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068539A - 영상 모드에 따라 영상의 밝기를 자동으로 조정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영상 모드에 따라 영상의 밝기를 자동으로 조정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068539A
KR20120068539A KR1020100130203A KR20100130203A KR20120068539A KR 20120068539 A KR20120068539 A KR 20120068539A KR 1020100130203 A KR1020100130203 A KR 1020100130203A KR 20100130203 A KR20100130203 A KR 20100130203A KR 20120068539 A KR20120068539 A KR 2012006853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mage
mode
format
video
input ima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13020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748765B1 (ko
Inventor
이진환
Original Assignee
한국전자통신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전자통신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전자통신연구원
Priority to KR102010013020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48765B1/ko
Priority to PCT/KR2011/009402 priority patent/WO2012081855A2/ko
Priority to US13/994,634 priority patent/US20130265391A1/en
Priority to DE112011104399T priority patent/DE112011104399T5/de
Publication of KR2012006853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6853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4876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4876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9/00Details of colour television systems
    • H04N9/77Circuits for processing the brightness signal and the chrominance signal relative to each other, e.g. adjusting the phase of the brightness signal relative to the colour signal, correcting differential gain or differential phas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44Receiver circuitry for the reception of television signals according to analogue transmission standards
    • H04N5/57Control of contrast or brightnes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3/00Stereoscopic video systems; Multi-view video systems; Details thereof
    • H04N13/10Processing, recording or transmission of stereoscopic or multi-view image signals
    • H04N13/106Processing image signals
    • H04N13/139Format conversion, e.g. of frame-rate or siz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3/00Stereoscopic video systems; Multi-view video systems; Details thereof
    • H04N13/10Processing, recording or transmission of stereoscopic or multi-view image signals
    • H04N13/106Processing image signals
    • H04N13/15Processing image signals for colour aspects of image signa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3/00Stereoscopic video systems; Multi-view video systems; Details thereof
    • H04N13/30Image reproducers
    • H04N13/356Image reproducers having separate monoscopic and stereoscopic mod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34Disassembling of a multiplex stream, e.g. demultiplexing audio and video streams, extraction of additional data from a video stream; Remultiplexing of multiplex streams; Extraction or processing of SI; Disassembling of packetised elementary stream
    • H04N21/4345Extraction or processing of SI, e.g. extracting service information from an MPEG stream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35Processing of additional data, e.g. decrypting of additional data, reconstructing software from modules extracted from the transport stream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4Processing of video elementary streams, e.g. splicing a video clip retrieved from local storage with an incoming video stream, rendering scenes according to MPEG-4 scene graphs
    • H04N21/4402Processing of video elementary streams, e.g. splicing a video clip retrieved from local storage with an incoming video stream, rendering scenes according to MPEG-4 scene graphs involving reformatting operations of video signals for household redistribution, storage or real-time displa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80Generation or 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by content creator independently of the distribution process; Content per se
    • H04N21/81Monomedia components thereof
    • H04N21/816Monomedia components thereof involving special video data, e.g 3D video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80Generation or 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by content creator independently of the distribution process; Content per se
    • H04N21/83Generation or processing of protective or descriptive data associated with content; Content structuring
    • H04N21/84Generation or processing of descriptive data, e.g. content descripto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80Generation or 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by content creator independently of the distribution process; Content per se
    • H04N21/83Generation or processing of protective or descriptive data associated with content; Content structuring
    • H04N21/845Structuring of content, e.g. decomposing content into time segments
    • H04N21/8451Structuring of content, e.g. decomposing content into time segments using Advanced Video Coding [AVC]

Abstract

영상 모드에 따라 영상의 밝기를 자동으로 조정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및 방법이 개시되어 있다. 디스플레이 장치는 입력 영상과 연계되는 정보를 획득하고, 획득된 정보를 기반으로 입력 영상의 영상 모드를 판별하는 판별부와, 입력 영상을 수신하고 판별부에 의하여 판별되는 영상 모드에 따라 입력 영상의 밝기를 자동으로 변환하는 변환부 및 변환부로부터 출력되는 영상을 디스플레이하는 디스플레이부를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영상의 영상 모드를 판별하고 판별된 영상 모드에 따라 영상의 밝기를 자동으로 변환하며 특히 3D 모드 영상에서 영상의 밝기를 자동으로 밝게 조정할 수 있어 사용자 입장에서는 별도의 설정 없이도 만족도 높은 3D 영상을 시청할 수 있다.

Description

영상 모드에 따라 영상의 밝기를 자동으로 조정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및 방법 {Device and Method for Automatically Brightness Regulating Display According to Video Mode}
본 발명은 영상 모드에 따라 영상의 밝기를 자동으로 조정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좀더 상세하게는, 입력되는 영상의 영상 모드를 판별하고 판별된 영상 모드에 적합하도록 영상의 밝기를 자동 변환할 수 있는 디스플레이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3D(Three-Dimension) 디스플레이는 좌우 영상 정보를 포함하는 콘텐츠로부터 좌측 영상은 좌 안으로, 우측 영상은 우 안으로 분리하여 전달되도록 함으로써 사용자에게 입체감을 느낄 수 있도록 하는 디스플레이 방식을 의미할 수 있다.
3D 디스플레이 방식은 3D 영상을 분리하는 기술에 따라 크게 공간 분할 방식 및 시간 분할 방식으로 구분될 수 있다. 공간 분할 방식은 한 화면의 좌/우 영상을 동시에 디스플레이한다. 디스플레이된 좌측 영상과 우측 영상은 물리적 장치, 예컨대 안경 또는 패널 등에 의하여 분리되어 좌 안과 우 안에 각각 도달한다. 이러한 공간 분할 방식을 편광 방식이라 칭할 수도 있다.
반면, 시간 분할 방식은 좌측 영상의 화면과 우측 영상의 화면이 시간차를 가지고 번갈아 디스플레이되고, 각각의 영상은 안경 등과 같은 물리적 장치를 통하여 좌 안 또는 우 안으로 구분되어 도달하게 된다. 이러한 시간 분할 방식을 셔터글라스 방식으로 칭하기도 한다.
한편, 최근의 디스플레이 장치는 2D 영상과 3D 영상의 디스플레이를 지원할 수 있도록 2D/3D 겸용으로 제작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이러한 2D/3D 겸용 디스플레이 장치에서는, 3D 영상을 디스플레이할 경우 좌측 영상 화면과 우측 영상 화면을 분리하여 디스플레이한다.
그런데, 이와 같은 2D/3D 겸용 디스플레이 장치를 사용하여 사용자가 3D 영상을 시청할 경우 안경 등과 같은 물리적 장치를 사용하여야 하므로, 사용자는 원래의 영상 화면보다 어두운 화면을 보게 된다. 따라서 사용자의 입장에서는 2D 영상을 시청할 때 보다 3D 영상을 시청할 때 체감하는 영상의 밝기가 현저하게 감소한다. 이로 인하여, 사용자가 체감하는 영상의 질은 현저히 떨어질 수 밖에 없다.
현재 사용되고 있는 디스플레이 장치에서의 경우, 디스플레이되는 영상의 영상 모드에 따라서 사용자가 사용자 메뉴를 사용하여 수동으로 디스플레이 화면의 밝기를 조정하는 것이 보통이다. 예컨대, 3D 영상의 디스플레이 시에 사용자가 화면이 어둡다고 느낄 경우 사용자 메뉴를 로딩하여 화면의 밝기를 밝게 조작하는 것이다.
그러나, 이와 같은 경우 디스플레이 장치에 디스플레이되는 영상이 2D 영상인지 3D 영상인지에 따라 사용자가 일일이 디스플레이 장치의 화면 밝기를 조정하여야 하는 불편함을 내포하고 있으며, 이러한 불편함은 3D 콘텐츠 서비스의 만족도 저하를 야기시킬 수도 있는 문제점으로 지적되고 있다.
본 발명은 이러한 배경에서 창안된 것으로서, 입력되는 영상의 영상 모드를 판별하고 판별된 영상 모드에 따라 영상의 밝기를 적합한 밝기로 조정할 수 있는, 영상 모드에 따라 영상의 밝기를 자동으로 조정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기술적인 과제가 있다.
이러한 기술적인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일 측면(Aspect)에서 디스플레이 장치를 제공한다.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는 입력 영상과 연계되는 정보를 획득하고, 상기 획득된 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입력 영상의 영상 모드를 판별하는 판별부와; 상기 입력 영상을 수신하고, 상기 판별부에 의하여 판별되는 영상 모드에 따라 상기 입력 영상의 밝기를 자동으로 변환하는 변환부; 및 상기 변환부로부터 출력되는 영상을 디스플레이하는 디스플레이부를 포함한다.
상기 판별부는 상기 입력 영상의 영상 모드가 3D(3-Dimension) 모드인 경우, 상기 획득된 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입력 영상의 3D 영상 포맷을 판별할 수 있다.
상기 변환부는, 상기 판별부에 의하여 상기 입력 영상의 영상 모드가 3D 모드인 것으로 판별되면, 상기 입력 영상의 밝기를 미리 설정된 밝기 변환 정보를 기반으로 밝게 변환하는 밝기 변환부; 및 상기 판별부에 의하여 판별되는 입력 영상의 3D 영상 포맷을 기반으로, 상기 입력 영상을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디스플레이 방식에 대응하는 3D 영상 포맷의 영상으로 변환하는 3D 영상 변환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변환부는, 상기 판별부에 의하여 상기 입력 영상의 영상 모드가 3D 모드인 것으로 판별되면, 상기 판별부에 의하여 판별되는 상기 입력 영상의 3D 영상 포맷을 기반으로, 상기 입력 영상을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디스플레이 방식에 대응하는 3D 영상 포맷의 영상으로 변환하는 3D 영상 변환부; 및 상기 판별부에 의하여 상기 입력 영상의 영상 모드가 3D 모드인 것으로 판별되면, 상기 3D 영상 변환부에 의하여 변환된 상기 입력 영상의 밝기를 미리 설정된 밝기 변환 정보를 기반으로 밝게 변환하는 밝기 변환부를 포함할 수도 있다.
상기 변환부는,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디스플레이 방식이 편광 필터 방식인 경우, 상기 판별부에 의하여 판별되는 3D 영상 포맷의 영상을 라인 얼터너티브(Line Alternative) 포맷의 영상으로 변환할 수 있다.
상기 변환부는,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디스플레이 방식이 셔터글라스 방식인 경우, 상기 판별부에 의하여 판별되는 3D 영상 포맷의 영상을 필드 얼터너티브(Field Alternative) 포맷 및 프레임 얼터너티브(Frame Alternative) 포맷 중 어느 하나의 포맷으로 변환할 수도 있다.
상기 판별부는, 외부 장치로부터 입력되는 영상 신호와 같이 수신되는 3D 시그널링 정보를 해독하여 상기 영상 모드 및 3D 영상 포맷을 판별하는 제 1 판별부와; 디지털 방송 신호에 포함되는 3D 시그널링 정보를 해독하여 상기 영상 모드 및 3D 영상 포맷을 판별하는 제 2 판별부; 및 사용자 인터페이스로부터 입력되는 정보에 따라 상기 영상 모드 및 3D 영상 포맷을 판별하는 제 3 판별부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 1 판별부는 HDMI(High Definition Multimedia Interface) 신호 내에 포함되는 'Vendor Specific InfoFrame' 패킷의 'HDMI Video Format' 필드를 해독하여 상기 입력 영상의 영상 모드를 판별하고, 상기 입력 영상이 3D 모드의 영상인 경우 '3D Structure' 필드를 해독하여 상기 입력 영상의 3D 영상 포맷을 판별할 수 있다.
상기 제 2 판별부는 상기 디지털 방송 신호 내의 'User_data' 또는 SEI(Supplemental Enhancement Information)에 포함된 영상 모드 및 3D 영상 포맷의 정보를 해독하여 상기 입력 영상의 영상 모드 및 3D 영상 포맷을 판별할 수 있다.
한편, 상술한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다른 측면에서 디스플레이 방법을 제공한다. 상기 디스플레이 방법은, 입력 영상과 연계되는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와; 상기 획득된 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입력 영상의 영상 모드를 판별하는 단계와; 상기 판별되는 영상 모드에 따라 상기 입력 영상의 밝기를 자동으로 변환하는 단계; 및 상기 밝기를 변환한 영상을 기반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영상을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판별 단계에서 상기 입력 영상의 영상 모드가 3D(3-Dimension) 모드인 경우, 상기 획득된 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입력 영상의 3D 영상 포맷을 판별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상기 입력 영상의 밝기를 자동으로 변환하는 단계는, 상기 판별 단계에서 상기 입력 영상의 영상 모드가 3D 모드인 것으로 판별되면, 상기 입력 영상의 밝기를 미리 설정된 밝기 변환 정보를 기반으로 밝게 변환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디스플레이 방법은 상기 판별되는 입력 영상의 3D 영상 포맷을 기반으로, 상기 입력 영상을 디스플레이부의 디스플레이 방식에 대응하는 3D 영상 포맷의 영상으로 변환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상기 디스플레이 방법은, 상기 판별 단계에서 상기 입력 영상의 영상 모드가 3D 모드인 것으로 판별되면, 상기 판별되는 상기 입력 영상의 3D 영상 포맷을 기반으로, 상기 입력 영상을 디스플레이부의 디스플레이 방식에 대응하는 3D 영상 포맷의 영상으로 변환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입력 영상의 밝기를 자동으로 변환하는 단계는, 상기 디스플레이 방식에 대응하는 3D 영상 포맷으로 변환된 상기 입력 영상의 밝기를 미리 설정된 밝기 변환 정보를 기반으로 밝게 변환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판별 단계는, 외부 장치로부터 입력되는 영상 신호와 같이 수신되는 3D 시그널링 정보를 해독하여 상기 영상 모드 및 3D 영상 포맷을 판별하는 단계와; 디지털 방송 신호에 포함되는 3D 시그널링 정보를 해독하여 상기 영상 모드 및 3D 영상 포맷을 판별하는 단계; 및 사용자 인터페이스로부터 입력되는 정보에 따라 상기 영상 모드 및 3D 영상 포맷을 판별하는 단계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외부 장치로부터 입력되는 영상 신호와 같이 수신되는 3D 시그널링 정보를 해독하여 상기 영상 모드 및 3D 영상 포맷을 판별하는 단계는, HDMI(High Definition Multimedia Interface) 신호 내에 포함되는 'Vendor Specific InfoFrame' 패킷의 'HDMI Video Format' 필드를 해독하여 상기 입력 영상의 영상 모드를 판별하는 단계; 및 상기 입력 영상이 3D 모드의 영상인 경우 '3D Structure' 필드를 해독하여 상기 입력 영상의 3D 영상 포맷을 판별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디지털 방송 신호에 포함되는 3D 시그널링 정보를 해독하여 상기 영상 모드 및 3D 영상 포맷을 판별하는 단계는, 상기 디지털 방송 신호 내의 'User_data' 또는 SEI에 포함된 영상 모드 및 3D 영상 포맷의 정보를 해독하여 상기 입력 영상의 영상 모드 및 3D 영상 포맷을 판별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입력되는 영상의 영상 모드를 판별하고 판별된 영상 모드에 따라 영상의 밝기를 자동으로 변환하며, 특히 3D 모드 영상에서 영상의 밝기를 자동으로 밝게 조정할 수 있어 사용자 입장에서는 별도의 설정 없이도 만족도 높은 3D 영상을 시청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 1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구성을 도시하는 블록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 1 실시예에 따른 3D 디스플레이 방법의 구성을 도시하는 흐름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 2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구성을 도시하는 블록도이다.
도 4는 도 3에 도시된 디스플레이 장치의 동작 흐름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이하,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의 기술적 사항을 용이하게 이해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이하에 설명할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서는 내용의 명료성을 위하여 특정한 기술 용어를 사용한다. 하지만 본 발명은 그 선택된 특정 용어에 한정되지는 않으며, 각각의 특정 용어가 유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유사한 방식으로 동작하는 모든 기술적 동의어를 포함함을 미리 밝혀둔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 1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구성을 도시하는 블록도로서, 영상 모드에 따라 영상의 밝기를 자동으로 조정하는 디스플레이 장치의 블록 구성을 나타내고 있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 1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10)는 통신망 또는 외부 장치로부터 영상 및 그 영상 관련 정보를 포함하는 영상 신호를 입력 받고, 입력되는 영상의 영상 모드를 판별하여 상기 영상의 밝기를 판별된 영상 모드에 적합하도록 변환할 수 있다. 또한, 입력 영상이 3D 모드의 영상일 경우 그 영상의 3D 영상 포맷을 판별하고 이를 기반으로 상기 밝기를 변환한 영상을 디스플레이 방식에 맞는 포맷의 3D 영상으로 변환하여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이러한 디스플레이 장치(1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영상 모드/3D 영상 포맷 판별부(14), 변환부(11) 및 디스플레이부(18)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변환부(11)는 밝기 변환부(12) 및 3D 영상 변환부(16)를 포함할 수 있다.
영상 모드/3D 영상 포맷 판별부(14)는 입력되는 영상, 즉 입력 영상의 영상 모드를 판별할 수 있다. 상기 영상 모드는 2D 모드 또는 3D 모드일 수 있다. 즉 영상 모드/3D 영상 포맷 판별부(14)는 입력되는 영상이 2D 모드의 영상인지 3D 모드의 영상인지를 판별하는 것이다. 영상 모드/3D 영상 포맷 판별부(14)는 판별된 영상 모드의 정보를 변환부(11)의 밝기 변환부(12)로 전달할 수 있다.
또한, 영상 모드/3D 영상 포맷 판별부(14)는, 입력되는 영상의 영상 모드 판별 결과 입력 영상이 3D 모드일 경우, 입력 영상의 3D 영상 포맷을 판별할 수도 있다. 이때, 상기 3D 영상 포맷에는 프레임 패킹(Frame Packing), 탑-엔드-바툼(Top-and-Bottom), 사이드-바이-사이드(Side-by-Side), 필드 얼터너티브(Field Alternaive), 프레임 얼터너티브(Frame Alternaive), 라인 얼터너티브(Line Alternative), 기준 영상+깊이 정보 등의 포맷이 있다. 한편, 영상 모드/3D 포맷 판별부(14)는 판별된 3D 영상 포맷의 정보를 변환부(11)의 3D 영상 변환부(16)로 전송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영상 모드/3D 영상 포맷 판별부(14)는 입력되는 영상의 영상 모드 및 3D 영상 포맷을 판별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는데, 이러한 영상 모드/3D 영상 포맷 판별부(14)는 제 1 판별부(14a), 제 2 판별부(14b) 및 제 3 판별부(14c)를 포함할 수 있다.
본 제 1 실시예에서는 참조하는 도 1에서는 이해의 편의를 위하여 상기 제 1 판별부(14a)와 제 2 판별부(14b) 및 제 3 판별부(14c)를 모두 포함하는 구성을 도시하고 있으나, 실시 환경에 따라서 상기 영상 모드/3D 영상 포맷 판별부(14)는 제 1 판별부(14a), 제 2 판별부(14b) 및 제 3 판별부(14c) 중 적어도 하나를 구비하는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제 1 판별부(14a)는 외부 장치로부터 입력되는 영상 신호와 같이 수신되는 3D 시그널링 정보를 해독하여 영상 모드 및 3D 영상 포맷을 판별할 수 있다. 이러한 제 1 판별부(14a)는 디스플레이 장치(11)가 외부 장치로부터 3D 시그널링을 지원하는 고선명 멀티미디어 인터페이스(HDMI : High Definition Multimedia Interface)를 통하여 영상 신호를 입력 받는 경우에 사용될 수 있다. HDMI의 버전 1.4 등에서는 영상 모드가 2D 인지 또는 3D 인지를 시그널링하고, 3D인 경우에는 어느 3D 영상 포맷인지를 시그널링할 수 있다.
이 경우, 제 1 판별부(14a)는 HDMI 신호 내에 있는 특정 패킷, 예컨대 Vendor Specific InfoFrame의 HDMI_Video_Format 필드를 해독하여 입력 영상의 영상 모드를 판별할 수 있다. 이때, 입력 영상이 3D 모드의 영상인 경우 3D_Structure 필드를 해독하여 어떠한 포맷의 3D 영상인지 판별할 수 있다. 즉, 입력되는 영상의 3D 영상 포맷을 판별하는 것이다.
제 2 판별부(14b)는 디지털 방송 신호에 포함되어 전송되는 3D 시그널링 정보를 해독하여 영상 모드 및 3D 영상 포맷을 판별할 수 있다. 제 2 판별부(14b)는 디스플레이 장치(10)가 3D 시그널링 정보를 포함하는 디지털 방송 신호를 입력받는 경우에 사용될 수 있다. 디지털 방송에서는 MPEG-2 User_data 또는 MPEG-4 AVC(Advanced Video Coding)의 SEI(Supplemental Enhancement Information)를 통하여 영상 모드와 3D 영상 포맷에 대한 정보를 시그널링할 수 있다. 따라서 이 경우 제 2 판별부(14b)는 MPEG-2 User_data 또는 MPEG-4 AVC의 SEI를 해독하여 입력되는 영상의 영상 모드 및 3D 영상 포맷을 판별할 수 있다.
제 3 판별부(14c)는 디스플레이 장치(10)가 3D 시그널링 정보가 없는 영상 신호를 입력받는 경우에 사용될 수 있다. 이 경우, 제 3 판별부(14c)는 디스플레이부(18)를 통하여 영상 모드 및 3D 영상 포맷의 정보를 사용자가 설정할 수 있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하고, 이를 통하여 설정된 영상 모드 및 3D 영상 포맷에 따라 영상 모드 및 3D 영상 포맷을 판별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에, 사용자는 디스플레이부(18)에 의하여 디스플레이되는 영상의 영상 모드를 육안으로 파악하고 3D 모드의 영상인 경우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 예컨대 사용자 메뉴를 통하여 3D 모드의 영상이며, 어떠한 3D 영상 포맷인지를 설정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한 화면에서 좌측과 우측에 동일한 영상이 반씩 디스플레이되고 있는 경우, 영상 모드는 3D 모드이며, 3D 영상 포맷은 Side-by-Side에 해당되므로, 사용자는 디스플레이부(18)에서 디스플레이되는 사용자 메뉴를 통하여 입력받는 영상 신호가 3D 모드이며, 3D 영상 포맷은 Side-by-Side임을 설정할 수 있다. 그러면, 제 3 판별부(14c)는 사용자에 의하여 설정된 영상 모드 및 3D 영상 포맷에 따라 영상 모드 및 3D 영상 포맷을 판별할 수 있다.
변환부(11)에 구비되는 밝기 변환부(12)는 영상 모드/3D 포맷 판별부(14)에 의하여 판별된 영상 모드에 적합하도록 영상의 밝기를 자동으로 변환하다. 예컨대 입력 영상의 영상 모드가 3D 모드일 경우 입력 영상의 밝기를 미리 설정된 정보에 따라 더 밝게 변환할 수 있다. 밝기 변환부(12)는 밝기를 변환한 영상을 변환부(11)의 3D 영상 변환부(16)로 전달할 수 있다.
이러한 밝기 변환부(12)는 영상 모드에 대응하는 밝기 변환 정보를 포함하는 대응 테이블을 구비할 수 있다. 예컨대 대응 테이블은 입력 영상이 3D 모드일 경우 영상의 밝기를 얼마만큼 높이는지를 설정하는 정보일 수 있다. 즉 대응 테이블은 3D 모드에 대응되는 밝기 변환 값을 포함할 수 있다.
한편, 밝기 변환부(12)는 상기 영상 모드뿐만 아니라 디스플레이부(18)의 설정, 예컨대 디스플레이 방식을 고려하여 입력 영상의 밝기를 변환할 수도 있다. 이 경우 상기 대응 테이블은 영상 모드(2D 또는 3D)와 디스플레이부 설정 정보 및 이에 대응되는 밝기 변환 값을 포함할 수 있으며, 3D 뿐만 아니라 2D 모드의 영상인 경우에도 디스플레이부(18)의 설정 정보에 따라 밝기를 변환할 수 있다.
변환부(11)의 3D 영상 변환부(16)는 영상 모드/3D 영상 포맷 판별부(14)로부터 입력 영상의 3D 영상 포맷의 정보를 수신하고, 밝기 변환부(11)에 의하여 변환된 영상을 상기 수신된 3D 영상 포맷으로부터 디스플레이부(18)의 디스플레이 방식에 대응하는 3D 영상 포맷으로 변환할 수 있다. 3D 영상 변환부(16)는 디스플레이부(18)의 디스플레이 방식에 적합하도록 포맷을 변환한 영상을 디스플레이부(18)로 전송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입력 영상의 3D 영상 포맷이 Side-by-Side 포맷이라 가정하고 디스플레이부(18)의 디스플레이 방식이 Line Alternative 포맷을 지원하는 편광 필터 방식이라 가정하면, 3D 영상 변환부(16)는 밝기가 변환된 Side-by-Side 포맷의 영상을 디스플레이부(18)에 적합하도록 Line Alternative 포맷으로 변환할 수 있다.
반면, 입력 영상의 3D 영상 포맷이 Side-by-Side 포맷이라 가정하고 디스플레이부(18)의 디스플레이 방식이 Field Alternative 또는 Frame Alternative 포맷을 지원하는 셔터글라스 방식이라 가정하면, 3D 영상 변환부(16)는 밝기가 변환된 Side-by-Side 포맷의 영상을 디스플레이부(18)에 적합하도록 Field Alternative 또는 Frame Alternative 포맷 포맷으로 변환할 수 있다.
한편, 입력 영상이 2D 영상인 경우, 입력 영상은 밝기 변환부(12) 및 3D 영상 변환부(16)를 패스하여 디스플레이부(18)로 전달되거나 또는 밝기 변환부(12)에 의하여 디스플레이 설정에 따라 밝기가 변환된 후 3D 영상 변환부(16)를 패스하여 디스플레이부로 전달될 수도 있다.
디스플레이부(18)는 변환부(11)로부터 출력되는 영상을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예컨대, 디스플레이부(18)는 3D 영상 변환부(16)로부터 출력되는 3D 모드의 영상을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이때, 디스플레이되는 3D 모드의 영상은 밝기 변환부(12)에 의하여 변환되었으며(예컨대 2D 모드의 영상 보다 밝게 변환됨), 디스플레이부(18)의 디스플레이 방식에 적합한 3D 영상 포맷으로 변환된 영상이다. 따라서 사용자는 3D 모드 영상의 시청 시에도 2D 모드 영상에 비하여 어둡게 느끼지 않고 만족도 높은 영상을 시청할 수 있다. 한편 디스플레이부(18)는 2D 모드의 입력 영상 또는 밝기 변환부(12)로부터 변환된 2D 모드의 영상을 디스플레이할 수도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 1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방법의 구성을 도시하는 흐름도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먼저 디스플레이 장치(10)는 입력 영상의 영상 모드를 판별한다(단계:S1, S2). 예컨대 입력 영상이 2D 모드의 영상인지 3D 모드의 영상인지를 판별하는 것이다. 이러한 판별에서 상기 입력 영상이 3D 모드인 경우, 디스플레이 장치는 입력 영상의 3D 영상 포맷을 판별한다(단계:S3).
이러한 단계 S1 내지 S3의 좀더 구체적인 예를 들면, 디스플레이 장치(10)는 외부 장치로부터 3D 시그널링을 지원하는 HDMI를 통하여 영상 신호를 입력 받는 경우, HDMI 신호 내에 있는 특정 패킷, 예컨대 Vendor Specific InfoFrame 패킷의 HDMI_Video_Format 필드를 해독하여 입력되는 영상의 영상 모드를 판별할 수 있다. 이때, 입력되는 영상이 3D 모드의 영상인 것으로 판별되면, 디스플레이 장치(10)는 3D_Structure 필드를 해독하여 어떠한 포맷의 3D 영상인지 판별할 수 있다.
또는, 디스플레이 장치(10)는 3D 시그널링 정보를 포함하는 디지털 방송 신호를 입력받는 경우, 디지털 방송 신호의 MPEG-2 User_data 또는 MPEG-4 AVC의 SEI를 해독하여 입력되는 영상의 영상 모드 및 3D 영상 포맷을 판별할 수 있다. 한편, 디스플레이 장치(10)가 3D 시그널링 정보가 없는 영상 신호를 입력받는 경우, 디스플레이부(18)를 통하여 영상 모드 및 3D 영상 포맷의 정보를 사용자가 설정할 수 있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하고, 이를 통하여 설정된 영상 모드 및 3D 영상 포맷에 따라 영상 모드 및 3D 영상 포맷을 판별할 수 있다.
다음으로, 디스플레이 장치(10)는 판별된 영상 모드에 따라 입력 영상의 밝기를 변환한다(단계:S4). 예를 들면, 디스플레이 장치(10)는 입력 영상이 3D 모드로 판별되었을 경우, 입력 영상의 밝기를 미리 설정된 정보, 예컨대 대응 테이블을 기반으로 더 밝게 변환할 수 있다.
이어서, 디스플레이 장치(10)는 판별된 입력 영상의 3D 영상 포맷을 기반으로 상기 밝기가 변환된 영상을 디스플레이부(18)에서 요구하는 디스플레이 방식에 대응되는 3D 영상 포맷으로 변환한다(단계:S5). 즉 상기 판별된 3D 영상 포맷의 3D 영상을 디스플레이부(18)의 디스플레이 방식에 맞는 3D 영상 포맷의 3D 영상으로 변환하는 것이다. 포맷 변환이 완료되면, 디스플레이 장치(10)는 그 변환된 3D 영상을 디스플레이부(18)를 통하여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단계:S6).
한편, 영상 모드의 판별(단계:S1, S2)에서, 상기 입력 영상이 2D 모드인 것으로 판별되는 경우, 디스플레이 장치(10)는 입력 영상을 디스플레이부(18)로 전송하거나 또는 디스플레이 설정에 따른 밝기 변환을 수행할 수도 있다(단계:S8).
이상,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 1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 및 방법을 살펴보았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 및 방법에 따르면, 영상 모드에 따라 영상의 밝기를 자동으로 변환하며, 특히 3D 모드 영상에서 자동으로 영상을 밝게 변환할 수 있어, 사용자의 입장에서는 별도의 화면 밝기 설정 없이도 만족도 높은 3D 영상의 시청이 가능하다.
한편,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 1 실시예에서는, 입력 영상이 3D 모드의 영상인 경우, 입력 영상의 밝기를 먼저 변환하고 밝기가 변환된 입력 영상을 디스플레이 방식에 맞는 3D 영상 포맷으로 변환하는 예를 설명하였으나, 실시 환경에 따라서는 입력 영상을 디스플레이 방식에 맞게 3D 영상 포맷으로 변환한 후 포맷을 변환한 영상의 밝기를 변환하는 형태로도 구현 가능하다. 이하의 제 2 실시예에서는 이와 같이 3D 영상 포맷 변환 후 밝기 변환을 수행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및 방법을 설명하기로 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 2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20)의 구성을 도시하는 블록도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 2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20)는 영상 모드/3D 영상 포맷 판별부(24), 변환부(21) 및 디스플레이부(28)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변환부(21)는 3D 영상 변환부(22) 및 밝기 변환부(26)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디스플레이 장치는 도 1에 도시된 제 1 실시예의 디스플레이 장치에 비교하여 각부의 기본적인 동작은 동일하나 변환부(21)의 구성 즉, 3D 영상 변환부(22)와 밝기 변환부(26)의 처리 순서가 바뀌는 형태라 할 수 있다.
상기 영상 모드/3D 영상 포맷 판별부(24)는 앞서 설명한 제 1 실시예에서의 영상 모드/3D 영상 포맷 판별부(14)와 동일한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즉 입력 영상이 2D 모드의 영상인지 3D 모드의 영상인지를 판별하는 것이다. 영상 모드/3D 영상 포맷 판별부(24)는 판별된 영상 모드의 정보를 변환부(21)의 밝기 변환부(26)로 전달할 수 있다. 또한, 영상 모드/3D 영상 포맷 판별부(24)는, 입력 영상의 영상 모드가 3D 모드일 경우, 입력 영상의 3D 영상 포맷을 판별하여 변환부(21)의 3D 영상 변환부(22)로 전송할 수 있다.
이러한 영상 모드/3D 영상 포맷 판별부(24)는 제 1 판별부(24a), 제 2 판별부(24b) 및 제 3 판별부(24c)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이들은 앞선 실시예에서 설명하였던 도 1의 제 1 판별부(14a), 제 2 판별부(14b) 및 제 3 판별부(14c)와 동일한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변환부(21)의 3D 영상 변환부(22)는 영상 모드/3D 영상 포맷 판별부(24)로부터 판별된 3D 영상 포맷의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입력 영상을 상기 판별된 3D 영상 포맷으로부터 디스플레이부(28)의 디스플레이 방식에 대응하는 3D 영상 포맷으로 변환할 수 있다.
밝기 변환부(26)는 영상 모드/3D 포맷 판별부(24)에 의하여 판별된 영상 모드에 적합하도록 입력 영상 또는 3D 영상 변환부(22)로부터 변환된 영상의 밝기를 자동으로 변환하다. 예컨대 입력 영상의 영상 모드가 3D 모드일 경우, 밝기 변환부(26)는 3D 영상 변환부(22)에 의하여 변환된 영상의 밝기를 미리 설정된 정보에 따라 더 밝게 변환할 수 있다. 밝기 변환부(26)는 밝기를 변환한 3D 영상을 디스플레이부(28)로 전송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28)는 밝기 변환부로부터 전송되는 영상을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도 4는 도 3에 도시된 디스플레이 장치(20)의 동작 흐름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먼저, 디스플레이 장치(20)는 입력 영상의 모드를 판별한다(단계:S11, S12). 예컨대 입력 영상이 2D 모드의 영상인지 3D 모드의 영상인지를 판별하는 것이다. 이러한 판별에서 상기 입력 영상이 3D 모드인 경우, 디스플레이 장치(20)는 입력 영상의 3D 영상 포맷을 판별한다(단계:S13).
이어서, 디스플레이 장치(20)는 판별된 입력 영상의 3D 영상 포맷을 기반으로 입력 영상을 디스플레이부(28)에서 요구하는 디스플레이 방식에 대응되는 3D 영상 포맷으로 변환한다(단계:S14). 즉 상기 판별된 3D 영상 포맷의 3D 영상을 디스플레이부(28)의 디스플레이 방식에 맞는 3D 영상 포맷의 3D 영상으로 변환하는 것이다.
다음으로, 디스플레이 장치(20)는 판별된 영상 모드에 따라 상기 디스플레이 방식에 맞도록 변환된 3D 영상의 밝기를 변환한다(단계:S15). 즉 변환된 3D 영상의 밝기를 미리 설정된 정보를 기반으로 더 밝게 변환할 수 있다.
밝기 변환을 수행한 후, 디스플레이 장치(20)는 그 변환된 3D 영상을 디스플레이부(28)를 통하여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단계:S16). 한편, 영상 모드의 판별(단계:S11, S12)에서, 상기 입력 영상이 2D 모드인 것으로 판별되는 경우, 디스플레이 장치(20)는 입력 영상을 디스플레이부(28)로 전송하거나 또는 미리 정해진 디스플레이 설정에 따른 밝기 변환을 수행할 수도 있다(단계:S18).
이상 본 발명에 대하여 그 바람직한 실시예를 예시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는 하기의 특허 청구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기술적 사항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켜 실시할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앞으로의 실시예들의 변경은 본 발명의 기술을 벗어날 수 없을 것이다.
10, 20 : 디스플레이 장치
11, 21 : 변환부
12, 26 : 밝기 변환부
14, 24 : 판별부
14a, 24a: 제 1 판별부
14b, 24b: 제 2 판별부
14c, 24c: 제 3 판별부
16, 22 : 3D 영상 변환부
18, 28 : 디스플레이부

Claims (18)

  1. 입력 영상과 연계되는 정보를 획득하고, 상기 획득된 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입력 영상의 영상 모드를 판별하는 판별부;
    상기 입력 영상을 수신하고, 상기 판별부에 의하여 판별되는 영상 모드에 따라 상기 입력 영상의 밝기를 자동으로 변환하는 변환부; 및
    상기 변환부로부터 출력되는 영상을 디스플레이하는 디스플레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판별부는 상기 입력 영상의 영상 모드가 3D(3-Dimension) 모드인 경우, 상기 획득된 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입력 영상의 3D 영상 포맷을 판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변환부는,
    상기 판별부에 의하여 상기 입력 영상의 영상 모드가 3D 모드인 것으로 판별되면, 상기 입력 영상의 밝기를 미리 설정된 밝기 변환 정보를 기반으로 밝게 변환하는 밝기 변환부; 및
    상기 판별부에 의하여 판별되는 입력 영상의 3D 영상 포맷을 기반으로, 상기 입력 영상을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디스플레이 방식에 대응하는 3D 영상 포맷의 영상으로 변환하는 3D 영상 변환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변환부는,
    상기 판별부에 의하여 상기 입력 영상의 영상 모드가 3D 모드인 것으로 판별되면, 상기 판별부에 의하여 판별되는 상기 입력 영상의 3D 영상 포맷을 기반으로, 상기 입력 영상을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디스플레이 방식에 대응하는 3D 영상 포맷의 영상으로 변환하는 3D 영상 변환부; 및
    상기 판별부에 의하여 상기 입력 영상의 영상 모드가 3D 모드인 것으로 판별되면, 상기 3D 영상 변환부에 의하여 변환된 상기 입력 영상의 밝기를 미리 설정된 밝기 변환 정보를 기반으로 밝게 변환하는 밝기 변환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5.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변환부는,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디스플레이 방식이 편광 필터 방식인 경우, 상기 판별부에 의하여 판별되는 3D 영상 포맷의 영상을 라인 얼터너티브(Line Alternative) 포맷의 영상으로 변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6.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변환부는,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디스플레이 방식이 셔터글라스 방식인 경우, 상기 판별부에 의하여 판별되는 3D 영상 포맷의 영상을 필드 얼터너티브(Field Alternative) 포맷 및 프레임 얼터너티브(Frame Alternative) 포맷 중 어느 하나의 포맷으로 변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판별부는,
    외부 장치로부터 입력되는 영상 신호와 같이 수신되는 3D 시그널링 정보를 해독하여 상기 영상 모드 및 3D 영상 포맷을 판별하는 제 1 판별부;
    디지털 방송 신호에 포함되는 3D 시그널링 정보를 해독하여 상기 영상 모드 및 3D 영상 포맷을 판별하는 제 2 판별부; 및
    사용자 인터페이스로부터 입력되는 정보에 따라 상기 영상 모드 및 3D 영상 포맷을 판별하는 제 3 판별부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판별부는 HDMI(High Definition Multimedia Interface) 신호 내에 포함되는 'Vendor Specific InfoFrame' 패킷의 'HDMI Video Format' 필드를 해독하여 상기 입력 영상의 영상 모드를 판별하고, 상기 입력 영상이 3D 모드의 영상인 경우 '3D Structure' 필드를 해독하여 상기 입력 영상의 3D 영상 포맷을 판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9.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판별부는 상기 디지털 방송 신호 내의 'User_data'에 포함된 영상 모드 및 3D 영상 포맷의 정보를 해독하여 상기 입력 영상의 영상 모드 및 3D 영상 포맷을 판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10.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판별부는 상기 디지털 방송 신호 내의 SEI(Supplemental Enhancement Information)에 포함된 영상 모드 및 3D 영상 포맷의 정보를 해독하여 상기 입력 영상의 영상 모드 및 3D 영상 포맷을 판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11. 입력 영상과 연계되는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상기 획득된 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입력 영상의 영상 모드를 판별하는 단계;
    상기 판별되는 영상 모드에 따라 상기 입력 영상의 밝기를 자동으로 변환하는 단계; 및
    상기 밝기를 변환한 영상을 기반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영상을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방법.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판별 단계에서 상기 입력 영상의 영상 모드가 3D(3-Dimension) 모드인 경우, 상기 획득된 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입력 영상의 3D 영상 포맷을 판별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방법.
  13.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 영상의 밝기를 자동으로 변환하는 단계는,
    상기 판별 단계에서 상기 입력 영상의 영상 모드가 3D 모드인 것으로 판별되면, 상기 입력 영상의 밝기를 미리 설정된 밝기 변환 정보를 기반으로 밝게 변환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판별되는 입력 영상의 3D 영상 포맷을 기반으로, 상기 입력 영상을 디스플레이부의 디스플레이 방식에 대응하는 3D 영상 포맷의 영상으로 변환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방법.
  14.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판별 단계에서 상기 입력 영상의 영상 모드가 3D 모드인 것으로 판별되면, 상기 판별되는 상기 입력 영상의 3D 영상 포맷을 기반으로, 상기 입력 영상을 디스플레이부의 디스플레이 방식에 대응하는 3D 영상 포맷의 영상으로 변환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입력 영상의 밝기를 자동으로 변환하는 단계는,
    상기 디스플레이 방식에 대응하는 3D 영상 포맷으로 변환된 상기 입력 영상의 밝기를 미리 설정된 밝기 변환 정보를 기반으로 밝게 변환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방법.
  15.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판별 단계는,
    외부 장치로부터 입력되는 영상 신호와 같이 수신되는 3D 시그널링 정보를 해독하여 상기 영상 모드 및 3D 영상 포맷을 판별하는 단계;
    디지털 방송 신호에 포함되는 3D 시그널링 정보를 해독하여 상기 영상 모드 및 3D 영상 포맷을 판별하는 단계; 및
    사용자 인터페이스로부터 입력되는 정보에 따라 상기 영상 모드 및 3D 영상 포맷을 판별하는 단계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방법.
  16.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 장치로부터 입력되는 영상 신호와 같이 수신되는 3D 시그널링 정보를 해독하여 상기 영상 모드 및 3D 영상 포맷을 판별하는 단계는,
    HDMI(High Definition Multimedia Interface) 신호 내에 포함되는 'Vendor Specific InfoFrame' 패킷의 'HDMI Video Format' 필드를 해독하여 상기 입력 영상의 영상 모드를 판별하는 단계; 및
    상기 입력 영상이 3D 모드의 영상인 경우 '3D Structure' 필드를 해독하여 상기 입력 영상의 3D 영상 포맷을 판별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방법.
  17.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디지털 방송 신호에 포함되는 3D 시그널링 정보를 해독하여 상기 영상 모드 및 3D 영상 포맷을 판별하는 단계는,
    상기 디지털 방송 신호 내의 'User_data'에 포함된 영상 모드 및 3D 영상 포맷의 정보를 해독하여 상기 입력 영상의 영상 모드 및 3D 영상 포맷을 판별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방법.
  18.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디지털 방송 신호에 포함되는 3D 시그널링 정보를 해독하여 상기 영상 모드 및 3D 영상 포맷을 판별하는 단계는,
    상기 디지털 방송 신호 내의 SEI에 포함된 영상 모드 및 3D 영상 포맷의 정보를 해독하여 상기 입력 영상의 영상 모드 및 3D 영상 포맷을 판별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방법.
KR1020100130203A 2010-12-17 2010-12-17 영상 모드에 따라 영상의 밝기를 자동으로 조정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및 방법 KR101748765B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30203A KR101748765B1 (ko) 2010-12-17 2010-12-17 영상 모드에 따라 영상의 밝기를 자동으로 조정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및 방법
PCT/KR2011/009402 WO2012081855A2 (ko) 2010-12-17 2011-12-07 영상 모드에 따라 영상의 밝기를 자동으로 조정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및 방법
US13/994,634 US20130265391A1 (en) 2010-12-17 2011-12-07 Display device and method for automatically adjusting the brightness of an image according to the image mode
DE112011104399T DE112011104399T5 (de) 2010-12-17 2011-12-07 Anzeigevorrichtung und Verfahren zum automatischen Einstellen der Helligkeit eines Bildes in Übereinstimmung mit dem Bildmodu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30203A KR101748765B1 (ko) 2010-12-17 2010-12-17 영상 모드에 따라 영상의 밝기를 자동으로 조정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및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68539A true KR20120068539A (ko) 2012-06-27
KR101748765B1 KR101748765B1 (ko) 2017-06-19

Family

ID=4624519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130203A KR101748765B1 (ko) 2010-12-17 2010-12-17 영상 모드에 따라 영상의 밝기를 자동으로 조정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20130265391A1 (ko)
KR (1) KR101748765B1 (ko)
DE (1) DE112011104399T5 (ko)
WO (1) WO2012081855A2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2039476A (ja) * 2010-08-09 2012-02-23 Sony Corp 送受信装置および送受信方法
EP3107288B1 (en) * 2014-02-10 2020-09-09 LG Electronics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transmitting/receiving broadcast signal for 3-dimensional (3d) broadcast service

Family Cites Families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254265B2 (en) * 2000-04-01 2007-08-07 Newsight Corporation Methods and systems for 2D/3D image conversion and optimization
JP2002026812A (ja) * 2000-07-05 2002-01-25 Sharp Corp 電源制御装置およびリモコン用受信装置および光通信装置
KR101092438B1 (ko) * 2004-08-05 2011-12-13 엘지전자 주식회사 케이블 방송 수신기 및 그의 진단 방법
KR20060055723A (ko) * 2004-11-19 2006-05-24 엘지전자 주식회사 밝기조절이 가능한 평판형 영상표시장치
US20060139448A1 (en) * 2004-12-29 2006-06-29 Samsung Electronics Co., Ltd. 3D displays with flexible switching capability of 2D/3D viewing modes
JP4561525B2 (ja) * 2005-08-10 2010-10-13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表示装置および遊技機
JP5057820B2 (ja) * 2007-03-29 2012-10-24 株式会社東芝 デジタルストリームの記録方法、再生方法、記録装置、および再生装置
US8029139B2 (en) * 2008-01-29 2011-10-04 Eastman Kodak Company 2D/3D switchable color display apparatus with narrow band emitters
KR101520620B1 (ko) * 2008-08-18 2015-05-18 삼성전자주식회사 2차원/3차원 재생 모드 결정 방법 및 장치
CN102388620B (zh) * 2009-02-01 2014-10-29 Lg电子株式会社 广播接收机和三维视频数据处理方法
WO2010150976A2 (en) * 2009-06-23 2010-12-29 Lg Electronics Inc. Receiving system and method of providing 3d image
US9206039B2 (en) * 2010-05-21 2015-12-08 The Regents Of The University Of California Synthesis of nanopeapods by galvanic displacement of segmented nanowires
US20120081523A1 (en) * 2010-10-04 2012-04-05 Shu-Ming Liu 2d/3d compatible display system which automatically switches operational mode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DE112011104399T5 (de) 2013-10-02
WO2012081855A3 (ko) 2012-10-11
US20130265391A1 (en) 2013-10-10
WO2012081855A2 (ko) 2012-06-21
KR101748765B1 (ko) 2017-06-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10298795A1 (en) Transferring of 3d viewer metadata
US9549165B2 (en) Method for displaying three-dimensional user interface
EP2685735A1 (en) Image display method and menu display method
EP3471405A1 (en) Video signal transmission method and apparatus
EP2299724A2 (en) Video processing system and video processing method
US20110279645A1 (en) Transferring of 3d image data
EP2429197B1 (en) A method and a system for generating a signal for a video display unit
EP2560396A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displaying images
EP2611162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displaying
US9247240B2 (en) Three-dimensional glasses, three-dimensional image display apparatus, and method for driving the three-dimensional glasses and the three-dimensional image display apparatus
EP2424259A2 (en) Stereoscopic video display system with 2D/3D shutter glasses
JP4762343B2 (ja) 画質調整装置および画質調整方法
KR102192986B1 (ko) 영상 디스플레이 장치 및 영상 디스플레이 방법
US9392251B2 (en) Display apparatus, glasses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depth
KR101748765B1 (ko) 영상 모드에 따라 영상의 밝기를 자동으로 조정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및 방법
WO2011089229A1 (en) A digital video signal, a method for encoding of a digital video signal and a digital video signal encoder
US20120081513A1 (en) Multiple Parallax Image Receiver Apparatus
KR20150031994A (ko) 디스플레이 장치 및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어방법
US9117387B2 (en) Image display apparatus and method for operating the same
KR20110135053A (ko) 3차원 영상의 화질 개선 방법 및 그에 따른 디지털 방송 수신기
JP5496802B2 (ja) 画像表示装置、制御方法、プログラム、及び、記録媒体
KR101620969B1 (ko) 디스플레이 장치 및 이에 적용되는 3d 영상 미리보기 제공 방법, 그리고 3d 영상 제공 시스템
CN202798951U (zh) 一种双画面osd显示装置
KR101713786B1 (ko) 디스플레이 장치 및 이에 적용되는 gui 제공 방법
KR20120009862A (ko) 3차원 영상 표시 방법 및 그에 따른 3차원 영상 표시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