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062260A - 전기 자동차의 배터리팩 지지 구조 - Google Patents

전기 자동차의 배터리팩 지지 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062260A
KR20120062260A KR1020100123449A KR20100123449A KR20120062260A KR 20120062260 A KR20120062260 A KR 20120062260A KR 1020100123449 A KR1020100123449 A KR 1020100123449A KR 20100123449 A KR20100123449 A KR 20100123449A KR 20120062260 A KR20120062260 A KR 2012006226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rizontal
battery pack
support structure
electric vehicle
fram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12344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637266B1 (ko
Inventor
황광현
Original Assignee
현대자동차주식회사
기아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자동차주식회사, 기아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0012344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37266B1/ko
Publication of KR2012006226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6226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3726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3726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21/00Understructures, i.e. chassis frame on which a vehicle body may be mount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1/00Arrangement or mounting of electrical propulsion units
    • B60K1/04Arrangement or mounting of electrical propulsion units of the electric storage means for propuls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50/00Electric propulsion with power supplied within the vehicle
    • B60L50/50Electric propulsion with power supplied within the vehicle using propulsion power supplied by batteries or fuel cel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25/00Superstructure or monocoque structure sub-units; Parts or details thereof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2D25/20Floors or bottom sub-unit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10/00Road transport of goods or passengers
    • Y02T10/60Other road transportation technologies with climate change mitigation effect
    • Y02T10/70Energy storage systems for electromobility, e.g. batteri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ustainable Development (AREA)
  • Sustainable Energy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Body Structure For Vehicles (AREA)
  • 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For Vehicles (AREA)
  • Battery Mounting, Suspend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전기 자동차의 배터리팩 지지 구조는, 차체 하부의 종,횡 프레임에 장착되며 배터리팩을 지지하기 위한 것으로서, 상기 종,횡 프레임에 대각선 방향으로 연결되는 한 쌍의 대각선부재와, 상기 대각선부재를 연결하는 제1 횡부재와, 상기 횡 프레임을 연결하는 한 쌍의 제2 횡부재와, 상기 제2 횡부재들의 단부를 연결하는 제1 종부재와, 상기 제2 횡부재와 평행하며 상기 횡 프레임을 연결하는 제3 횡부재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전기 자동차의 배터리팩 지지 구조 {SUPPORT STRUCTURE FOR BATTERY PACK FOR ELECTRIC VEHICLE}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는 전기 자동차의 배터리팩 지지 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전기 자동차의 배터리 팩을 지지하는 차체 하부의 지지 구조물을 개선한 전기 자동차의 배터리팩 지지 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전기 자동차에는 전기 모터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배터리 팩을 차체의 하부에 장착하고 있다.
이러한 배터리 팩은 차체 하부에 구성된 별도의 지지 구조물에 지지되는 바, 종래 기술에 따른 전기 자동차의 배터리팩 지지 구조는 도 2에서와 같이 차체 하부에 횡 방향을 따라 이격되게 배치되는 한 쌍의 횡 프레임(111)과, 이들 횡 프레임(111)을 연결하는 종 프레임(121)에 배터리 팩(1)을 지지하기 위한 상기 지지 구조물이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지지 구조물은 횡 프레임(111)을 연결하는 제1 횡부재(131)와, 종 프레임(121)과 제1 횡부재(131)를 연결하는 한 쌍의 제1 종부재(141)와, 횡 프레임(111)을 연결하는 한 쌍의 제2 횡부재(151)와, 이들 제2 횡부재(151)의 양단부를 연결하는 제2 종부재(161)와, 제2 횡부재(151)와 별개로 횡 프레임(111)을 연결하는 한 쌍의 제3 횡부재(171)와, 이들 제3 횡부재(171)의 양단부를 연결하는 제3 종부재(181)를 구비하여 이루어진다.
따라서 종래 기술에 따른 배터리팩 지지 구조는 상기한 종,횡부재들을 통하여 차체 하부의 횡 프레임(111)에 10점을 고정시키고, 종 프레임(121)에 2점을 고정시키는 구조로서 이루어진다.
그런데, 종래 기술에서는 단순히 종횡부재를 통해 배터리팩(1)을 지지하므로, 전체 구조가 복잡해지고, 배터리팩(1)의 지지 강성이 낮으며, 차체 강성의 기여도가 작다는 문제점을 내포하고 있다.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들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하여 창출된 것으로서,배터리 팩의 지지 강성 및 차체의 강성을 개선할 수 있도록 한 전기 자동차의 배터리팩 지지 구조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전기 자동차의 배터리팩 지지 구조는, 차체 하부의 종,횡 프레임에 장착되며 배터리팩을 지지하기 위한 것으로서, 상기 종,횡 프레임에 대각선 방향으로 연결되는 한 쌍의 대각선부재와, 상기 대각선부재를 연결하는 제1 횡부재와, 상기 횡 프레임을 연결하는 한 쌍의 제2 횡부재와, 상기 제2 횡부재들의 단부를 연결하는 제1 종부재와, 상기 제2 횡부재와 평행하며 상기 횡 프레임을 연결하는 제3 횡부재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전기 자동차의 배터리팩 지지 구조에 있어서, 상기 제2 및 제3 횡부재는 한 쌍의 제2 종부재를 통해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전기 자동차의 배터리팩 지지 구조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대각선부재는 상기 종,횡 프레임에 볼트 결합되고, 상기 제1 횡부재는 상기 대각선부재에 용접 접합될 수 있다.
상기 전기 자동차의 배터리팩 지지 구조에 있어서, 상기 대각선부재와 제1 횡부재가 에이(A)자 형태로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전기 자동차의 배터리팩 지지 구조에 있어서, 상기 제2 및 제3 횡부재는 상기 횡 프레임에 볼트 결합되고, 상기 제1 종부재는 상기 제2 횡부재의 단부에 볼트 결합되며, 제2 종부재는 상기 제2 및 제3 횡부재에 용접 접합될 수 있다.
상기 전기 자동차의 배터리팩 지지 구조에 있어서, 상기 횡 프레임에는 8점으로 고정되고, 상기 종 프레임에는 2점으로 고정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전기 자동차의 배터리팩 지지 구조에 의하면, 종래 기술과 달리 횡 프레임에 8점으로 고정되고, 종 프레임에 2점으로 고정될 수 있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서는 대각선부재와 제1 횡부재를 통해 차체 하부의 전방부에 에이(A)자 형의 지지 구조체를 가지며, 후방부에서 차체 체결 포인트의 2점을 줄일 수 있으며, 횡방향 구조를 삭제함과 동시에 제2 종부재를 통해 제2 및 제3 횡부재를 연결하므로, 배터리 팩의 지지 강성을 증대시킬 수 있고, 차체의 종굽힘 강성을 증대시킬 수 있다.
이 도면들은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를 설명하는데 참조하기 위함이므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첨부한 도면에 한정해서 해석하여서는 아니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전기 자동차의 배터리 팩 지지 구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종래 기술에 따른 전기 자동차의 배터리 팩 지지 구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 부호를 붙이도록 한다.
또한, 도면에서 나타난 각 구성의 크기 및 두께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임의로 나타내었으므로, 본 발명이 반드시 도면에 도시된 바에 한정되지 않으며, 여러 부분 및 영역을 명확하게 표현하기 위하여 두께를 확대하여 나타내었다.
도 1은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전기 자동차의 배터리 팩 지지 구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전기 자동차의 배터리팩 지지 구조(100)는 전기 자동차에서 전기 모터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배터리 팩(1)을 차체의 하부에 장착하기 위한 것이다.
여기서, 상기 배터리 팩(1)은 뒤에서 더욱 설명된 지지 구조물에 지지되는 바, 이러한 지지 구조물은 배터리 팩(1)의 중량을 지지하는 동시에 차체의 강성을 유지하는 구조물로서 사용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의한 상기 전기 자동차의 배터리팩 지지 구조(100)는 배터리 팩(1)의 지지 경로를 적절한 패턴으로 최적화하여 배터리 팩(1)의 중량에 의한 지지 강성을 증대시킴과 동시에 차량의 강성감을 개선할 수 있는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전기 자동차의 배터리팩 지지 구조(100)는 기본적으로 차체 하부의 횡 프레임(11)과 종 프레임(21)에 장착되며 배터리 팩(1)을 지지하는 지지 구조물을 구성한다.
이 경우, 상기 횡 프레임(11)은 차체 하부에 한 쌍으로서 횡 방향을 따라 이격되게 구성되며, 종 프레임(21)은 횡 프레임(11)을 종 방향으로 연결하고 있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지지 구조물은 종,횡 프레임(11, 21)에 대각선 방향으로 연결되는 한 쌍의 대각선부재(31)와, 대각선부재(31)를 연결하는 제1 횡부재(41)와, 횡 프레임(11)을 연결하는 한 쌍의 제2 횡부재(51)와, 제2 횡부재(51)들의 단부를 연결하는 제1 종부재(61)와, 제2 횡부재(51)와 평행하며 횡 프레임(11)을 연결하는 제3 횡부재(71)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그리고, 본 실시예에서는 제2 및 제3 횡부재(51, 71)을 연결하는 한 쌍의 제2 종부재(81)를 더 포함하고 있다.
여기서, 상기 한 쌍의 대각선부재(31)는 종,횡 프레임(11, 21)에 볼트 결합되고, 제1 횡부재(41)는 대각선부재(31)에 용접 접합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대각선부재(31)와 제1 횡부재(41)는 차체 하부의 전방에서 대략 에이(A)자 형태로서 이루어진다.
한편, 상기 제2 및 제3 횡부재(51, 71)는 횡 프레임(11)에 볼트 결합되고, 제1 종부재(61)는 제2 횡부재(51)의 단부에 볼트 결합되며, 제2 종부재(81)는 제2 및 제3 횡부재(51, 71)에 용접 접합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전기 자동차의 배터리팩 지지 구조(100)는 상기한 지지 구조물을 통해 종래 기술과 달리 횡 프레임(11)에 8점으로 고정되고, 종 프레임(21)에 2점으로 고정될 수 있다.
이로써 본 실시예에서는 종래 기술과 달리 차체 하부의 전방부에 대각선부재(31)와 제1 횡부재(41)를 통해 에이(A)자 형의 지지 구조체를 가지며, 후방부에서 차체 체결 포인트의 2점을 줄일 수 있으며, 횡방향 구조를 삭제함과 동시에 제2 종부재(81)를 통해 제2 및 제3 횡부재(51, 71)를 연결하므로, 배터리 팩(1)의 지지 강성을 증대시킬 수 있고, 차체의 종굽힘 강성을 증대시킬 수 있다.
이상을 통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특허청구범위와 발명의 상세한 설명 및 첨부한 도면의 범위 안에서 여러 가지로 변형하여 실시하는 것이 가능하고 이 또한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하는 것은 당연하다.
11... 횡 프레임 21... 종 프레임
31... 대각선 부재 41... 제1 횡부재
51... 제2 횡부재 61... 제1 종부재
71... 제3 횡부재 81... 제2 종부재

Claims (6)

  1. 차체 하부의 종,횡 프레임에 장착되며 배터리팩을 지지하는 전기 자동차의 배터리팩 지지 구조에 있어서,
    상기 종,횡 프레임에 대각선 방향으로 연결되는 한 쌍의 대각선부재와, 상기 대각선부재를 연결하는 제1 횡부재와, 상기 횡 프레임을 연결하는 한 쌍의 제2 횡부재와, 상기 제2 횡부재들의 단부를 연결하는 제1 종부재와, 상기 제2 횡부재와 평행하며 상기 횡 프레임을 연결하는 제3 횡부재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자동차의 배터리팩 지지 구조.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및 제3 횡부재는 한 쌍의 제2 종부재를 통해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자동차의 배터리팩 지지 구조.
  3.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대각선부재는 상기 종,횡 프레임에 볼트 결합되고, 상기 제1 횡부재는 상기 대각선부재에 용접 접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자동차의 배터리팩 지지 구조.
  4. 제3 항에 있어서,
    상기 대각선부재와 제1 횡부재가 에이(A)자 형태로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자동차의 배터리팩 지지 구조.
  5. 제3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및 제3 횡부재는 상기 횡 프레임에 볼트 결합되고, 상기 제1 종부재는 상기 제2 횡부재의 단부에 볼트 결합되며, 제2 종부재는 상기 제2 및 제3 횡부재에 용접 접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자동차의 배터리팩 지지 구조.
  6. 제5 항에 있어서,
    상기 횡 프레임에는 8점으로 고정되고, 상기 종 프레임에는 2점으로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자동차의 배터리팩 지지 구조.
KR1020100123449A 2010-12-06 2010-12-06 전기 자동차의 배터리팩 지지 구조 KR10163726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23449A KR101637266B1 (ko) 2010-12-06 2010-12-06 전기 자동차의 배터리팩 지지 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23449A KR101637266B1 (ko) 2010-12-06 2010-12-06 전기 자동차의 배터리팩 지지 구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62260A true KR20120062260A (ko) 2012-06-14
KR101637266B1 KR101637266B1 (ko) 2016-07-07

Family

ID=4668325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123449A KR101637266B1 (ko) 2010-12-06 2010-12-06 전기 자동차의 배터리팩 지지 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37266B1 (ko)

Cited By (1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78681B1 (ko) * 2017-07-28 2018-08-16 주식회사 샘코 무인항공기 배터리팩 장착구조
JP2018187974A (ja) * 2017-04-28 2018-11-29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車両下部構造
KR20220036243A (ko) 2020-09-15 2022-03-22 현대자동차주식회사 배터리 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배터리 팩
KR20220040869A (ko) 2020-09-24 2022-03-31 현대자동차주식회사 배터리 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배터리 팩
KR20220041470A (ko) 2020-09-25 2022-04-01 현대자동차주식회사 배터리 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배터리 팩
KR20220045353A (ko) 2020-10-05 2022-04-12 현대자동차주식회사 배터리 모듈
KR20220052181A (ko) 2020-10-20 2022-04-27 현대자동차주식회사 배터리 팩
KR20220052183A (ko) 2020-10-20 2022-04-27 현대자동차주식회사 배터리 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배터리 팩
KR20220052182A (ko) 2020-10-20 2022-04-27 현대자동차주식회사 배터리 모듈의 제조 방법
KR20220052184A (ko) 2020-10-20 2022-04-27 현대자동차주식회사 배터리 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배터리 팩
KR20220082590A (ko) 2020-12-10 2022-06-17 현대자동차주식회사 배터리 팩 제조 방법
KR20220085396A (ko) 2020-12-15 2022-06-22 현대자동차주식회사 배터리 팩 및 이 배터리 팩의 제조 방법
KR20220126131A (ko) 2021-03-08 2022-09-15 현대자동차주식회사 배터리 모듈 및 이의 제조 방법
US11485214B2 (en) 2020-11-02 2022-11-01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Frame-mounted battery enclosure
KR20230001350A (ko) 2021-06-28 2023-01-04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코인 셀을 포함하는 배터리 모듈 및 그 제조 방법
KR20230003889A (ko) 2021-06-30 2023-01-06 현대자동차주식회사 배터리 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배터리 팩
US11745573B2 (en) 2020-10-22 2023-09-05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Integrated frame and battery pack structure for electric vehicles
US12009536B2 (en) 2020-10-20 2024-06-11 Hyundai Motor Company Battery module and battery pack including same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548361B2 (en) 2020-02-12 2023-01-10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Support structures for vehicle frame mounted battery packs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108956A (ja) * 1993-10-12 1995-04-25 Nissan Motor Co Ltd 電気自動車のバッテリフレーム取付部構造
JP2003212158A (ja) * 2002-01-23 2003-07-30 Honda Motor Co Ltd 車両用フロア構造
JP2007106320A (ja) * 2005-10-14 2007-04-26 Suzuki Motor Corp 車両のフレーム構造
JP2008285149A (ja) * 2007-05-18 2008-11-27 Dr Ing H C F Porsche Ag 車両用バッテリーの保護筐体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108956A (ja) * 1993-10-12 1995-04-25 Nissan Motor Co Ltd 電気自動車のバッテリフレーム取付部構造
JP2003212158A (ja) * 2002-01-23 2003-07-30 Honda Motor Co Ltd 車両用フロア構造
JP2007106320A (ja) * 2005-10-14 2007-04-26 Suzuki Motor Corp 車両のフレーム構造
JP2008285149A (ja) * 2007-05-18 2008-11-27 Dr Ing H C F Porsche Ag 車両用バッテリーの保護筐体

Cited By (2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8187974A (ja) * 2017-04-28 2018-11-29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車両下部構造
KR101878681B1 (ko) * 2017-07-28 2018-08-16 주식회사 샘코 무인항공기 배터리팩 장착구조
KR20220036243A (ko) 2020-09-15 2022-03-22 현대자동차주식회사 배터리 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배터리 팩
KR20220040869A (ko) 2020-09-24 2022-03-31 현대자동차주식회사 배터리 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배터리 팩
US11817602B2 (en) 2020-09-24 2023-11-14 Hyundai Motor Company Battery module and battery pack including the same
KR20220041470A (ko) 2020-09-25 2022-04-01 현대자동차주식회사 배터리 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배터리 팩
US11799160B2 (en) 2020-09-25 2023-10-24 Hyundai Motor Company Battery module and battery pack including the same
KR20220045353A (ko) 2020-10-05 2022-04-12 현대자동차주식회사 배터리 모듈
KR20220052181A (ko) 2020-10-20 2022-04-27 현대자동차주식회사 배터리 팩
KR20220052184A (ko) 2020-10-20 2022-04-27 현대자동차주식회사 배터리 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배터리 팩
KR20220052182A (ko) 2020-10-20 2022-04-27 현대자동차주식회사 배터리 모듈의 제조 방법
US12009536B2 (en) 2020-10-20 2024-06-11 Hyundai Motor Company Battery module and battery pack including same
KR20220052183A (ko) 2020-10-20 2022-04-27 현대자동차주식회사 배터리 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배터리 팩
US11745573B2 (en) 2020-10-22 2023-09-05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Integrated frame and battery pack structure for electric vehicles
US11485214B2 (en) 2020-11-02 2022-11-01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Frame-mounted battery enclosure
KR20220082590A (ko) 2020-12-10 2022-06-17 현대자동차주식회사 배터리 팩 제조 방법
US11735793B2 (en) 2020-12-10 2023-08-22 Hyundai Motor Company Method for manufacturing battery pack
KR20220085396A (ko) 2020-12-15 2022-06-22 현대자동차주식회사 배터리 팩 및 이 배터리 팩의 제조 방법
KR20220126131A (ko) 2021-03-08 2022-09-15 현대자동차주식회사 배터리 모듈 및 이의 제조 방법
KR20230001350A (ko) 2021-06-28 2023-01-04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코인 셀을 포함하는 배터리 모듈 및 그 제조 방법
KR20230003889A (ko) 2021-06-30 2023-01-06 현대자동차주식회사 배터리 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배터리 팩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37266B1 (ko) 2016-07-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20062260A (ko) 전기 자동차의 배터리팩 지지 구조
WO2009051026A4 (en) Front vehicle body structure
RU2012132018A (ru) Подрамник подвески
CN104943525B (zh) 车辆的动力总成悬置结构
MY166644A (en) Vehicle body structure
MX2013008240A (es) Estructura para el frente de carroceria de vehiculo.
SE0502299L (sv) Motorfordon med bakmonterad batterilåda
CN104859717B (zh) 电动轻型客车车架结构及电动轻型客车
IN2012DN02503A (ko)
JP2013103582A (ja) パワーコントロールユニットの車体への取付構造
JP2012183903A (ja) 車両の高圧ケーブル配索構造
JP2013035360A (ja) 車体前部構造
CN105383563A (zh) 一种汽车副车架
CN201291905Y (zh) 汽车副车架
CN100568671C (zh) 一种用于风力发电机的机座
JP2017077840A (ja) 車両のバッテリ搭載構造
JP2010184574A (ja) 自動車の後部車体構造
KR20120012067A (ko) 차량용 스티어링 기어박스 마운팅 유닛
WO2011061723A3 (fr) Structure de captage d'energie electrique motrice et auxiliaire pour un vehicule terrestre
US20210114661A1 (en) Vehicle support member
CN202345417U (zh) 仪表台总成
CN204547765U (zh) 一种变速箱辅助支撑机构
CN106697054A (zh) 后副车架及电动汽车
CN109455073A (zh) 悬置系统的布置结构和电动汽车
CN102774260A (zh) 摩托车蓄电池安装架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