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068802A - 가압력의 조정이 가능한 집게 - Google Patents

가압력의 조정이 가능한 집게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068802A
KR20120068802A KR1020120061091A KR20120061091A KR20120068802A KR 20120068802 A KR20120068802 A KR 20120068802A KR 1020120061091 A KR1020120061091 A KR 1020120061091A KR 20120061091 A KR20120061091 A KR 20120061091A KR 20120068802 A KR20120068802 A KR 2012006880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ressing
forceps
pressing member
elastic
suppor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6109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구홍식
Original Assignee
구홍식
쓰리웨이테크놀러지(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구홍식, 쓰리웨이테크놀러지(주) filed Critical 구홍식
Priority to KR1020120061091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20068802A/ko
Publication of KR2012006880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68802A/ko
Priority to PCT/KR2013/004971 priority patent/WO2013183941A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2/00Friction-grip releasable fastenings
    • F16B2/02Clamps, i.e. with gripping action effected by positive means other than the inherent resistance to deformation of the material of the fastening
    • F16B2/06Clamps, i.e. with gripping action effected by positive means other than the inherent resistance to deformation of the material of the fastening external, i.e. with contracting action
    • F16B2/10Clamps, i.e. with gripping action effected by positive means other than the inherent resistance to deformation of the material of the fastening external, i.e. with contracting action using pivoting jaw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3WRITING OR DRAWING IMPLEMENTS; BUREAU ACCESSORIES
    • B43MBUREAU ACCESSORI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43M99/00Subject matter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urgical Instru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가압력의 조정이 가능한 집게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측면에 따른 가압력의 조정이 가능한 집게는, 제1부재와, 제1부재에 대해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2부재와, 제1부재 및 제2부재 사이에 개재되어 제1부재 및 제2부재의 일 단부가 상호 이격되도록 가압력을 제공하는 탄성부재와, 탄성부재를 가압하여 탄성부재의 가압력을 조정하는 가압부재를 포함한다.

Description

가압력의 조정이 가능한 집게{PRESSURE ADJUSTABLE TONG}
본 발명은 가압력의 조정이 가능한 집게에 관한 것이다.
집게는 상부 및 하부 플레이트가 상호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어 있으며, 필요에 따라서 그 중앙에 코일 스프링(coiled spring) 또는 토션스프링(torsion spring)이 개재되어 상부 및 하부 플레이트의 일단부에 가압력을 제공하게 된다. 이로 인해, 상부 및 하부 플레이트의 타단부는 토션스프링의 가압력에 의해서 상호 접촉하고 있고, 일단부에 힘을 주어 타단부를 벌려서 물건을 집게 된다.
그러나 종래의 집게는, 내부에 개재된 스프링의 압력을 조정할 수 없는 구조로 되어 있다. 따라서 집게를 이용하여 물건을 더욱 강하게 파지할 필요가 있는 경우에도 항상 일정한 힘으로 파지할 수 밖에 없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종래의 집게는, 장시간 사용으로 인해서 내부에 개재된 스프링의 탄성력이 약화되는 경우에도 스프링의 압력을 조정할 수 없기 때문에, 물건을 파지하는 힘이 약하게 되어 집게 본래 기능을 수행할 수 없는 문제점이 발생하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도출된 것으로서, 집게가 물건을 파지하는 가압력을 조절할 수 있는 집게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들은 이하에 서술되는 실시예를 통하여 더욱 명확해질 것이다.
본 발명의 일측면에 따른 가압력의 조정이 가능한 집게는, 제1부재와, 제1부재에 대해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2부재와, 제1부재 및 제2부재 사이에 개재되어 제1부재 및 제2부재의 일 단부가 상호 이격되도록 가압력을 제공하는 탄성부재와, 탄성부재를 가압하여 탄성부재의 가압력을 조정하는 가압부재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가압력의 조정이 가능한 집게는 다음과 같은 실시예들을 하나 또는 그 이상 구비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탄성부재는 토션스프링이고, 토션스프링은 코일부와, 코일부에서 연장된 제1지지부 및 제2지지부를 구비하고, 제1지지부는 제1부재를 지지하며, 제2지지부는 제2부재를 지지할 수 있다.
제1부재에는 제1고정홀이 형성되어 있고, 제1고정홀에는 제1지지부의 단부가 삽입되며, 제2부재에는 제2고정홀이 형성되어 있고, 제2고정홀에는 제2지지부의 단부가 삽입될 수 있다.
제1지지부 및 제2지지부는 가압부재의 가압 방향으로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다.
제1부재 및 제2부재 중 어느 하나에는 관통부가 형성되어 있고, 관통부의 내측에는 내면나사산이 형성되어 있으며, 가압부재는 내면나사산과 나사 결합하는 외면나사산을 구비하고, 가압부재는 회전에 의해서 내면나사산을 따라서 이동하면서 토션스프링을 가압할 수 있다.
가압부재는 원판 형상을 가지고, 외면나사산은 가압부재의 둘레에 형성되어 있으며, 가압부재는 관통부를 통해서 외부로 돌출될 수 있다.
토션스프링과 가압부재는 동일한 회전축에 삽입될 수 있다.
제1부재 및 제2부재 중 어느 하나에는, 가압부재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지지돌기가 형성되어 있고, 지지돌기의 내측에는 내면나사산이 형성되어 있으며, 가압부재의 둘레에는 내면나사산과 나사 결합하는 외면나사산을 구비할 수 있다.
제1부재는 제1관통부를 구비하고, 제2부재는 제2관통부를 구비하며, 가압부재는 제1관통부 및 제2관통부를 통해서 돌출될 수 있다.
가압부재는 가압돌출부를 구비하고, 가압부재의 회전에 의해서 가압돌출부는 토션스프링의 일측을 가압할 수 있다.
가압돌출부와 토션스프링은 동일한 회전축을 구비할 수 있다.
가압돌출부의 일측에는 걸림홈이 형성되어 있고, 가압돌출부와 접촉하는 제1부재의 제1연결부 또는 제2부재의 제2연결부 중 어느 하나의 내측에는 걸림홈에 삽입되는 걸림돌기가 형성될 수 있다.
가압돌출부의 회전 중심은, 가압돌출부의 단면 중심에서 편심되게 형성될 수 있다.
가압부재는 레버를 구비하고, 제1부재 및 제2부재 중 어느 하나에는 레버가 외부로 노출될 수 있는 절개부가 절개부가 형성될 수 있다.
토션스프링 및 가압부재는 동일한 회전축을 가지고, 회전축의 외면에는 회전나사산이 형성되어 있으며, 가압부재는 회전나사산과 나사결합하고, 회전에 의해 토션스프링의 일측을 가압할 수 있다.
가압부재는 토션스프링의 회전축과는 다른 가압부재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 운동을 하고, 가압부재는 가압부재회전축의 중심에 대해 상이한 거리를 가지고 형성된 외곽을 구비할 수 있다.
제1부재에는 제1지지부가 걸리게 되는 스프링돌기가 형성되어 있고, 제2부재에는 제2지지부가 걸리게 되는 스프링돌기가 형성될 수 있다.
제1부재 및 제2부재 중 어느 하나의 단부에는 회동부재가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어 있고, 회동부재는, 회전 중심이 되는 회전힌지와, 회전힌지에서 좌우 대칭으로 형성된 누름부를 구비할 수 있다.
누름부는 탄성부재에 의해 제1부재 또는 제2부재 중 어느 하나와 탄성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본 발명은 물건을 파지하는 가압력을 조정할 수 있는 집게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집게에 대한 결합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예시된 집게에 대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에 예시된 집게에 대한 측면도이다.
도 4는 도 1에 예시된 집게의 가압력을 조정하는 상태를 예시하는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집게에 대한 결합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집게에 대한 결합 사시도이다.
도 7은 도 6에 예시된 집게에 대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8은 도 6에 예시된 집게의 가압력을 조정하는 상태를 예시하는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집게의 가압력을 조정하는 상태를 예시하는 도면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집게의 가압력을 조정하는 상태를 예시하는 도면이다.
도 11은 도 10에 예시된 집게의 가압부재에 대한 사시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집게에 대한 측면도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집게에 대한 평면도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집게가 저장용기의 측면에 결합되어 있는 상태를 예시하는 사시도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환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 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 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서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환,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이하, 첨부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하며,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함에 있어 도면 부호에 상관없이 동일하거나 대응하는 구성 요소는 동일한 참조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제1실시예
이하에서는 도 1 내지 도 4를 참고하면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압력의 조정이 가능한 집게(100)에 대해서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집게(100)에 대한 결합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에 예시된 집게(100)의 분해 사시도이다. 그리고 도 3은 도 1에 예시된 집게(100)의 측면도이고, 도 4는 가압부재(140)의 회전에 의해 탄성부재(150)가 가압되면서 탄성부재(150)의 가압력이 조정되는 상태를 예시하는 도면이다.
도 1 내지 도 4를 참고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집게(100)는, 제1부재(110), 제2부재(120), 가압부재(140) 및 탄성부재(150)를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집게(100)는, 가압부재(140)가 제2부재(120)에 대해 나사 결합을 하고, 가압부재(140)의 회전에 의해서 가압부재(140)가 탄성부재(150) 방향으로 이동을 하면서 탄성부재(150)의 일 단부를 가압한다. 도 4에서와 같이, 가압부재(140)에 의해 압축된 탄성부재(150)는 제1부재(110)의 단부(111) 및 제2부재(120)의 단부(121)를 탄성적으로 가압하는 힘이 증가하게 된다. 따라서 집게(100)의 타단부에 해당하는 마찰고무(116, 132)가 물건(도시하지 않음)을 파지하는 힘이 증가하게 된다. 이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집게(100)는 가압부재(140)의 회전에 의해서 탄성부재(150)의 가압력을 조정할 수 있다.
제1부재(110)는, 제2부재(120)와 함께 집게(110)에서 물건을 파지하는 부분을 형성한다. 제1부재(110)는 직사각 형상을 가지고 그 중앙에 제1관통부(114)가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제1부재(110)의 좌우 측면에는 각각 제1연결부(112)가 하향 돌출되어 있고, 그 단부의 내측에는 마찰고무(116)가 구비되어 있다. 또한, 제1부재(110)의 내면에는 탄성부재(150)의 제1지지부(154)의 단부가 삽입되는 제1고정홀(118)이 형성되어 있다.
제1부재(110)는 제2부재(120)에 대해 회전 가능하게 결합한다. 그리고 제1부재(110) 및 제2부재(120)의 내부에는 가압부재(140) 및 탄성부재(150)가 구비되어 있다. 탄성부재(150)는 제1부재(110)의 단부(111)를 상향 가압하고 제2부재(120)의 단부(121)를 하향 가압하여, 마찰고무(116, 132)가 형성된 부분이 상호 접하도록 한다. 그리고 가압부재(140)는 탄성부재(150)의 가압력을 조정하는 역할을 한다.
제1연결부(112)는 제2연결부(122)와 함께 회전축(128)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한다. 도 1 내지 도 4에서는, 제1부재(110)와 제2부재(120)의 결합시, 제1연결부(112)가 제2연결부(122)의 외측에 배치되는 것으로 예시되어 있다.
제1관통부(114)는 제1연결부(112) 사이에 위치하고 사각 형상을 갖는다. 제1관통부(114)를 통해서 가압부재(140)의 일부가 제1부재(110)의 외부로 돌출된다. 제1관통부(114)의 내부 둘레면에는 나사산이 형성되어 있지 않다. 따라서 가압부재(140)의 둘레면은 제1관통부(114)의 내부 둘레면과 나사 결합하지 않기 때문에 가압부재(140)는 제1부재(110)에 대해 자유롭게 회전할 수 있게 된다.
제1부재(110)의 타단부 내측에는 마찰고무(116)가 구비되어 있다. 마찰고무(116)는 파지되는 물건에 대한 마찰력을 크게 하여 물건이 잘 빠지지 않도록 한다.
제1고정홀(118)은 제1부재(110)의 내면에 형성된 것으로, 탄성부재(150)의 제1지지부(154)의 단부가 삽입된다. 탄성부재(150)의 제1지지부(154)는 'ㄱ' 형상으로 끝 부분이 절곡된 구조를 갖기 때문에, 제1고정홀(118)에 삽입될 수 있다.
제2부재(120)는, 제1관통부(114)에 대응하여 형성된 제2관통부(124)와, 제1부재(110)와 결합하기 위한 제2연결부(122)와, 탄성부재(150)의 제2지지부(156)의 단부가 삽입되는 제2고정홀(134)을 포함한다.
제2관통부(124)는 한 쌍의 제2연결부(122) 사이에 위치하고 사각 형상을 갖는다. 그리고 제2관통부(124)의 내부 둘레면에는 내면나사산(126)이 회전축(128)의 길이 방향으로 형성되어 있다. 내면나사산(126)에는 가압부재(140)의 외부 둘레에 형성된 외면나사산(144)이 나사 결합하는데, 이로 인해 가압부재(140)가 내면나사산(126)을 따라서 좌우로 이동할 수 있게 된다.
제2관통부(124)에는 내면나사산(126)이, 제2부재(120)의 길이 방향에 대해 상호 대향하는 한 쌍의 내면에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제2관통부(124)에서 내면나사산(126)이 형성되어 있는 한 쌍의 내면은 도 3에 예시된 바와 같이, 원호(arc) 형상을 가지고 있으며 좌우 대칭으로 형성되어 있다.
제2연결부(122)는 제2관통부(124)에 인접하여 좌우 한 쌍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한 쌍의 제2연결부(122)에는 회전축(128)이 삽입되어 있다.
제2고정홀(134)은 제2부재(120)의 내면에 형성된 것으로, 탄성부재(150)의 제2지지부(156)의 단부가 삽입된다. 탄성부재(150)의 제2지지부(156)는 'ㄱ' 형상으로 끝 부분이 절곡된 구조를 갖기 때문에, 제2고정홀(134)에 삽입될 수 있다.
회전축(128)에는 제1연결부(112) 및 제2연결부(122)가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다. 그리고 회전축(128)에는 탄성부재(150) 및 가압부재(140)가 삽입된다.
제2부재(120)의 타단부 내측에는 마찰고무(132)가 구비되어 있다. 마찰고무(132)는 제1부재(110)의 내측에 형성된 마찰고무(116)와 접하면서 물건을 파지한다.
가압부재(140)는 원판(disc) 형상을 가지고 그 둘레면에는 외면나사산(144)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가압부재(140)의 중앙에는 센터홀(142)이 형성되어 있다.
센터홀(142)에는 회전축(128)이 삽입되는데, 이로 인해 가압부재(140)의 회전이 가능하게 된다.
가압부재(140)의 둘레에 형성된 외면나사산(144)은 제2관통부(124)의 내부 둘레면에 형성된 내면나사산(126)에 나사 결합하게 됨은 위에서 설명한 바와 같다. 그리고 도 3에 예시된 바와 같이, 제2관통부(124)와 접하는 가압부재(140)의 두 개의 부분은 나사 결합을 하게 되고, 제1관통부(114)와 접하는 가압부재(140)의 두 개의 부분은 나사 결합을 하지 않고 자유롭게 회전을 하게 된다. 따라서 제1부재(110)의 단부(111) 및 제2부재(120)의 단부(121)를 잡고 누르게 되면, 제1부재(110)의 제1관통부(114) 내부 둘레면에는 나사산이 형성되어 있지 않기 때문에, 제1부재(110)가 자유롭게 회전을 할 수 있게 된다.
탄성부재(150)는 토션스프링(torsion spring)으로서 원통 형상의 코일부(152)와, 코일부(152)에서 외부로 돌출된 직선 형상의 제1지지부(154) 및 제2지지부(156)를 구비한다. 탄성부재(150)는 제1부재(110) 및 제2부재(120) 사이에 개재되어 제1부재(110) 및 제2부재(120)의 단부(111, 121)에 가압력을 제공하는 역할을 한다.
탄성부재(150)의 코일부(152)는 회전축(128)에 삽입되어 있다. 그리고 코일부(152)의 길이는 회전축(128)에 비해 짧게 형성된다. 코일부(152)의 일 단부에는 제1지지부(154)가 외향 돌출되어 있고, 타 단부에는 제2지지부(156)가 외향 돌출된다.
제1지지부(154)는 코일부(152)에서 상향 돌출되어 제1부재(110)의 내면과 접하게 된다. 그리고 제2지지부(156)는 코일부(152)에서 하향 돌출되어 제2부재(120)의 내면과 접하게 된다. 또한, 제1지지부(154) 및 제2지지부(156)는 코일부(152)에서 각각 동일한 방향으로 향하도록 형성된다. 따라서 탄성부재(150)의 제1지지부(154) 및 제2지지부(156)는 각각 제1부재(110) 및 제2부재(120)의 단부(111, 121)를 상호 이격되도록 가압하여 마찰고무(116, 132)가 상호 접하도록 한다.
제1지지부(154) 및 제2지지부(156)는 그 단부가 수직으로 절곡되어 전체적으로 'ㄱ' 형상을 갖는다. 그리고 제1지지부(154)의 단부는 제1고정홀(118)에 삽입되고, 제2지지부(156)의 단부는 제2고정홀(134)에 삽입되어 그 이동이 제한된다.
제1지지부(154) 및 제2지지부(156)는 모두 가압부재(140)의 가압 방향(도 4에서는 화살표 방향)으로 경사지게 형성된다. 이와 같이, 제1지지부(154) 및 제2지지부(156)를 가압부재(140)의 가압 방향에 대해 경사지게 형성하는 것은, 제1지지부(154) 및 제2지지부(156)의 단부가 각각 제1고정홀(118) 및 제2고정홀(134)에 삽입되어 그 이동이 제한되기 때문에, 가압부재(140)의 가압력에 대한 탄성 반발력을 크게 할 수 있기 때문이다. 즉, 제1지지부(154) 및 제2지지부(156)를 가압 방향에 대해 경사지게 형성하고 그 단부를 제1고정홀(118) 및 제2고정홀(134)에 삽입함으로써, 가압부재(140)의 가압력에 대해 버틸 수 있는 지지력이 증가하여 집게(100)가 쉽게 풀어지지 않게 되는 것이다.
물론, 제1지지부(154) 및 제2지지부(156)를 가압부재(140)의 가압 방향에 대해 수직 또는 반대 방향으로 경사지게 형성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코일부(152), 제1지지부(154) 및 제2지지부(156)의 단면은 원형 또는 다각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코일부(152), 제1지지부(154) 및 제2지지부(156)의 재질은 금속 또는 플라스틱 등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집게(100)에서, 제1부재(110) 및 제2부재(120)는 직사각 형상을 갖는 판(plate)으로 예시하였지만, 이외에도 다양한 형상을 가질 수 있음은 물론이다.
그리고 본 실시예에 따른 집게(100)에서, 제2관통부(124)의 내부 둘레면에만 내면나사산(126)이 형성되어 있는 것으로 예시하였는데, 제1관통부(114)의 내부 둘레면에도 내면나사산이 형성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이하에서는 본 실시예에 따른 집게(100)의 사용에 대해서 설명하기로 한다.
가압부재(140)가 도 4(a)와 같이 위치한 경우, 탄성부재(150)의 코일부(152)가 상대적으로 약하게 가압되어 있기 때문에, 탄성부재(150)의 가압력이 상대적으로 강화되지 않은 상태에 있게 된다. 이때, 사용자는 제1부재(110)의 단부(111) 및 제2부재(120)의 단부(121)를 잡고 누르면, 상호 접하고 있는 마찰고무(116, 132)가 상호 이격되고, 이로 인해 물건(도시하지 않음)을 파지할 수 있게 된다. 물건을 제1부재(110) 및 제2부재(120) 사이에 위치시킨 후 단부(111, 121)를 놓게 되면, 탄성부재(150)의 가압력에 의해서 제1부재(110)의 단부(111)와 제2부재(120)의 단부(121)는 상호 이격되고, 각각의 타단부(마찰고무(116, 132)가 형성되어 있는 부분)는 상호 접하는 방향으로 제1부재(110) 및 제2부재(120)가 회전하게 된다.
그리고 위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제1부재(110)에 형성된 제1관통부(114)의 내부 둘레면에는 내면나사산(126)이 형성되어 있지 않기 때문에, 제1부재(110)는 가압부재(140)에 대해 자유롭게 회전을 할 수 있다. 그리고 제2부재(120)는 그 내면나사산(126)이 가압부재(140)의 둘레에 형성된 외면나사산(144)과 나사 결합을 하고 있기 때문에, 그 결합면에서 발생하는 마찰력에 의해서 제2부재(120)에 대해 제1부재(110)만 상대적으로 회전을 하는 것으로 볼 수 있다.
제1부재(110) 및 제2부재(120)를 이용하여 물건을 파지한 후 가압부재(140)를 돌려서 탄성부재(150)의 가압력을 조정할 수 있다. 제1관통부(114) 및 제2관통부(124)를 통해서 외부로 노출된 가압부재(140)를 일 방향으로 회전시키면, 가압부재(140)의 둘레에 형성된 외면나사산(144)은 제2관통부(124)에 형성된 내면나사산(126)을 따라서 탄성부재(150) 방향으로 이동을 하여 도 4(b)와 같은 상태가 된다. 따라서 코일부(152)의 일단부는 가압부재(140)와 접하고 타단부는 제2연결부(122)와 접하게 된다.
도 4(b)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가압부재(140)가 탄성부재(150)를 가압하는 경우, 탄성부재(150)의 제1지지부(154) 및 제2지지부(156)는 각각 제1고정홀(118) 및 제2고정홀(134)에 삽입되어 있기 때문에, 제1지지부(154) 및 제2지지부(156)가 탄성적으로 변형(휨)되면서 제1부재(110) 및 제2부재(120)에 대한 가압력을 높이게 된다.
가압부재(140)의 이동에 의해서 탄성부재(150)의 코일부(152)가 가압되면 스프링 상수(spring constant)가 증가하게 되어, 제1지지부(154) 및 제2지지부(156)를 변형시키기 위해서는 더욱 큰 토션(torsion)을 가해야 한다. 따라서 가압부재(140)의 가압에 의해서 탄성부재(150)의 가압력이 강화되어, 제1부재(110) 및 제2부재(120)가 물건을 파지하는 힘이 증가하게 된다.
본 실시예에 다른 가압부재(140)는 사용자가 손으로 회전을 하여 가압력을 조정할 수 있는 구조로 되어 있다. 즉, 가압부재(140)의 회전 정도를 달리 함으로써 탄성부재(150)가 제공하는 가압력의 세기를 조정할 수 있다. 가압부재(140)가 도 4에서와 같이 가장 우측에 위치하는 경우에는 탄성부재(150)의 가압력이 가장 약하게 설정되어 있는 경우에 해당하고, 도 4(b)와 같이 가압부재(140)가 좌측으로 최대한 이동한 경우에는 탄성부재(150)의 가압력이 가장 강하게 설정되어 있는 경우에 해당한다.
그리고 가압부재(140)는 제1부재(110)의 제1관통부(114) 및 제2부재(120)의 제2관통부(124)를 통해서 그 일부가 외부로 돌출되어 있기 때문에, 사용자는 가압부재(140)를 회전시켜 집게(100)가 갖는 가압력의 세기를 편리하게 조정할 수 있다.
제2실시예
이하에서는 도 5를 참고하면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가압력의 조정이 가능한 집게(200)에 대해서 설명하기로 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집게(200)의 결합 사시도로서, 탄성부재(250)의 측면에 구비된 가압부재는 도시하지 않았다.
본 실시예에 따른 집게(200)는, 제1부재(210), 제2부재(220), 가압부재 및 탄성부재(250)를 포함한다는 점에서 위에서 설명한 실시예에 따른 집게(100)와 유사하다.
제1부재(210)는 가압부재의 일부가 돌출되는 제1관통부(214)를 구비한다. 제1관통부(214)의 내부 둘레면에는 나사산이 형성되어 있지 않다. 그리고 제1부재(210)의 좌우 측면에는 제1연결부(212)가 하향 돌출되어 있는데, 제1연결부(212)는 제2연결부(222)와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다. 또한, 제1부재(210)의 내측에는 마찰고무(216)가 구비되어 있다.제1부재(210)의 내면에는, 탄성부재(250)의 제1지지부(254)가 삽입될 수 있는 제1고정홀(218)이 형성되어 있다.
제2부재(220)는, 제1부재(210)와 유사하게 제2연결부(222), 제2관통부(224) 및 제2고정홀(도시하지 않음)을 구비한다. 제2연결부(222)는 제1연결부(212)와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어, 제1부재(210) 및 제2부재(220)가 상대적으로 회전 가능하게 된다. 그리고 제2관통부(224)를 통해서 가압부재의 일부가 돌출된다. 제2고정홀에는 탄성부재(250)의 제2지지부(256)의 절곡된 단부가 삽입된다.
제2관통부(224)의 둘레에서 가압부재와 접촉하는 부분에는 지지돌기(226)가 상향 돌출되어 있다. 도 5에서는 사각 형상의 제2관통부(224)에서 상호 대향하는 두 개의 변에 지지돌기(226)가 좌우 대칭으로 형성되어 있다. 지지돌기(226)는 원호(arc) 형상을 가지고 그 내면에는 나사산(228)이 형성되어 있다. 나사산(228)은 가압부재의 둘레에 형성된 외면나사산(도시하지 않음)과 나사 결합을 하게 된다.
지지돌기(226)의 길이는 사각 형상의 제2관통부(224)의 한 변의 길이에 비해 작거나 또는 동일하게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지지돌기(226)가 일정한 길이를 갖기 때문에, 지지돌기(226)에 나사 결합되어 있는 가압부재는 지지돌기(226)의 길이만큼 좌우로 이동할 수 있게 된다.
나사 결합에 의해 가압부재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지지돌기(226)를 상향 돌출되게 형성함으로써, 가압부재를 더욱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게 된다.
가압부재의 둘레에는 외면나사산이 형성되어 있다. 외면나사산은 지지돌기(226)의 내면에 형성된 나사산(228)과 나사 결합을 하게 되는데, 이로 인해 가압부재가 지지돌기(226)의 길이 방향으로 좌우로 이동할 수 있게 된다.
탄성부재(250)는 토션스프링에 해당하는 것으로, 원통 형상의 코일부(252), 코일부(252)에서 상측으로 돌출되어 제1부재(210)를 탄성적으로 지지하여 가압력을 제공하는 제1지지부(254)와, 코일부(252)에서 하측으로 돌출되어 제2부재(220)를 탄성적으로 지지하여 가압력을 제공하는 제2지지부(256)를 포함한다.
제1지지부(254) 및 제2지지부(256)는 그 단부가 수직으로 절곡되어 있기 때문에 전체적으로 'ㄱ' 형상을 갖는다. 그리고 제1지지부(254) 및 제2지지부(256)의 수직으로 절곡된 부분은 제1고정홀(218) 및 제2고정홀에 삽입되어 그 이동이 제한된다.
그리고 제1지지부(254) 및 제2지지부(256)은, 위에서 설명한 탄성부재(150)의 제1지지부(154) 및 제2지지부(156)과 동일하게, 가압부재(240)의 가압 방향에 대해 경사지게 형성된다.
코일부(252)의 일단에는 가압부재가 좌우로 이동 가능하게 구비되어 있다. 따라서 코일부(252), 제1지지부(254) 및 제2지지부(256) 중 어느 하나가 가압부재에 의해 가압되는 경우, 탄성부재(250)의 탄성 계수가 증가하여 집게(200)의 가압력이 조정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지지돌기(226)가 원호(arc) 형상을 갖는 것으로 예시하였지만, 지지돌기는 'ㄱ' 형상 등과 같이 다양하게 형성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제3실시예
이하에서는 도 6 내지 도 8을 참고하면서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가압력의 조정이 가능한 집게(300)에 대해서 설명하기로 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가압력의 조정이 가능한 집게(300)에 대한 결합 사시도이고, 도 7은 도 6에 예시된 집게(300)의 분해 사시도이다. 그리고 도 8은 도 6에 예시된 집게(300)에서 가압부재(340)의 회전에 의해 탄성부재(350)가 가압되면서 탄성부재(350)의 가압력을 조정하는 과정을 예시하는 도면이다.
도 6 내지 도 8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집게(300)는 제1부재(310), 제2부재(320), 가압부재(340) 및 탄성부재(350)를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집게(300)에서, 가압부재(340)는 전방으로 돌출된 가압돌출부(346)를 구비한다. 그리고 가압부재(340)가 회전하는 경우 가압돌출부(346)가 탄성부재(350)를 가압하면서 탄성계수를 크게 하여 가압력을 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제1부재(310) 및 제2부재(320)는 집게(300)에서 물건(도시하지 않음)을 파지하는 부분에 해당한다. 그리고 제1부재(310) 및 제2부재(320)는 상호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다.
제1부재(310)는 전체적으로 사각 형상을 가지고 그 일측에 사각 형상으로 잘려져 나간 절개부(312)가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제1부재(310)의 좌우 양측에는 제1연결부(314)가 하향 돌출되어 있다. 제1연결부(314)는 제2연결부(322)와 회전 가능하게 결합하여, 제1부재(310) 및 제2부재(320)가 상대적으로 회전할 수 있게 한다. 또한, 제1부재(310)의 내측에는 마찰고무(316)가 구비되어 있다. 그리고 제1부재(310)의 내면에는, 탄성부재(350)의 제1지지부(354)의 절곡된 단부가 삽입되는 제1고정홀(318)이 형성되어 있다.
제2부재(320)는 직사각 형상을 가지고 제1부재(310)와 회전 가능하게 결합한다. 제2부재(320)의 양측에는 제2연결부(322)가 상향 돌출되어 있다. 그리고 제2연결부(322)에는 회전축(326)이 구비되어 있다. 회전축(326)에는 탄성부재(350) 및 가압부재(340)가 삽입된다. 그리고 가압부재(340)는 회전축(326)에 회전 가능하게 삽입된다. 또한, 제2부재(320)의 내측에는 마찰고무(324)가 구비되어 있다. 그리고 제2부재(320)의 내면에는, 탄성부재(350)의 제2지지부(356)의 절곡된 단부가 삽입되는 제2고정홀(328)이 형성되어 있다.
가압부재(340)는 회전축(326)을 중심으로 회전을 하면서 탄성부재(350)를 가압하는 것으로, 이에 의해 탄성부재(350)의 가압력이 조정된다. 가압부재(340)는 편심홀(342), 걸림홈(344), 가압돌출부(346) 및 레버(348)를 포함한다.
편심홀(342)은 가압부재(340)의 회전 중심이 되는 것으로, 원 형상의 본체 중심에서 일측으로 편심되어 있다. 이와 같이, 가압부재(340)의 회전 중심이 일측으로 편심됨으로써, 가압부재(340)의 회전 중심이 중앙에 형성된 경우에 비해, 가압부재(340)의 회전에 의해서 가압돌출부(346)가 탄성부재(350)를 가압하는 정도가 증가하게 된다.
걸림홈(344)은 가압부재(340)의 일측에 다수 개가 원 형상으로 배열된 것으로, 제2연결부(322)의 내측에 형성된 걸림돌기(도시하지 않음)에 걸리게 된다. 걸림홈(344)에 걸림돌기가 삽입됨으로써 가압부재(340)의 회전이 억제된다. 따라서 사용자는 가압부재(340)를 회전시켜 탄성부재(350)를 일정한 힘으로 가압하게 한 후 걸림홈(344)에 걸림돌기가 삽입되게 하여 탄성부재(350)의 가압력을 일정하게 유지할 수 있게 된다.
가압돌출부(346)는 탄성부재(340) 방향으로 경사지게 돌출된 부분에 해당한다. 가압돌출부(346)는 가압부재(340)의 회전에 의해 탄성부재(350)의 코일부(352) 및 제1지지부(354)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가압하면서 탄성부재(350)의 가압력을 증가시키는 역할을 한다. 가압돌출부(346)가 경사지게 형성되어 있음으로 인해서, 가압부재(340)의 회전을 통해서 가압부재(340)의 선단부가 탄성부재(350)의 특정 부분(코일부(352) 또는 제1지지부(354))을 가압할 수 있게 된다.
가압부재(340)의 일측에는 외향 돌출된 레버(348)가 구비되어 있다. 레버(348)는 가압부재(340)를 용이하게 회전하게 하기 위한 손잡이 역할을 한다. 레버(348)는 제1부재(310)에 형성된 절개부(312)를 통해서 제1부재(310)의 외부로 돌출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레버(348)를 이용하여 가압부재(340)를 편리하게 정역 방향으로 회전시킬 수 있다.
탄성부재(350)는 제1부재(310) 및 제2부재(320) 사이에 개재되어 가압력을 제공하는 역할을 한다. 그리고 탄성부재(350)는 가압부재(340)에 의해 가압되어 가압력이 조정된다. 탄성부재(350)는 토션스프링에 해당하는 것으로, 코일부(352), 제1지지부(354) 및 제2지지부(356)를 포함한다.
코일부(352)는 회전축(326)에 삽입되어 있다. 그리고 코일부(352)가 삽입된 회전축(326)에는 가압부재(340)가 회전 가능하게 삽입되어 있다. 코일부(352)의 일단부는 제2연결부(322)와 접하고 타단부는 가압부재(340)와 접한다. 코일부(352)는 가압부재(340)의 회전에 의해 가압돌출부(346)와 접하면서 탄성적으로 압축되는데, 이로 인해 탄성부재(350)의 가압력이 조정된다.
제1지지부(354)는 코일부(352)에서 상향으로 경사지게 돌출되어 제1부재(310)의 내면을 탄성적으로 가압한다. 제1지지부(354)는 가압부재(340)의 회전에 의해 가압돌출부(346)와 접하면서 탄성적으로 압축되는데, 이로 인해 탄성부재(350)의 가압력이 조정된다. 제1지지부(354)의 단부는 수직으로 절곡되어 제1고정홀(318)에 삽입된다.
이와 같이, 제1지지부(354)는 가압부재(340)의 가압 방향으로 경사지게 형성되어 있으며 그 단부가 제1고정홀(318)에 삽입되어 이동이 제한되기 때문에, 제1지지부(354)는 가압부재(340)에 의해 가압되는 경우 탄성적으로 변형(휨)하면서 제1부재(310)에 강한 가압력을 제공하게 된다.
제2지지부(356)는 코일부(352)에서 하향 돌출되어 제2부재(320)의 내면을 탄성적으로 가압한다. 제2지지부(356)의 단부는 수직으로 절곡되어 제2고정홀(328)에 삽입된다. 이로 인해, 제2지지부(356)는, 탄성부재(350)가 가압부재(340)에 의해 가압되는 경우라도 그 이동이 제한되어 탄성부재(350)의 가압력을 높이는 역할을 한다. 또한, 제2지지부(356)도 제1지지부(354)와 동일하게 가압부재(340)의 가압 방향으로 경사지게 형성되어 있다.
물론, 제1지지부(354) 및 제2지지부(356)은 가압부재(340)의 가압 방향에 대해 수직 또는 반대 방향으로 경사지게 형성될 수도 있다.
이하에서는 도 6 내지 도 8을 참고하면서, 본 실시예에 따른 집게(300)의 작동에 대해서 설명하기로 한다.
도 6에서와 같이, 외력이 가해지지 않은 경우, 제1부재(310)의 일단에 구비된 마찰고무(316)와 제2부재(320)의 일단에 구비된 마찰고무(324)는 탄성부재(350)의 탄성 가압력에 의해서 상호 접촉하고 있다. 그리고 제1부재(310)의 단부(311) 및 제2부재(320)의 단부(321)는 탄성부재(350)의 탄성 가압력에 의해 상호 이격되어 있다.
이때, 단부(311, 321)를 각각 잡고 누르면 상호 접촉하고 있는 마찰고무(316, 324)가 이격되면서 제1부재(310) 및 제2부재(320) 사이에 물건(도시하지 않음)을 집을 수 있는 공간이 형성된다. 물건을 집은 후 양 단부(311, 321)에 가해지는 힘을 제거하면, 탄성부재(350)의 가압력에 의해 제1부재(310) 및 제2부재(320)가 물건을 파지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제1부재(310) 및 제2부재(320)가 물건을 더욱 강하게 파지하게 하기 위해서, 레버(348)를 이용하여 가압부재(340)를 일 방향으로 회전시킨다. 가압부재(340)가 회전하기 이전에는 도 4(a)와 같이 가압돌출부(346)가 코일부(352) 및 제1지지부(354)의 외측에 위치한다. 그리고 가압부재(340)를 회전시키면, 도 4(b)와 같이 가압돌출부(346)가 코일부(352) 및 제1지지부(354)를 일측(도 4에서는 좌측)으로 가압한다.
가압부재(340)에 의해 가압된 탄성부재(350)는 코일부(352)가 일측으로 수축되거나 또는 제1지지부(354)가 일측으로 가압되어 탄성계수가 증가하게 된다. 탄성계수가 증가한 탄성부재(350)는 제1부재(310) 및 제2부재(320)에 더욱 큰 가압력을 제공함으로써, 제1부재(310) 및 제2부재(320)가 물건을 더욱 강하게 파지하도록 한다.
특히, 제1지지부(354)는 가압부재(340)의 가압 방향에 대해서 경사지게 형성되어 있고 그 단부가 제1고정홀(318)에 삽입되어 이동이 제한되기 때문에, 가압부재(340)의 가압력에 의해서 변형되면서 큰 반발력을 제1부재(310)에 제공하게 된다. 이로 인해, 물건을 파지하는 집게(300)의 가압력이 더욱 증가하게 된다.
이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집게(300)는 레버(348)를 이용하여 가압부재(340)를 회전시켜서 탄성부재(350)의 가압력을 용이하게 조정할 수 있다. 또한, 가압부재(340)의 측면에는 걸림홈(344)이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걸림홈(344)이 제2연결부(322)의 내측에 형성된 걸림돌기(도시하지 않음)에 걸리게 되어 가압부재(340)의 회전이 억제된다. 따라서 가압부재(340)의 걸림으로 인해서 탄성부재(350)의 가압력을 일정하게 유지할 수 있다.
제4실시예
이하에서는 도 9를 참고하면서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가압력의 조정이 가능한 집게(400)에 대해서 설명하기로 한다.
도 9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집게(400)에 대한 도면으로, 가압부재(440)의 회전에 의해서 탄성부재(450)의 탄성력이 조정되는 과정을 예시한다. 참고로, 도 9는 제2부재(420)와 결합하는 제1부재가 제거된 상태에 대한 도면이다.
도 9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가압력의 조정이 가능한 집게(400)는, 제1부재(도시하지 않음), 제2부재(420), 가압부재(440) 및 탄성부재(450)를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집게(400)는 가압부재(440)의 회전 중심에 해당하는 회전축(428)의 외주면에 회전나사산(432)이 형성되어 있고, 가압부재(440)는 회전나사산(432)에 나사 결합되어 있다. 가압부재(440)는 회전나사산(432)을 따라서 좌우측으로 이동을 하면서 탄성부재(450)를 가압한다.
제2부재(420)는 제2연결부(422), 제2관통부(424), 마찰고무(426) 및 제2고정홀(433)을 구비한다.
제2연결부(422)는 제2부재(420)의 좌우 양측에서 상향 돌출되어 형성되어 있다. 제2연결부(422)에는 회전축(428)이 결합되어 있다.
제2관통부(424)는 제2연결부(422) 사이에 형성된 사각 형상의 구멍에 해당한다. 제2관통부(424)를 통해서 가압부재(440)의 일부가 외부로 돌출된다. 따라서 사용자는 제2부재(420)의 외부로 돌출된 가압부재(440)를 용이하게 회전시킬 수 있게 된다.
제2고정홀(433)에는 탄성부재(450)의 제2지지부(456)의 수직으로 절곡된 단부가 삽입된다. 이로 인해, 제2지지부(456)는 가압부재(440)에 의해 가압되는 경우에도 그 이동이 제한된다.
제2연결부(422)에 결합되어 있는 회전축(428)에는 가압부재(440) 및 탄성부재(450)가 각각 삽입된다. 가압부재(440) 및 탄성부재(450)는 회전축(428)의 길이 방향으로 좌우로 이동할 수 있다. 회전축(428)의 둘레에는 회전나사산(432)이 형성되어 있다. 회전나사산(432)에는 가압부재(440)가 나사 결합한다. 회전나사산(432)은 회전축(428)의 길이 방향 전체 또는 일부에 걸쳐서 형성될 수 있다.
가압부재(440)는 일정한 두께를 갖는 원판 형상을 갖는 것으로, 회전축(428)의 회전나사산(432)에 나사결합을 한다. 가압부재(440)의 회전 중심이 되는 센터홀(도시하지 않음)의 내부에는 회전나사산(432)과 나사 결합을 하는 나사산(도시하지 않음)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가압부재(440)의 일부는 제2부재(420)에 형성되어 있는 제2관통부(424)를 통해서 제2부재(420)의 외부로 돌출된다.
도 9(a)의 상태에서는 가압부재(440)가 상대적으로 우측에 위치하고 있기 때문에, 탄성부재(450)가 가압부재(440)에 의해 상대적으로 약하게 가압되고 있다. 그리고 집게(400)를 이용하여 물건(도시하지 않음)을 파지한 후 탄성부재(450)의 가압력을 높이기 위해서는 가압부재(440)를 회전시켜서 가압부재(440)가 탄성부재(450) 방향으로 이동하도록 한다(도 9(b) 참조). 이로 인해, 탄성부재(450)의 코일부(452) 및 제1지지부(454) 중 적어도 하나는 가압부재(440)에 의해 가압되어 제1부재 및 제2부재(420)에 대한 가압력이 증가하게 된다.
그리고 탄성부재(450)의 제1지지부(454) 및 제2지지부(456)는 가압부재(440)의 가압 방향으로 경사지게 형성되어 있고, 그 단부가 각각 제1고정홀(점선표시) 및 제2고정홀(433)에 삽입되어 이동이 제한된다. 따라서 가압부재(440)에 의해 가압된 제1지지부(454) 및 제2지지부(456)은 약간 변형되면서 제1부재(도시하지 않음) 및 제2부재(420)를 강하게 지지하고, 이로 인해 집게(400)의 가압력이 증가하게 되는 것이다.
물론, 탄성부재(450)의 가압력이 강한 경우에는 가압부재(440)를 우측으로 이동시켜서 탄성부재(450)의 가압력을 약하게 할 수 있다.
탄성부재(450)는 토션스프링에 해당하는 것으로, 코일부(452), 제1지지부(454) 및 제2지지부(456)를 구비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집게(400)에서 탄성부재(450)는 위에서 설명한 실시예에 따른 집게(100, 200, 300)의 탄성부재(150, 250, 350)와 유사하기 때문에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제1실시예 내지 제4실시예에 따른 집게(100, 200, 300, 400)에서는 가압부재(140, 340, 440)가 탄성부재(150, 250, 350, 450)를 직접 가압하는 것으로 예시하였는데, 가압부재(140, 340, 440)와 탄성부재(150, 250, 350, 450) 사이에 별도의 부재(도시하지 않음)를 개재하여 가압부재(140, 340, 440)가 별도의 부재를 매개로 탄성부재(150, 250, 350, 450)를 가압하게 할 수도 있다.
별도의 부재는 탄성부재(150, 250, 350, 450)와 동일한 금속 또는 플라스틱 재질 등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제5실시예
이하에서는 도 10 내지 도 11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대해서 설명하기로 한다.
도 10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가압력의 조정이 가능한 집게(500)에 대한 도면으로, 가압부재(540)의 회전에 의해서 탄성부재(550)의 일단이 가압되는 상태를 예시한다. 참고로, 도 10에서는 제2부재(520)와 결합하는 제1부재에 대한 도시를 생략하였다. 그리고 도 11은 도 10에 예시된 집게(500)에서 가압부재(540)에 대한 사시도이다.
도 10 내지 도 11을 참고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가압력의 조정이 가능한 집게(500)는, 도시하지 않은 제1부재, 제2부재(520), 가압부재(540) 및 탄성부재(550)를 포함한다.
제2부재(520)는, 제1부재와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제2연결부(522), 단부에 구비된 마찰고무(524), 탄성부재(550)가 삽입되는 회전축(536) 및 가압부재(540)의 회전 중심이 되는 가압부재회전축(532)를 구비한다.
제2연결부(522)는 제2부재(520)의 좌우 양측에 각각 상향 돌출 형성되어 있는 것으로, 그 사이에는 회전축(536)이 결합되어 있다. 그리고 회전축(536)의 양 단부에는 스페이서(528)가 구비되어 있다. 좌우측에 각각 구비된 스페이서(528)는 탄성부재(550)의 단부와 접하고 있다.
제2연결부(522)에는 회전축(526)과 평행하게 가압부재회전축(532)이 구비되어 있다. 가압부재회전축(532)에는 가압부재(540)가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어 있다.
가압부재(540)는 그 회전중심(542)에 대해 상이한 거리를 갖는 외곽을 구비한다. 이와 같은 가압부재(540) 외곽의 형상에 의해서, 가압부재(540)의 회전에 의해서 탄성부재(550)를 가압할 수 있게 된다.
도 10(a)를 참고하면, 가압부재(540)는 탄성부재(550)와 접하고 있지 않다가, 가압부재(540)를 회전시켜서 도 10(b)와 같이 가압부재(540)의 외곽이 탄성부재(550)의 코일부(552)를 가압하도록 할 수 있다. 가압부재(540)에 의해 가압된 탄성부재(550)는 탄성계수가 증가하여 제1지지부(554) 및 제2지지부(556)를 변형시키기 위해서 더욱 큰 토션(torsion)을 필요로 하게 된다. 따라서 가압부재(540)의 회전에 의해서 탄성부재(550)의 가압력을 조정할 수 있게 된다.
탄성부재(550)는 토션스프링에 해당하는 것으로, 코일부(552), 제1지지부(554) 및 제2지지부(556)를 구비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집게(500)에서 탄성부재(550)는 위에서 설명한 실시예에 따른 집게(100, 200, 300, 400)의 탄성부재(150, 250, 350, 450)와 유사하기 때문에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다만, 본 실시예에 따른 탄성부재(550)는 코일부(552)의 단부가 가압부재(540)에 의해 가압되는 것이 아니라 그 측면이 가압된다는 점에 특징이 있다.
제6실시예
도 12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집게(600)에 대한 측면도이다.
도 12를 참고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집게(600)는 제1부재(610), 제2부재(620), 가압부재(640) 및 탄성부재(650)를 구비하는데, 이는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실시예에 따른 집게(100)와 동일하거나 유사하기 때문에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집게(600)는 제1부재(610)의 단부에 회동부재(630)가 구비되어 있는 점에 특징이 있다. 회동부재(630)는 물건(도시하지 않음)을 균일한 가압력으로 파지하도록 하는 것으로, 회전힌지(622), 누름부(634) 및 고정스프링(636)을 포함한다.
회전힌지(622)는 제1부재(610)의 단부에 형성되어 있으며, 누름부(634)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한다.
누름부(634)는 좌우 대칭으로 형성되어 있다. 누름부(634)는, 파지된 물건에 대한 제1부재(610)의 가압력을 두 부분으로 동일하게 분산하는 역할을 한다. 따라서 누름부(634)는 파지되는 물건에 대해 제1부재(610)의 가압력이 한 곳으로 집중되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예를 들면, 집게가 옷(도시하지 않음)을 파지할 때, 좌우 대칭으로 형성된 누름부(634)가 없이 제1부재(610)만 있는 경우에는 제1부재(610)가 옷의 한 부분을 강하게 가압하기 때문에 옷에 누름에 의한 자국이 형성된다. 그러나 본 실시예에 따른 집게(600)를 이용하는 경우에는 누름부(634)에 의해 제1부재(610)의 힘이 두 부분으로 분산되기 때문에, 옷에 자국이 형성되지 않게 된다.
고정스프링(636)은 누름부(634)와 제1부재(610) 사이를 탄성적으로 연결한다. 고정스프링(636)으로 인해서 회동부재(630)가 임의로 회전하는 것이 방지되기 때문에, 물건을 파지할 때 사용이 편리하게 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회동부재(630)가 제1부재(610)에 구비되어 있는 것으로 예시하였지만, 회동부재(630)는 제1부재(610) 및 제2부재(620)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회동부재(630)는 두 개의 누름부(634)를 구비하는 것으로 예시하였지만, 필요에 따라서 4개 이상의 누름부를 구비할 수도 있다. 또한, 누름부(634)의 회전을 제한하는 것으로 코일스프링을 예시하였는데, 코일 스프링 이외에 다양한 형태의 탄성부재를 이용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제7실시예
도 13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집게(700)에 대한 평면도이다. 도 13에서 제2부재(720)와 결합하는 제1부재는 도시하지 않았다.
도 13을 참고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집게(700)는 제1부재(도시하지 않음), 제2부재(720), 가압부재(740) 및 탄성부재(750)를 구비하는데, 이는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실시예에 따른 집게(100)와 동일하거나 유사하기 때문에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집게(700)에서 제2부재(720)의 내측에는 스프링돌기(722)가 돌출 형성되어 있다. 스프링돌기(722)에는 탄성부재(750)의 제2지지부(756)가 걸리게 되는데, 이로 인해 가압부재(740)의 가압에도 불구하고 제2지지부(756)의 이동이 제한되어 탄성부재(750)의 가압력이 더욱 증가하게 된다.
제2부재(720)와 결합하는 제1부재에도 스프링돌기(점선표시)가 형성될 수 있으며, 제1부재에 형성된 스프링돌기에는 제1지지부(754)의 단부가 걸리게 된다.
도 1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압력의 조정이 가능한 집게(300')가 저장용기(800)의 측면에 결합된 상태를 예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14를 참고하면, 저장용기(800)는 커버(820) 및 본체(822)로 이루어져 있다. 그리고 본체(820)의 측면에는 집게(300')가 결합되어 있다. 집게(300')는 위에서 설명한 실시예에 따른 집게(300)와 동일한 구조를 갖고, 다만 제1부재(310) 및 제2부재(320)의 형상이 커버(820) 및 본체(822)의 형상에 대응하여 형성되어 있다. 즉, 집게(300')의 제1부재(310')는 커버(820)의 형상에 대응하여 절곡 형성되고, 제2부재(320')도 본체(822)의 형상에 대응하여 절곡 형성된다. 그리고 제2부재(320')는 본체(822)의 측면에 고정되어 있다.
집게(300')를 사용하여 본체(822)에 대해서 커버(820)를 고정하기 위해서는, 제1부재(310')의 단부를 눌러서 제1부재(310')가 벌어지게 한 후 커버(820)를 본체(822)에 결합한다. 그리고 제1부재(310')에 가해진 힘을 제거하면 제1부재(310')가 커버(820)의 상면을 누르게 되는데, 이로 인해 커버(820)가 본체(822)에 결합된다.
집게(300')의 가압력을 높이기 위해서 레버(348')를 회전시키면 가압부재(도시하지 않음)가 회전을 하면서 탄성부재(도시하지 않음)를 가압하여 가압력이 증가된다. 물론, 레버(348')를 반대 방향으로 회전시켜서 집게(300')의 가압력을 약하게 할 수도 있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하기의 특허 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00, 200, 300, 400, 500: 집게
110 , 210, 310: 제1부재
120, 220, 320, 420, 520: 제2부재
140, 340, 440, 540: 가압부재
150, 250, 350, 450, 550: 탄성부재

Claims (19)

  1. 제1부재;
    상기 제1부재에 대해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2부재;
    상기 제1부재 및 제2부재 사이에 개재되어 상기 제1부재 및 제2부재의 일 단부가 상호 이격되도록 가압력을 제공하는 탄성부재; 및
    상기 탄성부재를 가압하여 상기 탄성부재의 가압력을 조정하는 가압부재를 포함하는 가압력의 조정이 가능한 집게.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부재는 토션스프링이고,
    상기 토션스프링은 코일부와, 상기 코일부에서 연장된 제1지지부 및 제2지지부를 구비하고,
    상기 제1지지부는 상기 제1부재를 지지하며, 상기 제2지지부는 상기 제2부재를 지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압력의 조정이 가능한 집게.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부재에는 제1고정홀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제1고정홀에는 상기 제1지지부의 단부가 삽입되며,
    상기 제2부재에는 제2고정홀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제2고정홀에는 상기 제2지지부의 단부가 삽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압력의 조정이 가능한 집게.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1지지부 및 제2지지부는 상기 가압부재의 가압 방향으로 경사지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압력의 조정이 가능한 집게.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1부재 및 제2부재 중 어느 하나에는 관통부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관통부의 내측에는 내면나사산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가압부재는 상기 내면나사산과 나사 결합하는 외면나사산을 구비하고,
    상기 가압부재는 회전에 의해서 상기 내면나사산을 따라서 이동하면서 상기 토션스프링을 가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압력의 조정이 가능한 집게.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가압부재는 원판 형상을 가지고,
    상기 외면나사산은 상기 가압부재의 둘레에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가압부재는 상기 관통부를 통해서 외부로 돌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압력의 조정이 가능한 집게.
  7.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토션스프링과 상기 가압부재는 동일한 회전축에 삽입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압력의 조정이 가능한 집게.
  8.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1부재 및 제2부재 중 어느 하나에는, 상기 가압부재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지지돌기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지지돌기의 내측에는 내면나사산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가압부재의 둘레에는 상기 내면나사산과 나사 결합하는 외면나사산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압력의 조정이 가능한 집게.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1부재는 제1관통부를 구비하고, 상기 제2부재는 제2관통부를 구비하며,
    상기 가압부재는 상기 제1관통부 및 제2관통부를 통해서 돌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압력의 조정이 가능한 집게.
  10.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가압부재는 가압돌출부를 구비하고,
    상기 가압부재의 회전에 의해서 상기 가압돌출부는 상기 토션스프링의 일측을 가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압력의 조정이 가능한 집게.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가압돌출부와 상기 토션스프링은 동일한 회전축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압력의 조정이 가능한 집게.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가압돌출부의 일측에는 걸림홈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가압돌출부와 접촉하는 상기 제1부재의 제1연결부 또는 제2부재의 제2연결부 중 어느 하나의 내측에는 상기 걸림홈에 삽입되는 걸림돌기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압력의 조정이 가능한 집게.
  13.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가압돌출부의 회전 중심은, 상기 가압돌출부의 단면 중심에서 편심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압력의 조정이 가능한 집게.
  14.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가압부재는 레버를 구비하고,
    상기 제1부재 및 제2부재 중 어느 하나에는 상기 레버가 외부로 노출될 수 있는 절개부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압력의 조정이 가능한 집게.
  1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토션스프링 및 상기 가압부재는 동일한 회전축을 가지고,
    상기 회전축의 외면에는 회전나사산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가압부재는 상기 회전나사산과 나사결합하고, 회전에 의해 상기 토션스프링의 일측을 가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압력의 조정이 가능한 집게.
  16.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가압부재는 상기 토션스프링의 회전축과는 다른 가압부재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 운동을 하고,
    상기 가압부재는 상기 가압부재회전축의 중심에 대해 상이한 거리를 가지고 형성된 외곽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압력의 조정이 가능한 집게.
  17.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부재에는 상기 제1지지부가 걸리게 되는 스프링돌기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제2부재에는 상기 제2지지부가 걸리게 되는 스프링돌기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압력의 조정이 가능한 집게.
  1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부재 및 제2부재 중 어느 하나의 단부에는 회동부재가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어 있고,
    상기 회동부재는, 회전 중심이 되는 회전힌지와, 상기 회전힌지에서 좌우 대칭으로 형성된 누름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압력의 조정이 가능한 집게.
  19.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누름부는 탄성부재에 의해 상기 제1부재 또는 상기 제2부재 중 어느 하나와 탄성적으로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압력의 조정이 가능한 집게.
KR1020120061091A 2012-06-07 2012-06-07 가압력의 조정이 가능한 집게 KR20120068802A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61091A KR20120068802A (ko) 2012-06-07 2012-06-07 가압력의 조정이 가능한 집게
PCT/KR2013/004971 WO2013183941A1 (ko) 2012-06-07 2013-06-05 집게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61091A KR20120068802A (ko) 2012-06-07 2012-06-07 가압력의 조정이 가능한 집게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68802A true KR20120068802A (ko) 2012-06-27

Family

ID=4668731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61091A KR20120068802A (ko) 2012-06-07 2012-06-07 가압력의 조정이 가능한 집게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20068802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83477A (ko) * 2016-01-08 2017-07-18 미츠비시 쥬고교 가부시키가이샤 집전 장치 및 차량
CN109129262A (zh) * 2018-11-09 2019-01-04 沈佳语 一种自动正压且可调节压力的夹持机构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83477A (ko) * 2016-01-08 2017-07-18 미츠비시 쥬고교 가부시키가이샤 집전 장치 및 차량
CN109129262A (zh) * 2018-11-09 2019-01-04 沈佳语 一种自动正压且可调节压力的夹持机构
CN109129262B (zh) * 2018-11-09 2024-02-20 沈佳语 一种自动正压且可调节压力的夹持机构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448302B2 (en) Adapter coupling device
US10881903B2 (en) Hand grip
US20140138971A1 (en) Clamping mechanism
EP3338952B1 (en) Reaching and grasping tool with improved gripping heads
US8528870B2 (en) Retaining device for stand for sawing machine
KR101620297B1 (ko) 신형 폴더
KR20120068802A (ko) 가압력의 조정이 가능한 집게
CN101898340A (zh) 螺丝起子
KR20170034777A (ko) 나사 떨어짐 방지 드라이버
US6581261B1 (en) Large size clamping device for detaching bearing
US10384337B2 (en) Universal handle attachment for C-clamps
JP6886427B2 (ja) ねじ締め装置
US20120014742A1 (en) Mechanical double joint system
US8047517B2 (en) Vise or clamp attachment
KR20140010899A (ko) Bnc 커넥터의 너트 그리퍼 및 드라이버
US7334507B2 (en) Teethless adjustable spanner
TWI657900B (zh) 可適應物體外形之夾爪
US7013771B2 (en) Detachment tool for pipe clamping strap
US20190120303A1 (en) Brake Shoe Hold Down Retainer Cap Release and Reinstallation Tool
US20170001285A1 (en) Wrench with slidbale operation members forming mulitple clamping options
EP1407857B1 (en) Clamping device for detaching bearings
KR102322865B1 (ko) 체결수단 제거 장치
CN209979698U (zh) 一种用于芯片测试机的夹持装置
JP7334387B2 (ja) クランプ装置
CN209903120U (zh) 一种打钉辅助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