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048065A - 스피커 제어 전자 기기 및 전자 기기를 이용한 스피커 제어 방법 - Google Patents

스피커 제어 전자 기기 및 전자 기기를 이용한 스피커 제어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048065A
KR20150048065A KR1020140144948A KR20140144948A KR20150048065A KR 20150048065 A KR20150048065 A KR 20150048065A KR 1020140144948 A KR1020140144948 A KR 1020140144948A KR 20140144948 A KR20140144948 A KR 20140144948A KR 20150048065 A KR20150048065 A KR 2015004806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peaker
output
call
electronic device
us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4494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현수
Original Assignee
바쉔(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바쉔(주) filed Critical 바쉔(주)
Publication of KR2015004806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48065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24/00Supervisory, monitoring or testing arrangemen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52/00Power management, e.g. TPC [Transmission Power Control], power saving or power classes
    • H04W52/02Power saving arrangements
    • H04W52/0209Power saving arrangements in terminal devi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8/0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e.g. terminals, base stations or access point devices
    • H04W88/02Terminal de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스피커 제어 전자 기기 및 전자 기기를 이용한 스피커 제어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전자 기기 사용에 지속적으로 발생하는 출력으로 인한 전자파의 피해를 줄이기 위하여 무선 송신 전력 측정과 전자 기기와 사용자의 근접 위치 감지를 이용하여 전자파 알림 기능과 더불어 출력이 큰 스피커나 핸즈프리 장치와 같은 이격 통화 장치로 통화를 전환하게 하고, 또한 전자파 사용 실태를 알게 함으로써 전자파의 노출을 줄이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는 전자파 노출 저감을 위한 스피커 제어 전자 기기 및 전자 기기를 이용한 스피커 제어 방법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스피커 제어 전자 기기 및 전자 기기를 이용한 스피커 제어 방법{ELECTRONIC DEVICE FOR CONTROLLING SPEAKERS, AND METHOD USING ELECTRONIC DEVICE}
본 발명은 스마트폰 또는 이와 유사한 휴대용 통신 장치와 같은 전자 기기에 관련된 것으로, 스피커 제어 전자 기기 및 전자 기기를 이용한 스피커 제어 방법에 관한 것이다. 더욱 상세하게는 스피커 제어 전자 기기인 휴대용 통신 장치의 통화 연결 시 무선(Wireless) 송신 전력 측정과 알림 기능을 통하여 휴대용 통신 장치의 스피커를 조정함으로써 전자파에 사용자의 노출을 줄이고 사용자가 휴대용 통신 장치를 잡고 청각부에 근접시키는 시간을 줄이거나 편의성을 증가시키기 위한 스피커 제어 전자 기기 및 전자 기기를 이용한 스피커 제어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조정(調整)'이라는 용어는 국어적으로 어떤 기준이나 실정에 맞게 정돈함을 의미하며, 본 명세서에서는 스피커 작동의 전환이나 스피커의 볼륨 조절 등 컨트롤(Control) 등의 개념을 포함하는 의미로 사용된다.
전자파의 원래 명칭은 전기자기파로서 전기 및 자기의 흐름에서 발생하는 일종의 전자기 에너지이다.
이러한 전자파 발생원은 생활주변에서 다양하게 존재한다. 특히 휴대용 통신 장치의 사용으로 인한 이동통신 고주파 즉 무선(Wireless)은 실생활에서 가장 많이 접하게 되는 대표적인 전자파이며, 인체 노출에 의한 피해가 가장 심각하게 거론되어지고 있는 전자파이다.
또한, 전자파는 2011년 세계보건기구(WHO)에 의해 2급 발암 물질로 분류된 바 있으며, 매일 30분 이상 장기간(10년 이상) 휴대 통신 장치를 사용하면 뇌종양(Glioma) 및 청신경증(Acoustic Neuroma) 발생 가능성이 일반인에 비해 40%가량 증가할 수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특히 어린이는 일반 성인에 비해 인체 면역체계가 약하기 때문에 전자파 노출에 각별히 주의해야 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최근 국립환경과학원의 조사 결과 휴대전화에서 발생하는 전자파는 '대기' 중 0.03~0.14V/m, '통화 연결' 중 0.11~0.27V/m, '통화' 중 0.08~0.24V/m로 나타남으로써 '통화 연결' 중에 전자파 강도가 크게 증가하는 것으로 확인됐다.
또한, 지하철과 같이 빠른 속도로 이동 중인 상태(0.10~1.06 V/m)에서 통화할 경우, 정지 상태(0.05~0.16 V/m)보다 평균 5배가량 전자파 강도가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지하철이 이동할 때 통화하면 휴대전화가 가장 가까운 기지국을 수시로 검색해 기기 출력이 증가한다.
엘리베이터 등과 같은 밀폐된 장소(0.15~5.01 V/m)에서 통화할 경우에는 개방된 공간(0.08~0.86 V/m)보다 평균 7배가량 전자파 강도가 증가하는 것으로 확인됐다. 이는 밀폐된 장소에서는 전파 수신이 어려워 기기 출력이 증가하기 때문이다.
환경과학원 관계자는 "휴대전화 등과 같은 무선통신기기에서 방출되는 전자파는 낮은 수준이라도 지속적으로 노출되면 인체에 영향을 미쳐 해로울 수 있다"고 밝혔다.
상기와 같이 이동통신 휴대용 통신 장치의 전자파 노출에 의한 피해 사례와 관련 데이터는 주지의 사실로 알려져 있으며 이를 해결하기 위한 여러 형태의 기술들이 공개되고 있다.
우선, 사용자가 통화 연결 이전까지는 전자파의 위험으로부터 떨어져 있다가 통화 연결을 확인하고 상대방과 통화할 수 있도록 하는 기술이 공개되어 있다.
하지만, 이와 같은 기술은 통화 연결을 사용자에게 알려주어 사용자가 별도 조작을 통하여 스피커를 전환할 뿐이지, 통화 스피커가 자동으로 전환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사용자가 스피커를 조정하고자 한다면 별도의 조작이 필요하다.
특허문헌으로는, 전자파 신호 세기에 따라 경고 조건 테이블을 설정하고, 전자파 신호 세기를 검출하여 전자파 노출 상태가 경고 조건에 해당되면 경고 동작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명인 "이동통신 휴대용 통신 장치의 전자파 노출 알림 장치 및 방법"(특허문헌 1)이 공개되어 있다. 또한, 무선 휴대용 통신 장치가 사용자의 신체에 근접하여 있으면 통화 발신을 금지하여 사용자가 전자파에 노출되지 않도록 하는 "무선 휴대용 통신 장치의 전자파 차단 장치 및 방법"(특허문헌 2)이 공개되어 있다.
그러나 공개되어진 전자파 노출 저감 및 차단 장치들의 일반적 구성은 무선 송신 출력을 가감하는 방식들이 사용되고 있으나, 이동통신 휴대용 통신 장치 상에서 임의의 무선 송신 출력 조정은 이동통신 시스템의 전체 환경 및 타 사용자들에게 통화 품질의 영향을 미칠 수 있어 가급적 휴대용 통신 장치 출력 조정은 배제되어져야 할 것이다.
또한, 공지기술은 전자파 신호 세기를 검출하여 전자파 노출 상태가 경고 조건에 해당하면 단순 알림과 같은 경보 동작을 통하여 사용자가 전자파 노출을 자제하는 방법으로 이를 해결하려고 하나, 이는 단순히 통화 연결 확인 표시에 한해서만 그 기능을 수행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KR 등록특허공보 10-0631646 (2006.10.09.) KR 공개특허공보 특2002-0020154 (2002.03.14.)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스피커 제어 전자 기기 및 전자 기기를 이용한 스피커 제어 방법을 제공하는 것으로, 선행 공지 기술을 본 발명에 접목하고 이를 통하여 휴대용 통신 장치와 같은 전자 기기의 스피커의 작동이 조정되도록 함으로써, 보다 진보된 전자파 노출 저감 통화 방법을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이는 사용자가 스피커 제어 전자기기인 이동통신 휴대용 통신 장치로 상대방과 통화하는 단계에서 사용자의 근접 위치를 감지하고, 무선 송신 전력을 측정하여 무선 송신 전력이 기준치보다 높게 발생할 때, 이를 사용자에게 알림을 통하여 즉각적으로 인지하게 하고 동시에 이격 통화를 할 수 있게 스피커의 작동을 조정하는 단계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으로는 전자 기기의 출력값을 측정하고 모니터링하는 출력 측정부와 사용자와 전자 기기의 근접 상태를 파악하는 위치 판별부, 전자파의 세기를 알리는 출력 판단부 및 출력이 큰 스피커와 같이 이격 상태에서 통화할 수 있는 이격 통화 장치부로 구성되는 전자 기기를 제공하기 위함이다.
또한, 본 발명은 무선 송신 전력 측정 데이터를 메모리에 저장하고 이를 사용자에게 통화 시간별, 일별, 월별 데이터로 제공할 수 있게 함으로써 사용자가 전자파 사용 실태를 효과적으로 파악하고 인지하게 하는 것을 제공하는 데 목적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전자 기기의 사용에 있어서 지속적으로 발생하는 무선 송신 전력으로 인한 사용자의 전자파 피해를 줄이고자 한다.
상기의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무선 통신에 사용되는 전자 기기에 있어서, 사용자의 귀에 밀착하여 근접 통화하거나 사용자로부터 이격된 상태에서 통화하도록 하는 한 개 이상의 스피커를 구비하는 스피커부와, 상기 전자 기기의 출력값을 측정하는 출력 측정부를 포함하고, 상기 출력 측정부에 의해 측정된 출력값에 따라 상기 이격 통화와 근접 통화의 전환 작동을 제어하는 스피커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스피커부에서 사용자의 귀에서 이격하여 청취하는 이격 통화 스피커 작동과 사용자의 귀에서 근접하여 청취하는 근접 통화 스피커 작동이 전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기기를 개시한다.
본 발명은 상기 전자 기기의 출력값의 허용 기준인 기준값과 출력 측정부를 통해 측정된 출력값을 비교하여, 상기 출력값이 상기 기준값 이상인지를 판단하는 출력 판단부를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전자 기기가 통화를 시도하기 위하여 기지국에 접속 전파를 송신하는 단계인 발신 단계에서, 기지국 전환 및 수신이 약한 지역에 진입하여 상기 출력값이 상기 기준값 이상인 것이 상기 출력 판단부에서 판단되면, 상기 스피커가 상기 이격 통화 스피커 작동으로 전환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전자 기기가 상대방과 접속 연결이 되어 서로 통화 채널 상태에서 상호 통화를 하는 통화 단계에서, 기지국 전환 중이거나 수신이 약한 지역에 진입하여 상기 출력값이 상기 기준값 이상인 것이 상기 출력 판단부에서 판단되면,상기 스피커가 상기 이격 통화 스피커 작동으로 전환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사용자의 안면부와 상기 전자 기기의 근접 상태를 감지하여 파악하는 위치 판별부를 포함하고, 상기 위치 판별부가 상기 사용자의 안면부와 상기 전자 기기의 거리가 근접하여 있는 것으로 판별하여,상기 출력값이 상기 기준값 이하인 것이 상기 출력 판단부에서 판단되면, 상기 스피커가 상기 근접 통화 스피커 작동으로 전환하고, 상기 출력값이 상기 기준값 이상인 것이 상기 출력 판단부에서 판단되면, 상기 스피커가 상기 이격 통화 스피커 작동으로 전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스피커부는 상기 이격 통화 스피커 작동과 상기 근접 통화 스피커 작동을 모두 실행하는, 볼륨 조정이 가능한 스피커로 구비되고, 상기 이격 통화 스피커 작동은 상기 스피커의 볼륨을 크게 조정하는 것이고, 상기 근접 통화 스피커 작동은 상기 스피커의 볼륨이 작게 조정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이격 통화 스피커 작동과 상기 근접 통화 스피커 작동을 각각의 스피커가 수행하는 복수 개의 스피커로 구비되고, 상기 이격 통화 스피커 작동은 상기 스피커의 볼륨이 큰 별도의 스피커가 작동하는 것이고, 상기 근접 통화 스피커 작동은 상기 스피커의 볼륨이 작은 별도의 스피커가 작동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출력 판단부의 알림에 따라, 상기 스피커가 상기 이격 통화 스피커 작동 또는 근접 통화 스피커 작동으로 전환되는 것이 자동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전자 기기의 발신 단계에서는 상기 이격 통화 스피커가 작동하고, 상기 전자 기기의 통화 단계에서는 상기 근접 통화 스피커가 작동하도록, 상기 이격 통화 스피커와 상기 근접 통화 스피커가 자동으로 전환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출력 측정부에 의한 전자 기기의 출력값을 대기 시간과 통화 시간별로 분석하여, 전자파 발생 상황을 모니터링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위치 판별부는 근접센서, 제스처센서, 광원센서 또는 사용자의 근접 위치를 확인할 수 있는 센서 중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출력 판단부에서 전자 기기의 출력이 기준치 이상이거나, 급격히 증가하는 것으로 판단시, 사용자에게 알림 또는 경보를 줄 수 있도록 하는 음향 장치, 진동 장치 또는 광원 장치 중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이격 통화 스피커와 상기 근접 통화 스피커 작동의 전환이 이루어질 때, 대기음 또는, 사용자의 상기 전자 기기가 상기 발신 단계에 있는 것을 통화 상대방이 인지하도록 하는 신호를 보낼 수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무선 통신에 사용되는 전자 기기에 있어서, 한 개 이상의 스피커를 구비하는 스피커부가 사용자의 귀에 밀착하여 근접 통화하거나 사용자로부터 이격된 상태에서 통화하도록 하는 단계; 출력 측정부가 상기 전자 기기의 출력값을 측정하는 단계; 상기 출력 측정부에 의해 측정된 출력값에 따라 스피커 제어부가 이격 통화와 근접 통화의 전환 작동을 제어하는 단계; 및 사용자의 귀에서 이격하여 청취하는 이격 통화 스피커 작동과 사용자의 귀에서 근접하여 청취하는 근접 통화 스피커 작동이 전환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피커 제어 방법을 개시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전자 기기의 출력값의 허용 기준인 기준값을 설정하는 단계; 및 출력 판단부가 상기 출력 기준부에 입력되어 있는 기준값과 출력 측정부를 통해 측정된 출력값을 비교하여, 상기 출력값이 상기 기준값 이상인지를 판단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전자 기기가 통화를 시도하기 위하여 기지국에 접속 전파를 송신하는 단계인 발신 단계에서, 기지국 전환 및 수신이 약한 지역에 진입하여 상기 출력값이 상기 기준값 이상인 것이 상기 출력 판단부에서 판단되면, 상기 스피커가 상기 이격 통화 스피커 작동으로 전환하고, 상기 전자 기기가 상대방과 접속 연결이 되어 서로 통화 채널 상태에서 상호 통화를 하는 통화 단계에서, 기지국 전환 및 수신이 약한 지역에 진입하여 상기 출력값이 상기 기준값 이상인 것이 상기 출력 판단부에서 판단되면, 상기 스피커가 상기 이격 통화 스피커 작동으로 전환될 수 있다.
또한, 위치 판별부가 사용자의 안면부와 상기 전자 기기의 근접 상태를 감지하여 파악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위치 판별부가 상기 사용자의 안면부와 상기 전자 기기의 거리가 근접하여 있는 것으로 판별하여, 상기 출력값이 상기 기준값 이하인 것이 상기 출력 판단부에서 판단되면, 상기 스피커가 상기 근접 통화 스피커 작동으로 전환하고, 상기 출력값이 상기 기준값 이상인 것이 상기 출력 판단부에서 판단되면, 상기 스피커가 상기 이격 통화 스피커 작동으로 전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스피커부는 상기 이격 통화 스피커 작동과 상기 근접 통화 스피커 작동을 모두 실행하는, 볼륨 조정이 가능한 스피커로 구비되고, 상기 이격 통화 스피커 작동은 상기 스피커의 볼륨을 크게 조정하는 것이고, 상기 근접 통화 스피커 작동은 상기 스피커의 볼륨이 작게 조정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스피커부는 상기 이격 통화 스피커 작동과 상기 근접 통화 스피커 작동을 각각의 스피커가 수행하는 복수 개의 스피커로 구비되고, 상기 이격 통화 스피커 작동은 상기 스피커의 볼륨이 큰 별도의 스피커가 작동하는 것이고, 상기 근접 통화 스피커 작동은 상기 스피커의 볼륨이 작은 별도의 스피커가 작동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전자 기기의 발신 단계에서는 상기 이격 통화 스피커가 작동하고, 상기 전자 기기의 통화 단계에서는 상기 근접 통화 스피커가 작동하도록, 상기 이격 통화 스피커와 상기 근접 통화 스피커가 자동으로 전환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이격 통화 스피커와 상기 근접 통화 스피커 작동의 전환이 이루어질 때, 대기음 또는, 사용자의 상기 전자 기기가 상기 발신 단계에 있는 것을 통화 상대방이 인지하도록 하는 신호를 보낼 수 있다.
본 발명은 사용자가 휴대용 통신 장치로 상대방과 통화하는 단계에서 사용자의 근접 위치를 감지하고, 출력을 측정하여 출력이 기준치보다 높게 발생할 때, 이를 사용자에게 알려 즉각적으로 인지하게 하고 이격 통화를 할 수 있게 자동적으로 스피커가 조정되도록 함으로써 사용자를 전자파로부터 보호하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전자파 노출 저감을 위한 자동 스피커 전환 방법 및 이를 이용한 휴대용 통신 장치를 제공하는 것으로 송신단 전력 증폭기의 무선 송신 전력 측정과 각종 센서를 활용한 사용자 위치 감지를 통하여 사용자에게 전자파의 정도를 알림으로써 출력이 큰 스피커나 이어폰 또는 핸즈프리와 같은 이격 통화 장치를 적절히 사용하게 할 수 있도록 하는 데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휴대용 통신 장치의 전자파 모니터링을 통한 통화 시간별, 일별 또는 월별 데이터를 제공할 수 있으므로, 사용자 생활 습관을 개선시킬 수 있도록 하는 데도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스피커 제어 전자 기기의 구성을 보인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스피커 제어 전자 기기의 통화 프로세스에 따른 전자파 노출 저감을 위한 스피커 제어 방법의 흐름을 보인 흐름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스피커 제어 전자 기기의 통화 단계에서 전자파 노출 저감을 위한 스피커 제어 방법을 보인 흐름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스피커 제어 전자 기기 및 전자 기기를 이용한 스피커 제어 방법의 실시 예를 설명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는 스피커 제어 전자 기기인 휴대용 통신 장치에서 무선 송신 전력 측정과 알림 기능의 작동을 포함하여 휴대용 통신 장치의 이격 통화가 가능하도록 전환하게 함으로써 전자파에 노출을 줄이고 사용자를 유해한 전자파에서 안전하게 보호하기 위한 목적을 달성하고자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전자파 노출 저감을 위한 스피커 제어 전자 기기의 구성을 보인 구성도로서,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출력 측정부(110); 위치 판별부(120); 출력 판단부(130); 이격 통화 장치부(140); 메모리부(150); 주변 장치부(160); 제어부(17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출력 측정부(110)는 휴대용 통신 장치의 무선 송신 출력단에 위치한 전력 증폭기의 출력값을 측정하고 모니터링하는 부분이다.
전력 증폭기는 무선 송신 전력을 전력 증폭하여 안테나를 통해 발신할 수 있도록 하는 장치이며, 전력 증폭기의 출력값은 제어부(170)를 통하여 모니터링할 수 있다.
위치 판별부(120)는 적외선을 활용하여 휴대용 통신 장치가 신체에 가까이 위치한지를 인식할 수 있는 근접센서, 주변 환경 온도, 습도를 파악하는 온습도센서, 플립커버의 개폐 상태를 인지할 수 있는 홈센서, 손바닥에 반사되는 적외선을 감지하여 손동작을 인식하는 모션 제스처센서, 디스플레이 터치 패널 상에서 제공하는 터치센서, 휴대용 통신 장치의 회전 상태를 3축으로 감지하여 휴대용 통신 장치의 기울기를 인식하는 자이로센서 등을 활용하여 사용자의 위치를 감지할 수 있도록 하는 장치를 말한다.
위치 판별부(120)는 하나 또는 두 개 이상의 센서를 이용하여 사용자와 휴대용 통신 장치 간의 근접 상태를 파악할 수 있다.
출력 판단부(130)는 사용자에게 전자파의 세기를 미리 알릴 수 있는 장치로서 휴대용 통신 장치 내의 진동 소자, 음성 알림 장치, 음향 장치 또는 광원 장치와 같은 장치들을 의미한다.
이격 통화 장치부(140)는 전자파로부터 사용자의 보다 안전한 통화 및 휴대용 통신 장치 사용을 제공하기 위한 장치로서, 유선 또는 무선 이어폰, 상대적으로 출력이 큰 스피커, 차량의 핸즈프리 및 기타 이격 상태에서 활용할 수 있는 통화 장치를 의미한다.
메모리부(150)는 출력 측정부에 의한 전자파 모니터링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는 장치이다.
메모리부(150)에는 음성 통화 시의 사용자가 통화한 시간 내의 송신 전력의 상태 데이터 및 일별, 월별 단위의 송신 전력의 데이터 및 네트워크 접속을 통한 데이터 통신 시의 전자파 노출 및 송신 전력의 자료를 저장한다.
메모리부(150)에 저장된 데이터는 사용자에게 전자파 통계 자료로 활용된다.
주변 장치부(160)는 사용자 휴대용 통신 장치의 디스플레이부 및 기타 휴대용 통신 장치를 구성하거나 결합하여지는 사용자 휴대용 통신 장치의 주변 장치들을 의미한다.
제어부(170)는 휴대용 통신 장치 내의 중앙 모뎀(MODEM) 또는 메인 컨트롤러 유닛(MCU)으로서 휴대용 통신 장치의 여러 장치를 연동하고 제어하며, 휴대용 통신 장치의 소프트웨어를 관장하는 역할을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스피커 제어 전자 기기인 휴대용 통신 장치의 통화 프로세스에 따른 전자파 노출 저감을 위한 자동 스피커 조정 방법의 흐름을 보인 흐름도이다.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휴대용 통신 장치의 통신 상태 단계는 휴대용 통신 장치 대기 단계(S100); 휴대용 통신 장치 발신 단계(S200); 휴대용 통신 장치 수신 단계(S300); 휴대용 통신 장치 통화 단계(S400)를 포함한다.
휴대용 통신 장치 대기 단계(S100)란 휴대용 통신 장치의 파워가 켜진 상태에서 휴대용 통신 장치의 송, 수신 및 통화를 하기 위하여 대기하고 있는 상태를 말하며, 상기 단계에서 휴대용 통신 장치는 주위의 기지국과 교류하여 휴대용 통신 장치의 전파 감도를 보고하고, 휴대용 통신 장치의 위치를 알려 휴대용 통신 장치 발신과 수신 단계를 대비하기 위한 동작을 수행한다.
휴대용 통신 장치 대기 단계(S100)에서 기지국 전환 지역 및 수신 전자파가 약한 지역에 진입하였을 시, 휴대용 통신 장치의 송신 전력은 기준치 이상으로 증가할 수 있으며, 이때 출력 판단부(130)는 사용자에게 관련 정보를 제공하는 알림 작동을 할 수 있다.
또한, 대기 상태에서의 무선 송신 전력 측정을 모니터링하여 메모리에 저장하고 이를 통계로 하여 사용자에게 실생활 중 휴대용 통신 장치 대기 상태에서의 전자파 노출 상황을 점검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휴대용 통신 장치 발신 단계(S200)란 휴대용 통신 장치 사용자가 통화를 시도하기 위하여 기지국에 접속 전파를 송신하는 단계로서, 휴대용 통신 장치 상에서는 통화 연결 중 상태로서 기지국과 접속하고 상대방의 신호 연결음이 들리는 단계를 말한다.
휴대용 통신 장치 발신 단계(S200)에서의 휴대용 통신 장치의 송신 전력은 휴대용 통신 장치 통화 단계보다 크게 발생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휴대용 통신 장치 발신 단계(S200)에서는 출력 측정부가 휴대용 통신 장치가 접속 전파를 송신할 때 송신 전력이 증가하는 것을 모니터링하며, 송신 전력이 기준치 이상으로 증가할 시 출력 판단부는 진동이나 디스플레이의 깜박임 같은 특정 광원이 발생하도록 하여, 사용자는 전자파 경보 알림을 인지하고, 자동으로 이격 통화가 가능하도록 스피커가 조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휴대용 통신 장치 발신 단계(S200)에서는 진동이나 디스플레이의 깜박임 같은 특정 광원으로 전자파 경보 알림이 발생하도록 하고 근접 통화를 하지 않도록 하는 기능을 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발신 단계에서의 무선 송신 전력 측정을 모니터링하여 메모리에 저장하고 이를 통계로 하여 사용자에게 실생활 중 휴대용 통신 장치 발신 단계에서의 전자파 노출 상황을 점검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휴대용 통신 장치 통화 단계(S400)란 휴대용 통신 장치 사용자가 상대방과 접속 연결이 되어 서로 통화 채널 상태에서 상호 통화를 하고 있는 단계이다.
휴대용 통신 장치 통화 단계(S400)에서 휴대용 통신 장치는 기지국과 순방향 및 역방향 통화 채널을 통하여 송신 전력을 조정하고 핸드오프 처리와 같은 여러 가지 통화 제어 기능을 수행한다.
휴대용 통신 장치 통화 단계(S400)에서의 자세한 실시 예는 도 3으로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휴대용 통신 장치 통화 단계에서 전자파 노출 저감을 위한 자동 스피커 전환 방법을 보인 흐름도이다.
휴대용 통신 장치 통화 단계(S400)에서 전자파 노출 저감을 위한 방법은 전자파 송신 전력 측정단계(S10), 사용자 위치 감지단계(S11), 전자파 알림 작동단계(S12), 스피커 조정 단계(S13)를 포함한다.
전자파 송신 전력 측정단계(S10)는 휴대용 통신 장치의 무선 송신 출력단의 전력 증폭기의 출력값을 측정하는 단계이다.
전자파 송신 전력 측정 단계(S10)를 통하여 계산된 출력이 미리 책정되어진 통화 중 기준값 이상으로 출력이 발생하거나, 출력이 급격히 증가할 때, 전자파 플래그를 온(On)으로 세팅한다.
초깃값으로 아래 설명하는 전자파 플래그는 오프(Off)로 세팅되며, 출력값이 기준값 이하로 떨어지면 다시 오프(Off)로 세팅된다.
사용자 위치 감지단계(S11)는 수신 통화 또는 발신 통화 중일 때 적외선 근접센서, 온습도센서, 터치센서 또는 제스처센서 등과 같은 센서를 사용하여 사용자와 휴대용 통신 장치 간의 위치 상태를 확인하는 단계이다.
예를 들어, 휴대용 통신 장치 통화 단계일 때 적외선 근접센서와 터치센서를 통하여 사용자와 휴대용 통신 장치 간의 밀착 상태를 감지하여 이를 판단한다.
사용자 위치 감지단계(S11)를 통하여 사용자와 휴대용 통신 장치 간의 근접 상태라고 판단할 시 근접 플래그를 온(On)으로 세팅한다. 초깃값으로 근접 플래그는 오프(Off)로 세팅되며, 인체 밀착 상태가 아니면 근접 플래그는 오프(Off)로 세팅된다.
근접 플래그와 전자파 플래그를 사용하여 휴대용 통신 장치 통화 단계에서 전자파 노출 저감을 위한 자동 스피커 전환 방법을 표를 통하여 설명한다.
Figure pat00001
상태 1은 전자파 송신 전력 측정단계(S10)를 통하여 통화 중 전자파 출력의 강도가 기준값 이상으로 증가하거나 핸드오프 및 약전계 지역에서의 통화로 인한 전자파 송신 강도가 갑자기 증가할 시에 전자파 플래그는 온(On)으로 세팅되고, 사용자 위치 감지단계(S11)에서 근접센서 및 터치센서의 파악을 통하여 사용자가 휴대용 통신 장치와 근접되었다고 판단할 시 근접 플래그를 온(On)으로 세팅하며, 상기 근접 플래그와 전자파 플래그가 온(On) 상태이면 자동적으로 전자파 경보 플래그가 온(On) 상태로 세팅되어진다. 이때, 출력 판단부(130)를 통하여 디스플레이의 화면 깜박임과 진동 모드를 통하여 사용자 알림이 발생하며, 스피커는 이격통화가 가능하도록 자동으로 조정된다. 이외에 무선 핸즈프리와 같은 이격 통화 장치부(140)의 장치들이 자동적으로 작동될 수도 있다. 이격 통화 장치부(140)의 작동에서 휴대용 통신 장치가 전자파의 강도에 따라 스피커를 조정하여 자연스럽게 사용자를 이격 통화 상태로 유도할 수도 있다.
상태 2는 전자파 플래그가 오프(Off) 상태이고, 근접 플래그가 온(On) 상태일 때, 전자파 알림 작동단계(S12)에서 경보 플래그가 오프(Off) 상태로 스피커 조정은 작동되지 않는다. 다만, 사용자가 선택적으로 스피커를 조정하여 사용할 수는 있다.
상태 3은 전자파 플래그는 온(On) 상태이고, 근접 플래그가 오프(Off) 상태로서, 이때는 경보 플래그가 온(On)으로 세팅되어 알림 작동을 하여, 사용자에게 현재의 이격 통화 상태에서 지속적으로 이격 통화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한다.
상태 4는 전자파 플래그가 오프(Off) 상태이고 근접 플래그도 오프(Off) 상태이므로 경보 플래그가 오프(Off)로 세팅되며 스피커 조정이 불필요하다.
상기 상태 1에서 4까지의 단계별 상황은 프로그램상 자동적으로 동작되도록 구현된 것이며, 사용자에 의해서 세팅 값을 강제로 조정하게 함으로써, 어떠한 상태에서도 사용자 임의의 통화 상태를 유지할 수는 있다. 단 모든 상태에서 전자파 송신 전력 측정 단계(S10)는 출력 측정부(110)에 의해서 유지되며, 모니터링되는 데이터는 메모리부(150)에 기록된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 예를 참고로 하여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 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기술적 보호범위는 아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하여져야 할 것이다.
110 : 출력 측정부
120 : 위치 판별부
130 : 출력 판단부
140 : 이격 통화 장치부
150 : 메모리부
160 : 주변 장치부
170 : 제어부

Claims (21)

  1. 무선 통신에 사용되는 전자 기기에 있어서,
    사용자의 귀에 밀착하여 근접 통화하거나 사용자로부터 이격된 상태에서 통화하도록 하는 한 개 이상의 스피커를 구비하는 스피커부와,
    상기 전자 기기의 출력값을 측정하는 출력 측정부를 포함하고,
    상기 출력 측정부에 의해 측정된 출력값에 따라 상기 이격 통화와 근접 통화의 전환 작동을 제어하는 스피커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스피커부에서 사용자의 귀에서 이격하여 청취하는 이격 통화 스피커 작동과 사용자의 귀에서 근접하여 청취하는 근접 통화 스피커 작동이 전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기기.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전자 기기의 출력값의 허용 기준인 기준값과 출력 측정부를 통해 측정된 출력값을 비교하여,
    상기 출력값이 상기 기준값 이상인지를 판단하는 출력 판단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기기.
  3.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전자 기기가 통화를 시도하기 위하여 기지국에 접속 전파를 송신하는 단계인 발신 단계에서,
    기지국 전환 및 수신이 약한 지역에 진입하여 상기 출력값이 상기 기준값 이상인 것이 상기 출력 판단부에서 판단되면,
    상기 스피커가 상기 이격 통화 스피커 작동으로 전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기기.
  4.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전자 기기가 상대방과 접속 연결이 되어 서로 통화 채널 상태에서 상호 통화를 하는 통화 단계에서,
    기지국 전환 중이거나 수신이 약한 지역에 진입하여 상기 출력값이 상기 기준값 이상인 것이 상기 출력 판단부에서 판단되면,
    상기 스피커가 상기 이격 통화 스피커 작동으로 전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기기.
  5. 제2 항에 있어서,
    사용자의 안면부와 상기 전자 기기의 근접 상태를 감지하여 파악하는 위치 판별부를 포함하고,
    상기 위치 판별부가 상기 사용자의 안면부와 상기 전자 기기의 거리가 근접하여 있는 것으로 판별하여,
    상기 출력값이 상기 기준값 이하인 것이 상기 출력 판단부에서 판단되면, 상기 스피커가 상기 근접 통화 스피커 작동으로 전환하고,
    상기 출력값이 상기 기준값 이상인 것이 상기 출력 판단부에서 판단되면, 상기 스피커가 상기 이격 통화 스피커 작동으로 전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기기.
  6.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스피커부는 상기 이격 통화 스피커 작동과 상기 근접 통화 스피커 작동을 모두 실행하는, 볼륨 조정이 가능한 스피커로 구비되고,
    상기 이격 통화 스피커 작동은 상기 스피커의 볼륨을 크게 조정하는 것이고,
    상기 근접 통화 스피커 작동은 상기 스피커의 볼륨이 작게 조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기기.
  7.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스피커부는 상기 이격 통화 스피커 작동과 상기 근접 통화 스피커 작동을 각각의 스피커가 수행하는 복수 개의 스피커로 구비되고,
    상기 이격 통화 스피커 작동은 상기 스피커의 볼륨이 큰 별도의 스피커가 작동하는 것이고,
    상기 근접 통화 스피커 작동은 상기 스피커의 볼륨이 작은 별도의 스피커가 작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기기.
  8. 제3 항 또는 제7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출력 판단부의 알림에 따라,
    상기 스피커가 상기 이격 통화 스피커 작동 또는 근접 통화 스피커 작동으로 전환되는 것이 자동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기기.
  9.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전자 기기의 발신 단계에서는 상기 이격 통화 스피커가 작동하고, 상기 전자 기기의 통화 단계에서는 상기 근접 통화 스피커가 작동하도록,
    상기 이격 통화 스피커와 상기 근접 통화 스피커가 자동으로 전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기기.
  10.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출력 측정부에 의한 전자 기기의 출력값을 대기 시간과 통화 시간별로 분석하여,
    전자파 발생 상황을 모니터링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기기.
  11. 제5 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 판별부는 근접센서, 제스처센서, 광원센서 또는 사용자의 근접 위치를 확인할 수 있는 센서 중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기기.
  12.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출력 판단부에서 전자 기기의 출력이 기준치 이상이거나, 급격히 증가하는 것으로 판단시, 사용자에게 알림 또는 경보를 줄 수 있도록 하는 음향 장치, 진동 장치 또는 광원 장치 중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기기.
  13.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이격 통화 스피커와 상기 근접 통화 스피커 작동의 전환이 이루어질 때, 대기음 또는, 사용자의 상기 전자 기기가 발신 단계에 있는 것을 통화 상대방이 인지하도록 하는 신호를 보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기기.
  14. 무선 통신에 사용되는 전자 기기에 있어서,
    한 개 이상의 스피커를 구비하는 스피커부가 사용자의 귀에 밀착하여 근접 통화하거나 사용자로부터 이격된 상태에서 통화하도록 하는 단계;
    출력 측정부가 상기 전자 기기의 출력값을 측정하는 단계;
    상기 출력 측정부에 의해 측정된 출력값에 따라 스피커 제어부가 이격 통화와 근접 통화의 전환 작동을 제어하는 단계; 및
    사용자의 귀에서 이격하여 청취하는 이격 통화 스피커 작동과 사용자의 귀에서 근접하여 청취하는 근접 통화 스피커 작동이 전환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피커 제어 방법.
  15. 제14 항에 있어서,
    상기 전자 기기의 출력값의 허용 기준인 기준값을 설정하는 단계; 및
    출력 판단부가 상기 기준값과 출력 측정부를 통해 측정된 출력값을 비교하여, 상기 출력값이 상기 기준값 이상인지를 판단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피커 제어 방법.
  16. 제15 항에 있어서,
    상기 전자 기기가 통화를 시도하기 위하여 기지국에 접속 전파를 송신하는 단계인 발신 단계에서,
    기지국 전환 및 수신이 약한 지역에 진입하여 상기 출력값이 상기 기준값 이상인 것이 상기 출력 판단부에서 판단되면, 상기 스피커가 상기 이격 통화 스피커 작동으로 전환하고,
    상기 전자 기기가 상대방과 접속 연결이 되어 서로 통화 채널 상태에서 상호 통화를 하는 통화 단계에서,
    기지국 전환 및 수신이 약한 지역에 진입하여 상기 출력값이 상기 기준값 이상인 것이 상기 출력 판단부에서 판단되면, 상기 스피커가 상기 이격 통화 스피커 작동으로 전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피커 제어 방법.
  17. 제15 항에 있어서,
    위치 판별부가 사용자의 안면부와 상기 전자 기기의 근접 상태를 감지하여 파악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위치 판별부가 상기 사용자의 안면부와 상기 전자 기기의 거리가 근접하여 있는 것으로 판별하여,
    상기 출력값이 상기 기준값 이하인 것이 상기 출력 판단부에서 판단되면, 상기 스피커가 상기 근접 통화 스피커 작동으로 전환하고,
    상기 출력값이 상기 기준값 이상인 것이 상기 출력 판단부에서 판단되면, 상기 스피커가 상기 이격 통화 스피커 작동으로 전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피커 제어 방법.
  18. 제14 항에 있어서,
    상기 스피커부는 상기 이격 통화 스피커 작동과 상기 근접 통화 스피커 작동을 모두 실행하는, 볼륨 조정이 가능한 스피커로 구비되고,
    상기 이격 통화 스피커 작동은 상기 스피커의 볼륨을 크게 조정하는 것이고,
    상기 근접 통화 스피커 작동은 상기 스피커의 볼륨이 작게 조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피커 제어 방법.
  19. 제14 항에 있어서,
    상기 스피커부는 상기 이격 통화 스피커 작동과 상기 근접 통화 스피커 작동을 각각의 스피커가 수행하는 복수 개의 스피커로 구비되고,
    상기 이격 통화 스피커 작동은 상기 스피커의 볼륨이 큰 별도의 스피커가 작동하는 것이고,
    상기 근접 통화 스피커 작동은 상기 스피커의 볼륨이 작은 별도의 스피커가 작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피커 제어 방법.
  20. 제14 항에 있어서,
    상기 전자 기기의 발신 단계에서는 상기 이격 통화 스피커가 작동하고, 상기 전자 기기의 통화 단계에서는 상기 근접 통화 스피커가 작동하도록,
    상기 이격 통화 스피커와 상기 근접 통화 스피커가 자동으로 전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피커 제어 방법.
  21. 제14 항에 있어서,
    상기 이격 통화 스피커와 상기 근접 통화 스피커 작동의 전환이 이루어질 때, 대기음 또는, 사용자의 상기 전자 기기가 발신 단계에 있는 것을 통화 상대방이 인지하도록 하는 신호를 보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피커 제어 방법.
KR1020140144948A 2013-10-25 2014-10-24 스피커 제어 전자 기기 및 전자 기기를 이용한 스피커 제어 방법 KR20150048065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28136 2013-10-25
KR20130128136 2013-10-25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48065A true KR20150048065A (ko) 2015-05-06

Family

ID=5338676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44948A KR20150048065A (ko) 2013-10-25 2014-10-24 스피커 제어 전자 기기 및 전자 기기를 이용한 스피커 제어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50048065A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8131938A1 (ko) * 2017-01-12 2018-07-19 삼성전자주식회사 통화 기능을 제어하기 위한 전자 장치 및 방법
US11381272B2 (en) 2019-09-03 2022-07-05 Samsung Electronics Co., Ltd.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transmission power
US11622198B2 (en) 2018-04-13 2023-04-04 Samsung Electronics Co., Ltd.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for processing stereo audio signal thereof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8131938A1 (ko) * 2017-01-12 2018-07-19 삼성전자주식회사 통화 기능을 제어하기 위한 전자 장치 및 방법
KR20180083161A (ko) * 2017-01-12 2018-07-20 삼성전자주식회사 통화 기능을 제어하기 위한 전자 장치 및 방법
US20190373094A1 (en) * 2017-01-12 2019-12-05 Samsung Electronics Co., Ltd.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for controlling call function
US10863015B2 (en) 2017-01-12 2020-12-08 Samsung Electronics Co., Ltd.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for controlling call function
US11622198B2 (en) 2018-04-13 2023-04-04 Samsung Electronics Co., Ltd.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for processing stereo audio signal thereof
US11381272B2 (en) 2019-09-03 2022-07-05 Samsung Electronics Co., Ltd.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transmission power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091590B2 (en) Hearing aid detection
EP2775693B1 (en) Automatic routing of call audio at incoming call
US20130260834A1 (en) Proximity detection system for operating a mobile communication device in either a handset mode or speakerphone mode
CN104243662B (zh) 一种终端提示模式调整方法及终端
US20060014569A1 (en) Mobile communication device with adaptive audible user notification
CN106375573B (zh) 一种切换通话模式的方法及装置
CN101964844A (zh) 一种手持通话设备中自动调节放音的方法和装置
CN102843464A (zh) 一种通过距离感应器调整通话音频输出方式的系统及方法
CN102957790A (zh) 一种移动终端的自动调节模块及其实现方法
WO2013170522A1 (zh) 铃音调节处理方法及装置
CN102984374A (zh) 通信终端及其通话方式的切换方法
WO2015117347A1 (zh) 一种终端情景模式的调整方法及装置
CN102883070A (zh) 移动终端及其调节方法
CN105704317A (zh) 天线参数的调整方法及装置、电子设备
CN111405114A (zh) 一种自动调节音量的方法、装置、存储介质及终端
CN103905956A (zh) 音频控制方法、电子设备和音频输出设备
EP2119203A1 (en) Battery saving selective screen control
CN103067607A (zh) 通话模式切换方法和装置
KR20150048065A (ko) 스피커 제어 전자 기기 및 전자 기기를 이용한 스피커 제어 방법
CN108432220B (zh) 一种切换通话模式的方法和终端
CN107135305B (zh) 一种消息提醒方法、装置和终端
CN104853036A (zh) 自动调节铃声音量的移动终端及其方法
CN202475734U (zh) 一种可自动调节音量的音箱
KR102155555B1 (ko) 보청기 호환성 모드를 제공하기 위한 방법 및 그 전자 장치
CN103716446A (zh) 一种提高移动终端通话音质的方法及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