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069385A - 사용자 이동 패턴과 감정 정보에 따른 사용자 정보의 제공 서버의 운영 방법 - Google Patents

사용자 이동 패턴과 감정 정보에 따른 사용자 정보의 제공 서버의 운영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069385A
KR20120069385A KR1020100130914A KR20100130914A KR20120069385A KR 20120069385 A KR20120069385 A KR 20120069385A KR 1020100130914 A KR1020100130914 A KR 1020100130914A KR 20100130914 A KR20100130914 A KR 20100130914A KR 20120069385 A KR20120069385 A KR 2012006938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formation
user
counterpart
user terminal
termi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13091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184515B1 (ko
Inventor
홍충선
이준
허림
송태일
Original Assignee
경희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경희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경희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0013091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84515B1/ko
Priority to PCT/KR2011/006266 priority patent/WO2012086897A1/ko
Priority to US13/497,885 priority patent/US20130275048A1/en
Publication of KR2012006938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6938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8451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8451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7/00Digital computing or data processing equipment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func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20Services signaling; Auxiliary data signalling, i.e. transmitting data via a non-traffic channel
    • H04W4/21Services signaling; Auxiliary data signalling, i.e. transmitting data via a non-traffic channel for social networking appl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01Social network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7/00Network arrangements or protocols for supporting network services or applications
    • H04L67/2866Architectures; Arrangements
    • H04L67/30Profiles
    • H04L67/306User profil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7/00Network arrangements or protocols for supporting network services or applications
    • H04L67/50Network services
    • H04L67/52Network 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the location of the user termina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02Services making use of location information
    • H04W4/023Services making use of location information using mutual or relative location information between multiple location based services [LBS] targets or of distance threshold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02Services making use of location information
    • H04W4/029Location-based management or tracking servi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3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environments, situations or purposes
    • H04W4/38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environments, situations or purposes for collecting sensor inform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00Network data management
    • H04W8/18Processing of user or subscriber data, e.g. subscribed services, user preferences or user profiles; Transfer of user or subscriber data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8/0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e.g. terminals, base stations or access point devices
    • H04W88/18Service support devices; Network management devi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02Services making use of location information
    • H04W4/025Services making use of location information using location based information parameters
    • H04W4/027Services making use of location information using location based information parameters using movement velocity, acceleration inform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64/00Locating users or terminals or network equipment for network management purposes, e.g. mobility managemen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Computing Systems (AREA)
  • Marketing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conom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Information Retrieval, Db Structures And Fs Structures Therefor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사용자의 이동 패턴에 기초한 사용자의 행태를 분석하는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 사용자의 이동 패턴과 더불어 사용자의 이동 패턴에 따라 달라지는 사용자의 감정 정보를 사용자 또는 상대방에 제공하는 사용자 정보 제공 서버의 운영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사용자 정보 제공 서버의 운영 방법은 다양한 생체 감지 센서로부터 획득한 사용자 생체 정보로부터 추론한 사용자 감정 정보, 사용자가 위치하는 장소 정보, 상대방 정보를 제공함으로써, 단순한 사용자 이동패턴뿐만 아니라 사용자 이동패턴에 따라 변화하는 사용자 정보를 통해 다양한 분야에 이용 가능한 사용자 행태를 정확하게 판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사용자 정보 제공 서버의 운영 방법은 사용자가 만나는 상대방의 단말기로부터 상대방 식별자를 수신함으로써, 용이하게 상대방 정보를 획득할 수 있으며 획득한 상대방 정보에 따라 변화하는 사용자 행태를 판단할 수 있다.

Description

사용자 이동 패턴과 감정 정보에 따른 사용자 정보의 제공 서버의 운영 방법{Method for operating user information providing server with user moving pattern and emotion information}
본 발명은 사용자의 이동 패턴에 기초한 사용자의 행태를 분석하는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 사용자의 이동 패턴과 더불어 사용자의 이동 패턴에 따라 달라지는 사용자의 감정 정보를 사용자 또는 상대방에 제공하여 사용자 행태를 분석할 수 있는 사용자 정보 제공 서버의 운영 방법에 관한 것이다.
사용자 행태에 대한 연구는 사회학 전반에 걸친 폭넓은 연구 분야로 사용자가 원하고 사용자의 상황에 맞는 정보를 찾아내고 전달하는데 있어 핵심이 되는 연구 분야이다. 종래 사용자 행태에 대한 연구와 관련하여 사용자 이동패턴에 관한 연구는 신종 인플루엔자나 에이즈 같은 전염성 질병의 확산 통제나 효율적인 도시 교통망 설계, 이동통신망 설계 등에 활용되기 때문에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최근 들어,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가 인기를 끌면서 사용자는 친구, 지인 등과 같은 상대방과 웹상에서 인적 네트워크를 형성하며 사용자 선호 장소, 감정, 선호 물품 등과 같은 사용자 정보를 상대방과 서로 교환하며 의사소통을 하고 있다. 따라서 종래 사용자 이동패턴에만 기초한 사용자 행태에 대한 연구는 단순히 사용자의 이동유형을 나타낼 뿐 사용자 이동패턴과 연관된 다양한 외적 요인이 평가되지 않는 단순한 정보이기 때문에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에 적용 가능한 사용자 행태 분석으로 적합하지 않다는 문제점을 가진다.
본 발명은 위에서 언급한 종래 사용자 행태 분석이 가지는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목적은 다양한 감지 센서로부터 획득한 사용자 생체 정보를 이용하여 추론한 사용자 감정 정보, 사용자가 위치하는 장소 정보, 상대방 정보를 통해 사용자 이동패턴에 따라 변화하는 사용자 행태를 분석할 수 있도록 사용자 정보를 제공하는 서버의 운용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다른 목적은 사용자가 만나는 상대방의 단말기로부터 상대방 식별자를 수신하여 상대방 정보를 획득하며 획득한 상대방 정보에 따라 변화하는 사용자 정보를 사용자 단말기로 송신하는 사용자 정보 제공 서버의 운용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또 다른 목적은 사용자 이동패턴과 사용자 이동패턴에 따라 변화하는 사용자 정보를 지도 위에 배치하여 상황 정보 이미지로 편집하고 편집한 상황 정보 이미지를 사용자 단말기 또는 상대방 단말기로 송신하여 사용자 또는 상대방이 사용자 이동패턴에 따라 변화하는 사용자 정보를 용이하게 판단할 수 있는 사용자 정보 제공 서버의 운용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또 다른 목적은 검색하고자 하는 사용자 감정 또는 키워드에 따라 편집한 정보 그룹 중 사용자 감정 또는 키워드에 매핑되어 있는 정보 그룹만을 별도로 검색하여 사용자 행태를 분석할 수 있는 사용자 정보 제공 서버의 운용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또 다른 목적은 시간단위 주기적으로 또는 사용자 행태가 변화할 때마다 사용자 이동패턴, 감정 정보, 장소 정보, 사용자가 만난 상대방 정보를 1개의 정보 그룹으로 편집하여 정보의 관리 및 편집이 용이한 사용자 정보 제공 서버의 운용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사용자 정보 제공 서버의 운용 방법은 감지 센서에서 측정한 사용자의 생체 정보, 사용자가 위치하는 장소의 타원체면상 경위도 좌표 정보, 사용자가 만나고 있는 상대방 정보를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수신하는 단계와, 수신한 타원체면상 경위도 좌표 정보를 평면직각 좌표로 변환하고, 장소 정보 데이터베이스로부터 변환한 평면직각 좌표에 위치하는 장소 정보를 판단하는 단계와, 수신한 사용자의 생체 정보로부터 사용자의 감정 정보를 추론하는 단계와, 장소 정보, 감정 정보, 상대방 정보를 동일 시간대의 하나의 정보 그룹으로 각각 편집하여 사용자 정보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는 단계와,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사용자 정보의 요청메시지를 수신하는 경우 사용자 정보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되어 있는 정보 그룹을 이미지화하여 사용자 단말기로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정보 그룹을 이미지화하여 사용자 단말기로 송신하는 단계는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사용자 정보의 요청 메시지를 수신하는 단계와, 요청 메시지에 구비되어 있는, 사용자가 검색하고자 하는 시간 범위 정보에 기초하여 시간 범위에 속해 있는 동일 시간대의 정보 그룹을 사용자 정보 데이터베이스에서 추출하는 단계와, 추출한 정보 그룹을 지도 위에 배치하여 상황 정보 이미지로 편집하는 단계와, 편집한 상황 정보 이미지를 사용자 단말기로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대방 정보는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임계 거리에 위치하고 있으며 임계 거리 이내에 임계 시간 동안 위치하는 상대방 단말기로부터 수신한 상대방 단말기 식별자를 사용자 단말기에서 수신하는 단계와, 사용자 단말기에 구비되어 있는 상대방 정보 데이터베이스에서 상대방 단말기 식별자와 매핑되어 있는 상대방 정보를 검색하거나 상대방 단말기 식별자에 구비되어 있는 상대방 정보를 획득하여 사용자 단말기에서 판단하는 단계와, 판단한 상대방 정보를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수신하는 단계를 통해 획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사용자 정보 제공 서버는 사용자 단말기와 서로 통신을 수행하며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사용자의 생체 정보, 사용자가 위치하는 장소의 타원체면상의 경위도 위치 정보, 사용자가 만나는 상대방 정보를 수신하는 통신부와, 수신한 타원체면상의 경위도 좌표 정보를 평면직각 좌표로 변환하고, 장소 정보 데이터베이스로부터 변환한 평면직각 좌표에 위치하는 장소 정보를 판단하는 장소 정보 판단부와, 수신한 생체 정보를 감정 정보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되어 있는 기준 패턴 정보와 비교하여 사용자의 감정 정보를 판단하는 감정 정보 판단부와, 사용자가 위치하는 장소 정보, 감정 정보 및 상대방 정보를 동일 시간대의 정보 그룹으로 각각 편집하여 사용자 정보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는 편집부와, 통신부를 통해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사용자 정보의 요청 메시지를 수신하는 경우, 검색하고자 하는 시간 범위 정보에 기초하여 시간 범위에 속해 있는 동일 시간대의 정보 그룹을 사용자 정보 데이터베이스에서 추출하고, 추출한 정보 그룹을 지도 위에 배치한 상황 정보 이미지로 생성하여 통신부를 통해 사용자 단말기로 송신 제어하는 사용자 정보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종래 기술과 비교하여 다음과 같은 다양한 효과를 가진다.
첫째, 본 발명에 따른 사용자 정보 제공 서버의 운영 방법은 다양한 감지 센서로부터 획득한 사용자 생체 정보로부터 추론한 사용자 감정 정보, 사용자가 위치하는 장소 정보, 상대방 정보를 제공함으로써, 단순한 사용자 이동패턴뿐만 아니라 사용자 이동패턴에 따라 변화하는 사용자 정보를 통해 다양한 분야에 이용 가능한 사용자 행태를 정확하게 판단할 수 있다.
둘째, 본 발명에 따른 사용자 정보 제공 서버의 운영 방법은 사용자가 만나는 상대방의 단말기로부터 상대방 식별자를 수신함으로써, 용이하게 상대방 정보를 획득할 수 있으며 획득한 상대방 정보에 따라 변화하는 사용자 행태를 판단할 수 있다.
셋째, 본 발명에 따른 사용자 정보 제공 서버의 운영 방법은 사용자 이동패턴과 사용자 이동패턴에 따라 변화하는 사용자 정보를 지도 위에 배치한 상황 정보 이미지로 제공함으로써, 사용자 행태를 시각화하여 용이하게 판단할 수 있다.
넷째, 본 발명에 따른 사용자 정보 제공 서버의 운영 방법은 검색하고자 하는 키워드(예를 들어, 사용자 감정 정보, 상대방 정보, 장소 정보)별로 분류하여 정보 그룹 중 키워드에 매핑되어 있는 사용자 행태를 판단할 수 있다.
다섯째, 본 발명에 따른 사용자 정보 제공 서버의 운영 방법은 시간단위로 사용자 이동패턴, 감정 정보, 장소 정보, 사용자가 만난 상대방 정보를 1개의 정보 그룹으로 편집함으로써, 사용자 정보를 용이하게 관리하거나 편집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사용자 정보 제공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사용자 정보 제공 시스템에서 송수신되는 메시지의 흐름을 도시하고 있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사용자 정보 제공 서버를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기능 블록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사용자 정보 제공 서버의 운영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라 편집된 정보 그룹의 일 예를 도시하고 있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라 생성한 상황 정보 이미지의 일 예를 도시하고 있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상황 정보 이미지를 생성하고 생성한 상황 정보 이미지를 사용자 단말기로 송신하는 단계를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사용자 정보 제공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을 참고로 보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다수의 감지 센서들(11, 13, 15)들은 사용자에 부착되어 있거나 사용자가 위치하는 장소의 소정 위치에 배치되어 사용자의 생체 정보를 감지한다. 감지 센서는 사용자의 생체 정보를 감지하기 위한 감지 모듈(미도시)과 감지한 생체 정보를 사용자 단말기(20)로 송신하기 위한 통신 모듈(미도시)을 구비하고 있다.
사용자 단말기는 통신 모듈(미도시), 좌표 판단 모듈(미도시), 상대방 정보 판단 모듈을 구비하고 있는데, 사용자 단말기의 통신 모듈은 감지 센서의 통신 모듈과 통신을 수행하며 또한 사용자 단말기의 통신 모듈은 네트워크(30)에 접속하여 사용자 정보 제공 서버(40)와 통신을 수행한다. 여기서 네트워크(30)는 사용자 단말기(20)와 사용자 정보 제공 서버(40)를 접속시키는 인터넷, 이너넷, 이동통신망, 유선통신망 등이 사용될 수 있다.
한편, 사용자 단말기(20)의 좌표 판단 모듈은 사용자가 위치하는 장소의 경위도 좌표를 판단한다. 바람직하게, 사용자 단말기(20)의 좌표 판단 모듈은 사용자 단말기(20) 내부에 배치되어 있는 GPS 모듈이 사용될 수 있다. 더욱 바람직하게, 사용자 단말기(20)의 좌표 판단 모듈은 사용자 단말기(20)가 접속되어 있는 기지국으로부터 수신하는 신호에 기초하여 사용자 단말기(20)의 경위도 좌표를 판단한다.
사용자 단말기(20)의 상대방 정보 판단 모듈은 상대방 단말기와 사용자 단말기(20)가 서로 임계 거리 내에 위치하며 임계 시간 동안 임계 거리 내에 위치하는 경우 상대방 단말기로부터 상대방 식별자를 수신하여 상대방 정보를 판단한다. 바람직하게, 사용자 단말기(20)는 상대방 단말기가 사용자 단말기와 임계 거리 내에 임계 시간 동안 위치하는 경우 상대방 정보를 요청하기 위한 상대방 요청 메시지를 생성하여 상대방 단말기로 송신하며, 상대방 단말기는 상대방 요청 메시지에 응답하여 사용자 단말기를 인증하고 인증 완료되는 경우에만 상대방 식별자를 구비하는 상대방 응답 메시지를 사용자 단말기로 송신한다. 여기서 상대방 요청 메시지에는 사용자 단말기 식별자가 구비되어 있으며, 상대방 단말기는 사용자 단말기 식별자가 상대방 단말기의 데이터베이스에 기저장되어 있는 경우에만 사용자 단말기를 인증하여 상대방 응답 메시지를 사용자 단말기로 송신한다.
사용자 정보 제공 서버(40)는 사용자 단말기(20)로부터 수신한 사용자 생체 정보, 경위도 좌표 정보, 상대방 정보, 상황 정보를 수신한다. 사용자 정보 제공 서버(40)는 수신한 사용자 생체 정보로부터 사용자 감정 정보를 판단하거나, 경위도 좌표 정보를 평면상의 직각좌표로 변환하여 사용자가 위치하는 장소 정보를 판단하거나, 사용자 감정 정보, 장소 정보, 상대방 정보, 상황 정보를 구비하는 정보 그룹을 시간단위로 생성한다.
사용자 정보 제공 서버(40)는 사용자 단말기(20)로부터 사용자 정보 요청 메시지를 수신하는 경우, 사용자 정보 요청 메시지에 구비되어 있는 검색 키워드, 검색 시간범위에 해당하는 정보 그룹을 검색하고, 검색한 정보 그룹을 지도 위에 시각화하여 상황 정보 이미지로 편집하고, 편집한 상황 정보 이미지를 사용자 단말기(20)로 송신한다. 바람직하게, 사용자 정보 제공 서버(40)는 상대방 단말기(50)로부터 사용자 정보 요청 메시지를 수신하는 경우, 상대방 단말기(50)가 사용자 정보를 조회할 수 있는 권한을 가지는지 상대방 단말기의 식별자를 통해 인증하며, 인증 완료시 상대방 단말기(50)로 상황 정보 이미지를 송신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사용자 정보 제공 시스템에서 송수신되는 메시지의 흐름을 도시하고 있다.
도 2를 참고로 보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감지 센서는 사용자의 다양한 생체 정보를 감지하고 감지한 생체 정보를 사용자 단말기로 송신한다(S1). 여기서 사용자의 생체 정보는 사용자의 맥박수, 혈압, 얼굴 표정, 체온 등과 같이 사용자의 감정 상태를 판단할 수 있는 생체 정보를 의미한다. 한편, 상대방 단말기가 사용자 단말기와 임계 거리 이내에 임계 시간 동안 함께 위치하는 경우, 상대방 단말기는 사용자 단말기로 상대방 단말기 식별자를 송신하여 상대방 정보를 사용자 단말기에 알려준다(S3). 사용자 단말기는 수신한 사용자의 생체 정보, 상대방 정보, 및 사용자 단말기에서 판단한 사용자 단말기가 위치하는 경위도 좌표에 대한 정보를 사용자 정보 제공 서버로 송신한다(S5).
사용자 정보 제공 서버는 수신한 사용자 생체 정보로부터 사용자 감정 정보를 판단하고 사용자 단말기가 위치하는 경위도 좌표를 평면 직각 좌표로 변환하여 평면 직각 좌표에 매핑되어 있는 장소 정보를 판단하며, 사용자 감정 정보, 장소 정보, 상대방 정보로 이루어진 정보 그룹을 생성한다. 사용자 단말기는 사용자 정보 제공 서버로 사용자의 이동 패턴에 따라 변화하는 사용자 정보를 요청하기 위한 메시지를 송신하며(S7), 사용자 정보 제공 서버는 사용자 정보 요청 메시지에 구비되어 있는 시간 범위 내에서 또는 사용자가 검색하고자 하는 키워드에 해당하는 정보 그룹만으로 상황 정보 이미지를 사용자 단말기로 송신한다(S9).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사용자 정보 제공 서버를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기능 블록도이다.
도 1과 도 3을 참고로 보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통신부(110)는 네트워크(30)를 통해 사용자 단말기 또는 상대방 단말기에 접속되어 사용자 단말기(20)로부터 사용자 생체 정보, 상대방 정보, 경위도 좌표에 대한 정보를 수신하거나 사용자 단말기(20) 또는 상대방 단말기(50)로부터 사용자 정보 요청 메시지를 수신하는 경우 이에 응답하여 사용자의 상황 정보 이미지를 사용자 단말기 또는 상대방 단말기로 송신한다.
감정 정보 판단부(120)는 통신부(110)를 통해 수신한 사용자의 생체 정보를 이용하여 사용자의 생체 정보 패턴을 분석하고 분석한 사용자 생체 정보 패턴과 감정 정보 데이터베이스(130)에 저장되어 있는 기준 생체 정보 패턴을 비교하여 사용자 생체 정보 패턴과 일치하는 기준 생체 정보 패턴에 기초하여 사용자의 감정 정보를 판단한다. 여기서 기준 생체 정보 패턴이란 사용자의 감정, 예를 들어 기쁨, 슬픔, 평상, 우울 등에 따라 달라지는 사용자의 생체 정보 패턴을 의미한다.
장소 정보 판단부(140)는 통신부(110)을 통해 수신한, 사용자가 위치하는 장소의 경위도 좌표 정보를 평면 직교좌표로 변환하고, 변환한 직교좌표에 매핑되어 있는 장소 정보를 장소 정보 데이터베이스(150)에서 판단한다. 장소 정보 데이터베이스(150)에는 직교 좌표와 해당 직교 좌표에 대응하는 장소 정보가 매핑되어 저장되어 있다.
편집부(160)는 동일 시간대에서 판단한 사용자 감정 정보, 장소 정보 및 통신부(110)를 통해 수신한 상대방 정보를 1개의 정보 그룹으로 각각 편집하고, 편집한 정보 그룹을 사용자 정보 데이터베이스(170)에 저장한다. 또한 편집부(160)는 통신부(110)를 통해 사용자 단말기 또는 상대방 단말기로부터 사용자 정보 요청 메시지를 수신하는 경우, 사용자 정보 요청 메시지에 응답하여 사용자 정보 요청 메시지에 구비되어 있는 검색 시간 범위, 검색 키워드에 따라 해당하는 정보 그룹을 사용자 정보 데이터베이스(170)에서 검색하고, 검색한 정보 그룹을 그대로 사용자 단말기(20) 또는 상대방 단말기(50)로 통신부(110)를 통해 송신하거나 검색한 정보 그룹이 지도에 배치된 이미지로 편집하여 사용자 단말기(20) 또는 상대방 단말기(50)로 통신부(110)를 통해 송신한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사용자 정보 제공 서버의 운영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4를 참고로 살펴보면, 사용자 정보 제공 서버는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사용자의 생체 정보, 경위도 좌표 정보, 상대방 정보를 수신하고(S10), 수신한 경위도 좌표 정보를 평면 직교 좌표 정보로 변환한다(S20). 경위도 좌표 정보를 평면 직교 좌표 정보로 변환하기 위하여 상용화된 프로그램을 사용할 수 있으며, 이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변환한 평면 직교좌표 정보에 기초하여 평면 직교좌표에 매핑되어 있는 장소 정보를 장소 정보 데이터베이스에서 검색하여 사용자가 위치하고 있는 장소의 장소 정보를 판단하며(S30),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수신한 사용자 생체 정보에 기초하여 사용자 생체 정보 패턴에 매핑되어 있는 기준 생체 정보 패턴을 검색하여 사용자 감정 정보를 판단한다(S40). 여기서 장소 정보, 사용자 감정 정보 및 상대방 정보는 동일한 시간 단위로 판단되어 생성된다. 바람직하게 장소 정보는 사용자가 위치하는 직교좌표에 해당하는 장소 정보가 장소 정보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되어 있는 경우에만 장소 정보를 판단한다.
동일 시간 단위로 장소 정보, 사용자 감정 정보 및 상대방 정보를 판단한 경우, 장소 정보, 사용자 감정 정보 및 상대방 정보로 이루어진 정보 그룹을 주기적으로 편집하여 사용자 정보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한다(S50). 즉, 정보 그룹은 주기적으로 예를 들어, 1초, 10초, 1분 단위로 생성될 수 있는데 본 발명이 적용되는 분야에 따라 서로 상이한 시간 단위로 설정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정보 그룹은 시간 단위로 주기적으로 편집하여 생성하는 대신, 정보 그룹을 구성하는 내용이 변경될 때마다 정보 그룹을 생성한다. 즉, 정보 그룹에서 장소 정보, 사용자 감정 정보, 상대방 정보가 변경될 때마다 정보 그룹을 생성한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라 편집된 정보 그룹의 일 예를 도시하고 있는데, 도 5(a)를 참고로 살펴보면 정보 그룹은 동일 시간대의 사용자 감정 정보, 장소 정보 및 정보 그룹을 생성한 시각 정보로 구성되어 있다. 한편, 도 5(b)를 참고로 살펴보면 사용자가 위치하는 동일한 장소 정보에서 시간에 따라 사용자 감정 정보가 변경되거나 상대방 정보가 변경되는 경우 시간에 따라 변화하는 사용자 감정 정보, 상대방 정보를 구비하는 정보 그룹을 생성한다.
다시 도 4를 참고로 살펴보면, 사용자 단말기 또는 상대방 단말기로부터 사용자 정보 요청 메시지를 수신하는 경우(S60), 사용자 정보 제공 서버는 사용자 정보 요청 메시지에 구비되어 있는 시간 범위 또는 키워드에 기초하여 해당 시간 범위 또는 키워드에 해당하는 정보 그룹을 추출하고 추출한 정보 그룹을 지도에 사용자 이동 패턴에 따라 표시하여 상황 정보 이미지를 생성하고 생성한 상황 정보 이미지를 사용자 단말기 또는 상대방 단말기로 송신한다(S70).
도 6은 본 발명에 따라 생성한 상황 정보 이미지의 일 예를 도시하고 있는데, 도 6을 참고로 살펴보면, 시간에 따라 변화하는 사용자의 이동 패턴과 사용자 감정 정보 또는 상대방 정보를 구비하는 정보 그룹을 사용자 이동 패턴상의 지도에 배치되어 표시되어 있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상황 정보 이미지를 생성하고 생성한 상황 정보 이미지를 사용자 단말기로 송신하는 단계를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7을 참고로 살펴보면,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사용자 정보 요청 메시지를 수신하는 경우(S110), 수신한 사용자 정보 요청 메시지에서 검색 시간 범위 또는 검색 키워드를 판단하고, 판단한 검색 시간 범위 또는 검색 키워드에 해당하는 정보 그룹을 사용자 정보 데이터베이스에서 추출한다(S120). 추출한 정보 그룹에서 사용자 이동 패턴에 해당하는 지도를 검색하고 검색한 지도 위에 추출한 정보 그룹을 이동 패턴에 따라 배치하여 상황 정보 이미지를 편집한다(S130). 편집한 상황 정보 이미지를 사용자 단말기로 송신한다(S140).
한편, 상술한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은 컴퓨터에서 실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으로 작성 가능하고,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를 이용하여 상기 프로그램을 동작시키는 범용 디지털 컴퓨터에서 구현될 수 있다.
상기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는 마그네틱 저장 매체(예를 들어, 롬, 플로피 디스크, 하드디스크 등), 광학적 판독 매체(예를 들면, 시디롬, 디브이디 등) 및 캐리어 웨이브(예를 들면, 인터넷을 통한 전송)와 같은 저장 매체를 포함한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등록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11, 13, 15: 감지 센서 20: 사용자 단말기
30: 네트워크 40: 사용자 정보 제공 서버
50: 상대방 단말기 110: 통신부
120: 감정 정보 판단부 130: 감정 정보 데이터베이스
140: 장소 정보 판단부 150: 감정 정보 데이터베이스
160: 편집부 170: 사용자 정보 데이터베이스

Claims (9)

  1. (a) 감지 센서에서 측정한 사용자의 생체 정보, 사용자가 위치하는 장소의 타원체면상 경위도 좌표 정보, 사용자가 만나고 있는 상대방 정보를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수신하는 단계;
    (b) 상기 수신한 타원체면상 경위도 좌표 정보를 평면직각 좌표로 변환하고, 장소 정보 데이터베이스로부터 변환한 평면직각 좌표에 위치하는 장소 정보를 판단하는 단계;
    (c) 상기 수신한 사용자의 생체 정보로부터 사용자의 감정 정보를 추론하는 단계;
    (d) 상기 장소 정보, 감정 정보, 상대방 정보를 동일 시간대의 하나의 정보 그룹으로 각각 편집하여 사용자 정보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는 단계; 및
    (e)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사용자 정보의 요청메시지를 수신하는 경우, 상기 사용자 정보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되어 있는 정보 그룹을 이미지화하여 사용자 단말기로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정보 제공 서버의 운영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상대방 정보는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임계 거리에 위치하고 있으며 임계 거리 이내에 임계 시간 동안 위치하는 상대방 단말기로부터 수신한 상대방 단말기 식별자를 상기 사용자 단말기에서 수신하는 단계;
    상기 사용자 단말기에 구비되어 있는 상대방 정보 데이터베이스에서 상기 상대방 단말기 식별자와 매핑되어 있는 상대방 정보를 검색하거나, 상기 상대방 단말기 식별자에 구비되어 있는 상대방 정보를 획득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기에서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판단한 상대방 정보를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수신하는 단계를 통해 획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정보 제공 서버의 운영 방법.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e) 단계는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사용자 정보의 요청 메시지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요청 메시지에 구비되어 있는, 상기 사용자가 검색하고자 하는 시간 범위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시간 범위에 속해 있는 동일 시간대의 정보 그룹을 상기 사용자 정보 데이터베이스에서 추출하는 단계;
    상기 추출한 정보 그룹을 지도 위에 배치하여 상황 정보 이미지로 편집하는 단계; 및
    상기 편집한 상황 정보 이미지를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정보 제공 서버의 운영 방법.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정보 그룹에는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수신한 동일 시간대의 사용자 상황 정보가 더 포함되어 있으며,
    상기 사용자 상황 정보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해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 입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정보 제공 서버의 운영 방법.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검색 키워드가 수신되는 경우, 상기 검색 키워드를 색인어로 구비하는 정보 그룹을 검색하는 단계; 및
    상기 검색한 정보 그룹을 이미지화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사용자 정보 제공 서버의 운영 방법.
  6. 제 1 항 또는 제 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동일 시간대의 정보 그룹은 주기적으로 또는 사용자 감정 정보, 장소 정보 또는 상대방 정보 중 적어도 어느 하나가 변경될 때마다 생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정보 제공 서버의 운영 방법.
  7. 사용자 단말기와 서로 통신을 수행하며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사용자의 생체 정보, 사용자가 위치하는 장소의 타원체면상의 경위도 위치 정보, 사용자가 만나는 상대방 정보를 수신하는 통신부;
    상기 수신한 타원체면상의 경위도 좌표 정보를 평면직각 좌표로 변환하고, 장소 정보 데이터베이스로부터 변환한 평면직각 좌표에 위치하는 장소 정보를 판단하는 장소 정보 판단부;
    상기 수신한 생체 정보를 감정 정보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되어 있는 기준 패턴 정보와 비교하여 사용자의 감정 정보를 판단하는 감정 정보 판단부;
    상기 사용자가 위치하는 장소 정보, 감정 정보 및 상대방 정보를 동일 시간대의 정보 그룹으로 각각 편집하여 사용자 정보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는 편집부; 및
    상기 통신부를 통해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사용자 정보의 요청 메시지를 수신하는 경우, 검색하고자 하는 시간 범위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시간 범위에 속해 있는 동일 시간대의 정보 그룹을 사용자 정보 데이터베이스에서 추출하고, 추출한 정보 그룹을 지도 위에 배치한 상황 정보 이미지로 생성하여 상기 통신부를 통해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 송신 제어하는 사용자 정보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정보 제공 서버.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상대방 정보는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임계 거리에 위치하고 있으며 상기 임계 거리 이내에 임계 시간 동안 같이 위치하는 상기 상대방 단말기로부터 수신한 상대방 단말기 식별자에 기초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기에 구비되어 있는 상대방 정보 데이터베이스에 상기 상대방 단말기 식별자에 매칭되어 있는 상대방 정보를 검색하고, 상기 검색한 상대방 정보를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수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정보 제공 서버.
  9. 제 7 항 또는 제 8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동일 시간대의 정보 그룹은 주기적으로 또는 사용자 감정 정보, 장소 정보 또는 상대방 정보 중 적어도 어느 하나가 변경될 때마다 생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정보 제공 서버.
KR1020100130914A 2010-12-20 2010-12-20 사용자 이동 패턴과 감정 정보에 따른 사용자 정보의 제공 서버의 운영 방법 KR101184515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30914A KR101184515B1 (ko) 2010-12-20 2010-12-20 사용자 이동 패턴과 감정 정보에 따른 사용자 정보의 제공 서버의 운영 방법
PCT/KR2011/006266 WO2012086897A1 (ko) 2010-12-20 2011-08-25 사용자 이동 패턴과 감정 정보에 따른 사용자 정보의 제공 서버의 운영 방법
US13/497,885 US20130275048A1 (en) 2010-12-20 2011-08-25 Method of operating user information-providing server based on users moving pattern and emotion informatio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30914A KR101184515B1 (ko) 2010-12-20 2010-12-20 사용자 이동 패턴과 감정 정보에 따른 사용자 정보의 제공 서버의 운영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69385A true KR20120069385A (ko) 2012-06-28
KR101184515B1 KR101184515B1 (ko) 2012-09-19

Family

ID=4631414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130914A KR101184515B1 (ko) 2010-12-20 2010-12-20 사용자 이동 패턴과 감정 정보에 따른 사용자 정보의 제공 서버의 운영 방법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20130275048A1 (ko)
KR (1) KR101184515B1 (ko)
WO (1) WO2012086897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5020638A1 (en) * 2013-08-06 2015-02-12 Intel Corporation Emotion-related query processing

Families Citing this famil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99220B1 (ko) * 2010-01-08 2013-08-22 한국전자통신연구원 감성 신호 감지 장치와 감성 서비스 제공 장치 간의 감성 통신 방법
EP2717162A4 (en) * 2011-05-23 2015-10-28 Fujitsu Ltd MESSAGE DETECTION DEVICE AND MESSAGE MESSAGE PROGRAM
JP2014134922A (ja) * 2013-01-09 2014-07-24 Sony Corp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US20150319121A1 (en) * 2014-05-05 2015-11-05 Ashwini Iyer Communicating a message to users in a geographic area
KR20160065670A (ko) * 2014-12-01 2016-06-09 삼성전자주식회사 컨텐트를 제공하는 방법 및 디바이스
KR20160109164A (ko) * 2015-03-10 2016-09-21 주식회사 케이티 적응형 유저 모델(user model) 기반 알림 서비스 제공 방법, 서버 및 시스템
US10257126B2 (en) * 2016-08-04 2019-04-09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Communication fingerprint for identifying and tailoring customized messaging
CN109426826B (zh) * 2017-08-22 2020-12-29 中国电信股份有限公司 用户行为分析方法和装置
KR102050641B1 (ko) * 2017-12-01 2019-11-29 상명대학교산학협력단 Gps 기반의 행태 분석을 통한 감성 인식 장치 및 그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61743B1 (ko) 2005-07-22 2006-12-28 (주)필링크 이동 단말의 상태 정보 공유 관리 방법 및 시스템
KR100822029B1 (ko) 2007-01-11 2008-04-15 삼성전자주식회사 모바일 단말기에서의 사용자 히스토리를 이용한 개인화서비스 방법 및 그 시스템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5020638A1 (en) * 2013-08-06 2015-02-12 Intel Corporation Emotion-related query processing
CN105339926A (zh) * 2013-08-06 2016-02-17 英特尔公司 情绪相关的查询处理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30275048A1 (en) 2013-10-17
KR101184515B1 (ko) 2012-09-19
WO2012086897A1 (ko) 2012-06-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84515B1 (ko) 사용자 이동 패턴과 감정 정보에 따른 사용자 정보의 제공 서버의 운영 방법
US11250887B2 (en) Routing messages by message parameter
US11449907B2 (en) Personalized contextual suggestion engine
US20170132821A1 (en) Caption generation for visual media
US9560094B2 (en) System and method for identifying and analyzing personal context of a user
US9565534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identifying point of interest in contents sharing system
US20160027221A1 (en) Methods and systems for generating and joining shared experience
Schuster et al. Pervasive social context: Taxonomy and survey
US20160182422A1 (en) Gallery of Messages from Individuals with a Shared Interest
CN109644318A (zh) 基于接近度的自适应位置共享
KR20100058833A (ko) 모바일 기기에서 감지 가능한 사용자의 행위 기반의 사용자기호 마이닝 방법
CN103635953A (zh) 使用用户特定内容增强可视数据流的系统
CN102222002A (zh) 用于通用移动数据的系统
US11089453B2 (en) Creation and consumption of transient user profiles
CN108351884A (zh) 用于用户相关活动的语义位置层
CN106375181A (zh) 呈现与位置相关联的消息
JP2015516635A (ja) 命令を起動する方法およびデバイス、ユーザ情報を取得する方法およびシステム、端末、およびサーバ
KR20100003913A (ko) 3차원 영상 디스플레이를 이용한 커뮤니케이션 방법 및장치
JP2006024060A (ja) 情報取得利用管理装置および情報取得利用管理方法
US10847049B2 (en) Interactive service platform and operating method thereof
CN108921413B (zh) 一种基于用户意愿的社交网络信任度计算方法
KR20180020654A (ko) Ar 정보공유 기반 커뮤니케이션 제공 방법
WO2016176376A1 (en) Personalized contextual suggestion engine
TWI545451B (zh) 建立資料庫登錄之技術
JP2010128636A (ja) 情報記録システム及び可搬型記録媒体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817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823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