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066422A - 차량용 멀티미디어 단말기 거치장치 - Google Patents

차량용 멀티미디어 단말기 거치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066422A
KR20120066422A KR1020100127764A KR20100127764A KR20120066422A KR 20120066422 A KR20120066422 A KR 20120066422A KR 1020100127764 A KR1020100127764 A KR 1020100127764A KR 20100127764 A KR20100127764 A KR 20100127764A KR 20120066422 A KR20120066422 A KR 2012006642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ultimedia terminal
terminal
holder
sound
multimedia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12776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239044B1 (ko
Inventor
최경수
장문석
Original Assignee
장애인표준사업장비클시스템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장애인표준사업장비클시스템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장애인표준사업장비클시스템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0012776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39044B1/ko
Priority to PCT/KR2010/009448 priority patent/WO2012050266A1/ko
Publication of KR2012006642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6642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3904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3904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0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2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radio sets, television sets, telephones, or the like; Arrangement of controls thereof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31/00Coupling parts supported only by co-operation with counterpart
    • H01R31/06Intermediate parts for linking two coupling parts, e.g. adapt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0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011/0001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position
    • B60R2011/0003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position inside the vehicle
    • B60R2011/0005Dashboar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0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011/0042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mounting means
    • B60R2011/008Adjustable or movable supports
    • B60R2011/0085Adjustable or movable supports with adjustment by rotation in their operational posi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0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2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radio sets, television sets, telephones, or the like; Arrangement of controls thereof
    • B60R2011/0294Apparatus with multi-functionalities, e.g. radio and telephone

Landscapes

  • Fittings On The Vehicle Exterior For Carrying Loads, And Device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차량용 멀티미디어 단말기 거치장치에 관한 것으로, 차량의 센터페시아에 빌트인되고 입력되는 음향데이터신호를 증폭하여 차량의 스피커로 출력하는 음향기기; 상기 음향기기에 연결되고, 멀티미디어 단말기가 탈착가능하게 거치되는 거치대; 및 상기 거치대나 상기 음향기기 중 어느 한 곳에 일체적으로 마련되고, 거치대에 거치된 멀티미디어 단말기에 연결되어 멀티미디어 단말기에서 출력되는 음향데이터신호를 음향기기에 전송하는 커넥터모듈;을 포함하는 차량용 멀티미디어 단말기 거치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하면, 차량의 센터페시아에 내장된 음향기기에 연결되는 거치대에 멀티미디어 단말기가 거치되므로 운전자의 시야가 확보될 수 있으며, 특히 커넥터모듈에 의해 멀티미디어 단말기의 음향을 증폭된 상태로 음향기기를 통해 출력될 수 있다.

Description

차량용 멀티미디어 단말기 거치장치 { MULTIMEDIA TERMINAL HOLDING APPARATUS FOR VEHICLE }
본 발명은 차량의 센터페시아에 장착되어 운전자의 시야를 방해하지 않으면서 멀티미디어 단말기가 거치될 수 있는 차량용 멀티미디어 단말기 거치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IT기술이 발달함에 따라 과거에 휴대전화에 국한되었던 휴대용 단말기에서 벗어나, 휴대폰은 물론 DMB수신기, 네비게이션, PMP, MP3플레이어 등 다양한 종류의 휴대용 멀티미디어 단말기들이 개발되고 있는바, 현대인들은 이러한 멀티미디어 단말기들을 휴대하면서 시간과 장소에 구애받지 않고 멀티미디어를 즐기고 있다.
더욱이 최근에 들어서는 스마트폰이나 테플릿컴퓨터와 같이 여러 기능을 통합하여 즐길 수 있는 통합형 멀티미디어 단말기가 개발되어 기존의 단말기를 대체하고 있다.
통합형 멀티미디어 단말기는 음악감상이나 DMB TV 시청, 무선인터넷, 네비게이션 기능을 하기 때문에 차량에서 많이 사용되고 있으며, 이 경우 차량에 설치되는 거치장치를 통해 거치되어 사용되고 있다. 일반적으로 널리 보급되고 있는 종래의 차량용 거치대를 살펴보면, 거치대가 차량의 대쉬보드에 접착식으로 설치된 상태에서 통합형 멀티미디어 단말기가 운전자를 향하도록 거치된다.
이러한 종래의 거치대는 대쉬보드에 돌출되게 설치된 상태에서 통합형 멀티미디어 단말기가 거치되므로, 운전자의 시야를 가려서 사각지대가 발생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 종래의 거치대는 대쉬보드에 접착식으로 설치되므로 접착제의 접착력이 저하되는 경우, 거치대에 장착된 통합형 멀티미디어 단말기의 무게에 의해 낙하되어 운전을 방해하는 문제점이 있다.
이에 더하여, 종래의 거치대는 별도의 음향기기가 마련되지 않아서 통합형 멀티미디어 단말기 자체에 구비된 스피커를 통해 음향이 출력되므로 음향출력의 한계가 있다.
특히, 종래의 거치대는 멀티미디어 단말기를 차량의 음향기기에 접속시킬 수 없어서, 음향출력의 한계는 물론 멀티미디어 단말기를 충전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종래의 거치대는 운전중에 발생되는 잦은 진동에 의해 통합형 멀티미디어 단말기가 불시에 낙하되는 경우, 운전자가 놀라게 되어 안전사고가 유발되는 문제점이 있다.
아울러, 종래의 거치대는 거치된 통합형 멀티미디어 단말기를 이젝트시키는 이젝터가 마련되지 않아 운전자가 수동으로 배출시켜야 하는 불편함이 있었다.
덧붙여, 종래의 거치대는 거치된 통합형 멀티미디어 단말기를 수직으로 거치하므로, 차량용기기가 거치된 상태에서 수평으로 회전시키지 못하여 수평상태로 제공되는 영상 또는 이미지 등을 확인하기 위한 사용상의 불편함이 있었다.
더욱이, 운전중 급정지시 또는 접촉사고 발생시 탑승자가 대쉬보드에 돌출되게 설치된 거치대와 충돌하여 부상을 당할 수도 있는 문제점도 있다.
특히, 종래의 거치대나 차량의 내부부품들은 최근출시된 멀티미디어 단말기와 호환되도록 구성되지 않아서, 멀티미디어 단말기를 안정적으로 거치하지 못할 뿐만 아니라 단말기를 회전된 상태로 거치하지 못하는 문제점도 있다.
본 발명은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멀티미디어 단말기를 거치하는 부재를 제공할 수 있고, 특히 음향기기 또는 단말기를 거치하는 부재에 일체적으로 마련되는 접속부재를 통해 멀티미디어 단말기의 음향을 차량의 오디오시스템으로 출력할 수 있는 차량용 멀티미디어 단말기 거치장치를 제공하기 위함이 그 목적이다.
또한, 전술한 접속부재가 단말기에 접속된 상태에서 단말기를 거치부재에 자유로이 탈착할 수 있는 형태로 구성된 차량용 멀티미디어 단말기 거치장치를 제공하기 위함이 그 목적이다.
이에 더하여, 전술한 접속부재가 음향기기 또는 거치부재에 고정되어 돌출된 단자형태나, 단자가 장착된 모듈형태로 구성되어 단말기의 음향을 음향기기에 전송하거나 단말기에 전원을 공급할 수 있는 차량용 멀티미디어 단말기 거치장치를 제공하기 위함이 다른 목적이다.
덧붙여, 전술한 접속부재에 착탈가능하게 결합되는 별개의 분리접속부재를 통해 멀티미디어 단말기의 다양한 접속형태에 대응할 수 있으며, 특히 분리접속부재가 케이블형태로 구성되어 더욱 용이하게 단말기에 접속할 수 있는 차량용 멀티미디어 단말기 거치장치를 제공하는 것이 다른 목적이다.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하나의 양상은, 차량의 센터페시아에 빌트인되고 입력되는 음향데이터신호를 증폭하여 차량의 스피커로 출력하는 음향기기; 상기 음향기기에 연결되고, 멀티미디어 단말기가 탈착가능하게 거치되는 거치대; 및 상기 거치대나 상기 음향기기 중 어느 한 곳에 일체적으로 마련되고, 거치대에 거치된 멀티미디어 단말기에 연결되어 멀티미디어 단말기에서 출력되는 음향데이터신호를 음향기기에 전송하는 커넥터모듈;을 포함하는 차량용 멀티미디어 단말기 거치장치에 관계한다.
본 발명에 의한 차량용 멀티미디어 단말기 거치장치에 의하면, 차량의 센터페시아에 내장된 음향기기에 연결되는 거치대에 멀티미디어 단말기가 거치되므로 운전자의 시야가 확보될 수 있으며, 특히 커넥터모듈에 의해 멀티미디어 단말기의 음향을 증폭된 상태로 음향기기를 통해 출력될 수 있다.
또, 전술한 커넥터모듈이 접속단자가 마련된 단자케이블로 구성될 경우 멀티미디어 단말기에 커넥터모듈을 접속한 상태에서 단말기를 거치대에 거치 또는 분리할 수 있으므로 멀티미디어 단말기를 거치대에 용이하게 탈부착할 수 있다.
이와 달리, 전술한 커넥터모듈이 거치대나 음향기기에 고정되는 접속단자 또는 접속단자가 장착된 케이스로 구성될 경우 거치대에 거치되는 멀티미디어 단말기가 접속단자에 접속되면서 거치대에 고정되는 효과가 있다.
덧붙여, 커넥터모듈이 젠더를 통해 멀티미디어 단말기에 접속될 수 있으므로 단말기의 다양한 접속형태에 대응할 수 있으며, 반복적인 단말기의 접속에 의한 고장시, 젠더만을 간편하게 교환할 수 있어서 시간 및 비용을 절감할 뿐만 아니라, 젠더가 젠더케이블로 구성될 경우 더욱 용이하게 단말기에 접속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멀티미디어 단말기 거치장치를 개략적으로 보인 사시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차량용 멀티미디어 단말기 거치장치의 분리된 상태의 측면도.
도 3은 도 2의 결합된 상태를 보인 측면도.
도 4는 도 2의 요부를 보인 사시도.
도 5는 도 4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반원돌기와 반원홈을 보인 도면.
도 6은 도 1의 차량용 멀티미디어 단말기 거치장치에 멀티미디어 단말기가 거치되는 과정을 보인 사시도.
도 7은 도 1에 도시된 이젝터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정면도.
도 8은 본 발명의 차량용 멀티미디어 단말기 거치장치에서 멀티미디어 단말기가 이젝트되는 과정을 보인 도면.
도 9는 본 발명의 차량용 멀티미디어 단말기 거치장치가 회전되는 과정을 보인 도면.
도 10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의한 이젝터를 보인 사시도.
도 11은 도 10의 동작을 보인 도면.
도 1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거치대를 보인 사시도.
도 13은 도 12의 동작을 보인 도면.
도 14는 본 발명에 적용되는 거치대의 또 다른 구성을 나타내는 사시도.
도 15는 도 14에 도시된 거치대의 종단면도.
도 16은 본 발명의 거치대가 차량에 설치된 상태를 나타내는 개략도.
도 17은 본 발명에 적용되는 젠더를 나타내는 분해사시도.
도 18은 젠더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분해사시도.
이하, 첨부한 도면에 의하여 본 발명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차량용 멀티미디어 단말기 거치장치는, 음향기기(10), 거치대(30) 및 커넥터모듈(50)을 포함한다.
음향기기(10)는 엠프 또는 엠프가 내장된 오디오로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음향기기(10)는 미도시된 차량의 센터페시아에 빌트인되고, 입력되는 음향데이터신호를 증폭하여 차량의 미도시된 스피커로 출력한다.
거치대(30)는 음향기기(10)에 연결되고, 멀티미디어 단말기(SP)가 탈착가능하게 거치된다. 한편, 멀티미디어 단말기(SP)는 스마트폰이나 테블릿 PC, PND, 핸드폰 등으로 구성되어 거치대(30)에 거치될 수 있다.
커넥터모듈(50)은 거치대(30)에 거치된 멀티미디어 단말기(SP)의 신호단자에 접속되어 멀티미디어 단말기(SP)에서 출력되는 음향데이터신호를 음향기기(10)에 전송한다. 여기서, 신호단자는 후술되는 잭홀(JH) 및 독커넥터(DC)이다.
커넥터모듈(50)은 도시된 바와 같이 일단부가 음향기기(10) 또는 거치대(30)에 일체적으로 연결되고 타단부에 마련되는 접속단자(51)를 통해 멀티미디어 단말기(SP)에 접속되는 단자케이블로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단자케이블은 도시된 바와 같이 일단부가 음향기기(10)에 직접연결되거나, 후술되는 바와 같이 거치대(30)를 통해 음향기기(10)에 통전가능하게 연결될 수도 있다.
즉, 커넥터모듈(50)은 접속단자(51)가 마련된 케이블형태로 구성되므로 멀티미디어 단말기(SP)의 신호단자에 접속이 용이하다. 따라서, 멀티미디어 단말기(SP)는 단자케이블로 구성되는 커넥터모듈(50)이 접속한 상태에서 거치대(30)에 거치되거나 거치대(30)로부터 분리될 수 있다.
전술한 거치대(30)는 홀더(31), 이젝터(35) 및 후술되는 커플러(37)를 포함한다.
홀더(31)는 음향기기(10)의 전면에 연결되고 멀티미디어 단말기(SP)와 결합되는 상기 커넥터모듈(50)이 하부에 장착되며, 멀티미디어 단말기(SP)를 수직상태로 수용하도록 도시된 바와 같이 'ㄷ' 과 같은 단면의 형태로 형성되어 전면이 개방된다. 홀더(31)는 멀티미디어 단말기(SP)가 삽입되도록 전면이 개방된다. 그리고, 홀더(31)는 일측에 사용자에 의해 작동되는 가압부재(33)가 설치된다. 이러한 홀더(31)는 후술되는 커플러(37)에 의해 음향기기(10)에 직접결합될 수 있다.
이젝터(35)는 가압부재(33)의 가압력에 의해 홀더(31)에 수용된 멀티미디어 단말기(SP)를 홀더(31)의 외측으로 이젝트시킨다. 즉, 이젝터(35)는 멀티미디어 단말기(SP)를 홀더(31)의 전방으로 약간 돌출시킨다. 따라서, 이젝터(35)는 멀티미디어 단말기(SP)를 홀더(31)에서 약간 돌출시키므로, 멀티미디어 단말기(SP)가 홀더(31)에서 완전히 이탈되지 않은 상태가 유지될 수 있다. 이에 의해, 멀티미디어 단말기(SP)는 홀더(31)에서 약간 돌출되므로 사용자에 의해 파지되면서 홀더(31)에서 배출되어 휴대될 수 있다.
이러한, 이젝터(35)는 가압부재(33), 밀착판(35a) 및 가압력 전달부재(35b)를 포함한다.
가압부재(33)는 외부의 힘에 의해 가압되도록 홀더(31)에 마련된다. 이러한, 가압부재(33)는 버튼(33a) 및 스프링(33b)를 포함한다. 버튼(33a)은 홀더(31)에 형성된 홀에 푸시가능하게 설치되어 외부의 가압력에 의해 푸시된다. 스프링(33b)은 버튼(33a)을 탄력적으로 지지하여 푸시되는 버튼(33a)을 원위치로 복귀시킨다.
밀착판(35a)은 판형태로 형성되어 홀더(31)에 회전가능하게 고정되어 홀더(31)에 수용되는 멀티미디어 단말기(SP)의 후면에 밀착되고, 가압부재(33)의 가압력에 의해 회전하면서 멀티미디어 단말기(SP)를 경사상태로 홀더(31)의 외측으로 배출한다. 여기서, 밀착판(35a)은 양측에 제각기 설치되면서 홀더(31)의 내측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회전축(35a-1)에 의해 홀더(31)에서 회전된다. 또한, 밀착판(35a)은 하단에서 전방으로 돌출되면서 측면의 형상이 'ㄱ'의 형상으로 절곡되는 돌출판(35d)이 형성된다. 이러한, 돌출판(35d)은 상부에 멀티미디어 단말기(SP)가 안착된다.
가압력 전달부재(35b)는 가압부재(33)의 가압력을 밀착판(35a)에 전달한다. 이러한, 가압력 전달부재(35b)는 경사핀(35b-1), 푸시돌기(35b-2) 및 탄성체(35b-3)를 포함한다. 경사핀(35b-1)은 가압부재(33)에 연결된 상태로 홀더(31)의 내측을 향해 설치되어, 가압부재(33)의 가압력에 의해 직선이동된다. 경사핀(35b-1)은 단부가 경사지게 형성되어 푸시돌기(35b-2)의 측면으로 삽입되면서 푸시돌기(35b-2)의 후방을 가압하여 푸시돌기(35b-2)를 전면으로 돌출시킨다.
푸시돌기(35b-2)는 밀착판(35a)의 후면에 설치되어 홀더(31)에 삽입되는 경사핀(35b-1)에 의해 전방으로 돌출되면서 밀착판(35a)의 후면을 밀어서 회전시킨다. 탄성체(35b-3)는 푸시돌기(35b-2)에 탄성력을 제공하여 푸시돌기(35b-2)를 원위치시킨다.
한편, 거치대(30)는 미도시된 겔패드가 마련될 수 있다. 겔패드는 점착력을 갖는 겔이 일면에 마련되어 대상물을 점착시켜 고정하는 부재이다. 이러한 겔패드는 전술한 홀더(31)에 부착되거나, 밀착판(35a)에 부착되어 멀티미디어 단말기(SP)의 후면을 점착시켜서 고정한다.
여기서, 거치대(30)는 홀더(31)에 겔패드가 마련될 경우, 전술한 이젝터(35)가 없이 구성이 가능하여 슬림화가 가능하며, 밀착판(35a)에 겔패드가 마련될 경우 멀티미디어 단말기(SP)가 더욱 안정적으로 거치될 수 있다.
도 2를 참조하면, 커넥터모듈(50)은 도시된 바와 같이 일단부가 커플러(37)에 의해 음향기기(10)에 연결될 수 있다. 즉, 커넥터모듈(50)은 전술한 바와 같이 거치대(30)를 통해 음향기기(10)에 통전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커플러(37)는 홀더(31) 및 음향기기(10)에 제각기 연결되고, 암수형태로 구성되어 서로 결합되면서 홀더(31)를 음향기기(10)에 분리가능하게 고정하며, 커넥터모듈(50)을 통해 인가되는 멀티미디어 단말기(SP)의 음향데이터신호를 음향기기(10)에 전송한다.
커플러(37)는 홀더커넥터(37a) 및 결합커넥터(37b)를 포함한다.
홀더커넥터(37a)는 홀더(31)에 일체적으로 마련되고, 커넥터모듈(50)로 인가되는 멀티미디어 단말기(SP)의 음향데이터신호를 출력하는 수형단자(37a-1)를 가지며, 음향기기(10)의 방향으로 돌출되는 걸림돌기(37a-2)를 갖는다. 여기서, 수형단자(37a-1)는 커넥터모듈(50)을 구성하는 단자케이블의 일단부가 연결된다.
결합커넥터(37b)는 홀더커넥터(37a)의 수형단자(37a-1)와 결합되어 음향데이터신호를 음향기기(10)에 전송하는 암형단자(37b-1)를 가지며, 걸림돌기(37a-2)가 걸려서 고정되는 걸림공(37b-2)을 갖는다.
한편, 거치대(30)는 쉴드플레이트(37c)를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쉴드플레이트(37c)는 판상으로 구성되어 음향기기(10)의 전면을 차폐한다. 여기서, 음향기기(10)는 전면을 커버하는 커버판(11)이 더 설치될 수 있다. 따라서, 쉴드플레이트(37c)는 커버판(11)에 설치될 수 있다.
거치대(30)는 접착제 또는 볼트를 이용하여 전술한 커버판(11)을 대쉬보드상에 고정시키는 경우 대쉬보드상에 설치가능하다.
한편, 결합커넥터(37b)는 회전관(37b-3)과 회전축(37b-5) 및 회전제한부재를 더 포함한다. 회전관(37b-3)은 원통형상으로 형성되어 쉴드플레이트(37c)에 고정된다. 회전축(37b-5)은 원통형상으로 형성되어 커버판(11)에 일단이 돌출되게 고정된다. 이러한, 회전축(37b-5)은 회전관(37b-3)에 회전가능하게 삽입된다. 회전제한부재는 후술된다.
도 3을 참조하면, 홀더(31)는 홀더커넥터(37a) 및 결합커넥터(37b)의 결합에 의해 쉴드플레이트(37c)에 연결된다. 즉, 홀더커넥터(37a)와 결합커넥터(37b)는 걸림공(37b-2)에 걸림돌기(37a-2)가 억지끼움식으로 체결됨에 따라 결합된다. 물론, 홀더(31)는 전술한 바와 같이 쉴드플레이트(37c) 없이 커플러(37)에 의해 직접 음향기기(10) 또는 커버판(11)에 결합될 수도 있다.
그리고, 수형단자(37a-1)와 암형단자(37b-1)는 홀더커넥터(37a)와 결합커넥터(37b)의 결합에 의해 서로 접속된다. 이때, 수형단자(37a-1)와 암형단자(37b-1)는 서로 접촉됨에 따라 커넥터모듈(50)에 접속된 멀티미디어 단말기(SP)의 음향데이터신호가 음향기기(10)에 전송될 수 있다.
여기서, 회전축(37b-5)은 회전관(37b-3)의 내주면에 삽입되도록 회전관(37b-3)의 내경보다 작은 크기의 외경을 갖는다. 따라서, 회전관(37b-3)은 회전축(37b-5)에 삽입되어 지지된 상태로 회전된다.
회전축(37b-5)은 걸림공(37b-2) 및 걸림돌기(37a-2)의 체결에 의해 회전관(37b-3)에서 이탈되지 않으면서 회전된다. 즉, 홀더(31)는 걸림공(37b-2) 및 걸림돌기(37a-2)의 체결에 의해 쉴드플레이트(37c)에 고정되므로, 쉴드플레이트(37c)의 회전에 의해 거치된 멀티미디어 단말기(SP)와 함께 회전된다.
한편, 멀티미디어 단말기(SP)는 도시된 바와 같이 버튼(33a)이 눌릴 경우 밀착판(35a)과 함께 홀더(31)에서 외측으로 약간 돌출된다. 이때, 밀착판(35a)은 도시된 회전축(35a-1)을 중심으로 회전한다. 이때, 커넥터모듈(50)은 회전되어도 단자케이블의 유연함에 의해 멀티미디어 단말기(SP)와 연결된 상태가 유지될 수 있다.
도 4를 참조하면, 회전제한부재는 회전돌기(11a) 및 회전돌기(11a)의 회전을 제한하도록 이격되는 복수의 걸림돌기(11b)로 구성된다. 이러한, 회전돌기(11a) 및 걸림돌기(11b)는 쉴드플레이트(37c) 및 커버판(11)에 서로 대응되게 제각기 설치된다. 여기서, 복수의 걸림돌기(11b)는 회전축(37b-5)을 중심으로 90도로 이격되게 설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회전돌기(11a)는 회전축(37b-5)을 중심으로 90도로 회전되도록 설치된다. 따라서, 쉴드플레이트(37c)는 커버판(11)에서 90도로 회전되면서 수직 또는 수평으로 전환된다. 또한, 회전돌기(11a) 및 복수의 걸림돌기(11b)는 서로 접촉된 상태가 유지되도록 각각 금속 및 자석으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회전돌기(11a) 및 걸림돌기(11b)는 자력에 의해 서로 접촉된 상태가 유지되므로, 쉴드플레이트(37c)의 회전된 상태를 안정되게 유지시킬 수 있다.
또한, 쉴드플레이트(37c)는 회전돌기(11a) 및 걸림돌기(11b)들에 의해 360도 회전이 방지되면서 90도로만 회전되므로, 미도시된 전선의 꼬임을 방지할 수 있다.
도 5를 참조하면, 회전제한부재는 반원형태의 양각으로 돌출된 반원돌기(11c) 및 반원돌기(11c)와 대응되도록 반원형태의 음각으로 만곡된 반원홈(11d)로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반원돌기(11c) 및 반원홈(11d)은 전술한 커버판(11) 및 쉴드플레이트(37c)에 서로 대응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반원돌기(11c) 및 반원홈(11d)은 각각 복수로 구성되어 방사형으로 커버판(11) 및 쉴드플레이트(37c)에 각각 방사형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따라서, 쉴드플레이트(37c)는 커버판(11)에서 회전되면서 반원돌기(11c)와 반원홈(11d)의 결합에 의해 회전된 상태가 정확하게 고정된다. 또한, 반원돌기(11c)와 반원홈(11d)은 쉴드플레이트(37c)를 다시 회전시키는 것에 의해 서로 분리된다.
또한, 쉴드플레이트(37c)는 반원돌기(11c)와 반원홈(11d)에 의해 360도 회전이 방지되면서 90도로만 회전되므로, 미도시된 전선의 꼬임을 방지할 수 있다.
도 6을 참조하면, 커넥터모듈(50)은 전술한 바와 달리 케이스형태로 구성되어 음향기기(10) 또는 거치대(30)에 고정될 수 있다.
커넥터모듈(50)은 케이스(57), 접속단자(51) 및 데이터전송부(55)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접속단자(51)는 잭핀(51a)이나 모듈커넥터(51b) 중 적어도 어느 하나로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접속단자(51)의 구성은 전술한 단자케이블의 접속단자(51)(도 1 내지 도 3 참조)도 동일하다.
잭핀(51a)은 멀티미디어 단말기(SP)의 잭홀(JH)에 결합되어 멀티미디어 단말기(SP)로부터 음향데이터신호를 전달받는다. 모듈커넥터(51b)는 멀티미디어 단말기(SP)의 독커넥터(DC)에 결합되어 차량에서 제공되는 전원을 멀티미디어 단말기(SP)에 공급하거나, 멀티미디어 단말기(SP)로부터 음향데이터신호를 전송받는다.
데이터전송부(55)는 잭핀(51a) 또는 모듈커넥터(51b)로 전송되는 음향데이터신호를 음향기기(10)로 제공한다. 데이터전송부(55)는 마이크로프로세서 및 메모리로 구성될 수 있다. 이와 달리, 데이터전송부(55)는 와이어나 회로기판으로 구성될 수도 있다.
이러한, 데이터전송부(55)는 전술한 커플러(37)의 수형단자(37a-1)에 연결되는 플렉시블케이블(FC)에 연결된다.
케이스(57)는 데이터전송부(55)가 내장되고, 잭핀(51a) 및 모듈커넥터(51b)가 제각기 장착되며, 전술한 돌출판(35d)의 하부에 고정된다.
한편, 커넥터모듈(50)은 음향신호분리부(59)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음향신호분리부(59)는 마이크로프로세서로 구성되어, 멀티미디어 단말기(SP)로부터 제공되는 데이터신호들 중 음향데이터신호를 분리하여 데이터전송부(55)에 제공한다. 즉, 음향신호분리부(59)는 케이스(57)에 잭핀(51a)이 마련되지 않은 경우, 독커넥터(DC)를 통해 전송되는 데이터신호들 중에서 음향데이터신호를 분리한다.
다른 한편, 가압부재(33)는 도시된 바와 같이 홀더(31)의 일측 또는 양측에 마련될 수 있다. 여기서, 경사핀(35b-1)은 전술한 버튼(33a)과 일체적으로 결합된다. 이러한, 경사핀(35b-1)은 홀더(31)의 외측을 관통한 상태로 설치된 상태에서 스프링(33b)에 의해 탄력적으로 지지된다. 이때, 경사핀(35b-1)은 외측에 스토퍼(31a)가 설치되어 스프링(33b)의 탄력에 의해 홀더(31)에서 이탈되지 않는다.
케이스(57)는 회전부재(35c)에 의해 홀더(31)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된다.
회전부재(35c)는 커넥터모듈(50)을 멀티미디어 단말기(SP)의 경사에 대응하는 상태로 회전시킨다. 즉, 회전부재(35c)는 가압부재(33)의 가압에 의해 회전하는 밀착판(35a)이 회전될 때, 멀티미디어 단말기(SP)에 접속된 커넥터모듈(50)을 홀더(31)에 고정된 상태로 회전시킨다. 이러한, 회전부재(35c)는 힌지(35c-1) 및 힌지레일(35c-2)을 포함한다. 힌지(35c-1)는 커넥터모듈(50)의 양측에 형성된다. 힌지레일(35c-2)은 홀더(31)의 양측에 장공형태로 대칭되게 형성되고, 힌지(35c-1)가 삽입된다. 즉, 힌지(35c-1)는 커넥터모듈(50)의 회전에 의해 힌지레일(35c-2)을 따라 이동된다. 여기서 힌지레일(35c-2)은 원호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멀티미디어 단말기(SP)는 버튼(33a)이 눌릴 경우 밀착판(35a)과 함께 홀더(31)에서 외측으로 약간 돌출된다. 이때, 밀착판(35a)은 도시된 회전축(35a-1)을 중심으로 회전되면서, 멀티미디어 단말기(SP)의 하부에 연결된 커넥터모듈(50)을 후방으로 회전시킨다. 그리고, 커넥터모듈(50)은 힌지(35c-1)가 힌지레일(35c-2)을 따라 이동하므로 멀티미디어 단말기(SP)에 연결된 상태로 회전축(35a-1)을 중심으로 회전된다. 이러한, 커넥터모듈(50)은 회전되어도 플렉시블케이블(FC)의 유연함에 의해 멀티미디어 단말기(SP)와 연결된 상태가 유지될 수 있다.
한편, 도 7을 참조하면, 가압력 전달부재(35b)는 전술한 바와 달리 래크기어(35b-4), 피니언(35b-5), 볼트축(35b-6), 너트(35b-7) 및 가이드(35b-8)를 포함하여 구성할 수 있다.
래크기어(35b-4)는 홀더(31)의 일측에 설치된 가압부재(33)에 일체로 형성된다. 이러한, 래크기어(35b-4)는 홀더(31)에 마련된 가이드링(31b)에 이동가능하게 삽입된다. 또한, 래크기어(35b-4)는 전술한 스토퍼(31a)가 설치되어 홀더(31)에서 이탈되지 않는다. 그리고, 피니언(35b-5)은 홀더(31)의 상부 중앙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어 래크기어(35b-4)에 교합된다. 따라서, 래크기어(35b-4)는 가압부재(33)의 가압에 의해 이동하면서 피니언(35b-5)을 회전시킨다.
래크기어(35b-4)는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로 구성되어 홀더(31)의 양측에 마련될 수 있다. 즉, 복수의 래크기어(35b-4)는 피니언(35b-5)의 일측 및 양측에 동시에 교합된 상태로, 가압부재(33)의 가압에 의해 서로 교차이동하면서 피니언(35b-5)을 회전시킨다.
볼트축(35b-6)은 확대 도시된 바와 같이 일단이 피니언(35b-5)의 중앙에 일체로 고정된다. 너트(35b-7)는 볼트축(35b-6)에 나사결합된다. 그리고, 너트(35b-7)는 단부에 캡(35b-9)이 설치될 수 있다. 가이드(35b-8)는 일단이 홀더(31)에 고정된 상태로 너트(35b-7)가 볼트축(35b-6)을 따라 이동되도록 너트(35b-7)를 안내한다. 가이드(35b-8)는 내주면이 너트(35b-7)의 외주면과 동일한 형상으로 형성되어, 너트(35b-7)의 회전을 방지하면서 안내할 수 있다.
한편, 가이드(35b-8) 및 너트(35b-7)는 내주면 및 외주면에 서로 대응되는 형태의 가이드레일 및 가이드부재가 형성될 수 있다. 즉, 볼트축(35b-6)의 회전시 가이드부재가 가이드레일을 따라 슬라이딩 되므로, 너트(35b-7)는 가이드(35b-8)에 안내되면서 볼트축(35b-6)을 따라 이동된다.
여기서, 커넥터모듈(50)은 도시된 바와 같이 케이스형태로 구성되어 홀더(31)에 고정될 수 있으며, 도시된 바와 달리, 단자케이블로 구성될 수도 있다.
도 8을 참조하면, 래크기어(35b-4)는 가압부재(33)의 가압에 의해 이동되면서 교합된 피니언(35b-5)을 회전시킨다. 이때, 볼트축(35b-6)은 피니언(35b-5)과 함께 회전된다. 따라서, 너트(35b-7)는 볼트축(35b-6)의 회전에 의해 볼트축(35b-6)에서 풀리면서 가이드(35b-8)에 안내되어 홀더(31)의 전방으로 돌출되어서 밀착판(35a)을 푸시한다. 따라서, 밀착판(35a)은 회전축(35a-1)에 의해 홀더(31)에서 회전되면서 멀티미디어 단말기(SP)를 홀더(31)의 외측으로 약간 돌출시킨다.
이와 반대로, 래크기어(35b-4)는 가압부재(33)의 가압을 해제하면 스프링(33b)의 탄성력에 의해 원위치로 복귀하면서 교합된 피니언(35b-5)을 역회전시킨다. 따라서, 너트(35b-7)는 볼트축(35b-6)의 역회전에 의해 볼트축(35b-6)에 조여지면서 가이드(35b-8)에 안내되어 원위치로 위치되는 동시에 밀착판(35a)을 푸시를 해제한다.
도 9를 참조하면, 전술한 홀더(31)는 쉴드플레이트(37c)에 고정된 상태에서 쉴드플레이트(37c)의 회전시 함께 회전된다. 그리고, 홀더(31)는 회전돌기(11a) 및 걸림돌기(11b)들에 의해 수직 또는 수평으로 회전되어 고정된다.
따라서, 멀티미디어 단말기(SP)는 홀더(31)에 걸치된 상태로 약90도로 회전되어서 수직 또는 수평으로 고정된 상태로 이미지 또는 사진 등을 현시할 수 있다.
한편, 쉴드플레이트(37c)는 전방에 전술된 음향기기(10)에서 증폭되는 음향의 볼륨을 조절하는 볼륨스위치(37c-1)가 마련될 수 있다. 따라서, 볼륨스위치(37c-1)는 멀티미디어 단말기(SP)에서 제공되어 스피커로 출력되는 음향의 크기를 조절할 수 있다. 이러한, 볼륨스위치(37c-1)는 쉴드플레이트(37c)의 전방에 마련된 상태이므로, 사용자가 운전중에도 용이하게 볼륨을 조절할 수 있다.
즉, 볼륨스위치(37c-1)는 쉴드플레이트(37c)에서 전방에 노출되므로, 홀더(31)에 수용된 상태의 멀티미디어 단말기(SP)를 이용하여 볼륨을 조절하는 것보다 사용이 편리하다.
한편, 도 10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이젝터(35)는 가압부재(33), 밀착판(35a), 승강판(36) 및 가압력 전달부재(35b)로 구성될 수도 있다. 여기서, 밀착판(35a) 및 가압력 전달부재(35b)는 전술한 바와 동일하게 구성되므로, 구성 및 동작설명은 생략한다.
승강판(36)은 밀착판(35a)의 상부에서 상하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밀착판(35a)에 삽입설치된다. 승강판(36)은 상부에 케이스형태의 커넥터모듈(50)이 설치된다. 여기서, 커넥터모듈(50)은 전술한 바와 달리 잭핀(51a)이 하부로 돌출되게 설치된다. 커넥터모듈(50)은 전술한 플렉시블케이블(FC)에 음향데이터신호를 전송하도록 연결된다. 이러한, 커넥터모듈(50)은 전술한 잭홀(JH)이 상부에 형성된 멀티미디어 단말기(SP)에 결합될 수 있다.
따라서, 커넥터모듈(50)은 밀착판(35a)에서 승강하는 승강판(36)의 승강에 따라 잭핀(51a)을 통해 결합할 수 있으면서 홀딩할 수 있다.
도 11을 참조하면, 커넥터모듈(50)은 사용자가 파선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승강판(36)을 상승시키는 경우 승강판(36)과 함께 상승된다. 멀티미디어 단말기(SP)는 승강판(36)이 승강된 후 사용자에 의해 밀착판(35a)에 안착된다. 그리고, 커넥터모듈(50)의 잭핀(51a)은 사용자가 승강판(36)을 하강시키면 잭홀(JH)에 삽입되면서 멀티미디어 단말기(SP)에 결합된다. 따라서, 커넥터모듈(50)은 잭핀(51a)과 잭홀(JH)의 결합을 통해 멀티미디어 단말기(SP)의 음향데이터신호를 전송받을 수 있다.
또한, 커넥터모듈(50)은 사용자가 승강판(36)을 상승시키면 잭핀(51a)과 잭홀(JH)이 분리되므로 멀티미디어 단말기(SP)와 분리된다.
이러한 승강판(36)은 상부에 잭홀(JH)이 형성된 멀티미디어 단말기(SP)에 적용이 가능하다. 또한, 커넥터모듈(50)은 승강판(36)에 고정된 상태이므로, 밀착판(35a)의 회전시 회전을 안내하는 전술한 힌지(35c-1) 및 힌지레일(35c-2)이 불필요하다. 따라서, 커넥터모듈(50)은 단순한 구조로 구성될 수 있다.
한편, 전술한 이젝터(35)가 적용되는 홀더(31)는 접착제 또는 볼트를 이용하여 전술한 커버판(11)을 대쉬보드상에 고정시키는 경우 대쉬보드상에 설치가능하다.
도 1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거치대(30)는 밀착판(35a), 승강판(36) 및 커플러(37)로 구성될 수도 있다. 밀착판(35a)은 하단에서 전방으로 돌출되는 돌출판(35d)이 형성된다. 이러한, 돌출판(35d)은 전술한 멀티미디어 단말기(SP)의 하단을 지지한다. 따라서, 멀티미디어 단말기(SP)는 밀착판(35a)에 후면이 지지되면서 돌출판(35d)에 하단이 안착될 수 있다.
승강판(36) 및 커플러(37)는 도 10 및 도 11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동일하게 구성되므로 구성 및 동작설명은 생략한다.
여기서, 커플러(37)는 밀착판(35a)과 전술한 커버판(11)의 사이에 마련된다. 따라서, 밀착판(35a)은 도시된 바와 같이 커플러(37)에 의해 커버판(11)에서 회전된다. 따라서, 밀착판(35a)은 거치되는 멀티미디어 단말기(SP)와 함께 커플러(37)에 의해 수직 또는 수평으로 회전될 수 있다.
도 13을 참조하면, 커넥터모듈(50)은 케이스형태로 승강판(36)에 고정되어 승강판(36)과 함께 상승된다. 이때, 커넥터모듈(50)은 밀착판(35a)에 멀티미디어 단말기(SP)가 안착된 후, 승강판(36)의 하강에 의해 밀착판(35a)에 안착된 멀티미디어 단말기(SP)의 상부로 하강하여 멀티미디어 단말기(SP)와 결합된다. 즉, 멀티미디어 단말기(SP)는 전술한 바와 같이 상부에 잭홀(HJ)이 형성되므로, 커넥터모듈(50)의 잭핀(51a)이 하강하면서 잭홀(HJ)에 삽입되어 결합될 수 있다.
따라서, 커넥터모듈(50)은 잭핀(51a)이 잭홀(HJ)에 삽입되어 결합되므로, 멀티미디어 단말기(SP)를 홀딩한다. 따라서, 멀티미디어 단말기(SP)는 밀착판(35a)에 거치된 상태에서 커넥터모듈(50)에 홀딩되므로, 밀착판(35a)이 회전되어도 밀착판(35a)에서 이탈되지 않는다.
또한, 커넥터모듈(50)은 사용자가 멀티미디어 단말기(SP)를 파지한 상태에서 승강판(36)을 상승시키면 멀티미디어 단말기(SP)와 분리된다.
이러한 거치대(30)는 도시된 바와 같이 전술한 홀더(31), 가압부재(33) 및 이젝터(35)가 생략될 수 있다. 따라서, 거치대(30)는 단순한 구성으로 구성될 수 있다. 즉, 거치대(30)는 단순하게 구성되므로 차량의 센터페시아에서 적은 공간이 소요된다.
전술한 밀착판(35a) 및 승강판(36)이 적용되는 거치대(30)는 접착제 또는 볼트를 이용하여 전술한 커버판(11)을 대쉬보드상에 고정시키는 경우, 대쉬보드상에 설치가능하다.
한편, 도 14를 참조하면, 거치대(30)는 전술한 홀더(31), 이젝터(35), 커플러(37) 및 쉴드플레이트(37c)가 조합된 형태로 구성될 수도 있다.
여기서, 홀더(31)와 커플러(37) 및 쉴드플레이트(37c)의 구성은 전술한 바와 동일하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하지만, 이젝터는 전술한 이젝터와 상이하므로 자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이젝터(35)는 푸시부재 및 로킹부재(35h)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푸시부재는 홀더(31)에 결합되어 가압에 의해 작동하면서 멀티미디어 단말기(SP) 또는 전술한 밀착판(35a)을 회전시켜 멀티미디어 단말기(SP)를 이젝트시키는 부재이다. 즉, 이젝터(35)는 전술한 밀착판(35a)을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도 있으며, 밀착판(35a)이 없는 형태로 구성될 수도 있다.
이러한 푸시부재는 푸시판(35f) 및 리턴스프링(35g)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푸시판(35f)은 홀더(31)에 고정되는 힌지축(35e)에 결합되어 힌지축(35e)을 중심으로 편축회전한다. 이러한 푸시판(35f)은 도시된 바와 같이 지그재그 형태로 형성됨에 따라 크랭크 형태로 형성되어 일측이 밀착판(35a)의 후방에 대면하는 가압판(35f-1)을 형성하며, 타측이 홀더(31)의 외측으로 돌출되는 파지판(35f-2)을 형성한다. 즉, 푸시판(35f)은 가압판(35f-1)이 힌지축(35e)를 중심으로 편축회전하면서 멀티미디어 단말기(SP) 또는 밀착판(35a)을 회전시킨다.
리턴스프링(35g)은 푸시판(35f)의 후방에 배치되어 탄성력에 의해 가압판(35f-1)을 가압하여 회전시키는 구성요소이다. 즉, 푸시판(35f)은 리턴스프링(35g)의 탄성력에 의해 가압판(35f-1)이 회전하면서 밀착판(35a) 또는 멀티미디어 단말기(SP)를 회전시킨다.
로킹부재(35h)는 힌지축(35e)을 중심으로 회전하는 푸시판(35f)의 회전을 제어하는 부재이다. 로킹부재(35h)는 외부의 가압력에 의해 푸시판(35f)의 가압판(35f-1)이 리턴스프링(35g)을 압축한 상태로 로킹하거나, 재가압에 의해 언로킹되면서 리턴스프링(35g)의 탄성력을 가압판(35f-1)에 전달한다.
쉴드플레이트(37c)는 전술한 바와 같이 음향기기(10)의 전면에 고정되어 음향기기(10)를 차폐한다.
한편, 거치대(30)는 블루투스 통신칩(38a), 핸즈프리버튼(38b) 및 램프(38c)를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블루투스 통신칩(38a)은 샌디스크 형태로 구성되어 쉴드플레이트(37c)에 착탈식으로 장착될 수 있으며, 음향기기(10)와 멀티미디어 단말기(SP)를 무선통신으로 연결시키는 블루투스모듈이 내장된다. 따라서, 블루투스 통신칩(38a)는 무선통화에 필요한 음성데이터신호를 멀티미디어 단말기(SP)나 음향기기(10)에 무선으로 전달한다.
이러한 블루투스 통신칩(38a)은 착탈식으로 쉴드플레이트(37c)에 착탈식으로 결합되므로 업그레이드나 교환이 용이하다. 즉, 블루투스 통신칩(38a)은 블루투스 버전이 업그레이드될 경우 쉴드플레이트(37c)에서 분리되어 사용자의 컴퓨터에서 업그레이된 후 다시 장착될 수 있다. 따라서, 블루투스 통신칩(38a)은 매우 용이하게 업그레이드된다.
핸즈프리버튼(38b)은 블루투스 통신칩(38a)의 작동을 제어하고, 음향기기(10)를 통해 출력되는 음성데이터신호의 출력을 제어한다. 즉, 핸즈프리버튼(38b)은 운전자의 조작에 의해 블루투스 통신칩(38a)을 작동시켜서 멀티미디어 단말기(SP)로 수신된 음성데이터신호를 음향기기(10)로 전달한다. 이때, 운전자의 음성은 멀티미디어 단말기(SP)에 마련된 마이크를 통해 송신된다. 따라서, 멀티미디어 단말기(SP)는 블루투스 통신칩(38a) 및 핸즈프리버튼(38b)에 의해 무선으로 통화할 수 있다.
또한, 핸즈프리버튼(38b)은 음향기기(10)로 출력되는 음성데이터신호의 출력을 제어하여 무선통화를 중지하고 멀티미디어 단말기(SP)를 통한 통화모드로 전환할 수도 있다.
여기서, 쉴드플레이트(37c)는 멀티미디어 단말기(SP)의 마이크와 동일한 기능을 하는 별개의 마이크(MC)가 마련될 수 있다.
한편, 블루투스 통신칩(38a) 및 핸즈프리버튼(38b)은 도시된 바와 달리, 음향기기(10)의 전면에 고정되는 전술한 커버판(11)에 설치될 수도 있다.
램프(38c)는 쉴드플레이트(37c)에 매설되어 쉴드플레이트(37c)의 표면에 조명을 제공한다. 이러한 램프(38c)는 후술되는 스위치(39)에 의해 점등될 수 있으며, 차량의 조명라인에 연결되어 점등될 수도 있다.
램프(38c)는 홀더(31)의 외측에 조명을 제공하므로 특히, 야간에 멀티미디어 단말기(SP)를 젠더(60)에 용이하게 연결할 수 있으며, 차량의 실내에 은은한 조명을 제공하는 효과를 제공한다.
다른 한편, 커넥터모듈(50)은 도시된 바와 같이 단자케이블로 구성될 수 있으며, 도시된 바와 달이 케이스형태로 구성될 수도 있다.
도 15를 참조하면, 로킹부재(35h)는 래칫(35h-1), 래칫포크(35h-2) 및 회전플레이트(35h-3)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래칫(35h-1)은 푸시부재에 결합되어 힌지축(35e)을 중심으로 푸시판(35f)과 함께 회전하며, 회전각도가 설정된 복수개의 톱니를 갖는다.
래칫포크(35h-2)는 홀더(31)의 일측에 탄성결합되며, 래칫(35h-1)의 톱니(G)에 걸리거나 이탈되면서 푸시판(35f)을 일방향으로만 회전시킨다.
회전플레이트(35h-3)는 돌기(T)를 갖는 원판형태로 형성되어 래칫(35h-1)과 함께 힌지축(35e)을 중심으로 회전하며, 래칫(35h-1)의 톱니(G)에 걸린 래칫포크(35h-2)의 걸림을 해제시켜 푸시판(35f)의 역방향회전을 가능하게 한다.
즉, 로킹부재(35h)는 회전체를 일방향으로만 단계적으로 회전시키는 통상의 라쳇장치가 사용될 수 있다.
한편, 전술한 스위치(39)는 전술한 블루투스 통신칩(38a)과 핸즈프리버튼(38b) 및 램프(38c)에 연결되어 각 연결부위에 전원을 통전시키는 부재이다. 스위치(39)는 도시된 바와 같이 전술한 푸시판(35f)과 리턴스프링(35g)의 사이에 개재되어 푸시판(35f)의 회전에 의해 이동하면서 온/오프된다. 즉, 스위치(39)는 푸시부재의 작동에 의해 연동한다.
스위치(39)는 확대도시된 바와 같이 로드(39a)와 단차축(39b) 및 단자본체(39c)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로드(39a)는 도시된 바와 같이 리턴스프링(35g)에 지지된 상태로 푸시판(37f)의 가압판(35f-1)에 의해 가압되면서 이동한다. 단자축(39b)은 로드(39a)의 일단부에 고정되어 로드(39a)와 함께 이동하면서 단자본체(39c)와 연결되면서 전원을 통전시킨다.
단자본체(39c)는 전술한 커플러(37)를 통해 음향기기(10)에 연결되며, 또한 블루투스 통신칩(38a)과 핸즈프리버튼(38b) 및 램프(38c)에 연결된다. 즉, 단자본체(39c)는 음향기기(10)의 전원을 단자축(39b)에 의해 블루투스 통신칩(38a)과 핸즈프리버튼(38b) 및 램프(38c)로 통전시킨다.
결론적으로, 로드(39a)는 리턴스프링(35a)에 의해 전원을 오프시킨 상태로 푸시판(35f)을 회전시키며, 가압에 의한 푸시판(35f)의 회전에 의해 리턴스프링(35g)을 압축시키면서 단자축(39b)을 단자본체(39c)에 연결시킨다.
도 16을 참조하면, 전술한 볼륨스위치(37c-1)(도 11 참조)는 음향기기(10)의 전면에 고정되는 커버판(11)에 설치될 수 있다.
볼륨스위치(37c-1)는 전술한 바와 같이 음향기기(10)를 통해 출력되는 멀티미디어 단말기(SP)의 음량을 조절하고, 이에 더하여 전술한 핸즈프리버튼(38b)에 의해 음향기기(10)를 통해 출력되는 음성데이터신호의 음량을 조절한다.
한편, 커버판(11)은 음향기기(10)를 조작하는 오디오버튼(AB)이 마련될 수도 있다. 따라서, 음향기기(10)는 오디오버튼(AB)에 의해 멀티미디어 단말기(SP)의 음향을 출력할 수 있으며, 라디오나 CD플레이어 등의 다양한 모드로 동작할 수 있다.
또한, 커버판(11)은 사용자의 음성을 멀티미디어 단말기(SP)로 전송하는 마이크(MC)가 마련될 수 있다.
도 17을 참조하면, 커넥터모듈(50)은 도시된 바와 같이 접속단자(51)가 음향기기(10) 또는 거치대(30)에 일체적으로 매립된 형태로 구성될 수도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젠더(60)를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젠더(60)는 음향기기(10)나 거치대(30) 중 어느 한 곳에 일체적으로 마련된 커넥터모듈(50)에 분리가능하게 마련되어 멀티미디어 단말기(SP)와 커넥터모듈(50)을 연결하는 구성요소이다.
이러한 젠더(60)는 도시된 바와 같이 일단부에 마련된 연결포트(63)가 커넥터모듈(50)에 착탈가능하게 연결되고, 타단부에 마련된 연결단자(61)가 멀티미디어 단말기(SP)에 접속되는 젠더케이블로 구성될 수 있다. 즉, 젠더(60)는 도시된 바와 같이 커넥터모듈(50)이 음향기기(10)에 일체적으로 매립되어 구성되거나, 커넥터모듈(50)이 케이스형태로 구성된 경우, 커넥터모듈(50)과 멀티미디어 단말기(SP)를 연결한다.
도 18을 참조하면, 젠더(60)는 연결단자(61) 및 연결포트(63)가 장착된 케이스형태로 구성될 수도 있다. 연결단자(61)는 전술한 접속단자(51)와 같이 잭핀(61a) 및 모듈커넥터(61b) 중 적어도 어느 하나로 구성될 수 있으며, 연결포트(63)는 커넥터모듈(50)의 접속단자(51)에 접속되어 멀티미디어 단말기(SP)의 음향데이터 신호를 음향기기(10)에 전송한다.
젠더(60)는 케이스형태로 구성된 경우, 밀착판(35a)의 회전에 의해 커넥터모듈(50)과 함께 회전한다. 이때, 커넥터모듈(50)은 회전부재(35c)에 의해 회전하며, 회전부재(35c)의 구성 및 작동은 전술한 바와 동일하므로 생략한다.
또한, 젠더(60)는 케이스형태로 구성된 경우, 도 1 내지 도 3 및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은 단자케이블로 구성되는 커넥터모듈(50)에 적용될 수도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의한 차량용 멀티미디어 단말기 거치장치는, 차량의 센터페시아에 내장된 음향기기(10)에 연결되는 거치대(30)에 멀티미디어 단말기(SP)가 거치되므로 운전자의 시야가 확보될 수 있으며, 특히 커넥터모듈(50)에 의해 멀티미디어 단말기(SP)의 음향을 증폭된 상태로 음향기기(10)를 통해 출력될 수 있다.
또, 전술한 커넥터모듈(50)이 접속단자(51)가 마련된 단자케이블로 구성될 경우 멀티미디어 단말기(SP)에 커넥터모듈(50)을 접속한 상태에서 단말기를 거치대(30)에 거치 또는 분리할 수 있으므로 멀티미디어 단말기(SP)에 거치대(30)에 용이하게 탈부착할 수 있다.
이와 달리, 전술한 커넥터모듈(50)이 거치대(30)나 음향기기(10)에 고정되는 접속단자(51) 또는 접속단자(51)가 장착된 케이스로 구성될 경우 거치대(30)에 거치되는 멀티미디어 단말기(SP)가 접속단자(51)에 접속되면서 거치대(30)에 고정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멀티미디어 단말기(SP)를 홀더(31)에 수용하여 거치할 수 있고, 이젝터(35)에 의해 홀더(31)에 거치된 멀티미디어 단말기(SP)를 이젝트시킬 수 있으며, 커플러(37)에 의해 홀더(31)를 음향기기(10)에 분리가능하게 고정할 수 있다.
또, 멀티미디어 단말기(SP)가 로킹부재(35h)에 의해 탄성력이 제공된 상태로 홀더(31)에 거치되어 탄성력을 통한 푸시부재의 회전에 의해 배출되므로 단말기(SP)를 더욱 용이하게 홀더(31)로부터 이젝트시킬 수 있다.
이에 더하여, 멀티미디어 단말기(SP)가 가압부재(33)의 가압에 의한 밀착판(35a)의 회전을 통해 배출되므로 단말기(SP)를 안정적으로 홀더(31)로부터 이젝트시킬 수 있다.
더욱이, 승강판(36)의 승강동작에 의해 승강판(36)에 고정된 커넥터모듈(50)이 멀티미디어 단말기(SP)와 용이하게 결합 및 분리될 수 있다.
나아가, 전술한 가압부재(33)의 버튼(33a)이 스프링(33b)에 탄력적으로 지지되므로 버튼(33a)이 푸시된 후에 원위치될 수 있다.
덧붙여, 밀착판(35a)이 가압력 전달부재(35b)에 의해 전달되는 가압력에 의해 회전되면서 멀티미디어 단말기(SP)를 경사상태로 홀더(31)의 외측으로 배출하므로 멀티미디어 단말기(SP)를 거치대에(30)서 용이하게 이탈시킬 수 있다.
이에 더하여, 경사핀(35b-1)이 밀착판(35a) 또는 멀티미디어 단말기(SP)를 푸시하여 이젝트시킨 후 탄성체(35b-3)에 의해 원위치로 복귀하므로 멀티미디어 단말기(SP)를 거치대(30)에서 더욱 용이하게 이탈시킬 수 있다.
더 나아가, 래크기어(35b-4)와 피니언(35b-5)을 이용하여 직선운동을 회전운동으로 전환시킬 수 있어서 협소한 공간에 적용이 용이하고, 회전운동에 의해 볼트축(35b-6)이 나사결합된 너트(36b-7)가 이동하면서 밀착판(35a)을 푸시하므로 밀착판(35a)을 안정적으로 푸시할 수 있다.
한편, 거치대(30)가 전술한 홀더(31)가 없이 밀착판(35a)과 승강판(36) 및 커플러(37)로 구성될 수 있으므로 거치대(30)를 단순한 형태로 제작할 수도 있다.
또, 커플러(37)가 서로 결합되는 홀더커넥터(37a) 및 결합커넥터(37b)로 구성되므로 홀더(31)가 용이하게 음향기기(10)에 설치될 수 있다.
또한, 음향기기(10)의 전면에 쉴드플레이트(37c)를 마련할 경우 음향기기(10)의 전면을 차폐하여 보호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음향기기(10)의 전면을 심플하게 구성할 수 있으며, 쉴드플레이트(37c)가 커플러(37)에 의해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므로 멀티미디어 단말기(SP)와 함께 회전할 수 있다.
더욱이, 램프(38c)에 의해 쉴드플레이트(37c)에 조명이 제공되므로 특히 야간에 멀티미디어 단말기(SP)를 수월하게 거치할 수 있음과 더불어 차량내부를 장식하는 효과도 있다.
또한, 거치대(30)에 마련되는 블루투스 통신칩(38a) 및 핸즈프리버튼(38b)에 의해 무선통화가 가능하므로 안전운전을 도모할 수 있다.
덧붙여, 커넥터모듈(50)이 젠더(60)를 통해 멀티미디어 단말기(SP)에 접속될 수 있으므로 단말기(SP)의 다양한 접속형태에 대응할 수 있으며, 반복적인 단말기(SP)의 접속에 의한 고장시, 젠더(60)만을 간편하게 교환할 수 있어서 시간 및 비용을 절감할 뿐만 아니라, 젠더(60)가 젠더케이블로 구성될 경우 더욱 용이하게 단말기에 접속될 수 있다.
이러한 본 발명의 차량용 멀티미디어 단말기 거치장치는 스마트폰이나 테블릿 PC, PND 등의 다양한 멀티미디어 단말기가 거치될 수 있다.
전술한 실시예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한 것에 불과하므로, 본 발명의 적용 범위는 이와 같은 것에 한정되지 않으며, 동일 사상의 범주내에서 적절한 변경이 가능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나타난 각 구성 요소의 형상 및 구조는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으므로, 이러한 형상 및 구조의 변형은 첨부된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에 속함은 당연한 것이다.
10 : 음향기기 30 : 거치대
31 : 홀더 33 : 가압부재
35 : 이젝터 37 : 커플러
50 : 커넥터모듈 60 : 젠더

Claims (7)

  1. 차량의 센터페시아에 빌트인되고 입력되는 음향데이터신호를 증폭하여 차량의 스피커로 출력하는 음향기기;
    상기 음향기기에 연결되고, 멀티미디어 단말기가 탈착가능하게 거치되는 거치대; 및
    상기 거치대나 상기 음향기기 중 어느 한 곳에 일체적으로 마련되고, 거치대에 거치된 멀티미디어 단말기에 연결되어 멀티미디어 단말기에서 출력되는 음향데이터신호를 음향기기에 전송하는 커넥터모듈;을 포함하는 차량용 멀티미디어 단말기 거치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커넥터모듈은,
    상기 거치대를 통해 상기 음향기기에 일단부가 통전가능하게 연결되거나, 상기 음향기기에 일단부가 직접 통전가능하게 연결되고, 타단부에 마련되는 접속단자를 통해 상기 멀티미디어 단말기에 접속되어 멀티미디어 단말기에 전원을 공급하거나 멀티미디어 단말기로부터 전달된 음향데이터 신호를 음향기기에 전송하는 단자케이블;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멀티미디어 단말기 거치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커넥터모듈은,
    상기 거치대나 상기 음향기기에 설치되고, 상기 멀티미디어 단말기가 접속되어 멀티미디어 단말기에 전원을 공급하거나 멀티미디어 단말기로부터 전달된 음향데이터 신호를 상기 음향기기에 전송하는 접속단자;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멀티미디어 단말기 거치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커넥터모듈은,
    상기 거치대나 상기 음향기기에 고정되는 케이스;
    상기 케이스에 장착되고, 상기 멀티미디어 단말기가 접속되어 멀티미디어 단말기에 전원을 공급하거나 멀티미디어 단말기로부터 전달된 음향데이터 신호를 상기 음향기기에 전송하는 접속단자; 및
    상기 접속단자로 전달되는 상기 멀티미디어 단말기의 음향데이터신호를 상기 음향기기로 전송하는 데이터전송부;를 포함하는 차량용 멀티미디어 단말기 거치장치.
  5. 제 2 항 내지 제 4 항에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접속단자는,
    상기 멀티미디어 단말기의 잭홀에 결합되어 멀티미디어 단말기로부터 음향데이터신호를 전달받는 잭핀이나,
    상기 멀티미디어 단말기의 독커넥터에 결합되어 멀티미디어 단말기에 전원을 공급하거나 멀티미디어 단말기로부터 음향데이터신호를 전달받는 모듈커넥터,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멀티미디어 단말기 거치장치.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멀티미디어 단말기에 일단부가 분리가능하게 결합되고, 타단부가 상기 거치대나 상기 음향기기 중 어느 한 곳에 일체적으로 마련된 상기 커넥터모듈에 착탈가능하게 접속되어 멀티미디어 단말기의 음향데이터 신호를 상기 음향기기에 전송하는 젠더;를 더 포함하는 차량용 멀티미디어 단말기 거치장치.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젠더는,
    케이블형태로 구성되어 양단부가 상기 멀티미디어 단말기 및 상기 커넥터모듈에 착탈가능하게 접속되는 젠더케이블;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멀티미디어 단말기 거치장치.
KR1020100127764A 2010-10-12 2010-12-14 차량용 멀티미디어 단말기 거치장치 KR101239044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27764A KR101239044B1 (ko) 2010-12-14 2010-12-14 차량용 멀티미디어 단말기 거치장치
PCT/KR2010/009448 WO2012050266A1 (ko) 2010-10-12 2010-12-28 차량용 멀티미디어 단말기 거치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27764A KR101239044B1 (ko) 2010-12-14 2010-12-14 차량용 멀티미디어 단말기 거치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66422A true KR20120066422A (ko) 2012-06-22
KR101239044B1 KR101239044B1 (ko) 2013-03-04

Family

ID=4668579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127764A KR101239044B1 (ko) 2010-10-12 2010-12-14 차량용 멀티미디어 단말기 거치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39044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6085006A1 (ko) * 2014-11-28 2016-06-02 엘림광통신 주식회사 통신단말기용 다기능 거치대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61161Y1 (ko) * 2001-11-01 2002-01-19 주식회사 자티전자 휴대폰용 핸드 프리 거치대
KR100873648B1 (ko) * 2007-02-23 2008-12-12 주식회사 코리아 아피스 이동 단말기용 변환 젠더
KR100916573B1 (ko) * 2007-12-28 2009-09-11 주식회사 신지모루 차량용 카세트 데크에 설치되는 외부기기 커넥터 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6085006A1 (ko) * 2014-11-28 2016-06-02 엘림광통신 주식회사 통신단말기용 다기능 거치대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239044B1 (ko) 2013-03-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39002B1 (ko) 차량용 멀티미디어 단말기 거치장치
CN208581338U (zh) 保护套
KR101239024B1 (ko) 차량용 멀티미디어 단말기 거치장치
US7570918B2 (en) Multimedia device for motor vehicle
US7663805B2 (en) Eyewear display and media device interconnection system
US20150070835A1 (en) Modular docking station
CA2245977C (en) Speaker unit with boom microphone
US20070173197A1 (en) An Integrated Device Using Bluetooth Technology
KR20110111400A (ko) 전기 액세서리 및 그 제공 방법
WO2008033496A2 (en) Mobile multi-media interface and power pack for portable entertainment devices
CN101072698A (zh) 可安装在座椅上的娱乐系统
KR20120028726A (ko) 차량용 멀티미디어 단말기 거치대
CN217903630U (zh) 汽车手机连接装置
KR101047448B1 (ko) 스피커 기능이 구비된 멀티 충전거치장치
KR20130043560A (ko) 휴대 단말기용 스탠드
KR101239044B1 (ko) 차량용 멀티미디어 단말기 거치장치
CN102642506A (zh) 一种车用多媒体终端安装装置
US20090059511A1 (en) Dock station and mini-projector being mutually integrated
CN2779753Y (zh) 手机座架一体化无线耳机
WO2012071607A1 (en) Entertainment system
KR20120107669A (ko) 차량용 멀티미디어 단말기 거치장치
CN102642505B (zh) 一种车用多媒体终端安装装置
CN201788681U (zh) 来电/音像转换仪
KR200406586Y1 (ko) 휴대용 단말기의 착탈 사용이 가능한 자동차 항법 시스템
US20080317258A1 (en) Integrated cradle and adapter for a portable media player to an auxiliary input of a car stere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