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70255B1 - 준설토 처리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 Google Patents

준설토 처리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70255B1
KR101070255B1 KR1020090086908A KR20090086908A KR101070255B1 KR 101070255 B1 KR101070255 B1 KR 101070255B1 KR 1020090086908 A KR1020090086908 A KR 1020090086908A KR 20090086908 A KR20090086908 A KR 20090086908A KR 101070255 B1 KR101070255 B1 KR 10107025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ludge
water
dredged soil
bucket
discharg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8690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029290A (ko
Inventor
권태석
Original Assignee
웅진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웅진중공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웅진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9008690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70255B1/ko
Publication of KR2011002929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2929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7025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7025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1/00Treatment of sludge; Devices therefor
    • C02F11/12Treatment of sludge; Devices therefor by de-watering, drying or thickening
    • C02F11/121Treatment of sludge; Devices therefor by de-watering, drying or thickening by mechanical de-watering
    • C02F11/127Treatment of sludge; Devices therefor by de-watering, drying or thickening by mechanical de-watering by centrifug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1/00Separation of suspended solid particles from liquids by sedimentation
    • B01D21/01Separation of suspended solid particles from liquids by sedimentation using flocculating ag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6/00Filter circuits or combinations of filters with other separating devices
    • B01D36/04Combinations of filters with settling tanks
    • B01D36/045Combination of filters with centrifugal separation devi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3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USING LIQUIDS OR USING PNEUMATIC TABLES OR JIGS; MAGNETIC OR ELECTROSTATIC 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FROM SOLID MATERIALS OR FLUIDS; SEPARATION BY HIGH-VOLTAGE ELECTRIC FIELDS
    • B03BSEPARATING SOLID MATERIALS USING LIQUIDS OR USING PNEUMATIC TABLES OR JIGS
    • B03B5/00Washing granular, powdered or lumpy materials; Wet separating
    • B03B5/28Washing granular, powdered or lumpy materials; Wet separating by sink-float separation
    • B03B5/30Washing granular, powdered or lumpy materials; Wet separating by sink-float separation using heavy liquids or suspensions
    • B03B5/32Washing granular, powdered or lumpy materials; Wet separating by sink-float separation using heavy liquids or suspensions using centrifugal force
    • B03B5/34Applications of hydrocyclone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1/00Treatment of sludge; Devices therefor
    • C02F11/12Treatment of sludge; Devices therefor by de-watering, drying or thickening
    • C02F11/121Treatment of sludge; Devices therefor by de-watering, drying or thickening by mechanical de-watering
    • C02F11/122Treatment of sludge; Devices therefor by de-watering, drying or thickening by mechanical de-watering using filter presse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1/00Treatment of sludge; Devices therefor
    • C02F11/12Treatment of sludge; Devices therefor by de-watering, drying or thickening
    • C02F11/14Treatment of sludge; Devices therefor by de-watering, drying or thickening with addition of chemical agent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FDREDGING; SOIL-SHIFTING
    • E02F7/00Equipment for conveying or separating excavated material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W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WASTEWATER TREATMENT OR WASTE MANAGEMENT
    • Y02W10/00Technologies for wastewater treatment
    • Y02W10/20Sludge process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Treatment Of Sludge (AREA)
  • Separation Of Solids By Using Liquids Or Pneumatic Powe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1차 동력선별기, 버킷선별기등을 경유하여 배출된 준설토와 물을 원심력에 위해 분리처리한후 그 탈수된 모래만을 산출시키는 복수의 사이클론선별기와; 상기 저장조로부터 이송된 슬러지와 물을 그 설정된 크기의 슬러지만을 탈수한 후 분리산출시키고 설정된 크기 이하의 슬러지와 물은 다음단으로 배출시키는 하이클린사이클론과; 상기 하이클린사이클론으로부터 배출된 슬러지에 설정된 약품을 사용하여 침전시키는 고속침전조와; 상기 고속침전조로부터 이송된 슬러지를 농축조를 통해 일정한 압력을 가하여 케이크형태로 압축한 슬러지케이크를 생산출력시키는 필터프레스기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준설토 처리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을 제공한다.
상기와 같은 구성으로된 본 발명은 하천이나 강으로부터 준설되어 이송되는 준설토를 다단계의 선별 및 세척과정을 통해 원하는 크기의 골자재를 분리해냄으로 준설토의 재활용성을 향상시킴은 물론 그 준설토와 함께 유입된 오탁수를 정수하여 하천이나 저수지 등으로 재투입하므로 그에 따라 준설로인한 2차오염도 방지하는 효과도 있다.
준설토, 원통형매쉬망, 버킷, 사이클론선별기, 고속침전조, 슬러지케이크

Description

준설토 처리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dredged soil processing system and controlling method therefore}
본 발명은 준설토 처리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하천이나 강으로부터 준설되어 이송되는 준설토를 다단계의 선별 및 세척과정을 통해 원하는 크기의 골자재를 분리해냄과 더불어 오탁수를 정화시키는 준설토 처리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에 관한것이다.
일반적으로 현대사회에서는 도시의 팽창과 산업 발달로 인하여 가정이나 공장등지에서 오폐수가가 급격하게 증가하고 있으며, 이에따라 생활하수 및 오폐수가 하천이나 저수지 기타 바닷가등으로 유입되어 수질 오염을 촉발하고 있는 실정이다. 또한 이러한 오폐수가 유입되는 과정에서 생활쓰레기나 흙 기타 이물질이 다량으로 혼합된 상태로 유입되는 것이기 때문에 어느 시간이 경과하게 되면 퇴적물 형태로 존재하게 된다. 이와같이 퇴적물 형태로 존재하게 되면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물의 오염이 좀더 심하게 되고, 악취가 발생되며, 강 혹은 하천 또는 저수지의 원활한 흐름을 저해하여 홍수시 침수해를 가중시키는 요인이 되고 있는 바, 따라서 이러한 오염된 퇴적물을 근본적으로 제거하기위해 통상 준설선을 뛰워 준설 작업을 행함으로서 그 오염된 퇴적물을 제거하고 있다.
그러면, 상기와 같은 종래 준설토처리장치를 도 1을 참고로 살펴보면, 준설장치(70)를 구비하고 하천이나 저수지 혹은 강바닥을 준설하고 그 준설된 준설토를 육지로 배출시키는 준설선(71)과;
상기 준설선(71)에 의해 준설된 준설토를 컨베이어벨트(72)로 이동시켜 선별하므로 자갈 등을 산출하는 선별장치(73)를 포함한다.
한편, 상기와 같은 종래 준설토처리장치는 먼저, 하천이나 저수지 혹은 강에 준설선(71)을 뛰워 하천이나 저수지 혹은 강바닥을 준설한 다음 그 준설된 준설토를 송토관(74)을 통해 육지로 배출시킨다. 그러면, 상기 송토관(74)에 의해 배출된 준설토는 선별장치(73)의 호퍼(75)로 투입되어 진동과정을 통해 일정크기로 분류한 다음 컨베이어(72)상에 실려 선별장치부(76)로 이송되게된다. 그리고, 상기 선별장치부(76)에서는 컨베이어(72)를 통해 이송되는 분리된 준설토에서 일정크기의 자갈을 선별해내고 나머지는 그대로 통과시켜 미리 정해진 매립지에 매립시킨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 준설토처리장치는 이송되는 준설토로부터 낮은단계의 선별과정만을 거처 골재선별하기 때문에 다양한 형태의 골재를 얻어낼수가 없으므로 그에 따라 준설토의 재활용성을 상당히 저하시켰으며, 또한, 오염물질이 다수 포함되어 있는 준설토에 대해 적절한 오염제거없이 골재생산작업을 시행하므로 그에 따라 준설토에 포함된 오탁수가 그대로 방출되어 주변토양을 2차로 오염시키는 문제점을 야기시켰다.
이에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기술의 제반문제점을 해결하기위해 발명된 것으로, 하천이나 강으로부터 준설되어 이송되는 준설토를 다단계의 선별 및 세척과정을 통해 원하는 크기의 골자재를 분리해내는 준설토 처리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또다른 목적은 준설토와 함께 유입된 오탁수를 정수하여 하천이나 저수지 등으로 재투입시키는 준설토 처리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을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위한 본 발명은 투입된 준설토로부터 설정된 일정크기의 자갈 및 모래를 선별하여 산출하고 그 나머지 준설토와 유입된 오탁수는 후단으로 이송시키는 1차 동력선별기와;
상기 1차 동력선별기의 후단에 원통형메쉬망에 버킷이 결합된 구조로 설치되어 1차 동력선별기로부터 유입된 준설토로부터 설정된 일정크기의 모래를 회전하는 버킷에 의해 그 하부에 위치한 컨베이어벨트상으로 낙하시키고 그 나머지 준설토와 물을 배출시키는 버킷선별기와;
상기 버킷선별기로부터 배출된 준설토와 물을 원심력에 위해 처리하여 물과 슬러지는 이송관을 통해 저장조로 이송시키고 그 탈수된 모래만을 산출시키는 복수의 사이클론선별기와;
상기 저장조로부터 이송된 슬러지와 물을 원심력에 의해 처리하여 그 설정된 크기의 슬러지만을 탈수한 후 분리산출시키고 설정된 크기 이하의 슬러지와 물은 다음단으로 배출시키는 하이클린사이클론과;
상기 하이클린사이클론으로부터 배출된 일정크기 이하의 슬러지와 물을 모아 설정된 약품을 사용하여 침전시켜 후단으로 배출시키고 그 분리된 물은 자연침전조를 통해 방류하는 고속침전조와;
상기 고속침전조로부터 이송된 슬러지를 농축조를 통해 일정한 압력을 가하여 케이크형태로 압축한 슬러지케이크를 생산출력시키는 필터프레스기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준설토 처리시스템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다른 특징은 1차 동력선별기에 준설된 준설토를 투입한 다음 그 투입된 준설토를 분리하여 일정크기의 자갈 및 모래를 선별한후 산출하고 그 나머지 준설토와 유입된 오탁수를 후단으로 배출시키는 호퍼처리과정과;
상기 호퍼처리과정후에 1차 동력선별기로부터 배출된 준설토를 버킷선별기가 원통형 매쉬망형태의 버킷을 이용하여 회전하면서 하단의 버킷에 물과 함께 담겨있다가 그 해당 버킷의 변위가 상부측으로 변경될 경우 원통형 메쉬망을 통과하지 못하는 일정크기의 모래를 그 하부에 위치한 컨베이어벨트상으로 낙하시켜 설정된 장소로 적하시키고 그 나머지 준설토와 물을 이송관을 통해 복수의 사이클론선별기로 배출시키는 버킷처리과정과;
상기 버킷처리과정후에 복수의 사이클론선별기의 각각이 버킷선별기로부터 배출된 준설토와 물을 원심력에 위해 분류하여 처리한 다음 일정크기의 모래만을 탈수 분리하여 탈수스크린으로 이송시켜 재활용 골재로 생산되도록 하고 그와 동시에 그 나머지 물과 일정크기이하의 슬러지를 이송관을 통해 저장조로 이송시키는 슬러지심층처리과정과;
상기 슬러지심층처리과정후에 상기 저장조의 후단에 설치된 하이클린사이클론이 저장조로부터 이송된 미세입자가 혼합된 오탁수인 슬러지를 원심력에 의해 처리한 다음 설정된 일정크기이상의 슬러지만을 탈수 분리하여 재활용될 수 있도록 배출시키고 그와 동시에 설정된 일정크기이하의 슬러지와 물을 이송관을 통해 고속침전조로 이송시키는 심층분류과정과;
상기 심층분류과정후에 고속침전조에서 침전조내로 유입된 하이클린사이클론으로부터 배출된 일정크기 이하의 슬러지와 물의 혼합물에 설정된 약품을 사용하여 설정된 시간동안 침전시킨후 그 침전된 슬러지를 후단에 설치된 필터프레스기로 이송하여 슬러지케이크로 만들어 배출시키고 그와동시에 그 분리된 물은 자연침전조로 방출시키는 슬러지케이크생산과정과;
상기 슬러지케이크생산과정후에 자연침전조가 고속침전조로부터 이송된 물을 설정된 일정체류시간 체류시킨후 방류수 수질기준에 적합한 상태로 자연방류시키는 방류수처리과정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준설토 처리시스템의 제어방법을 제공한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은 하천이나 강으로부터 준설되어 이송되는 준설토를 다단계의 선별 및 세척과정을 통해 원하는 크기의 골자재를 분리해냄으로 준설토의 재활용성을 향상시킴은 물론 그 준설토와 함께 유입된 오탁수를 정수하여 하천이나 저수지 등으로 재투입하므로 그에 따라 준설로인한 2차오염도 방지하는 효과도 있다.
이하, 본 발명을 첨부된 예시도면에 의거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시스템은 도 2에 도시된 바와같이 투입된 준설토로부터 일정크기 예컨대, 지름 2.200mm 6,000mm의 자갈 및 모래를 선별하여 산출하고 그 나머지 슬러지와 유입된 오탁수는 후단으로 이송시키는 통상 호퍼장치인 1차 동력선별기(1)와;
상기 1차 동력선별기(1)의 후단에 원통형 메쉬망에 버킷(2)이 결합된 구조로 설치되어 1차 동력선별기(1)로부터 유입된 준설토로부터 일정크기 예컨대, 지름 4,000mm 1,500mm의 모래를 회전하는 버킷(2)에 의해 그 하부에 위치한 컨베이어벨트(3)상으로 낙하시켜 모래를 산출시키고 그 나머지 술러지와 물을 배출시키는 버킷선별기(4)와;
상기 버킷선별기(4)로부터 배출된 내용물을 원심력에 위해 처리하여 물과 슬러지는 이송관(5)을 통해 저장조(6)로 이송시키고 그 탈수된 모래만을 산출시키는 복수의 사이클론선별기(7A,7B)와;
상기 사이클론선별기(7A,7B)로부터 산출된 모래를 분급점을 통해 그 설정된 크기의 규격모래만을 분리 산출시키고 그 나머지 슬러지가 포함된 물을 저장조(6)로 이송시키는 탈수스크린(8)과;
상기 저장조(6)로부터 이송된 슬러지와 물을 원심력에 의해 처리하여 그 설 정된 크기의 슬러지만을 탈수한 후 분리산출시키고 설정된 크기 이하의 슬러지와 물은 다음단으로 배출시키는 하이클린사이클론(9)과;
상기 하이클린사이클론(9)으로부터 배출된 일정크기 이하의 슬러지와 물을 모아 설정된 약품을 사용하여 침전시켜 후단으로 배출시키고 그 분리된 물은 자연침전조(10)를 통해 방류하는 고속침전조(11)와;
상기 고속침전조(11)로부터 이송된 슬러지를 농축조를 통해 일정한 압력을 가하여 케이크형태로 압축한 슬러지케이크를 생산출력시키는 필터프레스기(12)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다음에는 상기와 같은 구성으로된 본 발명시스템의 제어방법을 설명한다.
본 발명의 방법은 도 3에 도시된 바와같이 초기상태에서 호퍼처리과정(S1)으로 진행하여 1차 동력선별기에 준설된 준설토를 투입한 다음 그 투입된 준설토를 분류하여 일정크기의 자갈 및 모래를 선별한후 산출하고 그 나머지 슬러지와 유입된 오탁수를 후단으로 배출시킨다.
그리고, 상기 호퍼처리과정(S1)후에 버킷처리과정(S2)으로 진행하여 1차 동력선별기로부터 배출된 준설토를 버킷선별기가 원통형 매쉬망형태의 버킷을 이용하여 회전하면서 하단의 버킷에 물과 함께 담겨있다가 그 해당 버킷의 변위가 상부측으로 변경될 경우 원통형 메쉬망을 통과하지 못하는 일정크기의 모래를 그 하부에 위치한 컨베이어벨트상으로 낙하시켜 설정된 장소로 적하시키고 그 나머지 슬러지와 물을 이송관을 통해 복수의 사이클론선별기로 배출시킨다.
또한, 상기 버킷처리과정(S2)후에 슬러지심층처리과정(S3)으로 진행하여 복수의 사이클론선별기의 각각이 버킷선별기로부터 배출된 슬러지와 물을 원심력에 위해 분리하여 처리한 다음 일정크기의 모래만을 탈수 분리하여 탈수스크린(8)으로 이송시켜 골재로 생산되도록 하고 그와 동시에 그 나머지 물과 일정크기이하의 슬러지를 이송관을 통해 저장조로 이송시킨다.
여기서, 상기 슬러지심층처리과정(S3)후에는 탈수스크린이 사이클론선별기로부터 산출된 작은 입자상태의 모래를 분급점을 통해 그 설정된 크기의 규격모래만을 분리 산출시켜 재활용이 가능한 골재로 야적시키고 상기 탈수스크린(8)에서 선별된 모래중 설정된 규격에 부합하는 모래 즉 규격사만을 산출시키는 규격사산출과정를 더 포함한다.
한편, 상기 슬러지심층처리과정(S3)후에 심층분류과정(S4)로 진행하여 상기 저장조의 후단에 설치된 하이클린사이클론이 저장조로부터 이송된 미세입자가 혼합된 오탁수인 슬러지를 원심력에 의해 처리한 다음 설정된 일정크기이상의 슬러지만을 탈수 분리하여 재활용될 수 있도록 배출시키고 그와 동시에 설정된 일정크기이하의 슬러지와 물을 이송관을 통해 고속침전조로 이송시킨다.
상기 심층분류과정(S4)후에 슬러지케이크생산과정(S5)으로 진행하여 고속침전조에서 침전조내로 유입된 하이클린사이클론으로부터 배출된 일정크기 이하의 슬러지와 물의 혼합물에 설정된 약품을 사용하여 설정된 시간동안 침전시킨후 그 침전된 슬러지를 후단에 설치된 필터프레스기로 이송하여 슬러지케이크로 만들어 배출시키고 그와동시에 그 분리된 물은 자연침전조로 방출시킨다.
또한, 상기 슬러지케이크생산과정(S5)후에 방류수처리과정(S6)으로 진행하여 자연침전조가 고속침전조로부터 이송된 물을 설정된 일정체류시간 체류시킨후 방류수 수질기준에 적합한 상태로 자연방류시킨다.
환언하면, 본 발명의 시스템은 먼저, 하천이나 저수지 혹은 강에 준설선을 뛰워 하천이나 저수지 혹은 강바닥을 준설한 다음 그 준설된 준설토를 송토관을 통해 육지로 배출시킨다. 그러면, 상기 송토관(도시안됨)에 의해 배출된 준설토는 이송장비(도시안됨)에 의해 적하장소로 이송되거나 혹은 통상 호퍼장치인 1차 동력선별기(1)에 직접 투입된다.
그러면, 상기 1차 동력선별기(1)는 고압펌프(도시안됨)를 통해 그 투입된 준설토를 분류하여 일정크기 예컨대, 중설량을 2.000 /hr 이라 가정할 때, 지름 2.200mm 6,000mm의 자갈 및 모래를 선별한후 산출하고 그 나머지 슬러지와 유입된 오탁수는 후단의 버킷선별기(4)로 이송시킨다.
그리고, 상기 버킷선별기(4)는 몸체의 내주변을 따라 원통형 메쉬망형태로 버킷(2)이 다수개 형성된 구조로 회전하기 때문에 1차 동력선별기(1)로부터 준설토가 유입될 경우 이 투입되는 준설토는 버킷에 물과 함께 담겨있다가 그 해당 버킷의 변위가 상부측으로 변경될 경우 원통형 메쉬망의 버킷(2)을 통과하지 못하는 일정크기 예컨대, 지름 4,000mm 1,500mm의 모래가 그 하부에 위치한 컨베이어벨트(3)상으로 낙하시켜 설정된 장소로 적하시키고 그 나머지 슬러지와 물을 이송관(5)을 통해 복수의 사이클론선별기(7A,7B)로 배출시킨다.
여기서, 상기 버킷선별기(4) 없이 1차 동력선별기(1)로부터 배출된 슬러지와 물이 혼합된 내용물을 그대로 후단의 사이클론선별기(7A,7B)와 탈수스크린(8)로 투입할 경우 이들 장비(7A-B,8)의 마모가 매우 심하여 장비의 수명을 급격히 단축시키므로 본 발명시스템에서는 이러한 문제점을 제거하기위해 1차 동력선별기(1)와 사이클론선별기(7A,7B)사이에 버킷선별기(4)를 두어 슬러지와 물이 혼합된 내용물을 좀 더 정밀하게 분리배출과정을 실행한다.
그러면, 상기 사이클론선별기(7A,7B)의 각각은 상기 버킷선별기(4)로부터 배출된 슬러지와 물을 원심력에 위해 분리하여 처리한 다음 일정크기의 슬러지 예컨대, 일정크기 이상의 모래 182/hr만을 탈수 분리하여 탈수스크린(8)로 이송시켜 재활용 골재로 생산되도록 하고 그와 동시에 그 나머지 물 예컨대 1.66/hr(83%)과 슬러지(sludge) 예컨대 50/hr(2.5%)는 이송관(5)을 통해 저장조(6)로 이송시킨다.
여기서, 상기 사이클론선별기(7A,7B)에 의해 준설토가 분류되면 이 분류되는 내용물들은 오염물질(혹은 오니), 슬러지, 골재 등의 큰것과 작은 입자로 분리된다.
한편 상기 탈수스크린(8)는 사이클론선별기(7A,7B)로부터 산출된 작은 입자상태의 모래를 분급점을 통해 그 설정된 크기의 규격모래만을 분리 산출시켜 재활용이 가능한 골재로 야적시키고 그 나머지 걸려진 미세입자가 포함된 오탁수를 즉 슬러지를 이송관(5)을 통해 저장조(6)로 이송된다.
그러면, 상기 저장조(6)의 후단에 설치된 하이클린사이클론(9)은 이 저장조(6)로부터 이송된 미세입자가 혼합된 오탁수인 슬러지를 원심력에 의해 처리한 다음 일정크기의 슬러지(40 미크론이상) 예컨대, 일정크기이상의 30/hr(1.5%)만을 탈수 분리하여 재활용될 수 있도록 배출시키고 그와 동시에 예컨대 슬러지(40 미크론 이하) 20/hr(1%)와 물 1.66/hr(83%)는 이송관(5)을 통해 고속침전조(11)로 이송시킨다.
이때, 상기 저장조(6)에서 고속침전조(11)로 슬러지를 이송하는 과정에 하이클린사이클론(9)을 거치는 이유는 만약 이 하이클린사이클론(9)을 거치지 않고 슬러지를 그대로 고속침전조(11)로 이송할 경우 비교적 큰크기의 슬러지 예컨대, 20 ~ 60 μm의 슬러지가 그대로 고속침전조(11)로 유입되어 그 처리를 위한 약품사용량과 처리비용을 급격히 증가시킬뿐만아니라 2차환경오염을 야기시킬수가 있어 본발명의 하이클린사이클론(9)은 그러한 문제점을 제거하기위해 사용되었다.
한편, 상기 고속침전조(11)는 침전조내로 유입된 하이클린사이클론(9)로부터 배출된 일정크기 이하의 슬러지와 물의 혼합물에 설정된 약품(고분자 응집제)을 사용하여 예컨대, 5시간정도 침전시키는데, 이때, 그 침전되는 슬러지 예컨대, (40 미크론 이하) 20/hr(1%)의 슬러지를 후단에 설치된 필터프레스기(12)로 이송되고 그와동시에 그 분리된 물은 자연침전조(10)로 방출된다.
그리고, 상기 필터프레스기(12)는 고속침전조(11)로부터 이송된 예컨대, (40 미크론 이하) 20/hr(1%)의 슬러지를 농축조를 통해 일정한 압력을 가하여 케이크형태로 압축한 슬러지케이크로 만들어 정해진 장소에 적하시킨다.
또한, 상기 자연침전조(10)는 고속침전조(11)로부터 이송된 물을 일정체류시간 2,250/1,680 ≒1.34 시간정도 체류시킨후 방류수 수질기준에 적합한 상태로 자연방류시킨다.
따라서,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방법에 의해 준설토를 처리할 경우 준설선에 의한 준설작업을 더욱더 신속히 처리할 수 있을 뿐만아니라 준설토로부터 오염되지 않은 양질의 골재를 그 크기별로 정밀하게 생산할 수 있고, 더나아가, 오염된 슬러지를 응축해서 처리하면서 오탁수도 정확된 상태로 방류되므로 그에 따라 2차 환경오염도 방지하게 된다.
이상 설명에서와 같은 본 발명은 하천이나 강으로부터 준설되어 이송되는 준설토를 다단계의 선별 및 세척과정을 통해 원하는 크기의 골자재를 분리해냄으로 준설토의 재활용성을 향상시킴은 물론 그 준설토와 함께 유입된 오탁수를 정수하여 하천이나 저수지 등으로 재투입할 수 있기 때문에 준설토를 이용하여 골재생산을 원하는 골재생산현장이나 준설에 따른 환경오염을 최소화하기를 원하는 준설현장에 적용할 경우 매우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
도 1은 종래 준설토 처리장치의 일례를 설명하는 설명도.
도 2는 본발명 준설토처리시스템을 개략적으로 설명하는 설명도.
도 3은 본 발명의 플로우차트.
<부호의 상세한 설명>
1 : 1차 동력선별기 2 : 버킷
3 : 컨베이어벨트 4 : 버킷선별기
5 : 이송관 6 : 저장조
7A,7B: 싸이클론 8 : 하이클린사이클론
9 : 탈수스크린 10: 자연침전조
11: 고속침전조 12: 필터프레스기

Claims (4)

  1. 투입된 준설토로부터 설정된 일정크기의 자갈 및 모래를 선별하여 산출하고 그 나머지 준설토와 유입된 오탁수는 후단으로 이송시키는 1차 동력선별기와;
    상기 1차 동력선별기의 후단에 원통형메쉬망에 버킷이 결합된 구조로 설치되어 1차 동력선별기로부터 유입된 준설토로부터 설정된 일정크기의 모래를 회전하는 버킷에 의해 그 하부에 위치한 컨베이어벨트상으로 낙하시키고 그 나머지 준설토와 물을 배출시키는 버킷선별기와;
    상기 버킷선별기로부터 배출된 준설토와 물을 원심력에 위해 처리하여 물과 슬러지는 이송관을 통해 저장조로 이송시키고 그 탈수된 모래만을 산출시키는 복수의 사이클론선별기와;
    상기 저장조로부터 이송된 슬러지와 물을 원심력에 의해 처리하여 그 설정된 크기의 슬러지만을 탈수한 후 분리산출시키고 설정된 크기 이하의 슬러지와 물은 다음단으로 배출시키는 하이클린사이클론과;
    상기 하이클린사이클론으로부터 배출된 일정크기 이하의 슬러지와 물을 모아 설정된 약품을 사용하여 침전시켜 후단으로 배출시키고 그 분리된 물은 자연침전조를 통해 방류하는 고속침전조와;
    상기 고속침전조로부터 이송된 슬러지를 농축조를 통해 일정한 압력을 가하여 케이크형태로 압축한 슬러지케이크를 생산출력시키는 필터프레스기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준설토 처리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사이클론선별기로부터 산출된 모래를 분급점을 통해 그 설정된 크기의 규격모래만을 분리 산출시키고 그 나머지 슬러지가 포함된 물을 저장조로 이송시키는 탈수스크린을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준설토 처리시스템.
  3. 1차 동력선별기에 준설된 준설토를 투입한 다음 그 투입된 준설토를 분리하여 일정크기의 자갈 및 모래를 선별한후 산출하고 그 나머지 슬러지와 유입된 오탁수를 후단으로 배출시키는 호퍼처리과정과;
    상기 호퍼처리과정후에 1차 동력선별기로부터 배출된 준설토를 버킷선별기가 원통형 매쉬망형태의 버킷을 이용하여 회전하면서 하단의 버킷에 물과 함께 담겨있다가 그 해당 버킷의 변위가 상부측으로 변경될 경우 원통형 메쉬망을 통과하지 못하는 일정크기의 모래를 그 하부에 위치한 컨베이어벨트상으로 낙하시켜 설정된 장소로 적하시키고 그 나머지 슬러지와 물을 이송관을 통해 복수의 사이클론선별기로 배출시키는 버킷처리과정과;
    상기 버킷처리과정후에 복수의 사이클론선별기의 각각이 버킷선별기로부터 배출된 슬러지와 물을 원심력에 위해 분류하여 처리한 다음 일정크기의 모래만을 탈수 분리하여 탈수스크린으로 이송시켜 재활용 골재로 생산되도록 하고 그와 동시에 그 나머지 물과 일정크기이하의 슬러지를 이송관을 통해 저장조로 이송시키는 슬러지심층처리과정과;
    상기 슬러지심층처리과정후에 상기 저장조의 후단에 설치된 하이클린사이클론이 저장조로부터 이송된 미세입자가 혼합된 오탁수인 슬러지를 원심력에 의해 처리한 다음 설정된 일정크기이상의 슬러지만을 탈수 분리하여 재활용될 수 있도록 배출시키고 그와 동시에 설정된 일정크기이하의 슬러지와 물을 이송관을 통해 고속침전조로 이송시키는 심층분류과정과;
    상기 심층분류과정후에 고속침전조에서 침전조내로 유입된 하이클린사이클론으로부터 배출된 일정크기 이하의 슬러지와 물의 혼합물에 설정된 약품을 사용하여 설정된 시간동안 침전시킨후 그 침전된 슬러지를 후단에 설치된 필터프레스기로 이송하여 슬러지케이크로 만들어 배출시키고 그와동시에 그 분리된 물은 자연침전조로 방출시키는 슬러지케이크생산과정과;
    상기 슬러지케이크생산과정후에 자연침전조가 고속침전조로부터 이송된 물을 설정된 일정체류시간 체류시킨후 방류수 수질기준에 적합한 상태로 자연방류시키는 방류수처리과정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준설토 처리시스템의 제어방법.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슬러지심층처리과정후에 탈수스크린이 사이클론선별기로부터 산출된 작은 입자상태의 모래를 분급점을 통해 그 설정된 크기의 규격모래만을 분리 산출시켜 재활용이 가능한 골재로 야적시키고 그 나머지 걸려진 미세입자가 포함된 오탁수를 이송관을 통해 저장조로 이송시키는 규격사산출과정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준설토 처리시스템의 제어방법.
KR1020090086908A 2009-09-15 2009-09-15 준설토 처리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KR10107025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86908A KR101070255B1 (ko) 2009-09-15 2009-09-15 준설토 처리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86908A KR101070255B1 (ko) 2009-09-15 2009-09-15 준설토 처리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29290A KR20110029290A (ko) 2011-03-23
KR101070255B1 true KR101070255B1 (ko) 2011-10-06

Family

ID=4393519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86908A KR101070255B1 (ko) 2009-09-15 2009-09-15 준설토 처리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70255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70403B1 (ko) 2012-12-14 2013-06-10 코오롱워터앤에너지 주식회사 초음파 산화-추출 하이브리드 복합오염토양 정화 시스템 및 방법
KR102008124B1 (ko) 2019-01-24 2019-10-21 현대건설주식회사 매립재 활용을 위한 준설토 선별시스템 및 그 선별시스템을 이용한 매립재 활용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4245143B (zh) 2013-03-28 2017-05-17 可隆科技特株式会社 用于对包含于人造草坪的填充材料进行重复利用的筛选方法及筛选装置
CN109046741B (zh) * 2018-07-13 2020-04-14 威海圆环先进陶瓷股份有限公司 基于离心层流法的氮化硅微珠精密尺寸分级装置及分级方法
CN114934556A (zh) * 2022-06-17 2022-08-23 北京碧鑫水务有限公司 一种河道清淤设备及清淤方法
KR102693263B1 (ko) * 2023-08-22 2024-08-07 한국해양과학기술원 해양치유자원 사용후 고상폐기물 처리시스템 및 방법
KR102693279B1 (ko) * 2023-08-22 2024-08-07 한국해양과학기술원 해양치유자원 사용후 혼합상 폐기물 처리시스템 및 방법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77094A (ja) 1997-09-10 1999-03-23 Hideaki Sakai 浚渫土浄化処理装置と浚渫土浄化処理方法
KR100729863B1 (ko) 2006-05-03 2007-06-21 남선개발 주식회사 준설토의 슬러지제거와 오탁수 처리장치 및 그 방법
KR100863349B1 (ko) 2008-04-16 2008-10-15 (주)케이디에스 자기 충돌에 의한 준설토 처리 장치 및 방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77094A (ja) 1997-09-10 1999-03-23 Hideaki Sakai 浚渫土浄化処理装置と浚渫土浄化処理方法
KR100729863B1 (ko) 2006-05-03 2007-06-21 남선개발 주식회사 준설토의 슬러지제거와 오탁수 처리장치 및 그 방법
KR100863349B1 (ko) 2008-04-16 2008-10-15 (주)케이디에스 자기 충돌에 의한 준설토 처리 장치 및 방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70403B1 (ko) 2012-12-14 2013-06-10 코오롱워터앤에너지 주식회사 초음파 산화-추출 하이브리드 복합오염토양 정화 시스템 및 방법
KR102008124B1 (ko) 2019-01-24 2019-10-21 현대건설주식회사 매립재 활용을 위한 준설토 선별시스템 및 그 선별시스템을 이용한 매립재 활용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29290A (ko) 2011-03-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70255B1 (ko) 준설토 처리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KR100729863B1 (ko) 준설토의 슬러지제거와 오탁수 처리장치 및 그 방법
KR100903593B1 (ko) 오염토양정화를 위한 초음파 토양세척방법 및 장치
JP2009202089A (ja) 土砂・廃棄物混合物の再生処理方法及び再生処理システム
CA2946187A1 (en) Recycled water and solids management system
CN211100741U (zh) 盾构渣土零排放处理系统
KR100958067B1 (ko) 오염 준설토 처리장치 및 그 처리방법
CN112007936A (zh) 一种渣土资源化处理系统
KR101658523B1 (ko) 오염토양 선별 및 세척처리 정화시스템
KR100327749B1 (ko) 하천오니 처리장치 및 방법
KR200422043Y1 (ko) 준설토의 슬러지제거와 오탁수 처리장치
KR100849521B1 (ko) 준설토 선별 분리기
US11439929B2 (en) System for processing solid and liquid construction waste
KR20070034559A (ko) 토사에서 모래를 분리회수하는 방법 및 그 장치
KR100440197B1 (ko) 준설토의 모래선별 및 세척수 정수시스템
KR101212989B1 (ko) 성상별 입도분리/정화부와 토양 개량부를 이용한 오염 준설토의 재활용 방법 및 그 시스템
US6926465B1 (en) Remediation system
CN108409073A (zh) 通沟污泥处理方法
KR100942444B1 (ko) 준설선을 이용한 슬러지 처리공법
KR100251344B1 (ko) 하천 정화 방법 및 하천 정화 시스템
KR102008124B1 (ko) 매립재 활용을 위한 준설토 선별시스템 및 그 선별시스템을 이용한 매립재 활용방법
CN212703649U (zh) 一种渣土资源化处理系统
KR100863349B1 (ko) 자기 충돌에 의한 준설토 처리 장치 및 방법
KR100851280B1 (ko) 오염토양 세척장치
KR100859873B1 (ko) 준설토의 처리 장치 및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610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