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066919A - 모바일 디바이스 - Google Patents
모바일 디바이스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120066919A KR20120066919A KR1020100128273A KR20100128273A KR20120066919A KR 20120066919 A KR20120066919 A KR 20120066919A KR 1020100128273 A KR1020100128273 A KR 1020100128273A KR 20100128273 A KR20100128273 A KR 20100128273A KR 20120066919 A KR20120066919 A KR 20120066919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mobile device
- unit
- output
- direction guide
- output intensity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02—Services making use of location information
- H04W4/025—Services making use of location information using location based information parameters
- H04W4/026—Services making use of location information using location based information parameters using orientation information, e.g. compass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11—Arrangements for interaction with the human body, e.g. for user immersion in virtual reality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16—Input arrangements with force or tactile feedback as computer generated output to the user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48—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adapting the functionality of the device according to specific conditions
- H04M1/72457—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adapting the functionality of the device according to specific conditions according to geographic location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02—Services making use of location information
- H04W4/023—Services making use of location information using mutual or relative location information between multiple location based services [LBS] targets or of distance threshold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8/0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e.g. terminals, base stations or access point devices
- H04W88/02—Terminal device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50/00—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 H04M2250/10—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including a GPS signal receiv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Naviga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모바일 디바이스는 화상이 표시되는 화면부, 모바일 디바이스의 움직임을 감지하는 센서부, 모바일 디바이스의 사용자에게 방향 정보를 안내하는 방향가이드부, 지리정보 맵이 저장된 저장부, 및 센서부로부터의 입력 정보와 지리정보 맵을 대비하여 방향가이드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이러한 방향가이드부는 사용자의 시각 외 촉각 등을 사용하여 경로안내를 병행함으로써 직관적 경로 안내 효과를 극대화한다. 따라서, 시각장애인이나 노인 혹은 시각적 반응 속도가 느린 일반인의 경로 안내 기능을 현저히 향상시킨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모바일 디바이스에 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사용자의 시각 외의 감각에 기인한 경로안내가 가능한 모바일 디바이스에 대한 것이다.
최근 모바일 디바이스는 생활의 필수품으로 자리잡아 가고 있다. 모바일 다바이스의 대표적인 예인 휴대폰이 없는 하루는 생각하기도 힘든 실정이다. 더욱이 최근에는 모바일 디바이스의 통신 기술 발전에 따라 모바일 디바이스는 디지털 카메라 기능, 멀티미디어 녹음/재생 기능, DMB(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 기능, 금융 결제 기능, 인터넷 검색 기능, 전자 수첩 기능, 무선 데이터 통신 기능 등과 같은 부가 기능들을 지원한다.
또한, 최근에는 모바일 디바이스는 GPS(Global Positioning System)를 이용한 네비게이션(Navigation) 기능을 지원하는 것이 점점더 일반화되어 있고, 수많은 네베게이션 프로그램이 개발되어 소위 “스마트 폰”에 탑재되고 있다.
일반적으로 이러한 네비게이션 장치는 GPS 위성으로부터 좌표 신호를 수신하여 차량의 현재 위치, 속도 등을 포함하는 다양한 운행정보를 디스플레이부에 표시하도록 구성되는 단말 장치로서, 초행길이나 복잡한 도로 구조 등에서의 운행 보조 수단으로 매우 유용하게 사용되고 있다.
또한, 최근의 네비게이션 장치에는 항법 정보의 표시 외에도 주변 교통상황의 표시기능이나, 사용자가 미리 설정한 목적지의 경로를 따라 방향전환을 안내하는 기능 등 다양한 부가 기능이 구비되어 차량 운행상 편의를 도모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네비게이션 장치는 전적으로 사용자의 시각, 청각 등을 통해서만 인지하여 운영되고 있다. 즉, 다양한 오감을 활용하여 보다 직관적인 경로 안내는 아직 미흡한 실정이기 인데, 시각 또는 청각에 대해 빠르게 반응하는 일반인의 경우에는 유용하게 쓰일 수 있으나, 장애인이나 노인 혹은 시각 또는 청각 반응 속도가 느린 일반인의 경우에는 시각, 청각 등에만 의존하는 네비게이션 장치만으로는 직관적이지 않은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배경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보다 직관적으로 사용자의 시각외의 감각에 기인한 경로안내가 가능한 모바일 디바이스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모바일 디바이스는 화상이 표시되는 화면부, 모바일 디바이스의 움직임을 감지하는 센서부, 모바일 디바이스의 사용자에게 방향 정보를 안내하는 방향가이드부, 지리정보 맵이 저장된 저장부, 및 센서부로부터의 입력 정보와 지리정보 맵을 대비하여 방향가이드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이때, 센서부는 GPS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고, 방향가이드부는 모바일 디바이스와 일체형 또는 분리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일체형으로 형성된 방향가이드부는 진동부를 구비할 수 있고, 진동부는 하나 이상의 진동소자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하나 이상의 진동소자는 실린더 모터, 코인 모터, 리니어 모토, 초음파모터 및 압전리니어 모터 중에서 선택된 적어도 하나 이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한편, 하나 이상의 진동소자는 행과 열을 갖도록 배열될 수 있는데, 하나 이상의 진동소자는 장방형 또는 + 형상으로 배열되거나 복수의 열 또는 복수의 행을 형성하도록 배열될 수 있다.
또한, 제어부는 센서부로부터 수집된 모바일 디바이스의 이동 방향 정보와 지리정보 맵을 대비하여 하나 이상의 진동소자를 제어할 수 있고, 제어부는 전술한 하나 이상의 진동소자를 순차적으로 제어할 수 있다. 하나 이상의 진동소자의 순차적 제어는 하나 이상의 진동소자의 출력 강도가 변화하도록 제어할 수 있는데, 출력 강도를 순차적으로 증가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때, 최초 출력 강도와 최종 출력 강도의 비가 1:1.3 내지 1:10.4가 되도록 제어할 수 있고, 최초 출력 지점에서 최종 출력 지점에 이르는 속도를 11m/s 이하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센서부는 나침반 센서를 더 포함할 수 있는데, 이를 이용하여 제어부는 모바일 디바이스의 현재 방위를 기준으로 동,서,남 및 북의 진행방향을 설정할 수 있다. 이때, 진행방향은 제어부가 지리 정보 맵으로부터 산출된 방향일 수 있다.
한편, 모바일 디바이스의 이동 방향과 출력 강도가 변화하는 방향이 서로 다른 경우에는 하나 이상의 진동소자가 출력 강도의 최고치를 출력할 수 있고, 모바일 디바이스의 이동 방향과 출력 강도가 변화하는 방향이 서로 대응하지 않는 경우에는 음성출력부가 음성을 출력할 수 있다.
한편, 전술한 분리형으로 형성된 방향가이드부는 이동방향을 감지하는 외부센서부,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와 데이터를 통신하는 유무선 송신부 및 음성을 출력하는 음성출력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는데, 분리형으로 형성된 방향가이드부는 헤드셋을 포함하여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외부센서부는 나침반센서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는데, 이를 이용하여 제어부는 헤드셋 사용자의 시선방향을 기준으로 방향가이드부를 제어할 수 있다.
또한, 방향가이드부는 디스플레이부를 더 포함할 수 있는데, 디스플레이부는 화면부와 연동되어 표시될 수 있다. 이때, 제어부는 디스플레이부에 거리정보, 방향정보를 출력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러한, 방향가이드부는 디스플레이부 및 증강현실 브라우저를 더 포함하라 수 있고, 디스플레이부에는 지리정보 맵 또는 방향/거리 정보가 증강현실 브라우저 상에 출력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사용자의 시각 외 촉각 등을 사용하여 경로안내를 병행함으로써 직관적 경로 안내 효과를 극대화한다. 따라서, 시각장애인이나 노인 혹은 시각적 반응 속도가 느린 일반인의 경로 안내 기능을 현저히 향상시킨다.
또한, 본 발명의 방향 가이드부는 사용자에게 진동 등을 이용한 인디케이션을 통해 경로를 안내하므로 보다 경로 안내의 효율을 증대시킨다.
또한, 본 발명은 사용자의 파지상태와 무관한 방향 안내 기능을 구현하고, 보다 직관적으로 사용자의 촉각을 반응시킴으로서 보다 편리한 모바일 사용환경을 구축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디바이스의 블럭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디바이스에 포함되는 진동부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도 2에서의 진동부의 다양한 실시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4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디바이스에 포함되는 제어부의 작용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5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디바이스에 포함되는 방향가이드부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디바이스에 포함되는 진동부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도 2에서의 진동부의 다양한 실시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4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디바이스에 포함되는 제어부의 작용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5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디바이스에 포함되는 방향가이드부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제1, 제2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지는 않는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및/또는 이라는 용어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의 조합 또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 중의 어느 항목을 포함한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디바이스(1000)의 개략도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디바이스(1000)는 센서부(100), 방향가이드부(200), 제어부(300), 다양한 애플리케이션의 실행 모습이 표시되는 화면부(400) 및 지리정보 맵을 포함하는 데이터가 저장되는 저장부(500)를 포함하고 이루어진다. 또한 본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디바이스(1000)는 송수신부(600)와 음향출력부(700)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센서부(100)는 모바일 디바이스(1000)의 움직임을 감지하도록 GPS센서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센서부(100)는 GPS센서를 이용하여 모바일 디바이스(1000)의 현재 위치 및 현재 위치의 변화를 판단한다. 또한, 상기한 저장부(500)에는 지리정보 맵이 저장되어 있는데, 센서부(100)는 이러한 지리정보 맵과 대비하여 모바일 디바이스의 상기 지리 정보 맵 상의 위치 및 이동방향, 이동속도 등을 판단하게 된다. GPS 센서는 모바일 디바이스(1000)의 위치를 계속해서 따라잡기 위해 계속적으로 업데이트되는데, 트랙킹모드와 CPU동작(CPU-only)모드, 스탠바이 모드 등을 반복적으로 작동하여 구동할 수 있다. GPS 센서의 나머지 구성은 당업자에게 알려진 바와 같으므로 생략한다.
한편, 센서부(100)는 나침반 센서(미도시)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방향가이드부(200)는 모바일 디바이스(1000)의 사용자에게 방향 정보를 직관적으로 안내한다. 즉, 본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디바이스(1000)는 사용자의 시각이나 청각에 의해 안내받는 일반적인 경로 안내 방법과 달리 그 외의 감각에 의해 안내받는 방향가이드부(200)라는 별도의 구성이 포함되어 이루어진다.
방향가이드부(200)는 모바일 디바이스(1000)의 내부에 일체로 형성될 수 있고, 혹은 모바일 디바이스(1000)의 외부에 외장형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모바일 디바이스(1000)의 내부에 방향가이드부(200)가 형성되는 경우에, 방향가이드부(200)는 진동을 일으키는 하나 이상의 진동소자가 순차적으로 진동하여 진동의 방향성을 부여하고 이러한 방향성을 모바일 디바이스(1000)의 사용자가 촉각을 이용하여 느끼도록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방향가이드부(200)가 모바일 디바이스(1000)의 외부에 외장형으로 형성되는 경우에는 사용자가 착용하고, 시각이나 청각 그리고 나머지 감각에 의해 방향 및 위치 정보를 사용자가 인식하도록 구성된다. 방향가이드부(200)의 보다 자세한 구성은 후술한다.
제어부(300)는 센서부(100)로부터의 센싱된 현재 위치 정보와 저장부(500)에 저장된 지리정보 맵을 대비하여 방향가이드부(200)를 제어한다. 즉, 상기한 방향가이드부(200)를 구성하는 진동소자를 순차적으로 방향성을 부여하면서 제어한다. 제어부의 보다 상세한 구성은 후술한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디바이스는 사용자의 시각 외 촉각 등을 사용하여 경로안내를 병행함으로써 직관적 경로 안내 효과를 극대화한다. 또한, 본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디바이스는 사용자의 오감 중 하나를 더 이용하는 경로 안내 방식을 제공하기 때문에 보다 편리한 모바일 사용환경이 구축된다.
이하 본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디바이스에 대하여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디바이스(1000)에 포함되는 진동부(210)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진동부(210)는 모바일 디바이스의 내부에 위치하고 있으므로 도면에서 점선으로 표시하였다.
먼저 설명한 방향가이드부(도 1의 참조부호 20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모바일 디바이스(1000) 내부에 진동부(210)로 형성될 수 있는데, 도시된 바와 같이 하나 이상의 진동소자(211)로 구성될 수 있다. 이때 진동소자(211)는 실린더 모터, 코인 모터, 리니어 모토, 초음파모터 및 압전리니어 모터 중에서 적어도 하나로 형성될 수 있다. 그러나, 진동소자는 상기 모터로 한정하지 않으며, 외부의 다양한 입력 소스에 대응하여 진동을 형성하는 구성이면 본 발명에 속한다.
한편,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진동소자(211)는 행(C)과 열(L)을 갖도록 배열 형성된다. 또한 이러한 진동소자가(211) 형성하는 행(C)과 열(L)은 도시된 바와 같이 하나 이상의 행(C)과 열(L)로 배열 형성될 수 있다. 도면에서는 진동소자가 6 ×6 행렬로 구성되어 있는데,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고 다양한 행과 열로 배열 형성될 수 있다.
도면에서 참조부호 400은 전술했던 화면부를 나타내고, 참조부호 300은 전술했던 제어부를 나타낸다. 또한, 참조부호 100은 전술한 센서부를, 참조부호 600은 전술한 음향출력부를 나타낸다. 참조부호 F는 모바일 디바이스의 다양한 기능 실현을 위한 하부 버튼을 나타낸다. 제어부(400)는 이상 설명한 진동소자(211)를 다양하게 제어하여 직관적인 방향 인지가 가능하도록 하는데, 구체적인 작용은 뒤에서 다시 설명한다.
도 3은 진동부(210)의 다양한 실시형태(210’, 210’’)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면에 도시한 바와 같이 진동부를 구성하는 진동소자(211)는 (a)에서와 같이 장방형으로 배치 형성될 수 있으며, (b)에서와 같이 + 형상으로 배치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모바일 디바이스(1000)가 전후좌우 방향으로의 방향성이 부가된 진동을 인가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디바이스(1000)에 포함되는 제어부(300)의 작용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이전에 등장한 구성과 동일한 구성에 대하여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부여했다. 도면을 참조하면, 제어부(300)는 센서부(도 1의 참조부호 100)로부터 수집된 모바일 디바이스의 이동 방향 정보를 포함하는 현재 위치정보(P1)를 수집하여 이를 지리정보 맵(501)에 설정된 목적지(Ds)에 따라 경로를 선정한다. 도면에서는 경로(E1)가 직진 방향만을 예시하고 있으나, 경로는 전,후,좌 및 우의 4 방향을 포함하여 설정될 수 있다. 경로 설정의 나머지 구성은 당업자가 용이하게 실시가능하므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경로가 설정되었으면 제어부(300)는 설정된 경로에 따라 진동소자(211)를 제어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디바이스에 포함되는 제어부(300)는 전술한 진동소자(211)를 순차적으로 제어한다. 더욱 상세히 설명하면 하나 이상으로 형성되는 개별 진동소자(211)가 독립적으로 구동되도록 제어하면서, 방향성을 가지도록 제어한다.
도면을 참조하면, 예를 들어 사용자의 현재 위치가 P1 지점인 경우에는 목적지(Ds)까지 D1의 방향에 따라서 개별 진동소자(211b)를 순차적으로 제어하고, 사용자의 현재 위치가 P2 지점인 경우에는 D2의 방향에 따라서 개별 진동소자(211b)를 순차적으로 제어하며, 사용자의 현재 위치가 목적지로부터 거의 왼쪽이 되는 P3 지점인 경우에는 D3의 방향에 따라서 개별 진동소자(211b)를 순차적으로 제어한다. 즉, 상기 D1, D2 및 D3 방향은 제어부가 지리 정보 맵 상의 현재 위치와 목적지를 대비하여 산출된 방향이다. 도면에서는 D1 내지 D3의 세가지 방향만을 예시하였으나, 산출된 방향에 따라 어느 방향으로도 제어가 가능함은 물론이다. 참조부호 211w는 위의 세가지 경우에서 구동되지 않는 진동소자를 표시하였다.
한편,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디바이스는 센서부(도 1의 참조부호 100)에 나침반 센서(미도시)를 더욱 포함한다. 따라서, 모바일 디바이스의 공간적인 배치 상태와 무관하게 정북 방향을 기준으로 전,후,좌 및 우 방향의 설정이 가능하다. 따라서, 모바일 디바이스의 현재 방위를 기준으로 동, 서, 남, 및 북의 진행 방향 설정이 가능하게 된다. 따라서, 사용자가 주머니 안에 휴대한 상태에서도 입수 보행 중이거나 다리의 감촉으로 방향 안내가 가능해진다.
또한, 위에서 설명한 개별 진동소자(211)의 순차적인 제어는 진동소자의 출력강도가 변화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도면에서 D3 방향으로 제어하는 경우를 참조하면, 최초에 동작하는 진동소자(211b1)로부터 최후에 동작하는 진동소자(211b6)의 출력강도가 변화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때 출력강도가 진행방향(D3)에 따라 순차적으로 증가되도록 제어할 수 있으므로 촉각이 극히 민감한 사용자가 아니더라도 경로 안내의 방향성을 인지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이 경우 최초에 동작하는 진동소자(211b1)와 최후에 동작하는 진동소자(211b6)의 출력강도는 1:1.3 내지 1:10.4로 형성될 수 있다. 하한으로 형성된 1:1.3보다 최후 출력강도가 작으면 양단의 진동 차이 인지성이 현저히 저하되어 방향성 인지가 불가하기 때문이고, 1:10.4보다 최후 출력강도가 크게 되면 사용자의 촉각 체계상 차이 인지 한도를 벗어날 뿐만 아니라 불필요한 출력소모가 유발되기 때문이다.
또한, 이 경우에 최초에 동작하는 진동소자(211b1)의 출력시점과 최후에 동작하는 진동소자(211b6)의 출력시점까지의 이르는 속도는 11m/s 이하로 형성된다. 11m/s 보다 큰 경우에는 촉각 신경계가 속도를 캐치하지 못하므로 더 이상의 속도 증대는 무의미 하기 때문이고, 하한은 크게 의미가 없으나 바람직하게는 직관적인 신속 인지성 확보를 위해 0.01m/s 이상으로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한편, 사용자가 목적지를 이탈하는 경우(P4), 즉 모바일 디바이스의 이동방향(E2)과 진동소자의 출력강도가 변화하는 방향(D3; P3의 위치부터 오른쪽으로 이동하도록 방향이 설정되기 때문에 진동소자의 출력강도가 변화하는 방향은 D3가 된다)이 서로 다른 경우에는 복수의 진동소자가 출력 강도의 최고치를 출력하게 된다. 따라서, 알라밍 기능을 통한 경로 이탈이 보다 직관적으로 이루어지게 된다. 도면의 경우에는 사용자가 후진하여 다시 P2 쪽으로 오다가 목적지(Ds)를 향해 진입하는 경우에는 이동방향과 출력강도가 변화하는 방향이 다시 일치되므로 알라밍 기능이 턴 오프된다.
한편, 이 경우에는 전술한 음성출력부가 음성으로써 알라밍 기능을 수행할 수도 있다.
이하,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디바이스를 설명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디바이스에 포함되는 방향가이드부(200’)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5에서는 이전 실시예와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하여 동일한 참조부호를 부여하였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방향가이드부(2001)는 모바일 디바이스 본체(1000’)와 분리형으로 형성된다. 방향가이드부(2001)는 방향가이드부(2001) 자체의 이동방향을 감지하도록 나침반 센서를 포함하는 외부센서부(221), 모바일 디바이스 본체(1000’)와 데이터를 통신하는 유무선 송신부(222) 및 음성을 출력하는 음성출력부(223)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또한, 방향가이드부(2001)는 별도의 디스플레이부(224)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이러한 분리형 방향가이드부(2001)는 사용자(1)의 헤드셋(headset)으로 형성될 수 있는데, 사용자가 머리에 탈착 및 부착하여 사용이 가능하도록 형성된다. 이때 헤드셋의 디스플레이부에는 정렬마크(A)가 표시되는데 사용자(1)는 정렬마크(A)에 시선의 초점을 맞추어 시선방향을 정의할 수 있다.
즉, 상기한 외부센서부(221)는 정렬마크(A)에서 사용자의 정면을 향하는 방향을 시선방향으로 정의하게 되는데, 전술한 제어부는 상기 시선방향과 상기한 지리정보 맵 상의 사용자의 현재위치로부터의 목적지 방향을 대비하여 경로안내를 수행하게 된다. 한편, 이때 제어부는 유무선 송신부(222)를 통해 방향가이드부(2001)와 사전 페어링된다. 경로안내는 음성출력부(223)에서 음성으로 안내된다. 또한, 도면에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헤드셋의 양측에 이전 실시예에서 설명한 진동소자를 장착하여 헤드헷의 왼쪽 또는 오른쪽이 진동되록하는 구성도 본 발명에 포함됨은 물론이다.
한편, 디스플레이부(224)는 화면부(400)에 출력되는 화상이 동일하게 출력되도록 설정될 수 있으므로 네비게이션 응용프로그램에서 일반적으로 출력되는 거리정보, 방향정도 등이 출력될 수 있다. 또한, 방향가이드부(2001)는 증강현실 브라우저가 더 포함될 수 있다. 따라서, 디스플레이부(224)에서는 증강현실 브라우저를 로딩한 후 지리정보 맵 또는 방향/거리 정보를 함께 출력할 수 있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특허청구범위와 발명의 상세한 설명 및 첨부한 도면의 범위 안에서 여러 가지로 변형하여 실시하는 것이 가능하고 이 또한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하는 것은 당연하다.
100 : 센서부
200 : 방향가이드부
300 : 제어부
400 : 화면부
500 : 저장부
600 : 음향출력부
700 : 송수신부
1000 : 모바일 디바이스
200 : 방향가이드부
300 : 제어부
400 : 화면부
500 : 저장부
600 : 음향출력부
700 : 송수신부
1000 : 모바일 디바이스
Claims (25)
- 모바일 디바이스에 있어서,
화상이 표시되는 화면부;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의 움직임을 감지하는 센서부;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의 사용자에게 방향 정보를 안내하는 방향가이드부;
지리정보 맵이 저장된 저장부; 및
상기 센서부로부터의 입력 정보와 상기 지리정보 맵을 대비하여 상기 방향가이드부를 제어하는 제어부;
를 포함하는 모바일 디바이스.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부(100)는 GPS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디바이스.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방향가이드부(200)는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와 일체형 또는 분리형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디바이스. -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일체형으로 형성된 방향가이드부는 진동부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디바이스. -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진동부는 하나 이상의 진동소자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디바이스. -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하나 이상의 진동소자는 실린더 모터, 코인 모터, 리니어 모토, 초음파모터 및 압전리니어 모터 중에서 선택된 적어도 하나 이상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디바이스. -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하나 이상의 진동소자는 행과 열을 갖도록 배열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디바이스. -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하나 이상의 진동소자는 장방형 또는 + 형상으로 배열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디바이스. - 상기 하나 이상의 진동소자는 복수의 열 또는 복수의 행을 형성하도록 배열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디바이스.
-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센서부로부터 수집된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의 이동 방향 정보와 상기 지리정보 맵을 대비하여 상기 하나 이상의 진동소자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디바이스. -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하나 이상의 진동소자를 순차적으로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디바이스. -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부는 나침반 센서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의 현재 방위를 기준으로 동,서,남 및 북의 진행방향을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디바이스. -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진행방향은 상기 제어부가 상기 지리 정보 맵으로부터 산출된 방향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디바이스. -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하나 이상의 진동소자의 순차적 제어는 상기 하나 이상의 진동소자의 출력 강도가 변화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디바이스. -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하나 이상의 진동소자의 출력 강도는 순차적으로 증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디바이스. -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출력 강도는 최초 출력 강도와 최종 출력 강도의 비는 1:1.3 내지 1:10.4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디바이스. -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최초 출력 지점에서 상기 최종 출력 지점에 이르는 속도는 11m/s 이하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디바이스. -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의 이동 방향과 상기 출력 강도가 변화하는 방향이 서로 다른 경우에는 상기 하나 이상의 진동소자가 상기 출력 강도의 최고치를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디바이스. -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는 음향출력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의 이동 방향과 상기 출력 강도가 변화하는 방향이 서로 대응하지 않는 경우에 상기 음성출력부가 음성을 출력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디바이스. -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분리형으로 형성된 방향가이드부는 이동방향을 감지하는 외부센서부,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와 데이터를 통신하는 유무선 송신부 및 음성을 출력하는 음성출력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디바이스. - 제20항에 있어서,
상기 분리형으로 형성된 방향가이드부는 헤드셋을 포함하여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디바이스. -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센서부는 나침반센서를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헤드셋 사용자의 시선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방향가이드부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디바이스. - 제20항에 있어서,
상기 방향가이드부는 디스플레이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디스플레이부는 상기 화면부와 연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디바이스. - 제23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거리정보, 방향정보를 출력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디바이스. - 제20항에 있어서,
상기 방향가이드부는 디스플레이부 및 증강현실 브라우저를 더 포함하고, 상기 디스플레이부에는 상기 지리정보 맵 또는 상기 방향/거리 정보가 상기 증강현실 브라우저 상에 출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디바이스.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00128273A KR20120066919A (ko) | 2010-12-15 | 2010-12-15 | 모바일 디바이스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00128273A KR20120066919A (ko) | 2010-12-15 | 2010-12-15 | 모바일 디바이스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20066919A true KR20120066919A (ko) | 2012-06-25 |
Family
ID=4668611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00128273A KR20120066919A (ko) | 2010-12-15 | 2010-12-15 | 모바일 디바이스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120066919A (ko)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190000133A (ko) * | 2017-06-22 | 2019-01-02 | 인제대학교 산학협력단 | 고령자를 위한 길찾기 어플리케이션 제공방법 |
-
2010
- 2010-12-15 KR KR1020100128273A patent/KR20120066919A/ko not_active Application Discontinuation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190000133A (ko) * | 2017-06-22 | 2019-01-02 | 인제대학교 산학협력단 | 고령자를 위한 길찾기 어플리케이션 제공방법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2212030B1 (ko) | 글래스 타입 단말기 및 이의 제어방법 | |
TWI410906B (zh) | 使用擴增實境導航路徑之方法及使用該方法之行動終端機 | |
US9794683B2 (en) |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 |
US11830375B2 (en) | Driving analysis and instruction device | |
EP2960630B1 (en) | Eyewear-type terminal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 |
CN103180800B (zh) | 使用动作及语音命令的主机应用程序的高级远程控制 | |
US10598506B2 (en) | Audio navigation using short range bilateral earpieces | |
KR102138503B1 (ko) | 스마트 워치 | |
JP2020521256A (ja) | 視覚障害者用の振動触覚装置 | |
CA2936835A1 (en) | Smart necklace with stereo vision and onboard processing | |
JP2012127940A (ja) | 携帯ナビゲーション装置 | |
CN108431667A (zh) | 信息处理装置、信息处理方法和程序 | |
KR20140010715A (ko) | 헤드 마운트 디스플레이를 이용한 컨텐츠 출력 방법 및 이를 위한 헤드 마운트 디스플레이 | |
CN105892472A (zh) | 移动终端及其控制方法 | |
KR20160113906A (ko) | 이동 단말기 및 그것의 제어 방법 | |
KR20160025687A (ko) | 웨어러블 워치 및 그것의 디스플레이 방법 | |
KR20160056133A (ko) | 이미지 표시 제어 방법 및 이를 지원하는 장치 | |
KR20160084702A (ko) | 운동 보조를 위한 전자 장치 및 방법 | |
JP5864800B1 (ja) | ウェアラブルナビゲーションシステム、指輪・腕時計・腕輪、プログラム | |
JP2012112853A (ja) | 情報処理装置、車載用ナビゲーション装置、及び、情報処理方法 | |
EP3547072B1 (en) |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 |
EP3112807B1 (en) | Mobile terminal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 |
WO2008061539A1 (en) | Method and apparatus for communicating navigational instructions to a user | |
KR20110028902A (ko) | 휴대 단말기에서 네비게이션과 관련된 정보를 제공하는 방법 및 그 휴대 단말기 | |
KR20120066919A (ko) | 모바일 디바이스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N231 |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 ||
N231 |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 ||
N231 |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90F |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 ||
E601 |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