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062136A -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 Google Patents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062136A
KR20120062136A KR1020100123259A KR20100123259A KR20120062136A KR 20120062136 A KR20120062136 A KR 20120062136A KR 1020100123259 A KR1020100123259 A KR 1020100123259A KR 20100123259 A KR20100123259 A KR 20100123259A KR 20120062136 A KR20120062136 A KR 2012006213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lectronic device
content
display
mobile terminal
inform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12325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750898B1 (ko
Inventor
황순재
홍정희
임유경
유임경
이혜득
정덕환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0012325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50898B1/ko
Priority to US13/029,483 priority patent/US8675024B2/en
Priority to CN201110078797.3A priority patent/CN102486716B/zh
Priority to EP11162319.5A priority patent/EP2464084B1/en
Publication of KR2012006213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6213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5089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5089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03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 H04M1/72409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by interfacing with external accessories
    • H04M1/72415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by interfacing with external accessories for remote control of applian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1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based on specific properties of the displayed interaction object or a metaphor-based environment, e.g. interaction with desktop elements like windows or icons, or assisted by a cursor's changing behaviour or appearance
    • G06F3/0482Interaction with lists of selectable items, e.g. menu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4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for the control of specific functions or operations, e.g. selecting or manipulating an object, an image or a displayed text element, setting a parameter value or selecting a rang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4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for the control of specific functions or operations, e.g. selecting or manipulating an object, an image or a displayed text element, setting a parameter value or selecting a range
    • G06F3/04845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for the control of specific functions or operations, e.g. selecting or manipulating an object, an image or a displayed text element, setting a parameter value or selecting a range for image manipulation, e.g. dragging, rotation, expansion or change of colour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7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 G06F3/048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 G06F3/04883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for inputting data by handwriting, e.g. gesture or tex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7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 G06F3/048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 G06F3/04886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by partitioning the display area of the touch-screen or the surface of the digitising tablet into independently controllable areas, e.g. virtual keyboards or menu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1Structure of client; Structure of client peripherals
    • H04N21/4104Peripherals receiving signals from specially adapted client devices
    • H04N21/4126The peripheral being portable, e.g. PDAs or mobile phon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1Structure of client; Structure of client peripherals
    • H04N21/4104Peripherals receiving signals from specially adapted client devices
    • H04N21/4126The peripheral being portable, e.g. PDAs or mobile phones
    • H04N21/41265The peripheral being portable, e.g. PDAs or mobile phones having a remote control device for bidirectional communication between the remote control device and client devic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31Generation of visual interfaces for content selection or interaction; Content or additional data rendering
    • H04N21/4312Generation of visual interfaces for content selection or interaction; Content or additional data rendering involving specific graphical features, e.g. screen layout, special fonts or colors, blinking icons, highlights or anim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50/00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 H04M2250/16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including more than one display uni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50/00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 H04M2250/22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including a touch pad, a touch sensor or a touch detecto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ultimedia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Abstract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이 개시된다. 본 발명의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은, 적어도 하나의 다른 전자기기와 통신하는 무선 통신부; 콘텐츠를 표시하는 디스플레이; 및 획득한 사용자의 제1 입력에 대응하여 상기 콘텐츠의 표시 영역을 축소하고, 상기 콘텐츠를 축소하여 확보한 영역에 상기 적어도 하나의 다른 전자기기의 정보를 표시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다른 전자기기의 정보를 효과적으로 표시하여 콘텐츠를 손쉽게 공유할 수 있다.

Description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MOBILE TERMINAL AND CONTROL METHOD THEROF}
본 발명은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는 다른 전자기기의 정보를 효과적으로 표시하여 콘텐츠를 손쉽게 공유할 수 있도록 하는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
개인용 컴퓨터, 노트북, 휴대폰 등과 같은 단말기(terminal)는 기능이 다양화됨에 따라 예를 들어, 사진이나 동영상의 촬영, 음악이나 동영상 파일의 재생, 게임, 방송의 수신 등의 복합적인 기능들을 갖춘 멀티미디어 기기(Multimedia player) 형태로 구현되고 있다.
단말기는 이동 가능 여부에 따라 이동 단말기(mobile terminal) 및 고정 단말기(stationary terminal)로 나뉠 수 있다. 다시 이동 단말기는 사용자의 직접 휴대 가능 여부에 따라 휴대(형) 단말기(handheld terminal) 및 거치형 단말기(vehicle mount terminal)로 나뉠 수 있다.
단말기의 기능 지지 및 증대를 위해, 단말기의 구조적인 부분 및/또는 소프트웨어적인 부분을 개량하는 것이 고려되고 있다.
최근 이동 단말기를 포함한 다양한 단말기들은 복합적이고 다양한 기능들을 제공함에 따라 메뉴 구조 또한 복잡해지는 추세이다. 또한 이동 단말기로 웹페이지를 포함하는 각종 디지털문서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는 기능이 추가되고 있다.
본 발명은 다른 전자기기의 정보를 효과적으로 표시하여 콘텐츠를 손쉽게 공유할 수 있도록 하는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
상기한 과제를 실현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는, 적어도 하나의 다른 전자기기와 통신하는 무선 통신부; 콘텐츠를 표시하는 디스플레이; 및 획득한 사용자의 제1 입력에 대응하여 상기 콘텐츠의 표시 영역을 축소하고, 상기 콘텐츠를 축소하여 확보한 영역에 상기 적어도 하나의 다른 전자기기의 정보를 표시하는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입력은, 상기 디스플레이에 대한 드래그 터치이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드래그 터치의 드래그 길이에 비례하여 상기 콘텐츠의 표시 영역을 축소할 수 있다.
상기 제1 입력은, 상기 디스플레이에 대한 드래그 터치이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드래그 터치의 횟수에 비례하여 상기 콘텐츠의 표시 영역을 축소할 수 있다.
상기 드래그 터치는, 복수의 터치점이 서로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드래그 되는 터치 입력일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확보한 영역이 상기 디스플레이의 각 모서리 영역이 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의 중앙지점을 중심으로 상기 콘텐츠의 표시 영역을 축소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각 모서리 영역 각각에 상기 다른 전자기기의 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디스플레이에 대한 드래그 터치의 드래그 길이가 기 설정된 길이보다 길면, 상기 표시한 다른 전자기기의 정보의 내측에 또 다른 전자기기의 정보를 더 표시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표시한 적어도 하나의 다른 전자기기의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선택하는 상기 사용자의 제2 입력을 획득하면, 상기 표시한 콘텐츠를 상기 무선 통신부를 통하여 상기 선택한 적어도 하나의 다른 전자기기와 공유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콘텐츠를 공유하는 다른 전자기기의 정보를, 상기 콘텐츠를 공유하지 않는 다른 전자기기기의 정보와 다르게 표시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다른 전자기기 중 상기 콘텐츠를 출력할 수 있는 다른 전자기기의 정보를 선택적으로 표시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다른 전자기기 간의 우선순위에 기초하여 상기 적어도 하나의 다른 전자기기의 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우선순위를, 상기 적어도 하나의 다른 전자기기와의 최근 접속 시간, 거리, 통신 상태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기초하여 결정할 수 있다.
또한, 상기한 과제를 실현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는, 적어도 하나의 다른 전자기기와 통신하는 무선 통신부; 콘텐츠를 표시하는 디스플레이; 및 획득한 터치 동작의 드래그(drag) 길이와 횟수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기초하여 상기 적어도 하나의 다른 전자기기의 정보를 표시하는 적어도 하나의 레이어(layer)를 상기 디스플레이의 외주영역에 표시하는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레이어가 표시되는 영역에 대응하여 상기 표시한 콘텐츠 영역을 축소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표시한 적어도 하나의 다른 전자기기의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선택하는 상기 사용자의 입력을 획득하면, 상기 표시한 콘텐츠를 상기 무선 통신부를 통하여 상기 선택한 적어도 하나의 다른 전자기기와 공유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다른 전자기기 중 상기 콘텐츠를 출력할 수 있는 다른 전자기기의 정보를 선택적으로 표시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다른 전자기기 간의 우선순위에 기초하여 상기 적어도 하나의 다른 전자기기의 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
또한, 상기한 과제를 실현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의 제어방법은, 콘텐츠를 표시하는 단계; 사용자의 제1 입력을 획득하면, 상기 콘텐츠의 표시 영역을 축소하는 단계; 및 상기 콘텐츠를 축소하여 확보한 영역에 상기 적어도 하나의 다른 전자기기의 정보를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입력은 상기 디스플레이에 대한 드래그 터치이며, 상기 축소하는 단계는, 상기 드래그 터치의 드래그 길이와 횟수 중 적어도 하나에 비례하여 상기 콘텐츠의 표시 영역을 축소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축소하는 단계는, 상기 확보한 영역이 디스플레이의 각 모서리 영역이 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의 중앙지점을 중심으로 상기 콘텐츠의 표시 영역을 축소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표시한 적어도 하나의 다른 전자기기의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선택하는 상기 사용자의 제2 입력을 획득하면, 상기 표시한 콘텐츠를 상기 선택한 적어도 하나의 다른 전자기기와 공유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은, 다른 전자기기의 정보를 효과적으로 표시하여 콘텐츠를 손쉽게 공유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와 관련된 이동 단말기의 블록 구성도(block diagram)이다.
도 2a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관련된 이동 단말기의 전면 사시도이다.
도 2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관련된 이동 단말기의 후면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근접 센서의 근접 깊이를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도 5는 도 1 이동 단말기와 관련된 서비스 망을 도시한 구조도이다.
도 6은 DLNA 네트워크의 개념도이다.
도 7은 DLNA의 기능상 레이어(layer)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8 및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의 동작 과정을 도시한 플로우챠트이다.
도 10 내지 도 17은 도 8 이동 단말기의 콘텐츠 출력 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8 내지 도 21은 도 8 이동 단말기의 콘텐츠 전송 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22 및 도 23은 도 8 이동 단말기의 콘텐츠 전송 이후의 동작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24 및 도 25는 도 8 이동 단말기의 콘텐츠 전송 중단 동작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26은 도 8 이동 단말기의 선택적 콘텐츠 전송을 설명한 도면이다.
도 27 및 도 28은 도 8 이동 단말기의 콘텐츠 전송 우선순위를 설명한 도면이다.
도 29는 도 8 이동 단말기의 다른 전자기기의 종류에 따른 선택적 기능 실행을 설명한 도면이다.
도 30 내지 도 35는 도 8 이동 단말기의 다른 전자기기로부터 획득한 정보의 표시 동작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36 및 도 37은 도 8 이동 단말기의 다른 전자기기로의 정보 전달 동작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38 및 도 39는 도 8 이동 단말기의 메뉴표시 방법을 도시한 도면이다.
본 발명의 상술한 목적, 특징들 및 장점은 첨부된 도면과 관련된 다음의 상세한 설명을 통해 보다 분명해질 것이다. 다만,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들을 가질 수 있는 바, 이하에서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이를 상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서 동일한 참조번호들은 원칙적으로 동일한 구성요소들을 나타낸다. 또한, 본 발명과 관련된 공지 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본 명세서의 설명 과정에서 이용되는 숫자(예를 들어, 제1, 제2 등)는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와 구분하기 위한 식별기호에 불과하다
이하, 본 발명과 관련된 이동 단말기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이하의 설명에서 사용되는 구성요소에 대한 접미사 "모듈" 및 "부"는 명세서 작성의 용이함만이 고려되어 부여되거나 혼용되는 것으로서, 그 자체로 서로 구별되는 의미 또는 역할을 갖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설명되는 이동 단말기에는 휴대폰, 스마트 폰(smart phone), 노트북 컴퓨터(laptop computer), 디지털방송용 단말기,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s),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네비게이션 등이 포함될 수 있다. 그러나,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에 따른 구성은 이동 단말기에만 적용 가능한 경우를 제외하면, 디지털 TV, 데스크탑 컴퓨터 등과 같은 고정 단말기에도 적용될 수도 있음을 본 기술분야의 당업자라면 쉽게 알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와 관련된 이동 단말기의 블록 구성도(block diagram)이다.
상기 이동 단말기(100)는 무선 통신부(110), A/V(Audio/Video) 입력부(120), 사용자 입력부(130), 센싱부(140), 출력부(150), 메모리부(160), 인터페이스부(170), 제어부(180) 및 전원 공급부(190)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도 1에 도시된 구성요소들이 필수적인 것은 아니어서, 그보다 많은 구성요소들을 갖거나 그보다 적은 구성요소들을 갖는 이동 단말기를 구현될 수도 있다.
이하, 상기 구성요소들에 대해 차례로 살펴본다.
무선 통신부(110)는 이동 단말기(100)와 무선 통신 시스템 사이 또는 이동 단말기(100)와 이동 단말기(100)가 위치한 네트워크 사이의 무선 통신을 가능하게 하는 하나 이상의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무선 통신부(110)는 방송 수신 모듈(111), 이동통신 모듈(112), 무선 인터넷 모듈(113), 근거리 통신 모듈(114) 및 위치정보 모듈(115)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방송 수신 모듈(111)은 방송 채널을 통하여 외부의 방송 관리 서버로부터 방송 신호 및/또는 방송 관련된 정보를 수신한다.
상기 방송 채널은 위성 채널, 지상파 채널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방송 관리 서버는, 방송 신호 및/또는 방송 관련 정보를 생성하여 송신하는 서버 또는 기 생성된 방송 신호 및/또는 방송 관련 정보를 제공받아 단말기에 송신하는 서버를 의미할 수 있다. 상기 방송 신호는, TV 방송 신호, 라디오 방송 신호, 데이터 방송 신호를 포함할 뿐만 아니라, TV 방송 신호 또는 라디오 방송 신호에 데이터 방송 신호가 결합한 형태의 방송 신호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방송 관련 정보는, 방송 채널, 방송 프로그램 또는 방송 서비스 제공자에 관련한 정보를 의미할 수 있다. 상기 방송 관련 정보는, 이동통신망을 통하여도 제공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에는 상기 이동통신 모듈(112)에 의해 수신될 수 있다.
상기 방송 관련 정보는 다양한 형태로 존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DMB(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의 EPG(Electronic Program Guide) 또는 DVBH(Digital Video BroadcastHandheld)의 ESG(Electronic Service Guide) 등의 형태로 존재할 수 있다.
상기 방송 수신 모듈(111)은, 각종 방송 시스템을 이용하여 방송 신호를 수신하는데, 특히, DMBT(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Terrestrial), DMBS(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Satellite), MediaFLO(Media Forward Link Only), DVBH(Digital Video BroadcastHandheld), ISDBT(Integrated Services Digital BroadcastTerrestrial) 등의 디지털 방송 시스템을 이용하여 디지털 방송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물론, 상기 방송 수신 모듈(111)은, 상술한 디지털 방송 시스템뿐만 아니라 방송 신호를 제공하는 다른 방송 시스템에 적합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방송 수신 모듈(111)을 통해 수신된 방송 신호 및/또는 방송 관련 정보는 메모리부(160)에 저장될 수 있다.
이동통신 모듈(112)은, 이동 통신망 상에서 기지국, 외부의 단말, 서버 중 적어도 하나와 무선 신호를 송수신한다. 상기 무선 신호는, 음성 호 신호, 화상 통화 호 신호 또는 문자/멀티미디어 메시지 송수신에 따른 다양한 형태의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무선 인터넷 모듈(113)은 무선 인터넷 접속을 위한 모듈을 말하는 것으로, 무선 인터넷 모듈(113)은 이동 단말기(100)에 내장되거나 외장될 수 있다. 무선 인터넷 기술로는 WLAN(Wireless LAN)(WiFi), Wibro(Wireless broadband), Wimax(World Interoperability for Microwave Access), HSDPA(High Speed Downlink Packet Access) 등이 이용될 수 있다.
근거리 통신 모듈(114)은 근거리 통신을 위한 모듈을 말한다. 근거리 통신 기술로 블루투스(Bluetooth),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적외선 통신(IrDA, infrared Data Association), UWB(Ultra Wideband), ZigBee 등이 이용될 수 있다.
위치정보 모듈(115)은 이동 단말기의 위치를 확인하거나 얻기 위한 모듈이다. 상기 위치정보 모듈의 대표적인 예로는 GPS(Global Position System) 모듈이 있다. 현재 기술에 의하면, 상기 GPS모듈(115)은, 일 지점(개체)이 3개 이상의 위성으로부터 떨어진 거리에 관한 정보와, 상기 거리 정보가 측정된 시간에 관한 정보를 산출한 다음 상기 산출된 거리 정보에 삼각법을 적용함으로써, 일 시간에 일 지점(개체)에 대한 위도, 경도, 및 고도에 따른 3차원의 위치 정보를 산출할 수 있다. 나아가, 3개의 위성을 이용하여 위치 및 시간 정보를 산출하고, 또 다른 1개의 위성을 이용하여 상기 산출된 위치 및 시간 정보의 오차를 수정하는 방법 또한 사용되고 있다. GPS 모듈(115)은 현 위치를 실시간으로 계속 산출하고 그를 이용하여 속도 정보를 산출하기도 한다.
도 1을 참조하면, A/V(Audio/Video) 입력부(120)는 오디오 신호 또는 비디오 신호 입력을 위한 것으로, 이에는 카메라(121)와 마이크(122)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카메라(121)는 화상 통화모드 또는 촬영 모드에서 이미지 센서에 의해 얻어지는 정지영상 또는 동영상 등의 화상 프레임을 처리한다. 처리된 화상 프레임은 디스플레이부(151)에 표시될 수 있다.
카메라(121)에서 처리된 화상 프레임은 메모리부(160)에 저장되거나 무선 통신부(110)를 통하여 외부로 전송될 수 있다. 카메라(121)는 단말기의 구성 태양에 따라 2개 이상이 구비될 수도 있다.
마이크(122)는 통화모드 또는 녹음모드, 음성인식 모드 등에서 마이크로폰(Microphone)에 의해 외부의 음향 신호를 입력받아 전기적인 음성 데이터로 처리한다. 처리된 음성 데이터는 통화 모드인 경우 이동통신 모듈(112)을 통하여 이동통신 기지국으로 송신 가능한 형태로 변환되어 출력될 수 있다. 마이크(122)에는 외부의 음향 신호를 입력받는 과정에서 발생되는 잡음(noise)을 제거하기 위한 다양한 잡음 제거 알고리즘이 구현될 수 있다.
사용자 입력부(130)는 사용자가 단말기의 동작 제어를 위한 입력 데이터를 발생시킨다. 사용자 입력부(130)는 키 패드(key pad) 돔 스위치 (dome switch), 터치 패드(정압/정전), 조그 휠, 조그 스위치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센싱부(140)는 이동 단말기(100)의 개폐 상태, 이동 단말기(100)의 위치, 사용자 접촉 유무, 이동 단말기의 방위, 이동 단말기의 가속/감속 등과 같이 이동 단말기(100)의 현 상태를 감지하여 이동 단말기(100)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센싱 신호를 발생시킨다. 예를 들어 이동 단말기(100)가 슬라이드 폰 형태인 경우 슬라이드 폰의 개폐 여부를 센싱할 수 있다. 또한, 전원 공급부(190)의 전원 공급 여부, 인터페이스부(170)의 외부 기기 결합 여부 등과 관련된 센싱 기능을 담당할 수도 있다. 한편, 상기 센싱부(140)는 근접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출력부(150)는 시각, 청각 또는 촉각 등과 관련된 출력을 발생시키기 위한 것으로, 이에는 디스플레이부(151), 음향 출력 모듈(152), 알람부(153), 및 햅틱 모듈(154) 등이 포함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151)는 이동 단말기(100)에서 처리되는 정보를 표시 출력한다. 예를 들어, 이동 단말기가 통화 모드인 경우 통화와 관련된 UI(User Interface) 또는 GUI(Graphic User Interface)를 표시한다. 이동 단말기(100)가 화상 통화 모드 또는 촬영 모드인 경우에는 촬영 또는/및 수신된 영상 또는 UI, GUI를 표시한다.
디스플레이부(151)는 액정 디스플레이(liquid crystal display), 박막 트랜지스터 액정 디스플레이(thin film transistorliquid crystal display), 유기 발광 다이오드(organic lightemitting diode), 플렉시블 디스플레이(flexible display), 3차원 디스플레이(3D display) 중에서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이들 중 일부 디스플레이는 그를 통해 외부를 볼 수 있도록 투명형 또는 광투과형으로 구성될 수 있다. 이는 투명 디스플레이라 호칭될 수 있는데, 상기 투명 디스플레이의 대표적인 예로는 투명 LCD 등이 있다. 디스플레이부(151)의 후방 구조 또한 광 투과형 구조로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구조에 의하여, 사용자는 단말기 바디의 디스플레이부(151)가 차지하는 영역을 통해 단말기 바디의 후방에 위치한 사물을 볼 수 있다.
이동 단말기(100)의 구현 형태에 따라 디스플레이부(151)이 2개 이상 존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이동 단말기(100)에는 복수의 디스플레이부들이 하나의 면에 이격되거나 일체로 배치될 수 있고, 또한 서로 다른 면에 각각 배치될 수도 있다.
디스플레이부(151)와 터치 동작을 감지하는 센서(이하, '터치 센서'라 함)가 상호 레이어 구조를 이루는 경우(이하, '터치 스크린'이라 약칭함)에, 디스플레이부(151)는 출력 장치 이외에 입력 장치로도 사용될 수 있다. 터치 센서는, 예를 들어, 터치 필름, 터치 시트, 터치 패드 등의 형태를 가질 수 있다.
터치 센서는 디스플레이부(151)의 특정 부위에 가해진 압력 또는 디스플레이부(151)의 특정 부위에 발생하는 정전 용량 등의 변화를 전기적인 입력신호로 변환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터치 센서는 터치 되는 위치 및 면적뿐만 아니라, 터치 시의 압력까지도 검출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터치 센서에 대한 터치 입력이 있는 경우, 그에 대응하는 신호(들)는 터치 제어기로 보내진다. 터치 제어기는 그 신호(들)를 처리한 다음 대응하는 데이터를 제어부(180)로 전송한다. 이로써, 제어부(180)는 디스플레이부(151)의 어느 영역이 터치 되었는지 여부 등을 알 수 있게 된다.
도 1을 참조하면, 상기 터치스크린에 의해 감싸지는 이동 단말기의 내부 영역 또는 상기 터치 스크린의 근처에 근접센서가 배치될 수 있다. 상기 근접센서는 소정의 검출면에 접근하는 물체, 혹은 근방에 존재하는 물체의 유무를 전자계의 힘 또는 적외선을 이용하여 기계적 접촉이 없이 검출하는 센서를 말한다. 근접센서는 접촉식 센서보다는 그 수명이 길며 그 활용도 또한 높다.
상기 근접센서의 예로는 투과형 광전 센서, 직접 반사형 광전 센서, 미러 반사형 광전 센서, 고주파 발진형 근접센서, 정전용량형 근접센서, 자기형 근접센서, 적외선 근접센서 등이 있다.
상기 터치스크린이 정전식인 경우에는 상기 포인터의 근접에 따른 전계의 변화로 상기 포인터의 근접을 검출하도록 구성된다. 이 경우 상기 터치 스크린(터치 센서)은 근접센서로 분류될 수도 있다.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상기 터치스크린 상에 포인터가 접촉되지 않으면서 근접되어 상기 포인터가 상기 터치스크린 상에 위치함이 인식되도록 하는 행위를 "근접 터치(proximity touch)"라고 칭하고, 상기 터치스크린 상에 포인터가 실제로 접촉되는 행위를 "접촉 터치(contact touch)"라고 칭한다. 상기 터치스크린 상에서 포인터로 근접 터치가 되는 위치라 함은, 상기 포인터가 근접 터치될 때 상기 포인터가 상기 터치스크린에 대해 수직으로 대응되는 위치를 의미한다.
상기 근접센서는, 근접 터치 및 근접 터치 패턴(예를 들어, 근접 터치 거리, 근접 터치 방향, 근접 터치 속도, 근접 터치 시간, 근접 터치 위치, 근접 터치 이동 상태 등)을 감지한다. 상기 감지된 근접 터치 동작 및 근접 터치 패턴에 상응하는 정보는 터치 스크린상에 출력될 수 있다.
음향 출력 모듈(152)은 호신호 수신, 통화모드 또는 녹음 모드, 음성인식 모드, 방송수신 모드 등에서 무선 통신부(110)로부터 수신되거나 메모리부(160)에 저장된 오디오 데이터를 출력할 수도 있다. 음향 출력 모듈(152)은 이동 단말기(100)에서 수행되는 기능(예를 들어, 호신호 수신음, 메시지 수신음 등)과 관련된 음향 신호를 출력한다. 이러한 음향 출력 모듈(152)에는 리시버(Receiver), 스피커(speaker), 버저(Buzzer)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알람부(153)는 이동 단말기(100)의 이벤트 발생을 알리기 위한 신호를 출력한다. 이동 단말기에서 발생 되는 이벤트의 예로는 호 신호 수신, 메시지 수신, 키 신호 입력, 터치 입력 등이 있다. 알람부(153)는 비디오 신호나 오디오 신호 이외에 다른 형태, 예를 들어 진동으로 이벤트 발생을 알리기 위한 신호를 출력할 수도 있다. 비디오 신호나 오디오 신호는 디스플레이부(151)이나 음성 출력 모듈(152)을 통해서도 출력될 수 있다.
햅틱 모듈(haptic module)(154)은 사용자가 느낄 수 있는 다양한 촉각 효과를 발생시킨다. 햅틱 모듈(154)이 발생시키는 촉각 효과의 대표적인 예로는 진동이 있다. 햅택 모듈(154)이 발생하는 진동의 세기와 패턴 등은 제어가능하다. 예를 들어, 서로 다른 진동을 합성하여 출력하거나 순차적으로 출력할 수도 있다.
햅틱 모듈(154)은, 진동 외에도, 접촉 피부면에 대해 수직 운동하는 핀 배열에 의한 자극에 의한 효과, 분사구나 흡입구를 통한 공기의 분사력이나 흡입력을 통한 자극에 의한 효과, 피부 표면을 스치는 자극에 의한 효과, 전극(eletrode)의 접촉을 통한 자극에 의한 효과, 정전기력을 이용한 자극에 의한 효과, 흡열이나 발열 가능한 소자를 이용한 냉온감 재현에 의한 효과 등 다양한 촉각 효과를 발생시킬 수 있다.
햅틱 모듈(154)은 직접적인 접촉을 통해 촉각 효과의 전달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사용자의 손가락이나 팔 등의 근 감각을 통해 촉각 효과를 느낄 수 있도록 구현할 수도 있다. 햅틱 모듈(154)은 휴대 단말기(100)의 구성 태양에 따라 2개 이상이 구비될 수 있다.
메모리부(160)는 제어부(180)의 동작을 위한 프로그램을 저장할 수 있고, 입/출력되는 데이터들(예를 들어, 폰북, 메시지, 정지영상, 동영상 등)을 임시 저장할 수도 있다. 상기 메모리부(160)는 상기 터치스크린 상의 터치 입력시 출력되는 다양한 패턴의 진동 및 음향에 관한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메모리부(160)는 플래시 메모리 타입(flash memory type), 하드디스크 타입(hard disk type), 멀티미디어 카드 마이크로 타입(multimedia card micro type), 카드 타입의 메모리(예를 들어 SD 또는 XD 메모리 등), 램(Random Access Memory, RAM), SRAM(Static Random Access Memory), 롬(ReadOnly Memory, ROM), EEPROM(Electrically Erasable Programmable ReadOnly Memory), PROM(Programmable ReadOnly Memory) 자기 메모리, 자기 디스크, 광디스크 중 적어도 하나의 타입의 저장매체를 포함할 수 있다. 이동 단말기(100)는 인터넷(internet)상에서 상기 메모리부(160)의 저장 기능을 수행하는 웹 스토리지(web storage)와 관련되어 동작할 수도 있다.
인터페이스부(170)는 이동 단말기(100)에 연결되는 모든 외부기기와의 통로 역할을 한다. 인터페이스부(170)는 외부 기기로부터 데이터를 전송받거나 전원을 공급받아 이동 단말기(100) 내부의 각 구성 요소에 전달하거나 이동 단말기(100) 내부의 데이터가 외부 기기로 전송되도록 한다. 예를 들어, 유/무선 헤드셋 포트, 외부 충전기 포트, 유/무선 데이터 포트, 메모리 카드(memory card) 포트, 식별 모듈이 구비된 장치를 연결하는 포트, 오디오 I/O(Input/Output) 포트, 비디오 I/O(Input/Output) 포트, 이어폰 포트 등이 인터페이스부(170)에 포함될 수 있다.
식별 모듈은 이동 단말기(100)의 사용 권한을 인증하기 위한 각종 정보를 저장한 칩으로서, 사용자 인증 모듈(User Identify Module, UIM), 가입자 인증 모듈(Subscriber Identify Module, SIM), 범용 사용자 인증 모듈(Universal Subscriber Identity Module, USIM)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식별 모듈이 구비된 장치(이하 '식별 장치')는, 스마트 카드(smart card) 형식으로 제작될 수 있다. 따라서 식별 장치는 포트를 통하여 단말기(100)와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인터페이스부는 이동 단말기(100)가 외부 크래들(cradle)과 연결될 때 상기 크래들로부터의 전원이 상기 이동 단말기(100)에 공급되는 통로가 되거나, 사용자에 의해 상기 크래들에서 입력되는 각종 명령 신호가 상기 이동 단말기로 전달되는 통로가 될 수 있다. 상기 크래들로부터 입력되는 각종 명령 신호 또는 상기 전원은 상기 이동 단말기가 상기 크래들에 정확히 장착되었음을 인지하기 위한 신호로 동작될 수도 있다.
제어부(180)는 통상적으로 이동 단말기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예를 들어 음성 통화, 데이터 통신, 화상 통화 등을 위한 관련된 제어 및 처리를 수행한다. 제어부(180)는 멀티 미디어 재생을 위한 멀티미디어 모듈(181)을 구비할 수도 있다. 멀티미디어 모듈(181)은 제어부(180) 내에 구현될 수도 있고, 제어부(180)와 별도로 구현될 수도 있다.
상기 제어부(180)는 상기 터치스크린 상에서 행해지는 필기 입력 또는 그림 그리기 입력을 각각 문자 및 이미지로 인식할 수 있는 패턴 인식 처리를 행할 수 있다.
전원 공급부(190)는 제어부(180)의 제어에 의해 외부의 전원, 내부의 전원을 인가받아 각 구성요소들의 동작에 필요한 전원을 공급한다.
여기에 설명되는 다양한 실시예는 예를 들어, 소프트웨어, 하드웨어 또는 이들의 조합된 것을 이용하여 컴퓨터 또는 이와 유사한 장치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 내에서 구현될 수 있다.
하드웨어적인 구현에 의하면, 여기에 설명되는 실시예는 ASICs (application specific integrated circuits), DSPs (digital signal processors), DSPDs (digital signal processing devices), PLDs (programmable logic devices), FPGAs (field programmable gate arrays, 프로세서(processors), 제어기(controllers), 마이크로 컨트롤러(microcontrollers), 마이크로 프로세서(microprocessors), 기능 수행을 위한 전기적인 유닛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구현될 수 있다. 일부의 경우에 그러한 실시예들이 제어부(180)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소프트웨어적인 구현에 의하면, 절차나 기능과 같은 실시예들은 적어도 하나의 기능 또는 작동을 수행하게 하는 별개의 소프트웨어 모듈과 함께 구현될 수 있다. 소프트웨어 코드는 적절한 프로그램 언어로 쓰여진 소프트웨어 어플리케이션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또한, 소프트웨어 코드는 메모리부(160)에 저장되고, 제어부(180)에 의해 실행될 수 있다.
도 2a는 본 발명과 관련된 이동 단말기 또는 휴대 단말기의 일 예를 전면에서 바라본 사시도이다.
개시된 휴대 단말기(100)는 바 형태의 단말기 바디를 구비하고 있다. 다만, 본 발명은 여기에 한정되지 않고, 2 이상의 바디들이 상대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슬라이드 타입, 폴더 타입, 스윙 타입, 스위블 타입 등 다양한 구조에 적용이 가능하다.
바디는 외관을 이루는 케이스(케이싱, 하우징, 커버 등)를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서, 케이스는 프론트 케이스(101)와 리어 케이스(102)로 구분될 수 있다. 프론트 케이스(101)와 리어 케이스(102)의 사이에 형성된 공간에는 각종 전자부품들이 내장된다. 프론트 케이스(101)와 리어 케이스(102) 사이에는 적어도 하나의 중간 케이스들이 추가로 배치될 수도 있다.
케이스들은 합성수지를 사출하여 형성되거나 금속 재질, 예를 들어 스테인레스 스틸(STS) 또는 티타늄(Ti) 등과 같은 금속 재질을 갖도록 형성될 수도 있다.
단말기 바디, 주로 프론트 케이스(101)에는 디스플레이부(151), 음향출력부(152), 카메라(121), 사용자 입력부(130/131,132), 마이크(122), 인터페이스(170) 등이 배치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151)는 프론트 케이스(101)의 주면의 대부분을 차지한다. 디스플레이부(151)의 양단부 중 일 단부에 인접한 영역에는 음향출력부(152)와 카메라(121)가 배치되고, 다른 단부에 인접한 영역에는 사용자 입력부(131)와 마이크(122)가 배치된다. 사용자 입력부(132)와 인터페이스(170) 등은 프론트 케이스(101) 및 리어 케이스(102)의 측면들에 배치된다.
사용자 입력부(130)는 휴대 단말기(100)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명령을 입력받기 위해 조작되는 것으로서, 복수의 조작 유닛들(131,132)을 포함할 수 있다.
조작 유닛들(131,132)은 조작부(manipulating portion)로도 통칭 될 수 있으며, 사용자가 촉각 적인 느낌을 가면서 조작하게 되는 방식(tactile manner)이라면 어떤 방식이든 채용될 수 있다.
조작 유닛들(131,132)에 의하여 입력되는 내용은 다양하게 설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조작 유닛(131)은 시작, 종료, 스크롤 등과 같은 명령을 입력받고, 제2 조작 유닛(132)은 음향출력부(152)에서 출력되는 음향의 크기 조절 또는 디스플레이부(151)의 터치 인식 모드로의 전환 등과 같은 명령을 입력받을 수 있다.
도 2b는 도 2a에 도시된 휴대 단말기의 후면 사시도이다.
도 2b를 참조하면, 단말기 바디의 후면, 다시 말해서 리어 케이스(102)에는 카메라(121')가 추가로 장착될 수 있다. 카메라(121')는 카메라(121, 도 2a 참조)와 실질적으로 반대되는 촬영 방향을 가지며, 카메라(121)와 서로 다른 화소를 가지는 카메라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카메라(121)는 화상 통화 등의 경우에 사용자의 얼굴을 촬영하여 상대방에 전송함에 무리가 없도록 저 화소를 가지며, 카메라(121')는 일반적인 피사체를 촬영하고 바로 전송하지는 않는 경우가 많기에 고 화소를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카메라(121,121')는 회전 또는 팝업(popup) 가능하게 단말기 바디에 설치될 수도 있다.
카메라(121')에 인접하게는 플래쉬(123)와 거울(124)이 추가로 배치된다. 플래쉬(123)는 카메라(121')로 피사체를 촬영하는 경우에 피사체를 향해 빛을 비추게 된다. 거울(124)은 사용자가 카메라(121')를 이용하여 자신을 촬영(셀프 촬영)하고자 하는 경우에, 사용자 자신의 얼굴 등을 비춰볼 수 있게 한다.
단말기 바디의 후면에는 음향 출력부(152')가 추가로 배치될 수도 있다. 음향 출력부(152')는 음향 출력부(152, 도 2a 참조)와 함께 스테레오 기능을 구현할 수 있으며, 통화시 스피커폰 모드의 구현을 위하여 사용될 수도 있다.
단말기 바디의 측면에는 통화 등을 위한 안테나 외에 방송신호 수신용 안테나(124)가 추가적으로 배치될 수 있다. 방송수신모듈(111, 도 1 참조)의 일부를 이루는 안테나(124)는 단말기 바디에서 인출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단말기 바디에는 휴대 단말기(100)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전원공급부(190)가 장착된다. 전원공급부(190)는 단말기 바디에 내장되거나, 단말기 바디의 외부에서 직접 탈착될 수 있게 구성될 수 있다.
리어 케이스(102)에는 터치를 감지하기 위한 터치 패드(135)가 추가로 장착될 수 있다. 터치 패드(135) 또한 디스플레이부(151)와 마찬가지로 광 투과형으로 구성될 수 있다. 이 경우에, 디스플레이부(151)가 양면에서 시각 정보를 출력하도록 구성된다면, 터치 패드(135)를 통해서도 상기 시각 정보를 인지할 수 있게 된다. 상기 양면에 출력되는 정보는 상기 터치 패드(135)에 의해 모두 제어될 수도 있다. 이와는 달리, 터치 패드(135)에는 디스플레이가 추가로 장착되어, 리어 케이스(102)에도 터치 스크린이 배치될 수도 있다.
터치 패드(135)는 프론트 케이스(101)의 디스플레이부(151)와 상호 관련되어 작동한다. 터치 패드(135)는 디스플레이부(151)의 후방에 평행하게 배치될 수 있다. 이러한 터치 패드(135)는 디스플레이부(151)와 동일하거나 작은 크기를 가질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를 도시한 도면이다.
이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다양한 종류의 이동 단말기(100)에 적용될 수 있다. 즉, 본 발명은, 특정 형태의 이동 단말기(100)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통신이 가능하다면 다양한 형태의 이동 단말기(100)에 적용될 수 있음을 의미한다.
도 3의 (a)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이동 단말기(100)는 태블릿 PC(Tablet PC)일 수 있다. 태블릿 PC는, 별도의 키보드 없이 대화면의 디스플레이(151)에 대한 터치 동작을 통하여 사용자로부터 입력을 받을 수 있는 전자 기기일 수 있다.
도 3의 (b)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이동 단말기(100)는 전자책(e-book)을 표시할 수 있는 전자책 리더기(e-book reader) 형태의 이동 단말기(100)일 수 있다.
도 4는 근접 센서의 근접 깊이를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사용자의 손가락 등과 같은 포인터가 상기 터치스크린에 근접하는 경우, 상기 터치스크린 내부 또는 근방에 배치된 상기 근접센서가 이를 감지하여 근접신호를 출력한다.
근접 센서는 상기 근접 터치되는 포인터와 상기 터치스크린 간의 거리(이하 "근접 깊이"라고 함)에 따라 서로 다른 근접 신호를 출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터치스크린에 포인터가 접근할 때 근접신호가 출력되는 거리를 검출거리라고 하는데, 간단하게는 상기 검출거리가 서로 다른 근접센서를 복수로 사용함으로써 각 근접센서에서 출력되는 근접신호를 비교하면 상기 근접 깊이를 알 수 있다.
도 4에서는 예컨대 3개의 근접 깊이를 감지할 수 있는 근접 센서가 배치된 터치스크린의 단면이 예시되고 있다. 3개 미만 또는 4개 이상의 근접 깊이를 감지하는 근접 센서도 가능함은 물론이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상기 포인터가 상기 터치스크린 상에 완전히 접촉되는 경우(d0)에는 접촉 터치로 인식된다. 상기 포인터가 상기 터치스크린 상에서 d1 거리 미만으로 이격되어 위치하는 경우에는 제 1 근접 깊이의 근접 터치로 인식된다.
상기 포인터가 상기 터치스크린 상에서 d1 거리 이상 d2 거리 미만으로 이격되어 위치하는 경우에는 제 2 근접 깊이의 근접 터치로 인식된다. 상기 포인터가 상기 터치스크린 상에서 d2 거리 이상 d3 거리 미만으로 이격되어 위치하는 경우에는 제 3근접 깊이의 근접 터치로 인식된다. 그리고, 상기 포인터가 상기 터치스크린 상에서 d3 거리 이상으로 이격되어 위치하는 경우에는 근접 터치가 해제된 것으로 인식된다.
따라서, 상기 제어부(180)는 상기 포인터의 터치스크린에 대한 근접거리 및 근접 위치 등에 따라 상기 근접 터치를 다양한 입력 신호로 인식할 수 있고, 상기 다양한 입력 신호에 따른 다양한 동작 제어를 수행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와 관련된 서비스 망을 도시한 구조도로서, 전자 기기 간에 컨텐츠를 공유하기 위한 서비스 망을 도시한 구조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이동 단말기(100)는 영상 표시 기능이 구현된 하나 이상의 외부 전자 기기(200)와 네트워크를 통해 연결되며, 외부 전자 기기(200)에서 컨텐츠가 표시되도록 외부 전자 기기(200)로 컨텐츠를 전달하거나, 외부 전자 기기(200)로부터 컨텐츠를 수신하여 화면에 표시함으로써 외부 전자 기기(200)와 컨텐츠를 공유한다.
도 5에서는 이동 단말기(100)가 휴대폰이고, 외부 전자 기기(200)가 텔레비전(television) 및 노트북 컴퓨터(laptop computer)인 경우를 예로 들어 설명하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발명에 따르면, 이동 단말기(100) 및 외부 전자 기기는 휴대폰, 텔레비전, 노트북 컴퓨터, 스마트 폰(smart phone), 디지털방송용 단말기,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s),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내비게이션, 데스크탑 컴퓨터(desktop computer), 셋탑 박스(set-top box), PVR(Personal Video Recorder), 전자 액자 등으로 구현될 수 있다.
다시, 도 5를 보면, 이동 단말기(100)가 외부 전자 기기(200)와 컨텐츠를 공유하기 위해서는, 이동 단말기(100)와 외부 전자 기기(200) 간의 상호 호환이 가능하도록 이동 단말기(100) 및 외부 전자 기기(200)의 플랫폼을 구성할 필요가 있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의 실시 예와 관련된 전자 기기들(100, 200)은 DLNA(Digital Living Network Alliance)에 기반하여 플랫폼을 구성할 수 있다.
DLNA에 따르면, 네트워크 스택으로 IPv4를 사용할 수 있으며, 네트워크 연결을 위해 이더넷(Ethernet), WLAN(Wireless Local Network)(802.11a/b/g), Wi-Fi(Wireless Fidelity), 블루투스(Bluetooth), 그 외 IP 접속이 가능한 통신 방식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DLNA에 따르면, 전자 기기의 발견 및 제어를 위해 UPnP 특히, UPnP AV Architecture 및 UPnP Device Architecture를 기반으로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자 기기의 발견을 위해 SSDP(simple service discovery protocol)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전자 기기의 제어를 위해 SOAP(simple object access protocol)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DLNA에 따르면, 미디어 전송을 위해 HTTP, RTP 등을 사용할 수 있으며, 미디어 포멧(media format)으로 JPEG, LPCM, MPEG2, MP3, MPEG4 등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DLNA에 따르면, 디지털 미디어 서버(digital media server, DMS), 디지털 미디어 플레이어(digital media player, DMP), 디지털 미디어 렌더러(digital media renderer, DMR) 및 디지털 미디어 컨트롤러(digital media controller, DMC) 유형의 전자 기기를 지원할 수 있다.
도 6은 DLNA 네트워크의 개념도를 도시한다.
상기 DLNA는, 네트워크로 전자기기 사이의 음악, 동화상, 정지화상 등의 콘텐츠를 상호 공유할 수 있도록 하는 표준화 기구의 대표명칭이다.
상기 DLNA는 UPnP (Universal Plug and Play) 프로토콜을 기반으로 한다.
상기 DLNA 네트워크(200)는 디지털 미디어 서버(210)(digital media server, DMS), 디지털 미디어 플레이어(220)(digital media player, DMP), 디지털 미디어 렌더러(230)(digital media renderer, DMR), 및 디지털 미디어 컨트롤러(240)(digital media controller, DMC)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DLNA 네트워크는 상기 DMS(210), DMP(220), DMR(230), 및 DMC(240)를 각각 하나이상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DLNA는 각각의 상기 기기들이 상호호환할 수 있도록 규격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상기 DLNA 네트워크는 DMS(210), DMP(220), DMR(230), 및 DMC(240)간의 상호호환을 위한 규격을 제공할 수 있다.
상기 DMS(210)는 디지털 미디어 콘텐츠를 제공할 수 있다. 즉 상기 DMS(210)는 콘텐츠를 저장하고 관리할 수 있다. 상기 DMS(210)는 상기 DMC(240)로부터 각종 명령을 받고, 명령을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DMS(210)는 플레이 명령(play command)을 수신한 경우, 재생할 콘텐츠를 찾고(search), 콘텐츠를 상기 DMR(230)에 제공할 수 있다. 상기 DMS(210)는 예를 들어, PC, PVR(personal video recorder), 셋톱 박스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DMP(220)는 콘텐츠나 전자기기를 제어할 수 있고, 콘텐츠가 재생되도록 할 수 있다. 즉, 상기 DMP(220)는 재생을 위한 상기 DMR(230) 및 제어를 위한 상기 DMC(240)의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상기 DMP(220)는, 예를 들어, TV, DTV, 홈시어터(home theater)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DMR(230)은 콘텐츠를 재생할 수 있다. 상기 상기 DMS(210)로부터 제공받은 콘텐츠를 재생할 수 있다. 상기 DMR(230)은, 예를 들어, 전자액자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DMC(240)는 제어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상기 DMC(240)는 예를 들어, 휴대폰, 및 PDA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DLNA 네트워크는 상기 DMS(210), DMR(230), 및 DMC(240)으로 이루어지거나 상기 DMP(220) 및 DMR(230)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상기 DMS(210), DMP(220), DMR(230), 및 DMC(240)는 전자기기를 기능적으로 구분하는 용어일 수 있다. 예를 들어, 휴대폰이 제어기능 뿐만 아니라 재생 기능을 가지는 경우에는 상기 DMP(220)에 해당할 수 있고, 상기 DTV(100)가 콘텐츠를 관리하는 경우에는 상기 DMP(220) 뿐만 아니라 상기 DMS(210)에 해당할 수도 있다.
도 7은 DLNA에 따른 기능 컴포넌트를 도시한다.
상기 DLNA에 따른 기능 컴포넌트는 미디어 포맷(media formats)층, 미디어 전송(media transport) 층, 기기 디스커버리 및 제어 그리고 미디어 관리(device discovery & control And media management) 층, 네트워크 스택(network stack) 층, 네트워크 연결(network connectivity)층을 포함할 수 있다.
네트워크 연결층은 네트워크의 물리층, 링크층을 포함할 수 있다. 네트워크 연결층은 이더넷(ethernet), 와이파이(Wi-Fi), 및 블루투스를 포함할 수 있다. 그 외에도, IP접속이 가능한 통신 매체를 사용할 수 있다.
네트워크 스택층은, IPv4 프로토콜을 사용할 수 있다.
기기 디스커버리 및 제어 그리고 미디어 관리층은 UPnP 특히, UPnP AV Architecture 및 UPnP Device Architecture를 기반으로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기기 디스커버리를 위하여 SSDP(simple service discovery protocol)를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제어를 위하여 SOAP(simple object access protocol)를 사용할 수 있다.
미디어 전송층은 스트리밍 재생을 위하여 HTTP 1.0/1.1.을 사용할 수 있다. 또는 RTP(real-time transport protocol)을 사용할 수 있다.
미디어 포맷층은 이미지, 오디오, AV 미디어, XHTML(Extensible Hypertext Markup Language) 문서를 사용할 수 있다.
도 8 및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의 동작 과정을 도시한 플로우챠트이다.
이들 도면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100)는 획득한 다른 전자기기(200)에 관한 정보를 효과적으로 표시할 수 있다. 따라서 다른 전자기기(200)와의 콘텐츠 교환을 보다 손쉽게 진행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100)의 제어부(도 1의 180)는, 콘텐츠를 출력하는 단계(S10)가 진행되도록 할 수 있다.
콘텐츠는 이동 단말기(100)에서 출력할 수 있는 각종 정보를 의미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콘텐츠는 동영상, 정지영상, 웹페이지, 각종 문서 등일 수 있다. 콘텐츠는 이동 단말기(100)의 메모리(도 1의 160)에 저장되어 있던 것이거나, 이동 단말기(100)의 무선 통신부(도 1의 110)을 통하여 수신한 것일 수 있다.
콘텐츠는 시각적으로 인식할 수 있는 정보, 청각적으로 인식할 수 있는 정보 및 촉각적으로 인식할 수 있는 정보를 포함하고 있을 수 있다. 촉각적으로 인식할 수 있는 정보는, 햅틱(haptic) 효과를 발생할 수 있는 진동정보일 수 있다. 예를 들어, 동영상의 특정 부분에 진동정보가 포함되어 있는 경우에, 제어부(도 1의 180)는 햅틱모듈(도 1의 154)이 동작하도록 하여 진동 효과를 줄 수 있다. 청각적으로 인식할 수 있는 정보는, 음성 등을 포함하는 각종 소리일 수 있다. 청각적으로 인식할 수 있는 정보는, 음향 출력 모듈(도 1의 152)을 통하여 출력될 수 있다. 시각적으로 인식할 수 있는 정보는, 시각을 통하여 인식할 수 있는 정보일 수 있다. 시각을 통하여 인식할 수 있는 정보는 디스플레이(151)를 통하여 표시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151)를 통하여 표시되는 정보는, 효과적인 정보의 전달을 위해서 디스플레이(141) 전면(全面)에 표시될 수 있다.
콘텐츠를 출력하고 있는 중에, 사용자의 입력을 획득하였는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S20)가 진행될 수 있다.
사용자의 입력은 다양한 방법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도 1의 180)는 이동 단말기(100)에 마련된 특정한 물리적 버튼이 푸쉬(push)되면 사용자의 입력이 있는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또한, 디스플레이(151)에 대한 터치 입력이 획득되면 사용자의 입력이 있는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다만,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다른 사용자 입력이, 디스플레이(151)에 대한 터치 입력인 것으로 전제하고 설명하도록 한다.
사용자의 입력을 획득하면, 다른 전자기기(200)에 대한 정보가 존재하는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S30)가 진행될 수 있다.
다른 전자기기(200)는, 이동 단말기(100)와 유무선을 통하여 통신할 수 있는 외부 기기를 의미할 수 있다. 다른 전자기기(200)는, 예를 들어, TV, 컴퓨터, 프로젝터, 오디오, 다른 이동 단말기 등일 수 있다. 이동 단말기(100)와 다른 전자기기(200)는 DLNA 규약에 따라 정보를 교환할 수 있으며, DLNA 규약에 따른 정보의 교환 방법은 전술한 바와 같다.
다른 전자기기(200)에 대한 정보는, 다른 전자기기(200)의 종류, 다른 전가기기(200)와의 통신 상태, 다른 전자기기(200)가 현재 가지고 있는 콘텐츠의 정보 등일 수 있다.
다른 전자기기(200)에 대한 정보는, 이동 단말기(100)가 사용자의 입력을 획득하기 전에 미리 획득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이동 단말기(100)가 아이들(idle) 상태에 있을 때, 미리 다른 전자기기(200)에 대한 정보를 탐색할 수 있다. 또한, 다른 전자기기(200)에 대한 정보는, 이동 단말기(100)와의 이전 통신을 통하여 획득되어 있는 것일 수 있다. 즉, 이동 단말기(100)의 제어부(도 1의 180)가, 기 접속되었던 다른 전자기기(200)에 대한 정보를 메모리(도 1의 160)에 저장하여 놓고 있을 수 있으믈 의미한다. 이때, 제어부(도 1의 180)는, 다른 전자기기(200)에 대한 정보를 위치정보와 함께 저장할 수 있다. 따라서 이동 단말기(100)가 특정위치에 있을 경우에는, 자동적으로 특정한 다른 전자기기(200)에 대한 정보를 로드(load)하여 사용할 수 있다.
다른 전자기기(200)에 대한 정보가 존재하지 않는 경우에, 출력한 콘텐츠를 송신할 다른 전자기기(200)를 검색하는 단계(S50)가 진행될 수 있다.
다른 전자기기(200)에 대한 검색은, 이동 단말기(100)가 무선 통신부(도 1의 110) 등을 통하여 일정한 신호를 송신하여 이에 대하여 반응하는 전자 장치를 찾는 방식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다른 전자기기(200)에 대한 정보가 존재하거나 검색이 완료되면, 다른 전자기기(200)에 대한 정보를 표시하는 단계(S50)가 진행될 수 있다.
다른 전자기기(200)에 대한 정보의 표시는, 사용자가 이를 명확히 식별하고 특정한 다른 전자기기(200)를 용이하게 선택할 수 있는 방법으로 수행될 수 있다. 다른 전자기기(200)에 대한 정보의 표시에 대해서는 도 9를 참조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도록 한다.
도 9에 도시한 바와 같이, 다른 전자기기(200)에 대한 정보를 표시하는 단계(S50)는, 드래그 터치입력의 길이가 L1 보다 짧은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S51)를 포함할 수 있다.
드래그 터치입력은, 디스플레이(151)에 대한 사용자의 입력일 수 있다. 즉, 사용자가 디스플레이(151)에 터치앤드래그(tooch & drag)하는 동작을 사용자의 입력으로 볼 수 있음을 의미한다.
드래그 터치입력을 획득하면, 제어부(도 1의 180)는 드래그된 터치의 길이를 알 수 있다. 제어부(도 1의 180)는 드래그된 터치의 길이가, 기 설정된 L1 보다 짧은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즉, 드래그 터치가 짧게 이루어졌는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드래그된 터치의 길이가 L1 보다 짧으면, 콘텐츠 출력화면의 크기를 1단계 축소하는 단계(S52) 및 확보된 영역에 대응되도록 다른 전자가기(200)의 정보를 표시하는 단계(S53)가 진행될 수 있다.
드래그 터치입력이 있으면, 디스플레이(151)에 표시되고 있는 콘텐츠의 크기를 축소할 수 있다. 콘텐츠 크기의 축소는, 디스플레이(151)의 특정 지점을 기준으로 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151)의 중심점을 기준으로 하여 외곽이 일정하게 줄어들거나, 디스플레이(151)의 일 측면을 기준으로 하여 나머지 측면이 줄어드는 경우가 있을 수 있다.
콘텐츠의 표시 크기가 축소되면, 콘텐츠가 축소된 만큼 빈 영역이 확보될 수 있다. 제어부(도 1의 180)는 콘텐츠가 축소되며 확도보니 빈 영역에, 다른 전자기기(200)의 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 이때, 드래그 터치입력이 기 설정된 길이보다 작은 경우라면, 출력화면의 크기를 상대적으로 작은 1단계만 축소할 수 있다. 따라서 다른 전자기기(200)에 대한 정보를 표시할 수 있는 영역도 상대적으로 작게 확보될 수 있다.
드래그 터치입력의 길이가 L1 보다 크면, 콘텐츠 출력화면의 크기를 2단계 축소하는 단계(S54) 및 확보된 영역에 대응되도록 다른 전자기기(200)의 정보를 표시하는 단계(S55)가 진행될 수 있다.
드래그 터치입력의 길이가 L1 보다 큰 경우는, 사용자가 디스플레이(151) 상에서 긴 드래그 터치 동작을 수행하였음을 의미한다. 제어부(도 1의 180)는, 긴 드래그 터치 동작이, 콘텐츠의 출력화면의 크기를 많이 축소하도록 하는 사용자의 의사를 반영하는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따라서 콘텐츠 출력화면의 크기를 많이 축소하는 2단계의 축소가 진행되도록 할 수 있다. 콘텐츠의 출력화면 크기가 많이 감소되면, 다른 전자기기의 정보를 표시할 영역도 많이 확보될 수 있다. 따라서 보다 만은 정보를 표시할 수 있게 된다.
다른 전자가기(200)에 대한 정보가 표시되면, 특정한 전자기기(200)에 대한 선택신호를 획득하는 단계(S60) 및 선택된 특정한 전자기기(200)로 콘텐츠를 송신하는 단계(S70)가 진행될 수 있다.
특정한 전자기기(200)에 대한 선택신호는, 표시된 다른 전자기기(200)의 정보를 터치하는 동작일 수 있다. 즉, 사용자가 손가락(F) 등을 이용하여, 표시된 다른 전자기기(200)에 대한 정보가 터치되면, 제어부(도 1의 180)는 그 다른 전자기기(200)가 선택된 것으로 볼 수 있다.
특정한 다른 전자기기(200)가 선택되면, 선택된 다른 전자기기(200)로 콘텐츠를 송신할 수 있다, 다른 전자기기(200)로 송신되는 콘텐츠는, 이동 단말기(100)가 현재 출력하고 있는 콘텐츠일 수 있다. 다른 전자기기(200)로 콘텐츠를 송신하면, 이동 단말기(100)는 그 콘텐츠의 출력을 중단할 수 있다.
도 10 내지 도 17은 도 8 이동 단말기의 콘텐츠 출력 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이들 도면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100)는 디스플레이(151)에 콘텐츠를 표시할 수 있다. 콘텐츠는 다양할 수 있으나, 이하에서는 콘텐츠가 웹페이지(WP)인 경우를 예로 들어 설명하도록 한다.
도 10에 도시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151)에는 웹페이지(WP)가 표시되어 있을 수 있다. 웹페이지(WP)는 디스플레이(151)의 전면(全面)에 표시되어 있을 수 있다.
도 1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사용자는 제1,2 손가락(F1, F2) 등을 이용하여 디스플레이(151)에 드래그(drag) 터치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즉, 제1,2 손가락(F1, F2)이 서로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드래그 터치 동작을 수행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해당하는 부분에서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겠지만, 제1,2 손가락(F1, F2)이 드래그되는 거리는 웹페이지(WP)가 줄어드는 면적을 결정하는 기준이 될 수 있다.
도 1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어부(도 1의 180)는, 사용자의 드래그 터치 동작에 의한 입력에 대응하여 웹페이지(WP)의 표시 영역이 감소되도록 할 수 있다. 웹페이지(WP)의 표시 영역이 감소되면, 디스플레이(151)에는 제1 영역(A)이 확보될 수 있다. 즉, 디스플레이(151)의 중심점을 기준으로 웹페이지(WP)의 외곽이 축소되어 웹페이지(WP)의 외곽에 제1 영역(A)이 확보될 수 있음을 의미한다. 확보된 제1 영역(A)에는 제1 내지 4 정보(A1 내지 A4)가 표시될 수 있다.
제1 내지 4 정보(A1 내지 A4)는, 이동 단말기(100)와 통신 가능한 다른 전자기기(200)에 대한 정보일 수 있다. 즉, DLNA 통신방법을 이용하여 이동 단말기(100)와 콘텐츠를 교환할 수 있는 다른 전자기기(200)에 대한 정보일 수 있음을 의미한다. 예를 들어, 제1 정보(A1)는 특정한 프로젝터가 이동 단말기(100)와 통신할 수 있음을 표시하고, 제2 정보(A2)는 특정한 TV가 이동 단말기(100)와 통신할 수 있음을 표시한다. 또한, 제3 정보(A3)는 특정한 전화기가 이동 단말기(100)와 통신할 수 있음을 표시하고, 제4 정보(A4)는 특정한 태블릿 PC가 이동 단말기(100)와 통신할 수 있음을 표시한다.
이동 단말기(100)와 콘텐츠를 교환할 수 있는 다른 전자기기(200)에 대한 정보가 간단한 터치동작을 통하여 디스플레이(151)에 직접적으로 표시됨으로 인하여, 사용자가 통신하기 원하는 다른 전자기기(200)를 편리하고 빠르게 선택할 수 있다.
도 13에 도시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151)는 제1 영역(A)과 콘텐츠 영역(CA)으로 구분될 수 있다. 제1 영역(A)은 사용자의 드래그 터치동작에 의하여 콘텐츠의 표시가 사라지고 다른 전자기기(200)의 정보가 표시되는 부분이며, 콘텐츠 영역(CA)은 크기가 감소된 콘텐츠가 표시되는 부분이다. 제1 영역(A)은 디스플레이(151)의 가장자리 영역이며, 콘텐츠 영역(CA)은 디스플레이(151)의 중앙 영역일 수 있다.
도 1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웹페이지(WP)의 표시가 축소되어 있는 상태에서 사용자는 제1,2 손가락(F1, F2)을 이용하여 멀치터치 할 수 있다. 이때, 제1,2 손가락(F1, F2)는 서로 근접하는 방향으로 이동하는 드래그 터치일 수 있다.
도 15에 도시한 바와 같이, 멀티터치 입력이 획득되면, 제어부(도 1의 180)는 웹페이지(WP)의 표시를 더 축소할 수 있다. 웹페이지(WP)가 축소되며 제2 영역(B)이 확보될 수 있다.
제2 영역(B)에는 제5 내지 8 정보(B1 내지 B4)가 표시될 수 있다. 제5 내지 8 정보(B1 내지 B4)는, 제1 내지 4 정보(A1 내지 A4)에 표시하지 못한 다른 전자기기(200)일 수 있다. 즉, 4개 이상의 다른 전자기기(200)와 통신 가능할 때, 제1 영역(A)에 표시하지 못한 다른 전자기기(200)에 관한 정보를 제2 영역(B)에 표시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제1,2 영역(A, B) 각각을 하나의 레이어(layer)로 호칭할 수 있다. 즉, 제1 영역(A)을 제1 레이어, 제2 영역(B)을 제2 레이어로 볼 수 있음을 의미한다.
콘텐츠인 웹페이지(WP)가 순차적으로 축소되며 확보된 제1,2 영역(A, B)에 다른 전자기기(200)의 정보가 표시됨으로 인하여, 사용자는 편리하게 다른 전자기기(200)에 대한 정보를 확인할 수 있다. 즉, 별도의 팝업창이 표시되면 표시된 팝업창에 표시된 메뉴를 선택하는 등의 번거로운 절차를 거치지 않고서도, 다른 전자기기(200)에 대한 정보를 표시하고 이를 선택할 수 있음으로 인하여 편의성 증대를 기대할 수 있다.
도 16에 도시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151)이는 제1 영역(A), 제2 영역(B), 콘텐츠 영역(CA)으로 구분될 수 있다. 제1 영역(A)은 사용자가 첫 번째 멀티 터치 드래그를 수행한 경우에 확보된 영역이며, 제2 영역(B)은 사용자가 두 번째 멀티 터치 드래그를 수행한 경우에 확보된 영역이다.
제2 영역(B)은, 전술한 바와 같이, 사용자가 두 번째 멀티 터치 드래그를 수행한 경우에 확보될 수 있다. 또한, 제2 영역(B)은 한 번의 멀티 터치 드래그의 길이가 기 설정된 길이보다 긴 경우에도 확보될 수 있다. 즉, 멀티 터치 드래그가 설정된 길이보다 짧은 경우에는 제1 영역(A) 만이 확보되고, 멀티 터치 드래그가 설정된 길이보다 긴 경우에는 제2 영역(B) 까지 확보될 수 있음을 의미한다.
도 17에 도시한 바와 같이, 멀티 터치 드래그의 길이에 따라서 확보되는 영역의 면적이 달라질 수 있다. 도 17의 가로축은 드래그 길이이며, 세로축은 콘텐츠 영역(CA)의 면적 변화이다.
사용자의 멀티터치 드래그의 길이가 L1을 넘어서면, 콘텐츠 영역(CA)은 Area1 만큼 될 수 있다. 사용자의 멀티터치 드래그가 계속되어 L2를 넘어서면, 콘텐츠 영역(CA)은 Area2 만큼 될 수 있다. 즉, 멀티터치 드래그의 길이가 증가함에 따라서 콘텐츠 영역(CA)의 너비가 줄어듬을 의미하며, 이는 다른 전자기기(200)의 정보를 표시할 수 있는 영역의 너비가 증가함을 의미한다.
도 18 내지 도 21은 도 8 이동 단말기의 콘텐츠 전송 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이들 도면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100)는, 표시된 다른 전자기기(200)의 정보를 선택하는 동작에 대응하여 콘텐츠를 다른 전자기기(200)로 송신할 수 있다
도 18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 영역(A)에 다른 전자기기(200)의 정보가 표시되어 있을 수 있다. 사용자는 그 중 하나인 제2 정보(A2) 영역을 손가락(F) 등을 이용하여 터치할 수 있다. 제 2정보(A2)는 다른 전자기기(200) 중에서 TV에 대응될 수 있다.
도 19에 도시한 바와 같이, TV가 선택되면, 제어부(도 1의 180)는 콘텐츠를 다른 전자기기(200)의 하나인 TV로 송신할 수 있다. 콘텐츠를 송신받은 TV는 이를 표시할 수 있다. 이동 단말기(100)로부터 다른 전자기기(200)로의 콘텐츠 송신은, 직접 송신되거나 DLNA 기술을 적용하여 송신될 수 있다.
도 20에 도시한 바와 같이, 사용자는 제2,3 정보(A2, A3)를 순차적 또는 동시에 선택할 수 있다. 제2,3 정보(A2, A3)는 다른 전자기기(200) 중에서 TV와 이동 단말기에 대응될 수 있다.
도 21에 도시한 바와 같이, TV와 이동 단말기가 선택되면, 제어부(도 1의 180)는 콘텐츠를 제1 전자기기(200a)인 TV와 제2 전자기기(200b)인 이동 단말기로 송신할 수 있다. 제1,2 전자기기(200a, 200b)는 송신받은 콘텐츠를 표시할 수 있다.
도 22 및 도 23은 도 8 이동 단말기의 콘텐츠 전송 이후의 동작을 도시한 도면이다.
이들 도면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100)는 콘텐츠를 송신할 다른 전자기기(200)가 선택된 이후에 다양한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도 22의 (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어부(도 1의 180)는 사용자가 제2 정보(A2)를 선택한 이후에도 웹페이지(WP)가 축소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특정한 다른 전자기기(200)가 선택되어 콘텐츠의 공유가 이루어지고 있음을 쉽게 인식할 수 있다.
도 22의 (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어부(도 1의 180)는 사용자가 특정한 정보를 선택한 이후에 웹페이지(WP)를 원래의 표시 형태로 복구할 수 있다. 즉, 디스플레이(151)의 전면(全面)에 웹페이지(WP)가 표시되도록 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도 23의 (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어부(도 1의 180)는 웹페이지(WP)의 일 측에 다른 전자기기(200)와 콘텐츠를 송신 또는 공유 중임을 표시하는 인디케이터(CI)를 표시할 수 있다. 즉, 디스플레이(151)의 일 측에 색상이 다른 바(bar)를 표시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인디케이터(CI)는 평소에는 표시되지 않다가, 사용자가 웹페이지(WP)를 터치하면 일정 시간 표시되는 형태도 가능하다.
도 23의 (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어부(도 1의 180)는 웹페이지(WP)의 모서리에 다른 전자기기(200)와 콘텐츠를 송신 또는 공유 중임을 표시하는 인디케이터(CI)를 표시할 수 있다. 즉, 디스플레이(151)의 모서리에 색상이 다른 원형의 인디케이터를 표시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도 24 및 도 25는 도 8 이동 단말기의 콘텐츠 전송 중단 동작을 도시한 도면이다.
이들 도면에 도시한 바와 같이, 사용자는 표시된 다른 전자기기(200)에 관한 정보를 선택함으로써 콘텐츠의 공유를 손쉽게 중단시킬 수 있다.
도 2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이동 단말기(100)는 현재 TV와 콘텐츠를 공유하고 있을 수 있다. 콘텐츠를 공유하고 있는 상태에서, 사용자는 손가락(F)으로 TV에 대응된 제2 정보(A2)를 다시 터치할 수 있다.
도 2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어부(도 1의 180)는 팝업창(P)을 표시할 수 있다. 팝업창(P)은, TV와의 콘텐츠 공유를 중단할지 여부를 확인하는 내용을 포함하고 있을 수 있다. 사용자는 원하는 기능을 선택할 수 있다.
도 26은 도 8 이동 단말기의 선택적 콘텐츠 전송을 설명한 도면이다.
이에 도시한 바와 같이, 콘텐츠 1은 웹페이지이고, 콘텐츠 2는 사운드일 수 있으며, 제어부(도 1의 180)는 콘텐츠의 종류에 따라서 적절한 전자기기에 전송할 수 있다.
콘텐츠 1은 TV, 타블렛(TABLET), 디자털 액자(DIGITAL FRAME)에 전송가능할 수 있다. 즉, 시각적으로 출력 가능한 콘텐츠 1인 웹페이지를 디스플레이 기능이 있는 전자기기로 전송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콘텐츠 2는 TV, 타블렛, 스피커에 전송가능할 수 있다. 즉, 청각적으로 출력 가능한 콘텐츠 2인 사운드를 음향 출력 기능이 있는 전자기기로 전송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제어부(도 1의 180)는, 콘텐츠 전체를 특정한 전자기기에 전송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콘텐츠 중 일 부분과 다른 부분을 각각 다른 전자기기로 전송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콘텐츠가 동영상인 경우에, 영상 부분은 TV로 송신하고 음향은 스피커로 송신할 수 있다.
제어부(도 1의 180)는, 다른 전자기기 중에서 콘텐츠를 출력할 수 있는 전자기기의 정보만을 선택적으로 디스플레이(151)에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콘텐츠가 웹페이지인 경우라면, 스피커는 표시하지 않을 수 있음을 의미한다.
도 27 및 도 28은 도 8 이동 단말기의 콘텐츠 전송 우선순위를 설명한 도면이다.
이들 도면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2 영역(도 15의 A, B)에 표시되는 다른 전자기기는 기 설정된 우선순위에 기초하여 표시될 수 있다.
도 2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우선순위는 특정한 전자기기와 접속된 시간에 기초하여 결정될 수 있다. 즉, 최근에 접속한 이력이 있는 전자기기의 우선순위가 높게 설정할 수 있다. 접속한 이력에 따른 우선순위에 기초하여, 제어부(도 1의 180)는 그룹 A와 그룹 B로 전자기기를 구분한 후, 제1 영역(도 15의 A)에 그룹 A 전자기기를 표시하고, 제2 영역(도 15의 B)에 그룹 B 전자기기를 표시할 수 있다.
도 28에 도시한 바와 같이, 우선수위는 특정한 전자기기와의 거리에 기초하여 결정될 수 있다. 즉, 이동 단말기(100)에 가까운 전자기기의 우선순위를 높게 설정하고, 이동 단말기(100)에서 먼 전자기기의 우선순위를 낮게 설정할 수 있다. 전자기기와의 거리는, 그 전자기기와의 통신 상태 등에 기초하여 추정할 수 있다. 즉, 통신 상태가 좋으면 상대적으로 가까운 위치에 있는 것으로 볼 수 있고, 통신 상태가 좋지 않으면 상대적으로 먼 위치에 있는 것으로 볼 수 있다.
도 29는 도 8 이동 단말기의 다른 전자기기의 종류에 따른 선택적 기능 실행을 설명한 도면이다.
이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이동 단말기(100)의 제어부(도 1의 180)는, 선택된 다른 전자기기의 특성에 따라 특정한 기능을 선택적으로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TV는 저장기능이 없을 수 있다. 따라서 제어부(도 1의 180)는 TV가 선택된 경우에 콘텐츠의 재생기능이 실행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PC는 재생 기능 및 저장 기능이 있을 수 있음으로, 재생 및/또는 저장기능이 실행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재생기능이 없는 SERVER는 저장 및/또는 전송기능이 실행되도록 할 수 있다.
도 30 내지 도 35는 도 8 이동 단말기의 다른 전자 디바이스로부터 획득한 정보의 표시 동작을 도시한 도면이다.
이들 도면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100)는 다른 전자기기(200)로부터 콘텐츠의 정보를 획득하여 표시할 수 있다.
도 30에 도시한 바와 같이, 사용자는 제4 정보(A4) 영역을 터치한 후 디스플레이(151)의 중앙부를 향하는 드래그 터치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도 3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사용자가 특정한 전자기기(200)를 선택하는 동작을 수행하면, 제어부(도 1의 180)는 그 전자기기(200)가 저장하고 있는 콘텐츠의 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태블릿이 저장하고 있는 제1 내지 4콘텐츠 정보(TC1 내지 TC4)를 표시할 수 있다. 사용자가 표시된 콘텐츠 정보(TC)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면, 선택한 콘텐츠 정보(TC)를 획득하여 재생할 수 있다.
도 3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 영역(A)에는 다른 전자기기(200)의 종류 및 콘텐츠의 정보가 함께 표시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정보(A1)는, 그에 대응된 다른 전자기기(200)가 TV 라는 점 및 TV에서 현재 방영 중인 프로그램에 대한 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사용자는 제1 정보(A1)를 선택할 수 있다.
도 3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어부(도 1의 180)는, 사용자가 선택한 제1 정보(A1)에 대응된 TV에서 방영 중인 프로그램이 이동 단말기(100)의 디프슬레이(151)에 표시되도록 할 수 있다.
도 3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사용자는 전화기에 대응된 제1 정보(A1)를 선택할 수 있다. 제어부(도 1의 180)는 선택된 전화기의 콘텐츠를 디스플레이(151)에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화기의 통화 이력을 표시할 수 있다.
도 3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사용자는 이동 단말기에 대응된 제3 정보(A3)를 선택할 수 있다. 이동 단말기에 대응된 제3 정보(A3)를 선택하면, 제어부(도 1의 180)는 전화기에 대응된 통화 이력과 관련된 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 즉, 제어부(도 1의 180)는 현재 선택된 전자기기에서 획득한 콘텐츠와 속성이 동일한 콘텐츠를 또 다른 전자기기에서 획득하여 표시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예를 들어, 이동 단말기의 통화 이력을 디스플레이(151)에 표시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도 36 및 도 37은 도 8 이동 단말기의 다른 전자기기의 정보 전달 동작을 도시한 도면이다.
이들 도면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어부(도 1의 180)는 디스플레이(151)에 표시된 콘텐츠를 다른 전자기기(200)로 송신할 수 있다.
도 3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사용자는 표시된 콘텐츠인 웹페이지(WP)에서 시작되어 프린터에 대응된 제3 정보(A3) 까지 드래그 하는 터치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이와 같은 터치 동작이 수행되면, 웹페이지(WP)가 출력될 수 있도록 제어부(도 1의 180)는 웹페이지(WP) 콘텐츠를 프린터로 송신할 수 있다.
도 3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사용자는 표시된 콘텐츠인 웹페이지(WP)에서 시작되어 태블릿에 대응된 제4 정보(A4) 까지 드래그 하는 터치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이와 같은 터치 동작이 수행되면, 제어부(도 1의 180)는 웹페이지(WP)를 태블릿으로 송신할 수 있다.
도 38 및 도 39는 도 8 이동 단말기의 메뉴표시 방법을 도시한 도면이다.
이들 도면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100)의 제어부(도 1의 180)는, 현재 실행되고 있는 기능과 연관된 메뉴를 표시할 수 있다.
도 38에 도시한 바와 같이, 사용자는 메모기능(NC)을 실행하여 필요한 메모를 기록할 수 있다. 메모를 기록한 사용자가 두 손가락으로 멀티 터치 드래그를 수행하면, 메모와 관련된 기능에 대응된 메뉴가 제1 영역(A)에 표시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메모기능(NC)을 사용하여 기록한 내용을 소셜네트워크서비스(SNS)로 바로 송신할 수 있는 메뉴가 표시될 수 있다.
도 39에 도시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151)에는 연락처정보(PC)가 표시되고 있을 수 있다. 이 경우에는, 제1 영역(A1)에 연락을 취할 수 있는 관련 메뉴가 표시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메시지 송신, 이메일 송신, 전화걸기 등의 메뉴가 표시될 수 있음을 의미한다.
본 발명은 기재된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할 수 있음은 이 기술의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하다. 따라서, 그러한 수정예 또는 변형예들은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에 속한다 하여야 할 것이다.
100 : 이동 단말기 10 : 무선 통신부
140 : 센싱부 151 : 디스플레이부
180 : 제어부

Claims (21)

  1. 적어도 하나의 다른 전자기기와 통신하는 무선 통신부;
    콘텐츠를 표시하는 디스플레이; 및
    획득한 사용자의 제1 입력에 대응하여 상기 콘텐츠의 표시 영역을 축소하고, 상기 콘텐츠를 축소하여 확보한 영역에 상기 적어도 하나의 다른 전자기기의 정보를 표시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이동 단말기.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입력은, 상기 디스플레이에 대한 드래그 터치이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드래그 터치의 드래그 길이에 비례하여 상기 콘텐츠의 표시 영역을 축소하는 이동 단말기.
  3.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입력은, 상기 디스플레이에 대한 드래그 터치이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드래그 터치의 횟수에 비례하여 상기 콘텐츠의 표시 영역을 축소하는 이동 단말기.
  4. 제2 항 또는 제3 항에 있어서,
    상기 드래그 터치는,
    복수의 터치점이 서로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드래그 되는 터치 입력인 이동 단말기.
  5.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확보한 영역이 상기 디스플레이의 각 모서리 영역이 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의 중앙지점을 중심으로 상기 콘텐츠의 표시 영역을 축소하는 이동 단말기.
  6. 제5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각 모서리 영역 각각에 상기 다른 전자기기의 정보를 표시하는 이동 단말기.
  7. 제6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디스플레이에 대한 드래그 터치의 드래그 길이가 기 설정된 길이보다 길면, 상기 표시한 다른 전자기기의 정보의 내측에 또 다른 전자기기의 정보를 더 표시하는 이동 단말기.
  8.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표시한 적어도 하나의 다른 전자기기의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선택하는 상기 사용자의 제2 입력을 획득하면, 상기 표시한 콘텐츠를 상기 무선 통신부를 통하여 상기 선택한 적어도 하나의 다른 전자기기와 공유하는 이동 단말기.
  9. 제8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콘텐츠를 공유하는 다른 전자기기의 정보를, 상기 콘텐츠를 공유하지 않는 다른 전자기기기의 정보와 다르게 표시하는 이동 단말기.
  10.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다른 전자기기 중 상기 콘텐츠를 출력할 수 있는 다른 전자기기의 정보를 선택적으로 표시하는 이동 단말기.
  11.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다른 전자기기 간의 우선순위에 기초하여 상기 적어도 하나의 다른 전자기기의 정보를 표시하는 이동 단말기.
  12. 제1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우선순위를, 상기 적어도 하나의 다른 전자기기와의 최근 접속 시간, 거리, 통신 상태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기초하여 결정하는 이동 단말기.
  13. 적어도 하나의 다른 전자기기와 통신하는 무선 통신부;
    콘텐츠를 표시하는 디스플레이; 및
    획득한 터치 동작의 드래그(drag) 길이와 횟수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기초하여 상기 적어도 하나의 다른 전자기기의 정보를 표시하는 적어도 하나의 레이어(layer)를 상기 디스플레이의 외주영역에 표시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이동 단말기.
  14. 제13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레이어가 표시되는 영역에 대응하여 상기 표시한 콘텐츠 영역을 축소하는 이동 단말기.
  15. 제13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표시한 적어도 하나의 다른 전자기기의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선택하는 상기 사용자의 입력을 획득하면, 상기 표시한 콘텐츠를 상기 무선 통신부를 통하여 상기 선택한 적어도 하나의 다른 전자기기와 공유하는 이동 단말기.
  16. 제13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다른 전자기기 중 상기 콘텐츠를 출력할 수 있는 다른 전자기기의 정보를 선택적으로 표시하는 이동 단말기.
  17. 제13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다른 전자기기 간의 우선순위에 기초하여 상기 적어도 하나의 다른 전자기기의 정보를 표시하는 이동 단말기.
  18. 콘텐츠를 표시하는 단계;
    사용자의 제1 입력을 획득하면, 상기 콘텐츠의 표시 영역을 축소하는 단계; 및
    상기 콘텐츠를 축소하여 확보한 영역에 상기 적어도 하나의 다른 전자기기의 정보를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이동 단말기의 제어방법.
  19. 제18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입력은 상기 디스플레이에 대한 드래그 터치이며,
    상기 축소하는 단계는,
    상기 드래그 터치의 드래그 길이와 횟수 중 적어도 하나에 비례하여 상기 콘텐츠의 표시 영역을 축소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이동 단말기의 제어방법.
  20. 제18 항에 있어서,
    상기 축소하는 단계는,
    상기 확보한 영역이 디스플레이의 각 모서리 영역이 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의 중앙지점을 중심으로 상기 콘텐츠의 표시 영역을 축소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이동 단말기의 제어방법.
  21. 제18 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한 적어도 하나의 다른 전자기기의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선택하는 상기 사용자의 제2 입력을 획득하면, 상기 표시한 콘텐츠를 상기 선택한 적어도 하나의 다른 전자기기와 공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이동 단말기의 제어방법.
KR1020100123259A 2010-12-06 2010-12-06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KR101750898B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23259A KR101750898B1 (ko) 2010-12-06 2010-12-06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US13/029,483 US8675024B2 (en) 2010-12-06 2011-02-17 Mobile terminal and displaying method thereof
CN201110078797.3A CN102486716B (zh) 2010-12-06 2011-03-28 移动终端及其显示方法
EP11162319.5A EP2464084B1 (en) 2010-12-06 2011-04-13 Mobile terminal and displaying method thereof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23259A KR101750898B1 (ko) 2010-12-06 2010-12-06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62136A true KR20120062136A (ko) 2012-06-14
KR101750898B1 KR101750898B1 (ko) 2017-06-26

Family

ID=4411748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123259A KR101750898B1 (ko) 2010-12-06 2010-12-06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8675024B2 (ko)
EP (1) EP2464084B1 (ko)
KR (1) KR101750898B1 (ko)
CN (1) CN102486716B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5046837A1 (ko) * 2013-09-25 2015-04-02 주식회사 픽스트리 컨텐츠 공유 장치 및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1763270B (zh) 2010-01-28 2011-06-15 华为终端有限公司 组件显示处理方法和用户设备
US20110239114A1 (en) * 2010-03-24 2011-09-29 David Robbins Falkenburg Apparatus and Method for Unified Experience Across Different Devices
US8805683B1 (en) 2012-02-24 2014-08-12 Google Inc. Real-time audio recognition protocol
KR101742578B1 (ko) * 2011-01-14 2017-06-01 삼성전자주식회사 컨텐츠 관리 방법 및 이를 적용한 디스플레이 장치
CA2830491C (en) * 2011-03-31 2018-07-03 Smart Technologies Ulc Manipulating graphical objects in a multi-touch interactive system
KR20130007811A (ko) * 2011-07-11 2013-01-21 삼성전자주식회사 외부 장치와 연결된 휴대 단말기의 화면 표시 방법 및 장치
US9594504B2 (en) * 2011-11-08 2017-03-14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User interface indirect interaction
EP2597838B1 (en) * 2011-11-28 2018-09-05 Lg Electronics Inc. Mobile terminal and image display apparatus mounted in a car
US9983771B2 (en) 2011-12-28 2018-05-29 Nokia Technologies Oy Provision of an open instance of an application
US8996729B2 (en) 2012-04-12 2015-03-31 Nokia Corporation Method and apparatus for synchronizing tasks performed by multiple devices
KR101679343B1 (ko) * 2011-12-28 2016-11-24 노키아 테크놀로지스 오와이 애플리케이션 스위쳐
KR102008495B1 (ko) * 2012-02-24 2019-08-08 삼성전자주식회사 데이터 공유 방법 및 이를 위한 이동 단말기
US9280599B1 (en) * 2012-02-24 2016-03-08 Google Inc. Interface for real-time audio recognition
US9208225B1 (en) 2012-02-24 2015-12-08 Google Inc. Incentive-based check-in
US20150370473A1 (en) * 2012-06-27 2015-12-24 Nokia Corporation Using a symbol recognition engine
US9176703B2 (en) 2012-06-29 2015-11-03 Lg Electronics Inc. Mobile terminal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for screen capture
KR101899816B1 (ko) * 2012-07-26 2018-09-20 엘지전자 주식회사 단말 장치 및 이의 필기 공유 방법
CN103593130A (zh) * 2012-08-14 2014-02-19 联咏科技股份有限公司 可携式装置
US20140118222A1 (en) * 2012-10-30 2014-05-01 Cloudcar, Inc. Projection of content to external display devices
KR101527039B1 (ko) 2012-11-01 2015-06-08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 및 이의 제어 방법
KR102125856B1 (ko) 2012-11-12 2020-06-23 삼성전자주식회사 데이터를 송수신하기 위한 멀티미디어 장치들간 출력 장치 공유 방법 및 시스템
CN103309604A (zh) * 2012-11-16 2013-09-18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一种终端及终端屏幕显示信息控制方法
US9755995B2 (en) * 2012-11-20 2017-09-05 Dropbox, Inc. System and method for applying gesture input to digital content
KR101919796B1 (ko) * 2013-01-11 2018-11-19 엘지전자 주식회사 휴대 단말기 및 그 제어 방법
KR102014769B1 (ko) * 2013-01-14 2019-08-27 주식회사 케이티 얼굴 인식 정보를 이용하는 장치 및 방법
US9311041B2 (en) 2013-02-22 2016-04-12 Blackberry Limited Device, system and method for generating data
EP2770710B1 (en) * 2013-02-22 2020-11-11 BlackBerry Limited Device, system and method for generating data for an external display
US20140267074A1 (en) * 2013-03-14 2014-09-18 Qualcomm Incorporated System and method for virtual user interface controls in multi-display configurations
KR20150018256A (ko) * 2013-08-09 2015-02-23 엘지전자 주식회사 모바일 디바이스 및 그 제어 방법
CN103595775B (zh) * 2013-11-04 2018-01-19 惠州Tcl移动通信有限公司 媒体文件的共享方法及系统
KR20150124235A (ko) * 2014-04-28 2015-11-05 삼성전자주식회사 사용자 단말 및 이의 제어 방법, 그리고 멀티미디어 시스템
KR102219861B1 (ko) * 2014-05-23 2021-02-24 삼성전자주식회사 화면 공유 방법 및 그 전자 장치
JP2016015714A (ja) * 2014-06-10 2016-01-28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情報提供システムおよび情報提供方法
KR20150144641A (ko) * 2014-06-17 2015-12-28 삼성전자주식회사 사용자 단말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CN108279834A (zh) * 2014-09-29 2018-07-13 联想(北京)有限公司 一种控制方法和装置
US20160117076A1 (en) * 2014-10-22 2016-04-28 Lg Electronics Inc. Mobile terminal and control method thereof
CN105808089A (zh) * 2014-12-30 2016-07-27 联想(北京)有限公司 一种数据传输方法及第一电子设备
KR102296323B1 (ko) * 2015-01-14 2021-09-01 삼성전자주식회사 전자 장치 및 전자 장치에서의 정보 처리 방법
KR102297330B1 (ko) * 2015-01-16 2021-09-02 삼성전자주식회사 화면 제어 방법 및 그 방법을 처리하는 전자 장치
CN106937142B (zh) * 2015-12-29 2020-01-24 平安科技(深圳)有限公司 影像显示方法、服务器及终端
JP6869122B2 (ja) * 2017-06-20 2021-05-12 シャープ株式会社 コンテンツ連携システム、コンテンツ受信装置及びコンテンツ連携方法
JP2019008365A (ja) * 2017-06-20 2019-01-17 シャープ株式会社 表示装置及びプログラム
US11366571B2 (en) * 2018-05-04 2022-06-21 Dentma, LLC Visualization components including sliding bars
CN109032725A (zh) * 2018-06-29 2018-12-18 百度在线网络技术(北京)有限公司 用于显示界面的方法及装置
JP7214542B2 (ja) * 2019-04-12 2023-01-30 フォルシアクラリオン・エレクトロニクス株式会社 表示制御装置、及び表示制御方法
CN110958475A (zh) * 2019-10-30 2020-04-03 华为终端有限公司 一种跨设备的内容投射方法及电子设备
KR20220159567A (ko) * 2021-05-26 2022-12-05 삼성에스디에스 주식회사 정보 공유 인터페이스 제공 방법, 대화창에 공유된 정보 표시 방법, 그리고 이를 구현하기 위한 장치

Family Cites Families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74724B1 (ko) 2001-08-04 2005-03-08 삼성전자주식회사 터치스크린을 가지는 장치 및 그 장치에 외부디스플레이기기를 연결하여 사용하는 방법
WO2004104982A1 (en) * 2003-05-14 2004-12-02 Collaborative Sciences And Technology, Inc. Persistent portal
JP4771111B2 (ja) * 2004-10-04 2011-09-14 ソニー株式会社 表示制御装置および方法、記録媒体、並びにプログラム
KR100619071B1 (ko) * 2005-03-18 2006-08-31 삼성전자주식회사 메뉴 표시 장치 및 그 방법과 이를 수행하기 위한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매체
EP1969452A2 (en) * 2005-12-30 2008-09-17 Apple Inc. Portable electronic device with multi-touch input
US7880728B2 (en) * 2006-06-29 2011-02-01 Microsoft Corporation Application switching via a touch screen interface
KR20080073868A (ko) * 2007-02-07 2008-08-12 엘지전자 주식회사 단말기 및 메뉴표시방법
US8850052B2 (en) * 2008-09-30 2014-09-30 Apple Inc. System and method for simplified resource sharing
KR101521932B1 (ko) 2009-01-19 2015-05-20 엘지전자 주식회사 단말기 및 그 제어 방법
KR20100134153A (ko) * 2009-06-15 2010-12-23 삼성전자주식회사 터치스크린을 구비한 장치의 터치 인식 방법
US8612884B2 (en) * 2010-01-26 2013-12-17 Apple Inc. Device, method, and graphical user interface for resizing objects
CN101840295A (zh) * 2010-03-10 2010-09-22 敦泰科技(深圳)有限公司 一种电容触摸屏多点触摸检测方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5046837A1 (ko) * 2013-09-25 2015-04-02 주식회사 픽스트리 컨텐츠 공유 장치 및 방법
US10761715B2 (en) 2013-09-25 2020-09-01 Pixtree Technologies, Inc. Apparatus and method for sharing content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50898B1 (ko) 2017-06-26
EP2464084B1 (en) 2013-11-20
CN102486716A (zh) 2012-06-06
CN102486716B (zh) 2016-06-08
EP2464084A1 (en) 2012-06-13
US20120139951A1 (en) 2012-06-07
US8675024B2 (en) 2014-03-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50898B1 (ko)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KR101757870B1 (ko)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KR102171082B1 (ko) 지문 처리 방법 및 그 전자 장치
KR20140045060A (ko) 이동 단말기 및 이동 단말기의 제어 방법
JP2014010456A (ja) 移動端末機及びその音声認識方法
KR20110080760A (ko)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US10158749B2 (en) Method by which portable device displays information through wearable device, and device therefor
KR20110064635A (ko) 이동 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멀티미디어 파일 재생 방법 및 이를 적용한 이동 통신 단말기
KR101875744B1 (ko) 전자 기기 및 전자 기기의 제어 방법
KR20130001826A (ko)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KR20110128487A (ko) 전자 기기 및 전자 기기의 컨텐츠 공유 방법
KR20110016167A (ko) 전자디바이스 및 그 제어방법
KR101987463B1 (ko) 이동 단말기 및 이동 단말기의 제어 방법
KR20120026189A (ko)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 방법
KR20140044659A (ko) 이동 단말기 및 그것의 제어 방법
CN105549883A (zh) 操作控制的方法及装置
EP2400724A1 (en)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KR101973641B1 (ko) 이동 단말기 및 이동 단말기의 제어 방법
KR20140094868A (ko)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KR20110064628A (ko) 이동 통신 단말기를 통한 멀티 미디어 데이터의 표시 제어 방법 및 이를 적용한 이동 통신 단말기
KR101781453B1 (ko) 전자 기기, 그것의 계정 관리 방법, 및 그것을 이용한 계정 관리 시스템
US20120159524A1 (en) User equipment having a general editing function and method thereof
KR20140044618A (ko) 이동 단말기 및 이동 단말기의 제어 방법
KR101060547B1 (ko) 이동 단말기, 및 이를 이용한 보안 방법
KR20130030691A (ko) 이동 단말기 및 그것을 이용한 전자 기기 제어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