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062219A - 태양전지 모듈 - Google Patents

태양전지 모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062219A
KR20120062219A KR1020100123381A KR20100123381A KR20120062219A KR 20120062219 A KR20120062219 A KR 20120062219A KR 1020100123381 A KR1020100123381 A KR 1020100123381A KR 20100123381 A KR20100123381 A KR 20100123381A KR 20120062219 A KR20120062219 A KR 2012006221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olar cell
cell module
solar
cathode
modu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12338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314790B1 (ko
Inventor
박훈
박재영
이은경
박주옥
윤한호
Original Assignee
삼성코닝정밀소재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코닝정밀소재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코닝정밀소재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0012338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14790B1/ko
Priority to DE102011087672A priority patent/DE102011087672A1/de
Priority to CN2011104012606A priority patent/CN102543972A/zh
Priority to JP2011267062A priority patent/JP2012124163A/ja
Publication of KR2012006221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6221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1479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1479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GCAPACITORS; CAPACITORS, RECTIFIERS, DETECTORS, SWITCHING DEVICES, LIGHT-SENSITIVE OR TEMPERATURE-SENSITIVE DEVICES OF THE ELECTROLYTIC TYPE
    • H01G9/00Electrolytic capacitors, rectifiers, detectors, switching devices, light-sensitive or temperature-sensitive devices; Processes of their manufacture
    • H01G9/20Light-sensitive devices
    • H01G9/2068Panels or arrays of photoelectrochemical cells, e.g. photovoltaic modules based on photoelectrochemical cells
    • H01G9/2072Panels or arrays of photoelectrochemical cells, e.g. photovoltaic modules based on photoelectrochemical cells comprising two or more photoelectrodes sensible to different parts of the solar spectrum, e.g. tandem cell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31/00Semiconductor devices sensitive to infrared radiation, light, electromagnetic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or corpuscular radiation and specially adapted either for the conversion of the energy of such radiation into electrical energy or for the control of electrical energy by such radiation; Processe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or of parts thereof; Details thereof
    • H01L31/04Semiconductor devices sensitive to infrared radiation, light, electromagnetic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or corpuscular radiation and specially adapted either for the conversion of the energy of such radiation into electrical energy or for the control of electrical energy by such radiation; Processe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or of parts thereof; Details thereof adapted as photovoltaic [PV] conversion devices
    • H01L31/042PV modules or arrays of single PV cells
    • H01L31/043Mechanically stacked PV cell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31/00Semiconductor devices sensitive to infrared radiation, light, electromagnetic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or corpuscular radiation and specially adapted either for the conversion of the energy of such radiation into electrical energy or for the control of electrical energy by such radiation; Processe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or of parts thereof; Details thereof
    • H01L31/04Semiconductor devices sensitive to infrared radiation, light, electromagnetic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or corpuscular radiation and specially adapted either for the conversion of the energy of such radiation into electrical energy or for the control of electrical energy by such radiation; Processe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or of parts thereof; Details thereof adapted as photovoltaic [PV] conversion devices
    • H01L31/042PV modules or arrays of single PV cells
    • H01L31/05Electrical interconnection means between PV cells inside the PV module, e.g. series connection of PV cells
    • H01L31/0504Electrical interconnection means between PV cells inside the PV module, e.g. series connection of PV cells specially adapted for series or parallel connection of solar cells in a module
    • H01L31/0508Electrical interconnection means between PV cells inside the PV module, e.g. series connection of PV cells specially adapted for series or parallel connection of solar cells in a module the interconnection means having a particular shap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924/00Indexing scheme for arrangements or methods for connecting or disconnecting semiconductor or solid-state bodies as covered by H01L24/00
    • H01L2924/0001Technical content checked by a classifier
    • H01L2924/0002Not covered by any one of groups H01L24/00, H01L24/00 and H01L2224/00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10/00Energy generation through renewable energy sources
    • Y02E10/50Photovoltaic [PV] energy
    • Y02E10/542Dye sensitized solar cell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P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OR PROCESSING OF GOODS
    • Y02P70/00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process for final industrial or consumer products
    • Y02P70/50Manufacturing or production processes characterised by the final manufactured produc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Condensed Matter Physics & Semiconductors (AREA)
  • Sustainable Develop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Photovoltaic Devices (AREA)
  • Hybrid Cel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박막형 태양전지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복수의 태양전지 셀을 순차적으로 적층하여 수납함으로써 전력생산 효율을 극대화하는 태양전지 모듈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은 투명 복수의 태양전지 셀과, 상기 셀의 음극이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음극부 및, 상기 셀의 양극이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양극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태양전지 모듈{SOLAR CELL MODULE}
본 발명은 평판 박막형 태양전지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복수의 태양전지 셀을 순차적으로 적층하여 수납함으로써 전력생산 효율을 극대화 시키는 태양전지 모듈에 관한 것이다.
최근 들어, 태양 전지의 잠재력으로 인해 연구개발이 급증하고 있다.
특히 박막형 태양전지의 대규모 상용화를 위해 소자의 고효율화 및 저가화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상용화를 위한 고효율화는 전지의 효율을 높여 발전단가를 줄이는 방법으로 결정형 Si 태양전지와 GIGS 등 화합물 반도체를 이용한 태양전지가 이에 해당한다.
염료감응형 태양전지(Dye-sensitized solar cell)는 스위스 Gratzel 교수가 1991년 세라믹 반도체인 TiO2 나노분말 막에 광감응제인 Ru(Ⅱ) 계열의 착화합물을 흡착시켜 개발되었으나 기존의 태양전지에 비해 광전효율이 다소 낮아 현재 상업화의 걸림돌이 되고 있는 상황이다.
염료감응형 태양전지 셀의 최고 수준 광전변환 효율은 10%수준으로 화합물 반도체 및 a-Si 박막형 태양전지에 비해 다소 낮은 수준이나, 저가의 제조 설비 및 공정 기술로 인해 발전 단가를 기존 결정형 Si 대비 상당부분 낮출 수 있으며, 타 박막형 태양전지와 같이 유연(flexible)기판에 투명 태양전지로 응용이 가능하다.
염료감응형 태양전지는 태양광을 흡수하는 염료, n형 반도체 역할의 TiO2 반도체 산화물, p형 반도체 역할을 하는 전해질, 촉매역할을 수행하는 탄소나 백금 상대전극, 태양광을 직접 맞닿게 되는 전면전극으로 구성되어 있다.
즉 광에너지의 흡수는 염료에서 일어나고, 광여기 반응에 의해 생성된 전자의 분리/이송은 전자 농도차에 의해 확산하는 방식으로 산화물 반도체 나노입자 표면의 전도대에서 이루어진다.
염료감응형 태양전지의 기본구조는 투명기판의 샌드위치구조를 갖는다.
전지 내부는 투명기판 위에 코팅된 투명전극(ITO, FTO등이 주로 사용), 및 TiO2 나노입자로 구성된 다공성 전극, TiO2 입자의 표면에 코팅된 염료, 두 전극 사이를 채우는 전해질 그리고 밀봉재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이러한 구조의 태양전지를 얻기 위해서는 투명전도막위로의 TiO2 성막 -소결 -상대전극 구성 -염료의 TiO2 흡착 -1차 밀봉 -전해질 주입 -2차 밀봉 순의 공정으로 제조될 수 있다.
이와 같은 종래의 제작과정을 거친 태양전지 셀은 여러 개가 직렬, 병렬, 또는 혼합구조로 연결되어 모듈로 구성 함으로서 출력을 높일 수 있으나 각각의 셀을 연결하는 배선공정이 수반되며 도선으로 연결된 셀 중 하나가 기능을 상실하게 되면 패널전체가 기능을 상실할 수 있으며 유지보수가 복잡하고 어려운 공정을 거친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한편 염료감응형 태양전지의 단위면적당 효율은 낮은 편이다.
현재 상업화가 되기 위해서는 모듈기준 7~8% 정도면 상업화가 가능한 상황이다.
고효율을 얻기 위해 상기 기술된 TiO2 막의 개선, 투명전도막의 개선, 전해질 및 염료의 개선 등으로 나뉘어 연구되고 있다.
염료감응형 태양전지의 작동원리는 다음과 같이 5단계로 요약될 수 있다.
1 단계: 자연 태양광이 전지에 입사된 후 투명기판과 투명전극을 투과한 광자가 염료에 의해 흡수
2 단계: 염료는 태양광 흡수에 의해 여기 상태가 되면서 전자를 생성
3 단계: 생성된 전자는 TiO2 전도대로 이송,
4 단계: 투명전극을 통해 외부회로로 전기에너지 전달
5 단계: 산화된 염료의 전해질 용액으로부터의 환원
이 때 전자의 생성 및 이송은 태양전지의 성능을 좌우하는 중요한 역할을 한다.
특히 전자의 이송을 원활하게 하기 위하여 TiO2 전극의 개선 및 광여기된 전자-정공쌍의 재결합을 막는 연구 등이 다양하게 진행되고 있다.
그러나 근본적으로 염료감응형 태양전지의 흡수광에 대한 연구는 그리 활발하지 않다.
염료감응형 태양전지가 사용하는 자연광 스펙트럼은 주로 가시광 영역으로 알려져 있다.
종래에는 염료의 흡착정도에 따라 염료감응형 태양전지가 가지는 투과성을 확보하기 위해 완전히 흡수되지 못한 광에너지가 남게 되는 효율의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특히 복수의 태양전지 셀을 병렬로 연결하여 순차적으로 적층함으로써, 효율적인 유지관리와 동일면적에서 전력생산을 증가시키는 태양전지 모듈을 제공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본 발명에 따르는 태양전지 모듈은, 복수의 태양전지 셀과, 상기 셀의 음극이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음극부 및, 상기 셀의 양극이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양극부를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복수의 태양전지 셀은 상호 적층되어 수납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복수의 태양전지 셀은 전기적으로 병렬연결이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음극부는 외부의 다른 양극부와 전기적으로 연결이 가능한 제1 연결부를 더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양극부는 외부의 다른 음극부와 전기적으로 연결이 가능한 제2 연결부를 더 포함한다.
또한, 상기 제1 연결부와 제2 연결부는 단면이 사다리꼴 형상으로 서로 엇갈려 착탈하도록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아울러, 상기 태양전지 셀은 태양광을 흡수하여 전자를 생성하는 산화물층과,
상기 전자의 외부 이송을 위한 투명전극과, 상기 산화물층에 전자의 전달을 위한 전해질층 및, 상기 전해질층에 전자의 공급을 위한 상대전극을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태양전지 셀은 상기 산화물층과 상기 전해질층의 외부 실링(Sealing)을 위한 밀폐부를 더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투명전극은 상기 음극부에 전기적 연결을 위한 제1 돌기를 더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상대전극은 상기 양극부에 전기적 연결을 위한 제2 돌기를 더 포함한다.
또한, 상기 제1 돌기와 상기 제2 돌기는 종단에 백금 또는 전도성 고분자 또는 산화물이 코팅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투명전극과 상기 상대전극은 ITO, IZO, AZO, GZO, GAZO, FTO의 조성으로 물리적으로 적층되는 구조인 것이 바람직하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태양전지 셀은 염료감응형으로써, 유기, a-Si, CIGS, CdTe 태양전지이다.
마지막으로, 상기 태양전지 모듈은 상기 모듈의 상부에 위치하여 자외선 차단을 위한 플리트 유리 및, 상기 모듈의 하부에 위치하여 빛의 투과성을 높이기 위한 거울 형태의 반사체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르면, 태양전지 셀을 순차적으로 수납함으로써 동일 면적에서 태양광의 효율을 극대화하여 전력생산을 극대화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다른 파장대를 흡수하는 태양전지 셀을 순차적으로 수납함으로써 흡수되지 않은 태양광을 이용하여 전력생산을 극대화하는 장점도 있다.
덧붙여 본 발명에 따르면 태양전지 모듈을 직병렬로 연결함으로써 고전압과 고전력의 전력 소스를 구현할 수 있는 장점도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친환경적인 에너지를 양산함으로써 경제에 미치는 영향이 지대하다는 효과도 있다.
마지막으로 본 발명에 따르면 전체 패널은 병렬 연결이므로, 하나의 셀이 손상해도 전체 패널은 작동하므로 유지/보수에 용이한 효과도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는 태양전지 모듈의 전체 단면을 보여주는 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는 태양전지 셀의 전체 단면을 보여주는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는 복수의 태양전지 모듈의 연결을 보여주는 예시도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태양전지 모듈을 상세히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3의 동일 부재에 대해서는 동일한 도면 번호를 기재하였다.
본 발명의 기본 원리는 복수의 태양전지 셀을 태양전지 모듈에 순차적으로 적층 수납하여 용이하게 불량 셀을 교체하고, 동일 면적에서 전력생산 효율을 증가시키는 것이다.
먼저,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 사용하는 태양전지 모듈은 복수의 태양전지 셀이 등간격 순차 적층되어 수납되는 카트리지 형태의 모듈이라고 용어를 정의한다.
아울러,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된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는 태양전지 모듈(100)의 구성을 보여주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르는 태양전지 모듈(100)은 복수의 태양전지 셀(110)과, 셀(110)의 음극이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음극부(120) 및 셀의 양극이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양극부(130)를 포함한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르는 태양전지 모듈(100)의 기능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우선 태양전지 모듈(100)에는 복수의 태양전지 셀(110)이 등간격으로 적층되어 수납된다.
즉 본 발명에 실시 예에 따르는 태양전지 모듈(100)은 수납공간을 갖는 카트리지 형태(100)인 것이 바람직하다.
다음은 도 2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는 태양전지 셀(110)의 구성 및 기능을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는 태양전지 모듈(100)에 탑재된 태양전지 셀(110)의 구성을 보여주는 블록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르는 태양전지 셀(110)은 투명기판 상면에 코팅된 투명전극(111)과, 광흡수 염료를 포함하는 산화물층(112)과, 산화된 염료에 전자의 공급을 위한 전해질층(113)과, 산화물층(112)과 전해질층(113)의 외부 실링(Sealing)을 위한 밀폐부(114) 및, 상대전극(115)을 포함한다.
도 2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르는 태양전지 셀(110)의 작동 원리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우선 자연 태양광의 태양전지 셀(110)에 입사되면, 광양자가 유리 또는 유리기판에 코팅된 투명전극(111)을 투과한다.
그러면, 아래의 산화물층(112)의 염료고분자(미도시)는 이와 같이 투과된 광의 광양자를 흡수하여 여기 상태가 되면서 전자를 생성하고, 생성된 전자는 다공질 구조의 TiO2(미도시) 전도대로 이동하여 투명전극(111)을 통해 외부회로(미도시)로 전기에너지를 전달한다.
그 후, 전해질층(113)은 산화물층으로 전자를 공급하여 산화물층(112)의 염료를 환원한다.
전해질층(113)에서 공급된 전자는 상대전극(115)에서 보충한다.
밀폐부(114)는 액체 상태의 전해질이 포함된 전해질층(113)과 염료를 포함하는 산화물층(112)을 외부와 실링한다.
한편, 태양전지 셀(110)은 태양전지 모듈(100)에 등간격으로 적층되어 수납되기 위한 수단이 필요된다.
즉, 도 2를 참조하면, 투명전극(111)은 오른쪽으로 돌출된 제1 돌기(a)와, 상대전극(115)은 왼쪽으로 돌출된 제2 돌기(b)를 구비한다.
제1 돌기(a)는 양극부(130)에, 제2 돌기는 음극부(120)에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또한, 제1 및 제2 돌기(a, b)는 양극부(130) 및 음극부(120)에 각각 전기적으로 연결되기 때문에 종단이 도전성이 높은 물질이 코팅된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복수의 태양전지 셀(110)은 태양전지 모듈(100)에 등간격으로 적층되어 수납된다.
바람직하게, 복수의 태양전지 셀(110)은 2에서 4층으로 적층된다.
참고로 복수의 태양전지 셀(110)이 4층 이상으로 적층되면 포톤(Photon)의 투과도가 현저하게 줄어들기 때문에 최하단에 위치하는 태양전지 셀의 발전 효율은 거의 제로에 가깝게 된다.
예를 들면, 투과도가 550nm이고 5개의 태양전지 셀이 적층되는 경우, 최상층의 태양전지 셀로부터 최하단층의 태양전지 셀의 발전효율은 순차적으로 10-8-3-1-0가 된다.
따라서, 최하단층인 5번째 태양전지 셀의 발전효율은 제로에 가깝게 되므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는 복수의 태양전지 셀은 4단으로 한정을 한다.
아울러, 최하단층에 위치하는 태양전지 셀의 종류는 CIGS 태양전지 셀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 때, 복수의 태양전지 셀(110)의 전기적인 연결은 병렬구조가 되는 것을 알 수 있다.
한 편, 복수의 태양전지 셀(110)의 투명전극(111)과 상대전극(115)은 자연 태양광이 투과하기 용이한 투명기판 상에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자연광 투과 과정을 설명하기 위해 편의상, 태양전지 셀(110)들을 110a~110d의 도면 번호를 기재한다.
왜냐하면, 첫 번째 태양전지 셀(110a)을 투과한 태양광은 순차적으로 적층된 태양전지 셀들(110b~110d)을 차례로 투과하여야 정상적인 전력생산이 가능하기 때문이다.
덧붙여 태양전지 셀들(110a~110d)은 전기적 연결이 병렬이므로 어느 하나가 오동작을 하거나 혹은 문제가 생겨 제거하더라도 태양전지 모듈(100)은 정상 동작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르는 태양전지 모듈(100)의 안정성을 확보할 수 있다.
이 때 태양전지 모듈(100)의 상부는 입사 태양광의 자외선을 차단하고 투과성을 높이기 위해 플리트 유리(140)로 구성된다.
또한, 태양전지 모듈(100)의 하부는 태양전지 셀들(110a~110d)을 투과한 태양광의 재사용을 위해 거울과 같은 반사체(150)를 사용하여 마감된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르는 태양전지 모듈(100)의 전력생산 효율을 한층 더 높일 수 있다.
덧붙여 여기서 음극부(120)는 다른 양극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되기 위한 제1 연결부(121)를 구비한다.
마찬가지로 양극부(130)도 다른 음극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되기 위한 제2 연결부들(131, 132)를 구비한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르는 태양전지 모듈(100)은 각각 직렬로 연결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를 통해 태양전지 모듈(100)의 전력생산 효율을 높이기 위한 또 다른 방안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이를 설명함에 있어 구성은 도 1 및 도 2와 동일하므로 이를 참조하기로 한다.
단, 태양전지 셀(110a ~ 110d)은 각각 흡수 파장이 서로 다른 광을 흡수하는 광흡수 염료가 포함된 산화물층(112)을 갖는다고 가정한다.
따라서, 각각의 태양전지 셀(110a ~ 110d)은 흡수하는 태양광의 파장이 다르기 때문에 상층에서 흡수되지 않은 파장대의 태양광을 흡수하여 전력을 생산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르는 태양전지 모듈(100)의 전력 생산 효율이 더욱 증대되는 것을 알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는, 각각의 태양전지 모듈(100)이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형태를 보여주는 예시도이다.
도 2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는 태양전지 모듈(100)의 음극부(120)는 다른 양극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되기 위한 제1 연결부(121)를 구비한다.
마찬가지로 양극부(130)도 다른 음극부(12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기 위한 제2 연결부들(131, 132)를 구비한다.
여기서, 제1 연결부(121)와 제2 연결부들(131, 132)는 단면이 사다리꼴 형상으로 서로 엇갈려 배치되어 착탈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르는 태양전지 모듈(100)은 다른 극성끼리 서로 전기적으로 직렬연결될 수 있으므로 태양전지 모듈(100)의 개수에 따라 더 높은 전압을 출력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는 태양전지 셀(110)은 태양전지 셀은 연료감응형으로써, 염료감응형, 유기, a-Si, CIGS, CdTe 태양전지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 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상기의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 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아니 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만 아니라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100 : 태양전지 모듈 110 : 태양전지 셀
111 : 투명전극 112 : 산화물층
113 : 전해질층 114 : 밀폐부
115 : 상대전극 120 : 음극부 121 : 제1 연결부 130 : 양극부
131, 132 : 제2 연결부들 140 : 플리트 유리 150 : 반사체

Claims (14)

  1. 복수의 태양전지 셀과;
    상기 셀의 음극이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음극부 및;
    상기 셀의 양극이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양극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태양전지 모듈.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태양전지 셀은 상호 적층되어 수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태양전지 모듈.
  3.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태양전지 셀 적층은
    각각의 상기 태양전지 셀이 2층이상 4층이하로 적층되어 수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태양전지 모듈.
  4.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적층은
    최하층에 CIGS 태양전지 셀이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태양전지 모듈.
  5.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태양전지 셀은
    전기적으로 병렬연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태양전지 모듈.
  6.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음극부는
    외부의 다른 양극부와 전기적으로 연결이 가능한 사다리꼴 형상의 제1 연결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태양전지 모듈.
  7.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양극부는
    외부의 다른 음극부와 전기적으로 연결이 가능한 사다리꼴 형상의 제2 연결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태양전지 모듈.
  8.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태양전지 셀은
    태양광을 흡수하여 전자를 생성하는 산화물층과,
    상기 전자의 외부 이송을 위한 투명전극과;
    상기 산화물층에 전자의 전달을 위한 전해질층 및;
    상기 전해질층에 전자의 공급을 위한 상대전극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태양전지 모듈.
  9. 제8 항에 있어서, 상기 태양전지 셀은
    상기 산화물층과 상기 전해질층의 외부 실링(Sealing)을 위한 밀폐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태양전지 모듈.
  10.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투명전극은
    상기 음극부에 전기적 연결을 위해 종단에 백금 또는 전도성 고분자 또는 산화물이 코팅된 제1 돌기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태양전지 모듈.
  11.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상대전극은
    상기 양극부에 전기적 연결을 위해 종단에 백금 또는 전도성 고분자 또는 산화물이 코팅된 제2 돌기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태양전지 모듈
  12.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투명전극과 상기 상대전극은
    ITO, IZO, AZO, GZO, GAZO, FTO의 조성으로 물리적으로 적층되는 구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태양전지 모듈.
  1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태양전지 셀은
    염료감응형으로써, 유기, a-Si, CIGS, CdTe 태양전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태양전지 모듈.
  14. 제1 항 내지 제13 항에 있어서, 상기 태양전지 모듈은
    상기 모듈의 상부에 위치하여 자외선 차단을 위한 플리트 유리 및;
    상기 모듈의 하부에 위치하여 빛의 투과성을 높이기 위한 거울 형태의 반사체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태양전지 모듈.
KR1020100123381A 2010-12-06 2010-12-06 태양전지 모듈 KR101314790B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23381A KR101314790B1 (ko) 2010-12-06 2010-12-06 태양전지 모듈
DE102011087672A DE102011087672A1 (de) 2010-12-06 2011-12-02 Solarmodul
CN2011104012606A CN102543972A (zh) 2010-12-06 2011-12-06 太阳能电池模块
JP2011267062A JP2012124163A (ja) 2010-12-06 2011-12-06 太陽電池モジュール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23381A KR101314790B1 (ko) 2010-12-06 2010-12-06 태양전지 모듈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62219A true KR20120062219A (ko) 2012-06-14
KR101314790B1 KR101314790B1 (ko) 2013-10-08

Family

ID=4635047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123381A KR101314790B1 (ko) 2010-12-06 2010-12-06 태양전지 모듈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JP (1) JP2012124163A (ko)
KR (1) KR101314790B1 (ko)
CN (1) CN102543972A (ko)
DE (1) DE102011087672A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6052970A1 (ko) * 2014-09-30 2016-04-07 코오롱인더스트리 주식회사 유기태양전지 모듈 및 이의 제조방법
WO2023282503A1 (ko) * 2021-07-06 2023-01-12 고려대학교 산학협력단 태양광 모듈의 제조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6233485A (zh) * 2014-04-21 2016-12-14 株式会社Lg化学 堆叠型有机太阳能电池
CN105489689B (zh) * 2016-02-02 2017-05-10 浙江晶科能源有限公司 一种光伏组件和光伏组件制作方法
CN106784078A (zh) * 2017-03-29 2017-05-31 浙江晶科能源有限公司 一种多级光伏组件
AT16573U1 (de) * 2018-12-03 2020-01-15 Ait Austrian Inst Tech Gmbh Leistungswiederherstellung von Photovoltaikkraftwerken
US11894802B2 (en) * 2021-06-16 2024-02-06 Conti Innovation Center, Llc Solar module racking system
CN114267925A (zh) * 2021-11-18 2022-04-01 三一重工股份有限公司 一种电池箱、车辆及电池箱组装方法

Family Cites Families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AU5405400A (en) * 1999-06-14 2001-01-02 Carlos J.R.P. Augusto Stacked wavelength-selective opto-electronic device
JP2001319698A (ja) * 2000-05-11 2001-11-16 Fuji Photo Film Co Ltd 光電変換素子および光電池
JP2005108467A (ja) * 2003-09-26 2005-04-21 Mitsui Chemicals Inc 透明導電性シートおよびそれを用いた光増感太陽電池。
JP5217074B2 (ja) * 2004-07-23 2013-06-19 ジオマテック株式会社 薄膜固体リチウムイオン二次電池
KR100567331B1 (ko) * 2004-08-04 2006-04-04 한국전자통신연구원 레고형 염료감응 태양전지 모듈
JP4637543B2 (ja) * 2004-10-22 2011-02-23 京セラ株式会社 光電変換装置およびそれを用いた光発電装置
US8115093B2 (en) * 2005-02-15 2012-02-14 General Electric Company Layer-to-layer interconnects for photoelectric devices and methods of fabricating the same
JP2008112704A (ja) * 2006-10-31 2008-05-15 Kubota Matsushitadenko Exterior Works Ltd 色素増感型太陽電池及び太陽電池付き建築板
KR100842265B1 (ko) * 2006-11-21 2008-06-30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수직 적층형 염료감응 태양전지 모듈의 제조 방법
CN101414643B (zh) * 2007-10-16 2011-03-30 鸿富锦精密工业(深圳)有限公司 太阳能电池装置
CN201153125Y (zh) * 2007-12-30 2008-11-19 重庆大学 一种染料敏化太阳能电池
CN101510470B (zh) * 2008-12-26 2011-04-20 上海拓引数码技术有限公司 一种非晶硅太阳能电池与染料敏化电池叠层结构
US8835748B2 (en) * 2009-01-06 2014-09-16 Sunlight Photonics Inc. Multi-junction PV module
KR101002398B1 (ko) * 2009-01-19 2010-12-21 (주)다이솔티모 직/병렬 혼합형 염료감응형 태양전지 모듈
JP5497318B2 (ja) * 2009-03-27 2014-05-21 株式会社日本総合研究所 電池パッケージ、電池モジュール、および電池パック
JP5242499B2 (ja) 2009-05-25 2013-07-24 シャープ株式会社 太陽電池モジュールおよびその製造方法、ならびに当該太陽電池モジュールを搭載した電子機器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6052970A1 (ko) * 2014-09-30 2016-04-07 코오롱인더스트리 주식회사 유기태양전지 모듈 및 이의 제조방법
WO2023282503A1 (ko) * 2021-07-06 2023-01-12 고려대학교 산학협력단 태양광 모듈의 제조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DE102011087672A1 (de) 2012-08-02
JP2012124163A (ja) 2012-06-28
CN102543972A (zh) 2012-07-04
KR101314790B1 (ko) 2013-10-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14790B1 (ko) 태양전지 모듈
Yan et al. Recent progress of thin-film photovoltaics for indoor application
EP2224534B1 (en) Photosensitized solar cell module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Grätzel The advent of mesoscopic injection solar cells
Halme Dye-sensitized nanostructured and organic photovoltaic cells: technical review and preliminary tests
US20120042930A1 (en) Dye-sensitized solar cell and dye-sensitized solar cell module
US20120216854A1 (en) Surface-Passivated Regenerative Photovoltaic and Hybrid Regenerative Photovoltaic/Photosynthetic Electrochemical Cell
US20170358398A1 (en) Photovoltaic device
US20110036404A1 (en) Photoelectric Conversion Device and Photovoltaic Power Generation Device
CN103915260A (zh) 柔性钛基染料敏化太阳能电池模块、制作方法和电源
US10147554B2 (en) Energy storage dye-sensitized solar cell
KR101172361B1 (ko) 염료감응 태양전지용 광전극의 제조방법
KR101140784B1 (ko) 염료감응 태양전지 및 그 제조방법
KR20090052696A (ko) p-n 접합 다이오드를 포함하는 기판을 구비한 염료감응태양전지
WO2012070296A1 (ja) 気体製造装置および気体製造方法
Mahesh et al. TiO2 microstructure, fabrication of thin film solar cells and introduction to dye sensitized solar cells
KR101044338B1 (ko) 염료 및 다원자음이온이 흡착된 나노 산화물층을 포함한 음극계 전극을 포함하는 염료감응 태양전지 및 이의 제조방법
KR101462356B1 (ko) 염료감응형 태양 전지 및 그 제조 방법
JP2009135395A (ja) 光電変換装置及び光発電装置並びに光電変換モジュール
JP2009009851A (ja) 光電変換装置
RU2626752C1 (ru) Тандемный металлооксидный солнечный элемент
KR101540846B1 (ko) 염료감응형/양자점감응형 태양 전지 및 그 제조 방법
KR101232876B1 (ko) 염료감응 태양전지 및 그 제조 방법
US11309139B2 (en) Bifacial light-harvesting dye-sensitized solar cell
KR20120074473A (ko) 광전변환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