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067095A - 근접 센서를 구비한 단말장치 및 근접 센서를 이용한 출력 신호 제어 방법 - Google Patents

근접 센서를 구비한 단말장치 및 근접 센서를 이용한 출력 신호 제어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067095A
KR20120067095A KR1020100128525A KR20100128525A KR20120067095A KR 20120067095 A KR20120067095 A KR 20120067095A KR 1020100128525 A KR1020100128525 A KR 1020100128525A KR 20100128525 A KR20100128525 A KR 20100128525A KR 20120067095 A KR20120067095 A KR 2012006709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roximity
call mode
signal
upper limit
outpu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12852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미영
조성우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케이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케이티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케이티
Priority to KR102010012852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20067095A/ko
Publication of KR2012006709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67095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48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adapting the functionality of the device according to specific conditions
    • H04M1/7245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adapting the functionality of the device according to specific conditions according to context-related or environment-related condi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03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50/00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 H04M2250/12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including a sensor for measuring a physical value, e.g. temperature or mo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통화 기능이 구비된 단말장치는 인체의 근접 여부를 감지하여 근접 신호를 생성하는 근접 센서, 근접 신호에 따라 기지국으로부터 수신되는 무선 신호의 출력 상한값을 조절하는 제어부 및 무선 안테나를 통해 수신되는 신호를 출력 상한값을 이용하여 증폭하는 전력 증폭 모듈을 포함한다. 즉 인체가 단말장치에 근접하지 않은 상태에서 이루어지는 통화 모드에서는 출력 상한값을 SAR(Specific Absorption Rate) 규격을 위반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증가시킨다.

Description

근접 센서를 구비한 단말장치 및 근접 센서를 이용한 출력 신호 제어 방법{TERMINALT UNIT WITH PROXIMITY SENSOR AND METHOD FOR CONTROLLING OUTPUT SIGNAL THE PROXIMITY SENSOR}
본 발명은 근접 센서를 구비한 단말장치 및 근접 센서를 이용한 출력 신호 제어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인체 중 머리에 근접한 위치에서 사용되는 통화 기능이 구비된 단말장치는 전자파 비흡수율(Specific Absorption Rate : SAR)에 대한 국내외 규격이 존재하며, 인체의 머리에 근접한 위치에서 사용되는 휴대용 무선기기에 적용된다.
이러한 전자파 비흡수율은 생체조직에 흡수되는 단위 질량당 에너지율을 의미하며, 단위는 mW/g로서 국내 전파 연구소 규격은 1.6mW/g이고, 단말 제조사 자체 규격은 1.4mW/g이다.
전자파 비흡수율 규격의 제약으로 인한 단말기 출력 신호의 상한(Max Power Limit)은 약 24dBm로 고정되어 있다. 이러한 상한값은 3GPP 34.121 Power Class 3 규격에 정의되어 있다.
그런데 이러한 상한값은 디폴트로 고정되므로, 인체의 머리에 근접한 위치에서 사용되지 않는 비근접 통화 모드 예를 들면, 비디오(Video), 메시지(Message), 데이터 서비스(Data) 또는 이어폰을 사용한 통화시에도 인체의 머리에 근접한 위치에서 사용되는 전자파 비흡수율에 따른 단말기 출력 신호의 상한을 적용하므로, 단말기 최대 파워(Max Power) 상향에 제약 사양이 되고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근접 센서를 이용하여 인체의 머리가 근접하는 근접 통화 모드와 근접하지 않는 비근접 통화 모드를 구분하고, 근접 여부에 따른 통화 모드 별로 단말 출력 신호를 상이하게 제어하는 단말장치 및 출력 신호 제어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한 특징에 따르면 단말장치가 제공된다. 이 장치는, 통화 기능을 구비하는 단말장치에 있어서, 인체의 근접 여부를 감지하여 근접 신호를 생성하는 근접 센서; 상기 근접 신호에 따라 기지국으로부터 수신되는 무선 신호의 출력 상한값을 조절하는 제어부; 및 무선 안테나를 통해 수신되는 신호를 상기 출력 상한값을 이용하여 증폭하는 전력 증폭 모듈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다른 특징에 따르면 출력 신호 제어 방법이 제공된다. 이 방법은, 단말장치가 출력 신호를 제어하는 방법에 있어서, 근접 센서로부터 인체의 근접 여부 감지에 따른 근접 신호가 발생하는 단계; 상기 근접 신호에 따라 기지국으로부터 수신되는 무선 신호의 출력 상한값을 결정하는 단계; 및 결정된 출력 상한값을 이용하여 상기 무선 신호를 증폭하여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인체의 근접 여부에 따라 통화 모드를 근접 통화 모드와 비근접 통화 모드로 구분하고, 비근접 통화 모드일 경우 출력 신호의 최대 상한값을 디폴트값보다 일정 범위 이상 상승시켜 단말의 송수신 능력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단말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출력 신호 제어를 수행하는 메인 프로세서의 세부적인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출력 신호 제어 방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출력 신호 제어 방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출력 신호 제어 방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출력 신호 제어 방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 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 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 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이하, 도면을 참조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근접 센서를 구비한 단말장치 및 근접 센서를 이용한 출력 신호 제어 방법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단말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단말장치(100)는 안테나(110), 듀플렉서(120), 저잡음 증폭기(130), 전력 증폭 모듈(140), 변조부(150), 메인 프로세서(160), 스피커(170), 마이크(180) 및 근접 센서(190)를 포함한다.
여기서, 단말장치(100)는 안테나(110)를 통해 수신되는 무선 신호를 처리하는 수신부 구성만을 도시한다.
안테나(110)를 통해 송수신되는 무선 신호는 기지국(미도시)에서 단말장치(100)로의 다운링크 패스(Downlink Path)와 단말장치(100)에서 기지국(미도시)으로의 업링크 패스(Uplink Path)를 가진다. 이때, 다운링크 패스(Downlink Path)와 업링크 패스(Uplink Path)는 듀플렉서(Duplexer)(120)에 의해 분리 결합된다.
저잡음 증폭기(130)는 듀플렉서(120)에서 사용 대역만을 여파된 신호를 받아 저잡음 증폭한다.
전력 증폭 모듈(140)은 메인 프로세서(160)의 제어하에 듀플렉서(120)가 출력하는 신호 즉 기지국(미도시)으로부터 수신되는 무선 신호를 증폭하는데, 증폭 범위는 출력 상한값 이내이다.
변조부(150)는 저잡음 증폭기(130) 및 전력 증폭 모듈(140)로부터 출력되는 신호를 복조한다.
메인 프로세서(160)는 변조부(150)가 출력하는 신호를 처리하여 단말의 다양한 기능을 수행하는데, 예컨대 통화 기능, 메시지 서비스(SMS, MMS) 기능, VOD(Video on demand)와 같은 데이터 서비스 기능을 수행한다.
메인 프로세서(160)는 전력 증폭 모듈(140)을 출력 상한값을 조절하고, 전력 증폭 모듈(140)에 의해 증폭된 신호를 스피커(170)를 통해 출력한다. 그리고 마이크(180)로부터 음성 신호를 입력받는다.
이때, 메인 프로세서(160)는 근접 센서(190)로부터 수신되는 근접 신호에 따라 기지국(미도시)으로부터 수신되는 무선 신호 즉 전력 증폭 모듈(140)의 출력 상한값을 조절한다.
여기서, 근접 센서(190)는 인체의 근접 여부를 감지하여 근접 신호를 생성한다. 이때, 근접 센서(190)는 물리적인 접촉없이 전자계의 힘을 이용하여 물체의 존재여부, 통과, 연속흐름, 적체 등의 감지 및 위치 제어에 이용하는 센서이다. 근접 센서는 검출 원리에 따라 고주파 발진형, 정전 용량형, 자기형, 광전형, 초음파형 등으로 분류할 수 있다.
또한, 근접 센서(190)는 인체와의 근접 거리를 측정할 수 있다.
그러면, 이러한 메인 프로세서(160)의 세부적인 동작에 대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출력 신호 제어를 수행하는 메인 프로세서의 세부적인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여기서, "…부"등의 용어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처리하는 단위를 의미하며, 이는 하드웨어나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의 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도 2를 참조하면, 메인 프로세서(160)는 감지부(162), 전력 제어부(164) 및 저장부(166)를 포함한다.
감지부(162)는 근접 센서(190)와 연결되어 근접 센서(190)로부터 인체의 근접 여부에 따른 근접 신호를 수신한다.
전력 제어부(164)는 감지부(162)로부터 전달받은 근접 신호를 분석하여 근접 통화 모드인지 비근접 통화 모드인지를 판단한다. 그리고 판단된 근접 통화 모드 또는 비근접 통화 모드에 대해 기 정의된 출력 상한값 즉 Conduction Max Power를 결정하여 전력 증폭 모듈(140)로 제공한다. 전력 증폭 모듈(140)은 전력 제어부(164)가 결정한 출력 상한값을 이용하여 무선 신호의 전력을 증폭한다.
이때, 근접 통화 모드는 인체 특히 인체의 머리가 단말장치(100)에 근접한 상태에서 통화가 이루어지는 모드로 정의된다. 즉 송수화부 예를 들어 스피커 부분에 인체의 머리를 맞닿은 상태에서 통화가 이루어지는 모드이다.
또한, 비근접 통화 모드는 인체가 단말장치(100)로부터 떨어진 상태에서 통화가 이루어지는 모드로 정의된다. 즉 인체 특히 인체의 머리가 단말장치(100)와 맞닿지 않은 상태 예를 들어 이어폰을 착용한 상태에서 통화가 이루어지거나 데이터 통신, 메시지 서비스, 영상 통화 이용 등의 화면을 주시하는 상태에서 통화가 이루어지는 모드이다.
저장부(166)는 근접 통화 모드 및 비근접 통화 모드 각각에 대한 무선 신호의 출력 상한값이 서로 다르게 매핑된 정보를 저장한다.
여기서, SAR(Specific Absorption Rate)은 통화를 위해 발생되는 출력 전력에 대해서만 정해져 있다.
근접 통화 모드는 종래의 이동통신 단말에서 SAR 규격을 준수하여 정해진 디폴트 출력 상한값이 매핑된다. 즉 3GPP 34.121 Power Class 3 규격에 정의된 24dBm이 매핑된다.
또한, 비근접 통화 모드는 SAR에 정해진 규격을 초과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정해진 최대의 출력값이 매핑된다. 예를 들어, 28dBm ~ 28.5dBm이 될 수 있다.
그러면, 이상 설명한 내용에 기초하여 단말장치(100)의 출력 신호 제어 방법에 대해 실시예 별로 설명한다. 도 1 및 도 2와 동일한 구성 요소에 대한 설명은 동일한 도면 부호를 사용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출력 신호 제어 방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저장부(166)의 디폴트 출력 상한값은 24dBm으로 설정(S101)되어 있다.
전력 제어부(164)는 단말의 동작 모드를 확인하여 발신 또는 착신의 통화 모드인지를 판단한다(S103). 여기서, 단말의 동작 모드에 대한 구성은 메인 프로세서(160)의 기능에 해당되며, 일반적인 이동통신 단말의 구성에 해당되므로, 따로 명시하지 않는다.
이때, 발신 또는 착신의 통화 모드인 경우, 전력 제어부(164)는 감지부(162)를 통해 근접 센서(190)가 생성하는 근접 신호를 감지한다(S105).
전력 제어부(164)는 근접 신호를 분석하여 근접 통화 모드인지 또는 비근접 통화 모드인지를 판단한다(S107).
전력 제어부(164)는 S107 단계에서 근접 통화 모드로 판단되는 경우, S101 단계에서 디폴트로 설정된 출력 상한값을 유지한다. 그러면, 전력 증폭 모듈(140)은 디폴트로 설정된 출력 상한값을 이용하여 통화 신호를 증폭한다(S109).
한편, 전력 제어부(164)는 S107 단계에서 비근접 통화 모드로 판단되는 경우, 출력 상한값을 SAR 규격에 정의된 값 이내에서 증가시키는데, 28dBm~28.5dBm으로 증가 설정한다(S111).
그러면, 전력 증폭 모듈(140)은 S111 단계에서 설정된 출력 상한값을 이용하여 통화 신호를 증폭한다(S113).
이후, 전력 제어부(164)는 통화의 종료 여부를 판단(S115)하여 통화가 종료되는 경우, 출력 상한값을 S101 단계에서 설정된 디폴트 출력 상한값으로 전환한다(S117).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출력 신호 제어 방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저장부(166)의 디폴트 출력 상한값은 24dBm으로 설정(S201)되어 있다.
전력 제어부(164)는 단말의 동작 모드를 확인하여 발신 또는 착신의 통화 모드인지를 판단한다(S203).
이때, 발신 또는 착신의 통화 모드인 경우, 전력 제어부(164)는 감지부(162)를 통해 근접 센서(190)가 생성하는 근접 신호를 감지한다(S205).
여기서, 근접 센서(190)는 인체와의 근접 거리를 측정할 수 있고, 근접 거리 측정을 위해 열, 빛, 전파, 초음파, 적외선 등을 이용할 수 있다. 그리고 근접 신호에 근접 거리 정보를 포함시켜 전력 제어부(164)에 제공한다.
전력 제어부(164)는 근접 신호로부터 근접 거리 정보를 추출(S207)하여 근접 거리 정보에 매핑되는 통화 모드를 확인한다(S209).
여기서, 저장부(166)는 근접 통화 모드, 비근접 통화 모드 각각에 출력 상한값과 더불어 근접 거리 정보가 매핑되어 저장된다.
이때, 근접 거리 정보는 근접 통화 모드와 비근접 통화 모드를 구분하기 위한 기준이 되는 임계치를 이용하여 임계치 거리보다 크면 비근접 통화 모드, 임계치 거리보다 작으면 근접 통화 모드로 설정될 수 있다.
혹은 근접 거리 정보는 근접 통화 모드와 비 근접 통화 모드 각각에 대한 일정 범위의 거리 정보로 설정될 수 있다.
전력 제어부(164)는 S207 단계에서 추출한 근접 거리 정보와 저장부(166)에 저장된 근접 거리 정보를 비교하여 근접 통화 모드인지 또는 비근접 통화 모드인지를 판단한다(S211).
전력 제어부(164)는 S107 단계에서 근접 통화 모드로 판단되는 경우, S201 단계에서 디폴트로 설정된 출력 상한값을 유지한다. 그러면, 전력 증폭 모듈(140)은 디폴트로 설정된 출력 상한값을 이용하여 통화 신호를 증폭한다(S213).
한편, 전력 제어부(164)는 S211 단계에서 비근접 통화 모드로 판단되는 경우, 출력 상한값을 SAR 규격에 정의된 값 이내에서 증가시키는데, 28dBm~28.5dBm으로 증가 설정한다(S215).
그러면, 전력 증폭 모듈(140)은 S215 단계에서 설정된 출력 상한값을 이용하여 통화 신호를 증폭한다(S217).
이후, 전력 제어부(164)는 통화의 종료 여부를 판단(S219)하여 통화가 종료되는 경우, 출력 상한값을 S201 단계에서 설정된 디폴트 출력 상한값으로 전환한다(S221).
도 5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출력 신호 제어 방법을 나타낸 순서도로서, 도 3의 S113 단계 이후, 도 4의 S217 단계 이후 추가될 수 있다.
도 5를 참조하면, 전력 제어부(164)는 비근접 통화 모드 상태에서 근접 신호가 감지(S301)되는 경우, 근접 신호를 토대로 근접 통화 모드를 나타내는지를 판단한다(S303).
이때, 근접 통화 모드를 나타내는 경우, 전력 제어부(164)는 디폴트 출력 상한값 즉 근접 통화 모드에 매핑된 24dBm의 출력 상한값으로 전환한다(S305).
도 6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출력 신호 제어 방법을 나타낸 순서도도로서, 도 3의 S109 단계 이후, 도 4의 S213 단계 이후 추가될 수 있다.
도 6을 참조하면, 전력 제어부(164)는 근접 통화 모드 상태에서 근접 신호가 감지(S401)되는 경우, 근접 신호를 토대로 비근접 통화 모드를 나타내는지를 판단한다(S403).
이때, 비근접 통화 모드를 나타내는 경우, 전력 제어부(164)는 출력 상한값 을 비근접 통화 모드에 매핑된 28dBm~28.5dBm의 출력 상한값으로 증가시킨다(S405).
이상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음의 청구범위에서 정의하고 있는 본 발명의 기본 개념을 이용한 당업자의 여러 변형 및 개량 형태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하는 것이다.
100: 단말장치 110: 안테나
120: 듀플렉서 130: 저잡음 증폭기
140: 전력 증폭 모듈 150: 복조부
160: 메인 프로세서 162: 감지부
164: 전력 제어부 166: 저장부
170: 스피커 180: 마이크
190: 근접 센서

Claims (14)

  1. 통화 기능을 구비하는 단말장치에 있어서,
    인체의 근접 여부를 감지하여 근접 신호를 생성하는 근접 센서;
    상기 근접 신호에 따라 기지국으로부터 수신되는 무선 신호의 출력 상한값을 조절하는 제어부; 및
    무선 안테나를 통해 수신되는 신호를 상기 출력 상한값을 이용하여 증폭하는 전력 증폭 모듈
    을 포함하는 단말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인체가 단말장치와 근접한 상태에서 통화가 이루어지는 근접 통화 모드 및 상기 인체가 단말장치와 떨어진 상태에서 통화가 이루어지는 비근접 통화 모드 각각에 대한 상기 무선 신호의 출력 상한값이 서로 다르게 매핑된 정보를 저장하는 저장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근접 신호를 토대로 상기 근접 통화 모드인지 또는 상기 비근접 통화 모드인지를 판단하고, 판단된 통화 모드에 매핑된 출력 상한값을 상기 저장부로부터 획득하여 설정하는 단말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저장부는,
    상기 근접 통화 모드는 이동통신 단말의 디폴트 출력 상한값이 매핑되고, 상기 비근접 통화 모드는 전자파 비흡수율에 정해진 규격을 초과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정해진 최대의 출력값이 매핑되는 단말장치.
  4. 제2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근접 센서는,
    상기 인체와의 근접 거리를 측정하여 근접 거리 정보가 포함된 근접 신호를 생성하며,
    상기 저장부는,
    상기 근접 통화 모드에 해당하는 근접 거리 정보 및 상기 비근접 통화 모드에 해당하는 근접 거리 정보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근접 신호에 포함된 근접 거리 정보를 분석하여 상기 저장부에 저장된 근접 거리 정보와 비교하여 해당하는 통화 모드를 판단하는 단말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단말장치의 동작 모드가 발신 또는 착신의 통화 모드일 경우, 상기 무선 신호의 출력 상한값 조절을 수행하는 단말장치.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근접 통화 모드로 동작하는 중에 비근접 통화 모드를 나타내는 근접 신호가 감지되는 경우, 무선 신호의 출력 상한값을 비근접 통화 모드에 매핑된 출력 상한값으로 재조정하고, 비근접 통화 모드로 동작하는 중에 근접 통화 모드를 나타내는 근접 신호가 감지되는 경우, 무선 신호의 출력 상한값을 근접 통화 모드에 매핑된 출력 상한값으로 재조정하는 단말장치.
  7. 단말장치가 출력 신호를 제어하는 방법에 있어서,
    근접 센서로부터 인체의 근접 여부 감지에 따른 근접 신호가 발생하는 단계;
    상기 근접 신호에 따라 기지국으로부터 수신되는 무선 신호의 출력 상한값을 결정하는 단계; 및
    결정된 출력 상한값을 이용하여 상기 무선 신호를 증폭하여 출력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출력 신호 제어 방법.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근접 신호를 분석하여 인체가 단말장치와 근접한 상태에서 통화가 이루어지는 근접 통화 모드 및 상기 인체가 단말장치와 떨어진 상태에서 통화가 이루어지는 비근접 통화 모드 인지를 판단하는 단계; 및
    판단된 통화 모드에 매핑되어 저장되어 있는 출력 상한값을 상기 무선 신호의 출력 상한값으로 결정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출력 신호 제어 방법.
  9. 제8항에 있어서,
    근접 통화 모드 및 비근접 통화 모드 각각에는 상기 무선 신호의 출력 상한값이 서로 다르게 매핑되어 있고, 상기 비근접 통화 모드에 매핑된 출력 상한값이 상기 근접 통화 모드에 매핑된 출력 상한값보다 큰 값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출력 신호 제어 방법.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근접 통화 모드는 이동통신 단말의 디폴트 출력 상한값이 매핑되고, 상기 비근접 통화 모드는 전자파 비흡수율에 정해진 규격을 초과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정해진 최대의 출력값이 매핑되는 출력 신호 제어 방법.
  11. 제7항 내지 제1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근접 센서로부터 생성된 근접 신호는 인체와의 근접 거리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판단하는 단계는,
    상기 근접 신호에 포함된 근접 거리 정보를 상기 근접 통화 모드 및 상기 비근접 통화 모드 각각에 매핑되어 기 저장된 근접 거리 정보와 비교하는 단계; 및
    상기 비교 결과, 일치하는 근접 거리 정보에 매핑된 통화 모드를 확인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출력 신호 제어 방법.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발생하는 단계와, 상기 결정하는 단계 사이에,
    현재 단말장치의 동작 모드가 발신 또는 착신의 통화 모드인지를 판단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발신 또는 착신의 통화 모드일 경우, 상기 결정하는 단계를 수행하는 출력 신호 제어 방법.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결정하는 단계는 근접 통화 모드에 따른 출력 상한값을 결정하고,
    상기 결정하는 단계 이후,
    근접 신호를 감지하는 단계; 및
    상기 근접 신호가 비근접 통화 모드를 나타내는 경우, 상기 출력 상한값을 비근접 통화 모드에 해당하는 출력 상한값으로 상승시키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출력 신호 제어 방법.
  14.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결정하는 단계는 비근접 통화 모드에 따른 출력 상한값을 결정하고,
    상기 결정하는 단계 이후,
    근접 신호를 감지하는 단계; 및
    상기 근접 신호가 근접 통화 모드를 나타내는 경우, 상기 출력 상한값을 근접 통화 모드에 해당하는 출력 상한값으로 전환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출력 신호 제어 방법.
KR1020100128525A 2010-12-15 2010-12-15 근접 센서를 구비한 단말장치 및 근접 센서를 이용한 출력 신호 제어 방법 KR20120067095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28525A KR20120067095A (ko) 2010-12-15 2010-12-15 근접 센서를 구비한 단말장치 및 근접 센서를 이용한 출력 신호 제어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28525A KR20120067095A (ko) 2010-12-15 2010-12-15 근접 센서를 구비한 단말장치 및 근접 센서를 이용한 출력 신호 제어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67095A true KR20120067095A (ko) 2012-06-25

Family

ID=4668624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128525A KR20120067095A (ko) 2010-12-15 2010-12-15 근접 센서를 구비한 단말장치 및 근접 센서를 이용한 출력 신호 제어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20067095A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40009894A (ko) * 2012-07-13 2014-01-23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 및 이의 제어 방법
US10139887B2 (en) 2013-04-16 2018-11-27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of controlling power and electronic device thereof
WO2022186497A1 (ko) * 2021-03-04 2022-09-09 삼성전자 주식회사 방사 전력의 조절 방법 및 전자 장치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40009894A (ko) * 2012-07-13 2014-01-23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 및 이의 제어 방법
US10139887B2 (en) 2013-04-16 2018-11-27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of controlling power and electronic device thereof
WO2022186497A1 (ko) * 2021-03-04 2022-09-09 삼성전자 주식회사 방사 전력의 조절 방법 및 전자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463306B2 (ja) 高周波輻射の検知及び評価
US10063964B2 (en) Electronic device with wireless power control system
KR102161424B1 (ko) 무선 통신 장치의 전자파 인체흡수율을 제어하기 위한 방법 및 무선 통신 장치
US10621979B2 (en) Speech recognition method and mobile terminal
KR101722237B1 (ko) 휴대단말기의 통신 전력 제어장치 및 방법
US20130238913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power management
EP3026821A1 (en) An apparatus for intelligently reducing a specific absorbtion rate, a protective case and a terminal
AU2019203238B2 (en) Recordal of potential harmful radiation
KR20130008947A (ko) 휴대단말기의 송신출력 제한장치 및 방법
US10103763B2 (en) Remedial signal generator
KR20120067095A (ko) 근접 센서를 구비한 단말장치 및 근접 센서를 이용한 출력 신호 제어 방법
JP2012239108A (ja) 携帯端末装置、sar値低減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KR102155555B1 (ko) 보청기 호환성 모드를 제공하기 위한 방법 및 그 전자 장치
CN107612573A (zh) 一种穿戴设备的sar值调整方法及穿戴设备
KR20170037924A (ko) 휴대단말기의 통신 전력 제어장치 및 방법
KR20110093031A (ko) 이동통신 단말기 및 그 구동방법
JP2013118565A (ja) 携帯端末及び近接センサ
KR20150048065A (ko) 스피커 제어 전자 기기 및 전자 기기를 이용한 스피커 제어 방법
JP6951319B2 (ja) 補償信号発生器
US20200091950A1 (en) Telephone handset containing a remedial devi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