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069709A - 재봉 기능을 갖는 봉합 기구 - Google Patents

재봉 기능을 갖는 봉합 기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069709A
KR20120069709A KR1020127008698A KR20127008698A KR20120069709A KR 20120069709 A KR20120069709 A KR 20120069709A KR 1020127008698 A KR1020127008698 A KR 1020127008698A KR 20127008698 A KR20127008698 A KR 20127008698A KR 20120069709 A KR20120069709 A KR 2012006970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ture
present
surgical needle
support
need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700869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윤상진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림사이언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림사이언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림사이언스
Publication of KR2012006970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69709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04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for suturing wounds; Holders or packages for needles or suture materials
    • A61B17/0491Sewing machines for surger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0057Implements for plugging an opening in the wall of a hollow or tubular organ, e.g. for sealing a vessel puncture or closing a cardiac septal defec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04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for suturing wounds; Holders or packages for needles or suture materials
    • A61B17/0469Suturing instruments for use in minimally invasive surgery, e.g. endoscopic surger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04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for suturing wounds; Holders or packages for needles or suture materials
    • A61B17/06Needles ; Sutures; Needle-suture combinations; Holders or packages for needles or suture materials
    • A61B17/06166Sutur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5/00Devices for bringing media into the body in a subcutaneous, intra-vascular or intramuscular way; Accessories therefor, e.g. filling or cleaning devices, arm-rests
    • A61M5/178Syringes
    • A61M5/31Details
    • A61M5/32Needles; Details of needles pertaining to their connection with syringe or hub; Accessories for bringing the needle into, or holding the needle on, the body; Devices for protection of need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GMAKING NEEDLES, PINS OR NAILS OF METAL
    • B21G1/00Making needles used for performing operations
    • B21G1/08Making needles used for performing operations of hollow needles or needles with hollow end, e.g. hypodermic needles, larding-needl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04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for suturing wounds; Holders or packages for needles or suture materials
    • A61B17/06Needles ; Sutures; Needle-suture combinations; Holders or packages for needles or suture materials
    • A61B2017/06057Double-armed sutures, i.e. sutures having a needle attached to each end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34/00Computer-aided surgery; Manipulators or robot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surgery
    • A61B34/30Surgical robot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urge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ublic Health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Anesthesiology (AREA)
  • Hematology (AREA)
  • Robotics (AREA)
  • Cardiolog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urgical Instruments (AREA)
  • Sewing Machines And Sew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재봉 기능을 갖는 봉합 기구에 관한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본 발명은 의사 등의 시술자가 인체 조직이나 기타 동물의 신체 조직을 정교하고 신속하며 용이하게 봉합할 수 있도록 하는 봉합 기구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 태양에 따르면, 봉합 기구로서, 지지대, 상기 지지대에 대하여 배치되는 수술용 바늘, 및 상기 수술용 바늘을 수용하고 상기 수술용 바늘을 동작시키기 위한 바늘 구동부를 포함하고, 상기 수술용 바늘은 상기 지지대에 대하여 동작하고, 상기 동작에 따라, 상기 수술용 바늘로부터의 봉합사가 다수의 고리를 형성하며, 상기 다수의 고리는 순차적으로 연결되는 봉합 기구가 제공된다.

Description

재봉 기능을 갖는 봉합 기구{SUTURE APPARATUS HAVING SEWING FUNCTION}
본 발명은 재봉 기능을 갖는 봉합 기구에 관한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본 발명은 의사 등의 시술자가 인체 조직이나 기타 동물의 신체 조직을 정교하고 신속하며 용이하게 봉합할 수 있도록 하는 봉합 기구에 관한 것이다.
수술에 있어서, 장막, 근육, 근막, 피부, 혈관 등과 같은 조직을 봉합하는 과정은 필수적이라고 할 수 있다. 이러한 봉합 과정에서의 주요 관심사는, 봉합에 소요되는 시간을 단축시켜 시술자의 피로와 환자(또는, 수술의 대상이 되는 동물)의 마취 시간을 최소화하고, 환자의 상처의 치유를 촉진하며, 환자의 혈액의 손실을 최소화하는 것이라고 할 수 있다. 또한, 이에 더하여, 미용적인 측면에서, 수술로 인한 흉터를 최소화하는 것도 중요한 관심사가 될 수 있다.
종래의 봉합은 주로 시술자가 수술용 바늘과 봉합사(縫合絲)를 이용하여 봉합의 대상이 되는 조직을 수작업으로 꿰매는 방식으로 수행되어 왔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방식에 따르면, 봉합에 소요되는 시간이 시술자의 숙련도에 따라 결정되므로, 경우에 따라 수술 시간이 길어질 수 있다. 이는, 시술자의 피로가 증대되고, 환자의 마취 시간이 길어지며, 혈액 관리 등에 있어서 문제가 생기는 원인이 될 수 있다. 또한, 봉합으로 인한 흉터의 정도는 바늘땀이 얼마나 균일하고 촘촘한지에 따라 좌우될 수 있는데, 수작업에 의한 봉합으로는 바늘땀의 균일성과 밀도를 보장하기 어려운 측면이 있다.
본 출원인은 위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신규한 외과용 봉합 기구를 발명한 바 있고, 이에 관하여 한국특허출원 제2009-37128호를 출원하여 그 등록을 허여하는 취지의 결정을 이미 받은 바 있다(상기 출원의 명세서는 그 전체로서 본 명세서에 편입되는 것으로 간주되어야 한다). 본 출원인은 상기 외과용 봉합 기구의 기술적 사상에 기초하되 이보다 간단한 구성을 갖는 다른 신규한 봉합 기구를 아래와 같이 제안한다.
본 발명은 전술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모두 해결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봉합이 정교하고도 용이하게 수행되도록 하는 봉합 기구를 제공하는 것을 다른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봉합 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는 봉합 기구를 제공하는 것을 또 다른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봉합으로 인한 흉터를 최소화할 수 있는 봉합 기구를 제공하는 것을 또 다른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로봇 팔(robot arm)을 갖는 수술용 로봇 시스템 등과 같은 외부 장치와 결합하여, 자동화된 봉합을 수행하는 봉합 기구를 제공하는 것을 또 다른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봉합이 정교하고도 용이하게 수행되도록 하는 봉합 기구가 제공된다.
본 발명에 의하면, 봉합 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는 봉합 기구가 제공된다.
본 발명에 의하면, 봉합으로 인한 흉터를 최소화할 수 있는 봉합 기구가 제공된다.
본 발명에 의하면, 로봇 팔(robot arm)을 갖는 수술용 로봇 시스템 등과 같은 외부 장치와 결합하여, 자동화된 봉합을 수행하는 봉합 기구가 제공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봉합 기구의 전체적인 구성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봉합부의 구성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봉합 기구에 의한 봉합사의 봉합 구조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봉합 기구에 의한 봉합 과정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봉합부의 구성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6은 회전부가 채택되어 있는 봉합부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봉합 기구의 구성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봉합 기구에 의한 봉합사의 봉합 구조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9는 도 8에 해당하는 실시예에 따른 봉합에 관한 개념도이다.
도 10은 도 8에 해당하는 실시예에 따른 봉합부에 관한 모식도이다.
발명의 실시를 위한 최선의 형태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대표적인 구성은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일 태양에 따르면, 봉합 기구로서, 지지대, 상기 지지대에 대하여 배치되는 수술용 바늘, 및 상기 수술용 바늘을 수용하고 상기 수술용 바늘을 동작시키기 위한 바늘 구동부를 포함하고, 상기 수술용 바늘은 상기 지지대에 대하여 동작하고, 상기 동작에 따라, 상기 수술용 바늘로부터의 봉합사가 다수의 고리를 형성하며, 상기 다수의 고리는 순차적으로 연결되는 봉합 기구가 제공된다.
이 외에도, 본 발명을 구현하기 위한 다른 구성이 더 제공될 수 있다.
발명의 실시를 위한 형태
후술하는 본 발명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본 발명이 실시될 수 있는 특정 실시예를 예시로서 도시하는 첨부 도면을 참조한다. 이러한 실시예는 당업자가 본 발명을 실시할 수 있기에 충분하도록 상세히 설명된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는 서로 다르지만 상호 배타적일 필요는 없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예를 들어, 본 명세서에 기재되어 있는 특정 형상, 구조 및 특성은 본 발명의 정신과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일 실시예로부터 다른 실시예로 변경되어 구현될 수 있다. 또한, 각각의 실시예 내의 개별 구성요소의 위치나 배치도 본 발명의 정신과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변경될 수 있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따라서, 후술하는 상세한 설명은 한정적인 의미로서 행하여지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범위는 특허청구범위의 청구항들이 청구하는 범위 및 그와 균등한 모든 범위를 포괄하는 것으로 받아들여져야 한다. 도면에서 유사한 참조부호는 여러 측면에 걸쳐서 동일하거나 유사한 구성요소를 나타낸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여러 바람직한 실시예에 관하여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
본 발명에 따른 봉합 기구의 전체적인 구성 그리고 그 세부 구성요소는 위에서 언급된 한국특허출원 제2009-37128호에서 설명된 외과용 봉합 기구의 전체적인 구성 그리고 그 세부 구성요소와 많은 부분에 있어서 유사할 수 있다. 따라서,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봉합 기구의 구성 중 특징적인 것과 재설명이나 부연 설명이 필요한 구성요소를 중심으로 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봉합 기구의 전체적인 구성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봉합 기구가 결합부(10), 샤프트부(20), 동작부(30) 및 봉합부(4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결합부(10)는 봉합 기구가 로봇 팔을 갖는 수술용 로봇 시스템이나 기타 수술용 시스템과 같은 외부 장치(미도시됨)에 결합되어 이로부터 소정의 제어 신호나 소정의 제어 조작(예를 들면, 기계적인 제어 조작)을 전달 받을 수 있도록 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샤프트부(20)는 결합부(10)와 봉합부(40)를 연결하는 구성요소로서, 동작부(30)와 같은 관절 구성요소를 개입시켜 봉합 기구가 관절 운동을 할 수 있도록 하는 하나 이상의 샤프트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샤프트의 내부에는 후술하는 바와 같은 봉합부(40)의 제어를 위한 와이어 기타 제어 부속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샤프트부(20)는 봉합 기구를 물리적으로 지지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동작부(30)는 샤프트부(20)의 하나 이상의 샤프트의 말단이나 사이에 배치되어 봉합 기구가 관절 운동을 할 수 있도록 하는 기능과, 외부 장치로부터의 소정의 제어 신호나 소정의 제어 조작에 따라 봉합부(40)의 위치와 방향이 결정되도록 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이러한 동작부(30)는 필요에 따라 봉합부(40) 및/또는 샤프트부(20)의 샤프트가 피치 방향 및/또는 요 방향으로 동작하게끔 할 수 있다. 동작부(30)를 구성하기 위하여 공지의 여러 가지 수술 기구의 관절부의 구성 원리가 채용될 수 있다.
아래에서는, 본 발명의 여러 실시예에 따른 봉합부(40)에 관하여 자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봉합부(40)의 구성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봉합부(40)는 조직을 봉합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구성 요소로서, 지지대(또는, 하부 지지대)(42), 수술용 바늘(44), 및 수술용 바늘(44)을 수용하고 수술용 바늘(44)을 지지대(42)와 실질적으로 직교하는 방향으로 동작시키는 기능을 수행하는 바늘 구동부(46)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이상의 그리고 이하의 상세한 설명에서, 본 발명에 따른 봉합부(40)의 지지대(42)가 주로 하부 지지대(42)인 것으로 예시하여 설명하지만, 수술용 바늘(44)에 대향하는 지지대(42)가 수술용 바늘(44)의 위쪽에 또는 다른 쪽에 배치될 수도 있음이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이상의 그리고 이하의 상세한 설명에서, 본 발명에 따른 수술용 바늘(44)이 지지대(42)와 실질적으로 직교하는 방향으로 동작하는 것으로 예시하여 설명하지만, 본 발명의 기술적 원리에 따라 봉합이 수행되는 이상, 본 발명에 관한 권리범위가 수술용 바늘이 지지대에 대하여 이루는 각도에 의하여 제한되어서는 아니된다는 점을 주의하여야 할 것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봉합 기구에 의한 봉합사의 봉합 구조를 도시하는 도면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봉합 기구에 의한 봉합 과정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2 내지 도 4를 참조하여 살펴본다. 본 발명에 따른 봉합 기구는 기본적으로 지지대(42)로부터 공급되는 봉합사를 필요로 하지 않는 것을 그 구성상의 특징 중 하나로 한다. 즉,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봉합부(40)는, 바늘 구동부(46)의 구동에 의하여 수술용 바늘(44)이 위아래로 동작하는 과정에서, 수술용 바늘(44)에 걸려 있는 봉합사가 스스로 얽혀지도록 함으로써 봉합을 수행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수술용 바늘(44)은 일 주기의 상하 동작(운동)을 하는 동안 봉합의 대상이 되는 조직을 관통하여 그 건너 편에 봉합사(s)의 고리(r1, r2, r3)를 형성할 수 있고, 고리(r2, r3)가 각각 먼저 형성된 고리(r1, r2)에 삽입됨에 따라 고리(r1, r2, r3)가 순차적으로 연결되도록 할 수 있다.
도 3과 도 4를 참조하여 더 살펴본다. 수술용 바늘(44)은 첫 번째 상하 동작 ①을 하면서 조직을 관통하여 제1 고리(r1)를 형성할 수 있다. 이후, 바늘 구동부(46)가 수술용 바늘(44)을 봉합이 이루어지는 방향으로 (즉, 도 4에 도시된 수평 화살표의 방향으로) 소정의 거리만큼 이동시킬 수 있다. 다음으로, 수술용 바늘(44)이 두 번째 상하 동작 ②을 하면서 제2 고리(r2)를 형성함과 함께, 제2 고리(r2)가 제1 고리(r1)에 삽입되도록 할 수 있다. 이후, 바늘 구동부(46)는 수술용 바늘(44)을 다시 봉합이 이루어지는 방향으로 소정의 거리만큼 이동시킬 수 있다. 그 다음에, 수술용 바늘(44)이 세 번째 상하 동작 ③을 하면서 제3 고리(r3)가 형성되어 제2 고리(r2)에 삽입되도록 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봉합사(s)가 고리(r1, r2, r3)를 연속적으로 형성하도록 하고 이러한 고리(r1, r2, r3)가 순차적으로 연결되도록 함으로써, 봉합이 수행될 수 있다.
한편, 이러한 경우, 지지대(42)에는 수술용 바늘(44)과 함께 지지대(42)에 접근한 봉합사(s)가 걸리는 걸림부(g)가 형성되어 있을 수 있다. 걸림부(g)는 수술용 바늘(44)이 지지대(42)에 접근한 후 다시 지지대(42)로부터 멀어지는 과정에서 봉합사(s)의 일부를 걸어서 고정함으로써, 수술용 바늘(44)의 동작에 따라 고리(r1, r2, r3)가 형성되도록 할 수 있다. 한편, 위와 같은 걸림부(g)는 필요에 따라 지지대(42) 상에 다수 형성될 수 있고, 그 형성되는 간격 역시 필요에 따라 자유롭게 정해질 수 있다. 또한, 위와 같은 걸림부(g)는 지지대(42)와 함께 봉합이 이루어지는 방향으로 (예를 들면, 도 4에 도시된 수평 화살표의 방향으로) 이송되어 고리(r1, r2, r3)가 원활하게 형성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과정을 반복하면, 지지대(42)로부터 공급되는 봉합사 없이 수술용 바늘(44)로부터 공급되는 봉합사(s)만으로도 봉합이 이루어질 수 있다. 이러한 봉합에 따른 봉합 상태는 기본적으로 봉합사(s)와 조직 간의 마찰력에 의하여 유지될 수 있지만, 마지막으로 형성된 고리가 소위 매듭의 역할을 할 수 있도록 하는 매듭 형성 수단이 더 이용될 수도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봉합사가 지지대(42)로부터 공급되는 구성이 불필요하게 되기 때문에, 봉합 기구의 전체적인 구성이 단순화될 수 있다. 따라서, 봉합 기구의 제작이 용이하게 되어 제작 비용이 절감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봉합부(40)는 외부 장치로부터의 제어 신호나 제어 조작에 따라 바늘 구동부(46)를 동작시킬 수 있다. 예를 들면, 시술자가 외부 장치를 조작함에 따라 바늘 구동부(46)에 수용되어 있는 수술용 바늘(44)이 지지대(42)와 실질적으로 직교하는 방향으로 동작하게 될 수 있다. 또한, 예를 들면, 시술자가 외부 장치를 조작함에 따라 바늘 구동부(46) 및/또는 지지대(42)가 봉합이 이루어지는 방향으로 구동될 수 있다(이와 관련하여, 필요한 경우, 샤프트부(20)의 체장이 신장하거나 수축하면 바늘 구동부(46) 및/또는 지지대(42)가 이에 따라 동작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한편, 한국특허출원 제2009-37128호에서 설명된 바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봉합 기구를 위하여도, 봉합의 진행 모드를 자동 모드나 반자동 모드로 하는 구성이나, 바늘땀의 간격 및/또는 봉합 속도가 결정되거나 설정되도록 하는 구성이나, 침습 수술에 적합하도록 봉합 기구의 전체적인 구성이나 디멘젼에 필요한 변경을 가한 구성 등이 채택될 수 있음을 주의하여야 할 것이다.
한편,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봉합 기구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마찬가지로 결합부(10), 샤프트부(20) 및 동작부(30)를 포함하되, 다소 변형된 형태의 봉합부(4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도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봉합부(40)의 구성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5를 참조하면, 봉합부(40)가 서로 대향되어 있는 상부 지지대(41) 및 하부 지지대(42), 수술용 바늘(44), 그리고 수술용 바늘(44)을 수용하고 수술용 바늘(44)을 하부 지지대(42)와 실질적으로 직교하는 방향으로 동작시키는 기능을 수행하는 바늘 구동부(46)를 포함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또한, 바늘 구동부(46)는 상부 지지대(41)에 배치될 수 있고, 상부 지지대(41)에 구비되어 있는 레일(47)을 따라 소정의 범위 내에서 이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도 6은 회전부(50)가 채택되어 있는 봉합부(40)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봉합부(40)는 소정의 회전부(50)와 결합될 수 있다. 도 6을 참조하면, 회전부(50)는 봉합부(40)가 소정의 각도 범위 이내에서 회전하도록 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봉합 기구의 구성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봉합 기구는 소위 분리형 구성을 가질 수 있다. 즉, 봉합 기구는 제1 결합부(10a), 제2 결합부(10b), 제1 샤프트부(20a), 제2 샤프트부(20b), 제1 동작부(30a), 제2 동작부(30b), 하부 지지대(42) 및 수술용 바늘(44)을 수용하는 바늘 구동부(46)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수술용 바늘(44)과 바늘 구동부(46)를 포함하는 봉합부(40)의 상부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결합부(10a), 제1 샤프트부(20a) 및 제1 동작부(30a)와 함께 봉합 기구의 하나의 분리된 모듈을 형성할 수 있고, 봉합부(40)의 하부에 해당하는 하부 지지대(42)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결합부(10b), 제2 샤프트부(20b) 및 제2 동작부(30b)와 함께 봉합 기구의 다른 분리된 모듈을 형성할 수 있다. 여기서, 제1 결합부(10a), 제1 샤프트부(20a) 및 제1 동작부(30a)는 제2 결합부(10b), 제2 샤프트부(20b) 및 제2 동작부(30b)로부터 분리되어 있을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분리형 구성의 봉합 기구는 그 각각의 모듈이 다양한 방향으로 봉합의 대상이 되는 조직에 접근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각 모듈에서의 관절 동작이 보다 자유롭게 될 수 있고, 각 모듈이 서로 다른 외부 장치에 의하여 제어될 수도 있으며, 관형 장기를 봉합하는 경우나 수술용 포트를 사용하여 봉합을 수행하는 경우에도 유용할 수 있다.
도 5 내지 도 7을 참조하여 설명된 본 발명에 따른 봉합 기구의 변경된 구성에 관하여는 앞서 언급된 한국특허출원 제2009-37128호를 더 참조할 수 있다.
한편,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봉합 기구에 의한 봉합사의 봉합 구조를 도시하는 도면이고, 도 9는 도 8에 해당하는 실시예에 따른 봉합에 관한 개념도이다.
도 8과 도 9를 함께 참조하여 살펴본다. 본 실시예에 따른 봉합 기구는 기본적으로 도 2에 도시된 봉합 기구와 유사한 구성을 가질 수 있다. 즉, 본 실시예에 따른 봉합 기구 역시 지지대(미도시됨)로부터 공급되는 봉합사를 필요로 하지 않고 수술용 바늘(미도시됨)에 (바람직하게는, 그 첨단부에) 걸려 있는 봉합사가 스스로 얽혀지도록 함으로써 봉합을 수행하는 것을 그 구성상의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이 경우에, 수술용 바늘은 종래의 수작업에 의한 수술을 위한 바늘과 유사하게 굽은 형태의 것일 수 있다. 또한, 지지대 역시 아래에서 설명되는, 수술용 바늘의 조직의 2회 관통 등을 위한 굽은 형태의 것일 수 있다(이들과 관련하여, 도 10을 더 참조할 수 있다).
먼저, 수술용 바늘(의 첨단부)은, 봉합의 대상이 되는 조직을 위에서 아래로 그리고 다시 아래에서 위로 두 번 관통하는 과정에서, 그에 걸려 있는 봉합사로 조직 윗면의 봉합사 부분(s1)과는 구분되는 조직 아랫면의 봉합사 부분(p1)(즉, 도 9의 ① 부분)을 형성할 수 있다(도 8과 도 9에서, 실선으로 표시된 봉합사 부분은 조직 윗면의 것이고, 점선으로 표시된 봉합사 부분은 조직 아랫면의 것이다). 그 다음에, 소정의 걸림쇠(미도시됨)가 동작하여, 수술용 바늘이 봉합사 부분(p1)을 형성한 뒤에(봉합사 부분(p1)은 후술하는 바와 같은 수술용 바늘의 후퇴에 따라 결국은 두 줄이 될 수 있다) 조직 위에서 물고 있는 봉합사의 작은 고리를 잡아 당겨 봉합사 부분(s2, s3)으로 이루어지는 고리(r11)(즉, 도 9의 ② 부분)를 형성할 수 있다. 그 다음에, 수술용 바늘은 조직의 위로부터 아래로 그리고 다시 아래로부터 위로 후퇴하고 나서(이 과정에서, 도 9의 ③ 부분이 형성됨), 봉합사 부분(s4)(즉, 도 9의 ④ 부분)을 조직 윗면에 형성할 수 있다. 봉합사 부분(s4)을 형성함에 있어서, 바늘 구동부(미도시됨)가 수술용 바늘을 봉합이 이루어지는 방향으로 (즉, 도 8의 오른편으로부터 왼편으로) 소정의 거리만큼 이동시킬 수 있다. 이 경우에, 봉합사 부분(s4)은 조직을 기준으로 할 때에 고리(r11)의 일부보다 위쪽에 형성될 수 있다.
그 다음에, 위에서 설명된 것과 마찬가지의 수술용 바늘과 바늘 구동부의 동작에 따라, 조직 아랫면의 봉합사 부분(p2)(즉, 도 9의 ⑤ 부분)이 형성되고, 봉합사 부분(s5, s6)으로 이루어지는 고리(r22)(즉, 도 9의 ⑥ 부분)가 형성되며, 봉합사 부분(s7)(즉, 도 9의 ⑧ 부분)이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에, 봉합사 부분(s7)은 조직을 기준으로 할 때에 고리(r11)의 일부나 고리(r22)의 일부보다 위쪽에 형성되어 간접적으로 고리(r11)와 고리(r22)를 연결하여 줄 수 있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 따르는 경우에도 수술용 바늘로부터의 봉합사의 고리의 순차적인 연결에 의한 봉합이 가능하게 된다. 특히, 이러한 봉합은 다층의 조직을 봉합하는 데에 유용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이 구체적인 구성요소 등과 같은 특정 사항과 한정된 실시예 및 도면에 의하여 설명되었으나, 이는 본 발명의 보다 전반적인 이해를 돕기 위하여 제공된 것일 뿐, 본 발명이 상기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적인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과 변경을 꾀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사상은 상기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아니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만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또는 이로부터 등가적으로 변경된 모든 범위는 본 발명의 사상의 범주에 속한다고 할 것이다.

Claims (8)

  1. 봉합 기구로서,
    지지대,
    상기 지지대에 대하여 배치되는 수술용 바늘, 및
    상기 수술용 바늘을 수용하고 상기 수술용 바늘을 동작시키기 위한 바늘 구동부
    를 포함하고,
    상기 수술용 바늘은 상기 지지대에 대하여 동작하고,
    상기 동작에 따라, 상기 수술용 바늘로부터의 봉합사가 다수의 고리를 형성하며,
    상기 다수의 고리는 순차적으로 연결되는
    봉합 기구.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대는 적어도 하나의 걸림부를 포함하는 봉합 기구.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술용 바늘은 상기 지지대와 실질적으로 직교하는 방향으로 동작하는 봉합 기구.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다수의 고리는 하나의 고리가 그 인접 고리에 삽입되는 방식으로 연결되는 봉합 기구.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바늘 구동부나 상기 지지대는 봉합의 대상이 되는 조직에 대하여 수평 방향으로 이동하는 봉합 기구.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술용 바늘은 굽은 형태인 봉합 기구.
  7. 제1항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걸림쇠를 더 포함하는 봉합 기구.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다수의 고리는 하나의 고리가 그 인접 고리와 간접적으로 연결되는 방식으로 연결되는 봉합 기구.
KR1020127008698A 2009-09-22 2010-09-17 재봉 기능을 갖는 봉합 기구 KR20120069709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89798 2009-09-22
KR20090089798 2009-09-22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7011061A Division KR102019218B1 (ko) 2009-09-22 2010-09-17 재봉 기능을 갖는 봉합 기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69709A true KR20120069709A (ko) 2012-06-28

Family

ID=43796370

Famil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7008624A KR20180035931A (ko) 2009-09-22 2010-09-17 재봉 기능을 갖는 봉합 기구
KR1020177011061A KR102019218B1 (ko) 2009-09-22 2010-09-17 재봉 기능을 갖는 봉합 기구
KR1020127008698A KR20120069709A (ko) 2009-09-22 2010-09-17 재봉 기능을 갖는 봉합 기구

Family Applications Before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7008624A KR20180035931A (ko) 2009-09-22 2010-09-17 재봉 기능을 갖는 봉합 기구
KR1020177011061A KR102019218B1 (ko) 2009-09-22 2010-09-17 재봉 기능을 갖는 봉합 기구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20120221023A1 (ko)
EP (1) EP2481357A4 (ko)
KR (3) KR20180035931A (ko)
CN (1) CN102686166A (ko)
WO (1) WO2011037383A2 (ko)

Family Cites Families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R811463A (ko) * 1935-09-13 1937-04-15
US2580964A (en) * 1948-01-23 1952-01-01 Maja L Skaller Surgical suturing device
US5411481A (en) * 1992-04-08 1995-05-02 American Cyanamid Co. Surgical purse string suturing instrument and method
US5665109A (en) * 1994-12-29 1997-09-09 Yoon; Inbae Methods and apparatus for suturing tissue
KR200228438Y1 (ko) * 2001-01-05 2001-06-15 의료법인 삼성제일의료재단 삼성제일병원 복강경 수술용 봉합기구
WO2003047437A1 (en) * 2001-12-04 2003-06-12 The Children's Medical Center Corporation Tissue repair
US6921408B2 (en) * 2002-03-12 2005-07-26 Lsi Solutions, Inc. Apparatus for sewing tissue and method of use
GB0422714D0 (en) * 2004-10-13 2004-11-17 Griffith John D Laparoscopic sewing device
EP1707127B1 (en) * 2005-03-30 2010-12-22 Arthrex Inc Looped high strength suture chain for knotless fixation
ES2310964B1 (es) * 2007-01-25 2009-12-18 Pedro Guillen Garcia Instrumento quirurgico de sutura del sistema musculo esqueletico y tecnica quirurgica que emplea el mismo.
KR20090037128A (ko) 2007-10-11 2009-04-15 현대제철 주식회사 평행 채널 및 그의 제조방법
KR100912006B1 (ko) 2007-10-11 2009-08-14 김용성 인골을 이용한 인조 사리 제조방법
US20090223426A1 (en) * 2008-03-04 2009-09-10 Harry Shonteff Micro sewing device
KR20090009407U (ko) * 2008-03-14 2009-09-17 김대곤 복강경 수술용 봉합기구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2481357A2 (en) 2012-08-01
EP2481357A4 (en) 2015-04-29
KR20170046817A (ko) 2017-05-02
WO2011037383A2 (ko) 2011-03-31
US20120221023A1 (en) 2012-08-30
KR20180035931A (ko) 2018-04-06
KR102019218B1 (ko) 2019-09-06
CN102686166A (zh) 2012-09-19
WO2011037383A3 (ko) 2011-09-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779326B2 (en) Stitching device with long needle
RU2556784C2 (ru) Шовная нить
JP5323815B2 (ja) 結節要素のためのローダー及び糸通し器
KR101126288B1 (ko) 수술도구 종단부의 롤링 운동이 가능한 최소침습수술용 수술장치
CN108348648A (zh) 用于外科缝合器的可延伸支撑物组件
JP5925857B2 (ja) 裁縫機能を有する外科用縫合器具
KR101796685B1 (ko) 봉합용 매듭 및 봉합장치
US20090223426A1 (en) Micro sewing device
CN202161363U (zh) 减张手术缝合线
KR102019218B1 (ko) 재봉 기능을 갖는 봉합 기구
CN100574710C (zh) 钳式腔隙缝合器
KR101990064B1 (ko) 재봉 기능을 갖는 봉합 기구
KR100923371B1 (ko) 봉합 매듭용 핀셋
KR101782372B1 (ko) 고정 수단을 갖는 봉합 기구
TWI528934B (zh) 縫合線、縫合線支撐體以及縫合線的製造方法
CN201012093Y (zh) 钳式腔隙缝合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