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069187A - 레이저 디스플레이 장치 - Google Patents

레이저 디스플레이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069187A
KR20120069187A KR1020100130620A KR20100130620A KR20120069187A KR 20120069187 A KR20120069187 A KR 20120069187A KR 1020100130620 A KR1020100130620 A KR 1020100130620A KR 20100130620 A KR20100130620 A KR 20100130620A KR 20120069187 A KR20120069187 A KR 2012006918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ght
laser
frame
screen
display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13062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713337B1 (ko
Inventor
윤찬영
권재욱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0013062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13337B1/ko
Priority to PCT/KR2011/006152 priority patent/WO2012086895A1/ko
Publication of KR2012006918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6918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1333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1333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74Projection arrangements for image reproduction, e.g. using eidophor
    • H04N5/7408Direct viewing projectors, e.g. an image displayed on a video CRT or LCD display being projected on a screen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21/00Projectors or projection-type viewers; Accessories therefo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74Projection arrangements for image reproduction, e.g. using eidopho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rojection Apparatus (AREA)
  • Transforming Electric Information Into Light Informa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레이저 광원을 이용해 스크린에 영상을 표시하는 레이저 디스플레이 장치에 관한 것으로, 그 장치는 레이저 광을 출사시키는 복수의 광원들을 포함하는 광원부; 광원들로부터 출사되는 서로 다른 색상의 레이저 광을 합성하여 출력하는 색 합성부; 및 색 합성부로부터 출력되는 광을 π 위상차를 가지는 오드 프레임(odd frame)과 이븐 프레임(even frame)으로 변환하여 출력하는 편광 변환 소자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레이저 디스플레이 장치{Laser display apparatus}
본 발명은 레이저 광원을 이용하는 디스플레이 장치에 관한 것이다.
최근 디스플레이 분야의 급격한 발전으로 인해 소비자들은 소형화 및 밝고 선명한 영상을 좀더 큰 화면에 보기를 원하고 있다. 이러한 소비자들의 욕구를 충족시키기 위한 수단의 하나로써 레이저 광을 이용한 디스플레이 장치의 개발이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다.
레이저를 광원으로 사용하면 화상의 색상이 선명하고 순색에 가까우며 색을 재현하는 범위가 넓은 장점이 있고 또한 콘트라스트가 높아서 선명한 화상을 얻을 수 있다.
반면, 레이저가 갖고 있는 특성인 간섭성(coherence)에 의해 스크린상에서 레이저의 간섭 현상이 일어나서 화면상에서 작은 알갱이들이 반짝거리는 듯한 스펙클(Speckle) 현상이 나타날 수 있으며, 이러한 스펙클 현상은 화질을 저하시키는 요인으로써 콘트라스트와 해상도를 저하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은 레이저를 이용한 디스플레이 장치의 스펙클 현상을 효과적으로 감소시킬 수 있는 레이저 디스플레이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레이저 디스플레이 장치는, 레이저 광을 출사시키는 복수의 광원들을 포함하는 광원부; 상기 광원들로부터 출사되는 서로 다른 색상의 레이저 광을 합성하여 출력하는 색 합성부; 및 상기 색 합성부로부터 출력되는 광을 π 위상차를 가지는 이븐 프레임(even frame)과 오드 프레임(odd frame)으로 변환하여 출력하는 편광 변환 소자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레이저 광원으로부터 나오는 광을 편광 변환 소자에 의해 서로 독립된 이븐 프레임(even frame)과 오드 프레임(odd frame)으로 분리하여 스크린에 투사함으로써, 레이저를 이용한 디스플레이 장치에서 발생할 수 있는 스펙클 현상을 효과적으로 감소시킬 수 있다.
도 1은 레이저 디스플레이 시스템의 간략한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레이저 디스플레이 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3은 레이저 디스플레이 장치의 구성에 대한 제1 실시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는 도 3에 도시된 편광 변환 소자의 구성에 대한 일실시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는 편광 변환 소자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6은 사용자에게 관찰되는 스펙클 패턴들에 대한 일실시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은 레이저 디스플레이 장치의 구성에 대한 제2 실시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레이저 디스플레이 장치에 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레이저 디스플레이 시스템의 간략한 구성을 도시한 것으로, 도시된 레이저 디스플레이 시스템은 광학 조명계(110), 스캐너(120) 및 반사 미러(130)를 포함하는 레이저 디스플레이 장치(100)와 스크린(200)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도 1을 참조하면, 레이저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PC(personal Computer)나 AV(Audio/Video) 시스템 등과 같은 비디오 신호 출력 장치로부터 입력된 비디오 신호를 처리하여 해당 이미지를 스크린(200)에 투사할 수 있다.
레이저 디스플레이 장치(100)에 구비된 광학 조명계(110)는 복수의 레이저 광원들을 이용해 레이저 광을 생성하여 출사하고, 반사 미러(130)는 상기 광학 조명계(110)로부터 출사되는 레이저 광을 스캐너(120)로 반사시킬 수 있다.
스캐너(120)는 반사 미러(12)에 의해 반사된 레이저 광을 스캔 및 수평/수직으로 반사하여 스크린(200)에 영상을 투사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구성에 의해, 레이저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레이저 광을 스크린(200)에 수평 라인마다 주사하여 한 화면을 구성하고, 한 화면에 해당하는 일정한 라인만큼의 주사가 완료되면 다시 처음 라인의 위치로 돌아가 다음 화면을 형성하는 스캐닝(Scanning) 방식을 이용할 수 있다.
한편, 레이저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레이저 광이 가지는 특성인 간섭성(coherence)에 의해 스크린(200) 상에서 레이저의 간섭 현상이 일어나 화면상에서 작은 알갱이들이 반짝거리는 듯한 스펙클(Speckle) 현상이 나타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광학 조명계(110)로부터 출사되는 레이저 광을 편광 변환 소자를 이용해 서로 π의 위상차를 가지는 독립된 2 개의 광으로 변환함으로써, 상기한 바와 같은 스펙클 현상을 감소시킬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레이저 디스플레이 장치의 구성을 블록도로 도시한 것으로, 도 1에 도시된 광학 조명계(110)의 구성에 대한 일실시예를 나타낸 것이다.
도 2를 참조하면, 광학 조명계(110)는 광원부(111), 색 합성부(112) 및 편광 변환 소자(113)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광원부(111)는 서로 다른 색상의 레이저 광을 출사하는 복수의 광원들, 예를 들어 적색(Red), 녹색(Green) 및 청색(Blue)의 레이저 다이오드들을 포함하여, 상기 레이저 다이오드들에서 생성된 레이저 광을 출사할 수 있다.
색 합성부(112)는 광원부(111)에 구비된 레이저 광원들로부터 출사되는 광을 합성하여 출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색 합성부(112)는 복수의 다이크로익 미러들을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복수의 다이크로익 미러들을 이용해 특정 파장을 갖는 광 만을 선택적으로 반사 또는 투과시켜 원하는 파장 대의 광을 얻을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다이크로익 미러는 적색 레이저 광과 녹색 레이저 광이 교차하는 지점에 구비되어 적색 레이저 광은 투과시키고 녹색 레이저 광은 반사시켜 출사하며, 제2 다이크로익 미러는 상기 제1 다이크로익 미러를 통과한 적색 레이저 광 및 녹색 레이저 광은 투과시키고 청색 레이저 광은 반사시켜 출사할 수 있다.
그에 따라, 적색 레이저 광, 녹색 레이저 광 및 청색 레이저 광은 상기 두 개의 다이크로익 미러를 통과하면서 합성되어, 표시하고자 하는 영상에 따라 다양한 색상의 레이저 광으로 합성될 수 있다.
편광 변환 소자(113)는 색 합성부(112)로부터 출력되는 광을 π 위상차를 가지는 오드 프레임(odd frame)과 이븐 프레임(even frame)으로 변환하여 출력할 수 있다.
편광 변환 소자(113)는 비편광된 광을 편광된 광으로 변환하기 위한 소자로서, 색 합성부(112)로부터 출력되는 비편광된 레이저 광을 편광시켜 서로 독립하도록 편광된 2 종류의 광을 상기 오드 프레임과 이븐 프레임에서 각각 출력할 수 있다.
좀 더 구체적으로, 편광 변환 소자(113)는 표시하고자 하는 영상의 프레임 레이트(frame rate)를 2로 나눈 값에 상응하는 동작 주파수(즉, frame rate/2)로 구동되어, 서로 π 위상차를 가지도록 변조된 광을 오드 프레임과 이븐 프레임에서 출력할 수 있다.
한편, 편광 변환 소자(113)로부터 출력되어 시간 순차적으로 스크린(200)에 도달하는 오드 프레임의 광과 이븐 프레임의 광은 각각 서로 다른 2개의 스펙클 패턴(pattern)들을 형성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와 같이 형성된 2개의 스펙클 패턴들은 관찰자 시세포의 검출 시간(integration time) 동안 평균화(averaging)되어, 관찰자의 눈에서 느껴지는 스펙클 현상은 1/√2 만큼 감소할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편광 변환 소자(113)의 구성 및 동작에 대해서는 이하 도 4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3은 레이저 디스플레이 장치의 구성에 대한 제1 실시예를 도시한 것으로, 도 3에 도시된 레이저 디스플레이 장치의 구성 중 도 1 및 도 2를 참조하여 설명한 것과 동일한 것에 대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3을 참조하면, 레이저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광원부(111)는 적색(R) 레이저 다이오드(111a)와, 녹색(G) 레이저 다이오드(111b) 및 청색(B) 레이저 다이오드(111c)로 구성되며, 스크린(200)에 표시하고자 하는 영상의 R/G/B 신호에 따라 상기 적색, 녹색 및 청색에 해당하는 레이저 광을 방출할 수 있다.
한편, 상기 다이오드들(111a, 111b, 111c)로부터 방출되는 광들은 복수의 콜리메이팅(collimating) 렌즈들(111d, 111e, 111f)을 포함하는 콜리메이팅 광학계를 통과하여 평행광으로 변환될 수 있다.
도 3에는 도시되지 않았으나, 레이저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영상신호에 따라 다이오드들(111a, 111b, 111c)로부터 방출되는 레이저 광을 변조하는 광변조부(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는, 레이저 디스플레이 장치(100)가 상기 광변조부(미도시)를 구비하지 아니하고, 다이오드들(111a, 111b, 111c)에 입력되는 전류를 직접 변조함으로써 영상 신호에 대응하여 레이저 광을 변조할 수도 있다.
색 합성부(112)는 다이오드들(111a, 111b, 111c)로부터 방출되는 적색, 녹색 및 청색 레이저 광을 합성하여 스캐너(150)에 조사되도록 광경로를 변환시킬 수 있다.
이를 위해, 색 합성부(112)는 반사 거울(미도시), 제1 다이크로익 미러(미도시) 및 제2 다이크로익 미러(미도시)를 구비할 수 있다.
한편, 색합성부(114)와 스캐너(130) 사이에는 상기 색합성부(114)에서 합성된 적색, 녹색 및 청색 레이저 광이 스캐너(130)에 적절한 광 크기를 가지고 주사될 수 있도록 하는 집속 광학계(미도시)가 배치될 수 있다.
스캐너(120)는 반사 미러(130)에 의해 하부 방향에서 상부 방향으로 반사된 레이저 광을 스캔 및 수평/수직으로 반사하여 영상을 스크린(200)에 상향 투사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색합성부(114)에서 합성된 광이 편광 변환 소자(113)로 입력되고, 편광 변환 소자(113)는 상기 입력되는 비편광된 레이저 광을 편광시켜 π의 위상차를 가지는 오드 프레임과 이븐 프레임을 시간 순차적으로 출력할 수 있다.
한편, 색 합성부(112)와 편광 변환 소자(113) 사이에는 광 터널(미도시)이 더 구비될 수 있으며, 상기 광 터널은 유리(Bulky Glass) 재질의 로드 렌즈(Rod lens)로 구성 입사되는 레이저 광을 그 내부에서 전반사하여 진행시킬 수 있다.
도 3을 참조하면, 레이저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입력되는 비디오 신호를 처리하는 비디오 프로세서(140)와, 비디오 프로세서(140)로부터 출력되는 신호에 따라 다이오드들(111a, 111b, 111c)을 제어하기 위한 구동 신호를 출력하는 드라이버(150)를 구비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비디오 프로세서(140)는 비디오 신호 출력 장치로부터 입력되는 비디오 신호를 수신하며, 상기 입력 비디오 신호는 색 신호 표준인 R, G, B 규격, Y, Pb, Pr 규격 또는 합성 신호(composite signal) 형태 등 다양한 규격으로 입력될 수 있고, VGA, SVGA, XGA 또는 SXGA 등 다양한 해상도로 입력될 수 있다.
비디오 프로세서(140)는 상기 입력되는 비디오 신호로부터 녹색(G), 적색(R), 및 청색(B) 각각의 비디오 신호, 수평 동기 신호(H) 및 수직 동기 신호(V)를 생성할 수 있다.
이 경우, 비디오 프로세서(140)는 상기 각각의 비디오 신호를 두 수평 스캔 주기 마다 한 주기씩 시간적으로 반전시켜, 녹색, 적색, 및 청색 각각의 비디오 라인 인버전(line inversion) 신호(G_v, R_v, B_v)를 생성할 수 있으며, 상기 비디오 라인 인버전 신호들(G_v, R_v, B_v)은 레이저 구동 신호의 생성에 기초가 될 수 있다.
상기 수평 동기 신호(H)와 상기 수직 동기 신호(V)는 드라이버(150)로 입력되고, 드라이버(150)는 상기 수평 동기 신호(H)와 상기 수직 동기 신호(V)를 이용하여 다이오드들(111a, 111b, 111c)를 구동시키기 위한 구동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이하, 도 4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편광 변환 소자(113)의 구성 및 동작에 대해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편광 변환 소자(113)는 비편광된 빛을 편광된 빛으로 바꾸어주기 위한 소자로서, 이 중 하나로 반사형 편광자가 있다.
상기 반사형 편광자는 격자 무늬로 형성된 편광자의 간격이 파장보다 클때는 회절 격자로 행동하며, 파장 무늬보다 작을 때는 편광판으로 행동하는 특성을 이용하여 글래스 기판 위에 알루미늄 라인(Aluminum line)을 파장보다 작은 주기로 심어준 반사형 편광판이다.
상기 반사형 편광자는 전기장이 격자에 수직으로 진동하는 편광은 투과하고, 수평으로 진동하는 편광은 반사시켜 빔을 분리하는 특성이 있다.
도 4는 도 3에 도시된 편광 변환 소자의 구성에 대한 일실시예를 도시한 것으로, 도시된 편광 변환 소자(113)는 2개의 반사면과 2개의 PBS 면을 포함할 수 있다.
편광 빔 스플리터(Polarization Bean Splitter ; 이하 PBS라 칭함) 어레이를 이용한 편광 변환 장치가 있다. 예를 들어, 상기 PBS 어레이는 광원에서 조사되는 비편광된 빛을 한쪽 편광으로 바꿔주며, 두 글래스(Glass) 사이에 특수 코팅을 해서 P파는 투과시키고, S파는 반사시키는 소자이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편광 변환 소자(113)로 입사되는 레이저 광은 2개의 반사면과 2개의 PBS 면에 의해 서로 π의 위상차를 가지는 오드 프레임과 이븐 프레임으로 변환되어 출력될 수 있다.
한편, 편광 변환 소자(113)는 입력 영상의 프레임 레이트(frame rate)를 2로 나눈 값(frame rate/2)의 동작 주파수로 구동되어 π의 위상차를 가지는 오드 프레임과 이븐 프레임을 순차적으로 변환하여 출력할 수 있다.
도 5 및 도 6을 참조하면, 편광 변환 소자(113)에서 편광된 광, 즉 오드 프레임과 이븐 프레임은 상기 "frame rate/2"의 속도로 스크린(200)에 시간 순차적으로 도달하여, 서로 다른 2개의 스펙클 패턴들(310, 320)을 생성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한 바와 같이 시세포의 검출 시간(integration time) 동안 스펙클 패턴들(310, 320)이 평균화(averaging)되어, 관찰자의 눈에서 느껴지는 스펙클 현상은 1/√2로 감소될 수 있다.
한편, 편광 변환 소자(113)의 일반 경로(ordinaey path)와 특별 경로(extraordinary path)의 굴절률 차이에 의해, 상기 오드 프레임의 광 밝기와 상기 이븐 프레임의 광 밝기 차이가 있을 수 있으며, 상기와 같은 밝기 차이는 표시되는 영상의 화면 떨림 현상을 발생시킬 수 있다.
그에 따라, 상기한 바와 같은 오드 프레임과 이븐 프레임의 광 밝기 차이를 보정하여, 화면 떨림 현상을 감소시키는 것이 필요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도 3에 도시된 드라이버(150)는 상기 오드 프레임과 상기 이븐 프레임 중 적어도 하나의 광 밝기를 보정하여, 상기 광 밝기 차이가 감소되도록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드라이버(150)는 다음의 수학식 1이 만족되도록 하는 조정값(P)을 검출하여 프레임(frame) 별로 밝기를 보정할 수 있다.
Figure pat00001
상기 수학식 1에서, leven은 이븐 프레임의 광 밝기이며, lodd는 오드 프레임의 광 밝기이고, 상기 P는 조정값이다.
즉, 드라이버(150)는 오드 프레임의 광 밝기(lodd)에 미리 설정된 조정값(P)을 곱하여, 이븐 프레임의 광 밝기(leven)와 오드 프레임의 광 밝기(lodd)가 서로 동일하도록 보정할 수 있다.
도 7은 레이저 디스플레이 장치의 구성에 대한 제2 실시예를 도시한 것으로, 도 7에 도시된 레이저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구성 중 도 1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설명한 것과 동일한 것에 대한 설명은 이하 생략하기로 한다.
도 7을 참조하면, 편광 변환 소자(113)는 스캐너(120)로부터 출사되는 광을 입력받아 π의 위상차를 가지도록 편광된 두 종류의 광을 오드 프레임과 이븐 프레임에서 각각 출력할 수 있다.
그를 위해, 편광 변환 소자(113)는 스캐너(120)와 스크린(200) 사이의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이러한 변형 실시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져서는 안될 것이다.

Claims (9)

  1. 레이저 광원을 이용해 스크린에 영상을 표시하는 레이저 디스플레이 장치에 있어서,
    레이저 광을 출사시키는 복수의 광원들을 포함하는 광원부;
    상기 광원들로부터 출사되는 서로 다른 색상의 레이저 광을 합성하여 출력하는 색 합성부; 및
    상기 색 합성부로부터 출력되는 광을 π 위상차를 가지는 오드 프레임(odd frame)과 이븐 프레임(even frame)으로 변환하여 출력하는 편광 변환 소자를 포함하는 레이저 디스플레이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오드 프레임의 광과 상기 이븐 프레임의 광은 상기 스크린에 도달하는 레이저 디스플레이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편광 변환 소자는
    상기 영상의 프레임 레이트(frame rate)를 2로 나눈 값에 상응하는 동작 주파수로 구동되는 레이저 디스플레이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편광 변환 소자는
    2개의 반사 면들 및 2개의 PBS(Porlaization Bean Splitter) 면들을 포함하는 레이저 디스플레이 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편광 변환 소자로부터 출력되는 광을 스크린에 투사하기 위한 스캐너를 더 포함하는 레이저 디스플레이 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색 합성부로부터 출력되는 광을 상기 편광 변환 소자로 투사하기 위한 스캐너를 더 포함하는 레이저 디스플레이 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오드 프레임 및 상기 이븐 프레임 중 적어도 하나의 광 밝기를 보정하는 드라이버를 더 포함하는 레이저 디스플레이 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드라이버는
    상기 오드 프레임과 상기 이븐 프레임 사이의 광 밝기 차를 감소시키는 레이저 디스플레이 장치.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드라이버는
    상기 오드 프레임과 상기 이븐 프레임의 광 밝기가 서로 동일하도록 조정하는 레이저 디스플레이 장치.
KR1020100130620A 2010-12-20 2010-12-20 레이저 디스플레이 장치 KR101713337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30620A KR101713337B1 (ko) 2010-12-20 2010-12-20 레이저 디스플레이 장치
PCT/KR2011/006152 WO2012086895A1 (ko) 2010-12-20 2011-08-19 레이저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30620A KR101713337B1 (ko) 2010-12-20 2010-12-20 레이저 디스플레이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69187A true KR20120069187A (ko) 2012-06-28
KR101713337B1 KR101713337B1 (ko) 2017-03-07

Family

ID=4668749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130620A KR101713337B1 (ko) 2010-12-20 2010-12-20 레이저 디스플레이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13337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5023038A1 (ko) * 2013-08-16 2015-02-19 엘지전자 주식회사 복수의 투사 영상을 중첩되지 않게 표시 가능한 디스플레이 장치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234156A (ja) * 2004-02-19 2005-09-02 Canon Inc 走査型表示装置
KR20100009977A (ko) * 2008-07-21 2010-01-29 삼성전기주식회사 스페클 노이즈를 감소시키는 프로젝션 디스플레이 장치
JP2010211134A (ja) * 2009-03-12 2010-09-24 Casio Computer Co Ltd 投影装置、投影方法及びプログラム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234156A (ja) * 2004-02-19 2005-09-02 Canon Inc 走査型表示装置
KR20100009977A (ko) * 2008-07-21 2010-01-29 삼성전기주식회사 스페클 노이즈를 감소시키는 프로젝션 디스플레이 장치
JP2010211134A (ja) * 2009-03-12 2010-09-24 Casio Computer Co Ltd 投影装置、投影方法及びプログラム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5023038A1 (ko) * 2013-08-16 2015-02-19 엘지전자 주식회사 복수의 투사 영상을 중첩되지 않게 표시 가능한 디스플레이 장치
US9686522B2 (en) 2013-08-16 2017-06-20 Lg Electronics Inc. Display apparatus capable of seamlessly displaying a plurality of projection images on scree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13337B1 (ko) 2017-03-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051209B2 (en) Combined visible and non-visible projection system
US8226247B2 (en) Projection type image display device
JP4898121B2 (ja) 画像投影装置
US6567217B1 (en) Image-forming system with enhanced gray levels
JP5482789B2 (ja) 投射型画像表示装置およびその制御方法
US7866830B2 (en) Illumination device and projector
US8960914B2 (en) Laser projection apparatus with speckle reduction
WO2009142015A1 (ja) プロジェクタ
EP1104923A2 (en) Colour sequential light valve display device
KR20120023627A (ko) 고 동적 범위 투사 시스템
JP2004191943A (ja) 複数の重畳画像を含むカラー画像を形成するディスプレイ装置
US6089719A (en) Projecting device for displaying electrical images
WO2020037969A1 (zh) 显示设备、显示系统及显示方法
US6530663B2 (en) Projecting device for displaying electrical images
EP1098537B1 (en) Projection display device using two liquid crystal display panels
WO2015122001A1 (ja) プロジェクタ及び画像表示方法
JP5633570B2 (ja) レーザ投射装置および画像投影システム
JPH1069012A (ja) プロジェクタ装置
JP3661569B2 (ja) プロジェクタ
KR101713337B1 (ko) 레이저 디스플레이 장치
JP2010128414A (ja) 画像表示装置
JP5772091B2 (ja) 画素ずらし表示装置、画素ずらし表示方法、画素ずらし表示装置を備える投射型表示装置
JP4147902B2 (ja) プロジェクタ
KR20130110552A (ko) 레이저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방법
KR20120097857A (ko) 레이저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