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066369A - 글루타알데히드로 가교된 키토산 마이크로겔 및 그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글루타알데히드로 가교된 키토산 마이크로겔 및 그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066369A
KR20120066369A KR1020100127677A KR20100127677A KR20120066369A KR 20120066369 A KR20120066369 A KR 20120066369A KR 1020100127677 A KR1020100127677 A KR 1020100127677A KR 20100127677 A KR20100127677 A KR 20100127677A KR 20120066369 A KR20120066369 A KR 2012006636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hitosan
microgel
microgels
release
har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12767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진철
김종대
강미경
서희진
Original Assignee
강원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강원대학교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강원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0012767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20066369A/ko
Publication of KR2012006636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66369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47/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non-active ingredients used, e.g. carriers or inert additives; Targeting or modifying agents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 A61K47/5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non-active ingredients used, e.g. carriers or inert additives; Targeting or modifying agents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the non-active ingredient being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e.g. polymer-drug conjugates
    • A61K47/69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non-active ingredients used, e.g. carriers or inert additives; Targeting or modifying agents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the non-active ingredient being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e.g. polymer-drug conjugates the conjugate being characterised by physical or galenical forms, e.g. emulsion, particle, inclusion complex, stent or kit
    • A61K47/6949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non-active ingredients used, e.g. carriers or inert additives; Targeting or modifying agents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the non-active ingredient being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e.g. polymer-drug conjugates the conjugate being characterised by physical or galenical forms, e.g. emulsion, particle, inclusion complex, stent or kit inclusion complexes, e.g. clathrates, cavitates or fulleren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9/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9/14Particulate form, e.g. powders, Processes for size reducing of pure drugs or the resulting products, Pure drug nanoparticles
    • A61K9/16Agglomerates; Granulates; Microbeadlets ; Microspheres; Pellets; Solid products obtained by spray drying, spray freeze drying, spray congealing,(multiple) emulsion solvent evaporation or extraction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3/00Processes of treating or compounding macromolecular substances
    • C08J3/02Making solutions, dispersions, lattices or gels by other methods than by solution, emulsion or suspension polymerisation techniques
    • C08J3/03Making solutions, dispersions, lattices or gels by other methods than by solution, emulsion or suspension polymerisation techniques in aqueous media
    • C08J3/075Macromolecular gel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3/00Processes of treating or compounding macromolecular substances
    • C08J3/24Crosslinking, e.g. vulcanising, of macromolecules
    • C08J3/242Applying crosslinking or accelerating agent onto compounding ingredients such as fillers, reinforcements

Abstract

본 발명은 목적물질을 포접할 수 있는 키토산 마이크로겔로서 키토산이 글루타알데히드, 포름알데히드 및 덱스트린알데히드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으로 가교되어 pH 변화에 응답하여 목적물질 방출을 조절할 수 있는 특징이 있다.

Description

글루타알데히드로 가교된 키토산 마이크로겔 및 그 제조방법 {Chitosan microgels cross-linked with glutaraldehyde and the method for production thereof}
본 발명은 키토산 마이크로겔에 관한 것으로, 구체적으로는 글루타알데히드 등으로 가교된 키토산 마이크로겔에 관한 것이다.
자극 민감성 약물 전달체 (stimuli-sensitive drug carrier)는 pH, 이온강도, 온도, 전자기장과 같은 외부자극의 변화에 응답하여 포접하고 있던 목적물질을 방출한다. 자극 민감성 약물 전달체들 중에서 pH 민감성은 약물전달시스템 분야에서 큰 관심을 불러 일으키고 있다.
알긴산은 pH민감성 약물운반체를 설계할 때 가장 빈번하게 사용되는 고분자들 중의 하나이다. 알긴산은 갈조류(brown marine algae)에서 얻어지며, 수 용해도는 카르복실기 때문에 pH에 강하게 의존한다. 알긴산으로 제조된 마이크로 스피어는 펩타이드 약물을 구강으로 전달할 목적으로 제안되었다[International Journal of Pharmaceutics, V olume 335, Issues 4-5, April 2007, Pages 123-129, M. George, T.E. Abraham]. 알긴산의 pH 의존성 용해도로 인하여, 알긴산 마이크로 스피어는 산성에서 안정하고 중성과 알카리 조건에서 붕해된다. 결과적으로 알긴산 마이크로 스피어는 산성의 위액에서 약물을 방출하지 않고 중성의 소장에서 약물을 방출하는 특징을 나타낸다. 또한, 산성 프로테노이드의 마이크로 스피어 역시 구강으로 백신을 투여하기 위한 약물 전달체로 제안되었다 [Biomaterials, Volume 19, Issues 7-9, April 1998, Pages 725-732, A.B. Madhan Kumar, K. Panduranga Rao].
한편, 알긴산 외에 키토산도 대표적인 pH민감성 고분자이다. pH 변화에 따른 방출을 제어하기 위하여 알지네이트 비드 표면을 키토산으로 코팅하는 것이 제안되었다[Process Biochemistry, Volume 31, Issue 4, May 1996, Pages 347-353, M.L. Huguet, R.J. Neufeld, E. Dellacherie]. 산성조건에서 키토산은 아미노 그룹에 프로톤이 결합하기 때문에 강한 양의 전하를 나타내고 따라서 그것은 음전하를 띤 알지네이트와 복합체를 형성하고, 이에 산성에서는 비드로부터의 방출이 억제된다.
그런데 기존의 가교되지 않은 키토산 입자는 산성 조건에서 완전히 용해되어 버려 제제형태를 유지할 수 없는 약물전달체로서의 문제점이 나타났다.
이에 본 발명의 발명자들은 pH 변화에 응답하여 목적물질 방출을 조절할 수 있는 키토산 마이크로겔에 대하여 예의 연구한 결과 본 발명을 완성하기에 이른 것이다.
본 발명은 상기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하는 것으로, pH 변화에 응답하여 목적물질 방출을 조절할 수 있는 키토산 마이크로겔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키토산 마이크로겔은 목적물질을 포접할 수 있는 키토산 마이크로겔로서 키토산이 글루타알데히드, 포름알데히드 및 덱스트린알데히드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으로 가교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키토산 마이크로겔의 제조방법은 (A) 키토산을 산성 수용액에 용해시켜 키토산 수용액을 제조하는 단계; (B) 상기 키토산 수용액에 글루타알데히드, 포름알데히드 및 덱스트린알데히드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의 가교제를 첨가하는 단계; (C) 상기 키토산과 가교제의 혼합용액을 분무건조하여, 글루타알데히드, 포름알데히드 및 덱스트린알데히드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으로 가교된 키토산 마이크로겔을 제조하는 단계; 및 (D) 상기 키토산 마이크로겔에 목적물질을 탑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키토산 마이크로겔의 제조방법은 상기 (A)단계에서 상기 키토산 수용액에서의 키토산의 농도가 0.1 ~ 4중량%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키토산 마이크로겔의 제조방법은 상기 (B)단계에서 키토산과 가교제의 무게비가 1 : 0.01 ~ 1 : 0.5 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키토산 마이크로겔 및 그 제조방법에 대하여 자세히 설명하겠다.
본 발명의 키토산 마이크로겔은 글루타알데히드, 포름알데히드 및 덱스트린알데히드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으로 키토산이 가교됨에 따라 pH 변화에 응답하여 목적물질의 방출을 조절할 수 있다.
이러한 본 발명의 키토산 마이크로겔은 키토산 마이크로겔을 제조하는 단계; 및 키토산 마이크로겔에 목적물질을 탑재시키는 단계를 거쳐 제조된다.
본 발명의 키토산 마이크로겔을 제조하는 단계는 (A) 키토산을 산성 수용액에 용해시켜 키토산 수용액을 제조하는 단계; (B) 상기 키토산 수용액에 글루타알데히드, 포름알데히드 및 덱스트린알데히드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의 가교제를 첨가하는 단계; 및 (C) 상기 키토산과 가교제의 혼합용액을 분무건조하여 글루타알데히드, 포름알데히드 및 덱스트린알데히드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으로 가교된 키토산 마이크로겔을 제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키토산 수용액에서 키토산의 농도는 바람직하게는 0.1 ~ 4중량%, 더욱 바람직하게는 0.2 ~ 3중량%, 가장 바람직하게는 0.3 ~ 2중량%이다. 상기 농도범위보다 낮은 농도에서는 분무 건조된 입자의 키토산의 밀도가 너무 낮아서 입자를 수상에 수화시킬 경우에 키토산 마이크로겔의 형상을 유지하지 못한다. 상기 농도 범위보다 높은 농도에서는 분무 건조된 입자의 키토산의 밀도가 너무 높아서 입자를 수상에 수화시킬 경우에 수화가 잘 되지 않고 pH 변화에 따른 방출제어 기능이 없어지게 된다.
또한, 상기 키토산 : 가교제의 무게비는 바람직하게는 1:0.01 ~ 1:1, 더욱 바람직하게는 1:0.02 ~ 1:0.8, 가장 바람직하게는 1:0.03 ~ 1:0.5이다. 이 범위보다 낮은 무게비에서는 입자의 가교밀도(cross-linking density)가 너무 낮아서 수상에 수화시킬 경우에 키토산 마이크로겔의 형상을 유지하지 못하거나 키토산 마이크로겔이 파괴된다. 반면 이 범위보다 높은 무게비에서는 입자의 가교밀도가 너무 높아서 수상에 수화시킬 경우 수화가 잘 되지 않고 pH 변화에 따른 방출제어 기능이 없어지게 된다.
본 발명의 키토산 마이크로겔에 목적물질을 탑재시키는 단계에서는 목적물질을 수상에 용해시켜 목적물질 수용액을 제조한 후, 이 목적물질 수용액에 동결 건조된 키토산 마이크로겔을 넣고 24시간 동안 수화시킨 후, 키토산 마이크로겔에 탑재되지 않은 목적물질을 제거하기 위하여 현탁액을 원심분리한 후에 상등액을 제거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목적물질로서 항암제, 항생제, 항진균제, 항박테리아제, 항산화제, 미백제, 소염제와 같은 다양한 약물이 탑재될 수 있다.
본 발명의 글루타알데히드 등으로 가교된 키토산 마이크로겔은 pH 변화에 응답하여 목적물질 방출을 조절할 수 있다.
도 1은 가교되지 않은 키토산 마이크로스피어(A), 소프트마이크로겔(B), 하드마이크로겔(C)의 FTIR spectra이다.
도 2는 가교되지 않은 키토산 마이크로스피어(1:0)의 전자현미경(SEM)사진이다.
도 3은 본 제조예의 소프트마이크로겔의 전자현미경(SEM)사진이다.
도 4는 비교예의 하드마이크로겔의 전자현미경 사진(SEM)이다.
도 5는 본 제조예과 비교예의 소프트마이크로겔(●)과 하드마이크로겔 (○)의 팽창률을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6은 본 제조예의 소프트마이크로겔에서의 FITC-덱스트란 방출 거동을 pH 4.0 (●), pH 5.0 (○), pH 6.0 (▼), pH 7.0 (△), pH 8.0 (■), pH 9.0 (□)에서 관찰한 결과이다.
도 7은 본 제조예의 소프트마이크로겔에서의 FITC-덱스트란 방출량을 각 pH에서 4시간 동안 관찰한 결과이다.
도 8은 비교예의 하드마이크로겔에서의 FITC-덱스트란 방출 거동을 pH 4.0 (●), pH 5.0 (○), pH 6.0 (▼), pH 7.0 (△), pH 8.0 (■), pH 9.0 (□)에서 관찰한 결과이다.
도 9는 비교예의 하드마이크로겔에서의 FITC-덱스트란 방출량을 각 pH에서 4시간 동안 관찰한 결과이다.
이하, 본 발명의 내용을 하기 실시 예를 들어 더욱 상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다만, 본 발명의 권리범위가 하기 실시 예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그와 등가의 기술적 사상의 변형까지를 포함한다.
제조예 1: 키토산 마이크로겔의 제조
10 g의 키토산을 1000 ml의 아세트산 수용액 (1 %)에 용해시켰다. 글루타알데히드(glutaraldehyde)를 20 ml의 키토산 용액에 첨가하여 키토산:글루타알데히드의 무게비가 1:0.08이 되도록 하였다. 혼합용액을 약 1 분간 교반한 후에 분무건조기(BUCHI B-290, Switzerland)에서 분무 건조하였다. 입구온도(inlet temperature)는 160℃, 흡입(aspiration)률은 80 %, 펌핑(pumping)률은 15 % (15% 펌핑률은 유입유량 4 ml/min에 해당한다), 공기 유속은 6.9 l/min 로 하였다. 분무건조를 통하여 얻어진 건조 마이크로겔은 45℃로 맞추어진 진공오븐에서 3일 동안 더 건조시켰다. 그 다음, 반응하지 않은 키토산을 제거하기 위하여 5 g의 건조 키토산 마이크로겔을 pH 4로 맞춰진 250 ml 증류수에 넣은 후, 5 시간 동안 교반시켜 주었다. 10 분간 2,588 x g 으로 현탁액을 원심분리기(Combi-514R, 2,588 x g)에서 원심분리 한 다음에, 침강물질(마이크로겔)을 동결건조기(TFD 5508)에서 동결건조하였다. 가교 반응률은 비 반응 키토산을 녹여내기 전의 마이크로겔 무게에 대한 비 반응 키토산을 녹여낸 후의 마이크로겔 무게의 백분율로 정의된다. 이와 같이 키토산:글루타알데히드의 무게비가 1:0.08인 마이크로겔을 소프트마이크로겔이라고 명명하였다.
참조예 : 키토산 마이크로겔의 제조
키토산:글루타알데히드의 무게비를 1:0으로 한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제조예와 동일하게 키토산 마이크로겔을 제조하였다.
비교예 : 키토산 마이크로겔의 제조
키토산:글루타알데히드의 무게비를 1:0.67로 한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제조예와 동일하게 키토산 마이크로겔을 제조하였다. 이와 같이 키토산:글루타알데히드의 무게비가 1:0.67인 마이크로겔을 하드마이크로겔이라 명명하였다.
실시예 1 : 마이크로겔의 형상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가교되지 않은 마이크로겔(1:0), 소프트마이크로겔(1:0.08), 하드마이크로겔(1:0.67)의 전자현미경 사진(SEM)을 관찰하였다.
가교되지 않은 마이크로겔은 그 모양이 골프공과 비슷하게 보였고 직경은 수십 마이크로 미터였다. 상기 마이크로겔 들 중에서 가교되지 않은 마이크로겔 (1:0)의 표면이 가장 매끈하지 못하였다. 이는 분무건조하는 동안에 용매(물)는 증발하여 마이크로겔 매트릭스 내부에 빈 공간을 남김에 따라 마이크로겔 매트릭스의 기계적 강도는 약해져서 표면이 변형될 수 있기 때문이다.
가교제를 적게 사용하여 제조된 소프트마이크로겔(1:0.08)의 표면은 가교제를 사용하지 않고 제조한 마이크로겔의 표면과 형상 및 거친 정도의 측면에서 거의 동일하였다.
반면, 가교제를 비교적 많이 사용하여 제조한 하드마이크로겔(1:0.67)의 표면은 비교적 매끈하였다. 가교제의 함량이 높은 경우에는 가교 밀도가 높고 이에 마이크로겔 매트릭스는 기계적으로 강하여 용매증발에 따른 표면 변형이 적게 발생하였기 때문이다.
실시예 2 : 마이크로겔에 FITC - 덱스트란 탑재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제조예, 비교예의 마이크로겔에 FITC-덱스트란을 형광마커로서 탑재시켰다.
FITC-덱스트란 35 mg을 HEPES 완충용액 (3 mM, pH6.0) 60 ml에 용해시켰다. 동결 건조된 키토산 마이크로겔 2 g을 FITC-덱스트란 용액 80 ml에 첨가하고 현탁액을 24시간 동안 교반시켰다. 그 다음, 탑재되지 않은 FITC-덱스트란을 제거하기 위하여 현탁액을 2,588 x g 로 20분 동안 원심분리한 후에 상등액을 제거하였다. 표면에 남아있는 FITC-덱스트란을 제거하기 위하여, HEPES 완충액 (3 mM, pH6.0) 5ml을 침전물에 첨가한 후에 30분 동안 볼텍싱(vortexing) 시킴으로써 다시 현탁시켰다. 현탁액을 10분 동안 2,588 x g로 원심분리시키고 상등액을 제거하였다. 마이크로겔은 동결 건조하여 보관하였다.
마이크로겔에서 목적물질의 탑재율은 마이크로겔의 무게에 대한 탑재된 FITC-덱스트란의 무게비로 정의하였고, 이값은 탑재되지 않은 FITC-덱스트란의 양을 측정함으로써 결정하였다. 탑재되지 않은 FITC-덱스트란은 원심분리 후에 형성된 상등액의 형광성 세기를 측정함으로써 결정하였다. 형광성 세기는 495 nm에서 여기(excitatin)시켜서 520 nm에서 측정하였다.
소프트마이크로겔(1:0.08)은 하드마이크로겔(1:0.67)보다 가교밀도가 더 낮기 때문에 팽윤도가 더 높았고(도 5 참조), 이에 따라 소프트마이크로겔 (1:0.08)은 더 많은 양의 형광염료를 함유할 수 있었다.
실시예 3 : 키토산 마이크로겔의 팽윤비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제조예, 비교예의 소프트마이크로겔(1:0.08), 하드마이크로겔(1:0.65)의 팽윤비를 상온에서 pH를 변화시켜가면서 관찰하였다.
동결 건조된 마이크로겔 0.2 g을 50 ml 비이커에 담겨져 있는 완충용액(MES (pH 4.0, pH 5.0), HEPES (pH 6.0, pH 7.0, pH 8.0)) 10 ml에 담그었다. 현탁액을 4시간 동안 교반한 다음, 2,588 x g에서 20 분 동안 원심분리하였다. 상등액을 버리고 남아있는 과잉의 물은 여과지 (Whatman No.2)를 이용하여 제거하였다. 팽윤된 마이크로겔의 무게를 측정하였고 팽윤비는 하기식으로 결정하였다. 모든 측정은 세 번 진행하여 평균을 내었다.
Figure pat00001
도 5는 소프트마이크로겔과 하드마이크로겔의 팽윤비를 관찰한 결과이다.
소프트마이크로겔의 팽윤비는 pH 4.0 내지 pH 8.0에서 1,765%에서 1,230 %였다. pH 4.0 ~ pH 6.0 범위에서의 팽윤비는 pH 7.0 과 pH 8.0에서의 팽윤비 보다 더 높았다. 산성조건에서 키토산은 양성자화(protonation)되기 때문에 마이크로겔 내부에서 정전기적 척력이 발생하고 이에 마이크로겔은 팽윤하고 낮은 pH범위에서 더 많은 물을 함유할 수 있었다. 반면, pH가 증가함에 따라서 탈양성자화(deprotonation) 되기 때문에 척력은 감소하고 이에 마이크로겔의 팽윤도는 낮아져 높은 pH에서는 적은 양의 물을 함유할 수 있었다.
반면, 하드마이크로겔의 팽윤도는 pH변화에 대해서 거의 변화가 없었고 팽윤비는 소프트마이크로겔의 팽윤비 보다 훨씬 적었다. 하드마이크로겔은 마이크로겔을 구성하는 고분자 사슬들이 비교적 많이 가교되어 있기 때문에 매트릭스는 견고하다. 따라서 하드마이크로겔은 키토산이 양성자화되든지 탈양성자화되든지 상관없이 팽윤하거나 수축하기가 매우 어렵다. 더욱이, 하드마이크로겔을 제조할 때는 소프트마이크로겔을 제조할 때보다 가교반응에 참여하는 아미노 그룹의 수가 더욱 많기 때문에 하드마이크로겔의 아미노그룹의 수는 소프트마이크로겔의 아미노그룹의 수보다 훨씬 더 적다. 결과적으로 하드마이크로겔에서는 양성자화와 탈양성자화가 훨씬 더 적게 발생함에 따라 pH 변화에 따른 팽윤비도 거의 변함이 없었다.
실시예 4 : 마이크로겔로부터의 FITC-덱스트란의 방출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제조예, 비교예의 키토산 마이크로겔로부터의 FITC-덱스트란의 방출을 pH를 변화시켜 가면서 관찰하였다.
건조 마이크로겔 0.2 g을 50 ml beaker에 담겨져 있는 MES완충용액(pH 4.0) 또는 HEPES완충용액 (pH 8.0) 35 ml에 넣었다. 그리고 완충용액 각각의 pH를 MES완충용액은 pH 3.5, pH 4.0, pH 5.0, HEPES완충용액은 pH 6.0, pH 7.0, pH 8.0으로 맞추었다. 교반하면서 일정 시간 경과 후에 2.5 ml의 현탁액을 취하고 syringe filter (Minisart RC 15)를 통하여 여과하였다. 방출되어 나온 FITC-덱스트란의 양을 여과액의 형광성 세기를 측정함으로써 결정하였다. 방출 %는 시간 0에서 마이크로겔에 탑재된 형광 염료의 양에 대하여 일정 기간 동안에 방출된 FITC-덱스트란의 양의 백분율로 정의된다.
도 6은 pH에 따른 소프트마이크로겔(1:0.08)로부터의 FITC-덱스트란 방출을 나타낸다. 방출은 거의 2시간 만에 완료되었다. 마이크로겔과 같은 매트릭스 타입의 약물 전달체의 경우에는 외부 층에서부터 1차 방출이 된 후에 내부의 약물이 방출되어 물질전달 범위는 시간에 따라 감소한다. 게다가 방출의 나중 단계에서는 마이크로겔 내부로부터의 방출을 위해서 약물은 마이크로겔의 외부 부분을 통해 확산되어야 한다. 시간경과에 따라 약물은 긴 통로를 통해 이동하고 더 큰 확산 저항을 받게 된다. 또한, 물질 전달률은 한정되어 있으나 일정하게 유지되지 않는 방출용액에서 시간에 따라 감소하게 된다.
도 7은 4시간 동안의 pH에 따른 소프트마이크로겔(1:0.08)로부터의 FITC-덱스트란 방출량을 나타낸다. 방출량은 pH가 pH 4.0에서 pH 6.0까지 증가할 때 64 %에서 12 %로 감소하였다. 강한 산성 조건에서 키토산의 아미노 그룹 대부분은 양성자화되어 마이크로겔은 정전기적 반발력에 의해 팽창하는 경향이 있다. 실제로 팽창률은 낮은 pH(도 5 참조)에서 높게 나타났다. 마이크로겔의 메쉬 사이즈는 팽창률에 비례하므로, 강한 산성 조건에서는 마이크로겔로부터의 FITC-덱스트란의 확산은 빠르게 진행되었다. 이로부터 낮은 pH 범위(4.0 ~ 6.0)에서는 마이크로겔의 망상구조를 통한 확산이 방출량을 조절하는 것으로 판단되었다. 이것은 방출량이 pH의 증가와 함께 감소하는 것에 대한 설명이 될 수 있다. 반면, pH가 pH 6.0에서 pH 9.0으로 변할 때 방출량은 12%에서 82%로 증가하였다. pH가 증가하는 pH 6.0에서 pH 9.0 범위에서는 팽창률이 감소함에도 불구하고, pH 증가함에 따라 방출량 또한 증가하였다. 이로부터 pH 6.0 에서 pH 9.0 범위에서는 형광염료는 주로 압착에 의한 방출을 하는 것으로 여겨졌다. pH가 pH 6.0에서 pH9.0 으로 더 증가하게 되면 팽창률은 더 감소하는데, 이러한 상황에서 마이크로겔의 내용물은 마이크로겔의 수축에 의하여 압착될 수 있다. 마이크로겔은 초기에는 건조상태에 있으나, 습윤, 수축, 압착이 연속적으로 일어날 수 있다.
도 8은 pH에 따른 하드마이크로겔(1:0.67)에서의 FITC-덱스트란 방출을 나타낸다. 방출은 소프트마이크로겔과 비슷한 양상을 보였다. 그러나 방출량은 측정된 모든 pH에서 하드마이크로겔보다 훨씬 낮았다. 하드마이크로겔의 가교도는 소프트마이크로겔보다 높고, 결과적으로 하드마이크로겔의 팽창률은 측정된 모든 pH에서 소프트마이크로겔보다 매우 낮았다(도 5 참조). 하드마이크로겔의 메쉬 사이즈는 낮은 팽창률로 인하여 매우 작아지려고 하고, 작은 망상구조는 하드마이크로겔로부터의 방출을 억제함으로써 매트릭스를 통한 물질 전달을 방해하게 된다. 마이크로겔의 FITC-덱스트란의 열역학적 활성은 로딩양에 비례하기 때문에, 하드마이크로겔의 낮은 팽창률에서 낮은 마이크로겔당 로딩양은 낮은 방출을 나타내게 된다.
도 9는 4시간 동안의 pH에 따른 하드마이크로겔(1:0.67)로부터의 FITC-덱스트란 방출량을 나타낸다. 방출 용액의 pH가 pH 4.0에서 pH 9.0으로 증가할 때 방출량은 29%에서 20%로 점차 감소하였다. 측정한 모든 pH에서 팽창률은 소프트마이크로겔과 비교하여 상대적으로 작고, 소프트마이크로겔의 팽창률와 같은 pH 민감성을 나타내지 않았다. 이로부터 하드마이크로겔에서는 압착은 거의 일어나지 않고, 대신 하드마이크로겔의 매트릭스를 통한 확산이 방출을 조절하는 것으로 여겨졌다. 메쉬 사이즈는 pH의 증가와 함께 감소하게 되기 때문에 확산률은 pH가 증가함에 따라 감소하게 된다. 이것이 pH가 증가함에 따라 방출량이 점차 감소하는 이유로 여겨졌다. 하드마이크로겔의 아미노 그룹의 수는 소프트마이크로겔의 아미노 그룹의 수보다 적기 때문에 하드마이크로겔의 pH에 대한 민감성은 낮았다.
이상 종합하면, 마이크로겔의 아미노 그룹의 수뿐만 아니라 가교도 또한 pH 민감성에 영향을 줌을 알 수 있었다. 구체적으로는 소프트마이크로겔(1:0.08)의 경우가 pH 민감성이 매우 높음을 알 수 있었다.

Claims (4)

  1. 목적물질을 포접할 수 있는 키토산 마이크로겔로서,
    키토산이 글루타알데히드, 포름알데히드 및 덱스트린알데히드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으로 가교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키토산 마이크로겔.
  2. (A) 키토산을 산성 수용액에 용해시켜 키토산 수용액을 제조하는 단계;
    (B) 상기 키토산 수용액에 글루타알데히드, 포름알데히드 및 덱스트린알데히드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의 가교제를 첨가하는 단계;
    (C) 상기 키토산과 가교제의 혼합용액을 분무건조하여, 글루타알데히드, 포름알데히드 및 덱스트린알데히드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으로 가교된 키토산 마이크로겔을 제조하는 단계; 및
    (D) 상기 키토산 마이크로겔에 목적물질을 탑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키토산 마이크로겔의 제조방법.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A)단계에서,
    상기 키토산 수용액에서 키토산의 농도는 0.1 ~ 4중량%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키토산 마이크로겔의 제조방법.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B)단계에서,
    키토산과 가교제의 무게비는 1 : 0.01 ~ 1 : 0.5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키토산 마이크로겔의 제조방법.
KR1020100127677A 2010-12-14 2010-12-14 글루타알데히드로 가교된 키토산 마이크로겔 및 그 제조방법 KR20120066369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27677A KR20120066369A (ko) 2010-12-14 2010-12-14 글루타알데히드로 가교된 키토산 마이크로겔 및 그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27677A KR20120066369A (ko) 2010-12-14 2010-12-14 글루타알데히드로 가교된 키토산 마이크로겔 및 그 제조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66369A true KR20120066369A (ko) 2012-06-22

Family

ID=4668575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127677A KR20120066369A (ko) 2010-12-14 2010-12-14 글루타알데히드로 가교된 키토산 마이크로겔 및 그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20066369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202013100255U1 (de) 2012-06-20 2013-04-12 Samsung Electronics Co. Ltd. Anzeigevorrichtung, Fernbedienungsvorrichtung sowie Bedienungsfunktion derselben
WO2022119207A1 (ko) * 2020-12-02 2022-06-09 주식회사 엘지화학 고흡수성 수지의 제조 방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202013100255U1 (de) 2012-06-20 2013-04-12 Samsung Electronics Co. Ltd. Anzeigevorrichtung, Fernbedienungsvorrichtung sowie Bedienungsfunktion derselben
WO2022119207A1 (ko) * 2020-12-02 2022-06-09 주식회사 엘지화학 고흡수성 수지의 제조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Sun et al. Preparation of pH-sensitive Fe3O4@ C/carboxymethyl cellulose/chitosan composite beads for diclofenac sodium delivery
Tavakol et al. Sulfasalazine release from alginate-N, O-carboxymethyl chitosan gel beads coated by chitosan
Zheng et al. A protein delivery system: biodegradable alginate–chitosan–poly (lactic-co-glycolic acid) composite microspheres
Hari et al. Chitosan/calcium–alginate beads for oral delivery of insulin
Wang et al. Fabrication of drug-loaded biodegradable microcapsules for controlled release by combination of solvent evaporation and layer-by-layer self-assembly
Silva et al. Microencapsulation of hemoglobin in chitosan-coated alginate microspheres prepared by emulsification/internal gelation
Zhai et al. PLGA/alginate composite microspheres for hydrophilic protein delivery
Sinha et al. Chitosan microspheres as a potential carrier for drugs
Panos et al. New drug delivery systems based on chitosan
Naraharisetti et al. Gentamicin-loaded discs and microspheres and their modifications: characterization and in vitro release
JP3887454B2 (ja) 重合体親水性ナノ粒子の製造方法
Chan et al. Effects of aldehydes and methods of cross-linking on properties of calcium alginate microspheres prepared by emulsification
JP2000501380A (ja) 持続放出性粒子
FR2755136A1 (fr) Procede de preparation de nanoparticules de methylidene malonate, nanoparticules contenant eventuellement une ou plusieurs molecules biologiquement actives et compositions pharmaceutiques les contenant
CN111417459A (zh) 一种新型可载药微球及其制备方法
WO2007114552A1 (en) Nanoparticles with lipid core and polymer shell structures for protein drug delivery prepared by nanoencapsulation
Wu et al. Fabrication of core–shell microspheres using alginate and chitosan–polycaprolactone for controlled release of vascular endothelial growth factor
CN111991368B (zh) 一种茶多酚涂层的大豆分离蛋白-季铵盐壳聚糖微胶囊的制备方法
KR100709015B1 (ko) 지속적 약물방출이 가능한 고분자 미립구 및 그 제조방법
Zhou et al. Study on biodegradable microspheres containing recombinant interferon‐α‐2a
KR20120066369A (ko) 글루타알데히드로 가교된 키토산 마이크로겔 및 그 제조방법
CN103520114B (zh) 一种荷叶碱微球及其制备方法
CN113181199B (zh) 一种比卡鲁胺与阿霉素联合用药的pH响应智能多孔磁性纳米载药系统及其制备方法
CN101766562A (zh) 一种载药聚合物胶束及其制备方法
Portilla‐Arias et al. Biodegradable Nanoparticles of Partially Methylated Fungal Poly (β‐l‐malic acid) as a Novel Protein Delivery Carrie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