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064014A - 바이오 디젤 제조장치 - Google Patents

바이오 디젤 제조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064014A
KR20120064014A KR1020110095151A KR20110095151A KR20120064014A KR 20120064014 A KR20120064014 A KR 20120064014A KR 1020110095151 A KR1020110095151 A KR 1020110095151A KR 20110095151 A KR20110095151 A KR 20110095151A KR 20120064014 A KR20120064014 A KR 2012006401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iodiesel
glycerin
tank
separation unit
suppli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9515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191351B1 (ko
Inventor
오봉길
Original Assignee
군자화학기계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군자화학기계 주식회사 filed Critical 군자화학기계 주식회사
Publication of KR2012006401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6401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9135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9135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10PETROLEUM, GAS OR COKE INDUSTRIES; TECHNICAL GASES CONTAINING CARBON MONOXIDE; FUELS; LUBRICANTS; PEAT
    • C10GCRACKING HYDROCARBON OILS; PRODUCTION OF LIQUID HYDROCARBON MIXTURES, e.g. BY DESTRUCTIVE HYDROGENATION, OLIGOMERISATION, POLYMERISATION; RECOVERY OF HYDROCARBON OILS FROM OIL-SHALE, OIL-SAND, OR GASES; REFINING MIXTURES MAINLY CONSISTING OF HYDROCARBONS; REFORMING OF NAPHTHA; MINERAL WAXES
    • C10G3/00Production of liquid hydrocarbon mixtures from oxygen-containing organic materials, e.g. fatty oils, fatty acids
    • C10G3/42Catalytic treatment
    • C10G3/44Catalytic treatment characterised by the catalyst used
    • CCHEMISTRY; METALLURGY
    • C11ANIMAL OR VEGETABLE OILS, FATS, FATTY SUBSTANCES OR WAXES; FATTY ACIDS THEREFROM; DETERGENTS; CANDLES
    • C11CFATTY ACIDS FROM FATS, OILS OR WAXES; CANDLES; FATS, OILS OR FATTY ACIDS BY CHEMICAL MODIFICATION OF FATS, OILS, OR FATTY ACIDS OBTAINED THEREFROM
    • C11C3/00Fats, oils, or fatty acids by chemical modification of fats, oils, or fatty acids obtained therefrom
    • C11C3/04Fats, oils, or fatty acids by chemical modification of fats, oils, or fatty acids obtained therefrom by esterification of fats or fatty oils
    • C11C3/10Ester interchange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PFERMENTATION OR ENZYME-USING PROCESSES TO SYNTHESISE A DESIRED CHEMICAL COMPOUND OR COMPOSITION OR TO SEPARATE OPTICAL ISOMERS FROM A RACEMIC MIXTURE
    • C12P7/00Preparation of oxygen-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C12P7/64Fats; Fatty oils; Ester-type waxes; Higher fatty acids, i.e. having at least seven carbon atoms in an unbroken chain bound to a carboxyl group; Oxidised oils or fats
    • C12P7/6436Fatty acid esters
    • C12P7/649Biodiesel, i.e. fatty acid alkyl ester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50/00Technologies for the production of fuel of non-fossil origin
    • Y02E50/10Biofuels, e.g. bio-diesel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P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OR PROCESSING OF GOODS
    • Y02P30/00Technologies relating to oil refining and petrochemical industry
    • Y02P30/20Technologies relating to oil refining and petrochemical industry using bio-feedstock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Zoology (AREA)
  • Microbiology (AREA)
  • Biotechnolog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iochemistry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tics & Genomics (AREA)
  • Liquid Carbonaceous Fue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바이오 디젤 제조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본 발명에 따른 바이오 디젤 제조장치는 세척된 폐식용유나 미세조류 오일을 에스테르화시키기 위하여 상기 폐식용유나 미세조류 오일에 메틸올 및 산촉매를 공급하여 혼합하는 제1교반조와, 메탄올과 촉매를 혼합하여 메톡사이드를 생성하는 제2교반조와, 상기 제1교반조에서 생성된 에스테르과 상기 제2교반조에서 생성된 메톡사이드를 공급받아 글리세린 및 바이오 디젤을 생성하는 반응조와, 상기 반응조에서 분리되어 이송된 바이오 디젤을 증발시켜 저장하는 바이오 디젤 분리유닛과, 상기 반응조에서 분리되어 이송된 글리세린에 함유된 이물질을 증발시켜 분리한 후 상기 글리세린을 저장하는 글리세린 분리유닛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서 제안하고 있는 바이오 디젤 제조장치에 따르면, 유리지방산을 다량 함유한 폐식용유나 미세조류 오일로부터 고순도의 바이오 디젤을 추출함과 동시에 고순도의 글리세린을 추출할 수 있다.

Description

바이오 디젤 제조장치{MANUFACTURING APPARATUS FOR BIO DIESEL}
본 발명은 바이오 디젤 제조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폐식용유 또는 미세조류로부터 추출된 오일을 이용하여 고순도의 바이오 디젤 및 글리세린을 제조할 수 있는 바이오 디젤 제조장치에 관한 것이다.
바이오 디젤은 석유 기반인 경유의 대안으로 식물성 기름이나 동물성 지방과 같이 재생 가능한 자원을 바탕으로 제조되고 있다. 화학적으로 바이오 디젤은 긴 지방산 고리를 가진 단일 알킬 에스테르 혼합물이다. 바이오 디젤은 비방향족 식물성 기름과는 달리 경유와 매우 비슷한 연소 특성을 가지기 때문에, 현재 사용되는 대부분의 경우에 경유를 대체할 수 있다.
바이오 디젤은 미생물에 의하여 분해되며 독성이 없고 연료로서 연소될 때 독성물질이나 기타 오염물질의 배출이 현저하게 적으므로 내연기관의 연료로서 적당하다.
이러한 바이오 디젤의 제조시 전이에스테르 공정에서 대개 메탄올을 사용하지만 에탄올도 사용할 수 있으며, 에스테르화 과정 중에서 부산물로 글리세린이 생성되고 있다.
바이오 디젤의 주원료인 식물성 기름으로서는 대두, 현미, 옥수수, 해바라기, 유채, 쌀겨, 팜유 등 100% 식물에서 추출된 식용유 및 해초유 등이 있으며 최근에는 단위면적 당 수확량이 많다는 장점 때문에 미세조류에서 추출된 오일(이하 ‘미세조류 오일’이라 함)이 주목받고 있다. 또한, 바이오 디젤은 폐식용유나 동물성 지방 등도 재생하여 첨가 활용할 수 있는데, 석유 추출물인 경유와 바이오 디젤의 물성이 비슷하여 경유에 혼합하여 디젤엔진의 연료로 사용함으로써 석유자원의 고갈시기를 늦출 수 있는 장점이 있어 현재 바이오 디젤에 대한 중요성이 크게 부각되고 있다.
본래 LPG나 LNG등의 경유 대체연료의 경우에는, 디젤 엔진을 오토 사이클인 스파크 점화 방식으로 개조해주어야 하는 이유로 상당한 추가 비용이 소요되나, 바이오 디젤은 경유와 물성이 극히 유사하고 옥탄가가 높아 디젤 엔진의 압축 착화에 의한 연소가 가능하여 기존 엔진의 개조 없이 사용이 가능하며, 독성이 없고 인체에 무해하며 경유보다 발화점이 높아 저장 및 수송 등에 있어 안전성이 높고 취급이 용이하다는 장점을 있다.
이러한 바이오 디젤을 얻기 위한 종래의 제조방법은, 메탄올과 가성소다를 교반하여 메톡사이드(methoxide)를 제조한다.
그리고 상기 메톡사이드를 제1교반기에 투입하고 여기에 식용유를 가하여 교반하면, 식용유와 메톡사이드가 반응하여 바이오 디젤과 글리세린을 형성된다.
상기 바이오 디젤과 글리세린은 원심분리기를 이용하여 분리하거나, 바이오 디젤 및 글리세린의 비중 차이에 의해 상부에는 바이오 디젤이 위치하고, 하부에는 글리세린 및 비누 성분이 위치되는 성질을 이용하여 분리하기도 한다.
분리된 글리세린은 글리세린 저장탱크로 배출되며, 바이오 디젤은 제2교반기로 투입된다.
상기 제2교반기에 투입된 바이오 디젤량의 2배 정도의 물을 제2교반기에 투입하여 교반시키면 바이오 디젤에 포함된 글리세린 등의 이물질은 물에 용해되고, 상기 이물질이 용해된 물은 제2교반기에 연결된 배출라인을 통하여 외부로 배출한다.
그리고 상기 용해된 물이 제거된 바이오 디젤을 히터장치인 증류기로 이송하여 상기 바이오 디젤에 잔류하는 수분을 증발시켜 날려 보내는 증류공정을 수행하여 바이오 디젤 완제품을 얻는다.
그러나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기술에 따른 바이오 디젤 제조방법은 다량의 유리지방산을 포함하는 폐식용유나 미세조류 오일을 원료로 하는 경우에는 적용하기 어렵고, 바이오 디젤을 물로 세척하는 공정을 실시하여야 하므로 글리세린 등의 불순물이 함유된 물의 COD수치가 높아진 폐수를 배출하게 되므로, 환경오염을 일으키는 문제점이 있으며, 별도의 폐수 처리기를 구비하여 정화배출을 하여야 하므로 폐수처리에 따른 막대한 추가 설비비용이 필요하게 된다. 그리고 이러한 세척공정에서 바이오 디젤에 포함된 글리세린은 통상 완전히 제거되기 어렵고 잔량이 남게 된다.
본 발명은 다량의 유리지방산을 포함하는 폐식용유나 미세조류 오일로부터 고순도의 바이오 디젤을 추출하는 바이오 디젤의 제조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바이오 디젤을 제조하는 과정에서 글리세린 분리유닛을 이용하여 고순도의 글리세린을 추출하여 이를 재활용할 수 있도록 함은 물론 외부로 배출되는 글리세린을 회수함으로써 환경오염을 방지할 수 있는 바이오 디젤의 제조장치를 제공하는데 또 다른 목적이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은 폐식용유와 미세조류 오일을 이용하여 바이오 디젤을 제조하는데 모두 사용할 수 있는 장치를 제공하는 데 또 다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에 따른, 바이오 디젤 제조장치는 유리지방산이 다량 함유된 폐식용유 또는 미세조류 오일에 메탄올 및 산촉매를 혼합하여 에스테르화하는 제1교반조와, 메탄올과 염기성촉매를 혼합하여 메톡사이드를 생성하는 제2교반조와, 상기 제1교반조에서 생성된 에스테르와 상기 제2교반조에서 생성된 메톡사이드를 공급받아 혼합하여 글리세린 및 바이오 디젤을 생성하는 반응조와, 상기 반응조에서 분리되어 이송된 바이오 디젤을 증발시켜 저장하는 바이오 디젤 분리유닛과, 상기 반응조에서 분리되어 이송된 글리세린에 함유된 이물질을 증발시켜 분리한 후 상기 글리세린을 저장하는 글리세린 분리유닛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바이오 디젤 분리유닛은, 상기 반응조에서 분리된 바이오 디젤에 공기를 공급하여 상기 바이오 디젤에 함유된 이물질을 부상시켜 제거하는 바이오 디젤 여과탱크와, 상기 바이오 디젤 여과탱크로부터 공급된 상기 바이오 디젤을 증발시키고, 상기 증발된 바이오 디젤을 제1냉각챔버를 이용하여 냉각시켜 액상의 바이오 디젤을 공급하는 제1증발기와, 상기 제1증발기에서 공급된 액상의 바이오 디젤을 저장하는 서브 바이오 디젤 저장탱크와, 상기 서브 바이오 디젤 저장탱크에 저장된 액상의 바이오 디젤에 함유된 이물질을 필터링하여 고순도의 바이오 디젤을 배출하는 제1여과장치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바이오 디젤 여과탱크는, 하부에 설치한 공기주입관과, 상부에 설치한 공기배출관과, 상기 공기배출관에서 배출된 공기를 상기 공기주입관으로 순환시키는 순환관을 구비한다.
또한, 상기 글리세린 분리유닛은, 상기 반응조로부터 공급된 글리세린에 함유된 수분 및 메탄올을 포함하는 이물질을 증발시키고, 증발된 수분 및 메탄올을 포함한 이물질을 제2냉각챔버를 이용하여 냉각시켜 분리한 후, 액상의 글리세린을 공급하는 제2증발기와, 상기 제2증발기로부터 공급되는 액상의 글리세린을 필터링하여 고순도의 글리세린을 배출하는 제2여과장치를 포함한다.
상기 반응조는 에스테르과 메톡사이드의 교반효율을 향상시키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초음파 발생장치를 구비한다.
본 발명에서 제안하고 있는 바이오 디젤 제조장치에 따르면, 유리지방산이 다량 함유된 폐식용유와 미세조류 오일로부터 고순도의 바이오 디젤을 추출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글리세린 분리유닛을 이용하여 고순도의 글리세린을 추출할 수 있어, 상기 글리세린을 비누 등을 제조하는데 재활용할 수 있어 부가가치를 창출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환경오염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 제안하고 있는 바이오 디젤 제조장치는 폐식용유와 미세조류 오일을 모두 원료로 하여 사용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바이오 디젤 제조장치를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반응조를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바이오 디젤 여과탱크를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바이오 디젤 제조장치를 나타내는 개략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반응조를 나타내는 개략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바이오 디젤 여과탱크를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도 1을 참고하면, 본 발명에 따른 바이오 디젤 제조장치는 세척된 폐식용유나 미세조류 오일을 에스테르화시키기 위하여 상기 폐식용유나 미세조류 오일에 메탄올 및 산촉매를 혼합하는 제1교반조(200)와, 메탄올과 염기성 촉매를 혼합하여 메톡사이드를 생성하는 제2교반조(300)와, 상기 제1교반조(200)에서 생성된 에스테르와 상기 제2교반조(300)에서 혼합된 메톡사이드를 공급받아 글리세린 및 바이오 디젤을 생성하는 반응조(400)와, 상기 반응조(400)에서 분리되어 이송된 바이오 디젤을 증발시켜 저장하는 바이오 디젤 분리유닛(500)과, 상기 반응조(400)에서 분리되어 이송된 글리세린에 함유된 이물질을 증발시켜 분리한 후 상기 글리세린을 저장하는 글리세린 분리유닛(600)을 포함한다. 이때 산촉매는 황산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1교반조(200)는 세척된 폐식용유나 미세조류 오일을 세척조(100)로부터 공급받는다. 여기서, 세척조(100)는 유로(110)를 통하여 식용유, 해초유 등과 같은 폐식용유나 미세조류 오일에 물을 교반시켜 상기 폐식용유나 미세조류 오일에 함유된 불순물을 분리한다.
그리고 제1교반조(200)에 산촉매공급관(210)을 통하여 산촉매를 공급한 후 메탄올을 투입하여 제1교반조(200)에 공급된 세척된 폐식용유나 미세조류 오일을 에스테르화시킨다.
제1교반조(200)에서 에스테르는 배출관(220)을 통하여 반응조(400)로 공급된다. 이때, 에스테르를 저장탱크(250)에 저장한 후 후술할 반응조(400)로 공급할 수 있다.
제2교반조(300)는 공급관(310)을 통하여 공급된 메탄올과 촉매공급유닛(320)을 통하여 공급된 촉매를 혼합하여 메톡사이드를 생성한다. 여기서 촉매는 수산화나트륨(NaOH), 수산화칼륨(KOH), 나트륨 메틸레이트(NaOCH3)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의 염기성 촉매를 사용할 수 있으며, 알칼리 촉매가 아닌 효과가 더욱 우수한 다른 소재가 사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제1교반조(200)에서 생성된 에스테르는 유로(420)를 통하여 반응조(400)에 공급되고, 제2교반조(300)에서 생성된 메톡사이드는 유로(330)를 통하여 반응조(400)로 공급된다.
상기 에스테르와 메톡사이드는 반응조(400)에 의해 교반됨과 동시에 상호 화학 반응하여 바이오 디젤과 글리세린을 생성한다.
반응조(400)에는 도 2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초음파 발생장치(410)가 적어도 하나 이상 설치되어 있는데, 초음파 발생장치는 반응조(400)의 작동으로 반응조(400) 내부에서 상기 에스테르와 메톡사이드의 교반이 이루어질 때 작동되어, 교반 효율성을 극대화하고 교반시간을 단축하는 효과가 있다.
이와 같이, 반응조(400)에서 생성된 바이오 디젤과 글리세린은 비중의 차이로 인하여 반응조(400) 내부의 상층에는 바이오 디젤이 위치하고, 하층에는 글리세린이 위치한다. 따라서 바이오 디젤과 글리세린의 분리는 반응 후 약 8시간 동안 침전과정을 거치는 방법을 사용할 수 있으나, 원심분리기를 사용하여 바이오 디젤과 글리세린을 빠른 시간 내에 분리할 수도 있다.
반응조(400)에서 분리된 바이오 디젤은 유로(511)를 통하여 바이오 디젤 분리유닛(500)으로 공급되고, 글리세린은 유로(611)를 통하여 글리세린 분리유닛(600)으로 공급된다.
바이오 디젤 분리유닛(500)은 바이오 디젤 여과탱크(510)와, 제1증발기(530)와, 서브 바이오 디젤 저장탱크(540)와, 제1여과장치(550)를 포함한다.
유로(511)를 통하여 공급되는 바이오 디젤은 순수한 바이오 디젤 성분을 제외한 이물질을 함유한다. 바이오 디젤 여과탱크(510)는 바이오 디젤에 함유된 이물질을 제거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바이오 디젤 여과탱크(510)는 유입된 바이오 디젤에 공기를 주입하고, 공기 기포에 이물질을 흡착시켜 상기 바이오 디젤에 함유된 이물질을 제거한다. 이때, 바이오 디젤 여과탱크(510)는 도 3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하부에 설치한 공기주입관(513)과, 상부에 설치한 공기배출관(511)과, 공기배출관(511)에서 배출된 공기를 여과한 후 공기주입관(513)으로 순환시키는 순환관(515)을 구비한다.
그리고 바이오 디젤 여과탱크(510)에서 이물질이 제거된 바이오 디젤은 유로(512)를 통하여 유로(533)(536)를 통하여 제1증발기(530)에 공급된다.
제1증발기(530)는 히팅장치로서 공급된 바이오 디젤을 증발시키고, 상기 증발된 바이오 디젤을 유로(535)를 통하여 배출한다. 그리고 제1증발기(530)에 구비된 제1냉각챔버(531)를 이용하여 상기 배출된 바이오 디젤을 냉각 및 응축시켜 액상의 바이오 디젤을 생성한다. 이처럼, 제1증발기(530)를 이용하여 바이오 디젤을 증발 및 응축하여 고순도의 바이오 디젤을 얻을 수 있다.
제1증발기(530)에서 배출된 액상의 바이오 디젤은 유로(540)를 통하여 서브 바이오 디젤 저장탱크(540)에 저장된다. 그리고 서브 바이오 디젤 저장탱크(540)에 저장된 바이오 디젤은 유로(541)(551)를 통하여 제1여과장치(550)에 유입된다.
제1여과장치(550)는 제1증발기(530)에서 배출된 액상의 바이오 디젤에 함유된 이물질을 재차 필터링하여 바이오 디젤의 순도를 더욱 향상시킨다. 그리고 제1여과장치(550)를 통과한 바이오 디젤은 유로(553)(554)를 통하여 마이크로 필터링 장치(560)에 공급되어 여과과정을 수행할 수 있다. 한편, 서브 바이오 디젤 저장탱크(540)에 저장된 바이오 디젤은 제1여과장치(550)를 거치지 않고, 유로(552)(554)를 통하여 마이크로 필터링 장치(560)에 공급되어 여과과정을 수행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마이크로 필터링 장치(560)를 거쳐 바이오 디젤에 함유된 이물질을 제거함으로써, 고순도의 바이오 디젤을 얻을 수 있다.
마이크로 필터링 장치(560)를 거친 바이오 디젤은 바이오 디젤 저장탱크(570)에 저장된다.
한편, 글리세린 분리유닛(600)은 제2증발기(630)와, 제2여과장치(650)를 포함한다.
유로(611)를 통하여 공급되는 글리세린은 순수한 글리세린 성분을 제외한 수분 및 메탄올을 포함하는 이물질을 함유한다. 반응조(400)로부터 유로(611)를 통하여 배출된 글리세린은 저장탱크(610)에 저장된다. 저장탱크에 저장된 글리세린은 유로(613)((634)(635)를 거쳐 제2증발기(630)에 공급되거나, 유로(614)(632)를 거쳐 제2증발기(630)에 공급된다.
제2증발기(630)는 히팅장치로서 공급된 글리세린에 함유된 수분 및 메탄올 등의 이물질을 증발시키고, 상기 증발된 수분 및 메탄올을 유로(638)를 통하여 배출한다. 그리고 제2증발기(630)에 구비된 제2냉각챔버(631)를 이용하여 상기 배출된 수분 및 메탄올을 냉각 및 응축시켜 액상의 물과 메탄올을 유로(636)을 통하여 배출하고 이를 저장한다. 이처럼, 제2증발기(630)를 이용하여 글리세린에 함유된 이물질을 증발 및 응축하여 제거한 후 고순도의 액상 글리세린을 얻을 수 있다.
그리고 제2증발기(630)에서 이물질이 제거된 글리세린은 유로(637)(651)를 통하여 제2여과장치(650)에 유입된다.
제2여과장치(650)는 제2증발기(630)에서 배출된 액상의 글리세린에 함유된 이물질을 재차 필터링하여 글리세린의 순도를 더욱 향상시킨다. 그리고 제2여과장치(650)를 통과한 글리세린은 유로(652)(653)를 통하여 글리세린 저장탱크(670)에 저장된다. 한편, 제2증발기(630)에서 생성된 액상의 글리세린은 제2여과장치(650)를 거치지 않고, 유로(637)(653)를 통하여 글리세린 저장탱크(670)에 저장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제2여과장치(650)를 거쳐 글리세린에 함유된 이물질을 제거함으로써, 고순도의 액상의 글리세린을 얻을 수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에 따른 바이오 디젤의 제조방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4는 본 발명의 따른 바이오 디젤 제조방법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도 4를 참고하면, 먼저 세척조(100)에서 세척된 폐식용유나 미세조류 오일에 제1교반조(200)에 공급하고 다시 메틸올 및 황산 등의 산촉매를 투입하여 혼합하여 에스테르화 반응을 일으킴으로써 에스테르를 생성한다(S100). 그리고 제2교반조(300)에는 메탄올에 수산화나트륨(NaOH), 수산화칼륨(KOH) 등의 염기성 촉매를 혼합하여 메톡사이드를 생성한다(S150).
이어서 상기 에스테르와 메톡사이드를 반응조(400)에 공급한 후, 이를 교반하여 바이오 디젤 및 글리세린을 생성한다(S200).
반응조(400)에서 생성된 바이오 디젤은 바이오 디젤 분리유닛(500)을 이용하여 고순도의 바이오 디젤을 생성하는 과정을 수행하게 되는데, 고순도의 바이오 디젤을 생성하는 과정은 다음과 같다.
반응조(400)에서 바이오 디젤을 분리하고, 상기 바이오 디젤을 바이오 디젤 여과탱크(510)에 공급한다(S300). 바이오 디젤 여과탱크(510)는 공기를 순환시켜 바이오 디젤에 함유된 이물질을 걸러내는 역할을 한다.
바이오 디젤 여과탱크(510)에서 이물질이 제거된 바이오 디젤은 제1증발기(530)로 공급된다(S330). 제1증발기(530)는 바이오 디젤을 증발시키고, 증발된 바이오 디젤을 제1냉각챔버(531)를 이용하여 냉각 및 응축하여 액상의 바이오 디젤을 생성하게 된다. 이때, 제1증발기(530)에서 바이오 디젤을 증발 및 응축과정에서 바이오 디젤에 함유된 이물질이 재차 제거된다.
그리고 제1증발기(530)를 거친 액상의 바이오 디젤은 제1여과장치(550)에 공급되고, 상기 바이오 디젤에 함유된 이물질을 재차 필터링하는 과정을 수행한다(S350).
이와 같이, 바이오 디젤 여과탱크(510), 제1증발기(530) 및 제1여과장치(550)를 거쳐 바이오 디젤에 함유된 이물질을 제거함으로써 고순도의 바이오 디젤을 얻을 수 있다(S370).
한편, 반응조(400)에서 생성된 글리세린은 글리세린 분리유닛(600)을 이용하여 고순도의 글리세린을 생성하는 과정을 수행하게 되는데, 고순도의 글리세린을 생성하는 과정은 다음과 같다.
반응조(400)에서 글리세린을 분리하고, 상기 글리세린을 제2증발기(630)에 공급한다(S400). 제2증발기(630)는 글리세린에 함유된 수분 및 메탄올을 증발시키고, 증발된 수분 및 메탄올은 제2냉각챔버(631)를 이용하여 냉각 및 응축하여 이를 분리 배출한다. 이때, 제2증발기(630)에서 수분 및 메탄올을 증발 및 응축과정에서 글리세린에 함유된 상기 수분과 메탄올을 제거된다.
제2증발기(630)를 거친 글리세린은 제2여과장치(650)에 공급되고, 상기 글리세린에 함유된 이물질을 재차 필터링하는 과정을 수행한다(S450).
이와 같이, 제2증발기(630) 및 제2여과장치(650)를 거쳐 글리세린에 함유된 이물질을 제거함으로써 고순도의 글리세린을 얻을 수 있다(S470).
이상 설명한 본 발명은 본 발명이 속한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하여 다양한 변형이나 응용이 가능하며, 본 발명에 따른 기술적 사상의 범위는 아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정해져야 할 것이다.
200: 제1교반조 300: 제2교반조
400: 반응조 500: 바이오 디젤 분리유닛
510: 바이오 디젤 여과탱크 530: 제1증발기
531: 제1냉각챔버 540: 서브 바이오 디젤 저장탱크
550: 제1여과장치 600: 글리세린 분리유닛
630: 제2증발기 631: 제2냉각챔버
650: 제2여과장치

Claims (5)

  1. 폐식용유나 미세조류 오일에 메탄올 및 산촉매를 혼합하여 에스테르를 생성하는 제1교반조;
    메탄올과 촉매를 혼합하여 메톡사이드를 생성하는 제2교반조;
    상기 제1교반조에서 생성된 에스테르와 상기 제2교반조에서 생성된 메톡사이드를 공급받아 글리세린 및 바이오 디젤을 생성하는 반응조;
    상기 반응조에서 분리되어 이송된 바이오 디젤을 증발시켜 저장하는 바이오 디젤 분리유닛; 및
    상기 반응조에서 분리되어 이송된 글리세린에 함유된 이물질을 증발시켜 분리한 후 상기 글리세린을 저장하는 글리세린 분리유닛을 포함하는 바이오 디젤 제조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바이오 디젤 분리유닛은,
    상기 반응조에서 분리된 바이오 디젤에 공기를 공급하여 상기 바이오 디젤에 함유된 이물질을 부상시켜 제거하는 바이오 디젤 여과탱크; 및
    상기 바이오 디젤 여과탱크로부터 공급된 상기 바이오 디젤을 증발시키고, 상기 증발된 바이오 디젤을 제1냉각챔버를 이용하여 냉각시켜 액상의 바이오 디젤을 공급하는 제1증발기;
    상기 제1증발기에서 공급된 액상의 바이오 디젤을 저장하는 서브 바이오 디젤 저장탱크; 및
    상기 서브 바이오 디젤 저장탱크에 저장된 액상의 바이오 디젤에 함유된 이물질을 필터링하여 고순도의 바이오 디젤을 배출하는 제1여과장치를 포함하는 바이오 디젤 제조장치.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바이오 디젤 여과탱크는,
    하부에 설치한 공기주입관;
    상부에 설치한 공기배출관; 및
    상기 공기배출관에서 배출된 공기를 상기 공기주입관으로 순환시키는 순환관을 구비하는 바이오 디젤 제조장치.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글리세린 분리유닛은,
    상기 반응조로부터 공급된 글리세린에 함유된 수분 및 메탄올을 포함하는 이물질을 증발시키고, 증발된 수분 및 메탄올을 포함한 이물질을 제2냉각챔버를 이용하여 냉각시켜 분리한 후, 액상의 글리세린을 공급하는 제2증발기; 및
    상기 제2증발기로부터 공급되는 액상의 글리세린을 필터링하여 고순도의 글리세린을 배출하는 제2여과장치를 포함하는 바이오 디젤 제조장치.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반응조는 에스테르와 메톡사이드의 교반효율을 향상시키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초음파 발생장치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이오 디젤 제조장치.
KR1020110095151A 2010-12-08 2011-09-21 바이오 디젤 제조장치 KR10119135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24666 2010-12-08
KR20100124666 2010-12-08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64014A true KR20120064014A (ko) 2012-06-18
KR101191351B1 KR101191351B1 (ko) 2012-10-18

Family

ID=4668429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95151A KR101191351B1 (ko) 2010-12-08 2011-09-21 바이오 디젤 제조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91351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58573B1 (ko) * 2013-04-05 2014-11-07 한국과학기술원 미세조류의 동시 지질추출 및 에스테르 교환반응을 이용한 바이오디젤의 제조방법
WO2016143988A1 (ko) * 2015-03-11 2016-09-15 한국과학기술원 미세조류로부터 바이오디젤, 바이오디젤 첨가제 및 알킬포메이트의 동시 제조방법
KR102122041B1 (ko) 2019-06-19 2020-06-11 이철호 글리세린 정제장치
KR20210064627A (ko) * 2019-11-26 2021-06-03 무진기공주식회사 바이오디젤부산물을 이용한 고산가 오일 전처리과정을 포함하는 바이오디젤 생산 시스템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61083A (ko) 2019-11-19 2021-05-27 무진기공주식회사 바이오디젤 반응기 조립장치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60021277A1 (en) 2004-07-30 2006-02-02 Farmers Cooperative Elevator Co. High yield bio diesel fuel preparation process
KR100749440B1 (ko) * 2006-05-19 2007-08-14 유병재 동물성 유지 또는 식물성 유지를 이용한 대체연료의 제조를 위한 에스테르화 반응 장치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58573B1 (ko) * 2013-04-05 2014-11-07 한국과학기술원 미세조류의 동시 지질추출 및 에스테르 교환반응을 이용한 바이오디젤의 제조방법
WO2016143988A1 (ko) * 2015-03-11 2016-09-15 한국과학기술원 미세조류로부터 바이오디젤, 바이오디젤 첨가제 및 알킬포메이트의 동시 제조방법
KR102122041B1 (ko) 2019-06-19 2020-06-11 이철호 글리세린 정제장치
KR20210064627A (ko) * 2019-11-26 2021-06-03 무진기공주식회사 바이오디젤부산물을 이용한 고산가 오일 전처리과정을 포함하는 바이오디젤 생산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191351B1 (ko) 2012-10-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2597183C (en) Production of biodiesel and glycerin from high free fatty acid feedstocks
Leung et al. A review on biodiesel production using catalyzed transesterification
CN1328353C (zh) 一种动、植物油制备生物柴油的工艺
US20050204612A1 (en) Method and device for producing biodiesel
CN101702916A (zh) 制备脂肪酸甲酯(生物柴油)的综合方法
KR101191351B1 (ko) 바이오 디젤 제조장치
CN103502410A (zh) 自动催化酯化脂肪酸的方法
KR20150011306A (ko) 지방을 이용한 지방산알킬에스테르의 제조방법
CN101058734A (zh) 工业化微波合成生物柴油的装置及其方法
US20090223118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Manufacturing and Purifying Bio-Diesel
Casas et al. Filter Cake Oil‐Wax as Raw Material for the Production of Biodiesel: Analysis of the Extraction Process and the Transesterification Reaction
JP5358351B2 (ja) バイオディーゼル燃料の製造装置
WO2008003154A1 (en) A process and a reactor for the production of biodiesel
US20100311997A1 (en) Method for producing fatty acid methyl esters or fatty acid ethyl esters
BRPI1005000A2 (pt) processo para obtenÇço de biodiesel a partir de àleos e/ou gorduras vegetais e/ou gorduras animais, virgens ou usados e biodiesel assim obtido
JP2007211139A (ja) 脂肪酸エステルとグリセリンの製造方法及び製造装置並びに燃料
Choedkiatsakul et al. Patent review on “biodiesel production process”
WO2011085461A1 (pt) Processo para desemulsificação e esterificação integrada de ácidos graxos e seus derivados com emprego de reagentes residuais e recuperação simultânea de álcool e retirada de água
US10988708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fatty acid alkyl ester production with recycling
BR102022019345B1 (pt) Processo de produção de biodiesel
TWI297357B (en) System for continuously producing biodiesel
CN105969530A (zh) 一种从报废动植物油脂中连续式生产生物柴油的方法
KR100762107B1 (ko) 식용유를 원료로 한 바이오디젤의 제조방법
Hawboldt et al. Fish Processing Waste Streams as a Feedstock for Fuels
Casas et al. Research Article Filter Cake Oil-Wax as Raw Material for the Production of Biodiesel: Analysis of the Extraction Process and the Transesterification Reactio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