(30)를 통해 수신되는 신호에는 기지국(10)에서 출력되는 기지국 신호와 함께 서비스 안테나(32)로부터 인가되는 반향신호 등이 있다. 순방향 증폭부(24)는 제 1 듀플렉서(22)로부터 출력된 신호를 증폭하여 서비스 안테나(32)로 출력한다.The first duplexer 22 receives the signal received through the donor antenna 30 and outputs it to the forward amplifier 24, and receives the signal output from the reverse amplifier 26 and receives the signal from the base station 30 through the donor antenna 30. 10). In this case, the signal received through the donor antenna 30 may include an echo signal applied from the service antenna 32 together with the base station signal output from the base station 10. The forward amplifier 24 amplifies the signal output from the first duplexer 22 and outputs it to the service antenna 32.

제 2 듀플렉서(28)는 순방향 증폭부(24)를 통해 증폭된 신호를 받아 서비스 안테나(32)를 통해 가입자측으로 송신하고, 서비스 안테나(32)를 통해 수신된 신호를 받아 역방향 증폭부(26)로 출력한다. 역방향 증폭부(26)는 제 2 듀플렉서(28)로부터 출력된 신호를 증폭하여 도너 안테나(30)로 출력한다.The second duplexer 28 receives the signal amplified by the forward amplifier 24 and transmits it to the subscriber side through the service antenna 32, and receives the signal received through the service antenna 32 and the reverse amplifier 26. Will output The reverse amplifier 26 amplifies the signal output from the second duplexer 28 and outputs it to the donor antenna 30.

여기서, 중계기(20)는 단위지역내의 단말기(1)를 폭넓게 지원할 수 있도록 넓은 방사 패턴을 가지는 등방성(isotropic) 또는 전방향성(omnidirectional)의 안테나를 채용하는 것이 보통이다.Here, the repeater 20 generally employs an isotropic or omnidirectional antenna having a wide radiation pattern so as to support the terminal 1 in the unit area widely.

도 2는 종래 중계기에서 서비스 안테나로 널리 사용되는 다이폴(dipole) 안테나를 도시한 도면이다.FIG. 2 illustrates a dipole antenna widely used as a service antenna in a conventional repeater.

도 2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다이폴 안테나(40)는 막대기 길이의 두 배의 파장을 가진 주파수에 공진한다. 즉, 원하는 주파수의 파장이 λ인 신호를 송수신하려면 다이폴 안테나(40)의 막대기 길이는 λ/2 가 되어야 한다. 예를 들어, 1GHz의 공기중 파장이 30cm라고 가정하는 경우, 다이폴 안테나(40)의 길이를 15cm로 하면 1GHz용 안테나가 된다.As shown in FIG. 2, the dipole antenna 40 resonates at a frequency with twice the wavelength of the rod length. That is, in order to transmit and receive a signal having a wavelength of λ, the pole length of the dipole antenna 40 should be λ / 2. For example, in the case where the wavelength in air at 1 GHz is assumed to be 30 cm, the length of the dipole antenna 40 is 15 cm to give an antenna for 1 GHz.

도 3은 종래 중계기에서 서비스 안테나로 널리 사용되는 모노폴(monopole) 안테나를 도시한 도면이다.3 is a diagram illustrating a monopole antenna widely used as a service antenna in a conventional repeater.

도 3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모노폴 안테나(50)는 접지(Ground)가 이미지(image) 효과를 가지기 때문에, 다이폴 안테나(40)보다 절반정도 작은 길이인 λ/4 길이를 갖는다. 예를 들어, 1GHz의 공기중 파장이 30cm라고 가정하는 경우, 모노폴 안테나(50)의 길이를 7.5cm로 하면 1GHz용 안테나가 된다.As shown in FIG. 3, the monopole antenna 50 has a length of lambda / 4, which is about half smaller than the dipole antenna 40, since the ground has an image effect. For example, in the case where the wavelength in air of 1 GHz is assumed to be 30 cm, when the length of the monopole antenna 50 is 7.5 cm, the antenna for 1 GHz is obtained.

도 4는 종래 중계기에서 모노폴 안테나를 사용할 경우, 중계기와 이동통신 단말기간 신호 전송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에서 도 1의 중계기와 동일한 부분에 대해서는 동일 부호를 부여하고, 동일 부호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4 is a diagram illustrating signal transmission between a repeater and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when using a monopole antenna in a conventional repeater. In FIG. 4, the same code | symbol is attached | subjected about the same part as the repeater of FIG. 1, and the description about the same code | symbol is abbreviate | omitted.

중계기(20)에서 서비스 안테나를 모노폴 안테나(50)로 사용하면, 도 4에서 도시된 바와 같은 방사 패턴을 가지며, 중계기(20)와 단말기(1)간 공간 손실이 최소한 40dB 정도 발생한다. 단말기(1)의 신호세기는 단말기(1) 안테나와 서비스 안테나(32) 사이의 공간 손실에 따라 결정된다. 따라서 중계기(20)의 이득은 출력 값과 입력 신호의 세기에 따라서 변화되고, 입력 신호의 세기가 약하거나 출력 설정 값이 높을수록 고이득 증폭을 하여야 한다.When the service antenna is used as the monopole antenna 50 in the repeater 20, it has a radiation pattern as shown in FIG. 4, and at least 40 dB of space loss occurs between the repeater 20 and the terminal 1. The signal strength of the terminal 1 is determined according to the space loss between the terminal 1 antenna and the service antenna 32. Therefore, the gain of the repeater 20 changes according to the output value and the intensity of the input signal, and the higher the gain of the input signal or the higher the output setting value, the higher the gain amplification.

그러나 중계기(20)에서 고이득 증폭을 할 경우, 도너 안테나(30)와 서비스 안테나(32) 사이의 격리도가 확보되지 않으면 발진 현상이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다. 여기서, '발진 현상'이란 안테나가 방사 특성상 전방으로만 신호를 방사하는 것이 아니기 때문에 출력 안테나에서 방사된 신호의 일부가 다시 입력 안테나로 유입되므로 신호 증폭 시스템에서 출력단 신호가 입력단에 유입되고, 이에 따라 시스템은 자기 신호를 또다시 증폭하여 출력하는 무한 순환 상태가 되어 시스템의 출력 한계점까지 지속적으로 증가되는 상태를 말한다.However, when the high-gain amplification is performed in the repeater 20, there is a problem in that oscillation occurs if the isolation between the donor antenna 30 and the service antenna 32 is not secured. Here, the oscillation phenomenon means that since the antenna does not emit a signal forward only due to its radiation characteristics, a part of the signal radiated from the output antenna flows back into the input antenna. The system is in a state of infinite circulation that amplifies and outputs a magnetic signal again and continuously increases to the output limit of the system.

이러한 발진 상태를 방지하기 위하여 출력단에서 입력단으로 유입되는 신호의 세기가 원래의 입력 신호보다 15dB 이상 낮은 값을 유지하여야 한다. In order to prevent this oscillation state, the intensity of the signal flowing from the output stage to the input stage should be kept at least 15 dB lower than the original input signal.

특히, 고 이득 시스템의 경우, 출력 신호는 이득에 비례하여 커지기 때문에 입력측으로 유입되는 신호의 세기가 커지므로 이를 줄이기 위해서 안테나 사이의 이격 거리를 늘리거나 신호의 세기를 감쇄시킬 수 있는 건물 등을 이용하여 안테나 사이의 격리도가 시스템 이득보다 15dB 이상이 되도록 안테나를 설치해야 한다.In particular, in the case of high gain systems, the output signal is increased in proportion to the gain, so the intensity of the signal flowing into the input side is increased. Therefore, in order to reduce this, it is necessary to use a building that can increase the separation distance between antennas or reduce the strength of the signal. Therefore, the antenna should be installed so that the isolation between the antennas is 15dB higher than the system gain.

그런데 최악의 경우, 설치조건의 조정에 의해서 충분한 격리도가 확보되지 않으면, 중계기의 이득을 발진이 발생되지 않는 상태로 감소(출력 감소)시켜 시스템을 설치하여야 한다. 이와 같이 종래의 중계기 설치는 격리도 확보 등과 같은 복잡한 과정이 수반되므로 전문가가 계측기를 이용하여 시설할 수 밖에 없었다.However, in the worst case, if sufficient isolation cannot be secured by adjusting the installation conditions, the system should be installed by reducing the gain of the repeater to a state where oscillation does not occur (output reduction). As such, the conventional repeater installation involves a complicated process such as securing the degree of isolation, such that the expert was forced to install the instrument using a measuring instrument.

따라서 종래의 중계기는 설치를 위한 전문 인력을 필요로 하고, 설치하기 위한 장소를 잘 선택해야 하며, 설치작업에 시간이 많이 소요되어 전체적으로 설치절차가 어렵고 비용이 많이 드는 문제점이 있었다.Therefore, the conventional repeater requires a professional manpower for installation, must choose a place for installation well, there is a problem that the installation process is difficult and expensive as a whole takes a lot of installation work.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하는 것으로, The present invention is to solve the above problems,

본 발명의 목적은 중계기의 서비스 안테나와 이동통신 단말기 사이의 공간 손실을 최소화하여 중계기의 이득을 감소시킬 수 있고, 서비스 안테나의 전계도달범위를 최소화하여 발진현상을 억제함으로써 설치하기 용이한 RF 커플링을 이용한 개인형 중계기를 제공하고자 하는 데 있다.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reduce the gain of the repeater by minimizing the space loss between the service antenna of the repeater and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the RF coupling easy to install by suppressing the oscillation phenomenon by minimizing the field delivery range of the service antenna It is to provide a personal type repeater using.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상기와 같은 개인형 중계기를 구현함에 있어서 기구적으로 다양한 형상과 접속방식을 갖는 RF 커플링을 이용한 개인형 중계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It is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personal relay using RF coupling having various shapes and connection methods mechanically in implementing such a personal relay.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하나의 특징에 따른 RF 커플링을 이용한 개인형 중계기는, 기지국과 무선으로 신호를 송수신하는 제 1 송수신 안테나;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와 기구적으로는 유선 형태로 연결 고정되고, 신호적으로는 RF 커플링을 통해 무선으로 연결되어 신호를 송수신하는 제 2 송수신 안테나; 및 상기 제 1 송수신 안테나를 통해 기지국으로부터 송신된 신호를 입력받아 증폭시켜 상기 제 2 송수신 안테나를 통해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로 출력하고, 상기 제 2 송수신 안테나를 통해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로부터 송신된 신호를 입력받아 증폭시켜 상기 제 1 송수신 안테나를 통해 상기 기지국으로 출력하는 신호처리/증폭부를 포함한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a personal relay using RF coupling 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first transceiver antenna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signals wirelessly with the base station; A second transmission / reception antenna mechanically connected to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in a wired form, and wirelessly connected via an RF coupling to transmit and receive a signal; And receiving and amplifying a signal transmitted from a base station through the first transmit / receive antenna, output the signal to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through the second transmit / receive antenna, and input a signal transmitted from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through the second transmit / receive antenna. It receives and amplifies and outputs the signal processing / amplifying unit for outputting to the base station through the first transmission and reception antenna.

이때 상기 제 2 송수신 안테나는 루프 안테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신호처리/증폭부는, 상기 제 1 송수신 안테나를 통해 수신된 신호를 입력받아 상기 제 2 송수신 안테나를 통해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 측으로 출력하고, 상기 제 2 송수신 안테나를 통해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로부터 수신된 신호를 입력받아 상기 제 1 송수신 안테나를 통해 상기 기지국으로 출력하는 제 1 듀플렉서; 상기 제 1 듀플렉서로부터 입력받은 신호를 증폭하는 순방향 증폭부; 상기 순방향 증폭부를 통해 증폭된 신호를 입력받아 상기 제 2 송수신 안테나를 통해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로 출력하고,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로부터 송신된 신호를 입력받아 상기 제 1 송수신 안테나를 통해 상기 기지국으로 출력시키는 제 2 듀플렉서; 및 상기 제 2 듀플렉서로부터 입력받은 신호를 증폭하는 역방향 증폭부를 포함한다.In this case, the second transmit / receive antenna is a loop antenna, and the signal processor / amplifier receives a signal received through the first transmit / receive antenna and outputs the signal to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through the second transmit / receive antenna. A first duplexer that receives a signal received from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through the second transmit / receive antenna and outputs the signal to the base station through the first transmit / receive antenna; A forward amplifier for amplifying a signal received from the first duplexer; Receiving a signal amplified by the forward amplifying unit and outputting the amplified signal to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through the second transmission / reception antenna, and receiving a signal transmitted from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outputting the signal to the base station through the first transmission / reception antenna; 2 duplexer; And a reverse amplifier for amplifying the signal received from the second duplexer.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Hereinafter, exemplary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RF 커플링을 이용한 개인형 중계기의 신호 전송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6은 본 발명인 RF 커플링을 이용한 개인형 중계기에 사용되는 루프 안테나를 도시한 도면이다.FIG. 5 is a diagram illustrating signal transmission of a personal relay using RF coupling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6 is a diagram illustrating a loop antenna used in a personal relay using RF coupling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5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인 RF 커플링을 이용한 개인형 중계기(200)는 신호처리/증폭부(21), 도너 안테나(30), 서비스 안테나인 루프 안테나(100)를 포함한다.As shown in FIG. 5, the personal relay 200 using the RF coupling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signal processing / amplifying unit 21, a donor antenna 30, and a loop antenna 100 as a service antenna.

본 발명의 개인형 중계기(200)는 기지국(10)과 사용자 이동통신 단말기(1)간의 원활한 통신을 위하여 무선 기지국(도1의 10)과 이동통신 단말기(1)로부터 송출된 낮은 출력의 무선신호를 수신하여 원하는 대역의 주파수를 선택하고 증폭하여 이동통신 단말기(1)와 기지국(10)으로 RF 신호를 재송출하는 중계역할을 한다.The personal relay 200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low output radio signal transmitted from the radio base station (10 in FIG. 1) and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 for smooth communication between the base station 10 and the user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 It receives and selects the frequency of the desired band and amplifies and relays the RF signal to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 and the base station 10.

신호처리/증폭부(21)는 제 1 듀플렉서(22), 순방향 증폭부(24), 역방향 증폭부(26), 제 2 듀플렉서(28)를 포함한다.The signal processor / amplifier 21 includes a first duplexer 22, a forward amplifier 24, a reverse amplifier 26, and a second duplexer 28.

제 1 듀플렉서(22)는 도너 안테나(30)를 통해 수신된 신호를 받아 순방향 증폭부(24)로 출력하고, 역방향 증폭부(26)로부터 출력된 신호를 받아 도너 안테나(30)를 통하여 기지국방향으로 송신한다. 순방향 증폭부(24)는 제 1 듀플렉서(22)로부터 입력된 신호를 증폭하여 루프 안테나(100)측으로 출력한다.The first duplexer 22 receives the signal received through the donor antenna 30 and outputs it to the forward amplifier 24, and receives the signal output from the reverse amplifier 26 to the base station through the donor antenna 30. Send by The forward amplifier 24 amplifies the signal input from the first duplexer 22 and outputs it to the loop antenna 100 side.

제 2 듀플렉서(28)는 순방향 증폭부(24)를 통해 증폭된 신호를 받아 루프 안테나(100)를 통해 가입자측으로 송신하고, 루프 안테나(100)를 통해 수신된 신호를 받아 역방향 증폭부(26)로 출력한다. 역방향 증폭부(26)는 제 2 듀플렉서(28)로부터 입력된 신호를 증폭하여 도너 안테나(30)로 출력한다.The second duplexer 28 receives the signal amplified by the forward amplifier 24 and transmits it to the subscriber side through the loop antenna 100, and receives the signal received through the loop antenna 100 and receives the reverse amplifier 26. Will output The reverse amplifier 26 amplifies the signal input from the second duplexer 28 and outputs it to the donor antenna 30.

도너 안테나(30)는 기지국(10)향 송수신 안테나이며, 기지국(10)으로부터 방사된 신호를 수신하여 신호처리/증폭부(21)로 전달하고, 신호처리/증폭부(21)로부터 입력된 신호를 수신하여 기지국(10)으로 송신한다.The donor antenna 30 is a transmitting / receiving antenna for the base station 10, receives a signal radiated from the base station 10, transmits the signal to the signal processing / amplifying unit 21, and receives a signal input from the signal processing / amplifying unit 21. Receives and transmits to the base station 10.

루프 안테나(100)는 가입자 단말기(1)향 송수신 안테나이며, 신호처리/증폭부(21)와 급전선(feeder line)으로 연결된다. 또한, 루프 안테나(100)는 이동통신 단말기(1)의 안테나와 RF커플링 방식으로 연결된다. 즉, 루프 안테나(100)는 고리형으로 되어 있으므로 이 고리에 이동통신 단말기(1)의 안테나를 끼워 서로 연결되고, 이에 따라 루프 안테나(100)와 이동통신 단말기(1)의 안테나는 RF 커플링에 의해서 무선으로 결합된다.The loop antenna 100 is a transmitting / receiving antenna for the subscriber station 1 and is connected to the signal processing / amplifying unit 21 by a feeder line. In addition, the loop antenna 100 is connected to the antenna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 by an RF coupling method. That is, since the loop antenna 100 is ring-shaped, the antennas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 are connected to each other by connecting the antennas of the loop antenna 100 and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 by RF coupling. Is coupled wirelessly.

여기서, 루프 안테나(100)가 이동통신 단말기(1)의 안테나와 연결되는 형태는 후술하는 바와 같이 여러 가지가 있을 수 있지만, 일반적인 방법을 사용하며 특정한 한 가지 방법에 한정되지 아니한다.Here, the loop antenna 100 may be connected to the antenna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 in various ways as described below. However, the loop antenna 100 uses a general method and is not limited to one specific method.

상기와 같이 이동통신 단말기(1)의 안테나에 연결되어 RF 결합된 루프 안테나(100)는 이동통신 단말기(1)로부터 방사된 신호를 수신하여 신호처리/증폭부(21)로 전달하고, 신호처리/증폭부(21)로부터 출력된 신호를 수신하여 이동통신 단말기(1)로 송신한다.The loop antenna 100 coupled to the antenna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 and RF-coupled as described above receives the signal radiated from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 and transmits the signal to the signal processing / amplifying unit 21 and performs signal processing. The signal output from the / amplifier 21 is received and transmitted to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

루프 안테나(100)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원형으로 몇 번 감은 와이어(wire)로 되어 있고, 루프의 내부로 전력이 밀집하는 특성이 있으며, 매우 큰 결정적 방향성을 가지고 있다. 와이어의 코일은 알루미늄 합금의 성형 덮개 속에 넣어서 유선형으로 하는 동시에, 발생하는 상호간섭을 제거한다.As shown in FIG. 6, the loop antenna 100 is made of a wire wound several times in a circle, has a property of dense power inside the loop, and has a very large deterministic orientation. The coil of wire is placed in a molded cover of aluminum alloy to make it streamlined, while eliminating the mutual interference generated.

도 7은 본 발명인 RF 커플링을 이용한 개인형 중계기에 사용되는 루프 안테나의 제1 예이이다. 7 is a first example of a loop antenna used in a personal repeater using the RF coupling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에 사용되는 루프 안테나(100)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말기의 안테나를 삽입하기 위한 홀(104a)이 중앙에 형성된 PCB(104)를 상,하 양방향에서 동일형상의 고무몰드(102,106)로 결합한 상태로 구현될 수 있다. As shown in FIG. 7, the loop antenna 100 used in the present invention has rubber molds 102 and 106 having the same shape in both up and down directions of the PCB 104 having a hole 104a formed at the center for inserting the antenna of the terminal. Can be implemented in a combined state.

도 8은 본 발명인 RF 커플링을 이용한 중계기에 사용되는 루프 안테나의 제2 예이고, 도 9 및 도 10은 본 발명에 사용되는 제2 예의 루프 안테나와 단말기와의 결합예이며, 도 11은 본 발명에 사용되는 제2 예의 루프 안테나와 단말기와의 다른 결합예이다.FIG. 8 is a second example of a loop antenna used in a repeater using the RF coupling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S. 9 and 10 are examples of coupling between a loop antenna and a terminal of a second example used in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It is another coupling example of the loop antenna of a 2nd example used for this invention, and a terminal.

제1 예의 루프 안테나(100)는 루프 안테나에 단말기(1)의 안테나를 삽입하는 방식으로 결합되므로 단말기 안테나의 크기에 따라 루프 안테나의 내경이 적절한 크기를 가져야 한다. 예컨대, 루프 안테나(100)의 내경이 단말기 안테나의 내경보다 훨씬 크게 제작될 경우 단말기 안테나 중심과의 거리가 멀어져 안테나간 결합손실이 증가되고, 물리적인 결합을 유지하기 위하여 루프 안테나 내부에 고무 등과 같은 패드를 부가해야 한다. 그런데 소형 폴더 단말기의 경우 부가물이 추가된 루프 안테나 때문에 폴더를 완전하게 개방할 수 없는 경우도 있다.Since the loop antenna 100 of the first example is coupled by inserting the antenna of the terminal 1 into the loop antenna, the inner diameter of the loop antenna should have an appropriate size according to the size of the terminal antenna. For example, when the inner diameter of the loop antenna 100 is made much larger than the inner diameter of the terminal antenna, the distance from the center of the terminal antenna is increased so that the coupling loss between antennas is increased, and rubber such as rubber inside the loop antenna is maintained to maintain physical coupling. Pads need to be added. However, in the case of a small folder terminal, the folder may not be completely opened due to the loop antenna with the addition.

이러한 문제를 개선하기 위해 본 발명에 사용되는 다른 루프 안테나(100')는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홀이 형성되지 않은 PCB 플레이트에 루프 패턴을 형성한 후 도 9 및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루프 안테나(100')를 단말기(1)의 안테나에 인접하게 위치시켜 결합한다. 이때 제2 예의 루프 안테나(100')를 단말기의 안테나(1a)에 물리적으로 결합하기 위하여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루프 안테나(100')를 집게형(108)으로 구현한 후 단말기의 안테나(1a)를 집는 방식으로 결합할 수도 있다. 여기서 집게형으로 구현할 경우에는 고무몰드 또는 플라스틱 등의 부재를 제거할 수 있어 간섭없이 결합할 수 있다.In order to improve this problem, another loop antenna 100 'used in the present invention is formed with a loop pattern on a PCB plate without holes as shown in FIG. 8, as shown in FIGS. 9 and 10. The loop antenna 100 'is positioned adjacent to the antenna of the terminal 1 to be coupled. In this case, in order to physically couple the loop antenna 100 'of the second example to the antenna 1a of the terminal, the loop antenna 100' is implemented as a tong type 108 as shown in FIG. It is also possible to combine 1a) by pinching. In this case, when implemented in the form of tongs, a member such as a rubber mold or plastic can be removed, and thus it can be combined without interference.

이와 같이 본 발명은 중계기의 루프 안테나(100)와 이동통신 단말기(1)의 안테나가 기구적으로 인접해야 하므로 개인 음영 지역과 같이 한정된 장소에서 효율적으로 사용할 수 있다. As such,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efficiently used in a limited place such as a personal shadow area because the loop antenna 100 of the repeater and the antenna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 must be mechanically adjacent to each other.

또한, 상기와 같이 연결된 루프 안테나(100)와 이동통신 단말기(1)간의 신호의 전송이 RF 커플링을 통해 무선으로 이루어지므로, 중계기(200)와 이동통신 단말기(1)와의 공간 손실이 -10dB 이하로 감소된다. 이로 인하여 본 발명에서는 낮은 증폭이득(Gain)을 갖는 중계기(200)를 사용할 수 있으므로 중계기의 소형화가 가능하고, 중계기의 이득을 감소시킬 수 있으므로 요구되는 격리도도 감소한다.In addition, since the signal transmission between the loop antenna 100 and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 connected as described above is performed wirelessly through RF coupling, the space loss between the repeater 200 and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 is -10 dB. Is reduced below. Therefore, in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 repeater 200 having a low gain can be used, the repeater can be miniaturized, and the gain of the repeater can be reduced, thereby reducing the required isolation.

또한, 루프 안테나(100)는 전력이 루프 안쪽으로 집중되기 때문에 도너 안테나(30)로부터 신호가 유입되거나 도너 안테나(30)로 신호가 전달되지 않기 때문에 두 안테나(30, 100) 사이의 거리 또는 부착 형태에 따라 영향을 받지 않게 된다. 따라서, 누구라도 손쉽게 중계기(200)를 설치할 수 있고, 통화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다. In addition, the loop antenna 100 has a distance or attachment between the two antennas 30 and 100 because no signal flows from the donor antenna 30 or no signal is transmitted to the donor antenna 30 because power is concentrated inside the loop. It is not affected by the form. Therefore, anyone can easily install the repeater 200, it is possible to improve the call quality.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루프 안테나를 사용한 중계기와 이동통신 단말기간 신호 전송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첨부된 도 5와 비교할 경우 도 12의 중계기는 증폭기(24')와 지연기(25)로 된 순방향 경로가 더 부가되어 이중화되어 있고, 이동통신 단말기(1)가 무선 헤드셋(300)과 연결되어 있다. 이와 같이 순방향 경로를 이중화하고 SAW와 같은 지연소자(25)를 경유하도록 하는 경우에는 레이크(rake) 수신기의 성능을 최대화함으로써 기지국 신호의 변동을 최소화하여 중계기 성능을 개선할 수 있다.12 is a view illustrating a signal transmission between a repeater and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using a loop antenna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 comparison with the accompanying FIG. 5, the repeater of FIG. 12 is duplicated by further adding a forward path including an amplifier 24 ′ and a delay unit 25, and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 is connected to the wireless headset 300. have. In this case, in the case where the forward path is dualized and passed through the delay element 25 such as the SAW, the repeater performance can be improved by minimizing the variation of the base station signal by maximizing the performance of the rake receiver.

본 발명의 중계기(200)를 사용할 경우 서비스 안테나와 도너 안테나 사이의 격리도에 구애받지 않고 누구나 간편하게 설치할 수 있도록 중계기(200)의 서비스 안테나로 루프 안테나(100)를 이용하고, 루프 안테나(100)의 루프에 이동통신 단말기(1)의 안테나를 삽입하여 연결한다. 이때 중계기(200)의 루프 안테나(100)와 이동통신 단말기(1)의 안테나가 물리적으로 인접하여 연결되기 때문에 사용자는 유선 전화처럼 중계기(200) 근처, 한정된 장소에서 이동통신 단말기(1)를 사용해야 한다.When using the repeater 200 of the present invention, regardless of the isolation between the service antenna and the donor antenna using the loop antenna 100 as a service antenna of the repeater 200 so that anyone can easily install, and the loop antenna 100 Insert the antenna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 into the loop and connect it. In this case, since the loop antenna 100 of the repeater 200 and the antenna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 are physically connected to each other, the user should use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 in a limited place near the repeater 200 like a landline. do.

그런데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무선 핸즈프리 기능이 있는 이동통신 단말기(1)를 사용할 경우에는 무선 핸즈프리(300)와 이동통신 단말기(1) 사이가 블루투스(Bluetooth) 방식이나 지그비(ZigBee) 방식, 혹은 적외선(IrDA) 방식으로 연결되므로 가정 또는 사무실 등에서 사용자가 자유롭게 이동하면서 통화를 할 수 있다.However, in the case of using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 having a wireless hands-free function as shown in FIG. 12, the wireless hands-free 300 and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 have a Bluetooth, ZigBee, or the like. Infrared (IrDA) is connected so that users can talk freely while at home or in the office.

즉, 이동통신 단말기(1)는 중계기(200)를 통해 기지국(10)으로부터 수신되는 신호를 블루투스 방식, 지그비방식 또는 적외선 방식(IrDA)을 사용하여 무선으로 핸즈프리(300)로 송신하고, 핸즈프리(300)로부터 블루투스 방식, 지그비 방식, 또는 적외선 방식을 사용하여 출력되는 신호를 무선으로 수신받아 중계기(200)를 통해 기지국으로 송신한다.That is,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 transmits a signal received from the base station 10 through the repeater 200 to the hands-free 300 wirelessly using a Bluetooth method, a Zigbee method, or an infrared method (IrDA), and hands-free ( 300 receives the signal output by using the Bluetooth method, the Zigbee method, or the infrared method wirelessly and transmits to the base station through the repeater 200.

무선 핸즈프리(300)는 이동통신 단말기(1)로부터 블루투스 방식, 지그비 방식 또는 적외선 방식을 사용하여 출력되는 신호를 무선으로 수신받아 스피커를 통해 사용자에게 출력하고, 사용자로부터 전달된 음성신호를 마이크를 통해 블루투스 방식, 지그비 방식, 또는 적외선 방식을 사용하여 무선으로 송신하여 이동통신 단말기(1)로 출력한다.The wireless hands-free 300 wirelessly receives a signal output from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 using a Bluetooth method, a Zigbee method or an infrared method, and outputs it to a user through a speaker, and transmits the voice signal transmitted from the user through a microphone. By wireless transmission using a Bluetooth method, a Zigbee method, or an infrared method, it is output to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핸즈프리(300)와 이동통신 단말기(1)간 선의 연결없이 블루투스 방식, 지그비 방식, 또는 적외선 방식을 사용하여 무선으로 접속되기 때문에 사용자가 자유롭게 이동하면서 통화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 wireless connection is performed using the Bluetooth method, the Zigbee method, or the infrared method without the line connection between the hands-free 300 and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 the user can talk freely while moving.

도 13은 본 발명의 개인형 중계기에 대한 기구적 형태의 제1 실시예로서, 신호처리/증폭부에 도너 안테나와 서비스 안테나가 급전선으로 연결된 형태이다.FIG. 13 is a first embodiment of a mechanical form of a personal relay of the present invention, in which a donor antenna and a service antenna are connected to a signal processing / amplification part by a feed line.

도 13을 참조하면, 신호처리/증폭부는 하나의 본체(72) 안에 구현되고, 도너 안테나는 모노폴 안테나(71)가 지지판상에 수직으로 서 있는 형태로 구현되며, 서비스 안테나는 가운데 홀(73a)이 뚫린 사각통(육면체) 형으로 된 루프 안테나(73)로 구현되어 있다.Referring to FIG. 13, the signal processing / amplification unit is implemented in one main body 72, the donor antenna is implemented in such a manner that the monopole antenna 71 stands vertically on the support plate, and the service antenna is the center hole 73a. It is implemented with the loop antenna 73 of this rectangular tube (hexahedral) type.

또한 서비스 안테나는 취부가 용이하도록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각통 형상의 루프 안테나의 홀(73a) 안쪽에 부재(74)를 부착하여 단말기의 안테나와 타이트하게 결합됨과 아울러 착탈이 용이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이때 홀 안쪽의 부재(74)는 연재질의 고무나 플라스틱 등 다른 재질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Also, as shown in FIG. 14, the service antenna is attached to the inside of the hole 73a of the square-shaped loop antenna to facilitate mounting, and is tightly coupled to the antenna of the terminal and configured to be easily removable. It may be. At this time, it is preferable that the member 74 inside the hole uses another material such as soft rubber or plastic.

그리고 도너 안테나는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안테나의 상단에 서비스 안테나의 홀(73a)보다 큰 캡(75)을 씌워 서비스 안테나를 도너 안테나에 끼우지 못하도록 할 수 있다. 즉, 도 13과 같은 형상에서 서비스 안테나를 도너 안테나에 끼우면 발진에 의해 부품이 파손될 염려가 있으므로 안전을 위해 플라스틱 재질이나 고무재질의 캡(75)을 도너 안테나의 종단부에 설치하여 서비스 안테나를 도너 안테나에 끼우지 못하도록 구성한다.As shown in FIG. 15, the donor antenna may cover the top of the antenna with a cap 75 larger than the hole 73a of the service antenna to prevent the service antenna from being inserted into the donor antenna. That is, when the service antenna is inserted into the donor antenna in the shape as shown in FIG. 13, the parts may be damaged by the oscillation. Therefore, for safety, a cap 75 of plastic material or rubber material is installed at the end of the donor antenna for donor service. Configure it so that it cannot be inserted into the antenna.

또한 도면에는 도시하지 않았으나 도너 안테나의 연결부위에 RF스위치를 부가하여 다른 외부 안테나를 연결할 수도 있고, 도너 안테나 연결부위를 나사 결합되는 컨넥터로 구현하여 다른 고이득 안테나로 교체 연결하여 사용할 수도 있다.In addition, although not shown in the drawing, another external antenna may be connected by adding an RF switch to a connection portion of a donor antenna, and a donor antenna connection portion may be implemented by using a screw-coupled connector to be replaced by another high gain antenna.

도 16은 본 발명의 개인형 중계기에 대한 기구적 형태의 제2 실시예로서, 신호처리/증폭부의 본체에 서비스 안테나가 일체로 구성되고, 도너 안테나가 급전선으로 연결된 형태이다.FIG. 16 is a second embodiment of a mechanical form of a personal relay of the present invention, in which a service antenna is integrally formed in a main body of a signal processing / amplifying unit, and a donor antenna is connected to a feed line.

도 1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서 신호처리/증폭부는 하나의 본체(82) 안에 구현되고, 서비스 안테나는 본체(82)의 일부에 이동통신 단말기의 안테나를 삽입하기 위한 홀(84a)이 형성된 돌기(84)로 구성되어 본체(82)와 일체형으로 되어 있다. 그리고 도너 안테나는 모노폴 안테나(71)가 지지판상에 수직으로 서 있는 형태로 구현되어 본체(82)와 급전선으로 연결되어 있다.Referring to FIG. 16, in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ignal processing / amplifying unit is implemented in one main body 82, and the service antenna includes a hole for inserting the antenna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into a part of the main body 82. It consists of the projection 84 in which 84a) was formed, and is integral with the main body 82. The donor antenna is implemented in a form in which the monopole antenna 71 stands vertically on the support plate and is connected to the main body 82 by a feed line.

이와 같은 제2 실시예의 구성에서는 서비스 안테나가 본체(82)와 일체로 구현되어 있으므로 이동통신 단말기(1)를 본체(82) 위에 거치할 수 있어 편리한 잇점이 있다. 이때 본체(82)에는 자석 등을 설치하고 단말기(1)에는 철판을 부착하여 자석의 힘으로 단말기(1)를 본체에 고정할 수 있다.In this configuration of the second embodiment, since the service antenna is integrally implemented with the main body 82,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 can be mounted on the main body 82, which is convenient. In this case, a magnet or the like may be installed in the main body 82, and an iron plate may be attached to the terminal 1 to fix the terminal 1 to the main body by the force of the magnet.

도 17 및 도 18은 본 발명의 개인형 중계기에 대한 기구적 형태의 제3 실시예로서, 신호처리/증폭부의 본체에 도너 안테나와 서비스 안테나가 일체로 구성된 형태이다.17 and 18 show a third embodiment of the mechanical type of the personal relay of the present invention, in which a donor antenna and a service antenna are integrally formed in the main body of the signal processing / amplification unit.

도 17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개인형 중계기는 신호처리/증폭부가 실장된 본체(93)의 상측에 이동통신 단말기의 안테나를 삽입하기 위한 홀(94a)이 형성된 돌기(94)로 된 서비스 안테나가 설치되어 있고, 본체(93)의 측면에는 일단이 유니버셜 조인트 축(92)으로 되어 상하 좌우로 회동 가능하게 폴(91)형 도너 안테나가 본체(93)와 일체형으로 설치되어 있다. Referring to FIG. 17, the personal repeat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a service including a protrusion 94 having a hole 94a for inserting an antenna of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on an upper side of a main body 93 on which a signal processing / amplification unit is mounted. The antenna is provided, and the pole 91 type donor antenna is integrally provided with the main body 93 so that one end may become the universal joint shaft 92, and can rotate up, down, left, and right on the side surface of the main body 93.

도 18을 참조하면, 서비스 안테나가 PCB상의 루프 패턴으로 형성되어 단말기의 안테나에 대응하는 위치에 돌출되어 있다. 이러한 돌출 루프 안테나(96)는 본체(93)에 단말기(1)를 거치시킬 때, 단말기의 배터리 높이가 다른 경우에 발생되는 결합손실의 차이를 보상할 수 있다. 즉, 단말기의 안테나 높이에 따라 돌출된 루프 안테나(96)의 높이가 자동적으로 조정되도록 한다. 루프 안테나(96)의 높이는 상하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기 때문에 단말기가 자석과 철편에 의해 고정되면 자동적으로 높이가 조절된다Referring to FIG. 18, the service antenna is formed in a loop pattern on the PCB and protrudes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antenna of the terminal. When the protruding loop antenna 96 mounts the terminal 1 on the main body 93, the protruding loop antenna 96 may compensate for the difference in coupling loss generated when the battery height of the terminal is different. That is, the height of the protruding loop antenna 96 is automatically adjusted according to the antenna height of the terminal. Since the height of the loop antenna 96 is movable in the vertical direction, the height is automatically adjusted when the terminal is fixed by the magnet and the iron piece.

이와 같이 제3 실시예에서는 본체(93)에 서비스 안테나와 도너 안테나를 일체로 구현함으로써 설치 및 거치가 더욱 편리해진 것이다. 특히, 도너 안테나의 연결부위는 유니버셜 조인트 형태로 구성하여 상하 좌우 각도 조정이 가능하도록 하여 기지국 방향으로 조정할 수 있다. 이때 안테나 수직 방향으로의 지향조정이 필요한 경우, 도너 안테나로서 헬리컬 타입의 안테나(미도시)를 사용하여 기지국 방향으로의 조정이 용이하도록 할 수도 있다.As described above, in the third embodiment, the service antenna and the donor antenna are integrally implemented in the main body 93, thereby making installation and mounting more convenient. In particular, the connection portion of the donor antenna can be adjusted in the direction of the base station by configuring the universal joint to enable vertical and horizontal angle adjustment. At this time, when the direction adjustment in the vertical direction of the antenna is required, it may be easy to adjust in the direction of the base station using a helical type antenna (not shown) as a donor antenna.

도 19는 본 발명의 개인형 중계기에 대한 기구적 형태의 제4 실시예로서, 신호처리/증폭부의 본체에 도너 안테나와 서비스 안테나가 일체로 구성되고, 도너 안테나가 본체의 측면이나 후면에 PCB 타입의 패치 안테나로 구현된 형태이다.19 is a fourth embodiment of the mechanical form of the personal repeater of the present invention, in which a donor antenna and a service antenna are integrally formed in a main body of a signal processing / amplifying part, and a donor antenna is formed on a side or a rear surface of a main body of a PCB type. It is implemented as a patch antenna of.

도 19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개인형 중계기는 신호처리/증폭부가 실장된 본체(93)의 상측에 이동통신 단말기의 안테나를 삽입하기 위한 홀(94a)이 형성된 돌기(94)로 된 서비스 안테나가 설치되어 있고, 본체(93)의 측면이나 후면에는 PCB 타입의 패치 안테나(95)로 된 도너 안테나가 설치되어 있다.Referring to FIG. 19, the personal repeat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a service having a protrusion 94 in which a hole 94a for inserting an antenna of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is formed above the main body 93 on which the signal processing / amplification unit is mounted. An antenna is provided, and a donor antenna made of a PCB-type patch antenna 95 is provided on the side or the rear of the main body 93.

도 20을 참조하면, 서비스 안테나가 PCB상의 루프 패턴으로 형성되어 단말기의 안테나에 대응하는 위치에 돌출되어 있다. 이러한 돌출 루프 안테나(96)는 도 18에서와 같이 단말기의 안테나 높이에 따라 높이가 자동적으로 조정되도록 되어 있다. 즉, 루프 안테나(96)의 높이는 상하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기 때문에 단말기가 자석과 철편에 의해 고정되면 자동적으로 높이가 조절된다Referring to FIG. 20, the service antenna is formed in a loop pattern on the PCB and protrudes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antenna of the terminal. As shown in FIG. 18, the protruding loop antenna 96 is automatically adjusted in height according to the antenna height of the terminal. That is, since the height of the loop antenna 96 is movable in the vertical direction, the height is automatically adjusted when the terminal is fixed by the magnet and the iron piece.

이와 같이 제4 실시예에서는 본체(93)에 서비스 안테나와 도너 안테나를 일체로 구현함으로써 설치 및 거치가 더욱 편리해진 것이다. 특히, 도너 안테나가 PCB 타입 패치 안테나로 이루어짐으로써 중계기의 제조가격을 절감할 수 있고 취급하기 더욱 편리하며 외관이 수려한 잇점이 있다.As described above, in the fourth embodiment, the service antenna and the donor antenna are integrally implemented in the main body 93, thereby making installation and mounting more convenient. In particular, since the donor antenna is made of a PCB-type patch antenna, the manufacturing cost of the repeater can be reduced, more convenient to handle, and the appearance is beautiful.

도 21은 본 발명의 개인형 중계기에 대한 기구적 형태의 제5 실시예로서, 신호처리/증폭부의 본체(110)에 도너 안테나와 서비스 안테나가 일체로 구성되되, 도너 안테나가 본체(110)의 측면이나 후면에 PCB 타입의 패치 안테나(112)로 구현되고, 서비스 안테나가 본체(110) 상부에 다양한 형태의 PCB 패턴(114)으로 구현되어 돌출되지 않은 형태이다. 이와 같은 제5 실시예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안테나가 돌출되지 아니한 PCB 패턴(마이크로 스트립)형인 경우에 적합하다.FIG. 21 is a fifth embodiment of the mechanical type of the personal relay of the present invention, in which a donor antenna and a service antenna are integrally formed in the main body 110 of the signal processing / amplification unit, and the donor antenna of the main body 110 of the main relay 110 of the main relay 110 of the main relay 110 of FIG. It is implemented as a patch antenna 112 of the PCB type on the side or the back, and the service antenna is implemented as a PCB pattern 114 of various types on the main body 110 does not protrude. This fifth embodiment is suitable for the case of a PCB pattern (microstrip) type in which the antenna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does not protrude.

도 21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중계기는 신호처리/증폭부가 실장된 본체(110)의 내에 PCB 타입의 패치 안테나(112)로 된 도너 안테나가 설치되어 있고, 본체(110)의 상부에는 PCB에 루프 패턴(114)으로 형성된 서비스 안테나가 설치되어 있다. 이때, 서비스 안테나의 패턴 형태는 도 2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원형 패턴이나 도 2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각형 패턴 등 다양한 형상이 가능하다.Referring to FIG. 21, a repeat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provided with a donor antenna made of a PCB type patch antenna 112 in a main body 110 in which signal processing / amplification units are mounted, and an upper part of the main body 110 includes a PCB. The service antenna formed by the loop pattern 114 is installed in the. In this case, the pattern shape of the service antenna may have various shapes such as a circular pattern as shown in FIG. 22 or a square pattern as shown in FIG. 23.

이와 같이 제5 실시예에서는 본체에 서비스 안테나와 도너 안테나가 일체형이면서도 외부로는 전혀 돌출되지 않아 외관이 미려하고 다양한 디자인이 가능하며, 설치 및 거치가 더욱 편리해진 것이다. 특히, 제5 실시예의 경우에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안테나가 돌출되지 아니한 PCB 패턴형인 경우에 적합한데, 본체(110)의 상부에 이동통신 단말기를 올려 놓으면 PCB 패턴 형의 서비스 안테나와 이동통신 단말기의 안테나가 무선으로 커플링된다.As described above, in the fifth embodiment, the service antenna and the donor antenna are integral to the main body, but do not protrude to the outside at all, so that the appearance is beautiful and various designs are possible, and installation and mounting are more convenient. In particular, the fifth embodiment is suitable for the case of a PCB pattern type in which the antenna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does not protrude, and when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is placed on the upper portion of the main body 110, the service antenna of the PCB pattern type and the antenna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re provided. Is wirelessly coupled.

도면에는 도시하지 않았으나 제1 내지 제5 실시예의 경우에, 이동통신 단말기가 불루투스, 지그비 혹은 적외선을 통해 핸즈프리와 무선으로 연결할 수 있는 타입인 경우에는 중계기 및 이동통신 단말기를 한 곳에 고정시켜 놓고, 사용자는 핸즈프리를 통해 자유롭게 이동하면서 통화할 수 있다.Although not shown in the drawings, in the case of the first to fifth embodiments, when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is a type capable of wirelessly connecting handsfree with Bluetooth, Zigbee, or infrared light, the repeater and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re fixed in one place, and the user Can talk freely through handsfree.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개인형 중계기는 그 크기가 소형이므로 이동통신 단말기와 결합된 상태에서 함께 휴대할 수 있고, 따라서 핸즈프리없이도 자유롭게 이동하면서 통화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일체형의 경우 본체에 이동통신 단말기를 부착하기 위한 자석 등을 부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단말기와 안테나는 자석과 단말기 후면에 부착된 쇠 철편을 이용하여 고정된다.In addition, the personal repeat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small in size and can be carried together in a combined state with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thus allowing a user to talk freely without a handsfree. For this purpose, it is preferable to add a magnet for attaching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to the main body. The terminal and the antenna are fixed using a magnet and a metal iron plate attached to the rear of the terminal.

도 24는 본 발명의 개인형 중계기에 대한 기구적 형태의 제6 실시예로서, 본 발명에 따른 중계기가 이동통신 단말기(1)를 수용할 수 있는 보조팩 혹은 케이스 형태(120)로 구현된 것이다. 즉, 제6 실시예의 중계기는 신호처리/증폭부와 도너 안테나와 서비스 안테나가 일체로 구성됨과 아울러 중계기의 전체 형상이 이동통신 단말기를 수납할 수 있는 보조팩 혹은 홀더 형태(120)이다. 이때 도너 안테나와 서비스 안테나는 모두 PCB에 마이크로 스트립 형태로 구현되고, 중계기의 전원은 이동통신 단말기(1)의 전원을 사용하거나 별도의 배터리를 내장하여 사용할 수도 있다. FIG. 24 is a sixth embodiment of the mechanical form of the personal repeater of the present invention, in which the repeat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implemented as a supplemental pack or case form 120 capable of accommodating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 . That is, the repeater of the sixth embodiment is an auxiliary pack or holder form 120 in which the signal processing / amplifying unit, the donor antenna, and the service antenna are integrally formed, and the overall shape of the repeater can accommodate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t this time, both the donor antenna and the service antenna are implemented in the form of a micro strip on the PCB, and the power of the repeater may be used by using the power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 or by embedding a separate battery.

이와 같이 제6 실시예의 구성은 중계기의 크기를 극히 소형화함으로써 휴대가 용이하여 이동하면서 사용할 수 있는 잇점이 있다.Thus, the configuration of the sixth embodiment has the advantage that the size of the repeater can be extremely miniaturized, so that it can be easily carried and used while moving.

도 25 내지 도 30은 본 발명의 개인형 중계기에 대한 기구적 형태의 제7 실시예로서, 본 발명에 따른 중계기가 이동통신 단말기에 끼울 수 있는 캡 형태(130)로 구현된 것이다. 이때 캡 형태의 중계기를 이동통신 단달기와 결합하는 방식에 따라 밴드형, 고무캡형, 경칩형태 잠금형, 슬라이딩 캡형, 집게형 등이 있다. 즉, 자석 부착 강도를 개선하기 위하여 루우프 안테나의 상부에 캡 형태의 고정물을 이용하여 중계기와 단말기를 고정하는 방법이다.25 to 30 is a seventh embodiment of the mechanical form of the personal repeater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repeat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implemented in a cap form 130 that can be inserted into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t this time, there are a band type, a rubber cap type, a light chip type locking type, a sliding cap type, and a tong type according to a method of combining a cap type repeater with a mobile communication device. That is, in order to improve the magnet attachment strength, the repeater and the terminal are fixed by using a cap-shaped fixture on the upper part of the loop antenna.

도 25는 본 발명에 따라 고무 또는 고무 밴드 등과 같은 수축 특성이 있는 재질의 캡형 중계기(130)를 이용하여 단말기(1)와 고정하는 방법이다. 단말기(1)의 장착과 이탈이 편리하나 단말기(1)와 중계기(130)의 고정도가 약하다. 25 is a method of fixing with the terminal 1 by using a cap-type repeater 130 of the material having a shrinkage property, such as rubber or rubber ban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ounting and detachment of the terminal 1 is convenient, but the accuracy of the terminal 1 and the repeater 130 is weak.

도 26은 본 발명에 따라 고무캡을 이용하여 중계기의 고정 상태를 보완한 중계기이다. 즉, 도 26은 사출 형태의 고무 캡(140)을 이용하여 단말기(1)의 안테나 부위에 압착하여 단말기(1)와 중계기를 고정하는 방식이다.Figure 26 is a repeater supplementing the fixed state of the repeater using a rubber cap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at is, FIG. 26 is a method of fixing the terminal 1 and the repeater by pressing the rubber cap 140 of the injection form to the antenna part of the terminal 1.

도 27은 본 발명에 따라 경칩 형태의 잠금쇠를 갖는 중계기(150)를 이용하여 단말기(1)와 중계기(150)를 압착 고정하는 방식이다. 중계기(150)의 제작은 편리하나 잠금쇠가 경질(단단한)의 플라스틱을 사용할 경우 중계기(150)를 떨어뜨리는 등의 충격시 깨짐이 발생될 수 있다. FIG. 27 is a method of crimping and fixing the terminal 1 and the repeater 150 using the repeater 150 having a light chip-shaped clamp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lthough the manufacture of the repeater 150 is convenient, when the fastener uses hard (hard) plastic, cracking may occur when the impact of dropping the repeater 150 occurs.

도 28은 본 발명에 따라 압착의 강도를 강화하기 위한 방법으로서 안테나 고정부위를 고무, 실리콘 또는 플라스틱 재질의 슬라이딩 캡 형태로 만들고, 입구와 종단부의 크기를 다르게 하여 캡이 이동됨에 따라 압착 정도가 강해지도록 된 중계기(160)이다.28 is a method for strengthening the strength of the crimp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antenna fixing portion in the form of a sliding cap made of rubber, silicone or plastic material, the compression degree becomes stronger as the cap is moved by varying the size of the inlet and the end portion Is a repeater 160.

도 29는 본 발명에 따라 안테나 고정 집게(172)를 중계기(170)의 일부에 설치하여 단말기와 중계기(170)를 고정한다. 집게의 접착면과 푸우프 안테나의 상부 면에 실리콘 또는 고무 재질의 부착물을 설치하여 미끄러짐을 방지하고, 고정의 정도를 강화할 수 있다.Figure 29 is fixed to the terminal and repeater 170 by installing the antenna fixing tongs 172 in a part of the repeater 170 in accordance with the present invention. Silicon or rubber attachments may be installed on the adhesive surface of the tongs and the upper surface of the poop antenna to prevent slippage and enhance the degree of fixation.

도 30은 본 발명에 따라 캡형 중계기(180)의 크기를 줄이기 위한 방법으로서 단말기(1)의 배터리를 중계기(180)와 공유하는 방식이다. 즉, 단말기(1)의 충전 포트에 연결된 케이블(182)을 이용하여 중계기(180)에 전원을 공급한다.30 is a method for reducing the size of the cap-type repeater 18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a method of sharing the battery of the terminal 1 with the repeater 180. That is, power is supplied to the repeater 180 by using a cable 182 connected to the charging port of the terminal 1.

도 31은 본 발명에 따라 블루투스가 내장된 중계기의 예로서, 중계기(190) 내에 블루투스 모듈(192)을 부가하여 블루투스 모듈이 없는 휴대폰(1)의 경우에도 블루투스(Bluetooth) 방식의 무선 핸즈프리(300)를 사용할 수 있게 한 것이다.FIG. 31 is an example of a Bluetooth-embedded repeat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case of the mobile phone 1 without a Bluetooth module, the Bluetooth module 192 is added to the repeater 190. ) Is available.

이러한 본 발명의 중계기(190)는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은 중계기 회로(21)와 별개로 블루투스 모듈(192)을 구비하고 있는데, 블루투스 모듈(192)은 동작상태를 표시하기 위한 LED(193)와 다른 블루투스 모듈과 통신하기 위한 내장 안테나(194), 음성신호를 입출력하기 위한 이어/마이크잭(EAR/MIC: 195)이 연결되어 있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중계기(190)를 사용하기 위해 이동통신 단말기(1)의 안테나는 중계기의 루프 안테나(100)로 연결되고, 이동통신 단말기(1)의 이어/마이크잭(EAR/MIC)은 연결 케이블(196)을 통해 블루투스 모듈의 이어/마이크잭(195)과 연결된다.The repeater 190 of the present invention is provided with a Bluetooth module 192 separately from the repeater circuit 21 as described above, the Bluetooth module 192 is different from the LED 193 and other Bluetooth for indicating the operation state An internal antenna 194 for communicating with the module and an ear / mic jack 195 for inputting and outputting voice signals are connected. In order to use the repeater 19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antenna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 is connected to the loop antenna 100 of the repeater, and the ear / microphone jack (EAR / MIC)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 is The connection cable 196 is connected to the ear / microphone jack 195 of the Bluetooth module.

따라서 블루트스 모듈을 갖는 무선 핸즈프리(300)는 중계기(190)에 있는 블루트스 모듈(192)과 무선으로 연결되고, 이동통신 단말기(1)는 블루투스 모듈의 이어/마이크 단자(195)와 유선으로 연결되며, 이동통신 단말기(1)와 중계기(190)는 루프 안테나(100)를 통해 연결되어 블루투스 기능이 없는 이동통신 단말기(1)의 경우에도 중계기의 블루투스 모듈(192)을 통해 핸즈프리(300)를 이용할 수 있다.Accordingly, the wireless handsfree 300 having the Bluetooth module is wirelessly connected to the Bluetooth module 192 in the repeater 190, and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 is wired with the ear / microphone terminal 195 of the Bluetooth module. Is connected,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 and the repeater 190 is connected via a loop antenna 100, even in the case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 without a Bluetooth function hands-free 300 through the Bluetooth module 192 of the repeater Can be used.

도 32는 본 발명에 따라 복수의 루프 안테나가 내장된 중계기의 예로서, 중계기에 돌출형 루프 안테나(94)와 PCB 패턴형 루프 안테나(114)를 각각 구현한 후에 RF스위치(198)를 통해 하나를 선택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즉, 최근들어 핸드폰의 종류가 다양화되면서 핸드폰의 안테나도 돌출형이나 내장형 등 다양한 형태가 있으므로, 핸드폰의 안테나에 적합하게 돌출된 루프 안테나(94)나 패턴형 루프 안테나(114)중 하나를 선택하여 사용할 수 있게 한다. 안테나의 선택은 RF 스위치(198)를 손으로 조작하여 어느 하나를 선택하도록 할 수도 있으나 돌출형 안테나(94)를 뒤로 밀어 접을 경우 패턴형 안테나(114)가 자동으로 선택되도록 기구적으로 구성할 수도 있다.32 is an example of a repeater with a plurality of loop antenna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after implementing the protruding loop antenna 94 and the PCB patterned loop antenna 114 in the repeater, one through the RF switch 198. It can be selected and used. That is, as the type of mobile phone has been diversified recently, the antenna of the mobile phone also has various shapes such as a protruding type or a built-in type. To use it. The antenna may be selected by manipulating the RF switch 198 by hand, but may be mechanically configured to automatically select the patterned antenna 114 when the protruding antenna 94 is pushed back. have.

본 발명에 의한 RF 커플링을 이용한 개인형 중계기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범위에서 다양한 형태로 변형, 응용 가능하며, 상기 바람직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상기 실시예와 도면은 발명의 내용을 상세히 설명하기 위한 목적일 뿐,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범위를 한정하고자 하는 목적이 아니며,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있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므로 상기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님은 물론이다.The personal relay using the RF coupling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modified and applied in various forms within the scope of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is not limited to the above preferred embodiment. In addition, the embodiments and drawings are only for the purpose of describing the contents of the invention in detail, not intended to limit the scope of the technical idea of the invention,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above belongs As various substitutions, modifications and changes are possible within the scope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 and the accompanying drawings, of course.

예를 들면, 상기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루프 안테나(100)와 이동통신 단말기(1)간 기구적으로는 유선 형태로 연결 고정되고, 신호적으로는 RF 커플링을 통해 연결되었지만 여기에 한정되지 않고, 중계기(20)의 제 2 듀플렉서(28)의 출력이 기구적·신호적으로 이동통신 단말기(1)의 안테나에 직접 연결될 수도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중계기를 이동통신 단말기에 내장하여 구성할 수도 있다. 이는 당업자에게 용이하게 실시하거나 이용할 수 있는 것이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For example, in the above preferred embodiment, the loop antenna 100 and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 are mechanically connected and fixed in a wired form, and are connected through RF coupling but are not limited thereto. The output of the second duplexer 28 of the repeater 20 may be directly connected to the antenna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 mechanically and signally. In addition, the repeat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built in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Since this can be easily carried out or use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a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중계기의 서비스 안테나를 루프 안테나로 구현함으로써 다수가 공동으로 사용하는 종래의 중계기와 달리 한정된 음영지역(개인음영지역)을 해소하기 위하여 개인이 간단히 설치 및 휴대할 수 있는 개인형 중계기를 제공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easily installed and carried by an individual to solve a limited shadow area (personal shading area) unlike a conventional repeater commonly used by many by implementing the service antenna of the repeater as a loop antenna. It can provide a personal repeater.

이러한 본 발명에 의하면, 중계기 출력과 이동통신 단말기 출력이 동시에 이루어지기 때문에 이동통신 단말기의 송신 다이버시티(diversity) 기능을 갖는다. 또한, 중계기가 루프 안테나를 이용하여 역방향 신호를 입력받기 때문에 SAW(Surface Acoustic Wave:탄성표면파) 등과 같은 검파 특성이 우수한 필터를 사용하지 않아도 루프 안테나 내의 이동통신 단말기 이외의 신호는 증폭하지 않게 된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 repeater output and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output are performed at the same time, it has a transmit diversity function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In addition, since the repeater receives the reverse signal using the loop antenna, a signal other than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in the loop antenna is not amplified without using a filter having excellent detection characteristics such as surface acoustic wave (SAW).

따라서, 중계기의 단가를 절감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중계기와 이동통신 단말기간 공간 손실 절감 및 중계기 이득 감소에 따른 통화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Therefore, not only the unit cost of the repeater can be reduced, but also the space quality between the repeater and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can be reduced and the call quality can be improved due to the repeater gain reduction.

도 1은 종래 중계기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1 is a schematic diagram for explaining a conventional repeater,

도 2는 종래 중계기 서비스 안테나의 일 형태인 다이폴(dipole) 안테나를 도시한 도면, FIG. 2 illustrates a dipole antenna, which is a form of a conventional repeater service antenna; FIG.

도 3은 종래 종계기 서비스 안테나의 다른 형태인 모노폴(monopole) 안테나를 도시한 도면, 3 is a diagram illustrating a monopole antenna, which is another type of conventional repeater service antenna;

도 4는 종래 중계기 모노폴 안테나를 사용할 경우, 중계기와 이동통신 단말기간 신호 전송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4 is a view illustrating a signal transmission between a repeater and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when using a conventional repeater monopole antenna;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RF 커플링을 이용한 개인형 중계기의 신호 전송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5 is a view illustrating a signal transmission of a personal relay using RF coupling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6은 본 발명인 RF 커플링을 이용한 개인형 중계기에 사용되는 루프 안테나를 도시한 개념도,6 is a conceptual diagram illustrating a loop antenna used for a personal repeater using the present invention RF coupling;

도 7은 본 발명인 RF 커플링을 이용한 중계기에 사용되는 루프 안테나의 제1 예,7 is a first example of a loop antenna used in a repeater using the present invention RF coupling,

도 8은 본 발명인 RF 커플링을 이용한 중계기에 사용되는 루프 안테나의 제2 예,8 is a second example of a loop antenna used in a repeater using the present invention RF coupling;

도 9 및 도 10은 본 발명에 사용되는 제2 예의 루프 안테나와 단말기와의 결합예,9 and 10 are a combination example of a loop antenna and a terminal of a second example used in the present invention,

도 11은 본 발명에 사용되는 제2 예의 루프 안테나와 단말기와의 다른 결합예,11 is another coupling example of a loop antenna and a terminal of a second example used in the present invention;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개인형 중계기의 다른 사용 상태도,12 is another use state diagram of a personal relay in accordance with the present invention;

도 13은 본 발명에 따른 중계기의 기구적인 구성의 제1 실시예,13 is a first embodiment of the mechanical configuration of a repeat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14는 도 13에 도시된 루프 안테나에 패드를 부가한 예,14 is an example of adding a pad to the loop antenna shown in FIG.

도 15는 도 13에 도시된 도너 안테나에 캡을 부가한 예,15 is an example in which the cap is added to the donor antenna shown in FIG.

도 16은 본 발명에 따른 중계기의 기구적인 구성의 제2 실시예,16 is a second embodiment of the mechanical configuration of a repeat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17 및 도 18은 본 발명에 따른 중계기의 기구적인 구성의 제3 실시예,17 and 18 show a third embodiment of the mechanical configuration of the repeat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19 및 도 20은 본 발명에 따른 중계기의 기구적인 구성의 제4 실시예,19 and 20 is a fourth embodiment of the mechanical configuration of the repeat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21 내지 23은 본 발명에 따른 중계기의 기구적인 구성의 제5 실시예,21 to 23 is a fifth embodiment of the mechanical configuration of a repeat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24는 본 발명에 따른 중계기의 기구적인 구성의 제6 실시예,24 is a sixth embodiment of the mechanical configuration of a repeat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25 내지 도 30은 본 발명에 따른 중계기의 기구적인 구성의 제7 실시예,25 to 30 is a seventh embodiment of the mechanical configuration of the repeat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31은 본 발명에 따라 블루투스가 내장된 중계기의 예,31 is an example of a repeater with Bluetooth in accordance with the present invention;

도 32는 본 발명에 따라 복수의 루프 안테나가 내장된 중계기의 예.32 is an example of a repeater incorporating a plurality of loop antennas in accordance with the present invention.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Description of the symbols for the main parts of the drawings *

1: 이동통신 단말기 10: 기지국1: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0: base station

20,200: 중계기 21: 신호처리/증폭부20,200: repeater 21: signal processing / amplifier

22: 제 1 듀플렉서 24: 순방향 증폭부22: first duplexer 24: forward amplifier

26: 역방향 증폭부 28: 제 2 듀플렉서26: reverse amplifier 28: second duplexer

30: 도너 안테나 32,100: 서비스 안테나30: donor antenna 32,100: service antenna

300: 핸즈프리300: hands free

Claims (18)

기지국과 음영지역에 위치하는 다수의 이동통신 가입자 단말기간의 무선통신 서비스 신호의 중계를 위한 중계기에 있어서,In the repeater for relaying the wireless communication service signal between the base station and a plurality of mobile subscriber stations located in the shadow area, 상기 기지국과 무선으로 신호를 송수신하는 제 1 송수신 안테나;A first transmit / receive antenna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a signal wirelessly with the base station;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와 RF 커플링을 통해 무선으로 연결되어 신호를 송수신하는 제 2 송수신 안테나; 및A second transmit / receive antenna wirelessly connected to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through RF coupling to transmit and receive a signal; And 상기 제 1 송수신 안테나를 통해 기지국으로부터 수신된 신호를 입력받아 증폭시켜 상기 제 2 송수신 안테나를 통해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측으로 전달하고, 상기 제 2 송수신 안테나를 통해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로부터 수신된 신호를 입력받아 증폭시켜 상기 제 1 송수신 안테나를 통해 상기 기지국측으로 전달하는 신호처리/증폭부를 포함하는 RF 커플링을 이용한 개인형 중계기.Receives and amplifies a signal received from a base station through the first transmission and reception antenna and transmits the signal to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through the second transmission and reception antenna, and receives a signal received from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through the second transmission and reception antenna. Personal relay using RF coupling comprising a signal processing / amplifying unit for amplifying and transmitting to the base station through the first transmit and receive antenna.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송수신 안테나는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second transmit / receive antenna 루프 안테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RF 커플링을 이용한 개인형 중계기.Personal relay using RF coupling, characterized in that the loop antenna.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루프 안테나는 The method of claim 2, wherein the loop antenna 내부에 이동통신 단말기의 안테나를 삽입하기 위한 홀이 형성된 사각통형 인것을 특징으로 하는 RF 커플링을 이용한 개인형 중계기.Personal relay using RF coupling, characterized in that the rectangular tube type hole formed therein for inserting the antenna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홀의 안쪽에는 고무재질이나 플라스틱 재질의 부재가 배설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RF 커플링을 이용한 개인형 중계기.4. The personal relay as claimed in claim 3, wherein a rubber or plastic member is disposed inside the hole.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루프 안테나는 The method of claim 2, wherein the loop antenna PCB에 루프 패턴이 형성된 패치형 루프 안테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RF 커플링을 이용한 개인형 중계기.Personal relay using RF coupling, characterized in that the patch-type loop antenna with a loop pattern formed on the PCB.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패치형 루프안테나는The method of claim 5, wherein the patch loop antenna 집게형으로 되어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의 안테나와 집는 방식으로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RF 커플링을 이용한 개인형 중계기.Personal relay using RF coupling characterized in that the coupling is coupled to the antenna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to the pinch type.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신호처리/증폭부는 본체에 내장된 형태이고, The apparatus of claim 2, wherein the signal processing / amplification unit is built in a main body. 상기 루프 안테나는 상기 본체의 일부에 이동통신 단말기의 안테나를 삽입하기 위한 홀이 형성된 돌기로 구성되어 상기 본체와 일체형으로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RF 커플링을 이용한 개인형 중계기.The loop antenna is a personal repeater using an RF coupling, characterized in that the integral part of the main body is formed of a projection formed with a hole for inserting the antenna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in a portion of the main body.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신호처리/증폭부는 본체에 내장된 형태이고, The apparatus of claim 2, wherein the signal processing / amplification unit is built in a main body. 상기 루프 안테나는 상기 본체의 일부에 PCB 패턴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RF 커플링을 이용한 개인형 중계기.The loop antenna is a personal type repeater using RF coupling, characterized in that formed in a PCB pattern on a portion of the body. 제8항에 있어서, 루프 안테나는The method of claim 8, wherein the loop antenna 이동통신 단말기의 안테나에 대응하는 위치에 돌출된 형태로 되어 있고, 상향으로 탄성력이 작용하되 이동통신 단말기 안테나의 누르는 힘에 의해 돌출부위가 상하로 이동 가능하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RF 커플링을 이용한 개인형 중계기.Using the RF coupling, the projecting portion is formed to protrude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antenna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the elastic force is applied upward, but the projecting portion is movable up and down by the pressing force of the antenna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Personal repeater.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송수신 안테나는The antenna of claim 1, wherein the first transmit / receive antenna is 지지판상에 수직으로 서 있는 모노폴 형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RF 커플링을 이용한 개인형 중계기.Personal relay using RF coupling, characterized in that the monopole form standing vertically on the support plate.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모노폴의 종단부에는 고무재질이나 플라스틱 재질의 캡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RF 커플링을 이용한 개인형 중계기.The personal relay of claim 10, wherein the end of the monopole is formed of a rubber or plastic cap.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신호처리/증폭부는 본체에 내장된 형태이고, 상기 제1 송수신 안테나는 상기 본체의 일부에 유니버셜 조인트로 결합되는 폴형 안테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RF 커플링을 이용한 개인형 중계기.The personal repeater of claim 1, wherein the signal processing / amplification unit is built in a main body, and the first transmission / reception antenna is a pole antenna coupled to a part of the main body by a universal joint.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신호처리/증폭부는 본체에 내장된 형태이고, 상기 제1 송수신 안테나는 상기 본체의 일부에 PCB 타입 패치 안테나로 구성되어 본체와 일체형으로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RF 커플링을 이용한 개인형 중계기.The RF coupling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signal processing / amplification part is built in a main body, and the first transmission / reception antenna is configured as a PCB type patch antenna in a part of the main body to be integrated with the main body. Personal repeater used.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중계기는 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repeater 이동통신 단말기를 수용할 수 있는 캡이나 보조팩 혹은 케이스 형태로 구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RF 커플링을 이용한 개인형 중계기.Personal relay using RF coupling, characterized in that implemented in the form of a cap or auxiliary pack or case that can accommodate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중계기와 단말기의 서비스 안테나는The service antenna of claim 14, wherein the service antenna of the repeater and the terminal is 밴드형이나 고무캡형, 경칩형태 잠금형, 슬라이딩 캡형, 집게형 중 어느 한 형태로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RF 커플링을 이용한 개인형 중계기.Personal repeater using RF coupling, characterized in that the fixed in any one of a band type, rubber cap type, light chip type locking type, sliding cap type, tong typ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신호처리/증폭부는The signal processing / amplifying unit of claim 1, wherein the signal processing / amplifying unit 상기 제 1 송수신 안테나를 통해 수신된 신호를 입력받아 상기 제 2 송수신 안테나를 통해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 측으로 출력하고, 상기 제 2 송수신 안테나를 통해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로부터 수신된 신호를 입력받아 상기 제 1 송수신 안테나를 통해 상기 기지국측으로 출력하는 제 1 듀플렉서;Receives a signal received through the first transmission and reception antenna and outputs it to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through the second transmission and reception antenna, and receives the signal received from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through the second transmission and reception antenna and the first transmission and reception A first duplexer outputting to the base station through an antenna; 상기 제 1 듀플렉서로부터 입력받은 신호를 증폭하는 순방향 증폭부; A forward amplifier for amplifying a signal received from the first duplexer; 상기 순방향 증폭부를 통해 증폭된 신호를 입력받아 상기 제 2 송수신 안테나를 통해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측으로 출력하고,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로부터 수신된 신호를 입력받아 상기 제 1 송수신 안테나를 통해 상기 기지국측으로 출력시키는 제 2 듀플렉서; 및Receiving a signal amplified by the forward amplifying unit and outputting the signal amplified to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through the second transmit / receive antenna, and receiving the signal received from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outputting the received signal to the base station through the first transmit / receive antenna; 2 duplexer; And 상기 제 2 듀플렉서로부터 입력받은 신호를 증폭하는 역방향 증폭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RF 커플링을 이용한 개인형 중계기.And a reverse amplifier for amplifying the signal received from the second duplexer.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중계기는The method of claim 16, wherein the repeater 상기 제 1 듀플렉서로부터 입력받은 신호를 증폭하는 제2 순방향 증폭부와,A second forward amplifier which amplifies the signal received from the first duplexer; 상기 제2 순방향 증폭부의 출력을 지연시켜 상기 제2 듀플렉서로 출력하는 지연기를 더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RF 커플링을 이용한 개인형 중계기.And a delayer configured to delay an output of the second forward amplifier and output the delayed output to the second duplexer. 제1항 내지 제1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16,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에는 무선방식을 이용하여 핸즈프리가 무선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RF 커플링을 이용한 개인형 중계기.And a hands-free wireless connection to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using a radio system.
KR1020040073929A 2003-09-16 2004-09-15 A personal repeater using rf coupling KR20050027961A (e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63992 2003-09-16
KR20030063992 2003-09-16
KR20040014058 2004-03-02
KR1020040014058 2004-03-02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27961A true KR20050027961A (en) 2005-03-21

Family

ID=3431580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73929A KR20050027961A (en) 2003-09-16 2004-09-15 A personal repeater using rf coupling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20050027961A (en)
WO (1) WO2005027366A1 (en)

Cited By (2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7001109A1 (en) * 2005-06-29 2007-01-04 Electronics & Telecommunications Research Institute Apparatus and method for providing hands-free and lcd display function of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using zigbee
WO2014036248A1 (en) * 2012-09-01 2014-03-06 Mophie, Inc. Wireless communication accessory for a mobile device
USD718230S1 (en) 2012-12-04 2014-11-25 Mophie, Inc. High capacity banded snap battery case for a mobile device
USD718754S1 (en) 2012-10-30 2014-12-02 Mophie, Inc. Thin banded battery case for a mobile device
USD718755S1 (en) 2012-12-18 2014-12-02 Mophie, Inc. Thin banded snap battery case for a mobile device
US8917506B2 (en) 2008-11-17 2014-12-23 Mophie, Inc. Portable electronic device case with battery
USD721685S1 (en) 2012-05-25 2015-01-27 Mophie, Inc. Mobile phone case
USD721687S1 (en) 2012-10-30 2015-01-27 Mophie, Inc. High capacity banded battery case for a mobile device
US8954117B2 (en) 2010-05-19 2015-02-10 Mophie, Inc. External processing accessory for mobile device
USD723530S1 (en) 2012-10-03 2015-03-03 Mophie, Inc. Unbanded battery case for a mobile device
USD727883S1 (en) 2012-07-20 2015-04-28 Mophie, Inc. Mobile phone case
USD732012S1 (en) 2013-04-06 2015-06-16 Mophie, Inc. Curved battery case for a mobile device
US9077013B2 (en) 2008-01-18 2015-07-07 Mophie, Inc. Battery pack, holster, and extendible processing and interface platform for mobile devices
US9123935B2 (en) 2008-01-18 2015-09-01 Mophie, Inc. Wireless communication accessory for a mobile device
US9356267B1 (en) 2014-12-17 2016-05-31 Mophie, Inc. Protective battery case to partially enclose a mobile electronic device
USD766819S1 (en) 2015-04-06 2016-09-20 Mophie, Inc. Protective battery case
USD767485S1 (en) 2015-04-07 2016-09-27 Mophie, Inc. Battery case
US9495375B2 (en) 2013-11-27 2016-11-15 Mophie, Inc. Battery pack with supplemental memory
US9755444B2 (en) 2013-02-25 2017-09-05 Mophie, Inc. Protective case with switch cover
USD797092S1 (en) 2014-11-25 2017-09-12 Mophie, Inc. Case for a mobile electronic device
USD797091S1 (en) 2014-11-25 2017-09-12 Mophie, Inc. Case for a mobile electronic device
USD797093S1 (en) 2014-12-03 2017-09-12 Mophie, Inc. Case for a mobile electronic device
US9876522B2 (en) 2013-03-15 2018-01-23 Mophie, Inc. Protective case for mobile device
US9997933B2 (en) 2014-09-03 2018-06-12 Mophie, Inc. Systems and methods for battery charging and management
US10516431B2 (en) 2017-11-21 2019-12-24 Mophie Inc. Mobile device case for receiving wireless signals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549091B1 (en) * 1999-09-09 2003-04-15 Communications Systems International, Inc. Antenna coupler
US7088953B2 (en) * 2000-10-18 2006-08-08 Spotwave Wireless Canada Inc. Coverage area signature in an on-frequency repeater
US6426681B1 (en) * 2000-11-28 2002-07-30 Behrouz Amini High power adjustable RF coupling loop

Cited By (3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7001109A1 (en) * 2005-06-29 2007-01-04 Electronics & Telecommunications Research Institute Apparatus and method for providing hands-free and lcd display function of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using zigbee
US8000753B2 (en) 2005-06-29 2011-08-16 Electronics And Telecommunications Research Institute Apparatus and method for providing hands-free and LCD display function of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using Zigbee
US10170738B2 (en) 2008-01-18 2019-01-01 Mophie Inc. Battery pack for mobile devices
US9088028B2 (en) 2008-01-18 2015-07-21 Mophie, Inc. Battery pack, holster, and extendible processing and interface platform for mobile devices
US9748535B2 (en) 2008-01-18 2017-08-29 Mophie, Inc. Battery pack and holster for mobile devices
US9577695B2 (en) 2008-01-18 2017-02-21 Mophie, Inc. Wireless communication accessory for a mobile device
US9406913B2 (en) 2008-01-18 2016-08-02 Mophie, Inc. Battery case for mobile devices
US10559788B2 (en) 2008-01-18 2020-02-11 Mophie Inc. Battery pack for mobile devices
US9172070B2 (en) 2008-01-18 2015-10-27 Mophie, Inc. Battery pack, holster, and extendible processing and interface platform for mobile devices
US9123935B2 (en) 2008-01-18 2015-09-01 Mophie, Inc. Wireless communication accessory for a mobile device
US9088029B2 (en) 2008-01-18 2015-07-21 Mophie, Inc. Battery pack, holster, and extendible processing and interface platform for mobile devices
US9077013B2 (en) 2008-01-18 2015-07-07 Mophie, Inc. Battery pack, holster, and extendible processing and interface platform for mobile devices
US8917506B2 (en) 2008-11-17 2014-12-23 Mophie, Inc. Portable electronic device case with battery
US9402452B2 (en) 2008-11-17 2016-08-02 Mophie, Inc. Method of making a smartphone case with a battery
US9319501B2 (en) 2010-05-19 2016-04-19 Mophie, Inc. External processing accessory for mobile device
US8954117B2 (en) 2010-05-19 2015-02-10 Mophie, Inc. External processing accessory for mobile device
USD721685S1 (en) 2012-05-25 2015-01-27 Mophie, Inc. Mobile phone case
USD727883S1 (en) 2012-07-20 2015-04-28 Mophie, Inc. Mobile phone case
WO2014036248A1 (en) * 2012-09-01 2014-03-06 Mophie, Inc. Wireless communication accessory for a mobile device
USD723530S1 (en) 2012-10-03 2015-03-03 Mophie, Inc. Unbanded battery case for a mobile device
USD718754S1 (en) 2012-10-30 2014-12-02 Mophie, Inc. Thin banded battery case for a mobile device
USD721687S1 (en) 2012-10-30 2015-01-27 Mophie, Inc. High capacity banded battery case for a mobile device
USD718230S1 (en) 2012-12-04 2014-11-25 Mophie, Inc. High capacity banded snap battery case for a mobile device
USD718755S1 (en) 2012-12-18 2014-12-02 Mophie, Inc. Thin banded snap battery case for a mobile device
US9755444B2 (en) 2013-02-25 2017-09-05 Mophie, Inc. Protective case with switch cover
US9876522B2 (en) 2013-03-15 2018-01-23 Mophie, Inc. Protective case for mobile device
USD732012S1 (en) 2013-04-06 2015-06-16 Mophie, Inc. Curved battery case for a mobile device
US9495375B2 (en) 2013-11-27 2016-11-15 Mophie, Inc. Battery pack with supplemental memory
US10033204B2 (en) 2014-09-03 2018-07-24 Mophie, Inc. Systems and methods for battery charging and management
US9997933B2 (en) 2014-09-03 2018-06-12 Mophie, Inc. Systems and methods for battery charging and management
US10079496B2 (en) 2014-09-03 2018-09-18 Mophie Inc. Systems for managing charging devices based on battery health information
USD797091S1 (en) 2014-11-25 2017-09-12 Mophie, Inc. Case for a mobile electronic device
USD797092S1 (en) 2014-11-25 2017-09-12 Mophie, Inc. Case for a mobile electronic device
USD797093S1 (en) 2014-12-03 2017-09-12 Mophie, Inc. Case for a mobile electronic device
US9356267B1 (en) 2014-12-17 2016-05-31 Mophie, Inc. Protective battery case to partially enclose a mobile electronic device
USD766819S1 (en) 2015-04-06 2016-09-20 Mophie, Inc. Protective battery case
USD767485S1 (en) 2015-04-07 2016-09-27 Mophie, Inc. Battery case
US10516431B2 (en) 2017-11-21 2019-12-24 Mophie Inc. Mobile device case for receiving wireless signal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05027366A1 (en) 2005-03-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50027961A (en) A personal repeater using rf coupling
CN108199726B (en) Multi-way selector switch and related products
KR940006004B1 (en) Cordless loudspeaking telephone
FI104662B (en) Antenna arrangement for small radio communication devices
TW419859B (en) High efficiency, multi-band antenna for a radio communication device
US20170257692A1 (en) Low-loss wireless stereo Bluetooth earphones
KR100490355B1 (en) Hands-free speakerphone device for mobile terminals
KR200413191Y1 (en) Compact wireless headset device for mobile phones using Bluetooth
JP2002033691A (en) Active reflector and wireless data communication system
CA2225082A1 (en) An inverted e-shaped antenna
EP1016157B1 (en) Telephone with multiple antenna configuration
CN105516839A (en) Wireless microphone based on Bluetooth transmission technology
KR100500024B1 (en) Antenna system for a mobile communication station, such station, and a method of radio communication
WO2008017844A2 (en) Headset
US6373437B1 (en) Communication device having linked microphone and antenna communication of content to end users
EP1261995B1 (en) Combination cellular/satellite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s
CN102625488A (en) Mobile terminal
US20050285799A1 (en) Headset loop antenna
JPH0969709A (en) Portable telephone set and its auxiliary antenna
CN105048064B (en) A kind of antenna for mobile telephone set
FI81932C (en) TVAODELAD RADIO TELEPHONE.
US11863693B2 (en) Passive directivity enhancement for wireless device
US20230137605A1 (en) Wireless earset
CN217011144U (en) Wireless earphone
US20230119365A1 (en) Communication System and Method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ORF Unpaid initial registration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