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069050A - 영상 처리 장치 - Google Patents

영상 처리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069050A
KR20120069050A KR1020100130418A KR20100130418A KR20120069050A KR 20120069050 A KR20120069050 A KR 20120069050A KR 1020100130418 A KR1020100130418 A KR 1020100130418A KR 20100130418 A KR20100130418 A KR 20100130418A KR 20120069050 A KR20120069050 A KR 2012006905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mage
camera
pattern
setting unit
captured ima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13041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운하
Original Assignee
최운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최운하 filed Critical 최운하
Priority to KR102010013041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20069050A/ko
Publication of KR2012006905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69050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80Camera processing pipelines; Components thereof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7/00Image analysis
    • G06T7/20Analysis of mo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VIMAGE OR VIDEO RECOGNITION OR UNDERSTANDING
    • G06V10/00Arrangements for image or video recognition or understanding
    • G06V10/70Arrangements for image or video recognition or understanding using pattern recognition or machine learning
    • G06V10/74Image or video pattern matching; Proximity measures in feature spaces
    • G06V10/75Organisation of the matching processes, e.g. simultaneous or sequential comparisons of image or video features; Coarse-fine approaches, e.g. multi-scale approaches; using context analysis; Selection of dictionari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7/00Television systems
    • H04N7/18Closed-circuit television [CCTV] systems, i.e. systems in which the video signal is not broadcas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Vision & Pattern Recogni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volutionary Computation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Computing Systems (AREA)
  • Artificial Intelligence (AREA)
  • Closed-Circuit Television Systems (AREA)
  • Studio Devices (AREA)

Abstract

본 실시예에 따른 영상 처리 장치는 화상을 촬영하는 카메라; 및 상기 카메라에 의해 촬영된 촬영 화상과 미리 저장된 환경 패턴을 비교하여, 상기 촬영 화상의 전송 여부를 결정하는 감시 상황 설정부;를 포함하고, 상기 감시 상황 설정부는 상기 촬영 화상과 환경 패턴을 비교한 결과, 기 설정된 기준치 이상으로 차이가 존재하는 경우에 상기 촬영 화상을 네트워크를 통하여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영상 처리 장치{Image processing device}
본 발명은 카메라를 이용하여 처리한 촬영 화상에 대하여 선택적으로 영상 처리 또는 네트워크를 통한 데이터 전송을 수행할 수 있는 영상 처리 장치에 대한 것이다.
근래, 원격지의 하천, 도로, 댐, 항만, 관광지 등의 상황을 동영상으로 실시간 처리하여 감시하는 시스템이 널리 사용되고 있다. 촬상되는 화상을 인터넷을 통하여 외부로 전송하는 등의 정보 제공이 급증하고 있으며, 또한 공원이나 주택가의 도로에도 방범용 카메라를 통한 감시 시스템이 널리 보급되고 있다.
그리고, 인터넷 프로토콜을 통하여 외부 네트워크로 촬영 화상을 전달하거나, 휴대전화를 이용한 감시 카메라의 제어가 가능해지는 등 다양한 방면으로 감시 시스템이 개발되고 있다.
또한, 감시 카메라의 해상도, 줌(zoom) 기능이 향상되고 있으며, 이에 따라 촬영 범위가 확대되고 상세한 촬영이 가능해진다.
그러나, 촬영 범위가 확대되고 촬영 화상이 고해상도가 될수록 촬영 화상의 데이터량이 증가하게 되는 것은 피할 수 없으며, 이러한 데이터량의 증대는 촬영 화상을 인터넷 등을 통하여 전송하는데 어려움을 야기하게 된다.
본 발명은 상기되는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제안되는 것으로서, 카메라에 의한 촬영 화상으로부터 상황 또는 환경 패턴을 분석하여 필요한 촬영 화상만을 외부로 전송할 수 있도록 하는 영상 처리 장치를 제안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영상 처리 장치는 화상을 촬영하는 카메라; 및 상기 카메라에 의해 촬영된 촬영 화상과 미리 저장된 환경 패턴을 비교하여, 상기 촬영 화상의 전송 여부를 결정하는 감시 상황 설정부;를 포함하고, 상기 감시 상황 설정부는 상기 촬영 화상과 환경 패턴을 비교한 결과, 기 설정된 기준치 이상으로 차이가 존재하는 경우에 상기 촬영 화상을 네트워크를 통하여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감시 상황 설정부에는 상기 촬영 화상이 네트워크를 통하여 전송되는 것을 억제시키기 위한 억제 화상 패턴이 저장되고, 상기 감시 상황 설정부는 상기 억제 화상 패턴과 상기 촬영 화상을 비교하여 기설정된 값 이하의 차이인 경우에는 네트워크를 통한 전송이 수행되지 않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감시 상황 설정부는 상기 카메라를 통하여 획득한 촬영 화상에 대하여 윤곽 검출을 수행함으로써, 상기 환경 패턴과 비교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감시 상황 설정부는 상기 카메라를 통하여 획득되는 촬영 화상으로부터 주기적으로 상기 환경 패턴을 갱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제안되는 바와 같은 영상 처리 장치에 의해서, 카메라에 의해 획득되는 촬영 화상을 용이하게 분석할 수 있고, 촬영 화상 내의 상황 내지는 환경 패턴을 분석함으로써 보안/방범등을 위하여 필요한 영상을 전송할 수 있게 된다.
이를 통해, 불필요한 촬영 화상의 전송/저장을 피할 수 있으며, 전송 또는 저장을 위한 데이터량을 줄일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영상 처리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영상 처리 장치에서 환경 패턴과 억제 화상 패턴을 설정하는 방법을 설명하는 흐름도.
이하에서는, 본 실시예에 대하여 첨부되는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살펴보도록 한다. 다만, 본 실시예가 개시하는 사항으로부터 본 실시예가 갖는 발명의 사상의 범위가 정해질 수 있을 것이며, 본 실시예가 갖는 발명의 사상은 제안되는 실시예에 대하여 구성요소의 추가, 삭제, 변경 등의 실시변형을 포함한다고 할 것이다.
그리고, 이하의 설명에서, 단어 '포함하는'은 열거된 것과 다른 구성요소들 또는 단계들의 존재를 배제하지 않는다.
본 발명은 카메라에 의하여 찰영되는 화상에 대하여 상황 인식 기반의 패턴 판단이 수행되고, 촬영 화상이 감시의 필요가 있는지 여부를 판단하여 적절한 촬영 화상에 대해서만 외부로의 전송이 이루어지도록 한다. 이를 통해, 불필요한 화상의 전송을 억제하고, 사용자가 카메라 설치지역을 용이하게 감시할 수 있도록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영상 처리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본 발명의 영상 처리 장치는 영상을 촬영하는 카메라(110)와, 카메라에 의해 촬영된 화상을 미리 저장된 환경 패턴(121)과 비교하여 사용자가 확인할 필요가 있는 화상인지 여부를 판단하는 감시 상황 설정부(120)를 포함한다.
그리고, 본 발명의 영상 처리 장치로부터 전달되는 화상은 네트워크에 연결된 휴대 단말기(200)나 리모콘(300)으로 전달될 수 있으며, 상기 감시 상황 설정부(120)는 촬영 화상의 패턴 확인 뿐만 아니라, 네트워크를 통한 전송이 필요한 화상에 대하여 인코딩하기 위한 수단과, 인코딩된 데이터를 네트워크로 전송하기 위한 통신 수단을 더 포함한다.
도 1에는 영상 처리 장치 내에 카메라와 감시 상황 설정부와 함께 마련되는 경우가 도시되어 있으나, 카메라와 감시 상황 설정부가 별개의 장치로서 서로 네트워크 통신되는 것도 가능하다. 이 경우, 카메라로부터 처리된 영상은 인코더를 통하여 인코딩된 다음 네트워크를 통하여 감시 상황 설정부로 전달되고, 감시 상황 설정부는 사용자의 PC, 휴대 단말기 또는 리모콘 내에 구성되어 별도의 장치로 화상을 전달할지 여부를 판단할 수도 있다.
상기 카메라(110)는 복수의 장소를 모니터링하기 위하여 복수개 마련될 수 있으며, 상기 카메라는 웹 카메라 또는 휴대 전화의 카메라로 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 카메라(110)로부터 처리되는 촬영 화상은 감시 상황 설정부(120)로 전달되며, 상기 감시 상황 설정부(120)에는 상기 카메라(110)에 의하여 감시해야할 화상 패턴이 사용자(관리자)에 의해 데이터 파일에 환경 패턴(121)으로 저장되어 있다. 여기서, 상기 환경 패턴을 저장하고자 하는 사용자는 네트워크 연결된 휴대 단말기나 리모콘등에 의해서도 패턴의 저장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카메라 또는 디스플레이부가 장착된 휴대 단말기와 리모콘을 통하여 카메라에 의해 감시되는 범위의 영역에 대한 화상을 상기 감시 상황 설정부(120)에 저장하여 둘 수 있다.
상기 감시 상황 설정부(120)는 HTTP에 의하여 획득한 촬영 화상의 패턴을 미리 등록되어 있는 환경 패턴과의 비교를 수행한다.
본 발명은 사용자에 의해 등록된 환경 패턴과, 카메라에 의해 촬영된 촬영 화상을 비교하여, 역치를 넘는 경우에 해당 촬영 화상은 감시할 필요가 있는 데이터로서 판단한다.
즉, 해당 촬영 화상은 네트워크를 통하여 사용자 측에 전달하여야 할 중요 화상으로 판단할 수 있다. 즉, 감시 상황 설정부(120)의 감시 데이터 생성부(123)는 촬영 화상이 환경 패턴과 비교하여 역치(기준치) 이상의 변화가 있는 경우에 해당 촬영 화상을 인코딩 등 비디오 처리하여 네트워크를 통하여 전달될 수 있도록 한다.
예를 들어, 해당 촬영 화상 내에 갑자기 사람이나 자동차가 등장하는 경우나, 감시 영역의 주변 조명이 꺼지거나 하는 등의 상황이 될 수 있다.
환경 패턴의 등록 방법으로는, 상기 카메라(110)에 의해 촬영되는 화상 중에서 적어도 어느 하나의 화상을 사용자가 지정하는 경우, 사용자가 별도의 카메라 장치로부터 처리한 화상을 상기 감시 상황 설정부(120)에 저장하여 두는 경우, 별도의 웹 서버로부터 환경 패턴이 될 수 있는 화상을 다운받아 상기 감시 상황 설정부(120)에 저장하여 두는 경우 등이 될 수 있으며, 이러한 방법들에 본 발명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상기 감시 상황 설정부(120)에는 다양한 촬영 화상 중에서 환경 패턴(121)과의 비교 결과 역치를 넘어서는 차이가 있다고 하는 경우라도 필요에 따라 네트워크를 통한 해당 촬영 화상이 전송되는 것을 억제하기 위한 억제 화상 패턴(122)이 더 저장될 수 있다.
이러한 억제 화상 패턴 역시 사용자에 의하여 미리 저장되며, 상기 감시 상황 설정부(120)는 상기 카메라(110)에 의해 처리된 화상과 억제 화상 패턴을 비교하여, 기 설정된 역치 범위 이내라면 네트워크 측으로 전달하지 않는다.
그리고, 상기 카메라(110)에 의해 획득한 화상 패턴과, 미리 등록되어 있는 환경 패턴과의 비교에 의하여 화상 변이의 유무를 적절히 판단할 수 있도록, 상기 환경 패턴의 화상은 해당 감시 지역에 대한 하루의 시간별 화상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낮과 야간에 의한 화상 변이 정보도 미리 등록함으로써, 카메라 조작에 의한 화상 변이라고 오인해 버리는 것을 피할 수 있도록 한다.
그리고, 상기 카메라(110)가 적외선 카메라인 경우에는, 야간 화상 데이터에 의한 화상 판정이 용이할 수 있기 때문에, 본 발명의 장치는 야간 촬영 화상에도 적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그리고, 카메라 조작에 의한 화상 변이라고 판단되는 경우는, 휴대 단말기 또는 리모콘의 사용자에게 통지하고, 해당 카메라의 변이 정보를 상기 감시 상황 설정부(120)내의 로그 파일에 격납하여 두고, 추후에 카메라 조작 이력 검색이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그 다음, 도 1에 도시된 본 발명의 영상 처리 장치의 동작에 대하여 설명하여 본다.
도 2는 본 발명의 영상 처리 장치에서 환경 패턴과 억제 화상 패턴을 설정하는 방법을 설명하는 흐름도이다.
카메라에 의하여 촬영되는 화상이 감시 상황 설정부(120)로 입력된다(S101). 그리고, 획득한 화상 파일에 대하여 필터 처리가 수행되고, 에지 검출에 의한 윤곽 추출이 수행되고, 감시 대상의 촬영 화상으로부터 정지 화상이 작성된다(S102). 여기서, 환경 패턴의 픽셀수(백색, 흑색)를 데이터량으로서 구한다. 그리고, 상기 환경 패턴에 대한 역치(데이터량)을 설정한다.
이 역치는 촬영된 화상이 감시할 필요성이 높은 것인지 여부를 판단하기 위한 기준치가 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에지 검출에 의한 윤곽의 데이터량이 상기 역치를 넘는 경우에 감시할 필요성이 높은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즉, 사용자에게 이를 알리기 위하여 인코딩하여 네트워크로 해당 촬영 화상이 전송될 수 있다.
그 다음, 카메라의 감시 영역에 대한 화상의 윤곽에 대한 정보로부터 획득된 데이터량 및 역치를 감시 패턴으로서 등록한다(S103). 이때, 비디오 카메라의 경우, 감시 대상의 카메라 번호나 카메라 설치 장소, 환경 등에 대한 정보도 감시 패턴과 환경 패턴(124)으로 함께 저장될 수 있다. 환경 패턴은 감시 환경 내에서 서서히 변화하는 환경과 지속적으로 변화하는 환경에 적응하여 생성된 패턴이다.(S104)
그리고, 촬영 화상이 상기의 역치를 넘어서는 경우에 무조건 인코딩되어 네트워크로 전송되는 것을 억제하기 위하여, 특성화된 패턴으로서 억제 화상 패턴(122)이 등록될 수 있다(S105).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해당 감시 지역에 대한 시간별 화상 정보가 억제 화상 패턴으로 등록될 수 있으며, 이 경우 상기 감시 상황 설정부(120)는 환경 패턴과 촬영 화상의 비교 결과 역치 이상의 차이가 존재하는 경우더라도 해당 촬영 화상이 억제 화상 패턴으로 인정되는 경우에 네트워크를 통하여 전송되지 않도록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영상 처리 장치는 자동적으로 카메라를 통하여 처리되는 화상으로부터 주기적으로 환경 패턴(121)을 갱신할 수 있으며, 갱신된 환경 패턴(121)과 촬영되는 화상을 비교할 수 있다.
갱신된 환경 패턴과의 비교 결과, 촬영 화상내의 물체 움직임 등이 검출되는 경우에 이를 인코딩 등 비디오 처리하여 네트워크를 통하여 사용자 측에 전송할 수 있다.
여기서, 주기적으로 자동 갱신되는 환경 패턴은 촬영 화상을 윤곽 처리하거나, 화상 내의 물체의 움직임을 추적하여 소정 시간동안 동일한 촬영 화상이 수신되는 경우에 이 때의 화상을 환경 패턴으로 저장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에, 상기 감시 상황 설정부(120)가 필요로 하는 억제 화상 패턴의 양이 줄어들 수 있으며, 화상 내의 물체의 움직임을 추적하는 등의 영상 처리는 공지의 기술들을 이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그리고, 본 발명의 영상 처리 장치와 네트워크 연결된 휴대 단말기(200) 또는 리모콘(300)은 카메라에 의해 촬영된 영상을 표시하기 위한 디스플레이부와, 네트워크를 통하여 데이터를 수신하기 위한 통신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리모콘(300)은 통상의 TV 리모콘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가능하며, 상기 리모콘(300)에는 통신 모듈과 디스플레이부가 마련되어 상기 감지 상황 설정부(120)가 전송하는 필터링된 촬영 화상의 수신 및 표시가 가능하다.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영상 처리 장치에 의해서, 실시간으로 촬영되는 화상을 네트워크를 통하여 다른 기기로 전송할 필요가 있는 경우에, 인코딩 등의 비디오 처리와, 대용량의 데이터를 전송하는 경우를 줄일 수 있는 장점이 있다.
그리고, 네트워크를 통하여 카메라의 촬영 화상을 확인하기 위한 사용자는 화상 내의 물체의 변화가 있는 경우만을 확인할 수 있으므로, 사용자 편의를 도모할 수 있다.
110 : 카메라
120 : 감시 상황 설정부
121 : 감시 패턴
122 : 억제 화상 패턴
123 : 감시 데이터 생성부
124 : 환경 패턴

Claims (4)

  1. 화상을 촬영하는 카메라; 및
    상기 카메라에 의해 촬영된 촬영 화상과 미리 저장된 환경 패턴을 비교하여, 상기 촬영 화상의 전송 여부를 결정하는 감시 상황 설정부;를 포함하고,
    상기 감시 상황 설정부는 상기 촬영 화상과 환경 패턴을 비교한 결과, 기 설정된 기준치 이상으로 차이가 존재하는 경우에 상기 촬영 화상을 네트워크를 통하여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 처리 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감시 상황 설정부에는 상기 촬영 화상이 네트워크를 통하여 전송되는 것을 억제시키기 위한 억제 화상 패턴이 저장되고,
    상기 감시 상황 설정부는 상기 억제 화상 패턴과 상기 촬영 화상을 비교하여 기설정된 값 이하의 차이인 경우에는 네트워크를 통한 전송이 수행되지 않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 처리 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감시 상황 설정부는 상기 카메라를 통하여 획득한 촬영 화상에 대하여 윤곽 검출을 수행함으로써, 상기 환경 패턴과 비교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 처리 장치.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감시 상황 설정부는 상기 카메라를 통하여 획득되는 촬영 화상으로부터 주기적으로 상기 환경 패턴을 갱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 처리 장치.
KR1020100130418A 2010-12-20 2010-12-20 영상 처리 장치 KR20120069050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30418A KR20120069050A (ko) 2010-12-20 2010-12-20 영상 처리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30418A KR20120069050A (ko) 2010-12-20 2010-12-20 영상 처리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69050A true KR20120069050A (ko) 2012-06-28

Family

ID=4668737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130418A KR20120069050A (ko) 2010-12-20 2010-12-20 영상 처리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20069050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9040709B (zh) 视频监控方法及装置、监控服务器及视频监控系统
US8451329B2 (en) PTZ presets control analytics configuration
KR101498985B1 (ko) Ip cctv를 이용한 gps 위치정보 기반의 비상상황 발생 현장 촬영 및 모니터링 시스템 그리고 이를 이용한 비상상황 발생 현장의 촬영 및 모니터링 방법
US9167048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filtering devices within a security social network
JP2011130271A (ja) 撮像装置および映像処理装置
JP4354391B2 (ja) 無線通信システム
JP2011130271A5 (ko)
KR102183903B1 (ko) 감시 카메라 및 감시 카메라 제어 방법
KR20200132137A (ko) 움직임 감지와 레이더 센서를 이용한 탐지 객체 위치 산출 장치
CN105721829B (zh) 监控相机、用于监控的记录设备和监控系统
KR102366544B1 (ko) 딥러닝을 활용한 영상 기반의 강수 정보 제공 시스템 및 방법
KR100929921B1 (ko) 유비퀴터스 일체형 보안영상장치 및 시스템
KR101967430B1 (ko) 스마트 디지털 도어락 및 이의 제어방법
KR101510766B1 (ko) 비상호출 및 다기능 센서를 이용한 지능형 모니터링 디브이알(dvr) 시스템
KR102139067B1 (ko) 전천후 영상 감시시스템
KR101363601B1 (ko) 사생활 보호 기능을 구비한 영상 감시 방법 및 시스템
JP6483414B2 (ja) 画像確認システムおよびセンタ装置
KR20180072466A (ko) 영상 감시 영역 설정 시스템 및 방법
KR101729911B1 (ko) 열상카메라와 메가픽셀 카메라가 일체형으로 구성된 감지 카메라장치 및 이를 이용한 감지 시스템
KR101126454B1 (ko) 영상 취득 장치
US20140273989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filtering devices within a security social network
KR20120069050A (ko) 영상 처리 장치
KR20090131888A (ko) 자기센서를 이용한 영상 모니터링 시스템
KR101806552B1 (ko) 도난 방지용 네트워크 카메라
KR101716184B1 (ko) 카메라 시스템에서 이벤트 영상 재생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