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062328A - 애호리병벌 독액으로부터 추출한 항생활성을 갖는 펩타이드와 이를 코딩하는 유전자 - Google Patents

애호리병벌 독액으로부터 추출한 항생활성을 갖는 펩타이드와 이를 코딩하는 유전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062328A
KR20120062328A KR1020100123546A KR20100123546A KR20120062328A KR 20120062328 A KR20120062328 A KR 20120062328A KR 1020100123546 A KR1020100123546 A KR 1020100123546A KR 20100123546 A KR20100123546 A KR 20100123546A KR 20120062328 A KR20120062328 A KR 2012006232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eptide
amino acid
acid sequence
venom
seq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12354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시혁
백지형
이승환
Original Assignee
서울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서울대학교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서울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0012354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20062328A/ko
Publication of KR2012006232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62328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KPEPTIDES
    • C07K7/00Peptides having 5 to 20 amino acids in a fully defined sequence; Derivatives thereof
    • C07K7/04Linear peptides containing only normal peptide links
    • C07K7/08Linear peptides containing only normal peptide links having 12 to 20 amino acid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NPRESERVATION OF BODIES OF HUMANS OR ANIMALS OR PLANTS OR PARTS THEREOF; BIOCIDES, e.g. AS DISINFECTANTS, AS PESTICIDES OR AS HERBI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PLANT GROWTH REGULATORS
    • A01N37/00Bio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or plant growth regulators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a carbon atom having three bonds to hetero atoms with at the most two bonds to halogen, e.g. carboxylic acids
    • A01N37/18Bio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or plant growth regulators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a carbon atom having three bonds to hetero atoms with at the most two bonds to halogen, e.g. carboxylic acids containing the group —CO—N<, e.g. carboxylic acid amides or imides; Thio analogue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8/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peptides
    • A61K38/04Peptides having up to 20 amino acids in a fully defined sequence; Derivatives thereof
    • A61K38/10Peptides having 12 to 20 amino acid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8/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peptides
    • A61K38/16Peptides having more than 20 amino acids; Gastrins; Somatostatins; Melanotropins; Derivatives thereof
    • A61K38/17Peptides having more than 20 amino acids; Gastrins; Somatostatins; Melanotropins; Derivatives thereof from animals; from human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KPEPTIDES
    • C07K14/00Peptides having more than 20 amino acids; Gastrins; Somatostatins; Melanotropins; Derivatives thereof
    • C07K14/435Peptides having more than 20 amino acids; Gastrins; Somatostatins; Melanotropins; Derivatives thereof from animals; from humans
    • C07K14/43504Peptides having more than 20 amino acids; Gastrins; Somatostatins; Melanotropins; Derivatives thereof from animals; from humans from invertebrates
    • C07K14/43563Peptides having more than 20 amino acids; Gastrins; Somatostatins; Melanotropins; Derivatives thereof from animals; from humans from invertebrates from insects
    • C07K14/43572Peptides having more than 20 amino acids; Gastrins; Somatostatins; Melanotropins; Derivatives thereof from animals; from humans from invertebrates from insects from bee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roteomics, Peptides & Aminoacids (AREA)
  • Zoolog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Gastroenterology & Hepat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ublic Health (AREA)
  • Insects & Arthropod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Immunolog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Biochemistry (AREA)
  • Biophysics (AREA)
  • Genetics & Genomic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Epidemiology (AREA)
  • Tropical Medicine & Parasitology (AREA)
  • Toxicology (AREA)
  • Agronomy & Crop Science (AREA)
  • Pest Control & Pesticides (AREA)
  • Plant Pathology (AREA)
  • Dentistry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Peptides Or Protei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곤충으로부터 분리된 항생활성을 갖는 펩타이드와 이를 코딩하는 유전자에 관한 것으로, 특히 국내 단독생활형 사냥벌인 애호리병벌의 독액으로부터 추출한 항생제 활성을 갖는 펩타이드와 이를 코딩하는 유전자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서는 애호리병벌의 독액으로부터 세균과 곰팡이를 효과적으로 억제하는 항생활성을 갖는 펩타이드가 분리되고, 그 효능이 확인된다.

Description

애호리병벌 독액으로부터 추출한 항생활성을 갖는 펩타이드와 이를 코딩하는 유전자{Antimicrobial peptides and their gene sequences from venom of Eumenes pomiformis}
본 발명은 펩타이드성 항생물질에 관한 것으로, 특히 곤충으로부터 분리된 항생활성을 갖는 펩타이드와 이를 코딩하는 유전자에 관한 것이다.
곤충을 포함한 절지동물(Arthropod)의 독액(venom)은 생리활성물질, 특히 신경독성물질의 풍부한 보고로서 지난 수년간 주목받아왔다. 전갈, 거미, 벌의 독액으로부터 분리된 수많은 독소들은 이온 채널(ion channel)의 작용기작과 수용체(receptor) 기능 규명 등의 신경기능연구의 수단이 되었고, 신경병리학적 장애의 치료를 위한 연구에도 이용되어왔다(Biochem. Biophys. Res. Commun. 250: 612-616, 1998).
국내에 서식하는 독액보유 곤충 중에서 포식성벌인 호리병벌과는 나비목 유충 등을 먹이로 하는 곤충으로, 독액을 이용해 먹이를 사냥하여 차세대를 생산하는 단독 생활형 사냥벌(solitary hunting wasp)의 일종이다. 이들은 먹이를 사냥한 후 바로 죽이지 않고 마취시켜 벌의 유충이 알에서 깨어나 먹이를 소비할 때까지 오랫동안 신선도를 유지하도록 보관한다.
항생제는 살아있는 유기물에서 추출한 것으로 다른 미생물의 생장을 억제하거나 죽이는 물질을 말한다. 1928년 플레밍(A. Fleming)이 페니실린을 처음 발견하고, 1943년 스트렙토마이신이 발견된 후 약 5천여 종 이상의 항생물질이 발견됐고, 50여 종의 항생제가 400여 종의 제제로 개발되어 임상에서 사용되고 있다. 기존 항생제는 주로 다음과 같은 기작으로 미생물의 생장을 억제하거나 사멸시킨다. 1) 세포벽의 합성을 차단(Cycloserine, Vancomycin, Bacitracin, Penicillin, Cephalosporin, Monobactam, Carbapenem , Ampicillin), 2) 세포막 구조를 파괴(Polymyxin), 3) 대사작용 억제(Trimethroprim, Sulfonamide), 4) DNA 또는 RNA 합성 억제(Actinomycin, Nalidixic acid, Ciprofloxacin, Novobiocin, Rifampin, Streptovaricin), 5) 단백질 합성 억제(Erythromycin, Chloramphenicol, Clindamycin, Lincomycin, Tetracycline, Streptinomycin, Streptomycin, Gentamicin, Kanamycin, Amikacin, Nitrofuran, Mupirocin, Puromycin). 그러나 1960년대부터 항생제 내성균이 출현하기 시작하여, 1997년에는 ‘항생제의 마지막 보루’라고 불리던 반코마이신으로도 억제할 수 없는 내성균인, 일명 ‘슈퍼박테리아’가 출현하였다. 이와 같은 기존 항생제에 내성이 생긴 미생물이 전 세계적으로 확산되고 있을 뿐만 아니라, 한 종류의 항생제에 내성이 생긴 미생물이 유사한 작용기작을 가진 다른 항생제에 교차저항성을 보이기도 한다(한국특허정보원, 2004). 특히 한국의 항생제 오남용에 따른 내성균 증가 속도는 세계적으로 유례가 없을 만큼 빠르다(한국특허정보원, 2004). 또한, 박테리아뿐만 아니라 병원성 진균에서도 항생제 내성이 확산되고 있어, 안전하고 효과적인 새로운 항진균제의 개발 역시 절실히 요구되고 있다(BioWave, Vol. 6, No. 16, 2004). 이에, 전 세계의 연구자들은 지난 10여 년간 펩타이드 형태의 항생제 개발에 많은 관심을 기울여왔다.
항균 펩타이드가 병원균에 작용하는 기작은 기존 항생제들의 작용기전과 매우 다르다. 이들은 주로 미생물의 세포표면에 결합한 후, 세포막에 포어(pore)를 형성함으로써 세포막의 정상적 투과특성을 교란하여 병원체를 빠른 속도로 죽게 한다(Pharmacol. Rev. 55: 27-55, 2003). 또한 이들은 병원체의 내독성인자로 인해 초래되는 패혈증을 방지할 수 있다고 알려져 있으며(Biochim. Biophys. Acta. 1562: 32-36, 2002), 고등동물체내에서 후천성면역 반응을 매개하는 신호분자로서도 작용한다고 보고되었다(J. Leukoc. Biol. 60: 415-422, 1996). 이러한 특성으로 인해 항균 펩타이드는 항생제 내성균을 제어할 수 있는 신규 항생제나 새로운 생체면역활성인자로 이용할 수 있을 것으로 주목받고 있다. 이에 그 동안 기존 항생제를 대체할 수 있는 항생물질을 찾기 위해 다양한 생물체에서 펩타이드성 항생물질이 분리되어 시험되었다.
포식성벌인 호리병벌과는 독액을 이용해 먹이를 사냥하여 차세대를 생산하는 단독 생활형 사냥벌(solitary hunting wasp)의 일종으로, 먹이를 사냥한 후 바로 죽이지 않고 마취시켜 벌의 유충이 알에서 깨어나 먹이를 소비할 때까지 오랫동안 신선도를 유지하도록 보관한다. 본 발명자들은 이점에 착안하여, 단독 생활형 사냥벌의 독액과 분비물에는 기존 연구를 통해 밝혀진 신경독성분과 더불어 먹이가 신선하게 보존될 수 있도록 하는 항균성 펩타이드 등 많은 생리활성물질이 포함되어 있을 것으로 생각하고, 국내 단독 생활형 사냥벌의 독액으로부터 항생활성을 가진 펩타이드를 분리하고 그 특성을 규명함으로써 본 발명을 완성하게 되었다.
본 발명은 국내 단독 생활형 사냥벌인 애호리병벌의 독액으로부터 추출한 항생활성을 갖는 펩타이드 및 이를 코딩하는 유전자와 이들의 용도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는 국내 단독생활형 사냥벌인 애호리병벌의 독액으로부터 세균과 곰팡이를 효과적으로 억제하는, 항생활성을 갖는 펩타이드가 분리되고 그 효능이 확인된다. 이러한 시험 결과를 토대로 본 발명에서는 서열목록의 서열번호 1, 3, 5에 기재된 펩타이드 및 이를 코딩하는 유전자가 제공된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서열번호 1, 3, 5에 기재된 프리펩타이드(prepeptide)에서 번역후변형(post-translational modification)에 의해 생산된 성숙 펩타이드(mature peptide) 및 이를 코딩하는 유전자가 제공된다. 이 성숙 펩타이드는 서열번호 2, 4, 6에 기재되어 있다.
본 발명의 항생활성을 갖는 펩타이드 3종은 14개 또는 15개의 아미노산으로 이루어진 독액 성분으로, 서열번호 2번을 제외하고는 C-말단(terminal)의 류신(Leucine) 잔기가 아미드화(amidation) 되어 있으며, 2차 구조는 양극성을 가진 α-나선의 형태를 가진다. 본 발명에서 분리한 애호리병벌과 애호리병벌의 독액 펩타이드는 기보고된 펩타이드성 항생물질들과 유사한 구조를 가졌지만, 아미노산의 서열은 기존의 펩타이드들과 상이하다. 본 펩타이드들은 그람양성 및 그람음성의 박테리아에 대한 항박테리아 활성과 곰팡이에 대한 항진균활성을 모두 보인다.
또, 실시예를 통해 확인되는 바와 같이, 본 발명에서 밝힌 아미노산 서열에 따라 인공합성한 펩타이드가 항생활성을 나타내므로, 벌 독액에서 직접 추출분리하지 않고도 대량 인공합성을 통해 본 발명의 항생활성을 갖는 펩타이드를 생산할 수 있어 확보가 용이하다.
본 발명에서 제시하고 있는 펩타이드는 실시예를 통해 확인되는 바와 같이 시험에 사용한 세균과 곰팡이를 효과적으로 억제하였다. 특히, 본 발명의 항균성 펩타이드는 애호리병벌의 독액으로부터 분리한 것으로, 이는 애호리병벌 독액 성분의 효능을 세계 최초로 확인한 것이기도 하다. 본 발명의 항균성 펩타이드는 사람, 동물, 식물을 대상으로 하는 새로운 항균성 물질로 이용될 수 있다.
도 1은 애호리병벌의 독액 펩타이드 EpVP1의 전장 염기서열과 아미노산서열이며, 회색배경처리한 아미노산이 성숙 펩타이드(mature peptide)이다.
도 2는 애호리병벌의 독액 펩타이드 EpVP2a의 전장 염기서열과 아미노산서열이며, 회색배경처리한 아미노산이 성숙 펩타이드(mature peptide)이다.
도 3은 애호리병벌의 독액 펩타이드 EpVP2b의 전장 염기서열과 아미노산서열이며, 회색배경처리한 아미노산이 성숙 펩타이드(mature peptide)이다.
도 4는 애호리병벌의 독액 펩타이드 3종과 베스파 바살리스(Vespa basalis)의 프리프로마스토파란(prepromastoparan) B 아미노산 서열을 비교한 것이다.
도 5는 프로테안 프로그램을 이용한 애호리병벌 독액 펩타이드 3종의 나선구조 예상도이다.
도 6은 EpVP1, EpVP2a, EpVP2b의 항생활성 검사 결과이다. 왼쪽 사진은 아가 플레이트에 제작한 탑 아가에 인공합성 펩타이드를 얹어 배양한 것이다. 오른쪽 표는 펩타이드 3종의 최소저해농도(minimal inhibitory concentration)이다.
이하 구체적인 실시예를 통해 본 발명을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이들 실시예는 오로지 본 발명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범위가 이들 실시예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벌 독선과 독샘 적출
국내 경상남도 지역 등에서 7-9월에 걸쳐 애호리병벌을 채집하였다. 벌은 암컷만이 독액을 보유하고 있으므로 암컷을 선별하여 독선과 독샘(독선/독샘)을 적출하였다. 벌을 이산화탄소로 마취시켜 표본 제작용 핀으로 스티로폼 위에 고정한 후, 해부용 핀셋으로 복부 말단의 독침을 당겨 독선/독샘이 내장과 함께 끌려 나오도록 하였다. 시료는 total RNA 추출에 이용하였다.
벌 독선 및 독샘 특이적 EST 라이브러리 구축
TRI 시약 (MRC, Cincinnati, OH)을 이용하여 애호리병벌 독선/독샘과 내장 total RNA를 추출하고 Super SMART PCR cDNA synthesis kit (Clontech, Palo Alto, CA)를 이용하여 double-stranded cDNA(ds cDNA)를 합성하였다. 독선/독샘의 ds cDNA를 'tester'로, 내장의 ds cDNA를 'driver'로 하여 PCR-Select cDNA Subtraction kit (Clontech, Palo Alto, CA)의 실험방법대로 애호리병벌 독선/독샘 특이적 EST(expressed sequence tag) 라이브러리를 구축하였다.
벌 독액 아미노산 및 염기서열 분석
애호리병벌의 근연종인 줄무늬감탕벌의 독액 펩타이드인 OdVP1의 유전자 아미노산 서열과 유사한 유전자를 애호리병벌 독선/독샘 특이적 EST 라이브러리에서 검색하여 다양한 독액 펩타이드의 염기서열을 얻었다(tBLASTn 검색 서비스 이용). 이 중, 항생활성을 보이는 3종의 펩타이드 EpVP1, EpVP2a, EpVP2b의 전장 염기서열 및 아미노산 서열은 도 1, 2, 3과 같다. 본 전장 염기서열과 아미노산 서열은 NCBI의 GenBank에 등록하였다(GU136231, GU136232, GU136233).
독액 펩타이드의 구조 분석
본 발명에서 분리한 독액 펩타이드 3종의 염기서열을 BLAST 분석한 결과, 말벌의 일종인 베스파 바살리스(Vespa basalis)로부터 분리된 마스토파란 B(mastoparan B; Insect. Mol. Biol. 16: 231-237, 2007)의 유전자구조와 유사성을 가졌다(도 4). V. 바살리스(V. basalis)의 마스토파란을 포함한 생체내의 많은 펩타이드성 물질(호르몬, 신경전달물질, 독액 펩타이드 등)은 프리프로펩타이드(prepropeptide)가 생산된 후, 생체 내에서의 가공과정을 거쳐 성숙 펩타이드(mature peptide)의 형태를 갖추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V. 바살리스 마스토파란의 프리펩타이드는 시그널 펩타이드(signal peptide), 프로서열(prosequence), 성숙 펩타이드(mature peptide)와 C-말단 글리신(Glycine) 잔기로 구성되어 있으며, 번역후변형(post-translational modification) 과정에서 시그널 펩타이드, 프로서열이 분리되고 C-말단 글리신이 떨어져 나가면서 류신(Leucine) 잔기가 아미드화(amidation)된다(Insect. Mol. Biol. 16: 231-237, 2007). 즉, 본 발명에서 분리한 독액 펩타이드 중 EpVP2a와 EpVP2b의 최종 형태는 C-말단 류신이 아미드화 되어 있는 14개의 아미노산으로 이루어진 펩타이드이고, EpVP1은 C-말단 아미드화 없이 15개의 아미노산으로 이루어진 펩타이드이다. 펩타이드의 구조를 예측해주는 소프트웨어 프로테안(Protean; Lasergene, Madison, WI)으로 분석한 결과, EpVP1, EpVP2a, EpVP2b는 소수성과 친수성 아미노산이 각기 반대편으로 정렬되어 양극성(amphipathic) α-나선 구조를 이루는 것으로 생각된다(도 5).
독액 펩타이드의 항균활성 분석
1. 펩타이드 인공합성
애호리병벌 독액에서 분리한 펩타이드를 EpVP1( E umenes p omiformis venom peptide 1), EpVP2a, EpVP2b라고 명명하였으며, 본 펩타이드의 활성 시험을 위해 (주)펩트론에 의뢰하여 EpVP1과 C-말단이 아미드화 된 EpVP2a, EpVP2b 펩타이드(C-terminal amidated peptide)를 95% 이상의 순도로 인공합성하였다.
2. 실험 대상 미생물
독액 펩타이드 EpVP1, EpVP2a, EpVP2b의 미생물에 대한 항생활성 검사를 위해 그람음성 세균인 대장균(Escherichia coli ATCC 11775), 그람양성 세균인 포도상구균(Staphylococcus aureus ATCC 12600), 효모형 곰팡이인 칸디다균(Candida albicans ATCC 10231)을 한국미생물보존센터(KCCM)에서 분양받았다. 균사형 곰팡이인 딸기잿빛곰팡이(Botrytis cinerea)는 국립산림과학원 남부산림연구소에서 분양받아 실험실에서 계대중인 것을 사용하였다.
3. 항생활성 검사
본 발명에서 분리한 펩타이드가 세균과 곰팡이에 항생활성을 갖는지를 시험하였다. LB(LURIA-BERTANI) 아가 플레이트(agar plate)에서 배양한 시험대상 세균의 콜로니 하나를 400 ㎕의 LB 브로스(broth)에 현탁한 후, 37℃의 쉐이킹 인큐베이터(shaking incubator)에서 2시간동안 배양하여 OD600 값이 약 0.1이 되도록 하였다. 아가(agar)가 0.7% 함유된 LB 브로스 50 ㎖를 멸균하고 약 40℃ 정도로 식힌 후, 위의 미생물 배양액 500 ㎕를 혼합하고, 이 중 5 ㎖를 LB 아가 플레이트 위에 부어 탑 아가(Top agar)를 만들었다. 칸디다균 실험에서는 PDA(Potato-dextrose agar) 플레이트와 브로스(PDB)를 사용하여 탑 아가를 제작하였다. 탑 아가가 완전히 굳은 후, 인공합성 펩타이드를 탑 아가 위에 놓았다. 항생제들이 배지에 완전히 흡수된 후, 세균은 37℃ 인큐베이터에서 16시간, 칸디다균은 25℃ 인큐베이터에서 24시간동안 배양하였다. 딸기잿빛곰팡이는 일주일간 PDA 플레이트에서 배양한 곰팡이 균사 위에 합성 펩타이드를 얹어 25℃ 인큐베이터에서 24시간동안 배양한 후 균사의 용해 여부를 관찰하였다. 결과는 도 6의 왼쪽 사진과 같다. EpVP1, EpVP2a, EpVP2b 모두 대장균, 포도상구균, 칸디다균, 딸기잿빛곰팡이에 대해 항생활성을 나타내었다.
본 발명에서 제시한 펩타이드가 세균과 곰팡이의 생장을 저해하기 위한 최소 저해농도(minimal inhibitory concentration, MIC)를 확인하였다. 대장균과 포도상구균은 95 ㎕의 LB 브로스에, 칸디다균은 95 ㎕의 PDB에 균을 현탁하여 OD600 값이 0.001이 되도록 한 후, 배양액 내 펩타이드의 최종농도가 0, 10, 25, 50, 100, 200 μM 이 되도록 혼합하여 세균은 37℃, 곰팡이는 25℃로 설정된 쉐이킹 인큐베이터에서 배양하였다. 세균은 16시간, 곰팡이는 24시간 배양 후, 각 배양액의 미생물 증식정도를 육안관찰하여 미생물의 증식을 억제하는 최소 펩타이드 농도를 결정하였다. 결과는 도 6의 표와 같다. EpVP2b의 대장균에 대한 MIC(200 μM)를 제외한 세 펩타이드의 모든 MIC 값은 100 μM 이하로 결정되었다. 특히 3종의 펩타이드 모두 딸기잿빛곰팡이에 가장 낮은 MIC 값을 보여 높은 항진균활성을 나타내었다.
본 발명에서 분리한 애호리병벌의 독액 펩타이드는 세균뿐만 아니라 동물기생성 및 식물기생성 곰팡이에도 강력한 항균 및 항진균 활성을 보여 신규 항생물질로 이용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분리한 애호리병벌의 독액 펩타이드는 기보고된 펩타이드성 항생물질들과 유사한 구조를 가졌지만, 아미노산의 서열은 기존의 펩타이드들과 상이하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 제시한 펩타이드 서열과 기보고된 펩타이드성 항생물질의 아미노산 서열을 비교 분석함으로써 신규 항생물질을 개발하기 위한 정보로도 이용할 수 있다.
<110> SNU R&DB FOUNDATION <120> Antimicrobial peptides and their gene sequences from venom of Eumenes pomiformis <160> 6 <170> KopatentIn 1.71 <210> 1 <211> 63 <212> PRT <213> Eumenes pomiformis <400> 1 Met Arg Gly Thr Ser Phe Ile Leu Phe Ala Val Val Val Ile Leu Gly 1 5 10 15 Phe Leu His Ala Asn Ala Glu Pro Leu Ala Asn Pro Ala Pro Leu Ala 20 25 30 Asn Pro Asp Pro Leu Ala Asn Ala Asp Pro Leu Ala Asp Pro Glu Ala 35 40 45 Ile Asn Leu Lys Gly Leu Ile Lys Lys Val Ala Ser Leu Leu Thr 50 55 60 <210> 2 <211> 15 <212> PRT <213> Eumenes pomiformis <400> 2 Ile Asn Leu Lys Gly Leu Ile Lys Lys Val Ala Ser Leu Leu Thr 1 5 10 15 <210> 3 <211> 63 <212> PRT <213> Eumenes pomiformis <400> 3 Met Arg Gly Thr Ser Phe Ile Leu Phe Ala Val Val Val Ile Leu Gly 1 5 10 15 Phe Leu Asn Ala Asn Ala Glu Pro Leu Ala Asn Pro Ala Pro Leu Ala 20 25 30 Asn Pro Asp Pro Leu Ala Asn Pro Asp Pro Leu Ala Asn Pro Glu Ala 35 40 45 Phe Asp Leu Leu Gly Leu Val Lys Lys Val Ala Ser Ala Leu Gly 50 55 60 <210> 4 <211> 14 <212> PRT <213> Eumenes pomiformis <400> 4 Phe Asp Leu Leu Gly Leu Val Lys Lys Val Ala Ser Ala Leu 1 5 10 <210> 5 <211> 63 <212> PRT <213> Eumenes pomiformis <400> 5 Met Arg Gly Thr Ser Phe Ile Leu Phe Ala Val Val Val Ile Leu Gly 1 5 10 15 Phe Leu His Gly Asn Ala Glu Pro Leu Ala Asn Pro Glu Pro Ser Ala 20 25 30 Asn Pro Asp Pro Leu Ala Asn Pro Asp Pro Leu Ala Asn Pro Glu Ala 35 40 45 Phe Asp Leu Leu Gly Leu Val Lys Ser Val Val Ser Ala Leu Gly 50 55 60 <210> 6 <211> 14 <212> PRT <213> Eumenes pomiformis <400> 6 Phe Asp Leu Leu Gly Leu Val Lys Ser Val Val Ser Ala Leu 1 5 10

Claims (13)

  1. 애호리병벌(Eumenes pomiformis) 독액으로부터 유래된 아미노산 서열을 갖고, 항박테리아 활성과 항진균활성을 갖는 항균성 펩타이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펩타이드는 양극성을 가진 α-나선 형태의 구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펩타이드.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서열번호 2에 기재된 아미노산 서열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항균성 펩타이드.
  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서열번호 4에 기재된 아미노산 서열에서 C-말단 류신 잔기가 아미드화되어 FDLLGLVKKVASAL-NH2로 표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항균성 펩타이드.
  5.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서열번호 6에 기재된 아미노산 서열에서 C-말단 류신 잔기가 아미드화되어 FDLLGLVKSVVSAL-NH2로 표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항균성 펩타이드.
  6. 서열번호 2에 기재된 펩타이드를 코딩하는 유전자.
  7. 서열번호 4에 기재된 아미노산 서열에서 C-말단 류신 잔기가 아미드화되어 FDLLGLVKKVASAL-NH2로 표시되는 펩타이드를 코딩하는 유전자.
  8. 서열번호 6에 기재된 아미노산 서열에서 C-말단 류신 잔기가 아미드화되어 FDLLGLVKSVVSAL-NH2로 표시되는 펩타이드를 코딩하는 유전자.
  9. 애호리병벌( Eumenes pomiformis) 독액으로부터 유래된 아미노산 서열을 갖고 항박테리아 활성과 항진균활성을 갖는 항균성 펩타이드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균제 조성물.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펩타이드는 양극성을 가진 α-나선 형태의 구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항균제 조성물.
  11. 제9항 또는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펩타이드는 서열번호 2에 기재된 아미노산 서열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항균제 조성물.
  12. 제9항 또는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펩타이드는 서열번호 4에 기재된 아미노산 서열에서 C-말단 류신 잔기가 아미드화되어 FDLLGLVKKVASAL-NH2로 표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항균제 조성물.
  13. 제9항 또는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펩타이드는 서열번호 6에 기재된 아미노산 서열에서 C-말단 류신 잔기가 아미드화되어 FDLLGLVKSVVSAL-NH2로 표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항균제 조성물.
KR1020100123546A 2010-12-06 2010-12-06 애호리병벌 독액으로부터 추출한 항생활성을 갖는 펩타이드와 이를 코딩하는 유전자 KR20120062328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23546A KR20120062328A (ko) 2010-12-06 2010-12-06 애호리병벌 독액으로부터 추출한 항생활성을 갖는 펩타이드와 이를 코딩하는 유전자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23546A KR20120062328A (ko) 2010-12-06 2010-12-06 애호리병벌 독액으로부터 추출한 항생활성을 갖는 펩타이드와 이를 코딩하는 유전자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62328A true KR20120062328A (ko) 2012-06-14

Family

ID=4668330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123546A KR20120062328A (ko) 2010-12-06 2010-12-06 애호리병벌 독액으로부터 추출한 항생활성을 갖는 펩타이드와 이를 코딩하는 유전자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20062328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108963A (ko) 2017-03-24 2018-10-05 대한민국(환경부 국립생물자원관장) 항암 활성을 갖는 뱀허물쌍살벌 유래 펩타이드 및 이의 용도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108963A (ko) 2017-03-24 2018-10-05 대한민국(환경부 국립생물자원관장) 항암 활성을 갖는 뱀허물쌍살벌 유래 펩타이드 및 이의 용도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ojda Immunity of the greater wax moth Galleria mellonella
Müller et al. The black soldier fly, Hermetia illucens–a promising source for sustainable production of proteins, lipids and bioactive substances
Lorenzini et al. Acanthoscurrin: a novel glycine-rich antimicrobial peptide constitutively expressed in the hemocytes of the spider Acanthoscurria gomesiana
Riciluca et al. Rondonin an antifungal peptide from spider (Acanthoscurria rondoniae) haemolymph
CN111148434B (zh) 用于制造食物和饲料的方法和相关组合物
Hou et al. A galectin from shrimp Litopenaeus vannamei is involved in immune recognition and bacteria phagocytosis
Balasubramanian et al. Antimicrobial properties of skin mucus from four freshwater cultivable fishes (Catla catla, Hypophthalmichthys molitrix, Labeo rohita and Ctenopharyngodon idella)
CN110869038A (zh) 用于控制媒介传播的疾病的组合物和相关方法
Guo et al. Identification and characterization of a novel antimicrobial protein from the housefly Musca domestica
Schillaci et al. Fragments of β‐thymosin from the sea urchin Paracentrotus lividus as potential antimicrobial peptides against staphylococcal biofilms
Yang et al. Antimicrobial activities of a proline-rich proprotein from Spodoptera litura
Liang et al. Isolation and identification of a novel inducible antibacterial peptide from the skin mucus of Japanese eel, Anguilla japonica
Cuéllar-Cruz Synthesis of inorganic and organic crystals mediated by proteins in different biological organisms. A mechanism of biomineralization conserved throughout evolution in all living species
Otho et al. Silkworm ferritin 1 heavy chain homolog is involved in defense against bacterial infection through regulation of haemolymph iron homeostasis
Arrieta et al. Antimicrobial activity in the egg wax of the African cattle tick Amblyomma hebraeum (Acari: Ixodidae)
CN111148523A (zh) 用于控制媒介传播的疾病的组合物和相关方法
Fei et al. Identification of antibacterial activity of LEAP2 from Antarctic icefish Chionodraco hamatus
Yamauchi Two novel insect defensins from larvae of the cupreous chafer, Anomala cuprea: purification, amino acid sequences and antibacterial activity
KR20120062328A (ko) 애호리병벌 독액으로부터 추출한 항생활성을 갖는 펩타이드와 이를 코딩하는 유전자
Liu et al. Identification and analysis of two lebocins in the oriental armyworm Mythimna separata
Sun et al. Gene expression patterns in response to pathogen challenge and interaction with hemolin suggest that the Yippee protein of Antheraea pernyi is involved in the innate immune response
KR20180035011A (ko) 항균 물질을 생산하는 동애등에 유충의 제조방법 및 상기 유충을 포함하는 항생제 조성물
Abiona et al. Comparative evaluation of inhibitory activity of Epiphgram from albino and normal skinned giant African land snail (Archachatina marginata) against selected bacteria isolates
KR101006321B1 (ko) 줄무늬감탕벌 독액으로부터 추출한 항생제 활성을 갖는 펩타이드와 이를 코딩하는 유전자
Ampasala et al. Cloning and expression of a putative transferrin cDNA of the spruce budworm, Choristoneura fumiferana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