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064806A - 개량형 토양세척기법을 이용한 유류 오염토양의 정화 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개량형 토양세척기법을 이용한 유류 오염토양의 정화 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064806A
KR20120064806A KR1020100126008A KR20100126008A KR20120064806A KR 20120064806 A KR20120064806 A KR 20120064806A KR 1020100126008 A KR1020100126008 A KR 1020100126008A KR 20100126008 A KR20100126008 A KR 20100126008A KR 20120064806 A KR20120064806 A KR 2012006480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et
screen
vibration
tank
dehydr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12600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송원근
Original Assignee
송원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송원근 filed Critical 송원근
Priority to KR102010012600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20064806A/ko
Publication of KR2012006480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64806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1/00Separation of suspended solid particles from liquids by sediment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3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USING LIQUIDS OR USING PNEUMATIC TABLES OR JIGS; MAGNETIC OR ELECTROSTATIC 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FROM SOLID MATERIALS OR FLUIDS; SEPARATION BY HIGH-VOLTAGE ELECTRIC FIELDS
    • B03BSEPARATING SOLID MATERIALS USING LIQUIDS OR USING PNEUMATIC TABLES OR JIGS
    • B03B5/00Washing granular, powdered or lumpy materials; Wet separating
    • B03B5/02Washing granular, powdered or lumpy materials; Wet separating using shaken, pulsated or stirred beds as the principal means of separ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7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SORTING
    • B07B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BY SIEVING, SCREENING, SIFTING OR BY USING GAS CURRENTS; SEPARATING BY OTHER DRY METHODS APPLICABLE TO BULK MATERIAL, e.g. LOOSE ARTICLES FIT TO BE HANDLED LIKE BULK MATERIAL
    • B07B1/00Sieving, screening, sifting, or sorting solid materials using networks, gratings, grids, or the like
    • B07B1/18Drum screens
    • B07B1/22Revolving dru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7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SORTING
    • B07B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BY SIEVING, SCREENING, SIFTING OR BY USING GAS CURRENTS; SEPARATING BY OTHER DRY METHODS APPLICABLE TO BULK MATERIAL, e.g. LOOSE ARTICLES FIT TO BE HANDLED LIKE BULK MATERIAL
    • B07B1/00Sieving, screening, sifting, or sorting solid materials using networks, gratings, grids, or the like
    • B07B1/28Moving scree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swinging, reciprocating, rocking, tilting or wobbling scree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9DISPOSAL OF SOLID WASTE; RECLAMATION OF CONTAMINATED SOIL
    • B09CRECLAMATION OF CONTAMINATED SOIL
    • B09C1/00Reclamation of contaminated soil
    • B09C1/02Extraction using liquids, e.g. washing, leaching, flotation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oi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Processing Of Solid Wastes (AREA)
  • Separation Of Solids By Using Liquids Or Pneumatic Powe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개량형 토양세척기법을 이용한 유류 오염토양의 정화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선별스크린장치, 습식교반장치, 습식세척선별장치, 습식진동선별장치, 1차침사조, 2차침사조, 1차침전조, 2차침전조, 농축조, 탈수장치를 이용하여 습식교반, 습식선별, 습식세척 방식으로 유류 오염토양을 선별 및 정화하는 특징을 가진다. 특히, 본 발명에서는 선별스크린장치는 호퍼무진동스크린, 호퍼진동스크린, 경사무진동스크린, 경사진동스크린 중의 하나가 적용되고, 원통분사기구 및 트롬멜분사기구를 통한 정수의 분사는 노즐분사, 유공구멍분사, 스프링클러분사, 슬롯분사 중의 하나가 적용되고, 탈수장치는 전기탈수기구, 물리탈수기구, 화학탈수기구, 열탈수기구, 기타탈수기구 중의 하나가 적용될 수 있는 다양한 적용방안을 제공한다.

Description

개량형 토양세척기법을 이용한 유류 오염토양의 정화 장치 및 방법{Remediation of soil contaminated with oil using advanced soil washing method}
본 발명은 유류 오염토양을 정화하기 위한 것으로 개량형 토양세척기법을 이용한 유류 오염토양의 정화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각종 산업공단에서는 연료 및 공장가동을 위하여 많은 유류가 사용되고 있다. 특히 주유소, 군부대 등지에서는 엄청난 유류가 이용되고 있다. 그리고 현대생활에 있어서 각종 차량의 운행에 따라 많은 유류가 소비되고 있다. 이와 같이 유류는 그 양을 측정할 수 없을 만큼 대량 소비되고 있는 실정이다.
이와 같은 유류의 운송, 판매, 저장, 사용 중의 부주의와 필연적인 이유에 의해 상당량의 유류가 외부로 유출되어 토양을 오염시키고 있는 실정이다. 따라서 유류 오염토양을 정화시키기 위한 노력 및 연구가 진행되어 왔다.
유류 오염토양의 정화방법 중의 한가지 방법으로 토양세척기법이 적용되고 있다. 그러나 아직까지 유류 오염토양에 대한 세척기법 적용시 세척효율이 크지 않음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유류 오염토양을 선별하면서 정화함으로 공종 단계별로 정화하는 오염토양의 처리부하를 줄이고 선별된 오염토양을 효과적으로 재활용하는 방법을 고안하고자 한다.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이 종래 기술이 지니는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이루어진 것으로서, 유류 오염토양을 선별스크린장치, 습식교반장치, 습식세척선별장치, 습식진동선별장치, 1차침사조, 2차침사조, 1차침전조, 2차침전조, 농축조, 탈수장치를 이용하여 습식교반, 습식선별, 습식세척 방식으로 선별 및 정화하는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것으로 선별스크린장치, 습식교반장치, 습식세척선별장치, 습식진동선별장치, 1차침사조, 2차침사조, 1차침전조, 2차침전조, 농축조, 탈수장치를 이용하여 습식교반, 습식선별, 습식세척 방식으로 유류 오염토양을 선별 및 정화하는 해결방안을 강구한다. 특히, 본 발명에서는 선별스크린장치는 호퍼무진동스크린, 호퍼진동스크린, 경사무진동스크린, 경사진동스크린 중의 하나가 적용되고, 원통분사기구 및 트롬멜분사기구를 통한 정수의 분사는 노즐분사, 유공구멍분사, 스프링클러분사, 슬롯분사 중의 하나가 적용되고, 탈수장치는 전기탈수기구, 물리탈수기구, 화학탈수기구, 열탈수기구, 기타탈수기구 중의 하나가 적용될 수 있는 다양한 적용방안을 강구한다.
상기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은 습식교반, 습식선별, 습식세척 방식으로 유류 오염토양을 선별 및 정화함으로 정화효율이 상당히 높고, 오염토양의 정화와 동시에 오염토양을 종류별로 선별함으로 선별토사의 재활용율을 증가시킨다.
그리고 선별스크린장치로서 호퍼무진동스크린, 호퍼진동스크린, 경사무진동스크린, 경사진동스크린 중의 하나가 적용되고, 원통분사기구 및 트롬멜분사기구를 통한 정수의 분사로서 노즐분사, 유공구멍분사, 스프링클러분사, 슬롯분사 중의 하나가 적용되고, 탈수장치로서 전기탈수기구, 물리탈수기구, 화학탈수기구, 열탈수기구, 기타탈수기구 중의 하나가 적용될 수 있는 다양한 적용방안을 강구하는 효과를 가진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전체 개량형 토양세척기법을 이용한 유류 오염토양의 정화 방법의 공정도를 나타낸 모식도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일부 개량형 토양세척기법을 이용한 유류 오염토양의 정화 방법의 공정도를 나타낸 모식도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선별스크린장치를 나타낸 모식도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설치방향에 따른 원통을 나타낸 모식도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습식진동선별장치를 나타낸 모식도
도 6은 본 발명에 의한 습식진동선별장치에서 습식분사사이클론 대신 습식노즐을 적용한 것을 나타낸 모식도
도 7은 본 발명에 의한 분사의 종류를 나타낸 모식도
본 발명은 개량형 토양세척기법을 이용한 유류 오염토양의 정화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선별스크린장치(20), 습식교반장치(21), 습식세척선별장치(22), 습식진동선별장치(23), 1차침사조(40), 2차침사조(41), 1차침전조(42), 2차침전조(43), 농축조(44), 탈수장치(45)를 이용하여 습식교반, 습식선별, 습식세척 방식으로 유류 오염토양을 선별 및 정화하는 특징을 가진다.
본 발명에서는 유류로 오염된 오염토양(1)이 반입장에 반입되고, 상기 반입된 오염토양이 선별스크린장치에 투입되고, 투입된 오염토양이 선별스크린장치에서 폐석 이상크기 물질(2)과 폐석 미만크기 물질(3)로 선별되고, 선별스크린장치에서 선별된 폐석 이상크기 물질(2)은 외부로 반출(9)되고, 폐석 미만크기 물질(3)은 습식교반장치로 유입된다.
선별스크린장치(20)는 호퍼무진동스크린(200), 호퍼진동스크린(201), 경사무진동스크린(202), 경사진동스크린(203) 중의 하나이고, 호퍼무진동스크린은 유입구에 무진동스크린이 부착된 호퍼이고, 호퍼진동스크린은 유입구에 진동스크린이 부착된 호퍼이고, 경사무진동스크린은 경사진 무진동스크린이고, 경사진동스크린은 경사진 진동스크린이다. 무진동스크린은 진동이 가해지지 않는 스크린이고, 진동스크린은 진동이 가해지는 스크린이고, 진동은 타격, 흔듦, 떨림, 진동, 쉐이킹, 바이브레이팅, 초음파 중의 하나 이상에 의하여 가해진다.
습식교반장치(21)는 원통(210)과 원통분사기구(211)로 구성된다. 원통은 양단에 유입구(24)와 유출구(25)가 있는 일정한 크기를 가진 원모양의 통이고, 원통은 수평방향(2100), 수직방향(2101), 경사방향(2102) 중의 하나방향으로 설치되고, 수평방향은 원통 양단의 유입구와 유출구의 중심선이 수평방향을 이루는 것이고, 수직방향은 원통 양단의 유입구와 유출구의 중심선이 수직방향을 이루는 것이고, 경사방향은 원통 양단의 유입구와 유출구의 중심선이 경사방향을 이루는 것이다. 원통은 양단의 유입구(24)와 유출구(25)를 중심으로 하여 회전하고, 원통분사기구는 원통 내부에 설치되어 원통 내부로 유입된 폐석 미만크기 물질에 정수(53)를 분사한다. 원통이 회전하고 원통 내부의 폐석 미만크기 물질에 원통분사기구로부터 정수가 분사되면 폐석 미만크기 물질이 습식으로 교반된다. 폐석 미만크기 물질과 정수가 교반된 교반물(4)이 원통 일단의 유출구로 유출된다.
교반물(4)은 습식세척선별장치(22)로 유입된다. 습식세척선별장치는 트롬멜(220)과 트롬멜분사기구(221)로 구성된다. 트롬멜은 양단에 유입구와 유출구가 있는 원통스크린으로된 선별기이고, 트롬멜은 양단의 유입구와 유출구를 중심으로 하여 회전한다. 트롬멜분사기구는 트롬멜 내부에 설치되어 트롬멜 내부로 유입된 교반물에 정수(53)를 분사한다. 트롬멜이 회전하고 트롬멜 내부의 교반물에 트롬멜분사기구로부터 정수가 분사되면 교반물이 습식으로 세척되면서 골재(5)와 골재 미만크기 물질(6)로 선별된다. 골재(5)는 트롬멜 일단의 유출구로 유출되고, 골재 미만크기 물질(6)은 트롬멜의 원통스크린으로 유출된다. 원통스크린으로부터 유출된 골재는 외부로 반출(9)된다.
원통분사기구 및 트롬멜분사기구를 통한 정수의 분사는 노즐분사(30), 유공구멍분사(31), 스프링클러분사(32), 슬롯분사(33) 중의 하나로 된다. 노즐분사(30)는 일정한 길이를 가진 유공파이프에 하나 이상 개수로 설치된 노즐(300)에 의하여 분사하는 것이고, 유공구멍분사(31)는 일정한 길이를 가진 유공파이프에 하나 이상 개수로 설치된 유공구멍(310)에 의하여 분사하는 것이고, 스프링클러분사(32)는 일정한 길이를 가진 유공파이프에 하나 이상 개수로 설치된 스프링클러(320)에 의하여 분사하는 것이고, 슬롯분사(33)는 일정한 길이를 가진 유공파이프에 형성된 슬롯(330)에 의하여 분사하는 것이다. 원통분사기구 및 트롬멜분사기구를 통한 정수의 분사시 분사압은 자연압, 중력압, 저압, 중압, 고압 중의 하나이고, 자연압은 인위적으로 압력을 주지않은 자연상태의 압력이고, 중력압은 중력의 압력이고, 저압은 5kg/cm2 미만의 압력이고, 중압은 5?10kg/cm2 범위의 압력이고, 고압은 10kg/cm2 보다 높은 압력이다.
골재 미만크기 물질(6)은 습식진동선별장치(23)로 유입된다. 습식진동선별장치(23)는 습식진동스크린(230) 및 습식분사사이클론(231)으로 구성되고, 습식진동스크린은 진동이 가해지는 경사스크린으로 이루어지고, 습식분사사이클론은 습식으로 분사하는 기능을 가진 사이클론으로 이루어진다. 습식분사사이클론은 습식노즐(232)로 대체가 가능하고, 습식노즐은 습식으로 분사하는 기능을 가진 노즐로 이루어진다. 골재 미만크기 물질은 습식진동스크린 상부에 투여된다. 습식분사사이클론 또는 습식노즐에는 침전사(10)가 유입되고, 침전사(10)는 습식분사사이클론 또는 습식노즐의 내부를 거쳐 습식분사사이클론 또는 습식노즐를 통하여 습식진동스크린 상부에 투여된 골재 미만크기 물질에 분사된다. 습식진동스크린 상부에 투여된 골재 미만크기 물질은 습식진동스크린의 진동압 및 습식분사사이클론의 하부에서 분사되는 침전사(10)의 분사압을 동시에 받고, 진동압 및 분사압을 받은 골재 미만크기 물질은 습식진동스크린에서 모래(7)와 모래 미만크기 물질(8)로 선별된다. 습식진동스크린에서 선별된 모래(7)는 외부로 반출(9)된다.
모래 미만크기 물질(8)은 1차침사조(40)로 유입된다. 1차침사조(40)를 월류한 모래 미만크기 물질은 2차침사조(21)로 유입되고, 1차침사조 및 2차침사조는 침사기능을 가진 저류조이다. 모래 미만크기 물질은 1차침사조 및 2차침사조에서 침사되고, 1차침사조 및 2차침사조에 침사된 것은 침전사가 되고, 침전사(10)는 습식분사사이클론에 지속적으로 투입된다.
2차침사조의 상등수는 1차침전조(42) 및 2차침전조(43)로 유입되고, 1차침전조 및 2차침전조는 침전기능을 가진 저류조이다. 1차침전조 및 2차침전조의 상등수(50)는 정수탱크(52)로 유입된다. 1차침전조(42) 및 2차침전조(43)의 침전물(11)인 슬러지는 농축조로 유입된다. 농축조(44)는 슬러지를 농축시키는 조이다. 농축조에 농축된 슬러지는 탈수장치(45)에서 탈수되고, 슬러지 탈수과정에서 발생된 탈수수(51)는 정수탱크(52)로 유입된다. 정수탱크(52)로 유입된 물은 원통분사기구 및 트롬멜분사기구에 정수(53)로 공급된다.
탈수된 슬러지(13)는 외부로 반출(9)된다. 탈수장치(45)는 전기탈수기구(450), 물리탈수기구(451), 화학탈수기구(452), 열탈수기구(453), 기타탈수기구(454)가 있고, 전기탈수기구는 전기삼투, 전기영동 중의 하나 이상으로 탈수하는 것이고, 물리탈수기구(451)는 필터프레스(4510), 벨트필터프레스(4511), 디칸터(4512), 스크류디칸터(4513), 원심분리기(4514), 진공탈수기(4515), 압축탈수기(4516), 드럼탈수기(4517) 중의 하나로 탈수하는 것이고, 화학탈수기구는 화학약품을 투입하여 탈수하는 것이고, 열탈수기구는 열을 이용하거나 가열하여 탈수하는 것이고, 기타탈수기구는 전기탈수기구, 물리탈수기구, 화학탈수기구, 열탈수기구 이외의 기구로 탈수하는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추가 설명을 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전체 개량형 토양세척기법을 이용한 유류 오염토양의 정화 방법의 공정도를 나타낸 모식도이다. 본 도는 선별스크린장치(20), 습식교반장치(21), 습식세척선별장치(22), 습식진동선별장치(23), 1차침사조(40), 2차침사조(41), 1차침전조(42), 2차침전조(43), 농축조(44), 탈수장치(45)를 이용하여 습식교반, 습식선별, 습식세척 방식으로 유류 오염토양을 선별 및 정화하는 공정을 보여준다. 선별스크린장치(20)는 호퍼무진동스크린(200), 호퍼진동스크린(201), 경사무진동스크린(202), 경사진동스크린(203) 중의 하나이다. 원통은 수평방향(2100), 수직방향(2101), 경사방향(2102) 중의 하나방향으로 설치된다. 탈수장치(45)는 전기탈수기구(450), 물리탈수기구(451), 화학탈수기구(452), 열탈수기구(453), 기타탈수기구(454)가 있다. 물리탈수기구(451)는 필터프레스(4510), 벨트필터프레스(4511), 디칸터(4512), 스크류디칸터(4513), 원심분리기(4514), 진공탈수기(4515), 압축탈수기(4516), 드럼탈수기(4517) 중의 하나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일부 개량형 토양세척기법을 이용한 유류 오염토양의 정화 방법의 공정도를 나타낸 모식도이다. 본 도는 선별스크린장치(20), 습식교반장치(21), 습식세척선별장치(22), 습식진동선별장치(23), 1차침사조(40), 2차침사조(41), 1차침전조(42), 2차침전조(43), 농축조(44), 탈수장치(45)를 이용하여 습식교반, 습식선별, 습식세척 방식으로 유류 오염토양을 선별 및 정화하는 공정을 보여준다.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선별스크린장치를 나타낸 모식도이다. 선별스크린장치(20)는 호퍼무진동스크린(200), 호퍼진동스크린(201), 경사무진동스크린(202), 경사진동스크린(203) 중의 하나이고, 호퍼무진동스크린은 유입구에 무진동스크린이 부착된 호퍼이고, 호퍼진동스크린은 유입구에 진동스크린이 부착된 호퍼이고, 경사무진동스크린은 경사진 무진동스크린이고, 경사진동스크린은 경사진 진동스크린이다. 무진동스크린은 진동이 가해지지 않는 스크린이고, 진동스크린은 진동이 가해지는 스크린이고, 진동은 타격, 흔듦, 떨림, 진동, 쉐이킹, 바이브레이팅, 초음파 중의 하나 이상에 의하여 가해진다.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설치방향에 따른 원통을 나타낸 모식도이다. 원통이 수평방향(2100), 수직방향(2101), 경사방향(2102) 중의 하나방향으로 설치되는 것을 보여준다.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습식진동선별장치를 나타낸 모식도이다. 습식진동선별장치(23)는 습식진동스크린(230) 및 습식분사사이클론(231)으로 구성되고, 습식진동스크린은 진동이 가해지는 경사스크린으로 이루어지고, 습식분사사이클론은 습식으로 분사하는 기능을 가진 사이클론으로 이루어진다.
도 6은 본 발명에 의한 습식진동선별장치에서 습식분사사이클론 대신 습식노즐을 적용한 것을 나타낸 모식도이다. 습식분사사이클론은 습식노즐(232)로 대체가 가능하고, 습식노즐은 습식으로 분사하는 기능을 가진 노즐로 이루어진다. 습식분사사이클론 또는 습식노즐에는 침전사(10)가 유입되고, 침전사(10)는 습식분사사이클론 또는 습식노즐의 내부를 거쳐 습식분사사이클론 또는 습식노즐를 통하여 습식진동스크린 상부에 투여된 골재 미만크기 물질에 분사된다. 습식진동스크린 상부에 투여된 골재 미만크기 물질은 습식진동스크린의 진동압 및 습식분사사이클론의 하부에서 분사되는 침전사(10)의 분사압을 동시에 받고, 진동압 및 분사압을 받은 골재 미만크기 물질은 습식진동스크린에서 모래(7)와 모래 미만크기 물질(8)로 선별된다. 습식진동스크린에서 선별된 모래(7)는 외부로 반출(9)된다.
도 7은 본 발명에 의한 분사의 종류를 나타낸 모식도이다. 원통분사기구 및 트롬멜분사기구를 통한 정수의 분사는 노즐분사(30), 유공구멍분사(31), 스프링클러분사(32), 슬롯분사(33) 중의 하나로 된다. 노즐분사(30)는 일정한 길이를 가진 유공파이프에 하나 이상 개수로 설치된 노즐(300)에 의하여 분사하는 것이고, 유공구멍분사(31)는 일정한 길이를 가진 유공파이프에 하나 이상 개수로 설치된 유공구멍(310)에 의하여 분사하는 것이고, 스프링클러분사(32)는 일정한 길이를 가진 유공파이프에 하나 이상 개수로 설치된 스프링클러(320)에 의하여 분사하는 것이고, 슬롯분사(33)는 일정한 길이를 가진 유공파이프에 형성된 슬롯(330)에 의하여 분사하는 것이고, 다.
1 : 오염토양 2 : 폐석 이상크기 물질
3 : 폐석 미만크기 물질 4 : 교반물
5 : 골재 6 : 골재 미만크기 물질
7 : 모래 8 : 모래 미만크기 물질
9 : 외부반출 10 : 침전사
11 : 침전물 12 : 탈수전 슬러지
13 : 탈수후 슬러지 20 : 선별스크린장치
200 : 호퍼무진동스크린 201 : 호퍼진동스크린
202 : 경사무진동스크린 203 : 경사진동스크린
21 : 습식교반장치 210 : 원통
2100 : 수평방향설치 원통 2101 : 수직방향설치 원통
2102 : 경사방향설치 원통 211 : 원통분사기구
22 : 습식세척선별장치 220 : 트롬멜
221 : 트롬멜분사기구 23 : 습식진동선별장치
230 : 습식진동스크린 231 : 습식분사사이클론
232 : 습식노즐 24 : 유입구
25 : 유출구 30 : 노즐분사
300 : 노즐 31 : 유공구멍분사
310 : 유공구멍 32 : 스프링클러분사
320 : 스프링클러 33 : 슬롯분사
330 : 슬롯 40 : 1차침사조
41 : 2차침사조 42 : 1차침전조
43 : 2차침전조 44 : 농축조
45 : 탈수장치 450 : 전기탈수기구
451 : 물리탈수기구 4510 : 필터프레스
4511 : 벨트필터프레스 4512 : 디칸터
4513 : 스크류디칸터 4514 : 원심분리기
4515 : 진공탈수기 4516 : 압축탈수기
4517 : 드럼탈수기 452 : 화학탈수기구
453 : 열탈수기구 454 : 기타탈수기구
50 : 상등수 51 : 탈수수
52 : 정수탱크 53 : 정수

Claims (2)

  1. 선별스크린장치, 습식교반장치, 습식세척선별장치, 습식진동선별장치, 1차침사조, 2차침사조, 1차침전조, 2차침전조, 농축조, 탈수장치를 이용하여 습식교반, 습식선별, 습식세척 방식으로 유류로 오염된 오염토양을 정화하는 것으로,
    상기 선별스크린장치는 호퍼무진동스크린, 호퍼진동스크린, 경사무진동스크린, 경사진동스크린 중의 하나이고,
    상기 습식교반장치는 원통과 원통분사기구로 구성되고,
    상기 습식세척선별장치는 트롬멜과 트롬멜분사기구로 구성되고,
    상기 습식진동선별장치는 습식진동스크린 및 습식분사사이클론으로 구성되고,
    상기 습식진동스크린은 진동이 가해지는 경사스크린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습식분사사이클론은 습식으로 분사하는 기능을 가진 사이클론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1차침사조 및 2차침사조는 침사기능을 가진 저류조이고,
    상기 1차침전조 및 2차침전조는 침전기능을 가진 저류조이고,
    상기 농축조는 슬러지를 농축시키는 조이고,
    상기 탈수장치는 전기탈수기구, 물리탈수기구, 화학탈수기구, 열탈수기구, 기타탈수기구 중의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량형 토양세척기법을 이용한 유류 오염토양의 정화 장치 및 방법
  2. 유류로 오염된 오염토양이 반입장에 반입되고,
    상기 반입된 오염토양이 선별스크린장치에 투입되고,
    상기 선별스크린장치는 호퍼무진동스크린, 호퍼진동스크린, 경사무진동스크린, 경사진동스크린 중의 하나이고,
    상기 호퍼무진동스크린은 유입구에 무진동스크린이 부착된 호퍼이고,
    상기 호퍼진동스크린은 유입구에 진동스크린이 부착된 호퍼이고,
    상기 경사무진동스크린은 경사진 무진동스크린이고,
    상기 경사진동스크린은 경사진 진동스크린이고,
    상기 무진동스크린은 진동이 가해지지 않는 스크린이고,
    상기 진동스크린은 진동이 가해지는 스크린이고,
    상기 진동은 타격, 흔듦, 떨림, 진동, 쉐이킹, 바이브레이팅, 초음파 중의 하나 이상에 의하여 가해지고,
    상기 투입된 오염토양이 선별스크린장치에서 폐석 이상크기 물질과 폐석 미만크기 물질로 선별되고,
    상기 선별스크린장치에서 선별된 폐석 이상크기 물질은 외부로 반출되고,
    상기 폐석 미만크기 물질은 습식교반장치로 유입되고,
    상기 습식교반장치는 원통과 원통분사기구로 구성되고,
    상기 원통은 양단에 유입구와 유출구가 있는 일정한 크기를 가진 원모양의 통이고,
    상기 원통은 수평방향, 수직방향, 경사방향 중의 하나방향으로 설치되고,
    상기 수평방향은 원통 양단의 유입구와 유출구의 중심선이 수평방향을 이루는 것이고,
    상기 수직방향은 원통 양단의 유입구와 유출구의 중심선이 수직방향을 이루는 것이고,
    상기 경사방향은 원통 양단의 유입구와 유출구의 중심선이 경사방향을 이루는 것이고,
    상기 원통은 양단의 유입구와 유출구를 중심으로 하여 회전하고,
    상기 원통분사기구는 원통 내부에 설치되어 원통 내부로 유입된 폐석 미만크기 물질에 정수를 분사하고,
    상기 원통이 회전하고 원통 내부의 폐석 미만크기 물질에 원통분사기구로부터 정수가 분사되면 폐석 미만크기 물질이 습식으로 교반되고,
    상기 폐석 미만크기 물질과 정수가 교반된 교반물이 원통 일단의 유출구로 유출되고,
    상기 교반물이 습식세척선별장치로 유입되고,
    상기 습식세척선별장치는 트롬멜과 트롬멜분사기구로 구성되고,
    상기 트롬멜은 양단에 유입구와 유출구가 있는 원통스크린으로된 선별기이고,
    상기 트롬멜은 양단의 유입구와 유출구를 중심으로 하여 회전하고,
    상기 트롬멜분사기구는 트롬멜 내부에 설치되어 트롬멜 내부로 유입된 교반물에 정수를 분사하고,
    상기 트롬멜이 회전하고 트롬멜 내부의 교반물에 트롬멜분사기구로부터 정수가 분사되면 교반물이 습식으로 세척되면서 골재와 골재 미만크기 물질로 선별되고,
    상기 골재는 트롬멜 일단의 유출구로 유출되고,
    상기 골재 미만크기 물질은 트롬멜의 원통스크린으로 유출되고,
    상기 원통스크린으로부터 유출된 골재는 외부로 반출되고,
    상기 원통분사기구 및 트롬멜분사기구를 통한 정수의 분사는 노즐분사, 유공구멍분사, 스프링클러분사, 슬롯분사 중의 하나로 되고,
    상기 노즐분사는 일정한 길이를 가진 유공파이프에 하나 이상 개수로 설치된 노즐에 의하여 분사하는 것이고,
    상기 유공구멍분사는 일정한 길이를 가진 유공파이프에 하나 이상 개수로 설치된 유공구멍에 의하여 분사하는 것이고,
    상기 스프링클러분사는 일정한 길이를 가진 유공파이프에 하나 이상 개수로 설치된 스프링클러에 의하여 분사하는 것이고,
    상기 슬롯분사는 일정한 길이를 가진 유공파이프에 형성된 슬롯에 의하여 분사하는 것이고,
    상기 원통분사기구 및 트롬멜분사기구를 통한 정수의 분사시 분사압은 자연압, 중력압, 저압, 중압, 고압 중의 하나이고,
    상기 자연압은 인위적으로 압력을 주지않은 자연상태의 압력이고,
    상기 중력압은 중력의 압력이고,
    상기 저압은 5kg/cm2 미만의 압력이고,
    상기 중압은 5?10kg/cm2 범위의 압력이고,
    상기 고압은 10kg/cm2 보다 높은 압력이고,
    상기 골재 미만크기 물질은 습식진동선별장치로 유입되고,
    상기 습식진동선별장치는 습식진동스크린 및 습식분사사이클론으로 구성되고,
    상기 습식진동스크린은 진동이 가해지는 경사스크린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습식분사사이클론은 습식으로 분사하는 기능을 가진 사이클론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습식분사사이클론은 습식노즐로 대체가 가능하고,
    상기 습식노즐은 습식으로 분사하는 기능을 가진 노즐로 이루어지고,
    상기 골재 미만크기 물질은 습식진동스크린 상부에 투여되고,
    상기 습식분사사이클론 또는 습식노즐에는 침전사가 유입되고,
    상기 침전사는 습식분사사이클론 또는 습식노즐의 내부를 거쳐 습식분사사이클론 또는 습식노즐를 통하여 습식진동스크린 상부에 투여된 골재 미만크기 물질에 분사되고,
    상기 습식진동스크린 상부에 투여된 골재 미만크기 물질은 습식진동스크린의 진동압 및 습식분사사이클론의 하부에서 분사되는 침전사의 분사압을 동시에 받고,
    상기 진동압 및 분사압을 받은 골재 미만크기 물질은 습식진동스크린에서 모래와 모래 미만크기 물질로 선별되고,
    상기 습식진동스크린에서 선별된 모래는 외부로 반출되고,
    상기 모래 미만크기 물질은 1차침사조로 유입되고,
    상기 1차침사조를 월류한 모래 미만크기 물질은 2차침사조로 유입되고,
    상기 1차침사조 및 2차침사조는 침사기능을 가진 저류조이고,
    상기 모래 미만크기 물질은 1차침사조 및 2차침사조에서 침사되고,
    상기 1차침사조 및 2차침사조에 침사된 것은 침전사가 되고,
    상기 침전사는 습식분사사이클론에 지속적으로 투입되고,
    상기 2차침사조의 상등수는 1차침전조 및 2차침전조로 유입되고,
    상기 1차침전조 및 2차침전조는 침전기능을 가진 저류조이고,
    상기 1차침전조 및 2차침전조의 상등수는 정수탱크로 유입되고,
    상기 1차침전조 및 2차침전조의 침전물인 슬러지는 농축조로 유입되고,
    상기 농축조는 슬러지를 농축시키는 조이고,
    상기 농축조에 농축된 슬러지는 탈수장치에서 탈수되고,
    상기 슬러지 탈수과정에서 발생된 탈수수는 정수탱크로 유입되고,
    상기 정수탱크로 유입된 물은 원통분사기구 및 트롬멜분사기구에 정수로 공급되고,
    상기 탈수된 슬러지는 외부로 반출되고,
    상기 탈수장치는 전기탈수기구, 물리탈수기구, 화학탈수기구, 열탈수기구, 기타탈수기구가 있고,
    상기 전기탈수기구는 전기삼투, 전기영동 중의 하나 이상으로 탈수하는 것이고,
    상기 물리탈수기구는 필터프레스, 벨트필터프레스, 디칸터, 스크류디칸터, 원심분리기, 진공탈수기, 압축탈수기, 드럼탈수기 중의 하나로 탈수하는 것이고,
    상기 화학탈수기구는 화학약품을 투입하여 탈수하는 것이고,
    상기 열탈수기구는 열을 이용하거나 가열하여 탈수하는 것이고,
    기타탈수기구는 전기탈수기구, 물리탈수기구, 화학탈수기구, 열탈수기구 이외의 기구로 탈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량형 토양세척기법을 이용한 유류 오염토양의 정화 장치 및 방법
KR1020100126008A 2010-12-10 2010-12-10 개량형 토양세척기법을 이용한 유류 오염토양의 정화 장치 및 방법 KR20120064806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26008A KR20120064806A (ko) 2010-12-10 2010-12-10 개량형 토양세척기법을 이용한 유류 오염토양의 정화 장치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26008A KR20120064806A (ko) 2010-12-10 2010-12-10 개량형 토양세척기법을 이용한 유류 오염토양의 정화 장치 및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64806A true KR20120064806A (ko) 2012-06-20

Family

ID=4668475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126008A KR20120064806A (ko) 2010-12-10 2010-12-10 개량형 토양세척기법을 이용한 유류 오염토양의 정화 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20064806A (ko)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3341401A (zh) * 2013-06-05 2013-10-09 云南文山铝业有限公司 洗矿-选矿装置
CN110124986A (zh) * 2019-05-27 2019-08-16 中交第四公路工程局有限公司 一种用于碎石同步水洗设备的振动过滤装置
KR102112962B1 (ko) * 2019-10-18 2020-05-19 (재)한국건설생활환경시험연구원 오염토 세척 선별 장치
CN114308620A (zh) * 2021-12-02 2022-04-12 浙江天弈环境有限公司 一种污染土建渣连续筛分清洗系统及方法
KR102395666B1 (ko) * 2021-04-29 2022-05-09 지우이앤이(주) 토양정화를 위한 모듈형 세척 장치
KR102453250B1 (ko) 2022-04-22 2022-10-12 주식회사 에코프라임 오염토양 세척시스템
KR102453257B1 (ko) 2022-04-22 2022-10-12 주식회사 에코프라임 오염토양 세척장치

Cited B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3341401A (zh) * 2013-06-05 2013-10-09 云南文山铝业有限公司 洗矿-选矿装置
CN110124986A (zh) * 2019-05-27 2019-08-16 中交第四公路工程局有限公司 一种用于碎石同步水洗设备的振动过滤装置
CN110124986B (zh) * 2019-05-27 2024-04-26 中交第四公路工程局有限公司 一种用于碎石同步水洗设备的振动过滤装置
KR102112962B1 (ko) * 2019-10-18 2020-05-19 (재)한국건설생활환경시험연구원 오염토 세척 선별 장치
KR102395666B1 (ko) * 2021-04-29 2022-05-09 지우이앤이(주) 토양정화를 위한 모듈형 세척 장치
CN114733893A (zh) * 2021-04-29 2022-07-12 智优株式会社 用于土壤净化的模块型清洗装置
CN114308620A (zh) * 2021-12-02 2022-04-12 浙江天弈环境有限公司 一种污染土建渣连续筛分清洗系统及方法
KR102453250B1 (ko) 2022-04-22 2022-10-12 주식회사 에코프라임 오염토양 세척시스템
KR102453257B1 (ko) 2022-04-22 2022-10-12 주식회사 에코프라임 오염토양 세척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20064806A (ko) 개량형 토양세척기법을 이용한 유류 오염토양의 정화 장치 및 방법
CN104475441B (zh) 一种基于减量浓缩设计理念的土壤淋洗修复系统及其方法
KR101375482B1 (ko) 단계별 연속식 고도선별과 오염부하별 차등식 중금속 제거공정을 결합한 고농도 오염토양 정화시스템 및 정화방법
US7153436B2 (en) Method for enhancing cyclonic vessel efficiency with polymeric additives
US8905242B2 (en) Ash processing and metals recovery systems and methods
CN204396456U (zh) 一种基于减量浓缩设计理念的土壤淋洗修复系统
KR100903593B1 (ko) 오염토양정화를 위한 초음파 토양세척방법 및 장치
KR101406866B1 (ko) 오염 토양의 세척 방법 및 이를 이용한 오염 토양의 세척 시스템
KR101545231B1 (ko) 오염토양의 정화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정화방법
CN105750316A (zh) 一种工程化的多级筛分式异位土壤淋洗修复方法
KR101358147B1 (ko) 미세기포를 이용한 오염토양 분리세척 방법 및 그 장치
KR102141236B1 (ko) 각종 준설토용 정화시스템
KR20120064803A (ko) 오염토양의 선별과 정화를 위한 하이브리드형 토양세척 장치 및 방법
KR100521764B1 (ko) 건설폐기물을 이용한 부순모래 제조방법
CN105417906A (zh) 一种油田污泥处理装置
KR20140137917A (ko) 단계별 연속식 고도선별과 용출공정을 결합한 중금속 오염토양 정화시스템 및 정화방법
KR101272090B1 (ko) 중금속으로 오염된 토양 세척장치 및 세척방법
KR101070255B1 (ko) 준설토 처리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CN109876531A (zh) 一种土压平衡盾构机渣土分离设备和方法
RU2571112C2 (ru) Мобильная установка для очистки сыпучего материала
KR100985277B1 (ko) 암석 미사 회수장치
KR100406903B1 (ko) 퇴적 준설토 처리 장치 및 방법
RU2381995C1 (ru) Способ очистки грунтов и почв от нефти и нефтепродуктов и установка для его осуществления
KR20120064807A (ko) 오염토양에서 중금속 제거를 위한 다단형 토양세척 장치 및 방법
KR101270065B1 (ko) 중금속 오염토양 세척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