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063240A - 모바일 전자기기 - Google Patents

모바일 전자기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063240A
KR20120063240A KR1020100124334A KR20100124334A KR20120063240A KR 20120063240 A KR20120063240 A KR 20120063240A KR 1020100124334 A KR1020100124334 A KR 1020100124334A KR 20100124334 A KR20100124334 A KR 20100124334A KR 20120063240 A KR20120063240 A KR 2012006324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ttery cover
body housing
unit
main body
vibration me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12433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고영석
최준순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다이아벨
삼현테크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다이아벨, 삼현테크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다이아벨
Priority to KR1020100124334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20063240A/ko
Publication of KR2012006324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63240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06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 H04M1/0208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characterized by the relative motions of the body parts
    • H04M1/0235Slidable or telescopic telephones, i.e. with a relative translation movement of the body parts; Telephones using a combination of translation and other relative motions of the body parts
    • H04M1/0237Sliding mechanism with one degree of freedom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6Details of the structure or mounting of specific components
    • H04M1/0262Details of the structure or mounting of specific components for a battery compartmen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23Construction or mounting of dials or of equivalent devices; Means for facilitating the use thereof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50/00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 H04M2250/22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including a touch pad, a touch sensor or a touch detecto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Abstract

디스플레이부와 키입력부를 구비하면서도 슬림하며, 진동 효과가 크면서도 부품이 차지하는 내부 공간을 줄이고 조립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모바일 기기가 제공된다. 본 발명에 따른 모바일 기기는 전면에는 디스플레이부가 마련되며 후면에는 배터리가 장착되는 본체 하우징과, 본체 하우징의 후면에 슬라이딩유닛을 통해 개폐 가능하게 마련되는 배터리 커버와, 배터리 커버에 마련되는 판 형상의 진동부재와, 진동부재와 겹쳐서 배터리 커버에 마련되는 키입력부를 포함함으로써 슬림한 모바일 기기를 구현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착신 등의 신호를 사용자에게 효과적으로 전달할 수 있다. 또한, 배터리 커버에 마련되는 키입력부를 터치 패드로 마련함으로써 사용자에게 또 다른 입력수단을 제공할 수 있음은 물론 터치 패드 조작 시 배터리 커버의 진동부재를 이용하여 조작 상태를 촉감으로도 사용자에게 전달할 수 있다.

Description

모바일 전자기기{Mobile Equipments}
본 발명은 모바일 전자기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모바일 기기의 배터리 커버에 진동부재 및 입력부재가 마련된 모바일 전자기기에 관한 것이다.
휴대폰으로 대표되는 모바일 기기(Mobile Equipments)는 바 타입(Bar type), 플립 타입(Flip type), 플립업 타입(Flip-up type), 폴더 타입(Folder type), 슬라이드 타입(Slide type), 가로보기 타입 등 사용되는 시대와 사용자의 요구에 따라 다양한 형태로 진화해 왔다.
플립 타입의 모바일 기기는 커버튼부 만을 플립을 이용해 개폐하는 방식이며, 폴더 타입의 모바일 기기는 상부를 액정화면으로 하고 하부를 키버튼부로 하여 상하가 서로 접철되는 방식이다. 슬라이드 타입의 모바일 기기는 액정화면부가 위치한 상부가 키버튼부가 위치한 하부로부터 슬라이딩 되는 방식이며, 가로보기 타입의 모바일 기기는 폴더 타입 또는 슬라이드 타입에서 개방 동작 후 화면의 위치변경을 하는 것이다.
또한, 최근에는 키버튼부를 생략하고 상부의 액정화면을 터치 패널로 마련하여 신호 입출력을 동시에 수행하도록 하는 모바일 기기가 널리 사용되고 있다. 그런데, 터치 패널은 일례로 문자 입력 시 정확도가 떨어지기 때문에 상부에는 터치 패널로 형성된 액정화면부를 마련하고 하부에는 키버튼부를 마련하여 필요에 따라 사용자가 터치 패널과 키버튼부 중 선택하여 입력할 수 있는 슬라이딩 방식도 개발되었으나, 이 방식은 모바일 기기의 두께가 두꺼워지는 단점이 있었다.
한편, 통상의 모바일 기기는 전화 착신 신호 또는 기타 기능을 수행하는 중에 발생하는 신호를 사용자가 진동에 의해 인식할 수 있도록 부가 기능을 구비하고 있다. 진동을 발생시키는 바이브레이터라 불리는 이 진동부재는 모터와 모터축에 마련되는 편심체로 구성되어, 신호 인가 시 편심체가 회전하면서 모터를 진동시키고, 모터는 장착된 모바일 기기를 진동시킨다. 종래의 바이브레이터는 일반적으로 모바일 기기의 단말기 하우징 또는 내부 PCB 기판에 설치되었다. 그런데, 바이브레이터를 단말기 하우징에 설치하면 진동 효과가 크다는 장점이 있지만 하우징에 바이브레이터를 고정시키기 위한 구조가 필요하며, PCB 기판에 실장하면 설치는 용이하나 하우징 내부 설치로 인해 진동 효과가 약하다는 단점이 있었다.
또 한편, 통상의 모바일 기기는 전화 착신 신호 또는 기타 기능을 수행하는 중에 발생하는 신호를 사용자에게 전달하는 방식으로 상술한 진동(촉각) 외 벨(청각), 램프(시각) 등을 사용하고 있다. 하지만, 최근 이러한 통상적인 신호 전달 방식을 벗어난 새로운 신호 전달 방식을 도입하고자 하는 연구가 여러 방면에서 진행되고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종래 기술에 착안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디스플레이부와 키입력부를 구비하면서도 슬림한 모바일 전자기기를 제공하는 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진동 효과가 크면서도 부품이 차지하는 내부 공간을 줄이고 조립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슬림한 모바일 기기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모바일 기기는 전면에는 디스플레이부가 마련되며 후면에는 배터리가 장착되는 본체 하우징과, 본체 하우징의 후면에 슬라이딩유닛을 통해 개폐 가능하게 마련되는 배터리 커버와, 배터리 커버에 마련되는 판 형상의 진동부재와, 진동부재와 겹쳐서 배터리 커버에 마련되는 키입력부를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모바일 기기의 상기 슬라이딩유닛은 상기 본체 하우징에 마련되는 고정프레임과, 상기 고정프레임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하며, 상기 배터리커버와 결합하여 본체 하우징으로부터 직선 슬라이딩 이동되는 이동프레임을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모바일 기기의 상기 슬라이딩유닛은 상기 배터리 커버가 상기 본체 하우징에 대해 회전 개폐 가능하게 마련되는 힌지장치를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모바일 기기의 상기 키입력부는 터치 패널로 마련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모바일 기기의 상기 진동부재는 방향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방향부재는 진동부재를 상기 배터리 커버에 고정시키기 위한 접착 테이프에 마련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모바일 기기의 상기 배터리 커버에는 가이드홈이 마련되고, 상기 진동부재는 상기 가이드홈에 마련된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전면에는 디스플레이부가 마련되며 후면에는 배터리가 장착되는 본체 하우징과, 상기 본체 하우징의 후면에 슬라이딩유닛을 통해 개폐 가능하게 마련되는 배터리 커버와, 상기 배터리 커버에 중공을 구비하며 판 형상으로 마련되는 진동부재를 포함하는 모바일 전자기기가 제공된다.
본 발명에 따른 모바일 기기는 판 형상의 진동부재를 본체 하우징에 마련되는 배터리 커버에 장착함으로써 슬림한 모바일 기기를 구현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착신 등의 신호를 사용자에게 효과적으로 전달할 수 있다. 또한, 배터리 커버에 터치 패드를 설치함으로써 사용자에게 또 다른 입력수단을 제공할 수 있음은 물론 터치 패드 조작 시 배터리 커버의 진동부재를 이용하여 조작 상태를 촉감으로 사용자에게 효과적으로 전달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직선 슬라이딩 방식으로 배터리 커버가 개폐되는 모바일 전자기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도 1의 배면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의 배면 결합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회전 슬라이딩 방식으로 배터리 커버가 동작되는 모바일 전자기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도 4의 배터리 커버가 거치대로 사용되는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은 도 4의 배터리 커버가 키입력부로 사용되는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기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의 모바일 기기는 전면에 디스플레이부(1a)가 마련되어 있으며 후면에 배터리(B)를 착탈할 수 있도록 개폐 가능한 배터리 커버(1b)가 마련된 본체 하우징(1)을 포함한다.
디스플레이부(1a)는 전기적 신호를 영상으로 출력하는 통상의 LCD 패널뿐만 아니라 신호(화면) 출력은 물론 신호(문자) 입력도 가능한 터치 패널이 사용될 수도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터치 패널을 일례로 예시한다.
배터리 커버(1b)는 본체 하우징(1)으로부터 직선 슬라이딩하여 개폐된다. 이를 위해 배터리 커버(1b)와 본체 하우징(1)은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슬라이딩유닛(10)을 이용하여 상호 결합된다. 슬라이딩유닛(10)은 고정프레임(12)과 이동프레임(14)을 포함한다.
고정프레임(12)은 본체 하우징(1)에 고정되는 판 상의 플레이트로 길이방향 양측에는 서로 일정 간격 이격된 상태로 마주보는 "ㄷ" 자 형태의 레일부(12a)가 각각 마련되어 있다.
이동프레임(14)은 배터리 커버(1b)에 고정되며 고정프레임(12)보다 큰 판 상의 플레이트로서, 그 양측에는 고정프레임(12)의 양측 레일부(12a)에 걸릴 수 있도록 걸림턱(14a)이 마련되어 있다.
따라서 배터리 커버(1b)는 고정프레임(12)과 이동프레임(14)의 슬라이딩 결합에 의해 본체 하우징(1)으로부터 직선 슬라이딩 왕복 이동하면서 입출된다.
또한, 고정프레임(12)과 이동프레임(14) 사이에는 슬라이딩 동작이 탄성적으로 이루어지도록 탄성체(미도시)가 설치될 수 있으며, 이 경우 걸림수단 또는 락킹수단도 함께 설치될 수 있다. 탄성체는 일단은 이동프레임(14)에 결합되고 타단은 고정프레임에 결합되며 중앙 부분에는 탄성부가 마련되어 있어서, 외력이 작용하면 타단을 기준으로 이동프레임(14)를 따라 소정 지점(일측과 타측의 거리가 짧아질 때)까지는 탄성 회전하고, 소정 지점을 지나면 탄성 복원력에 의해 회전을 완료하면서 이동프레임(14)을 고정프레임(12)에 대해 반자동 슬라이딩 동작시킨다.
또한, 배터리 커버(1b)에는 후면을 바닥에 거치하는 모바일 기기의 특성상 진동 신호가 효과적으로 전달될 수 있도록 진동부재(20)가 설치된다. 진동부재(20)로는 판 형상을 갖는 세라믹 진동부재가 바람직하다.
세라믹 진동부재(20)는 전류가 인가되면 전기적 에너지가 기계적 에너지로 전환되면서 신축 작용을 하는 압전 소자를 이용한 것이다. 세라믹 진동부재는 한 쌍의 압전 소자 사이에 판형 탄성체를 설치하여, 압전 소자에 전류가 인가되면 탄성체가 상하로 진동하면서 1초에 수 만번의 진동이 발생되도록 한다. 이러한 세라믹 진동부재는 코인/원통형 진동부재에 비해 소비전력이 작을 뿐만 아니라, 두께가 0.3mm에 불과하여 공간 활용성이 매우 높다.
세라믹 진동부재(20)는 고정플레이트(12) 또는 이동플레이트(14)의 면 상에 접착 테이프(미도시)를 이용하여 고정될 수 있으며, 다른 방법으로는 에칭 또는 프레스 방식으로 가이드홈(미도시)을 마련한 후 고정될 수도 있다. 접착 테이프에 방향부재(미도시)를 캡슐 형태로 포함시킬 경우, 진동을 발생시키면 향이 발산되면서 사용자에게 모바일 기기에서 발생되는 신호를 후각적으로도 전달할 수 있다.
또한, 배터리 커버(1b)는 내측면에 키입력부(30)를 구비할 수 있다. 키입력부(30)는 이동플레이트(14)에 마련되며 고정플레이트(12)의 케이블홈(12b)을 통해 본체 하우징(1)과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키입력부(30)로는 터치 패널을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터치 패널은 키자판 모듈에 비해 두께가 얇으며 본체 하우징(1)에 전원 및 신호 케이블만 연결하면 동작 가능하기 때문에 모바일 기기의 슬림화를 효과적으로 구현할 수 있다. 게다가, 키입력부(30)는 배터리 커버(1b)에 마련되는 진동부재(20)와 함께 사용할 경우 예를 들어, 문자 입력 신호가 발생하면 진동을 동시에 출력하도록 함으로써 문자 입력을 보다 정확하게 할 수 있도록 한다.
도 4 내지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기기를 도시한 도면이다. 본 실시예를 상기 일 실시예와 다른 점을 중심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으며, 일 실시예와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한 기능을 하는 것으로 설명을 생략한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본체 하우징(1)에 마련되는 배터리 커버(1b)는 슬라이딩유닛(40)에 의해 일단이 회전 개폐가능하게 설치된다. 개폐가 용이하도록 본체 하우징(1)에는 배터리 커버(1b)를 개방하기 위한 락킹부재(1c)가 마련될 수 있다.
슬라이딩유닛(40)은 배터리 커버(1b)가 본체 하우징(1)에 대해 회전함과 동시에 원하는 위치에서 정지할 수 있도록 통상 프리스탑 힌지로 불리는 힌지장치(42)를 포함한다. 힌지장치는 샤프트와 고정캠과 회전축과 탄성부재로 구성되며 통상 모듈화된 것을 구매하여 사용하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배터리 커버(1b)의 내측면에는 세라믹 진동부재(20)가 설치되며, 외측에는 터치 패널을 이용한 키입력부(30)가 마련된다. 세라믹 진동부재(20)는 전원 인가 시 진동을 증폭시킬 수 있도록 내부에 중공(22)을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면에서 미설명된 참조부호 50은 배터리 커버(1b)의 백플레이트로서 진동부재(20)의 설치를 용이하게 하기 위해 마련될 수 있다. 백플레이트(50)에는 진동부재(20)를 고정시키기 위한 가이드홈(52)이 마련된다.
상기와 같이 마련된 슬라이딩유닛(40)은 도 5와 같이 소정 각도로 회전 개방할 경우에는 일례로 DMB 시청 시 거치대로 활용할 수 있으며, 도 6과 같이 180도 개방할 경우에는 입력 장치로 활용할 수 있다. 또한, 배터리 커버(1b)에 진동부재(20)와 함께 마련되는 키입력부(30)는 예를 들어, 문자 입력 신호가 발생하면 진동을 동시에 출력할 수 있기 때문에 사용자가 문자 입력을 보다 정확하게 할 수 있도록 한다.
1..본체 하우징 1a..디스플레이부
1b..배터리 커버 10,40..슬라이딩유닛
12..고정프레임 14..이동프레임
20..진동부재 30..키입력부
42..힌지장치

Claims (9)

  1. 전면에는 디스플레이부가 마련되며 후면에는 배터리가 장착되는 본체 하우징과,
    상기 본체 하우징의 후면에 슬라이딩유닛을 통해 개폐 가능하게 마련되는 배터리 커버와,
    상기 배터리 커버에 마련되는 판 형상의 진동부재와,
    상기 진동부재와 겹쳐서 상기 배터리 커버에 마련되는 키입력부를 포함하는 모바일 전자기기.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딩유닛은
    상기 본체 하우징에 마련되는 고정프레임과,
    상기 고정프레임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하며, 상기 배터리커버와 결합하여 본체 하우징으로부터 직선 슬라이딩 이동되는 이동프레임을 포함하는 모바일 전자기기.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딩유닛은 상기 배터리 커버가 상기 본체 하우징에 대해 회전 개폐 가능하게 마련되는 힌지장치를 포함하는 모바일 전자기기.
  4. 제 1항 내지 제 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키입력부는 터치 패널로 마련되는 모바일 전자기기.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진동부재는 방향부재를 포함하는 모바일 전자기기.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방향부재는 진동부재를 상기 배터리 커버에 고정시키기 위한 접착 테이프에 마련되는 모바일 전자기기.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배터리 커버에는 가이드홈이 마련되고,
    상기 진동부재는 상기 가이드홈에 마련되는 모바일 전자기기.
  8. 전면에는 디스플레이부가 마련되며 후면에는 배터리가 장착되는 본체 하우징과,
    상기 본체 하우징의 후면에 슬라이딩유닛을 통해 개폐 가능하게 마련되는 배터리 커버와,
    상기 배터리 커버에 중공을 구비하며 판 형상으로 마련되는 진동부재를 포함하는 모바일 전자기기.
  9.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배터리 커버에는 상기 진동부재와 겹쳐서 터치 패널 형태의 키입력부가 마련되는 모바일 전자기기.
KR1020100124334A 2010-12-07 2010-12-07 모바일 전자기기 KR20120063240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24334A KR20120063240A (ko) 2010-12-07 2010-12-07 모바일 전자기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24334A KR20120063240A (ko) 2010-12-07 2010-12-07 모바일 전자기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63240A true KR20120063240A (ko) 2012-06-15

Family

ID=4668379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124334A KR20120063240A (ko) 2010-12-07 2010-12-07 모바일 전자기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20063240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038921A (ko) * 2013-10-01 2015-04-09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
WO2024039089A1 (ko) * 2022-08-19 2024-02-22 삼성전자 주식회사 롤러블 디스플레이와 슬라이딩 구조를 갖는 전자 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038921A (ko) * 2013-10-01 2015-04-09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
WO2024039089A1 (ko) * 2022-08-19 2024-02-22 삼성전자 주식회사 롤러블 디스플레이와 슬라이딩 구조를 갖는 전자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10324448B (zh) 电子装置和电子装置的控制方法
KR20110048644A (ko) 기기 간의 전기적 연결 구조
KR20080084498A (ko) 이동통신 단말기
KR100703466B1 (ko) 슬림형 휴대 단말기
JP2008054284A (ja) モバイル端末機
KR101572828B1 (ko) 휴대 단말기용 스피커 장치
KR101481426B1 (ko) 평판 음향 출력 장치를 구비하는 이동통신 단말기 및 그의진동 출력 방법
EP2515198B1 (en) Slidable mobile terminal
KR20080092354A (ko) 전자 장치 및 활주 기구
KR100689486B1 (ko) 공명 공간을 이용하는 폴더형 휴대 단말기의 스피커 장치
JP2010081570A (ja) 携帯電子機器
US20090061960A1 (en) Electronic device with a panel capable of being hidden selectively
JP2007288436A (ja) スライド型携帯端末
KR20120063240A (ko) 모바일 전자기기
JP4771966B2 (ja) 携帯端末装置
JP2010093501A (ja) 情報処理装置
JP2009017377A (ja) 携帯電子機器
KR100664229B1 (ko) 양방향 스피커를 구비한 휴대용 단말기
KR20070071462A (ko) 슬라이드형 이동통신 단말기
KR101185030B1 (ko) 모바일 기기의 슬라이드 장치
JP2014003540A (ja) 電子機器
KR100810375B1 (ko) 슬림형 휴대 단말기의 보강 장치
KR100662443B1 (ko) 슬라이드형 이동통신 단말기
KR20070105107A (ko) 손목 착용 타입 휴대용 단말기
JP2008182601A (ja) 携帯端末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